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전립선특이항원 촉진염기서열 부위에서의 유전자 다형성과 전립선비대증 표현형의 관련성에 관한 연구
목적 : 전립선특이항원 (Prostate-specific antigen: PSA) 유전자의 유전적 다양성은 혈청 PSA 치와 관련되어있다. 5알파-환원효소 억제제(5α–reductase inhibitors: 5ARI)를 투여받는 환자들에서 나타나는 혈청 PSA의 폭넓은 변화는 유전적 수준에서의 개체 내 차이에 기인한 것일 수 있다. 본 저자들은 한국인 전립선비대증 환자들에서 PSA 촉진염기서열 부위의 유전적 다양성과 5알파-환원효소 억제제인 dutasteride 투여후 혈청 PSA의 변화 사이의 연관성에 대해 연구하였다. 대상 및 방법 : 전체 121명의 전립선비대증 환자들을 대상으로 dutasteride 투여 전과 투여 후 3개월째 혈청 PSA치를 측정하였다. 저자들은 PSA 유전자의 촉진염기서열부위 (transcription의 시작부위로부터 nucleotide 위치 -158에서 -356, 그리고 -5217에서 -5429까지)를 증폭시켰고, 그리고 증폭 산물을 자동염기서열 장치를 이용하여 유전자 다향성을 조사하였다. 결과 : 비교적 특성이 잘 파악된 세 개의 단일염기변형 (Single nucleotide polymorphism: SNP) (rs3760722, rs266867, rs266868), 특성이 파악되지 않은 여섯 개의 SNPs (rs17554958, rs266882, rs4802754, rs2739448, rs2569733, rs17526278), 그리고 한 개의 새로운 SNP (nucleotide 위치 -5402)가 발견되었다. PSA 촉진염기서열 부위의 어떠한 SNP도 연령보정 전립선 크기, 초기 PSA치, dutasteride 투여 3개월 후의 PSA 변화 등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이지 않았다. 그러나 -5217, -5307, 그리고 -5412 위치에서 한가지 하플로타입은 초기 PSA 치와 통계적 연관성을 보였다. 결론 : 기존에 알려진 것과 다르게 PSA 촉진염기서열 부위의 각각의 SNP는 전립선비대증 표현형과 관련성을 보이지 않는다. 저자들은 한국인 전립선비대증 환자에서 PSA 촉진염기서열부위 유전자형을 가지고 dutasteride 투여 후 혈청 PSA 변화를 예측할 수 없었다. 그러나 하플로타입 분석에서 초기 PSA치와 통계적 연관성을 보인 점은 유전적 관련성에 대한 단서로 추정된다.
열전소자의 Seebeck Effect를 이용한 Hybrid PV 패널 발전 시스템
Photoreceptor existing methods using solar tracking and solar tracking system to calculate the orbit of the way the trek is mainly used in two ways. Photoreceptor according to the weather conditions and environmental factors, many orbit calculations malfunction in the early development of the panel due to the installation angle errors are less efficient. In this paper, the combination of these two treks, each by a different cycle to the cause as a hybrid trekking and trekking in the error correction operation by controlling the removable power can be greatly reduced in the hybrid power system is proposed. In the development of PV panels and small ways to improve the efficiency of thermoelectric devices for the PV panel temperature changes according to the generation of PV panels are investigated.
글로벌 분산투자와 환위험 헤징에 관한 실증연구 : G7국가와 BRIC국가를 중심으로
This study analyzes the global diversification, foreign exchange hedging rate, and portfolio investment strategies, focused on G7 and BRIC countries. Firstly, in spite of their greater risk, the Sharpe rate of developing countries is much higher than that of the developed countries, implying that developing countries are still attractive to market participants and academics. Secondly, the exchange rate shows a negative correlation with stock returns during the global financial crisis period, the hedging strategy of foreign exchange rates provides worse investment performance for market participants. Lastly, this study constructs four portfolios by different investment strategies and compares their investment performance. It is difficult to say which investment strategy is the best one for investors, there for it depends on the degree of individual's risk aversion.
강-콘크리트 합성보의 휨 및 회전능력 연구 : 슬림플로(SLIMFLO) 합성보의 구조성능 검증
박성운 연세대학교 공학대학원 2024 국내석사
본 논문은 전통적인 철근콘크리트구조와 강구조의 장점을 결합하여 슬림 플로어를 구현할 수 있도록 개발된 슬림플로 합성보의 구조성능을 검증한 연구이다. 강구조는 전통적인 철근콘크리트 구조에 비해 공사기간과 안전성 측면에서 많은 강점을 가지고 있으나, 강재의 사용량이 많아 건설 원가가 높다. 이에 대한 대안으로 H형강 강재와 콘크리트의 장점을 결합한 강-콘크리트 합성구조가 건축구조물의 바닥판에 널리 사용되고 있으나, 강도는 높은 반면 강성이 낮아 횡좌굴에 약하고 처짐과 진동에 불리하다. 이에 국내외에서는 H형강 강-콘크리트 합성보의 단점을 개선한 다양한 형태의 강판성형 합성보가 개발되고 있다. 강판성형 합성보는 강판을 절곡 성형하여 강재의 사용량을 최소화하고 보 내부에 콘크리트를 채움으로써, 휨좌굴 성능을 개선하고 강성을 높여 진동과 처짐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그러나 제작과정이 복잡하고 접합부의 시공이 어렵다는 단점이 있다. 슬림플로(SLIMFLO) 합성보는 이러한 기존 강판성형 합성보의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 개발되었다. 슬림플로 합성보는 각형강관의 상부에 콘크리트 타설구를 형성하고 보 하부에 철판을 덧대어 장스팬 슬래브를 설치할 수 있도록 개발하였다. 슬림플로 합성보의 가장 큰 강점은 슬림 플로어(slim floor)를 구현할 수 있다는 점이다. 슬림 플로어 구조는 보를 슬래브 내부에 설치하여 바닥판 구조체의 춤을 최소화시키는 구조시스템이기 때문에 건물이 층고를 줄일 수 있다. 따라서 건물의 높이가 정해져 있는 경우에는 층고를 줄여 층수를 늘릴 수 있고, 층고가 정해져 있는 경우라면 유용한 천정고를 더 확보할 수 있다. 또한, 지하층에 슬림 플로어 구조를 적용하면 지하 터파기 깊이를 줄일 수 있어 공기단축과 공사비 절감이 가능하다. 본 연구는 실대형 규모로 제작된 단순보와 기둥-보 접합부 실험을 통해 슬림플로 합성보의 구조성능을 검증하였다. 단순보 실험을 통해 휨강도와 휨강성을 평가하여 이론식과 비교하였으며, 보-기둥 접합부 실험을 통해 접합부의 소성회전능력을 평가하였다. 휨 성능 검증을 위한 보 실험은 총 8개의 실험체를 제작하여 철근 및 강연선의 보강효과, 전단연결재의 종류별 합성효과, 설계예측식의 적정성을 검증하였다. 보-기둥 접합부는 총 5개의 실험체를 제작하였으며 접합형식에 따른 소성 변형능력을 반복이력하중을 통해 확인하였다. 보 실험과 보-기둥 접합부 실험에서 휨강도는 철근과 강재의 합성작용을 반영한 강구조설계기준의 소성응력분포법을 이용하여 예측하였으며, 실험값이 이론값을 초과하는 것으로 평가되어 설계식의 신뢰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슬림플로의 각형강관을 연결한 기본형 접합부와 기둥과 엔드플레이트와 볼트로 연결한 엔드플레이트형 접합부 모두 합성특수모멘트골조(Composite Special Moment Frames, C-SMF)의 요구성능인 0.04rad의 총 층간변위각을 초과하는 성능을 확보하는 것으로 확인되었고, 단부에 H형강을 형성하여 시공성을 개선한 H형 접합부는 합성중간모멘트골조(Composite Intermediate Moment Frames, C-IMF)의 요구성능인 0.03rad의 총 층간변위각을 초과하며 안정적인 거동을 보였다. 보-기둥 접합부의 소성 회전능력(Rcap)을 평가한 결과, 각형단면 형상의 단부를 갖는 실험체는 평균 4.1의 값을 보였고, H형강 단면을 갖는 실험체는 평균 3.1의 값을 보였다. 따라서, 슬림플로 합성보의 접합부는 소성힌지 형성과 모멘트재분배에 필요한 최소 회전능력 Rcap=3 이상을 갖고 있는 것으로 평가된다. 부모멘트를 받는 슬림플로 연속보에는 조밀단면으로 적정 춤 이하인 경우에 횡좌굴에 저항하는 보안정용 가새가 불필요한 것으로 평가되었다. 또한, 슬림플로 합성보와 함께 춤이 큰 데크 슬래브나, 할로우코어 슬래브가 사용된다면 웨브의 일부가 슬래브 콘크리트에 의해 횡지지되는 효과가 있어 더 큰 횡좌굴 지지능력이 기대된다.
The lithographic technology capable of patterning sub-40 nm contact holes is required for 30 nm node generation. However, the lithographic simulation results show that conventional optical lithography technologies can not afford sub-40 nm contact hole patterning because the image quality is degraded seriously as the feature size is decreased below the resolution limit. Therefore, the new technologies such as RELACS(resolution enhancement lithography assisted by chemical shrink) and phase shift mask have recently been studied significantly to enhance the image quality and satisfy a low k1 regime for sub-40 nm contact hole patterning. In this thesis, the RELACS processes have been evaluated based on the process parameters such as mixing bake temperature and time, photoresist material, pattern pitch, contact hole layout, and development time. The experimental results have shown that the amount of shrinkage in patterning size is strongly dependent on mixing bake temperature and photoresist material, but much less dependent on pattern pitch, contact hole layout and development time in the RELACS processes. Other experimental results have also shown that the 55 nm diameter initial hole patterns in the photoresist have been shrunk below the 40 nm size when an optimum RELACS process has been applied to the ArF immersion lithography. The reliable properties in terms of process window and uniformity have been obtained for the mass production. Therefore, the RELACS process should be a promising approach for sub-40 nm contact hole patterning in the near future.
Purpose: Laparoscopic surgery using either the transperitoneal or the retroperitoneal approach has become an accepted technique for performing renal surgery. However, there is no doubt that retroperitoneal laparoscopic nephrectomy is technically more demanding than transperitoneal laparoscopic nephrectomy . We compare retroperitoneal laparoscopic nephrectomy with open nephrectomy in benign renal disease to evaluate the clinical efficacy of retroperitoneal laparoscopic nephrectomy. Materials and Methods: This paper compared the clinical results of 15 retroperitoneal laparoscopic nephrectomy(RLN) with 15 open nephrectomy(0N) performed between June, 1997 and May, 2000. The analysis of clinical data included, operation time, hospital study, analgesic requirement, and complications. Results: The mean operative time was 206 min for RLN and 170 min for ON(p<0.05). The mean hospital stay was 3 days for RLN and 8 days ON(p<0.05). The amount of analgesic used was 8Omg of piroxicam for RLN and 240mg of piroxicam for ON(p<0.05). Complication occured in 3 patients for RLN and 2 patients for ON. Conclusions: While operative time is somewhat longer in our initial laparoscopic nephrectomy than open nephrectomy, the postoperative hospital stay and analgesic requirment are significantly diminished as compared to open nephrectomy. Retroperitoneal laparoscopic nephrectomy appears to be an effective alternative to traditional open nephrectomy.
상·하부 굴착이 도시철도 터널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상하부 굴착
제목 : 상·하부 굴착이 도시철도 터널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본 연구는 현재 운영중인 본선 터널/정거장에 근접하여 직상․하부 통과구간에 신설 되는 구조물과 관련 기존구조물 안정성 검토에 대한 연구이다. 최근 광역철도 건설 등이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으며, 노선 계획시 이용 편의를 위해 기존 지하철역과 연 계하여 시공하는 것은 필수적이다. 이때 공용 중인 기존 지하철 구조물에 대한 안전 성 검토는 이용 고객의 안전과 직결되는 매우 중요한 부분임을 알 수 있다. 신설되는 정거장은 기존 지하철 본선터널 측면으로 10.2m 이격하여 최대 38.83m 깊이로 굴착되며, 본선 환기구는 기존 본선터널 측면으로 12.3m 이격하여 최대 39.73m 깊이로 굴착되고, 출입구 통로는 기존 본선터널 직상부로 5.1m 이격하여 최대 13.08m 깊이로 굴착된다. 또한 신설정거장과 본선 환기구를 연결하는 2아치 터널 정거장은 기존 본선터널 직하부로 6.6m 이격하여 NATM방식으로 굴착되며, 기존역과 신설정거장을 연결하는 환승통로는 기존 서울지하철 5호선 구조물과 접 속되거나 0.6~6.4m 이격되어 굴착된다. 시공 대상구간의 지반조사 결과를 토대로 설계 지반정수를 합리적으로 산정하여 수치해석의 기본자료로 활용하였으며, 신설되는 정거장, 환기구, 환승통로 구조물의 가시설 및 굴착/접속부의 시공 단계별 안정성 검토를 통해 기존구조물에 미치 는 영향 정도를 3차원 수치해석을 시행하였다. 안정성을 검토결과, 기존 터널라이닝 및 정거장의 부재력은 허용 기준을 만족하여 안전한 것으로 판단되며, 본선 터널에 발생하는 최대 축력과 전단력은 신설정거장 교차구간에서 발생하고, 최대 모멘트는 환승통로 구간에서 발생하고 있으므로, 굴 착공사 중 해당 구간은 터널 라이닝 콘크리트의 안전상태를 계측과 중점 점검이 필 요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기존역 대합실, 승강장 접속구간의 경우 정거장 상, 하부 슬래브와 벽체에 발생 한 축력이 허용기준치에 근접하고 있으므로 환승통로 굴착공사 중 기존역 대합실 및 승강장 콘크리트 구조물의 안전상태를 중점확인이 필요한 것으로 사료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