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한국인 영어 학습자 및 영어 원어민 청자를 통한 영어 긴장 및 이완 모음에 대한 인지 연구:고모음을 중심으로

        이연우 서울시립대학교 2011 국내석사

        RANK : 1871

        The feature of tenseness is distinctive in English vowels but not in Korean vowels. This makes Korean students difficult to learn English tense and lax vowels. The purposes of this study are to investigate how correctly Korean learners can perceive English tense /i/, /u/ and lax vowels /ɪ/, /ʊ/, to observe how correctly Korean learners can pronounce them by carrying out the perception test of native listeners of English, and finally to find out the difficulties in perceiving and pronouncing them in Korean learners and to give them information for good pronunciation. This study carried out two kinds of the perception experiments. In Korean learners' perception experiment, 20 students in elementary school participated, and 16 words including /i/-/ɪ/ and /u/-/ʊ/ minimal pairs were chosen to be tested. The stimuli that native speaker of English had pronounced were recorded. Korean students were asked to choose one of the four choices on the worksheet while they were listening to the recordings. In English native speakers' perception experiment, the subjects were four Korean students in elementary school and ten native listeners of English working at elementary school. The same words were used as the stimuli. The stimuli that four students had pronounced were recorded. Native listeners of English were also asked to judge and to choose one of the four choices while they were listening to the recordings. The result of the first experiment shows that Korean learners perceived the back lax vowel /ʊ/ better than the other vowels /i/, /ɪ/, and /u/. The reason for that is the front vowels /i/ and /ɪ/ have three distinctive features ([+high], [+front], [±tense]), whereas the back vowels /u/ and /ʊ/ have a lip rounding feature as well as three distinctive features ([+low], [+back], [±tense]). It is likely that the lip rounding feature gave Korean students the additional cue to perceive the back vowels easier than the front vowels. In addition, Korean vowel /우/ requires the lip rounding and the tension less than /u/ when it is pronounced. Thus, Korean learners may think Korean vowel /우/ and the back lax vowel /ʊ/ have some similarities in pronouncing them. The result of the second experiment shows that native listeners perceived Korean learners pronounced the lax vowels /ɪ/, /ʊ/ better than the tense vowels /i/, /u/. F1, F2 values and vowel durations of tense and lax vowels were measured to confirm how Korean speakers had pronounced them, and then to compare them with those of native speakers of English. The results of formant frequencies show that there was no difference between the tense and lax vowels of Korean speakers. They produced tense and lax vowels in the nearly same area whereas Native speaker of English pronounced those vowels in two separate spots. The results of the vowel durations show Korean students pronounced tense vowels shorter than those of native speakers of English, whereas they pronounced lax vowels as short as those of native English speakers. Therefore, it is likely that the native speakers of English relied more on the vowel durations while they were identifying the lax vowels pronounced by Koreans speakers. On the other hand, Native speakers of English may have trouble in perceiving tense vowels due to incorrect formant frequencies and shorter durations of tense vowels. In conclusion, Korean students lacked an appropriate level of pronouncing and perceiving ability to discriminate between English tense and lax vowels. It is necessary that Korean students practice the correct movement of the lips, tongue, and jaw when they pronounce English tense and lax vowels understanding the differences of the vowel systems between Korean and English. 본 연구는 원어민과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하여 원어민이 발화한 긴장 모음 /i/, /ɪ/와 이완 모음 /u/,/ʊ/를 듣고 한국인 영어 학습자가 올바르게 구별하여 인지하는지를 관찰하고 또한 한국인 영어 학습자의 긴장 모음과 이완 모음의 발화가 올바른지를 원어민 인지 실험을 통하여 살펴봄으로써 한국인 영어 학습자가 겪고 있는 모음 발음상의 어려움을 파악하고 올바른 모음 발음 방법에 도움을 주고자 한다. 첫 번째 실험으로 한국인 영어 학습자가 원어민이 발화하는 긴장 모음 /i/,/u/와 이완 모음 /ɪ/,/ʊ/를 올바르게 구분하는지 알아보기 위하여 총 16개의 긴장 모음 /i/,/u/과 이완 모음 /ɪ/,/ʊ/이 포함된 최소 대립쌍 단어를 실험 단어로 초등학생 20명을 피실험자로 각각 선정하였다. 실험 방법으로서 한국인 영어 학습자는 원어민이 발화한 실험 대상 모음이 포함된 단어를 듣고 자신이 인지한 단어를 사전 제작된 4지 선다형 문항지에 표시하였다. 실험 결과를 살펴보면 전반적으로 한국인 영어 학습자 다른 실험 대상 모음에 비하여 후설 이완 모음 /ʊ/에 대한 인지가 높았다. 이에 대한 이유로서 후설 모음은 전설 모음과 비교하였을 때 원순성이라는 자질이 있어 한국인 영어 학습자가 전설 모음 보다 후설 모음을 더 쉽게 인지하였을 가능성이 있으며 한국어 /우/를 조음할 때 영어의 후설 긴장 모음 /u/ 만큼 입술을 둥글게 하고 긴장을 주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한국인 영어 학습자가 한국어 /우/가 이완 모음 /ʊ/와 유사하다고 생각하여 이를 더 쉽게 인지하였을 가능성이 있을 것이라고 보았다. 두 번째 실험으로 한국인 영어 학습자가 긴장 모음 /i/,/u/와 이완 모음 /ɪ/,/ʊ/를 올바르게 발화하는지 원어민의 인지 측면에서 알아보기 위해 한국인 영어 학습자 4명과 원어민 10명을 피실험자로 선정하여 실험하였다. 실험 방법으로 원어민은 한국인 영어 학습자가 발화한 실험 대상 모음이 포함된 단어를 듣고 자신이 인지한 단어를 4지 선다형 문항지에 표시하였다. 실험 결과를 살펴보면 원어민 인지 측면에서 한국인 학습자는 다른 모음에 비하여 이완 모음 /ɪ/,/ʊ/에 관한 발화를 올바르게 하였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그러나 F1값, F2값, 모음 길이를 살펴 본 결과 한국인 영어 학습자는 원어민의 것과 비교하여 볼 때 올바른 음가로 발화하지 않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으며 모음 길이의 경우 긴장 모음은 원어민의 것만큼 길게 발화하지 못하였지만 이완 모음은 원어민의 것만큼 짧게 발화하였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원어민 청자는 한국인 영어 학습자가 긴장 모음과 이완 모음을 제대로 된 음가로 발화하지 않았기 때문에 음가 대신에 음장을 단서로 하여 한국인 영어 학습자의 긴장 및 이완 모음의 발화를 인지하였을 것이라고 예상하였다. 한국인 영어 학습자가 발화한 이완 모음의 경우 모음 길이가 원어민의 것만큼 짧기 때문에 음장을 단서로 이완 모음을 인지할 수 있었으나 긴장 모음의 경우 음가뿐만 아니라 음장 또한 원어민의 것만큼 충분히 길지 않기 때문에 이완 모음 보다 인지에 있어서 어려움을 겪었을 것이라고 예상하였다. 현재 초등학교 3학년 때부터 영어를 배우고 있기는 하나 모국어 체계에 익숙해져 있는 한국인 영어 학습자에게 긴장 모음과 이완 모음을 올바르게 인지하고 발화하는 것은 어려운 일임을 알 수 있다. 따라서 한국인 영어 학습자에게 모국어 체계와 영어 모음 체계와 비교하면서 서로 간의 차이점을 알려 주어야 하고 올바른 조음 방법을 학습자 수준에 맞추어 정확히 설명해 주어야 할 것이다.

      • 웹툰 플랫폼의 글로벌 협업 연구 : -네이버웹툰과 DC코믹스의 ‘슈퍼캐스팅’ 사례를 중심으로

        이연우 세종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1855

        국내 웹툰과 웹툰 플랫폼은 인터넷과 모바일 스마트폰의 보급에 따라 대중성을 얻고 콘텐츠 산업의 중심이 되었다. 네이버웹툰은 국내에서의 성과를 바탕으로 미국 만화 시장으로 진출하며 웹툰의 인지도와 대중성을 확보하기 위해 다양한 시도를 하였다. 2021년 네이버웹툰은 1위 웹툰 플랫폼만이 글로벌 IP를 캐스팅한다는 의미와 함께 글로벌 출판사이자 엔터테인먼트인 DC코믹스, 하이브(HYBE)와의 협업 ‘슈퍼캐스팅’ 프로젝트를 발표한다. 네이버웹툰과 DC코믹스의 협업 ‘슈퍼캐스팅’ 프로젝트는 그래픽노블을 웹툰으로 편집하는 기존 협업형식이 아닌 DC코믹스 IP의 오리지널 스크롤 웹툰을 웹툰 플랫폼에 연재하는 형식으로 진행되었다. 대형 출판사이자 슈퍼IP를 가진 DC코믹스가 네이버웹툰과 협업하여 웹툰 오리지널 콘텐츠를 제작한 사례는 최초의 시도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슈퍼캐스팅’의 협업 배경과 요인을 분석하고, ‘슈퍼캐스팅’ 협업모델이 어떻게 구성되었으며 기존 슈퍼히어로IP와 웹툰 플랫폼의 협업모델 등이 어떠한 차별화 과정을 통해 이루어졌는지 연구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어 이러한 협업모델이 웹툰 플랫폼의 테스트베드(test-bed) 특성에서 어떻게 적용되는지 예시를 제시했다. 본 연구는 산업조직론에서 제시하는 기업의 구조(Structure), 행위(Conduct) 및 성과(Performance)의 S-C-P 분석 모형을 기반으로, 웹툰 플랫폼의 협업 ‘슈퍼캐스팅’을 연구하기 위한 분석 모형을 구성하였다. 분석 모형의 구조, 행위, 성과의 측면으로 웹툰 플랫폼의 글로벌 협업인 ‘슈퍼캐스팅’을 분석을 진행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시장구조에 기반한 분석으로는, DC코믹스의 역사적 배경과 COVID-19에 의한 상황이 DC코믹스의 웹툰 시장 진출을 가속화 시켰으며, 기업규모와 이용자 수, 분포에 있어 1위이자 독과점의 형태를 나타내는 네이버웹툰과의 협업 형태로 진행되었다. 협업은 경쟁력과 기존의 마케팅 협업 방식과는 제품 차별화를 주기위하여 오리지널 웹툰 콘텐츠로 기획되었다. 협업에 있어 리스크를 줄이고 보장된 수익을 얻기 위해 IP결합 전략을 활용하였다. 이러한 제품차별화는 행위에 있어 웹툰 시장과 특징을 분석하고 성공한 산업모델을 선택하는 연구개발을 바탕으로 진행되었으며 DC코믹스와 네이버웹툰은 광고로 이를 강조하였다. 협업모델의 성과는 대중성의 실험과 확대, 팬덤과 이용자 상호 유입, IP 확보 및 확장 등으로 나타났다. 이어 ‘슈퍼캐스팅’ 협업모델이 오리지널 웹툰으로 기획되고 제작되면서 웹툰의 일반적인 특징이 나타남을 도출하였다. 웹과 모바일에 최적화 된 스크롤 구성, 도상적이고 간결한 표현의 작화 그리고 캐릭터 중심 스토리텔링 등이 협업모델에 나타났다. 웹툰 플랫폼에서의 ‘슈퍼캐스팅’ 협업모델들은 요일 무료 공개, ‘미리보기’ 부분유료결제 등 웹툰 산업모델에 의해 높은 접근성을 가지고 이용자를 확보하였으며 팬덤과 친화적인 서비스로 이용자들이 협업 웹툰에 대해 소통하고 상호작용 할 수 있도록 했다. 또한 협업모델들이 서로 연계되고 OSMU로의 확장 가능성을 가지면서, 웹툰 플랫폼은 새로운 트랜스미디어로의 원천이자 입구임을 입증하였다. 본 연구는 네이버웹툰과 DC코믹스의 협업인 ‘슈퍼캐스팅’의 사례를 분석하며, ‘슈퍼캐스팅’의 상호 협력적 도입 요인과 협업모델에서 나타나는 글로벌 테스트베드 웹툰 플랫폼의 특성을 도출했다는 점에서 의의를 갖는다. ‘슈퍼캐스팅’ 협업이 지속적으로 진행되며 협업모델이 제시됨에 따라, 글로벌 만화 시장으로 진출한 웹툰 플랫폼들이 이후로 다양한 기업들과 협업할 가능성은 높아졌다. 본 연구에서 제시한 결과가 이후 웹툰 플랫폼의 협업을 연구하는 후속연구에 도움이 되기를 기대한다.

      • 성층권 통신망 구축을 위한 무선 광전송 시스템 설계

        이연우 연세대학교 공학대학원 2002 국내석사

        RANK : 1855

        본 논문에서는 위성 통신의 장점을 살리면서 지상 이동통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차세대 무선통신 인프라로 최근에 연구되고 있는 성층권 통신 시스템에서 성층권 내의 비행선간 통신 효율을 증대시키기 위한 방안으로 성층권 무선 광전송 시스템을 설계하였다. 성층권 무선 광전송 시스템은 지상 20Km 상공에서 기존의 RF를 이용한 마이크로파통신이 지닌 주파수대역의 부족과 시스템간의 RF간섭 등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 무선의 장점과 유선 광통신의 장점을 모두 보유한 무선 광 network을 제공한다. 성층권 내에서 효율적인 무선 광전송 시스템을 설계하기 위해서는 사용되는 레이저빔의 발산각, 수광부 레이저의 렌즈 크기, 기하학적 퍼점 손실, 대기 및 장비의 손실 등을 고려해야 한다. 이 요소들 중 기하학적 퍼짐 손실을 제외한 다른 요소 및 손실의 특성은 거의 일정하며, 기하학적 퍼짐 손실에 비해 크기도 작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우리나라의 지형과 인구분포 등을 고려한 성층권 통신망을 구축하고자 레이저 출력, 빔의 발산각, 기하학적 퍼짐 손실 및 비행선간 거리등을 이용하여 최적의 성층권 내 무선 광전송 시스템을 설계하였다. 국내 환경을 고려한 최적의 비행선 수를 25기로 가정할 때 최소 56Km, 최고 100Km의 비행선간 무선 광전송 시스템 구축이 필요하게 되며, 이를 위해서는 레이저 빔 각이 1mrad이내, 수광부 렌즈의 크기는 14"이상이 요구된다. 이 경우 송수신 거리가 100Km일 때 레이저빔의 기하학적 퍼짐 손실은 49.12dB로서 기타손실 및 여유 마진 등을 고려하면 최소한 857mW의 송신 출력이 필요하게 된다. 따라서 현재 상용화가 가능한 1W 출력의 레이저를 사용하여 충분히 성층권내의 비행선간 무선 광전송 시스템을 구축할 수 있다. 그러나 비행선 간 거리가 장거리이기 때문에 비행선의 작은 움직임이 중요한 손실 요인이 된다. 따라서 레이저 빔 송수신시 정확한 자동 추적능력이 요구되며, 유선광 통신에서의 WDM과 광증폭기(EDFA)등을 보강하면 80Gbps의 초고속 대용량 통신은 구현할 수 있다. This thesis constructs a wireless optical communication system for stratospheric communication links that solves problems observed in a satellite communication and a ground transportable communication system through an increase of an efficiency of flying time within a stratosphere. The Stratospheric communication system supplies a optical network that contains positive aspects of a wireless and cable-optical communication network in order to solve problems generated through a lack of frequency band in microwave communication using a generic RF signals and a RF interference within the system. In order to construct an efficient wireless optical communication system, an angle, size of a laser beam, geometrical diffusion, as well as problems in equipments should be considered. Defects generated through these elements are relatively small except for the geometrical diffusion which dominates in the system loss. Therefore this thesis mastered out the optimal wireless optical communication system within stratosphere for our nation's geographical and populational characteristics which manipulates the intensity of laser, geometrical diffusion, and the distance traveled in air. If the optimal number of aircraft is 25 for the nation, a distance between each aircraft spreads from 56km to 100km for the wireless optical communication system. In order to compensate this, a laser angle within the range of 1mrad, and the size of a receiving lens greater than 14″is required. At a communication distance of 100km, geometrical diffusion is 49.12dB of a laser beam and thus, maximum of 857mW is required to send out a signal. Therefore, the wireless optical communication system between airbases in stratosphere can be implemented with the commercialized laser which has the output power of 1W. But, since the distance between the airbases is far, even a small movement of the aircraft can act as a fatal source of a problem. Therefore, an automatic tracking ability is required during the laser shoot-out, thus, if WDM and EDFA in a wired optical communication is adopted, one can generate a supersized and high velocity communication can be implemented.

      • EDB를 활용한 도면관리시스템 설계 및 구현

        이연우 전남대학교 대학원 2000 국내석사

        RANK : 1855

        도면관리시스템은 설계자에 의해 작성된 도면을 서버에 등록하여 관리함으로써 도면검토 및 승인, 설계 변경과 관련하여 발생하는 업무의 처리를 자동화하고 도면의 변경이력을 체계적으로 관리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논문은 네트워크상의 공동 작업 환경에서 도면을 관리하고 도면상의 정보를 활용하기 위한 시스템의 설계 및 구현에 대해 다루고 있다. 구현 단계에서는 먼저 도면관리 업무를 분석 절차에 따라 분석하고, 분석된 자료를 바탕으로 GUI 인터페이스를 작성하였다. 설계 업무 분석을 위한 모델링 Tool로 ARIS를 사용하였고, 도면관리시스템은 Windows NT Client/Server 네트워크 환경에서 제작하였으며, MS SQL Server(DBMS)와 Visual Basic을 사용하여 구현하였다. 또한, 이 모듈을 산업용 ERP 패키지에 삽입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DB의 통합을 시도하였다. Drawing Management System is object to manage the drawing history and automate the processing of the drawing examination, approval and engineering change. This paper deals with the design and development of the system to use Engineering Database in the multi-user environment of the network. First, analyzed the general design process use ARIS(Architecture of Integrated Information System) methodology and designed the GUI interface to develop the Drawing Management System in client/server environment. In this paper used the ARIS as a modeling tool and Drawing Management System is implemented using MS SQL Server(DBMS) and windows application programming, visual Basic, visual Basic for application in the Windows NT network environment. In order to add and use as a module in the ERP package, attempted the integration of the database.

      • ATSC 8VSB DTV 수신 성능 개선을 위한 적응형 블록 채널 등화 기법에 관한 연구

        이연우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1855

        국내 지상파 디지털 TV 방송 표준으로 채택하고 있는 ATSC(Advanced Television System Committee) 8VSB(8-level Vestigial Side Band) 방식은 채널환경이 양호한 경우 LMS(Least Mean Squaer) 알고리즘이 가지는 간단한 구조와 우수한 Tracking 특성을 통해 뛰어난 등화 성능을 보이나, 동적 다중 경로 채널 환경 및 긴 지연 확산을 가지는 정적 다중 경로 채널 환경에서는 상당한 수신 성능의 열화를 보인다. 특히 디지털 지상파 TV는 훈련열 신호에 비해 약 312배의 긴 데이터열을 가지므로 훈련열 신호 구간에서 등화기가 수렴치 못한 경우 많은 데이터의 손실이 발생하게 된다. 본 논문에서는 다중경로 수신 환경에서 기존의 LMS 알고리즘과 Kalman & LMS DFE(Decision Feedback Equalizer)[11]의 등화 성능을 개선하기 위해서 적응형 블록 등화 알고리즘을 제안한다. 한 심볼마다 한번씩 탭 계수 업데이트가 발생하는 LMS 등화기와 달리 블록 등화기는 한 블록마다 한번씩 탭 계수가 업데이트 되므로 빠른 수렴 특성을 보이나 블록 길이가 필터의 탭 개수보다 클 경우 중복 연산으로 인한 수렴 속도 지연이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수렴 속도 지연을 방지하고 실수 신호 뿐 아니라 복소 입력 신호에도 사용이 가능한 블록 등화 알고리즘을 제안한다. 또한 제안된 적응형 블록 등화 알고리즘이 데이터 구간에서 보다 안정적으로 채널을 추정할 수 있도록 traceback 길이가 1인 간단한 트렐리스 디코더(STD: Simplified Trellis Decoder)를 제안한다. STD는 트렐리스 디코더로 인한 등화 지연을 야기 시키지 않으며, 데이터 구간에서 우수한 tracking 특성을 보인다. 또한 본 논문에서는 ATTC(Advanced Television Technology Center)[16] 및 Brazilian Lab 테스트[17]에서 사용된 지상파 DTV 방송의 다중경로 채널에서 ATSC 8VSB DTV 시스템의 LMS DFE, LMS, Kalman/LMS DFE와 적응형 블록 등화 알고리즘의 수신 등화 성능을 비교 분석하였다. 전산 모의 실험 결과 ATTC 채널의 긴 지연을 가지는 포스트 에코를 추정하기 위해 FFF를 64탭으로, FBF는 200탭으로 전산모의 실험을 진행하여 ATTC A와 D 채널에서 모든 등화기가 수렴하지만, 제안된 등화기가 MSE(Mean Square Error) 측면에서 가장 우수한 성능을 보였다. 브라질 B채널에서 LMS DFE는 발산하지만 Kalman/LMS DFE와 제안한 등화기는 수렴점을 찾았다. 그러나 다중경로 환경이 열악한 브라질 C 및 D 채널에서는 훈련열 신호 구간에서는 수렴하다가 데이터 구간에서 서서히 발산하는 경향을 보였으나 제안된 등화기의 수렴 성능이 가장 우수함을 알 수 있다. 브라질 E 채널에서 역시 제안된 등화기가 가장 우수한 채널 추정 성능을 보였다. 본 논문에서 제안한 적응형 블록 채널 등화 알고리즘은 ATSC 8VSB DTV의 다중경로 채널 환경에서 수신 성능 개선을 위한 채널 등화 기술로서 사용이 기대되며, 다중 경로 환경이 비교적 열악한 경우 데이터 열 구간에서 발산하는 현상을 방지하기 위해 블라인드 검출 알고리즘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ATSC 8VSB terrestrial digital TV system is performed equalization by using LMS(Least Mean Square) DFE(Decision Feedback Equalizer). Despite of its simple structure and good tracking ability, LMS DFE shows poor performance in multi-path fading channel which has slowly varying dynamic ghosts and long delay echo. The transmitted data field of 8-VSB DTV signal consists of 1 field segment and 312 data segments. And each segment consists of 832 symbols. In this structure, an equalizer is required to estimate tap coefficients rapidly and accurately in a short training period not to loose long data signals. In this paper, an adaptive block equalization algorithm is proposed to enhance the convergence performance of LMS DFE as well as Kalman/LMS DFE. Also, the proposed algorithm is combined with STD(Simplified Trellis decoder), which has 1 traceback length, is proposed to preserve stability and tracking properties in decision-directed mode. The results are simulated by comparing with LMS DFE, Kalman/LMS DFE and proposed adaptive block equalization algorithm in multipath channel environment such as ATTC A, D channel and Brazil B through E. To investigate the performance of STD(Simplified Trellis Decoder), the STD algorithm is combined with LMS DFE, Kalman/LMS DFE and proposed adaptive block equalization algorithm, respectively. The results show that all of the equalizers can estimate channel successfully in ATTC A and D channels. But LMS DFE can't estimate channel in Brazil B, C, D and E channels. Also Kalman/LMS DFE shows that it estimate channel in Brazil B channel, and it can converge in training sequence(TS) mode, but diverges in decision-directed(DD) mode in Brazil C, D and E channels. And proposed adaptive block equalization algorithm shows better channel tracking performance than LMS DFE and Kalman/LMS DFE. Also, the results of equalizers combined with STD algorithm show more stable channel tracking characteristics than the one without STD. It is expected that the propesed adaptive block equalization algorithm with STD will improve the performance of signal, distorted by multipath channel, equalization for ATSC 8VSB DTV.

      • 우리나라 國立公園管理에 관한 硏究

        이연우 建國大學校 行政大學院 1998 국내석사

        RANK : 1855

        국립공원의 지정이념은 국가를 대표하는 수려한 자연풍경지를 보호하여 당대의 이용과 함께 대대손손 자손에게까지 계승시킴으로서 그 이용이 지속 가능하도록 보존하고자 하는데 있기 때문에 공원의 관리는 이념상 강제적이기 보다는 계도적으로 이루어져야 하나, 우리의 현실은 강제적인 규제 위주의 관리를 강화하지 않으면 원형의 유지와 보전이 어려운 상황에까지 와 있음에도 국립공원 관리정책은 분명한 기조를 정하지 못한 채 사회여건의 변화에 따라 적당히 순응하면서 오늘에 이르렀다고 해도 지나침이 없을 만큼 짧은 역사속에서 많은 변화가 있어 왔다. 따라서 이제는 분명한 管理目標를 정책적으로 확립하여 보다 효율적인 관리를 할 수 있도록 제도적 장치를 더 늦기 전에 마련하고 강화해야 할 것이다. 국립공원의 관리개선을 위하여 여러 가지 대안이 제시될 수 있을 것이나 앞에서 제기된 분야별 과제를 중심으로 몇가지 發展的 改善方案을 제시하고자 한다. 1. 管理目標의 確立 현재 자연공원의 관리체제는 道立公園과 郡立公園까지도 국립공원과 같은 범주안에서 다루어 지도록 法制化하고 있으나 이용면에서 국립공원이 받고 있는 압력을 완화 시킬 수 있도록 자연공원의 格에 따라 기능과 역할을 분담시켜야 하며, 역할에 알맞도록 공원계획을 재정비하여 국립공원은 그 生態的 自然景觀이 보전되도록 시설계획을 대폭 축소시킴과 아울러 이용의 한계를 설정, 계획적 측면에서 이용객의 부담율을 크게 줄이는 등의 조치를 통하여 管理目標를 保存優位에 두도록 하여야 한다. 2. 管理體制의 强化 지금과 같은 국립공원 관리체계는 국가직접관리체제의 구축이라는 1986년 법개정시의 입법취지를 살리기도 어려울 뿐만 아니라 정책목표를 구현할 수도 없다. 공원관리의 실질적인 주체가 되는 국립공원관리공단은 官도 民도 아닌 그 地位的 脆弱性과 민간인 신분의 구성원으로는 중앙정부, 지방자치단체, 국민 모두에게서 公園管理廳으로서 합당한 지위와 권한을 부여받지 못하고 있기 때문에 구조적 한계를 극복하고 전문관리를 위하여 공단을 국가기관화 하고 직원은 전문직(별정직) 공무원이 되도록 관리체제를 근본적으로 재검토 강화 되어야 한다. 3. 關聯法令의 改正 및 制定 시대적 상황변화를 능동적으로 수용할 수 있도록 자연공원법을 대폭 개정하여 자연공원의 기능을 재정립하고 국립공원관리에 있어서는 자연공원법이 배타적 우위에서 적용되도록 사실상 단일법제화 하여야 하며, 用途地區를 재검토, 국립공원에서는 集團旅設地區 개념을 없애고 용도지구를 더욱 세분하는 한편, 설치 가능한 시설의 종류와 규모를 제한하는 등 許容行爲 範圍를 축소시키고 위법행위에 대한 벌칙을 크게 강화하여 국립공원이 사회적인 遵法 示範地가 되도록 한다. 또한, 公園警察 制度를 도입할 수 있도록 警察法上 警科를 신설하여 公園警察로 하여금 司法的 業務 및 安全業務를 전담토록 한다. 그리고, 국립공원내 모든 토지의 국유화를 통한 재산권 관련 민원을 해소하기 위하여 사유지 등의 買入 財源을 마련하고 공공성과 수익성을 동시에 추구할 수 있는 사업재원을 확보하는 한편, 장차 入場料징수의 폐지에 대비하여, 국립공원관리에 필요한 항구적 재정 자립기반 구축을 위하여 "國立公園基金法"을 제정하여야 한다. 4. 弘報 및 利用敎育 공원자원의 보호는 이용객인 국민의 관심과 협조가 절대적이므로 교육적 의미가 함축된 계도와 홍보 캠페인이 공영방송등 매스컴을 통하여 지속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관계기관의 정책적 관심과 지원이 있어야 한다. 아울러 유아기부터의 사회교육 및 학교교육을 통하여 자연생태계를 관리하고 공원을 이용하는데 필요한 체계적 교육이 실시될 수 있도록 해야한다. 5. 公園의 特性別 管理 20개 국립공원을 자원과 지형, 위치, 계절별 특징, 탐방객의 이용성향 등으로 각각의 특성을 찾아 구분하고, 공원별로 그 특성에 알맞는 관리 방법을 강구하여 관리되도록 하여야 한다. 현재와 같이 어느 국립공원에나 획일화되어 있는 입장료의 단일요금체계는 불합리하다. 따라서 공원별 이용한계의 설정작업과 아울러 합리적이고 적정한 입장료를 산정하여 공원별, 지역별, 계절별로 차등 징수하여야 한다. 또 입장료징수에 대하여 언제까지 징수할 것인지 또는 폐지할 것인지 검토하여 이에 대한 대책을 수립하고, 국민의 이해를 구하도록 해야 한다. 6. 公園計劃의 再整備 旣定 公園計劃은 전면적으로 재정비되어야 하므로 현재 진행종인 공원계획의 재정비는 새로운 관리목표의 정립과 법령의 개정을 통한 제도적 보완이 끝날 때까지 공원관리상 극히 필요한 公共施設의 설치를 제외한 부분적인 변경까지를 포함하여 일절 중지되어야 한다. 아울러 새로운 제도에 의하여 공원계획을 재정비할 경우는 반드시 학술적인 검토와 분석이 병행되도록 제도화하여 '都市計劃的'인 공원계획이 수립되지 않도록 하여야 한다. 그리고, 국립공원의 합리적 관리를 위해서는 그 기능과 역할면에서의 이용체계가 공원의 보호관리 기조를 유지할 수 있도록 반드시 全國計劃인 國土建設綜合計劃 및 國土利用計劃에서 검토되어 상호 조화를 이루도록 하여야 한다. 특히 관광부문의 전국계획과 관련 국립공원의 이용한계가 명백히 반영되도록 계획적 상관성이 면밀히 검토되어야 한다. 즉 모든 관광기능이 복합된 이용객 집중장소가 아니라 자연친화적인 탐방활동 범위안에서만 이용되도록 국립공원의 역할이 조정되어야 한다. 7. 探訪案內所(Visitor Center)의 확충 모든 국립공원에 안내소를 설치하여 공원이용에 필요한 정보를 제공하고, 자연학습의 기회와 장소로 이용될 수 있도록 다양한 시설과 자료, 규모를 갖추어야 한다. 8. 硏究所의 設置 公園資源의 조사·연구에서부터 이용과 관리에 필요한 제반사항을 지속적이고 체계적으로 연구·교육·발전시킬 수 있도록 公園管理廳 附設 硏究所를 조속히 설치하여야 한다.

      • 초등학교 6학년과 중학교 1학년 국어 교과서의 사고도구어 비교 연구 : 7차 교육과정을 중심으로

        이연우 가톨릭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1855

        논 문 개 요 본 연구는 초등학교 6학년 1학기, 6학년 2학기 『읽기』 교과서와 중학교 1학년 1학기 『국어』 교과서에 있는 ‘사고도구어 목록’을 조사하여 각 학기에 따른 사고도구어의 등급별, 범주별 실태와 변화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설정된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초등학교 6학년 1학기, 6학년 2학기 읽기 교과서와 중학교 1학년 1학기 국어 교과서의 읽기 지문 속에 등장하는 사고도구어의 현황은 어떠한가? 이에 따른 하위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각 학기별 교과서에 사용된 사고도구어의 등급별, 범주별 현황에는 어떠한 차이가 있는가? 둘째, 6학년 1학기와 6학년 2학기 교과서에 사용된 사고도구어는 등급별, 범주별로 어떠한 차이가 있는가? 셋째, 6학년 2학기와 중학교 1학년 1학기 교과서에 사용된 사고도구어는 등급별, 범주별로 어떠한 차이가 있는가? 연구 문제를 수행하기 위하여 선정한 기준은 신명선(2004)의 ‘사고도구어 목록’이다. 이를 통하여 학기별 어휘들을 등급별, 범주별로 분류한 후, 이를 다시 3개 학기 전체에 사용된 사고도구어 목록, 초등학교 6학년 1학기와 초등학교 6학년 2학기에 사용된 사고도구어 목록, 초등학교 6학년 2학기와 중학교 1학년 1학기에 사용된 사고도구어 목록으로 나누어 학기에 따른 어휘 변화를 파악하고 분석하였다. 연구를 통하여 얻은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중학교 1학년 1학기 『국어』교과서에 나타난 사고도구어의 양보다 초등학교 6학년 2학기『읽기』교과서에 나타난 사고도구어의 양이 더 많다는 것이 확인되었다. 둘째, 중학교 1학년 1학기 『국어』교과서에 나타난 사고도구어의 어휘 수준 보다 초등학교 6학년 2학기『읽기』교과서에 나타난 사고도구어의 어휘 수준이 더 높다는 것이 확인되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통하여 현 교육과정의 국어 교과서의 사고도구어가 학년이 올라 갈수록 체계적으로 증가하지 않아 교육의 단계별 수준 변화의 일관성이 떨어진다는 것을 알 수 있다. 향후 이러한 점을 보완하여 교과서의 개발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 한자어를 활용한 생활중국어 교수-학습지도방안

        이연우 숙명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1855

        본 논문은 한자학습이 중국어 교육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는 것이다. 한자수업과 중국어 수업은 한자를 쓴다는 공통점이 있지만, 학생들은 한자에 대해 많은 거부감을 가지고 어려움을 겪고 있다. 한국에서 한자를 쓴다는 것은 생소한 일이 아니다. 하지만 많은 부분을 차지하고 있는 한자의 제대로 된 의미를 알지 못하고 사용하는 것을 자주 볼 수 있다. 본 논문에서 살펴보고자 하는 내용은 학습자가 좀 더 한자를 쉽게 접하여 중국어 수업시간에 많은 도움을 줄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논문은 총 세부분으로 나뉘어져 있다. 서론의 주요내용은 연구목적·연구방법과내용을 살펴보도록 한다. 본론은 크게 두 부분으로 나뉘어져 있다. 첫 번째 내용은 한자어 이론적 배경을 알아보는 것이다. 두 번째 내용은 한자 학습과 중국어 학습의 필요성에 대해 살펴본다. 한자학습과의 필요성과 한자 학습이 중국어 학습의 연관성을 알아보고, 동형동의어·동형이의어·이형동의어를 비교해 보는 것이다. 세 번째 내용은 교육지도 방안을 통해 효과적인 지도방안을 통하여 효율적인 교수방법을 알아보는 것이다. 마지막 결론에서는 본 연구의 총체적인 내용을 요약하여 마무리 하는 것으로 하였다. 在世界上使用汉语的人口占的比例最多,汉语是世界共同语之一。所以學習漢語很重要。漢字是漢語學習的基礎。本论文的研究目的是在学校上學生汉语时,将如何利用学习汉语时的一大难学汉字这个问题, 而不是用古老的方式反复书写和死记硬背来解决。在學習漢語中,很重要导出學生的觀心和興起。 本研究为了提高汉语的学习效率,研究有效的汉字教学法以通过对部首的教育为基础,试用了中学教材汉字分析.运用此分析,设计了汉字教育指导方案。 本论文将以以下形式进行研究。 第一章, 将阐述本论文的研究动机及目的,硏究方法和內容。 第二章, 关于漢字和漢字語的槪念和敎育必要性。 第三章,把汉字词分为同形同義語,同形異义语,异形同义语的词汇分类比較。 第四章, 活用漢字生活中國語敎學-學習指導方案。 最后总结論文, 将阐述本论文的结论, 并指出本项研究所取得的成果。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