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Experimental study on single droplet-wall collision heat transfer in film boiling

        박준석 경희대학교 일반대학원 2018 국내박사

        RANK : 247647

        Droplet-wall collision heat transfer plays an important role in various industries because the large amounts of energy can be extracted from the heated materials through the latent heat of evaporation. Especially, the heat transfer characteristics of droplet impinging on wall heated above the static Leidenfrost temperature are closely related to the safety issues in nuclear industry. Droplet-wall direct contact phenomenon in post-CHF region have a significant influence on thermal-hydraulic phenomenon determining cladding temperature of superheated fuel. When a single droplet makes contact with a heated wall, behaviors of the droplet show different physical aspects according to surface temperature. In addition, heat transfer characteristics depend on impact velocity, collision angle, droplet temperature and diameter. Many research have been conducted for single droplet-wall collision heat transfer which provides a reliable database for developing basic concepts about droplets impinging on very hot surfaces. Several analytical models have been developed in order to describe the phenomena taking place during such interactions. However, it was found that there is still a big deviation between predicted data and experimental results. Therefore, the effects of each parameter need to be separately investigated to completely understand heat transfer mechanisms of droplets impinging on a heated surface for improving heat transfer model.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various primary parameters on heat transfer characteristics of droplet impinging on heated surface. Experiments were carried out by using synchronized high-speed video (Phantom v7.3) and infrared cameras (FLIR SC6000, 3-5 μm) in order to investigate the interaction between droplet and wall for several ms. Experiments are conducted with a Weber number in the range of 2 to 46 at atmospheric pressure, which is the condition that the droplet rebound completely after impact on heated wall ranged from 375 to 580 °C. The droplet with ~2 mm falls onto the test sample by gravity. Collision velocity of droplets, which was controlled by changing the height of the syringe needle, was measured by analyzing high-speed images from side and was ranged from 0.2 to 2.6 m/s. The collision angle in the range of 10° to 90° was controlled by the inclination angle of substrate. Various physical parameters related to heat transfer amount were measured, including the residence time, heat transfer area, average heat flux, and heat transfer amount per collision. Among the system parameters, the parameters that have the greatest influence on the heat transfer characteristics are the wall temperature, collision velocity, and the droplet temperature. The wall temperature is one of important parameters to distinguish the heat transfer regimes such as transition boiling and film boiling. The wall temperature for maintaining film boiling regime increases with increasing collision velocity. The wall temperature has insignificant effect on the increase of heat transfer amount in film boiling regime. Collision velocity is another parameter to distinguish heat transfer characteristics and causes the direct contact resulting in the transition boiling. At film boiling regime, collision velocity has a negligible effect on the heat transfer coefficient, but causes significant change in the contact diameter related to heat transfer area that results in increase of heat transfer amount. The droplet temperature make a significant contribution to the increase of heat transfer amount. The droplet temperature was a very important system parameter in conducting the experiments and developing the mechanistic model. The previous models were developed based on the assumption that the thermal energy transferred from the wall was solely used to evaporate liquid at the interface between the vapor film and the droplet. However, Heat transfer from wall to a subcooled droplet had two heat transfer paths including evaporation heat at vapor-droplet interface and the heat to rise temperature of liquid within droplet. Therefore, careful treatment of droplet temperature was required for the development of the analytical model and for conducting the experiments. Furthermore, experimental data were carefully compared with prediction resulted in order to assess the performance of previous models. The main interest in previous models was to know the amount of heat extracted by the interaction between heated surface and a saturated droplet. The assessment of the existing analytical models was only possible using experimental results of saturated droplet. Through comparison of experimental results of saturated droplets and results of prediction models, the sub-model for the heat transfer area was modified to improve the predictive accuracy for heat transfer amount per collision. Lastly, the heat transfer regimes of saturated droplet are experimentally determined as a combination of surface temperature and normal Weber number. The heat transfer regimes were determined on the basis of the change in heat flux distribution and effectiveness, and were classified into two categories including film boiling and transition boiling regime. The film boiling phenomenon occurred when a saturated droplet with low collision velocity impacted on the surface heated to 500 °C or more.

      • Plutonium 전착 효율을 최대화하는 조건 향상을 위한 연구

        박준석 청주대학교 2020 국내석사

        RANK : 247647

        방사성 플루토늄 분석 시 시료에서 Pu 원소를 용액 상태로 분리하여 전기분해 방법을 사용하여 금속판에 전착시켜 알파선을 측정한다. 플루토늄이 금속판에 부착되는 효율은 전기분해 시 용액을 통해 흐르는 전류, 전기 분해 시간, 전해질의 농도, 전극판 사이의 거리 등에 따라 변한다. 이에 대한 조건들이 분석기관 별로 차이가 있어, 최적의 조건을 확립하는 연구를 수행하였다. 이 연구에서는 전착 효율에 영향을 주는 조건 등을 변화시키면서 전착 효율을 측정하여, 전착 효율이 최대가 되는 조건을 조사하였는데 전류는 1.0 A 이상, 전기 분해시간은 최소한 90분이 필요하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 연구에서는 양이온 교환을 위한 수지로 Anion resin과 TEVA resin을 사용하였으며, Pu 전착효율을 측정하기 위해 242Pu 표준선원을 사용하였다. When analyzing radioactive plutonium, we separate the elements of Pu from the specimen into a solution and electrodeposite them into a metal plate to measure alpha rays. The efficiency of plutonium attached to a metal plate varies depending on the current flowing through the solution during electrolysis, the time of electrolysis, the concentration of electrolytes, and the distance between electrode plates. Because the conditions for these were different from each analysis institution, we carried out studies that establish optimal conditions. In this study, we measured the deposition efficiency by changing the conditions affecting the deposition efficiency, and investigated the conditions under which the deposition efficiency is maximum; we confirmed that electric current was 1.0 A or more and that electrolysis time was required at least 90 minutes. In this study, we used Anion resins and TEVA resins as resins for cation exchange and used 242Pu standard sources to measure the electrodeposition efficiency of Pu.

      • 옥상녹화를 위한 순비기나무(Vitex rotundifolia)의 이용적성 평가

        박준석 건국대학교 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저관리․경량형 옥상녹화 시스템을 효과적으로 시행하기 위해 토심 및 인공경량토양의 배합비에 따른 순비기나무의 생육에 적합한 식재층과 식재기반을 살펴보고자 수행하였다. 먼저 제1장에서 현재 옥상녹화 전반에 관한 연구와 인공토양에 관한 연구를 비롯하여, 토양 내 수분, 옥상녹화 식재 수종에 관한 연구들을 살펴보았고, 제2장에서는 앞서 나온 연구들을 바탕으로 순비기나무(Vitex rotundifolia)를 공시식물로 선정, 펄라이트, 피트모스, 유기질비료를 배합한 혼합토(L10, S7L3, S5L5, P7P1L2, P6P2L2, P5P3L2, P4P4L2)와 대조구로 모래(S10)를 선정하여 토심․배합비를 검토하여 가장 적정한 실험 및 연구방법을 설정토록 하였다. 제3장에서는 실험에 기반이 되는 토양의 이화학적 특성을 분석하고 이를 이용하여 식재실험을 실행하였으며, 실험기간 동안 측정한 생육상 데이터를 바탕으로 고찰이 이루어졌다. 마지막 제4장에서는 앞서 행한 고찰을 통해 순비기나무의 적정 토심 및 토양배합비를 도출하였다. 본 연구는 2006년 4월에서 9월까지 약 5개월간 진행되었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식재층과 식재기반에 따른 토양수분함량은 점점 감소하는 경향을 보이다가 관수를 포함한 강우 시 수분함량이 올라갔으며, S10, S7L3, S5L5 실험구의 경우 강우 후 수분함량이 급격히 떨어지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이에 비해 피트모스와 펄라이트가 포함된 P7P1L2, P6P2L2, P5P3L2, P4P4L2 실험구는 완만하게 감소하여 저관리형 옥상녹화에 보수성이 높은 토양개량제 사용은 불가피 할 것으로 판단된다. 펄라이트가 많이 배합된 토양에서는 토양을 물을 흡입하는 힘인 kPa이 높은 수치로 올라가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순비기나무의 토양 배합비별 생육실험 결과, P6P2L2, P5P3L2, P4P4L2 실험구의 경우 생육이 양호하였다. 수고와 근원직경 생육 측정 결과, 토심 7㎝의 경우 P6P2L2에서 고사하지 않았으며 물관리가 인위적으로 주어진다면 충분히 생육할 수 있을 것으로 보여진다. 15cm 토심에서는 P4P4L2 근원직경에서 가장 왕성한 성장을 보였으며, P5P3L2과 수고 생장율이 비슷하였다. S10은 나머지 실험구에 비해 미비한 성장을 보였으며, 이것은 낮은 토양수분함량과 유기물부족이 원인으로 작용한 것으로 사료된다. L10 실험구는 토양수분함량 및 유기물은 풍부한데도 불구하고 낮은 생장율이 나타났는데 이것은 유기질비료의 높은 pH와 과잉 치환성칼슘에 의한 것으로 판단된다. 토심별 생장량의 차이는 토심 7㎝ 실험구에서는 생육이 활발하지 않았고, 대부분 고사하는 경향을 나타내었으며. 토심 15㎝ 실험구와 25㎝ 실험구를 비교해 보았을 때 큰 차이는 없었으나, 토심 25㎝ 실험구에서 원활한 생육이 이루어진 것으로 확인되었다. P6P2L2의 경우 비교적 왕성한 생육상을 보였으며, 가장 낮은 생존률을 보였던 7㎝ 실험구에서도 원만한 생육을 보여 순비기나무의 옥상녹화에 적합한 배합토로 판명되었다. 인공토양을 이용한 적정토심 및 토양배합비는 관수 시점 및 강우와 밀접한 관련이 있다고 판단되며, 7㎝ 토심의 경우 잦은 관리가 필요할 것으로 예측된다. 15㎝ 실험구의 14일 무관수에서도 순비기나무가 고사하지 않고 생육 가능했던 점과 P6P2L2 이상의 피트모스 배합비에서 왕성한 생육이 이루어진 점에서 미루어 볼 때 15일 이상의 저관리에 필요한 인공토양의 배합비는 P6P2L2, P5P3L2, P4P4L2가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순비기나무는 적정한 토양기반이 제공된다면 도시의 옥상녹화용 소재로 이용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 구운굴통조림의 제조 및 품질 특성

        박준석 경상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7631

        Chapter 1. Processing and Characteristics of Canned Boiled Oyster Added Spicy Sauce and Canned Roasted Oyster Crassostrea giagas Added spicy sauce This study was carried out with the aim of collecting basic data that can be applied in the manufacture of two types of canned oyster (canned boiled oyster added spicy sauce, canned roasted oyster added spicy sauce). Boiled oyster were obtained by immersing the oyster at 105℃ for 6 minutes and then washing and dehydrating them before pre-drying (40℃, 50 min). The roasted oyster were prepared by baking boiled oyster at 140℃ for 20 minutes using a smoker machine. The preparation method of canned boiled oyster added spicy sauce and canned roasted oyster added spicy sauce are as follows. Filling 50g of each boiled oyster and roasted oyster into aluminium can (RR-90) and adding 40g of mixed seasoning sauce (Mix sauce prepared by the mixing ratios of 53.85% water, 4% thick red pepper powder, 2.8% cheongyang pepper powder, 2.5% red pepper paste, 2% soybean paste, 1% oyster juice, 0.8% refined salt, 0.85% MSG, 0.2% ground pepper, 4.5% white sugar, 4.5% brown sugar, 2% sesame, 6.5% chili oil, 6.5% soy sauce, 0.5% corn starch, 0.3% xanthan gum, 7.2% mixed garlic) and then vacuumed using a double seamer under the 20 cmHg of vacuum degree after preliminarily degassing at 90℃ for 3 minutes. Microbial growth test, appearance, proximate composition, pH, VBN, TBA value, amino-N, salinity, color value (L, a, b), texture, free amino acid, total amino acid, mineral and sensory evaluation were tested for the two kinds of canned products (canned boiled oyster added spicy sauce, canned roasted oyster added spicy sauce) manufactured by the condition of Fo 12 min. From the results, canned roasted oyster added spicy saucer were shown more preferable than canned boiled oyster added spicy sauce on the sensory evaluation.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baking process at 140℃ for 20 minutes affect the sensory preference. Chapter 2. Processing and Characteristics of Canned Seasoned Boiled Oyster and Canned Seasoned Roasted Oyster Crassostrea giga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llect basic data that could be used in the manufacture of two kinds of canned oyster Crassostrea gigas. The steamed oyster was prepared by shucking after boiling for 6 min at 105°C, and then washing and dewatering. The roasted oyster was prepared by baking steamed oyster at 140°C for 20 min. The manufacturing methods of canned seasoned boiled oyster and canned seasoned roasted oyster were as follows. The boiled or roasted oyster (50 g) was added to a can (RR-90) along with a mixture of seasoning sauce 40, and then seamed using a vacuum seamer under 20 cm Hg after pre-exhausting at 90°C for 20 minutes. The two kinds of canned oyster products produced under sterilization of Fo 12 min were tested for cultured bacteria, external appearance, proximate composition, pH, VBN, TBA value, amino-N, salinity, color value sensory evaluation, etc. Results showed that the canned seasoned roasted oyster had higher overall acceptability than the canned seasoned boiled oyster. The reason for this was judged to be that the process of roasting at 140°C for 20 minutes influenced the sensory evaluation. Chapter 3. Processing and Characteristics of Canned Roasted Oyster Crassostrea gigas using Tomato Sauce and Tomato Paste Sauce This study was carried out with the aim of collecting basic data that can be applied in the manufacture of two types of canned oyster Boiled oyster were obtained by immersing the oyster at 105℃ for 6 minutes and then washing and dehydrating then before pre-drying. The roasted oyster were prepared by baking boiled oyster at 140℃ for 20 minutes. The preparation method of canned roasted oyster adding tomato sauce are as follows. Filling 50g of roasted oyster into aluminium can and adding 40g of mixed seasoning sauce and then vacuumed using a double seamer under the 20 cmHg of vacuum degree after preliminarily degassing at 90℃ for 3 minutes. Preparation method of canned roasted oyster adding tomato paste sauce are manufactured by adding the same amount of tomato paste sauce instead of tomato sauce added to canned roasted oyster. Microbial growth test, appearance, proximate composition, pH, VBN, TBA value, amino-N, salinity, color value, texture, free amino acid, total amino acid, mineral and sensory evaluation were tested for the two kinds of products. From the results, canned roasted oyster adding tomato paste sauce were shown more preferable than canned roasted oyster adding tomato sauce on the sensory evaluation.

      • 실생활 수학교육(RME)에 근거한 수학화 학습이 학업 성취도 및 수학적 태도에 미치는 영향

        박준석 광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631

        2007년 개정 수학과 교육과정에서 수학과 교수 학습의 방향은 학생들의 구체적인 경험에 근거하여 여러 가지 현상을 수학적으로 해석하고 조직하는 활동을 통해 학습 참여도를 높일 필요가 있음을 강조하였다. 따라서 수학을 가르치는 방법은 분명 달라져야 하며 학생들의 탐구활동과 재발명에 의해 수학적 지식이 구성되어야 한다. 이와 같은 학습 방법은 실생활 수학교육(RME)에서 강조하고 있으며, 수학이 학생들의 삶과 연결될 때에만 의미를 가질 수 있다고 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실생활 수학교육(RME)에 근거한 수학화 학습 과정을 구안하여 교수·학습에 적용해 보고 그 결과를 분석하여 학생들의 학업 성취도 및 수학적 태도에 대한 영향을 검증하였다. 이 연구를 위해 광주광역시 소재 S초등학교 5학년 전체학급 중에서 사전검사에서 동질집단으로 나타난 2개 학급을 실험집단과 비교집단으로 선정하였다. 실험집단은 5학년 1학기와 2학기 교육과정에서 측정 영역을 실생활 수학교육에 근거한 수학화 학습을 진행하였고, 비교집단은 전통적인 방법으로 학습을 진행하였다. 실생활 수학교육에 근거한 수학화 학습을 통해 얻은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실생활 수학교육에 근거한 수학화 학습을 통해 학습에 대한 흥미와 수학 수업에 대한 긍정적인 생각을 갖게 되었다. 둘째, 실생활 수학교육에 근거한 수학화 학습을 한 결과 도형의 넓이와 단위에 대한 실생활 관련 서술형 문항에서 학업 성취도 신장에 효과적이다. 셋째, 실생활 수학교육에 근거한 수학화 학습을 한 실험집단의 사전과 사후의 수학적 태도에 대한 변화를 검증한 결과 수학 교과에 대한 흥미도와 성취동기, 주의집중과 자율학습 면에서 수학적 태도 향상에 도움을 주었다. 본 연구에서 나타난 실생활 수학교육에 근거한 수학화 학습은 학업성취도 및 수학적 태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지만 실생활 수학교육에 근거한 수학화 학습 과정에 대한 지속적인 연구 및 다양화 자료와 프로그램 개발이 이루어진다면 교실 수업 개선에 많은 도움을 줄 것으로 생각하게 되었으며, 의사소통 능력 향상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해 보는 후속 연구가 필요하다. Currently, It has been emphasized that Mathematics Education should be directed to enhancement of the students' participation in learning by analysing and organizing the various phenomenon mathematically based on their realistic experiences according to 2007 Revised Mathematics Curriculum. Hence, Mathematics Education needs to explore the alternative way and the mathematical knowledge also be constructed through the inquiry activities and reinvention method of the students. The approach which focuses on this learning method has been developed in the area of Realistic Mathematics Eduction these days and it also assumes that it can have a true meaning only if mathematics has a close connection with students' real life. With this educational trends, the present study aimed to develop the way how the methodological learning process can be applied to the Learning and Teaching in the classroom from the perspective of Realistic Mathematics Eduction and identified the effects on the students' mathematics learning achievements and the attitude toward mathematics by reflecting the results confirmed from this application. For this research, two classes out of all the classes in fifth grade of some primary school located in Gwang-ju city participated in this study and both classes which turned out to be the homeogenous after pre-test were divided into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regulated group. The learning and teaching process of experimental group was conducted by the methodological learning based on Realistic Mathematics Eduction and the traditional methodology learning was used in the regulated group. The conclusions in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participants have established the affirmative opinion about the methodological learning based on Realistic Mathematics Eduction. (=the participants have formed the interest in learning and positive attitude towards mathematics class.) Second, it is indicated that the methodological learning based on Realistic Mathematics Eduction was successful in enhancing their mathematics learning Achievements regarding to the area of Figure and the essay type questions. Third, it is also found that the methodological learning based on Realistic Mathematics Eduction was effective in improving students' attitudes related to interest degree in Mathematics, achievement motivation, attention concentration and self-directed learning after analysing the data of pre and post test of the experiment group. Considering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methodological learning conducted in this study from Realistic Mathematics Eduction approach has affected significantly on forming a positive attitude towards mathematics and improvement in mathematics learning Achievements. As a constructive suggestion on this present study, multiple approaches for developing various instructional materials and programs about the methodological learning based on Realistic Mathematics Eduction should be further explored through the continuos research. In addition to this effort, post study for identifying its influence on communicative competence enhancement also needs to be developed.

      • REDIS를 활용한 학급경영 웹 애플리케이션 프레임워크의 설계 및 구현

        박준석 서울교육대학교 교육전문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7631

        정보화 사회가 도래하면서 국가 경쟁력의 바탕을 정보화에 두고 많은 분야에서 기존과는 다른 새로운 사회를 맞이하고 있다. 특히 정보화 인프라가 구축이 되고 스마트폰의 보급이 활발해지면서 이제는 하루도 정보화 사회를 벗어날 수 없게 된 것이다. 이러한 사회적 변화를 바탕으로 교육 현장에 필요한 것을 찾다보니 학급경영을 도와줄 수 있는 새로운 모델의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이용하면 좋을 것이라 생각했다. 전통적인 학급경영은 교사의 일방적인 학생 관리로 그치는 면이 대부분이다. 하지만 지금의 교실에서는 전통적인 학급경영이 아닌 교사와 학생이 동등한 입장에서 스스로 자치 규범을 만들어 운영하는 민주시민으로서의 자질을 함양하기 위한 교육의 장이 되었다. 그렇기 때문에 누구나 주인의식을 갖고 학급경영에 참여할 수 있어야 한다. 뿐만 아니라 학급경영은 학교의 환경이나 학급 구성원의 성향, 그리고 교사의 교육적 철학에 따라 매우 다양한 형태로 나타나게 된다. 그렇다보니 정형화된 틀로 만들어진 학급경영 프로그램은 이러한 학급의 다양성을 따라갈 수 없게 된다. 결국에는 학급 단위로 맞춤형 프로그램이 필요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러한 점들을 고려했을 때 새로 구상하는 학급경영 프로그램은 구성원들 간의 커뮤니케이션을 최대한 활성화 할 수 있어야 한다고 생각한다. 그러기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접근이 용이해야 할 것이다. 일반 PC는 물론이거니와 최근 빠른 속도로 보급되고 있는 다양한 종류의 스마트폰에서도 쉽게 사용할 수 있어야 한다. 또한 학급경영 프로그램의 확장성이 수월해야 할 것이다. 학급마다 상황이 다르고 구성원의 성향이 다르기 때문에 교사가 적절한 방법으로 프로그램을 수정하거나 확장할 수 있어야 보다 효과적으로 이용할 수 있을 것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편의성과 접근성을 확보하기 위해 웹 기반의 애플리케이션의 형태로 개발을 하려고 한다. 현재 보급된 모든 스마트폰에는 웹브라우저가 설치되어 있으니 클라이언트 이것으로 이용하면 손쉽게 구현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애플리케이션의 다양성과 확장성을 위해서 학급경영 웹 애플리케이션의 최소 기능을 프레임워크에 담아 개발하고, 프로그램의 확장은 이 프레임워크를 바탕으로 개발하거나 템플릿 기능을 최대한 활용할 수 있도록 설계하고 구현하려고 한다.

      • 아시아 전통놀이 활동이 유아의 다문화 인식에 미치는 영향

        박준석 서울교육대학교 교육전문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 of traditional Asian play activities on young children’s multicultural awareness. The following research questions were developed for the purpose of this study: Research Question 1. How do traditional Asian play activities affect young children’s multicultural awareness? Research Question 2. How do traditional Asian play activities affect sub-domains? 2-1. How do traditional Asian play activities have an effect on young children’s ‘openness’? 2-2. How do traditional Asian play activities have an effect on young children’s ‘openness’? 2-3. How do traditional Asian play activities have an effect on young children’s ‘openness’? In order to investigate these research questions, the study was conducted on a total of 60 four-year-olds and five-year-olds (30 children from A kindergarten attached to an elementary school and 30 children from B kindergarten attached to an elementary school) across two kindergarten classrooms in G city, Gyeonggi Province. The children from A kindergarten were assigned to an experimental group and the children from B kindergarten were assigned to a comparison group. These two kindergarten classrooms were geographically located in a neighborhood with a similar socio-economic status. The experimental group engaged in traditional Asian play activities three to four times a week for a total of 20 sessions during 8 weeks from August 23rd to October 17th in 2016. The traditional Asian play activities were classified into six similar play patterns, presenting Korean traditional play activity first and subsequently introducing other traditional play activities within the same play patterns in the same week. The comparison group engaged in multicultural traditional play activities as suggested by Nuri curriculum. The tool used in this study was a multicultural awareness test tool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which is originally developed by Jeong(2009) and revised and adapted to young children by Kim and Lee(2009). This tool included three sub-domains in the idea of multicultural awareness, including openness, receptivity, and respect. Pre- and post-tests were conducted by using the tool and then analyzed with SPSS 18.0 to determine the effectiveness of traditional Asian play activities. The pre-test results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mparison group were shown using independent sample t-test, and the post-test results were analyzed using independent sample t-test as homogeneity was secured between the two groups.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raditional Asian play activities had positive effects on young children’s multicultural awareness, seen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a significant increase compared to the comparison group. Second, traditional Asian play activities had positive effects on ‘openness’ as a sub-domain of young children’s multicultural awareness, seen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a significant increase compared to the comparison group. Third, traditional Asian play activities had positive effects on ‘receptivity’ as a sub-domain of young children’s multicultural awareness, seen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a significant increase compared to the comparison group. Fourth, traditional Asian play activities had positive effects on ‘respect’ as a sub-domain of young children’s multicultural awareness, seen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a significant increase compared to the comparison group. These results suggest that traditional Asian play activities have a positive effect on young children's multicultural awareness. Young children have a positive awareness of various cultures by engaging in traditional Asian play activities with commonalities and difference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utilize traditional Asian play activities suitable for classrooms within multicultural societies in which children live and to continously research similar studies. 본 연구는 아시아 전통놀이 활동이 유아의 다문화 인식에 미치는 영향이 어떠한지를 알아보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연구문제 1. 아시아 전통놀이 활동이 유아의 다문화 인식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연구문제 2. 아시아 전통놀이 활동이 유아의 다문화 인식 하위 요인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2-1. 아시아 전통놀이 활동이 유아의 개방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2-2. 아시아 전통놀이 활동이 유아의 수용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2-3. 아시아 전통놀이 활동이 유아의 존중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위에 제시된 연구 문제를 검증하기 위하여 경기도 G군에 위치한 A초등학교 병설유치원 만 4~5세 유아 30명을 실험집단으로 하고, 비슷한 수준의 지역 사회 및 가정환경을 지니고 있는 B초등학교 병설유치원 만 4~5세 유아 30명을 비교집단으로 하여 총 60명의 유아들이 참여하였다. 실험집단은 2016년 8월 23일에서 10월 14일까지 아시아 전통놀이 활동을 주 3~4회 총 20회에 걸쳐 실시하였다. 아시아 전통놀이 활동은 6가지 비슷한 놀이 유형으로 분류하여 한국 전통놀이를 실시한 후 유사한 놀이 유형의 아시아 전통놀이를 같은 주에 실행하였다. 비교집단은 누리과정의 다문화 전통놀이 활동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사용한 검사 도구는 정경미(2009)가 제작한 초등학생 대상의 다문화 인식 척도 검사 도구를 유아용으로 수정하여 신뢰도와 타당도를 구한 김판희와 이춘옥(2009)의 다문화 인식 검사 도구이다. 위의 검사 도구를 사용하여 유아 다문화 인식의 하위 요인인 개방성, 수용성, 존중성 요소를 측정하였다. 위 도구를 사용하여 사전검사와 사후검사를 실시하였으며, 아시아 전통놀이 활동이 나타내는 영향을 검증하기 위하여 SPSS 18.0을 이용하였다. 실험집단과 비교집단의 사전검사 결과를 독립표본 t-검증하여 두 집단 간 동질성이 확보가 되었기에, 사후검사 결과를 독립표본 t-검증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아시아 전통놀이 활동은 유아의 다문화 인식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효과가 있었으며 실험집단이 비교집단보다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아시아 전통놀이 활동은 유아의 다문화 인식 하위요인인 개방성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효과가 있었으며 실험집단이 비교집단보다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아시아 전통놀이 활동은 유아의 다문화 인식 하위요인인 수용성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효과가 있었으며 실험집단이 비교집단보다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아시아 전통놀이 활동은 유아의 다문화 인식 하위요인인 존중성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효과가 있었으며 실험집단이 비교집단보다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통해 아시아 전통놀이 활동이 본 연구 대상 유아의 다문화 인식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유아들은 동질성과 차이점을 가진 아시아 전통놀이 활동에 즐겁게 참여함으로써 다양한 문화에 대한 긍정적인 인식을 가지게 된다. 따라서 앞으로 유아가 살아갈 다문화 사회에 적합한 아시아 전통놀이 활동을 적극 고려하고 아시아 전통놀이 활동에 대한 지속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 Correlation Between NT-proBNP and Lipase Levels According to the Severity of Chronic Mitral Valve Disease in Dogs

        박준석 忠南大學校 大學院 2022 국내박사

        RANK : 247631

        본 논문은 소형견 심장병에서 가장 많이 발생하는 만성 이첨판질환 (CMVD) 을 ACVIM stage 로 나눠서 분석을 해봤을 때, NT-proBNP와 lipase와의 상관관계 및 변화양상을 분석한 논문입니다. 2015년부터 2017년까지 충남대학교 부속동물병원에 방문한 총 84마리의 개가 이 연구에 참여했으며, 시간에 따른 수치의 변화양상을 파악하기 위해서 6개월단위로 2년간 샘플을 채취했습니다. 심장병의 단계를 ACVIM stage 로 구별해서 두 수치와의 상관관계를 분석했을 때, NT-proBNP는 ACVIM stage 와 아주 강한 상관관계를 보였고, lipase는 ACVIM stage와 강한 상관관계를 나타내진 않았습니다. 그러나 시간에 따른 변화양상을 봤을 때, 두 수치 모두 1년이 지난 시점부터는 시간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로 증가하는 것을 확인했습니다. 이러한 두가지 결과를 토대로 봤을 때, NT-proBNP만큼 lipase가 ACVIM stage와 유의미한 상관관계를 나타내진 않지만 시간이 지남에 따라, 특히 1년이 지난 시점부터는 유의미하게 증가하기에 소형견 심장병 환자에서 주기적인 lipase수치의 변화양상을 관찰해서 췌장염을 사전에 대비하는 것이 좋을 것으로 판단됩니다. 앞으로 시간에 따라서 소형견과 비슷하게 변화하는 양상을 보이는지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해 보입니다 Chronic mitral valve disease (CMVD) is the most common cardiovascular disease in dogs, causing decreased cardiac output that result in poor tissue perfusion and tissue damage to the kidneys, pancreas, and other organ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relationships between heart disease severity and N-terminal pro B-type natriuretic peptide (NT-proBNP) and lipase levels in dogs with CMVD, as well as to evaluate longitudinal changes in these values. A total of 84 dogs participated in this study from 2015 to 2017. Serum values of NT-proBNP and lipase were analyzed; radiography were used to measure the Vertebral Heart Score (VHS) and various echocardiographic values. NT-proBNP showed a strong positive correlation with increasing stage of heart disease; lipase showed a mild positive correlation with heart disease. When the three values (NT-proBNP, lipase and month) were continuously measured at 6-month intervals, all showed a correlation with increasing length of diseas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