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셀 커버리지 확장 및 처리량 향상을 위한 유전자 알고리즘 기반 릴레이 스테이션 최적 위치 선정 기법

        이솔이 충북대학교 2018 국내석사

        RANK : 1855

        IEEE 802.16j 릴레이 시스템에서 RS (Relay Station)는 무선으로 BS (Base Station)와 MS (Mobile Station) 사이에 설치되어 BS의 신호를 MS에 포워드하여 셀 내에서 셀 영역 확장과 처리량 향상을 위하여 설치된다. RS는 저비용 infrastructure이며 증가하는 네트워크 트래픽에 대처하고 셀 영역을 확장시키기 위한 대안으로 제시된다. 셀 내에서 RS가 설치된 위치에 따라 셀 내에 위치한 MS, 특히 셀 경계에 위치한 MS들의 SINR (Signal to Interference Noise Ratio)과 throughput이 달라진다. 따라서 RS의 위치를 결정하는 것이 중요한 이슈이다. 논문에서는 RS의 위치를 결정하는 방법으로 전역 최적화 방법 중 하나인 GA (Genetic Algorithm)를 이용한 기법을 제안한다. 실제 셀룰러 환경에서 유저들은 지역 내에 균일하게 분포하여있지 않다. 따라서 두 가지 유저 분포 시나리오를 선택하고 제안하는 방법을 통하여 throughput을 최대화하고 셀 영역을 확장시킬 수 있는 RS의 위치를 결정한다. 그리고 시뮬레이션을 통한 성능 평가 및 분석을 통하여 제안하는 방법으로 결정된 위치에 설치된 RS가 셀 영역을 확장시키고 처리량을 향상시키는 것을 확인하였다. In IEEE 802.16j Relay system, RS (Relay Station) is installed between BS (Base Station) and MS (Mobile Station) link without wired backhaul and forward signal from BS to MS for cell coverage extension and throughput enhancement. RS is low-cost infrastructure, and one of the techniques proposed to deal with increasing network traffic and cell coverage extension. Depending on the RS location in the cell, SINRs (Signal to Interference Noise Ratio) of cell edge MSs and entire throughput are changed. So, finding location of RS is vital issue. In this paper, We propose RS location deciding scheme using GA (Genetic Algorithm) that is one of the global optimization scheme proposed by john holland. In the real world, Users are not distributed uniformly in the cell. So we select various user distribution scenario and determine RS location for throughput enhancement and cell coverage extension in user distribution scenario through proposed scheme. And we conduct simulation and performance evaluation to check if RS location that is determined by proposed scheme can extend cell coverage and maximize throughput enhancement.

      • 혼성 아카펠라 편곡 기법 연구 : "The real group"의 <I sing, you sing>, <Words>를 중심으로

        이솔이 경희대학교 아트퓨전디자인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1855

        현대의 대중음악에서는 새로운 소재에 대한 갈망의 일환으로 기악 편곡의 중요성을 강조하는 편곡 사례들이 점차 증가하고 있다. 그러나 기악 편곡으로는 표현할 수 없는 다양한 음향을 용이하게 구현할 수 있는 방법이 바로 보컬 편곡이다. 그리하여 본 논문에서는 기악 편성 없이 사람의 목소리만으로 이루어진 아카펠라 곡의 분석을 통하여 보컬 편곡에서 취할 수 있는 편곡 기법의 특징에 대하여 연구하고자 하였다. 특히, 성부 구성의 다양화를 꾀할 수 있다는 점에서 혼성 아카펠라 편성의 경우를 연구 범위로 선정하였으며, 영상음악과 내한공연 등을 통하여 국내 대중에게도 친숙한 The real group의 <I sing, you sing>, <Words>를 연구 대상으로 구체화하여 분석한 결과, 일련의 편곡 기법 형태에 대해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연구 대상 이외의 작품에서 분석 내용이 활용된 경우를 예시하여 이러한 편곡 기법의 대표성을 도출하게 되었다. 본론에서는 우선 The real group에 대한 간략한 개요와 연구 대상의 음악적 구조 및 형식에 대하여 선행 연구를 거친 후, 특정한 편곡 기법이 두드러진 부분을 사례로 들어 분석 내용을 제시하였으며, 각 부분의 화성 진행을 분석하여 편곡 기법의 설명 이후에 첨부하였다. 구체적인 분석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 번째 편곡 기법은 성부 간의 유사 진행이다. 이것은 모든 성부가 선율적, 화성적 기능을 동시에 수반하는 기법으로, 주선율을 강조하면서도 풍성한 Voicing을 유지할 수 있는 효과적인 기법이다. 복잡한 이론적 계산 없이도 활용할 수 있으므로 일반적인 보컬 편곡에서도 가장 흔하게 쓰이는 기법 중 하나이다. 두 번째 편곡 기법은 대위법적 합창이다. 대선율을 맡은 성부들은 소극적인 선율 진행을 통해 화성적 기능을 수행하며 주선율의 선율적 기능을 강화하게 된다. 대선율을 담당하는 성부가 주선율과는 다른 가사를 사용하여 독특한 효과를 주는 경우도 있다. 세 번째 편곡 기법은 성부 편성의 다양화를 통한 것이다. 성부의 축소 및 확대는 악기의 도움 없이도 다양한 음악적 흐름을 표현할 수 있는 중요한 기능을 실현한다. 특히 연구 대상이 혼성 아카펠라라는 점에서, 여성 성부와 남성 성부의 배치 변화를 통해 색다른 음향적 효과를 실현할 수 있다는 것 역시 확인할 수 있었다. 클래식의 합창 연구를 제외하면 보컬 편곡의 연구 사례는 거의 전무한 실정이다. 그러나 3도 구성만으로 단순화되어가는 오늘날 보컬 편곡의 추세로는 새로운 음악을 원하는 대중의 욕구를 충족시키기 어려워질 것이라는 것을 인지해야 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본 논문이 다채로운 보컬 편곡을 통하여 음악적 지평을 넓힐 수 있음을 인식하는 계기가 될 수 있기를 바라며, 아카펠라 뿐 아니라 다양한 보컬 편곡의 연구가 계속될 수 있기를 기대해 본다. A growing number of instrumental arrangement cases are found in popular music these days. These examples put emphasis on the arrangement techniques and are to search for new materials. However, the instrumental arrangement has its own limit in expressing various sound. Thus, it is the vocal arrangement to replace it. As I understand the limited functions of instrumental arrangement, therefore, I intend to study on the features of vocal arrangement by analyzing a cappella which has no instrumental effect and solely focus on vocal. I have chosen a mixed a cappella formation for its various possibilities of part formation. I have analyzed <I sing, you sing> and <Words> of 'The real group' and found out the serial form of arrangement techniques. To justify my argument, I have included extra cases which are performed with aforementioned arrangement techniques. In the main part of this thesis, I have made a brief introduction of 'The real group.' I have reviewed its musical form and structure and analyzed the special arrangement technique. In addition, I have made special analysis on the harmonic progression of each part. The arrangement techniques of this thesis are as follows; First, it is the arrangement technique of similar motion among different parts. This technique is to effectively function the melodic and harmonic aspects and emphasizes on the main melody and keeps on the rich voicing. It is one of the most frequently utilized techniques for its practical use without complex consideration of the theory. Second arrangement technique is the chorus of the counterpoint. Parts with counter line come to perform the harmonic function with passive melody and strengthen the melodic function of main melody. Sometimes, parts of counter line can make unique effectiveness by using other lyrics with main melody. Thirdly, diversification of part formation is one of the arrangement techniques. It is the reduction and extension of the parts to express the various musical flow without musical instruments. As my study objective is the mixed a cappella, I am convinced to say that it is possible to realize the unusual sound by different arrangements of female and male parts. Study on the vocal arrangement is rarely found except the classic choral cases. However, it is critical to understand that it is very difficult to fulfill the public desire for new music only with today's simple vocal arrangement constructed by Third degree interval. With this understanding, I wish this thesis serves as a momentum of recognizing the importance of colorful vocal arrangement and expect the further study not only on a cappella but the various vocal arrangement.

      • 부착조건에 따른 나노입자부착물 미세구조의 변화에 관한 실험적연구

        이솔이 부산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1855

        본 연구에는 Co와 Ag의 금속 나노입자, Nacl 무기질 나노입자를 형성시키고 대전시켜, 입자크기와 오리피스의 크기, 부착챔버에 거는 전압, 포집하는 기판의 종류를 달리해 구조물을 만들었다. 나노입자의 부착속도와 전기장에 영향에 따라 달라지는 나노입자부착물의 다공성과 포집률에 대한 현상을 관찰하고자 하였다. 이를 검증하기 위해 SEM을 이용해 입자의 미세구조를 확인하였다. 금속입자의 경우 오리피스가 작아지고, 전압에 높게 걸릴수록 포집률이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다공성이 적은 dense한 구조물을 관찰하였다. 반대로 전압이 없을 경우 굉장히 표면적이 넓은 porous한 구조가 관찰되었으며, 소금입자의 경우 전압을 걸었음에도 불구하고 포면적이 넓지만, 기둥 자체는 dense한 구조물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를 통해 기존에 다양한 분야에서 사용되는 나노입자 부착구조물의 형상제어에 대한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 혼성 아카펠라 편곡 기법 연구 - "The real group"의 <I sing, you sing>, <Words>를 중심으로

        이솔이 경희대학교 2010 국내석사

        RANK : 1855

        현대의 대중음악에서는 새로운 소재에 대한 갈망의 일환으로 기악 편곡의 중요성을 강조하는 편곡 사례들이 점차 증가하고 있다. 그러나 기악 편곡으로는 표현할 수 없는 다양한 음향을 용이하게 구현할 수 있는 방법이 바로 보컬 편곡이다. 그리하여 본 논문에서는 기악 편성 없이 사람의 목소리만으로 이루어진 아카펠라 곡의 분석을 통하여 보컬 편곡에서 취할 수 있는 편곡 기법의 특징에 대하여 연구하고자 하였다. 특히, 성부 구성의 다양화를 꾀할 수 있다는 점에서 혼성 아카펠라 편성의 경우를 연구 범위로 선정하였으며, 영상음악과 내한공연 등을 통하여 국내 대중에게도 친숙한 The real group의 <I sing, you sing>, <Words>를 연구 대상으로 구체화하여 분석한 결과, 일련의 편곡 기법 형태에 대해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연구 대상 이외의 작품에서 분석 내용이 활용된 경우를 예시하여 이러한 편곡 기법의 대표성을 도출하게 되었다. 본론에서는 우선 The real group에 대한 간략한 개요와 연구 대상의 음악적 구조 및 형식에 대하여 선행 연구를 거친 후, 특정한 편곡 기법이 두드러진 부분을 사례로 들어 분석 내용을 제시하였으며, 각 부분의 화성 진행을 분석하여 편곡 기법의 설명 이후에 첨부하였다. 구체적인 분석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 번째 편곡 기법은 성부 간의 유사 진행이다. 이것은 모든 성부가 선율적, 화성적 기능을 동시에 수반하는 기법으로, 주선율을 강조하면서도 풍성한 Voicing을 유지할 수 있는 효과적인 기법이다. 복잡한 이론적 계산 없이도 활용할 수 있으므로 일반적인 보컬 편곡에서도 가장 흔하게 쓰이는 기법 중 하나이다. 두 번째 편곡 기법은 대위법적 합창이다. 대선율을 맡은 성부들은 소극적인 선율 진행을 통해 화성적 기능을 수행하며 주선율의 선율적 기능을 강화하게 된다. 대선율을 담당하는 성부가 주선율과는 다른 가사를 사용하여 독특한 효과를 주는 경우도 있다. 세 번째 편곡 기법은 성부 편성의 다양화를 통한 것이다. 성부의 축소 및 확대는 악기의 도움 없이도 다양한 음악적 흐름을 표현할 수 있는 중요한 기능을 실현한다. 특히 연구 대상이 혼성 아카펠라라는 점에서, 여성 성부와 남성 성부의 배치 변화를 통해 색다른 음향적 효과를 실현할 수 있다는 것 역시 확인할 수 있었다. 클래식의 합창 연구를 제외하면 보컬 편곡의 연구 사례는 거의 전무한 실정이다. 그러나 3도 구성만으로 단순화되어가는 오늘날 보컬 편곡의 추세로는 새로운 음악을 원하는 대중의 욕구를 충족시키기 어려워질 것이라는 것을 인지해야 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본 논문이 다채로운 보컬 편곡을 통하여 음악적 지평을 넓힐 수 있음을 인식하는 계기가 될 수 있기를 바라며, 아카펠라 뿐 아니라 다양한 보컬 편곡의 연구가 계속될 수 있기를 기대해 본다. A growing number of instrumental arrangement cases are found in popular music these days. These examples put emphasis on the arrangement techniques and are to search for new materials. However, the instrumental arrangement has its own limit in expressing various sound. Thus, it is the vocal arrangement to replace it. As I understand the limited functions of instrumental arrangement, therefore, I intend to study on the features of vocal arrangement by analyzing a cappella which has no instrumental effect and solely focus on vocal. I have chosen a mixed a cappella formation for its various possibilities of part formation. I have analyzed <I sing, you sing> and <Words> of 'The real group' and found out the serial form of arrangement techniques. To justify my argument, I have included extra cases which are performed with aforementioned arrangement techniques. In the main part of this thesis, I have made a brief introduction of 'The real group.' I have reviewed its musical form and structure and analyzed the special arrangement technique. In addition, I have made special analysis on the harmonic progression of each part. The arrangement techniques of this thesis are as follows; First, it is the arrangement technique of similar motion among different parts. This technique is to effectively function the melodic and harmonic aspects and emphasizes on the main melody and keeps on the rich voicing. It is one of the most frequently utilized techniques for its practical use without complex consideration of the theory. Second arrangement technique is the chorus of the counterpoint. Parts with counter line come to perform the harmonic function with passive melody and strengthen the melodic function of main melody. Sometimes, parts of counter line can make unique effectiveness by using other lyrics with main melody. Thirdly, diversification of part formation is one of the arrangement techniques. It is the reduction and extension of the parts to express the various musical flow without musical instruments. As my study objective is the mixed a cappella, I am convinced to say that it is possible to realize the unusual sound by different arrangements of female and male parts. Study on the vocal arrangement is rarely found except the classic choral cases. However, it is critical to understand that it is very difficult to fulfill the public desire for new music only with today's simple vocal arrangement constructed by Third degree interval. With this understanding, I wish this thesis serves as a momentum of recognizing the importance of colorful vocal arrangement and expect the further study not only on a cappella but the various vocal arrangement.

      • 대학생이 지각한 부모의 양육태도, 자기통제력 및 또래애착이 관계중독에 미치는 영향

        이솔이 아주대학교 아주대학교 교육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1855

        본 연구는 대학생이 지각한 부모의 양육태도, 자기통제력 및 또래애착이 관계중독에 미치는 영향력을 성별에 따라 어떻게 다른지 밝히는데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해 강원도, 경상도, 수도권(경기, 서울, 인천), 충청도에 소재한 대학교에 재학중인 대학생 361명을 대상으로 자료를 분석하였다. 자료분석은 SPSS 18.0프로그램을 사용하였고,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주요 변인간 남녀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독립표본 t검정을 실시한 결과 또래애착만이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고, 여학생이 남학생 보다 높게 나타났다. 둘째, 주요변인 간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남학생의 경우 부 돌봄과 모 돌봄은 관계중독과 부적상관, 부 과보호와 모 과보호는 정적상관, 자기통제력과 또래애착은 관계중독과 부적상관이 나타났다. 여학생의 경우 모 돌봄과 관계중독과 부적상관, 부 과보호와 모 과보호는 정적상관, 또래애착과 관계중독은 부적상관이 나타났다. 셋째, 부모의 양육태도, 자기통제력 및 또래애착이 관계중독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중다회귀 분석을 실시한 결과 남학생의 경우 자기통제력과 또래애착이 관계중독에 유의미한 영향이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여학생의 경우 부 돌봄과 모 과보호, 자기통제력, 또래애착이 관계중독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의의는 다음과 같다. 지금까지 관계중독과 직접적인 연구가 없었던 자기통제력과 또래애착이 관계중독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밝히고, 이성관계에서 중독적인 관계 패턴으로 인한 어려움을 호소하는 내담자의 문제를 넓은 관점에서 이해하고, 개입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한 점이다.

      • 홍합접착단백질을 코팅한 탄소나노튜브의 고분산화와 유연전도성필름과 OFET 전극으로의 응용

        이솔이 전북대학교 일반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1855

        Carbon nanotubes (CNTs) with high elastic, electrical, thermal and mechanical properties can be applied as a new material for electronic devices and energy storage devices. However, the strong attraction force between the carbon nanotubes produces the aggregation and the bundled forms. Therefore, a dispersion process for isolating CNTs is required. In this study, in order to disperse the CNTs in water, we used mussel adhesive proteins (MAPs). MAPs have a property of strong physical interaction with outer tubes of CNTs, so it could individually disperse the bundled CNTs in water. In addition, the CNTs sprayed on substrate could be stuck due to a strong adhesion property to almost all materials of the MAPs. We tried to fabricate Flexible conductive films (FCFs) and organic field effect transistors (OFETs) with CNT electrode by using the dispersed MAP@CNT solution. We synthesized a MAPs (22kDa) with the amino acid sequence of fp-151 by the gene recombinant method. We coated CNTs with the MAPs and dispersed in distilled water by ultra-sonication. The dispersity was measured for several days using a dispersion stability analyzer. And, the individually dispersed CNTs in the solution were confirmed through Raman spectroscopy. After spraying the MAP@CNT solution onto the PET film, the transmittance and the sheet resistance were measured by UV-vis-NIR spectroscopy and 4-point probe. The morphologies of the surfaces were observed with a scanning electron microscope (SEM) and the thicknesses of the coated materials were measured with an atomic force microscope (AFM). To fabricate OFETs, we used photolithography to pattern a drain-source electrode on silicon oxide wafers, and then sprayed the MAP@CNT solution on the substrate. Finally, pentacene was deposited as the active layer. We analyzed the I-V curve of the fabricated transistors and calculated the carrier mobility and we confirmed that existing Au electrode can be replaced with MAP@CNT electrode.

      • 이미지에 관하여 : 사르트르의 현상학적 상상력 이론과 초월적 경험론으로서의 들뢰즈의 이미지 이론에 관한 비교 연구

        이솔 서강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박사

        RANK : 1839

        The subject of this paper is image and imagination. In this paper I want to answer the question “what is image?” Traditional philosophy regarded image and imagination as epistemological illusion, and negative capacities making up such illusions. Images have been understood as inferior replicas that imitate real objects. Likewise, imagination, as the capacity to create such images, has often been criticized as a root of error that leads us into confusion and delusions. Existing studies have discussed image and imagination from preconceived negative notions of the concept of image as an epistemological illusion. Sartre and Deleuze, however, try to restore the meaning of the imaginary from a contrary standpoint to the traditional philosophy that regarded the image as a source of error. For them, the image is no longer a shadow flickering on the walls of a Platonic cave, something that is merely an insufficient imitation of reality. They reveal instead a hidden dynamic feature from the image that traditional philosophy has never discovered. In Sartre, it is the spontaneous activity of consciousness, and in Deleuze, it is the constant movement and change of reality as its original form. Both theories of imagination move in two different directions, respective to the notion of nothingness(néant) and becoming(devenir), while resisting the notion of a static absolute Being(Être) in common. As such, “image” is the key to demonstrating the essence that Sartre and Deleuze received from phenomenology and Bergsonism. For Sartre, the concept of image reveals the intrinsic capacity of consciousness. To imagine is the most dramatic expression of the spontaneity of consciousness; it means the power of negativity that distances itself from the world and annihilates it. Imagination tells us most directly that consciousness does not exist in an inertial fashion, like things in the world. Imagination is an expression of negativity that rejects reality, and it is the ability to transcend reality—in other words, freedom. In this way, for Sartre, the image is defined as a force of consciousness that has the nature of non-reality, whereas for Deleuze, the image is defined as the real. For Deleuze, the real, as the totality of images, encompasses both the actual that appears in the present dimension and the virtual which is the ontological dimension behind it. The imaginary means this very reality, a crystal in which the actual and the virtual are intermingled in an indistinguishable form. Deleuze's image theory depicts a decentralized movement and change that is no longer limited to the subjectivity of consciousness; as a result, the subject of consciousness, which has been considered as a transcendent condition for our ordinary experiences, is newly defined as the effect that arises from these images. This was the task Deleuze had discovered from Hume—that is, the project of “transcendantal empiricism” which describe the birth of the subject from the imaginary. 이 논문은 이미지(image)와 상상력(imagination)을 주제로 하며, ‘상상이란 무엇인가’라는 물음에 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기존 철학에서 이미지와 상상력은 인식론적 가상 및 그러한 가상을 만들어내는 부정적인 능력으로 간주되었다. 이미지는 실재 사물의 모습을 모방한 열등한 모사물로 이해되어왔으며, 그러한 이미지를 만들어내는 상상력은 늘 우리를 착각 및 기만에 빠뜨리는 오류의 원천으로 비판되어왔다. 이미지에 관한 이와 같은 부정적 관념은 특히 데카르트에게서 명확히 드러난다. 그의 『성찰』을 이끌었던 동기는 ‘나에게 주어진 표상이 거짓일지도 모른다’는 불안, 말하자면 ‘어젯밤의 꿈과 오늘의 현실을 분간할 수 있는 어떤 징표도 없다’는 두려움이었기 때문이다. 그러나 이 가상으로서의 이미지 관념은 더 오랜 연원을 가지는데, 우리는 이를 『국가』 제7권의 동굴의 비유(Plato’s cave)로부터 발견할 수 있다. 동굴의 비유는 우리가 ‘내가 마주하는 것이 과연 실재인가?’, ‘우리는 한낱 이미지에 현혹되어 있는 것은 아닌가?’라는 형식으로 표현되는 두려움을 가지고 있다는 사실을 보여준다. 기존 연구들은 이와 같은 인식론적 가상으로서의 이미지 개념에 대한 어떤 반성도 없이 부정적 선입견을 간직한 채로 이미지와 상상력에 관해 논해왔다. 이와 달리 사르트르(J. P. Sartre)와 들뢰즈(G. Deleuze)는 이미지를 오류의 원천으로 배격했던 전통 철학과 상반되는 견지에서 상상적인 것의 의미를 복원하고자 한다. 이들에게서 이미지는 더 이상 플라톤적 동굴의 벽면에 어른거리는 그림자, 곧 실재를 불충분하게 모방한 모사물이 아니다. 이들은 이미지로부터 기존 철학이 미처 발견하지 못했던 숨겨진 역량을 발견하는데, 사르트르에게서 그것은 의식의 자발적 활동성이며, 들뢰즈에게서 그것은 실재의 본래적인 모습으로서의 끊임없는 운동·변화이다. 양자의 이미지 이론은 공통적으로 정적인 존재(Être)의 관념에 저항하는 가운데 각기 무(néant)와 생성(devenir)이라는 서로 다른 두 방향으로 나아가고 있는 것이다. 우선 사르트르와 들뢰즈에게서 이미지는 의식과 사물이라는 양 극단의 모습으로 나타난다. 후설(E. Husserl) 현상학에 바탕을 둔 사르트르에게 있어서 이미지란 사물을 모방한 사물이 아니라, 의식의 한 활동 방식인 동시에 의식의 본성에 해당하는 것이다. 그에게 있어 이미지는 무엇인가에 대한 의식이다. 이와 달리 베르그손(H. Bergson)의 이미지 이론을 전유한 들뢰즈에게 ‘이미지는 물질들의 총체이다.’ 이처럼 후설과 베르그손의 유산을 계승하는 이들의 이미지 이론은 표면적으로 의식과 사물이라는 양 극단에 위치한 것처럼 보인다. 사르트르가 베르그손의 이미지 이론을 비판하는 것은 바로 이 때문이다. 베르그손은 이미지를 타성적인 사물과 같은 것으로 간주했다는 한계를 가진다. 그러나 사르트르에게서 상상적 대상의 본성은 ‘비실재성(irréalité)’이다. 상상적 대상은 의식이 그것을 겨냥하기를 그만두는 순간 흔적도 없이 사라져버린다. 상상적 대상은 타성(inertie)을 가지지 않는다. 그것을 지탱하는 것은 온전히 의식의 자발성이다. 바로 이런 점에서 이미지란 지각적 대상과 같은 ‘사물’이 아니라 의식이 대상을 지향하는 하나의 방식인 것이다. 그러나 베르그손에게 이미지는 단지 그 외양에 있어서 정태적인 사물로서 드러나는 것이다. 사물은 부단한 운동·변화의 외관일 뿐이다. 즉 베르그손-들뢰즈에게 이미지는 사물인 동시에 운동이다. 운동-이미지로서의 사물은 사르트르가 의식에 외부적인 것으로 규정한 사물의 개념과 구분되는 것이며, 따라서 베르그손이 이미지를 즉자적인 사물로 강등시킴으로써 이미지-의식의 활동성을 잃어버렸다는 사르트르의 비판은 무력해진다. 이와 같은 관점에서 사르트르와 들뢰즈의 이미지 이론 사이의 긴장은 대자적 의식 대 즉자적 사물이라는 이분법이 아니라, 현실적인 것 대 잠재적인 것이라는 새로운 이분법의 틀 속에서 조망될 수 있다. 이처럼 ‘이미지’란 사르트르와 들뢰즈가 각기 현상학과 베르그손주의로부터 받아들인 핵심을 보여주는 열쇠이다. 사르트르에게서 이미지는 의식의 고유한 역량을 보여주는 것이다. 상상한다는 것은 의식의 자발성의 가장 극적인 표현으로서, 세계와 거리를 두고 세계를 무화하는 부정성의 힘이다. 상상은 의식이 세계 내의 사물과 같이 타성적인 양태로 존재하지 않는다는 사실을 우리에게 가장 직접적으로 알려준다. 상상이란 실재를 거부하는 부정성의 표현이며, 실재로부터 벗어나는 초월의 역량, 곧 자유이다. 이처럼 사르트르에게서 이미지가 비실재로서의 본성을 가지는 의식의 힘이라면, 이와 반대로 들뢰즈에게서 이미지는 실재로서 규정된다. 들뢰즈에게서 이미지들의 총체로서 실재란 현전의 차원에 나타나는 현실적인 것과 그것 배후의 존재론적인 차원의 잠재적인 것을 모두 포괄한다. 상상적인 것이란 바로 이 실재, 잠재적인 것과 현실적인 것이 식별 불가능한 모습으로 뒤섞여 있는 결정체를 의미한다. 들뢰즈의 이미지 이론은 더 이상 의식 주관에 제한되지 않는 탈중심화된 운동·변화를 그려내 보이며, 우리의 일상적 경험 및 이를 위한 초월적 조건으로 전제된 의식 주관은 이 이미지들로부터 발생하는 효과의 차원에 놓이게 된다. 이것이 바로 오래전 들뢰즈가 흄으로부터 발견했던 경험론의 기획, 상상적인 것으로부터의 주체의 탄생을 기술하고자 하는 과제였던 것이다.

      • 언어재활사의 언어치료 전·후 음성 특성 변화 비교

        이솔 명지대학교 사회교육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1839

        언어재활사는 의사소통에 문제를 가진 대상자들에게 평가 및 중재를 담당하는 전문가를 말하며, 다른 직업군에 비해 음성 휴식 없이 과도하게 음성을 사용하여 음성 문제에 노출되기 쉽다. 이에 본 연구는 언어재활사의 언어치료 전과 후에 음성 특성 변수들의 변화를 비교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평균 연령 25세, 언어치료 경력이 3년 이내인 신규 여성 언어재활사 12명을 대상으로 연구 당일 언어치료가 연속 2회기 이상 진행되는 날 연구를 진행하였다. 연구 대상자 중에서 과거에 음성치료를 받았거나 현재 받고 있는 자, 호흡기 질환이나 위장질환으로 성대가 손상되어 음성이 변했다고 생각하는 자는 제외하였고, 호르몬의 변화로 음성평가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생리기간을 제외하여 실시하였다. 언어치료 전과 후에 시각적 아날로그 척도(VAS)를 사용하여 주관적 음성 문제 정도를 알아보았고, ‘가을’ 문단의 ‘우리나라의 가을은 참으로 아름답다. 무엇보다도 산에 오를 땐 더욱 더 그 빼어난 아름다움이 느껴진다. 우리나라의 가을은 참으로 아름답다.’ 부분과 /아/ 모음 연장발성을 세 번씩 반복하여 녹음하였다. 녹음기는 Linear PCM-M10 Recorder(SONY)를 사용하여 녹음하였다. Praat를 이용하여 ‘가을’문단의 발화 기본주파수를 측정하였고, MDVP를 이용하여 /아/ 모음의 기본주파수(f0), 주파수변동율(jitter), 진폭변동율(shimmer), 잡음 대 배음비(NHR), 음성난기류 지표(VTI), 연성 발성 지표(SPI)를 측정하였다. 통계분석을 위하여 SPSS(version 18.0)를 사용하여 언어치료 전과 후의 음향학적 특성, 주관적 음성 문제의 차이를 비교, 분석하기 위하여 윌콕슨 부호 순위 검정을 실시하였고, 연속된 회기 수에 따른 차이를 비교, 분석하기 위해 맨-휘트니 검정을 실시하였다. 그리고 음향학적 특성과 주관적 음성 문제간의 관련성을 피어슨 상관분석을 통해 확인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언어치료 전과 후에 음향학적 특성에 차이가 없었으나 주관적 음성문제(음성 피로, 불편감, 목마름)는 언어치료 후에 유의하게 커졌다(p<.05). 둘째, 2회기 연속하여 치료를 할 때보다 3회기 연속하여 언어치료를 진행할 때 SPI 값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커졌다(p<.05). SPI는 심리적인 스트레스의 증가와 성대를 내전시키는 힘이 감소하면 값이 증가하는 것으로, 음성 휴식 없이 3회기 이상 연속하여 언어치료를 진행하는 것이 심리적 스트레스와 성대 내전에 영향을 미쳐 음향학적 특성에 변화를 가져온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셋째, 음향학적 특성과 주관적 음성 문제간의 관련성을 알아보았을 때, 언어치료 전에 목마름 증상이 유의하게 적게 나타났다(p<.05). 언어치료 후에 음향학적 특성과 주관적 특성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상관관계는 없었으나, 불편감이 증가할수록 피로도가 증가하며 주관적 음성 문제 간에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였다(p<.01). 주관적 음성 문제인 피로도, 불편감 등이 증가하며 음성에 문제가 있다고 느꼈으나, 음향학적 변수에는 영향을 끼치지 않은 것을 알 수 있었다. 후속 연구로 더 많은 대상자를 중심으로 3회기 이상 연속된 회기를 관찰하여 음향학적 변수를 비교, 분석하는 연구가 이루어진다면 효율적인 음성으로 언어치료를 할 수 있도록 언어재활사의 근무환경 개선에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고, 음성 장애의 발생이나 재발을 방지할 수 있을 것이라 생각한다. Speech language pathologist are experts in evaluation and speech therapy for those who have problems with communication and are more likely to be exposed to voice problems using excessive voice without voice rests compared to other occupational groups. For thi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the changes of acoustics characteristics before and after speech therapy in speech language pathologist. This study was conducted on 12 female Speech language pathologist, with mean age of 25 years, and speech therapy experience of less than 3 years, and the experiment was conducted on the day when the speech therapy was continued for two or more consecutive sessions. Among the study subjects, those who had received voice therapy in the past or who are currently receiving it, those who think that the vocal cords have been damaged and voices changed due to respiratory or gastrointestinal diseases, and the those with periods of menstruation that can affect the negative evaluation due to hormonal changes were excluded from the study. Before and after speech therapy, visual analog scale (VAS) was used to identify the subjective degree of voice problems. A part of the passage from ‘Autumn’, ‘Woorinaraui gaeuleun chamuiro ahreumdapda. Mooeutbodado saneh ohreul ddaen deouk deo geu bbaeonan ahreumdaeumi neuggyeojinda. Woorinaraui gaeuleun chamuiro ahreumdapda.’ and the /a/ vowel prolonged vocalization was recorded three times repeatedly. Recording was done using Linear PCM-M10 Recorder (SONY). Using Praat, the speaking fundamental frequency of the 'Autumn' passage was measured, and the f0, jitter, shimmer, NHR (noise-harmonic ratio), VTI (voice turbulence index), and SPI (soft phonation index) of /a/ vowel was measured using MDVP. For statistical analysis, Wilcoxon signed rank test was used to compare and analyze the differences of the acoustic characteristics and subjective voice problems before and after speech therapy using SPSS (version 18.0), and the Mann-Whitney test was conducted to compare and analyze the differences according to the number of consecutive sessions. In addition, the correlation between the acoustic characteristics and the subjective voice problem was confirmed through Pearson correlation analysis.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re was no difference in acoustic characteristics before and after speech therapy, but subjective voice problems (voice fatigue, discomfort, thirst)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after speech therapy(p<.05). Second, SPI values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ly higher when speech therapy was performed for three consecutive sessions, compared to two consecutive sessions(p<.05). SPI increases with psychological stress and decreased strength to close the vocal cords, and it was shown that speech therapy without speech rest for 3 consecutive sessions or more continuously affects psychological stress and vocal cord closure and changes acoustic characteristics. Third, when the relationship between acoustic characteristics and subjective voice problems was examined, the symptoms of thirst before speech therapy were significantly lower(p <.05).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acoustic and subjective characteristics after speech therapy, but as the discomfort increased, fatigue increased and there was a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subjective voice problems(p<.01). Subjective symptoms such as fatigue and discomfort were increased, and there was feelings of problems with voice, but it was found that it did not affect the acoustic parameters. As a follow-up study, if more studies were conducted on larger groups of subjects to compare and analyze the acoustic parameters by observing consecutive sessions over more than 3 sessions, it will be able to improve the working environment of Speech language pathologist so that speech therapy can be done with effective voice, and it will be able to prevent occurrence or recurrence of speech disorder.

      • 고통을 바라보는 시선

        이솔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1839

        Human beings cannot be free from suffering. Then it is necessary to examine the reason ‘why do human beings experience suffering’? The investigation of question on ‘what is the most fundamental suffering which every human being has had’ has been still going on in all the aspects of the whole culture, such as religion and philosophy and art and so on, since human history had begun. While living, we inevitably have relationship with one another; we make interaction with everything around us. Our interaction is not only with human beings, but every animal, plant or a lifeless object or space. ‘Suffering’ must result from everything related with human beings and therefore cannot be separated from our real lives. So it is necessary to study how for human being to co-exist with suffering itself, for it cannot be treated by some negative or positive valuation. This thesis has focused on suffering in philosophy and Buddhism in order to examine the nature of suffering. Philosopher Friedrich Wilhelm Nietz´sche mentioned essential part of the suffering, whose argument was different from that of other philosophers as before who defined the suffering as negativity. Therefore it is proper for us to pay attention to Nietzsche’s view on the suffering. The suffering is the central theory in Buddhism. The nirvana in Buddhism might be interpreted as an attempt to handle the essential suffering. Until now we have examined how the nature of suffering has positive function for human society under the premise that it has just existed. Especially the author has surveyed contribution of many philosophers on the field of culture and art. The author deals with the relation between mental diseases which are kind of special type of the suffering and creation and also describes the connection between psychological suffering and physical one, by which this author tries to understand what the function of suffering is in the creation of art and how suffering has been developed into art in detail. As a result, we can get an answer about the question on ‘why the general public has the prejudice that artists fatefully cannot but to live suffering lives or they are so unique in their psychological state.’ The canvas work is largely divided into canine sequences and human figure sequences. At the same time this author also runs parallel with performance work. Through these works, this author is to try to define the suffering and to transform the suffering into the power of artistic creation. The research about the inner being of dog and human figure is an attempt to reach into the nature of the suffering and to make an effort to resolve suffering in my inner being. However, these two objects might be revealed to another shape in conformity to the perspective of the author. According to these perspectives, the works must be different. If the works are different, then used-materials and expressed-types are different. Comparing between the author’s mentality and method of solution which are expressed in works will be useful for future works. Based on these studies, in the analysis of works this author arranges the molding factors used in each work and explains how the object are imaged in the sense of sight by already mentioned materials and expressed methods. Through this process, this author will make the attitude clear about the suffering. And also, I am sure that examining effective artistic expression will be helpful for my future works. 인간은 고통에서 자유로울 수 없다. ‘인간은 왜 고통스러워하는가?’ ‘모든 인간의 고통 중에서 가장 근원적인 고통은 무엇인가?’ 와 같은 물음에 대한 탐구는 인류역사 이래로 종교, 철학, 예술 등 모든 문화 전반에서 계속되고 있다. 우리는 살면서 필연적으로 관계를 맺는다. 사람뿐 아니라 동식물, 생물에 국한되지 않고 공간이나 사물과 같은 우리 주변에 있는 모든 것과 교류한다. 고통은 관계 맺는 모든 것에서 발생하며 삶과 생활에서 분리될 수 없다. 따라서 고통을 부정적이거나 긍정적인 어떠한 가치판단에 의거해 다룰 수 없으며 그 자체로 공존해 나가는 법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고통의 본질에 대한 고찰을 위해 철학과 불교에 나타난 고통에 주목하였다. 철학자인 니체는 서양의 철학자 중 고통을 부정적으로 규정하던 종전의 철학자들과는 달리 본질적인 부분에 대하여 이야기하였으며, 따라서 그의 견해는 귀 기울일만하다. 불교에서 고통은 이론의 가장 중심에서 다루어진다. 불교의 해탈 개념은 인생의 본질적인 고통을 다루고자 하는 시도로 해석할 수 있다. 고통의 본질이 그냥 존재하는 맹목적인 것이라는 전제 아래 그것이 어떻게 인간 사회에 긍정적인 기능을 미치는가 하는 점을 짚어보았다. 특히 여러 철학자들의 견해에 기대어 문화, 예술 부분에서의 기여를 중점적으로 살피었다. 고통의 특수한 형태인 정신질환과 창조의 관계를 다루고, 정신적 고통과 신체간의 관계를 기술함으로써 예술 창작에 있어서 고통의 역할은 무엇인가, 고통은 구체적으로 어떻게 예술로 승화되는가를 보다 가깝게 이해하려 하였다. 그 결과 예술가들은 숙명적으로 고통스러운 삶을 살 것이라든지 또는 정신적으로 특별할 것이라는 대중의 편견에 관한 의문을 풀 수 있었다. 본인의 평면작업은 크게 개 연작과 인물 연작으로 나뉜다. 아울러 본인은 퍼포먼스 작업도 병행하였다. 이러한 작업들은 본인이 고통에 대한 나름의 정의를 내리려 노력하고 고통을 예술창작의 힘으로 변용하고자 한 시도이다. 개와 인물의 내면을 탐구함으로써 고통의 본질에 다가가고자 하였으며, 이는 본인이 갖고 있는 고통을 해소하려는 노력의 일단이다. 그러나 두 대상을 바라보는 본인의 심리상태에는 차이가 있으며 그에 따라 달라지는 작업의 모습을 볼 수 있다. 자연히 사용한 재료와 표현한 형식도 다르게 나타난다. 작업들에 나타나는 본인의 심리와 해결 방법을 비교해 보는 것은 앞으로의 작업방향 제시에 유익할 것이다. 이러한 연구들을 통해 작품 분석에서는 개별적 작품에 사용된 조형적 요소들을 정리하고 앞서 언급한 재료와 표현기법들이 어떻게 대상을 시각적으로 이미지화하였는지를 설명하였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고통에 대한 입장과 태도를 보다 명확히 하고, 효율적인 예술적 표현을 점검하여 앞으로의 작업에 반영하고자 한다.

      • 2,30대 여성들의 정치 참여 경험을 통해 본 여성주체성에 관한 연구 : 온라인 ‘여성 삼국’ 커뮤니티 회원들의 활동을 중심으로

        이솔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1839

        The study focused on the agency of women in their 20s and 30s, who at first joined online communities, commonly known as "Three Kingdoms," for the purpose of sharing information about fashion/plastic surgery/cosmetics but, since Candlenight demonstration, have continuously engaged in political actions. Consumption Capitalism defines women in their 20s and 30s only as the consumption subject, trapped in commercial order. Consumption culture, however, does not always make woman conform to the market's rules. As the culture encourages individuality and development of specific preferences, it allows women to possess power, resulting in their respecting themselves and officially making their voice heard. As a result, in the face of specific events and chances, women express their opinions in the political field and continue their political practices. These women indicate emergence of subjects who are under the influence of Consumption society in subject mode and social relations but, at the same time, can cast the critical eye upon it. The subject matters of the study are as follow: who these women are; what conditions lead them to engage in political actions; how established political field interpret these practices; how women construct their positions in the political field; how the practices expand women's political life in their everyday lives. The results of investigation can be summarized as follow. First, "Three Kingdoms," whose members have continued to practice political actions since Candlenight demonstration, are not irrelevant to Consumption Capitalism in that their purpose is to share information regarding women's "appearance maintenance“. But the communities go beyond the place where desire for consumption, related to women's hobby and cultural taste, is constructed. Because its members share similar preferences, "Online community only for women" help forge bond among its members, serving as the place where women can "safely speak about themselves" and "share life experiences." Also, each community create its own culture, differentiated from others. They establish rules to keep the place "safe and pleasant" and take measures to prevent the community from commercialized. Such characteristics of community lay the foundations for women to practice political actions online and offline. Second, women in their 20s and 30s, who had little experience in political practices before, observe "women similar to them" turning difficult and boring political issues into "easy and lively" ones and begin to recognize "political issues" as "life matters." Online community―once the place for "entertainment" or "sharing interest"―plays a role of forming counter discourse to public issues. As a result, women "decide" to be involved in political practices, which were considered strange and unfamiliar until then, and, in the process, for the first time, they become aware of "their relationship with nation." They take political area as the field which needs constant observation and intervention in the form of concrete practices. Third, even though women try to communicate "political issues" with as many people as possible by speaking aloud their opinions and practicing actions, the political field distorts their voice. Struggling with "stigmatization" as well as "rules" imposed by society makes women interpret their activities as "great" but also "trivial" things. This contradiction, however, reveals a possibility for women's political life to expand. On one hand, women take pride that they, "ordinary" or "average citizen," are participating in political actions. On the other hand, they consider their act as "not a big deal." This interpretation, however, is effective in making women take political actions as not demanding, as those that can be done without their having to dramatically transform or fully dedicate their lives. By considering their activities as "trivial things" performed by "average people," women reconstruct the meaning of political participation: rewarding political practices can be done in their daily lives without little pressure. As stated above, the study observed the process in which women ,through online communities closely related with consumption culture, perform political action, revealing that women in their 20s and 30s are not only the "consumption subject“ but also "political subject." It also tried to point out how women are still unexplained in the public field by disclosing the way in which the existing political discourses label and position woman. But in the process, with their own strategies, women are found to develop their own "voice" and find their position. This paper has a meaning in that it reveals and explains how women expand their "political lives" in their daily lives. 본 연구는 패션/성형/미용 등의 정보를 공유하기 위해 만들어진 온라인 커뮤니티 내의 2,30대 여성회원들이 2008년 촛불시위를 기점으로 지속적으로 온/오프라인을 넘나들며 정치적 실천을 지속해 온 행위성에 주목하였다. 소비자본주의라는 사회적 흐름 속에서 2,30대 여성들은 끊임없이 상업적 질서에 갇힌 소비주체로서의 위치에서만 그 의미가 부각되고 있다. 그러나 소비사회의 성장은 여성들에게 계층별, 성별 위계를 전복할 가능성을 제공하는 측면이 있다. ‘개성’을 강조하고 특정한 문화적 ‘취향’을 개발하는 것을 이끄는 소비문화의 특징은 여성들을 시장 질서에 구속시키는 것 뿐 아니라 여성들이 ‘자아중심 성’에 기반한 자기존중/자기배려를 실천할 수 있는 권력, 사회적으로 자신을 표출할 수 있는 발언 력 을 키워낼 수 있게 한다. 그 결과 자신의 삶에 영향을 미치는 특정한 계기, 사건들을 통해 여성들은 정치적 장에서 목소리를 내고 정치적인 실천들을 이어간다. 그리고 이런 여성들의 등장은 소비사회가 조직해 내는 주체양식과 사회관계 내부에서 다시 소비사회를 문제화하는 주체들이 등장하고 있음을 의미한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2,30대 여성들이 어떤 삶의 조건들과의 부딪침을 통해 정치적 실천을 만들어 가는지, 그 실천들은 기존의 정치적 장에서 어떤 방식으로 의미화 되고 있으며, 여성들은 어떤 방식으로 정치적 장에서 자신들의 위치를 구성해 가는지, 그리고 이와 같은 실천들은 어떤 식으로 여성들의 일상에서 정치적 삶을 확장할 가능성을 갖는지 그 의미를 구체적으로 드러내고자 하였다. 이에 따라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촛불 시위 이후 지속적으로 정치적 실천을 이어오고 있는 여성들이 속해 있는 온라인 ‘삼국’ 커뮤니티들은 여성들의 ‘외모관리’와 관련한 정보들을 공유하는 공간이라는 점에서 모든 것을 시장화/상업화 하는 소비자본주의의 흐름과 무관하지 않다. 하지만 이 온라인 커뮤니티들은 여성들의 취미와 취향과 관련한 소비욕망을 구성해 내는 장을 넘어서는 기능을 한다. ‘여성들만의 온라인 커뮤니티’는 비슷한 취향을 공유하는 이들이 모였다는 동질감에 기반해 구성원들 간에 보이지 않는 유대감, 공동체 성을 만들어내며, ‘안전하게 내 목소리를 낼 수 있고, 삶을 나눌 수 있는’ 공간이 된다. 또한 이 커뮤니티들 안에서 여성들은 각 커뮤니티 별로 독특한 언어, 정체성 등 ‘차별화된 놀이’문화를 만들어 낸다. 그리고 여성들은 이 공간을 계속해서 ‘안전하고 즐거운’ 곳으로 유지하기 위해 공통의 ‘규범’ 등을 만들어 커뮤니티 자정활동을 하기도 하고, ‘커뮤니티 상업화’ 등에 반대하는 저항적 실천들을 만들어 내기도 한다. 온라인 커뮤니티 내에서의 이런 문화적 특징은 여성들이 온/오프라인을 오가며 만들어 내는 정치적 실천의 토대로 작용한다. 둘째, 이전까지 정치 참여 혹은 정치적 실천을 해 본 경험이 없던 여성들은 온라인 커뮤니티 내에서 ‘나와 비슷한 여성들’이 어렵고 지루한 정치적 이슈들을 ‘쉽고, 발랄한’ 언어로 재구성한 내용들을 접하게 되면서 ‘정치적 이슈’들을 ‘삶의 문제’로 인식하기 시작한다. ‘쉼’ 또는 ‘취미 공유’ 등을 위한 공간이었던 소비문화 중심의 온라인 커뮤니티가 공적인 이슈들을 두고 ‘저항의 담론’을 형성하는 공간으로 기능하고 있는 것이다. 그 결과 여성들은 이전까지 낯설게 여기던 정치적 실천을 ‘결심’하고 ‘수행’하게 된다. 그리고 이 과정은 여성들이 처음으로 ‘국가와의 관계’, ‘사회적 책임’을 자각하게 되는 경험이 되기도 했다. 이런 자극들을 토대로 여성들은 ‘정치’라는 영역을 지속적으로 주시하고, 구체적인 실천을 통해 개입해야 하는 장으로 받아들인다. 그렇게 정치적 실천을 지속하게 된 여성들은 광고, 플래시 몹, 바자회, 선택적 제품 구매 등 ‘자신들이 ‘일상적으로 쉽게 선택할 수 있는 방식의 실천’들을 만들어 낸다. 일상에서 ‘할 수 있는 만큼, 할 수 있는 방식으로 하는 정치 참여’는 여성들로 하여금 ‘사회적으로 의미 있는 일’을 하는 것에 대한 자부심을 갖게 하면서도 과도한 활동에 대한 부담감을 줄일 수 있었다. 또한 정치적 이슈를 ‘유머’와 ‘풍자’로 표현해 내면서 기존의 ‘권위적인 정치’ 를 일상적 유희거리 중 하나로 끌어내리게 되면서 더 많은 사람들의 관심을 이끌어 내는 효과를 가져왔다. 셋째, 그러나 자신들의 의견을 사회적으로 표출하고 그에 맞는 실천을 행함으로써 더 많은 이들과 ‘정치적 이슈’를 소통하고자 했던 여성들의 목소리는 정치적 장에서 훼손당한다. 이런 외부로부터의 ‘낙인’과 ‘규정’들과의 경합 끝에 여성들은 자신들의 활동을 ‘대단한 것’이면서 ‘별 것 아닌 것’이라는 모순적인 방식으로 설명하게 된다. 하지만 이런 모순적인 자기 설명 방식 안에서 여성들의 정치적 삶이 더 확장될 수 있는 가능성이 포착된다. ‘평범한 여성’, ‘보통의 시민’ 으로 서 정치적 실천 벌인다는 것 자체는 여성들에게 ‘자부심’을 느끼게 한다. 그리고 이런 자부심은 다른 평범한 여성들의 정치 참여 욕망을 자극해 낸다. 다른 한편으로 여성들의 활동을 ‘별 것 아닌 것’ 으로 설명 할 때 이것은 그만큼 ‘큰 부담 없는’ 정치 참여 활동으로 의미화 되기도 한다. 그 결과 여성들은 자신의 삶을 전면적으로 변화시킨다거나 대단한 것을 희생/헌신 하지 않고도 일상에서 쉽게 할 수 있는 방식의 정치적 실천을 수행한다. ‘평범한 사람들’이 행하는 ‘별 일 아닌 것’이라는 이중의 자기표현을 통해 ‘일상에서 큰 부담 없이 할 수 있는 정치적 실천’을 하면서도 ‘자부심을 느낄 수 있는’이라는 방식으로 정치 참여의 의미를 재구성 해 내는 것이다. 이를 통해 ‘삼국’ 커뮤니티를 통해 정치적 실천을 벌이는 여성들은 ‘평범하고 일상적인 삶’ 그 자체가 정치적 공간이 될 수 있음을 보여주는 것이다. 이상에서 다룬 바와 같이 이 연구에서는 여성들이 소비문화와 관련한 온라인 커뮤니티를 기반으로 정치적 실천을 만들어 나가는 과정을 살펴보았다. 이를 통해 소비사회의 2,30대 여성들이 단지 시장적 질서에 포섭되어 있는 ‘소비주체’이기만 한 것이 아니라 자신의 일상에서 정치적 실천을 만들어 가는 ‘정치적 주체’이기도 함을 드러내고자 하였다. 또한 정치적 장에 등장한 여성들이 기존의 정치 담론 안에서 어떤 방식으로 ‘호명’되고 ‘위치 지어지는지’를 드러냄으로써 여전히 공적인 장에서 ‘설명되지 않는 여성’들의 위치를 드러내고자 하였다. 하지만 이 과정에서 여성들은 나름의 전략과 방식들로 정치적 장 안에서 자신들의 ‘목소리’와 ‘자리’를 만들어 가고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이 연구는 이렇게 여성들이 일상에서 ‘정치적 삶’을 확장해 가는 역동을 포착하고 드러내고 있다는 데 의의가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