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학교 기반 학부모교육 운영 실태와 발전방안 모색 : 서울특별시 초등학교를 중심으로

        홍진용 한국교원대학교 교육정책전문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7631

        이 연구는 자녀의 진로와 학습지도에 한정된 학부모교육에서 나아가, 능동적인 학교교육 참여 주체로서 학부모의 교육을 재조명하고, 체계적인 학부모교육 운영 내용과 방법 등 발전방안을 모색하고자 한 연구이다. 빠르게 변화하는 사회 속에서 국가의 인재를 양성하기 위한 학교교육의 기능을 강화하며, 이를 보다 효과적으로 하기 위해서는 학교뿐 아니라 가정과 사회가 긴밀하게 연계되어 이를 지원해야 하는데 공교육의 전문성과 효율성을 강화하고, 이와 함께 필수적으로 학부모의 학교 교육 참여의 역량을 강화하기 위한 학부모교육이 필요하다. 학부모교육을 통해 학부모의 역량을 강화함으로써 그 동안 학교 및 교원의 재정적 후원 등의 수동적 역할자에서 올바른 교육정책 수행 참여, 학생의 안전보호, 교원 평가 등 학교교육 참여의 능동적 참여자로서 함께 교육문제를 해결해 나가고, 이를 바탕으로 학교 교육의 질을 높여, 학교와 가정을 진정한 동반자인 교육공동체로 활성화하고자 함에 그 목적이 있다. 학부모들의 건전한 학교 교육 참여를 위해 정부에서는 2009년 5월 7일 교육과학기술부 내 정부 최초의 학부모 지원 조직인 ‘학부모정책팀’을 신설하고, 자녀교육 역량강화와 학교 참여 전문성 향상을 위한 학부모 역량 강화 교육, 학부모교육 기회 확대를 위한 찾아가는 학부모교육 활성화, 맞춤식 학부모교육 제공 등을 위한 학부모교육 확대, 평생교육기관에서의 학부모교육 비중 강화 등을 골자로 하는 평생교육을 통한 학부모교육 활성화를 위한 학부모교육 지원 확대 정책을 도입하여 추진하게 되었다. 초등학교 현장에서 학부모교육 운영 실태의 문제점을 진단하고, 향후 학부모교육 프로그램 운영의 효율적인 발전방안을 모색고자, 학부모교육 참여 현황 및 교육 프로그램 요구를 분석하기 위한 기초자료로서 초등학교 재학 자녀를 둔 학부모 및 학교 학부모교육 담당 교원들의 설문을 통해 요구조사를 실시하였다. 앞에서 실시한 학부모와 교원들의 요구분석을 통해 향후 학교에서 학부모교육 프로그램을 효율적으로 운영하기 위한 발전방안을 다음과 같이 제안한다. 첫째, 프로그램 준비 단계부터 학부모교육 프로그램 운영의 필요성을 확인하고, 학습자인 학부모들의 요구와 학교의 요구를 사전에 수렴하여 가장 최적의 교육 프로그램 내용과 강의, 홍보 방법, 실시 시기 및 전달 체계 등 학부모교육에 대한 전문 프로그램 내용 선정과 체계적인 연간 계획을 수립하여야 한다. 이를 위해 교육청과 인근 학교 등에서 기존에 실시한 학부모교육 프로그램 내용 등 정보 공유가 꼭 필요하다. 둘째, 프로그램 운영 단계에 있어서는 선정된 교육 프로그램에 꼭 필요한 전문 강사의 섭외, 시설정비, 재정적 자원을 확보하고, 프로그램이 대상 학부모들에게 정확하게 안내되도록 홍보하며, 교육 프로그램이 운영되어지는 전 과정 모니터링하고 수시로 관리를 할 필요가 있다. 셋째, 프로그램 정리 단계에서는 프로그램 운영의 목적 달성 여부 및 프로그램의 성과를 학부모들이 만족하였는지, 프로그램이 원활하게 진행되었는지를 다면적으로 평가한 후 추후 프로그램 운영에 피드백 함으로써 향후 보다 효율적인 학부모교육 프로그램을 운영할 수 있도록 하여야 한다. 또한, 학부모교육을 운영할 수 있도록 하는 법적 근거 마련, 전문성을 갖춘 학부모교육 담당자의 배치, 담당 교원의 인센티브 제공, 학부모에게 맞는 교육시설의 정비, 지역 유관기관 네트워크 시스템 구축, 학부모교육 전문가 강사풀 운영 등 제반 인프라를 구축을 위해 교육청, 학교 및 지역사회 연계 기관들의 적극 협조가 있어야 한다.

      • PKNO(Problem-based learning for Korea Naval OJT) 퍼실리테이터 육성 프로그램 개발 연구

        홍진용 부산대학교 2009 국내박사

        RANK : 247631

        The contents of Korea Naval OJT (KNO) are mainly composed of strategies, tactics, equipment operation and equipment repair education. These types of education aim to develop naval officers’ competences such as job-related expert knowledge, problem-solving ability, creativity, cooperation, communication skills, and insight. For the development of these competences, KNO uses education methods such as lecture, discussion and practice. However, most of theoretical education is cramming through lectures, and has a limitation in developing competences required of naval officers. For this reason, it is necessary to introduce Problem-Based Learning (PBL) to KNO. In PBL, the teacher should be a facilitator who guides learning skillfully without directing learning or providing information on the contents of curriculums. In order to activate PBL, accordingly, we need to train facilitators to be employed in the field of education. In conclusion, the objective of the present study is to develop a program for competence enhancement PKNO (Problem-based Learning for Korea Naval OJT) facilitators and support KNO instructors who have completed the PKNO facilitator competence enhancement program so that they can play the role of a PBL facilitator in the field of education. For this purpose, this study executed research tasks as follows. First, identify job competences for PKNO facilitator competence enhancement. Second, make design strategies for developing the identified job competences effectively. Third, draft a program based on the strategies. Fourth, complete the development of a PKNO facilitator competence enhancement program through applying the draft to field users and improving it. This study was conducted as a qualitative research, and major methods used were literature review, case study, requirement analysis, interviews with specialists, interviews with learners, observation, reflective journal analysis, videotaping, etc. For enhancing the validity of research, we performed triangulation and member check. The detailed research tasks performed are as follows. First, in order to test if the drafted job competences of PKNO facilitators are valid for KNO, we interviewed specialists from various areas, and selected 11 job competences for PKNO facilitators, which were PBL understanding, facilitator understanding, team building ability, questioning ability, listening ability, feedback ability, discussion promotion ability, learning environment promotion ability, critical analysis ability, PBL operation ability, and learning environment composition ability. Second, strategies to design a program for competence enhancement PKNO facilitators’ job competences listed above are as follows. First, apply a PBL process suitable for the characteristics of the navy, and remove communication barriers such as hierarchical atmosphere and ranks. Second, improve team building ability effectively through learning style inventory. Third, enhance performance of understanding. Fourth, present simple to complex problems in accordance with simplifying condition method. Fifth, execute the program effectively by supporting learners’ activities, facilitators’ activities, learning elements (tools, information, etc,), learning environment, etc. according to key learning process. For the drafted program developed based on these strategies, we performed formative assessment twice with KNO instructors who were the field users, and completed the PKNO facilitator competence enhancement program by correcting problems identified from the formative assessment. The academic significances and uses of the developed PKNO facilitator competence enhancement program are as follows. First, because the program is not job- or task-oriented but competences-oriented, it can improve PKNO facilitators’ knowledge, skill and attitude effectively through education and training. Second, the program simplifies contents or tasks, but it does not divide them into pieces but approaches holistically, and it is more learner-centered than teacher-centered or contents-centered. Therefore, the program can cope actively with today’s change of education paradigm. Third, because the PKNO facilitator competence enhancement program was developed with the object of job education, it is expected to be easily applicable to other armies and enterprises with similar characteristics. 해군의 실무부대에서는 KNO에서 실무현장과 연계된 교육을 할 것을 요구하고 있고, 국방부에서는 실무현장에서 일어나는 사례연구(Case Study)중심으로 교육을 하여 실제성을 높일 것을 강조하고 있다. 즉, 교육 수료 후 실무부대 배치시 즉각 임무 수행을 할 수 있는 교육을 요구하고 있다. 본 연구는 이러한 해군 실무부대의 요구사항과 국방부의 교육방침을 고려하여 해군 간부들에게 실무현장에서 발생하는 상황에 대해 신속하고 효과적으로 조치할 수 있는 전문지식과 창의적 문제해결능력, 통합적 판단 및 통찰력, 협력 및 협동심, 의사소통력, 창의성 등을 육성하기 위한 방안의 하나로서 KNO에 PBL의 도입이 요구되는 필요성과 실제 PBL을 교육현장에 적용할 퍼실리테이터의 육성이 요구되는 필요성에 의해 진행되었다. 왜냐하면, PBL은 창의적 사고를 기반으로 문제해결력을 높일 수 있는 교수학습방법이며 PBL을 도입하면 전문지식습득과 문제해결능력 향상 뿐 만 아니라 실무현장과 연계된 다양한 능력을 육성할 수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KNO에서 교수자를 육성하는 교관연수교육에서는 교관이 PBL 퍼실리테이터 역할을 하도록 지원할 수 있는 교육은 실시하지 않고 있으며 문헌 연구와 기존 PBL 퍼실리테이터 육성 프로그램들을 분석한 결과 해당 조직과 학습자들의 특성 등에 따라 PBL 프로세스와 프로그램의 구성이 조금씩 달라서 이를 KNO에 바로 도입하기 어려웠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KNO 특성에 맞는 PKNO 퍼실리테이터 육성 프로그램을 개발하고자 하였다. 결론적으로 연구의 목적은 PKNO 퍼실리테이터 육성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PKNO 퍼실리테이터 육성 프로그램을 이수한 KNO 교관들이 교육현장에서 실제적인 PBL 퍼실리테이터 역할을 수행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것이다.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연구 과제는 첫째, PKNO 퍼실리테이터 육성을 위한 직무역량이 무엇인지를 도출하고 둘째, 도출된 직무역량을 효과적으로 육성할 수 있는 설계 전략을 도출 하는 것이며 셋째, 이러한 전략을 바탕으로 프로그램 초안을 개발하는 것이다. 넷째, 현장 사용자를 대상으로 형성평가를 실시하고 개선을 통하여 PKNO 퍼실리테이터 육성 프로그램 개발을 완성하는 것이다. 본 연구의 연구방법은 질적 연구의 하나로서 개발연구를 실시하였으며 주요연구 방법은 문헌 및 사례분석, 요구분석, 전문가 인터뷰, 학습자 인터뷰, 관찰, 성찰일지 분석, 비디오촬영 등이며 연구의 타당도를 높이기 위해 삼각검증법과 구성원 검토를 실시하였다. 연구과제별 세부연구결과는 첫째, 도출된 PKNO 퍼실리테이터 직무역량 초안이 KNO에 타당한지를 검증하기 위하여 다양한 분야의 전문가를 대상으로 인터뷰를 실시하여 PBL이해, 퍼실리테이터이해, 팀빌딩능력, 질문능력, 경청능력, 피드백능력, 토론촉진능력, 학습분위기촉진능력, 비판적분석능력, 학습환경구성능력, PBL진행능력 등 11가지를 최종적인 PKNO 퍼실리테이터 직무역량으로 선정 하였다. 둘째, 이러한 PKNO 퍼실리테이터 직무역량을 효과적으로 육성하기위한 프로그램 설계 전략은 다음과 같다. 첫째, 해군 영역 특성에 맞는 PBL프로세스를 적용하고, 위계적 분위기 및 계급에 의한 의사소통 제한을 해소하기 위한 전략을 선택하는 것이다. 둘째, 학습양식검사를 통한 효과적인 팀 빌딩 능력 향상이다. 셋째, 수행을 통한 이해의 증진이다. 넷째, 단순화조건방법을 기반으로 단순 문제에서 복잡한 문제 제시 전략이다. 다섯째, 프로그램을 지원하는 전략으로서 핵심학습 프로세스별로 학습자 활동, 퍼실리테이터 활동, 학습지원(Tool, Info)요소, 학습환경 등을 효과적으로 지원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은 전략을 기반으로 개발한 프로그램 초안에 대해서 현장 사용자인 KNO 교관을 대상으로 형성평가를 2회 실시하였으며 형성평가 시 나타난 문제점을 수정 ? 보완 하여 PKNO 퍼실리테이터 육성 프로그램 개발을 완성하였다. 개발된 PKNO 퍼실리테이터 육성 프로그램의 학문적 의의 및 활용도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직무 또는 과제 중심이 아니라 역량 중심으로 프로그램을 개발하였기 때문에 PKNO 퍼실리테이터에게 필요한 지식, 기술, 태도를 교육훈련을 통해 효과적으로 개선할 수 있을 것이다. 둘째, 내용이나 과제를 단순화 하되, 이를 낱개로 분해하지 않고 전체론적인 접근을 하고 교사중심과 내용중심의 교수에서 학습자 중심의 교수로 활용하는데 중점을 두었다는데 의의가 있다. 셋째, PKNO 퍼실리테이터 역량강화 프로그램은 직무교육을 위한 목적으로 개발되었기 때문에 비슷한 특성을 가진 타군 및 기업교육에서도 용이하게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 Fabrication of shape-controlled graphenes based on ‘Top-down’ and ‘Bottom-up’ approaches and their applications

        홍진용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3 국내박사

        RANK : 247631

        Graphene, typically composed of one-atom-thick layer of carbon in a 2D hexagonal lattice, is a basic building block for graphitic materials of all other dimensionalities. The graphene has attracted tremendous worldwide attention because of their fascinating properties different from those of the carbon-based graphitic materials (e.g., extremely high charge carrier mobility, large specific surface area, thermal/electrical conductivity, and chemical/mechanical stability). Up to date, various synthetic methods for preparing graphene have been developed. However, most previous synthetic methods suffer from the precise control of the size, shape, edge, layer of graphene sheets. Consequently, it is still challenging to produce graphene with tailored morphology and diameters for various applications. This dissertation describes the two different ways in the synthetic methodology of graphene will be presented in the viewpoint of top-down approach and bottom-up approach. As a ‘top-down approach’, the graphene sheets with well-defined shape are successfully fabricated using a simple oxidation and exfoliation process of high-crystalline carbon nanofibers (CNFs). Interestingly, the diameter and shape of the graphene sheets can be controlled by selectively designing the morphology of starting materials and optimizing the cutting method. As a ‘bottom-up approach’, graphene sheets are formed using layer-by-layer (LbL) self-assembly approach with a metallic dopant. The LbL approach is used to form poly(allylamine)(PAA)/poly(styrenesulfonate) (PSS) multilayer on a quartz substrate. During the carbonization process, the PSS layers can be transformed into graphene sheets due to its inherent aromatic and highly ordered structure. PAA layers served to protect the structural layers as well as prevent the agglomeration of graphene sheets. Most, importantly, these novel approaches can be used as an alternative tool for fabrication of various carbon-based nanomaterials with rational nanostructure design and may offer an opportunity for the further investigation of industrial applications, and might be expanded to allow the applications of graphene sheets in a wide range of areas (e.g., Transparent electrode, dipole antenna, acoustic actuator, nucleating agent, nano-filler, electro-responsive materials, and so on.).

      • Presynaptic dopamine depletion predicts levodopa-induced dyskinesia in de novo patients with Parkinson's disease

        홍진용 Graduate School, Yonsei University 2014 국내석사

        RANK : 247615

        Although presynaptic dopamine depletion has been considered essential for the development of levodopa-induced dyskinesia (LID) in patients with Parkinson’s disease (PD), this association has been difficult to demonstrate. It was investigated whether the magnitude of presynaptic dopamine depletion is a risk factor for the development of LID in this study by quantitatively analyzing 18F-FP-CIT positron emission tomography (PET) data. This retrospective cohort study enrolled a total of 127 drug-na?ve de novo patients with PD who completed 18F-FP-CIT PET scanning at their initial evaluation. The patients visited our outpatient clinic every 3?6 months and had been followed for a minimum of 2 years since beginning dopaminergic medication. The predictive power of the 18F-FP-CIT uptake of striatal subregions and other clinical factors for the development of LID was evaluated using Cox proportional hazard models. During a mean follow-up period of 3.4 years, 35 patients with PD (27.6%) developed LID. Patients with LID showed less dopamine transporter (DAT) activity in the putamen than did those without LID. Multivariate Cox proportional hazard models revealed that the DAT uptakes of the anterior, posterior, and whole putamen were significant predictors of the development of LID, whereas DAT activity in the caudate and ventral striatum were not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the development of LID. Additionally, younger age at onset of PD and higher dose of levodopa were also significant predictors of LID. The present results provide convincing evidence that presynaptic dopaminergic denervation plays a crucial role in the development of LID.

      • L-DOPA-induced dyskinesia in a mouse model for Parkinson's disease produced by AAV vector-mediated overexpression of alpha-synuclein in midbrain dopaminergic neurons

        홍진용 Graduate School, Yonsei University 2021 국내박사

        RANK : 247615

        L-3,4-dihydroxyphenylalanin (L-DOPA) is the most effective drug in Parkinson’s disease (PD), but long-term L-DOPA therapy leads to an abnormal involuntary movements termed L-DOPA-induced dyskinesia (LID). Rodent model induced by 6-hydroxydopamine (6-OHDA) was used for studies for LID, however it failed to reproduce the pathological hallmarks of PD. A new rodent model using adeno-associated virus (AAV) vector-mediated overexpression of alpha-synuclein was introduced and it displayed alpha-synuclein aggregation and progressive loss of dopaminergic neuron. The purpose of present study is to provoke LID in parkinsonian mice produced by AAV vector-mediated overexpression of alpha-synuclein and to explore histologic features in dopaminergic and serotonergic neuronal activities. C57BL/6 mice were injected with AAV2/7 vector including human alpha-synuclein transgene in substantia nigra. Eight weeks later, 10mg/kg of L-DOPA was injected daily for 7 days and 25mg/kg of L-DOPA was injected for following 7 days. Abnormal Involuntary Movements (AIM) scores were rated for limb, axial, locomotive, and orolingual movements. The immunohistochemistry analyzed dopaminergic neuron loss in substantia nigra and degeneration of striatal dopaminergic and serotonergic fibers. LID was observed in two out of eleven mice at a daily dose of 10mg/kg L-DOPA and in all eleven mice at a daily dose of 25mg/kg L-DOPA. Tyrosine hydroxylase (TH)-positive nigral neuron in AAV vector-injected side was reduced by 25 to 70% of intact side, and optical density of striatal TH-positive fibers was reduced by 60 to 80%. The AIM scores were correlated with both TH-positive nigral neuron loss and optical density of striatal TH-positive fibers. Optical density of striatal serotonin transporter-positive fibers did not change. This study proved LID is produced in alpha-synuclein overexpressed mouse model. The results suggest that the role of dopaminergic and serotonergic activity in LID may differ between alpha-synuclein overexpressed and 6-OHDA-induced model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