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용극 공연에서의 연출가 역할 연구 : 정동극장 무용극 <궁 : 장녹수전> 공연 분석을 중심으로

        김현지 중앙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8703

        Recently, the field of performing arts that provides various visual treats and interest to the audience by converging genres as drama, dance, music, and art is increasing. Specially, a wide range of attempts are being made by combining rapidly advancing scientific technology, computer, and visual media with performing arts. As a result, demand for versatile directors with a wide range of knowledge is gradually increasing in various fields as performing arts and visual media. Encouraging fusion between various genres in dance performance is considered necessary as well to adapt to new changes and to provide variation in performance to the audience. If great improvements and achievements and changes being made in the field of dance performance are well integrated, it will be sufficient to develop various genres in the dance field and for audience to become interested. Evaluation of dance performance cannot be the same for all the audience. What people feel through a performance is different as the emotions people feel cannot be exactly the same. Therefore, it will be possible to garner more audiences into dance theaters and can develop a wide range of audiences when various genres of dance performance that can fulfill various artistic value and needs of the audience. This study considered the conversion of various genres as a role of directors in dance performance and analyzed through precedent studies and case studies. The researcher investigated the importance and role of directors in dance performance created through collaboration of director and choreographer by considering the necessity of directors in dance theater and through the analysis of a genre of dance, <The Palace : Jangnoksoo-jeon>.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what of role directors play in dance theater performances. The researcher investigated the role of directors in dance theater performance by analyzing <The Palace : Jangnoksoo-jeon> among Korean dance dramas, and conducted an interview with an actual director. It was identified that directors and choreographers in a dance drama understood about the area of each other, and showed a significant synergy effect when they cooperated with each other. To sum up, the role of directors in dance drama performance is to maintain the ‘course of the plot’ to not separate the time of dancing and the flow of the story. Then, images should be organized well for choreography created by a choreographer to be demonstrated clearly on the stage. Lastly, directors need to create performance works to interact and communicate with the audience. Directors need to participate as if they are watching the performance through the eyes of the audience and constantly modify even after the performance is completed. As a result, considering the dance theater that the researcher has analyzed, there were independent directors and was able to verify the effect and value. It is unknown if there can be positive effects in every dance performance as in <The Palace : Jangnoksoo-jeon> analyzed in this study, but it is considered that there can be sufficient effect in dance performance other than dance drama if directors and choreographers recognize the fields of each other and cooperate and collaborate actively with each other. However, what is lacking in this study is the analysis on collaborative performance in dance theater performance by director and choreographer because this study investigated the roles of a director through one performance, Therefore, it is considered necessary to analyze collaboration cases of director and choreographer in other dance performances beyond the dance theater. 최근에는 연극, 무용, 음악, 미술 등의 장르들이 서로 융합하여 관객들에게 다양한 볼거리와 흥미를 제공하는 공연예술 분야가 늘어나고 있다. 특히 빠르게 발전하는 현대의 과학 기술이나, 컴퓨터, 영상매체 등이 공연예술과 결합하면서 폭 넓은 시도들이 이루어지고 있다. 이런 변화에 기인하여 공연예술, 영상매체 등 다양한 분야에서 폭넓은 지식을 가진 다재다능한 연출가에 대한 수요는 점차 높아지고 있다. 무용 공연에서도 역시 새로운 변화에 적응하고 관객들에게 공연의 다양성을 제공하기 위해서 다양한 장르간의 융합을 장려할 필요가 있다. 무용 공연 분야의 훌륭한 발전과 지금까지 쌓아온 업적에 현재 일어나고 있는 변화가 잘 융합된다면, 무용 분야에도 더욱 다양한 장르를 개발할 수 있을 것이며, 대중들이 관심을 갖기에 충분할 것이라고 판단된다. 무용 공연에 대한 평가는 관객들 모두가 통일 될 수 없다. 사람들마다 느끼는 감정이 완전히 동일 할 수 없듯이, 공연을 통해서 느끼는 감정들도 전부 다르게 나타나기 마련이다. 따라서 관객들의 다양한 예술성과 니즈를 충족시켜 줄 수 있는 다양한 장르의 무용 공연이 만들어질 수 있다면, 보다 많은 관객들을 무용 공연장으로 불러들일 수 있을 것이며, 또한 폭넓은 관객층을 개발 할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다양한 장르 융합의 하나의 방법으로 무용 공연에서의 연출가의 역할이 될 수 있다고 생각하여, 이를 선행 연구 및 사례 연구를 통해 분석하였다. 연구자는 현재 무용극에서 연출가의 필요성을 인식하고 무용의 한 장르인 한국무용극 정동극장 <궁 : 장녹수전>의 분석을 통해, 연출가와 안무가가 협동하여 만든 무용 공연에서 연출가의 중요성 및 역할에 대해 연구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는 연출가가 무용극 공연에서 구체적으로 어떤 역할을 하고 있는지에 대해 분석을 하는 것에 목적이 있다. 연구자는 국내 한국무용극 중 <궁 : 장녹수전>의 공연 분석을 통하여 무용극 공연에서의 연출가의 역할을 연구하였고, 실제 연출가와 인터뷰를 진행하였다. 이를 통해 무용극에서 연출가와 안무가가 서로의 분야에 대해 잘 이해하고, 협업 할 때 큰 시너지 효과가 발휘되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문에서 제시한 무용극 공연에서 연출가의 역할을 정리해보면 첫 번째로 춤을 추는 시간과 줄거리의 전개시간이 따로 분리되지 않도록 ‘극의 흐름’을 전체적으로 잘 유지하는 것이다. 다음으로는 안무가가 만들어낸 안무가 무대에서 잘 드러날 수 있도록 이미지를 잘 만들어야 한다. 마지막으로 연출가는 관객들과 소통할 수 있는 작품을 만들어야 한다. 공연이 완성된 후에도 관객의 눈으로 공연을 관람하듯이 참여하고, 끊임없이 수정해 나갈 수 있어야 한다. 연구 결과, 본 연구자가 사례 분석한 무용극에 한정하여 볼 때 독립적인 연출가가 존재하였고 이를 통한 가치와 효과에 대해 충분히 확인 할 수 있었다. 모든 무용 공연에서 본 연구에서 분석한 <궁 : 장녹수전>과 같이 긍정적인 효과를 불어올 수 있을지는 알 수 없지만, 연출가와 안무가가 서로의 분야에 대해 인정하고 적극적으로 협업하고 협동하는 작업이 이루어진다면 무용극 이외의 무용 공연에서도 충분한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고 생각한다. 하지만 본 연구의 한계점으로 하나의 공연을 통해 연출가의 역할 연구가 이루어졌기 때문에 다른 연출가와 안무가가 협업한 무용극 공연에서의 협업 성과에 대한 분석이 부족하다. 따라서 더 많은 사례에 대한 분석, 그리고 무용극을 넘어 다른 무용 공연에서의 연출가와 안무가의 협업 사례를 분석할 필요가 있다고 생각한다.

      • 한국 전통연희 요소를 활용한 셰익스피어 극의 공연 사례 연구 : 극단 해보마의 <두드려라, 맥베스> 공연분석을 중심으로

        이기복 극동대학교 일반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8687

        국문 초록 한국 전통연희 요소를 활용한 셰익스피어 극의 공연 사례 연구 –극단 해보마의 <두드려라, 맥베스> 공연분석을 중심으로 이 기 복 극동대학교 일반대학원 공연영상학과 연기전공 본 논문은 연구자가 활동하고 있는 극단 해보마의 작품인 <두드려라, 맥베스>의 분석을 통한 셰익스피어 극의 전통연희 활용과 공연방식 연 구이며, 한국 전통을 통해 우리극 또는 한국적 공연을 찾기 위한 작업이 라고 볼 수 있다. 위 작품은 2012년 초연으로부터 현재까지 지속해서 공 연되고 있는 셰익스피어 극으로서 한국 전통연희를 적극적으로 활용하여 한국적 공연으로의 발전을 이룩하였다. 하지만 긴 기간 동안 한 작품을 공연하며 시대와 관객의 코드가 변화함에 따라 매 순간 충돌을 겪었으 며, 작품의 훼손 그리고 해체와 파기 등의 과정을 겪으며 위에서 제시한 문제점들의 중심에 들어가게 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두드려라, 맥베 스>는 2019년에도 관객과 만나고 있으며 지속해서 재구성 작업을 진행 중이다. 본 논문에서는 <두드려라, 맥베스>의 공연분석과 변천 과정을 살펴보 며 셰익스피어 극의 작품 수용과 해체, 변형의 과정과 그것의 세부적인 방안으로 한국 전통연희를 어떻게 투입하였는지 살펴보았다. <두드려라, 맥베스>는 원작 <맥베스>의 중심 주제를 ‘욕망’으로 설정하여 그것을 다양한 한국 전통연희로 표현하여 한국철학과 정서를 투입한 퍼포먼스 극으로 구축했으며, 타악을 중심 주제와 연계하여 극의 중심 연행으로 활용했다. 원작 플롯을 완전히 해체하여 새로운 스타일로 탈구축한 이 극은 기존의 셰익스피어 극의 관습적 무대와는 다른 무대를 창출했으며, 원전을 동양화했다는 의미를 가진다. <두드려라, 맥베스>에서 활용된 한 국 전통연희, 노래와 춤은 정확하게 한국 전통의 특정 기술이거나 한국 적인 고유의 정서를 대표한다고 할 수는 없다. 하지만 한국 전통연희를 활용하여 표현한 장면 분석을 통해 첫 번째로 원작의 의미에 충실했다는 점을 알 수 있으며, 두 번째로 한국의 전통과 동시대성을 나름의 시각으 로 변용한 독자적인 결과물이라는 것이다. 극단 해보마의 작업은 결과적 으로 한국의 전통에 의존하고자 하지 않았으며, 동양적인 사유 안에서 연극을 이해하고, 한국의 대표 연출가들이 끊임없이 시도해 왔던, 서구 실험연극의 연극성을 찾고자 하는 흐름을 같이 했다고 할 수 있다. 전통은 연극을 포함한 다양한 문화계에서도 빠질 수 없는 중요한 논제 이다. 2012년부터 시작된 <두드려라, 맥베스> 공연이 현재까지 지속하여 올 수 있었던 실현 과정에서 전통의 재창조와 인식은 매 순간 변화하는 시대와 관객과의 교류를 통해 필수적이었다. 전통은 살아있는 생명체이 며, 끊임없이 변화하는 성격을 지녔다. <두드려라, 맥베스>를 분석하는 과정은 위와 같은 전통의 속성을 중심으로 이루어질 것이며, 그것은 단 순한 공연분석과 소개를 넘어 한국 전통과 한국적 공연에 대한 지향점에 대해서 의의를 가질 수 있다.

      • 고전문학텍스트의 공연예술로의 창작방법 연구 : - 몸의 원초성에 기반한《노틀담 드 파리: 광인들의 축제》공연을 중심으로 -

        송갑석 상명대학교 일반대학원 2019 국내박사

        RANK : 248671

        This study is about the principle and application of performance creation method of 《Notre Dame de Paris: Festival of Mad People》 which actively utilizes the features of the post-drama theatre while creating performing arts in classical literary texts of Victor Hugo's 『Notre Dame de Pari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troduce 'co-creation methodology' to theatre and university field, to recover the 'soma' through energy dynamics of 'originality', and to help creative creativity. In the previous research, the theoretical background was constructed through various literature studies on the concepts of 'post -drama theatre', 'soma', 'originality', and 'co-creation' which are the theoretical backgrounds of this study. The study methodology focuses on the concept and process of Practice based Research (PBR) and research methodology. In addition to this methodology, the methodology of PBR and the performance analysis methodology of world-renowned theatre scholar Pavis, Patrice were further studied to further objectively complement the research methodology with a third-party perspective. Based on this, I analyzed the whole process of the creation and proceeded the research. In the text, the components of the performance are ① The Text ② The Actor ③ Space, Time, Action ④ Voice, Music, Rhythm ⑤ Other Material Elements of Performance: Media, Objects, Costumes, Makeup, Lighting ⑥ The Audience. This course deals with the study of six components and the principles, processes, application of elemental creative methodology.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it is necessary to apply the method of co-creation and proceed with process-oriented method of performance rather than the result, while setting the position of the performer equal to the position of the director in the whole process of the performance. Second, the scene consists of the actor 's soma, gradually, to maximize the soma's original energy, the unnecessary movements should be summarized and focused on the "originality" of the soma. Third, the music should make the movement and ensemble of the actors wake up the rhythm of the soma and implement the movement of the soma in a visual and auditory sense. Fourth, the combination of objet and media should express the primal energy of the actor's soma and the atmosphere of the scene dreamily rather than concretely. In the 21st century theatre, the creative process is perceived as more important than the performance itself. In this study, the researcher who is the director directs the creative process and analyzes and studies the principle and application of the creative method. This study aims to overcome limitations of aesthetic research by a third party critic. Furthermore, I hope that this research will help the creator to be a practical help for the creative activities through critical reflection on his/her creation process. Key Words: co-creation, soma, post-drama theatre, originality, Practice based Research, performance analysis method, creative method, Notre Dame de Paris, the text, the actor, chronotop 본 연구는 빅토르 위고의《노트르담 드 파리》의 고전문학텍스트를 공연예술로 창작하면서 포스트드라마 연극의 특징들을 적극적으로 활용한 《노틀담 드 파리: 광인들의 축제》의 공연 창작방법론의 원리와 과정 및 활용에 관한 연구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공동창작방법론’을 연극현장과 대학현장에 소개하고, ‘원초성’의 에너지역학을 통해 ‘몸’의 회복을 도모하며, 창작자들의 창작활동에 도움이 되고자 하는 것이다. 선행연구로 먼저 ‘포스트드라마 연극’, ‘몸’, ‘원초성’, ‘공동창작’에 관한 다양한 문헌 연구를 고찰하였으며, 이를 통해 이론적 배경을 구축하였다. 연구방법론으로는 실기기반연구(Practice based Research, 이하 PBR)의 개념과 방법론을 중점적으로 고찰하였다. 또한 실기기반연구(PBR)의 방법론과 함께 세계적인 연극학자 파트리스 파비스의 공연분석방법론도 함께 고찰함으로써 연구방법론을 제 3자적 관점인 비평의 시선으로 좀 더 객관적으로 보완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창작의 전(全) 과정과 공연을 분석하고, 연구를 진행하였다. 본문에서는 공연 창작의 구성요소를 ① 텍스트 ② 연기자 ③ 공간, 시간, 행동 ④ 소리, 음악, 리듬 ⑤ 공연의 다른 물질적 요소들인 미디어, 오브제, 의상, 분장, 조명 ⑥ 관객 등 6가지로 나눈 후, 6가지 구성요소의 개념과 함께 요소별 창작방법론의 원리, 과정, 활용에 대해 논한다. 본 연구의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 번째, 창작의 전(全) 과정에서 연기자의 지위를 연출가의 지위와 대등한 위치로 놓으면서 공동창작의 방법론을 적용하고, 결과보다는 과정 중심의 수행적 글쓰기의 방법으로 진행하여야 한다. 두 번째, 연기자의 몸을 중심으로 장면을 구성하며, 점차 몸의 원초적 에너지를 극대화하기 위해 불필요한 움직임을 정리하고 몸의 ‘원초성’에 집중해야 한다. 세 번째, 음악은 연기자들의 움직임과 앙상블을 이루면서 몸의 리듬감을 깨우고, 몸의 움직임을 시·청각적으로 구현해야 한다. 네 번째, 오브제와 미디어의 결합은 연기자의 몸의 원초적 에너지와 장면의 분위기와 조화를 이루며 구체적이기 보다는 몽환적으로 표현하여야 한다. 21세기 연극은 창작과정이 공연 자체보다 더 중요하게 인식되기도 하는데, 본 연구는 연출가인 연구자가 창작과정을 직접 진행하면서 창작방법의 원리와 과정을 분석하고 연구하여 비평가에 의한 공연 결과물 중심의 미학적 연구의 한계를 극복하고자 한다. 나아가 창작자가 자신의 창작과정에 대한 비판적 성찰을 통해, 창작활동에 실제적인 도움이 되길 바란다. 주요어: 공동창작, 몸, 포스트드라마 연극, 원초성, 실기기반연구, 공연분석방법, 창작방법, 노트르담 드 파리, 텍스트, 연기자, 크로노토프

      • 주요 공연장 재무분석을 통한 재무적 발전방향 연구

        민병철 서울시립대학교 경영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32319

        Performance theaters, which are comprehensive facilities for culture and arts in Korea, have constantly been established and developed on the basis of the government's policy on the promotion of regional cultures, since the establishment of Seoul Art Center and Sejong Center for the Performing Arts. As of the end of 2009, the number of performing facilities (e.g., art center, cultural foundation, center for the performing arts, etc.), which have been operated and supported by central and local governments, amounted to 322, continuing to be on the rise. In particular, the Korean society, which is faced with $20,000 national income and weekly 5-day work system, has seen its economic structure changing rapidly from a labor centric structure to a leisure centric one. And, satisfying cultural needs of local residents has become a greatly important responsibility of local governments. To meet the needs, each local governments has supported its regional performance theaters as a center of cultural space in various ways. The expansion of a cultural space caused by the construction of performance theaters has ended up the widening of cultural industry and the extension of added value across the overall economy. In other words, it has led to the positive cycle like the increase of a economic and cultural ripple effect, bringing out positive effects. But, if taxpayers' money continues to be channeled to maintain the cultural space, the public can take more burden on taxes, and local governments can be faced with financial problems. Accordingly, the main performance theaters of each region should not only serve as a central venue for local cultures in satisfying local residents' cultural needs, but also pursue financial independence to avoid a financially vicious circle in which more taxes are imposed on local residents due to the worsening finances of local governments. Therefore, this thesis was intended to analyze the finances of representative performance theaters founded by local governments and thus propose the financial development direction. In this study, this researcher tried to perform comprehensive financial analysis by analyzing main performance theaters in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ways. The results of the financial analysis can be summed up as follows. First, the financial independence of the theaters was seriously low. The truth behind the external magnificence of the theaters was the enormous financial support of local governments. The financial independence of each theater only reached 20%-50%. And, regarding their financial structure, as the amount of deficits occurred in the theaters, local governments supported them in the form of a contribution. In the case that main performance theaters' finances are analyzed, the analysis should be performed on the basis of the concept of financial independence before the analysis on their financial statements. Secondly, regarding individual financial ratios, such as liquidity ratio and stability ratio which respectively represent financial liquidity and stability, the theaters showed better ratios than industrial average ratios. But, each theater had never any comparable financial analysis data. For financial analysis, comparative analysis based on criteria is of significance. The business performance analysis data released by the BOK's Economics Statistics System cover all industries so that their scope is too wide. For the reason, there were some things that individual theaters had difficulties in handing And, there was lack of data necessary for organizations operating public performance theaters to perform financial analysis. In this aspect, the financial ratios drawn from the individual financial analysis on main performance theaters are comparable in conducting the financial analysis on other theaters. Therefore, it is fair to say that the financial ratios proposed in this study are comparable in performing future studies and an analysis on the current data. Moreover, through this study, this researcher tried to awaken the importance of the balanced financial analysis both from the view of financial ratios and from the non-financial view by carrying out the financial analysis on main performance theaters. The results of individual finance analysis, comprehensive financial analysis and qualitative analysis, performed in this study, indicated that the increase in financial dependence through the improvement of earnings and the efficient financial management were of importance in improving the sound management of the theaters. 우리나라의 복합문화예술기관이라 할 수 있는 공연장은 예술의전당과 세종문화회관 이래 정부의 지역문화 활성화 정책을 근거로 하여 꾸준히 설립되었고 발전하여 왔다. 2009년 말을 기준으로 정부 및 지방자치단체가 직․간접적으로 운영 및 지원하는 공연시설(아트센터, 문화재단, 문예회관 등)은 총 322개소이며 그 숫자는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특히 국민소득 2만달러와 주 5일 근무제 시대에 접어 든 우리 사회는 경제구조가 노동중심에서 여가 중심으로 급속하게 변화하고 있으며, 지역주민들의 문화적 욕구를 충족시켜 주는 것은 지방자치단체의 막중한 책임이 되었다. 이와 같은 문화적 욕구를 충족시켜 주기 위하여 각 지방자치단체는 지역별 공연장을 문화공간의 중심으로 여러 가지 지원을 하고 있다. 이와 같이 공연장의 건립으로 인한 문화공간의 확대는 궁극적으로 문화산업의 확장과 경제 전반에 걸친 부가가치의 확대로, 경제적․문화적 파급효과가 확장되는 선순환 구조를 이루며 긍정적인 효과를 가져 오고 있다. 하지만 반대로 문화공간 유지를 위해 국민들의 세금이 계속적으로 투입된다면 국민의 조세부담 증가와 지방자치단체의 재정악화를 야기 시킬 수 있다. 따라서 지역을 대표하고 있는 주요 공연장들은 지역문화의 중심지이며 지역 주민들의 문화적 욕구를 충족시켜 주는 역할 뿐만 아니라, 지역주민의 세금부담으로 이어져 지방자치단체의 재정이 악화되는 악순환에서 벗어나 재무적인 자립도의 측면에서도 성장을 준비할 시기가 되었다. 따라서 본 논문은 지방자치단체가 설립한 대표적인 공연장의 재무분석을 통해 재무적인 발전방향을 제시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주요 공연장의 양적분석과 질적분석을 통한 종합적인 재무분석을 연구하고자 하였다. 재무분석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공연장 재정자립도 심각하게 낮다. 겉으로 보이는 공연장의 화려함 이면에는 지방자치단체의 엄청난 재정지원이 있었다. 각 공연장의 재정자립도는 20%~50% 수준이며, 공연장에서 발생하는 결손금액을 지방자치단체가 출연금의 형태로 지원하는 재무구조를 가지고 있다. 주요 공연장의 재무분석을 할 경우에는 재무제표 분석에 앞서 반드시 재정자립도라는 개념을 가지고 분석에 임해야 한다. 둘째, 재무유동성과 안정성을 나타내는 안정성 비율, 유동비율 등의 개별적 재무비율은 산업평균과 비교해서는 우수한 것으로 나타난다. 그렇지만 현재까지 각각의 공연장들은 비교가능성이 있는 재무분석 자료가 전무하였다. 재무분석을 위해서는 기준을 잡고 비교하는 것이 중요하다. 한국은행의 경제통계시스템 기업경영분석 자료는 모든 산업을 다루다 보니 너무 광범위하여 개별 공연장들이 다루기 어려운 부분이 있다. 공공 공연장을 운영하는 기관들이 재무분석을 실시할 때 기준이 되는 자료가 부족하였다. 주요 공연장의 개별적 재무분석을 통한 연구된 재무비율들은 타공연장의 재무분석을 하는데 있어 비교가능성을 갖는다. 그렇기 때문에 본 연구를 통해 제시된 재무비율들은 향후 연구 및 현행 자료 분석을 위한 비교가능성을 제시하였다고 할 수 있다. 또한 주요 공연장의 재무분석을 통해 재무비율의 관점과 비재무적 관점의 균형잡힌 재무분석에 대한 중요성을 환기시키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 실시한 개별적 재무분석, 종합적 재무분석, 질적 분석을 통하여 건전한 공연장의 경영개선을 위해서는 자체수입 증대를 통한 재정자립도의 증가와 효율적인 재무관리의 중요성을 알 수 있었다.

      • 거래비용을 적용한 공연예술수요 결정요인 연구

        이창진 성균관대학교 일반대학원 2013 국내박사

        RANK : 232319

        공연예술은 경제학의 관점으로 볼 때 일반적인 재화와 다른 특성을 지니고 있다. 특히 수요의 관점에서 보면 가격 이외의 여러 요인들, 즉 소득, 직업, 성별, 연령, 그리고 문화자본으로 분류할 수 있는 교육, 경험 등이 공연예술의 수요를 파악하는데 관련이 있다고 보는 것이다. 어떤 공연예술에 대한 취향을 가지고 즐기기 위해서 문화자본이라 부를 수 있는 축적된 지식, 경험 등이 필요한데,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관계를 연구 모형으로 구성하여 거래비용 관점에서 분석하였다. 구체적으로는 선택된 공연의 장르, 가격, 정보 노출 정도 등의 정보가 수요에 어떠한 영향을 주었는가를 분석하여 거래비용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실제 공연장 자료를 바탕으로 연구 모형을 분산분석, 회귀분석, 그리고 선형혼합효과모형을 이용해 실증 분석한 결과, 거래비용 특성에 따라 수요가 달라짐을 알 수 있었다. 특히 공연의 특성을 나타내는 장르나 공연의 난이도, 접근성이 중요한 요인으로 나타났고, 외적인 요소로 인해 타 공연에 비해 관객 수가 많은 공연에 대한 분석을 통해 현재 클래식 공연 관객의 성격을 엿볼 수 있었다. 대중적인 인지도 또한 클래식 공연 수요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였다. 이러한 효과는 장르에 따라, 해외 연주자의 공연인지 여부에 따라 다르게 나타났는데, 이는 해외 연주자가 더 나은 연주를 보여줄 것이라는 일반적인 인식이 그대로 투영되어 나타난 것으로 보인다. 그리고 정보에 많이 노출되는 연주자의 공연 관람이 거래비용이 낮은 것으로 해석할 수 있었다. 일반적으로 가격과 수요의 관계는 반비례 관계로 알려져 있으나 분석 결과 이 둘의 관계는 정비례 관계로 나타났다. 이는 집합적인 수요에 대한 분석보다는 소비자의 선택에 대한 미시적 관점에서 해석할 수 있는데, 이 결과로 가격이 상품의 질을 평가하는 정보로 사용된 것으로 해석할 수 있으며, 관객이 공연관람을 통해 얻을 수 있는 기대효용에 가격이 영향을 미치는 것을 의미한다. 달리 말하면, 비싼 가격의 공연은 좋은 공연이라는 인식을 그대로 보여준다고 할 수 있다. 이는 정보가 비대칭적인 상태에서 일어날 수 있는데, 자신의 선호나 재화에 대한 효용을 알 수 있는 경우에는 같은 재화라면 가격과 수요는 반비례 관계를 가질 것이다. 이러한 분석들을 바탕으로 대부분의 클래식 공연장의 관객이 공연에 대한 이해가 부족하거나 정보가 부족한 관객일 가능성이 높다고 추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분석결과를 통해 관객은 거래비용을 낮출 수 있는 공연을 선택하는 경향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분석 결과가 순수한 공연 관람 이외의 사회적 맥락의 소비라는 이론을 뒷받침할 수 있는 가능성을 보여주었다. 따라서 클래식 공연의 관객을 늘리기 위해서는 관객의 거래비용을 낮출 수 있는 방안, 즉 교육을 통해 취향을 형성시키고 충분한 정보가 소비자에게 전달될 수 있는 체계가 필요함을 시사한다. 본 연구가 기존 연구와 다른 점은 거래비용 개념을 사용하여 개별 공연들 사이의 선택의 문제에 초점을 맞추었다는 점, 그리고 소비자가 어떤 공연을 선택하였는가에 초점을 맞추었다는 것이다. Performing arts have different characteristics from normal goods in terms of economics. Factors other than price need to be considered to understand the demand for performing arts. Audience surveys as well as econometric demand studies confirmed that socio-economic factors such as age, income, employment, and education are major determinants of performing arts demand. This study focused on the attributes of concert rather than consumer characteristics to find out the concerts selected by audiences in terms of transaction cost. Genre, price, internet search trend, and purpose of performance as well as price are tested as determinants of demand by using data set for a major concert hall in Seoul. Opera gala concerts regarded as popular genre in pubic attracted largest audience and each genre had different impact on demand. Characteristics of concerts such as special events also have strong effects on demand of concert. For example, concerts for housewives and young people attracted, on average, about 30% more of total seats of concert hall than other concerts. Internet search trends of the performer are used as proxy of popularity and information exposure, which is positively correlated with demand but its elasticity of demand is smaller than price elasticity. This result supports hypothesis that larger audience would attend concerts which require lower information search cost. It is interesting result that price has positive effect on demand, which means that concert with higher price attracts more audience whereas normal goods have negative slope in demand curve. This result can be explained by hypothesis that consumers use the price as the expected quality of good. If audience knows and can understand a concert well, he/she will expect utility of enjoying the concert indifferent to price. This infers that audience analyzed in this study may not have enough taste or understanding on the concert. These analyses provide some clues to understand audience for classical music in Seoul and some evidences in favor of the hypothesis that audience selects concerts with lower transaction cost and this actually happens in the social context.

      • 이머시브 공연의 사례분석과 근거이론을 통한 성공요인 분석 : <우견평요>와 <우견둔황>을 중심으로

        마종철 상명대학교 일반대학원 2022 국내박사

        RANK : 232319

        관광공연과 이머시브(Immersive) 연극의 결합 모델은 오늘날 공연의 발전을 이루고 있는 주요 형태이다. 이제는 단순히 연기자들의 공연을 관객이 관람하는 관람 방식으로는 미래의 상품의 개성화와 관객들의 보다 심층화된 체험에 대한 욕구를 만족시키기가 쉽지않다. 반면, 이머시브 연극은 관객들을 몰입시키는 것이 가능하여 관객 개개인의 개성적인 관람욕구를 어느 정도 충족시켜줄 수 있고, 이에 따라 잊을 수 없는 독특한 경험을 선사할 수 있다. 이러한 관객의 능동적인 참여와 체험은 문화관광 상품의 핵심적인 요소인 체험추구를 가능하게 해준다. 2013년 <우견평요, 又見平遙>공연을 시작으로 이머시브 공연이 중국의 다양한 관광명소에 빠르게 확산되며 소비자들의 체험 욕구를 충족시켰을 뿐만 아니라, 지역 경제의 발전과 산업구조의 조정에도 좋은 촉진작용을 하여 현재는 문화관광산업의 주요 발전경로가 되었다. 중국내외의 이머시브 공연에 대한 이론연구는 주로 전형적인 사례연구와 상품소개 수준에 집중되어 있어 체계적이고 심도 있는 연구가 부족하다. 연구의 부족은 첫째, 이머시브 공연의 개념, 특징 및 형성조건에 대한 정확한 정의가 없어 이머시브 공연에 대한 심층적인 연구를 더욱 어렵게 만들고 있다. 둘째, 이머시브 공연의 성공요인에 대한 연구의 부족은 공연의 체계적인 이해에 영향을 끼치고, 공연의 미래 발전방향을 모호하게 하여 기업으로 하여금 투자할 가치를 떨어뜨리는 원인중 하나가된다. 본 논문의 주요 과제는 이머시브 공연의 성공요인을 구축하고, 발전요인을 연구하여 향후 이머시브 공연의 지속적인 발전을 위한 이론적 토대를 제공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논문은 사례분석과 근거이론 연구방법을 활용하여 중국의 대표적인 이머시브 공연작품 2개를 선정하여 이에 대한 연구와 비교를 진행하였으며, 근거이론과 수집한 데이터들로 부터 이론과 개념을 발전시켜 결과를 도출하여 이머시브 공연의 성공요인을 연구하고자 하였다. 본 논문은 전문가와의 인터뷰, 현지방문, 인터넷, 학술 문헌 등을 통해 <우견평요>, <우견둔황, 又见敦煌>에 대한 방대한 데이터를 수집하였다. 개방 코딩, 축 코딩, 선택 코딩의 연구 과정을 통해 결과를 분석 및 비교하여 이머시브 공연의 주요 성공요인과 핵심 성공요인을 통해 이머시브 공연의 성공요인을 구성한다. <우견평요>와 <우견둔황> 두 사례의 근거이론 분석과 사례의 비교를 통해 이머시브 공연의 10가지 주요 성공요인(정부 지원, 시장수요, 관광자원, 산업융합, 기초 서비스 및 시설 건설, 산업화 운영, 자본, 기업 협력, 관리자, 작품의 창작)을 얻었고 이머시브 공연 성공요인의 논리적 구조 모형을 구축해 각 성공요인별 작용력 변화 추이를 분석함으로써 연구의 목적을 대체로 달성하였다. The combination model of tourism performance and immersive play is a major form of development today. It is not easy to satisfy the individualization of future products and the audience's desire for deeper experiences with simple viewing methods performed by traditional actors in the past. On the other hand, it is possible to immerse the audience in an immersive play, which can satisfy each audience's individual desire to watch to some extent, and thus provide an unforgettable and unique experience. This active participation and experience of the audience enables the pursuit of experience, which is a key element of cultural tourism products. Starting with the performance of <Seeing Pingyao Again> in 2013, Immersive performances rapidly spread to various tourist attractions in China, satisfying consumers' desire to experience, and promoting the development of the local economy and industrial structure. Theoretical research on emerging performances inside and outside China is mainly focused on typical case studies and product introduction levels, so systematic and in-depth research is insufficient. The lack of research makes in-depth research on emerging performances more difficult because, first, there is no accurate definition of the concept, characteristics, and formation conditions of emerging performances. Second, the lack of research on the success factors of immersive performances affects the systematic understanding of the performance, obscuring the future development direction of the performance, thereby reducing the value of investment for companies. The main task of this paper is to establish the success factors of immersive performance and study the development factors to provide a theoretical foundation for the continued development of immersive performance in the future. Therefore, this paper selected and compared two representative Immersive performance works in China using case analysis and evidence theory research method, and developed theories and concepts from the evidence theory and collected data to study the success factors of Immersive performance. This paper collected vast amounts of data on <Seeing Pingyao Again> and <Seeing Dunhuang Again> through interviews with experts, local visits, the Internet, and academic literature. The results are analyzed and compared through the research process of open coding, axial coding, and selective coding, and the success factors of immersive performance are constructed through the main success factors and the key success factors. Through the analysis and comparison of the evidence theory of the two cases, 10 major success factors (government support, market demand, tourism resources, industrial convergence, basic services and facilities construction, industrialization operation, capital, corporate cooperation, managers, and works) were generally analyzed.

      • 國內 公演文化施設의 建築計劃指針을 위한 基礎的 硏究 : 현황분석에 따른 개선방향을 중심으로

        한수호 弘益大學校 大學院 2007 국내석사

        RANK : 232318

        과거 종교의식에서 시작된 공연예술은 각 시대의 생활상과 정신세계를 반영하며 각 시대의 사상과 기술발전에 영향을 받아 발전해 왔다. 종교의식이 의례와 합창이라는 주술적 행위에서 시작하여, 현재는 오페라, 뮤지컬, 콘서트, 심포니, 발레, 연극, 전통 극 등 다양한 양식으로 발전하였고, 사람들의 삶의 질이 향상되면서 자연스럽게 문화수준도 높아져 좀 더 완성도 높은 공연을 원하게 되었다. 이에 자연스럽게 공연문화의 발전은 계속되어왔다. 자연스럽게 발전된 공연문화를 소화 할 수 있는 완성도 높은 공연장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전용공연장의 필요성이 대두 되었다. 하지만 공연장들의 발전이 계속되어왔지만, 공연물의 발전에 비해 공연장의 발전은 미비하다고 볼 수 있다. 특히 서양의 긴 공연장의 역사와는 달리 짧은 역사를 가진 우리나라의 공연장의 경우 짧은 시간 동안 공연공간의 중심지향, 용도의 다양화, 무대와 객석간의 인접성 강화 등 많은 발전이 있었지만 아직도 공연물을 상연하는데 있어 그 완성도가 떨어지는 건 사실이다. 실제 공연에 관련된 종사자 들은 애써 제작한 공연물을 가지고 공연장에 들어가서 그 공연장이 가지고 있는 여러 가지 제약조건으로 인하여 제작된 공연물의 상당부분을 포기해야 할 때 가장 안타깝다고 말하고 있다. 또한 공연장의 공간구성이 공연장에서 공연의 완성도를 떨어뜨리는 원인으로 지적 받고 있는데 실제 현재 운영되고 있는 공연장을 보면 각각의 기능 군들의 연계성에 의한 배치가 이루어져야 함에도 불구하고 국내 공연장들을 일본의 공연장들과 비교해 봤을 때 사용자의 동선에 대한 배려가 고려되지 않음으로 해서 실제로 공연을 하는 배우들과 공연물을 제작하는 스테프 들의 불만이 고조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전용공연장의 필요성은 당연시 되고 있는 실정이며, 그에 맞는 건축계획에 관련된 연구가 수반되어야 한다. 특히 공연장의 공간에 대한 이해와 그 공간의 사용자에 대한 이해를 통해 사용자를 위한 건축계획이 될 수 있도록 그에 관련된 연구들이 필요하다. 본 연구는 공연장의 공간구성이 공연물을 상연함에 있어 그 완성도를 떨어뜨린다는 지적을 받고 있어, 공연장의 공간에 대한 이해와 그 공간의 사용자에 대한 이해를 통해 사용자를 위한 건축계획이 될 수 있도록 그에 관련된 연구의 필요성에 의해서 출발하였다. 이러한 문제제기를 바탕으로 선행연구의 고찰 결과 공연장의 House내의 연구는 많은 진척이 있었으나 공연장의 특성에 따른 공간의 특성과 그 사용자에 대한 연구 및 그 상호간의 관계에 따른 공간구성에 관련된 연구는 미흡한 상태에 있어, 본 연구에서는 공연장의 일반적인 공간 특성 및 사용자 특성에 대한 연구를 통해 추출된 일반적인 공연장의 공간구성과 실제 운영되고 있는 공연장의 공간구성을 비교 분석하여 추후의 건립될 공연장에 있어 다양한 요구에 부합될 수 있는 기본 계획 방향의 지침을 제시 하고자 한다. 우선 문헌을 통해 공연장의 일반적인 공간구성을 도출하여 연구의 기반을 마련하였고, 실제 운영되고 있는 국내 공연장 중 역사의 기점이 되는 공연장을 포함하여 6개관 12개 공연장을 선정하여 인터뷰 및 현장답사를 통한 현황분석을 하였다. 또한 해외 공연장 중 우수한 5개관 12개 공연장을 분석하여 일반적 공간구성에서 도출한 각 공간별 계획 시 고려사항과 함께 비교하여 국내 공연장 현황에서 나타나는 문제점을 도출할 수 있었으며, 이를 통해 각 개선점과 발전방향을 도출 할 수 있었다. 이와 같은 조사·분석의 결과 본 연구의 조사대상관을 중심으로 진행한 공연장의 현황분석을 통한 문제점 및 개선점과 발전방향에 대한 연구를 통해 얻은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국내 공연장에서 발생되는 공통적인 문제점으로는 관객동선과 배우 및 스텝동선의 충돌, 제작 및 창고 공간 부족, 하역 공간 부족, 출연자 관련 공간 부족 등이 나타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러한 문제점은 공연장의 실 사용자인 관객, 배우, 스텝의 불편을 야기 시키고 있을 뿐만 아니라 공연을 상연함에 있어 그 완성도를 떨어뜨리는 원인임을 알 수 있었다. 둘째, 이러한 문제점의 원인으로는 크게 3가지 원인으로 분석되었다. ■ 공연장의 실 사용자의 특성을 고려하지 않은 동선 및 공간구성 ■ 공연물 제작 및 운영의 전반적 이해 부족 ■ 운영적 특징과 상이한 공간구성 셋째, 이러한 문제점의 원인들은 공연장의 계획 초기단계부터 필요한 체계적인 건립프로세스의 부재와 설계자의 공연물, 공연장, 공연장을 사용하는 사용자에 대한 정확한 이해의 부족으로 인하여 발생되고 있다는 것을 분석할 수 있었다. 따라서 공연장이라는 건축의 특성에 그 사용자의 특성을 고려한 공간구성이 필요함을 알 수 있었다. 특히 공연장의 운영체제에 대응할 수 있는 공연장의 공간구성이 필요함을 알 수 있었는데, 이는 공연장의 운영체제에 따라 필요 공간과 실의 개수, 발생되는 동선이 다르기 때문이다. 따라서 공연장 계획 시 공연장의 성격이 먼저 결정되어 그 운영체제에 대응할 수 있는 공간계획 및 동선계획이 이루어져야한다. 결국, 공연장의 공간구성에 있어서 기본적인 계획방향은 공연장 계획 시 체계적인 건립프로세스를 통한 계획 진행으로 공연장이 추구하는 운영적 측면에 부합되는 건축과 설계를 진행해야 하는 것이다. 즉, 설계자의 공연장에 대한 정확한 이해를 통해 공연장의 특성 및 사용자를 고려한 공간구성을 고려하여 건립과정을 진행해야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설계자의 공연장에 대한 전문성 확보가 필요하다. Performing art originated religious rituals, and has the present form by reflecting the living condition and idea of each period. Religious performances started from rituals and chants, and developed into various forms, such as opera, musical, concert, symphony, ballet, play, and traditional theater. As the quality of human life improves, the demand for high quality performances and performing culture has increased. Naturally, in response to the changes, dedicated performing centers are needed. However, even if the centers have been continuously advanced, it is still poor compared to the development of performing arts. For their short history, performing arts centers in Korea have been greatly developed in the aspects of centralized performing space, varied usage of the centers, and the closeness between audience and stage; but the quality of performing arts is still unsatisfactory. According to the opinions of people in the field, big part of well-planned performing arts have to be given up due to various limited conditions of current performing arts center. People also indicated that poor spatial planning of the centers lowers the quality of performing arts. Compared to the performing centers in Japan, the performing centers in Korea have been planned without considering the circulation of users even if the functions of the centers are well arranged according to their connectivity. As a result, the complaints of performers and staff members are high. The demand for dedicated performing arts centers is ever increasing, and research should be conducted to come up with appropriate architectural planning that reflects the opinions of users. This study was conducted on the demand for such architectural planning. From the analysis of previous studies on the problems, it was found that there were a lot of studies on the house of the centers, but there were few studies done 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centers and their space reflecting the needs of users. In this study, the spatial planning of the existing performing centers and the performing centers that are based on the characteristics of space and users were compared, and the guidelines for the construction of future performing centers were suggested. Based on a literature review, general spatial planning for the performing arts centers were derived, and a foundation for research was established. Interviews and on-site surveys were conducted on 12 auditoriums from 6 performing centers in Korea. By comparing them with 12 auditoriums from 5 representative performing centers abroad, the problems of local centers were derived, and the guidelines and improvement for future performing centers could be obtained. From the results of the analyses, the following conclusions can be made: First, the common problems of the performing arts centers in Korea were: 1) a conflict between the circulation of the audience and the circulation of performers and staff members; 2) a shortage of production and storage space; 3) insufficient loading and unloading space; and 4) insufficient space for performers. It was found that such problems not only caused inconvenience to the audience, actors, and staff members, but also lowered the quality of performing arts. Second, there were the following three main causes of the problems: ■ Circulation and space were planned without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users of the centers; ■ Lack of understanding of the production and operation of performing arts; and ■ Spatial planning that did not reflect the characteristics of operation. Third, the analyses showed that these problems were caused by lack of systematic construction process from the beginning stage of planning performing arts centers, and by the planners' poor understanding of performing arts, performing centers, and the users. Accordingly, spatial planning should consider the architectural characteristics of performing centers and the users. Especially, it is necessary to plan a space of performing art centers that reflects an operational system of the performing arts centers. It is because the size of space, the number of rooms, and circulation are determined by the operational system of performing arts centers. Therefore, the characteristics of the center should be decided prior to planning the space and circulation of a performing arts center. Therefore, the spatial planning of the performing arts should be proceeded based on a systematic construction process, and should reflect an operational system of a performing center. Based on an accurate understanding of the performing arts center, architects should proceed a construction process and come up with spatial planning that reflects the characteristics of a center and the users. Also, architects with expertise in performing arts centers are greatly needed.

      • 컨조인트 분석을 이용한 클래식 공연 소비자 선호도 연구

        박서화 중앙대학교 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32302

        In recent, quality of life for people was improved, and more people are visiting art events with growing needs for cultural consumption. However, while there is an increasing number of consumers for performances with popular appeal such as musicals, films, pop music/entertainment and theatrical performances, the market condition for fine art performance including classical music, dance and theatre is continuously going through a declination. However, according to the Cultural Appreciation Survey by Ministry of Culture, Sports and Tourism, consumer intention to visit a classical music performance is almost twice as much as the actual number of viewers, and consumer needs for classical music performances turned out to be high. However, the classical music performance market seems to be complacent with current conditions even though the number of audience is decreasing. Thus, it is inevitable for the classical music performance market to provide an effort to appeal to more consumers, and for this purpose, there shall be a consumer-oriented approach together with detailed marketing strategies. However, academic studies regarding such subjects are low, and there has not been any clear solution to increase consumers for classical music performances. With these issues on the background, a conjoint analysis was conducted in this study to examine which attributes are considered importantly by consumers among all attributes in choosing a classical music performance to watch. For the purpose of this study, literature reviews were conducted to examine the contents regarding classical music performances and audience developments in previous studies together with the method of conjoint analysis, which is chosen to be a suitable method for this study. Then, attributes and levels required for conjoint analysis were determined through a FGI (Focus Group Interview), and a survey was conducted based on the result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company' was the most important factor for consumers in choosing of a classical music performance. It was followed by 'type of performance' and 'advertisement means.' More specifically, most consumers preferred family member for a company, orchestra music for the type of performance and online advertisement for advertisement means. However, classical music majors and professional performers showed a different result- it was 'type of performance', 'advertisement means' and 'company' in order of importance. Based on the result, the following were achieved: First, since 'company' is the most important attribute, and most preferred to have their family member(s) as a company, various discount policies for companions can be provided. Second, it is more efficient for classical music performances to advertise through online means since the consumers purchase tickets after doing various researches. Currently, advertisements for classical music performances are concentrated on offline means such as banners, flyers, signs and specialized magazines. In recent, there are many available forms of online advertisements, and to maximize the advertising effect, it is important to utilize all available forms online. Third, since most consumers prefer orchestra music among all types of performances, performances can be organized in an orchestral form during the planning stage. Lastly, marketing strategies shall be planned separately for classical music professionals and non-professionals. For promotions targeting to general audiences, it is more efficient to concentrate on discount policies for companions and etc. while it is more efficient to focus on specific programs and types of the performance for promotions targeting to classical music professionals. Above results were achieved through this study. However, there were limitations in this study: age groups of the participants were concentrated in 20s, sample count was low and the number of attributes was insufficient for convenience of the participants. Such limitations shall be considered in interpreting the results of this study. 최근 삶의 질이 향상되고 문화소비 향유에 대한 욕구가 높아지면서 예술행사 관람률은 꾸준히 상승하고 있지만, 대중성을 갖춘 뮤지컬이나 영화, 대중음악/연예, 연극 등의 소비만 향상될 뿐 클래식 공연, 무용, 연극 등의 순수예술 공연 시장은 계속해서 어려워지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문화체육관광부에서 실시한 문화향수실태조사에 따르면 클래식 공연 관람의향이 실제 관람률에 2배에 가까운 수치를 보이며 클래식 공연을 향유하고자 하는 욕구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클래식 공연 시장은 현재 상태에 안주해 있는 모습으로 기존 관객마저 줄어들고 있어 소비자 확대는 불가피 하며 그를 위해서는 소비자 중심적 접근과 구체적인 마케팅이 필요하다. 하지만 이를 위한 학계의 연구는 부진하며 클래식 공연 소비를 위한 뚜렷한 방안도 마련되고 있지 않다. 본 연구는 이러한 문제의식을 가지고 클래식 공연 선택 속성 중 소비자가 상대적으로 중요하게 여기는 속성을 알아보기 위한 컨조인트 분석을 실시하게 되었다. 본 연구를 위해 선행연구를 통하여 클래식 공연 및 관객개발에 관련된 내용과 함께, 연구에 적합한 방법으로 택한 컨조인트 분석법에 대한 문헌고찰 후 FGI(Focus Group Interview)를 통하여 컨조인트 분석에 필요한 속성 및 수준을 결정하고 설문조사를 통해 연구를 진행하였다. 분석결과 소비자들은 클래식 공연 선택에 있어서 ‘동반자’를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였고, 다음은 ‘연주회의 종류’, ‘광고수단’ 순이었다. 구체적으로 동반자에서는 가족을, 연주회의 종류에서는 관현악, 광고수단에서는 온라인 광고를 가장 선호하였다. 그러나, 클래식 음악 전공자 및 공연전문가들의 경우 연주회의 종류, 광고수단, 동반자 순으로 중요도가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결과를 토대로 다음과 같은 시사점을 도출해 냈다. 첫째, 속성 중 동반자가 가장 높게 나타났고 구체적으로 가족과 함께 방문하는 것을 선호하므로 동반자에 따른 다양한 할인정책을 제시할 수 있다. 둘째, 다양한 정보탐색 후 구매가 이루어지는 클래식 공연의 경우 온라인 광고를 통하여 홍보를 진행하는 것이 효율적이다. 아직까지 클래식 공연은 현수막, 포스터, 간판, 전문잡지 등 오프라인 광고가 대부분인데 최근 다양한 형태의 온라인 광고가 가능해지고 다양한 방법으로 광고를 진행할 수 있는 점을 활용하여 온라인 광고를 진행할 때 효과가 극대화 될 것이다. 셋째, 연주회의 종류 중 관현악 연주를 가장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남에 따라 연주회 기획단계에서 관현악 공연의 편성을 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클래식 공연 고관여자 및 전문가과 저관여자를 분류하여 마케팅을 진행해야 한다. 불특정 다수에게 홍보를 진행할 경우 동반자 할인 정책 등을 중점적으로 광고하는 것이 효율적이며, 전문가 그룹의 경우 구체적인 프로그램 및 연주회의 종류를 중점적으로 광고할 때 효과적인 마케팅이 진행 될 것이다. 연구결과 위와 같은 결과를 도출하였다. 하지만, 본 연구를 진행함에 있어서 응답자들의 나이대가 20대에 많이 몰려있고, 표본수의 부족을 한계로 들 수 있다. 또한, 응답의 편의를 위하여 다양한 속성을 설정하지 못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의 결과를 해석하는데 있어서 이러한 한계점을 고려해야 한다.

      • 인천시립무용단 정기공연 작품 비교분석 연구 : -인천시립무용단 역대 예술감독 중심으로-

        박상현 한국체육대학교 사회체육대학원 2024 국내석사

        RANK : 232302

        인천시립무용단 정기공연 작품 비교분석 연구 -인천시립무용단 역대 예술감독 중심으로- 박 상 현 한국체육대학교 사회체육대학원 생활무용전공 인천시립무용단은 1981년에 창단되어 예술 활동을 하고 있는 직업무용단으로 전국적으로는 네 번째, 시립무용단으로는 세 번째로 창단되어 현재까지 90회 정 기공연 활동을 하고 있는 역사적 깊이가 있는 무용단으로 꼽힌다. 그러나 이러 한 시립단체의 역사성을 기록하여 보존하는 기록물이나 연구논문은 전혀 없음 을 알 수 있다. 인천시립무용단의 정기공연 기록은 인천지역의 지역성, 정기공 연의 특성, 예술감독의 의도, 정기공연 작품의 연속성과 발전, 예술적 아이덴티 티 형성, 관객 만족도 등의 상황을 파악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피드백 과정을 통해 예술단체를 안정적으로 유지하고 예술적 성과를 지속적으로 향상 시킬 수 있는 중요한 사항이다. 따라서 인천시립무용단의 작품을 분석하고 관객의 성향 을 파악하는 것은 인천시립무용단의 지속 발전 가능성에 있어 필수적인 역할이 라고 본다. 이러한 맥락에서 본 연구는 인천시립무용단 예술감독이 이끈 정기공 연의 주제와 그에 따른 관객의 참여와 반응을 여러 시각에서 분석해 보고자 한 것이다. 연구방법은 첫째, 인천시립무용단 정기공연의 작품성향 비교분석은 김병석의 분류방법을 통해 주제를 분류하였고 둘째, 정기공연에 관해 필요한 문헌자료는 현장 조사를 통해 인천시립무용단의 연보와 정기공연 프로그램 노트, 서적 등을 수집하였으며 셋째, 초기 인천시립무용단의 정기공연 자료 정리가 안 되었거나 소실된 부분은 인천시립무용단 예술 감독과의 인터뷰, 초대 단원(송성주, 최공 주)들과의 인터뷰 등을 통해 기록하고 부족한 자료를 보완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인천시립무용단 정기공연에서 선호하는 주제는 전통의식적 주제, 문학 적인 주제, 역사적인 주제로 나타났으며 이러한 주제로 작품을 안무한 감독님들 은 이청자 예술감독, 김영숙 예술감독, 홍경희 예술감독, 김윤수 예술감독, 손인 영 예술감독, 윤성주 예술감독 등이 있었다. 이 중 전통의식적 주제의 작품은 전통의식적 주제가 가지는 전통+의식이라는 명제 안에서 한국 춤이 기본이 되 는 전통무용, 민속무용, 신 무용, 종교의식, 제의 등을 주제로 한국 전통사상이 되는 정기공연을 진행하였다. 그리고 문학적인 주제를 다룬 정기공연은 소설, 극, 설화, 민담, 신화 등의 문학 작품에 영감을 받아 위 소재를 무용 언어로 해 석하였다. 극적 상황을 자유롭게 무대화시킨 작품으로 현시대에 맞게 재해석 및 구성하여 관객에게 많은 사랑을 받았다. 마지막으로 역사적인 주제를 다룬 정기 공연은 고대부터 현대까지 다양한 시대의 역사적인 사건과 인물을 소재로 하였 다. 인물을 중심으로 춤과 음악을 통해 재현하고 관객들에게 역사적인 인식과 이해를 넓히는데 공감하며 역사적 가치와 의미를 재조명할 수 있었다. 둘째, 추상적인 주제를 선호하는 감독님들은 이영희 상임 안무자, 민태금 상 임 안무자, 한명옥 예술감독이 있다. 추상적인 주제를 다룬 정기공연은 구체적 이고 명확한 주제보다 상징적이고 미학적인 표현으로 춤과 음악을 통해 다양한 관점에서 작품을 다각도로 표현하였다. 이러한 작품들은 관객들에게 감정적인 공감과 감동을 간접적으로 전달하였으며, 추상적인 예술의 미학을 관객들에게 경험하게 하였다. 셋째, 2005년부터 2023년까지 인천시립무용단이 공연한 횟수는 총 39회이다. 그중 36회의 관객 수를 살펴보면 총 누적 관객 수는 55,594명으로 이러한 수치 는 19년 동안 한 해 평균 인천시립무용단 정기공연을 관람한 관객 수가 매년 2,926명으로 꾸준히 관객이 증가했음을 알 수 있다. 이는 고정 관객층뿐만 아니 라 다양한 연령층과 관심층이 공연을 관람한 것으로 인천 지역 사회의 무용문 화예술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에 발맞춰 인천시립무 용단은 다양한 형태의 공연 스타일로 관객 수를 높이는 노력을 하고 있으며 수 준 있는 공연작품으로 예술의 지속성과 지역 사회의 소통을 강화하려고 노력하 고 있다. 주요어 : 인천시립무용단, 정기공연, 작품분석, 관객 수, 예술감독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