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초등교사의 국악 생활화 영역에 대한 교수-학습 및 인식 조사

        최은지 이화여자대학교 2018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termine the status of the on-site education in elementary schools on incorporating the Korean traditional music (hereinafter as “Gugak”) to daily life, and investigate the subsequent teachers’ perceptions of the subject. A total of 107 questionnaires were surveyed on the elementary school teachers in Seoul and Gyeonggi-do Province for the purpose of this study. Frequency analysis was conducted on the collected data and the results were then compared. The findings of the study are summarized and discussed in the following. First, analysis on the responses from the teachers on the question about the general attitude towards Gugak revealed that the degree to which they held interest and knowledge of Gugak was average. On the question of how often they listened to Gugak, the most frequent response was “never” (68.2%), and on the question of how often they attended Gugak concerts, the most frequent answer was also “never”(80.7%). Second, the survey on the teachers' perceptions about the current Gugak education and the overall state of teaching and learning showed that in terms of the difficulties in teaching Gugak, more than half of the respondents were experiencing difficulties, with 43% responding “difficult” and 23.4% responding “very difficult.” The most difficult area of Gugak to teach was instrumental (38.3%), whereas vocal (40.2%) was the easiest. Third, the analysis of the teachers' perceptions about the section on incorporating Gugak to daily life as it appears in the 2009 revised music common curriculum showed that most of the teachers (66.4%) thought that the amount of the curriculum devoted to the section of “Gugak to daily life” was “adequate.” Regarding the degree of difficulty of the section, the most frequent response was that it was "moderate"(55.1%). Fourth, the analysis of the state of teacher training for teaching Gugak to daily life section of the 2009 revised music common curriculum, 84.1% of teachers deemed it necessary. However, only 33.7% of the teachers have received Gugak-related training within the last 5 years. Out of the 65.4% of the teachers who did not receive the training, 38.6% attributed the cause to the “lack of training opportunities and information”. Among the 37 teachers who have received Gugak related training within the last 5 years, 37.8% have received training in Gugak to daily life section. Most of the teachers who have received training in the section answered that the training was effective (57.1%), and none of them answered that it was ineffective. Fifth, analyzing the environmental needs that the teachers perceived in implementing Gugak to daily life section in the 2009 revised music common curriculum, showed that the teachers needed the schools to invite Gugak experts as guest lecturers the most (45.8%). Moreover, 73.8% of the respondents thought that “expanding training opportunities” was necessary for the advancement of Gugak to daily life education.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performed an in-depth investigation into the state and perceptions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in teaching and learning Gugak to daily life. I hope this study would inform the development of specialized training and programs for enhancing teachers’ competencies in implementing Gugak to daily life section of the curriculum. I further hope to inspire students to recognize and appreciate the value of Gugak in their daily life and actively seek out and enjoy Gugak. 본 연구는 초등학교 교사를 대상으로 국악의 생활화 지도에 대한 학교 현장교육의 실태를 파악하고 그에 따른 교사의 인식을 조사하는 것에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초등학교 교사를 대상으로 총 107부의 설문지가 본 연구에 사용되었다. 수집된 자료는 빈도분석과 교차분석을 실시하여 그 결과를 비교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국악에 대한 교사들의 태도를 묻는 질문에 대한 응답을 분석한 결과, 교사들의 국악에 대한 관심의 정도와 국악이론에 대한 지식은 모두 보통 수준인 것으로 조사되었다. 교사들의 평소 국악 감상 빈도는 ‘전혀 감상하지 않는다’(68.2%)는 응답이 가장 많았고 국악 공연 관람 빈도 역시 ‘전혀 관람하지 않는다’(80.7)% 라는 응답이 가장 많았다. 둘째, 국악교육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과 교수-학습의 전반적인 실태에 대해 조사한 결과, 교사들은 국악 지도 시에 느끼는 어려움의 정도에 대해 ‘어려움을 느낀다’(43.0%), ‘많은 어려움을 느낀다’(23.4%) 순으로 응답하여 과반 수 이상의 교사들이 어려움을 겪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가장 지도하기 어려운 영역은 ‘기악’(38.3%)으로 조사되었고, 반면 지도하기 가장 수월한 영역은 ‘가창’(40.2%)이며 실제 국악 수업 시 다루는 영역 또한 ‘가창’(60.7%)이 가장 많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셋째, 2009 개정 음악과 교육과정 내 국악의 생활화 영역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과 교수-학습 실태에 대하여 분석한 결과, 생활화 영역의 분량에 대해서 ‘적당하다’(66.4%)는 의견이 가장 많았고, 생활화 영역의 난이도에 대해서는 어렵다는 인식을 가진 교사가 41.1%였다. 생활화 영역 수업을 진행하고 있는 교사들에게 구체적인 교수-학습에 관해 질문한 결과, 대다수의 교사들은 전반적인 국악 수업 지도에 어려움이 있다고 응답한 것과 같이 생활화 영역지도에 있어서도 ‘어려움을 느낀다’(87.7%)라고 응답하였다. 또한 교사들은 학생의 흥미도를 고려한 활동중심수업을 진행하고 있었고, 실제 수행능력과 문제에 대한 해결과정을 중점적으로 평가하기 위한 실기평가법을 주로 사용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넷째, 2009 개정 음악과 교육과정 내 국악의 생활화 영역 지도를 위한 교사들의 연수 현황을 분석한 결과, 최근 5년 간 국악과 관련된 연수를 받은 교사 37명 중에서 특별히 생활화 영역 연수를 받은 경험이 있는 교사는 37.8%를 차지했다. 생활화 영역 연수 경험이 있는 교사들은 대부분 연수의 ‘효과가 있다’(57.1%)라고 응답하였으며, 아무도 효과가 없다고는 응답하지 않았다. 다섯째, 2009 개정 음악과 교육과정 내 국악의 생활화 영역에 대해 교사가 생각하는 환경적 필요를 분석한 결과, 교사들은 교내에서의 필요로는 ‘국악 전문 강사 초빙’(45.8%)을 가장 많이 선택했다. 나아가 생활화 영역 교육의 발전을 위해서는 ‘연수기회의 확대’를 희망하는 교사가 73.8%로 가장 많았다. 본 연구는 초등교사의 국악교육의 생활화 영역에 대한 교수-학습 및 인식에 세부적인 조사를 실시한 것에 의의가 있다. 본 연구를 통해 국악교육의 생활화 영역에 대한 차별화된 연수 및 교사의 전문성 신장을 위한 프로그램 개발에 도움을 주고, 나아가 학습자들로 하여금 그들의 생활 속에서 국악의 가치를 인식하고 국악을 적극적으로 활용하며 즐길 수 있기를 기대하는 바이다.

      • 고등학교 다문화학생의 학교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 분석 : 8차 다문화청소년 패널조사(MAPS)를 중심으로

        최은지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631

        전 세계적으로 국가 간 이동이 활성화됨에 따라 다양한 문화적 배경을 가진 자원들이 우리사회로 유입되고 있으며, 특히 2000년대 초부터 우리나라도 실제 국제결혼이 증가하고, 외국인 노동자들의 유입이 활발해짐으로 인해 점차 다문화 사회로 바뀌게 되는 양상을 보였다(박계란, 2010). 점차 다문화가정이 증가함에 따라 그 자녀들인 다문화학생들에 대한 교육수요가 자연스럽게 늘어났으며, 다문화학생 교육권 보장을 위한 「초·중등교육법 시행령」제19조를 개정함으로써 동등한 교육기회를 보장받는 것이 중요해졌다. 다문화학생의 경우, 대부분 학교에서 시간을 많이 보내게 되는데 학교에서 다양한 어려움을 겪는 것으로 나타났다. 학교에서의 적응은 이후 직장생활과 사회생활에서의 적응까지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학교적응이 매우 중요하다고 본다(Sampson et al, 1994; Crosnoe et al, 2004; 이옥주, 2003; 최성보, 2011). 더 나아가 학교적응이 잘 이루어지지 않은 경우 사회 부적응까지 이어질 수 있다고 보았다(Ladd et al, 1997). 특히 고등학교 다문화학생은 사회로 진출하기 전 학교적응을 할 수 있는 마지막 단계에 있는 것으로 볼 수 있으며, 학교적응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고등학교 다문화학생을 위한 연구가 무엇보다 중요하다고 볼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학교적응을 학교환경에서 규칙과 질서를 준수하고, 학교 내에서 이루어지는 다양한 상호작용에 대처하며, 학생의 욕구를 실현시키기 위해 학교환경을 수용 및 변화시키며 학생이 학교와의 균형을 맞춰가는 역동적 과정으로 정의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고등학교 다문화학생의 학교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을 탐색적으로 분석해보고, 고등학교 다문화학생의 학교적응을 위한 정책적 방안을 모색하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다음과 같은 두 가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다문화학생의 학교적응은 개인, 가정, 학교 변인에 따라 차이가 있는가? 둘째, 다문화학생의 학교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은 무엇인가? 본 연구에서는 다문화청소년 패널조사 8차년도 데이터와 SPSS Statistics 26 프로그램을 활용하였다. 종속변인인 학교적응은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학교생활 만족도, 학업적응, 학업성취도, 성적에 대한 만족도로 설정하였으며 독립변인은 개인 변인, 가정 변인, 학교 변인으로 구분하였다. 개인 변인으로 성별, 연령, 신체만족도, 자아존중감, 우울로 설정하였으며, 가정 변인으로 월평균 소득수준, 어머니/아버지 연령, 어머니/아버지 학력, 어머니/아버지 현재직업, 부모의 양육태도(방임), 부모의 양육태도(감독)로 설정하였다. 학교 변인으로는 친한 친구 수, 교우관계, 교사와의 관계로 설정하였다. 첫 번째 연구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독립표본 t검정과 일원배치 분산분석(ANOVA)을 사용하여 독립변인의 차이에 따른 종속변인의 차이를 확인하였다. 두 번째 연구문제는 중다회귀분석을 활용하여 독립변인이 종속변인에 미치는 영향력을 검증하였다. 첫 번째 연구문제에 대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다문화학생의 학교생활 만족도에 대한 차이분석 결과 개인 변인 중에서 성별, 신체만족도, 자아존중감, 우울에서 집단 간 차이가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가정 변인 중에서는 어머니의 학력, 부모의 양육태도(방임), 부모의 양육태도(감독)에서 집단 간 차이가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학교 변인의 경우 모든 변인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다문화학생의 학업적응의 경우 개인 변인에서 신체만족도, 자아존중감, 우울에서 집단 간 차이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났다. 가정 변인에서는 부모의 학력, 아버지의 현재직업, 부모의 양육태도(방임), 부모의 양육태도(감독)에서 집단 간 차이가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학교 변인의 경우 모든 변인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다문화학생의 학업성취도의 경우 개인 변인에서 신체만족도, 자아존중감, 우울에서 집단 간 차이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났다. 가정 변인에서는 부모의 학력, 어머니의 현재직업, 부모의 양육태도(방임), 부모의 양육태도(감독)에서 집단 간 차이가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학교 변인의 경우 교우관계, 교사와의 관계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다문화학생의 성적에 대한 만족도는 개인 변인에서 성별, 신체만족도, 자아존중감, 우울에서 집단 간 차이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났다. 가정 변인에서는 아버지의 연령, 어머니의 현재직업에서 집단 간 차이가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학교 변인의 경우 교우관계, 교사와의 관계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두 번째 연구문제에 대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다문화학생의 학교생활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에 대하여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개인 변인 중에서 자아존중감, 가정 변인 중에서 부모의 양육태도(방임), 학교 변인 중에서 교사와의 관계, 교우관계, 친한 친구 수가 유의하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문화학생의 학업적응에는 개인 변인 중에서 자아존중감, 가정 변인 중에서 부모의 양육태도(감독), 아버지 학력, 아버지 현재직업, 학교 변인 중에서 교사와의 관계, 교우관계가 유의하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문화학생의 학업성취도는 개인 변인 중에서 자아존중감, 우울, 가정 변인 중에서 부모의 양육태도(방임), 어머니 학력, 아버지 연령, 학교 변인 중에서 교사와의 관계, 교우관계가 유의하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문화학생의 성적에 대한 만족도는 개인 변인 중에서 신체만족도, 우울, 성별, 가정 변인 중에서 부모의 양육태도(방임), 학교 변인 중에서는 교사와의 관계가 유의하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 결과를 토대로 다음과 같은 결론 및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첫째, 교사와의 관계가 학교적응의 모든 하위요인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다문화학생과 교사와의 관계가 원활하게 유지될 수 있도록 교육적 환경을 구축할 필요가 있다는 것을 시사한다. 따라서 교사는 다문화학생이 처한 상황이나 가정 배경, 어려움 등을 파악하고 이를 바탕으로 교육청 차원에서는 전체교사를 대상으로 다문화에 대한 이해, 다문화학생의 특성 및 어려움 등의 내용이 포함된 연수과정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 둘째, 교우관계는 학교생활 만족도, 학업적응, 학업성취도에 모두 유의미하게 긍정적 영향을 미쳤다. 이는 다문화학생과 비다문화학생이 긍정적인 교우관계를 유지할 수 있는 방법을 구안해야 한다는 점을 시사한다. 따라서 다문화학생과 비다문화학생이 긍정적인 교우관계를 유지하기 위해 학교차원에서 비다문화학생들이 다문화에 대한 올바른 인식을 가질 수 있도록 교육적 경험을 제공하는 것이 필요하다. 셋째, 다문화학생의 자아존중감이 학교적응의 하위요인 중 학교생활 만족도, 학업적응, 학업성취도에 모두 유의미하게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다문화학생의 자아존중감을 높이기 위한 교육적 장치가 마련되어야 한다는 점을 시사한다. 따라서 다문화학생의 자아존중감을 높이기 위한 심리적 정서적 지원 프로그램을 실시하여 자아존중감을 향상시킬 수 있는 교육적 경험을 제공해야 한다. 넷째, 다문화학생의 우울이 학교적응의 하위요인 중 학업성취도, 성적에 대한 만족도에 모두 유의미하게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다문화학생의 우울 수준을 지속적으로 파악하고, 우울 수준이 높은 다문화학생을 위한 체계적인 조치가 마련될 필요가 있다는 점을 시사한다. 따라서 교사는 생활지도, 학생상담 등을 통해 다문화학생의 학교생활의 전반을 지속적으로 관찰하는 태도가 중요하다고 본다. 이를 위해 학교 내에서는 위(Wee)클래스의 전문상담교사를 통해 학생의 정서적인 지원을 받도록 하고, 학교 밖에서도 지속적이고 체계적인 관리를 위해 지역사회 네트워크를 구축하여 학교와 연계하고, 다문화학생의 정서적 지원을 위한 체계적인 정책적 지원이 마련될 필요가 있다. The study aimed to analyze variables that affect school adjustment among high school multicultural students. To this end, the school adjustment of multicultural high school students was divided into school life satisfaction, academic adjustment, academic achievement, and satisfaction with grades. Accordingly, to examine the variables affecting school adjustment of multicultural students, two research problems were established and analyzed. First, we looked at whether multicultural students' adjustment to school varies depending on personal, family, and school. Secondly, we looked at the variables that affect the adjustment of multicultural students to school. For analysis, the data for the 8th year of the Multicultural Adolescents Panel Study(MAPS) were utilized. Except for missing values, 1,124 multicultural students in the second year of high school who responded to the survey were selected for analysis. To summarize the results for the first research problem, we have the following. Analysis of the differences in school life satisfaction among multicultural students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groups in gender, physical satisfaction, self-esteem and depression among individual variables. Among family variables, differences between groups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mother's educational background, parent's parenting attitude (neglect), and parent's parenting attitude (supervision), while school variables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all variables. In the case of academic adjustment of multicultural students, differences between groups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personal variables, in physical satisfaction, self-esteem, and depression. Family variables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groups in parents' educational background, father's current occupation, parent's parenting attitude (neglect), and parent's parenting attitude (supervision), while school variables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all variables. In the case of multicultural students' academic performance, differences between groups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personal variables, in physical satisfaction, self-esteem, and depression. Family variables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groups in parents' educational background, mother's current job, parental neglect, and parent's parenting (supervision), while school variables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friendship and teacher relations. The satisfaction of multicultural students' grades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gender, physical satisfaction, self-esteem, and depression among groups in personal variables. Family variables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groups in father's age and mother's current occupation, while school variables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friendship and relationships with teachers. To summarize the results for the second research problem, we are as follows.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on variables that affect the satisfaction of multicultural students in school life. Self-esteem among personal variables, parent's parenting attitude (neglect) among family variables, relationships with teachers, friendships, and number of close friends are significantly affected among school variables. The academic adjustment of multicultural students is significantly influenced by self-esteem among individual variables, parent's parenting (supervision), father's educational background, father's current occupation, teacher's relationship, and friendship among school variables. Among personal variables, self-esteem, depression, and family variables, parent's parenting attitude (neglect), mother's educational background, father's age, school variables, relationships with teachers, and friendships significantly affect the academic performance of multicultural students. The satisfaction with multicultural students' grades was significantly influenced by their physical satisfaction among individual variables, depression, gender, parent's parenting attitude (neglect) among family variables, and relationships with teachers among school variables. Based on the findings, we derive the following conclusions and implications: First, relationships with teachers have been shown to have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effects on all subfactors of school adjustment. These results suggest the need to establish an educational environment so that the relationship between multicultural students and teachers can be maintained smoothly. Therefore, teachers need to identify the situation, family background, and difficulties faced by multicultural students and prepare training courses that include understanding of multiculturalism and the characteristics and difficulties of multicultural students. Second, friendship has had significantly positive effects on school life satisfaction, academic adjustment, and academic performance. This suggests that multicultural and non-multicultural students should come up with ways to maintain a positive friendship. Therefore, it is necessary for multicultural and non-multicultural students to provide educational experiences so that non-multicultural students can have the right perception of multiculturalism at the school level in order to maintain a positive friendship. Third, the self-esteem of multicultural students has a significant positive impact on school life satisfaction, academic adjustment, and academic performance among the sub-factors of school adjustment. This suggests that educational devices should be established to enhance self-esteem of multicultural students. Therefore, an educational experience to improve self-esteem shall be provided by implementing psychological and emotional support programs to enhance self-esteem of multicultural students. Fourth, depression in multicultural students has significantly negative effects on both academic performance and satisfaction with grades among the sub-factors of school adjustment. This suggests that it is necessary to continuously identify the level of depression in multicultural students and to prepare systematic measures for multicultural students with high levels of depression. Therefore, teachers believe that it is important to continuously observe the overall school life of multicultural students through life guidance and student counseling. To this end, it is necessary to receive emotional support from students through Wee class counseling teachers, establish community networks for continuous and systematic management outside the school, and provide systematic policy support for emotional support for multicultural students.

      • Trauma Embolic Scoring System을 활용한 외상환자의 정맥혈전색전증 위험 요인과 예방적 중재의 분석

        최은지 가천대학교 간호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S시 권역응급의료센터로 내원하여 입원한 18세 이상의 외상환자를 TESS로 위험을 분류하여 VTE 위험 요인을 파악하고, 위험정도에 따라 적용된 예방적 중재와 VTE 유무에 따른 예방적 중재 적용을 분석하였다. 후향적 조사 연구로서 정맥혈전색전증의 위험 요인과 예방적 중재를 파악하여 외상환자의 정맥혈전색전증 예방 간호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진행되었다. 연구 대상 및 기간은 2020년 1월 1일부터 2021년 12월 31일까지 S시 권역응급의료센터로 내원하여 외상 등록 체계에 등록된 총 외상환자 2901명 중 선정기준에 부합한 외상환자 1913명을 대상으로 진행되었다. 연구 도구로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12항목, 외상 관련 특성 14항목, 국내외 가이드라인에 따라 예방적 중재 18개 항목으로 구성된 증례기록서를 사용하였고 전자의무기록을 이용하여 수집한 자료를 토대로 분석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5.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빈도와 백분율, 평균과 표준편차, ANOVA, Chi-square test, 다중반응분석, Mann Whitney U test, 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대상자의 나이는 59.38±19.71세이고 성별은 1135명(59.3%)가 남성이었으며 체질량지수는 23.61±3.75 kg/㎡이었다. 총 입원기간은 14.57±13.05일, 중환자실 입실 기간은 8.65±12.39일, 인공호흡기 적용 기간은 9.96±12.91일이었다. 1815명(94.7%)이 암, 응고장애질환, 정맥혈전색전증의 과거력이 없었고, 정맥혈전색전증의 진단을 받은 환자는 27명(1.4%)이었으며, 모두 CT로 진단을 받았다. GCS 점수는 14.73±1.48점이었다. 사고기전은 미끄러짐이 663명(34.7%)으로 가장 많았고, 손상유형은 둔상이 1729명(90.4%)로 가장 많았으며, AIS 2점 이상의 손상이 있는 환자 중 사지 손상이 1130명(48.5%)로 가장 많았다. ISS 점수는 7.79±6.58점으로 나타났다. 손상 부위는 사지 부위가 1292명(45.3%)로 가장 많았고 골절 부위는 척추골절이 178명(9.1%)로 가장 많았으며, 마비를 동반한 척수손상 대상자는 42명(2.2%)이었다. 24시간 이내 수혈을 받은 대상자는 153명(8.0%)였으며, 수혈된 적혈구(Packed RBC)의 단위(Units)는 0.29±1.40단위로 나타났다. 수술을 시행한 대상자는 1578명(82.5%)였으며, 손상에서 수술까지 걸린 시간은 74.15±96.79시간으로 나타났다. 2시간 이상 수술이 진행된 대상자는 1028명(53.7%)으로 나타났으며, 혈관 봉합술을 시행한 대상자는 56명(2.9%)이었다. 지혈제(Tranexamic acid)는 755명(39.5%)에게 투여된 것으로 나타났다. 중심정맥관을 삽입한 환자는 169명(8.8%)이며, 중심정맥관의 삽입 위치는 쇄골하정맥 87명(4.5%)으로 가장 많았다. (2) 전체 환자의 TESS 점수는 3.20±2.35점이었으며 4점이 518명(27.1%)으로 가장 많았다. 정맥혈전색전증의 위험 정도는 저위험군이 920명(48.1%)으로 가장 많았다. (3) TESS를 활용한 위험정도에 따른 일반적 특성과 외상 관련 특성의 차이의 분석 결과 인공호흡기 적용 기간 (F = 0.417, p = .429), 기저질환(χ2 = 8.967, p = .345) 을 제외한 위험정도에 따른 일반적 특성 및 외상 관련 특성은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4) VTE 위험 정도에 따른 예방적 중재의 분석 결과 고위험군의 89.5%(158명)에서 예방적 중재 시행율이 가장 높았다. 조기신체활동 격려에서 처방 없이 간호활동이 시행된 대상자는 저위험군에서 49.7%(457명)으로 가장 많았다. 적용기간은 저위험군에서 43.51±26.18%로 가장 길었다. 발목펌프운동에서 처방과 간호활동이 일치한 대상자는 저위험군에서 38.5%(354명)으로 가장 많았으며, 적용기간은 저위험군에서 47.50±29.76%로 가장 길었다. 일반적 중재 중 무위험군의 96.7%(357명)에서 가장 적절한 수분 상태를 보였다. 기계적 중재 중 항혈전스타킹 중재는 처방없이 간호활동만 시행한 경우는 저위험군에서 30.2%(278명)로 가장 많았으며, 항혈전스타킹을 적용 전 교육은 저위험군에서 51.3%(472명)로 가장 많았다. 항혈전스타킹 적용 준수(Compliance)는 저위험군에서 48.3%(444명)로 가장 높았으며, 적용기간은 저위험군에서 71.75±33.01%로 가장 길었다. 간헐적 공기압박장치 중재는 처방과 간호활동이 일치한 대상자는 고위험군 62.5%(110명)에서 가장 많았다. 간헐적 공기압박장치 적용 전 교육은 고위험군에서 80.1%(141명)으로 가장 많았으며, 간헐적 공기압박장치 적용 준수(Compliance)는 고위험군에서 78.4%(138명)로 가장 높았다. 적용기간은 저위험군에서 78.25±31.07%로 가장 길었다. 하대정맥 필터 삽입 중재는 고위험군과 저위험군에서 각각 1.1%(2명), 0.2%(2명)에 시행되었다. 화학적 중재 중 저분자 헤파린은 저위험군 41.8%(385명)에서 가장 많이 적용되었으며, 처방과 투여의 빈도와 백분율도 일치하였다. 48시간 이내에 투여된 대상자는 저위험군 25.3%(233명)에서 가장 많았으며, 고위험군은 주로 병실에서 17.6%(31명)가 저분자 헤파린을 투여 받았으며, 저위험군은 30.0%(276명)가 병실에서 투여 받았다. 직접 Xa 인자 억제제는 저위험군 3.2%(29명)에서 가장 많이 적용되었으며, 모두 정량으로 투여되었다. 하지만 저위험군의 3.4%(1명)만이 48시간 이내 투여되었다. 고위험군은 병실에서 3.4%(6명)가 투여 받았고, 저위험군은 1.8%(17명)가 퇴원시에 처방을 받았다. 항혈소판제 적용은 저위험군 0.3%(3명) 무위험군 0.2%(2명), 고위험군 0.6%(1명)의 순으로 나타났으며, 모두 정량으로 투여되었다. 모두 48시간 이후에 항혈소판제가 투여되었다. 투여장소를 분석한 결과, 고위험군 0.6%(1명)이 중환자실에서 투여되었으며, 저위험군은 모두 퇴원 시에 처방받았고, 무위험군 0.1%(1명)는 각각 병실과 퇴원 0.1%(1명)시에 투여 받았다. (5) 정맥혈전색전증 발생 유무에 따른 TESS와 예방적 중재 비교에서 TESS 점수(Z = -4.169, p<.001), 예방적 중재 시행(χ2 = 12.545, p<.001), 적절한 수분 상태(χ2 = 6.487, p = .011), 항혈전스타킹 처방과 간호활동 일치(χ2 = 6.622, p = .010), 간헐적 공기압박장치 처방과 간호활동 일치(χ2 = 23.599, p<.001), 하대정맥 필터 삽입 (χ2 = 135.437, p<.001), 저분자헤파린 적용(χ2 = 45.885, p<.001), 직접 Xa 인자 억제제 적용(χ2 = 643.019, p<.001), 직접 Xa 인자 억제제 투여장소(χ2 = 16.855, p<.001)가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본 연구는 외상환자를 대상으로 정맥혈전색전증의 위험 요인과 예방적 중재를 파악하고, 국내외 가이드라인에 따라 예방적 중재를 비교한 연구로서 큰 의의가 있다. 예방 가능한 VTE의 발생을 줄이기 위해서는 의사, 간호사의 위험군 선별과 적극적인 임상 관찰의 중요하다. TESS로 VTE 위험정도를 분류하여 예방적 중재를 시행할 수 있지만, 부동이나 골절환자의 수분섭취와 같은 환자의 상태, 진행하는 처치에 따라 VTE의 발생 위험이 높아질 수 있으므로 지속적인 재평가를 통해 적극적인 예방적 중재를 적용하는 것이 중요함을 보여주었다. 치명적이지만 예방할 수 있는 VTE의 발생을 줄이기 위해서는 무증상 DVT 환자의 선별검사와 더불어 지속적인 연구와 노력이 필요할 것이다.

      • 세계시민성 함양을 위한 초등 미술교육 자료 분석 연구

        최은지 숙명여자대학교 2019 국내석사

        RANK : 247631

        세계화 속 글로벌 인재를 요구하는 시대에는 거시적 관점으로 세계를 바 라봄으로써 복합적이고 유연한 사고가 요구된다. 따라서 세계시민교육은 21 세기에 간과할 수 없는 핵심적 요소가 되었다. 2012년 유엔 사무총장은 글로벌교육우선구상(Global Education First Initiative, GEFI)을 제시하였으며, 이를 세계시민양성을 위해 지구촌이 함께 노력해야 할 3대 우선 과제로 지정하였다.1 세계시민교육은 세계시민으로서 주체자이며 책임감 있는 사회 구성원으로서 잠재적인 세계시민의식을 발전 시키는데 교육적인 영향을 갖도록 하며, 이것은 현재를 살아가고 앞으로 도 래할 새로운 시대를 위한 준비이다. 세계시민교육은 국가 간, 집단 간, 개인 간에 상호 연결되어 있는 현실에 대한 인식을 반영한다. 세계시민교육은 학습자들에게 이해와 정서, 행동이 유기적으로 연계될 수 있는 경험의 기회를 다양하게 부여해야 한다. 그러므로 다루는 주제뿐만 아니라 일련의 추상적 가치를 수용하도록 해야하며, 지식 전달식 수업만이 아닌, 학습자가 주도적으로 자아 성찰하고 함께 문제해결 방법을 실천하도 록 하는 수업방식이 요구된다. 미술은 이러한 요구에 적합한 포괄적이고 유 연하며 삶의 자연스러운 일부이다. 미술교육을 기반으로 한 세계시민교육은 학습자 중심적이며, 학습자 참여적인 수업으로 학습자의 경험으로써 미술교 육을 적용한 세계시민교육은 본 연구자가 추구하는 세계시민교육의 의의를 가진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세계시민성 함양을 위한 미술교육 프로그램의 사례 들을 분석하였다. 세계시민교육에 미술교육을 접목한 세계시민교육 프로그 램을 검토하고 이에 따른 이점과 시사점을 도출한다. 이론적인 지식에 국한 된 교육이 아닌 미술교육 프로그램을 통해 다각적인 사고와 세계시민교육의 활성화에 실천적 토대를 마련하고자 하였다. 세계시민교육에서 강조하는 타인 존중, 배려, 관용, 협력, 사회 정의 등은 그 자체로써 중요한 가치임이 분명하지만 그러한 가치가 어떻게 세계시민의 삶에 적용될 수 있을지에 대한 근본적인 질문에 대한 명확한 답을 찾기가 어렵다. 특히, 세계시민교육을 진행하는 교육자들은 세계시민교육에서 교육 자들의 자질과 역량이 중요시되는 점과 더불어 학생들에게 세계시민교육의 교수방법에 대한 어려움을 토로한다. 세계시민화에 대한 이상적인 비전과는 달리 현재 일반학교 안에서의 정규수업 방식은 세계화에 대한 충분한 지식 과 이해 없이 정책들을 도입하는 경우가 다반사이기 때문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세계시민교육은 혁신적이어야 하고, 지식과 기술 그 리고 학습자가 더욱 포괄적으로 학습에 기여할 수 있도록 해야한다. 이를 위해서는 가치와 태도를 통한 다각적인 접근방식으로 교육이 진행되어야 한 다. 이러한 교육은 유아기에 시작되어 평생학습 관점으로 적용될 필요가 있 으며, 이를 어떻게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한지에 대한 방향성을 찾는 것은 중요한 쟁점이 된다. 그렇기에 앞으로의 혁신적인 세계시민교육을 위해 미 술이 가진 장점들을 접목하여 자아의 정체성에 대해 고민하며, 자신감을 길 러주고, 사회 정의와 평등 추구, 공감 능력, 예술적 소통, 자유로운 사고와 창의성, 흥미롭고 접근, 비판적으로 사고할 수 있는 능력, 변화를 이끌 수 있는 문제해결 능력, 섬세한 감성적 사고의 습관과 내면을 자극하여 개인의 가치를 이끌어 내는 것으로, 세계시민교육에 합당한 세계시민으로서 공동체역량을 이끌어내는 미술교육 프로그램을 고찰함으로써 세계시민의식의 활성 화를 기대해 볼 수 있다. 끝으로, 향후 미술교육을 통한 세계시민교육을 통 하여 학습자가 주도적으로 사고하고, 함께 문제 해결에 나설 수 있는 프로 그램 개발과 적용에 대한 향후 연구를 기대해 본다.

      • 탈성매매 청소년의 삶의 적응과정에 관한 연구

        최은지 명지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박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탈성매매 청소년의 삶의 적응과정을 탐색함으로써 그들의 고유한 심리적 특징이나 적응경험을 규명하고, 이를 통해 탈성매매 후 삶의 적응을 돕고 적응과정에 대해 효율적으로 개입할 수 있는 방안을 개발하고자 실시되었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의 연구문제는 ‘탈성매매 이후의 삶은 어떠한가?’로 설정하였고, Strauss와 Corbin(1998)이 제시한 근거이론방법을 적용하여 수행하였다. 연구 참여자는 청소년기 성매매를 경험하였지만 현재는 탈성매매 후 삶의 적응과정에 있는 후기 청소년 12명으로 본인의 동의하에 연구 참여자로 선정하였다. 연구 참여자의 선정 방법으로는 성매매 쉼터 선생님들의 추천을 받는 방법과 추천받은 참여자의 소개로 표집 하는 눈덩이 표집방법이었다. 연구 참여자들은 탈성매매 후 자신의 환경을 변화시키기 위해 노력하는 사람으로 면담 전에 참여자로부터 서면화 된 연구 참여 동의서를 받았고, 면담 내용을 녹취하였다. 연구 참여자의 성매매 시작 연령은 15세부터 19세로 청소년 시기에 성매매를 처음 경험하였으며, 첫 성매매 시작 평균 연령은 16.7세였다. 연구 참여자의 탈성매매 시기로는 17세부터 22세로 탈성매매 평균 연령은 19.1세였다. 연구참여자의 탈성매매 유지 기간으로는 1년이 5명, 2년이 4명, 5년이 2명, 마지막으로 7년이 1명으로 나타났다. 성매매 유형으로는 조건만남, 노래방도우미, 집창촌, 립카페 등으로 나타났다. 자료 수집은 2020년 5월부터 9월까지 심층면담을 통해 이루어졌으며, 면접시간은 보통 1회에 90분 정도가 소요되었다. 인터뷰 내용은 휴대용 녹음기로 녹음하고 컴퓨터에 필사하여 자료를 분석하였다. 참여자들의 심층면접 외에도 성매매 관련 영화, 드라마, 방송, 신문자료, 그리고 연구자가 작성한 현장노트와 메모 등의 다양한 자료를 활용하였으며, 성매매 기관 실무자와의 면담을 통해 연구자의 이론적 민감성을 높이고자 하였다. Strauss와 Corbin(1998)의 분석방법에 따라 개방코딩을 하였고, 축코딩 단계에서는 패러다임에 의한 범주분석과 과정분석을 하였으며, 선택코딩에서는 핵심범주를 발견하고 이야기 개요를 작성한 후 핵심범주를 중심으로 유형화를 하였으며, 마지막으로 상황모형을 설정하였다. 본 연구결과 개방코딩에서는 총 67개의 개념과, 21개의 하위범주, 12개의 범주를 구성하였다. 축코딩에서 패러다임에 의한 범주분석 결과, 탈성매매 청소년의 삶의 적응과정에 대한 인과적 조건은 ‘감추고 싶은 과거’와 ‘과거에 대한 후회와 죄책감’으로 나타났으며, 중심현상은 ‘부끄러움 없는 떳떳한 삶을 살고 싶음’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중심현상을 가져오는 맥락적 조건은 ‘남아있는 후유증’과 ‘힘겨운 사회적응’, ‘끊임없는 낙인’과 ‘두려운 앞날’이었으며, 작용/상호작용 전략을 중재하는 조건으로는 ‘사회적 지지체계 형성’으로 나타났다. 작용/상호작용 전략은 ‘성매매 유혹과 마주함’과 ‘무너진 삶 속에서 희망을 싹틔움’이며, 결과는 ‘성매매 재유입을 뿌리치기 위한 부단한 결심’과 ‘다시 시작하는 내 인생’으로 나타났다. 과정분석을 통해 탈성매매 청소년은 ‘불안단계’, ‘갈등단계’, ‘수용단계’의 3단계를 거쳐 삶의 적응해 나가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첫 번째, ‘불안단계’는 탈성매매 이후 자신의 성매매 경험이 노출되어 사회적 비난을 받게 될 것을 두려워하며 불안해 하는 삶을 의미한다. 또한 오랜 성매매에 익숙해져 평범한 삶의 적응할 수 있을지에 대한 불안함을 갖게 된다. 두 번째 ‘갈등단계’는 평범한 삶의 적응하지 못하고 방황하는 자신의 모습을 통해 과거로 돌아가고 싶은 마음을 갖게 된다. 여전히 남아있는 후유증과 정신적 트라우마로 인해 좌절을 겪게 되고 결국 성매매 재유입 유혹 앞에서 갈등을 경험한다. 하지만 과거로 돌아가지 않겠다는 굳은 의지를 갖은 참여자들은 재유입을 차단하기 위해 노력한다. 마지막으로 ‘수용단계’는 사회와 부딪히고 직면한 후 자신의 삶의 변화를 시도한다. 평범한 경제활동을 시작으로 고착된 생활습관을 바꾸고, 미래에 대한 계획을 세우기 시작한다. 선택코딩을 통해 나타난 탈성매매 청소년의 삶의 적응과정에 대한 핵심범주는 ‘부끄러움을 버리고 떳떳한 삶으로 살아가기’로 나타났으며, 핵심범주를 중심으로 하여 지속적으로 나타나는 범주들 간의 관련성을 확인한 결과, 탈성매매 청소년의 삶의 적응과정은 ‘적응 포기형’, ‘적응 노력형’, ‘적응 성공형’으로 유형화되었다. ‘적응 포기형’은 과거 성매매 트라우마로 인한 충격과 상처가 깊어 일반적인 삶으로 돌아오는 과정에 어려움을 느끼는 유형이다. 반복된 실패로 인해 부정적 삶을 순순히 받아들이고 개선을 위한 노력보다는 모든 것을 포기하고 새로운 삶에 의지 없이 살아가는 유형이다. ‘적응 노력형’은 평범한 삶에 적응하기 위해 필요한 요건을 충족시키며 긍정적인 방향으로 살아가고 있지만 생각했던 기대와 달리 일상으로 돌아가는 속도가 늦어지면서 자존감이 떨어지고 주춤하는 유형이다. 하지만 어렵게 돌아온 자신의 인생을 포기하고 싶지 않아 다양한 노력을 시도한다. 마지막으로 ‘적응 성공형’은 자신의 과거를 후회하며 회복하고자 하는 강한 의지를 갖고 역경을 이겨내며 도전을 시작한다. 자신이 살아온 과거와 너무도 다른 현실에 적응해야 하는 어려움을 경험하지만 좌절하지 않고 또다시 도전하며 새로운 삶을 준비하는 유형이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dentify an efficient way to interfere with post-prostitute adolescents’ journey to adjust to a new life by investigating their unique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and adaptation experiences. For this purpose, the research question was set as 'How is life going after sex trafficking?', and the study was conducted with the grounded theory method proposed by Strauss and Corbin (1998). The participants of this study were twelve late adolescents who currently struggle to adjust to their new life after sex trafficking. The participants was selected by snowball sampling through recommendation from assistants in a shelter for sex workers, as well as the participants. The participants are those who have tried to change their environment after getting out of sex trafficking. The written consent was received from the participants and interview was recorded for the research. The first sex trafficking experience among the participants were begun between the age of fifteen and nineteen, and the average age is sixteen point seven. The average age which the participants ceased the sex trafficking is nineteen point one ranged from the age of seventeen to twenty two. The period of sex trafficking of the participants is varied as follows: five participants maintained for one year, four maintained for two years, two maintained for five years, and one maintained for seven years. The types of sex trafficking were a) prostitution, b) karaoke helper, c) brothel, and d) dry-humping. Data were collected through in-depth interviews from May to September 2020, and the interviews were approximately ninety minutes long of each session. The interview was recorded with a portable recorder and then digitally transcribed and analyzed by using a computer. In addition to in-depth interviews, various materials such as movies, tv series, documentaries, newspaper related to sex trafficking, field notes and memos written by the researcher were used. Furthermore, the researcher enhanced the theocratical sensitivity through interviews with staffs from sex trafficking prevention organizations. The open coding was performed according to the analysis method of Strauss and Corbin (1998), the category analysis and process analysis by paradigm were performed in the axial coding stage. In the selective coding, the story outline was written to find the key categories. Finally, the situation model was set up. As a result of this analysis, sixty seven concepts, twenty one subcategories, and twelve categories in open coding. The category analysis by paradigm in axial coding, the causal conditions for the adolescents’ adaptation process to new life after sex trafficking were 'the past that they want to hide' and 'remorse and guilt about the past', and the central phenomenon was 'the desire to live a proud life without shame'. The contextual conditions that bring about this central phenomenon were 'remaining aftereffects', 'difficulties in adjusting to the society', 'continuous stigma' and 'fearful future'. In addition, the condition to mediate action/interaction strategy was 'establishment of social support system'. The action/interaction strategy was ‘confrontation with the temptation of sex trafficking’ and ‘becoming hopeful in despair’, and the result was ‘steadfast will to eradicate sex trafficking’ and ‘my brand new life’. The process analysis shows the adolescents go through three stages in the adaptation process which are a) anxiety stage, b) conflict stage, and c) acceptance stage'. First, in 'anxiety stage', the adolescents experience anxiety and fear about exposure of their past and social criticism. Moreover, they hardly picture their future without sex trafficking because of the tamed manner of living. In the ‘conflict stage’, the adolescents have urge to return to the past because of the difficulties in adapting to the new life. They are still frustrated by the remaining aftereffects and mental trauma, which put them in conflicts between the new life and the past. However, participants with a firm commitment for their new manner of living refuse the past. Finally, in 'acceptance stage', the adolescents try to change their life after facing society. They start to change their lifestyle with the fair work for living, and plan for the future. The key category in selective coding of adolescents’ adaptation process appeared to be 'leading a blameless life without shame'. The adaptation process was classified into three types which are a) withdrawal from adaptation, b) effort for adaptation, and c) success in adaptation based on the relationship that repeatedly appeared among categories. The adolescents with withdrawal from adaptation feel difficulties during the process of adjusting due to the wounds from the sex trafficking. They are helpless without expectation for a new life and gradually immersed negative attitude toward life due to repeated failures. In the second type, effort for adaptation, the adolescents struggle between their hope and doubt as it takes more time to reach to their new phase of life. Lastly, in the type of success in adaptation, the adolescents begin to challenge the difficulties from their new life with a strong will to recover. They prepare their new phase without being frustrated despite of the extreme gap between their past and present.

      • 에릭 사티(Erik Satie)의 <배(梨) 모양을 한 세 개의 피아노 곡>(Trois Morceaux en forme de poire) 분석

        최은지 상명대학교 일반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7631

        국 문 요 약 에릭 사티(Erik Satie)의
배(梨) 모양을 한 세 개의 피아노 곡
(Trois Morceaux en forme de poire) 분석 본 논문은 20세기 프랑스 작곡가 겸 피아니스트인 에릭 사티(Erik Satie,1866-1924)의 작품 배(梨) 모양을 한 세 개의 피아노 곡(Trois Morceaux en forme de poire)을 분석, 연구하였다. 이 곡은 에릭 사티의 시기별 분류에 따라 세 개의 시기중 제2기(중기)에 작곡 된 곡이다. 곡의 표지에 나타난 배(梨) 모양 그림은 사람의 머리를 풍자한 것으로, 이러한 블랙 코미디적 요소는 에릭 사티의 익살스러운 성격을 반영한다. 에릭 사티가 활동했던 19세기 말 20세기 초, 프랑스에서 크게 유행하던 음악사조는 인상주의였다. 본 연구에서는 독자적인 음악어법을 추구했지만 인상주의의 영향 하에 완성된 중기 시대의 이 작품 분석을 통해 후기에서 보여 지는 독자적인 음악어법의 가능성과 인상주의 음악에서 받았던 음악적 영향을 함께 찾아보고자 한다. 분석을 통해 나타난 에릭 사티의 음악적 특징은 다음과 같다. 첫째, 선율 면에서 교회선법, 병진행, 페달포인트, 그리고 리듬 면에서 cake walk, 오스티나토, 폴리리듬의 빈번한 사용이다. 이는 인상주의의 특징을 또한 반영한다. 둘쨰, 프랑스어 지시어를 통해 표현하는 음악적 디테일이다. 사티의 개인적인 느낌을 전하는 특별한 지시어 사용으로 짧은 문장들로 구성되어 에릭 사티만의 특징으로 볼 수 있다. 셋째, 기존의 에릭사티 곡들에서의 재사용인데, 총 7개의 곡으로 구성 되어있는 이 곡은 ‘Morceau No. 1. Lentement (Piece I)’을 제외하고 기존의 곡들을 모두 차용했다. 이러한 에릭 사티의 중기 음악적 경향과 특징의 재조명을 통해, 이 곡의작품적 특징과 음악사적 특징을 살펴보았다. 본 연구는 에릭 사티의 후기 음악의 토대가 되는 중기 음악에 대한 새로운 시각과 분석법을 제시하고자 하며 앞으로의 에릭 사티 작품 연구에 도움이 되고 활성화가 되었으면 하는 바람이다. This paper analyzed and studied Trois Morceaux en forme de poire, a work of Erik Satie who was French composer and pianist in the 20th century. This music was composed in the second (middle) period among three periods according to the classification per period of Erik Satie. The picture in the form of pear on the cover was satirized a human head and this black comedy element reflects a humorous personality of Erik Satie. Impressionism was a music trend which was popular in the late 19th and early 20th centuries when Erik Satie was active. In this study, we tried to find possibility of unique musical expression which was shown in the later period and musical influence affected by impressionism music by analyzing the work in the middle period which was completed under the influence of impressionism even through unique musical expression was pursued. Musical characteristics of Erik Satie found through the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 it is the frequent use of church modes, paralle motion and pedal point in terms of melody and cake walk, ostinato and polyrhythm in terms of rhythm. This also reflects the characteristics of impressionism. Second, it is musical details expressed through French infinitive marker. It is composed of only short sentences using special infinitive markers that convey personal feeling of Satie which can be seen as a characteristic of Erik Satie. Third, it is reuse of existing Erik Satie’s musics. This music which is composed of a total of 7 musics was borrowed from existing music except ‘Morceau No. 1. Lentement (Piece I)’. We reviewed characteristics of work and characteristics of musical history by re-examinating musical trends and characteristics of Erik Satie’s musics in the middle period. This study was conducted to present a new perspective and analysis method for musics in the middle period that are basis of later music of Erik Satie and we hope that this can be helpful and revitalized in studying Erik Satie’s work in the future.

      • 뮤지컬 창작과정의 음악변화연구 : 창작뮤지컬 <슈팅스타>를 중심으로

        최은지 명지대학교 일반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globalization of musicals originated from the gradual increase in the public’s interest toward musicals. Currently, a large number of licensed (copyrighted) musicals are being imported and exported from all the parts of the world. Our country has been following the cultural trend as well; licensed musicals are performed daily in Korea today, attracting a wide-ranged and diverse audience. Imported works have sparked a strong interest in Korean theatre producers concerning the musical genre. As a result, these producers have been writing their own original musicals, ranging from small to large pieces regarding various themes. Because of this increasing interest in musicals from both the audience and the writers themselves, the Korean musical market has quickly flourished and matured into a successful industry. Seeing this growth as a sign of success, many Koreans universities have branched to establish their own musical departments and majors. In addition, many more students now apply to these schools in hopes of becoming a famous musical actor or musical producer. The rise in public interest for musicals has given birth to numbers of original musicals in Korea; this interest stimulated many studies on musical productions, musical scripts, and theatrical music analyses. However, these studies are mostly on completed works and the results of these works. There are currently no existing studies on the various modifications of music in the process of creating original musicals. Music in musicals is not merely entertainment for the audience; it is tool to show the themes, moods, and emotions of the work. It not only connects the scenes, but also facilitates and intensifies the moods. Although music plays the most critical part of musicals, it is not the only way to measure the strength of a musical piece. It has to remain a tool to show the themes and moods within the musicals; it complements the drama. Hence, in order to combine music and drama into a musical, the music involved must be designed to add onto the overall atmosphere of the actions taken in the drama. In order to strengthen the musical market in Korea, it is important to analyze not only the completed songs, but also the altering of these songs to enhance the story shown in the drama portion of a musical performance. This research paper mainly discusses the music-making process of the original musical, Shooting Star. Shooting Star is a musical about basketball. By observing and assessing the music involved in this musical, I learned how music changes over the course of producing a musical through its relationship with drama, choreography, and characters. The actual step to produce a musical does not begin until the characters appear on stage. Producing a musical needs harmony amongst various elements such as drama, choreography, and acting; the music itself tends to be altered and transformed to fit to the other factors like scenery and characters. These changes could be as small as the alteration of a motif or lyrics to as large as adding or deleting minutes of songs. Music should remain flexible to meet all kinds of circumstances. By examining the production of Shooting Star, it is obvious to see how the music involved in the musical has been modified to fit the situation. Through this process, the overall effect of music has greatly increased in the musical; music has not only created a smoother flow, but also intensified the dramatic tones and moods involved in the musical. Active research on the process of music developing will strengthen the production of original Korean musicals. This research will be the foundation of a Korean musical industry from within the country to around the globe. 뮤지컬(Musical)이 대중들의 사랑을 받으며 세계 곳곳에서 수많은 라이센스뮤지컬(License Musical)이 다양하게 제작되어지면서 뮤지컬은 글로벌화 되고 여러 나라에서 라이센스뮤지컬이 공연되어지고 있다. 이러한 세계적인 흐름에 따라 우리나라에서도 다양한 라이센스뮤지컬이 공연되어 지고 있으며 공연을 찾는 관객층도 다양해 졌다. 라이센스 뮤지컬이 국내 뮤지컬 시장에 들어오면서부터 우리나라에서도 많은 제작자들이 창작뮤지컬에 관심을 가지고 소형뮤지컬에서부터 대형뮤지컬에 이르기까지 여러 가지 주제의 창작뮤지컬을 제작하고 있다. 이처럼 많은 이들의 관심 속에서 한국 뮤지컬 시장은 짧은 기간 동안 성장해왔다. 뮤지컬의 성장과 더불어 우리나라도 다양하게 뮤지컬 시장이 커지고 있고, 뮤지컬 시장의 발전과 함께 각 대학 안에 뮤지컬 학과도 많이 개설되어지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배우를 꿈꾸기 위해 공부하는 학생들 뿐 아니라 뮤지컬장르를 공부하여 제작을 꿈꾸는 학생들의 수도 늘어나고 있다. 뮤지컬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많은 창작뮤지컬이 제작되어지고 있으며 뮤지컬 제작, 뮤지컬 대본, 뮤지컬 음악분석에 관한 연구도 이루어지고 있다. 하지만 그 연구들은 결과물에 관한 연구들이 대부분이며 창작뮤지컬이 제작되면서 그 안에서 변화되어지는 여러 형태의 음악변화과정에 대한 연구는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뮤지컬에서는 음악이 대본과 만나 드라마화 되어 지면서 작품의 완성도를 높이게 된다. 뮤지컬에서 음악의 효과는 단순히 즐겁게 들려주는 노래가 아니라 대부분 드라마의 감정 움직임을 따라 음악으로 극을 표현하게 된다. 그렇기 때문에 뮤지컬에서 음악은 극의 흐름을 연결하는 역할을 하며 드라마 안에서 나타나는 감정들을 더욱 확대, 고조시키는 역할을 한다. 뮤지컬 음악은 단순히 웅장하거나 아름다운 음악을 작곡한다고 해서 훌륭한 뮤지컬을 만들 수 있는 것이 아니다. 뮤지컬 안에서 음악은 드라마를 표현해 주는 중요한 수단이 되므로 음악은 극의 흐름에 어긋나지 않도록 해야 하며 극과 자연스럽게 어울리도록 해야 한다. 이렇게 드라마와 음악이 만나는 작업 안에서 음악은 변화되어지기 마련이며 그 과정에 대한 연구는 꼭 필요하다. 국내 창작뮤지컬 제작 발전을 위해서는 창작뮤지컬의 흥행여부와 관계없이 창작되어진 뮤지컬음악의 결과물을 분석하는 연구뿐 아니라 창작과정 안에서 나타나는 음악변화 과정에 관한 연구들이 더욱 활발하게 이루어져야 한다. 본 논문에서는 스포츠(농구)를 주제로 한 창작뮤지컬 <슈팅스타>의 워크숍을 통해 그 안에서 만들어지는 창작뮤지컬 음악제작과정을 연구하였다. 이에 따라서 창작뮤지컬이 만들어질 때 드라마, 안무, 캐릭터 등의 영향을 받아 변화되어지는 음악전체의 구성 변화를 연구하였다. 창작뮤지컬을 제작하는 과정에서 대본에 쓰여 졌던 인물들이 무대화되면서 구체적인 그림이 나타난다. 그 과정에 있어서 음악은 상황에 따라 변화되기 마련이고, 뮤지컬을 창작하는데 있어서 드라마, 안무, 각각의 캐릭터를 구축해 나가면서 음악은 유연성을 가지고 변화해야한다. 그것은 작게는 악상, 가사의 소소한 변화에서부터 크게는 음악의 삭제, 추가까지의 변화가 될 수 있다. 창작뮤지컬 <슈팅스타>의 워크숍을 통한 제작과정 안에서 이루어진 연구를 통해 살펴본 결과 창작뮤지컬 음악은, 여러 가지 상황이나 이유들에 의해 변화 되어져야만 했고, 변화 되어졌다. 그러면서 극의 흐름과 드라마에서 나타내고자 하는 여러 감정들의 효과를 높일 수 있었다. 이러한 음악제작과정연구가 더욱 활발하게 이루어짐에 따라 한국 창작뮤지컬이 발전하고 세계무대에 진출할 수 있는 라이센스를 가진 창작 작품이 나오길 기대하는데 본 연구는 의의를 둔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