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국립대학 교육시설 적정기준에 관한 연구 : 대학설립운영규정의 개정을 중심으로

        윤석훈 한국교원대학교 교육정책전문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연구는 대학시설기준에 대한 법적 변천과정, 1996년 제정된 「대학설립운영규정」의 시설기준이 최근 변화되고 있는 대학정책과 다양한 교육과정을 운영할 수 있는 시설기준을 제시하고자 한다. 미래사회는 서비스를 중심으로 한 지식기반사회 틀 속에서 대학은 연구의 다양화, 세분화된 학문간 통합, 계열별 학문의 융ㆍ복합화 및 협동과정 운영 등 교육과정의 변화가 있었다. 또한 외적으로는 대학구조조정 및 대학의 특성화ㆍ전문화, 저출산, 산학연협력, 고령화에 대비한 평생교육 기능 확대 등 대학의 질적 양적으로 변화하였다. 이와 같이 다양한 환경변화를 반영하기 위해 현재 「대학설립운영규정」을 대학의 사례와 대학통계 등을 비교분석하여 국립대학의 적정기준과 그 대안을 찾아보고자 한다. 최근에는 대학은 새로운 환경변화를 수용하기 위해 교육과정과 시설변화를 추구하게 되었다. 따라서 대학시설개념을 살펴보고 이에 따른 시설분류 체계를 문헌 등을 통해 외국과 국내사례를 살펴보고자 한다. 또한 우리나라 대학 시설기준에 관련된 법과 분류체계를 파악함으로 개선의 필요성을 분석하였다. 대학시설의 기준이 되는 「대학설립운영규정」 제정 이후 변화된 우리나라 교육환경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학령인구는 감소하나 대학인구는 증가한다. 둘째, 새로운 학문도입에 따른 학과의 증원이 필요하다. 셋째, 학문발전에 따른 연구기능의 확대되고 있다. 넷째, 교육시장 개방, 정보화 등이 대학을 변화하게 하고 있다. 다섯째, 지식기반사회의 도래와 지식창출기관으로서의 대학 역할이 변화되고 있다. 여섯째, 대학구조개혁 등 우리나라 고등교육 정책방향이 대학의 변화를 유도하고 있다. 이상과 같이 대학교육의 변화에 대한 시설의 대응이 필요하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설립운영규정」 제4조제1항과 관련된 교사시설 구분한 기준면적을 재설정하여 대학교육의 질을 높이고, 대학 경쟁력 제고 및 연구중심대학으로의 교육환경 변화 등을 위한 시설기준이 재검토되어야 한다. 둘째, 「대학설립운영규정」 제4조제3항과 관련된 교사 기준면적은 계열별 기준면적을 신설대학의 설립인가를 위한 최저기준(Minimum Requirement)의 개념으로 제시되어 있는데, 21세기 대학 환경의 변화에 따라 적정면적으로서의 개정이 요구된다. 적정면적이라 하면 교사시설의 이용자들이 쾌적성과 만족도를 확보하는 상태의 면적이라 할 수 있다. 그러나 교사 이용자 만족도를 포함한 시설기준으로 인가하는데 무리가 있을 수 있어, 설립인가 기준과 대학이 지향하는 적정기준으로 분리하는 것도 또 다른 대안이 될 수 있다. 셋째, 2010년 국립 일반대학의 교사확보율이 137.4%이며, 서울대학교 자체시설기준에 의하여 산출된 면적은 「대학설립운영규정」의 138.5%이었다. 대학의 특성 및 환경에 따라 다르겠지만, 본 연구에서는 「대학설립운영규정」의 교사 기준면적 대비 38%정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현재 시설기준의 상향조정이 요구된다. 대학시설 기준면적을 상향조정하는 방법으로는 「대학설립운영규정」에 규정된 계열별 학생1인당 기준면적보다는 계열과 관계없이 대학 환경변화와 시설의 유연성을 반영할 수 있는 학생1인당 총시설면적으로 변경하는 「대학설립운영규정」의 개정이 필요하다. 그리고 필요하다면 시설별 세부기준을 자체적으로 대학에서 마련하도록 한다. 또한 학생 1인당 총시설면적으로 대학보유시설현황과 이용자만족도가 포함된 설문조사에서 국립대학의 경우 교육기본시설, 지원시설, 연구시설 및 기타시설 등을 포함한 학생 1인당 총시설면적으로 30㎡를 제안하고자 한다. 이는 일본 주요 국립대학 학생 1인당 총시설면적의 60%에 해당된다. 이 시설기준은 향후 우리나라 고등교육정책 변화되거나 변화 요인이 있는 경우 조정할 수 있는 가변성이 있음을 전제로 한다.

      • 대학 캠퍼스 시설 공간의 환경평가에 관한 연구 : - 광주.전남 국립대학 중심

        김양석 조선대학교 2010 국내박사

        RANK : 248703

        본 연구는 광주 전남에 위치하고 있는 국립대학을 기준으로 캠퍼스 구성요소와 배치에 따른 사용자 만족도를 평가하고, 이러한 만족도에 따라 각 캠퍼스별 개선이 필요하다는 곳에 대하여 필요항목을 찾고 이러한 필요 항목에 따른 개선 필요도에따른 우선순위를 선정하여, 검증하였으며, 이를 각 학 캠퍼스의별 개선이 필요한 항목들에 대하여 제시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캠퍼스별 계획요소 만족도 - A대학 캠퍼스 시설 먼저 캠퍼스 9개항목의 계획요소들에 대한 만족도 평가중 도심에 위치한 A대학의 캠퍼스의 계획요소에 대한 만족도는 모두 평균값이상으로 나타났다. 그중 보차 관련동성에 대한 만족도가 가장 높이 평가되었다. 이는 캠퍼스내 내부도로가 순환체계로형성되어 동선이 짧고 시설별 동선체계가 계획에 의해 이루어진 것으로 판단된다. - B대학 캠퍼스 시설 B university campus facilities B대학캠퍼스의 계획요소 만족도 평가는 9개항목중에서 보차관련동선에 대한 만족도와,지원시설물(복지)의 실내 환경에 대한 만족도는 현저하게 높게 평가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캠퍼스의 전체적인 공간에 대한 만족도은 평균값이상으 평가는 되나 상대적으로 다른 항목들에 비하여 낮은 만족도로 분석되었다. 이는 B대학의 배치형태가 주 진입로를 기준으로 분산배치 되어있어 공간의 인지도가 다른 캠퍼스에 비하여 떨어지기 때문인 것으로 판단된다. - C대학 캠퍼스 시설 도심에 위치한 캠퍼스인 C대학의 계획요소 만족도는 9개의 항목중 교유시설물의 구성에 대한 평가와 교육시설물의 실내환경에 대한 만족도 평가가 높게 나타났다. 이는 정문에서 바로 체육관이 진입이 가능하게 되있으며, 중앙부에 대학본부, 강당, 학생회관, 도서관이 배치되었는데 각 시설들이 이용도에 따라 군집을 이루고 배치 되있기때문인 것으로 판단된다. 반면 외부공간에 대한 만족도는 평균값을 약간 상회하는 값으로 외부공간에 대한 배려가 대체적으로 이루어져 있지 않기 때문인 것으로 나타났다. - D대학 캠퍼스 시설 주변입지 현황 및 다른 대학캠퍼스와 다른 D대학캠퍼스는 3개의 대학이 평지에 형성되었고, D대학은 구릉지에 형성되었다. 이러한점에서 접근해 볼 때, 주변입지에 대한 평가 만족도가 높을것으로 추측하였으나, 교육시설의 실내환경에 대한 만족도 평가와,보차동선 교육시설물의 구성에 대한 만족도 평가가 높으며, 캠퍼스 전체공간에 대한 평가 만족도는 다른 항목들에 비하여 낮게 평가되었다. 2. 캠퍼스별 요소별 중요도 및 개선필요도 분석 2. Campus by element by importance and improvement necessity analysis - A대학 캠퍼스 시설 주변에 성된 대학촌, 주변녹지(조경)면적, 주요광장면적, 소규모 광장의 위치 및 배치, 도로폭(보행자)/ 통행원활, 학과 학부시설의 통합적 확보, 연구실, 강의실, 실험실군의 위치/배치, 실내운동시설(체육관)의 면적, 강당의 면적, 기숙사의 위치/배치, 전체적 지원시설들의 접근성, 각실에 대한 소음, 각실의 냉난방시설, 대학캠퍼스의 전체적인 배치구성, 생활면에서의 시설환경, 지원시설물(복지)의 실내환경등의 19개 항목에서 만족에 미치는 중요도가 높게 나타났다. 그러나 Z-score를 적용하여, A1(주변녹지조경면적), A6(주변에 형성된 대학촌),G1(학과학부시설의 통합적 확보), H4(실내운동 및 체육관의 위치 배치) 4개의 항목에서 중요도는 높지만 상대적으로 불만족도가 낮게 나타났다. 즉, 이는 이들 항목들에 대해서 만족하고 있어 개선이 필요한 항목에서 제외 시킬수 있다고 판단된다. - B대학 캠퍼스 시설 주변녹지(조경)면적을 비롯하여 22개의 평가항목에서 만족도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요소로 채택되었다. B대학캠퍼스 또한 Z-score를 적용하여,개선 필요도를 검증해본 결과, A1(주변녹지조경면적), A4(주변시설 상점, 은행등의 이용편리성),A5(통학/통근의 편리성), A6(주변에 형성된 대학촌),H2(도서관의 위치배치), I2(대학본부의 위치,배치), M4(대학캠퍼스의 분위기 및 이미지) M5(학습면에서의 시설 환경), M6(생활면에서의 시설/환경) 이상의 9개의 항목에서 개선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들 항목중 A1(주변녹지조경면적),H2(도서관의 위치배치),M6(생활면에서의 시설/환경) 항목들은 만족도 평가에 중요도는 평이한 값을 나타냈지만 불만족도가 현저하게 높게 나타나 개선이 우선적으로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 C대학 캠퍼스 시설 A4(주변시설 상점, 은행 등의 이용편리성)외에 23개의 평가 항목에서 만족도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요소로 채택되었다. 이 항목에 Z-score를 적용하여 개선 필요도를 검증해본결과, 전체적 휴식공간에 대한 평가 외에 11개의 항목에서 개선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C대학 캠퍼스는 전체적 휴식공간에 대한 중요도와 만족도가 현저하게 낮게 나타났고, 이는 개선 필요도가 매우 높다는 것을 의미하며, 즉 다른 항목들에 비하여 개선이 우선 되어야할 것으로 판단된다. - D대학 캠퍼스 시설 A1(주변녹지조경면적)항목외에 24개의 항목에서 만족도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요소로 채택되었다. 24개의 항목에 Z-score를 적용하여 개선 필요도를 검증해본결과 11개의 항목에서 개선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D대학의 캠퍼스는 개선 필요도가 A4(주변시설 은행, 상점의 편리성 ),와 A6( 주변에 형성된 대학촌), J3(각실의 냉난방 시설), 항목이 우선적으로 개선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대학 캠퍼스의 시설 및 환경에 대한 개선시 우선시 되어야할 항목에 대한 개선이 선행되어져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이를 종합해보면, 4개 대학 캠퍼스 시설 및 환경평가에 공통적으로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항목으로써 개선이 필요한 항목으로는 A1, A6, M1,K4, S5 이상의 5개의 항목으로 나타났다. 캠퍼스 유형이 각각 다른 캠퍼스라는 점을 고려할 때 이러한 공통 항목으로 채택된 항목에 대해서는 캠퍼스 계획 및 개선에 있어서 매우 중요한 항목으로 고려되어야 할 것이다. The research which sees the national university which is located in Kwangju Cholla Nam Do evaluated the user satisfaction which in standard follows with a campus integral part in arrangement, according to like this satisfaction each campus by improvement is and necessity to seek a necessary item about the place a priority follows in the improvement necessary degree which follows in the necessary item which is like this selected verified, about the items where the star improvement of this each crane campus is necessary presented. The result with afterwords is same. 1. Campus by planning factor satisfaction - A university campus facilities About planning factor of the campus of A universities which about planning factors of the campus 9 opening necks while satisfaction evaluating are located first in the city center the satisfaction appeared above of all mean value. About step relation eastern the satisfaction was evaluated height among the rest most. This puts out and the campus the internal road with the circulatory system to be formed with the fact that the copper wire becomes accomplished shortly the facility by copper wire system in compliance with a plan judges. - B university campus facilities Planning factor satisfaction of C university which is a campus where is located in the city center about composition of [kyo] childhood scraps in 9 items the satisfaction evaluation appeared highly about evaluation and training facility scandal interior environment. The gymnasium penetration possibly this rightly from the front gate, there is a [toy], the university headquarters, the auditorium and the student union, each facilities where the library is arranged according to availability accomplish a crowd in the center and department with the fact that is because being arrangement [toy] they judge. About the other side external space the satisfaction at the price which some exceeds a mean value the care without being become accomplished substitutionally about external space and appeared with the fact that is in order to be. - C university campus facilities Planning factor satisfaction of C university which is a campus where is located in the city center about composition of [kyo] childhood scraps in 9 items the satisfaction evaluation appeared highly about evaluation and training facility scandal interior environment. The gymnasium penetration possibly this rightly from the front gate, there is a [toy], the university headquarters, the auditorium and the student union, each facilities where the library is arranged according to availability accomplish a crowd in the center and department with the fact that is because being arrangement [toy] they judge. About the other side external space the satisfaction at the price which some exceeds a mean value the care without being become accomplished substitutionally about external space and appeared with the fact that is in order to be. - D university campus facilities Circumferential mouth present condition and the different university campuses and the different D university campuses 3 universities were formed in the flat, D universities were formed in the hilly ground. When trying to approach from like this point, about circumferential mouth guesses with the fact that the evaluation satisfaction will be high, about the interior environment of the training facility the satisfaction evaluation was high about satisfaction evaluation and step differential line training facility scandal composition, about campus total space the evaluation satisfaction compared in different items and was evaluated lowly. 2. Campus by element by importance and improvement necessity analysis - A university campus facilities If the university village which becomes characteristic in circumference, the circumferential greens (landscape architecture) the area, the important open space area, location and arrangement of the small-scale open space and back width (the pedestrian)/transit smoothness, integrated security of subject department facility, location of the laboratory, the lecture room and the laboratory army/arrangement, the interior athletic facility (the gymnasium) the areas of the area and the auditorium, locations of the dormitory/arrangements and whole support facilities about accessibility and each thread sound arresting and each disappointment air conditioning facility, arrangement composition and the life which the university campus are whole from facility environment and the support facility (the material) 19 items of the interior environmental etc. From while reaching satisfactorily, the urethra appeared highly. But applied Z-score, A1 (circumferential greens landscape architecture areas), a-6E (the university village which is formed in circumference), integrated security of G1 (subject department facilities), H4 (interior motion and location arrangement of the gymnasium) the middle urethra is high but the fire satisfaction appeared relatively lowly from 4 items. Namely, this is being satisfactory about these items and that will be able to except from the item where the improvement is necessary judges. - B university campus facilities The circumferential greens (landscape architecture) including the area and with the element which reaches the major impact from 22 evaluation items in satisfaction was adopted. B university campuses also to apply Z-score, as a result of the sample results to verify an improvement necessary degree and A1 (circumferential greens landscape architecture areas), A4 (circumferential facility shop and use convenient characteristic of bank etc.), A5 (attending school/if convenient characteristic of muscle), a-6E (the university village which is formed in circumference), location arrangement of H2 (libraries), location and arrangement of I2 (university headquarters), atmosphere and the image of M4 (university campuses) M5 (studying if from facility environment), M6 (lives from facility/environment) the improvement had to be necessary from 9 items of above,With appeared. If A1 (circumferential greens landscape architecture areas) in these items, location arrangement of H2 (libraries), M6 (lives from facility/environment) items the middle urethra shows the price which is simple the fire satisfaction remarkably in satisfaction evaluation, appeared highly and with the fact that the improvement is necessary with a precedence appeared. - C university campus facilities A4 (circumferential facility shop and use convenient characteristic of bank etc.) was adopted with the element which reaches the major impact on the outside from 23 evaluation items in satisfaction. Applied Z-score in this item and the sample result to verify an improvement necessary degree with the fact that on the evaluation outside the improvement is necessary from 11 items, about whole rest space appeared. C university campus the middle urethra and satisfaction remarkably about whole rest space, appears lowly, this improvement necessary degree is high means the thing very, namely compares with the fact that the improvement will do first of all thick judges in different items. - D university campus facilities Was adopted with the element which reaches the major impact on A1 (circumferential greens landscape architecture area) item outsides from 24 items in satisfaction. Applied Z-score in 24 items and with the fact that the improvement is necessary from sample resultant 11 items to verify an improvement necessary degree appeared. The campus of D universities the improvement necessary degree comes A4 (circumferential facility bank and convenient characteristic of shop), a-6E (university village which is formed in circumference), J3 (each disappointment air conditioning facility), item with the fact that the improvement is necessary with precedence appeared. About facility and environment of the university campus the improvement at the time of first of all about the item which will do to become at the time of judges with the fact that the improvement must come to precede. This synthesis tried, in 5 items of above M1, K4 and S5 with the item which reaches the major impact commonly in 4 university campus facility and environmental assessment in the item where the improvement is necessary A1, a-6E, appeared. When considering the point which is a campus where the campus type is different respectively about the item which is adopted in like this common item are to the campus plan and the improvement and very must be considered in the item which is important.

      • 효율적인 대학시설 유지관리방안

        김경현 전남대학교 2018 국내석사

        RANK : 248703

        현재 국내대학은 학령인구의 감소에 따라 입학정원 축소 및 대학 등록금 동결에 따른 재정수입의 감소로 지속적인 시설유지관리 예산의 절감이 요구되어지고 있다. 그러나 대학 교육의 변화, 전문화, 현대화, 대학 경쟁에 따른 투자, 정부정책에 따른 평가, 안전관리의 강화, 최저임금의 상승 등의 내외부적인 요인들로 인하여 대학시설 투자소요예산은 증가되고 있으며, 시설관리 업무의 다변화 및 법적 기준강화로 효율적인 시설관리 업무에 대한 부담이 발생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대학시설 유지관리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대학 시설물에 대한 현황파악과 사용자 및 관리자들의 의견수렴을 통한 대학시설의 필요 시설물에 대한 의견 차이를 최소화하여 적정한 시설관리가 이루어져 한다고 생각된다. 본 연구에서는 대학시설 유지관리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대학 교육시설 현황, 사용자들의 만족도 분석·정리 및 대학 시설관리자 설문을 통한 대학시설의 효율적인 유지관리와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 효율적인 대학시설 유지관리방안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별 시설관리 중장기계획의 수립은 32%, 일부수립 49%, 미수립 11%, 미응답 8%로 전반적인 중장기계획의 수립이 미흡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계획 수립시 반영사업은 유지관리 전반(31%), 안전점검 및 진단(19%), 정기검사(17%) 순이며, 이는 법적 유지관리 및 보수 계획을 위주의 대학시설 유지관리가 되고 있다고 판단된다. 둘째, 시설관리 중장기계획 수립 필요사업으로 예산계획(23%), 유지보수(14%)가 전체 비중의 64%를 차지하여, 중장기계획 수립시 시설관리예산과 유지보수 계획의 수립이 반드시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셋째, 대학시설 관리자 인원배치 불만족 사유로 인원부족(43%), 업무 과부하(13%)가 전체 60%로 인원부족에 따른 업무 과부하로 효율적인 시설유지관리가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으므로, 시설관리 업무를 위한 인원보충이 필요하다. 넷째, 대학시설 관리자 예산 불만족은 예산삭감으로 인한 예산부족(53%), 안전관리비용(11%), 현실성 결여(11%)가 전체 75%의 비율을 나타내고 있다. 이는 학생수의 감소, 등록금 동결, 최저임금 상승 등으로 인한 예산 확보의 어려움으로 인하여 시설관리 예산의 지속적인 감축 및 삭감이 이루어지고 있는 것으로 대학시설 관리를 위한 예산 확충 방안이 필요하다. 다섯째, 대학시설 관리자들의 시설관리 문제점은 관리인원 부족(44%), 예산부족(27%) 순이며, 개선 필요부분에 대한 의견은 인원충원(38%), 예산확충(24%), 전문성 강화(14%)로 나타나, 효율적인 대학시설 관리를 위해서는 적정 시설관리 인원배치, 예산확보, 겸직의 최소화 등의 대책이 필요하다. 여섯째, 건물의 노후화로 인한 교사시설 부족으로 2015년 기준 전체 대학 176개교 100㎡이상 건물 6,751동 대비 40년 이상 건물수는 474동으로 전체 건물의 7.0%에 해당하고 있으며, 40년 이상 건물의 수는 사용연수의 증대에 따라 지속적으로 증가되어지고 있다. 이러한 노후 건물의 증대로 인한 교사시설 부족을 대비하기 위해서는 지속적인 점검 및 장기수선계획을 통한 건물의 개보수, 대수선 및 구조보강을 통한 내구연한 증진 등의 대책이 필요하다. 일곱째, 대학 구성원의 개보수가 시급한 건물의 용도별로 1순위 강의동 (60.00%), 2순위 기숙사(38.16%), 3순위 대학본부 및 도서관(1.84%)으로 나타났으며, 기숙사의 경우 설문조사 건물수 대비 25%, 대학정원의 30%가 이용한다는 점을 감안할시 거주공간에 대한 소음절감, 편의시설 확충 등이 필요하다. 여덟째, 7개 항목의 34개 세부항목의 시설별 만족도 조사 결과는 30개 항목에서 3.0이상의 평균이상의 만족지수가 나타났으나, 강의실 소음 만족도 2.6, 기숙사 소음 2.5, 기숙사 규모 2.8, 기숙사 이용 편의성 2.9로 평균에 미치지 못하는 만족도 지수를 보이고 있다. 이러한 문제점의 해결을 위해 강의실 방음시설과 거주공간에 대한 소음 및 적정 편의시설 구축 등의 대책이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아홉째, 대학 구성원의 시설물 개선 요청부분은 식당, 휴게시설 및 편의시설의 확보가 41.36%이며, 시설관리자의 경우 화장실, 실험실습실, 강의실, 기숙사의 개선이 68%로 나타났다. 이러한 시설물 사용자와 시설관라자의 의견 차이를 인식하여 다양한 요구에 대한 분석과 검토를 통한 시설의 다양성, 편의성, 쾌적성, 안정성 및 교육 서비스의 질적인 향상을 확보하여 계획적이고 합리적인 시설투자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 대학체육시설의 운영방식과 이용자특성에 따른 서비스품질 만족 및 재구매의도

        이환 고려대학교 대학원 2008 국내박사

        RANK : 248703

        본 연구는 운영목적이 다른 대학체육시설을 대상으로 이용자의 특성과 선택중요도 및 서비스품질만족도 차이를 규명하고 서비스품질만족도가 재구매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규명하고자 했다. 또한 대학체육시설 이용자를 학생, 교직원, 지역주민으로 구분하여, 이용자 특성과 선택중요도 및 서비스품질만족도 차이가 있는지 규명하고, 서비스품질만족도가 재구매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해 조사하고 분석하여 대학체육시설에 이용에 관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 성공적인 경영 전략을 제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서울 소재 대학체육시설 중에서 총 3개의 대학체육시설을 선정하여 각 대학마다 350부씩 총 1050부를 배부하여, 불성실하거나 누락된 설문을 제거한 324부, 340부, 325부씩 수거하여 총 989부의 설문을 본 연구 수행을 위해 사용하였다. 대학체육시설 운영방식과 이용자특성에 따른 이용특성에 관한 차이를 규명하기위해 빈도분석 및 교차분석과 카이스퀘어 검증을 통해 검증 하였다. 또한 대학체육시설 운영방식과 이용자특성에 따른 선택중요도요인과 서비스품질만족도의 차이 검증은 일원배치분산분석(One-Way ANOVA)을 통해 검증 하였고, 사후 검증으로는 Duncan을 이용하였다. 운영방식과 이용자특성에 따른 서비스품질만족도가 재구매에 미치는 영향 관계 규명은 상관관계, 다중회귀분석(Regression analysis)을 통해 분석하였다. 이와 같은 분석을 통해 연구한 결과를 요약해 보면, 대학체육시설 운영방식에 따른 이용특성에서는 정보취득을 제외하고 이용기간, 이용목적, 고려요소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이용자특성에 따른 이용특성에서는 정보취득을 제외하고 이용기간, 이용목적, 고려요소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운영방식에 따른 대학체육시설 선택중요도에서는 상업형, 행사형, 수업형 모두 시설요인을 가장 높게 인식하였고, 지도자 및 프로그램, 시설, 운영체계의 모든 요인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이용자특성에 따른 대학체육시설 선택중요도에서는 학생, 교직원, 지역주민 모두 시설요인을 가장 높게 인식하였고, 시설요인을 제외하고 지도자 및 프로그램, 홍보, 운영체계요인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운영방식에 따른 서비스품질만족도가 재구매에 미치는 영향에서 상업형은 프로그램서비스요인이, 행사형은 시설서비스요인을, 수업형도 시설서비스요인이 재구매에 가장 큰 영향을 미쳤으며, 이용자특성에 따른 서비스품질만족도가 재구매에 미치는 영향에서 학생은 시설서비스요인을, 교직원도 시설서비스요인을, 지역주민은 프로그램서비스요인이 재구매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보다 효과적인 대학체육시설 활성화를 위해 체육시설 운영에 있어서 운영방식과 이용자특성 따라 선택중요도와 서비스품질만족도를 고려하고, 서비스품질만족도가 재구매에 미치는 영향 요인을 파악하여, 대학체육시설 이용자의 필요와 욕구를 충족시킬 수 있는 차별화된 운영 전략 수립에 최선의 노력을 해야 할 것이다.

      • 시설경영관리 효율성 향상을 위한 대학 시설관리 항목 분석에 관한 연구

        김민수 경희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8703

        University facilities require the provision and maintenance of a certain or more physical environment as a spatial background that significantly affects the quality of education for which the purpose of operation is to operate. In the case of university facilities, facility management measures that take into account these specialities are more necessary because they have different characteristics than general office facilities that provide functions for simple purposes and residential facilities that are primarily designed for residential life. Considering these characteristics and achieving the purpose of establishing a university, it is urgent to develop a facility management plan that reflects the needs of students who are the main users of a university facility, but in Korea, there is a lack of research that reflects the needs of users as well as independent measures for managing university facilities.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was to prepare efficient management measures to reflect the needs of college students, and to provide data that can be referenced in the preparation of future university facility management plans through methods such as priority analysis of university facility management items. The process of the study is as follows. In the first place, the spatial scope of research was limited to the basic education facilities that had the greatest impact on the quality of education, and 35 survey items, or survey tools, were developed to collect and integrate students' opinions through analysis of existing prior research and facility management manuals applicable to university facilities management. Afterwards, the importance and satisfaction level of the university facility management items were investigated to derive the results of prioritization and dimension reduction and causative relationship analysis that reflected the students' opinions. Further, the Act provided that these differences could be considered in the preparation of future plans for facility management by setting up eight university facility management objectives by analyzing prior research and assessment manuals related to assessment indicators related to university facilitie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items related to safety, crime prevention and security, and items related to hygiene and water supply showed high importance values, indicating that users had a high level of expectation in using university facilities. On the other hand, it was found that only items related to security and indoor environment maintenance showed high satisfaction and fell short of the required level and requirements of the university facility management items required by students. Second, the analysis of the results of the criticality responses related to the purpose of managing university facilities showed that two of the eight items showed high importance values and that students had high requirements related to cost reduction and utilization safety related to the operation of university facilities. Third, based on the results of the university facility management items, we found that the overall value of the IPA was higher than the satisfaction value, resulting in a lower level of satisfaction compared to the required level, that is, of the total 35 items, high input of human/physical resources to the level of importance, five items with excessive input of human/physical resources, and five items with low importance. Fourth, the exploratory factor analysis of 35 university facilities management items was grouped into total seven factors, and the improvement direction was presented by deriving items and objectives that affect the overall level of university facility management using those seven factors in conducting regression analysis for the purposes of overall university facility management in the future. Fifth, we looked at the difference in recognition of the importance of the purpose of the university facility management to students and facility managers, considering that the causes of the management of university facilities that are currently not being effective may have resulted from differences in perception between students and facility managers. As a result, overall, the importance of university facility managers was high in all areas, particularly for public-cost activities, with the largest differences in perception among students and managers in terms of costs. In the case of this study, it is meaningful that it provided basic data for the efficient execution of post-conservative university facility management without systematic planning, and further investigation of various stakeholders such as administration staff and professors will be conducted through complementary research to develop basic data on the universal application of university facility management methods. 대학시설은 대학의 운영 목적인 교육의 질에 중대한 영향을 미치는 공간적인 배경으로 일정 수준 이상의 물질적 환경의 제공과 유지보수관리가 요구된다. 대학시설의 경우 일반적으로 단순한 목적의 기능을 제공하는 일반 사무시설과 주거 생활을 주 목적으로 하는 주거용 시설과는 다른 특성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이러한 특수성을 고려한 시설경영관리 방안 마련이 더욱 필요하다. 이러한 특성을 고려하고 대학 설립 목적의 달성을 위해서는 대학 시설의 주이용자인 학생들의 요구를 반영한 시설관리 방안의 마련이 시급하지만 국내의 경우 대학 시설관리를 위한 독자적인 방안의 마련은 물론, 이용자들의 요구를 반영한 연구조차 미비한 상황이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생들의 요구를 반영하여 효율적인 대학 시설관리 방안을 마련하고자 함이었으며, 이에 따라 대학 시설관리 항목의 우선 순위 분석 등의 방법을 통해 향후 대학 시설관리 방안 마련 과정에서 참고할 수 있는 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연구의 진행과정은 다음과 같다. 우선적으로 연구의 공간적 범위를 교육의 질에 미치는 영향이 가장 큰 교육기본시설로 한정하였으며, 기존 선행 연구 및 대학 시설관리에 적용 가능한 시설관리 매뉴얼 등의 분석을 통해 이러한 공간적 범위에 현재 이루어지고 있는 대학 시설관리 항목의 수집 및 통합 작업을 거쳐 학생들의 의견을 수집할 수 있는 설문항목, 즉 조사도구 35개를 개발하였다. 이후 대학 시설관리 항목에 대한 중요도 및 만족도를 조사하여 학생들의 의견을 반영한 항목 간 우선순위 선정 및 차원축소, 인과관계 분석 등의 결과를 도출하였다. 추가적으로 대학시설 관련 평가지표 관련 선행연구 및 평가 매뉴얼 등을 분석하여 8개의 대학 시설관리 목적을 설정하여 학생들과 시설관리자 간의 인식차이를 살펴봄으로써 향후 시설관리 방안 마련 과정에서 이러한 차이를 고려할 수 있도록 하였다. 이에 따른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안전 관련 항목, 범죄 예방 및 보안 관련 항목, 위생 및 물 공급과 관련된 항목의 경우 높은 중요도 값을 보여 이용자들이 대학시설을 이용함에 있어 높은 수준의 기대 수준을 보유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반면, 만족도의 경우 보안 및 실내환경 유지보수관리와 관련된 항목들만이 높은 만족도를 보이며 학생들이 요구하는 대학 시설관리 항목의 요구 수준 및 요구 범위에 미치지 못함을 알 수 있었다. 둘째, 대학 시설관리 목적과 관련된 중요도 응답 결과를 분석한 결과, 총 8개의 항목 중 운영 비용 및 안전성관리 두개의 항목이 높은 중요도 값을 보이며 학생들이 대학 시설 운용과 관련하여 비용 절감 및 이용 안전과 관련된 요구 수준이 높게 나타남을 알 수 있었다. 셋째, 대학 시설관리 항목의 결과를 바탕으로 IPA를 진행한 결과 전반적으로 만족도 값에 비해 중요도 값이 높게 나타남으로써 모든 항목에서 요구 수준 대비 낮은 만족도를 보인다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총 35개의 항목 중 중요도 대비 높은 인적/물적 자원의 투입이 이루어지는, 즉 과다하게 자원이 투입되고 있는 5개 항목과 중요도 대비 낮은 인적/물적 자원의 투입이 이루어지는, 즉 지나치게 적은 자원이 투입되고 있는 5개 항목을 확인할 수 있었다. 넷째, 35개 대학 시설관리 항목에 대한 탐색적 요인분석을 실시함으로써, 총 7개의 요인으로 그룹화 할 수 있었고 향후 전반적인 대학 시설관리의 목적에 대한 회귀분석을 진행함에 있어 해당 7개 요인을 사용하여 대학 시설관리의 전반적인 수준에 영향을 미치는 항목 및 목적을 도출하여 개선방향을 제시하였다. 다섯쨰, 마지막으로 현재 효율적으로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는 대학 시설관리의 원인이 학생들과 시설 관리자들의 인식차이에서 비롯되었을 수 있다는 점에 착안하여 학생들과 시설관리자들에게 대학 시설관리 목적에 대한 중요도 평가를 동일하게 진행하여 인식차이를 살펴보았다. 이 결과, 전반적으로 모든 영역에서 대학 시설 관리자들의 중요도 값이 높게 나타났으며, 이 중에서도 특히 공공비용 관련활동의 경우 가장 큰 차이를 보이며 비용과 관련된 항목에서 학생들과 관리자들간의 인식차이가 가장 크게 나타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의 경우, 체계적인 계획 수립 없이 사후 보수식으로만 운영되고 있는 대학 시설관리를 효율적으로 수행하기 위한 기본 자료를 제공하였다는 점에서 의의를 가지며 향후 보완 연구를 통해 더 많은 공간적 배경과 행정 직원, 교수 등 다양한 이해관계자들에 대한 조사를 추가적으로 진행하여 보편적으로 적용 가능한 대학 시설관리 방안 마련의 기초 자료를 개발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 GIS를 利用한 大學施設物管理 시스템 開發 : 全南大學校 龍鳳캠퍼스를 事例로

        장문현 전남대학교 대학원 2001 국내석사

        RANK : 248703

        정보사회의 고도화에 따른 다양한 지식인프라 구축과 함께 사회적 기반시설의 확충으로 "어디에 무엇이 있는가?" 에 대한 관심이 증가되고 이에 따라 지형공간 데이터에 많은 가치를 부여하게 되었다. 대학 캠퍼스의 경우, 대규모의 공간구조와 인력, 유무형의 자산을 포함하고 있어 장기간 동안 제반 시설의 기능유지와 관리가 요구되고 있다. 더욱이, 행정 및 학사업무의 꾸준한 전산화에 비해 시설 및 내부공간에 대한 관리와 분석을 위한 시스템은 미비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논문의 목적은 대학공간에 대한 정확한 인지·인식, 그리고 한정된 교육공간의 효율적인 배정과 활용을 위한 합리적인 의사결정을 지원하는 도구로써의 대학시설물관리시스템을 구현하는데 있다. 연구의 공간적 범위는 전남대학교 캠퍼스 중 대학부속병원과 연계된 학동캠퍼스를 제외한 용봉캠퍼스로 제한하였다. 연구의 주요 내용은 시설물관리와 기존 시스템의 고찰, 시스템 구축을 위한 데이터베이스설계 및 시스템 개발, 사례지역에 대한 기능의 적용 및 분석 등을 포함해 크게 세 부분으로 나누어 구성하였다. 실제적인 적용을 위한 데이터의 구축에 있어서는 AutoCad R14, ESRI사의 ARC/INFO 7.1.2를 이용하여 기본도(Base Map) 생성 위 한 각 레이어의 위상을 형성시키고 수정 및 편집 등의 보완작업을 수행하였다. 그리고, 시스템 구현을 위해서는 ArcView 3.2와 매크로 언어인 Avenue를 이용하여 프로그래밍 하였으며, 사용자 인터페이스 설계는 ArcView의 확장 모듈인 Dialog Designer를 이용하였다. GIS를 이용하여 최종적으로 구현된 대학시설물관리시스템을 사례지역인 전남 대학교 용봉캠퍼스에 적용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 시설·공간의 정보화를 통하여 보다 능동적이고 과학적인 관리체계의 개발이 가능하였다. 둘째, 부서간 중복된 업무와 표준화되지 않은 도면작업 배제로 업무의 효율성 증진과 신속한 도면정보의 수정 및 출력이 가능하였다. 셋째, 관련 부서 실무자들의 다양하고 정확한 정보제공이 가능하여 합리적인 의사결정 지원과 정책에 대한 설득력 증대효과가 있다. 넷째, 대학 경영자의 정책에 대한 일관성이 확보되고, 체계적인 분석효과를 통해 비용절감과 교육환경개선에 기여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GIS를 이용한 공간·속성자료의 통합관리 기능과 통계 및 공간분석을 통해 시설의 현황을 정확히 파악하여, 미래예측에 필요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As a result of the advance of information society, building various information infrastructure and expansion of the social base facilities arouse interest in "Where, what is there?" So, geo-spatial data is getting valuable. In the case of university campus, because it contains large-scale space structure and tangible & intangible assets, it needs to be controled and maintained the function of all facilities for a long time. Moreover, as compared with the continuos computerization of administration and school affairs, the system for the internal space and facilities is not enough. Consequently, the purposes of this treatise are exact recognition about campus space and the realization of university facility management system which should be a means of resonable decision making for allocation and application of limited education space. Of Chonnam national university campus, the spatial range of this study is limited to Yong-bong campus except Hak-dong campus connected with the Chonnam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The main contents of this study are composed of three parts; facilities maintenance and consideration of existing system, system development and database design for system building, application to the function of study areas. When building data for the practical application, AutoCad R14 and ARC/INFO 7.1.2 made by ESRI were used. Using them, each layer topology for Base Map formation was made. Also, user interface design used Dialog Designer which is extension module of ArcView. Using GIS, university facility management system finally embodied is applied to an study area, Yong-bong campus in Chonnam national university. The Results of the implemented system are as following: First, it is possible to develope more active and scientific maintenance system through the information of facilities and space of university. Second, exclusion of duplicated work between divisions and a planning which does not follow standard make possible to get efficiency increase and Quick modification-print of map information. Third, because on-site workers of related divisions can offer various and accurate information, which make rational decision-making and an increased effect on persuasive power about policy. Fourth, the consistency of the university manager's policy is ensured. Also, it can attribute to cost savings and the improvement of education environment through systematic analysis effect. Finally, using GIS, united control function of geographic data and the exact grip on present situation of facilities through statistic and spatial analysis could provide necessary information for the future estimate.

      • 민자유치 공공교육시설 건설사업의 사용자 친화적 의사결정지원시스템개발에 관한 연구

        이창우 서울산업대학교 주택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8703

        최근 정부는 사업편익이 크고 시설의 조기확충이 시급하나 재정여건 상 투자가 더딘 사업순으로 2005년부터 2007년까지 3개년 동안 추진할 23.4조원의 BTL 사업을 확정하였다 (기획예산처 2005). 이 중 공공교육시설사업은 총 13.5조원으로 전체 BTL 사업의 58%를 점유하고 있다 (환경시설 5.6조, 24%; 군 주거시설, 7.7%; 문화복지시설 1.2조, 5.1%; 일반철도 1.2조, 5.1%). 정부는 이러한 시설에 대한 BTL 방식 민자유치를 일시적인 경기대책이 아닌 국민편익 증진을 위한 장기 프로젝트로 관리하되, BTL 방식의 특성 상 장기간에 걸쳐 발생하게 되는 국가재정부담을 경감시키기 위해 다 기능적 연관시설들을 동시에 입주시키는 복합시설로 민자시설을 개발하여 수익성을 증진시키고 적극적으로 BTO 방식 적용을 추진할 계획이다. 이에 따라 공공교육시설의 민자유치사업에도 학교부지 내에 주민복지 및 수익창출을 위한 체육관, 공연장, 주차장, 상업시설 등을 포함하는 복합화 단위사업 (Bundling) 개발이 필요하며 이 경우 해당 민자사업을 BTO 방식으로 추진할 수 있을 것인 지 또는 BTL 방식으로 추진해야 할 것인 지에 대한 판단을 위한 경제적 타당성 분석이 필수적이다. 본 연구에서는 공공교육시설 중 대학시설을 중심으로 (1) 민자유치 건설공사의 경제적 타당성분석을 위한 사용자 친화적 (User-Friendly) 의사결정지원시스템 (Decision Support System : DSS)을 개발하고 (2) 교육환경을 저해시키지 않는 범위 내에서 대학부지 내에 대학시설과 복합화하여 건설할 수 있는 시설을 조사하는데 있다. 본 연구의 내용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국내 대학교 시설에 대한 민자유치 관련 연구 및 사례분석을 통하여 대학구내에 복합화 시설로서 건축가능한 수익용 복합화 부대시설의 범위를 조사한다. (2) 교수 및 대학교육시설관리자, 재정담당자를 대상으로 캠퍼스 내에 수익용 복합화 부대시설을 건축하였을 경우 예상되는 교육환경에의 부정적 영향 및 방지방안을 조사한다. (3) 조달청과 국립대학교를 대상으로 경제적 타당성분석에 필요한 여러 대학시설 별 - 교사기본시설, 지원시설, 부속시설 등 - 총사업비(설계비, 건설비, 유지관리비, 운영비 등)를 조사한다. (4) 위에서 조사된 사업비, 수익추정, 할인율 등의 확률분포값을 리스크분석 Tool을 사용하여 경제적 타당성 분석모형을 개발하고 개발된 분석모형에 Visual Basic S/W 또는 상업용 Application S/W를 접목하여 사용자 친화적인 의사결정지원시스템을 개발하고 검증한다. 본 연구결과는 향후 교육시설 민자유치 관련 연구의 방향을 제시 할 수 있다. 본 연구를 수행하는 과정에서 조사하게 된 여러 대학시설 별, 공사종류별 (건축, 토목, 전기, 설비, 통신, 소방 등) 전국적 공사비 동향 분석은 건설공사비 100억 내외의 공사에 참여하는 중소규모 건설업체, 전기공사업체, 통신공사업체, 소방공사업체 등의 실적공사비 자료와 각 업종별 낙찰성향분석 자료를 제공하게 될 것이다. The government's recently finalized BTL that'll spend the total of 23.4 trillion between 2005 and 2007 for the projects which are profitable and require business expansion in the order of their investment needs ( The ministry of planning and budget 2005). The public education will be funded \13.5 trillion which is 58% of the total BTL fund ( \5.6 trillion, 24% for the environment facilities; 7.7% for soldier's residential facilities; \1.2 trillion, 5.1% for cultural facilities, \1.2 trillion, 5.1% for railways). The government will consider the BTL private captial long term project for people's benefits not temporary stimulative measures and develop some commercial complex which will accomodate many related businesses to make up for government's financial difficulties and plans to adopt BTO aggressively. So the private capital for public education need to be "Bundling" which means multi business unit such as having gymnasium, concert hall, parking lot and other commercial facilites in schools for resident's benefits and to make profits out of them. In this case, a feasibility study needs to be conducted to adopt BTO or BTL. This study, especially for the educational facilities of public universities, is (1)to develop user-friendly Decision Support System(DSS) for the feasibility study of constructions by private capital and (2) review for some proper businesses which can go with other college facilities on campus as long as they are not bad for the education environmen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