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전립선특이항원 촉진염기서열 부위에서의 유전자 다형성과 전립선비대증 표현형의 관련성에 관한 연구

        박성운 조선대학교 대학원 2010 국내박사

        RANK : 247647

        목적 : 전립선특이항원 (Prostate-specific antigen: PSA) 유전자의 유전적 다양성은 혈청 PSA 치와 관련되어있다. 5알파-환원효소 억제제(5α–reductase inhibitors: 5ARI)를 투여받는 환자들에서 나타나는 혈청 PSA의 폭넓은 변화는 유전적 수준에서의 개체 내 차이에 기인한 것일 수 있다. 본 저자들은 한국인 전립선비대증 환자들에서 PSA 촉진염기서열 부위의 유전적 다양성과 5알파-환원효소 억제제인 dutasteride 투여후 혈청 PSA의 변화 사이의 연관성에 대해 연구하였다. 대상 및 방법 : 전체 121명의 전립선비대증 환자들을 대상으로 dutasteride 투여 전과 투여 후 3개월째 혈청 PSA치를 측정하였다. 저자들은 PSA 유전자의 촉진염기서열부위 (transcription의 시작부위로부터 nucleotide 위치 -158에서 -356, 그리고 -5217에서 -5429까지)를 증폭시켰고, 그리고 증폭 산물을 자동염기서열 장치를 이용하여 유전자 다향성을 조사하였다. 결과 : 비교적 특성이 잘 파악된 세 개의 단일염기변형 (Single nucleotide polymorphism: SNP) (rs3760722, rs266867, rs266868), 특성이 파악되지 않은 여섯 개의 SNPs (rs17554958, rs266882, rs4802754, rs2739448, rs2569733, rs17526278), 그리고 한 개의 새로운 SNP (nucleotide 위치 -5402)가 발견되었다. PSA 촉진염기서열 부위의 어떠한 SNP도 연령보정 전립선 크기, 초기 PSA치, dutasteride 투여 3개월 후의 PSA 변화 등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이지 않았다. 그러나 -5217, -5307, 그리고 -5412 위치에서 한가지 하플로타입은 초기 PSA 치와 통계적 연관성을 보였다. 결론 : 기존에 알려진 것과 다르게 PSA 촉진염기서열 부위의 각각의 SNP는 전립선비대증 표현형과 관련성을 보이지 않는다. 저자들은 한국인 전립선비대증 환자에서 PSA 촉진염기서열부위 유전자형을 가지고 dutasteride 투여 후 혈청 PSA 변화를 예측할 수 없었다. 그러나 하플로타입 분석에서 초기 PSA치와 통계적 연관성을 보인 점은 유전적 관련성에 대한 단서로 추정된다.

      • 트랙터의 농작업 부하를 활용한 변속기 스파이럴 베벨기어 수명평가

        박성운 忠南大學校 大學院 2019 국내박사

        RANK : 247631

        This study was performed to evaluate fatigue life of a transmission spiral bevel gear considering agricultural workload of 78 kW class tractor. A load measurement system for measuring load data was constructed. The field test were conducted to measure load data for each agricultural operation and region. Equivalent load and equivalent speed were calculated using measured torque and rotational speed measurements through field test. The integrated equivalent load was calculated by taking into consideration the ratio of usage by each operation. A simulation model of transmission spiral bevel gear was developed for gear strength analysis. Accelerated life test equipment was constructed for life evaluation of transmission spiral bevel gear. The load spectrum calculated using the measured data, and the load-life diagram and cumulative damage method were applied to obtain the fatigue life values. The tests were performed on three conditions: rated load condition, equivalent load condition of plow operation, and integrated equivalent load condition of total field operation. The results of each fatigue life were then compared and analyzed, and the specific results are as follows. 1. Analysis of tractor workload during major agricultural operations A load measurement system was configured on 78 kW class agricultural tractor for optimum design of transmission considering the actual workload. The user survey was conducted to assess their life expectancy considering various working conditions of domestic farming such as soil type and properties. The plow operation, rotary operation, baler and loader was selected as representative agricultural operations. In addition, the C-type working pattern, about 20 cm of operation depth, and the appropriate range of working speed (plow operation 5~10 km/h, rotary operation 2~3 km/h, and loader 4~5 km/h) were selected as main conditions for field test, and the load analysis process was developed using measurement data under these test conditions. 2. Development of integrated equivalent load according to operation type The measured load data through the field test were used equivalent load calculation program to produce equivalent load and equivalent speed acting on transmission spiral bevel gear for each major operation. For the same operation carried out in different areas, it was found tha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measured load depending on the soil conditions in each area. Finally, the equivalent load was calculated by applying the annual usage ratio of each operation obtained from the survey results of averaged annual usage of tractor for field operation. 3. Fatigue life evaluation of transmission spiral bevel gear The fatigue life of transmission spiral bevel gear was evaluated by three method; simulation, cumulative damage method, and accelerated life test. And Strength analysis was carried out under the conditions of rated load, equivalent load of plow operation and agriculture working integrated equivalent load of total field operation by standard ISO 10300-2 and ISO 10300-3. The simulation model of the transmission spiral bevel gear was developed using KISSsoft to analyze the strength and fatigue life of the gear by the integrated load of the agriculture operation. The results of fatigue life analysis by bending stress showed 151, 36,585 and 2,218,081 hours under the rated load condition, equivalent load condition of plow operation and integrated equivalent load condition of total field operation, respectively. An accelerated life test system was built to analyze the results of simulated lifetime analysis. The accelerated life test was carried out by selecting bending fatigue failure as failure mode using 3 sets of spiral bevel gears. The load of the actual agricultural workload was converted to the load spectrum by the rain-flow counting method. Based on the results of the accelerated life test, a load-lifetime diagram was created. The lifetime was calculated by applying the load-life diagram to the cumulative damage method and compared with the analysis results. The simulation model was verified by comparing it with the results from the accelerated life test. The simulation and cumulative damage method-based fatigue life results showed that the life expectancy of rated load and equivalent load of plow operation conditions was very similar, but the fatigue life results of the accelerated life test were somewhat deviated by the difference in failure time for each sample. Simulation life results and cumulative damage method based life time were found to be distributed within the life span of the accelerated life test results. Based on these results, it is expected that the fatigue life estimation using the simulation model and cumulative damage method will be possible in the design and development of the tractor transmission. For agricultural integrated equivalent loads, the life time of the simulation versus the life time of the cumulative damage method was 1.38 times greater. This was determined to have resulted in a difference in life expectancy by applying a load-life diagram lead prepared using the results of the accelerated life test to the cumulative damage method. Also, the bending fatigue life of the integrated load condition in the life estimation model based on the simulation and cumulative damage method showed more than 1,000,000 hours. These results indicate that the Service life is about 365 times longer than the Service life (2,736 hours) under the integrated equivalent load condition. Therefore, it is considered that the fatigue life evaluation method of the spiral bevel gear developed by this study can be useful in securing price competitiveness through design reliability and cost reduction of the power transmission of agricultural tractor. 본 연구는 78 kW급 트랙터의 농작업 부하를 활용한 변속기 스파이럴 베벨기어의 수명을 평가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작업 조건별 부하 데이터 수집을 위하여 부하 계측 시스템을 구축하고, 농작업 시험을 실시하여 작업별 및 지역별 부하 데이터를 수집하였다. 수집한 조건별 부하 데이터를 기반으로 등가 부하와 등가 속도를 산출하였으며, 작업별 사용비율을 고려하여 농작업 통합 등가 부하를 산출하였다. 변속기 스파이럴 베벨기어의 부하에 따른 강도 및 수명 예측을 위하여 시뮬레이션 모델을 개발하였다. 스파이럴 베벨기어 수명 시험 장치를 구성하고 가속 수명 시험을 진행하였다. 부하 데이터를 이용하여 작성된 부하 스펙트럼과 부하–수명 선도 및 누적 손상 이론을 적용하여 수명을 산출하였으며, 각각의 수명 결과를 비교 및 분석하였다. 그 구체적인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트랙터 부하 분석 프로세스 개발 실제 농작업 시 발생하는 동적 특성의 부하 데이터를 고려한 변속기의 최적 설계를 위해 78 kW급 농용 트랙터에 부하 계측 시스템을 구축하였다. 그리고 국내 다양한 작업 환경 조건을 고려한 수명평가를 위해 사용자 실태 조사를 실시하였다. 이를 통해 트랙터 주요 작업인 쟁기, 로타리, 베일러, 로더 작업을 대표 작업으로 선정하였다. 또한, 주요 농작업 시험 조건으로 C-type 작업 패턴, 작업 경심, 적정 작업 속도 범위(쟁기작업 5~10 km/h, 로타리 2~3 km/h, 로더 4~5 km/h)를 선정하여 체계적인 트랙터 농작업 부하 분석 프로세스를 개발하였다. 2. 트랙터 농작업에 따른 통합 등가 부하 개발 농작업 시험을 통해 수집된 부하 데이터는 수명 예측을 위하여 그 농작업을 대표할 수 있는 하나의 등가 부하로 산출하는 것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주요 작업별 변속기 스파이럴 베벨기어에 작용하는 등가 토크와 등가 속도를 계산하였다. 또한, 쟁기 및 로타리 작업과 같이 동일한 작업을 여러 지역에서 시험한 경우 지역별 토양 조건에 따라 계측된 데이터의 유의한 차이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최종적으로 농작업에 따른 통합 등가 부하는 농작업 종류에 따른 부하와 사용자 실태조사 결과로 얻어진 작업별 연간 사용비율을 적용하여 계산되었다. 3. 트랙터 변속기 스파이럴 베벨기어 수명평가 트랙터 변속기 스파이럴 베벨기어의 수명평가는 동력계를 이용한 가속 수명 시험, 시뮬레이션 모델을 이용한 해석, 누적 손상 이론 기반 수명 분석에 대해 각각 수행하였다. 이때, 부하 조건은 정격 부하 조건, 쟁기 작업 등가 부하 조건, 농작업 통합 등가 부하 조건으로 선정하였다. 시뮬레이션 모델을 통한 스파이럴 베벨기어의 수명은 정격 부하, 쟁기 작업 등가 부하, 농작업 통합 등가 부하 조건에서 151, 36,585, 2,218,081 시간으로 나타났다. 가속 수명 시험을 통한 수명평가는 스파이럴 베벨기어 3 set를 대상으로 수행하였으며 정격 부하, 쟁기 작업 등가 부하, 농작업 통합 등가 부하 조건에서 각각 123~273, 26,330~58,453, 1,156,049~2,566,429 시간으로 나타났다. 누적 손상 이론을 통한 스파이럴 베벨기어의 수명은 정격 부하, 쟁기 작업 등가 부하, 농작업 통합 등가 부하 조건에서 각각 177, 36,750, 1,605,591 시간으로 나타났다. 모든 부하 조건에서 시뮬레이션을 통한 수명평가 결과와 누적손상이론을 통한 수명평가 결과는 가속 수명 시험을 통해 나타난 수명평가 결과의 최소-최대 범위 이내에 분포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모든 수명평가 방법에서 통합 부하 조건의 굽힘 피로 수명은 모두 100만 시간 이상의 결과를 보였으며, 이는 Service life (2,736 시간)의 약 365배의 내구 수명을 갖는다고 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가속 수명 시험, 시뮬레이션 해석, 누적 손상 이론 기반 수명 분석에 대하여 수명평가를 수행하였으며, 모든 평가 방법에서 정격 부하 조건이 가장 가혹한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실제 농작업 부하를 고려한 등가 부하 조건과 기존 설계 기준인 정격 조건에서의 수명 값이 큰 차이를 나타내므로 실제 농작업 부하 조건을 고려한 트랙터 변속기의 최적 설계가 필요함을 알 수 있다.

      • 반응적 에이전트 프레임워크 패턴 언어

        박성운 서강대학교 대학원 2002 국내석사

        RANK : 247631

        최근 몇 년간 소프트웨어 에이전트가 소프트웨어 공학의 새로운 추상화 단위로서 연구되고 있다. 자율성, 적응성, 협력성 등의 속성을 갖는 에이전트는 특히 분산 시스템, 오픈 시스템, 복잡한(complex) 시스템 등의 영역에서 시스템을 구성하는 새로운 추상화 단위로서 이해되고 있다. 그러나 에이전트에 관한 개념과 특성에 관한 연구가 꾸준히 진행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에이전트 패러다임을 위함 프로그래밍 언어의 실용화는 요원한 상태이다. 이는 에이전트가 갖는 속성이 문제 영역별로 매우 다양해서 이러한 모든 속성을 공통으로 만족시키는 구현 방법 대한 공통된 의견이 도출되지 못하고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현실에서 프로그래밍 언어보다 한 단계 상위 계층에 존재하는 프레임워크를 통한 에이전트 개발은 보다 현실적인 대안으로 받아들여지고 있다. 그러나 에이전트 프레임워크를 개발하기 위한 많은 기술들은 개발자간에 공유되고 있지 않아서 동일한 시행착오를 반복하는 경우가 많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문제의 해결책으로 객체지향 기술에서 주로 사용되는 패턴 언어를 사용함으로서, 에이전트 프레임워크 개발의 경험과 지식을 개발자간에 공유하고자 한다. 이러한 간접경험의 증가는 반복해서 발생하는 시행착오를 감소시킴으로서 개발자들이 보다 본질적인 문제에 집중할 수 있도록 도와준다. 이는 결국 고품질의 에이전트 프레임워크 개발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Recently software agent has studied as new abstraction unit of software engineering. It is recognized new abstraction unit especially distributed system, open system, and complex system. Nevertheless research of agents has been ongoing, the realization of agent programming language seems to be far distant. Because the properties of agent is diverse, the researchers disagree each other. In this situation, software agent framework is accepted more realistic alternative solution. However the technologies of its development has not owned each other. So they are doing the same try and error. This paper propose the reactive agent framework pattern language. It encourages co-ownership of experience for agent framework development. The increase of such an indirect experience could decrease the same try and error. So agent framework developers are able to concentrate more essential problem. Finally quality of software agent framework might be rise.

      • 홍무제(洪武帝)의 정치적 유산의 활용 양상에 대한 연구 : 가정(嘉靖) 연간 안남(安南) 정벌 논쟁을 중심으로

        박성운 서울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7631

        이 글의 목적은 명 태조 홍무제(1328-1398)의 정치적 유산이 후대 역사의 중요한 국면에서 어떻게 활용되었는가를 검토하는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그가 남긴 대외정책의 유산들 – 『황명조훈(皇明祖訓)』의 부정지국(不征之國) 논의로 대표되는 불간섭의 외교 원칙, 이웃한 국가들을 다루었던 그의 직접적인 대외정책의 선례들 등 – 이 16세기 전반 명의 주요 정치행위자들에 의해서 어떻게 기억되고, 해석되었으며, 종국에는 각자의 정치적 목적에 봉사하기 위하여 전유되었는지 살펴본다. 16세기 초 가정 연간에 안남의 권신(權臣)이었던 막등용(c. 1483-1541)이 반란을 일으켜 안남의 여씨(黎氏) 왕조를 몰아내는 사태가 벌어진다. 막등용은 명 황제가 책봉한 안남의 국왕에게 반기를 들었다는 점에서, 이는 명 황제가 부과한 국제질서에 대한 중대한 도전으로 간주되었다. 따라서 당시 명 조정에서는 막등용을 처벌하기 위한 전쟁을 일으킬 것인지에 관해 첨예한 논쟁이 진행된다. 당시 전쟁에 반대하던 사람들은, 홍무제 유훈에 대한 ‘축자적 해석’을 강조하였다. 이들은 명 태조가 이웃한 주요 국가들을 부정지국으로 지정하면서 불간섭의 외교정책을 왕조 운영의 항구적인 원칙으로 내세운 한, 후대의 황제들 또한 이러한 원칙을 문자 그대로 충실히 따라야 한다고 보았다. 반면 전쟁의 찬성론자들은 홍무제 유훈에 대해 보다 ‘유연한 해석’을 시도한다. 이들이 보기에, 16세기 당시의 상황은 14세기에 홍무제가 불간섭의 대외정책을 표방하였던 시기의 상황과는 전혀 달랐으며, 따라서 맹목적으로 그의 유훈에만 얽매일 수는 없었다. 이들은 당시의 변화된 시대 상황에 맞추어 홍무제의 유훈을 보다 탄력적으로 해석하고자 하였으며, 이를 통해 16세기 전반에 안남과 전쟁을 벌이는 일이 홍무제의 유훈과 결코 근본적으로 상충하는 것이 아님을 드러내 보이고자 하였다. 당시의 찬반 논쟁을 재구성함에 있어서, 다른 무엇보다도 홍무제의 대(對) 안남 정책뿐만 아니라 대(對) 한반도 정책 또한 정책결정을 위한 중요한 참고지점으로 거론되었다는 사실이 강조될 필요가 있다. 가정 연간의 사람들이 보기에, 16세기 막등용의 반란 사건은 14세기 후반에 한반도에서 벌어진 고려-조선의 왕조 교체 사건과 본질적으로 같은 것이었다 따라서 당시 전쟁에 반대하였던 사람들은, 홍무제가 막등용과 유사한 반란사태를 일으켰던 이성계(1335-1408)에 대해서도 전쟁을 벌이지 않았으며, 오히려 조선 또한 부정지국으로 지정하기까지 하였다는 점을 강조하면서, 가정제 또한 이러한 홍무제의 선례를 따라 당시 안남의 사태에 개입하지 않을 것을 주장하였다. 반면 전쟁에 찬성한 사람들은, 홍무 연간의 이성계 사태와 가정 연간의 막등용 사태의 차별성을 부각하면서, 14세기 홍무제의 역사적 선례에서 통용되었던 외교원칙이 16세기 안남의 상황에 단순하게 적용될 수 없음을 강변하였다. 이러한 복잡한 정책결정의 과정을 이해하기 위하여서는, 16세기의 정책 결정자들이 그러하였던 것처럼, 필자는 중국, 베트남, 한국을 아우르는 다자적인 분석틀을 가지고서 해당 사안에 접근할 필요가 있음을 강조하고자 한다. 즉 중월 관계를 연구하는 이들은 명의 대(對) 안남 정책에 집중하고, 한중 관계를 연구하는 이들은 명의 대(對) 한반도 정책에 집중하는 현재와 같은 분절적 연구지형 하에서는, 대(對) 안남 정책과 대(對) 한반도 정책이 교차하고 중첩되는 영역을 제대로 탐구할 수 없으며, 최종적으로 16세기의 복합적인 대외관계의 실상을 제대로 파악할 수 없게 된다. 명 당대의 정책결정자들은 ‘명-안남-조선’의 다자적 구도 속에서 보다 종합적이고 유연하게 사고하였으며, 그 대표적 예시가 바로 홍무 연간의 대(對) 한반도 정책을 통해 가정 연간의 대(對) 안남 정책을 반추하고 논의하였던 사건이라고 할 수 있다. 본고의 분석에서 필자가 채택하고자하는 것은 일국사(national history)의 경계를 넘어서는 초국가적인(trans-national) 접근방법, 다시 말해 ‘명-안남-조선’을 아우르는 범-동아시아적인 접근방법이라고 할 수 있다. In this article, I will analyze a historical use of the political legacy of the Hongwu Emperor(1328–1398), the founding emperor of Ming dynasty. To be specific, I will examine how the foreign policy legacy of the Hongwu Emperor – his principle of noninterventionist foreign policy inscribed in the Huang Ming zuxun (The August Ming Ancestral Instruction) and in his policy precedents dealing with neighboring countries – was interpreted, appropriated, and challenged in Ming court in the first half of the sixteenth century. At that time, the Jiajing Emperor (1507–1567) took note of the fact that the Vietnamese minister Mac Dang Dung (1483–1541) rebelled against his king. This posed a serious challenge to Ming China because he usurped the throne recognized by the Chinese emperor. The Ming court was divided into two camps with respect to whether to raise an army to punish him for his crime. On the one hand, those who opposed war supported a ‘literal interpretation’ of the Hongwu Emperor’s injunction, arguing that as long as the founding emperor documented the noninterventionist policy toward both Korea and Vietnam as an unchanging principle of Ming foreign policy, the Jiajing Emperor had to follow suit. On the other hand, the pro-war advocates attempted to establish a more ‘flexible interpretation’ of his political legacy. They pointed out that because the sixteenth-century situation differed significantly from that of the fourteenth century, during which the Ming founder outlined his noninterventionist policy toward both Korea and Vietnam, a flexible interpretation of his injunction was appropriate. It should be importantly noted that not only the Hongwu Emperor’s foreign policy toward Vietnam but also his policy toward Korea was a crucial reference in the formation of the sixteenth-century foreign policy toward Vietnam. As people during Jiajing’s reign saw it, Mac Dang Dung’s usurpation of the Vietnamese throne was similar in nature to the dynastic change that took place in late fourteenth-century Korea. To better understand this complex policy-making process, we need a multilateral framework that encompasses Ming China, Vietnam, and Korea, just as the policy makers of the mid-Ming court did. However, most prior studies on this issue tend to focus solely on bilateral relations, analyzing the Sino-Vietnamese and Sino-Korean relationships separately. This bilateral approach fails to capture the complex multilateral reality of sixteenth-century East Asia.

      • EVMS를 활용한 건축 프로젝트 실적 관리 시스템구축에 대한 연구

        박성운 한양대학교 공학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631

        건설 프로젝트 성공요소 중 비용과 일정은 객관적인 평가가 가능하며, 통합 관리함으로써 효율성을 높일 수 있으나, 국내 건설 현장에서는 이를 개별적으로 관리해왔고 객관적인 성과측정의 기준 역시 미흡하였다. 때문에, 투입 비용과 기간에 대한 예측 및 문제점을 사전에 파악하여 적정하게 조치 할 수 있는 체계가 미흡하였다. 이에 정부는 1999년 “공공건설사업 효율화 종합대책”을 발표하였다. 이후 국내 건설사업 효율화 방안의 일환으로 통합된 관리기준 상에서 단위 관리항목을 중심으로 계획 대비 실적측정을 통해 공정-공사비 실적치를 측정, 분석, 예측하는 관리체계인 EVMS(Earned Value Management System)를 적용하기 위한 연구와 시도가 지속되어 왔다. 그러나 일정, 비용에 대한 관리가 결과 중심적인 관리 행태에 의존하고, 서로 다른 관리 목적에 의해 일정과 비용이 개별 관리되고 있어 EVMS를 완벽하게 도입하여 본래의 목적에 맞게 운영하고 있는 현장은 거의 없다. 본 논문에서는 관련 문헌 조사를 통해 국내 건설 현장에 EVMS 적용할 때의 문제점과 개선방향을 파악하고, 이러한 개선 방향을 적용한 EVMS 실무적용 프로세스 모델을 제안하고, 이를 활용한 실적관리 시스템을 제안하고자 한다.

      • 폐결핵환자에서 당뇨병의 유무와 조절상태에 따른 임상적 특징과 2개월 배양 양성율

        박성운 중앙대학교 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631

        목적: 결핵의 치료결과나 임상경과에 대해 당뇨병이 미치는 영향에 대한 많은 연구들이 이루어져 왔지만 그 결과에 있어서 서로 상충되는 경우가 많았다. 이러한 일관적이지 못한 결과들이 당뇨병의 조절 정도와 관련 있다고 가정할 수 있으며, 본 연구에서는 폐결핵환자에서 혈당의 조절 정도가 임상양상, 방사선학적 소견과 2개월 배양 양성율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2005년 1월부터 2008년 12월까지 새롭게 폐결핵으로 진단되어 항결핵 치료를 시작한 환자 군을 대상으로 후향적으로 연구하였으며, 최종적으로 373명의 환자가 본 연구의 대상 군으로 확정되었다. 373명의 환자 중 당뇨병으로 진단된 환자는 87명으로(23.3%) 그 중 당화혈색소 검사를 시행한 환자는 73명이었으며(84%) 58명이(79.5%) 조절되지 않는 당뇨병군이었으며(당화혈색소>=7.0%), 15명(20.5%)이 조절된 당뇨병군으로서(당화혈색소<7.0%) 대상 군의 임상양상, 흉부 방사선학적 소견, 2개월 배양 양성률을 살펴보았다. 결과: 1) 증상의 기간과 6가지 임상증상 모두에서 당뇨병의 유무와 조절 정도에 따른 통계적으로 의미 있는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2) 흉부 방사선학적 소견에서는 당뇨병환자에서 비 당뇨병환자에 비해 하엽 침범이 더 흔하지 않았으나 다발성 침범의 경우와 공동을 형성하는 경우가 당뇨병 환자에서 통계적으로 의미 있게 많았으며 도말 양성율도 높았으며 조절되지 않는 당뇨병에서 더 의미 있게 차이가 났다. 3) 2개월째 배양 검사 결과에서는 당뇨병 환자-특히 조절되지 않은 당뇨병 환자에서 비당뇨군에 비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배양 양성율이 높게 나왔다. 결론: 특히 조절되지 않는 당뇨병 환자에서 결핵이 발생하면 그 치료 경과관찰에 주의를 요하며 치료 연장 유무에 대해서도 충분한 고려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Background: I hypothesize that mixed result might be due to the control status of DM. However, with regard to the possible effects of DM according to control state on the presentation and outcome, recent data are scarce. Aim of study: The present study aimed to determine whether DM impact on the clinical, radiographic manifestations and 2 months culture conversion rate depend on the controlled status of DM. Methods: This retrospective study was conducted at Chung-Ang university Hospital and Yong San hospital in South Korea. Patients was included all new culture-confirmed pulmonary TB patients who were started anti-TB medication between January 2005 and December 2008. 373 patients were included in this study. Of 373 patients, DM was diagnosed in 87 patients (23.3%). Of 87 patients, 58 (66.7%) were uncontrolled state (HbA1C>= 7.0), 16 (18.4%) were controlled state (HbA1C<7.0) and remaining 13 patients (14.9%) did not check hbA1C. Results: 1) At DM and nonDM group and include DM control state, there’s no difference on clinical symptoms in two groups. 2) In radiological finding, multilobe involvement and cavity was larger in DM patients. And also smear positivity, there was show a statistically significant correlation. These findings show remarkable in uncontrolled DM patients. 3) Sputum culture positive rate at 2 months was, non-DM patients was 8.6% (11/128), DM-patients was 19.6% (9/46). There was show a statistically significant correlation. Among the 46 DM patients - by control state, controlled DM-patients was 9.1% (1/11) positive culture conversion rate, there was not show a statistically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non-DM patients. (p=0.96). But, uncontrolled DM patients did show 25.0% (8/32) positive culture conversion rate, there was show a statistically significant correlation (p=0.010). Conclusion: If uncontrolled DM patients occur pulmonary tuberculosis, we must require attention to treatment and follow-up, and consider to treatment extension.

      • 글로벌 분산투자와 환위험 헤징에 관한 실증연구 : G7국가와 BRIC국가를 중심으로

        박성운 부산대학교 2011 국내석사

        RANK : 247631

        This study analyzes the global diversification, foreign exchange hedging rate, and portfolio investment strategies, focused on G7 and BRIC countries. Firstly, in spite of their greater risk, the Sharpe rate of developing countries is much higher than that of the developed countries, implying that developing countries are still attractive to market participants and academics. Secondly, the exchange rate shows a negative correlation with stock returns during the global financial crisis period, the hedging strategy of foreign exchange rates provides worse investment performance for market participants. Lastly, this study constructs four portfolios by different investment strategies and compares their investment performance. It is difficult to say which investment strategy is the best one for investors, there for it depends on the degree of individual's risk aversion.

      • 열전소자의 Seebeck Effect를 이용한 Hybrid PV 패널 발전 시스템

        박성운 부산대학교 2012 국내석사

        RANK : 247631

        Photoreceptor existing methods using solar tracking and solar tracking system to calculate the orbit of the way the trek is mainly used in two ways. Photoreceptor according to the weather conditions and environmental factors, many orbit calculations malfunction in the early development of the panel due to the installation angle errors are less efficient. In this paper, the combination of these two treks, each by a different cycle to the cause as a hybrid trekking and trekking in the error correction operation by controlling the removable power can be greatly reduced in the hybrid power system is proposed. In the development of PV panels and small ways to improve the efficiency of thermoelectric devices for the PV panel temperature changes according to the generation of PV panels are investigat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