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주거단지 외부공간의 친환경성 평가분석 : 제1종지구단위계획 법적용 전후 남양주시 사례를 중심으로

        안종두 연세대학교 공학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8639

        In Korea, the apartment houses have continued to increase in both terms of quantity and quality to account for the majority of nation''s entire houses. However, since the apartment houses have increased mostly in terms of quantity, such aspects as comfortable living or environmental-friendly life have been overlooked and as a result, the living environment of our apartment complexes is very poor in most cases. In particular, the small-scale apartment complexes have not been developed by private capitals in a systematic way, and thus, their living environment is poorer. On the other hand, as the environmental problems began to be highlighted as important social issues recently, the Korean government revised Law for Plan and Use of the National Land early in 2000 to designate the first-rate unit plan zones. Hence, those development project exceeding a certain scale in such zones should be subject to examination of their environmental aspects.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ssess and analyze the effects of the first-rate unit plan zones on the outdoor space for the residental complexes, assuming that the effects would be more important for outdoor spaces rather than indoor ones.For this study, the researcher sampled each 5 private development projects before and after the revision of the law in an area of Namyangju city designated as the first-rate unit plan zone. For assessment of the effects of the zone, the researcher selected 3 sectors (18 assessment points) - ''land use'', ''traffic'' and ''ecology'' - out of 9 sectors (4 areas) examined jointly by Ministry of Construction and Transportation and Ministry of Environment for accreditation of environmental-friendly buildings; the 3 sectors were selected because they were conceived to be associated with the first-rate unit plan zones. Thus, the researcher assessed each 5 sample complexes quantitatively from April through May, 2007 in reference to the data published by Housing Urban Institute of Korea Housing Corporation about the environmental-friendliness of the sample complexes.The results of assessing the environmental-friendliness of the outdoor spaces for the sample residential complexes, it was found that the 5 outdoor spaces for the residential complexes built after designation of the first-rate unit plan zone scored 37.8 points out of 100 points on average in ''land use'', ''traffic'' and ''ecology'' sectors, while the 5 outdoor spaces before the designation scored 20.4 on average. Namely, it was found that the zoning had affected the outdoor environments positively.Second, in the sector of ''land use'', the former group of outdoor spaces scored 38.9 on average, while the latter group scored 11.4. In the sector of ''traffic'', the former group of outdoor spaces scored 67.5, while the latter group scored 59, and in the sector of ''ecology'', the former group scored 23.4, while the latter group scored 13.26. Namely, the outdoor space environment for the residential complexes had improved between 1.14 and 3.41 times after designation of the first-rate unit plan zone.Third, in the sector of ''land use'', the outdoor spaces for the residential complexes after designation of the first-rate unit plan zone scored higher in terms of floor ratios, systematic super-planning, community center and facilities and intra-complex special promenades, but did not score high in terms of ecological site value, preservation of the existing natural resources, protection of sunshine rights and networked promenades. In contrast, the outdoor spaces for the residential complexes before the designation of the zone scored more or less in terms of community center and facilities, but scored lower in terms of ecological site value, preservation of the existing natural resources, floor ratio, systematic super-planning, protection of the sunshine rights, intra-complex promenades and networked promenades.Fourth, in the sector of ''traffic'' the former group of outdoor spaces scored higher in terms of accessibility to the public traffic means and ultra-speed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facilities, while the latter group scored high in ultra-speed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facilities, shorter distances between downtown and suburban town or between suburban towns, and scored some points in terms of accessibility to the public traffic means, intra-complex bicycle parking and routes.Fifth, in the sector of ''ecology'', the former outdoor spaces scored some points in terms of connected green axes, green space ratio, artificial green spaces in consideration of the ecological environment, aqua biotope and soil biotope, but scored low in the other sub-categories of ecology, and scored zero particularly in use of the surface soil. On the other hand, the latter group of outdoor spaces scored low in terms of green space ratio and artificial green spaces in consideration of the ecological environment and scored zero in the other sub-categories. Merely, the green space ratio could not well be assessed because of the dual legal standards depending on the scale of unit houses. So, if such differences should have been taken into consideration appropriately, the scores would have been adjusted.Sixth, the current accreditation system for the environmental- friendly buildings rates the buildings as super-excellent or excellent, but such a system has encouraged developers to focus on the points allowing for higher scores with less cost or techniques, while neglecting the points for relatively lower scores but requiring higher costs and techniques. Hence, it is deemed necessary to readjust the assessment points and their weights so that each assessment point would have the lowest ceiling refusing the accreditation, while giving separate incentives to accredited apartment buildings. 우리나라 공동주택 중 아파트는 양적, 질적인 발전을 거듭하여 전체 주택물량의 절반 이상을 차지하는 주거의 대표적인 양식으로 자리 잡게 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양적 위주의 공급은 주거단지의 쾌적성이나 친환경적인 부분을 등한시하여 열악한 주거환경을 양산케 하였고, 특히 민간부분의 소규모 단지는 신도시나 택지개발지구의 단지에 비해 체계적이지 못하게 개발되면서 열악한 주거환경을 만드는 결과를 초래하였다. 최근에 환경문제가 이슈화 되면서 지속가능한 개발을 위한 계획의 수단으로 2000년초 국토의계획및이용에관한법 체계를 정비하여 도시지역에서 일정규모 이상의 개발 시 사전환경성검토에 의한 제1종지구단위계획을 수립하게 되었다.따라서 본 연구는 주거단지의 내부공간 보다는 외부공간에 연관성이 큰 제1종지구단위계획이 주거단지 외부공간의 친환경성에 미친 영향을 평가 분석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연구의 범위 및 방법은 남양주시 도시지역에서 제1종지구단위계획 수립 전·후의 민간개발단지 각각 5개단지를 선정하여 2002년 건설교통부와 환경부가 공동시행하고 있는 친환경건축물인증제도의 4개 전문분야의 9개 평가부문중 제1종지구단위계획과 연관성이 있는 외부공간에 해당하는 ‘토지이용’ 부문과 ‘교통’ 부문, ‘생태환경’ 부문의 3개 부문 18개 평가지표를 활용하였고, 평가는 국가인증 친환경건축물 평가기관 중 대한주택공사 주택도시연구원에서 제1종지구단위계획 전·후의 각각 5개단지를 2007년 4월부터 2007년 5월까지 정량적인 평가를 하였고, 그 결과를 비교분석 하였다.주거단지 외부공간의 친환경성 평가결과를 정리해 보면, 첫째 제1종지구단위계획수립 5개단지의 ‘토지이용‘ 부문과 ’교통‘ 부문, 생태환경??부문의 합계 평균점수(100점 환산점수)는 37.8점이고, 수립이전 5개단지의 평균점수는 20.4점으로 제1종지구단위계획수립 단지 외부공간의 환경수준이 상대적으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둘째 평가부문별 평가결과에서‘토지이용‘ 부문에서는 제1종지구단위계획수립 5개단지의 평균점수(100점 환산점수)는 38.9점이고, 수립이전 5개단지의 평균점수가 11.4점으로 나타났으며, ’교통‘ 부문에서는 제1종지구단위계획수립 5개단지의 평균점수는 67.5점이며, 수립이전 5개단지의 평균점수는 59점으로,??생태환경??부문에서 제1종지구단위계획수립 5개단지의 평균점수는 23.4점이며, 수립이전 5개단지의 평균점수는 13.26점이다. 따라서 각 평가부문에서 제1종지구단위계획 수립단지가 수립이전단지보다 1.14~3.41배에 가까운 점수를 획득하여 외부공간의 환경수준이 개선된 것으로 판단된다.셋째‘토지이용??부문에서 제1종지구단위계획수립 단지는 용적률, 체계적 상위계획 수립여부, 커뮤니티센터 및 시설계획여부, 단지내 보행자 전용도로조성여부 등의 항목에서 높은 점수를 받은 반면에 기존대지의 생태학적가치, 기존자연자원 보존율, 일조권간섭방지대책의 타당성, 외부보행자전용도로 네트워크연계여부 등의 항목에서는 전혀 점수를 획득하지 못하였다. 또한 수립이전 단지는 커뮤니티센터 및 시설계획여부 항목에서는 일부 점수를 획득하였으나, 기존대지의 생태학적 가치, 기존자연자원보존율, 용적율, 체계적 상위계획수립여부, 일조권간섭방지대책의 타당성, 단지 내 보행자전용도로 조성여부, 외부보행자전용도로 네트워크연계여부 등의 항목에서는 거의 점수를 획득하지 못하였다.넷째 ‘교통’ 부문에서 제1종지구단위계획수립 단지는 대중교통의 근접성, 초고속정보통신설비의 항목에서 높은 점수를 받은 반면, 수립이전 단지는 초고속정보 통신설비의 수준, 도시중심 및 지역중심과 단지중심간의 거리등의 항목에서 높은 점수를 획득하고, 대중교통에서의 근접성, 단지내 자전거보관소 및 자전거도로 설치여부 등의 항목에서 일부점수를 획득하였다.다섯째‘생태환경??부문에서 제1종지구단위계획수립 단지는 연계된 녹지축조성, 녹지공간률, 생태환경을 고려한 인공환경녹화기법 적용여부, 수생비오톱조성, 육생비오톱조성 등의 항목에서 점수를 획득하였으나 이중에 녹지공간률 항목을 제외한 나머지 항목에서의 취득점수는 낮은 것으로 나타났고, 표토재활용율 항목에서는 전혀 점수를 획득하지 못하였다. 또한 수립이전 5개단지에서는 녹지공간률과 생태환경을 고려한 인공환경녹화기법 적용여부 항목에서 낮은 점수를 획득하였고, 그 외의 항목에서는 전혀 점수를 획득하지 못하였다. 단 녹지공간률은 주택평형 규모에 따라 이원적으로 적용되는 법적기준의 차이로 인하여 실제 녹지율에 상응하는 평가점수를 받지 못하였고 이를 반영할 경우 이 평가항목의 점수가 조정될 것으로 판단된다.여섯째 현행 친환경건축물인증제도에서 친환경성 인증등급 결정시 전체획득 점수의 합계를 기준으로 최우수, 우수 등급으로 인증하게 되어 있는데, 이는 기술적으로나 비용면에서 쉽게 점수획득이 가능한 평가부문의 평가항목에서 높은 점수를 획득하고, 비용이 많이 들거나 기술적인 어려움이 예상되는 평가부문의 평가항목에 대해서는 적용을 등한시하는 결과를 초래했다. 따라서 평가부문의 평가항목별 일정기준점수를 정하여 그 점수 이상을 획득하지 못하면 등급인증을 불허하고, 또한 등급 인증시 별도의 인센티브를 부여하는 방안에 대한 제도개선의 연구가 진행되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