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독도 체험장 축조를 위한 천해설계파 산정

        홍석현 건국대학교 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631

        독도는 행정구역상 경상북도 울릉도 울릉읍 독도리에 속하는 우리나라 고유의 영토이다. 그러나 일본은 1905년 독도가 무주지 (無主地)였다는 것을 주장하며 선점을 통한 영토 편입으로 자국의 영토가 되었다며 주장하고, 이와는 별도로 17세기 초부터 일본이 실질적인 점유를 한 고유영토라고 주장하고, 이는 현재까지 계속되고 있다. 특히, 1994년 발효한 UN해양법협약에서는 섬에 대해 200해리 배타적 경제수역 (EEZ)을 인정하고 있는 상황에 일본은 한국과 중첩되는 경제수역의 경계를 정함에 있어 독도를 자국의 영토라는 전제하에 기선을 확정하겠다고 밝혀 한일 양국간에 큰 마찰이 존재하고 있다. 이에 따라 우리 정부는 독도문제에 대하여 외교마찰을 우려하여 조용한 외교를 펼쳐왔으나 최근 적극적으로 대응하는 방식으로 바뀌었다. 그 대표적인 예가 2005년부터 동도에 한해서만 일반인의 출입이 가능하도록 정부방침이 변경되었다. 따라서 예전에는 입도허가제로 승인을 받은 다음 출입을 할 수 있었으나, 지금은 신고제로 전화되어 독도에 들어가기가 훨씬 간편해졌다. 이는 독도에 대한 실효적 지배를 강화하는 정책이다. 시민들도 독도에 관한 관심이 커지고 있고 독도 방문에 횟수도 늘어나고 있다. 하지만 방문에 문제점은 분명히 있다. 그 해결책으로 독도 이용방안으로 들 수 있다. 독도 이용방안은 크게 세 개로 나눌 수 있다. 첫째, 독도 방파제의 건설이다. 독도의 접안 일수는 1년에 40~50일 밖에 되지 않는다. 파고가 1m만 되어도 독도에 접안을 제대로 하지 못 한다. 접안이 불편함에 따라 서동도 현지주민 및 주민생필품 수송에 공급이 어렵고 인근 조업어선 대피를 위한 어선대피가 어렵다. 이에 따라, 독도 방파제는 반드시 필요하며, 독도 주위에 수심이 깊기 때문에 수심에 비례하여 공사비가 높아지는 경사제 또는 혼성제는 적합하지 않다. 따라서 수심에 크게 영향을 받지 않는 파일식 방파제 또는 부방파제 (浮防波堤)가 적합하다. 둘째, 독도 종합해양과학기지의 구축이다. 해양 및 기상의 실시간 모니터링으로 인한 해양예보, 기상예보, 어장예보 그리고 점점 횟수가 잦아지는 쓰나미 예보 등의 정확성이 높아진다. 그리고 독도 주변의 해저자원 확보에도 필수적으로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마지막으로 독도 체험장의 조성이다. 배로 독도를 들어가는 시간은 대략 3시간정도 걸린다. 하지만 독도를 여행하는 것은 입도시간이 20~30분 정도되며, 동도를 한바퀴 둘러보고 내려오는 것이 전부이다. 이것도 접근이 가능할때만 그러하다. 500톤급 규모의 배가 접안하려 할 때, 파고가 1.0~1.5 m가 된다면 접안이 쉽지 않다. 독도 관광은 상징적인 의미를 두지 않고 가게 된다면 단순히 돌섬을 관광하는 것과 마찬가지이다. 독도 전문적인 안내가 부족하며, 숙박시설도 없다. 독도는 볼거리, 즐길 거리가 없다. 독도의 관심을 높이기 위해서는 독도 체험장의 조성은 반드시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독도 체험장을 자켓식 또는 잔교식으로 건설한다고 하고 이에 따른 데크 높이를 결정하기 위한 설계파를 계산하였다. Dokdo is the easternmost territory of Korea and situated 87.4km to the southeast of Ulleungdo Island and 216.8km to the east of Jukbeon of the East Coast. As it is 157.5km to the northwest of Oki Island of Shimane Prefecture of Japan, Japan cannot see Dokdo from Oki Island when we can see Dokdo from Ulleungdo Island on a clear day. Dokdo has been created by volcanic activities. It is not one island, but consists of two large islands Dongdo and Seodo and 89 small islands around them. Dokdo's coordinates are 131˚52'10.4" East Longitude and 37˚14'26.8" North Latitude for Dongdo and 131˚5'54.6" East Longitude and 37˚14'30.6" North Latitude for Seodo. Historically and according to international law, Dokdo is clearly a territory of Korea and Korea′s possession of Dokdo is firmly supported by Korea′s historical records and the "actual administration," the core requirement of a possession of land according to international law. However, Japan claims that Dokdo was terra nullius in 1905. Then, it was thought that it belonged to Japan prior to occupation. Later, Japan has asserted actual ownership of Dokdo as its territory since the 17thcentury. Accordingly, our government conducted quiet diplomacy on issues regarding Dokdo to avoid diplomatic friction between Japan. But then, the government has changed over their attitude from being passive to active. A typical example is that the government already allows to access to Dongdo after a simple notice unlike before where visitors were required to get permission and wait for corresponding approval. Now, to visit Dokdo is much easier than before. The revised policy intends to make our ownership stronger. After such change, people became more concerned about Dokdo and the number of visitors fairly increased. However, it was inevitable that certain problems arose when it came to paying a visit. Therefore, I suggest the following solutions on the productive utilization of Dokdo. First, the construction of a breakwater. There are only 40-50 days a year possible to go to Dokdo by ship. If there is 1m high wave, it is difficult to go alongside the pier in Dokdo. Due to this reason, it’s difficult to transport supplies to local residents in Seodo and Dongdo. Also, it’s hard to work around Dokdo by ship or boat. Therefore, Dokdo-breakwater is absolutely necessary. A File-type Breakwater or Floating Breakwater is appropriate in this case as the water depth around Dokdo is really deep. On the other hand, Oblitue Face Breakwater and Composite Breakwater are costly for such depth. Second, the establishment of a Dokdo comprehensive marine research station. It would serve various purposes such as accurate checking of the ocean, marine weather forecasts, fishing forecasts and tsunami occurrence using real-time monitoring. This building could also secure natural resources under the sea. Finally, creating Dokdo experience place. It takes 3 hours to go to Dokdo by ship. However, visitors just stay in Dokdo sightseeing for only 20-30 minutes. They need to know about Dokdo more. Visitors are interested in Dokdo’s history, conditions, etc. But there’s nothing there except rocks. Thus, we should serve the visitors with an experience place where they can learn things about Dokdo. Therefore, this study provides a design wave that determines the height of the deck based on pier and jacket structure.

      • 게이미피케이션 활용 초등 정보보안 교수·학습 개발 및 적용

        홍석현 제주대학교 2019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논문에서는 미래 정보 보안 기술 중에 하나인 블록체인에 대한 간접 체험의 기회를 제공하기 위하여 국가 수준 교육과정과 21세기 핵심 역량을 분석 및 적 용하였다. 이를 통해서 초등학생 5~6학년들이 블록체인의 원리를 이해하고 블록 체인의 특징을 통해서 미래 사회의 금융 변화에 대하여 생각해 볼 수 잇는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블록체인의 실제적인 동작과 원리에 대해서 초등학생들 이 정확하게 이해하는 것은 거의 불가능하고 학생들에게 흥미와 관심을 끌지 못 한다. 따라서 본 프로그램에서는 게임화 전략을 통해서 블록체인의 원리를 체험 하고 블록체인의 필요성에 이해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였다. 본 논문에서 개 발된 교육 프로그램은 현장 적용으로 조사된 학생과 교사의 의견을 통해서 학생 들의 수준과 흥미에 맞게 수정되어 학생들은 정보보안에 대한 기본 소양과 진로 탐색에 교사들은 정보보안 교육 계획 및 게임화 전략 수립 등에 많은 도움이 될 것이다.

      • 산후 우울증에 대한 성경적 상담

        홍석현 총신대학교 상담 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7631

        산후 우울증을 호소하는 산모들의 고통에 대한 연구가 최근에 활성화되고 있다. 출산의 고통과 양육 스트레스, 사회적 지지에 대한 갈등 등이 산후 우울증의 중요한 요인이 되고 있다. 이에 선행연구들을 고찰해보고 비교 분석하여 연구의 진행방향을 설정하였다. 그러나 영적인 요인에 대한 성경적 접근이 없는 관계로 영적인 요인의 관계성을 밝히기 위해 먼저 일반적인 산후 우울증의 요인과 측정요인비교를 밝히고 Paul D. Tripp의 성경적 상담방법으로 산후우울증의 긍정적인 영향력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2장에서는 산후 우울증에 대한 일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 개념이해와 특성들 그리고 요인들을 비교 연구하여 일반적으로 주로 나타나는 증상과 요인들이 무엇인지 연구하였다. 그리고 이와 비교하여 산후 우울증에 대한 성경적 인 관점에서 본 산후 우울증의 개념이해와 요인을 연구하며 성경적 사고방식과 산후 우울증과의 긍정적인 영향력에 대한 접근을 시도하였다. 이에 성경 인물 요게벳을 주요 인물로 설정하여 비교하였고 구약적 접근과 신약적 접근으로 연구를 병행하였다. 3장에서는 산후 우울증의 일반적인 심리 상담방법과 산후 운동 상담방법을 소개하고 그 한계점을 성경적인 관점에서 제시하였다. 또한 실제 상담사례를 위해 사용되어질 성경적인 상담방법을 소개하였으며 산후 우울증과 연관하여 내용을 전개하며 연구하였다. 4장에서는 산후 우울증을 호소하고 있는 산모들의 사례를 연구하였다. 그리하여 성경적 상담의 진행방법과 적용들을 산모에게 적용하였으며 하나님의 간섭하심과 관점이 어떻게 산후 우울증에 대하여 긍정적인 영향력을 미치는 지에 대해 연구하였다. 산후 우울증을 호소하는 내담자들의 증상과 요인들은 일반적으로 연구한 신체적 요인, 정서적 요인, 사회적 요인뿐만 아니라 영적인 요인이 있으며 영적인 요인을 해결함으로 인해 다른 요인들에 대한 긍정적인 극복의지가 생겨 났으며 치유적인 면에서도 긍정적인 영향력을 나타내었다. 즉, 산후 우울증을 호소하는 내담자들의 마음의 우상을 성경적으로 직면하게 하고 하나님의 관점으로 사고할 수 있도록 도와주었다. 그 이후 산후 우울증의 증상에 대한 호소가 줄어들었고 타인에 대한 분노와 외로움 등의 증상의 요인을 자신의 마음이 비성경적이었기에 일어난 책임을 인정하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그러므로 성경적 상담은 산후 우울증을 치료하고 예방하는 긍정적인 영향력을 줄 수 있을 것이다.

      • 입시체육지도자의 이미지가 체대입시생들의 수업태도 및 수업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홍석현 국민대학교 교육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의 연구대상은 서울, 경기, 강원도 소재의 체대입시전문학원과 체대입시반을 운영하고 있는 고등학교 등 7곳을 선정하였다. 체육대학의 진학을 희망하는 체대입시생들을 대상으로 비확률적 표집 방법 중 의도적 표집 방법을 선택하여 7개 체대입시전문교육기관에서 수업을 받고 있는 350명의 학생을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였다. 아직 체대입시수업을 경험해보지 못한 학생의 설문지 기입은 신뢰도가 떨어질 것을 유의하여 연구대상은 체대입시전문교육기관의 학생으로만 설정하였다. 설문지는 자기 기입식 방법을 사용하였고, 체대입시전문교육기관에서 현재 수업을 진행하는 입시체육지도자를 떠올리며 설문에 응하게 하였으며, 잘못된 기재 및 답변을 방지하기 위하여 사전 연구목적과 설문조사 내용을 충분히 설명한 후 실시하였다. 배포된 설문지는 총 350부로 이중응답을 하였거나 불성실하게 응답한 36부를 제외한 314부를 최종 유효 설문지로 간주하였다. 이와 같은 설문지 배포를 통하여 얻는 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입시생의 일반적 특성에 따라 입시체육지도자의 이미지에 차이가 있는지를 분석한 결과 먼저 성별에 따라서는 품성이미지에 대해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남자의 경우 여자에 비해 상대적으로 입시체육지도자의 품성이미지에 대한 인식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실기성적에 따라서는 전문성이미지, 수업지도이미지, 생활지도이미지에 대해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비교적 실기성적이 우수한 입시생이 그렇지 못한 입시생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은 것으로 나타나 차이를 보였다. 또한 입시생의 일반적 특성에 따라 입시체육 수업태도에 차이가 있는지를 분석한 결과 먼저 성별에 따라서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고, 실기성적에 따라서는 목표에 대한 인식태도, 참여태도, 수용태도에 대해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비교적 실기성적이 우수한 입시생이 그렇지 못한 입시생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은 것으로 나타나 차이를 보였다. 마지막으로 입시생의 일반적 특성에 따라 입시체육 수업만족도에 차이가 있는지를 분석한 결과 먼저 성별에 따라서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고, 실기성적에 따라서는 수업환경 만족도, 교수행동 만족도, 실기성취감 만족도에 대해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비교적 실기성적이 우수한 입시생이 그렇지 못한 입시생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은 것으로 나타나 차이를 보였다. 둘째, 입시체육지도자 이미지와 입시체육 수업태도 및 수업만족도간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는 입시체육지도자 이미지의 하위요인별 외모이미지, 품성이미지, 전문성이미지, 수업지도이미지, 생활지도이미지는 수업태도의 하위요인별 목표에 대한 인식태도, 참여태도, 수용태도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정(+)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수업만족도의 하위요인별 수업환경 만족도, 교수행동 만족도, 실기성취감 만족도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정(+)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수업태도의 하위요인별 목표에 대한 인식태도, 참여태도, 수용태도는 수업만족도의 하위요인별 수업환경 만족도, 교수행동 만족도, 실기성취감 만족도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정(+)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입시체육지도자 이미지가 수업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입시체육지도자의 전문성이미지, 수업지도이미지, 생활지도이미지가 높아지면 입시생의 목표에 대한 인식태도, 참여태도, 수용태도가 향상되는 것으로, 품성이미지가 높아지면 입시생의 목표에 대한 인식태도가 향상되는 것으로, 외모이미지가 높아지면 참여태도, 수용태도가 향상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넷째, 입시체육지도자 이미지가 수업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입시체육지도자의 외모이미지, 전문성이미지, 수업지도이미지, 생활지도이미지가 높아지면 입시생의 수업환경, 교수행동, 실기성취감 만족도가 향상되는 것으로, 입시체육지도자의 품성이미지가 높아지면 입시생의 실기성취감 만족도가 향상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다섯째, 입시체육 수업태도가 수업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입시체육의 목표에 대한 인식태도, 참여태도, 수용태도가 높아지면 입시생의 수업만족도도 향상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 도시철도 선택정차(Skip-Stop) 운영을 위한 공통정차역 선정 연구

        홍석현 서울시립대학교 도시과학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7631

        수도권에서 운행하고 있는 도시철도 노선들이 수차례의 연장을 거쳐 광역화됨에 따라 급행화에 대한 필요성이 지속적으로 제기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다양한 급행화 방식 중 추가적인 시설 확충이 필요 없고 도심지를 통과하는 노선에 적용이 용이한 선택정차(Skip-Stop) 방식의 급행화도입에 대해 다루며, 이때 최적의 공통정차역 선정을 목표로 한다. 선택정차(Skip-Stop) 방식 급행화에 관한 선행연구에서는 주로 최적의 운영체계 수립을 위한 과정 중에서 공통정차역을 선정하였으며 대부분 교통수요 측면이나 운행 측면을 고려하여 공통정차역을 선정하는데 그쳤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교통수요 외에도 인구특성(잠재교통수요), 그리고 이용편의성을 평가 요소로 한 뒤 AHP 기법을 활용하여 각 역을 평가하였다. 이용편의성은 실제 이용객을 급행화 사업의 이해주체에 포함하여 승강장 혼잡도 등 편의성을 평가하기 위한 요소로 사용되었다. 역별 평가에 의해 각 역에 공통정차역 선정을 위한 종합점수 및 순위를 부여한 뒤 공통정차역 수에 따라 14개의 평가 대안을 설정하였다. 다음으로 평가 대안별 통행시간 감소효과를 분석하기 위하여 각 통행의 이동거리 및 이동패턴에 따라 구간을 20개로 나누어 구간별 통행시간을 비교 분석 하였다. 구간별 통행시간에 실제 역별 OD 통행량을 적용하여 총 통행시간을 산출하였고, 총 통행시간이 최소가 되는 공통정차역 최적 대안을 선정하였다. 또한 평가 대안별 총 통행시간 비교분석을 통해 공통정차역 수 증가 시 표정속도 감소에 따른 총 통행시간 증가 효과와 환승 통행 감소에 따른 총 통행시간 감소 효과의 Trade-Off 관계를 확인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선택정차(Skip-Stop) 방식 급행화 도입 시 교통수요 외에도 이용편의성을 평가 요소로 하여 역별 순위를 산출하고 총 통행시간이 최소화되는 공통정차역 최적 대안을 선정하는 방법론을 제시하였다. 이를 통해 선택정차(Skip-Stop) 방식 급행화 사업 시행 시 이해주체 다자간 의사결정 도구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As the urban rail transit lines operating in the metropolitan area are widened through several extensions, the need for express trains is continuously raised. This study deals with the introduction of Skip-Stop operation, which does not require additional facility expansion among various express methods and is easy to apply to routes passing downtown, and aims at selecting the optimal common stations. In previous studies on the Skip-Stop operation, common stations were selected mainly in the process of establishing an optimal operating system, and most of them were limited to selecting common stations in consideration of traffic demand or operation. In this study, in addition to traffic demand, demographic characteristics(potential traffic demand) and convenience of use were used as evaluation factors, and each station was evaluated using the AHP technique. Convenience of use was used as a factor to evaluate convenience such as platform congestion by including actual users as interested parties in the express project. After giving each station an overall score and ranking for common stations selection through evaluation for each station, 14 evaluation alternatives were set according to the number of common station. Next, in order to analyze the effect of reducing travel time for each evaluation alternative, the travel time for each section was compared and analyzed by dividing the section into 20 sections according to the travel distance and travel pattern of each trip. The total travel time was calculated by applying the actual OD traffic volume for each station to the travel time for each section, and the optimal alternative for common stations with the minimum total travel time was selected. In addition, through a comparative analysis of total travel time for each evaluation alternative, the trade-off relationship between the total travel time increase effect due to the decrease in scheduled speed when the number of common station is increased and the total travel time decrease effect due to the decrease in transfer traffic was confirmed. This study suggests a methodology to calculate rankings for each station based on convenience of use as an evaluation factor in addition to traffic demand when the skip-stop method is introduced, and to select the optimal alternative for common stations that minimizes total travel time. Through this, it is expected that it can be used as a multilateral decision-making tool for stakeholders when implementing the Skip-Stop operation project.

      • 실리콘 입자에서 생기는 미 산란을 이용한 가시광영역에서의 반사율과 흡수율 조절 연구

        홍석현 중앙대학교 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7631

        나노 소자를 활용하여 가시광 영역의 빛을 조절하는 다양한 연구들이 진행되고 있는데 대표적으로 absorber, filter, lens 그리고 reflector 등이 있다. 이러한 소자들은 plasmon resonance을 이용한 금속 소자들이 많이 활용되고 있는데 plasmon resonance을 이용한 금속 소자들은 에너지 손실이라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그래서 금속 소자 대신에 에너지 손실이 적은 유전체를 이용한 소자들이 최근 많이 연구되고 있다. 유전체 입자에 빛을 입사시키면 Mie resonance의 일종인 electric dipole과 magnetic dipole 생기게 된다. Electric dipole의 경우에는 입사하는 전기장에 의하여 형성이 되고 magnetic dipole의 경우에는 회전하는 전류에 의하여 생기게 된다. Mie resonance의 큰 특징으로는 입자의 모양에 크게 영향을 받는 다는 것과 파장에 따라서 특정한 방향성을 가진다. 예로 electric dipole과 magnetic dipole이 생기는 파장의 사이의 영역의 파장에서는 후방산란이 크게 나타난다. 본 학위 논문에서는 silicon 입자에서 생기는 Mie resonance의 특징을 활용한 3가지의 구조를 제안한다. 첫 번째 연구는 perfect absorber 연구로 은 (Ag) 기판 위에 silicon 입자들을 주기적으로 배열한 구조로 silicon 입자에서 빛을 입사시켰을 때에 Mie resonance로 생기는 산란과 은 (Ag) 기판에서 반사되어 나온 빛과의 위상 차로 생기는 간섭형상에 의하여 가시광 영역에서 두개의 높은 흡수 peak이 생기게 된다. Silicon 입자에서 생기는 흡수는 입자의 크기와 간격에 silicon 입자와 은 (Ag) 기판과의 거리 차이에 크게 영향을 받는다. 두 번째 연구는 silicon 입자들이 주기적으로 배열된 색 반사체에 대한연구로 Mie resonance의 특징인 electric dipole과 magnetic dipole사이의 파장영역에서 후방산란이 커지는 것을 활용하여 입자의 크기와 간격을 변화시켰을 때 다양한 색이 나타나며 넓은 범위의 시야 각을 가진다. 세 번째 연구는 silicon의 구조가 U 형태로 된 색 반사체에 대한 연구로 Mie resonance의 일종인 magnetic dipole을 이용하여 매우 좁은 반치폭과 높은 반사율로 순도가 높은 색을 나타내며 색은 구조의 크기와 간격에 영향을 받으며 다양한 색을 나타내는 것이 가능하다. Nano-optical devices have attracted a large amount of interest due to their ability to effectively control light on the nanoscale. Recently, nanostructured reflectors which has specific color reflectance for the white light incidence have been studied based on the plasmonic resonances of nanostructures However, these plasmonic resonances have the serious drawback of energy loss in the visible range, which deteriorates the performance and limits their miniaturization for practical use. Thus, low absorption dielectrics have been studied for use in nano-optical devices. The dielectric particles exhibit resonant Mie scattering due to electric dipoles, magnetic dipoles, and higher-order resonances. The magnetic dipole response of dielectric particles is due to the circular displacement currents inside the particle being excited by incident light. Further, the resonant wavelengths of the electric dipoles and magnetic dipoles modes have resonant shifts according to the scale and shape of the nanoparticles. We propose a perfect absorber based on an array of silicon nanoparticles above a metal substrate that exhibits two high absorbance peaks in the visible range resulting from Mie resonances. The wavelengths of these peaks depend heavily on the diameter of the silicon nanoparticles. The absorbance of the silicon particles is enhanced using destructive interference between the Mie scattering and reflections from the metal mirror, which was confirmed by investigating the effects of the air gap We propose a color reflector based on the array of the silicon nanoparticles, which shows various color spectrum depending on the structure parameters over whole visible spectrum range due to electric dipole and magnetic dipole. In addition, spectral responses for different viewing angle are also investigated and the reflecting color in the given structure is maintained over broad viewing angle. We propose a full color reflector based on the array of the dielectric U-shape resonator. The structure have various spectrum depending on the size and period over whole visible region due to magnetic dipole of Mie resonance. In addition, U-shape resonators have large color space because of narrow full width at half maximum of 25 nm.

      • 린 노티지 作 <스웨트>의 연출 접근방법 연구 : - M.F.A. Project를 중심으로 -

        홍석현 동국대학교 영상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7631

        린 노티지(Lynn Nottage)의 <스웨트>(Sweat)는 세계화와 신자유주의의 영향으로 인해 노동계급의 붕괴를 겪으며 위기 속에서 살아가고 있는 미국 노동자들의 일상적인 모습들을 다양한 수행적(Performative) 특성과 시뮬라크르적 일상성을 통해 드러내고 있는 연극이다. 작품에 드러나는 인간들의 다층적인 모습들을 일상적 공간 안에서 표현함으로써 관객들에게 환영적 연극의 경계를 벗어난 새로운 일상적 지각을 촉구한다. 그러나 국내에서는 <스웨트> 공연의 수행적 특성에 대한 선행연구는 주로 희곡의 분석에 머물러 있어 연출 접근방법에 대한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 그래서 본고는 에리카 피셔-리히테(Erika Fischer-Lichte)의 「수행성의 미학」의 관점을 기반으로 <스웨트>에 나타나는 수행적 특성들과 시뮬라크르적 일상성을 파악하고, 이를 효과적으로 구현할 수 있는 연출 방법을 제시하고자 한다. 먼저 <스웨트> 작품 분석을 진행한 후 이를 바탕으로 <스웨트>에 나타난 수행적 특성을 ‘1. 불안하고 폭력적인 육체성’, ‘2. 이중적 공간성’, ‘3. 목소리와 뉴스의 소리성’, ‘4. 해체와 재구성을 통한 시간성’으로 분석하였다. 분석한 수행적 특성을 강화하기 위해 시뮬라크르(Simulacre)와 시노그래피(Scenography)의 측면에서 접근하여 ‘1. 시뮬라크르적 일상성 강화’, ‘2. 수행적 분위기 창출을 위한 시노그래피’의 연출 방법을 도출하였다. 본 연구가 <스웨트>의 수행적 특성을 강화하는 연출 접근방법 연구에 일조하고, 나아가 <스웨트>에 관한 후속연구의 작은 초석이 되기를 기대해 본다. Lynn Nottage's Sweat is a play that reveals the everyday aspects of American workers with a wide variety of performative characteristics and simulacre daily life. The American workers lived in a crisis due to the effects of globalization and neoliberalism. The various aspects of humans in the play are expressed in everyday space so that the audience can perceive the play beyond the limits of represented plays. However in Korea, previous studies on the performative characteristics of Sweat are usually limited to establishing theories, and there is no research on directing approaches. This is because the play is relatively new and its premiere in Korea was postponed due to COVID-19. Therefore, this paper aims to identify the performative characteristics and simulacre daily life that appear in Sweat and to suggest a effective directing method. The analysis of the play was carried out first, and then based on the analysis, we found the performative characteristics in Sweat were '1. Anxiety and Violent Physicality', '2. Dual Spatiality', '3. Soundness of Voice and News', '4. Timeliness through dismantling and reconstruction'. In order to strengthen the analyzed performative characteristics, '1. Reinforcement of Simulacre daily life', '2. Scenography for creating performative atmosphere' were presented as directing methods. As a result, it was able to effectively break down the boundaries between the play and daily life, and the audience recognized the acts on the stage as reality rather than fiction. Furthermore, it strengthened the materiality and atmosphere of the play and led to the coexistence of actors and audiences. I hope that this study will be helpful in studying the director's approach based on the performative characteristics of modern plays and expects to be a small cornerstone of following research on Sweat.

      • Development of Physiologically-Based Pharmacokinetic Model of Zearalenone for Use in Risk Assessment

        홍석현 성균관대학교 일반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에서는 랫트에서 zearalenone의 체내동태를 규명하고 생리학적 체내동태 모델을 개발함으로써 사람에서의 체내동태를 예측하고자 하였다. 생체시료에서 zearalenone을 정량하기 위해 LC/MS/MS 및 HPLC/fluorescence detection 분석 방법을 개발 및 검증하였다. 개발된 LC/MS/MS 와 HPLC/fluorescence detection 방법에서의 최저정량한계는 100 μl의 생체시료를 사용하였을 때 각각 0.5, 10 ng/ml 이었다. 랫트에서 Zearalenone의 정맥 및 경구 투여 후 체내동태를 규명하였다. Zearalenone은 1 - 8 mg/kg 정맥투여 용량 범위에서 선형속도론적 특성을 나타내었다. 경구투여 시 zearalenone의 절대생체이용률은 낮았다 (2.72 ± 0.97%). 담즙배설이 zearalenone의 체내동태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기 위하여 담관 삽관한 랫트에 zearalenone을 정맥 및 경구투여하고 비삽관 동물군과 비교하였다. 그 결과, 정맥투여에 비해 경구투여 시에 담즙 배설이 zearalenone의 혈중 체내동태에 더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규명된 zearalenone의 체내동태 데이터에 근거해서 정맥 및 경구투여에 적용할 수 있는 생리학적 체내동태 모델을 개발하였다. 개발된 모델은 zearalenone을 실제로 반복 투여한 후 측정된 혈액 및 조직 장기에서의 농도를 잘 예측하였다. 개발된 모델을 이용하여 사람에서 zearalenone의 체내동태를 예측하였다. 랫트에서의 최대무작용량 (NOAEL, no observed adverse effect level)인 0.1 mg/kg/day에 근거하여 예측된 혈중 농도는 0.014 ng/ml이었다. 사람에서 0.014 ng/ml의 혈중농도를 나타내는 최대무작용량을 모델을 통해 예측한 결과 0.0312 mg/kg/day로 나타났다. 참고용량 (Reference dose)은 종간 불확실성 인자 (uncertainty factor)인 10을 고려하여 0.00312 mg/kg/day (0.218 mg/70 kg/day)로 나타났다. 요약하면, 본 연구에서는 랫트에서의 zearalenone의 체내동태를 규명하고 이를 바탕으로 사람에서의 체내동태를 예측할 수 있는 생리학적 체내동태 모델을 개발하였다. 개발된 모델은 zearalenone의 위해성 평가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were to characterize the pharmacokinetics of zearalenone in rats and develop physiologically-based pharmacokinetic (PBPK) models applicable to the prediction of the pharmacokinetics of zearalenone in humans. LC/MS/MS and HPLC/fluorescence detection assay methods were developed for the determination of zearalenone in biological samples. The assays utilized a single liquid-liquid extraction method and isocratic elution. The lower limit of quantification were 0.5 ng/ml for LC/MS/MS assay and 10 ng/ml for HPLC/fluorescence detection assay using 100 μl sample volume. The pharmacokinetics of zearalenone was characterized in rats after intravenous injection and oral administration. The mean elimination half-life (t1/2), systemic clearance (Cl) and volume of distribution at steady-state (Vss) ranged from 0.6 ± 2.8 hr, from 5.0 ± 6.6 L/hr/kg and from 2.0 ± 4.7 L/kg, respectively, over the i.v. dose range examined. A dose-linearity was observed over an i.v. dose range from 1 - 8 mg/kg as evidenced by unaltered systemic clearance (Cl) and volume of distribution at steady-state (Vss) and dose-linear increase in serum concentration extrapolated time zero (C0) and area under the curve (AUC). The absolute oral bioavailability was 2.72 ± 0.97%. The effect of biliary excretion on the overall pharmacokinetics of zearalenone was also examined in bile duct cannulated rats. The effect of biliary excretion on overall pharmacokinetics of zearalenone appears greater for oral administration as opposed to i.v. injection. The PBPK models were developed i.v. and oral administration of zearalenone. These models well predicted the steady-state levels of zearalenone in blood and various tissues observed in rats after multiple i.v. injections. With the developed PBPK models, the pharmacokinetics of zearalenone in human were predicted. Based on the no observed adverse effect level (NOAEL) of 0.1 mg/kg/day for rats, blood levels were predicted to be 0.014 ng/ml. The NOAEL of zearalenone yielding blood levels of 0.014 ng/ml was predicted to be 0.0312 mg/kg/day in humans. Consequently, the reference dose (RfD) was 0.00312 mg/kg/day (0.218 mg/70 kg/day), incorporating an interspecies uncertainty factor of 10. In summary, the pharmacokinetics of zearalenone in rats was characterized and PBPK models applicable to the prediction of pharmacokinetics of zearalenone in humans were developed. These developed PBPK models may provide useful directions in risk assessment of zearalenone in human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