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The Daesung Water-treatment Plant(DS-WTP) located in Jeonju, being supplied with water at the rate of 60% from O-won stream at Bansu-ri, Imsil-gun, Jeonbuk and the rest 40% from Sangkwan Reservoir at Sangkwan-myun, Wanju-gun, Jeonbuk, is facilitated to select the alternative of river water and lake water at its disposal depending on water conditions. Its water treatment processes are featured by mixing, coagulation and flocculation including rapid sand filtration, using such coagulation agent as PAHCS(Poly Aluminum Hydroxy Chloro Sulfate) and then finally inserting disinfectant at the drainage site prior to delivering to households. The study aims at providing a model for disinfection by products(DBPs) through four methodological ways as follows; Firstly, it took into account the varying physio-chemical characteristics in DBP factors by each stage of water treatment processes. Secondly, focuses were laid on organic materials indices for DBPs like TOC, DOC, volumetric consumption of KMnO₄ and UVA254 in an attempt to measure concentrations at the points of gauging well, precipitated water, clear well and tap water for analytical variance of the aforesaid items by each process. Thirdly, measurements of DBPs' concentration by process were made to verify their changing characteristics. Fourthly, the study determined the reliable adaptability of its predictive model for DBPs by process in water treatment, aiming to induce the best suitable model. Below are the results in brief over the study; Based on investigation of NOM and DBPs production at Imsil's Owon stream(river water), Sankwan reservoir(lake water), DS-WTP's sedimentation basin and distribution reservoir, and water tap, the predictive models proposed tentatively herein included the model for estimating TTHM concentration in precipitated water, the model for treated water, the model for tap water and the estimated correlation formula between treated water's TTHM concentration and tap water. The water treatment process can be outlined as mixing-coagulation flocculation process using PAHCS coagulation agent followed by rapid sand filtration and addition of disinfectant in filtration/distribu tion reservoir before supplying for the citizens. Such physio-chemical factors by process in water treatment as pH, water temperature and contacting time had little significant differences, while the change in indices for NOM showed the same orientation, being removed in most of precipitation process. The contribution ratio for formation of TTHM by process came from 54.3% during precipitation process and 41.4% during disinfection process. Meanwhile, The contribution ratio for formation of HAA_(5) by process came from 58% during precipitation process and 44.4% during disinfection process. The increase rate of TTHM in distribution tubes was up by 26.4% against TTHM's in treated water, while HAA_(5) decreased by 5.8% on the contrary. As for TTHM-concentration predictive model in precipitated water, the coefficient of determination having 0.866 was proven fittest for the highest short-term DOC×UVA based Model (TTHM). As for HAA_(5)-concentration predictive model in precipitated water, the coefficient of determination having 0.947 was proven fittest for the highest UVA-based model (HAA_(5)). In case of the predictive model in treated water, the coefficient of determination having 0.980 was fittest at DOC × UVA based model(TTHM) made using coagulated waters, while the coefficient of determination having 0.983 was fittest for DOC×UVA based model (HAA_(5)) using coagulated waters, which was best applicable for prediction on HAA_(5) concentration. However, the predictive model for tap water could not compatible with the one for treated water, only except for possibility inducing correlation formula for prediction, to wit; the correlation formula between TTHM concentration and tap water was verified as TTHM(tap water) = 1.162 x TTHM(treated water), while HAA_(5)(tap water) = 0.965 × HAA_(5)(treated water). In the meantime, the correlation analysis between DOC and KMnO₄ consumption by process resulted in higher connectivity with filtrated water, being identified that its regression is DOC = 0.669 × KMnO₄ consumption - 0.166 with 0.689 of determination coefficient. By substituting it to the existing DOC-based model (HAA_(5)) for treated water, the consequential model formula was made as follows; HAA_(5)=8.35(KMnO₄ consumption × 0.669 - 0.166)^(0.701)(Cl₂)^(0.577)t^(0.150) 0.9216^((pH-7.5))1.022^((Temp-20℃))
유용진균 Trichoderma sp.처리가 병방제 및 비료 효과에 미치는 영향 연구
이형원 공주대학교 일반대학원 2021 국내석사
국내에서 수집한 Trichoderma 7종에 대하여 유연관계를 조사한 결과 크게 4개의 그룹으로 나타났고, 수집균주 별로 후막포자가 생성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대치배양 결과 모든 Trichoderma종들이 Fusarium wilt에 대하여 억제하는 효과를 보였다. 시험관테스트서 다른 균주들에 비해 J9, J10, J13, J16균주들의 침입력이 높았고, 포자생성량도 많았다. 알루미늄 링 테스트에서는 J9, J10, J13에서 포자의 생성량이 다른 균주보다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오이에 대한 포트검정을 실시한 결과 초장은 J13에서 대조구 보다 크게 나타났고, 근장은 J2를 제외한 모든 균주에서 대조구보다 길었으며, 근중은 J1, J9, J10, J13, J16이 대조구 보다 많았다. Fusarium wilt에 대한 발병도는 대조구 대비 J13과 J16에서 가장 작았으며, 방제가는 J13과 J16에서 다른 균주들에 비해 높게 나타났다. Trichoderma 시료를 토양 혼화 처리하고 2주 후 5개 작물을 1/5000 a포트에 이식하여 실험한 결과, 5개 작물(콩, 상추, 배추, 오이, 고추)에 대하여 무처리와 표준처리, 배량처리 7일 후, 14일 후, 21일 후에서 비해로 판단할만한 증상은 없었으며, C토양은 pH는 5.95로 3종류 토양 중 가장 산성토양이고, EC값 역시 0.24 dS/m으로 가장 낮은 것을 확인하였다. 유기물은 3.69로 가장 낮았으며, 유효인산은 대조구에 비해 8.22 mg/kg으로 높아졌고, Ca은 세 개의 토양 중 3.23 cmol(+)/kg으로 가장 높았다. 칼륨은 0.15 cmol(+)/kg로 토양B와 동일했으며, Mg는 3.11 cmol(+)/kg로 3개의 Sample 중 가장 높았다. Trichoderma 시료 처리로 인한 작물의 비해가 관찰되지 않아 유기농업자재 공시에 적합한 것으로 판단된다.
DHPLC를 이용한 염색체의 duplication/deletion 분석
Duplications and Deletions are important structural aberrations of chromosome. Duplication of a chromosomal segment lead to partial trisomy, resulting in functional imbalance of the genes contained in the involved region. Deletion, which causes hemizygosity and functional haploinsufficiency for the loci involved, may occur de novo or be the result of the meiotic segregation of a parental balanced reciprocal translocation. By Chromosomal duplication deletion some genetic disease were generated like CMT1A, HNPP, Williams-Beuren syndrome, Wolf-Hirschhorn syndrome, Rubinstein-Taybi syndrome and etc.For molecular diagnosis of duplication or deletion of the gene, several approaches are available ; Southern blot analysis, fluorescence in situ hybridization (FISH), real-time quantitative PCR analysis. However, there are several limitations in each method.In this study we proceed with the CMT1A and HNPP patients.Charcot-Marie-Tooth disease (CMT) and hereditary neuropathy with liability to pressure palsies (HNPP) are the most frequent inherited disorders of the peripheral nervous system.To develop method for detection of 1.5 Mb duplication & deletion in CMT1A & HNPP patient we analyzed 10 patients clinically diagnosed with CMT1A, 10 patients HNPP and 10 normal controls.To avid a bias we mixed randomly 30 whole samples and proceed with the program as arranged.Gene dosage of the region was determined by PCR with D17S122, D17S261 and internal-control primer follow by DHPLC analysis.Quantitative DHPLC analysis result classified with six types. DHPLC results showed that samples with duplicationdeletion of PMP22 gene have different patterns.DHPLC analysis results consisted with Real-time quantitative PCR analysis and it showed correct determination of the PMP22 gene copy number. This method is fast, easy and reproducible in detecting gene duplication and deletion in CMT1A and HNPP patients, respectively. This method might be very helpful for the diagnosis of patients with caused by gene duplicationdeletion. 염색체의 duplication과 deletion은 염색체의 구조에 큰 영향을 미친다. Duplication과 deletion은 일어난 곳에 부분적인 3염색체성과 1염색체성을 유발하여 해당 gene의 기능적 이상을 나타내게 되며 이로 인하여 CMT1A, HNPP, Williams-Beuren 증후군, DiGeorge 증후군 그리고 Rubinstein-Taybi 증후군 등의 유전 질환이 발생한다. 이들 질환의 DuplicationDeletion을 진단하기 위한 기존의 방법들은 southern blot analysis, fluorescence in situ hybridization (FISH), pulsed field gel electrophoresis (PFGE), polymorphic short tandem repeats (STR) analysis, endpoint quantitative PCR and real-time quantitative PCR 분석법 등이 있었다. 그러나 기존의 진단 방법들은 각기 장점과 단점이 존재했다. 새로운 방법으로 CMT1A와 HNPP 진단을 하는 경우 PCR을 통해 PMP22 gene의 duplication과 deletion 지역을 증폭하여 이를 DHPLC와 연계하여 진단하여 DHPLC의 정량분석기능에 의해 고가의 Realtime-PCR 장비 없이도 쉽고 빠르게 결과를 낼 수 있었으며 가족의 검체 없이도 internal-control과의 비교를 통해서 환자의 이상 유무를 진단해 낼 수 있었다.본 연구에서는 염색체의 dupilcation과 deletion으로 발생하는 여러 유전 질환들 중 CMT1A와 HNPP에 해당하는 환자들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우성으로 유전되는 Charcot-Marie-Tooth type 1A Disease (CMT1A) 와 Hereditary neuropathy with liability to pressure palsies (HNPP)는 선천성 말초신경병증으로 CMT1A와 HNPP의 주요 원인으로는 Peripheral Myelin Protein 22 (PMP22) Gene을 포함하는 염색체 17p11.2 부위에 1.5-Mb 지역의 Duplication 과 Deletion이 대부분을 차지한다.DNA는 CMT1A와 HNPP 환자들 그리고 정상대조군에서 각 각 10개씩 선택하였으며 실험자의 편견이 결과에 작용하지 않도록 30개의 DNA를 무작위로 섞은 후 진행하였다.PMP22 gene 내에 위치한 STR marker인 D17S122와 D17S261을 사용하여 PCR 하였으며 정확한 PCR의 여부와 비율 측정을 위하여 Albumin gene 내에 위치한 internal-control primer를 이용, STR marker와 함께 multiplex-PCR 후 DHPLC의 분석을 통해 결과를 알아보았다.DHPLC 분석 결과 전체에서 여섯 종류의 결과를 관찰할 수 있었으며 이 결과를 종류별로 분류하였으며 다음과정으로 real-time PCR 결과와 비교, 확인 하였다. 비교 결과 DHPLC를 이용한 분석법은 PMP22 gene의 변이 여부를 정확히 분석해냈다. DHPLC를 이용한 PMP22의 duplication, deletion 분석 방법은 간단하고 빠르며 또한 재연성 있는 결과를 이끌어낼 수 있다. 이러한 결과는 염색체의 duplication과 deletion으로 발생하는 여러 가지 유전 질환들의 진단에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다.
지적재산은 우리의 생활장소인 집, 학교, 직장에서 우리와 아주 밀접하게 둘러싸고 있다. 우리가 무엇을 하든 우리는 일류의 창작과 발명의 과실에 둘러싸여 있는 것이다. 지적재산은 발명, 작문 그리고 예술작품과 상업적으로 쓰이는 상징물, 명칭, 이미지와 디자인 등과 같은 부분에서 인간의 정신적 사상을 참고로 한다. 지적재산은 크게 두 분야로 나뉜다. 우선 하나는 산업재산의 분야로 발명(특허), 상표, 디자인과 같은 분야이고, 또 다른 하나는 수필, 시, 연극, 영화, 뮤지컬, 그림, 사진, 조각, 건축설계와 같은 저작권 분야이다. 소프트웨어는 제3의 영역으로서 저작권과 특허권 모두에 속하는 분야이다. 우리는 컴퓨터프로그램보호법 등을 통해 법과 시스템적인 부분에 있어서 진보가 필요하다. 특히, 많은 학자들은 컴퓨터프로그램의 불법복제를 통해 사용하는 것에 대한 형사적인 문제에 대해 많은 제안을 해왔다. 또한 최근 미국의 소프트웨어 회사들은 강하게 컴퓨터프로그램 보호법에서 친고죄 조항의 삭제를 강하게 요구하였다. 그러나 그들이 효과적으로 프로그램 저작권에 대한 시민의 제거과정의 변화가 없다면 저작권자들은 그들의 권리를 보호하기 위한 형사고소를 통한 노력을 계속 할 것이다. 이러한 경우에 친고죄의 규정은 방해가 될 것이다. 따라서 많은 연구가 필요하다. 현재 친고죄 규정은 삭제되었다. 우선 제일 먼저 두 번째 장에서는 컴퓨터프로그램과 관련한 이해를 돕기 위한 소개를 하였다. 그리고 세 번째 장에서는 우리의 소프트웨어 관련 법제도와 미국, 유럽, 일본의 법제도의 검토와 판례를 살펴보았고, 네 번째 장에서는 현재의 방안들의 비교와 조화 등을 살펴보고, 카피레프트 운동을 소개하면서 효과적인 제안을 하여 보았다. 마지막으로 이러한 내용들의 요약과 라이프사이클에 맞는 보호기간의 개정을 제안하는 것과 같은 조화방안의 제시를 함으로써 본 연구를 마무리 하였다. Intellectual property surrounds us in nearly everything we do. At home, at school, at work. At rest and at play. No matter what we do, we are surrounded by the fruits of human creativity and invention. Intellectual property refers to creations of the mind: inventions, literary and artistic works, and symbols, names, images, and designs used in commerce. Intellectual property is divided into two categories: Industrial property, which includes inventions (patents), trademarks, industrial designs, and geographic indications of source; and Copyright, which includes literary and artistic works such as novels, poems and plays, films, musical works, artistic works such as drawings, paintings, photographs and sculptures, and architectural designs. we need a legal and systematic improvement of the Computer Program Protection Act. Especially, many scholars suggest many problems about the criminal regulations which were used to regulate the illegal copying of computer programs. Also recently America software companies strongly insisted that the antragsdelikt of the computer program protection act should be deleted. However, if they don't change the civil relief procedure about the program copyright effectively, copyrighters will try to protect their rights through criminal lawsuits, in this case, the antragsdelikt regulation will be an obstacle. Therefore, it requires further study. First of all, the introduction and the second chapter are to understand computer programing. To find effective and proper protection methods, we studied the concepts, types, and specialties of computer programs, in an attempt to clearly understand the protected subject and also we mentioned that computer program protection is necessary. In the third chapter, this chapter analyzes for software copyright protection by comparing our legal system and US, EU, Japan software protection within copyright law and case. In the fourth chapter, this chapter investigates fair use doctrine in copyright and copyleft theories to graps digital future of copyright law. In the fifth chapter, which is the conclusion, summarized this thesis, looked at the generalities of software protection and suggested directions for development.
한국과 미국 영자 신문에서의 탈어휘동사 연어에 관한 코퍼스 기반 분석
이형원 인하대학교 교육대학원 2013 국내석사
본 연구의 탈어휘 동사의 연어 분석은 빈도에 기반한 분석을 통하여 한국인이 사용하는 연어가 어떤 것들이 있으며, 어떤 빈도로 나타나는지 알아보고, 원어민들의 연어 활용과의 유사점과 차이점을 살펴보는 것을 중점으로 하고 있다. 본 연구는 일정기간 동안의 한국 영자신문 2개와 미국의 영자신문 2개에서 각각 대략 100개의 사설을 모아 코퍼스를 구축하였다. 이 코퍼스로부터 가장 많은 빈도수를 나타낸 탈어휘동사 have, make 동사를 선정해 그 동사가 속한 문장들을 모두 추출하였다. 그 다음, Longman Dictionary Of Contemporary English(LDOCE)가 제시하고 있는 have, make 동사의 각 의미들의 정확한 의미, 용법, 연어자질에 대한 구별되는 특징들을 파악하고 이들을 기준으로 추출한 문장들을 정확한 기준으로 의미 분류를 하였다. 그리고 각각의 의미 범주에 나타난 have, make의 개수를 세어 그 빈도를 측정하고 각 한국 영자신문사설과 미국 신문사설에 나타난 동사들의 의미별로 그 차이를 비교 분석하였다. 또한 이러한 두 동사가 탈어휘 동사로서 사용될 때 나타나는 연어들을 좀 더 구체적으로 분류하여 각 신문사별로 나타나는 형태와 그 개수를 조사하고 이를 또한 비교 분석하였다. 그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양국의 신문사설 코퍼스에서 고빈도 동사 10개 순위와 have와 make의 주요 의미 분포 비율 등 상당히 유사한 측면이 많았다. 이것이 비록 단편적인 측면이 없진 않지만, 한국의 신문사설도 원어민 영어사용에 가깝게 글이 쓰여지고 있다고 봐도 큰 무리가 없을 것이다. 하지만 역시 예상했던대로 어휘수준의 다양성 측면에서는 원어민 코퍼스에 뒤처지는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have의 일반동사로서의 의미의 사용 빈도수가 원어민의 것보다 많이 적다는 점, make의 ‘cause’의 뜻으로서의 사용이 원어민보다 적다는 점은 앞으로 개선되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이형원 전북대학교 일반대학원 2012 국내석사
This thesis develops a haptic system having 2-degree of freedom (DOF). The developed haptic system is composed a 5-bar link haptic device and execution processing device. An execution processing device performs a communication for interfacing between a user and a virtual environment, and an operation for computing a reflected force. A 5-bar link haptic device has 2 active joints and 3 passive joints. A force/torque sensor is installed at a handle of the haptic device. In order to identify a reachable virtual work space, a simulation is performed with a 5-bar link haptic device model. The identified reachable virtual work space is used to generate a virtual wall for an experiment. A forward and inverse kinematic analysis of the haptic device is performed. Jacobian used for computing a relationship of a force at a handle with a torque at active joints is derived. Two kinds of experiments are performed with the developed haptic system to show the stability and effectiveness of it. Two virtual walls having a shape of rectangle and circle are used in experiments. A spring model is used for representing a contact with a virtual wall. One experiment is to tap an arbitrary point on a virtual wall. In the experiment, the magnitude and tendency of a force occurring while tapping a virtual wall are generated with the developed haptic system, and are compared with those of measured one. The other experiment is to explore a surface along a virtual wall. In the experiment, the magnitude and tendency of a force occurring while exploring a virtual wall are generated with the developed haptic system, and are compared with those of measured one.
혼합 현실 기술을 이용한 3D TV 컨텐츠 제작기법에 관한 연구
이형원 연세대학교 공학대학원 2003 국내석사
지난 수년간 디지털 영상 처리 분야는 놀라운 기술적 발전을 거듭하여 왔다. 특히, 최근의 영화에서 볼 수 있듯이 컴퓨터 그래픽과 실사 영상의 합성 기술의 발전은 실사 영상과 가상의 그래픽 영상을 구분할 수 없을 정도로 정교한 합성 영상을 제작할 수 있게 되었다. TV 방송에서도 1990년대 중반부터 3차원 컴퓨터 그래픽을 이용한 가상의 세계를 선보이기 시작하였다. 초반에는 영화 제작에서와 같은 포스트 프로덕션 방식으로 사전 제작하여 사용하기도 하였으나, 지금은 선거 개표 방송이나 스포츠 중계에서 실시간으로 그래픽을 생성하여 실제 영상과 합성하여 보여주는 기술들이 등장하였다. 그러나 기존의 크로마키 기법이나 단일 마커를 사용하는 기법은 출연자의 의상이나 움직이는 범위 등의 환경에 제한이 따르며, 단순한 마커를 사용함으로 인해 마커가 추정에 실패하거나 다른 물체에 의해 일부 가려지게 되면 합성에 실패하는 단점이 있었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여러 개의 마커를 이용한 강인한 스테레오 혼합 현실 컨텐츠 개발 기술을 제안한다. 다중 마커를 이용한 스테레오 혼합 현실 영상 합성기술은 다양한 3D 혼합 현실 영상 기술의 구현이 가능하며, 여러 개의 마커 사용으로 인해 강인한 마커의 추적 및 소실 마커 예측이 가능하므로 기존의 방식보다 더욱 폭넓게 활용되어질 수 있다. 또한 이를 스테레오 영상에 적용함으로써 차세대 방송 기술이라 할 수 있는 3D TV 컨텐츠 개발에도 적용되어질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제안된 알고리듬은 모의 실험 결과를 통해 여러 가지 상황에서도 강인하게 마커를 추적하여 자연스럽게 가상 영상을 합성해낼 수 있음이 검증되었고, 나아가 마커가 사용자에 의해 일부 소실되었을 경우에도 가려짐 현상을 극복하며 자연스럽게 가상 영상을 합성해 낼 수 있음을 보여주었다. 또한 스테레오 영상에 적용하였을 때도 자연스러운 입체감을 형성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We propose a method of stenographically merging real and virtual worlds for mixed reality in a 3D TV system. Mixed reality produces an environment in which virtual objects are superimposed on a user's view of the real environment. It attracted much attention as one of new methods of displaying information or increasing the reality of virtual environments. A number of applications have already been proposed and demonstrated. To implement a mixed reality system, we must solve some problems. Geometric registration is especially the most important problem because virtual objects should be superimposed on the right place as if they really exist in the real world. However, conventional merging techniques such as chromakeying, virtual studio, and single marker system have limitation of color in the real scene or range of action. Moreover, a single marker system fails to synthesize the partially occluded marker. To overcome these limitations, we propose a vision-based mixed reality technique with a wide and flexible registration by using pre-defined multi markers. In the simulation results, the proposed feature-based marker extraction and hidden marker estimation algorithm shows very robust performance in marker tracking. Moreover, texture mapping and blending function in OpenGL enables easy and natural realization of image synthesis, and the displayed images on the stereoscopic system with shutter glasses gives good sense of reality. As a result, the proposed technique can be used efficiently in image synthesis in TV contents production, and expended to the 3D TV system.
본 연구에서는 제올라이트 촉매를 이용한 바이오연료의 개질을 위해 촉매열분해와 수첨이성화 반응을 수행하였다. 촉매열분해와 수첨이성화 반응을 위한 모델물질로 바이오매스 구성성분과 n-dodecane을 각각 사용하였다. Unilamellar mesoporous MFI nanosheets (UMN)를 사용하여 바이오매스 구성성분의 촉매열분해를 수행하였고 대표적인 메조포러스 물질인 Al-SBA-15를 사용한 촉매열분해와 비교하였다. 바이오매스 구성성분의 촉매열분해는 microscale pyrolyzer-GC/MS를 사용하여 수행하였다. 촉매열분해 결과 상대적으로 강한 acidity를 보이는 UMN에서 바이오오일 개질 효과가 크게 나타났다. 셀룰로오스와 헤미셀룰로오스의 열분해로 생성되는 levoglucosan과 ketones, alcohols, cyclocompounds는 촉매에 의해 furans와 aromatics로 전환되었다. 리그닌의 열분해로 생성되는 phenolics는 촉매에 의해 alkylphenols과 aromatics로 전환되었다. 바이오오일의 개질 효과는 촉매량이 증가할수록 크게 나타났다. 바이오매스 구성성분 중 함량이 높은 리그닌과 셀룰로오스를 선택하여 각각 2 단계 촉매열분해와 혼합 촉매열분해를 수행하였다. 리그닌의 2 단계 촉매열분해는 고정층 반응기에서 수행하였으며 NZ (natural zeolite)를 1단계 직접접촉, HZSM-5를 2단계 간접접촉 촉매로 사용하였다. 2단계 촉매열분해와 HZSM-5 만을 사용한 촉매열분해를 수행하고 aromatics 생성 및 coke 수율을 비교하였다. 2단계 촉매열분해를 하였을 때 NZ의 영향으로 aromatics 생성이 증가하였고 coke 수율은 감소하였다. 바이오오일 개질 및 coke 감소효과는 NZ의 양이 증가하고 HZSM-5 반응온도가 증가할 때 크게 나타났다. 셀룰로오스를 반탄화하고 PP (polypropylene)와 혼합 촉매열분해를 수행하였다. 반탄화 셀룰로오스와 PP의 혼합 촉매열분해는 pyrolyzer-GC/MS/FID/TCD를 사용하여 수행하였다. 반탄화 과정에서 구조가 변한 반탄화 셀룰로오스의 촉매열분해는 셀룰로오스의 촉매열분해보다 높은 aromatics 수율을 나타냈다. PP와의 혼합 촉매열분해에서 반탄화 셀룰로오스는 상대적으로 적은 양의 촉매와 PP를 사용하여도 synergy effect를 나타냈다. Pt가 담지된 Y 제올라이트를 사용하여 n-dodecane의 수첨이성화 반응을 수행하였다. 제올라이트의 acidity를 silylation, ion-exchange, 다양한 SiO2/Al2O3 비를 사용하여 조절하였다. Pt의 담지량도 0.1-1.0 wt%로 변경하였다. 수첨이성화 반응 결과 Pt/HY(80), Pt/HY(5.1)-0.288, Pt/NaY(5.1)-IE1를 사용하였을 때 상대적으로 높은 효율을 나타냈으며 Pt의 담지량이 증가하였을 때 활성이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이원기능촉매를 사용한 수첨이성화 반응의 온도와 압력조건도 최적화하였다. In this study, catalytic upgrading of biofuel was performed via catalytic pyrolysis and hydroisomerization using zeolite catalyst. Biomass components and n-dodecane were used as a model compound in catalytic pyrolysis of biomass and hydroisomerization of biomass-derived fuel, respectively. Unilamellar mesoporous MFI nanosheets (UMN) was applied for catalytic pyrolysis of biomass components. Al-SBA-15, a representative mesoporous catalyst, was also applied for comparison. The experiments were carried out using microscale pyrolyzer-GC/MS. UMN showed higher catalytic activities for bio-oil upgrading compared to Al-SBA-15 since UMN contains strong Brønsted acid sites. The main products of pyrolysis such as levoglucosan derived from cellulose, and ketones, alcohols and cyclocompounds produced from xylan were converted into furans and aromatics via catalytic pyrolysis. Phenolics from lignin pyrolysis were converted to alkylphenols and aromatics by catalytic pyrolysis. Meanwhile, bio-oil quality was improved by increase of catalyst amount. Among biomass components, lignin and cellulose were selected for two-stage catalytic pyrolysis and catalytic co-pyrolysis, respectively. The two-stage catalytic pyrolysis of lignin was conducted using a fixed bed reactor. NZ (natural zeolite) and HZSM-5 were used for in-situ (1st stage) and ex-situ (2nd stage) catalytic pyrolysis, respectively. The overall performance of the catalytic pyrolysis of lignin was evaluated by comparing lignin conversion, aromatic formation, and deposited coke amount obtained from the two-stage catalytic pyrolysis with those from a single-stage catalytic pyrolysis with ex-situ HZSM-5. Compared to the single-stage catalytic pyrolysis, the two-stage catalytic pyrolysis resulted in higher yield of aromatics with smaller amount of coke due to the pre-catalytic effect of natural zeolite. These positive effects caused by the use of two-stage catalysts were maximized by increasing the amount of in-situ natural zeolite and the temperature of ex-situ HZSM-5 catalyst bed, up to 600 ℃ . Catalytic co-pyrolysis of torrefied cellulose and PP (polypropylene) was investigated using pyrolyzer-GC/MS/FID/TCD. HZSM-5 and HBeta with various SiO2/Al2O3 ratios were used as catalyst. The ratios of torrefied cellulose to PP and catalyst to sample were also changed. The structural change of cellulose caused by torrefaction led to improved catalytic conversion of cellulose during the catalytic pyrolysis over HZSM-5. In catalytic co-pyrolysis of cellulose and PP, cellulose torrefaction showed to be efficient for higher yield of aromatics, and this synergy effect of cellulose torrefaction was more considerable at lower catalyst and PP amounts. Platinum containing zeolite Y catalysts were applied for hydroisomerization of n-dodecane. Acidity was controlled by silyation, ion-exchange and various SiO2/Al2O3 ratios. Platinum content was changed within the range of 0.1-1.0 wt%. The results of hydroisomerization showed that Pt/HY(80), Pt/HY(5.1)-0.288 and Pt/NaY(5.1)-IE1 had higher activity for n-dodecane hydroisomerization compared to other catalysts such as Pt/HY(5.1, 200) Pt/HY(80)-0.096 and Pt/NaY(5.1). Catalytic activity was increased with increasing platinum content. Besides, hydroisomerization reaction temperature and pressure were also optimiz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