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四溟 惟政(1544-1610) 眞影 硏究

        박주영 고려대학교 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7807

        본 연구에서는 한국의 고승 진영 중 현전 수량이 풍부하며, 수염 등의 특징적인 상호표현을 지닌 사명 유정의 진영에 주목하였다. 진영의 조성주체 및 조성목적에 관한 문제, 정밀한 양식변천의 양상, 그리고 동일한 인물이 각기 다른 모습으로 등장하는 사명 유정 진영의 현상을 사명 유정의 생애 및 그에 대한 각계각층의 인식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연구 방법으로는 먼저 사명 유정의 생애를 관련 문헌을 통해 정리하여 사명 유정이 어떤 인물로 인식되어왔는지를 유교계, 불교계, 민간 등 각 계층별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또한 현전하는 사명 유정 진영을 소장한 사찰의 법맥계보와 동반 제작, 봉안된 진영의 예를 살펴 사명 유정 진영의 조성 주체 및 목적을 유추해 보았다. 연구대상이 된 22점의 사명 유정에 대한 기본적인 정보를 각 진영별로 정리하였으며 이를 도표화하였다. 이러한 내용을 바탕으로 사명 유정 진영에 표현된 다양한 구성요소를 분석해 보았다. 구성요소는 좌식 및 배경, 상호, 의복, 지물 등 각 진영에 공통적으로 표현된 4부분으로 나누었으며, 진영에 나타난 요소들에 대한 연원과 의미, 표현의 변화과정을 집중적으로 살펴보았다. 이 중, 보다 특징적인 변화과정을 보이는 상호표현을 중심으로 사명 유정 진영을 총 3기로 나누어 각 시기별 진영의 특징을 정리함과 동시에 진영에 표현된 인물상의 변화를 앞서 살펴본 사명 유전에 대한 인식과 연관지어 살펴보았다. 본 연구를 통해서 사명 유정 진영은 진영의 일반적인 예와는 다르게 직계 법맥이 조성한 것이 아닌 18세기 이후로 경상북도 지역에서 활동하였던 편양법맥의 주도로 조성되었으며, 그 중심에는 도총섭 등 주요승직이 배치되었던 사액서원 표충사의 건립이 있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사명 유정 진영의 구성요소에 대한 분석을 종합하여, 생전에 사용한 가사 및 가사장식구, 지물 등의 유품을 표현하여 사명 유정의 모습을 사실적으로 나타내려 하였지만, 시간이 지날수록 양식이 혼용, 변용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끝으로 1기의 진영에는 불교계의 인식이 반영된 이상적인 승려의 모습을 표현하려 하였지만, 2기 및 3기의 진영에서는 유교계, 민간의 인식이 크게 반영되어 사천왕 및 시왕, 산신 등의 상호와 유사한 표현을 사용한 의승장이라는 전에 없던 유형의 불교인물상을 표현하려 하였음을 알 수 있었다. A Study on the Portraits of Monk Samyeong Yujeong(四溟 惟政, 1544-1610) This thesis is a study on the large number of portraits depicting the Joseon dynasty monk Samyeong Yujeong(四溟惟政). Of the many high priests of Buddhism represented in Korean portraiture, Samyeong Yujeong is portrayed in an abundance of extant examples that display unique sangho (相 好, expressional characteristics of the Buddha) in aspects such as facial hair. In addition to an analysis of these physical traits and their stylistic transformation over time, the text examines the principal motivation for and goal of the portraits’ creation. The results of this examination reflect a correlation between the systematic changes in Samyeong Yujeong’s appearance present in his portraits to an awareness of the different stages in the monk’s life as well as the existence of contrasting perceptions of Samyeong by the different social strata of the time. The first approach to the subject of this thesis is to review the various historical records regarding Samyeong Yujeong and his life. Through these historical records, we review the manner in which Samyeong was perceived during his life by the different social classes and religious sects of the time including Confucian or Buddhist groups, the common public, etc. The principal motivation for and goal of the portraits’ creation is also determined by a study of the Dharma lineage of the temples that house extant examples of Samyeong’s portraits as well as a comparison to other portraits of Buddhist priests produced in the same period. A total of twenty two portraits of Samyeong Yujeong are analyzed and organized by the different visual elements expressed in each example. The apparent elements include the circumstances of production, background information, sangho, attire, and the various objects depicted among other visual details. These elements are categorized into four groups and their origins are ascertained in order to chart the changes of each element in a sequential manner. As for the portraits themselves, they are separated into three periods based mainly on the expression of sangho. Finally, the main characteristics of each period and their systematic transformation are related to the varying perceptions of Samyeong that endured during and after the monk’s life. The results of this thesis show that the portraits of Samyeong Yujeong are unique in that they were created by the Pyeonyang(鞭羊) Dharma lineage active in the region of North Gyeongsang Province after the 18th century. This is an unusual event in that the Buddhist tradition dictated the assignment of such a task be given to the Jikgye Dharma lineage. At the center of the Samyeong portraits’ production is the construction of a seoak seowon(賜額書院), a confucian education institute, at the site of Pyochungsa (表忠寺) temple that served as the base of operations for the main priesthood of Dochongseop(都摠攝). In terms of the physical attributes of Samyeong portrayed in the portraits, it is clear that the initial portraits took a naturalistic approach to depicting the various articles of the deceased such as the gasa(架裟) or ceremonial robes, robe decoration, objects, etc. However, as time passed, the disparate manner of portraying these aspects were combined and transformed to take on a more stylized appearance. Thus the three periods of the Samyeong portraits can be described as an intial first phase during which the monk was portrayed as an ideal of the Buddhist faith and a second and third phase during which the portraits reflect a particularly Confucian and folk perception of the monk through the incorporation and reflection of figures such as the four heavenly guardian kings, ten kings of hell, mountain guardian spirit, etc. The last two phases are particularly noteworthy as the portraits of the two periods took on a new approach to portraying figures of the Buddhist faith to produce never before seen forms such as the uiseungjang(義僧將) or military monk general.

      • A Pragmatic Study of Euphemism in English and Chinese

        유정 忠南大學校 大學院 2017 국내석사

        RANK : 247647

        영어와 중국어의 완곡화법(婉曲話法)에 대한 화용적 연구 유정 충남대학교 대학원 영어영문학과 영어학전공 ( 지도교수 이 상 철) 완곡화법(婉曲話法)의 고안과 사용은 언어활동 중의 보편적 현상의 하나로, 영어와 중국어의 완곡화법은 동일한 의미 전달의 기능, 기피기능, 간접표현의 기능, 경의를 표하는 기능과 수사적 기능이 있고, 그 모두는 Grice의 협동의 원칙을 따른다. 완곡화법은 서로 다른 언어 중에서도 자기만의 독특한 기원과 구성방식을 가질 뿐만 아니라 발전에 있어서도 일정한 규칙이 있다. 또한 일종의 문화현상으로써 완곡화법은 중국과 서방 국가간의 풍속이나 습관 혹은 사회심리의 서로 다른 면을 반영하고 있다. 본 논문의 목적은 중국어와 영어의 언어 표현상의 차이를 비교하는 방식으로 영어와 중국어 상의 완곡화법의 구성 방식과 사용방법을 연구하여, 양자간의 접촉 시에 불필요한 번역상의 착오와 잘못된 의사 소통을 방지하고자 함에 있다. 본 논문은 공히 다섯 부분으로 구성되어 있다. 첫째 부분은 도입, 둘째 부분은 배경 연구로 중국과 외국 학자들의 완곡 화법에 관한 연구 성과와 연구 방향에 대한 고찰, 셋째 부분은 중국과 서방의 완곡화법 구성방식에 관한 비교연구로 영어에서는 표기를 바꾸거나 어순 혹은 발음, 어법이나 수사법 등의 수단을 사용해 완곡화법을 완성하지만, 중국어에서는 대부분의 사람들이 수사법을 사용한 감추어진 함의를 사용하여 완곡화법을 표현하므로 중국과 서양의 언어 사용상의 다른 점을 구체적으로 보이고자 한다. 넷째 부분은 사망, 은밀한 사생활, 신체, 성 혹은 참혹한 전쟁 등의 일부 방면에 사용되는 완곡화법을 중국과 서방의 완곡어의 사용 방식상의 차이와 응용 상의 구별을 비교함으로써 연구하고자 한다. 죽음과 연관된 완곡어법의 사용에 있어서 중국과 서방간의 문화적 차이는 서양인은 기독교에서 유래된 어휘의 사용이 많고, 중국인은 불교에서 유래한 어휘의 사용이 많은 편이다. 사적인 비밀에 관한 생각 또한 중국인과 서양인 간의 차이가 커서 서양인들은 개인의 은밀한 사생활에 관해 많은 어휘를 만들어 냈으나, 중국인들은 개개인의 사생활의 향유를 그리 중요시하지않아 나이까지도 일종의 자산으로 여기는 편이라 개인의 사생활에 관한 어휘가 그리 많지 않은 편이다. 신체와 성 생활에 관한한 영어와 중국어 모두 상당히 많은 표현이 있으며, 비교하자면 그 표현이 명확하지 않아 드러나지 않는 부분이 많으며 주로 문학 작품속에 많이 나타나며 일상에서는 거의 쓰이지 않는 편이다. 전쟁과 연관된 완곡어법은 중국과 서방 공히 모종의 사건을 통해 만들어 졌으며, 지금까지 그대로 쓰이는 경향을 발견할 수 있다. 다섯째 부분은 전체적인 결론이다. 완곡한 표현을 쓸 때에 서양인은 예의적인 면을 더 중시하지만, 중국인은 기피적 용법에 더 주안점을 둔다. 완곡화법 사용시의 준수 원칙을 알게 된다면, 언어 학습자들은 국제교류 상의 실수를 줄여, 언어상의 장애를 극복하여 그 교제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을 것 이다. 중점단어 : 완곡화법, 공손성, 화용적 기능, 문화적 차이

      • Cronbacter sakazakii ATCC 29544 의 저온증식에 관여하는 유전자 스크리닝 및 확인

        유정 전북대학교 일반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7631

        Cronobacter sakazakii is a gram-negative opportunistic pathogen, which can cause local necrotizing enterocolitis, bacteremia and meningitis. Powdered infant formula is considered to be the major transmission route for newborn infections. The ability of C. sakazakii to grow at refrigerated temperatures appears to be critical in the transmission. In order to understand its molecular mechanism for low temperature growth, we constructed transposon random mutant library and screened for decreased growth at 8oC. Plasmid recovery technique and bioinformatics analysis were used to locate and identify the insertion sites in mutants. Furthermore, extrachromosomal genetic complementation of the identified genes completely (or partially) recovered bacterial growth at low temperature. Overall, we report 14 genes that play an important role in the growth of C. sakazakii ATCC 29544 at low temperature.

      • 과학교사의 대학원 경험과 의미에 관한 사례 연구 : 과학 연구 경험을 중심으로

        유정 강원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에서는 과학 교사의 대학원 경험에 대한 이해가 필요하다는 문제의식에서 출발하여 석사 학위 논문으로 이학 논문을 작성하여 졸업한 과학 교사들의 대학원 경험에서 교육학적 의미를 찾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교사로 재직 중 대학원에 진학하였으며, 4년 이상의 학생 연구 지도 경험을 가진 과학 교사를 대상으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연구 방법은 면담 중심의 질적 사례 연구로 하였으며, 대학원 진학 동기와 대학원에서의 경험, 경험의 의미, 앞으로 꿈꾸는 미래에 관한 질문을 통해 특징을 파악하고자 하였으며 과학 연구 경험을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과학 교사들은 ‘탐구 지도의 벽에 부딪히면서’, ‘교사로서 성장하기를 위한 결심’으로 대학원을 진학하게 되었다. 따라서 교과교육학보다는 교과내용학에 대한 학습 열의가 높았으며, 이에 대학원에서의 경험도 ‘과학 연구’에 중점을 두고 이루어졌다. 과학 교사들에게 중요한 대학원의 경험은 ‘과학 연구의 맛을 보고’ ‘진짜 공부를 하며’, ‘과학 하는 사람들을 만나는 것’ 이었다. 또한 대학원 경험을 통해 ‘탐구 지도에 대한 자신감을 얻고’ ‘과학 수업을 위한 다채로운 재료를 얻었으며’, ‘과학자들과의 네트워크를 만들었다.’ 과학 교사들은 학교 현장으로 돌아간 후에도 여전히 교사로서 성장하고 있었다. ‘연구하는 교사’로, ‘과학 교사들의 리더’로 활약을 하는 중이었으며 ‘다양한 미래를 꿈꾸며’ 한발씩 앞으로 나아가는 중이었다. 이 연구를 통해 첫째, 과학 교사의 대학원 경험에 대한 심층적인 이해를 제공할 수 있으며, 둘째, 과학 교사들이 의미 있는 대학원 경험을 통해 과학 교사로서의 전문성을 발휘할 수 있도록 시사점을 제시할 수 있다. Starting with the need to understand the graduate experience of science teachers, this study attempted to find the pedagogical meaning in the graduate experience of science teachers who graduated by writing a science thesis with a master's thesis. To this end, a study was conducted on science teachers with more than 4 years of experience in student research guidance. The research method was an interview-oriented qualitative case study, and the characteristics were identified through questions about the motivation to go to graduate school, the meaning of experience, and the future of dreams, and analyzed focusing on scientific research experiences. According to the study, each student is going to graduate school with various goals, but in common, it was possible to derive “decide to grow up as a teacher” and “to face the wall of inquiry guidance”. Therefore, the enthusiasm for learning about Content Knowledge(CK) was higher than that of Pedagogical Knowledge(PK), and accordingly, the experience in graduate school was also focused on scientific research. The experiences of graduate school, which are important to science teachers, were “tasting scientific research”, “really studying”, and “meeting scientists”. In addition, through their graduate school experience, They “gained confidence in exploration guidance”, “gained a variety of materials for science classes”, and “created a network with scientists”. Science teachers were still growing as teachers after returning to the school site. They were moving forward on by one as a "teacher who researches" and as a "leader of science teachers" and as a "dreaming of various futures.“ Through this study, first, it is possible to provide an in-depth understanding of science teachers' graduate experiences, and second, it is possible to present implications for science teachers to demonstrate their expertise as science teachers through meaningful graduate experiences.

      • 非衛生 埋立地 選別土砂의 再活用性 判斷을 위한 事例硏究

        유정 서울시립대학교 도시과학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에서는 사용종료매립지의 선별/이적 처리과정에서 발생하는 선별토사를 매립지의 복토재 및 공원 식생층의 성토재, 건설현장의 건설재료로 재활용 가능성 평가를 위해서 사용종료매립지 선별토사의 환경에 미치는 유해성평가 및 지반 공학적 특성을 평가하여 선별토사의 재활용 가능성을 판단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또한 현재 이미 사용이 종료된 기종의 단순 매립지에 포한된 쓰레기층과 쓰레기층 하부 토양에 대한 유해성물질 포함 여부를 조사하여 1차적으로 인근에 위치한 위생쓰레기 매립장으로의 이전 가능성을 결정하기 위한 기본 자료를 제시하는데 있으며 더 나아가서 landfill mining에 의한 재활용 즉, 주변 공원지역이나 농지로 이동하였을 때 수목이나 작물의 생육에 미치는 영향이나 매립지 복토재로 이용시 미칠 영향 등을 판단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시하고자 한다. P매립장는 매립 경과년수가 10년 이상인 매립지로서 선별토사가 질량비로 65.32%, 부피비로 33.49%로 전체 매립폐기물의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 국내 비위생 매립지에 대한 정비사업 수행시 폐기물 매립층에 함유된 토사성분의 처리방안이 최우선적으로 검토되어야 할 것이다. 선별토사의 재활용을 위한 환경공학적 특성 분석 결과, pH는 7.3정도로 안정한 pH값을 나타내었고 토양오염에 따른 유해성 문제점이 없으므로 매립지 복토재나 공원 식생층의 성토재로 재활용이 충분히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선별토사에 대한 삼성분 분석결과 유기물함량이 10% 이내에 있는 토양에 대해서는 매우 안정화 되어 있다는 것을 근거로 하면 선별토사의 유기물함량이 약 7%로 나타나 일반토양으로의 처리가 가능하다고 판단된다. 선별토사에 대한 용출시험결과 비소, 납, 구리, 6가 크롬 모두 지정폐기물 판정 기중치보다 훨씬 낮은 미미한 양이 용출되었으며 토양기준법에 따른 유해물질 분석 결과도 우려기준보다 낮게 나타나 중금속 등 유해물질에 의한 환경적 영향은 없을 것으로 판단된다. 선별토사의 이물질 함유량은 평균 0.79%로 나타나 폐기물관리법(부피 기준으로 1% 이하)에 준하는 복토재 등으로 재활용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선별토사와 일반토사를 일정비율로 혼합하여 일축압축강도를 측정한 결과, 선별토사에 대해 일반토사를 적절하게 75% 이하로 혼합하면 복토재 및 토목재료로서 활용가능성이 있다고 판단된다. 또한, 선별토사의 투수계수는 일반토사의 투수계수 보다 약 1.5배 낮게 나타나 선별토사 및 선별토사와 일반토사의 혼합토를 도로 성토재 및 복토재로 활용할 때 강우 및 지하수의 침투 등에 대한 지반공학적 문제점은 일반적으로 건설 현장에서 사용하는 토사와 별 차이가 없을 것으로 판단된다. 이상과 같은 선별토사에 대해 환경에 미치는 유해성평가 및 지반공학적 특성을 평가한 결과를 종합해 볼 때 사용종료매립지 복원시 발생하는 선별토사는 인근지역에서 채취된 일반토사와 특성차이가 크지 않은 안정화 상태로 조사 되었다. 하지만 선별토사가 매립지 복토재 및 타용도로 사용 가능여부에 대한 기준이 강화될 시 생태계 및 인체에 미치는 영향을 판단하기 위한 어독성 테스트와 같은 기준 항목을 추가적으로 연구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The P landfill was constructed in 1990 and has been reclaimed by 2000. The P landfill is a small unsanitary landfill which does not equipped with environmental controlling system like leachate treatment facility and smell or landfill gas controling system. The expired landfill soil was studied to estimate the possibility of reuse for cover soil, embarked material for public park, and construction material. The researches include risk assessment at the fields and the characterization of landfill-mined soil for ground engineering purpose. 1. According to the three component analysis, the P landfill soil contains 7% organic material and 71% ash indicating that soil is very stabilized and usable like fresh soil. 2. Elution test for the landfill-mined soil suggests that As, Pb, Cu, and Cr6+ were observed at the concentration of 0.01mg/L, 0.27mg/L, 0.09mg/L, and 0.01mg/L, respectively, which is much lower in concentration compare to the specified waste elution criteria. Also, low toxicant concentrations based on the allowable criteria of Soil Environment Conservation Act were observed by Soil Pollution Standard Process Test, indicating no significant adverse effect when reused. 3. Batch tests with landfill-soil were performed to estimate the metal adsorption capacity of the landfill-mined soil indicating higher adsorption capacity at pH 7 compare to pH 5 regardless of the soil amount added. The maximum removal rate of 47.2% was observed at pH 7 with 10g of landfill-mind soil. 4. The average foreign material content was 0.79% which is satisfactory to the Waste Control Act regulating 1% foreign material content by volume. The particle size observed was shown to be favorable in reuse and very similar to the fresh soil in the vicinity and showed 60.24 uniformity coefficient and 0.88 curvature coefficient. The specific gravity of the landfill-mined soil was 2.52 similar to the fresh soil showing 2.49, indicating the stability of the landfill waste. 5. The compressive strength test for both landfill-mined and fresh soil shows that the landfill-mined soil(0.82 kg/cm2) overwhelms the fresh soil(0.47 kg/cm2) by 1.7 fold. From this result, the mixture of 25% landfill-mind soil and 75% fresh soil was proved to be appropriate for cover soil or civil engineering material. Conclusively, through the risk assessment or ground engineering viewpoint, the landfill-minded soil from P landfill was proved to be similar in characteristic to the fresh soil in the vicinity and in the stabilization stage. Therefore, the landfill-mined soil is fairly applicable to the cover soil, embarked material for public park, and construction material.

      • 한국어 문장에 나타난 초점의 운율적 특징

        유정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247631

        문장 속의 새로운 정보가 주어진 부분을 초점이라고 정의하고, 대화 상에서 나타나는 초점은 의미론적인 특징 뿐만 아니라 소리에도 뚜렷한 특징이 드러날 것 이라고 가정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초점을 유도하는 질문과 그에 대응하는 대답으로 이루어진 대화쌍을 실험문장으로 만들어서 실험참가자에게 녹음하게 한 뒤, 이를 음성분석 프로그램인 praat와 운율 기술 시스템인 K-ToBI(Korean Tone Break Indices)로 분석하였다. 초점을 분석할 때에는 낱낱의 소리보다는 초분절음(강세, 길이, 피치, 성조 등)에 중점을 두어 관찰하였다. 좁은 초점에서는 대체로 초점과 강세에는 상관관계가 나타나지 않았다. 길이는 초점이 아닌 경우에 비해 1:1.1의 비율로 늘어났다. 초점 전 강세구의 길이는 초점 전 강세구가 아닌 경우에 비해 1:1.5의 비율로 늘어났으며 75%가 억양구로 실현되었다. 우리말에는 초점에 강세가 실현되지 않는 대신 초점 앞이 문장단위로 끊어읽음으로써 초점을 두드러지게 하는 경향이 있다고 해석된다. 넓은 초점에서도 핵심어에 강세가 나타나지 않았다. 우리말은 초점의 위치와는 상관없이 발화의 첫머리에 강세가 주어진다는 사실을 발견하였다. A focus being defined as the part in a sentence where new information is given, it is assumed that foci in verbal communications show distinctive prosodic features as well as semantic ones. This research examined the hypothesis by recording and analyzing spoken Korean sentences which participants were required to read aloud carefully. Sentences were given in pairs and each pair contained a question inducing a certain focus and an answer to it. PRAAT and K-ToBI (Korean Tone Break Indices), a phonetic analysis program and a prosodic descriptive system respectively, were used in analyzing the data. Suprasegmental features -- stress, duration, pitch and tone -- were investigated in priority to detailed physical features of separate sounds. Generally, a narrow focus didn’t show any special correlation with stress, but had longer duration in proportion of 1:1.1 in comparison to non-focused parts. An accentual phrase before a focus showed 1onger duration in the ratio of 1:1.5, and 75% of accentual phrases were actualized as intonational ones. It is suggested that a focus in Korean sentences becomes distinct not by being embodied with stress, but by remarking an accentual phrase before it as pause in an intonational phrase, which is quite different from the cases in English. Broad foci also were not stressed. Korean sentences were observed to have a stress at the beginning of an utterance irrespective of focu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