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TOXPO : TOXicogenomics knowledgebase for inferring toxicity based on POlymorphism

        조윤주 경희대학교 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647

        Recently, many state-of-the-art omics technologies are being applied to systems toxicology research because evaluation of toxicity in pre-clinical trials is a big issue in the pharmaceutical industry. Now, genetic polymorphisms are also considered in systems toxicology because polymorphism information can be used to explain individual-specific toxicity and/or side effects. However, in spite of its importance, no well-organized database for individual toxicity has been reported to date. To address this issue, we first extracted toxicity-related human gene information from the CTD (Comparative Toxicogenomics Database), and then, using comparative genomics techniques and retrieving information from animal databases, we gathered the corresponding genes from the mouse and rat. The CTD, dbSNP, RGD (Rat Genome Database), MGI (Mouse Genome Informatics), NHGRI Genome-Wide Association Studies, JMDBASE (Japan Metabolic Disease Database) and GAD (Genetic Association Database) were used as original information sources. The dbSNP was used as a major polymorphism data source, and other related databases were also used to find disease- and/or toxicity-related SNPs. The MS-SQL server 2008 was used as a database management system and ASP was used to construct a database-web interface. The result of our efforts is TOXPO (TOXicogenomics knowledgebase for inferring toxicity based on POlymorphism), the first database managing toxicogenomics information based on genomic variation. This database is freely available on website http://163.180.41.43/toxpo. 최근, 최신의 오믹스(omics) 기술이 시스템 독성학 (systems toxicology) 연구에 응용되고 있다. 왜냐하면 비임상 과정에서 독성을 측정하는 것이 제약산업에서 큰 이슈가 되기 때문이다. 또한 유전체 다형성(genetic polymorphism) 정보가 개인에 따른 특정 독성, 또는 약에 의한 부작용 등을 설명할 수 있다는 이유로 시스템 독성학에서 고려되고 있다. 그러나 이렇게 중요함에도 불구하고 개인별 독성에 관련된 데이터베이스가 보고되지 않고 있다. 이러한 이슈를 설명하기 위해 우리는 먼저 Comparative Toxicogenomics Database (CTD)에서 독성 관련 인간 유전자 정보를 추출하였다. 그리고 나서 동물 관련 데이터베이스에서 정보를 검색하고 또 비교 유전체학 기술을 이용하여mouse와 rat에서 인간의 독성 관련 유전자와 상응하는 유전자 정보를 얻을 수 있었다. 유전자와 단일염기다형성, 질병관련 유전자에 대한 정보를 얻기 위해 CTD(Comparative Toxicogenomics Database), dbSNP, RGD(Rat Genome Database), MGI(Mouse Genome Informatics), NHGRI Genome-Wide Association Studies, JMDBase(Japan Metabolic Disease Database), 27 GAD(Genetic Association Database)에서 제공하는 정보를 근원자료로 사용하였다. 또한 단일염기다형성정보는 NCBI에서 제공하는 dbSNP을 주로 이용하였고, 또 다른 SNP관련 데이터베이스들은 SNP과 관련된 질병 또는 독성에 대한 정보를 얻기 위해 사용하였다. 데이터베이스 관리시스템으로는 MS-SQL server 2008을 사용했고, 데이터베이스와 웹 사이의 인터페이스를 구축하는 데는 ASP언어를 사용하였다. 이러한 노력의 결과로 TOXPO(TOXicogenomics Knowledgebase for inferring toxicity based on POlymorphism), 유전체 변이(genomic variation)에 기초한 독성유전체학 정보를 제공하는 첫 번째 데이터베이스를 만들게 되었다. 이 데이터베이스는 현재 이용가능하며 웹 사이트 주소는 다음과 같다. http://163.180.41.43/toxpo

      • 외상후 스트레스 동물모델에서 공포기억에 미치는 원지의 효능 연구

        조윤주 경희대학교 동서의학대학원 2015 국내박사

        RANK : 247647

        외상후 스트레스 동물모델에서 공포기억에 미치는 원지의 효능 연구 조윤주 경희대학교 동서의학대학원 동서의학과 한의학전공 지도교수: 류재환, 맹성호 외상후 스트레스 장애,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PTSD)는 극도의 스트레스성 경험 이후 지속적인 고통과 공포감을 느끼며, 정상적인 사회생활에 부정적인 영향을 끼치는 질환으로 현재 심각한 문제로 알려져 있다. 다른 스트레스성 질환과는 달리 PTSD는 원인규명이 명확하여, 공포가 형성되고 소거되는 과정에서 공포기억의 응고와 재응고를 억제, 공포기억의 소거를 촉진, 공포기억의 재설립 또는 재생억제를 통해 공포기억을 경감하거나 소거함으로써 치료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질환으로 다뤄진다. 현재까지 이에 대한 치료법으로 신경과학, 인지과학 분야에서 약물치료와 정신치료요법이 사용되어왔고 비교적 안전하게 병행 가능한 약물개발에 초점이 모아지고 있으나 효과적으로 적용 가능한 약물은 미비한 상황이여 동서의학분야의 다양한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원지는 동양의학에서 신경계를 안정시키는 약물로써, 현대의학에서는 신경보호효과, 학습능력 개선 효과, 항우울〮•항불안 효과제로 사용되어진다. 특히 PTSD동물모델에서 공포기억과 관련된 행동학적 변화들을 감소시킨 보고는 원지가 공포감정과 관련된 스트레스성 질환에 효과적인 약물로서의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원지가 공포기억의 형성을 감소시킨다는 선행연구의 결과에 따라 원지가 외상후 스트레스 동물모델에서 공포기억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이 연구를 위해 조건화 공포 패러다임 이용하였으며, 무조건적 자극(전기충격)과 조건적 자극(백색소음)의 조건적 자극에 따라 형성된 공포기억 형성기전에서 기억의 응고, 재응고, 소거, 재설립, 재생과정에 제어하는 원지의 효과를 단계별로 관찰하였다. 재응고 과정은, 맥락과 소리단서에 3분간 노출하여 생쥐의 공포반응을 측정하였다. 공포기억의 소거 효과는, 소리단서에 30회 반복노출 하거나 맥락에 30분간 노출한 후 생쥐의 공포반응을 측정하였다. 1회 전기충격으로 공포기억이 재생되어 발현이 되는 재설립 과정은, 30회의 조건적 자극으로 공포기억 소거 후 다른 맥락의 소리단서에 노출하여 측정하였다. 공포기억 형성기전의 과정별로 원지의 제어효과를 관찰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단1회 원지투여로 진행된 맥락과 소리단서의 반복적 노출에 의한 공포기억의 재응고, 소거에 대한 원지의 제어효과는 나타나지 않았다. 또한 원지는 맥락과 소리단서의 반복적 노출에 의한 공포기억 소거를 촉진하지는 않았지만, 공포기억 소거 후 공포기억이 재설립 되거나 새 맥락에서 재생되어 발현되는 정도를 감소시켰다. 위의 결과에 따르면, 원지는 공포기억이 재응고되는 과정을 감소시키거나, 공포기억 소거를 촉진 하는데 효과적이지 않았지만, 공포기억이 재설립 되고 재생되는 것을 감소시키는데 효과적 이였다. 이러한 결과는, 원지가 PTSD로 인한 기억의 흔적을 효과적으로 소거하여 공포기억이 재생되어 발현되는 것을 억제하며, 공포가 다시 재설립 되고 재생되는 과정에서 적용 가능한 치료약물로서의 가능성을 제시해 주었다. 본 연구는 외상후 스트레스 장애 환자에서 정확한 투여 시점을 찾기 위한 근거를 마련하였고, 기존의 다른 치료들과 병행하여 치료 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비교적 안전한 천연약재임에 의의가 있다.

      • 동화 애플리케이션을 활용한 읽기활동이 지적장애학생의 읽기 능력 및 읽기 태도에 미치는 영향=

        조윤주 대구대학교 2013 국내석사

        RANK : 247647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find out the effect of reading activity utilizing the children's story applications on reading ability and reading attitude of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The 3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who are in the first year of special middle school in D city were tested 16 times. The multiple baseline design was used across subjects for the reading ability measurement and the ex ante and ex post analysis for the reading attitude measurement. The conclusion of this research is as follows. Firstly, the reading guidance through children's story applications had a positive effect on improving reading fluency of the students with disabilities. The students were motivated by the various pictures and voices, and they could realize and correct their own reading errors on their own by listening to their voice recordings during the reading process. Secondly, the reading guidance through children's story applications had a positive effect on improving the students' reading comprehension. When filling in the blanks and finding the correct sentences which could easily be boring, the user interface of the smart device that promptly shows the result of touching the screen with a finger helped keep the students' learning motivation. Thirdly, the reading guidance through children's story applications had a positive effect on reading attitude of the students' with disabilities. By arousing the students' interest with the smart device applications that utilize many senses such as sight, hearing, movement, etc. a positive effect was brought on their reading attitude. Therefore, the reading activity that utilizes the children's story applications is an effective activity which not only improves reading ability of students with disabilities but also brings a positive change in their reading attitude.

      • 초등학생의 분노 조절 및 학교생활 적응을 위한 교과 연계 용서상담 프로그램 개발과 효과성 검증

        조윤주 서울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develop a subject-related forgiveness counseling program for children's anger control and school adjustment and to investigate the program effectiveness on the children's anger control and school adjustment. To achieve this purpose subject-related forgiveness counseling program was developed according to the systematic counseling program developing model. At first, target population was selected the middle graders of elementary school because in that period children's basic emotions were developed. And after target population analysis, need analysis was conducted at 93 fourth graders in the T elementary school. In addition, as a result of task analysis through pre-existing anger, school adjustment, forgiveness counseling studies, program's character, domain, goal were set. The program developed in this research has preventive character, is to improve children's anger control and school adjustment by taking part in a subject-related forgiveness counseling program. At the step of program plan, program design criteria was set and selected an appraisal question and assessment tool for investigating effects of the program. The assessment tool were Anger Control Scale(Park Mi Kyeung, 2009), School Adjustment Scale(Yun Jung Nam, 2007). Also, motivation strategies of games using(that were known to become friendly with friend), demonstrations, videos using, and program schedule were planned. At the step of program development, program contents and guides were set and producted 12 program sessions based on the result of previous analysis step and pre-existing forgiveness, anger, school adjustment studies. Then, 7 sessions of all 12 sessions were pre-implemented for program formative evaluation and fixed the content and managing ways based on observation of the prep-sessions. At the step of implementation, 52 fourth grade students in T elementary school were measured on the anger control and school adjustment scale. Then, 26 were placed in experimental group, while the other 26 children were placed in control group. The experimental group participated in 12 sessions of the subject-related forgiveness counseling program for children's anger control and school adjustment during 6 weeks, while the control group didn't. In verifying the effects of the program, I-STATistics for quantitative analysis and opinion documents for each term, opinion documents of children after the program, and counselor's observation were used. Since control group's quality were same to the experimental group as the result of independent t-test, independent t-test were used for quantitative analysis of post-inspection, too. The results of quantitative analysis verifying the effects of the program were as follow;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the experimental group treated by the subject-related forgiveness counseling program for children's anger control and school adjustment turned out to make significant change in Satisfaction With Anger Control Scale, School Adjustment Scale Affect(p<0.001, p<0.01, p<0.05). As these results, it's proved that the subject-related forgiveness counseling program has positive effects on children's anger control and school adjustment by increasing each sub-factors' score. In conclusion, it can be said meaningful that the subject-related forgiveness counseling program to be proper to children was developed and implemented in elementary school. Also this research was important that its target was the middle grader of elementary school known to develop their basic emotions. Then this research suggests that another the subject-related forgiveness counseling program be developed depending on various counselling domains and ages, and be modified this program for another the subject-related forgiveness counseling domains and another target population. 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생의 분노 조절 및 학교생활 적응을 위한 교과연계 용서상담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그 효과성을 검증하는 것이다. 위의 연구 문제 및 연구 가설을 검증하기 위하여 체제적 프로그램 개발 모형에 따라 교과연계 용서상담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먼저 연구 대상을 기본적인 정서가 거의 발달하고 자율적인 도덕성 단계에 접어드는 시기인 초등학교 중학년으로 정하였다. 그리고 초등학교 중학년에 대한 대상 분석을 실시한 후 T초등학교 4학년 학생 93명을 대상으로 한 요구조사와 분노 조절 및 학교생활 적응을 위한 교과연계 용서상담 프로그램 관련 과제 분석을 실시하여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이를 토대로 프로그램의 목표를 수립하였다. 본 연구에서 개발한 프로그램은 예방적 성격을 가지며, 초등학생으로 하여금 대인관계에서의 상처와 갈등으로 인해 발생하는 부정적인 반응을 극복하고 긍정적인 반응으로 나아가는 용서 경험을 통해 다양한 갈등상황에서 분노 감정을 억누르거나 과도하게 표출하지 않고 적절하게 조절할 수 있는 분노 조절 능력을 신장시키고, 더 나아가 학교생활 영역에서 적응과 발달을 촉진시키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설계 단계에서는 분노 조절 및 학교생활 적응을 위한 교과연계 용서상담 프로그램의 설계 준거를 설정하고, 프로그램 평가지와 프로그램 효과성 검증을 위한 사전, 사후검사 도구를 선정하였다. 프로그램 효과성 검증을 위한 사전, 사후검사로는 Spielberger 등이 제작한 State-Trait Anger Expression Inventory(1988)를 전겸구 등(1996)이 한국의 문화적․언어적 맥락을 고려하여 번안하고, 박미경(2009)이 초등학생에 맞게 수정한 분노 조절 능력 검사와 송미원(1999)의 ‘학교생활 적응검사’를 참고로 윤정남(2007)이 재구성한 학교생활 적응능력 검사를 사용하였다. 또한 프로그램 과정에의 집중 및 적극적인 참여를 높이기 위한 동기 유발 전략을 수립하고, 하위 활동의 논리적 계열성과 집단의 역동, 아동의 흥미 등을 고려하여 프로그램의 진행 순서를 구성하였다. 개발 단계에서는 프로그램 및 지침서를 구성하였다. 먼저 예비 프로그램을 이론 전문가와 현장 전문가에게 자문을 받고 수정․보완한 후, 일반 교사 대상의 설문조사와 용서상담, 분노조절, 학교생활 적응, 교과연계 상담 프로그램 관련 문헌을 참고하여 40분 단위, 총 12회기의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이후 예비 프로그램 평가 단계에서는 T초등학교 2학년 아동 28명을 대상으로 본 연구에서 제안한 프로그램 12회기 중 7회기를 실시하여 평가한 뒤 수정․보완하였다. 실행 단계에서는 서울특별시에 소재한 T초등학교 4학년 2개 학급 학생 52명을 대상으로 분노조절 및 학교생활 적응능력 사전검사를 실시한 후 연구자의 학급을 실험 집단으로, 나머지 한 학급을 통제집단으로 선정하였다. 실험집단에는 6주 동안 12회기의 용서상담 프로그램을 실시하고, 통제집단에는 아무런 처치를 가하지 않았으며, 실험이 끝난 후 사후검사를 실시하였다. 프로그램 평가 단계에서는 검사 도구를 이용한 성취도 평가와 연구자의 관찰과 소감문을 통한 반응 평가가 이루어졌다. 먼저 집단 간 사전검사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독립표본 t검증을 실시하였다. 사전검사 결과, 분노조절능력과 학교생활 적응능력의 모든 하위요인에서 두 집단 간의 유의한 점수 차이가 나타나지 않아 두 집단은 동질집단임을 확인하였다. 프로그램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한 분노조절능력과 학교생활 적응능력 사후검사 분석 결과,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분노조절능력 하위 요인인 분노억제, 분노표출, 분노조절 모두에서 유의미한 차이(p < 0.001, p < 0.01, p < 0.05)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학교생활 적응능력 하위 요인인 교사관계, 교우관계, 학교수업, 학교규칙 모두에서도 유의미한 차이(p < 0.001, p < 0.01)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교과연계 용서상담 프로그램은 분노조절능력과 학교생활 적응능력을 향상시키는데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통해 교과연계 용서상담 프로그램은 초등학생의 분노조절능력과 그 하위요인인 분노 억제, 분노 표출을 낮추고, 분노 조절을 높이는데 효과적이며, 학교생활 적응능력과 그 하위요인인 교사관계, 교우관계, 학교수업, 학교규칙면에서의 적응을 향상시키는데 효과적임을 알 수 있다. 본 연구는 학급을 단위로 정규수업시간 중에 교과와 연계하여 이루어지는 학급상담 프로그램이 효과가 있음을 입증하였다는 점, 학급단위 집단상담 프로그램이 예방과 발달의 학교상담 목적에 맞는 모델이 될 수 있음을 입증하였다는 점, 최근 교육 동향에서 주목받고 있는 인간에게 있는 최선의 장점을 기르고 긍정적인 측면을 강화하는 것이 여러 가지 문제 예방에 기여할 수 있다는 관점을 경험적으로 지지하고 있음에 의의가 있다. 앞으로 다양한 연령을 대상으로 다양한 종류의 교과연계 용서상담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대상 및 상담 영역에 따라서 본 프로그램을 수정하고 보완하는 연구들이 더욱 필요하다.

      • 니체의 인간상(Übermensch)에 기반한 '삶의 예술가'로서의 교사상 연구

        조윤주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17 국내박사

        RANK : 247631

        This thesis examines Nietzsche's Übermensch based on Amor fati (translated as affirmation of life) and proposes a model of teacher as 'artist of life'. The thesis seeks via Nietzsche's Übermensch a model of teacher who can seize pathos of difference in daily lives with repeated teaching and learning, teacher who can generate life by enhancing humanity. To Nietzsche, Amor fati-based Übermensch is a human that can love the life itself where creation and destruction are continually repeated. Such understanding of Übermensch by Nietzsche was established from his earlier experiences as a teacher concerned about enhancing humanity, and in his later years led to the problem of Will that affirms life revealed by self-reflection. This thesis examines such Nietzschean view of humanity in terms of teacher as a human that affirms life of teaching and learning. "Whoever is a teacher through and through takes all things seriously only in relation to his students – even himself." (Nietzsche, 1889) Such an admonition can be understood under the premise that life of a teacher who teaches and learns is linked to life of students. The identity of a teacher is formed in relation to students, and authenticity as a teacher's trait is practiced in daily lives. A teacher who affirms life of teaching and learning not only affirms the changes in students but also exercises the life-affirming Will in order to seize one's own changes influenced by such changes and to maintain healthy relationship. Such a teacher can seize thousands of differences in thousands of situations in a life of repeated teaching and learning. It represents a human being not as someone who passively adjusts to changes under rapidly changing culture, but as an active agent that generates life. An active adjustment to changes goes beyond approving differences to actively generating differences for change. A teacher who approves differences removes conflict before expressing any differences in internal will but a teacher who generates differences recognizes students as the Other that is non-substitutable and unique so can love ("Amor fati") them. A life-affirming teacher not only exercises the arts vitae that utilizes teaching methods and contents but also becomes an artist that generates life by being oneself in classroom situations that seem not to admit co-existence. Chapter II examines how Nietzsche came to form the notion of Übermensch and shows that Nietzsche's understanding of Übermensch is grounded in esthetic view of humanity based on Amor fati. The chapter first overviews Nietzsche's position that criticizes the Enlightenment's dualistic form of reasoning as well as the passivity of pessimistic nihilism. It also discusses how modern culture tends to formalize dynamic life into artificial reasoning and neglects human life. Nietzsche does not remain at criticizing modern culture but seeks alternatives in recovering humanity in life's context. Nietzsche explains Übermensch in terms of esthetic awareness in ancient Greece and clarifies that the life-loving human is a prototypical subject that responds to dynamic life and aims at continual growth and changes. Chapter III investigates Perspectivism in view of Nietzsche's Übermensch. Nietzsche's Übermensch is someone who continually enhances oneself in one's own life and is someone who recovers oneself and is "becoming" in relational life. When applied to teachers, a teacher's identity as Übermensch lies in authenticity. This chapter introduces the stages of Übermensch in Thus Spoke Zarathustra and clarifies teacher's authenticity for affirmative will as well as distinguishing the life affirmation into Perspective and Experience. Perspective is a will that faces and attempts to overcome falsity in reasoning that conceptually formalizes life. Experience is a will that recognizes and attempts to generate differences in life's phenomenality. Furthermore, affirmative will required of teachers is a fair interpretation of repetition of differences and is based on corporeality as extended reason. Chaper IV proposes teacher as artist of life who shares the meaning of life and generates life. First, a teacher who exists in sharing life's meaning is not a technician who transmits propositional knowledge but is a subject that waits for interpretation. Such a teacher goes beyond contemplating and appreciating life and affirms that one's own perspective can be perceived differently by the others. Second, a teacher who as an artist of life generates differences of perspectives in life is an artist who expresses esthetic sense in the life of teaching and learning. A teacher's esthetic sense means a multidimensional perspective that can place the vanishing point on multidimensional relationship by allowing various actions of will in complex network of relationship. In conclusion, Chapter V makes recommendations for education of teachers. The teacher as Übermensch based on Amor fati offers implications for explaining teacher's affirmative will as a human being who continually agonizes over what and how to teach and learn in modern society where various values co-exist. teacher's affirmative will to life is a motivating power to achieve educational objectives together with learners, other teachers and parents. When a teacher recognizes the affirmative will that can be expressed in own life and actively participates in life's sharing activities with students, education will transform into life generation and teachers themselves will be able to enjoy life as a "festival" with learners. 본 연구는 '삶에의 긍정'(Amor fati)에 기반한 니체의 인간상을 검토함으로써 삶의 예술가로서의 교사상을 제안하고 있다. 가르침과 배움이 반복되는 일상 속에서 변화와 성장을 포착할 수 있는 교사, 인간다움을 고양하며 삶을 생성할 수 있는 교사의 전형(全形)을 니체의 인간론을 통해 모색하고 있다. 니체에게 있어서 '삶에의 긍정'에 기반한 인간이란 생성과 소멸이 반복되는 삶 그 자체를 자기다움으로 받아들여 사랑할 수 있는 인간이다. 이러한 니체의 인간존재에 대한 이해는 교사시절 인간다움의 고양에 대한 관심으로부터 정립되었으며 말년에는 인간의 자기성찰을 통해 드러나는 삶을 긍정하는 인간의 의지의 문제로 귀결된다. 본 연구는 이러한 니체의 인간에 대한 사상을 가르치고 배우는 삶을 긍정하는 인간으로서의 교사를 중심으로 살펴보고 있다. "근본적으로 선생이란 모든 일을 자기 학생과의 관계에서만 진지하게 생각한다. 심지어 자기 자신마저도."라고 하였다(Nietzsche, 1889/2007: 107) 이러한 일침은 가르치고 배우는 교사의 삶이 학생의 삶과 연결되어 있다는 전제 속에서 이해될 수 있다. 교사의 자기다움은 학생과의 관계 속에서 형성되며, 교사의 특성인 진정성(authenticity)은 삶 속에서 실천된다. 가르침과 배움의 삶을 긍정하는 인간으로서 교사란 학생의 변화를 긍정하는 것뿐만 아니라, 변화의 영향관계에 있는 자기의 변화를 끊임없이 포착하고 건강한 관계를 맺기 위한 긍정 의지를 발휘하는 인간이다. 이러한 교사는 가르침과 배움이 반복되는 삶에서 발생하는 수만 개의 상황에 깃든 수 만개의 차이를 포착할 수 있다. 급변하는 문화적 상황 속에서 변화에 수동적으로 적응하는 인간상이 아니라, 삶을 생성하는 능동적 주체로서의 인간상을 대변할 수 있다. 변화에 능동적으로 적응한다는 것은 변화를 위해 차이를 승인하는 것을 넘어서 차이를 생성하는 것을 의미한다. 기계적으로 차이를 승인하는 교사는 내면의지의 차이를 발휘할 틈도 없이 갈등을 사전에 제거하지만, 차이를 생성하는 교사는 자신이 대면하는 낯선 타자로서의 학생을 대체불가능하고 고유한 존재로 알아보고 사랑(Amor fati)할 수 있다. 삶을 긍정하는 교사는 가르침의 방법과 내용을 잘 활용하는 삶의 기예(ars vitae)를 발휘할 뿐만 아니라, 공존이 불가능해 보이는 교실상황에서도 자기다움으로 삶을 생성하는 예술가가 되어간다. 제II장은 니체가 위버멘쉬(Übermensch)라는 인간을 형성하게 된 배경을 검토하며, 니체의 인간존재에 대한 이해가 삶에의 긍정(Amor fati)에 기반한 심미적 인간에 근거하고 있음을 하고 살펴보고 있다. 근대 계몽의 이원론적 사유 형식을 비판하고 염세적 허무주의의 수동성을 비판하는 니체의 입장을 살펴보는 한편, 근대 문화는 역동적인 삶을 인위적인 사유로 형식화하여 부정하는 경향성이 있음을 논의한다. 니체의 사상은 근대의 문화를 비판하는 데에만 머무르지 않고 어떻게 하면 삶의 맥락에서 인간다움을 회복할 수 있을지에 대해 대안을 모색하고 있다는데 그 특징이 있다. 니체는 인간다움의 고양을 고대 그리스의 심미적 인식을 통해 설명하고 있으며, 관련하여 삶을 사랑하는 인간은 역동적인 삶에 대해 존재로서 반응하고 끊임없이 성장과 변화를 지향하는 주체의 전형임을 명료화하고 있다. 제III장은 니체의 인간상에 비추어 삶의 주체의 관점과 긍정 의지를 탐색한다. 삶을 긍정하는 인간상인 위버멘쉬란 자신의 삶의 자리에서 지속적으로 자기를 고양시켜가는 주체이며, 관계적 삶 속에서 자기다움을 회복하고 되어가는(becoming) 존재이다. 위버멘쉬의 관점을 탐색하기 위해 본 장에서는『짜라투스트라는 이렇게 말했다』에 나타난 위버멘쉬로서의 정신의 변화단계를 소개하여 긍정의 의미와 '진정성'을 명료화하고 있다. 또한 삶의 의미를 공유하기 위한 긍정 의지를 사고의 직시와 삶의 체험으로 구분하여 살펴보고 있다. 긍정 의지는 삶을 개념적으로 형식화하는 사고의 오류성을 투시하고 극복하고자 하는 관점이며, 또한 삶의 현상성 속에서 의미를 공유하는 체험임을 탐색하고 있다. 아울러, 삶의 차이를 생성하는 긍정 의지는 차이의 반복에 대한 해석이며, 확장된 이성으로서의 신체성에 기반한다는 것을 살펴보고 있다. 제IV장은 삶의 의미를 공유하고 삶을 생성하는 삶의 예술가로서 교사를 제안하고 있다. 삶에의 긍정 주체로서의 진정성 있는 교사에 대한 논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삶의 의미를 공유하는 교사란 명제적 지식을 전달하는 기능인이 아니라 '해석을 기다리는 주체'이다. 삶을 관조하고 감상하는 차원을 넘어서 교사 자신의 관점이 타자로부터 다르게 인식될 수도 있음을 승인하는 것이다. 둘째, 삶을 통해 관점의 차이를 생성하는 교사란 가르치고 배우는 삶에서 '심미안을 발휘하는 삶의 예술가'이다. 교사의 심미안이란 복잡하게 얽힌 관계망 속에서 다양한 의지작용을 허용하여 다차원적인 관계에 소실점을 둘 수 있는 입체적 안목을 의미한다. 제V장에서는 현대 교사교육을 위한 제언을 하고 있다. 삶에의 긍정에 기반한 니체의 위버멘쉬로서의 교사상은 다양한 가치가 공존하는 현대 사회에서 무엇을 어떻게 가르치고 배울 것인가를 끊임없이 고민하고 갈등하는 인간으로서 교사의 긍정의지를 설명하는 데 시사점을 제공한다. 교사의 삶에의 긍정의지는 학습자뿐만 아니라 동료교사, 학부모와 함께 교육목적을 이루기 위한 동력이라 할 수 있다. 교사가 자신의 삶의 자리에서 발휘할 수 있는 긍정 의지들을 확인하고 다시금 학생과의 삶의 의미를 공유하는 활동에 능동적으로 참여할 때, 교육은 삶을 생성하는 것으로 변화할 것이며 교사 역시 그들과 관계 맺는 학습자들과 함께 하는 '축제'로서의 삶을 향유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비행 및 일탈 예방이 필요한 위기 청소년을 위한 음악치료 현황 및 향후 적용방안 조사

        조윤주 숙명여자대학교 음악치료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비행 및 일탈 예방이 필요한 위기 청소년을 대상으로 하는 음악치료의 현황과 관련 종사자들의 의견을 조사하여, 그 결과를 바탕으로 향후 위기 청소년을 대상으로 하는 음악치료의 발전을 위한 전략을 보다 구체적으로 제시하고자 하였다. 연구 대상은 비행 및 일탈 예방의 필요성이 있는 위기 청소년과 관련한 기관의 담당자와 위기 청소년 대상의 음악치료 경험이 있는 음악치료사였다. 본 연구에서는 기관자료 110건, 치료사 자료 75건, 총 185건의 자료를 분석하였다. 연구 방법은 설문조사를 통해 첫째, 각 기관에서의 음악치료 현황 및 의견을 조사하고, 둘째, 음악치료사를 대상 향후 위기 청소년 대상의 음악치료 실행과 발전 방향에 대한 일반적인 의견을 파악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위기 청소년 관련 기관의 음악치료 시행률의 현황은 전반적으로 매우 낮으며, 위기 청소년을 대상으로 하는 음악치료의 기대 및 인식도가 낮게 나타났다. 둘째, 음악치료를 시행한다고 응답한 기관과 시행하지 않는다고 응답한 기관에서 향후 위기 청소년 대상 음악치료 기대효과 간의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셋째, 음악치료사들은 위기 청소년을 대상으로 하는 음악치료에 대한 필요성을 높이 인식하지만, 대상군에 대한 낮은 이해도가 나타나며, 위기 청소년과 직접적인 관련이 있는 기관에서의 음악치료는 아직 음악치료사들에게도 생소한 영역임을 알 수 있었다. 이에 치료사들은 대상군의 특성에 맞는 음악치료 프로그램 구성의 필요성에 대한 인식이 높게 나타났다. 넷째, 향후 위기 청소년을 대상으로 하는 음악치료의 적용방안 제시와 관련하여 기관과 음악치료사 모두 위기 청소년의 다양한 위험 요인 중 가족적 요인을 크게 인식하고 있음이 나타났다. 또한, 위기 청소년을 대상으로 하는 치료의 어려움에 대해 치료사와 기관은 전체적으로 유사한 응답이 나타났으나, 향후 위기청소년 대상의 음악치료 개선 및 필요사항과 관련한 문항과 치료사의 중요 역량과 관련한 질문에서는 기관과 치료사의 응답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비행 및 일탈 예방이 필요한 위기 청소년을 대상으로 하는 음악치료 분야의 홍보 및 프로그램의 개발에 대한 필요성을 제기하며, 향후 이들을 대상으로 하는 음악치료 적용 시, 기관과 음악치료사의 의견을 반영하여 실질적으로 고려할 점에 대해 시사한다. The present study was conducted to assess the current status of music therapy and to collect the opinions of the experts who directly work for at-risk adolescents who need supporting to prevent them from delinquency and deviation. Furthermore, the research results can suggest more practical and explicit methods to improve the music therapy field. The study targets were the experts in institutions and the experienced music therapists at front whose main responsibilities is to develop and implement strategies to support at-risk adolescents. A total of 185 cases were analyzed including 110 cases from institutions and 75 cases from music therapists. The study methods were to investigate the current status and opinions in the institutions as a first step. As a second step, holistic opinions from music therapist were collected regarding the current situations and future direction of music therapy. The study found the following results; (1) The execution rate of music therapy in institutions for at-risk adolescents was very low in overall. The expectations and awareness of music therapy for them were low as well. (2)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in how institutions perceived the beneficial effects of music therapy for at-risk adolescents depending on whether each institution used the music therapy or not. (3) Unlike the fact that the institutions directly related to at-risk adolescents were still unfamiliar with music therapy, music therapists showed high awareness for its need even though they didn’t have sufficient understanding of the subjects. However, they strongly appealed the necessity of appropriate music therapy program for the subjects. (4) Both the institutions and music therapists considered that family is the most critical that affects to the subjects among the various factors. (5)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observed in difficulties in executing music therapy between the institutions and music therapists. However, significant difference was found between them in the specific questions such as music therapy improvement, its needs, and therapists’ skills. The present study results can raise public awareness and provide program development for at-risk adolescents who need supporting to prevent them from delinquency and deviation. And also it can suggest the practical considerations that need to be taken account by applying the institutions and music therapists’ valuable opinions.

      • 시각장애학생을 위한 미술교육 연구 : 촉각을 중심으로

        조윤주 건국대학교 교육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시각장애학생의 미술교육을 좀 더 깊이 있게 이해하고 발전적인 미술교육의 방법을 모색해 보는데 목적이 있다. 특히 시각장애학생에게 있어 가장 중요한 감각인 촉각을 이용한 미술교육 연구는 시각장애학생의 삶에 소통의 통로를 열어주는데 도움을 줄 것이다. 본 연구에서의 이론적 배경으로 시각장애의 정의와 시각장애학교의미술과 교육에 대한 전반적 문제점과 분석, 또한 외국의 미술교육 사례 등을 문헌연구를 통해 분석해 보았다. 촉각을 중심으로 한 미술교육의 프로그램 제안을 위해 촉각의 이해와 교육적 필요성, 시각장애교육 관련인들의 역할에 대하여 살펴보았으며 프로그램 제안을 위해 짧은 시간동안이었지만 9월부터 11월까지 3개월 동안 경복교회와 서울 맹학교에서 시각장애학생들과 자원봉사로 일주일에 두 시간씩 수업을 해보며 실질적 경험을 통한 효과적 수업방안을 제시해 보도록 하였다. 본 연구의 교육적 효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촉각을 이용한 다양한 재료의 탐색은 대․소근육의 발달뿐 아니라 공간과 사물을 판별하는데 많은 도움을 준다. 둘째, 전문가와 교사, 부모의 적극적 참여와 지원은 보다 효과적인 수업을 이끌어 나가게 될 것이다. 셋째, 사고, 느낌 등의 창조성을 발전시킬 수 있다. 넷째, 미술 행위가 본인과 이웃에 대한 이해, 더 나아가 현대 사회에 대한 이해를 돕는다. 다섯째, 시각장애인의 활발한 미술활동은 사회적 인식과 편견을 좁히는데 이바지 할 것이다. 촉각 중심의 미술교육은 앞으로 더욱 많은 전문가들과 교사들, 부모의 적극적인 참여로 많은 노력과 연구가 필요하며, 지속적이며 체계적인 시각장애학생을 위한 적합한 미술교육과정이 수립되어야 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help visually impaired students understand art education and is to look for developmental teaching method for art. Studying art education using the sense of touch, the most important thing to them, will be a great help to open a passageway of understanding in their life. As a theoretical background at this study, I tried to define the concept of 'visually- impaired' and look for the whole point at issue of art in schools for visually impaired students and its education and analyze it. Also, I resolved the examples of art education in foreign schools through documentary records. To present the program of art education focused on the sense of touch, I looked over the role of persons who are related to the education for visually impaired persons. In addition, I gave lessons to visually impaired children two hours a week, as a volunteer at Kyoung bok Church, Seoul school for the blind about three months from september even though it was short time and I come up with successful teaching method through it. The educational effec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researching on various kind of material using tactile sensation not only helps to discriminate space and thing but also the development of the muscles. Second, active assistance of experts, teachers, parents can help to lead an effectual lessons. Third, the blinds can develop creativity like, thinking and sensibilty. Fourth, the art itself can help understanding themselves, their neighbors, and modern society. Lastly, lively aesthetical activity of the blind will contribute to narrow down the social recognition and prejudice. The art education made central for tactual sense requires much more effort and study with the active assistance from experts, teachers and of course, parents, continuous and systemized proposals for aesthetical education that fits for the visually impaired students have to be established.

      • 아동의 일상적 스트레스 및 사회적 지원과 자아존중감

        조윤주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아동이 지각한 일상적 스트레스 및 사회적 지원과 자아존중감과의 관계를 파악하고 사회적 지원이 스트레스와 자아존중감 간의 관계에서 중재 효과를 지니는지를 탐색하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서울시에 소재한 세 개 초등학교 6학년 아동으로 남아 155명, 여아 126명, 총 281명이었다. 아동의 자아존중감을 측정하기 위해 Rosenberg (1965)의 자아존중감 척도를 최정아(1996)가 번안한 것을 수정하여 사용하였다. 아동이 경험하는 일상생활 중의 스트레스를 측정하기 위해 한미현과 유안진(1995)이 개발한 한국아동의 일상적 스트레스 척도를 사용하였으며, 아동이 지각한 사회적 지원을 측정하기 위하여 Harter(1985)의 사회적 지원 척도를 이은해(1991)가 수정한 것을 사용하였다. 아동이 지각한 일상적 스트레스, 사회적 지원 그리고 자아존중감과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해서 Pearson의 적률상관계수를 산출하였고, 아동의 자아존중감에 대한 각 변인의 구체적인 설명력을 알아보기 위해 단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또한 일상적 스트레스와 자아존중감에 대한 사회적 지원의 중재적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스트레스와 사회적 지원의 상호작용 변수(interaction terms)를 투입하여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를 토대로 얻어진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아동이 지각한 일상적 스트레스와 자아존중감 간의 관계는 전반적으로 유의한 부적 상관관계를 나타내었고, 특히 부모와의 관계에서 느끼는 스트레스와 가정환경에서 느끼는 스트레스가 높을수록 아동의 자아존중감은 저하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아동이 지각한 사회적 지원과 자아존중감은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를 나타내었고, 사회적 지원 중 부모지원과 친구지원이 많을수록 아동의 자아존중감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사회적 지원 중 친구지원은 일상적 스트레스와 자아존중감 간의 중재 변수로서 역할이 시사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of stress and perceived social support to children's self-esteem. The subjects were 281 sixth graders from three elementary schools in Seoul. Children's self-esteem was assessed by Self-Esteem Iventory (Rosenberg, 1965). To assess children's stress, children responded to Daily Stress Scale(Hahn & Yoo, 1995). Perceived support was assessed by revised version of Harter's Social Support Scale(Rhee, 1991). The data were analyzed with descriptive statistics, Pearson correlations, stepwise and hierarchical regression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children's stress was negatively related to children's self-esteem and children's self-esteem was explained most by stress from home environment and parents. Second, perceived social support was positively related to children's self-esteem, and children's self-esteem was explained most by support from parents and friends. Third, social support from friends implied moderating variable between children's stress and self-esteem.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