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학교 컨설팅에 대한 초등교사의 인식 연구

        오미선 전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7631

        학교 컨설팅은 교수·학습의 효율성을 높이고 교사의 질을 확보하기 위한 교육 개혁의 새로운 접근 방법으로 제시되고 있다. 본 연구는 초등학교에서 적용되고 있는 학교 컨설팅에 대한 현장 실태와 해당 지역 교사들의 인식을 조사 분석하고, 이를 토대로 학교 컨설팅의 활성화 방안을 모색하는 데 연구의 목적을 두었다. 이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교 컨설팅 운영에 대한 현장의 실태는 어떠한가? 둘째, 학교 컨설팅에 대한 초등교사의 인식은 어떠한가? 셋째, 학교 컨설팅 활동 활성화를 위한 적용 방안은 무엇인가?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전라북도 지역 소재의 국·공립초등학교 교사를 대상으로 임의 표집을 통하여 299부를 최종 분석 대상으로 삼았다. 자료의 처리는 성별, 경력별, 학교 소재지별, 학교 규모별, 전·현직 부장교사 경험 유무별로 분류하고 SPSS/PC+(ver.17.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다음과 같이 분석 처리하였다. 대상자의 개인 배경별 특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빈도분석(빈도, 백분비)을 하였다. 조사 대상자의 배경 변인별에 따른 각 문항 응답간의 차이 검증을 위해 x² 검증을 실시하였다. 이 과정에서 얻어진 결과를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교내 장학 활동에 교사들의 참여는 대체로 적극적이지 못하였으며, 교내 장학 활동에 컨설팅을 도입 실시하는 학교는 거의 없는 실정이다. 학교 컨설팅을 현장에서 경험한 교사는 드물었으며, 교내 장학도 형식에만 치우쳐 있다. 컨설팅 담당자의 교내 장학 활동에 대한 관심도는 높은 편이었으나 교사들에게 실질적인 도움을 주는 장학 활동의 횟수는 학기당 1회 정도로 컨설팅이 전혀 실시되지 않고 있는 상황이다. 둘째, 학교 컨설팅의 기본 개념정도는 알고 있으나, 실질적으로 도움을 주는 학교 컨설팅의 경험은 거의 없는 편이다. 학교 컨설팅의 의미를 교사들은 ‘수업개선을 위한 의문점을 교사 상호간에 협력하여 해결하는 일’이라고 인식하고 있으며, 컨설팅이 학교에서 실시되는 학생 지도의 전문성을 신장시키는데 대체로 도움이 된다고 인식하고 있다. 또한 학교에서 수업 기술 향상에 도움을 주는 분은 교장과 교감 보다는 동료 교사라고 응답하였다. 셋째, 컨설팅 활성화를 위한 학교 컨설팅의 적용 방안은, 수업의 질 개선과 관련하여 교내에서 동료교사에게 도움을 요청하기 원하며, 운영 범위로는 교내 컨설팅이 전문성 신장에 바람직하다고 응답하였다. 학교 컨설팅을 통해 교수·학습 방법, 학생 생활 및 인성 지도의 전문성 신장을 꽤하며, 운영 방법으로는 교육․훈련형 및 대안 수립형이 바람직하다고 나타났다. 컨설턴트가 갖추어야 할 자질로는 수업 지도능력과 교과에 대한 전문적 지식이라고 응답하였으며, 컨설턴트의 관찰 내용 지도 방법으로는 동 학년 협의회 및 1:1 상담이 적당하다고 대답하였다. 교사들이 컨설팅을 받을 기회가 주어진다면 ‘받겠다’는 교사가 75% 이상으로 나타났으며, 교내 컨설턴트로 활동을 권유 받는다면 ‘응해 보겠다’는 교사도 65%이상으로 나타났다. 학교 컨설팅의 문제점으로는 과중한 업무와 수업 부담, 장학요원들의 비효율적인 운영과 전문적 지도 기술 결여를 지적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고려해 몇 가지 결론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를 기초로 교사의 컨설팅 행위가 학습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후속적인 연구가 필요하며 교사들의 수업을 직접 관찰하고, 수업 상황에서 발생하는 문제들에 대한 개선과 지원에 초점을 둔 적극적인 형태의 지원책이 시급하다. 둘째, 수업의 질 개선과 학생 지도의 전문성 신장에 전념하기 위해서 비효율적인 업무 개선 방안의 후속 연구가 필요하다. 셋째, 다른 교사의 수업을 관찰함으로써 교과 수업 내용의 전문성, 수업 기술, 수업 환경 등에 대한 정보를 습득하여 좋은 수업을 만들어 나가는데 도움을 줄 수 있는 수업을 분석하는 기준, 관점, 이론을 습득 할 수 있는 프로그램개발이 필요하다. 넷째, 컨설턴트 활동을 자원하는 교사들에 대한 연수 프로그램 개발과 이를 활용한 교내 컨설팅 활동의 적극적인 지원책을 마련함으로써 자발적인 학교 컨설팅이 운영될 수 있는 분위기 조성이다. This study analyzes the present condition of the school consultation system, which is now being applied to elementary schools, and how the teachers think about the mentioned business. The matters to recognize in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st, the actual condition of the operation of school consulting. Second, the elementary school teachers' perception of school consulting. Third, the strategies for application of school consulting to activate internal consulting activity. Based on what the research came up with, ways to promote the said consultation was brought forth. First, the participation of the teachers in the encouragement of learning at school was quite low. Also, there are few schools that perform the consultation business for the encouragement of learning. It was found that teachers hardly experienced giving consultation for the encouragement of learning at school, If there was any at all, it was rather a formality. It turned out, however, that the teachers are aware of the fundamental idea of a school consultation to some degree. The teachers consider this something helpful in improving the students' studies and in collaborating with each other. They also have in mind that the consultation is quite useful in improving their skill in terms of counseling. During research on how to promote school consultation, it was revealed that the teachers were willing to ask for help from their colleagues in order to improve the quality of their classes. They also answered that for the benefit of operation, the consultation would be appropriate. They believed that it would help them develop their professionalism with regard to teaching methods. For ways on how the consulting would be operated, they mentioned education and training. The teachers also thought that a consultant should be someone with excellent teaching ability. For what and how to consult, they said that the topics have to be discussed during a grade conference or 1:1consultation. The teachers said that plenty of paperwork and classes are interfering with school consultation. The results drawn from the facts above are as follows. First, the provision of active support for resolving problems in classrooms is urgent. After observing the classes, how to support the teachers about the problems should be discussed as soon as possible. Second, since teachers are too busy with paperwork, which leads them unable to focus on teaching only, countermeasures to resolve inefficient job performance should be established. Third, a program, which helps the teachers to learn about standards, viewpoints, and theories that analyze classes, has to be developed. Fourth, schools should create an atmosphere which supports the activities of the consultants and the development of relevant educational programs. These measures, if done voluntarily, will help accomplish an effective school consultation system.

      • 고립성 중뇌동맥 협착 및 폐색 환자의 장기 예후

        오미선 한림대학교 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7631

        Background and Objectives; The prognosis of middle cerebral artery (MCA) stenosis has been known as guarded, however, only a few of limited data on the long term prognosis of stroke patients with MCA stenosis, especially Isolated MCA Steno-Occlusive Disease (IMCASOD), were available, yet. The aims of this study were to investigate long-term mortality and recurrence rate of stroke in stroke patients with IMCASOD managed by conservative treatment for the secondary prevention. Methods; Out of 1,820 consecutive stroke or transient ischemic attack (TIA) patients admitted to Hallym Stroke Center within 7 days after onset between March 1999 and June 2006, we identified the patients with IMCASOD. After excluding patients with other potential causes of stroke, such as cardiac embolic source, we reviewed the medical records (n=123) in the patients with follow-up in our hospital and performed the telephone interview (n=57) if not being followed in our hospital. Finally we determined a cumulative rate of recurrence and mortality by Kaplan-Meier survival analysis and Cox proportional hazard model. Result: Among 1,623 patients with MRA, one hundred eighty patients (11.1%) with IMCASOD were identified. Among 157 patients who were available to follow up, 148 patients (94%) had been under the medical treatment for the secondary prevention. The mean age at admission for index stroke was 63.1 ± 12.5 years and 53.4% of the patients were male. Hypertension (56.8%), diabetes mellitus (26.4%), and history of smoking (27.7%) were common vascular risk factors. With a median follow-up of 36 months, patients with composite outcome event were 33(22.2%); Nineteen cerebrovascular events (12.8%) occurred and fourteen patients (9.4%) died (directly related to ischemic stroke in 1, acute myocardial infarction in 1, sudden death in 2, serious medical illness in 5, and unknown cause in 5). The cumulative rates of recurrent stroke during 1 and 5 years were 6.0 % and 19.2 %. Also, the cumulative rates of mortality during 1 and 5 years were 4.1 % and 15.0%. More occurrence of recurrent stroke (log-rank, 3.97; p=0.046) was found among patients with symptomatic IMCASOD (n=133) than those with asymptomatic IMCASOD (n=15). However, in a multivariable Cox proportional-Hazards regression model, symptomatic IMCASOD was not independent predictor of recurrent stroke. Conclusions: These findings will not only provide important epidemiological data on stroke recurrence and mortality of patients with IMCASOD under the current medical treatment but also be used as historical control data for the future clinical trials of interventional management of these patients.

      • Shear bond strength comparison of ceramic brackets with different base designs

        오미선 원광대학교 일반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의 목적은 다양한 세라믹 브라켓에서 디본딩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디자인된 각각의 독특한 베이스가 pH cycling 후에 전단결합강도에 어떤 차이를 보이는지 비교하고자 하였다. 13~29세 환자에서 교정치료를 목적으로 발치된 소구치 50개를 5그룹으로 나누었다. 각 그룹별로 4종류의 ceramic bracket (Clarity™, Inspire ICE™, Crystaline®7, Radiance plus™)과 1종류의 metal bracket(Mini Uni Twin™)을 치아를 수직으로 세워 polyvinylchloride tube에 매몰한 후 통상적인 임상술식과 제조사 권장에 따라 부착하였다. 위 sample들을 모두 pH-cycling 시행 후 만능시험기를 이용하여 전단 결합 강도를 측정하였고, SEM으로 각 군의 base를 부착전과 debonding 후 촬영하였다. 실험결과 각각의 브라켓군별 전단 결합 강도 비교시 Clarity™를 제외한 세라믹 브라켓 3종류 (Inspire ICE™ , Crystaline® 7 , Radiance plus™)는 메탈 브라켓 전단결합 강도와 비슷한 정도로 나타났다. 세라믹 브라켓 base의 디자인에 따라 전단결합강도가 메탈 브라켓과 비슷한 수준으로 낮아질 수 있으며 이는 임상에서 사용시 유용할 것으로 보인다. Objective: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shear bond strength among different ceramic bracket base designs after pH cycling. Material and Methods: Fifty human premolars extracted from young patients (age from thirteen to twenty-nine) for orthodontic treatment were used in this study and were divided into five groups; Four ceramic brackets (Clarity™, Inspire ICE™, Crystaline®7, Radiance plus™) and one metal bracket (Mini Uni Twin™) were used in this study. Teeth were vertically embedded in polyvinylchloride tubes and the brackets were bonded on the teeth according to the manufacturers instruction. After pH-cycling all samples, shear bond strengths were measured with the universal testing machine. Scanning electron microscope was used to examine the bracket base before bonding and after debonding. Results: Three ceramic brackets (Inspire ICE™, Crystaline® 7, Radiance plus™) showed similar shear bond strength with the metal bracket. Only Clarity™ showed statistically difference with the rest of the groups. Conclusion: The shear bond strength of ceramic brackets could be decreased at a similar level with that of metal brackets depending on the base design which could be useful in clinical practice.

      • 전남지역 초등학생의 상담실태 및 요구 분석

        오미선 목포대학교 교육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7631

        <국문초록> 본 연구는 전남의 서부 지역 초등학교 고학년(5,6학년) 학생들을 대상으로 상담 실태, 학교상담실 운영 현황, 학생들이 요구하는 상담 내용, 상담자에 대한 요구 실태 등을 설문 조사 분석함으로써 학생들이 내면의 갈등이나 고민 등을 해결하고 바람직한 성장을 하도록 돕기 위한 기초적인 자료를 얻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이를 위해 연구자는 전라남도 서부 지역 초등학교 고학년 학생 586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학교 고학년 학생들은 다양한 고민과 걱정거리를 갖고 있지만, 이를 해결하려는 방법에 있어서는 상당히 소극적이며 부모나 친구, 형제와의 상담을 통해서만 해결하려는 경향이 있었다. 이러한 경향은 상담교사의 긍정적인 역할과 상담 후 결과에 대한 구체적인 경험을 얻을 수 있는 상담교사와의 상담은 해본 적이 없고 부모나 친구, 형제와의 상담만을 해보았기 때문인 것 같다. 둘째, 비록 학생들이 상담교사 보다는 부모나 친구, 형제와의 상담을 주로 원했지만, 초등학교에도 상담교사의 배치가 절실히 필요하다고 본다. 현재 많은 중등학교에서는 상담교사가 배치되어 학생들의 일탈문제와 부적응 현상들을 성공적으로 개선하고 예방하고 있다. 셋째, 학생들이 주로 선호하는 상담자가 부모와 친구라는 연구결과가 나타났으므로 학생들이 자신의 상담 필요성에 대처하고 조언과 도움을 받을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기 위하여 부모나 친구, 형제에 대한 상담교육이 반드시 필요하다. 이러한 종류의 교육에는 전문상담기관의 전문 상담가를 초청하여 부모나 친구, 형제들에 기초적인 상담과정과, 상담방법 및 기법에 대한 연수 등이 있을 수 있다. 마지막으로, 고학년 아동들이 현재 가장 고민하고 있는 가정문제나, 학교문제, 개인문제에 있어 공통적으로 나타나는 문제는 학업성적이나 공부와 관련된 문제이기 때문에 다양한 학업상담프로그램이 개발 보급되어야 한다. 결론적으로, 학생들의 여러 가지 상담욕구를 충족시키기 위하여 상담교사의 학교 배치, 담임교사의 상담연수, 부모나 친구, 형제들에 대한 상담교육, 전문적인 상담기관과의 연계, 다양한 프로그램 개발 보급을 통해 학생들의 고민을 해결할 수 있는 다양한 방법들이 모색되어져야 한다.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obtain basic data to help students solve their inner conflicts and problems and make desirable growth through analyzing the results of a survey with the higher graders of elementary schools(fifth- and sixth-graders) in the western area of Jeonmam province about the actual state of counseling activities, the management of school counseling room, counseling fields required by students and requirements for counselor. For this purpose, the survey was conducted with 586 elementary school students from the western area of Jeonnam province. The result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higher-grader elementary school students had various troubles and problems but were pretty passive in solving them and tended to solve only through talking with parents, friends, or siblings. It seems that they didn't want counseling a school counselor because they had counseling experience by parents, friends, or siblings but have never counselled a school counselor which could take concrete experience of a counselor's positive role and the results of counseling. Second, though they wanted to counsel parents, friends and siblings rather than a school counselor, it is keenly necessary to place a school counselor at elementary schools. Many secondary schools having a school counselor have actually succeeded in improving and preventing students' deviation and maladjustment. Third, Since they preferred parents, friends and siblings as a counselor, it is essential to provide counseling training with parents, friends and siblings in order to establish circumstances in which they can appropriately cope with their own needs for counseling and get advice and assistance. These kinds of counseling training can be consisted of education about fundamental counseling courses, methods, and techniques by an expert of a counseling-specialized institution. The last, it is necessary to develop and provide various academic counseling programs because they commonly have much trouble with academic performance or schoolwork currently in terms of family, school, and personal problems. In conclusion, to meet children's various needs for counseling, it is necessary to take various methods to solve their problems through the placement of a school counselor, counseling training for homeroom teachers, parents and peers, connection with a counseling-specialized institution and the developing and providing of various academic counseling programs.

      • PDA폰의 인터페이스 디자인에 대한 연구 : 20~30대 여성 소비자를 중심으로

        오미선 이화여자대학교 디자인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31

        Thanks to the advancement of today’s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devices have increasingly pursued the diversity and individuation of their functions as well as the miniaturization that considers portability of these devices. Personal digital assistant(PDA), which is small in size and offers easy portability and connection to a PC, and that can run various types of program, have emerged as a state-of-the-art device of the mobile Internet that can substitute for mobile phones due to the possibility of the wireless Internet. This study aimed at selecting women in their 20s and 30s who have emerged as a core consumer group whose adaptability to changes in social trends is fast, examining their diverse sentimental needs, and analyzing their lifestyle at this moment in order to propose a PDA user interface(UI) design that appropriately reflects their needs and preferences. To analyze the sentimental needs of women in their 20s and 30s, the study used Focus Group Interview(FGI) method and conducted user interviews to examine their sentiment and preferences based on lifestyle. The analysis of the FGI result showed that the future directions of PDA UI design for women in their 20s and 30s were as follows: First, compared to PCs, PDAs should be repositioned as a complement of a cell phone. A cell phone, which is limited in terms of its display, battery, and computing aspect, can pose various difficulties for users to conduct key convergence functions such as computing or multimedia processing. Thus, woman-oriented PDAs should focus on offering various multimedia functions. Second, PDAs should easily and actively supply content that plays a decisive role in establishing the usage of PDAs for women. Woman consumers want to acquire applications or multimedia content easily and conveniently in order to improve the user value of PDA phones. Considering that the quality of PDAs is often determined by the content serviced to them, the collaboration among various wireless communication service providers as well as interest parties such as commercial transaction and entertainment sectors, and solution providers is most required. Third, PDA phones should improve the convenience of usage. For woman consumers who find installing applications and usage inconvenient and difficult, future PDA phones should implement a touch screen-based software input method that offers flexibility of interface design. The touch screen-based input method, which has recently become an innovative UI design in the market, can simplify even the most complicated functions in a PDA so that woman users can easily access to these functions in their PDAs. Therefore, the study showed that research on PDA for women in their 20s and 30s was necessary and that they considered PDAs as a means to express their personality. The selection of PDA design could be categorized into unique and personalized design and simple and sentimental design. Also, in order to propose a PDA GUI design, the study surveyed the sentiment and preferences of women in their 20s and 30s based on their lifestyle, analyzed the overall understanding of this consumer group and their consumption trend, and deduced keywords, such as Simple, Digital+Analog, Individualism, Preference to T.P.O, Customization, Preference to Personality, Emotional Design, Brand, Fashion and Style, that represented this consumer group through user interviews. The study, consequently, conceptualized more concrete design keywords, ‘Simplicity,’ ‘Arty-generation,’ and ‘Fashion & Style,’ from these keywords, and proposed a GUI design prototype. Then the study proposed a guideline of detailed screen design elements required for an efficient GUI design, such as the screen layout, the menu, buttons, icons, and color, based on which the study realized the starting screen and launching screen of a PDA phone. It is believed that in the time where studies of proactive advancement into niche markets and of unique user groups based on the current trends in subdivided target markets, this study is important in proposing a PDA GUI design based on the analysis of woman consumers in their 20s and 30s, who will lead the consumer market in the 21st century. 오늘날 정보 및 통신기술이 발달함에 따라 정보통신기기는 점점 기능의 다양화 및 개인화를 추구하고 있으며, 이동성을 고려한 정보기기의 소형화, 축약화가 이루어지고 있다. 작은 크기와 편리한 휴대성, PC와의 연동을 통해 개인정보관리 이외의 각종 프로그램을 동작시킬 수 있다는 장점을 갖고 있는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는 또한 무선인터넷이 가능하게 되면서 이동전화를 대신할 모바일 인터넷(Mobile Internet)의 첨병으로 주목받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사회 트렌드 변화에 따른 적응 속도가 빠르고 소비 핵심 세력으로 부상하고 있는 20~30대 여성을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여 이들의 다양한 감성 니즈를 파악하고 현 시점에서의 라이프스타일 분석을 통해 그들의 요구와 취향이 적절하게 반영된 PDA GUI 디자인을 제안해 보고자 한다. 연구방법은 20~30대 여성들의 감성 니즈 분석을 위해 FGI(Focus Group Interview) 기법을 사용하였고, 라이프스타일에 따른 감성과 취향을 분석을 위해 사용자 인터뷰를 실시하였다. FGI 내용을 분석한 결과, 20~30대 여성을 위한 개인 휴대용 정보단말기 디자인을 개발함에 있어 향후 디자인 방향은 다음과 같다. 첫째, PDA는 PC보다는 휴대폰의 보완재로 재포지셔닝해야 한다. 휴대폰의 경우 디스플레이, 배터리, 컴퓨팅 측면에서 한계가 있기 때문에 휴대폰에서 컴퓨팅이나 멀티미디어 처리 등 대표적인 컨버전스 기능을 제대로 수행하기에 어려움이 많기 때문이다. 따라서 여성향 PDA는 다양한 기능을 제공해 주는 멀티미디어 PDA로 제안한다. 둘째, PDA의 활용도를 제고시키는데 결정적인 역할을 하는 컨텐츠를 원활히 공급해야 한다. 여성 소비자들은 PDA폰의 이용가치를 높이기 위해서 응용 소프트웨어나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손쉽게 획득할 수 있기를 원한다. PDA단말기를 통해 서비스되는 컨텐츠를 통해 상품의 질이 최종 결정된다는 것으로 볼 때, 상거래, 엔터테인먼트, 솔루션 등 이해관계자를 비롯한 다양한 이동통신망 사업자와의 공조가 필요하다. 셋째, PDA폰은 사용상의 편의성 제공 측면을 강화해야 한다. 응용 소프트웨어 설치 번거로움, 어려운 사용법 등의 불만을 갖고 있는 여성사용자를 위해 인터페이스 구현의 유연성을 제공하는 터치스크린 기반의 소프트웨어 입력 방식을 채택하여 진행한다. 최근 휴대폰의 혁신적인 사용자인터페이스로 각광받고 있는 터치스크린은 PDA를 처음 접하는 여성 사용자도 복잡했던 UI를 단순화해 제품 사용을 편리하게 만들어주기 때문이다. 따라서 20~30대 여성을 위한 PDA에 관한 연구가 필요함이 나타났으며 개성표현의 세대에 맞게 PDA를 자신의 개성표현의 수단으로 생각하고 있었다. 그리고 PDA 디자인의 선택에 있어서는 2가지로 분류될 수 있었는데 개성있는 디자인, 심플하고 감성적인 디자인을 선호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20~30대 여성의 라이프스타일에 따른 감성과 취향을 조사하여 PDA GUI 디자인을 제안하고자, 사용자에 대한 전반적인 이해 및 소비 트렌드를 분석하였으며 사용자 인터뷰를 통해 20~30대 여성들을 대표하는 키워드를 도출하였다. Simple, Digital+Analog, 개인중심, T.P.O 중시, 개별화와 맞춤화, 개성 중시, Emotional Design, Brand, Fashion & Style이 그것이다. 이 추출된 키워드로 사용자 니즈에 따른 디자인 요소를 적용시켜 구체적인 디자인 키워드인 ‘Simplicity’, ‘Arty-generation’, ‘Fashion & Style’을 컨셉으로 GUI 디자인 프로토타입을 제안하였다. 효율적인 사용자 인터페이스 설계를 위해 필요한 세부 스크린 디자인 요소들인 화면 레이아웃, 메뉴, 버튼, 아이콘, 컬러 등에 대한 가이드라인을 제시하고 그것을 기준으로 적용한 PDA폰의 시작 화면, 런쳐 화면을 구현해 보았다. 본 연구는 틈새시장을 공략하는 것, 타겟시장의 세분화 경향에 따라 특정 사용자 층에 대한 연구가 중요한 시점에서 21세기 소비시장을 리드할 소비의 중추세력인 20~30대 여성을 타겟으로 선정하여 조사를 바탕으로 PDA의 인터페이스 디자인을 이끌어내었다는데 의의가 있다.

      • 다중지능이론을 적용한 독서전략 개발

        오미선 공주대학교 교육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631

        ABSTRACT A Study on Development of Reading Strategies Adapting Multiple Intelligences Oh. Mi Sun Department of Library & Information Science Education The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Kongju National University Supervised by Prof.Song, Gi Ho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reading strategy applying multiple intelligence theory asserting that people must have excellent intelligence among 8 kinds even if they lack one a little and based on the strong ones, they can develop the various 8 kinds evenly complementing one they lack. One of the most important roles of teacher in school education is to discover and lead potentialities of students. Reading education is very effective in that it can play an affective role which is easy to be overlooked in subject education. Through reading, children can have an insight into themselves by identifying themselves with some properties of characters. And they can get purification that may be a deep experience of cognition by releasing their thoughts and feelings which have been suppressed without having known how to express them. Also, in books, they may find a role of their lives required in childhood and adolescent period. The model found in this period may affect greatly how to live on having what values they have in adulthood in the future. Thus, it is desirable that the reading education of trans-disciplinary school libraries should focus on affective area which is easily overlooked by other subjects, that is, the establishment of correct values, improvement of abilities in interpersonal relationship through deep insight. In addition, it should be able to contribute to the enhancement of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a basic learning ability. For this research purpose, reading education was able to achieve greater results than any other subjects. It is because reading education can utilize reading materials with inclusive themes corresponding to the 8 kinds of intelligence, and various activities to stimulate evenly the development of the 8 kinds of intelligence are available in post-reading activities. With reference to the preceding researches that have studies the methods of post-reading activities that can improve the intelligence individually, this researcher designed methods to utilize not only post-reading activities but also the contents and themes of the reading materials, which may be the key for each intelligence. And I tried to stimulate and develop each one through the post-reading activities appropriate for the contents and themes of the reading materials connected to the activities for each one proven in the preceding studies. For the research method, I selected 12 children in grade 5 and 6 in elementary school in rural areas, did a pre-test of multiple intelligence and a post-test after running a reading program for 17 sessions utilizing the reading strategies this researcher had developed and then tried to prove the effectiveness of multiple intelligence development when the reading strategies were applied through a comparison pre- with post-reading. I used SPSS 14.0 as statistics program and for statistical method, I used a paired t-test to examine the difference between pre- and post-reading scores. The results of instructions through the 17 sessions from March to July are as follows: First, the children came to recognize their own strong intelligence and weak one. Through the reading education for the 17 sessions, they recognized that if they leave their weak intelligence intact, at about their age 19, as one of the process in which individuals adapt themselves to environment, they cut the part out, so it became a chance for them to sympathize that they have to develop also their weak intelligence constantly to utilize multiple intelligence whenever they need even after having become adults by forming fine net with nerve cells connected with synapse like the surface of melon. Second, beyond the differences among the children in grades evaluated centering around logical math and linguistic intelligence, since their strong areas may differ, they never had any rejection sharing their own strong and weak intelligences, and were able to create an atmosphere in which they respected each other in the specific area. Third, the preceding researches have developed the post-reading that can develop the appropriate intelligence for each one, consequently, they have focused on reading interest, reading attitude, reading ability improvement and vocabulary enhancement, etc. This researcher utilized not only post-reading activities but also the contents and themes of the reading materials which may be the key and as a result of a study on the effect of those on the development of multiple intelligence, instructing them with the themes and contents of the reading materials corresponding to each intelligence and post-reading activities constantly could affect the development of their multiple intelligence, which was a significant result. Lastly, as mentioned in the beginning of this paper that developing and guiding well children's potentialities is one of the important roles of teachers, I allowed the children to understand their own strong intelligence and to have confidence in that rather than looking at them from standardized view and stigmatizing them about their weak intelligence. I was able to plant them energy and power for them to grow up and develop by allowing them to utilize their strong intelligence to complement their weak one with the energy. 다중지능이론을 적용한 독서전략 초록 이 연구의 목적은 어느 한 가지 지능이 조금 부족하다 할지라도 다양한 8가지의 지능 중에 반드시 우수한 지능들이 있으며, 그러한 강점지능을 바탕으로 하여 약점지능 또한 보완해 가며 다양하게 8가지의 지능들을 고르게 발달 시켜나갈 수 있는 다중지능이론을 적용한 독서전략을 개발 하는 것이다. 학교 교육에서 교사의 가장 중요한 역할 중의 하나는 학생의 잠재능력을 발견하고 이끌어 주는 것이다. 독서 교육은 교과 교육에서 자칫 소홀하기 쉬운 정의적 영역을 담당할 수 있다는 점에서 매우 효과적이다. 독서를 통해 아이들은 등장인물의 어떤 점과 자기를 강하게 동일시 함으로 객관적으로 자기의 모습을 통찰할 수 있다. 그리고 표출할 방법을 알지 못해 억압되어 있던 사고와 느낌을 방출함으로 인식의 심오한 체험이 될 수 있는 정화를 얻는다. 또한, 책 속에서 아동․청소년기에 꼭 필요한 삶의 모델을 찾아내기도 한다. 이 시기에 발견한 모델은 앞으로 성인이 되어 어떤 가치관을 가지고 살아 갈 것인가에 지대한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따라서 범 교과성을 특징으로 하는 학교도서관의 독서교육은 다른 교과목에서 간과하기 쉬운 정의적 영역, 즉 올바른 가치관 확립, 깊은 통찰을 통한 자기이해를 바탕으로 대인관계능력 향상 등에 초점을 맞추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기초 학습능력인 자기주도 학습능력 향상에 기여할 수 있어야 한다. 이러한 연구 목적을 위해서는 어느 교과목보다도 독서교육에서 그 성과를 크게 나타낼 수 있었다. 독서교육은 다양한 8가지의 지능에 해당하는 포괄적인 주제를 가지고 있는 독서자료를 활용할 수 있으며, 또한 8가지의 지능개발을 고르게 자극하기 위한 다양한 활동들도 독후활동에서 가능하기 때문이다. 각 지능별로 그 지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독후활동 방법들을 연구한 선행연구들을 참고하여 본 연구자는 독후활동 뿐만 아니라 가장 핵심이 될 수 있는 독서자료의 내용과 주제를 각 지능에 맞게 활용할 수 있는 방법을 구안해 보았다. 그리고 거기에 선행연구에서 밝혀낸 각 지능에 맞는 독후활동을 함께 접목시켜 독서자료의 내용과 주제, 그리고 그에 맞는 독후활동들을 통해 각 지능을 자극하고 개발하고자 하였다. 연구의 방법으로는 농촌지역에 있는 초등학교 5, 6학년 아이들 12명을 선정하여 다중지능 사전검사를 한 후 본 연구자가 개발한 독서전략을 활용한 독서프로그램을 17차시간 진행한 후 사후검사를 하여 사전·사후간 점수의 비교를 통해서 다중지능이론을 적용한 독서전략을 적용했을 때의 다중지능 개발의 효과성을 입증하고자 했다. 통계프로그램은 SPSS 14.0을 활용하였으며 통계방법은 사전·사후 점수차이의 변화를 조사하기 위해 대응표본 t검증을 활용하였다. 3월부터 7월까지 주 1회 총 17차시에 걸쳐 지도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아이들 각자가 자기의 강점지능과 약점지능을 인식하게 되었다. 17차시간의 독서교육을 통해 약점지능을 그대로 방치해 두면 19세 정도에는 개체가 환경에 적응하는 하나의 과정으로서 그 부분을 잘라내게 된다는 것을 아이들이 인식하고 그래서 메론 표면처럼 신경세포들이 시냅스로 연결되어 촘촘한 그물망을 형성하여 어른이 되어서도 필요할 때면 언제라도 다중지능을 활용할 수 있도록 하려면 꾸준히 약점지능도 개발해야 함을 아이들이 공감할 수 있는 계기가 되었다. 둘째, 아이들 간에 논리수학, 언어지능 중심으로 평가되는 성적의 차이를 넘어서 각자가 잘하는 분야가 다 다를 수 있으므로 자기의 강점지능과 약점지능을 서로 공유하는데 전혀 거부감을 느끼지 않고, 그 분야에 있어서는 서로를 존중해주는 분위기를 형성해 갈 수 있었다. 셋째, 선행연구에서는 각 지능별 해당지능을 개발할 수 있는 독후활동들을 개발하였고, 그 활동 결과 독서흥미, 독서태도, 독서능력신장, 어휘력 향상 등에 주안점을 두었다. 본 연구자는 독후활동 뿐만 아니라 가장 핵심이 될 수 있는 독서자료의 내용과 주제를 활용하고 독후활동도 추가하여 다중지능개발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 지를 연구한 결과 지속적으로 각 지능에 해당하는 독서자료의 주제와 내용, 그리고 독후활동을 지도하면 다중지능 개발에 영향을 줄 수 있음으로 유의미한 결과를 얻었다. 마지막으로 아이들의 잠재능력을 개발하고 잘 이끌어주는 것은 교사의 중요한 역할 중에 하나임을 논문의 서두에서도 밝혔듯이 획일적인 관점으로 아이들을 바라보고 약점지능에 대해서 아이들에게 낙인감을 심어주는 것보다 아이들이 자기의 강점 지능을 이해하고 거기에서 자신감을 얻을 수 있도록 하였다. 그 에너지로 강점지능을 활용해서 약점 지능을 보완해 가도록 하여 아이들이 성장하고 발달해 가는데 에너지와 동력을 심어 줄 수 있었다.

      • 임상간호사의 윤리적 딜레마와 직무스트레스가 심리적 소진에 미치는 영향

        오미선 고신대학교 일반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7631

        최근의 의료계 상황은 환자의 권리가 중요시되고 있으며 이에 따라 윤리적 딜레마 상황에서 윤리적 의사결정과 그에 따른 책임이 간호사에게 부과되고 있다. 이에 더하여 간호사는 과중한 업무량, 전문직으로서의 역할갈등, 전문지식과 기술의 부족 등으로 직무수행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실정이다. 특히 간호사는 다양한 계층의 대상자들과 병원 내 여러 직종의 구성원들과 상호관계를 맺는 가운데 정서적으로 고갈되어 심리적 소진을 경험하게 되고, 이는 결국 간호의 질 저하를 야기할 가능성이 크다. 이에 본 연구는 임상간호사의 윤리적 딜레마, 직무스트레스, 심리적 소진의 정도 및 그 관계를 확인하고, 이들 변인들이 심리적 소진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본 연구는 B광역시와 Y시 소재 2개 상급종합병원에 근무하는 임상간호사 157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본 연구는 자료수집 전 B광역시 소재 K대학교 기관생명윤리위원회(IRB)의 승인을 득한 후 2018년 7월 23일부터 동년 8월 29일까지 자료수집을 실시하였다. 자료수집방법은 해당병원의 간호부를 개별 접촉하여 본 연구의 목적과 절차를 설명하고 협조를 구하였으며, 간호 부서장에게 승인을 받아 진행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을 이해하고 설문에 참여하기를 자의로 동의한 자로 한하여 구조화된 설문지를 배부하여 직접 자기기입식으로 응답하게 하였으며 작성된 설문지는 밀봉하고 즉시 회수 또는 수거함에 넣도록 한 후 회수하였다. 연구도구로 윤리적 딜레마는 한성숙(1992)이 간호사를 대상으로 개발하고, 양야기, 오상은(2006)이 수정, 보완한 윤리적 딜레마 측정도구를 사용하였다. 직무스트레스는 구미옥과 김매자(1984)가 간호사를 대상으로 개발하고 안미경(2003)이 수정, 보완한 직무스트레스 측정도구를 사용하였고, 심리적 소진은 Maslach와 Jackson (1981)이 인간 서비스 전문직을 대상으로 개발하고, 최혜윤, 정남운(2003)이 상담자를 대상으로 번안하고, 이미향, 박영임(2015)이 간호사를 대상으로 사용한 심리적 소진 측정도구를 사용하였다. 자료분석은 SPSS/WIN 18.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했고, 실수와 백분율, 평균, 평균평점과 표준편차, 최대값과 최소값, t-test, ANOVA와 Scheffé test,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 및 stepwise multiple regression으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1. 대상자의 심리적 소진 정도는 평균 106.06±14.03점(도구범위: 21-147), 평균평점 4.82±0.64(척도범위: 1-7)로 중간보다 다소 높은 수준으로 나타났다. 대상자의 윤리적 딜레마 정도의 평균은 85.22±13.85(도구범위: 34-136), 평균평점 2.51±0.41(척도범위: 1-4)로 중간수준으로 나타났다. 대상자의 직무스트레스 정도의 평균은 85.97±13.08(도구범위: 23-115), 평균평점 3.74±0.57(척도범위: 1-5)로 중간보다 높은 수준으로 나타났다. 2. 대상자의 제 특성에 따른 심리적 소진 정도는 지각하는 대인관계(F=3.550, 𝑝=.031), 주관적 건강상태(F=8.536, 𝑝<.001), 현 근무병동 만족도(F=10.274, 𝑝<.001), 간호직 만족도(F=7.937, 𝑝=.001)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3. 대상자의 윤리적 딜레마 정도와 심리적 소진 정도 간에는 순 상관관계(r=.316, 𝑝<.001)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직무스트레스 정도와 심리적 소진 정도 간에는 순 상관관계(r=.394, 𝑝<.001)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윤리적 딜레마 정도와 직무스트레스 정도 간에는 순 상관관계(r=.442, 𝑝<.001)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4. 대상자의 심리적 소진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직무스트레스(β=.247, 𝑝=.003)였고, 그 다음으로 현 근무병동 만족도(β=-.210, 𝑝=.005), 주관적 건강상태(β=-.185, 𝑝=.012), 윤리적 딜레마 정도(β=.161, 𝑝=.039) 순으로 나타났으며, 이들 변인의 심리적 소진에 대한 전체 설명력은 25.5% 이었다. 결론적으로 임상간호사의 윤리적 딜레마 정도가 높을수록, 직무스트레스 정도가 높을수록 심리적 소진 정도가 높게 나타났다. 임상간호사의 심리적 소진 정도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직무스트레스였고, 그 다음으로 현 근무병동 만족도, 주관적 건강상태, 윤리적 딜레마 순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임상간호사의 심리적 소진을 감소시키기 위해서는 임상간호사의 직무스트레를 감소시키고, 윤리적 딜레마 상황에서 윤리적 의사결정 자신감을 증진시키는 프로그램의 개발과 적용이 필요하며, 건강증진을 위한 교육 관리 방안 마련과 현 근무병동 만족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제도적, 정책적 개선방안이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 멘티가 지각하는 멘토의 공감능력이 멘토링관계와 멘티의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

        오미선 명지대학교 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mentor’s empathic ability on mentoring relationship and mentee’s self-esteem. It intended to identity a "empathy" role in a mentoring relationship and provide specific ways for educating mentors. This study measured how mentees perceive mentor’s empathy, not to measure mentor’s empathic ability.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children and adolescents who participated in youth mentoring pilot projects ran by National Youth Policy Institute for six months, from 2011 March to September. The total of 195 questionnaires were used for data analysis except 45 copies like the one where respondent doesn’t reply or insincerely reply to any question. Data were analyzed with frequency and percentage, t-test, One-way ANOVA, correlation analysis, and regression analysis using SPSS17.0.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ly, mentee’s gender and school record, which are their personal variables, had no influence on a mentoring relationship. However, mentees who answered that their grades are good showed their self-esteem higher than that of mentees who answered otherwise. Second, it turned out that mentor’s level of education did not have any significance effects in youth mentoring activities. Moreover, in order to identity the regional effects, the mentees from big cities and the mentees from smaller cities were analysed separately. It also turned out not to have any significant effects on the result. Third, empathy felt by mentees were categorized into cognitive empathy and emotional empathy. The analysis revealed that emotional empathy had a bigger effects on mentoring realtion than cognitive empathy does. However, in the case of mentee’s self-esteem, cognitive empathy had a bigger effects than emotional empathy does. Practice implications from this study are discussed to implement the effective youth mentoring activities. Especially, this study provided theoretical basis and specific ways for educating mentors. mentor‘s education should implement on mentoring cycle. Also, emortional empatiy was important in mentoring relationship and cognitive empathy had effect on mentee‘s self-esteem. 청소년멘토링활동에서 멘토와 멘티의 관계는 무엇보다 중요하다. 다양한 변인들이 멘토와 멘티의 관계에 영향을 미칠 수 있지만, 본 연구에서는 Rogers의 인간중심이론을 토대로 하여 “공감”이라는 변인이 멘토링관계와 멘티의 자아존중감에 영향을 주는지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본 연구의 목적은 멘티가 지각하는 멘토의 공감능력을 측정함으로써 멘티의 입장에서 느껴지는 멘토의 공감능력이 멘토링관계와 멘티의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는 것이다. 조사는 2011년도 3월부터 9월까지 6개월 동안 청소년멘토링활동에 참여한 멘티를 대상으로 하였으며, 총 195명이 응답한 설문지를 최종분석에 사용하였다. 조사대상은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에서 운영하고 있는 청소년멘토링시범사업에 참가한 아동과 청소년이었다. 자료 분석은 SPSS 17.0을 활용하여 t-검증, One-way ANOVA, 회귀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멘토링관계에 대해서는 멘티의 개인적 변인인 성별과 학교성적이 차이가 없었으나 멘티의 자아존중감에는 학교성적이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멘토링형식인 멘토의 학교 급별과 지역 간 차이에 따라 멘티가 지각한 멘토링관계와 멘티의 자아존중감을 비교해본 결과, 멘토의 학교 급별에 따른 차이는 물론 지역 간에 따른 유의미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멘티가 지각하는 멘토의 공감능력을 인지공감과 정서공감, 두 가지 하위요인으로 나누어 멘토링관계에 영향을 주는지 분석하였다. 그 결과, 정서공감과 인지공감 모두 멘토링관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만 두 요인 중, 정서공감이 인지공감에 비해 멘토링관계에 더 많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멘티가 지각하는 멘토의 공감능력이 멘티의 자아존중감에 영향을 주는지에 대해서 분석한 결과는 정서공감이 멘티의 자아존중감에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반면 인지공감이 멘티의 자아존중감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효과적인 청소년멘토링활동을 위한 몇 가지 제언을 하고자 한다. 첫째, 멘토링활동에서 멘토와 멘티의 관계를 형성하는데 정서공감이 중요하며, 정서공감을 주제로 하여 멘토교육프로그램을 구성할필요가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 둘째, 청소년멘토링활동의 사전준비부터 종결까지 멘토링업무 담당자는 이에 대해 모니터링을 해야 하며 멘토링진행시기에 맞는 교육을 멘토들에게 해야할 필요가 있다. 셋째, 멘토링활동 담당자 또는 멘토링 코디네이터는 멘토링활동 중에도 멘토가 멘티의 기분과 상황을 정확히 이해하고 반응할 수 있도록 교육해야 할 것이다. 넷째, 후속연구에서는 보다 장기적으로 참여한 멘티를 대상으로 조사가 이루어진다면 더욱 명확한 해답을 얻을 수 있을것이라 보인다. 다섯째, 본 연구에서는 공감이라는 변인만을 두고 멘토링관계에 대해 보았지만 신뢰, 상호이해, 신뢰 등과 같은 변인들에 대해서도 살펴본다면 멘토교육의 방향과 내용이 구체적으로 잡힐 수 있을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