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시각적 특성에 따른 건축물 경관조명설계 제안 연구 : 서울시 오피스 건축물을 중심으로

        성보라 성균관대학교 디자인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7807

        1960년대 이후 새로운 광원들의 질적 개선과 조명에 관한 이론적 실험적 연구들이 체계화됨에 따라 조명은 3차원의 공간과 더불어 새로운 환경요소로서 인식되고, 그 질적 효과가 높이 평가되게 되었다. 빛의 질적 시대를 맞이하면서 건축가, 실내디자이너들은 빛의 양적인 문제 뿐만 아니라 질을 추구하는 창조적 방안을 모색하였고 새로운 광원이 대중화됨에 따라 조명전문가들의 등장으로 미적가치의 현실화를 요구하게 되었다. 그러나 급속 성장한 조명설계의 발전은 단편적인 디자인 설계로 인해 도시는 시각적으로 불쾌함을 유발하고 인간의 감성에 불안을 초래하는 부자연스러운 야간경관으로 빛공해를 초래하여 다양한 사회적 갈등을 야기하고 있다. 도시에서 건축물 경관조명은 야간경관의 시각적 범위에서 가장 많은 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다양한 표현이 가능한 조명 연출로 인해 밤 환경의 도시이미지는 정리되지 않은 것처럼 보여지지만 각각의 표현방법은 독립적인 형태로 가치관을 형성하고 있다. 야간경관의 기본은 도시환경의 정의로 시작한다. 도시 이미지를 결정하는 요소는 곧 야간경관으로 이어져 경관조명의 활동 목표를 성립 할 수 있는 도시 이미지로 재정립되어 빛과 연결성을 갖고 밤 환경을 구축 한다고 볼 수 있다. 지금까지 건축물 경관조명 설계프로세스는 대상건축물에 정면성을 갖는 입면에 제한적으로 빛을 배치하여 단독적인 형태로 표현되어져 왔다. 앞으로 계획되는 경관조명의 설계는 단독적인 입면범위에서 생각하지 않고 도시의 큰 틀을 범위로 생각해야만 한다. 도시의 야경은 무엇을 말하고자 하는가에 대해 깊이 고찰해 보고 경관조명을 도시경관 기준으로 이해하여 도시환경영역에서 서로간의 관계성을 충족시키는 조명설계가 되어야 한다. 본 연구의 구체적인 내용으로, 도시환경영역에서 조화로운 빛 표현에 앞서 야간경관의 명확한 개념 정립을 위하여 케빈린치의 도시경관이미지요소를 토대로 야간경관이미지를 새롭게 정의하였다. 그리고 건축물 경관조명에서 빛과 그림자의 존재를 조형적인 형태로 표현하여 건축물 경관조명의 설계 특징을 빛의 개별성과 투명성으로 정리하였다. 또한 건축물의 개요 분석을 시작으로 평면분석요소에서 빛의 종류와 형태, 방향을 파악하고, 입면분석요소에서 경관조명의 빛과 실내 빛의 분포를 통하여 도시환경영역 안에서 요소간의 조화를 통한 빛의 표현이 도시와 관계성이 있는지 파악하였다. 이는 건축물 경관조명 계획이 가치 있는 효과로 극대화 할 수 있는 범위를 제시하고, 체계적인 분석기준을 통하여 단독적인 조명표현이 되고 있는 도시의 건축물 조명계획의 문제점을 줄일 수 있는 방안으로 도시환경영역과 연결되어 조화롭고 아름다운 야간경관을 만드는데 활용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우리 생활에서 빛의 발전은 여러 가지 다양한 광원을 통해 빛 활용 방안을 경험해 볼 수 있었다. 도시 안에서 빛을 이야기하는 야간경관조명계획은 돋보이게 밝히는 것을 잠시 접어 두고, 환경디자인 범위 안에서 도시와의 조화와 관계성을 이야기 할 수 있는 특화 방안으로 밝음 뒤에 숨겨진 어둠을 생각하여 빛을 다루어야 한다. 더 나아가 인간은 밤 환경에 빛이라는 표현요소를 통하여 도시 활성화와 향상된 문화 수준을 접할 수 있을 것이고, 더불어 질적 조명의 향상을 기대할 수 있을 것이다.

      • 지방중소도시 위반 건축물의 발생 억제에 관한 연구

        정근웅 공주대학교 일반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7807

        본 논문은 지방중소도시에서 발생하는 위반 건축물 억제를 위한 법·제도 개선 방안을 모색하여, 지역주민의 안전과 도시의 질적 향상을 도모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의 범위는 지방중소도시 중 천안시로 선정하였으며, 2014년부터 2018년까지 최근 5년간 발생된 위반 건축물을 대상으로 설정하였다. 분석 과정에서는 천안시 위반 건축물 현황 분석, 건축전문관계자(공무원, 건축사) 인식조사 분석, 국외의 법령 비교 분석을 하였다. 분석 내용을 바탕으로 위반 건축물 발생 억제를 위한 법·제도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 위반 건축물 현황과 사례를 분석한 결과 위반 건축물 발생 건수는 매년 증가 추세이며 용도는 기타, 행위는 증축에서 가장 많이 발생하였다. 계속되는 발생 건수는 사전예방보다 사후처리에 집중되는 문제점을 보여주고 있다. 건축전문관계자 설문조사에서는 건축주의 인식, 단속제도, 관계법령, 이행강제금, 양성화조치에 대한 문제점을 확인하였다. 각국의 관련 법령 비교에서는 한국은 이행강제금에 치중하는 조치를 보인다. 이에 비해 일본은 강력한 조치절차를 하며, 미국은 강력한 벌금을 부과하고 있었다. 위반 건축물 발생 억제를 위한 개선 방안으로는 법·제도 문제에 대하여 다음과 같이 제안하였다. 첫째, 건축 전문 공무원제도를 도입한다. 건축사 현장조사 및 검사는 실질적인 권한이 없기 때문에 사전 위반 발견에 소홀하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된다. 건축전문 공무원을 통해 위반 행위가 발생할 수 있는 사전적 요소를 완전히 제거하여 건축물의 안전성을 구체적으로 확보한다. 둘째, 위반 건축물 인식 함양에 힘쓴다. 위반 건축물은 건축주의 인식의 낮음으로 계속해서 발생한다고 전문가 인식 조사결과 도출되었다. 방안은 일본의 표지판 제도를 활용하여 도로명 표지판에 작은 QR코드를 활용한 건축물 최소한 정보를 제공하여 일어날 수 있는 문제를 사전에 차단한다. 셋째, 단속제도 운영을 개선한다. 천안시 단속제도는 효과적이지만 점검 방법의 개선이 필요하다. 서울특별시 단속 제도를 비교한 결과 점검방법은 용도별 Check List를 만들어 점검에 대한 틀을 잡고 교차점검을 통한 상호 보완한다. 넷째, 관계법령의 체계를 개선한다. 위반 건축물 발생은 건축법 난이도와 조문수의 관계도 있다고 전문가 인식 조사결과 도출되었다. 방안은 일관된 체제로 건축법을 운영하고 관계법령의 통폐합을 가져가야 한다. 다섯째, 이행강제금을 개선한다. 이행강제금 등의 경제적 제재가 위반 행위를 통해 얻는 이익보다 상대적으로 미약하기 때문에 위반 상태에 따른 분류를 통해 부과 횟수 및 금액의 보완이 필요하다. 여섯째, 양성화 대상 건축물을 제한한다. 주기적인 위반 건축물 양성화는 건축주에게 양성화라는 기대심리를 심어준다. 방안은 대상과 시점을 제한하고 그 시점 이후는 양성화 조치를 하지 않겠다는 강력한 규제가 필요하다. This study set out to search for legal and institutional improvement measures to control violating buildings in local small- or medium-sized cities and promote the safety of local residents and the quality enhancement of cities. The research scope was limited to Cheonan, a local small- or medium-sized city, and its violating buildings for the last five years of 2014~2018. The analysis process covered the current state of violating buildings in Cheonan, the perceptions of violating buildings among architecture professionals(civil servants and qualified architects), and the concerned laws home and abroad to be compared. Based on the analysis results, the study proposed legal and institutional improvement measures to control violating buildings. The analysis results of violating buildings in their current state and cases show that the number of violating buildings was on the rise every year and that violation happened most in the other uses and the act of extension. The continuous cases of violating buildings point to problems concentrated on follow-up treatment rather than preemptive prevention. The survey with architecture professionals reported that there were issues with the perceptions of building owners, crackdown system, related laws, enforcement fines, and legalization measures. The concerned Korean laws were compared with their foreign counterparts, and the results indicate that South Korea's measures focused on enforcement fines, where as Japan and the U.S.A. used powerful action procedures and heavy fines, respectively. For these legal and institutional issues, the study proposed the following improvement measures to control violating buildings: First, a system of civil servants specializing in architecture should be introduced. Qualified architects have no practical authority in field examination and inspection, thus tending to be neglectful to discover violations in advance. Civil servants specializing in architecture can help to eliminate ex ante elements leading to violations completely, thus making specific contributions to building safety. Second, efforts should be made to foster the perceptions of violating buildings. A survey with professionals reported that streams of violating buildings were attributed to the lower perceptions of building owners. One solution is to make use of the sign system in Japan, providing minimum information about buildings with little QR codes on signs containing road names and blocking potential issues in advance. Third, the management of the control system should be improved. The control system is effective in Cheonan, but it needs to improve its checking methods. It was compared with the control system of Seoul, and the results raise a need to make a checklist by the use, set a framework for checking, and supplement each other via cross-checks. Fourth, it is important to improve the system of concerned laws. The survey with professionals also reported that violating buildings had something to do with the difficulty levels of Building Act and its number of provisions. These issues can be solved by managing the Building Act in a consistent system and combine and integrate all the concerned laws. Fifth, it is also important to improve enforcement fines. Such economic restrictions as enforcement fines are relatively weak compared with profits gained from violating acts, which raises a need to classify cases according to the state of violation and supplement the frequency and amount of imposing a fine accordingly. Finally, there is a need to restrict candidate buildings for legalization. If violating buildings are legalized regularly, building owners will have expectations for the legalization of their violating buildings. It is thus needed to restrict the number of candidate buildings and the timing of legalization and introduce a strict regulation that there will be no more legalization after a certain point of time.

      • 초고층건축물 피난방법 및 소방활동 개선에 관한 연구

        서성민 仁川大學校 2018 국내석사

        RANK : 247807

        건축기술의 발전과 국토의 효율적인 활용을 위해 우리나라는 물론 전 세계적으로 건축물의 고층화가 급증하고 있는 추세이다. 또한 정부나 각 지자체의 정책과 건물의 노후로 인해 재개발 및 재건축이 되어 기존보다 훨씬 대단지, 고층화되고 있다. 고층 건축물 화재 시 효율적인 피난방법과 소방활동에 대한 대응방안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다음과 같이 개선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To develop construction technology and the efficient utilization of the land, the number of skyscrapers in Korea and around the world is on the rise. In addition, it has been rebuilt and rebuilt as a result of the retirement of policies and buildings by the government or each local government, so it is becoming more high-rise than existing ones.In case of fire in a high-rise building, it is necessary to prepare measures to evacuate efficiently and respond to fire fighting activities. Therefore, the following improvement measures are proposed.

      • 리조트 建築物의 視覺的 選好度와 이미지 硏究

        서연태 仁荷大學校 大學院 2002 국내박사

        RANK : 247807

        본 연구는 여가공간에서 이용자의 시각적 경험의 질을 고양할 수 있는 방안에 대한 접근으로서 리조트의 건축물을 대상으로 시각적 선호의 결정 구조를 밝히는 것과 그 이미지 특성을 구명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연구의 목적에 대한 포괄적 접근을 위하여 R. Kaplan과 S. Kaplan(1982)의 정보적 접근방법(정보처리모형: informational approach)이 유용할 것으로 기대하고, 이를 토대로 연구 모형과 가설을 설정하여 실증적으로 검증하였다. 시각적 선호는 주변 환경의 시각적 자극에 대한 태도의 한 유형으로 일상의 생활에서 경험되는 주변 환경의 시각적 질은 인간의 복지와 행태에 영향을 미친다는 많은 연구들이 있어 왔으며(e.g., Ulrich, 1984, 1991; Newman, 1973), 시각적 만족은 인간 기본 욕구 중의 하나인 미적 욕구의 충족과 관련이 있다는 점(진양교, 1991; Gold, 1980)에서 중요한 개념이 되고 있다. 특히 환경계획 및 설계 분야에서는 궁극적으로 이용자의 만족도 혹은 선호도가 높은 '장소'를 구현한다는 점에서 이용자의 시각적 선호는 중요한 과제가 되고 있다. 평가를 위한 리조트 건축물의 표본 유형은 제주도를 제외한 우리 나라의 11개 리조트 지역에서 376매의 건축물(구체적으로는 호텔, 콘도 등의 숙박시설)의 장면(칼라 슬라이드)으로부터 전문가 집단의 스크리닝 과정을 거쳐 53매의 대용물(surrogate)로 추출하였다. 그리고, 추출된 대표 장면은 경기대학교 대학생 집단에 의하여 평가하였다. 결과적으로 본 연구는 다소의 한계에도 불구하고 리조트 환경의 조성과 관련한 유용한 연구와 정책적 시사를 얻을 수 있었다. 먼저, 리조트 건축물에 대한 선호도는 건축물의 높이, 형태(높이와 장축의 비 및 지붕의 형태), 재질 및 전체적 분위기에 의하여 평가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선호도가 높은 리조트 건축물은 전원적 특성(4층 이하, 경사형 지붕 및 층수 변화, 자연적 재질의 느낌)을 나타내는 반면 선호도가 낮은 건축물은 도시적 특성(5층 이상, 박스 형태, 지붕선 변화 미약, 인공적 재질의 느낌)이 매우 뚜렷하게 나타나고 있었다. 또한, 선호도가 높은 건축물은 선호도가 낮은 건축물과 비교하여 '혼란의-질서있는' 이미지의 특성은 나타나지 않지만 선호도가 높은 건축물이 더 '독특한', '흥분되는', '흥미로운', '넓은', '열린', '쾌활한', '환영하는', '편안한', '연속적인', '전통적인', '기쁜', '즐거운', '자연적인' 이미지를 가지는 것으로 평가되었다. 리조트 건축물의 선호도 평가에 공통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잠재적 요인을 밝히기 위하여 요인분석을 실시하였다. 요인의 추출은 스크리 도표를 활용하여 6개의 요인으로 축 약하였는데, '층고 변화와 경사형 지붕'(8.81%), '도시적 이미지의 거대 규모'(8.79%), '중형의 도시형 건축물'(8.44%), '계단형 층고의 거대 건축물'(6.29%), '전원형의 저층ㆍ경사 지붕'(6.1%), '이국적 특성의 집단화'(5.92%)의 6개 요인에 의하여 44.38%를 설명할 수 있었다. 리조트 건축물의 선호도는 크게 도시적 또는 전원적 특성으로 설명될 수 있는데, 구체적으로 건축물의 높이, 충고의 변화, 지붕의 형태, 색상 및 이에 따른 자연적 또는 인공적 재질의 느낌 등이 중요한 특성이 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리조트 건축물의 선호도는 이러한 건축물의 속성을 어떻게 반영할 것인가 그리고 도시적 또는 전원적 특성을 유지할 것인가에 의해서 달라 질 수 있다고 할 수 있다. 정보적 접근방법으로부터 선호도의 선행 정보변수로 설정한 응집성, 복합성 및 신비감의 경우에도 다소 차이가 있지만 선호도와 비슷한 결과를 나타냈다. 리조트 건축물의 선호 구조를 밝히기 위하여 구조방정식 모형 분석을 이용하여 가설과 연구 모형을 검증하였다. 제안된 구조방정식 모형은 다소 미흡한 부합도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리조트 건축물의 선호 구조를 이해하는 전체적인 맥락에서 논의하는데는 충분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구체적으로 제안된 5개의 가설 중 '응집성이 선호도에', 그리고 '복합성이 선호도에' 영향을 미친다는 2개의 가설은 기각되었으나 나머지의 3개의 가설은 지지되었다. 특히, 응집성은 신비감에 영향을 미치고, 신비감은 선호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밝혀졌다. 이는 응집성은 직접 선호도에 영향을 미치지는 않지만 신비감을 통하여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밝힌 것으로 신비감은 응집성이 선호도에 영향을 미치는데 있어서 매개변수의 역할을 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그리고, 응집성은 복합성에 영향을 미치지만 복합성은 선호도에 영향을 미치지 않게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로 가장 유용한 것은 리조트라는 여가활동 공간은 도시환경 보다는 자연환경적 특성을 나타낸다는 것이다. 연구 모형의 검증 결과는 기존 연구에서 주장되어 온 자연환경에서는 신비감이 선호도에 영향을 미친다는 결과와 동일하며 앞에서 논의된 리조트 건축물의 선호도는 전원적 또는 도시적 특성과 관련하여 평가된다는 결과와 같은 맥락에서 이해할 수 있다. 따라서, 여가활동 공간의 조성 특히, 건축물의 계획은 어떻게 자연환경적 특성 및 이를 강화하는 이미지를 구현할 것인지가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또한 본 연구에서 정보적 접근방법은 리조트라는 여가활동 환경에서도 적용 할 수 있음를 확인하였다. 이는 주요한 시각환경의 평가 이론으로서 자리잡아 온 정보적 접근방법이 자연환경과 도시환경, 실내공간, 도시 업무지역 뿐만 아니라 여가활동 공간에서도 적용할 수 있음을 확인한 것으로 이 이론의 포괄적 일반화의 가능성을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이 분야의 연구에 크게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본 연구는 사진 매체(칼라 슬라이드)를 실제 경관의 대용물로 사용 하였고, 대학생 집단만을 대상으로 수행한 유사실험이라는 점에서 연구 결과의 일반화는 다소 한계를 내포하고 있다. 이러한 문제는 향후 보다 엄격한 실험과 논의에 의하여 극복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이러한 한계에도 불구하고 본 연구는 이용자의 시각적 경험의 질을 고양할 수 있는 리조트의 물리적 환경 조성에 대한 이해의 틀을 확장시켜 줄 것이며, 시각적 선호와 관련한 이론적, 실무적 실마리를 제공하여 줄 것이다. Before the emergence of behavioral interpretation of people's preferences, most research has heavily relied upon visual design principles and functional preconceptions without the sincere consideration of humans' behavioral mechanism. Recently, it has been conceived that the aesthetic experience of one's environment has psychological bases and reside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an individual and his or her environment. This study tests the visual preference and image of buildings of resorts. It includes the test of the usefulness of the Informational Approach of preference(S. Kaplan and R, Kaplan, 1982). The hypothesis model consisted of four constructs (coherence, complexity. mystery. and preference) and five path hypotheses . In the screening process, the 53 color slides of surrogate building settings were selected from 11 resorts in South Korea. The assessment of these buildings was provided by 223 studentswho hadn't special knowledge of art or design either though formal education or job experience in the various majors of Kyonggi University. The assessment of preference and others were measured with a 7-point Likert type scale from 'strongly dislike' to 'strongly like'. The assessment of image was measured with a 7-Point semantic-differential of the 18 Pair-adjective. The finding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The preference of buildings in resorts was closely related to 'height, ratio of height and length, shape of roof, material, and overall atmosphere'. The high Preference buildings showed rural characteristics, but the low preference buildings showed urban characteristics. Also, the high Preference buildings showed the image of 'unique', 'exciting', 'interesting', 'spacious'. 'open', 'cheerful', 'welcoming'. 'comfortable', 'continuous', 'traditional', 'delightful', 'Pleasing', and 'natural' compared with the low preference buildings. The factor analysis Yielded six common factors which helped to account for 44.38% of the variance in Preference responses to the scenes, The six factors of scenes were defined as follows: 1) height transformation and shape of inclination roof (8.81%), 2) urban image of tremendous mass(8.79%), 3) urban style with middle size (8.44%), 4) tremendous building with stepwise height(6.29%), 5) rural style with shape of inclination and low height (6,1%), 6) grouping of foreign style buildings (5.92%). The hypothesis model is estimated by AMOS. The evaluation of goodness-of-fit indicated a moderate good fit within marginal accepted exhortation levels. As a result from SEM, three hypotheses were supported and two hypotheses were rejected with at t of 1.96 (2-tailed test, p<.05). The path hypothesis 1 (i.e. 'the coherence of resort buildings has influence on complexity') was supported with at t of 4.32 (p<.001) and beta of .67. The Path hypothesis 2 (i.e. 'the coherence of resort buildings has influence on mystery') was supported with at t of 4.05 (p<.001) and beta of .50. The path hypothesis 3 (i.e. 'the coherence of resort buildings has influence on preference') was rejected at a significant level of 95% (t>.05) with at t of 1.11 and beta of .19. The path hypothesis 4 (i.e. 'the complexity of resort buildings has influence on preference') was rejected at a significant level of 95% (t>.05) with at t of 0.90 and beta of .12. The Path hypothesis 5 (i.e. 'the mystery of resort buildings has influence on preference') was supported with at t of 4.32 (p<.001) and beta of .67. As a result from the hypothesis tests, the preference of resort buildings was directly influenced by mystery and was indirectly influenced by coherence. But, the complexity didn't influence Preference The results imply that the preference of resort buildings reveal the characteristics of the natural environment, Therefore, the Planning and design of buildings in resorts have to strongly reflect the characteristics and image of the natural environment.

      • 분양건축물에 대한 감리제도 개선방안

        부승현 서울大學校 大學院 2004 국내석사

        RANK : 247807

        건설공사 감리제도는 건축법에 의해 1963년 도입되었으나 그 이후 건축물의 용도, 성능 및 규모 등은 더욱 다양해지고 복잡해졌다. 이러한 추세에 따라 1994년에 책임감리를 도입하였고, 공동주택 부실공사 방지를 위해 주택법을 개정하는 등 공사관리의 효율성과 품질의 향상을 가져왔다. 최근에는 공동주택과 더불어 고층화된 주상복합건축물과 다중이용시설물이 등장하면서 여러가지 형태적ㆍ사회적 요구에 따른 제도적 변화가 지속되어 왔다. 정부가 주택시장 안정을 위해 300세대 이상의 주택을 건설하는 경우 해당 주상복합건축물에 대해 주택법에 의해 적용받도록 법령을 개정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개정사항은 감리대상 건축물 중 일부에 한정되어 있어 공사를 효율적으로 감리하기에는 미흡하며, 독립적인 감리업무를 수행하는데 여러가지 어려움이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분양건축물을 중심으로 감리제도의 현행 문제점을 검토하고 그에 따른 개선방안을 제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분양건축물 감리제도의 문제점과 현실태를 파악하기 위해 문헌조사를 실시하였고, 분양건축물의 주된 대상인 공동주택, 주상복합건축물, 다중이용시설물에 대한 현장 실태조사를 실시하였다. 실태조사를 통해 기존 문헌에서 다룬 감리제도 전반의 문제점과 개선방안에서 탈피하여, 분양건축물에 대한 감리제도의 프로세스 분석, 문제점 검토 및 개선방안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2) 현행 문제점을 검토하고 개선방안을 제시하기 위해 감리자, 건설기술자 및 정부기관의 행정관리 공무원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조사는 분양건축물 중 주상복합건축물과 다중이용시설물에 대한 감리제도의 현황, 감리원 지정방법, 감리업무 및 기타의 항목으로 구성하였다. 3) 설문조사 결과 감리제도의 현황으로는 현행 감리제도를 분양건축물의 특성을 고려하여 건설기술관리법 또는 주택법 수준으로 강화해야 하며, 사업주체와 시공사가 동일한 현장에서의 감리가 원활하지 못하다고 나타났다. 또한 책임감리 또는 공동주택 공사감리 업무와 비교하여 주상복합건축물과 다중이용시설물의 감리업무 수행이 미흡한 여건이므로 제도의 보완이 요구되었다. 4) 문헌조사, 실태조사, 설문조사를 바탕으로 감리원 지정방법 및 감리업무의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 감리원 지정방법에 대한 개선방안으로 주택법을 적용받아야 하는 주상복합건축물의 범위는 현행 기준(300세대)보다 확대되어야 하며, 다중이용시설물의 감리원은 감리업무 수행능력의 검증을 통하여 감리원을 지정하고 감리수준을 강화해야 한다. 또한 감리원 선정에 있어 기술적인 평가를 고려하고, 전기, 통신 및 소방감리도 건축감리와 동일한 방법에 의해 감리원이 지정되어야 한다. 5) 감리업무에 대한 개선방안으로 감리원의 독립성을 보장하여야 하며, 공동주택에서 적용하는 13개 감리 제외 공종의 환원과 더불어 업무의 간소화가 이루어져야 한다. 또한 감리업무를 적정하게 수행할 수 있는 수준의 감리비를 지급하며, 사업주체(발주자)는 공사착수 전에 감리비를 예치하고 제3의 기관(사업승인권자, 보증보험사, 입주자 등)이 지급해야 한다. 6) 이러한 감리제도의 개선방안을 통해 분양 건축물의 품질 확보, 건축물 소유주 및 사용자에 대한 신뢰 구축과 더불어, 건설기술의 발전과 감리회사를 포함한 건설주체간의 국제경쟁력 제고를 기대할 수 있을 것이다. Following the adoption of the construction supervision and management system pursuant to the Building Act in 1963, the use, efficiency, size of buildings have become more diverse and complex. In connection therewith, the adoption of a different supervision system that emphasized accountabilities in 1994 and the enactment of the Residential Building Act, etc., brought about improvement in the quality and enhanced efficiency of construction management. Unfortunately, such amendment of related laws have been restricted to certain buildings subject to the supervision system, and thus, was not effective in maintaining efficiency in terms of supervising construction process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current problems in selecting supervisors and to suggest an alternative method for improving the present supervision system. This study involved carrying out bibliographical analysis, surveying, and interviews. A brief summary of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are as follows. (1) To identify the existing problems and know the present conditions of the supervision system, we studied related literatures and investigated the actual conditions of constructions sites of residences (including condominiums, etc.), mixed-use residential buildings, public utility buildings which are the most common type of installment buildings. To escape from this whole problem of the supervision system, this study intended to analyze the supervision process, investigate the relevant problems and identify improvement measures. (2) We conducted a survey on supervisors, construction engineers and the administrative civil officers. It was composed of various categories including questions on the present condition, the supervisor designating method, supervisory work, etc. (3)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s of installment buildings, the current supervision system should be further strengthened to the level of the Construction Engineering Management Law or the Residential Building Act, and we found that under the present supervision system, the supervision of the construction by the actual project owner and the construction company was not being carried out efficiently. Furthermore, compared to the supervision works related to construction supervision emphasizing accountability or construction supervision of apartments, we found that the supervision work at mixed-use residential buildings and public utility buildings were unsatisfactory. This brought about the demand for the improvement of the current system. (4) Based on the analysis of related literature, investigation of current status, and survey, we present an alternative system. As an alternative to the supervisor designating method, we need to add to the current standard scope of mixed-use residential buildings, which are subject to the Residential Building Act, to 300 households. And, in connection with the selection standard for supervisors for the construction of public utility buildings, it is necessary to apply a more stringent evaluation criteria of his technical abilities. Similarly, as in the selection of a supervisor in the electrical, communications and the fire sectors, a supervisor in the construction sector should be made to undergo similar technical evaluations. (5) As a measure to improve supervision-related works, it is important to ensure that the supervising agent is given full empowerment, and to this end, it is first necessary to restore 13 work items that is currently outsided work scope, and to simplify work processes. In addition, it is important that supervision fee of appropriate amount should be paid to conduct supervision work, and accordingly, the project consigning company (consignor) should paid a third party such supervision fee prior to the commencement of the construction process. (6) Through the improvement of the current supervision system, we can expect to see an increase in the quality of the installment buildings and raise trust between the building owner and the user, development in construction technology, and lastly, promote international competitiveness between the major participants, such as supervision companies.

      • 대형복합건축물 재난관리업무 종사자의 직무만족도 영향요인 분석 및 향상방안 연구

        정민경 명지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7807

        건축물의 초고층화와 더불어 다양한 건물의 형태, 복잡한 구조는 물론이고, 많은 인구의 수용을 위해서, 국토면적이 적은 우리나라는 초고층 건축물을 비롯한 복합건축물들이 급속도로 증가하고 있다. 하지만 이런 대형복합건축물의 안전관리업무를 수행하는 종사자들은 여전히 외부로 위탁관리하는 방식이 대부분인 현실이다. 이에 본 연구는 대형복합건축물의 전기, 가스, 소방, 기계설비 등 재난관리업무에 종사하는 종사자들의 관리형태, 직급별, 연령별, 자격현황별로 직무만족도의 영향요인 분석을 통하여, 대형복합건축물 종사자들의 효율적인 재난관리업무를 위한 직무만족도 향상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연구절차는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직무만족 요인들을 분석하고, 대형복합건축물 등의 현황, 종류, 형태, 사고사례 등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선행연구를 토대로 설문항목을 개발하였으며, 설문조사는 재난안전관리업무를 일괄로 위탁관리하는 외주용역업체 T사 150명과 직접관리하는 대형복합건축물 4개소 40명, 총 190명에게 배포하였다. 103명에게서 설문을 회수하여, 회수율은 평균 54%로, 응답자 중 항목에 대한 미응답으로 4명의 응답은 결측처리하고, 최종 99명으로 설문결과를 통계처리하였다. 설문결과의 분석은 SPSS Statistics 25 및 AI기반의 통계분석 솔루션인 DataIN 프로그램을 사용하였으며, 빈도분석, 요인분석, 신뢰도 분석을 실시한 후, 가설검증을 위한 독립표본 t-검정, 일원분산분석, 경로모형, 확인적 요인분석,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조사결과 요인분석은 KMO 값이 0.930으로 신뢰도가 상당히 좋은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유의확률은 0.000으로 유의하게 분석되었다. 신뢰도 통계량은 23개 항목의 크론바흐 알파값이 0.953으로 신뢰도가 0.900보다 높게 분석되었다. 대형복합건축물에서 재난관리업무를 수행하는 종사자들은 관리형태별, 직급별, 연령별, 자격현황별로 직무만족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관리형태의 경우, 동기부여, 개인역량, 근무여건, 급여후생은 높을수록 관리형태(소속)에 부(-)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영향력의 크기는 근무여건, 급여후생, 개인역량, 동기부여 순으로 나타났다. 직급의 경우, 기분과 정서, 자기효능감, 업무량, 근무시간이 높을수록 직급에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영향력의 크기는 업무량, 기분과 정서, 근무시간, 자기효능감 순으로 나타났다. 정(+)적 영향을 미치는 내재적 요인은 기분과 정서, 자기효능감, 비전, 직무독립성으로 나타났고, 외재적 요인은 업무량, 근무시간이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부(-)적 영향을 미치는 내재적 요인은 동기부여, 개인역량이 있으며, 외재적 요인은 업무량, 근무시간, 근무여건, 급여후생이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여기서, 업무량과 근무시간은 정(+)적 영향과 부(-)적 영향에 함께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대형복합건축물 재난관리업무 종사자들의 직무만족에 대한 유의미한 공통변수로는 비전, 기분과 정서, 성격, 동기부여, 리더십, 자기효능감, 개인역량, 직무독립성, 직무수행, 보수, 고용안정, 근무여건, 상사관계, 동료관계, 근무시간 등 15개 변수로 나타났으며, 업무량은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는 공통변수로 분석되었다. 대형복합건축물 재난관리업무 종사자들의 직무만족도 향상을 위해서는 영향력이 큰 근무여건, 급여후생, 개인역량, 동기부여, 업무량, 기분과 정서, 근무시간, 자기효능감, 헌신적 태도, 비전, 직무독립성 등 11개의 직무만족 요인을 정(+)적 영향과 부(-)적 영향을 구분하여 최우선적으로 개선할 필요성이 있다. 특히 관리형태별에서 직접관리와 위탁관리의 차이는 근무여건, 급여후생, 개인역량, 동기부여 개선을 위한 법적, 제도적인 측면의 보완이 필요하다. 직무만족 영향에 크게 미치는 비용편익을 고려한 근무여건 개선 등에 대한 연구를 통하여 재난관리업무를 담당하고 있는 종사자들에 대한 직무만족도 향상으로 대형복합건축물의 안전을 확보하고, 재난 없는 안전한 사회가 되기를 기대한다. Along with the introduction of high-rise buildings, various types of buildings, and complex structures, in order to accommodate a large population, complex buildings including high-rise buildings are rapidly increasing in Korea, which has a small land area. However, the reality is that most of the workers who perform safety management tasks for these large complex buildings are still entrusted with external management. In this study, through the analysis of factors affecting job satisfaction by management type, position, age, and qualification status of workers engaged in disaster management such as electricity, gas, firefighting, and mechanical facilities in large complex buildings, it was intended to suggest a plan to improve job satisfaction for efficient disaster management. As for the research procedure, job satisfaction factors were analyzed based on previous studies, and the current status, type, form, and accident cases of large complex buildings were investigated. Survey items were developed based on previous studies, and the survey was distributed to a total of 190 people, 150 people from company T, an outsourcing service company that entrusted management of disaster safety management, and 40 people from 4 large complex buildings directly managed. The survey was collected from 103 people, and the average response rate was 54%. Among the respondents, 4 responses were treated as missing due to non-response to the items, and the survey results were statistically processed with the final 99 people. For analysis of the survey results, SPSS Statistics 25 and DataIN program, an AI-based statistical analysis solution, were used. Frequency analysis, factor analysis, and reliability analysis were conducted, followed by independent sample t-test, one-way ANOVA, path model,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and regression analysis for hypothesis verification. As a result of the investigation, the factor analysis was analyzed to have a fairly good reliability with the KMO value of 0.930, and the significance probability was analyzed to be 0.000. Reliability statistics showed that the Cronbach's alpha value of 23 items was 0.953, which was higher than 0.900. It was analyzed that there was a difference in job satisfaction for those who performed disaster management work in large complex buildings by management type, position, age, and qualification status. In the case of management type, the higher the motivation, individual competency, working conditions, and salary benefits, the higher the management type (affiliation) was found to have a negative (-) effect. The size of the influence was in the order of working conditions, salary and benefits, personal competency, and motivation. In the case of position, the higher the mood and emotion, self-efficacy, workload, and working hours, the higher the positive effect on the position. Here, the size of the influence was in the order of workload, mood and emotion, working hours, and self-efficacy. Mood and emotion, self-efficacy, vision, and job independence were found to be intrinsic factors that had a positive (+) influence, and workload and working hours were analyzed as extrinsic factors. Motivation and personal competence were intrinsic factors that had a negative (-) influence, and workload, working hours, working conditions, and salary benefits were analyzed as extrinsic factors. Here, workload and working hours were analyzed to have both positive (+) and negative (-) effects. Fifteen variables were found as significant common variables for job satisfaction among workers in disaster management of large complex buildings: vision, mood and emotion, personality, motivation, leadership, self-efficacy, personal competence, job independence, job performance, remuneration, employment stability, working conditions, relationship with supervisor, relationship with colleagues, working hours, etc. Work load was analyzed as a common variable that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order to improve the job satisfaction of large complex building disaster management workers, there is a need to prioritize improvement of 11 job satisfaction factors, by dividing them into positive (+) and negative (-) effects, including the working conditions, salary benefits, personal capabilities, motivation, workload, mood and emotions, working hours, self-efficacy, dedicated attitude, vision, job independence, etc. In particular, the difference between direct management and consignment management by management type requires supplementation in legal and institutional aspects to improve working conditions, salary benefits, individual capabilities, and motivation. It is expected that the safety of large complex buildings will be secured and a safe society without disasters will be secured by improving the job satisfaction of workers in charge of disaster management through research on improving working conditions in consideration of cost-benefit effects that greatly affect job satisfaction.

      • 建築物群 配置形態에 따른 風環境 評價에 관한 硏究

        위성융 弘益大學校 大學院 2001 국내석사

        RANK : 247807

        미기후를 고려하는 도시설계는 인간의 안락함을 기반으로 한다. 인간의 안락함은 기온, 습도, 태양과 도시 환경으로부터의 방사열, 풍속과 같은 5가지의 변수에 의해 결정되며, 안락함의 변수 중 환경에 가장 많이 영향을 미치는 것이 태양과 바람이다. 우리나라의 건축물 설계에서는 건축법에 의한 규제로서 일조권을 확보할 수 있는 태양에 대한 고려는 이루어지고 있다. 하지만, 일조와 더불어 도시 환경을 조성하는 바람에 대한 연구는 건축물 자체의 문제를 극복하기 위한 건축물의 구조적인 시각에 머물러 있을 뿐 건축물에 의해 조성되는 외부 풍환경 대한 구체적인 기준 및 연구 평가는 진행되지 않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비해 도심지내의 고층화·고밀화된 건축물 주변에서 변화된 바람에 의해 형성된 강풍 영역에서는 빌딩풍으로 인한 보행환경의 악화, 구조물의 파손, 인명 피해 등을 발생시켜 인간활동에 각종재해를 유발하고 있으며 저풍 영역은 도시열섬효과를 극복하고 서늘한 미기후를 조성할 수 없게 한다. 도심지 건축물에 의한 풍환경은 고층화·고밀화되는 지역일수록 더욱 악화될 것이고 풍환경의 악화는 도시 환경에 막대한 지장을 초래할 것이다. 그러므로 도시의 안락한 기초 환경을 조성하기 위해서는 도심지의 건축물군의 빌딩풍에 의해 발생되는 강풍영역에서는 바람으로 인한 피해를 극복하고 저풍 영역에서의 바람의 정화 능력을 실현할 수 있는 건축물의 형태 및 배치에 따른 바람에 대한 연구가 실행되어져야만 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는 외부공간의 안락한 풍환경을 조성할 수 있는 건축물 계획 방법을 제안하기 위해 첫째, 국내·외의 풍환경 평가에 대한 연구를 고찰 하여 배치 형태가 다른 가상 건축물群의 모델 설정한 후 전산유체(C.F.D.)로서 건축물群에서 발생하는 바람의 변화를 시뮬레이션하여 가시화 하였다. 둘째. 시뮬레이션의 예측결과는, 바람의 와이블(Weibull) 분포를 이용한 초과 확률적 방법으로 구해진 평가기준을 척도로한 확률적 평가방법에 의해, 가상건축물群의 모델을 비교하여 배치 및 형태에 따른 건축물群의 풍환경 평가하였다. 셋째, 건축물군에서 풍환경 평가의 적용방법에 관해 연구하고자 여의도에 건설중 인 D사의 주상복합건축물 주변을 대상지로 선정하여 동일한 예측 및 평가 방법을 실시함으로서 저층건물군에 고층건물이 건설될 경우에 풍환경 변화에 관해 고찰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전술한 풍환경 예측 및 평가의 결과로서 풍해설(風害設) 관점에서 빌딩풍해를 유발하고 풍익설(風益說)관점에서 적용될 수 있는 건축물의 배치와 건축물群에 형상을 고찰하였으며, 이에 사례연구 및 건축법규를 고찰하여 보행자의 안전과 안락함을 제공하고 도시의 오염물질을 이동시킬 수 있는 건축물群의 배치형태 계획방법을 제안하였다. The urban design generally focusing on the human comfort should consider micro-climate as well as other factors such as efficiency, aesthetics, etc. There are five variables that explain the comfort in the aspect of micro-climate, such as temperature, humidity, heat radiated from the Sun and the urban environment, and wind velocity. Among them, the heat from the Sun and the wind velocity could be regarded as ones of the most fundamental factors because the two factors are associated with the others. In Korea, while the right to light in architectural design is emphasized and protected under legislation, there is no consideration on wind in the process of design and construction of urban spaces, and no legislative contents about it. Moreover, even the existing studies on wind have been focused only on impacts on buildings themselves. There are limited number of studies on wind associated with buildings and their surrounding spaces. Buildings and urban spaces greatly affect the wind around the area, and create strong wind zones and weak wind zones. In a strong wind zones, The wind created around buildings in high-rise and high-density urban environment has some negative impacts on the human comfort. It could cause not only deterioration of pedestrian spaces and damage to building structures, but also loss of human lives. On the other hand. A weak wind zone impedes creation of cool micro-climate as it overcomes the effect of urban heat island. The wind environment of urban construction could change for the worse especially in a more highly risen and dense building areas and this could cause tremendous problems for the urban environment. In this regard, this study suggests three alternative plans for establishing a comfortable wind environment, particularly the exterior space of building structures. First, after reviewing various domestic and international studies on wind environment, the study sets up models of imaginary buildings with different layouts. A simulation method was used to observe the changes in wind measured through C.F.D. (computational fluid dynamics) within these groups of buildings. Second, results of the simulation were obtained from a measurement scale created using the excess probability method, which is based on Weibull distribution of wind. Using this measurement, the study evaluated the wind environment of the groups of buildings according to their layout and form by making comparisons among the models of imaginary groups of buildings. Third, in order to study the application method of wind environment evaluations in groups of buildings, the surrounding areas of D Inc.'s mixed-use building in Youido, which is in the process of building, was selected as the site for the study. By using the aforementioned evaluation method, the study examined the changes in wind environment occurring when high-rise buildings are built next to the area consist of low buildings. In sum, this study presented results of wind environment prediction and evaluation of wind flow problems around buildings in the context of what is harmful for the wind. Also, focusing on what is useful for the wind, the study examined the layout and form of building groups upon which some case studies and architectural layout were observed. As a way to provide pedestrian safety and comfort, the study proposed ways of planning the layout of building groups that can help remove contaminated materials from urban areas.

      • 근대건축물 리모델링의 역사성 표현방법과 인지특성 연구

        조인성 전남대학교 2016 국내박사

        RANK : 247807

        우리의 도시는 새로운 것을 추구하는 것에서 과거의 재해석을 통해 현대와의 공존을 추구하는 흐름으로 변화하고 있고, 건축물에 내재되어 있는 역사성을 보존하고 과거의 건축물의 활용을 통해 그 가치를 이어오고 있다. 특히 근대건축물은 문화재적 가치보다는 활용의 가치를 추구하는 인식이 있어, 건축물 본래의 상태를 그대로 보존하는 원형보존방안보다는 적극적인 리모델링을 통해 재생되어 다시 사용하고 있는 시점이다. 본 연구는 근대건축물 리모델링의 가장 차별적인 특징인 역사성을 표현하는 방법에 대한 실제 사례 분석을 통해 역사성 표현요소 및 표현방법을 분류하고, 표현요소별 세부 표현방법을 심층 분석하고자 한다. 또한, 역사성 표현방법에 대한 인지특성 평가를 통해 향후 유사 계획단계에서 활용할 수 있는 정량적 데이터를 도출하고, 이를 분석하여 근대건축물 리모델링의 역사성 표현방법에 대한 계획방향을 제안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근대건축물 리모델링 계획에 나타난 역사성 표현방법을 분석하기 위해 실제 리모델링되어 활용되고 있는 사례를 분석하고 표현요소별로 분류하였다. 이를 토대로 인지특성에 대한 평가를 실시하였으며, 이에 대한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역사성을 표현하는 요소에 대해 사례 분석을 통해 보면 외부적 요소가 매우 강조되었다. 근대건축물이 가진 상징적인 입면을 볼 수 있는 전면 외부공간을 조성하는 방식이나 입면 전체를 보존시켜 과거 건축물임을 인지시키는 방식, 기능에 관계없이 과거의 상징적 요소를 유지시키고 이를 보여주는 방식에서 이와 같은 특성을 도출할 수 있다. 이와 관련된 인지특성 평가에서는 전문가와 전공자 집단의 경우 외부적 요소를 선호하는 반면, 일반인 집단은 이용하면서 느낄 수 있는 내부적 요소를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역사성을 표현하는 다양한 방법이 있지만 실제 사례에서 사용한 방법은 상당히 편중되어 있는 양상으로 나타난다. 특히 외부적 요소에서 주로 나타났으며, 내부적 요소의 경우에는 하나의 방법보다는 다양한 방식들이 시도되었다. 또한 인지특성 평가에서 역시, 전문가와 전공자 집단은 요소별 선호도 분포 편차가 적은 반면, 일반인 집단의 경우는 선호하는 정도가 극명하게 나뉘는 형태로 나타났다. 이는 전문가들은 모든 요소를 한 건축물 내에 표현하고자 한다면 일반인의 경우는 특정 방법을 추구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셋째, 역사성을 표현함에 있어 과거를 다루는 방식에 차이를 보이고 있다. 대부분의 사례에서 근대건축물이 가진 역사성 중 과거 자체를 직접적으로 표현하려는 경향이 나타났다. 과거 건축물의 입면이나 상징적인 요소, 건물 형태를 원형 그대로 보존시키는 방식, 과거의 내부 공간구성방식이나 구조체를 그대로 남겨두는 방식을 통해 의도적으로 과거라는 역사성을 표현하였다. 하지만 일부 사례에서 과거와 현재를 공존시켜 시간성을 표현하는 방법이 시도되기도 하였다. 건축물을 증축하면서 과거 건물과 대비되는 외장재인 유리를 사용하는 방법, 과거 구조체인 기둥을 유지하면서 이를 전시하듯 유리판을 설치하는 방식, 내부 마감을 현대적인 느낌으로 하면서 노출형 천정을 계획하는 방식에서 이와 같은 특성을 도출할 수 있다. 이는 인지특성 평가에 있어서도 선호도와 이용자 반응과의 차이를 보이는 요소로서 특히, 새롭게 역사적 상징물을 조성하거나 구조체를 노출시키는 방식의 경우 선호도에 비해 이용자 반응이 매우 높게 나타났다. 이러한 방법은 향후 근대건축물 리모델링 시 역사성 표현방식으로 고려해야 할 중요한 요소라 판단된다.

      • 소규모 단일용도 상업건축물의 활성화를 통한 가로경관 개선방안 연구 : 신사동 가로수길 건축물 사례를 중심으로

        신현식 연세대학교 공학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7807

        본 연구는 주거지역의 대표적 저층형 상업가로인 신사동의 제이타워에서 신사동주민센터 까지 655미터 구간의 가로수길에 위치한 상업건축물의 사례를 분석하여 향후 소규모 상업건축물에 대한 제도적, 정책적 적용 가능성을 제시함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의 방법은 문헌연구와 사례연구로 진행하여 상업건축물의 물리적 특성을 연구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연구대상 가로의 상업건축물 69개동 중에 단일용도 상업건축물은 29개동 42.02%의 비율로 나타나 다른 상업가로 보다 단일용도 상업건축물이 활성화 되어 가로수길의 장소성과 정체성 확립에 중요한 구성 요소로 자리하고 있음을 확인해 볼 수 있었다. 둘째, 신사동 가로수길 상업건축물에 부착된 간판 수는 총 309개 이었으며 그중 단일용도 상업건축물 1개동 간판의 수는 평균 1.5개로 복합용도 상업건축물 1개동의 평균 간판 수 6.6개 보다 적게 부착되어 상업건축물 고유입면의 정체성이 적극적으로 표현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셋째, 복합용도 상업건축물의 간판 유형은 점포마다 대부분 외벽 마감재에 덧댄 판류형의 형태로 간판의 파사드의 벽 면적 점유로 인해 건축물 고유입면을 드러내지 못하고 있었으나 단일용도 상업건축물의 간판은 간판정비사업지에서 흔하게 볼 수 있는 획일적이고 몰개성적인 유형이 아닌 개성적인 입체문자형과 더불어 파사드를 차별화된 디자인을 통한 브랜드 마케팅의 도구와 홍보 매체화로 표현하여 건축물과 간판이 일체화 되어진 모습으로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걷고 싶은 거리”의 가로경관 형성요소로 기여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연구결과에서 나타난 문제점을 해소하고 상업건축물의 입면 특성을 고려하여 활성화 방안을 제언 하고자 한다. 첫째, 상업건축물의 입면 특성을 고려하여 지역의 자연환경이나 역사ㆍ문화 등의 인문환경을 정확하게 파악하여 지역의 특성과 의미를 고려해서 디자인에 반영되어야 한다. 둘째, 브랜드 인지도를 갖춘 차별화된 디자인의 특화 전문점이 확충되어야 한다. 상업건축물을 브랜드의 홍보와 마케팅의 도구로 극대화 하여 표현하고 있는 플래그쉽 스토어와 같이 단일화된 운영주체의 통합적 건축물 유지관리와 입면관리가 가능해지면, 개별 업소 간판 등 옥외광고물의 홍수로 어지럽고 혼란스러운 상업건축물의 입면 개선효과는 분명히 나타날 것이며 도시 가로경관 개선에 큰 효과를 줄 것으로 판단된다. 셋째, 규모에 따른 건축기준 강화항목과 범위설정이 확대되어야 한다. 이를 통해 소규모 필지에서의 상업건축물 건축에서부터 주택 건축에서와 같은 제어적인 규제를 만들어야 한다. 넷째, 기준 완화(인센티브) 범위설정이 확대되어야 한다. 상업건축물의 건축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것은 사업성이며 그것의 판가름은 건축법에서 정하고 있는 용적율의 제한이나 부설 주차장 설치 기준의 완화를 통한 인센티브를 적극 제시하여 활성화를 적극 유도하는 방안을 만드는 것이라 할 수 있다. 본 연구는 소규모 상업건축물에 대한 법제도 뿐 아니라 실행수단의 중요성을 사례분석 하였다는 데에 의의를 가질 수 있다. 그러나 신사동 가로수길 단일용도 상업건축물에 한정하였기 때문에 한계점을 가지고 있다. 향후에는 사례분석의 객관화를 위해 도시 내 활성화된 좀 더 다양한 형태의 상업가로에 대한 분석이 필요하며, 실무적 차원에서 보완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The objectives of this research are to suggest feasibility study in terms of policy implementation and policy making by analyzing existing commercial structures, and to collect basic data for urban landscaping in order to grope a decision making tool for urban landscaping. This research probes single-purposed commercial buildings lying 655m from J-Tower and Sinsadong Community Service Center in Sinsadong Garosoo-gil Street. The physical characteristics of the area are examined by both literary researches and case study. First of all, total of 29 commercial structures, among 69 commercial structures of the research zone, are single-purposed commercial structures, accounting for 42.02%. And this research shows that the cultural and local identity of Sinsadong Garosoo-gil Street are defined by the comparably higher concentration of single-purposed commercial buildings. Secondly. a quantitative study for the signs on commercial structures in Sinsadong Garosoo-gil is carried out, and it shows that total number of signs attached to commercial buildings were 309. and average of 1.5 signs are attached on the 29 single-purposed commercial structures, while average of 6.6 signs are attached on 40 multi-purposed commercial structures. As one can see, fewer signs on a building helps promoting the identity of the building. And most signs on facades of the single-purposed commercial buildings are well fit to structural identities, while enhancing external identities and protecting the affordance of facades. Thirdly, most multi-purposed commercial buildings have rather simple panel-type signs attached on the building exterior and facade, consequently hiding and covering building’s original design. On the contrary, the signs on single-purposed commercial buildings have distinguished design and dimensional fonts, enhancing facade expression and its originality. And consequently the harmonized feel of building and signs become a brand promotion tool, being a essential parts of the street and making Sinsadong Garosoo-gil Street to be one of the most favorite “want-to-walk street” in Korea.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s how to invigorate street environments by solving existing problems and in consideration of façade expression of commercial structures. First of all, architects should consider the natural, cultural, historical aspects of the area with a vast research effort in order to reflect location's attributes and hidden meanings in designing commercial building's facade expression and overall structure. Secondly, more shops, known for their original design schemes, for business with brand power should be invited in the area. So-called flagship stores are known for using commercial building for brand promotion and marketing. By inviting those flagship stores, single operation party, flagship store management can control both building maintenance and facade maintenance, resulting in harmonized image promotion, enhancing facade expression, while reducing the number of external signs and attachments of a building, and finally improving street environment. Thirdly, stricter architecture regulations for different building scale and extended regulatory scope should be introduced in order to control the design of small commercial buildings or housings even on small-scale land. Fourthly, more building incentives should be introduced. The most important aspects of a commercial building are profitability and business growth possibility. And those aspects are vastly affected with floor area ratio regulations or parking space rules. Therefore government should give more attractive incentives to those who plan to build commercial buildings. This research studies regulations for small-scale commercial buildings and the importance of implementation methods through case study. However the scope of this research is limited on the single-purposed small commercial building on Sinsadong Garosoo-gil Street. Therefore the limitation of this research is obvious. In the future, further researches should be carried out to analgize diverse urban commercial streets through more in-depth case studies in order to provide more objectified views. And different research methodologies can be used to supplement the weakness of current research metho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