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본 논문은 중국의 6세대 감독 지아장커(贾樟柯)의 영화 <천주정>(2013)을 연구하고자 한다. 지아장커의 여러 편의 영화들 중 <천주정>을 연구하게 된 것은 이전의 작품들과 달리 강한 시각적 충격을 주고 작품 완성도와 중국의 현대사회를 잘 반영하고 있는 영화이고, 아직까지 국내외에서 연구된 사례가 부족하다고 판단했기 때문이다. 또한 지아장커가 이 영화를 찍게 된 계기가 무엇이고, 이 영화를 통해 무엇을 반영했는지 고찰하고자 했다. <천주정> 영화를 구체적으로 분석하기 위해 내러티브 분석, 캐릭터 분석, 인물 간의 대립관계 분석 및 시각적 스타일(공간, 소도구, 동물)에 대해 주로 분석을 하였다. 이 논문은 지아장커 감독의 뉴스개편 영화 작품 <천주정>을 주요 분석 대상으로 하고 있다. 제1장에서 연구 배경과 목적을 확정하고, 연구 범위와 방법을 제정하였다. 제2장 지아장커 감독의 작품에 대한 개론 및 작품 평가. 제3장은 <천주당>의 창작 원인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였다. 제4장 신문 사건의 영화화 발전에 대한 논술 뉴스 사건과 영화 텍스트에 대한 세밀한 분석과 해독을 통해 실기미학 이론을 결합함으로써 신문 개편은 시대 발전의 필연적 산물이다. 2013년 제작된 《천주정》은 이전 영화에서는 자본화의 흐름과 그것이 유발하는 사회 구조적 모순의 틀에서 방황하거나 혹은 순응하는 형식으로 하층민의 삶을 묘사하였지만, 《천주정》에서는 이전 영화에서는 보이지 않던 선혈로 스크린을 물들이는 폭력의 잔혹함이다. 지아장커 영화에서 처음으로 나타나는 주인공들의 복수가 사적인 원한에 의한 것인지 아니면 사회적인 시스템에 대한 저항인지는 차후 다시 논의하겠지만, 기존 그의 영화들을 살펴보면 《천주정》에서 나타나는 폭력의 잔혹함은 급작스럽게 돌출된 것이 아니라 그 이전의 영화에서 잉태되어 있던 폭력의 씨앗의 발현이었음을 발견할 수 있다는 점이다. 이러한 지점에서 폭력과 폭력의 진화에 대해 주목한다면, 이는 지아장커 영화의 현대 중국의 재현에 대한 동선을 따라갈 수 있는 하나의 실마리가 될 수 있으며, 《천주정》은 이러한 실마리를 풀어나갈 수 있는 출발점이 된다. 또한, 뉴스를 각색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뉴스 개편 영화의 발전 방향을 명확하게 해야 한다.뉴스 사건의 선정에서부터 뉴스 사건의 짜 맞추기, 조합 및 전파 의의에 이르기까지, 모두 빈틈없는 창작을 해야 한다. 따라서, 이 글은 신문 개편 영화 발전의 필연적인 의의와 영화산업 발전에 대해 시사하는 바가 있다. As representive of “the sixth generation” director, Jia Zhangke has consistently adhered to the documentary image style and humanistic care for real life. He has formed its own unique artistic style and made a difference in contemporary movies. With the change of the film system and the development of the film market, as well as the change of the times and the growth of his own experience, the artistic style of Jia Zhangke's films has also changed. From "forbidden to shoot" to famous both at home and abroad, the persistence of Jia Zhangke's artistic style shows his deep humanistic concern, and changes show that he began to pay attention to the development of film market. This paper takes Jia Zhangke and his movies as the main research object, summarizes his creative background and theoretical sources. According to the artistic characteristics of the film, his creative stage is combed and divided.The exploration stage provided experience and direction·for Jia Zhangke's future creation, the mature stage was a relatively stable stage. The metamorphosis stage is a period of change.The changes of Jia Zhangke's style are mainly manifested in the change of narrative structure from fragmentation to plate, the narrative space from the hometown to the world, the creation of the discourse from the individual to the mainstream, the theme from the edge to the public. Though the use of symbols to show the changes of the times and the fate of the characters and the culture of thinking. At the same time, he began to integrate commercial elements into the film, emphasis on the integration of art and business of films.This paper mainly uses text analysis method and literature research method to study the persistence and change contents of Jia Zhangke film's artistic style. Combined with the development of the contemporary film market, this paper analyzes the marketing strategies of Jia Zhangke's films and the influence on contemporary film.With the rapid development of the film industry, how to balance the artistic and commercial nature of the film is not only the problem of the film market, but also the problem that the director needs to think in the creation.
2003년 중국 대륙과 홍콩은 관세 철폐와 무역 자유화를 골자로 한 ‘경제무 역협력강화협정’(Mainland and Hong Kong Closer Economic Partnership Arrangement, 약칭 CEPA)를 체결했다. CEPA에서 영화 산업에 대한 관련 조 항은 홍콩 영화 특허를 제공하고 대륙에서 상영되는 홍콩 영화의 할당량, 극 장 운영의 개방 범위 및 영화 촬영 및 제작에 참여하는 인원의 제한을 완화 했다. CEPA를 전후하여 홍콩영화는 영화의 제재, 서사구조 등 창작 측면과 산업적인 측면에서 많은 변화가 일어난 것으로 관찰된다. 본 연구는 CEPA를 전후해 홍콩영화에 나타난 내러티브 변화과정을 살펴보는 것을 목적을 하며, 콘텐츠 비평의 관점에서 홍콩영화와 관련한 문헌과 텍스트를 사례 중심으로 분석하고 그 가운데 나타난 변화양상을 고찰하였다. 이를 위해 시기별 홍콩 영화 9편을 연구대상으로 선정하고, 이를 창작의도, 작품의 배경, 캐릭터, 촬 영기법과 이미지 등을 4개 항목으로 분석하였다. 먼저 홍콩 영화와 중국 대 륙 영화의 발전 과정을 살펴보고, 그 다음, 80년대 홍콩 영화의 서사 분석을 통해 CEPA 이전 홍콩 영화의 특징을 알아보았다. 이어서 1984년 중국과 영 국이 체결한 ‘중·영 공동성명’을 시작으로 1984년부터 2023년까지 홍콩영화 의 내러티브 변화 과정과 특징을 세 기간으로 나눠 살펴보았다. 이를 바탕으 로 홍콩영화의 현황 및 발전 방향을 제시해보고자 했다. 그 결과, CEPA협정 이전 홍콩영화 내러티브의 주된 특징으로는 다양한 장 르의 영화들이 풍부하게 나타나며, 오락 지상주의와 극단적인 상업주의 경향 을 들 수 있다. 영화에 나타난 내러티브의 주체는 식민지 시대의 유랑자에서 홍콩 반환 이전 애매한 신분의 이산자, CEPA 이후의 홍콩 지역민과 유사하 거나 공동발전을 도모하는 협력자 이미지로 이어진다. CEPA 이후 홍콩영화 의 소재는 오락중심적인 상업영화에서 애국주의로 바뀌면서 주요 제재가 국 가 이데올로기 중심의 주선율 영화로 전환되었다. 또한, 장르별로는 80년대 영화 장르가 풍성했던 홍콩 영화가 CEPA 이후, 극영화, 코미디, 로맨스 등 세 가지 장르에만 집중하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 제작 측면에서 1984년 중· 영 공동성명은 1997년 홍콩 반환, 2003년 CEPA 협정 체결로 이어졌다. 1984 년에는 100% 홍콩 제작 영화가 주를 이뤘고 이들 영화는 세계적으로 홍콩영 화 전성시대를 이끌었다. 그런데 1997년 홍콩 반환 이후 대륙과 홍콩의 본격 적인 협력이 시작되면서 CEPA 이후 현재까지 약 20년간 대륙이 주도하는 대륙-홍콩 합작 영화가 전체 평균 53.6%를 차지할 정도로 증가하였다. 본 연구는 아시아에서 독특한 사회적 지형과 특징을 가졌던 홍콩영화가 반 환과 CEPA라는 새로운 환경 속에서 내러티브에 어떠한 변화가 나타났고 어 떻게 반응했는지, 그동안 제작, 생산된 홍콩의 영화를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홍콩영화의 내러티브 변화 과정을 살펴보는 것은 영화예술이 정치나 외부환 경으로부터 어떠한 영향을 받으며 발전하는지, 그로 인한 변화양상은 무엇인 지 파악한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후속 연구로는 중국 대륙과 홍콩, 그리 고 중국 대륙과 다른 지역의 영화산업 교류를 지속적으로 관찰하면서 중국 어권 영화의 경쟁력 강화와 관련된 연구를 수행하고자 한다. 주제어: 홍콩 영화, CEPA, 내러티브 변화, 오락 지상주의, 주선율 영화
상수원수 중 미량유해물질과 미생물 모니터링 기법 개발 및 제어방법에 관한 연구
본 연구에서는 상수원수내 존재하는 미량유해물질과 미생물을 파악하기 위해 각각의 모니터링 기법을 확립 하였으며, 오존 및 고급산화처리를 적용하여 미량유해물질과 미생물의 제거효율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또한 검출된 일부 물질에 대해 E-screen assay를 통한 내분비계 장애물질 여부를 확인 하였으며, 오존, UV, 오존UV 처리에 따른 P. aeruginosa의 불활성화 연구를 수행하였다. 액액추출법 (Liquid-Liquid Extraction, LLE)을 이용한 300여종의 미량유해물질을 동시에 분석할 수 있는 다성분 동시다분석 방법을 확립하였다. 확립된 310종 동시다분석법을 이용하여 원수내 (팔당호, 섬강) 존재하는 미량유해물질을 분석한 결과 팔당호에서 42~77종, 섬강에서 29~33종의 물질이 검출되어 팔당호가 섬강에 비해 미량유해물질에 대한 오염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원수에서 검출된 미량유해물질의 농도는 우리나라 수질 기준 및 외국의 수질기준과 비교하여 매우 낮은 수준이였다. 검출된 일부 농약류 (isoprothiolane, molinate, flutolanil)와 프탈레이트류 (dimethyl phthalate, diisobutyl phthalate, dibuthyl phthalate, buthyl benzyl phthalate)에 대한 오존 및 고도산화처리 결과 농약류제거에는 오존UV 혼합공정이 가장 높은 제거율을 보였지만, 혼합공정의 비용을 고려한다면 오존 단독공정이 적합한 것으로 판단되었으며, 프탈레이트류의 경우 오존UV 혼합공정에서 많이 제거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유해성이 있다고 판단되는 농약류 (diazinon, fenitrothion, isoprothiolane, iprobenfos, flutolanil, fenobucarb, carbaryl, parathion, 1,2-Dibromo-3-chloropropane)와 프탈레이트류 (diisobutyl phthalate, dimethyl phthalate, diethyl phthalate)에 대한 E-screen assay 결과 일부 농약류 (diazinon, parathion, fenitrothio)에서만 세포증식을 확인할 수 있었고 프탈레이트류에서는 세포증식을 확인할 수 없었다. 분자생물학적 방법인 PCR-RFLP법을 이용하여 수중에 존재하는 각종 세균을 검출할 수 있는 방법을 확립하였다. 확립된 모니터링 방법으로 소독처리 전후의 대상원수 (상수원수, 정수, 하수방류수)를 분석한 결과 정수에서는 미생물이 존재하지 않았으며, 상수원수 58종, 오존처리수 5종, UV 처리수 7종, 오존UV 혼합처리수 3종이 검출되었다. 그리고 하수방류수에서는 13종, 오존처리수 9종, UV처리수 6종, 오존UV 혼합처리수 5종이 검출되었다. 이러한 결과 대상원수에 상관없이 오존UV 혼합처리가 수중 미생물을 제어하기에 가장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지표세균 및 수인성 세균 (E.coli, S. aureus, P. aeruginosa, S. typhimurium, S. flexineri, Y. entrocolitic)에 대한 불활성화 평가결과 대상원수, 소독공정, 대상 미생물에 따른 제거효율의 차이는 있었지만, 지표세균 및 수인성 세균 제거에 있어서는 오존 단독공정과 오존UV 혼합공정보다 UV 단독공정이 가장 적합하였다. 대상 시료 (증류수, 하수방류수) 및 소독공정별 (오존, UV, 오존UV) P. aeruginosa 처리결과 오존UV 혼합공정이 가장 불활성율이 좋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증류수에 비해 하수방류에서 최고 5배 정도 느린 제거속도를 보였다. 수중에 존재하고 있는 UV254, Alkylphenols, HAAFP의 제거효율은 오존UV 혼합공정에서 가장 높았으며, 이 때 생성된 Aldehydes는 오존 단독공정에서 가장 높게 생성되었다. 수중에 존재하는 미생물 및 유기물질을 동시에 제어하기 위해서는 오존UV 혼합공정이 적합한 것으로 사료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the monitoring methods, which can detect the micropollutants and microbial present in drinking water sources (Pal-dang reservoir and Sum river), and to evaluate the their removal efficiencies by ozone and advanced oxidation processes (AOPs). Also, E-screen assay was performed for the detected micropollutants, and kinetic study for the P. aeruginosa inactivation was carried out. In this study, an analytical method for simultaneous detection of 300 chemicals in water at ppt level was developed using Liquid-Liquid Extraction, (LLE). In the analytical results obtained by this method, 42-77 kinds in Pal-dang reservoir and 29-33 kinds in Sum river were detected, showing that the contamination level of Pal-dang reservoir was higher than that of Sum river. However, the concentrations of the detected micropollutnats were significantly low as compared to the regulation levels in other advanced countries. In the experiment for removing several pesticides (isoprothiolane, molinate, flutolanil) and phthalates (dimethyl phthalate, diisobutyl phthalate, dibuthyl phthalate, buthyl benzyl phthalate) with ozone, UV and ozoneUV processes, the highest removal efficiency was found from the ozoneUV process, but for the pesticide the ozone alone process was most appropriate as considering the cost. As the result of E-screen assay for several pesticides (diazinon, fenitrothion, isoprothiolane, iprobenfos, flutolanil, fenobucarb, carbaryl, parathion, 1,2-Dibromo-3-chloropropane) and phthalates (diisobutyl phthalate, dimethyl phthalate, diethyl phthalate), Of them, diazinon, parathion and fenitrothio only showed the cell multiplication, which would be suspected as endocrine disrupting compounds. Using the PCR-RFLP technique, an monitoring method was developed for detecting the various bacteria present in raw water. Several raw waters (drinking water source, drinking water and sewage treatment plant effluent) and treatment water by ozone, UV and ozoneUV processes were investigated for bacteria monitoring by the PCR-RFLP method. As the results, no bacteria was in drinking water and in drinking water source, 58 kinds in raw water, 5 kinds in ozone treatment water, 7 kinds in UV treatment water and 3 kinds in ozoneUV treatment water were detected. Also, in sewage treatment plant effluent, 13 kinds in raw water, 9 kinds in ozone treatment water, 6 kinds in UV treatment water and 5 kinds in ozoneUV treatment water were detected. This result indicated that the ozoneUV process was the best regardless of water characteristics. As the results of several bacteria species (E.coli, S. aureus, P. aeruginosa, S. typhimurium, S. flexineri, Y. entrocolitic), the inactivation efficiency showed the difference according to the target water, process type and target bacteria, and the UV process of the candidate processes was most appropriate to control the bacteria. An kinetic study of P. aeruginosa inactivation was conducted by ozone, UV and ozoneUV processe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background organics present in raw water, P. aeruginosa was spiked in the target waters (DW and sewage treatment plant effluent). As the results, the inactivation rate by ozone alone process was 5 times lower in sewage treatment plant water than in DW. It was also found that the ozoneUV process showed the highest efficiency for P. aeruginosa inactivation, and during the process, UV254, Alkylphenols and HAAFP were highly removed as well. As the result of aldehydes formation by each process, the ozone alone process showed the highest yield of aldehydes. From these results, it could be proposed that the ozoneUV process was a good tool for the simultaneous control of bacteria and organics in water.
1인 미디어 방송의 시청동기가 방송평가 및 태도에 미치는 영향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viewing motivation and evaluation criteria for single-person media broadcasting on viewers' reactions. The motivation for viewing was classified into "information seeking" and "entertainment seeking" motivations, and the evaluation criteria were classified into "logical evaluation criteria" and "emotional evaluation criteria" for one-person media broadcast content and hosts, respectively. Based on previous studies, research hypotheses and models were established on viewing motivation, evaluation criteria, viewing attitude and continuous viewing intention, and attitudes toward brands mentioned in broadcasting and purchase intention. Data were collected through a survey and statistical analysis using SPSS24 was conducted to test the research model and hypothesis. As a result of empirical analysis, logical evaluation criteria are important if the motivation for pursuing information is high. Emotional evaluation criteria were found to be important if the motivation for pursuing entertainment was high. Sequentially, it was found that these viewing motivations and evaluation criteria had a significant effect on viewing attitude, continuous viewing intention, brand attitude, and purchase intention for broadcasting. The results of this study will help establish improvement measures and marketing strategies that can increase viewers' interest and attitude in single-person media broadcasting by revealing the factors that affect the viewer response of single-person media broadcasting. In addition, if a company spreads advertisements through one-person media broadcasting, considering the impact of viewers' viewing motivation and evaluation criteria on the brand, a more effective brand communication strategy can be established based on thi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expected to helptheoretical and practical development in the field of one-person media broadcasting. 본 연구의 목적은 1인 미디어 방송의 시청동기와 평가기준이 시청자의 반응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는 것이다. 시청동기는 "정보추구"와 "오락추구" 동기로 분류하였으며, 평가기준은 1인 미디어 방송 콘텐츠와 진행자 각각에 대한 "논리적 평가기준"과 "감성적 평가기준"으로 분류하였다. 선행연구들을 바탕으로 시청동기, 평가기준, 시청태도 및 지속시청의도, 방송에서 언급되는 브랜드에 대한 태도와 구매의도에 대한 연구가설과 모형을 수립하였다. 설문조사를 통해 자료를 수집하고 PSS24를 이용한 통계 분석을 실시하여 연구모형과 가설을 검정하였다. 실증분석 결과, 정보추구 동기가 높으면 논리적 평가기준이 중요하고. 오락추구 동기가 높으면 감성적 평가기준이 중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순차적은 이러한 시청동기와 평가기준이 방송에 대한 시청태도, 지속시청의도, 브랜드 태도 및 구매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는 1인 미디어 방송의 시청자 반응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밝힘으로써, 1인 미디어 방송에 대한 시청자의 관심과 태도를 높일 수 있는 방안 도출에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다. 또한, 기업이 1인 미디어 방송을 통해 광고를 전파하는 경우, 시청자의 시청동기와 평가기준이 브랜드에 미치는 영향을 고려한다면 이를 바탕으로 더욱 효과적인 브랜드 커뮤니케이션 전략을 수립할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의 결과들이 1인 미디어 방송 분야에서의 이론적, 실무적 발전에 도움을 줄 것으로 기대된다
한·중 청춘영화에 나타난 여성 재현 비교 : <아인슈타인과 아인슈타인>, <벌새>를 중심으로
주설 동국대학교 일반대학원 2023 국내석사
청춘문화의 중요한 예술적 표현 중 하나인 청춘영화는 제작 국가별로 상이한 특성을 띠는 동시에 영화 속 젊은이들이 부당한 사회 질서와 이데올로기에 저항한다는 주요한 유사성을 갖는다. 특히 유교문화의 영향을 받은 한국과 중국 사회에서 ‘계급’을 기반으로 한 가부장제는 영화 속 젊은이들에게 핵심적인 저항 대상이며, 본 논문이 분석하고자 하는 한국 영화 <벌새>(김보라, 2019)와 중국 영화 <아인슈타인과 아인슈타인>(조보평, 2018) 또한 가부장제 하 여성의 저항과 성장을 주제로 삼는다. 본 논문의 주요 내용은 영화 속 카메라의 시각, 은유, 주인공 이미지 분석이다. 두 영화는 과거 청춘영화가 지속적으로 반복한 주제보다는 여성들이 성장하면서 겪는 어려움과 훈육, 반항 등에 초점을 맞췄다. 이때, 여성들이 겪는 어려움은 주로 가정과 가부장적 사회에서 비롯된다. <아인슈타인과 아인슈타인>은 여성이 성장하면서 겪는 어려움을 단편적으로 그려내는 데 그쳤지만 <벌새>는 여성의 성장과 자의식 형성 과정을 보다 깊이 있게 그려냈다. 중국 영화 속 여성은 여전히 수동적 태도에 머무르고 있으며, 타인의 인정을 추구하는 모습을 보인다. 이는 중국에서 페미니즘이 수동적이고 소극적으로 발전하고 있는 것과 큰 연관이 있다. 반면 한국영화 속 여성은 고통을 표현하는 데서 나아가, 여성 스스로 여성의 의미를 생각해야 한다는 것을 깨닫고 실천에 옮긴다. 청춘영화를 여성의 시각으로 분석하는 것은 청춘영화 속 여성 캐릭터를 해방시키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다. 그뿐만 아니라, 자라나는 여성들에게 자신의 청춘을 직시할 수 있는 힘을 줄 수 있다는 점에서 큰 의의가 있다. Youth films, as a vital artistic expression of youth culture, exhibit diverse characteristics in different countries of production. Nevertheless, they also share significant similarities in terms of depicting the resistance of young people against an unfair social order. Throughout history, youth films have aimed to evoke emotional responses from the audience and establish a deep connection by portraying the protagonist’s rebellious, resistant, introspective, and reflective narratives. However, in the majority of youth films, the “youthful life” was often portrayed as a privilege reserved only for male characters. Women in these films were depicted as unhappy individuals, frequently experiencing frustration and pain, while male characters were presented as positive figures providing comfort and protection for them. Consequently, women in these youth films have long remained hidden behind or in the shadow of men, rather than standing as independent subjects. The theme of this thesis is the resistance and growth of women under the patriarchal depicted in the Korean film <House of Hummingbird> (김보라, 2019) and the Chinese film <Einstein and Einstein> (조보평, 2018). The main focus of the analysis will be on space, metaphor, and image analysis of the main characters through the lens of the camera. The thesis will delve into how these two films, which share similar themes and narratives, depict women differently by utilizing various elements of cinematography and storytelling. Firstly, the thesis explores the concepts of “home” and “outdoor” spaces. The house is viewed as a domain where the patriarchal operates, while the outdoor space represents an escape from patriarchal norms. Additionally, “educational space” emerges in <House of Hummingbird>, which serves as a pivotal place for awakening new awareness among female subjects. Secondly, animal metaphors employed for the characters in these films enhance the symbolism and meaning of the narratives, evoking thoughts and empathy from the audience. It also provides an intriguing and profound way to construct characters and storytelling. <Einstein and Einstein> utilizes the characteristics of dogs obedient to humans to foreshadow Li Wan’s liberation from obedience to patriarchal norms. On the other hand, <House of Hummingbird> employs the characteristics associated with hummingbirds, belonging to nature, to signify Eun hee’s emancipation from the patriarchal confines of home. Furthermore, when depicting male-centered control, violence or psychological aggression occupies a significant portion of the scenes in these films. Both <Einstein and Einstein> and <House of Hummingbird> portray similar violent scenes but with different characteristics. <House of Hummingbird> focuses more on the emotional aftermath of violence rather than the violence itself, exemplified by wounds and broken glass. This demonstrates that violence is not the direct cause of women’s pain, but rather the result of women’s subjugation to patriarchy in their daily lives. Conversely, <Einstein and Einstein> depicts the process of violence as it unfolds, juxtaposing the protagonist’s initial strong resistance against violence with her eventual compromise. Through this contrast, the director portrays a woman who ultimately falls silent under the patriarchal dominance. Both films center on the difficulties, discipline, and rebellion faced by women as they grow, deviating from the recurring themes in past youth films. The challenges women encounter primarily stem from family dynamics and the patriarchal nature of society. <Einstein and Einstein> depicts the process of violence as it unfolds, juxtaposing the protagonist’s initial strong resistance against violence with her eventual compromise. Through this contrast, the director portrays a woman who ultimately falls silent under the patriarchal dominance. Portrays the difficulties women face during their growth through fragmented episodes, whereas <House of Hummingbird> delves more profoundly into women’s growth and self-awareness. Analyzing youth films from a woman’s perspective can play a crucial role in liberating female characters in youth films. Moreover, it holds significant importance as it empowers young women to confront their own youth with strength and resilience.
지시 화행은 사회적 보편성을 갖고 있는 중요한 의사소통 수단이다. 따라서 외국어로서 한국어 교육에서 학습자가 한국어 지시 화행의 특성과 유형을 잘 파악하고 원활하게 응대를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다. 본 논문 연구 목적은 한국어와 중국어 지시 화행 응대에 대해서 시트콤 대본을 중심으로 두 언어 지시 화행의 응대 방법을 대조하여 차이점과 공통점을 찾아내는 것이다. 장별로 논의된 사항은 다음과 같다. Ⅰ장에서는 본 연구의 목적과 연구 방법을 제시하였다. Ⅱ장에서는 화행이론과 한국어와 중국어 지시 화행 개념과 유형, 그리고 외국어 교육에서 중요한 연구방법인 대조 분석 등 본 논문의 이론적 배경을 정리해 보았다. 그리고 한국어와 중국어 화행 비교와 지시 화행에 대한 선행 연구를 살펴보았다. Ⅲ장에서는 본고의 가장 핵심적인 부분으로 구체적인 시트콤 대본에서 선택된 예문을 들어 한국어와 중국어 지시 화행에 대한 수락 응대 방법을 살펴보았다. 한국어와 중국어 지시 화행 응대에 대한 방법은 유사하다고 보았다. 직접 수락에서 지시에 복종하는 태도를 지닌 수락과 자발적인 수행 태도를 지닌 수락 두 가지 방법이 있고 간접 수락에서는 감사, 약속, 지시 내용 재확인, 전제적 제안, 이유 묻기 등 방법들이 있다. 또한 중국어와 한국어 지시 화행의 수락과 거절 응대의 수행하는 방법의 사용 빈도를 대조하여 중국어와 한국어 지시 화행 수락 응대 수행의 사용 빈도에서 공통점과 차이점을 고찰했다. Ⅳ장에서는 한국어와 중국어 지시 화행에 대한 거절 응대 방법을 살펴보았다. 한국어와 중국어 지시 화행 응대에 대한 거절 응대 방법은 유사하다고 보았다. 직접 거절에서 직접 거절에서 미수행의 의도 표명과 수행 불가의 진술 두 가지가 있고, 간접 거절에서는 이유 설명, 사과, 다시 제안, 이유 묻기, 감사 등 방법들이 있다. 그리고 중국어와 한국어 지시 화행의 수락과 거절 응대의 수행하는 방법의 사용 빈도를 대조하여 중국어와 한국어 지시 화행 거절 응대 방법의 사용빈도에 대한 공통점과 차이점을 고찰했다. Ⅴ장에서 본 논문의 결론을 정리했다.
권위적 리더십과 변혁적 리더십이 역할 내 성과에 미치는 영향 : 권력거리성향과 리더근접근무시간의 조절효과
주설 전북대학교 일반대학원 2021 국내석사
본 연구는 권위적 리더십과 변혁적 리더십이 직원의 역할 내 성과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분석하였고, 권위적 리더십과 역할 내 성과 간의 관계에서 권력거리성향의 조절역할을 분석하였다. 변혁적 리더십과 역할 내 성과 간의 관계에서 권력거리성향의 조절역할을 분석하였다. 권위적 리더십과 역할 내 성과 간의 관계에서 리더근접근무시간의 조절역할을 분석하였다. 그리고 변혁적 리더십과 역할 내 성과 간의 관계에서 리더근접근무시간의 조절역할을 분석하였다. 이를 위하여 중국의 직장에 근무하고 있는 230명의 근로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데이터를 수집하였고, 이를 분석하여 가설을 검증하였다. 분석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권위적 리더십과 변혁적 리더십이 역할 내 성과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부하직원의 권력거리성향은 권위적 리더십과 역할 내 성과 간의 관계를 조절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부하직원의 권력거리성향은 변혁적 리더십과 역할 내 성과 간의 관계를 조절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리더근접근무시간은 권위적 리더십과 역할 내 성과 간의 관계를 조절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리더근접근무시간은 변혁적 리더십과 역할 내 성과 간의 관계에서 조절효과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한국어와 중국어에서 다의어로 이룬 반의어 쌍 간에 반의 관계의 형성 범위를 파악하고 그 양상을 체계적으로 밝히는 데에 있다. 반의어 쌍에서 한쪽, 혹은 양쪽이 모두 다의어의 경우, 기본의미와 확장의미에서 모든 의미 항목이 반의관계가 이루는 것이 아니라 매우 복잡하고 다양한 양상이 보인다. 이러한 반의어 쌍의 다의 구조에서 반의관계의 형성 범위를 파악하고 도식화하여 제시하는 것이 반이 교육에 있어서 아주 유용한 학습 자료로서 연구의 의미를 찾을 수 있고 한국어 학습자뿐만 아니라 중국어 학습자에게도 큰 도움이 될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반의어의 다의 구조를 살펴보기 위해 먼저 반의어를 연구 목적과 맞게 분류하여 각 분류마다 대표적인 어휘를 선정하였다. 그 다음은 해당 어휘들을 대상으로 한국어와 중국어의 대표적인 사전에서 제시된 의미를 수집하여 분석 자료로 삼았다. 이러한 의미를 기본 의미와 확장 의미로 나눠서 정리하고 이에 따른 다의 구조를 도식화 하여 제시하였다. 마지막으로 한국어와 중국어에서의 반의어 다의 구조를 대조하여 그 공통점과 차이점을 찾아냈다. 본 연구의 구조는 다음과 같다. 1장에서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을 밝히고 선행 연구를 검토하여 연구 대상 및 방법을 밝혔다. 2장에서는 이론적 배경을 제시한다. 인지언어학을 기반으로 원형이론, 은유와 환유, 다의어의 의미 확장 원리 및 확장 방향에 대해 설명할 것이다. 3장부터 반의어의 다의 구조와 이러한 다양한 의미 항목을 바탕으로 반의관계의 형성 양상을 본격적으로 고찰한다. 3장은 방향 반의어, 4장은 정도 반의어, 5장은 상보 반의어의 순으로 분석을 진행한다. 마지막 6장에서 본 연구의 내용을 정리 요약하고 결론 및 앞으로 연구해야 할 방향을 제시한다.
반려동물 보호자의 돌봄 경험 : 동물 노화, 질병, 죽음을 중심으로
수의학은 동물을 단순한 의료적 개입의 대상이 아니라 질병과 죽음을 겪는 행위적 주체로 바라보고, 이들과 관계 맺는 사람들과의 상호영향을 인식할 필요가 있다. 반려동물 임상이 현대 수의학의 주된 현장이 되었고, 반려동물-보호자 관계에 더 큰 의미가 부여되고 있다. 반려동물의 건강은 보호자의 돌봄에 의존하며, 또한 동물들의 건강은 보호자의 삶에 영향을 미친다. 특히 반려동물의 노화와 질병, 죽음을 겪으면서 보호자는 여러 실제적 어려움을 마주한다. 이러한 어려움은 곧 동물이 받는 ‘돌봄의 질’과 직결된다. 하지만 반려동물 보호자의 경험은 그간 깊이 있게 다루어지지 않았다. 본 연구는 개와 고양이를 돌보는 보호자가 경험한 반려동물의 노화, 질병, 죽음 사건을 심층적으로 이해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10년 이상 개, 고양이를 기른 적 있는 30명의 보호자를 대상으로 심층면담을 진행하고, 수집된 반려동물 보호자 내러티브에 대한 주제 분석을 진행하였다. 인간과 반려동물이 갖는 관계적 의존성으로 인해, 일상적 양육부터 간병까지를 포함한 돌봄 수행 양상과 범위 변화가 동물의 생애주기를 따라 끊임없이 일어났다. 이 과정에서 동물의 변화나 인간과 다른 생애주기에 대한 인식이 돌봄 변화의 중요한 전환점이 되었다. 이러한 과정은 동물의 신체나 행동에 대한 보호자의 감각뿐 아니라, 과거 경험, 의료적 정보, 지식 등에 대한 통합적인 해석을 통해 이루어졌다. 인식 이후, 기존과는 다른 반려동물 돌봄이나 동물 의료적 개입이 이루어지기 시작했다. 돌봄은 점차 전문화되어야 했고, 특히 동물의 상태와 경험에 관심을 갖고 그들의 요구를 파악하는 것이 중요했다. 언어적 교환의 어려움으로 인해 동물을 더욱 잘 이해하고 돌볼 수 있도록 보호자들은 상상력을 동원하고 경험을 통한 지식을 쌓는 데 더욱 주의를 기울여야 했다. 아프기 시작하는 동물과 살아간다는 것은 신체 접촉과 공감을 기반으로 하는 체현된 (상호) 지식과 습관을 쌓는 과정이자, 순탄치 않은 상호변화와 타협, 적응의 과정이었다. 동물의 전 생애를 돌보며 노화, 질병과 죽음을 경험하는 것은 연구 참여자들에게 자신과 타자, 삶과 죽음에 대한 배움과 성찰의 과정이기도 했다. 이에 더해, 연구 참여자들의 돌봄 경험에서 종을 초월하여 이루어지는 돌봄의 여성성, 즉 민감성과 관계적 가치의 발현을 확인하였다. 동물 의료적 관점에서 동물 돌봄 전환 시기마다 다르게 인식되는, 혹은 지속되는 수의사의 영향과 역할, 그리고 보호자들의 기대를 파악하기 위해 ‘생애 과정’으로서 돌봄을 이해해야하며, 이러한 이해는 동물의 치료나 가정 간병의 옵션, 혹은 생애말기 의사결정 과정 방식을 제시하고 이를 선택하는 과정에서 중요하게 고려될 필요가 있음을 확인했다.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돌봄 기반 동물 진료의 필요성과 수의학에서의 ‘돌봄’ 개념 확립의 필요성을 제언한다. 반려동물-보호자 돌봄 관계가 갖는 특별한 상호의존성을 고려할 때, 반려동물의 건강과 복지 증진을 위해서는 동물의 신체, 정서, 사회적 측면의 다층적인 돌봄에 관심을 갖고, 이를 수행하는 보호자가 인식하고 있는 반려동물에 대한 관계적 책임과 역할, 그리고 돌봄 환경에 대한 통합적인 이해가 필요하다. Veterinary medicine should regard animals not just as objects of medical intervention but as actors who experience disease and death, recognizing the interaction of their relationships with people. Companion animal clinical practice has become the mainstream of modern veterinary medicine, giving greater significance to the pet-owner relationship. The health of pets depends on the care they receive from their owners, just as the health of animals affects the lives of their owners. Pet owners face many practical challenges, especially as their pets get older, ill, and die. These challenges are directly related to the "quality of care” the animal receives. However, the experiences of pet owners have yet to be explored sufficiently. This study provides an in-depth understanding of pet owners' experiences of their pets' aging, disease, and death.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thirty pet owners who had owned dogs and cats for over ten years. A thematic analysis was conducted on the collected narratives about the life history shared with the pets. As a result, due to the relational dependence between humans and their pets, changes in the nature and scope of care practices, from daily nurturing to caregiving for patients, occur constantly along the animal's life cycle. In this process, the "recognition” of the animal's change or their different life cycle from humans became a critical turning point in the transition in care. This was achieved through an integrated interpretation of the owners' experiences, medical information, and knowledge and their sensitivity to the animal's body and behavior. After recognition, "changes” in pet care and veterinary medical interventions began. Care became increasingly specialized, and paying attention to the animal's condition and experiences was crucial in identifying its needs. Due to the difficulty of linguistic exchange, owners had to pay more attention to their pets, using imagination and lived knowledge to better understand and care for them. Living with a sick animal was building embodied (mutual) knowledge and habits based on physical contact and empathy, a process of reciprocal change, compromise, and adaptation. Caring for animals through out their lives and experiencing aging, disease, and death were also a "meaningful process” of learning and reflection about self, others, life, and death for the participants. In addition, the femininity of caring across species, which is the expression of sensitivity and relational values in the participants' care experiences, was identified. In conclusion, pet care needs to be understood as a "life course” that identifies the impact and role of the veterinarian and the expectations of owners, which are perceived differently at different times of the animal's care transition. From a veterinary perspective, this consideration should be considered when presenting and choosing options for the animal's treatment, home care, or end-of-life decision-making. Based on these findings, this study suggests providing care-based animal consultation and establishing the concept of ‘care' in veterinary medicine. Given the unique interdependence of the pet-owner care relationship, promoting pet health and well-being requires attention to the multi-layered physical, emotional, and social aspects of care and an integrated understanding of the perceived relational responsibilities and roles of pet owners with their care environ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