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대학교수의 실시간 온라인 수업 수행 능력, 테크놀로지 자기효능감 및 교수역량의 구조관계

        양민 우석대학교 일반대학원 2023 국내박사

        RANK : 247631

        이 연구는 현재 중국 대학교수의 실시간 온라인 수업 수행능력, 테크놀로지 자기효능감, 교수역량의구조적관계를연구하였다. 이 연구는 중국 대학교수를 대상으로 편의 표본추출(convenience sampling)을 적용하여 자료 수집하였다. 이 연구를 위해 산시성 등 총 20개 성(省), 시(市) 그리고 자치구 지역의 대학교수를 선정했다. 이 연구의 자료를 수집하기 위해 중국 온라인 설문조사시스템인(www.wjx.cn 问卷星)과위챗(we chat)을이용하여QR코드를통해 대학교수들에게온라인설문지를배포하였다. 그결과로대학교수707명이설문조사에 참여했으며(회수율 98%), 그중 군사학 전공인 11명의 참여자를 삭제하고 나머지 696명의자료를분석대상으로삼았다. 이 연구의 도구는 교수역량 측정도구, 실시간 온라인 수업 수행능력 측정도구, 테크놀로지자기효능감측정도구이다. 이 연구의 절차는 설문조사를 통한 조사연구로서, 선행연구 분석 및 가설설정, 측정도구 제작 및 검증, 예비조사, 표본 추출 및 설문지 배포, 설문조사 결과 수합 및 자료분석의단계로이루어졌다. 이연구에서 데이터 처리를 위해 SPSS v.26.0 및 AMOS v.24.0을 사용했다. 중국 대학교수의 교수역량, 테크놀로지 자기효능감, 실시간 온라인 수업 수행능력을 알아보기 위해 평균과 표준편차를 각각 구하고, 중국 대학교수의 변인별교수역량, 테크놀로지 자기효능감, 실시간 온라인수업 수행능력에차이가 있는지알아보기 위해 변인 특성에 따라 t-검정과 일원배치분산분석을 실행하였으며, 각변인과 전공계열 간의상호작용효과는이원배치분산분석을실행하였다. 중국대학교수의실시간온라인 수업 수행능력이 테크놀로지 자기효능감을 매개하여 교육역량에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기 위해 구조방정식 경로분석을 실행하였으며, 모형 수정 과정을 통해 최종 모형을 도출하였다. 최종모형에서 대학 교수의 전공계열에 따른 조절효과가 있는지 알아보기위해AMOS 다중집단분석을실행하였다. 이연구의결과는다음과같다. 첫째, 중국대학교수의교육역량중에는소통협력능력이가장높고교육혁신능력이 가장 낮다. 중국 대학교수의 교수역량의 변량에 따른 차이는 다음과 같다. (1) 중국 대학교수의 교수역량은 성별 차이가 있다. (2) 중국 대학교수의 교수역량은 연령별 차이가 있다. (3) 중국 대학교수의 교수역량은 교육경력에 따라 차이가 없다. (4) 중국 대학교수의교수역량은최종학력에따라차이가있다. (5) 중국대학교수의교수역량은 직위에 따라 차이가 있다. (6) 중국 대학교수의 교수역량은 온라인 수업 관련 연수경력에따라차이가있다. (7) 중국대학교수의교수역량은전공계열에따라차이가 없다. 둘째, 중국 대학교수의 실시간 온라인수업 수행능력 중에 교수효능감이 가장 높고 상황적응이 가장 낮다. 중국 대학교수의 변인에 따른 실시간 온라인 수행능력의 차이는다음과같다. (1) 중국대학교수의실시간온라인수업수행능력은성별차이가 없다. (2)중국 대학교수의 실시간 온라인수업 수행능력은 연령별 차이가 없다. (3) 중국 대학교수의 실시간 온라인수업 수행능력은 교육경력에 따라 차이가 없다. (4) 중국 대학교수의 실시간 온라인수업 수행능력은 최종학력에 따라 차이가 있다. (5) 중국 대학교수의 실시간 온라인 수업 수행능력은 직위별 차이가 없다. (6) 중국 대학교수의 실시간 온라인수업 수행능력은 온라인수업 관련 연수경력에 따라 차이가 있다. (7) 중국 대학교수의 실시간 온라인수업 수행능력은 전공계열에 따라 차이가 없다. 셋째, 중국 대학교수의 테크놀로지 자기효능감은 긍정적 테크놀로지 자기효능감이 높은 반면, 부정적 테크놀로지 자기효능감은 낮다. 중국 대학교수의 변량에 따른 테크놀로지자기효능감의차이는다음과같다. (1) 중국대학교수의테크놀로지긍정적 테크놀로지 자기효능감에서 성별 차이가 있다. (2) 중국 대학교수의 테크놀로지 자기효능감에서 긍정적 테크놀로지 자기효능감과 부정적 테크놀로지 자기효능감에서 연령별차이가있다. (3) 중국대학교수의테크놀로지자기효능감에서교육경력에따라 긍정적 테크놀로지 자기효능감 차이가 있다. (4) 중국 대학교수의 테크놀로지 자기효능감에서 최종학력에 따라 긍정적 테크놀로지 자기효능감과 부정적 테크놀로지 자기효능감 차이가 있다. (5) 중국 대학교수의 테크놀로지 자기효능감에서 직위별 긍정적테크놀로지자기효능감과부정적테크놀로지자기효능감차이가있다. (6) 중국 대학교수의 테크놀로지 자기효능감에서 연수경력에 따라 긍정적 테크놀로지 자기효능감 차이가 있다. (7) 대학교수의 테크놀로지 자기효능감에서 전공계열에 따라 긍정적테크놀로지자기효능감과부정적테크놀로지자기효능감차이가있다. 넷째, 중국 대학교수의 온라인 수업 수행능력이 교수역량에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테크놀로지 자기효능감을 긍정적 테크놀로지 자기효능감과 부정적 테크놀로지 자기효능감으로분리하였을 때부분 매개효과가 있음이확인되었다. 중국 대학교수의 교수역량, 실시간온라인수업수행능력, 테크놀로지 자기효능감의 구조적 관계에서 교수의전공계열별조절효과는유의하지않았다. 이 연구는 중국 대학교들의 온라인 수업 수행능력, 테크놀로지 자기효능감, 교수역량의 구조관계를 분석함으로써, 포스트 코로나 시대에 요구되는 변화요구에 능동적으로 대응하는 대학교수들의 정보기술및 교수역량을 어떻게 높이고육성할 수 있는지에대한기초적인자료로활용될것으로기대된다. 중국대학교수의테크놀로지자기효능감을높이는것이교수현장에테크놀로지실제 능력으로 전환하여 교수의 기술통합을 성공적으로 실시할 수 있는 필수적이고 중요한 조건이다. 정보화 시대 정보통신기술을 이용하여 중국 대학교수의 교수역량 향상을 위한 교수-학습 플랫폼을 지원하고 개선하며, 교원의 교수능력을 배양하기 위한 인프라를구축하는것이필요하다. 이를위해교육정보화하드웨어시설에대한투자를 늘리고 기존 정보기술 설비를 합리적으로 운영하며 교내 자원배분을 최적화하는 등 과학화된교수관리를실시해야한다. This study investigated the structural relationships among current Chinese university professors’ real-time online class performance competency, technology self-efficacy and teaching competency. The author collected data by applying convenience sampling to Chinese university professors, and who were invited for this study from the following regions of Shaanxi, Hebei, Gansu, Shandong, Shanghai, Anhui, Ningxia Hui Autonomous Region, Beijing, Inner Mongolia, Henan, Shanxi, Guangdong, Guangxi, Jiangxi, Jiangsu, Jilin, Xinjiang Uyghur Autonomous Region, Chongqing municipality, and Heilongjiang, etc. For data collection,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through wjx.cn (online questionnaire platform) and WeChat. As a result, a total of 707 university professors from 20 provinces, municipalities, and autonomous regions participated in the survey (98% effective rate), among which 11 participants majoring in military science were deleted, and the remaining 696 participants were analyzed. The tools applied in this study are as follows: teaching competency measuring tool, real-time online class performance measuring tool, and technology selfefficacy measuring tool. The procedure of the research was a study through a questionnaire survey, which consisted of preceding research analysis and hypothesis establishment, measurement tool production and verification, preliminary investigation, sample extraction, questionnaire distribution, survey result collection, and data analysis. For the data analyzing part, SPSS v.26.0 and AMOS v.24.0 were applied in this dissertation. In order to find out the teaching capacity, technology selfefficacy, and real-time online class performance ability of Chinese university professors, the average and standard deviation were calculated, respectively, and whether there was a difference in teaching capacity, technology self-efficacy, and real-time online class performance ability by the variable of Chinese university professors by the author, and at the same time, aims to find out, t-test and oneway analysis of variance were conducted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variables, and two-way analysis of variance was performed for the interaction effect between each variable and major series. Structural equation path analysis was conducted as well by the author to find out whether Chinese university professors’ competency to perform real-time online classes has an effect on educational capacity by mediating technology self-efficacy, and the final model was derived through a model modification process. In the final model, AMOS multi-group analysis was performed to find out if there was a moderating effect according to the major of university professors. The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ly, among the educational capabilities of Chinese university professors, the ability to communicate and cooperate is the highest, while the ability to innovate education is the lowest. The differences according to the variance of the teaching capacity of Chinese university professors are as follows. (1) Gender differences are confirmed in the teaching capacity of Chinese university professors. (2) There is a difference in the teaching capacity of Chinese university professors by age. (3) No difference in the teaching capacity of Chinese university professors according to their educational experience is found. (4) The teaching capacity of Chinese university professors differs depending on the final academic background. (5) The teaching capacity of Chinese university professors differs depending on the position. (6) The teaching capacity of Chinese university professors differs depending on the training experience related to online classes. (7) There is no difference in the teaching capacity of university professors according to their majors. Secondly, among Chinese university professors’ ability to perform real-time online classes, teaching efficacy is the highest, while situation adaptation is the lowest. Differences in technology self-efficacy according to variables of Chinese university professors are as follows. (1) There is no gender difference in the ability of Chinese university professors to perform real-time online classes. (2) No difference in the ability of Chinese university professors to perform real-time online classes by age has been proved. (3) There is no difference in the ability of Chinese university professors to perform real-time online classes according to their educational experience. (4) The ability of Chinese university professors to perform real-time online classes differs depending on the final level of education. (5) There is no difference in the ability of Chinese university professors to conduct real-time online classes by position. (6) The ability of Chinese university professors to perform real-time online classes differs depending on their training experience related to online classes. (7) There is no difference in the ability of Chinese university professors to conduct real-time online classes depending on their major. Thirdly, among Chinese university professors’ ability to perform real-time online classes, teaching efficacy is the highest, while situation adaptation is the lowest. The difference in technology self-efficacy according to the variance of Chinese university professors is as follows. (1) There is no gender difference in the ability of Chinese university professors to perform real-time online classes. (2) No difference in the ability of Chinese university professors to perform realtime online classes by age has been confirmed. (3) There is no difference in the ability of Chinese university professors to perform real-time online classes according to their educational experience. (4) The ability of Chinese university professors to perform real-time online classes differs depending on the final level of education. (5) There is no difference in the ability of Chinese university professors to conduct real-time online classes by position. (6) The ability of Chinese university professors to perform real-time online classes differs depending on their training experience related to online classes. (7) There is no difference in the ability of Chinese university professors to conduct real-time online classes depending on their major. Fourthly, it was confirmed that the online class performance ability of Chinese university professors has an effect on teaching capacity, and there is a partial mediating effect when technology self-efficacy is separated into positive and negative efficacy. In the structural relationship among Chinese university professors’ teaching ability, real-time online class performance ability, and technology self-efficacy, the moderating effect of professors’ major fields was not significant. Increasing the self-efficacy of technology in Chinese university professors is an essential and important condition for successfully implementing technology integration of professors by transforming technology into practical skills in the teaching field. In the information age, it is necessary to support and improve the school learning platform to improve the teaching capacity of Chinese university professors using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and to build an infrastructure to cultivate the teaching capacity of teachers. To this end, it is necessary to increase investment in educational information technology hardware facilities, rationally plan existing information technology facilities, optimize resource allocation in schools, and conduct scientific teaching management. This study analyzed the structural relationship among Chinese universities’ ability to perform online classes, self-efficacy in technology, and teaching capacity. It is expected that it will be used as basic data for possible.

      • 비교법적 관점에서 본 ABS에 대한 중국의 대응방안: : 한국과 호주를 중심으로

        양민 전북대학교 일반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7631

        「Convention on Biological Diversity」is signed and passed 1992, representing the biological material is completely developing. What's more, people attach more and more importance to function and value of traditional knowledge and genetic resources. The mankind has already entered the gene for ages; genetic resources that the resources become the creation wealth. But, under with 「Agreement in Trade-releted Aspects of intelligent property rights」 for the corpus of the international protection frame of intelligent property right, the developing country genetic resources be “legal” depredation by the flourishing nation. The “the gene pirate” behavior of the flourishing nation make developing country's the heredity resources that the oneself can make use of less and less. And on the earth of biological resources also along with mankind's society for the genetic resources the need continuously increases, meanwhile, the genetic resources gradual decrease. Now, all countries also aware of the biological resource's important to mankind's society. For this, to obtain the condition of the genetic resources, uses the benefits of the genetic resources, are all very important problems. This paper passes the introduction to the genetic resources obtains to share the basal research of law and practice to all countries lawmaking with benefits. The international organization has already obtained the result, inquiry into the genetic resources to obtain to share the focus of the cause, background, antinomy of problem and resolve the viable frame of this problem with benefits, and carry on the analysis to related genetic resources protection of China. And explore China’s ABS strategy.

      • 플렉서블 슈퍼캐패시터용 나노 입자 전극의 경화공정 및 신뢰성 연구

        양민 국민대학교 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7631

        최근 플렉서블(flexible) 소자의 급속한 발전으로 플렉서블 슈퍼캐패시터 연구의 필요성이 중요시 되고 있으며 플렉서블 형태의 박막 및 소자의 개발을 위해 다양한 프린팅 방법이 제시되고 있다. 특히 대량 생산 및 연속 생산 공정이 가능하며, 저 가격 및 공정 속도에 큰 장점을 가지는 롤투롤(roll-to-roll) 공정 방식이 큰 관심을 가지고 있다. 이런 프린팅 방법으로 제작된 박막 및 소자는 전기적 특성을 높이기 위해 경화(annealing) 기술이 필수적이다. 본 연구에서는 프린팅 공정을 이용하여 제작된 금속 나노 입자(nano particles) 전극의 신뢰성 연구와 경화 방법을 연구하였다. 첫 번째로, IPL(intensive pulsed light) 경화된 Cu 나노 입자 전극의 기계적 특성 평가를 위해 굽힘(outer/inner bending), 인장(stretching), 굽힘 피로(bending fatigue), 접착력(adhesion) 시험을 진행하였다. 두 번째로, 레이저 경화된 Ag 나노 입자 전극의 굽힘, 굽힘 피로, 환경 신뢰성(environmental reliability) 시험을 수행하였다. 세 번째로, 연속생산이 가능한 플렉서블 슈퍼캐패시용 활성 전극에 대한 굽힘 피로 시험 후 C-V(cyclic voltammetry) 특성 연구를 진행하였다. 본 연구에서 진행한 나노 입자 전극의 기계적 유연성과 내구성은 앞으로 유연 전자 제품 개발에 유용한 자료로 이바지할 것으로 판단된다.

      • 소셜미디어에서 브이로그 상품 노출유형이 소비자의 브랜드 태도에 미치는 영향

        양민 한양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7631

        모바일 인터넷 기술의 발전으로 다양한 소셜미디어 플랫폼이 지속해 등장하여 사용자가 다양한 동영상 콘텐츠를 공유할 수 있게 되었다. 브이로그(vlog)는 새로운 소셜미디어 형태로 동영상 크리에이터, 소비자, 마케터들의 주목을 받고 있다. 브이로그(vlog)는 주로 크리에이터의 일상생활에 대한 기록이며, 크리에이터와 소비자는 브이로그(vlog)에서 가상스러운 '면대면 소통'을 할 수 있다. 브이로그(vlog)를 통해 브랜드 정보 전달이 대중의 광범위한 관심을 받으면서 점점 더 많은 기업이 이를 중요한 브랜드 마케팅 매체로 간주하고 있다. 따라서 브이로그(vlog) 광고를 통한 브랜드 홍보 목표 달성은 기업과 학계의 관심사가 되었다. 본 논문에서는 Bilibili 플랫폼의 브이로그(vlog) 광고를 연구 대상으로 하여, 준사회적 상호작용 이론을 기반으로, 브이로거(vlogger)의 사회적 매력성, 외재적 매력성, 유사성 및 신뢰성이 소비자 브랜드 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했다. 본 논문에서는 설문조사를 통해 500개 유효한 설문지를 회수하고 데이터 분석을 통해 가설 내용을 검증하였다. 연구 결과는 아래와 같다. 첫째, 브이로거(vlogger)의 특성(사회적 매력성, 외재적 매력성, 유사성 및 신뢰성)은 시청자와 브이로거(vlogger) 간의 준사회적 상호작용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둘째, 준사회적 상호작용은 브이로거(vlogger)의 특성과 브랜드 태도에서 매개효과를 한다. 즉, 사회적 매력성, 외재적 매력성, 유사성, 신뢰성 및 브랜드태도 사이의 부분매개효과를 한다. 셋째, 제품 노출 유형은 준사회적 상호작용과 브랜드 태도 사이에서 유의한 조절 효과가 있다. 제품 노출 유형은 준사회적 상호 작용과 브랜드 태도 사이에서 정(+)의 조절 효과를 한다. 암시적 노출과 비교하여 명시적 노출은 브랜드 태도에 대한 준사회적 상호 작용의 긍정적인 영향을 향상할 수 있다.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다음과 같은 브이로그(vlog) 마케팅 건의를 제시한다. 첫째, 기업은 Bilibil 플랫폼의 브이로그(vlog) 마케팅을 중시해야 한다. 브이로거(vlogger)는 대부분 일상생활에서 일반인이며 브이로거(vlogger)와 소비자 사이의 사회적 거리가 더 작아 소비자의 인식에 더 영향을 미친다. 둘째, 기업은 브이로거(vlogger)의 사회적 매력성, 외재적 매력성, 유사성, 신뢰성 특성을 중시해야 한다. 셋째, 기업이 브이로거(vlogger)와 협력하여 브랜드를 홍보할 때 가능하게 제품을 명시적 노출해야 한다. 시청자와 브이로거(vlogger)의 친밀한 '우정'으로 브이로거(vlogger)가 직접 추천하는 브랜드에 거부감을 느끼지 않고 오히려 노출되는 제품에 대한 인상이 더 좋아진다. 넷쩨, 브이로거(vlogger)는 자신의 능력을 개발하고 핵심 경쟁력을 향상시키는 데 초점을 맞추어야 한다. 다섯째, 브이로거(vlogger)는 시천자과의 준사회적 상호작용을 강화하여 상업적 가치를 극대화해야 한다. With the development of mobile internet technology, various social media platforms continue to emerge, allowing users to share a wide range of video content. Vlogs, as a new form of social media, have garnered attention from video creators, consumers, and marketers. Vlogs primarily involve creators documenting their daily lives, allowing video bloggers and consumers to engage in virtual "face-to-face communication." As Vlogs gain widespread public attention for delivering brand messages, more and more companies are considering them as important channels for brand marketing. Consequently, achieving brand promotion goals through Vlog advertising has become a focal point for both businesses and academia. This study focuses on Vlog advertising on the Bilibili platform and examines the influence of vloggers' social attractiveness, physical attractiveness, similarity, and credibility on consumers' brand attitudes based on the quasi-social interaction theory. The study collected 500 valid questionnaires through survey research and verified the hypotheses through data analysis. The research findings indicate the following: Firstly, vloggers' social attractiveness, physical attractiveness, similarity, and credibility have a positive impact on the quasi-social interaction between viewers and vloggers. Secondly, quasi-social interaction plays a mediating role between vlogger characteristics and brand attitudes, acting as a partial mediator in the relationships between social attractiveness, physical attractiveness, similarity, credibility, and brand attitudes. Thirdly, the moderating effect of product exposure type on quasi-social interaction and brand attitudes is significant. When the product exposure type shifts from implicit to explicit exposure, quasi-social interaction has a more positive impact on brand attitudes. Based on the research findings, the study proposes the following marketing suggestions for Vlogs on the Bilibili platform: Firstly, companies should prioritize Vlog marketing on the Bilibili platform. vloggers are mostly ordinary individuals in real life, and their closer social distance to consumers allows for a greater influence on consumer perception. Secondly, companies should pay attention to vloggers' social attractiveness, physical attractiveness, similarity, and credibility traits. Lastly, consumers should opt for explicit product exposure when collaborating with vloggers for brand promotion. Under the influence of the intimate "friendship" between viewers and vloggers, viewers are less likely to develop aversions to brands directly recommended by vloggers and instead have a better impression of products with explicit exposure!

      • 귀납적 문법교수와 연역적 문법교수의 효과 연구 :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를 중심으로

        양민 영남대학교 2015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에서는 한국어 문법 수업에서 연역적 문법교수와 귀납적 문법교수의 효과를 중국인 학습자를 대상으로 밝히고자 하였다. 목표 항목은 의미가 분명한 형태를 가진 문법 항목과 의미가 덜 분명한 형태를 가진 문법 항목으로 나누어서 실험 수업을 하여 교수법 별로 효과 차이를 살펴보았다. 초급 의미가 분명한 형태를 가진 문법 항목은 ‘-(으)면’, ‘-(으)ㄴ/는 대신(에)’로 선정하였으며 의미가 덜 분명한 형태를 가진 문법 항목은 ‘(으)로’, ‘-도록’으로 선정하였다. 중급 의미가 분명한 형태를 가진 문법 항목은 ‘(이)야말로’, ‘-(으)ㄹ 지경이다’로 선정하였으며 의미가 덜 분명한 형태를 가진 문법 항목은 ‘-더니’, ‘-(ㄹ)걸요’로 선정하였다. Ⅰ장에서는 한국어 문법 교육의 중요성 및 본 연구가 중국 현장 한국어 교육에서의 필요성에 대해 기술하였으며, 연구 문제를 기술하였다. 그리고 연역적 문법교수와 귀납적 문법교수로 수업하였을 때 어느 것이 더 효과적이었는지를 살펴본 선행 연구를 기술하였다. Ⅱ장에서는 연역적 문법교수와 귀납적 문법교수가 무엇인지와 각각의 장단점을 살펴보았다. Ⅲ장에서는 연구 방법에 대해서 논술하였으며, 본 실험 들어가기 전에 준비 작업인 실험 절차, 교안 설계, 평가지, 측정도구에 대해서 기술하였다. Ⅳ장에서는 실험 연구 결과를 기술하였다. 즉각적 효과와 지속 효과에 있어서 문법 항목 및 학습자 집단별로 연역적 문법교수와 귀납적 문법교수 중 어느 교수법이 더 효과적이었는지를 기술하였다. 또한, 분석 결과를 정리하여 선행 연구의 결과와 일치하였는지를 살펴보았다. Ⅴ장에서는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였다. 첫 번째, 의미가 투명한 형태를 가진 문법 항목에 있어서 연역적 문법교수와 귀납적 문법교수는 즉각적인 효과와 지속 효과 차이가 없다. 두 번째, 의미가 덜 투명한 형태를 가진 문법항목에 있어서 초급 학습자에게 귀납적 문법교수의 즉각적인 효과가 더 나았으며 중급 학습자에게 유의미한 결과가 나타나지 않았다. 세 번째, 의미가 덜 분명한 형태를 가진 문법항목에 있어서 모든 학습자에게 연역적 문법교수보다 귀납적 문법교수의 지속 효과가 더 나았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위의 결과를 바탕으로 한국어 문법 교육에 제언을 하는 것에 대하여 논하였다.

      • 한.중 기초한자와 갑골문의 字義 비교

        양민 건국대학교 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7631

        한국어와 중국어는 교착어와 고립어라는 서로 다른 언어 유형에 속하지만 동일한 한자문화권에 속해 있다. 게다가 근래에 와서 한국과 중국 간에 교류가 밀접해져 경제교류뿐만 아니라 정치와 문화의 교류도 증가됨에 따라 서로 간의 원활한 소통을 위해 정확한 언어에 대한 연구가 시급하다. 한국어 어휘 중에 약 70%이상이 한자어가 포함되어있다. 이런 특성은 중국어를 공부하는 한국인에게 유리하게 작용되는 부분이 있는 반면, 그 한자의 뜻이 서로 다르기 때문에 오히려 혼란을 가져올 수 있다. 특히, 중국에는 字의 訓이 없고 常用義만 존재하기 때문에 甲骨文의 本義보다 뜻에 대해서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다고 생각한다. 따라서 본 논문의 주제는 한·중 기초한자와 甲骨文의 字의 비교로 정하였다. 본 논문은 『象形字典』에서 나온 甲骨文의 本義에 의거하여 『古文字基礎』도 참고하였다. 아직까지 출판된 甲骨文의 本義에 관한 자전이 없고 甲骨文의 本義에도 해설이 확실하지 않아서 본 논문에서 나온 부분 설명도 참고 가치만 가지고 있다. 본 논문의 제1장에서는 본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을 밝혔으며 선행연구를 검토하고 연구의 범위와 방법도 함께 제시하였다. 제2장에서는 본 연구에서 비교할 한자에 대해 설명하고 중국과 한국의 한자의 자형을 비교하고 同形과 異形로 나눴다. 그리고 繁簡규칙에 대해 설명하며 한국식 한자도 간단하게 제시하였다. 제3장은 본 연구의 중심 부분이다. 제1절은 한국 기초한자 대표 訓과 『象形字典』에서 나온 한자의 甲骨文의 本義 서로 비교하고 분류했다. 제2절은 중국 기초한자의 常用義와 『象形字典』에서 나온 한자의 甲骨文의 本義를 서로 비교하고 분류했다. 제3절은 『說文解字』와 『象形字典』에서 나온 한자의 甲骨文의 本義에 대해 서로 비교하고 분류했다. 이 과정을 거쳐 한자의 甲骨文 本義에 대해 잘 알 수 있고 중국 기초한자의 常用義와 한국 기초한자의 대표 訓도 잘 알 수 있다. 제4장에서는 한국 기초한자와 중국 기초한자에 대해 간단하게 분석, 비교하고 한·중 한자의 의미에 대해 정리하여 분류하여 양국 언어 학습자에게 좋은 참고자료가 될 수 있도록 하였다. 제5장에서는 앞에서 연구한 내용을 정리하였다. Korean belongs to the isolated language and Chinese belongs to the agglutinative language, but they are all in the cultural circle of Chinese characters. Recently, Korea and China have close exchanges in not only economy, they also become more close in politics and culture. If me hope to get the smoothly communication, we must first understand each other in language. More than 70% of the words in korean are Chinese characters, so learn Korean will play a good help in learning Chinese. Both of the two countries use Chinese characters, but it's not totally the same by what they really means. Each single character in Chinese doesn't have the explanation which the character in korean have. We usually call the explanation in korean 'xun'. Chinese characters just have the common meanings and it may not be easy for us to understand the connections between Chinese characters and the Oracle which is also an ancient character in the world. But I find out that if we compare the three things, the common meanings of Chinese characters, the'xun' in korean, and the meanings in Oracle, we will be more aware of the deep implication of the Chinese. According of this, the subject of this thesis will be 'The Comparison Among the Basic Korean Characters, Chinese Characters and the Implication of Oracle'. This thesis is based on the original meaning of oracle in <Hieroglyph> and also referred to <Foundation of Ancient Writing>. The discussion in this paper just have certain and referenced value because the dictionary of Oracle original meaning has not been published, so the explanation of it is also not for certai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