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중국어권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관용표현 교육 방안 연구

        오성아 충북대학교 2017 국내박사

        RANK : 1871

        The importance and understanding of foreign languages are escalating in this age of globalization. Particularly in China, after the establishment of diplomatic ties with Korea, an interest in the Korean language is gradually increasing. Accordingly, more Chinese people have been learning the Korean language, making them the largest group of Korean language learners amongst all foreign nationalities. The main reason why so many Chinese people learn Korean is that they might think Korean is easy to learn because of its Chinese origins. Due to the high proportion of Chinese characters in the Korean lexicon (hereby known as hanja), Chinese native speakers can learn Korean with more ease than speakers of other languages. Even though it is not an absolute guarantee to mastering the Korean language for many reasons, it is true that Korean is much easier to learn for Chinese native speakers than speakers of other languages. However, there are still stark differences between hanja and the modern Chinese language. Even though the characters look the same, some hanja and Chinese characters have slightly different meanings and others have completely different meanings. Thus, Korean language learners may be confused. One of the confusing factors is “idiomatic expressions”. Idiomatic expressions are often prahses or sayings habitually used by native speakers that convey the values, ways of thinking, feelings, and history of the nation. Without fully understanding these factors, foreigners could understand idiomatic expressions only by its surface meaning. The idiomatic expressions are not only used frequently in daily life but also appear on the TOPIK. Unsurprisingly, idiomatic expressions account for a great part in learning Korean. But, at the beginner’s level, the need for idiomatic expressions in communication is not as necessary for beginners than it is to higher Korean level learners. Korean idiomatic expressions are one of the difficult parts in learning Korean because they are infused with Korean cultural, historical and social meanings. If learners can properly use and express these expressions, it shows their strong competency in the Korean language. But learners cannot and do not have to learn all idiomatic expressions as beginners. So, as learners progress in their Korean level, they shift from learning everyday expressions to expressions embedded with deeper cultural and historical meanings. The word list in this thesis is organized by the idiomatic expressions’ frequency of usage and level of difficulty. This thesis aims to find teaching methods that teachers who teach Korean specifically to foreigners can use to let Chinese learners understand a large number of Korean idiomatic expressions in systematic, concrete, and effective ways. In doing so, this paper focuses on constructing a proper syllabus and methods according to the learners’ respective levels. This thesis analyzes the idiomatic expressions in Korean texts used not only in Korea but also in China, and the learners in both countries are surveyed. Based on the results, this thesis proposes an effective teaching syllabus for Chinese learners of Korean. In addition, the paper recommends practical teaching methods and plans so learners can learn idiomatic expressions in different ways. In further study, when making the syllabus, the research considers the learners’ awareness of idiomatic expressions. Also, Korean idiomatic expressions are analyzed alongside with their Chinese counterparts in order to understand their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 내용중심 언어교수 접근에 근거한 영어와 수학 통합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검증 : 초등학교 4학년을 중심으로

        오성아 이화여자대학교 1999 국내석사

        RANK : 1855

        본 연구는 영어와 수학을 통합하는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현장에 적용하고 그 효과를 검증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Tyler의 교육과정 개발 모형에 기초하여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이 모형을 근거로 학습자, 사회, 교과 전문가에 대한 연구의 결과에 따라 목표를 설정하였다. 설정된 프로그램의 목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수학 교과 내용을 외국어인 영어로 학습할 수 있다. 둘째 학습자는 외국어로 수업을 했을 때에도 모국어로 수업했을 때와 마찬가지로 수학과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프로그램의 내용은 국가기준의 교육과정에 따라 사칙 연산의 혼합셈, 큰 수에서의 나눗셈, 다양한 각, 삼각형 그리고 사각형의 성질을 내용 요소로 선정하였다. 방법으로는 언어와 교과목간의 통합을 시도하는 내용중심 언어 교수 접근을 채택하여 프로그램을 적용하였다. 학습 시간은 50분으로 운영하였으며, 학습 활동으로는 교사는 교수 담화 전략을 선정하였으며, 학습자는 기억전략, 인지전략, 보상전략, 상위인지 전략, 사회적 전략의 6개 범주의 학습전략을 선정하였다. 프로그램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한 프로그램 평가는 서울시 E 초등학교 4학년 70명을 대상으로 통제 집단과 실험 집단을 선정하여 그 효과를 비교하였다. 영어 말하기·듣기와 수학 능력의 사전·사후 검사가 이루어졌으며 t-검증을 실시하였다. 영어의 말하기 능력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p<.05)를 보였으나 듣기 능력에서는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p>.05). 수학능력에 있어서는 연산과 도형 영역 모두 유의미한 차이(p<.05)를 보였다. 검증 결과 본 프로그램은 영어에서 말하기, 수학에서 연산과 도형 능력을 향상시키는데 효과적임을 보여주었다. This study has a purpose to develop and apply a unified program of English and mathematics to the field. For this purpose, teaching goals are established following the results of study on learners, society and curriculum experts based on Tyler's curriculum development model. The following are the goals of program based on it. First, learning in English can improve learners' English speaking and listening skills. Second, operation and diagram area can improve learners' mathematics ability. The contents of a program are mixed counting of the four operations. The application of a program is as follows. Learning time in a unified program of English and mathematics is 50 minutes, and learning activity includes reading and solving questions in English, exercise, manipulation, and problem-solving. Teaching strategy includes starting on the basis of preliminary learning, introducing words, repeating explaining for the better understanding of English, describing words by taking examples or gestures, showing a model by teacher, and manipulative activity. The evaluation of a unified program of English and mathematics takes 35 students in their fourth grade in Seoul E elementary school as the subject. To inspect the effect of this program, evaluation of English speaking and listening, and mathematics as before and after test. Evaluation questions are selected by the standards of the present curriculum. Also, t-inspection is conducted for checking the effect of this program. The improvement of English speaking and listening shows statistically meaningful differences (p<.05) but there are no meaningful differences in listening ability. (p<.005) The improvement of learning ability shows meaningful differences in case of diagram, but no differences in operation (p>.05). This program is proven that it is effective only in improving English speaking and diagram in mathematics.

      • 코마 은하단의 구상성단계에 대한 광역 탐사 연구

        오성아 서울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1855

        구상성단은 나이가 많은(> 100억년) 성단으로, 여러 환경에서 관측된다. 은하 또는 은하단 내의 구상성단들을 연구함으로써 속해있는 환경이 어떠한 역사를 겪었는지 유추할 수 있다. 은하단에 있는 구상성단들은 개개의 은하에 속해있기도, 그렇지 않기도 하다. 은하에 속해있지 않고 은하단 전체 중력 포텐셜에 묶여있는 구상성단들을 은하간 구상성단(ICGC)이라고 부른다. ICGC들을 통해 은하단의 질량 분포를 추적할 수 있다. 지금까지 여러 가깝고 먼 은하단들에서 ICGC가 관측되어왔으며 우주론적 시뮬레이션에서도 ICGC의 물리적 특성이 연구되었다. 코마 은하단(Abell 1656)은 가까이 있는(적색이동 < 0.1) 은하단들 가운데 가장 무거운 질량을 가지고 있으며, 여러 하부구조들의 활발한 병합이 일어나고 있는 은하단으로 알려져 있다. 가장 잘 알려진 하부구조는 중심부의 가장 밝은 두 은하 NGC 4874와 NGC 4889를 포함하는 중심부 은하군과 코마 은하단 중심부를 향해 병합하고 있는 남서쪽 방향의 NGC 4839 은하군이다. NGC 4839 은하군이 코마 은하단 중심부를 향해서 첫번째 병합을 겪고 있는 것인지 혹은 이미 한번 은하단 중심부를 지나쳤다가 두번째로 병합을 하는 것인지에 대해서는 의견이 분분하다. 코마 은하단의 ICGC를 연구한 선행 사례에서는 허블 우주 망원경 자료를 활용해 코마 은하단의 중심부에 대한 구상성단계의 공간적인 분포 형태 및 특성과 색지수 분포를 분석하였다. 그러나, 연구된 영역이 은하단 비리얼 반경(~2.8 Mpc, 1.61도) 내 넓이의 약 1.7%로 매우 제한적이고 코마 가장 중심부 은하들의 구상성단들에 대해서만 조사된 결과를 다루고 있기 때문에 코마 은하단 ICGC의 전체를 분석할 수 없었다. NGC 4839 은하의 구상성단계에 대한 선행연구들에서는 구상성단들의 색지수 분포와 구상성단 총 개수를 구하였지만 공간적으로 어떤 분포를 보이고 있는지 그리고 그것이 코마 은하단과의 병합과정과 어떠한 연관성을 보여주는지에 대해서는 전혀 논의하고 있지 않다. 본 연구에서는 광시야용 탐사 망원경 Subaru의 Hyper Suprime-Cam (HSC) gr 아카이브 자료를 활용해서 코마 은하단의 ICGC 분포에 대한 연구와 함께 NGC 4839 은하의 구상성단계에 대한 연구를 진행하였다. 이것은 코마 은하단의 구상성단 연구 중에서도 가장 넓고 깊은 연구이다. 첫번째 연구에서는 Subaru/HSC의 넓은 시야와 여러 필드 관측 자료를 활용해서 코마 은하단의 비리얼 반경 너머까지(~1.3 R_vir) 구상성단을 탐사하였다. 코마 은하단의 ICGC가 전체 비리얼 반경의 약 50%까지 분포해 있는 것을 최초로 발견하였으며, 왜소 은하들의 분포에 비해 상대적으로 은하단 중심부 방향으로의 분포 집중도가 높다는 사실을 확인하였다. ICGC는 동-서와 남서쪽 방향으로 넓게 퍼져 있으며 이것은 코마와 Abell 1367 은하단을 잇는 필라멘트 구조와 나란한 방향이다. 전체 ICGC 공간 분포 구조는 은하간 빛(ICL) 분포의 형태와 상당히 닮아있다. 대부분의 ICGC들은 푸른(중원소함량이 작은) 구상성단들로 구성되어 있으며(> 70%) 한편 붉은(중원소함량이 큰) 구상성단들도 적지 않은 비율이 은하단 외곽지역에 분포해 있다. 이러한 결과는 ICGC들 대부분이 왜소 은하로부터 기원하지만 일정 부분은 좀더 밝은 은하로부터도 떨어져 나온다는 선행 연구 결과를 잘 뒷받침한다. 두번째 연구에서는 NGC 4839 은하에 속한 구상성단계의 색지수와 공간분포 등을 조사하였다. NGC 4839 은하는 NGC 4874 그리고 다른 밝은 코마 은하단 은하들과 마찬가지로 붉은 구상성단의 비율이 낮았다. NGC 4839에 속한 전체 구상성단의 공간 분포는 NGC 4839 은하 표면밝기 분포의 약 2배까지 퍼져있다. 구상성단들의 2차원 공간 분포 형태는 타원형으로 늘어나고 비대칭적인 모양을 보이는데, 특히 동쪽 방향으로 인상적인 꼬리 모양 구조를 보이고 있다. 이러한 구조는 NGC 4839가 이미 코마 은하단 중심부를 한번 통과했다는 시나리오를 뒷받침한다. Globular clusters(GCs) are old (> 10 Gyr) star clusters observed in various environments. By studying GCs within galaxies or galaxy clusters, we can infer the evolutionary history of the environment in which the GCs are located. GCs in galaxy clusters are found not only around galaxies but also between galaxies. GCs that do not belong to galaxies, but are governed by the entire gravitational potential of the galaxy cluster are called intracluster GCs (ICGCs), and they track the mass distribution of the galaxy cluster. ICGCs have been observed in several nearby and distant galaxy clusters, and their physical nature was largely studied in cosmological simulations. Coma cluster (Abell 1656) is the most massive galaxy cluster in the local universe (z < 0.1) and is known to have several actively merging substructures. The two best-known subclusters are the Coma main cluster, which contains the two brightest galaxies NGC 4874 and NGC 4889, and the NGC 4839 group, infalling towards the center of Coma in a southwestern direction. It is still controversial whether the NGC 4839 group is undergoing the first infall towards the Coma core, or it has already passed the center of Coma and is in the second phase of infall. Previous Coma ICGC studies utilized Hubble Space Telescope (HST) data and analyzed the color and spatial distribution of GC systems within Coma cluster core. However, they only cover about 1.7% of the area within the virial radius (~2.8 Mpc, 1.61 deg), thus they analyzed a limited population of Coma ICGCs, not the entire distribution in the cluster. Previous studies of NGC 4839 GC systems obtained color distribution of GCs and GC total number. However, they did not discuss the spatial distribution of GCs and whether it shows a correlation with the process of merging with the Coma. In this study, we present a wide field survey of Coma GCs using Subaru/Hyper Suprime-Cam (HSC) gr archival data, supplemented with the archival HST images. We studied the ICGC distribution of Coma cluster and GC systems in NGC 4839, and this is the widest and deepest Coma GC study. In the first part, we successfully surveyed the GCs of Coma cluster over its virial radius (~1.3 R_vir). ICGC spatial distribution is largely extended to almost 50% of the cluster virial radius but relatively concentrated toward the Coma center compared to the red sequence galaxies. The Coma ICGCs are extended in E-W and SW direction, along the general direction of Coma–Abell 1367 filament. This global structure of the GC systems is consistent with the spatial distribution of the intracluster light (ICL). Most of the ICGCs are dominated by the blue (metal-poor) GCs(> 70%) but a small proportion of red (metal-rich) GCs exists in the cluster outskirts. These results support the scenario that ICGCs are mainly originated from dwarf galaxies and some proportion from brighter galaxies. In the second part, we present the color and spatial distribution of GC systems in NGC 4839. NGC 4839 has a low red GC fraction comparable to that of NGC 4874 and other bright cluster member galaxies. The radial density distribution of the entire GCs in NGC 4839 is extended more than twice that of the NGC 4839 galaxy's surface brightness distribution. The GC spatial density distribution shows elongated and asymmetric morphology including a tail structure in the east. This supports the scenario that NGC 4839 has already crossed the Coma main cluster.

      • 초등학교 교육기관의 총체적 재난 안전성 정립에 관한 연구

        오성아 가천대학교 산업환경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1855

        1999년 씨랜드 화재 사고 이후 20여 년이 흐른 지금까지도 교육현장에서는 학생들의 목숨을 위협하는 안전 관련 사고가 끊이지 않고 있다. 학생 스스로의 안전 의식이 부족하여 일어나는 사고도 있지만, 안전을 관리하는 현장 전문가나 안전 책임자의 역할 부족, 교육시설에 적절하지 못한 건물 구조와 안전시설의 미흡, 사고 시 인솔 교사의 부적절한 대응 등, 학생 인명사고의 원인은 다양하다. 이에 본 연구는 교육시설 중 초등학교에 중점을 두고 교육현장의 다양한 사고 사례, 학교의 시설 및 관리현황, 안전을 위한 시설과 각 시설의 위험요소를 조사ㆍ 분석하였으며 이에 대한 해결책과 안전교육 방향을 다음과 같이 제시하였다. 첫째, 초등학교의 시설 중 경년변화에 의해 내구도가 저하되는 시설, 화재에 취약하거나 적합하지 않은 구조, 내진 보강 등, 안전에 취약한 부분을 개선해야 한다. 둘째, 초등학교에 근무하고 있는 각 분야의 안전 책임자, 예를 들어 각 학급 담임교사, 보건교사, 과학실무사, 영양교사, 학교보안관 등은 학교에서 생활하는 학생들의 안전을 책임지기 위해 각자 자신의 역할을 완수해야 한다. 셋째, 초등학교 1,2학년 대상의 '안전한 생활', 3, 4학년 대상의 ‘생존수영교육’, 초등학교 3학년부터 고등학교까지 ‘안전’ 단원 신설 등, 안전에 대한 이론과 실천․체험을 체계적으로 교육하여야 하며, 앞으로 확대될 6학년까지의 생존수영교육을 제대로 이행할 수 있도록 시설과 전문인력 면에서 대비하여야 한다. 넷째, 국가에서는 안전체험관을 신설하고, 빈 교실을 활용한 소규모 안전체험실을 늘려나가며, AI 기술을 이용한 증강현실 프로그램으로 가상 체험 등을 통해 초등학생들이 다양한 안전사고에 대한 대처요령 등을 반복적으로 익혀 습관화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다섯째, 학교 안전업무 담당자들인 교사와 학교 교직원 모두가 학교 안전시설에 대한 기초적인 내용을 알고, 위험한 상황에서 침착하게 대피할 수 있는 실제 훈련을 경험할 수 있도록 체험 위주의 안전연수를 확대해야 한다. 여섯째, 학교의 소방시설의 유지 및 관리에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관련 업무의 전문성을 갖춘 사람이 소방안전관리자를 담당해야 한다.

      • 20세기 전반 능주 장범루의 서당 운영

        오성 목포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1839

        Jangbeomru is a Noojeong(pavilion) located in Ohryu-ri, Leeyang- myeon, Hwasoon-gun, south Jeolla province, which commands a fine view. That is one of local cultural assets in Hwasoon-gun. In 1873, Min Chi-gyu built it in commemoration of Min Jeong-sa, his ancestor, and Min Jeong-ho who was his descendant named it Jangbeomru after Jang Gong-ye and Beom Hee-moon. The nine generations of the former's family lived a peaceful life, and the latter was loyal to his brethren. Unlike other pavilions, there was a Jegak in Jangbeomru, which is called Youngmojae. The descendants had a memorial service for Sim Eui-jae at a fixed date. In addition to cherishing the memory of Sim Eui-jae, Jangbeomru functioned as an educational place. That was built primarily to have a memorial service for Sim Eui-jae, but that served as one of informal local educational institutions, namely a village schoolhouse called Seodang. Jangbeomru Seodang provided traditional Confucian education. A family had continued to hold the position of the schoolmaster over about 10 decades since the village schoolhouse opened. Students who lived in remote areas as well as adjacent regions received education there, and the village school was open in particular seasons due to the regional characteristics. That was open from November to April of the lunar calendar when the farming season began, and that was closed temporarily to celebrate the New Year and the 15th of January. Like typical village schoolhouses, Jangbeomru Seodang offered systematic Sino-Korean education and made a great contribution to local development by producing a lot of competent people. As a pavilion, Jangbeomru was in pursuit of the unity of the race, and that rendered great services to nurturing scholars and local development as a Seodang. But it is a shame that Jangbeomru is disregarded at present, and few systematic studies have ever focused on it. In the future, a lot of research efforts should be directed into that. 장범루(張范樓)는 전남 화순군 이양면 오류리의 경치가 수려한 곳에 자리를 잡은 누정으로서 화순군 향토문화재로 지정되어 있다. 1873년 민치규(閔致圭)가 선조 민정사(閔挺泗)를 기리기 위해 누정을 지었고, 후손 민정호가 구세(九世)가 화목한 장공예의 장과 동족들에게 의리를 지킨 범희문의 범을 따서 장범루라고 명명하였다. 장범루는 다른 누정들과는 다르게 누정 안에 영모재라는 제각이 있다. 후손들은 심의재를 추모하기 위해 날짜를 정하여 영모재에서 제를 올리고 있다. 장범루는 심의재를 추모하는 기능 외에도 누정의 교육적 역할을 행하여 서당을 운영하였다. 이것 또한 건립할 때의 취지에 따라 심의재를 추모하는 것으로 나중에는 지역사회의 비공식 교육기관이였음을 보여준다. 장범루의 서당은 전통유교적인 사상에 입각하여 교육하였다. 서당에서 교육을 했던 훈장은 서당교육이 시작한 이래로 약 100년 동안 한 집안에서 대대로 세습되었다. 학생들은 근처 마을 뿐만 아니라 먼 곳으로부터 와서 서당교육을 받았다. 서당은 지역적 특성에 맞게 계절적으로 운영되었다. 음력 11월에 시작하여 중간에 설과 정월대보름에 잠깐 휴식하였다가 농사철이 시작되는 음력 4월까지 교육을 하였다. 장범루 서당은 전통 서당과 같이 체계적인 한문교육을 하였다. 그런 결과 서당교육만으로 지역인재를 많이 배출하여서 지역발전에 크게 이바지하였다. 이러한 사실을 통해서 장범루는 누정으로 동족인들의 화합을 추구하였고, 서당으로서 후학양성과 지역발전에 크게 기여하였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러나 다만 한 가지 아쉬운 점은 지금의 장범루가 소홀히 대접받고 있고 제대로 된 연구가 없는 실정이다. 앞으로 이 분야에 대해 더 많은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 Clinicopathologic significance of hypoxia- inducible factor 1α, p53, vascular endothelial growth factor expression and serum vascular endothelial growth factor level in gastric cancer : 오성용

        오성 동아대학교 대학원 2008 국내박사

        RANK : 1839

        암조직에서의 저산소증은 신생혈관의 생성과 유전적 변이를 일으켜 종양의 진행과 성장에 영향을 미친다. 특히 저산소 유도인자 1 알파 (hypoxia-inducible factor 1ɑ, HIF-1ɑ), p53, 혈관내피 성장인자 (vascular endothelial growth factor, VEGF) 는 이 과정에 있어서 중요한 단계의 인자들로서 본 연구에서는 HIF-1ɑ, p53, VEGF 의 조직에서 발현과 임상병리학적 양상의 상관관계를 알아보고자하였다. 대상 환자들은 수술 7일 이내에 혈액채취를 통해 VEGF 수치를 측정하고 수술 후 조직염색을 통해 HIF-1ɑ, p53, VEGF 조직 발현을 조사하였다. HIF-1ɑ, p53의 양성도는 15.8% 와 38.6% 였으며 VEGF 과발현은 57.6%에서 관찰되었다. 종양의 점막 하 침범정도와 p53, HIF-1ɑ 의 발현이 연관성을 보였으며 (P=0.015, P=0.001) 수술 전 VEGF 수치와 p53의 양성발현은 림프절 전이여부와 관련성을 보였다 (P=0.005, P=0.040). 그러나 상호 인자간의 발현 및 수치에 있어서 연관성은 관찰되지 않았으며 질환의 진행에 있어서 HIF-1ɑ의 발현은 나쁜 예후 인자로 작용하였다 (P=0.002). HIF-1ɑ, p53 발현 및 술 전 VEGF 수치는 종양 침범정도 및 림프절 전이 여부와 연관성이 있으며 HIF-1ɑ의 발현은 비교적 조기에 재발을 나타내는 예후 인자이다

      • 심상의 회화적 표현 연구 : 본인 작품을 중심으로

        오성 건국대학교 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1839

        현대미술의 구조 속에서 우리는 예술의 본질과 이를 표현해내는 다양한 방법론적 사고의 필요성을 인식해야 한다. 때문에 심상의 회화표현에 대한 연구는 다양한 예술의 정보와 함께 가장 개성적인 방법으로 작품에 반영 하여 표현 할 수 있다는 점에서 그 목적을 지닌다. 본 연구자는 작품을 통해 대중과 교류하고 공유하는 것, 그리하여 세상과의 단절 속에서 작가의 내면세계만을 고집하는 것을 우리는 지양해야 할 것이다. 또한 현실 속에서 이루어진 정보의 조합을 통해 자신의 내적 체계가 표현 되지 않는다면 그것은 화가의 심상(心象)적 표현이 아닌, 단순한 기억으로 조합시킨 정보복합체에 불과하다. 때문에 내면의 기억과 감성을 적절하게 융화시켜 자신의 정체성을 깨닫고 표현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또한 작품에서의 내면적 형상과 색채를 구체화 하는 것 역시 매우 중요한데, 이는 심상의 회화표현으로 구체화 된 이미지가 대상에 따른 비유적 상징체계를 어떻게 형성하느냐 하는 문제인 것이다. 이것은 개인의 정신적 개념과 조형적 개념을 구체화 시킨 이미지, 또는 내면 갈등 속에서의 개성적 이미지를 보다 구체적인 형상으로 만들어 가는 과정의 한 결과물이라 볼 수 있을 것이다. 사회구조가 더욱 분화되고, 다양해짐에 따라 인간의 일탈을 향한 욕망은 더욱 커지기 마련이나, 제한된 현실은 이를 수용할 만한 포용력을 가지지 못한다. 이 때문에 현실에서의 자아가 가진 환상에 대한 상황적 표현은 제한되어 있어 화면에서의 의식 ․ 무의식의 이미지 연결이 조화롭지 못할 수 있다. 본 연구자는 심상에 있어 비유적 표현방법을 사용해 현실과 환상의 관계를 내면의 의식으로 이미지화시켜 재구성 하였으며, 다양한 상징적 색채의 이미지 요소들에 초점을 맞추어 연구하였다. 또한 가시적으로 보여지는 형상과 내면의 심리적인 추상이 서로 이원화되지 않고 상호작용을 통해, 상대적 융합을 통한 미적가치를 유추할 수 있게 하였다. 예를 들어 인위적 긴장감을 이용하여 극적인 집중효과를 유도할 수 있었으나, 이를 과감히 지양하여 작품에 자연스러움과 여유로움이 묻어날 수 있게 하였다. 또한 일차적으로 변형시킨 도자기 모양의 형상을 통해 한국인의 온화한 정서와 곡선의 아름다움을 다채로운 색채이미지로 해석해 보았다. 심상이란 일차원적 소재에 있어서만 인식되는 것이 아니다. 다양한 색의 다채로운 표현으로 인간본연의 환상과 환희, 다시 말해 원초적 감성에 자석처럼 이끌리는 자아를 발견하는 것이야말로 어쩌면 인간이 필연적으로 인식하여야 할 당위성을 확보하게 되는 것이다. 이를 인식하고, spot과 spot을 연결하는 구조를 통해 대상간의 접근성을 유기적으로 통합하여 구체화시키는 것이야 말로 필자가 추구하는 미적가치와 상응함은 사세고연한 일이다. 이러한 접근으로 심상 속의 회화적 표현연구는 복잡한 현재 우리들의 삶 속에서 자신의 발견과 표현에 대해 진지한 고민을 하고 새로움을 안고 출발하는 아름다운 여정이 될 것이라 확신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