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남북한 군사통합 전략에 관한 연구  : 독일 군사통합사례와 통일한국군의 조직방향을 중심으로 

        이재인 한성대학교 국방과학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7647

        ABSTRACT A Study on the Military Integration of North and South Korea - Focused on German Military Integration Case and Unification Korean Armed Forces - Lee, Jae-In Major in Military Strategy Dept. of National Security and Strategy Graduate School of National Defense Science Hansung University Due to the defeat of the Axis powers (Japan, Germany, Italy) in World War II, Korea became independent from the Japanese colonies. The coalition decided in the Yalta Talks(February 1945) to partition the 38th parallel on the Korean peninsula. North Korea occupied by the Soviet Union became a communist state, and South Korea occupied by the US military became a liberal democracy. The Korean War, which broke out on June 25, 1950, made the Korean Peninsula an international battlefield for three years, and an armistice agreement was signed on July 27, 1953. South Korea signed the ROK-US Mutual Defense Treaty with the United States on October 1, 1953 to deter the threat of communism and remains the greatest asset of the ROK's foreign security. Since the normalization of diplomatic relations between South Korea and Japan in 1965, Northeast Asia has been in conflict with the forces of the maritime forces (South Korea, the US and Japan) and the continental forces (North Korea, China and Russia). The two countries agreed to maintain the framework of the ROK-US Mutual Defense Treaty even after reunification and to keep US forces stationed on the Korean Peninsula as regional stabilized forces. The Cold War ended with the victory of Western liberal democracy. The Soviet Union has collapsed and many countries, including Eastern Europe, are promoting economic development by introducing a market economy. North Korea was isolated diplomatically in the 1990s due to South Korea-Soviet diplomatic relations, diplomatic relations between South Korea and China, and the collapse of the Eastern bloc. The collapse of the rationing system in the mid-1990s due to economic hardship and famine further threatened the one-man dictatorship in North Korea. North Korea has continued to develop nuclear weapons for its regime's safety. The brinkmanship tactic has heightened the crisis of the Korean peninsula and continues to develop missiles capable of attacking the US mainland. Even after Kim Jong-un's successor succeeded, there were continuous provocations such as the 6th nuclear test, the long-range missile test launch, and the development of the submarine-launched ballistic missile (SLBM). Fortunately, there is a thawing mood in the Korean Peninsula in 2018. The inter-Korean summit was held at Panmunjom. For the first time in history, the North American Summit was held in Singapore. The United States and North Korea agreed to a massive US - ROK military training delay, such as the UFG, for the denuclearization of North Korea (FFVD: final and fully verified denuclearization). Although the economic sanctions on the North continue, inter-Korean economic cooperation is being discussed, such as the result of the inter-Korean railroad. There is also a growing opinion that North Korea and the United States should promote stability and economic development through diplomatic relations. Many international political scholars believe that North Korea's Kim Jong Eun made a strategic decision not to guarantee the stay security through nuclear armed forces but to abandon nuclear weapons and guarantee the stay through diplomatic and economic development with the United States. For the establishment of a peace regime on the Korean Peninsula and the stabilization of North Korea, not only political and economic integration but also military integration is important. North Korean regional commanders should be prevented from growing into armed groups and local military clique. In order to prevent the process of unification of the Korean peninsula from expanding into international conflict situations in which neighboring countries are engaged in military intervention, it is important to secure a stable disengagement of North Korean troops through cooperation between South Korea and the United States. In order to study inter-Korean military integration, problems should be approached in various directions. Military and security policies on the Korean Peninsula of the neighboring countries, case studies on military integration in other countries, development direction of the Korea-US alliance, ways to outsource security, and future population trends on the Korean peninsula. The outsourcing of security can be a little unfamiliar. However, it is necessary for us to study it because it is the outsourcing plan of security that the scholars claiming that the size of the unified Korean army is between 200,000 and 300,000. Indeed, when our ally, the United States, conducted Iraqi warfare in 2003, it was able to prepare for war with fewer troops than in the 1991 Gulf War through outsourcing of the non-combat sector. Also, if the United States is carrying out a large-scale regional dispute on the other continent, if the development of the Korean peninsula is reduced or delayed, a private military company may be put into operation for stabilizing the Korean peninsula. In this paper, we will discuss examples of military integration in other countries (Germany-centered), military and security policies (impact factors) on the Korean Peninsula and ways to privatize security. The military and security policy for neighboring countries on the Korean Peninsula will be focused on the US role. We will analyze the advantages and disadvantages of outsourcing security to see if it is appropriate for the nation's reality. This will affect the size and defense policy of the unified Korean forces. 【Key words】 Military integration of the two Koreas, Influential factors in neighboring countries, Outsourcing of security, Unification Korean Army, Denuclearization of North Korea, North and US diplomatic relations 국 문 초 록 남북한 군사통합 전략에 관한 연구 - 독일 군사통합사례와 통일한국군의 조직방향을 중심으로- 한성대학교 국방과학대학원 안보전략학과 군사전략전공 이재인 제2차 세계대전 시 추축국(일본, 독일, 이탈리아)의 패배로 우리나라는 일본의 식민지에서 독립하였다. 연합군은 얄타회담(1945년 2월)에서 한반도의 38도선 분단을 결정하였다. 소련이 진주한 북한은 공산주의 국가가 되었고, 미군이 진주한 남한은 자유민주주의 국가가 되었다. 1950년 6월 25일 발발한 한국전쟁은 3년 동안 한반도를 국제전장으로 만들었고 1953년 7월 27일 정전협정이 체결되었다. 남한은 공산주의의 위협을 억지하기 위해 1953년 10월 1일 미국과 한·미 상호방위조약을 체결하였고 현재까지 대한민국 외교안보의 가장 큰 자산으로 남아있다. 1965년 한·일 국교정상화 이후 동북아는 해양세력(한⋅미⋅일)과 대륙세력(북⋅중⋅러)의 힘이 충돌하고 있다. 한미 양국은 통일이후에도 한·미 상호방위조약의 골격을 유지하고 미군을 지역 안정군으로 지속적으로 한반도에 주둔시키는 것에 합의하였다. 냉전은 서방 자유민주주의의 승리로 끝났다. 舊소련은 붕괴되었고 동유럽을 비롯한 많은 국가들은 시장경제를 도입하여 경제발전을 도모하고 있다. 한·소 수교, 한·중 수교, 동구권 붕괴로 북한은 1990년대 외교적으로 고립되었다. 90년대 중반 경제난으로 배급제가 붕괴되면서 시작된 '고난의 행군'은 북한의 1인 수령 독재 체제를 더욱 위협하였다. 북한은 체제안전을 위해 핵개발을 지속하였다. 벼랑 끝 전술로 한반도의 전쟁위기를 고조시켰으며 미국 본토를 공격할 수 있는 미사일 개발도 지속하고 있다. 김정은 국무위원장이 권력을 승계한 이후에도 6차 핵실험, 장거리미사일 시험발사, 잠수함발사탄도미사일(SLBM)개발 등 지속적인 도발행위가 있었다. 다행히도 2018년 한반도는 해빙무드가 조성되고 있다. 남북정상회담이 판문점에서 열렸다. 역사상 처음으로 싱가포르에서 북미정상회담이 개최되었다. 한미정상은 북한의 비핵화(FFVD : 최종적이고 충분히 검증된 비핵화)를 위해 UFG와 같은 대규모 한·미 연합군사훈련 유예에 합의하였다. 대북경제재제는 지속되고 있지만 남북철도연결과 같은 남북경협이 논의되고 있다. 또한 북미수교를 통해 북한 체재 안정 및 경제발전을 도모해야한다는 의견도 늘어나고 있다. 많은 국제정치학자들이 북한의 김정은 국무위원장이 핵무장을 통한 체재 안전보장이 아닌, 핵을 포기하고 미국과 수교 및 경제발전을 통한 체재보장을 도모하는 전략적 결단을 한 것이라 생각하고 있다. 한반도 평화체제 구축 및 북한 지역 안정화를 위해서는 정치⋅경제적 통합뿐만 아니라 군사통합도 중요하다. 북한의 지역 군 사령관이 무장단체 및 지방군벌로 성장하는 것을 방지해야 한다. 또한 한반도 통일과정이 주변국이 군사적 개입을 하는 국제적 분쟁상황으로 확대되는 것을 억지하기 위해서라도 굳건한 한·미 공조를 통한 안정적인 북한군 해체 및 한국군 주도의 남북 군사통합이 중요하다. 남북군사통합의 연구를 위해서는 다양한 방향으로 문제에 접근해야 한다. 주변국의 對한반도 군사·안보정책, 타국 군사통합사례 연구, 한·미동맹의 발전방향, 안보의 외주화 방안, 한반도 미래 인구동향 등이다. 안보의 외주화 방안은 조금 생소할 수 있다. 그러나 통일한국군의 규모를 20~30만 명으로 주장하는 학자들이 근거로 내세우는 것이 안보의 외주화 방안이기 때문에 우리도 한번 연구해 볼 필요가 있다. 실제로 우리의 동맹국인 미국이 2003년 이라크전을 수행할 때 비전투분야의 외주화를 통해 1991년 걸프전 때보다 적은 병력으로도 전쟁을 준비할 수 있었다. 또한 미국이 타 대륙에서 대규모 지역분쟁을 수행하고 있어 미군의 한반도 전개가 축소 또는 지연될 경우 민간군사업체가 한반도 작전에 투입될 수도 있다. 이 논문에서는 타국 군사 통합 사례(독일중심), 주변국의 對한반도 군사·안보정책(영향요인), 안보의 외주화 방안을 고찰하였다. 주변국의 對한반도 군사·안보정책은 미국의 역할을 중심으로 기술하였다. 안보의 외주화 방안도 장단점을 분석하여 우리나라의 실정에 적합한지 고찰하였다. 【주요어】 남북한 군사통합, 주변국 영향요인, 안보의 외주화, 통일한국군, 북한 비핵화, 북미수교

      • 초경쟁 산업에서 기업 시장지위변화에 관한 연구 : 세계 휴대폰 산업을 중심으로

        이재인 漢陽大學校 大學院 2009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대표적인 초경쟁 산업인 휴대폰 산업에서 10년간 휴대폰 산업 환경변화와 기업 시장지위변화에 대해서 알아보고 그 원인이 무엇인지를 알아보고자함이 본 연구의 목적이다 우선 휴대폰 산업의 기술·시장적 측면의 변화과정을 살펴보았으며 그것을 바탕으로 대표적인 휴대폰 기업인 노키아, 모토로라, 삼성전자를 사례 분석하였다. 휴대폰 산업은 기술적 측면에서 통신기술의 발달에 따라, 시장측면에서는 산업의 성숙도, 신흥시장성장, 고객의 요구 변화 등의 원인으로 핵심성공요소가 달라지는 것을 알 수 있었고 이러한 성공요소의 변화에 따라 기업 시장지위가 급격히 변한 것을 볼 수 있었다. 노키아가 10년간 시장점유율 1위의 위치에 있을 수 있었던 원인으로는 원천기술의 확보, 플랫폼 전략의 도입, 조직구조 변경을 통한 선택과 집중, 원가경쟁력을 바탕으로 저가폰 위주 시흥국 시장 장악, 전략적 제휴를 통한 사업영역 확대 및 미래시장 대비와 같은 전략을 통해 핵심성공요소의 변화에 제때 대응 할 수 있었으며 모토로라는 선발자의 이점을 모두 가지고 있었으나 성공의 함정에 빠져 환경변화에 빠르게 대응하지 못했으며 제품전략의 실패로 인하여 원가경쟁력을 갖지 못하고 삼성전자, LG전자 같은 새로운 기업들과의 경쟁으로 마켓 포지셔닝의 실패로 지금의 부진을 겪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삼성전자는 후발기업이지만 기술개발과 축적을 기반으로한 제품 리더쉽을 가지고 기술·시장의 환경변화에 따른 핵심성공요소를 잘 찾아내어 프리미엄 전략을 통한 차별화에 성공하여 지금과 같은 시장 지위를 갖을 수 있었다. 이러한 사례분석 결과를 통하여 휴대폰 산업에서 시장지위변화에 영향을 끼치는 경쟁우위를 첫째, 플랫폼 사고에 기반한 제품전략, 두 번째는 차별화를 통한 마켓포지셔닝으로 요약할 수 있었다. 플랫폼 사고에 기반한 제품전략은 원가경쟁력을 갖게 해주고, Time-to-Market을 실현 할 수 있게 해주며 차별화 전략 효과적으로 실행하여 소비자들에게 포지셔닝을 확실하게 하는 것 또한 초경쟁 환경에서 중요한 경쟁우위라 할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의 결과가 주는 시사점은 초경쟁 환경에 대한 정의와 특징에 대해서 휴대폰 산업을 바탕으로 정리해볼 수 있었으며 둘째로는 휴대폰 산업분석을 통하여 초경쟁 환경에서는 기술과 시장이 지속적으로 변화하기 때문에 시장진입순서에 대한 이점이 지속될 수 없으며 새로운 환경 변화에 따라 누가 먼저 선발기업의 이점을 새롭게 가지게 되느냐가 중요한 시장 지위 변화의 원인이고 산업 후발기업에게도 환경 변화에 맞춰 핵심성공요소에 적시에 대응하면 새로운 선두주자가 될 수 있다는 것을 알려주고 있다.

      • 폐목재 소각시설의 다이옥신 배출 특성에 관한 연구

        이재인 광운대학교 환경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에서는 다양한 폐목재의 일반적인 성상 및 특성을 파악함과 동시에, 폐목재 소각시 배출되는 가장 유해한 물질로 알려진 다이옥신류의 배출 특성 중점으로 파악하고자, 사업장 파렛트(원목), 폐가구류(MDF(Medium Density Fiberboard)), 파렛트와 폐가구류(MDF) 혼소, 건설계 해체목(원목형태), 폐선박 해체목을 각각 소각하는 소각 용량 0.06ton/hr∼0.18ton/hr 범위의 시설 중 5개 시설을 선정하여 소형 목재 소각시설의 다이옥신 배출 실태에 대하여 알아보았다. 1. 일산화탄소의 경우 3개의 대상 소각시설은 배출허용기준인 200ppm에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일산화탄소가 낮은 값을 나타내는 것은 좋은 연소 조건으로 투입시료가 연소되고 있음을 뜻하는 것이다. 5개 시설 모두 2차 연소실의 보조 버너를 가동한 상태에서 측정된 값이며, 각 시설 4시간 측정 평균값이 1.2ppm, 0ppm, 709.1ppm, 4.8ppm, 3265.2 ppm으로 운전조건에 따라 많은 차이를 보이고 있다. 2. 황산화물의 배출량이 거의 배출되지 않거나 아주 낮은 수치를 나타내는 것을 볼 수 있었다. 소각시설의 배출허용기준인 100 ppm과 비교하였을 때 실제측정값은 현저하게 낮은 값을 알 수 있다. 3. 질소산화물의 배출현황을 살펴보면, 파렛트+MDF 47.9(12)ppm, 파렛트 51.2(12)ppm, MDF 97.7(12) ppm, 건설계 해체목 41.2(12) ppm, 폐선박 해체목 96.7(12) ppm)로 소각시설의 배출허용기준인 150(12) ppm을 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4. 다이옥신류의 총 농도값은 파렛트+MDF 0.137ng-iTEQ/Sm3, 파렛트 1.835ng-iTEQ/Sm3, MDF 9.665ng-iTEQ/Sm3, 건설계 해체목 6.585ng- iTEQ/Sm3, 폐선박 해체목 128.316ng-iTEQ/Sm3분석되어, 4개 시설의 경우 기존 시설의 기준인 10ng-iTEQ/Sm3 보다 낮게 검출되었으나, 폐선박 해체목의 경우는 기준치 보다 약 13배 정도 높게 검출되었다. 다이옥신류 중 PCDFs와 PCDDs의 분포를 살펴보면, 파렛트+MDF 혼소 소각시와 MDF 단일만 소각시 83:17, 파렛트만 소각시 76:24로 나타났으며, 건설계 및 폐선박 해체목의 경우도 70:30과 74:26으로 모두 PCDFs가 우세하게 분포하고 있으며, 2,3,7,8-치환이성질체의 농도분포 역시 유사한 형태를 나타내었다. 4개 시설에서 2,3,4,7,8-PeCDF의 농도가 가장 높게 검출되었으나 파렛트와 MDF를 혼소하여 소각한 A시설에서는 2,3,4,6,7,8-HxCDF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소형 소각시설은 중․대형 소각 시설에 비해 방지시설 측면에서는 매우 열악한 경우가 많다. 그러나 소형소각시설이라 하더라도 폐목재만을 에너지 또는 폐기물로 소각할 경우가 많다. 다이옥신은 연소실의 우수연소조건 확립만으로도 나은 방지설비를 갖추고 있으면서도 관리가 잘 되지 않고 운영되고 있는 시설에 비해 낮게 배출시킬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In study, the emission characteristics of PCDDs/DFs from small capacity wood incinerators was evaluated by estimates of general composition and characteristics of various waste wood and PCDDs/DFs emission characteristics from waste wood incinerators; industrial pallet (material lumber) and waste furnitures (medium density fiberboard; MDF), mixture of pallet and waste furniture, building dissection wood (material lumber) incinerators (incineration capacity: 0.06 ton/hr ~ 0.18 ton/hr). 1. In case of CO, three selected incinerators does measured under the emission effluent standards, 200ppm, and it could mean the incineration of charging waste by good combustion condition. The average measurement for 4hr sampling was difference as 1.2 ppm and 0 ppm, 709.1 ppm, 4.8 ppm, 3,265.2 ppm, according to operation condition under the operation of second auxiliary burner in all of five incinerators. 2. The emission quantity of sulfur oxides was the very low values or not detected and very low with comparison the emission effluent standards, 100ppm. 3. The emission of nitrogen oxides was show under the emission effluent standards, 150ppm; pallet+MDF 47.9(12) ppm and pallet 51.2(12) ppm, MDF 97.7(12) ppm, building dissection wood 41.2(12) ppm, waste vessel dissection wood 96.7(12) ppm. 4. The emission concentration of PCDDs/DFs was pallet+MDF incinerator 0.137 ng-iTEQ/Sm3 and pallet 1.835 ng-iTEQ/Sm3, MDF 9.665 ng-iTEQ/Sm3, building dissection wood 6.585 ng-iTEQ/Sm3, waste vessel dissection wood 128.316 ng-iTEQ/Sm3. Four incinerators was measured lower than the average value of the existing facilities, 10 ng-iTEQ/Sm3, but the vessel dissection wood incinerator was higher almost 13 times than it. In the distribution ratio of PCDFs and PCDDs, PCDFs distribution was more higher than PCDDs in all incinerators; pallet+MDF and MDF 83:17 and pallet 76:24, building dissection wood 70:30, waste vessel dissection wood 74:26. And it was shows the same situation in 2,3,7,8-isomer concentration distribution. 2,3,4,7,8-PeCDF concentration was measured the relative high in four incinerators, but in A incinerator, pallet+MDF, 2,3,4,6,7,8-HxCDF was high. Small capacity incinerators was more poorer than medium/large capacity incinerators in terms of APCE (air pollution control equipment). But it was the frequent case that the only waste wood was incinerated as energy or waste in small incinerators. PCDDs/DFs was discharged lower from incinerators of the good combustion condition than incinerators of bad operation even if it were keep good APCE.

      • 대학 농구선수의 성격특성에 관한 연구

        이재인 용인대학교 교육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대학 농구선수들의 성별, 포지션별, 운동 경력별 성격특성의 차이를 밝히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성별, 포지션별, 운동 경력별로 성격이 각각 교유한 특성을 지니고 있다는 가정 하에 이 연구는 대학 농구선수의 성별, 포지션, 운동 경력과 성격특성의 하위척도별 요인에 따라서 어떤 차이가 있는지 규명하고자 하였다. 조사 대상자는 전국 대학교에 재학중인 남·녀 농구선수 180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대학 농구선수의 성격특성의 차이를 측정하기 위해 사용된 도구로는 MMPI로서 신뢰도는 .31∼.87이다. 이상의 과정을 통해 이 연구에서는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첫째, 남자 대학 농구선수는 심기증, 편집증 등이 전국 규준집단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여자 대학 농구선수는 심기증, 우울증, 반사회성 등이 전국 규준집단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남자 대학 농구선수는 경력이 적은 선수가 심기증, 남성특성, 강박증, 정신분열증 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여자 대학농구 선수는 경력에 따른 성격척도의 차이가 크게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남자 대학 농구선수는 센터가 다른 위치보다 정신분열증, 강박증 등이 높에 나타났으며, 여자 대학 농구선수는 센터가 다른 위치보다 정신분열증, 강박증 등이 높게 나왔고, 포워드가 다른 위치보다 내향성이 높게 나왔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university basketball players' characteristic features to their sex, position, and playing years. Assuming that they have own characteristics to sex, position, and career, the study examined the sub-indices of the basketball players' characteristics to their sex, position, and playing years. 180 male and female basketball players attending the universities in the nation. MMPI was used a tool to measure the difference in the university basketball players' characteristics, of which reliability was 0.31~0.87. The conclusions are as follows. First, male university players showed higher hypochondria and paranoia than those in the critical group in the nation. Second, female players showed higher hypochondria, melancholia, and antisociality. Third, among male players, younger players had higher hypochondria, manly characteristics, anxiety disorder, and schizophrenia. Forth, female players didn't have that much difference in the characteristics index to their age. Fifth, among male players, the center fielder had higher schizophrenia and anxiety disorder than the players in other position, and among female players, also the center fielder had higher schizophrenia and anxiety disorder, and forward had higher introversion than the players in other position.

      • Hospital Identity와 통합마케팅커뮤니케이션이 환자들의 브랜드로열티 확립에 주는 영향력 : 신규 개원한 정형외과를 사례로

        이재인 대구대학교 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의 목적은 병원의Hospital Identity와 통합마케팅커뮤니케이션이 환자들의 브랜드로열티 확립에 주는 영향력을 살펴보는데 있다. 국내의료산업 환경이 국내 병‧의원들의 수적증가와 함께 병원간의 경쟁이 치열해 짐에 따라 문을 닫는 병원이 늘어가고 있는 추세이다. 이렇듯 의료가 급속히 산업화 되어가면서 의료분야에서도 네트워크병원과 브랜드 병원의 출현으로 적극적인 마케팅이 도입되고 있는 추세이다. 종편 채널의 증가에 따른 다양한 건강관련 프로그램이 생산되어 병원에 관한 기사나 의료기관에 소속되어 있는 의료진들이 방송 등에 출현해 의학정보를 전달하는 동시에 의료진 개인에 대한 간접 광고도 공공연하게 이루어지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스마트폰의 높은 보급률과 정보 통신의 발달로 많은 소비자들이 의료 정보를 손쉽게 얻고 있다. 이에 따라 최근 의료서비스와 관련된 소비자 보호 운동의 확대 등 병‧의원의 서비스 품질에 대한 욕구가 다양 해 지고 있다. 의료 서비스 시장도 전통적인 공급자 중심에서 소비자 중심으로 전환되면서 병원의 브랜드. 의료서비스의 질 및 신뢰 등을 바탕으로 소비자들이 병‧의원을 선택하게 되었다. 사회가 고령화 사회로 접어들고 생활 스포츠가 일반화 되면서 퇴행성 질환과 스포츠 손상에 대한 국민들의 관심이 대두되었고, 정형외과 의료 환경도 크게 달라졌다. 변화한 진료 환경으로 인해 소비자들이 더 많은 선택 대안을 갖게 되어 만족 여부에 따라 다른 대안으로 이동이 보다 수월 해 졌다. 점점 경쟁이 심화되고 있는 정형외과 의료업계, 특히 비교 가능성이 더 높은 네트워크 화된 브랜드 정형외과 병‧의원에서 브랜드 이미지를 강화해서 고객을 유지하기 위한 문제에 초점을 두고 있다. 병원들이 의료진과 진료 특성에 맞는 핵심 메시지를 개발하고 통합마케팅커뮤니케이션을 진행 했을 때 환자들에게 병원브랜드가 각인되고, 브랜드에 대한 환자 신뢰도가 향상되어 고객만족이 형성될 것이며 더 나아가 브랜드 로열티가 형성 될 것이라는 가정 하에 각 변수간의 관계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가설을 검증하기 위해 설문조사를 통한 실증분석을 실시하였으며, 가설 검증 결과에 대한 요약과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정형외과 의원의 브랜드 이미지 요인 중 기능적 이미지와 브랜드 연상 이미지가 높을수록 브랜드에 대한 신뢰 수준이 높은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고 할 수 있다는 점에서 병원의 Hospital Identity와 통합마케팅커뮤니케이션을 통한 병원의 지명도, 병원 이용으로 인한 자부심 등을 촉진하여 병원 브랜드의 신뢰를 높여 소비자들의 병원 선택에 긍정적 영향이 있다고 여겨진다. 둘째, 브랜드 이미지가 높을수록 정형외과 이용 만족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나타냈다. 이에 따라, 병원브랜드 이미지에 관한 신뢰성 요인이 고객만족에 긍정적인 영향이 있으므로 병원의 브랜드 신뢰가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타 병원과 차별화를 두기 위해서는 병원의Hospital Identity와 통합마케팅커뮤니케이션이 필요하겠다. 셋째, 병원의 이용 만족도가 높을수록 브랜드 충성도에 높은 긍정적인 영향을 나타냈다. 환자의 만족도는, 통합마케팅커뮤니케이션으로 인한 브랜드 신뢰도 형성 후 서비스 사후 행동인 고객의 재이용의도와 좋은 구전으로 이어져 병원에 매우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더 나아가 브랜드 로열티를 높이는데 큰 도움을 줄 수 있으리라 생각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look into the influence of Hospital Identity and Integrated marketing communications on patients’ brand loyalty establishment. Looking into the domestic medical industry environment, there is a trend towards the increase in the number of hospitals which break up a business as the competition between hospitals is growing fierce. Like this, with medical treatment rapidly being industrialized, the medical field also tends to introduce aggressive marketing due to the advent of a network hospital and a brand hospital. Further, reality is that with the production of diverse health-related programs consequent on the increase in general service TV channels, articles on hospitals, or medical teams affiliated with a medical institution appear on the broadcast to deliver medical information, and at the same time, indirect advertisements on an individual of a medical team is also publicly broadcast. In addition, by virtue of the high penetration rate of Smartphone and development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s, lots of consumers are easily coming by medical information. Accordingly, consumers’ desires for service quality of hospitals & clinics are becoming diverse, such as the recent expansion of the consumer protection movement related to medical service. With even the medical service market converting to a consumer-oriented service from supply-side service, consumers get to select a hospital & a clinic on the basis of the medical service quality & trust, etc. With society arriving at an aging society, and sports for all(life sports) generalized, people’s concern for degenerative diseases and sports injury has come to the fore, and orthopedic medical treatment environment has also greatly changed. Thanks to the changed medical treatment environment, consumers come to have a lot more choice alternatives, making much easier to move to another alternative depending on one’s satisfaction status. The orthopedic medical care circles where competition is ever deepening, especially in case of a networked brand orthopedic surgery hospital & clinic with a high comparison possibility, are putting their focus on the problem about how to retain a customer by intensifying individual brand images. This study was intending to verify the relationship between individual variables on the assumption that hospital brand could be imprinted in patients’ memories and customer satisfaction would be formed thanks to improvement in patient reliability in brand, and further, brand loyalty would be built only after hospitals develop a core message suited for their medical team and medical care characteristics and proceed with integrated marketing communications. This study conducted an empirical analysis through a survey in a bid to verify the hypotheses, and the summary and implications of hypotheses verification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it is considered that there might be a positive influence on consumers’ hospital selection through the enhancement of hospital brand reliability by accelerating hospital recognition through hospital identity and integrated marketing communications, and pride from hospital use in that the higher the functional image and brand association image among the brand images of an orthopedic surgery clinic, the higher positive influence can be created by brand reliability level. Second, it was found that the higher the brand image, the more positive influence was shown on orthopedic surgery use satisfaction. Accordingly, it can be judged that what matters is hospital brand reliability because the reliability factors in hospital brand image have a positive influence on customer satisfaction. Therefore, a hospital might be in need of Hospital Identity and Integrated Marketing Communications in order to put differentiation from other hospitals. Third, the study results showed that the higher the hospital use satisfaction, there was the higher positive influence on brand loyalty. Patient satisfaction was found to have a very positive influence on a hospital as it was linked to a customer’s hospital revisit intention, and a favorable word of mouth which are the behavior after service after brand reliability formation caused by integrated marketing communications; furthermore, this study thinks that patient satisfaction could be greatly helpful in enhancing brand loyalty.

      • 대학 아이스하키 팀을 위한 긍정 심리 개입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이재인 연세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대학 아이스하키 팀을 위한 긍정 심리 개입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현장에 적용하여 그 효과를 검증하는 목적을 가진다. 국내 대학 아이스하키 팀 선수 78명을 대상으로 개방형 질문지에 의한 요구분석을 하고, 대학 아이스하키 팀 참여관찰을 실시하여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자료 수집과 통합분석을 하였다. 분석한 내용을 바탕으로 프로그램 목표를 수립하고, 전문가 회의와 선행연구 고찰을 통해 최종적으로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프로그램은 총 5단계, 10회기로 주 1-2회, 60~70분으로 구성하였다. 세부 활동 내용은 오리엔테이션, 개인·팀원 강점 찾기, 팀 강점 찾기, 용서하기, 감사하기, 음미하기, TGT, 공유하기, 목표 설정하기, 마무리 활동이다. 개발한 프로그램을 A대학교 아이스하키 팀 26명의 선수들에게 적용하였다. 프로그램에 대한 효과 검증을 위해 경험보고서·프로그램 평가지 작성, 선수 심층면담을 실시하였으며 행복검사Ⅰ, 팀 상호작용. 강점 인식 검사지를 활용하여 사전·사후로 측정하였다. 수집한 질적 자료는 귀납적 범주 분석 절차에 의해, 양적 자료는 SPSS 25.0 version을 통해 통계적 유의확률 p<.05 수준에서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 얻은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 아이스하키 팀을 위한 긍정 심리 개입 프로그램 개발을 위해 구성요인 탐색 결과 상호작용, 강점 활용, 결속력, 심리적 환기, 인간관계, 휴식 및 다양한 활동, 팀 요인, 존중 및 배려, 신뢰 및 감정 표현, 긍정 심리 등으로 나타났으며 대표적인 10개의 요인을 바탕으로 총 5단계, 10회기로 프로그램을 구성 및 개발하였다. 둘째, 긍정 심리 개입 프로그램은 현장성이 높고, 신뢰도와 타당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요구분석, 참여 관찰, 전문가 회의, 선행연구 고찰과 같은 다양한 방법들을 바탕으로 통합 분석에 의거하여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셋째, 팀원과 함께하는 시간을 제공함과 동시에 개인의 강점 인식 기회를 주고, 다양한 활동을 통해 팀 상호작용과 행복감 증진 목적으로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넷째, 긍정 심리 개입 프로그램은 대학 아이스하키 팀 선수들에게서 긍정심리, 강점 인식 및 활용·긍정적 상호작용·사회응집력의 효과와 프로그램 전후로 행복감·팀 상호작용·강점 인식 변화에 대해 통계적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팀 스포츠 현장에서 긍정 심리학의 활용 및 적용 가능성을 보여주며 팀을 위한 긍정 심리 개입 프로그램의 기초 자료로 제공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팀에 속한 선수들에게 강점 인식과 긍정적 경험의 기회 제공은 팀의 상호작용을 증진시켜 긍정적 팀 분위기 조성이 가능하고, 이에 따라 행복감을 느끼게 해줄 수 있으며 더 나아가 경기력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기대해볼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positive psychological intervention program for a college ice hockey team and to test its effects based on real applications to the team. To do so, 78 college male ice hockey players were asked to know their demands by open questionnaires, and integrated analysis was done using collected results to develop a desired program through the methods of participant as an observer for the ice hockey team. Objectives of the program were established and an appropriate program was developed based on the analysis of collected data as well as referring experts’opinions and precedent research. The program was designed by consisting 5 stages of total 10 sessions which were from 60 to 70 minutes long. Detailed activities of each stage were orientations, discovery of strengths in each individual and teammates, forgiveness, gratitude, savoring with teammates, three good things, sharing with teammates, goal setting and closing remarks of each session. To verify effects of the developed program, it was applied to 26 players of a college ice hockey team including writing experience reports and in-depth interviews. In addition, Happiness Measures 1, Team Interaction and Strength Knowledge Questionnaires were used to collect results of pre and post test. Collected qualitative data were categorized in order to follow inductive analysis procedures and paired t-tests were performed for quantitative data by using SPSS 25.0 version at the 5% significance level. Obtained results from the research could be stated as follows: First, important factors could be included in development of a positive psychological intervention program for a college ice hockey team such as interaction, strength knowledge, unification, mental refreshment, interpersonal relationship, rest, various activities, respect and thoughtfulness, faith and expression of emotion, positive psychological mind and so forth, were considered. Among them, based on carefully selected ten factors, an intervention program was developed. Second, in order to improve application effects of real situations and to maintain credibility and validity, the program was developed based on analyses of individual and team demands, methods of participant as an observer, experts’ opinions, precedent researches and other various considerations. Third, the program was developed to give opportunities for recognizing each individual’s strength as well as enhancing positive interactions between teammates and happiness by various selected factors through providing time sharing with teammates. Forth, based on application results of the developed positive psychological intervention program to college ice hockey players, it could be stated that statistically meaningful differences between before and after in positive psychological matters, happiness, recognition and utilization of strengths, affirmative team interactions, team cohesion and so on, are identified by performing paired t-tests. It could be possible to conclude that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might be usable or applicable to other team sports and provide fundamental information to develop various types of other programs. Providing opportunities to recognize individual and team strengths and to have valuable experiences for each player, could enhance interactions between teammates and make favorable team environment. Such effects make possible to expect improvement of athletic performance as well as satisfaction of personal happiness.

      • A study on grid system performance analysis according to the system application of TCSC in Korea

        이재인 창원대학교 2019 국내석사

        RANK : 247631

        산업 및 경제 발전으로 인해 매년 총 전력 수요가 점차 증가하고 있으며, 이에따라 발전 공급 또한 지속적으로 확대되고 있다. 국내 전력 수요는 인구가 밀집된 수도권 및 남동부 지역에 집중되어있다. 그러나 대규모 발전소가 해안에 위치하기 때문에 대도시 지역의 전력 공급을 위하여 장거리 송전이 필수적이다. 추가적인 송전선로는 해결책이 될 수 있지만, 송전선로를 확장하여 공급을 증가시키는 방법은 경제적 효율성, 부지 조성, 환경 문제 및 주민갈등과 같은 다양한 문제를 야기 할 수 있다. 새로운 송전선로 건설에 대한 규제가 증가함에 따라 기술 방식을 통해 기존의 송전선로의 이용률을 높일 수 있는 FACTS (Flexible AC Transmission System) 설비의 연구 및 상용화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사이리스터 제어 직렬 커패시터 (TCSC)는 FACTS 제품군에서 가장 중요한 소자 중 하나이다. TCSC는 송전선로에서 전력 전달 능력을 높이기 위해 사이리스터 제어를 통해 임피던스를 조정하는 효과적인 장치이다. 또한 유연하고 신속한 제어를 통해 동력 진동 감쇠 및 차 동기 공진 완화와 같은 장점을 제공한다. 한국 전력 공사는 수도권 송전 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345kV 송전 구간 (신영주, 신제천)에 TCSC를 설치하는 방안을 검토 중이다. TCSC를 설치하기 전에 기존의 전력 시스템에 대한 TCSC의 효과를 연구 할 필요가 있다. 본 논문은 TCSC를 한국의 실제 시스템에 적용하였을 때 발생하는 영향성을 검토하였다. TCSC는 실제 시스템 적용을 확인하기 위해 신제천 및 신영주의 회선 상수를 기반으로 설계되었다. 정확한 시뮬레이션을 위해 실제 한국 그리드 시스템을 기반으로 한 전력망 데이터가 PSCAD / EMTDC로 구현되었으며 TCSC 회로와 컨트롤러 및 송전선로가 모델링되었다. 모델링된 TCSC 시스템을 사용하여 시나리오에 따라 계통에 작용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또한 TCSC 시스템의 설치로 인하여 발생할 수 있는 차단기 TRV 문제에 대하여 분석되었으며 이를 해결하기 위한 보호방식이 제안되었다. 본 논문을 통하여 분석된 결과는 실제 계통에 TCSC 시스템을 도입할 때 발생가능한 영향에 대하여 확인할 수 있는 기초자료로 사용 될 수 있으며 직렬 커패시터 삽입으로 인한 차단기 TRV증가 문제에 해결방식으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라 생각된다.

      • 유전적 요인을 가지는 질병의 개인 및 가구요인에 대한 다수준분석의 의의 : 아토피피부염을 중심으로

        이재인 한국방송통신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7631

        서론 아토피 피부염은 알레르기 질환으로 유전적인 요인, 환경적인 요인, 면역학적 요인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발생하는 질환이다. 아토피 피부염의 발생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요소 중 하나는 유전성이다. 그렇지만 선행 연구들에서는 환자들이 모두 독립성을 따른다는 가정 하에 개별적으로 분석하여, 가정 구성원간의 상관성을 반영하지 못하였다.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의 경우에는 각 조사구 안에서 가구들이 내재되어 있고 가구 안에 개인들이 내재되어 있는 형태의 자료이다. 이러한 자료를 계층적 자료라고 한다. 계층적 자료 분석에 전통적인 통계모형을 사용한다면 자료의 구조로 인하여 연구결과의 편향이 생기게 되고 그 결과 타당성을 잃게 된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 한 집단에 속한 개인들 사이의 변동만 생각해왔던 기존의 회귀분석을 확장하여 한 모형 안에서 개인수준의 변수와 집단수준의 변수를 동시에 고려하는 다수준분석(multilevel analysis)이 쓰이고 있다. 연구목적 가구를 고려하는 다수준모형을 구축하여, 기존 연구에서 사용하였던 복합표본설계와 가중치를 반영한 로지스틱회귀분석과 비교하여 추정치 및 유의한 변수의 차이점을 알아보았다. 아토피피부염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들이 제5기와 제6기 조사에서 차이가 있는지를 확인하였다. 연구방법 국민건강영양조사 제5기(2010-2012), 제6기(2013-2015) 자료를 분석하였다. 개인수준(level 1)변수로 나이, 성별, 교육수준, 직업, 비만, 우울 또는 불안 경험유무를 활용하였다. 가구수준(level 2)변수로 행정지역(읍면/동), 가족구성원수, 가구소득을 활용하였다. 각 변수별 아토피피부염과의 연관성은 Rao-Scott Chi-Square test로 검정하였다. 다수준모형은 개인-가구 2수준으로 고려하였다. 모형은 가구의 랜덤효과(random effect)만을 고려한 model 1, 개인수준 변수를 추가 고려한 model 2, 가구수준 변수를 추가 고려한 model 3을 비교하였다. Proc surveylogistic을 통하여 복합표본설계와 가중치를 반영한 로지스틱회귀모형에서 각 변수의 추정값과 표준오차를 계산하고 유의한 변수를 확인하였다. 다수준모형의 최적 모형과 복합표본설계와 가중치를 반영한 로지스틱회귀분석의 추정치를 비교하였다. 또한 기수별로 유의한 변수와 추정치에 변화가 있는지 비교하였다. 결과 제5기 조사의 아토피피부염에 대한 다수준분석의 경우 나이, 교육수준, 우울 또는 불안 경험유무가 아토피피부염과 관련이 있었으며 나이가 증가할수록 아토피피부염 유병률은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p-value : <0.01). 교육수준은 고졸미만에 비해 고졸초과인 경우 아토피피부염 유병률이 증가하였으며(p-value : <0.05), 아토피피부염 환자에서 우울 또는 불안을 경험하는 비율이 높았다(p-value : <0.05). 로지스틱회귀분석에서는 나이만이 아토피피부염과 관련이 있었으며 나이가 증가할수록 아토피피부염 유병률은 감소하였다(p-value: <0.01). 제6기 조사의 아토피피부염에 대한 다수준분석의 경우 나이, 우울 또는 불안 경험유무, 성별, 가구원수가 아토피피부염과 관련이 있었으며 나이가 증가할수록 아토피피부염 유병률은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고(p-value : <0.01), 아토피피부염 환자에서 우울 또는 불안을 경험하는 비율이 높았다(p-value : <0.05). 가구원수가 4명이상인 경우 1명인 경우에 아토피피부염의 유병률이 낮았다(p-value : <0.05). 여성의 경우 남성에 비해 아토피피부염의 유병률이 낮았다(p-value:<0.01). 로지스틱회귀분석에서는 나이, 우울 또는 불안 경험유무, 가구원수가 아토피피부염과 관련이 있었으며 나이가 증가할수록 아토피피부염 유병률은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으며(p-value : <0.01), 아토피피부염 환자에서 우울 또는 불안을 경험하는 비율이 높았다(p-value : <0.01). 가구원수가 3명, 4명인 경우 1명인 경우에 비해 아토피피부염의 유병률이 낮았다(p-value : <0.05). 제5기와 제6기 조사를 비교해 보면 다수준분석에서 나이와 우울 또는 불안 경험유무는 두 기수에서 공통적으로 아토피피부염과 연관이 있는 변수로 확인되었다. 복합표본설계와 가중치를 반영한 로지스틱회귀분석에서는 나이만이 공통적으로 아토피피부염과 연관이 있는 변수로 확인되었다. 결론 유전적 경향으로 가구내 구성원의 상관성이 있는 아토피피부염에서 다수준분석은 복합표본설계와 가중치를 반영한 로지스틱회귀분석보다 유의한 변수를 찾아내는데 적합한 모형으로 생각되며, 조건부 가중치가 반영된 다수준분석은 보다 정확한 결과를 도출해 낼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아토피피부염은 나이가 증가할수록 유병률이 감소하였고, 아토피피부염 환자는 우울 또는 불안을 경험하는 비율이 더 높았다. 또한 아토피피부염 유병률은 남성이 여성보다 높았고, 학력이 높은 경우 유병률이 높았으며, 가구원수가 증가할수록 아토피피부염 유병률은 감소하였다.

      • A Study on the Voltage Analysis of Extruded Cable for HVDC System Via Simulation

        이재인 창원대학교 2023 국내박사

        RANK : 247631

        고전적인 LCC를 기반으로 하는 HVDC 시스템과 비교할 때 VSC-HVDC 시스템은 운영 유연성, 유효 및 무효전력의 독립제어, 블랙스타트, 전압반전 없는 전력 흐름의 방향 전환 등 다양한 장점을 가진다. VSC-HVDC는 MMC 기술을 도입하면서 고전압 및 손실의 한계를 극복하고 현재 시장에서 가장 선호되고 있다. 전압 반전을 사용하지 않기 때문에 압출형 케이블의 도입을 가능하게 하였다. 현재 압출형 케이블 시장은 XLPE 절연체를 사용하는 케이블이 지배하고 있지만 기계적, 전기적 특성 뿐만 아니라 재활용이 가능하여 경제적, 환경적 측면에서도 우수한 TP 케이블이 차세대 케이블로 각광 받고 있다. XLPE 케이블을 TP 케이블로 대체하기 위해서는 보다 다양한 측면에서 연구가 수행되어야 한다. 특히 XLPE와 마찬가지로 TP 케이블의 전계 강도, 손실, 온도, 허용 전류 용량 등의 분석은 CIGRE-852 기반 권장 테스트뿐만 아니라 과전압과 같은 작동 환경에서도 수행되어야 한다. 본 논문에서는 HVDC 시스템의 설계 파라미터 내의 다양한 요인을 고려하여 HVDC 시스템의 케이블이 경험하는 과전압을 분석하고 HVDC 시스템 설계 요소의 과전압 영향을 분석하였다. 또한 분석된 결과를 기반으로 XLPE 및 TP 절연을 사용하는 HVDC 케이블을 설계하였다. 설계된 케이블은 FEM 시뮬레이션을 통해 정상 상태 및 과도 상태에서 전계 분포, 열 안정성 및 허용 전류 용량 측면에서 비교 분석되었다. 비교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XLPE 기반 HVDC DC 전원 케이블 설계의 경험을 고려하여 열가소성 절연 기반 HVDC 케이블의 연구 방향을 제안하였다. 결과적으로 케이블의 절연 설계 및 시스템의 절연 협조 수행할 때 대상 시스템의 구성을 기반으로 발생 가능한 과전압 수준에 대한 통찰력을 얻을 수 있었다. 또한 제시된 시스템에서 TP 케이블은 XLPE 보다 높은 절연성능을 기반으로 보다 얇은 절연체 두께를 가질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최대 가용온도에서 더 높은 열저항에도 불구하고 더 높은 전류를 흘릴 수 있는 것을 확인하였다. XLPE와 TP 케이블의 비교를 통해 전계 분포, 열적 안정성을 고려한 설계 파라미터 선정 방법을 개선할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HVDC 시스템의 설계 및 절연협조를 구성할 때 사용될 수 있으며 TP 케이블 절연 설계에 도움이 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