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시스템이론 시각에서 본 중국 농촌 주거 환경 디자인 연구

        왕선상 상명대학교 일반대학원, 2020 국내박사

        RANK : 248703

        농촌과 도시는 인류 문화 발전 과정에서 중요한 두 가지의 형식이자 인류 문화 변화 및 발전에 역할을 해 왔다. 둘은 서로 다른 형태로 각자의 특색과 남다른 위치를 가지고 있다. 농업 경제를 기반으로 한 경제 대국인 중국에서도 마찬가지다. 농촌은 중화문명의 모체이자 중화민족 발전의 기반이다. 사회 경제의 고속 발전에 따라 도시화 속도가 가속화 되면서 농촌은 역사상 찾을 수 없는 위기에 처해 있다. 특히 인류 거주 환경이 갈수록 악화되고 있다. 농촌 수질오염 문제가 심각해지고 생태 환경이 많이 파괴되고 있다. 농촌 경제 발전을 유도할 수 있는 체계가 마련되어 있지 않고 주민 거주 환경도 혼란해졌다. 이뿐만 아니라 농촌 공공사업 및 인프라 시설 발전은 여전히 지체되고 있다. 따라서 농촌 거주 환경 정돈 및 개선은 날이 갈수록 시급한 문제가 되었고 있고 관련 기관과 업체로부터 주목 받고 있다. 농촌 거주 환경 디자인의 개선의 실천과 관련 연구도 농촌 연구 학자의 관심을 받고 있다. 농촌 거주환경은 복잡하며 거대한 시스템이다. 도시거주 환경과 달리 농촌 지리 위치, 경제, 역사, 사회문화 등 다양한 요소들이 서로 영향을 주고받는 복합적인 결과물이다. 그러나 건축가들과 대부분의 연구학자들이 농촌거주 환경에 대한 인식이 부족하여 습관적으로 공업문명과 도시 거주 환경 디자인 방안의 시각과 기준으로 농촌 거주 환경에 적용하다 보니 아름다운 외모와 도시 풍경으로만 추구하게 되었다. 단순한 과학연구의 사각으로 농촌 거주 환경에 대해 연구하고 디자인하였다. 이는 농촌거주 환경 자체가 복잡하고 거대한 시스템인 것을 소홀히 한 것이다. 농촌 주거환경 개선 프로젝트가 전국적으로 추진되는 가운데 심도 있는 이론 연구가 이루어져야 하며 체계적인 농촌 주거환경 개선 디자인 방안을 마련해야 한다. 이를 토대로 농촌 주거환경 개선의 지침으로 삼아 실천해야 한다. 시스템이론은 거대한 시스템을 대상으로 삼고 복잡하고 어려운 문제를 해결하고자 하는 과학 이론이다. 본 이론은 과학 기술의 발전에 새로운 개념, 새로운 사고방식, 새로운 방법을 제공하였다. 여러 분야의 연계성에 대해 지침을 주었고, 현재 사회에서 어렵고 복잡한 문제를 연구하고 해결하는 데 과학적 근거를 제공하였다. 본 논문은 시스템이론을 통해 농 촌 주거환경 디자인 개선 방안을 연구하였다. 시스템이론 시각에서 농촌 주거환경을 체계적으로 분석할 뿐만 아니라 내부에 존재하는 각종 요소와 마을 시스템의 구조 및 시스템 간의 기능 등을 연구하였다. 농촌 주거환경시스템 개선 원리를 통해 시스템을 기반으로 된 농촌 주거환경디자인 개선 체계를 마련하였다. 본 연구는 중국 소흥시의 대표적인 마을 2개를 연구 대상으로 삼았다. 하나는 역사적으로 우수한 강남대채(江南大寨)-상왕촌(上旺村)이고, 하나는 현대 사회의 아름다운 마을 시범 지역-대선소오촌(大善小鄔村)이다. 상왕촌은 산 지형 마을이고, 대선서우촌은 평야형 마을이다. 농촌 주거환경 시스템은 농촌자연생태환경시스템, 인공 건설 환경 시스템, 사회인문환경시스템으로 나눌 수 있다. 시스템과 내부 요소들이 서로 영향을 주고받아 큰 시스템을 구성하고 있다. 시스템과 내부 요소들 간의 역할을 제대로 이해하지 못하고 존중하지 못하며 과학적으로 계획하고 실행하지 못한 관계로 현재 농촌 주거환경이 악화되고 있다. 따라서 농촌 지역 환경의 특징을 감안하여 농촌공간을 합리적으로 계획하고 농촌건축시스템, 환경시스템, 교통시스템, 물 환경시스템, 인프라시설시스템에 대해 과학적으로 디자인해야만 지역 특색이 있고 지속적으로 발전해 나갈 수 있는 농촌 주거환경을 만들 수 있다고 생각한다. 시스템이론 시각에서 본 농촌 주거환경디자인 개선 방안은 앞으로 중국 절강성뿐만 아니라 동남지역에서 진행 중인 농촌 주거환경 개선 프로젝트에 참고 가치가 될 것으로 생각한다.

      • 도시가로환경조성을 위한 가로시설물 디자인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 - 디자인서울거리 사례분석을 중심으로 -

        정여란 서울산업대학교 2008 국내석사

        RANK : 248669

        City streets are not only to provide simple passages but also to provide a role of design display by themselves. The street facilities of urban street environment have roles of safety, convenience, community, information-transformation, induction, limitation, control and pleasure to citizens. This dissertation shows that urban street policy will combinate several elements to the organic unity and effect them as the cultural production. To do this, the Seoul Metropolitan Government has developed the standard type and general type of the street facilities on the designated three streets as "Designe Seoul Street", that is, history-culture, specified sightseeing area, Dae-hwak ro. The policy presents four strategies: making comfortable and margin space applied the design guideline, making vacant street of low density and high efficiency, making unity street of urban design system, and making a sustainable street formation. Is it sure to make a street design to fit the purpose of guide line that present to make vacant and unity design? This research has chosen three areas to seek for improvement of street design. Three areas are Dae-hwak ro which is the most attractive street, Guem-chun gu which is lack of diversity in commuting fluidity, and Gang-nam gu which has strong identity as a metropolitan borough. The street facilities are main tolls to create street environment and important elements to create whole identity. Among street facilities, items such as bus shelters, street boots, bollards, benches, bins, manhole covers, electricity boxes, and street lamps should apply the ideas of citizens, professional experts and the design manual of public facilities for the improvement of the street facilities design. First, the unity of street facilities means to make visual unity of unit and form from different functions. The standardization and formation can guarantee mass production and economy in the management, salary and manufacturing. Also it can secure the easiness of maintenance from the organization and unification of the management. Second, the symbolization of the street facilities means the localization of street space. Thus it should be planned, designed and established as the area symbol to institute its own idea to consider functional and plastic matter. Third, the management of street facilities should intensify total management. It should be operated regular examination, clearance and renewal by the management system. It should be corresponded rapidely by arranging the report system through the connection enforcement between the street facility manager and the road manager. The street facilities are not only fundamental factors to reflect regional specification and to combine sustainable "Design Seoul Street" but also important factors to improve competitiveness as culture icons of unique and attractive identity in urban environment. 도시의 가로는 단순히 통과를 위한 목적만 수행하는 것이 아닌 거리 자체가 디자인 전시장으로서의 역할이 필요하게 되고, 도시가로환경의 가로시설물들은 일반 시민들에게 안전과 편리의 기능뿐 아니라, 의사소통, 정보전달, 유도, 제한, 조절, 보로, 즐거움을 주는 추가적인 기능을 담당하고 있다. 도시 거리들을 통해 거리사업이 단순한 기능 위주에 단일사업에서 거리의 요소들이 유기적 통합이 필요하고 거리의 정체성을 확보하여 문화상품으로서의 효과를 거두고자 함에 있다. 이에 서울시는 역사문화, 관광특구, 대학로 등의 특화거리나 3류 이상의 대로 등 사업파급효과가 큰 거리를 대상으로 “디자인서울거리”를 지정하여 가로시설물에 대한 디자인을 표준형, 일반형으로 개발하여 적용 하였으며, 디자인가이드라인을 적용하여 디자인서울을 위한 가로환경조성에 있어 쾌적하고 여유 있는 공간, 저밀도 고효율의 비우는 거리, 통합된 도시디자인 체계의 통합하는 거리, 시민, 전문가, 행정 참여형의 더불어 하는 거리, 미래지향의 지속가능한 거리 형성의 4대 전략을 제시 하였다. 디자인서울거리 조성 사업에 디자인가이드라인을 적용하여 비우고 통합하는 목적성에 부합하고, 디자인가이드라인에 알맞은 통합된 디자인이 되어있는가? 디자인서울거리 10개 거리 중 가로환경상태 및 가장 필요로 하는 사항 등에 대한 설문조사를 통하여 매력적 요소가 가장 큰 종로구 대학로, 다양성이 부족하여 유동인구를 흡입할 수 있는 매력요소가 부족한 금천구, 자치구만의 아이덴티티를 추구하는 강남구를 대표적인 사례로 선정하여 디자인에 대한 문제점 조사․분석하여 개선방안을 찾고자 함에 있다. 가로시설물은 가로환경을 창조하기 위한 중심도구로 개별 시설물의 차원을 달리하여 전체적이고 아이덴티티를 창출하기 위한 중요한 요소이다. 가로시설물 중 디자인서울거리 조성을 위하여 공모전을 통한 시민과 전문가가 참여하고 공공시설물 디자인매뉴얼을 적용한 가로시설물 아이템(버스쉘터, 가로판매대, 볼라드, 벤치, 휴지통, 맨홀, 분전함, 가로등 등)을 적용하고 가로시설물의 디자인에 관한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 첫째, 가로시설물의 통합화는 가로공간에서 기능이 다른 각각의 시설물을 단위화, 규격화하여 시각적 일치성을 갖게 하는 통합화이다. 반복되는 요소가 표준화, 규격화함에 따라 양산체계 확보가 가능하여 관리, 보수, 제작상의 경제성이 보장되며, 관리의 주체가 체계화, 일원화되어 유지관리의 용이성까지 확보할 수 있어야 한다. 둘째, 가로시설물의 지역 상징화는 가로공간 거리의 장소화를 의미하며, 가로시설물은 기능적인 측면과 조형적인 측면을 충분히 고려한 디자인으로 장소에 독자성을 심어주는 지역의 상징물로 계획, 디자인, 설치되어야 한다. 셋째, 가로시설물 관리에 있어 포괄적인 일괄관리를 강화하고, 관리시스템에 따라 정기적인 점검․청소․갱신을 계획적으로 시행하며, 시설물의 관리주체와 도로관리자의 연계성 강화로 오손․파손의 상태 발생 시 즉각적인 통보․보고체계를 갖춤으로서 신속히 대응하도록 해야 한다. 가로시설물은 지역적 특성을 반영하고 비우는, 통합하는, 더불어 하는, 지속가능한 디자인서울거리 조성을 위한 요소들로 기본적인 기능뿐만 아니라 그 도시만의 독특하고 매력적인 아이덴티티를 구축하여 문화 아이콘으로 경쟁력 제고를 향상 시킬 수 있는 중요한 요소임을 알 수 있다.

      • 지역 도서관의 사회적 공간 구현을 위한 매개영역 개선방안 연구

        김희근 고려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박사

        RANK : 248669

        본 연구는 시대적 변화에 따른 지역 도서관 매개영역의 변화를 검토하고 그 중요성을 강조하기 위해 현대 지역 도서관의 매개영역을 재정의하였다. 또한 지역 내 사회적 공공공간으로서 도서관 매개영역 역할에 주목하며 현대 도서관 건축을 위한 개선방안을 제안하였다. 본 연구가 도서관의 매개영역에 주목하는 것은 고대 로마시대부터 강조되었던 사회적 공간으로서 도서관을 강조하고자 함이다. 공공시설로서의 도서관은 사용자들의 휴식과 관련된 공간을 제외하고 독립적으로 정의할 수 없다. 지역 도서관의 경우 매개영역은 도서관의 외부공간, 주기능 영역 사이 공간 등 공공적 가치를 지니는 영역을 포괄하며, 구체적으로 도시가로, 건축물의 접점부, 건축물의 외부공간, 건축물의 입면까지로 한정하여 고찰하였다. 본 연구는 매개영역을 서로 다른 요소와 환경이 만나 변화를 추동하는, 혹은 추동할 것으로 기대되는 잠재적 공간으로 재정의 한다. 우선 방법론으로서 지역 도서관의 건립 시기와 규모에 따른 차이를 고려하여 국내외 사례를 선정하여 검토하고, 물리적 현황조사, 전문가 FGI 및 설문조사 등을 병행하였다. 또한, 현대 도서관의 주요 변화 시점 이후 국내외에 건립된 도서관 사례분석을 통해 문제점을 진단하고 사용자 중심의 도서관 건축을 위한 구체적인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 특히 현재 국내 도서관 건립 시 직면하게 되는 현행 법 제도에 대한 보완 및 디자인 개선방안 제시에 중점을 두었다. 도서관이 지역 거점 공공시설로서 자리매김하고 지역 주민들이 사회적 공간으로서 활용 가능하도록 제안하는 것에 본 연구의 목적을 두었다. 선행연구 및 IPA 분석을 통해, 네 가지의 중점개선영역, 즉 개방성, 연계성, 환경성, 체류성을 중심으로 지역 도서관의 매개영역을 고찰하였다. 그 결과, 사용자의 접근이 용이하고 개방적인 공간 구성 및 높은 체류 가능성을 가지고 있는 도서관들이 좋은 평가를 받았다. 이와 같은 도서관들은 사용자들로부터 다양한 사회적 관계를 이끌어낼 수 있고, 도시의 사회기반시설로서 잠재성이 높은 공간이라 할 수 있다. 국내외 사례분석 결과를 통해 도출된 시사점은 2가지로 도출할 수 있다. 첫째, 지역 도서관 매개영역과 관련한 법 제도화의 필요성이다. 현재까지 건축계획 법제도에서 경관계획과 공공건축물 가이드라인 등의 계획을 제외하면 매개영역은 거론되지 않고 있다. 하지만, 지역 도서관의 매개영역 디자인을 변화시키기 위해서는 이를 뒷받침 할 수 있는 법제도의 개선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 지역 도서관의 매개영역을 도시의 공공영역의 일부로 인식하고, “지구단위 계획수립”, “블록 계획” 등 공공영역계획 수립을 의무화 시킬 방안을 제안하고 제도화의 중요성을 강조하였다. 둘째, 주변 환경 및 매개영역 활용을 통한 지역 도서관의 디자인 개선방안이다. 본 논문에서는 건축설계 단계에서 적용 가능한 세 가지의 디자인 유형, 즉, ‘외벽 활용형’, ‘외부공간 유입형’, ‘시설물 결합형’을 제안한다. 본 논문은 향후 매개영역이 강조된 도서관 설립의 중요성을 주장하며 실제 계획에 활용 가능하도록 디자인 예시를 통해 대안을 제시했다. 매개영역 디자인 요소에 관한 구체적인 제안을 할 수 있는 후속 연구가 수반되길 기대한다.

      • 이용자 행태분석을 통한 공개공지 디자인 개선방안 연구 : -강남구 테헤란로를 중심으로-

        김정 건국대학교 디자인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32319

        인간이 살아가는 도시는 수많은 관계들이 형성되며 사회를 이루고 있다. 도시 속 인간은 문화적, 사회적 활동을 통해 살아가고 있고 이러한 생활환경 개선을 위한 필요성이 대두되며 개선을 위한 다양한 방안들이 법제도를 통해 시행되었다. 그 중 삶의 환경개선을 위한 방안 중 하나로 개인 사유지에 공공을 위한 성격을 가진 공간인 공개공지의 설치제도가 도입되어 시행되고 있다. 공개공지 설치 목적은 도시민에게 휴식공간을 통한 편의와 문화적, 사회적 활동의 연장 공간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으로 인해 현재 우리나라는 법제도로 일정 면적 이상의 건축물에는 공개공지 설치를 의무화 하였고, 이에 따른 인센티브 제공으로 공개공지 조성을 장려하고 있다. 하지만, 본래의 취지인 편의 및 활동공간 제공에 맞게 조성되고 이용된다면 생활환경 개선에 도움이 되겠지만 단순히 인센티브만을 목적으로 설치되어 기능을 하지 못하는 공개공지들로 조성효과가 크게 나타나지 못하고, 또한 공개공지를 이용하는 이용자들의 행태를 고려한 디자인이 계획되지 못하여 설치 후에도 이용자의 이용이 활발하지 못하여 쓸모없는 공개공지로 전락하는 경우도 있다. 따라서 현재 공개공지의 디자인 문제점을 인식하고 이에 대한 조사 및 분석, 개선방안을 연구할 필요가 있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기존 설치되어 있는 공개공지를 대상으로 이용자 행태를 고려한 디자인 개선방안에 대해 연구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은 첫째, 공개공지를 이용하는 보행자 및 건축물의 이용자를 분류하고 둘째, 기존 공개공지의 유형별 현황 및 이용자의 행태에 따른 공개공지 특성을 파악하며 셋째, 이용행태를 고려한 이용자 중심의 편리하고 효율적인 디자인 개선방안을 제시하는 것이다. 제2장에서는 문헌고찰을 통해 공개공지에 대한 전반적인 내용들을 살펴보고 선행연구에서 사용되었던 공개공지에 관한 연구 방법과 요소들을 찾고, 기존 연구에서 사용되었던 방법 및 요소들 가운데 본 연구에 필요한 방법 및 조건들을 도출하였다. 제3장에서는 앞서 도출한 방법 및 조건을 적용하여 연구 대상지의 유형별 기본 현황을 파악하고, 대상지 선정 후 현장조사를 통해 현장에서 조사 가능한 항목을 중심으로 조사를 실시하였다. 제4장에서는 현장조사를 통해 파악된 현황을 토대로 분석된 각 항목이 현재 연구 대상지 이용과 관련하여 어떠한 영향을 주는지 파악하고 분석하였다. 제5장에서는 앞서 제4장에서 도출한 분석 내용을 토대로 대상지의 문제점과 개선방안을 조건을 적용하여 제시하였다. 제6장에서는 개선방안과 향후 공개공지 조성에 있어 이용자 중심으로 고려하여야 할 분석 요소들에 대한 시사점을 제시하며 결론을 도출하였다.

      • 대형 쇼핑몰의 ‘길찾기(Way-finding performance)’ 시스템에 관한연구 : 신세계이마트를 처음 방문하는 고객을 위한 공간디자인 개선과 ‘키오스크(KIOSK)'시스템 응용 연구를 중심으로

        황산주 서울시립대학교 2009 국내석사

        RANK : 232319

        대형쇼핑몰을 방문한 고객들은 각자가 원하는 목적지를 향해서 이동을 한다. 복잡한 쇼핑몰 공간에서 고객들은 주위 환경이 만드는 수많은 메시지를 보고, 읽고, 판단하며 길찾기를 하게 된다. 길찾기 시 몇몇의 뚜렷한 디스플레이 장식물이나 유도사인, 안내방송과 같은 안내체계의 길찾기 정보를 학습하여 목적지로 향하게 된다. 대형쇼핑몰과 같이 동선이 복잡하고 물리적 환경 구조 자체가 복잡하고 주기적으로 변하는 경우에는 그 환경에 익숙하지 않은 고객들은 빠르지 않은 길로 가거나 길을 잃게 된다. 대형쇼핑몰은 고객들의 원활한 길찾기를 위하여 쇼핑몰 동선 곳곳에 유동사인을 설치해 놓았지만, 이동하는 고객들에게 쇼핑몰내 큰 구획에 대한 방향을 안내해 줄 뿐 고객이 원하는 길찾기를 위한 효과적인 시스템이 갖추어져 있지 않아서 친숙하지 않은 낮선 공간에서 자신의 위치를 제대로 인식하지 못하는 시간이 길어지면서 고객들은 길을 잃는 상태가 되는 경우가 많다. 현재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많은 연구가 진행 되었는데 그중 대표적인 방법이 KIOSK를 이용하는 것 이다. 새로운 쇼핑몰의 아이덴티티를 만들고 고객의 쇼핑시 편의성을 증대시키기 위해 공간디자인 개선과 디지털 키오스크의 효과적인 응용으로 대형쇼핑몰의 길찾기 시스템의 새로운 패러다임이 필요한 때라고 생각된다. 본 논문은 1장에서 연구의 배경 및 목적을 통하여 연구문제를 제안하고, 연구의 범위와 방법에 대하여 제시하였다. 2장에서는 길찾기의 개념과 의미에 대한 이해를 돕고자 이론을 고찰하였다. 3장에서는 업태가 다른 대형쇼핑몰 두 곳의 물리적 환경요소와 공간 구조에 연계된 디자인 요소와 길찾기의 관계에 대하여 언급하였고, 4장에서는 키오스크 시스템의 유형과 구성에 대하여 알아보고 개념을 정리 했으며, 현재 대형쇼핑몰에서 운영 중인 키오스크 시스템의 운영현황과 키오스크 정보안내 기능의 고객인지과정을 고찰하여 길찾기와 의 효율성을 분석 하였다. 5장에서는 길찾기 개선 대상 쇼핑몰을 신세계이마트 성수점 으로 선정하여 대상 쇼핑몰에 대한 공간환경 분석과 문제점을 도출하였으며, 키오스크를 사용한 길찾기 실험을 통해 길찾기 시 문제점을 도출하였다. 6장에서는 대상쇼핑몰의 현황분석을 통해 도출한 문제점과 실험을 통한 문제점의 개선을 위한 디자인 안을 제안하였고, 개선된 공간디자인을 키오스크 시스템에 적용하여 재실험을 하였다. 재실험 후 길찾기 개선에 대한 효과를 입증한 후 7장에서 결론을 도출하였다. 이러한 연구 결과, 평소 대형쇼핑몰에서 길찾기시 기존 길찾기에 정보를 전달했던 키오스크 시스템과 안내사인, 맵 이미지와 같은 디자인요소 들은 방향을 유도하고 정보를 전달하는 최소한의 목적에 있어서 고객들의 만족도가 전체적으로 낮음을 알게 되었고, 물리적 환경과 공간구조에 연계된 디자인요소의 개선과 키오스크의 정보전달 기능을 개선, 그리고 이 두 가지를 효과적으로 연계하여 고객들이 키오스크에서 인지한 길찾기 정보로 실제 쇼핑몰 공간에서 길찾기를 할 때에도 이질감 없이 효과적인 길찾기를 할 수 있다는 결과를 도출하였다. 향후 도시와 지역 그리고 건축물들의 유기적인 연계로 인한 다양한 공간의 변화와 다각화가 시도되는 시대에 대형쇼핑몰의 길찾기 연구는 계속 되어야 할 것이다. 이는 한 분야의 전문가의 노력이 아닌 각 분야에서의 연구가 이용자의 측면에서 함께 이루어지고 적용이 되어야 항상 변화 하는 환경에서도 고객들의 쇼핑을 편리하게 해줄 신기술을 통한 신개념의 길찾기 시스템이 완성 될 것 이다.

      • 상업가로 공공디자인 개선사업의 만족도 조사연구 : 대구 동성로를 중심으로

        김창현 대구대학교 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32318

        This study on satisfaction of the project for improving public design of Dongsung-ro in Daegu aimed to investigate how the project for public design of Dongsung-ro had an effect on revitalization of the central city through surveys on satisfaction of merchants and consumers using Dongsung-ro. As for the research methods, the study examined theoretically the project for improving public design through establishing the concepts of street landscape and public design of commercial street. In addition, the study reviewed the existing data related to commercial streets by analyzing previous researches, and investigated the examples of improvement of street environment through the actual project for improving public design of commercial streets and analyzed each project to carry out the case study. Also, the study conducted surveys of not only owners of shops on the site of the project for improving public design of Dongsung-ro but also consumers using the public design of this region, and compared and analyzed the satisfaction perceived by different groups. The results from surveys showed that the improvement project was effective in the level of satisfaction of public facilities improved by the project for improving public design but did not make a difference in building up sense of place of Dongsung-ro, highlighting the regional history through the historic background of the old Daegu-eupseong and the economic effectiveness through the project for improving public design. In conclusion, in order to revitalize Dongsung-ro, it is needed to aggressively introduce elements of programs to inspire Dongsung-ro aside from the project for improving public design and to develop the project as the improvement project for active street environment. 본 연구는 대구시 동성로 공공디자인 개선사업의 만족도 조사에 관한 연구로써 연구의 목적은 동성로를 이용하는 상인과 이용자들에 대한 만족도 설문조사를 통해 동성로 공공디자인 사업이 도심 활성화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고자 하였다. 연구의 방법으로는 가로경관과 상업가로의 공공디자인에 대한 개념정리를 통해 공공디자인 개선사업에 대한 이론적 검토를 실시하였으며. 선행연구 분석을 통해 지금까지 상업가로를 대상으로 연구되었던 내용들을 정리하여, 상업가로 공공디자인 개선사업을 통해 가로환경을 개선한 사례들을 조사하고 각 사업들의 효과를 분석하여 사례조사를 실시하였다. 또한, 동성로 공공디자인 개선사업 대상지에 위치한 상가 주민들과 공공디자인을 이용하는 이용자들에 대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서로 다른 집단 간에 인식하는 만족도를 비교 분석하였다. 설문조사 결과 공공디자인 개선사업으로 인해 가로의 공공시설물이 개선된 부분의 만족도 조사에서는 개선사업의 효과가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지만, 동성로의 장소성의 형성, 과거 대구읍성의 역사적 배경을 통한 지역의 역사성 부각, 공공디자인 개선사업을 통한 경제적 효과에 대하여 성공적인 성과를 거두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동성로의 활성화를 위해서는 현재 진행되고 있는 공공디자인 개선사업과 더불어 동성로에 활력을 불어줄 프로그램적 요소를 적극적으로 도입하여 활력있는 가로환경개선사업으로 발전시켜야 할 것이다

      • 소상공인 점포 디자인 개선사업의 현황과 한계 분석을 통한 발전 방향 연구 : 관악구 아트테리어 사업을 중심으로

        이은아 서울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32317

        This thesis is to study on the improvement strategy for small business store design refinement project through analysis of current status and limitations, and the background and method of the study are explained in Chapter 1. In Chapter 2, it reviews the current status of the small business revitalization project and small business support project, the concept of public conflict and publicity, and previous studies. In Chapter 3, it examines the current status of the small business store design improvement project and the main causes of the limitations that occurred in the project. In Chapter 4, it examines the development direction of the main causes. Finally, In Chapter 5, it proceeds in order of presenting the conclusions and implications of this study. In that it provides goods and services that are closely related to the daily life of local residents, the alley business district is the most basic unit of the local economy. However, the vicious cycle of continuous start-up and excessive competition due to low entry barriers, high business closure rate and business conversion is repeated, making the start-up and business conditions of small business owners very unstable and poor. In order to improve this, the public is implementing various support policies, and in particular, various small business support projects are being created to revitalize commercial areas that have been depressed due to COVID-19, but it is pointed out that the effectiveness of the policy should be increased by expanding the awareness of the fundamental problems of small business owners. There is a great voice, but not much research has been done on new support systems or projects. This study began with a critical mind about uncritical or positive acceptance of small business support projects aimed at revitalizing stagnant alleyways. So far, a number of projects to support small business store design improvements have been implemented to revitalize small businesses, but there are limitations that have not been fundamentally resolved internally. The government is promoting institutionalization of governance consisting of the public and local residents, including small businesses, and intermediate organizations as a solution to public conflicts. is promoting However, inside the field, conflicts among stakeholders are identified despite the institutional arrangements with a cooperative structure. Therefore, unlike the preceding studies that focused only on the positive aspects of the existing performance, approach from a critical aspect and identify the limitations by examining the process and results of the small business support project. Based on the opinions of stakeholders who participated in the improvement project, the purpose is to discover the root cause and meaning of the limitations through conflict analysis of the project. In addition, it is meaningful that a sustainable development plan for the actual project site was presented through a case study of the Gwanak-gu Arterior project, which was recently underway. In Gwanak-gu, the target area of this study, due to COVID-19 in Seoul, neighborhood shops in alleys that have been in the same place for decades have gone to the point of disappearing. Art + Interior) is the region with the largest number of participants in the small business support project. 'Arterior' is a compound word of Art and Interior. It is a project that customizes the The key is to strengthen the competitiveness of small business owners who cannot afford to improve the environment and design, and to win-win with young artists who gain work experience. The evaluation of the existing Arterior project fosters vocational skills for young artists who lack opportunities to participate in social activities outside the studio and promotes entry into private jobs, resulting in positive results for both artists and self-employed people. There are many positive evaluations from the outside saying that we lost. However, on the other side of the positive evaluation, the conflict between stakeholders in the small business support project, which was not addressed, was analyzed in detail through theoretical research, observational research, and interviews at the site of the Arterior project in Gwanak-gu in 2022. The purpose was to find out the cause. Based on this critical mind, a qualitative study was conducted. The limitations that appeared in the business are as follows. First, it is a limitation regarding the low level of understanding and willingness to participate in the business of small business owners. Small business owners had a low level of understanding of the business. Due to a lack of understanding, they continued to hope for simple repair and replacement, rather than a distinctive design improvement, which is the purpose of Arterior project. In addition, they had dissatisfaction and doubts throughout the project, and their will to participate was not strong. Second, there is a limit on public conflict. Despite the growing conflict between small business owners and artists, business execution companies did not make active communication efforts to resolve the conflict. Third, there is a limitation regarding the budget. The budget for the project was one-time support for environment and interior improvement, and there was no specific support or plan from a long-term perspective.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current status and limitations of the Gwanak-gu Arterior Project, the direction of its development is suggested as follows. First, it is necessary to confirm understanding and willingness to participate by screening through interviews. In addition, it is necessary to publicize the business in various ways in order to increase accessibility to information about the business. After selection, training on business is necessary. Second, it is necessary to set the participation of conflict management experts who can demonstrate the ability to prepare for conflict as an important selection criterion, and the district office needs to continuously supervise. Third, it is necessary to expand the range of items that can be supported for improvement of the Arterior project by reflecting social and regional characteristics, rather than simply supporting physical improvement, and a budget plan for follow-up management is also needed. The implication of this study is that the project participants manage conflicts by securing mutual trust and forming a consensus, and not considering the detailed characteristics of the commercial district and focusing only on physical improvement, rather than a store design improvement project prior to project promotion. It is necessary to plan the business by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commercial district, such as the current status of stores by industry, and collecting opinions on necessary improvement support items. 본 연구는 소상공인 점포 디자인 개선사업의 현황과 한계 분석을 통하여 발전 방향을 연구하는 논문으로서 제1장에서 연구의 배경 및 방법에 관하여 설명한다. 제2장에서는 골목상권 활성화 사업 및 소상공인 지원사업의 현황, 공공갈등과 공공성의 개념, 그리고 선행연구를 검토한다. 제3장에서는 소상공인 점포 디자인 개선사업의 현황과 사업에서 발생한 한계점의 주요 원인에 대해 알아본다. 제4장에서는 주요 원인에 대한 발전 방향을 알아본다. 마지막으로 제5장에서는 본 연구의 결론 및 시사점을 제시하는 순서로 진행된다. 지역 주민의 일상생활에 밀접한 재화와 서비스를 제공한다는 점에서 골목상권은 지역경제를 이루는 가장 기본적인 단위이다. 하지만, 낮은 진입장벽에 따른 계속되는 창업과 과당경쟁, 높은 폐업률과 사업전환의 악순환이 반복돼 소상공인의 창업·영업실태는 매우 불안정하고 열악하다. 이를 개선하고자 공공은 다양한 지원정책을 시행하고 있고, 특히 코로나19로 인한 침체된 상권을 활성화시키기 위해, 다양한 소상공인 지원사업이 생겨나고 있지만, 근본적인 소상공인의 문제 인식을 확장하여 정책의 실효성을 높여야 한다고 지적하는 목소리가 크지만, 아직까지 새로운 지원제도나 사업에 대한 연구가 많이 진행되지 않았다. 본 연구는 침체된 골목상권을 살리기 위한 소상공인 지원사업을 무비판적이거나 긍정적으로만 수용하는 것에 대한 문제의식에서 시작하였다. 현재까지 골목상권 활성화를 위해 소상공인 점포 디자인 개선을 지원하는 사업이 다수 시행되었지만, 내부적으로 꾸준하게 근본적으로 해결되지 않은 한계가 존재한다. 정부는 공공과 지역의 소상공인을 포함한 구민, 중간조직으로 이루어진 거버넌스를 제도화하는 것을 공공갈등의 해결방법으로 추진하고 있고, 골목상권을 활성화시키기 위하여 지역의 구민과 함께하는 협력적 구조를 기반한 소상공인 점포 디자인 개선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그러나, 현장 내부에서는 협력적 구조를 가진 제도적 장치에도 불구하고, 이해관계자들의 갈등이 확인된다. 따라서, 기존의 성과 위주의 긍정적 측면에서만 접근한 추진 성과에 집중한 선행연구들과는 비판적인 측면에서 접근하여, 소상공인 지원사업의 과정과 결과를 살펴보면서 한계를 파악한다. 개선사업에 참여한 이해관계자들의 의견을 바탕으로, 사업의 갈등 분석을 통한 한계의 근본적 원인과 의미를 발견하는 것에 목적을 둔다. 또한, 최근에 사업이 진행되었던, 관악구 아트테리어 사업 사례 연구를 통해 실질적인 사업 대상지의 지속가능한 발전적 방안을 제시하였다는 것에 의의가 있다. 본 연구의 대상 지역인 관악구는 서울시에서 코로나19로 인해 수십년간 같은 자리를 지켜온 골목상권의 동네가게들이 없어지는 상황까지 이르렀고, 골목상권의 침체를 막기 위해 2019년부터 시작한, 동네 가게 개선 아트테리어(Art + Interior)사업이라는 소상공인 지원사업의 참여자가 가장 많은 지역이다.‘아트테리어는 아트(Art)와 인테리어(Interior)의 합성어로, 골목상권 활성화를 위하여 지역의 예술가들이 소상공인 점포 인테리어, 브랜드 개발 등을 맞춤형으로 바꿔주는 프로젝트이다. 환경 및 디자인을 개선할 여력이 없는 소상공인의 가게의 경쟁력을 강화하고 업무 경험을 획득하는 청년예술가의 상생이 핵심이다. 기존의 아트테리어 사업에 대한 평가는 예술가의 재능이 작업실 밖으로 나와 사회활동에 참여할 기회가 부족한 청년예술가에게 직업역량을 배양하고 민간일자리 진입을 촉진하여, 결국 예술가와 자영업자 양쪽 모두에게 긍정적인 결과가 만들어졌다는 외부의 긍정적 평가가 많다. 하지만 긍정적 평가의 이면에는 다루어지지 않은 소상공인 지원사업의 이해관계자 사이의 갈등에 대해 2022년 관악구 아트테리어(Arterior)사업 현장에 서의 이론조사, 관찰조사, 인터뷰 등을 통해 구체적으로 분석하여, 한계의 근본적 원인을 파악하는 것에 목적을 두었다. 이러한 문제의식을 바탕으로 질적연구를 하였다. 사업에서 나타난 한계는 다음과 같다. 첫째, 소상공인의 사업에 대한 낮은 이해도와 참여 의지에 관한 한계점이다. 소상공인은 사업의 내용에 대한 이해도가 낮았다. 이해가 부족하여, 아트테리어의 사업의 취지인 특색있는 디자인 개선이 아닌, 단순 보수 및 교체를 계속해서 희망했다. 또한, 사업 전반에 불만과 의심을 가지고, 참여 의지가 강하지 않았다. 둘째, 공공갈등에 관한 한계점이다. 사업실행업체는 소상공인과 예술가의 갈등이 커짐에도 불구하고, 갈등 해소를 위한 적극적인 소통 노력은 하지 않았다. 셋째, 예산에 관한 한계점이다. 사업에 대한 예산이 일회성 지원인 환경 및 인테리어 개선이었고 장기적인 관점에서의 구체적인 지원이나 계획은 없었다. 관악구 아트테리어 사업의 현황과 한계를 분석한 결과 그 발전 방향은 다음을 제시한다. 첫째, 면접으로 심사하여 이해도와 참여 의지를 확인하는 것이 필요하다. 또한, 사업에 대한 정보에 대한 접근성을 높이기 위해, 사업에 대한 홍보를 다양한 방식으로 하는 것이 필요하다. 선발 이후에는 사업에 대한 교육이 필요하다. 둘째, 갈등을 대비할 수 있는 능력을 발휘할 수 있는 갈등관리전문가의 참여를 중요한 선정기준으로 설정하는 것이 필요하고, 구청은 지속적으로 감독을 할 필요가 있다. 셋째, 단순하게 물리적 개선 지원이 아닌, 사회적 특징과 지역적 특징을 반영하여 아트테리어 사업의 개선 지원 가능 품목의 범위를 늘이는 것이 필요하고, 사후관리에 대한 예산 계획도 필요하다. 본 연구의 시사점으로, 사업 참여자들은 상호신뢰를 확보하고 공감대를 형성하여 갈등을 관리하고, 상권의 세부적인 특성을 고려하지 않은, 물리적 개선에만 초점을 두는 점포 디자인 개선사업이 아니라, 사업 추진 이전에 업종별 점포 현황과 같은 상권의 특성을 고려하고, 필요한 개선 지원 항목에 대한 의견을 수렴하여, 사업을 계획하는 것이 필요하다.

      • 유니버설디자인 개념을 도입한 중국 역사문화지구 공공디자인의 개선 연구 : 정보관련 디자인과 위생관련 디자인을 중심으로

        유예청 상명대학교 일반대학원 2022 국내박사

        RANK : 232303

        현대 사회의 경제 발전에 따라 도시 이미지에도 큰 변화가 일어났으며, 역사문화지구에 대한 국가의 보호와 개선도 점차 강화되고 있다. 역사문화지구가 갖는 특수한 가치와 의미는 새로운 의식과 함께 도시 구축 및 관리 측면에서 역사문화지구의 공공시설에 대한 새로운 요구를 제시하고 있다. 공공디자인은 국가의 경제 성장을 나타내는 지표이자, 국가의 문화적 수준을 상징한다. 또한 공공시설은 공공디자인의 중요한 구성 요소로서, 사람들이 역사문화지구를 인식하는 과정에서 가장 밀접하게 접할 수 있으며 사용자의 시각에서도 도시 이미지를 형성하는 첫 단계이다. 이에 따라 공공시설과 역사문화지구의 이미지는 서로 밀접한 영향을 주고 받는 공동체로도 볼 수 있다. 역사문화지구의 보호와 리모델링에 따라 사람들은 유니버설디자인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게 되었다. 유니버설디자인은 일반 성인 뿐만 아니라 노인, 장애인, 어린이 등 다양한 사용자를 고려하여 더욱 다양한 사람들이 수용하고 더 나은 환경을 조성하기 위해 이루어지는 디자인으로서, 환경에 대한 다양한 사람들의 수요를 충족하는 디자인 원리로 볼 수 있다. 이에 따라 다양화와 인구고령화, 다문화 사회 등 다양한 가치관이 공존하는 오늘날, 모든 사회 구성원들을 위한 환경을 제공하기 위해서는 역사문화지구의 공공시설에 대한 유니버설디자인 분석이 필요하다. 역사문화지구 구축은 단순히 물질적 측면에서만 보수 및 리모델링이 이루어지는 것이 아니라 역사문화지구의 이미지 제고 및 구축을 추구해야 하며, 공공디자인을 바탕으로 사람과 문화, 환경 간 상호작용에 중점을 두어야 한다. 이는 역사문화지구의 이미지 구축을 위해서는 유니버설디자인을 바탕으로 한 공공디자인이 결정적인 역할을 담당해야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현재 중국에서 주목을 받고 있는 공공시설에 관한 현황 분석과 공공디자인에 관한 이론적 고찰을 통해 역사문화지구의 공공시설에 관한 중요성을 살펴보고 중국 역사문화지구의 공공시설 중에서 정보 시설과 위생 시설이 현재 해결해야 하는 문제임을 파악하였다. 선행연구 분석을 바탕으로 한국, 중국의 역사문화지구에 대한 현지조사를 진행하였고 관광안내소, 안내사인, 화장실, 휴지통 등 4가지 시설이 역사문화지구에서 사용자가 가장 직접적으로 사용하고 사용 빈도가 가장 높은 시설로 나타났다. 이에 따라 정보 시설과 위생 시설을 본 연구의 핵심으로 설정하였다. 역사문화지구의 정보 시설은 관광안내소와 안내사인, 위생 시설은 화장실과 휴지통을 포함한다. 유니버설디자인에 대한 연구자들의 이론을 중심으로, 역사문화지구의 공공시설 현황에 관한 선행연구와 현황조사를 진행하였다. 또한 현장조사를 통해 역사문화지구의 공공시설에 대한 사용자들의 수요를 종합하였다. 다음으로 역사문화지구 공공시설에 적합한 유니버설디자인의 평가 지표를 도출하였다. 이에 유니버설디자인의 요소를 편리성, 공평성, 정보성, 안전성, 쾌적성, 심미성 등 6가지 요소로 분류하였다. 유니버설디자인의 6가지 요소를 바탕으로, 한국 역사문화지구 8곳과 중국 역사문화지구 10곳을 선정하여 현지 조사 및 분석을 진행하였다. 마지막으로, 사용자에 대한 실증 분석을 진행하여 연구 가설을 검증하였고 중국 역사문화지구 10곳을 대상으로 유니버설디자인의 요소에 따라 역사문화지구의 사용자 평점을 도출하였다. 또한 유니버설디자인의 요소를 바탕으로 공공시설에 대한 종합 만족도와 추천의향 간의 관계를 분석하여 디자인 요소의 평가 지표에 관한 적합성을 검증하였다. 사용자의 평점 결과와 유니버설디자인 지표의 세부 항목, 한국 역사문화지구의 공공디자인 방식을 근거로 향후 역사문화지구 공공시설의 유니버설디자인을 위한 제안을 제시하였다. 첫째, 관광안내소의 경우에는 편리성 측면에서 사람의 수요를 바탕으로 서비스를 제공하며, 대기 구역, 상담 구역, 사무 구역, 홍보 구역과 같이 공간의 기능을 구분하고 발전 계획을 마련한다. 정보성 측면에서 텍스트, 도형, 색채 등의 장점을 활용하여 사용자가 정보를 쉽게 찾을 수 있도록 한다. 쾌적성 측면에서 대기 구역에 좌석을 늘리고 조용한 공간을 제공함으로써 효과적이고 혁신적인 소통 방식을 추가한다. 공평성 측면에서 유모차, 휠체어, 지팡이 등 보조 이동수단이나 기구를 제공한다. 또한 휠체어에는 점자를 추가한다. 안전성 측면에서 친환경 소재와 어린이의 키높이에 적합한 디자인의 시설물을 배치한다. 심미성 측면에서 건축물의 형태를 인문학적 특징을 구현하여 현지 역사문화의 요소를 강조한다. 둘째, 안내사인의 경우에는 편리성 측면에서 역사문화지구를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안내도를 배치한다. 정보성 측면에서 색상 대비를 활용해 단계별 안내 정보를 제공한다. 쾌적성 측면에서 사용자의 키높이를 참고하여 각기 다른 높이의 안내사인을 설치한다. 공평성 측면에서 노인, 영유아, 장애인 등을 고려한 조명, 음향, 터치식 상호작용이 가능한 안내사인을 설치한다. 안전성 측면에서 재료의 선정 및 설정에 있어 높이, 위치에 따라 안내사인을 조정한다. 심미성 측면에서 역사문화지구의 요소와 색채 양식 등을 통일한다. 셋째, 화장실의 경우에는 편리성 측면에서 여자 화장실의 개수와 수유실을 늘려 영유아가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정보성 측면에서 눈에 띄는 위치에 안내 사인을 설치하여 명확한 방향을 안내한다. 쾌적성 측면에서 각 화장실 칸에 두루마리 휴지, 세면대 공간에는 손 세정제와 핸드드라이어를 제공한다. 공평성 측면에서 남녀 배리어프리 화장실과 시각장애인 전용도로를 설치한다. 안전성 측면에서 비상호출버튼과 바닥에는 미끄럼방지 재질을 설치한다. 심미성 측면에서 실내에는 녹색 식물이나 화분, 장식 그림을 설치하고 외부 건축물은 각 지역의 문화적 요소를 반영한다. 넷째, 휴지통의 경우에는 편리성 측면에서 휴지통의 입구를 크게 만들고 효율적인 쓰레기 분류를 위해 스마트 분리수거 휴지통을 설치한다. 정보성 측면에서 휴지통의 외부에 슬로건을 추가하고 텍스트와 이미지의 색상 대비를 뚜렷하게 구성한다. 쾌적성 측면에서 내부 박스에는 통풍 및 제습을 위한 구멍을 설치하고 내·외부 박스는 평행으로 밀고 닫는 방식을 활용한다. 공평성 측면에서 휴지통 상단에 점자와 음성 서비스를 제공하고 어린이를 위한 별도의 휴지통을 설치한다. 안전성 측면에서 도로의 중간에 설치하는 것을 지양하고 자동차 도로와 거리를 유지한다. 심미성 측면에서 곡선과 원형의 디자인을 활용하고 지역 문화 요소를 가미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