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사립대학 직업형 학과행정조교의 직무동기와 직무만족도 연구

        유예인 숭실대학교 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1855

        본 연구는 대학 직업형 학과행정조교의 직무동기가 직무만족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구체적인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 직업형 학과행정조교의 직무동기는 인구통계학적 배경변인에 따라 어떠한 차이가 있는가? 둘째, 대학 직업형 학과행정조교의 직무만족도는 인구통계학적 배경변인에 따라 어떠한 차이가 있는가? 셋째, 대학 직업형 학과행정조교의 직무동기는 직무만족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연구 목적 달성을 위해 서울에 위치한 4년제 사립 대학교에서 직업으로 학과 행정업무를 수행하고 있는 조교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총 253부의 설문지가 연구 자료로 사용되었다. 수집된 자료는 빈도분석, 두 독립표본 t-test, 일원배치분산분석(one-way ANOVA)과 LSD검정(least significant difference), 다중회귀분석(multiple regression analysis)을 실시하여 분석하였으며,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 직업형 학과 행정조교의 연령, 현 직장 근무기간, 담당학과 교원 수, 월 급여 수준, 학과 내 직업형 학사조교 수에 따른 직무동기의 차이가 있었다. 둘째, 대학 직업형 학과행정조교의 성별, 연령, 최종학력, 현 직장 근무기간, 담당 학과 계열, 월 급여 수준, 학과 내 직업형 학사조교 수에 따른 직무만족도의 차이가 있었다. 셋째, 대학 직업형 학과행정조교의 직무동기와 직무만족도 간에는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었으며, 이 중 동일시 동기가 가장 강한 영향력을 가지고 직무만족도에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밝혀졌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토대로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개인특성에 의해 가장 많은 영향을 받는 직무동기는 내재적 동기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둘째, 대학 직업형 학과행정조교들의 직무만족도는 일부 개인특성에 따라 차이가 있었지만, 긍정적 동료관계와 긍정적 관계가 있었다. 셋째, 동기유형 중 무동기와 같이 직무를 수행함에 있어 자발성 및 내면화의 정도(동기 수준)가 낮다고 해서 직무에 대한 만족감까지 낮지 않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work motivation and job satisfaction of the department administrative assistants in private universities. Specifically,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relation between work motivation and job satisfaction of the participants. This research questions are as follows : First, are there any differences in work motivation of the department administrative assistants based on the demographic factors? Second, are there any differences in job satisfaction of the department administrative assistants based on the demographic factors? And third, what does the work motivation influence the job satisfaction of the department administrative assistants? A quantitative study was conducted of 253 administrative assistants in Seoul. 202 women and 51 men ranging in age twenty to forty were participated through a survey. The data were analyzed by means of SPSS 18.0, frequency analysis, two independent samples t-test, one-way ANOVA, LSD multiple range test, simple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Data analysis revealed that: first, there was difference in work motivations of the participants depending on demographic factors such as age, work period, the number of professors in department, salary, and the number of colleagues. Second, there was difference in job satisfaction of the participants depending on demographic factors such as gender, age, academic ability, work period, major of the work department, salary, the number of colleagues. Third, there were meaningful correlation between the motivation and satisfaction of participants. Three major conclusions were drawn from the findings of this study. First, intrinsic motivation is one of the most critical work motivation factors which are influenced by the demographic factors. Second, with regarding to job satisfaction, there are some differences in demographic factors, and there is a positive relationship with interpersonal relationship with other department administrative assistants. Third, the degree of amotivaion of the assistants has no impact on their job satisfaction.

      • 평생학습동아리 리더의 리더십 역량모델링 및 교육요구도 분석

        유예인 숭실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박사

        RANK : 1855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leadership competencies and behavioral indicators of lifelong learning circle leaders and to analyze their degree of educational needs regarding the leadership competencies. Three research questions were presented for this purpose. First, what are the leadership competencies and behavioral indicators which a lifelong learning circle leader should have? Second, what are the educational needs regarding the leadership competencies of the lifelong learning circle leader? Third, are there any differences in the educational needs of the lifelong learning circle leader according to the background variables? The leadership competency model of the lifelong learning circle leader proceeded according to the classical competency model procedure of Spencer and Spencer(1993), but proceeded by adding the elements of the competency model development method of Lucia and Lepsinger(1999). First, the behavioral event interview(BEI) and focus group interview(FGI) was implemented in order to identify the behavior characteristics of the excellent lifelong learning circle leader and a tentative competency model was derived through this. And then the delphi method was implemented two times to twenty experts in order to review the validity regarding the tentative competency model. The result of the Delphi method was statistically processed by items, the mean, standard deviation, CVR, etc were analyzed, and based on this the leadership competency model of lifelong learning circle leader was completed. Surveys were conducted to analyze the educational needs regarding the leadership competency of the lifelong learning circle leader. The survey was conducted to lifelong learning circle leaders in a metropolitan area and a total of one hundred eighty-two surveys were used as the research data.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according to the educational needs analysis procedure which Cho(2009) proposed, and were analyzed using frequency analysis, paired t-test, Borich’s(1980) needs assessment mode, and the locus for focus model of Mink and others(1991).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as for the leadership competencies for the lifelong learning circle leader there are the ability to bond, the ability to control conflict, the ability to control emotion, the ability to manage budget, the ability to give learning motivation, the ability to lead by example and to accept sacrifice, the ability to collect and share information, the ability to manage human resources, the ability for self development, the ability to contribute to the local community, the ability to network with other lifelong learning institutions, the ability to create a learning atmosphere, and the ability to administer and fifty behavioral indicators were derived. Second, among the derived thirteen leadership competencies, the competencies that a lifelong learning circle leader should acquire as top priority are identified as ‘the ability to create a learning atmosphere’, ‘the ability to bond’, ‘the ability to network with other lifelong learning institutions,’, and ‘the ability to contribute to the local community.’ Third, as the result of analyzing the educational needs regarding the competency of lifelong learning circle leader according to the background variable(gender, age, total leadership experience, years of formation of the lifelong learning circle, number of members, activity type)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groups in leadership experience, years of formation of the lifelong learning circle, and activity type. The conclus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leadership competency model of the lifelong learning circle leader sufficiently reflects the characteristics of the lifelong learning circles. Second, this study raises the need to consider the leadership competency in selecting a lifelong learning circle leader to the lifelong learning circle operation organization or to the person in charge. Third, this study highlights the need to develop and operate a customized curriculum considering the leadership experience, years of formation of the lifelong learning circle, and activity type to improve the leadership competency of the lifelong learning circle leader. Fourth, the results of this study highlights the need to extend the concept of competency as a concept which derives through the interaction with the environment surrounding an individual rather than simply a collection such as knowledge, skills, attitudes which an individual has. 본 연구의 목적은 역량모델링을 통해 평생학습동아리 리더의 리더십 역량과 행동지표를 도출하고, 리더십 역량에 대한 교육요구도를 분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세 가지의 연구문제를 제시하였다. 첫째, 평생학습동아리 리더가 갖추어야 할 리더십 역량과 행동지표는 무엇인가? 둘째, 평생학습동아리 리더의 리더십 역량에 대한 교육요구도는 어떠한가? 셋째, 평생학습동아리 리더의 교육요구도는 배경변인에 따라 어떠한 차이가 있는가? 평생학습동아리 리더의 리더십 역량모델링은 Spencer와 Spencer(1993)의 고전적 역량모델링 절차에 따라 진행하되, Lucia와 Lepsinger(1999)의 역량모델 개발 방법의 요소들을 추가하여 진행하였다. 먼저 우수 평생학습동아리 리더의 행동특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행동사건면담과 초점집단면담을 실시하였으며, 이를 통해 잠정 역량모델을 도출하였다. 이후 잠정역량모델에 대한 타당성을 검토하기 위하여 전문가 20명을 대상으로 두 차례에 걸쳐 델파이 조사를 실시하였다. 델파이 조사 결과는 항목별로 통계처리하여 평균, 표준편차, CVR 등을 분석하였으며, 이를 토대로 평생학습동아리 리더의 리더십 역량모델을 완성하였다. 평생학습동아리 리더의 리더십 역량에 대한 교육요구도를 분석하기 위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조사는 수도권에서 활동하고 있는 평생학습동아리 리더들을 대상으로 진행하였으며, 총 182부의 설문지가 연구 자료로 사용되었다. 수집된 자료는 조대연(2009)이 제안한 교육요구도 분석 절차에 따라 분석하였으며, 빈도분석, 대응표본 t 검정, Borich(1980)의 요구도 공식, Mink 외(1991)의 The Locus for Focus Model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평생학습동아리 리더의 리더십 역량으로 ‘유대감 형성능력’, ‘갈등조정능력’, ‘감정조절능력’, ‘예산관리능력’, ‘학습동기부여능력’, ‘솔선수범 및 희생감수능력’, ‘정보수집공유능력’, ‘인적자원 관리능력’, ‘자기개발능력’, ‘지역사회 공헌능력’, ‘유관기관 네트워킹능력’, ‘학습분위기 조성능력’, ‘행정능력’과 50개 행동지표가 도출되었다. 둘째, 도출된 13개 리더십 역량 중 평생학습동아리 리더가 우선순위로 갖추어야 할 역량은 ‘학습분위기 조성능력’, ‘유대감 형성능력’, ‘유관기관 네트워킹능력’, ‘지역사회 공헌능력’으로 확인되었다. 셋째, 평생학습동아리 리더의 역량에 대한 교육요구도를 배경변인(성별, 연령, 총 리더경력, 학습동아리 결성연차, 회원 수, 활동유형)에 따라 분석한 결과에 리더경력, 평생학습동아리의 결성연차, 활동유형에서 집단 간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평생학습동아리 리더의 리더십 역량모델은 평생학습동아리의 특성을 충분히 반영하고 있다는 점이다. 둘째, 본 연구는 평생학습동아리 운영 기관 또는 담당자들에게 평생학습동아리 리더를 선발함에 있어, 리더십 역량을 고려해야 한다는 필요성을 제기해준다는 점이다. 셋째, 본 연구는 평생학습동아리 리더의 리더십 역량 향상을 위해 리더경력, 평생학습동아리 결성연차, 활동유형을 고려한 맞춤형 교육과정을 개발하고 운영해야 할 필요성을 제기해준다는 점이다. 넷째, 본 연구의 결과는 역량이라는 개념이 단순히 개인이 가지고 지식, 기술, 태도 등의 집합체라기보다, 개인을 둘러싸고 있는 환경과의 상호작용을 통해 도출되는 개념으로 확장될 필요성이 있다는 점을 제기해 준다.

      • 한국 성형외과 병원들의 마케팅 활동과 병원특성이 중국인환자 유치성과에 미치는 영향

        유예 강원대학교 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1839

        세계적으로 성형수술은 대중화되면서 독자적인 산업으로 성장하고 있고 산업화 되었다. 특히 대한민국은 인구1000명당 13.5건의 성형수술을 해서 전 세계에서 성형수술을 가장 많이 하는 국가가 되었다. 한국의 미용성형 관련 의료기술 발전과 상대적으로 합리적인 의료비용 및 한류열풍의 확산으로 인해 중국, 일본의 성형에 관심이 많은 환자들도 성형수술을 받기 위해 한국을 방문하는 환자수가 증가하고 있다. 국내 환자들과 달리 해외환자들은 한국 성형외과에 대한 전반적인 정보부족 등으로 인해 시술을 받고자하는 성형외과를 선택하는데 있어서 국내 환자들과는 달리 다양한 정보나 요소들을 고려하기 때문에 병원들은 외국인 환자 유치를 위해서는 외국환자들의 요구사항이나 특성에 부합할 수 있는 마케팅 활동이나 병원특성을 갖추는 것이 중요하다. 최근 중국인 관광객들은 단순한 유명지에 대한 관광을 넘어 의료와 관광을 결합한 의료관광을 선택하는 경우가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외국 환자들의 한국 성형외과 병원에 대한 수요 증가로 인해 한국 성형외과 병원들도 중국인 환자유치를 위한 적극적인 마케팅 활동을 전개하고 있다. 본 연구는 한국성형외과들의 병원특성 및 마케팅 활동특성과 중국인환자 유치성과관계에 대한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 연구를 했다. 외국인환자 유치병원으로 등록한 서울소재 266개 성형외과 병원들을 대상으로 마케팅활동과 병원특성이 중국인환자 유치성과에 미친 영향을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 병원 특성 중에서는 업력과 중국인환자 유치성과간의 관계는 역U자형 관계가 나타나고 있어 병원 업력이 오래되거나 신생 병원보다는 일정수준의 업력을 갖춘 병원들의 성과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원장수로 측정한 병원규모는 클수록 중국인환자 유치성과에 정의 유의한 영향관계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성형외과 병원의 강남지역 위치 여부나 타과 병행진료 여부는 중국인환자 유치성과와 유의한 영향관계를 보이지 않았다. 성형외과 병원들의 마케팅활동과 중국인환자 유치성과는 변수에 따라 다른 결과가 나타나고 있다. 중국어 홈페이지 보유여부나 SNS서비스인 QQ계정보유 여부는 중국인환자 유치성과에 유의한 영향관계를 보이지 않은 반면, 최근 활용도가 증가하고 있는 SNS서비스인 위챗(wechat)이나 웨이보(weibo)는 중국인환자 유치성과에 정의 유의한 영향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홈페이지상의 온라인상 여부와 대중매체인 Let미인 출연여부는 중국인환자 유치성과에 정의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중국에이전트 활용여부는 중국인환자 유치성과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는 한국 성형외과 병원들의 중국인환자 유치성과에 있어서 병원특성과 다양한 마케팅활동의 영향관계를 실증적으로 분석한데 연구의의의가 존재한다. 본 연구는 연구대상과 방법론에서의 여러 한계점이 존재하며 향후 연구를 통해 보다 일반화되고 정교한 연구결과로의 추가적인 연구필요성을 제시하였다.

      • 가상악기 공개소프트웨어를 활용한 기악수업 연구

        유예 경희대학교 교육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1839

        가상악기 공개소프트웨어를 활용한 기악수업 연구 유예정 경희대학교 교육대학원 음악교육전공 (지도교수: 강형규) 우리나라 중고등학교 음악과 교육과정에서는 다양한 영역에 걸쳐서 여러 가지 기악활동이 제시되어 있다. 실제 학교 수업에서도 기악 수업은 가창 수업과 더불어 많은 부분을 차지하는 음악 실기 중 하나이다. 그러나 교육과정이나 교과서에서 제시하고 있는 다양한 악기들을 실제 학교 현장에서 모두 지도하기에는 교사의 역량과 예산, 공간 등의 많은 제약이 따르는 것이 현실이다. 본고에서는 이 같은 제약에서 자유로워지고 학생들로 하여금 보다 다양한 악기의 체험과 더불어 컴퓨터 음악의 기초를 다질 수 있도록 하는 방법으로 가상악기를 활용한 기악수업을 연구하였다. 그 중에서도 이용에 제한 없이 무료로 사용할 수 있는 프리웨어를 이용하여 비용적인 면을 고려할 필요 없이 어떠한 학교 환경에서도 손쉽게 활용할 수 있도록 하였다. 이를 위해 먼저 2009 개정 교육과정 음악과의 기악 영역과 컴퓨터 음악 영역을 분석 하고 다양한 관련 문헌과 연구 논문을 참고하여 가상악기를 활용하기 위해 필요한 관련 소프트웨어와 프리웨어에 관한 개념을 정리 하였다. 또한 다양한 가상악기와 VSTi Host프로그램의 종류에 대하여 연구하고 이 중 학생들이나 교사가 간편하고 쉽게 사용할 수 있는 프로그램을 중심으로 연구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실제 가상악기와 VSTi Host프로그램을 연동시켜 실제 수업시간에 활용할 수 있도록 프로그램 설정 방법 등을 연구하고 가상악기를 활용한 기악수업에 대한 교수·학습 지도안을 제시하였다. 교수·학습 지도안은 2차시에 나누어 제시하였으며 1차시는 가상악기와 이에 관련된 소프트웨어에 대한 이해를 중심으로 구성하였으며 2차시는 가상악기를 활용한 기악활동에 초점을 두어 여러 가지 가상악기의 연주와 합주를 할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이를 통해 학생들이 다양한 악기의 체험과 더불어 컴퓨터를 활용한 가상악기를 학습함으로써 음악과 교육과정에서 제시하는 ‘음악과 매채’ 영역에 부합하는 컴퓨터 음악의 기초를 자연스럽게 학습할 수 있도록 하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학생들이 다양한 악기를 경험해 볼 수 있는 것은 물론, 학교 현장에서 접하기 힘든 악기 연주나 합주를 통하여 보다 넓은 음악적 경험과 이해를 쌓고 더불어 컴퓨터 음악에도 한 걸음 가까워지는 초석을 쌓는 데 도움이 되기를 기대해 본다.

      • Rough Average Value Calculation을 사용한 분류 기반 움직임 추정 알고리즘

        유예 울산대학교 2009 국내석사

        RANK : 1839

        In this paper, a new sorting-based motion estimation algorithm by using Rough Average Value Calculation is proposed. To reduce the calculation time for SAD to accelerate motion estimation, this new algorithm adopts the principle of partial distortion elimination algorithm, and makes use of image characteristic that pixel matching errors with similar magnitude tend to appear in clusters for natural video sequences; to further reduce computational complexity, the rough average value calculation is defined. In our experiment, proposed algorithm was applied to five groups of different video sequences. Simulation results showed that proposed algorithm reduced about 2.8% and 23% computational cost than conventional algorithm; PSNR of proposed algorithm decreased only 0.034 dB and 0.015 dB which were almost negligible. Base on analysis, proposed algorithm can be combined with other fast motion estimation algorithms to achieve further improvement of motion estimation.

      • 중한 법률 텍스트 번역의 오류 연구 : <중화인민공화국 도로교통안전법>을 중심으로

        유예 韓國外國語大學校 大學院 2021 국내석사

        RANK : 1839

        한국 법제처 산하 세계법제정보센터에 제공하는 <중화인민공화국 도로교통안전법>의 한국어 번역본은 정확하고 높은 수준으로 법조문 번역이 이루어지지 못한 상황이며, 이로 인하여 정보성과 규범성을 가진 법률 텍스트가 기능을 발휘하지 못하고 번역의 의미를 상실한 것으로 판단된다. 이에 본고는 이러한 한계점을 극복하기 위해 <도로교통안전법>의 중국어 원문과 번역본을 분석 대상으로 삼아 번역본을 중심으로 어휘 및 문장 두 차원에서 법률 텍스트 번역에 나타난 오류를 분석하고 수정함으로써 정확하고 완전한 법률 정보를 전달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아울러 전문어인 법률 언어를 번역할 시에 어떻게 원문의 특징을 훼손하지 않으면서 법적 구속력과 법적 효력을 내포하여 번역하는지, 그리고 법조문에 빈번하게 나타나는 어휘와 관용표현으로 어떠한 것이 있는지에 대하여 연구하고자 한다. In our lives, Road Traffic Safety Law of the People's Republic of China is one of the most used traffic institutions in China. In recent years, follow the foreign trade grouth and social development between China and Korea, more and more Korean people come to China for living. Road Traffic Safety Law is closely related to our lives everyone who lives in China should to follow it. But actually the translation in Chinese and Korean of the Road Traffic Safety Law is not accurant in some places in especially sentence and vocabulary. Legal texts translation needs to be more accurant than any other text and the translators should to recognize that the the legal texts play the important role in social. For this reason to find the errors and correct it is the purpose of the study. This dissertation was divided into 5 chapters, Chapter 1 is introduction. It recommend the aim of the study, background of the study and the approaching of the research. Chapter 2 includes the theories about the legal language and the errors. Chapter 3 dedcribe the errors based on Road Traffic Safety Law of the People's Republic of China. And the chapter 4 and 5 compare the source text with the target text and analyzes the errors to show the crorrect translation. Chapter 6 summarizes the results of the study, and delineates its limitations and significance. The study is significiant in that by showing the correct translation to increase the level of the legal text translation make people better understand the meaning of the law.

      • 쫑쥔쳉(鐘峻程)의 교향악 작품에 나타난 광시 민속음악 소재 연구 : 제4번 교향곡 <신생명(新生命)> 및 제9번 교향곡 <전쟁과 평화(戰爭與和平)>를 중심으로

        유예 상명대학교 일반대학원 2022 국내박사

        RANK : 1839

        Composer Zhong Juncheng(1954—) is a famous Chinese composer, professor of composition at Guangxi Arts University, and artistic director of the China-ASEAN Music Festival. His compositions include symphonies, symphonic poems, concertos, chamber music, operas, vocal works, and film and television music. He is one of the Chinese composers with the most compositions (especially large-scale works). In his works, he is good at us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combination of Guangxi folk music materials and Western techniques. His music reflects the international style, modernity and Guangxi nationality in China, which makes his works popular among modern Chinese composers. Among his many works, he shows a distinctive musical temperament. Since 2013, Zhong Juncheng has started to create symphonies in series. As so far, he has composed 11 symphonies, and each symphony has successfully held its premiere concert. The fourth symphony New Life and the ninth symphony War and Peace are two representative works in the series of works created by Zhong Juncheng for the China-ASEAN Music Festival. In terms of subject matter, both works express the composer’s perception of life and love; From a genre point of view, both belong to the current mainstream style of orchestra writing. In the two works, the composers have extracted the elements of Guangxi folk music, and penetrated into the horizontal melody development, vertical harmony composition and voice organization relationship of the works, and permeated the atonal modern musical tonal thinking. At the same time, it incorporates traditional Chinese folk tone elements, showing a unique personal style and folk characteristics. This thesis mainly includes four parts: The first part mainly discusses the creative career and creative concept of the composer Zhong Juncheng. The second part summarizes the basic characteristics of Guangxi folk music from the aspects of mode, interval and harmony. The third and fourth parts belong to the analysis of music technology. First, the third part discusses the application of the theme melody of the two works to Guangxi folk music. Secondly, the fourth part takes harmony as the starting point, and discusses the modern harmony language that adapts to the Guangxi folk music style of the two works. Through the above in-depth research, the overall creative characteristics of the works are revealed, and the composer’s creative technical style and creative concept characteristics are further explored. Based on musical scores and audio data, combined with music theoretical knowledge, the works are analyzed in depth and detail, and the characteristics of music techniques from part to whole, micro to macro, common to individual are refined to reflect Zhong Juncheng’s symphony works on Guangxi folk music. The creative use of elements enhances the understanding of Zhong Juncheng’s creative style and characteristics. Keywords: Zhong Juncheng(鐘峻程), Symphonic, Symphony No.4 "New Life”, Symphony No.9 “War and Peace, Guangxi Folk Music 작곡가 쫑쥔쳉(鐘峻程 1954년-)은 중국 광시예술대 작곡 교수, 중국-아세안 음악제 예술감독으로 알려져 있으며, 교향곡, 교향시, 협주곡, 오페라 등의 대규모 편성작품들을 가장 많이 창작한 중국 작곡가 중 한 명이다. 본 논문은 쫑쥔쳉(鐘峻程)의 4번 교향곡 <새생명(新生命)>과 9번 교향곡 <전쟁과 평화(戰爭與和平)>를 중심으로, 그의 교향악 작품에 나타난 광시의 민속음악 소재에 관해 연구한다. 2013년부터 지금까지 쫑쥔쳉(鐘峻程)은 11편의 교향곡을 작곡했는데, 모두 초연에 성공했다. 4번 교향곡 <새생명(新生命)>과 9번 교향곡 <전쟁과 평화(戰爭與和平)>는 그가 중국-아세안 음악제를 위해 만든 시리즈 작품 중 가장 대표적인 두 곡이다. 제재 면에서 <새생명(新生命)>과 <전쟁과 평화(戰爭與和平)> 두 작품 모두 쫑쥔쳉(鐘峻程)이 ‘생명’과 ‘사랑’에 대한 깨달음을 표현한 작품이다. 본 연구에서는 이 작품들의 창작 시기, 창작 사조, 형식구성, 작곡기법, 음악양식 등 다양한 음악적 측면을 다루는데, 주제선율, 음소재, 화성 등 음악 구성요소의 분석을 시작으로 이 두 교향악 작품에서 독창적으로 활용된 광시의 민속음악 소재를 탐색한다.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이 네 부분으로 구성된다. 첫 번째 부분은 작곡가 쫑쥔쳉(鐘峻程)의 작품창작 시기 및 창작 사조에 관해 서술하고, 그의 두 교향악 작품 <새생명(新生命)>과 <전쟁과 평화(戰爭與和平)>를 소개한다. 두 번째 부분은 선법, 음정, 화성 등에 나타난 광시 민속음악의 특징을 도출한다. 세 번째와 네 번째 부분은 음악분석을 중점적으로 다루는데, 세 번째 부분에서는 두 작품의 주제 선율에 활용되는 광시 민속음악 소재를 살펴보고, 네 번째 부분에서는 화성을 중심으로 광시 민속음악 소재와 융합하는 쫑쥔쳉(鐘峻程)의 현대화성 어법에 대해 고찰한다. 이와 같은 연구를 통해, 두 교향악 작품에서 광시의 민속음악 소재를 현대 작곡기법과 창조적으로 융합한 쫑쥔쳉(鐘峻程)의 음악어법을 재정립함으로써, 그의 창작 사조 및 작곡 방식을 이해하는 새로운 토대를 형성하고자 한다. 특히 광시 민속음악 요소들의 활용에 있어, 후속 작곡가들과 연구자들에게도 가치 있는 참고 자료를 제공할 것이다.

      • 원천소스로서 무속신앙 활용방안 연구 : 웹툰<신과 함께>분석을 중심으로

        유예 한양대학교 2015 국내석사

        RANK : 1839

        국문요약 문화콘텐츠 산업의 영역에서 원천소스 활용의 중요성은 이미 활발하게 논의된 바 있다. 원천소스 중 무속신앙은 다양한 세부 구성 요소들의 활용 가능성, 역사성을 통한 대중들의 익숙함, 경전(經典)과 통일된 형식의 부재에 의한 원형 변형의 상대적 자유로움이라는 가치를 가지고 있다. 이러한 가치를 지닌 무속신앙은 현재 문화콘텐츠로 활발하게 생산되고 있다. 그러나 기존의 활용 방법은 주로 무속신앙의 선정적, 자극적 요소에 집중하였기에 무속신앙에 누적된 부정적 인식을 탈피하는 데는 한계가 있었다. 본고는 원천소스로서 무속신앙을 활용한 작품 중 위와 같은 한계를 극복하여 무속신앙 활용의 성공사례를 보여준 <신과 함께>의 텍스트 분석을 중심으로 새로운 활용 방안을 제안하는데 목적이 있다. 텍스트 분석 결과를 통해 <신과 함께>의 무속신앙 활용 전략을 살펴본 결과 1) 무속신앙과 대중장르의 창의적 결합, 2) 무속서사의 선한 체험 변주, 3) 무속신앙의 현재성 강화, 4) 무속신앙을 통한 지혜의 신화화 등의 전략을 사용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신과 함께>에서 다루고 있는 무속신앙은 웹툰이라는 대중장르로 구현되면서 기존 무속신앙에 내재되어 사람들에게 거부감을 주는 요소들을 탈락시켰고, 무속신앙에 등장하는 시공간과 사건을 현재형으로 변화시켜 동시대 독자들의 관심을 환기하였으며, 선정적이고 자극적인 갈등을 배제하고 선한 캐릭터들의 선한 행위를 통해 감정적 정화를 가능하게 하는‘선한 체험’을 제공하면서 무속신앙에 내포된 지혜와 교훈을 대중들에게 효과적으로 전달하였다. <신과 함께> 텍스트 분석 결과를 통해 제시할 수 있는 무속신앙의 원천소스 활용 방안은 다음과 같다. 1) 원천소스의 활용 가능 요소의 추출, 2) 무속서사의 현재성 강화, 3) 무속신앙의 보편성 부각, 4) 무속신앙의 지혜 대중화 등이다. 예시한 활용 방안을 바탕으로 다양한 장르에서 무속신앙을 원천소스로 활용한 성공적인 콘텐츠들이 개발되기를 기대해 본다. 주제어: <신과 함께>, 문화콘텐츠, 원천소스, 무속신앙, 스토리텔링

      • 김광석스토리하우스의 쌍방향 노래 부르기 체험 설계 연구

        유예 건국대학교 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1839

        1996년에 김광석이 세상을 떠난 지 20년의 세월이 지났다. 1980-90년대에 김광석은 그 시대의 사람들에게 음악을 통해 많은 위로를 주었다. 그리고, 현재까지 많은 콘텐츠들이 김광석을 소재로 만들어지고 있다. 2017년에 김광석의 고향인 대구에서 사람들이 그의 모습을 영원히 남기기 위해 한국에서 최초로 현대 가수를 위한 인물기념관 - 김광석스토리하우스를 건설하였다. 김광석스토리하우스는 그의 인생과 경험을 주제로 한 전시관이다. 이 전시관은 전통적인 전시기법을 많이 사용하였기 때문에 관람하고 나서 깊은 인상을 남기지 못하여 관람객에게 아쉬움을 남길 수 밖에 없다. 본 연구는 체험전시의 특성, 구조, 매체를 분석하여 김광석스토리하우스에 적합한 체험 전시를 도출하기 위한 연구를 하였다. 김광석스토리하우스에서 그의 노래, 생애 등의 소재는 후세들에게 쉽게 이해하고 기억할 수 있는 콘텐츠 특성을 표현하도록 연출되고 목적에 적합한 메시지로 전달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 김광석스토리하우스의 쌍방향 체험을 선정하였다. 체험 전시를 설계하려면 스토리텔링 구조가 되어야 한다. 김광석의 노래는 대부분 일상생활을 소재로 하였다. '김광석의 인생 이야기 - 여행 이야기 - 노래 이야기' 이런 식으로 전시관에서 전시를 하게 되면 김광석의 완전한 삶을 볼 수 있다. 이 스토리라인에 따라 본 연구에서 제시하는 김광석스토리하우스의 전시 체험 노래 부르기 콘텐츠는 김광석의 노래뿐만 아니라 그의 삶에 대한 이해도 관람객에게 제공할 수 있도록 한다. KimKwang-seok Story House Interactive Singing Experience Design Yu, Ye Department of Cultural Contents & Communication Science Graduate School of Konkuk University It has been over 20 years since KimKwang-seok passed away in 1996. In the 1980s, KimKwang-seok gave comfort to most people in that time through his music. So far many theme contents are made based on KimKwang-seok. In his hometown Daegu, to memorize him, people built a memorial museum which is the first museum built for a modern singer in South Korea in 2017- KimKwang-seok Story House. The KimKwang-seok Story House is an exhibition hall designed as per his life experience. Therefore, the House is built in traditional displaying style, which cannot leave a deep impression to people but regret. Today with advanced technology, many displays are exhibited through science and technology. This paper tries to find out experience display corresponding to KimKwang-seok Story House through analyzing features, structure and medium of experience display, which is also the objective of this research. In KimKwang-seok Story House, to be better understood by visitors, the KimKwang-seok’s singing career should be displayed with its features and sent through relevant message. The author chooses interactive experience of KimKwang-seok Story House. To design experience display, story structure should be set first. Since the songs of KimKwang-seok are mostly based on daily life, if the exhibition is displayed with structure of “KimKwang-seok’s life story-traveling story-singing life”, visitors may get better understanding of his whole life. Along with this story line, the experience singing content exhibited in KimKwang-seok Story House not only exhibit his songs, but also people’s understanding of his life, which will enable visitors to get a deeper understanding about him. Key words: Display, Experience display, Experience display design, KimKwang-seok, KimKwang-seok Story House, Singing experience, Interactiv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