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 一心을 통해 본 差延의 緣起的 표현 연구

        성재현 弘益大學校 大學院 2013 국내박사

        RANK : 248639

        All of humanity and every living organisms are inevitably inching towards death every day. This is a truth that none of us can deny and thus my mind has been full of sympathy for our wretched fate. However, this tragic truth has also inspired to me to seek for ways in which objects can be emancipated from its restricted environments and how to reach sincere stages of freedom through this process. I began by examining Yeun-Gi philosophy of Buddhism as a new way to approach objects, and as Yeun-Gi philosophy hinted a solution for my distress, I began to dissect it more aggressively. Through these in-depth examinations, I hoped to approach closer to the world of truth and express accurate observations of objects in my drawings. According to the Yeun-Gi philosophy, objects form as a result of relationships which means that they come into realization via mutual interactions. Inevitably, this means objects are always at a state of transformation. In another words, they have no absolute existence or properties. In his book Joong Ron, Nagarjuna (A.D 150 - A.D250) denies movement, existence and diversification of objects. Such philosophy from Nagarjuna challenged me and enabled me a diverse range of artistic interpretations. The constant transformation of our innate desires, consciousness and unconsciousness became a motif for unending exploration, as well as how this leads to self-effacement. Self-effacement is a result of the unconsciousness at constant transformation, and Yeun-Gi claims that such development triggered by Ou-on. Thus I, a subject of such process myself, create artworks that are at constant transformation according to the state of my Ou-on. Therefore, my self-portrait series are all different from each other. Wonhiuw(617-686, Silla Dynasty) defined aforementioned process of transformation via Ou-on as Il-sim in his book, Daeseunggisinonso. He deemed this a universal phenomenon among all created things, and concluded that the universe could come into a complete harmony because we all share this state of Il-sim. Therefore, I have attempted to express such phenomenon of Il-sim in my drawings, as well as my sincere observations of objects. Pivotal examples of artworks that share the same philosophy are “NogunMukrando” by Min Young Ik and “Sleeping Bird” by Badashanren(1624-1703). Influenced by these artworks, I have made the pieces such as “Melancholy Rain” series, “A Refrigerator” and “A Walk in the Rain”. These artworks abstractly express my inner loneliness and solitude. Just as these objects are subject to constant transformation - my unconsciousness mind, inner desires and awareness is always changing as well and likewise, it does not have an absolute existence. In fact, objects exist by series of relative differences, this phenomenon may be defined as Diffarance. Western theories directly challenge Nagarjuna’s idea of denial, and claim very specifically and existentially that “Objects exists via Diffarance.” This is because the western world is very reluctant to accept invalidity of an object’s absolute existence. So by introducing Yeun-Gi philosophy, I could generate more intimacy to the fact. Objects materialized from the Il-Sim has following aesthetic value: Firstly, it is created with Diffarance continuously at work. Difference brings out a potential in an object and allows room for diversity, a status of oxymoron as well as giving an object its purpose. From the these kind of affection, I expressed my own oscillating emotions from a simple feeling to a strained tension in variety works. Yves Klein(1928-1962) expressed detailed difference by repetition in the his ingenious work, “Blue monochrome”. Secondly, another form of difference is when we pay attention to similarity (defined as Fractal Phenomenon) so that an object may maintain a perfect state of moderation. I depicted the former idea by repetition of instruments and representing the latter the Magritte’s “Betrayal of Image”, I have landscaped “A Walk in the Rain” series. Thirdly, objects that were meaningless on its own become meaningful when harmonized with each other. This tendency change into mixture of variety times and physical shape between nonfigurative like Francis Bacon(1561-1626)’s workpiece, “Seated Figure” and had made it embodied into the mosaic work of Park Soo Geun(1914-1965). These kinds of tendency have effected me and I took this an opportunity to express the work depicted similar to “Warrior”, a series of “Expression and Reconciliation”, “Diffarance and Connection” deep in my heart. Fourth, objects does not claim one absolute location, but its placement is only at one’s mind. Thus reality and Utopia are not different from each other, just as agony and happiness cannot be one. These revelations made me realize that I do not need to separate formative or non-formative. Also, the act of erasing becomes a significant part of the whole drawing process. Kim Jung Hee(1786-1856) had experienced one with another orchid in the picture he had already made and Rauschenberg(1925-2008) had made his work with erasing the piece depicted by the artist, De Kooning(1904-1997). From these reflections, I made the artworks “Apple and the Moon” and “Into the Eternity”. These reflections are not only for creating artworks but are valid theories for the real world. Since art is also Il-sim - a part of reality. Heaven is not so far away, happiness and hope accompany our life of pain and agony. Lastly, the phenomenon of Diffarance with Yeun-Gi by Il-Sim makes this world a matrix of paths. Realistic figure is exactly in accordance with my mind that made from my sense and unconsciousness tangled look like a textile. When we look into the textile we are going to feel a kind of musical rhythm. The representative of that tendency is “Whajangchalhaedo”. It is a buddhism artwork which affect my work more that any other. Every round maintaining consistent unification of beat in the picture of it has its own universe and rhythm. This kind of thing exactly same with the world of rhythm made from the display and repetition of variety instruments and my own sense and unconsciousness. That had affected me that I could depicted “Shimmering Remembrance”, “Associating each other” and “Harmony”. In such way, when we sing a song of trance and an absence of oneself, we can not only see this world sincerely but evacuate from grief generated from selfishness and greed. To reach true happiness, we must realize the difference of materials on earth. This will give us the real sense of freedom from our limited life. These revelations will also diversify our technique of Oriental-painting and our relationship with others. 이 논문은 一心의 진실한 이면을 발견하여 사물의 차이를 인식하고, 이에 대한 예술적 주관화를 심도 있게 고찰함으로써, 표현기법의 확장과 더불어 진정한 인간성 회복의 가능성을 제시하고 있다. 특히 용수(龍樹, Nagarjuna, 약150 ~ 약250, 인도)와 원효(元曉, 617-686, 신라)의 緣起論에 대한 해석을 중심으로 매우 다양한 회화적 접근을 시도하고 있다. 용수는 『中論』에서 모든 사물의 존재와 운동 그리고 변화를 부정하였다. 사물이 스스로는 항상 다른 양상에 놓여 있기 때문에 無自性과 空性을 갖는다. 그래서 사물은 緣起에 의해서 발생한다. 여기서 사물은 물체 뿐 아니라, 사건의 의미도 포함한다. 그러므로 사물은 의타기적 相依性에 의해 顯現한다고 볼 수 있다. 사물의 無自性은 자아성찰과 의식과 무의식(五蘊)의 변화에 대한 심도 있는 탐구의 모티브가 되었으며, 그것은 無我로 이어진다. 그래서 화가들의 수많은 자화상들은 五蘊이 변화할 때마다 무궁무진하게 이미지도 같이 변화하였다. 신라의 원효는 『大乘起信論疏』에서 一心을 사물의‘마음’으로 간주하였다. 또한 緣起는 一心을 구성하는 한 부분으로, 사물이 감각적으로 드러나는데 관련되어 있다. 이러한 一心의 특성으로 인해, 사물의 마음들이 정신적으로 융합할 수 있는 동기를 부여받게 된다. 따라서 一心이 실현하는 마음의 교차에 의해 인간에 대한 애틋한 감정이 心物合一과 감정이입의 형태로 융화하여 그림에 드러나게 된 것이다. 이러한 내용이 반영되면 화가의 심정을 사물에 의탁하여 표현할 수 있다. 一心은 기본적으로 진실에 도달할 수 있는 가능성을 지닌 사물의 위대한 마음을 말하는데, 이때의 一心은 二門으로 구성된다. 즉 生滅門과 眞如門이다. 生滅門은 시비분별의 고통 속에 있는 일반적인 마음이며, 眞如門은 五蘊을 떠나 본래 있는 그대로의 진실하고 淸淨無垢한 세계와 소통할 수 있는 통로라 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생멸의 고통으로부터 벗어나기 위해 자신의 감각을 재고하고, 眞如門을 통해 세상을 바로 보고자 하였다. 왜냐하면, 고뇌의 경로인 生滅門만으로는 진정한 一心을 취할 수 없기 때문이다. 眞如門과 같은 진리의 세계는 데리다(Jacques Derrida, 1930-2004, 프랑스)의 ‘差延’과 다르지 않다. 差延에 의하면, ‘사물은 본성이 없고 차이의 遲延으로 존재’한다. 소위 진실한 세계의 모습에서는 스스로의 의식과 무의식이 결합된 욕망이 差延의 형태로 존재하는 것으로 생각해 볼 수 있다. 그래서 현실은 一心을 통해 본 差延이 緣起的으로 존재하는 모습이 되며, 결국 교직짜기로 얽혀있는 그물망으로 꿈틀거리는 형상이 된다. 이것을 순차적으로 살펴보면, 一心에 의해 차이가 구체화된 현실은 첫째, 차이가 지속되는 형태로 조형화될 수 있다. 어떤 형태로든 잠재해 있는 사물의 가능성을 현실로 이끌어내 다양성을 확보하고 모순을 가능하게 하며 무의미하게 느껴지는 사물에 의미를 부여한다. 이러한 사유는 화가에게 미니멀(Minimalism)한 작품에서 리드미컬한 긴장감까지 다양하게 표현할 수 있는 능력을 부여한다. 둘째, 차이가 또 다른 형태, 즉 유사성에 주목할 때 부분이 전체로 반복된 형상을 이어가는 프랙탈(Fractal) 현상을 야기하거나, 경계가 허물어져 어느 쪽에도 치우치지 않는 中道를 유지하게 된다. 프랙탈에 의해 작은 형상이 반복·적채되어 점점 거대한 형상으로 커져간다. 복제가 되풀이되지만 결코 같은 모양은 없다. 이는 감각적인 것과 본질간의 차이에 대해 의문점을 제시한다. 셋째, 단독적으로는 공허하던 사물이 相依的으로 집합되었을 때 의미화 된다. 이것은 多시간의 교차로 치환되거나, 구상과 비구상의 중첩을 만들어내고, 물감이나 먹이 점묘나 가산혼합의 형태로 조형화된다. 이러한 경향을 종합하여 표현된 사물들은 점이나 선, 그리고 면으로 이루어지거나 형상의 여부와는 상관없는 이미지로 드러나며, 그 밖의 다양한 작업에도 작용을 하게 된다. 넷째, 사물은 움직임이 없으므로 위치를 점하지 않는다. 위치의 다름은 마음에 있을 뿐이다. 그래서 현실과 이상이 같은 곳에 있으며 고뇌와 행복이 둘이 될 수 없다. 이러한 사유는 실질적인 작업에서 개념과 직관이 서로를 오가고 조형과 몰조형이 교차된다. 그래서 지우는 것이 곧 그리는 행위가 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사물과 이상향을 동일시하거나, 무언가를 그린 후 그것을 지우면서 차이를 추구하게끔 한다. 이 가능성들은 단지 그림에서만 그치는 이야기가 아니라 현실에도 그대로 적용된다. 그림과 현실이 따로 존재하지 않는, 一心의 眞如와 生滅이 중첩하기 때문이다. 그래서 힘들고 고통스러운 순간 바로 거기에 행복과 희망이 함유되어 있는 것이다. 결론적으로, 一心에 의한 차이의 遲延이 緣起的으로 관계하면 상기한 모든 특징들이 동시에 겹쳐지는 모습이 된다. 현실의 모습은 그것을 보는 우리의 마음, 즉 욕망을 구성하는 무의식이며 그것은 세상의 사물을 천짜기의 그물망(Chiasm)과 같이 복잡하게 얽혀있다. 그물망을 보면 차이가 緣起的으로 주기를 생성하므로, 음악적 리듬을 느낄 수 있다. 그 대표적인 예가 조선시대 〈화장찰해도〉이다. 이는 사상을 繪畵化하는 측면에서 필자의 회화적 양식에 지대한 영향을 주었다. 〈화장찰해도〉에서 差延은 원으로 대체된다. 원 속의 형상에서 일정한 통일감을 유지하며 물결처럼 꿈틀거리는 세계의 변화는 일정한 박자를 유지하는 리듬을 형성한다. 이것은 우리의 무의식이 형성한 욕망이 악기와 線의 나열이나 반복으로 형상화되어 거대한 리듬의 세계를 편성하고 있는 것이다. 그러한 경향의 대표적인 작품으로 필자는 〈추억이흔들거린다〉, 〈서로어울리고있다〉와 〈Harmony〉 등을 제작하였다. 이처럼 우리는 無我와 사물의 차이를 인식하고, 그것을 노래할 때, 현상을 더욱 진실하게 볼 수 있을 뿐 아니라, 슬픔으로 가득 찬 인간 중심주의에서 스스로를 해방시키고 진정한 마음을 발견하여 행복에 이를 수 있다. 덧붙여, 동양화의 양식적인 부분에서 표현영역 확장을 유도하여 다양한 기법을 이끌어낼 수 있었다.

      • HD 장편 영화 <7월 32일> 사운드디자인 연구 : 7월 32일

        성재현 동국대학교 영상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8639

        태초의 흑백 무성 영화에서 현재의 HD, 서라운드의 구현이 이루어지기까지 110여년의 시간이 지나면서 우리 영화 제작자들은 조금 더 좋은 화면과 좀 더 좋은 사운드를 위해 노력해왔다. 과학의 발달과 함께 영화의 제작 패턴과 환경은 크게 개선이 되었고 앞으로도 더욱 좋아질 것이다. HD 영화의 도입과 함께 영화의 제작 단계는 크게 달라졌고 영화 제작자들도 그에 따라 변화에 발맞추어야만 했다. HD 장편영화 <7월 32일>은 기존의 필름영화 작품의 제작방식과 달리 디지털영화의 제작과정에 맞추어 사전제작단계, 촬영단계, 후반제작단계에 이르는 단계별 사운드디자이너의 역할과 작업 공정에 대한 연구로 진행되었다. 각 단계별로 대사, 엠비언스, 사운드디자인, 폴리, 음악, 믹싱에 이르기까지 세분화하여 기술하였다. 영화에서의 사운드 디자이너의 역할에 대한 심층적인 고찰을 통해 후반작업에서 녹음을 하는 수동적인 역할에서 벗어나 영화의 기획 단계에서부터 참여하여 영화 전체의 사운드의 기획과 방향에도 참여를 하는 능동적인 입장으로써의 사운드 디자이너의 역할에 충실하려 노력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앞으로 제작 되어지는 디지털 영화의 사운드 제작에 도움이 되기를 바라며, 앞으로도 더 많은 수의 디지털 영화가 제작이 되기를 바란다. Over 110 years of films history, film makers have done their best to make a better picture from black and white to High Definition video and a better sound from silent to surround sound, Film making patterns and environment have improved dramatically and will improve along with the development of science. As film go HD, production procedures have changed a lot and movie producers must adjust themselves to the change. This paper is about the role of a sound designer and the production procedure in each film making stage of an HD feature film <July 32>. Steps taken to make this movie in pre-production, production and post-production stages were different from those of ordinary film. This report presents detailed information about sound in each stage, such as lines, ambience, sound design, foley and sound mixing. I seriously considered the role of a sound designer in the movie production, not to be confined to a passive role of recording in the post-production stage. Therefore, I did my best to be faithful as an active sound designer by participating in film making from the pre-production stage and to lead overall sound making. I hope that this study is helpful to sound making in digital movies of the feature. And I also want more digital films to be made.

      • 다변량 왜도 첨도 그리고 표면그림

        성재현 성균관대학교 2018 국내석사

        RANK : 248639

        이변량 이상의 다변량 분포에 대한 왜도 및 첨도를 제안한다. 다변량 왜도는 분포의 치우침 방향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 벡터 형태로 제안하며 벡터의 각 성분의 절대값의 크기에 따라 치우침의 정도를 파악할 수 있다. 다변량 첨도는 하나의 스칼라값으로 계산되며 첨도값이 클수록 분포의 꼬리부분이 길게 형성됨을 모의실험을 통해 확인하였다. 따라서 다변량 첨도는 분포의 꼬리 부분의 두꺼운 정도를 측정하는 적절한 통계량이다. 그러므로 이 논문에서 제안한 다변량 왜도와 첨도는 탐색적 자료분석 방법으로 활용될 수 있으며 동일한 차원의 분포에 대해서 비교분석을 가능하게 한다. Hong 등(2016)이 제안한 분위벡터를 이용하여 이차원 상자그림을 제안하며 이를표면그림(Surface plot)으로 명명한다. 일변량 상자그림의 사분위수와 유사한 개념인25, 50, 75 백분위벡터를 이용해서 이변량 표본에서 50%의 표본을 포함하는 범위를 추정한다. 또한 일변량 상자그림의 최대값, 최소값과 각각 대응되는 5, 95 백분위벡터를 이용해서 분포의 최대, 최소범위를 추정한다. 이러한 이차원 표면그림은 분포를 시각적으로 구현 가능하므로 분포의 형태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으로 활용될 수 있다.

      • 海岡 金圭鎭의 作品世界와 社會活動 硏究

        성재현 弘益大學校 大學院 2003 국내석사

        RANK : 248639

        朝鮮王朝의 末期的인 樣相들이 露出되고 있던 朝鮮後期에 태어나 朝鮮末期, 그리고 近代를 거쳐 活動한 海岡 金圭鎭(1868~1933)은 傳統과 새로운 改革性向이 結合되어 뛰어난 재주와 多樣한 活動을 兼備한 보기 드문 近代의 書畵家이다. 그는 性品이 剛直하고, 書畵와 傳統에 있어서는 守舊的인 反面, 社會諸般의 問題에 있어서는 새로운 思考形態를 보였다. 鎖國政策, 閔氏 一派의 勢道政治, 開化派와 守舊派의 葛藤, 天主敎 迫害 등으로 國力이 衰하여 가던 狀況에도 不拘하고 開化思想과 天主敎가 서서히 자리를 잡아가고, 西歐文物과 思想이 조금씩 社會全般에 받아들여져 從來의 身分制가 緩和되면서 藝術界에서 中人出身 畵家 趙熙龍(1797~1859), 李慶民등의 등장, 平民出身 畵家인 許維(1809~1892)의 登場 등은 庶民出身이었던 海岡 金圭鎭에게 오히려 鼓舞的인 役割을 하였다. 어릴 적부터 外叔 少南 李喜秀로부터 10餘年 동안 筆과 墨을 배우고, 18歲 以後 10餘 年間 淸國에서 여러 墨客들과 接觸하면서 書畵의 資質과 人格素養을 振作시키었다. 以後 歸國하여서는 閔泳善의 薦擧로 인해 官職에 進出하면서 英親王의 師傳가 되기도 하였다. 書藝를 始作으로 하여 四君子, 山水畵, 彩色畵 등 끝없는 硏究를 繼續하여 海岡이 이룬 社會·經濟·文化面에서의 業績은 相當한 것이라 하겠다. 그는 當時 新聞에 많은 記事와 廣告를 揭載하였고, 持續的인 執筆活動으로 自身의 硏究實績을 蓄積하였으므로 《漢城旬報(1883年發行)》, 《大韓每日申報(1904年 發行)》, 《每日申報(1910年 發行)》, 《서울新聞(1945年 發行)》 등의 記事와 海岡 金圭鎭이 直接 出刊했던 書籍들을 參考하여 多樣한 그의 業績을 確認할 수 있었다. 그의 書畵에 대한 愛情과 後進養成에 대한 執着이 結實을 보듯 書畵美術會에 匹敵하는 書畵硏究會를 開設해 卒業生을 輩出하기도 하였고, 書畵協會의 創立會員이기도 하였다. 또한 寫眞術을 익혀 宮中 寫眞撮影場을 設置하였고, 以後에 天然堂寫眞館을 開設하여 民衆을 위한 寫眞을 찍어주기도 하였다. 最初의 近代畵廊인 古今書畵館을 開設하여 美術品의 去來를 振作시키는 한편, 美術品의 價格을 公示한 美術品 定價票인 潤單制를 實施하여 美術品 去來를 圖謀하였다. 地方 展示를 자주 열어 地方藝術·文化를 啓蒙하려고 努力하였고, 《海岡蘭竹譜》, 《六禮筆論》, 《書法眞訣》, 《金剛遊覽歌》 등을 出刊하고 每日申報에 多樣한 主題로 連載를 하였다. 또한 서산 개심사, 서울 경국사, 장성 백양사, 경주 불국사, 하동 쌍계사, 양산 통도사, 합천 해인사, 가야산 해인사 등의 寺刹에 訪問하여 多樣한 書禮의 懸板을 쓰기도 하였다. 특히 女性寫眞師 雇用, 女性들을 위한 制度改善, 海岡書畵硏究會에서의 女學生 募集, 古今書畵館 運營에 있어서 藝術作品 正札制인 ‘潤單制’의 實施등은 當時의 書畵家들로부터 많은 非難을 받는가 하면 反面에 그의 革新的인 開拓精神을 보여주고 있다. 그는 後進養成과 民衆啓蒙에 앞장선 진정한 敎育者이기도 하였는데, 書畵硏究會는 松隱 李秉直, 顧菴 李應魯, 晴江 金永基 등을 輩出하였다. 海岡 金奎鎭의 受業은 徹底하게 傳統적 造形의식에 바탕을 두고 있는데 이는 顧菴 李應魯가 大成할 수 있었던 基本바탕으로 作用했으리라 생각된다. 또한 《每日申報》에 民族의 自主的 意識을 包含하는 詩와 亡國의 슬픔을 노래한 漢詩 등은 우리의 傳統을 지키려고 努力하는 民族主義者의 面貌를 보여준 동시에 書畵家로써 進取的 現實參與 정신을 反映하는 것이기도 하였다. 國權의 喪失은 創作意慾에 制限을 加 하고 日本을 통한 改化文明이 分別없이 社會全般에 스며들고 있었던 當時 그의 傳統에 대한 愛情과 多樣한 藝術的 社會活動의 展開는 韓國美術의 傳統을 固守하는 동시에 民族美術의 밑바탕이었다. 金圭鎭은 金正喜, 韓濩, 張承業, 金弘道 등과 元彩風의 彩色畵를 비롯한 다양한 大家들을 硏究하였고 결국엔 그들의 技法을 그대로 受用하여 상당한 技術에 이르는 作家로서의 力量을 보여주었다. 篆書·隸書·楷書·行書·草書의 書藝를 包含한 山水畵·花鳥畵·蘭竹 등 그의 作品傾向과 素材는 매우 多樣하였다. 그 중에서도 靑竹·朱竹·墨竹·淸竹·風竹·雨竹·雪竹 등의 素材를 다룬 墨竹이나 熙政堂의 壁畵에서 그의 技倆을 最大限으로 發揮하였다. 그러나 그의 多樣한 硏究活動은 傳統의 踏襲에 다소 머물러 있었다. 따라서 그의 作品 또한 대부분 保守的인 傾向을 띠고 있을 뿐 藝術作品에 있어서의 進展을 그다지 보지 못하였다. 하지만 海岡 金圭鎭은 傳統과 改革의 정신을 동시에 兼備한 當代 書畵界의 敎育者로서, 近代的 思考樣式과 挑戰的 意識을 包含한 開拓者로서 後代作家들에게 또는 韓國畵壇에 意味있는 役割을 했다고 하겠다. Apearing the last period of Cho-Sun dynasty's unusual aspects, Haekang Kim Kyu-Jin(1868-1933), born to a Korean calligrapher, painter, the second son of a poor farmer, was a modern artist who had have a traditional heritage with the tradition and the consideration of reformation. Kim was a man of integrity. His arts as well as his outward activities show up his deviant character and innovative personality. He was quite conservative in the field of education and the way of his artworks but he had a new tlungking way in the society and business. The civilization and Catholicism spreaded out through the country in spite of Daewongun's Closed Door Policy, discord between the civilization and the conservatives and religious persecution, the power of a nation had been getting exhausted. In this situation, former status has deemed and western ideas were touched with them so there appeared the level of middle class. These kind of conditions were a good opportunity for Kim, Kyu-Jin as one of the lower class. He learned chinese classics and paintings from his maternal uncle, Sonam Yi Hui-su, from age 7 to when he reached the age of 18. In 1885 Kim travelled to China, where he stayed for eight years. He was much impressed in China by the new literati style of painting. On his return to Korea in 1893, he became a teacher for prince Yong-Chin be indedted to Min Young-Sun for acquaintance he had made in china. His works could be a great things through many achievements in social, economy, culture with the researches of paintings four gentlemanly plants, lanscape and color starting from the calligraphy. In addition that he printed many kinds of description relate to calligraphy and painting on Hansungsoonbo, Taehanmaeilsinbo, Maeilsinbo and Seoulsinmoon. This make us notice his multiformity. Kim Kyu-Jin tried to activate culture of the provinces and wrote letters on the panel of the doors of temples in there through variety of calligraphy types. When Kojong abdicated in 1907, Kim resigned and opened a photography studio in Korea. In 1913 he opened one of the first modern art galleries in Seoul, the Kogum sohwagwan which he pioneered amid much of criticism, and committed himself to supporting Korean art. What is more, He was one of the great educator. In 1915 he set up a three-year training course for artists with the Sohwa yon' guhoe (Study Group for Calligraphy and Painting). It became a counterpart to the Sohwa misulhoe (Painting and Calligraphy Arts Group led by An Chung-sik and Cho Sok-chin. Songeun Lee Kyum-Jik, Goam Lee Eung-No, Chunggang Kim Young-gi graduated this Kim's institue. When he was in educational activities, he teached in a all-out conservative method. I think thus could be the point which can sustain the country's culture and the basic of a new way on art. Above all, he respected women's rights in the work of a photo studio and an art gallery despite of social atmosphere. All of those his operations show up his innovation and an extraordinary action for the public. Moreover, as a great man in that time, Kim Kyu-Jin is giving us senses around present art and artistic circles in the country.

      • 경쟁 위험 모델에서 역확률 중도 절단 가중치를 이용한 시간 가변 AUC 추정량 비교

        성재현 전북대학교 대학원 2024 국내석사

        RANK : 248639

        The time-dependent ROC curve have been used to measure model parameters in survival analysis. The curve is defined using cumulative sensitivity and dynamic specificity that is used to time-dependent variable. With competing risk model, we define AUC that classify the case and the control by considering “Competing events”. Blanche(2013) attempted to estimate time-dependent AUC by applying the inverse probability of censoring weighting(IPCW) estimator. This simulation aims to compare performance by expanding the conditions in Blanche(2013)’s simul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