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중국어권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관용표현 교육 방안 연구

        오성아 충북대학교 2017 국내박사

        RANK : 1871

        The importance and understanding of foreign languages are escalating in this age of globalization. Particularly in China, after the establishment of diplomatic ties with Korea, an interest in the Korean language is gradually increasing. Accordingly, more Chinese people have been learning the Korean language, making them the largest group of Korean language learners amongst all foreign nationalities. The main reason why so many Chinese people learn Korean is that they might think Korean is easy to learn because of its Chinese origins. Due to the high proportion of Chinese characters in the Korean lexicon (hereby known as hanja), Chinese native speakers can learn Korean with more ease than speakers of other languages. Even though it is not an absolute guarantee to mastering the Korean language for many reasons, it is true that Korean is much easier to learn for Chinese native speakers than speakers of other languages. However, there are still stark differences between hanja and the modern Chinese language. Even though the characters look the same, some hanja and Chinese characters have slightly different meanings and others have completely different meanings. Thus, Korean language learners may be confused. One of the confusing factors is “idiomatic expressions”. Idiomatic expressions are often prahses or sayings habitually used by native speakers that convey the values, ways of thinking, feelings, and history of the nation. Without fully understanding these factors, foreigners could understand idiomatic expressions only by its surface meaning. The idiomatic expressions are not only used frequently in daily life but also appear on the TOPIK. Unsurprisingly, idiomatic expressions account for a great part in learning Korean. But, at the beginner’s level, the need for idiomatic expressions in communication is not as necessary for beginners than it is to higher Korean level learners. Korean idiomatic expressions are one of the difficult parts in learning Korean because they are infused with Korean cultural, historical and social meanings. If learners can properly use and express these expressions, it shows their strong competency in the Korean language. But learners cannot and do not have to learn all idiomatic expressions as beginners. So, as learners progress in their Korean level, they shift from learning everyday expressions to expressions embedded with deeper cultural and historical meanings. The word list in this thesis is organized by the idiomatic expressions’ frequency of usage and level of difficulty. This thesis aims to find teaching methods that teachers who teach Korean specifically to foreigners can use to let Chinese learners understand a large number of Korean idiomatic expressions in systematic, concrete, and effective ways. In doing so, this paper focuses on constructing a proper syllabus and methods according to the learners’ respective levels. This thesis analyzes the idiomatic expressions in Korean texts used not only in Korea but also in China, and the learners in both countries are surveyed. Based on the results, this thesis proposes an effective teaching syllabus for Chinese learners of Korean. In addition, the paper recommends practical teaching methods and plans so learners can learn idiomatic expressions in different ways. In further study, when making the syllabus, the research considers the learners’ awareness of idiomatic expressions. Also, Korean idiomatic expressions are analyzed alongside with their Chinese counterparts in order to understand their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 코마 은하단의 구상성단계에 대한 광역 탐사 연구

        오성아 서울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1855

        구상성단은 나이가 많은(> 100억년) 성단으로, 여러 환경에서 관측된다. 은하 또는 은하단 내의 구상성단들을 연구함으로써 속해있는 환경이 어떠한 역사를 겪었는지 유추할 수 있다. 은하단에 있는 구상성단들은 개개의 은하에 속해있기도, 그렇지 않기도 하다. 은하에 속해있지 않고 은하단 전체 중력 포텐셜에 묶여있는 구상성단들을 은하간 구상성단(ICGC)이라고 부른다. ICGC들을 통해 은하단의 질량 분포를 추적할 수 있다. 지금까지 여러 가깝고 먼 은하단들에서 ICGC가 관측되어왔으며 우주론적 시뮬레이션에서도 ICGC의 물리적 특성이 연구되었다. 코마 은하단(Abell 1656)은 가까이 있는(적색이동 < 0.1) 은하단들 가운데 가장 무거운 질량을 가지고 있으며, 여러 하부구조들의 활발한 병합이 일어나고 있는 은하단으로 알려져 있다. 가장 잘 알려진 하부구조는 중심부의 가장 밝은 두 은하 NGC 4874와 NGC 4889를 포함하는 중심부 은하군과 코마 은하단 중심부를 향해 병합하고 있는 남서쪽 방향의 NGC 4839 은하군이다. NGC 4839 은하군이 코마 은하단 중심부를 향해서 첫번째 병합을 겪고 있는 것인지 혹은 이미 한번 은하단 중심부를 지나쳤다가 두번째로 병합을 하는 것인지에 대해서는 의견이 분분하다. 코마 은하단의 ICGC를 연구한 선행 사례에서는 허블 우주 망원경 자료를 활용해 코마 은하단의 중심부에 대한 구상성단계의 공간적인 분포 형태 및 특성과 색지수 분포를 분석하였다. 그러나, 연구된 영역이 은하단 비리얼 반경(~2.8 Mpc, 1.61도) 내 넓이의 약 1.7%로 매우 제한적이고 코마 가장 중심부 은하들의 구상성단들에 대해서만 조사된 결과를 다루고 있기 때문에 코마 은하단 ICGC의 전체를 분석할 수 없었다. NGC 4839 은하의 구상성단계에 대한 선행연구들에서는 구상성단들의 색지수 분포와 구상성단 총 개수를 구하였지만 공간적으로 어떤 분포를 보이고 있는지 그리고 그것이 코마 은하단과의 병합과정과 어떠한 연관성을 보여주는지에 대해서는 전혀 논의하고 있지 않다. 본 연구에서는 광시야용 탐사 망원경 Subaru의 Hyper Suprime-Cam (HSC) gr 아카이브 자료를 활용해서 코마 은하단의 ICGC 분포에 대한 연구와 함께 NGC 4839 은하의 구상성단계에 대한 연구를 진행하였다. 이것은 코마 은하단의 구상성단 연구 중에서도 가장 넓고 깊은 연구이다. 첫번째 연구에서는 Subaru/HSC의 넓은 시야와 여러 필드 관측 자료를 활용해서 코마 은하단의 비리얼 반경 너머까지(~1.3 R_vir) 구상성단을 탐사하였다. 코마 은하단의 ICGC가 전체 비리얼 반경의 약 50%까지 분포해 있는 것을 최초로 발견하였으며, 왜소 은하들의 분포에 비해 상대적으로 은하단 중심부 방향으로의 분포 집중도가 높다는 사실을 확인하였다. ICGC는 동-서와 남서쪽 방향으로 넓게 퍼져 있으며 이것은 코마와 Abell 1367 은하단을 잇는 필라멘트 구조와 나란한 방향이다. 전체 ICGC 공간 분포 구조는 은하간 빛(ICL) 분포의 형태와 상당히 닮아있다. 대부분의 ICGC들은 푸른(중원소함량이 작은) 구상성단들로 구성되어 있으며(> 70%) 한편 붉은(중원소함량이 큰) 구상성단들도 적지 않은 비율이 은하단 외곽지역에 분포해 있다. 이러한 결과는 ICGC들 대부분이 왜소 은하로부터 기원하지만 일정 부분은 좀더 밝은 은하로부터도 떨어져 나온다는 선행 연구 결과를 잘 뒷받침한다. 두번째 연구에서는 NGC 4839 은하에 속한 구상성단계의 색지수와 공간분포 등을 조사하였다. NGC 4839 은하는 NGC 4874 그리고 다른 밝은 코마 은하단 은하들과 마찬가지로 붉은 구상성단의 비율이 낮았다. NGC 4839에 속한 전체 구상성단의 공간 분포는 NGC 4839 은하 표면밝기 분포의 약 2배까지 퍼져있다. 구상성단들의 2차원 공간 분포 형태는 타원형으로 늘어나고 비대칭적인 모양을 보이는데, 특히 동쪽 방향으로 인상적인 꼬리 모양 구조를 보이고 있다. 이러한 구조는 NGC 4839가 이미 코마 은하단 중심부를 한번 통과했다는 시나리오를 뒷받침한다. Globular clusters(GCs) are old (> 10 Gyr) star clusters observed in various environments. By studying GCs within galaxies or galaxy clusters, we can infer the evolutionary history of the environment in which the GCs are located. GCs in galaxy clusters are found not only around galaxies but also between galaxies. GCs that do not belong to galaxies, but are governed by the entire gravitational potential of the galaxy cluster are called intracluster GCs (ICGCs), and they track the mass distribution of the galaxy cluster. ICGCs have been observed in several nearby and distant galaxy clusters, and their physical nature was largely studied in cosmological simulations. Coma cluster (Abell 1656) is the most massive galaxy cluster in the local universe (z < 0.1) and is known to have several actively merging substructures. The two best-known subclusters are the Coma main cluster, which contains the two brightest galaxies NGC 4874 and NGC 4889, and the NGC 4839 group, infalling towards the center of Coma in a southwestern direction. It is still controversial whether the NGC 4839 group is undergoing the first infall towards the Coma core, or it has already passed the center of Coma and is in the second phase of infall. Previous Coma ICGC studies utilized Hubble Space Telescope (HST) data and analyzed the color and spatial distribution of GC systems within Coma cluster core. However, they only cover about 1.7% of the area within the virial radius (~2.8 Mpc, 1.61 deg), thus they analyzed a limited population of Coma ICGCs, not the entire distribution in the cluster. Previous studies of NGC 4839 GC systems obtained color distribution of GCs and GC total number. However, they did not discuss the spatial distribution of GCs and whether it shows a correlation with the process of merging with the Coma. In this study, we present a wide field survey of Coma GCs using Subaru/Hyper Suprime-Cam (HSC) gr archival data, supplemented with the archival HST images. We studied the ICGC distribution of Coma cluster and GC systems in NGC 4839, and this is the widest and deepest Coma GC study. In the first part, we successfully surveyed the GCs of Coma cluster over its virial radius (~1.3 R_vir). ICGC spatial distribution is largely extended to almost 50% of the cluster virial radius but relatively concentrated toward the Coma center compared to the red sequence galaxies. The Coma ICGCs are extended in E-W and SW direction, along the general direction of Coma–Abell 1367 filament. This global structure of the GC systems is consistent with the spatial distribution of the intracluster light (ICL). Most of the ICGCs are dominated by the blue (metal-poor) GCs(> 70%) but a small proportion of red (metal-rich) GCs exists in the cluster outskirts. These results support the scenario that ICGCs are mainly originated from dwarf galaxies and some proportion from brighter galaxies. In the second part, we present the color and spatial distribution of GC systems in NGC 4839. NGC 4839 has a low red GC fraction comparable to that of NGC 4874 and other bright cluster member galaxies. The radial density distribution of the entire GCs in NGC 4839 is extended more than twice that of the NGC 4839 galaxy's surface brightness distribution. The GC spatial density distribution shows elongated and asymmetric morphology including a tail structure in the east. This supports the scenario that NGC 4839 has already crossed the Coma main cluster.

      • 초등학교 교육기관의 총체적 재난 안전성 정립에 관한 연구

        오성아 가천대학교 산업환경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1855

        1999년 씨랜드 화재 사고 이후 20여 년이 흐른 지금까지도 교육현장에서는 학생들의 목숨을 위협하는 안전 관련 사고가 끊이지 않고 있다. 학생 스스로의 안전 의식이 부족하여 일어나는 사고도 있지만, 안전을 관리하는 현장 전문가나 안전 책임자의 역할 부족, 교육시설에 적절하지 못한 건물 구조와 안전시설의 미흡, 사고 시 인솔 교사의 부적절한 대응 등, 학생 인명사고의 원인은 다양하다. 이에 본 연구는 교육시설 중 초등학교에 중점을 두고 교육현장의 다양한 사고 사례, 학교의 시설 및 관리현황, 안전을 위한 시설과 각 시설의 위험요소를 조사ㆍ 분석하였으며 이에 대한 해결책과 안전교육 방향을 다음과 같이 제시하였다. 첫째, 초등학교의 시설 중 경년변화에 의해 내구도가 저하되는 시설, 화재에 취약하거나 적합하지 않은 구조, 내진 보강 등, 안전에 취약한 부분을 개선해야 한다. 둘째, 초등학교에 근무하고 있는 각 분야의 안전 책임자, 예를 들어 각 학급 담임교사, 보건교사, 과학실무사, 영양교사, 학교보안관 등은 학교에서 생활하는 학생들의 안전을 책임지기 위해 각자 자신의 역할을 완수해야 한다. 셋째, 초등학교 1,2학년 대상의 '안전한 생활', 3, 4학년 대상의 ‘생존수영교육’, 초등학교 3학년부터 고등학교까지 ‘안전’ 단원 신설 등, 안전에 대한 이론과 실천․체험을 체계적으로 교육하여야 하며, 앞으로 확대될 6학년까지의 생존수영교육을 제대로 이행할 수 있도록 시설과 전문인력 면에서 대비하여야 한다. 넷째, 국가에서는 안전체험관을 신설하고, 빈 교실을 활용한 소규모 안전체험실을 늘려나가며, AI 기술을 이용한 증강현실 프로그램으로 가상 체험 등을 통해 초등학생들이 다양한 안전사고에 대한 대처요령 등을 반복적으로 익혀 습관화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다섯째, 학교 안전업무 담당자들인 교사와 학교 교직원 모두가 학교 안전시설에 대한 기초적인 내용을 알고, 위험한 상황에서 침착하게 대피할 수 있는 실제 훈련을 경험할 수 있도록 체험 위주의 안전연수를 확대해야 한다. 여섯째, 학교의 소방시설의 유지 및 관리에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관련 업무의 전문성을 갖춘 사람이 소방안전관리자를 담당해야 한다.

      • 내용중심 언어교수 접근에 근거한 영어와 수학 통합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검증 : 초등학교 4학년을 중심으로

        오성아 이화여자대학교 1999 국내석사

        RANK : 1855

        본 연구는 영어와 수학을 통합하는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현장에 적용하고 그 효과를 검증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Tyler의 교육과정 개발 모형에 기초하여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이 모형을 근거로 학습자, 사회, 교과 전문가에 대한 연구의 결과에 따라 목표를 설정하였다. 설정된 프로그램의 목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수학 교과 내용을 외국어인 영어로 학습할 수 있다. 둘째 학습자는 외국어로 수업을 했을 때에도 모국어로 수업했을 때와 마찬가지로 수학과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프로그램의 내용은 국가기준의 교육과정에 따라 사칙 연산의 혼합셈, 큰 수에서의 나눗셈, 다양한 각, 삼각형 그리고 사각형의 성질을 내용 요소로 선정하였다. 방법으로는 언어와 교과목간의 통합을 시도하는 내용중심 언어 교수 접근을 채택하여 프로그램을 적용하였다. 학습 시간은 50분으로 운영하였으며, 학습 활동으로는 교사는 교수 담화 전략을 선정하였으며, 학습자는 기억전략, 인지전략, 보상전략, 상위인지 전략, 사회적 전략의 6개 범주의 학습전략을 선정하였다. 프로그램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한 프로그램 평가는 서울시 E 초등학교 4학년 70명을 대상으로 통제 집단과 실험 집단을 선정하여 그 효과를 비교하였다. 영어 말하기·듣기와 수학 능력의 사전·사후 검사가 이루어졌으며 t-검증을 실시하였다. 영어의 말하기 능력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p<.05)를 보였으나 듣기 능력에서는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p>.05). 수학능력에 있어서는 연산과 도형 영역 모두 유의미한 차이(p<.05)를 보였다. 검증 결과 본 프로그램은 영어에서 말하기, 수학에서 연산과 도형 능력을 향상시키는데 효과적임을 보여주었다. This study has a purpose to develop and apply a unified program of English and mathematics to the field. For this purpose, teaching goals are established following the results of study on learners, society and curriculum experts based on Tyler's curriculum development model. The following are the goals of program based on it. First, learning in English can improve learners' English speaking and listening skills. Second, operation and diagram area can improve learners' mathematics ability. The contents of a program are mixed counting of the four operations. The application of a program is as follows. Learning time in a unified program of English and mathematics is 50 minutes, and learning activity includes reading and solving questions in English, exercise, manipulation, and problem-solving. Teaching strategy includes starting on the basis of preliminary learning, introducing words, repeating explaining for the better understanding of English, describing words by taking examples or gestures, showing a model by teacher, and manipulative activity. The evaluation of a unified program of English and mathematics takes 35 students in their fourth grade in Seoul E elementary school as the subject. To inspect the effect of this program, evaluation of English speaking and listening, and mathematics as before and after test. Evaluation questions are selected by the standards of the present curriculum. Also, t-inspection is conducted for checking the effect of this program. The improvement of English speaking and listening shows statistically meaningful differences (p<.05) but there are no meaningful differences in listening ability. (p<.005) The improvement of learning ability shows meaningful differences in case of diagram, but no differences in operation (p>.05). This program is proven that it is effective only in improving English speaking and diagram in mathematics.

      • 심상의 회화적 표현 연구 : 본인 작품을 중심으로

        오성 건국대학교 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1839

        현대미술의 구조 속에서 우리는 예술의 본질과 이를 표현해내는 다양한 방법론적 사고의 필요성을 인식해야 한다. 때문에 심상의 회화표현에 대한 연구는 다양한 예술의 정보와 함께 가장 개성적인 방법으로 작품에 반영 하여 표현 할 수 있다는 점에서 그 목적을 지닌다. 본 연구자는 작품을 통해 대중과 교류하고 공유하는 것, 그리하여 세상과의 단절 속에서 작가의 내면세계만을 고집하는 것을 우리는 지양해야 할 것이다. 또한 현실 속에서 이루어진 정보의 조합을 통해 자신의 내적 체계가 표현 되지 않는다면 그것은 화가의 심상(心象)적 표현이 아닌, 단순한 기억으로 조합시킨 정보복합체에 불과하다. 때문에 내면의 기억과 감성을 적절하게 융화시켜 자신의 정체성을 깨닫고 표현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또한 작품에서의 내면적 형상과 색채를 구체화 하는 것 역시 매우 중요한데, 이는 심상의 회화표현으로 구체화 된 이미지가 대상에 따른 비유적 상징체계를 어떻게 형성하느냐 하는 문제인 것이다. 이것은 개인의 정신적 개념과 조형적 개념을 구체화 시킨 이미지, 또는 내면 갈등 속에서의 개성적 이미지를 보다 구체적인 형상으로 만들어 가는 과정의 한 결과물이라 볼 수 있을 것이다. 사회구조가 더욱 분화되고, 다양해짐에 따라 인간의 일탈을 향한 욕망은 더욱 커지기 마련이나, 제한된 현실은 이를 수용할 만한 포용력을 가지지 못한다. 이 때문에 현실에서의 자아가 가진 환상에 대한 상황적 표현은 제한되어 있어 화면에서의 의식 ․ 무의식의 이미지 연결이 조화롭지 못할 수 있다. 본 연구자는 심상에 있어 비유적 표현방법을 사용해 현실과 환상의 관계를 내면의 의식으로 이미지화시켜 재구성 하였으며, 다양한 상징적 색채의 이미지 요소들에 초점을 맞추어 연구하였다. 또한 가시적으로 보여지는 형상과 내면의 심리적인 추상이 서로 이원화되지 않고 상호작용을 통해, 상대적 융합을 통한 미적가치를 유추할 수 있게 하였다. 예를 들어 인위적 긴장감을 이용하여 극적인 집중효과를 유도할 수 있었으나, 이를 과감히 지양하여 작품에 자연스러움과 여유로움이 묻어날 수 있게 하였다. 또한 일차적으로 변형시킨 도자기 모양의 형상을 통해 한국인의 온화한 정서와 곡선의 아름다움을 다채로운 색채이미지로 해석해 보았다. 심상이란 일차원적 소재에 있어서만 인식되는 것이 아니다. 다양한 색의 다채로운 표현으로 인간본연의 환상과 환희, 다시 말해 원초적 감성에 자석처럼 이끌리는 자아를 발견하는 것이야말로 어쩌면 인간이 필연적으로 인식하여야 할 당위성을 확보하게 되는 것이다. 이를 인식하고, spot과 spot을 연결하는 구조를 통해 대상간의 접근성을 유기적으로 통합하여 구체화시키는 것이야 말로 필자가 추구하는 미적가치와 상응함은 사세고연한 일이다. 이러한 접근으로 심상 속의 회화적 표현연구는 복잡한 현재 우리들의 삶 속에서 자신의 발견과 표현에 대해 진지한 고민을 하고 새로움을 안고 출발하는 아름다운 여정이 될 것이라 확신한다.

      • 통일교의 영성교육에 대한 연구 : 통일교의 심정교육을 중심으로

        오성 선문대학교 신학전문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1839

        본 연구는 21세기를 들어서면서 현대사회가 요구하는 바가 과학의 발달에 따른 물질적인 풍요를 넘어서서 정신적인 가치를 추구하고 있음을 절실히 느끼면서, 오늘의 종교가 인간의 영성계발과 교육을 위해 어떠한 인식 가운데서 어떠한 특징을 지니고 있으며, 이에 통일교의 영성과 영성교육은 어떠한 내용과 특징을 갖고 있는지를 알아보고자 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기독교에서 말하는 영성을 다른 한마디로 표현한다면 ‘신성(神性)’이라고 말할 수 있다. 그리고 하나님의 신성이 그대로 전개되어 창조된 것이 피조만물이요 인간이라고 볼 때, 영성의 형성은 신의 성품을 형성하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다. 즉 ‘신성을 사람 안에 이루는 것이다’라고 표현할 수 있다. 통일교의 영성에 대한 이해는 통일원리의 신성에 대한 이해로부터 시작된다. 통일원리에서 말하고 있는 신성은 심정(心情), 로고스(이법), 창조성(創造性) 등 크게 세 가지로 이야기하고 있다. 그러므로 통일교의 영성의 특징은 체휼일체성(體恤一體性), 이법성(理法性), 창조성(創造性)을 들 수 있다. 이어 기독교의 영성에 대한 일반적인 개념과 시대적인 변화과정 및 현대적 개념이해에 대해 다루었다. 또한 현대적 영성의 특징을 통전성, 프락시스성, 해방성, 일상생활성 등 네 가지로 특징지워 설명하였다. 다음으로 통일교의 영성교육은 하나님의 심정을 중심한 개인의 인격완성을 위한 교육으로 이를 심정교육이라고 말한다. 그러므로 통일교의 영성교육은 하나님의 심정에 대한 이해가 우선되어야 한다. 통일교의 영성교육의 특징은 첫째, 영성이 ‘하나님과 인간 사이에서 형성되는 관계성을 총칭한다’고 할 때 하나님과 인간의 관계의 근본인 부자의 관계를 가르치는 교육이다. 둘째, 통일교의 영성교육은 하나님의 심정을 중심한 인격완성을 위한 전인교육이다. 셋째, 통일교의 영성교육은 상대를 위하여 투입하는 참사랑의 교육이다. 넷째, 통일교의 영성교육은 로고스(말씀)을 중심한 이법(理法)교육이다. 다섯째, 통일교의 영성교육은 말씀을 수육하며 참사랑을 실천해 나가는 실천교육이다. 여섯째, 통일교의 영성교육은 끝없는 참사랑의 투입과 사랑의 주관을 통한 창조교육이다. 일곱째, 통일교의 영성교육은 가정적 사위기대를 중심으로 3대 상사랑과 4대 심정권을 완성해 나가는 참가정교육이다. 여덟째, 통일교의 영성교육은 창조이상가정을 중심한 천국생활교육이다. 아홉째, 통일교의 영성교육은 영인체의 완성과 더불어 영계에서의 영원한 삶을 위한 교육이다. 이러한 특성을 갖고 있는 통일교의 영성교육은 심정적 체휼의 과정을 통해 이뤄지는데 체휼의 과정은 마음의 영점기준, 암시, 몽시, 계시, 묵시, 영적인 역사, 육신의 순화 등으로 발전해 나간다. 그리고 통일교의 영성교육의 한 실제로 문형진의 ‘천일국백성수련’을 그 예로 들었다. 다음으로 기독교의 영성교육에 대해서는 먼저 일반적인 영성과 교육의 문제 및 기독교의 현대적 영성교육의 특징을 분석하고 그 실제적인 한 모형으로 마리아 해리스(Maria Harris)의 영성의 춤(Dance of the Spirit : the Seven Steps of Women’s Spirituality)을 제시하였다. 우리는 위와 같은 영성의 이해와 영성교육을 통하여 하나님을 닮아난 하나님의 참자녀로 거듭날 수 있게 되고, 이 영성교육이 인간이 가야 할 참된 길을 제시해 주는 필연적인 교육임을 알게 된다. With the start of the 21st century, we have come to see that modern society is pursuing spiritual values beyond the material wealth that comes with the advancement of science. On this background, this paper will examine the perceptions adopted by contemporary religions in developing human spirituality and the characteristics of spirituality education by such religions, and analyze the contents and characteristics of the Unification Church’s perception on spirituality and its spirituality education. In Christianity, spirituality is expressed alternatively as "divinity." Christians believe that God’s divinity was developed and made manifest in creation and human beings. Thus, the formation of spirituality can be understood as the formation of God’s character. In other words, divinity is formed within man. The Unification Church’s understanding of spirituality begins from the understanding of God’s divinity as defined in the Unification principles. The divinity explained here is composed of three elements: heart, logos (natural law) and creativity. Consequently, some characteristics of spirituality in the Unification Church are the ability to incorporate or embody God’s heart, rationality and creativity. This paper examined the general concept of Christian spirituality, the changes it went throughout the ages and the current understanding of spirituality in Christian society. Spirituality today is characterized by integrity, praxis, liberation, and everydayness. The purpose of spirituality education in the Unification Church, or ‘education of heart,’ is to perfect an individual’s character centering on God’s heart. Consequently, the spirituality education in the Unification Church puts priority in understanding God’s heart. Spirituality education in the Unification Church defines spirituality as the general term for the relationship formed between God and man, and teaches that the relationship between God and man is fundamentally that of one between a parent and child. Second, it engages with the entire being of a person enabling individual’s to perfect their character centering on God’s heart. Third, it is an education based on true love, of investing oneself for one’s partner. Fourth, it is rooted in rationality centering on God’s Logos (Word). Fifth, it is a practical education for embodying the Word and practicing true love. Sixth, it teaches of infinitely investing true love and governing creation in love. Seventh, it is an focused on creating a true family which perfects the three object purposes and the four great realms of heart centering on the four-position-foundation in a family. Eighth, it teaches how to lead one’s life in the kingdom of heaven centering on the ideal family that was to be established at the time of creation. The purpose of spirituality education in the Unification Church is for human beings to perfect their spirit self and to learn how to lead an eternal life in the spirit world. Spirituality education in the Unification Church occurs through experiential learning of the heart. This process develops in stages from the zero-point of the mind, to hints, dreams, revelations, divine revelations, spiritual works and ultimately the purification of the physical body. One example of this is the "Cheon Il Guk citizen’s workshop" organized by Hyung-jin Moon. In examining the spirituality education in Christianity, this paper examined the problems in spirituality in general and in the education of spirituality. Then, it analyzed the characteristics of modern Christian spirituality education and introduced Maria Harris’ Dance of the Spirit (the Seven Steps of Women’s Spirituality) as one model being employed in Christianity. Through an understanding of the afore-mentioned spirituality and spirituality education, we can be reborn as God’s children that resemble Him, and understand that the spirituality education of the Unification Church essentially points to the true way which should be followed by all human beings.

      • Phylogenetic analysis of begomovirus and associated betasatellite occurred in Korea and characterization of their interactions and pathogenicity : 국내에 발생하는 베고모바이러스와 베타 DNA의 계통적 분석 및 감염성 클론을 이용한 상호작용과 병원성 규명

        오성 배재대학교 대학원 2017 국내박사

        RANK : 1839

        Previously, Tomato yellow leaf curl virus (TYLCV)-IL[KR:Bus] (accession number GQ141873), -IL[KR:Bos] (accession number GU325634), -IL[KR:Hwas] (accession number GU126513), and Honeysuckle yellow vein virus (HYVV)-[KR:DJ] were isolated, respectively, from tomato (Solanum lycopersicum) plants in Korea. To construct TYLCV infectious clones, full-length of respective TYLCV genomes were amplified by polymerase chain reaction (PCR) and cloned into binary vector pRI101-AN, respectively. Using the 1mer clone, 2mer genomes of each isolate were constructed by restriction enzyme digestion and ligation. The resulting constructs were designated pRI-TYLCV-Bus, pRI-TYLCV-Bos and pRI-TYLCV-Hwas. In the case of HYVV, PCR amplified unit-lengths of DNA-A genome of HYVV-[KR:DJ] were cloned into binary vector pRI101-AN. Using the 1mer clone, 1.3mer and 2mer genomes were constructed by restriction enzyme digestion and ligation. The resulting constructs were designated pRI-HYVV-DJ. To prove the infectivity of each clone, respective constructs were transformed into Agrobacterium tumefaciens cells and the selected transformants were agro-inoculated into young leaves of clonescontaining dimer construct of respective isolates caused pronounced disease symptoms such as plant stunting, downward leaf curling and crinklingn.InHYVV,1clones caused pronounced disease symptoms in To discriminate the clone’s pathogenicity quantitatively, SYBR Green-based real-time PCR was performed for viral quantification using V1 gene DNA content in agro-inoculated leaves that were collected at weekly intervals for 4 weeks. Regression analysis obtained the standard curves by plotting Ct values over the logarithm of the amount of V1 DNAs present in a dilution series of plasmid containing the full-length HYVV-[DJ] genome. Equation of the HYVV-V1 DNA standard curve was used to quantify V1 gene DNA concentration in agro-inoculated plants with each clone. A real-time PCR assay showed that the accumulation of V1 DNAs in HYVV-[DJ]-1.3mer inoculated plants reached the peak level at 4 weeks post-inoculation. The amount of V1 DNA was significantly more than that in HYVV-[DJ]-2mer inoculated plants. Nevertheless, the accumulation of V1 DNAs reached the peak level at 3 weeks post-inoculation and then decreased slowly from 4 weeks post-inoculation. Considering the real-time PCR results, a significant difference was found in the accumulation virus and its DNA components between the analyzed plants inoculated with each clone, indicating that the difference in clones’ pathogenicity correlates with their virulence. A polymerase chain reaction (PCR) using two sets of primers designed from published Tomato yellow leaf curl virus (TYLCV) genomes was developed to distinguish from the TYLCV-IL groups. The specificity of the two sets of primers was proven by testing against control TYLCV genomes and the symptomatic leaves of 34 different tomato cultivars naturally infected with TYLCV in greenhouses. One set for amplified full-length genome fragments from all the 34 tomato cultivars. Another set for TYLCV-ILgroup-II strain specific primers amplified target DNA fragments from only 9 tomato cultivars. Digestion by BglII and EcoRV of the PCR amplicons produced restriction fragment length polymorphism (RFLP) pattern the TYLCV-IL group-I with two fragments from the TYLCV-IL group-II with no digested fragment. PCR coupled with BglII and EcoRV digestion confirmed that the 9 tomato cultivars were infected with the TYLCV-IL group-II and the remained 25 tomato cultivars were infected with the TYLCV-IL group-I. Since the begomovirus C4 protein is known to associate with symptom severity (SS) and effective systemic infection, it is interesting to measure C4 protein level in tomato (Solanum lycopersicum) cultivars infected with Tomato yellow leaf curl virus (TYLCV). In this study, the full-length of the C4 protein gene of the TYLCV and the Honeysuckle yellow vein virus (HYVV), respectively, were expressed in Escherichia coli. To determine the antigenic characteristics of recombinant C4 (rC4) protein, polyclonal rat antibody was produced against the purified rC4 protein with His tag as an immunogen. In terms of the specificity, TYLCV-rC4 antiserum reacted well not only with TYLCV-rC4 but also with HYVV-rC4 antigens in Western blot, and vice versa. To determine the infection rate qualitatively and quantitatively, PCR and real-time qPCR assays were performed with eight tomato cultivars agro-inoculated with a TYLCV infectious clone and a naturally infected tomato cultivar with TYLCV. The real-time qPCR results revealed that the accumulation level of viral DNA was much higher in plants of susceptible cultivars than in plants of tolerant cultivars. It indicated that there is a negative correlation between the virus DNA accumulation and the presence of Ty resistance genes in the tolerant cultivars. Nevertheless, higher virus DNA accumulation was not necessarily matched with more severe symptoms observed in the susceptible tomato cultivars. To quantify the sensitivity of the TYLCV-rC4 antibody, enzyme linked immunosorbent assay (ELISA) was performed with four selected plants of each cultivar showing TYLCV positive by PCR. ELISA results revealed that the C4 protein accumulation level was much higher in plants of the susceptible cultivars than in plants of the tolerant cultivars. In general, more C4 protein accumulated in susceptible cultivars showing higher SS rating, suggesting that the amount of C4 protein in plants positively related with symptom severity of the cultivar. The complete nucleotide sequences of Honeysuckle yellow vein virus (HYVV-HB) genome DNA and a betasatellite DNA (HYVB-HB) were determined from honeysuckle (Lonicera japonica) leaves showing characteristic yellow vein mosaic symptoms in the Hanbat Arboretum, Daejeon, Korea. HYVB-HB had high nucleotide sequence identity with Honeysuckle yellow vein mosaic virus (HYVMV)-associated DNA β found in UK (accession number AJ543430: 98.4%), New Zealand (accession number GQ131809: 98.2), Korea (accession number JQ728545: 98.2) and Japan (accession number AB236427: 97.3). Previously, we identified Tomato yellow leaf curl virus (TYLCV)-[Bus] and Honeysuckle yellow vein virus (HYVV)-[DJ] from tomato plants, each found not to be associated with a satellite DNA. To prove pathogenicity and interactions between a begomovirus and noncognate DNA β, we demonstrate co-agroinoculation into Nicotiana benthamiana, using a mixture of infectious clones of TYLCV + DNA β-HB and a mixture of HYVV + DNA β-HB. Genetic recombination is an important event during the evolution of begomovirus species. To determine the possibility of recombinant viruses, we investigated patterns of recombination that occur in 5 weeks long experimental infections of Nicotiana benthamiana plants using two infectious clones containing hybrid constructs (T+H hybrid and H+T hybrid) between TYLCV and HYVV genomes. Like original dimer clones of TYLCV and HYVV genomes, the infectious clones containing T+H hybrid and H+T hybrid constructs developed plant stunting and leaf curling with crinkling when agro-inoculated into N. benthamiana in the infectivity assay. PCR amplification and real-time qPCR analysis supported the infectivity of clones containing T+H hybrid and H+T hybrid constructs. The PCR amplified DNA products from plants agro-inoculated with T+H hybrid construct and H+T hybrid construct (Fig. 6D), respectively, cloned into pRI101-AN vector and determined their nt sequences. We found two recombinants named TH virus from the T+H hybrid construct agro-inoculated plants and HT virus from the H+T hybrid construct agro-inocualted plants. The full-length genome (2774 bases) of HT virus showed 74.1% and 97.3% nt identities, while its IR (300 bases) revealed 79.2% and 75.0% nt identities with those of HYVV-[KR:DJ] and and TYLCV-[KR:Bus], respectively. The full-length genome (2764 bases) of TH virus showed 97.0% and 73.9% nt identities, while its IR (296 bases) revealed 75.5% and 78.5% nt identities with those of HYVV-[KR:DJ] and TYLCV-[KR:Bus], respectively. In between TH and HT viruses their nt sequence identities was 71.4% in the full-length genome and 54.9% in the IR, which are same nt identities of the full-length genome and IR between HYVV-[KR:DJ] and TYLCV-[KR:Bus]. Based on nt sequence analysis, we found that recombination events mainly occurred in IR but not in ORF-coding regions, Based on nt sequence analysis, we found that recombination events mainly occurred in IR but not in ORF-coding. Although 54.9-79.2% nt identities were found in the IR, a stem-loop structure containing nonanucleotide region shows highly conserved nt sequences in recombinat viruses. All the results together indicated that the recombinant TH virus is closely related to HYVV and the recombinant HT virus is closely related to TYLCV. Severe tomato yellow leaf curl disease occurred in a TYLCV-tolerant cultivar (Dafnis) containing Ty- 1 and Ty-3 genes. Infected plants were collected from Buyeo city in Chungnam province, Korea. The complete nucleotide (nt) sequences were determined as 2774 bases, indicative of a monopartite begomoviral genome. A comparison of the ful-length genome with known TYLCV isolates reported in Korea, showed that the virus shared the highest nt sequence identity (98.5%) with TYLCV-IL[KR:Bus] considered as TYLCV-IL group-II. Based on the guidelines of the ICTV the virus has been designated TYLCV-IL[KR:Buyeo]. In addition, a betasatellite DNA was amplified by PCR and cloned, and the nt sequences were determined. Analysis of the complete nt sequences of 1347 bases indicated that the betasatellite (HYVB-tomato) shared 99.9% identity with its closest relative honeysuckle yellow vein betasatellite (HYVB-HB; accession number KC788280) which was identified from honeysuckle plants infected with Honeysuckle yellow vein virus (HYVV).

      • 동영상에서 교통 신호등 검출 및 신호인식 기법

        오성 한밭대학교 정보통신전문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1839

        Unmanned vehicles are actively researched and developed in Korea and other countries at present. Location recognition is one of the key technologies in this field, and the location recognition system helps distinguish the location and signals of traffic lights by recognizing the surrounding situations. However, there are more researches conducted to provide various services for drivers to drive more safely by supplementing the existing systems like 2-D navigation. This study proposes a new method that enables real-time image processing more effectively by detecting the location of traffic lights from videos and implementing a signal recognition technique. Since the existing traffic light recognition programs have limits to measuring the depth in front of vehicles and recognizing signal lights for the implementation of unmanned vehicles and have difficulty analyzing signals since they are too sensitive to changes in brightness, this study tried to implement a new program that can calculate the traffic light-vehicle distance and figure out the color of traffic lights by acquiring information about the depth in front of vehicles and detecting and analyzing signal lights. Implemented through simulations, this new method was found to recognize images more effectively by detecting more candidate frames than the existing methods. 국내외적으로 무인자동차에 대한 연구와 개발이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그중의 가장 핵심기술인 위치인식시스템은 주변 상황을 인식하여 교통신호등의 위치 및 신호를 판별하는 데 도움을 주기 때문에 기존의 2D 기반 내비게이션과 같은 시스템의 단점을 보완하여 더 안전한 주행을 할 수 있도록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연구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동영상에서 교통신호등의 검출 및 신호인식 기법을 구현하여 더욱 효과적으로 실시간 영상처리가 가능하도록 그 방법을 제안한다. 차량 전방의 깊이정보를 측정하는 방법의 한계와 무인자동차 구현을 위한 신호등 인식기능의 한계, 그리고 기존 신호등 인식프로그램은 밝기변화에 민감하여 신호분석에 어려움이 있다는 점을 고려하여 차량 전방의 깊이정보를 파악하고, 신호등을 검출하여 분석 후 전방에 검출된 신호등의 색 성분과 신호등-차량 간의 거리를 구하는 프로그램을 구현한다. 모의실험을 통하여 제안된 방식은 기존의 방법 대비 더욱 많은 후보 프레임을 검출함으로써 보다 더 효과적인 화면인식이 되었음을 확인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