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공유 인증키 기반 스트리밍 콘텐츠 보안기법에 관한 연구

        박상현 연세대학교 공학대학원 2006 국내석사

        RANK : 247663

        통신 인프라의 비약적인 성장으로 웹환경 스트리밍 콘텐츠는 인터넷 방송에서 교육, 영화에 이르기까지 기하급수적으로 성장하고 있다. 그러나 콘텐츠의 불법 유통 및 해킹, 복제로 인해 콘텐츠 저작권이 위협받고 있다.본 논문에서는 VOD(Video On Demand)와 Live환경에서 스트리밍 콘텐츠의 불법사용자를 효과적으로 방어할 수 있는 보안기법을 제안한다. 보안기법 설계 및 구현을 위해 Microsoft Windows Media Server를 활용하였으며 해킹 시뮬레이션을 통해 보안기법을 평가하였다. 제안 보안기법은 스트리밍 콘텐츠 URL 해킹과 레코딩을 방지하여 회원ID 유출에 따른 네트워크 트래픽 증가와 콘텐츠 불법복제를 효과적으로 방지해 주는 것으로 시뮬레이션 결과 확인 되었다. 또한 보안기능 적용시, 미적용시에 비해 콘텐츠 서버에서 보안인증에 추가소요 시간이 경미한 것으로 실험결과 확인되어 콘텐츠 서버 운영에 문제가 없는 것으로 파악되었다.제안 보안기법은 스트리밍 콘텐츠가 저작권이 보호된 환경에서 서비스될 수 있으며 서비스를 제공하는 측에서 사용자측으로 안정적인 전송서비스를 보장해 줄 수 있을 것이다. Web-based streaming contents are rapidly expanding from Internet broadcast up to education and film thanks to swift growth of communication infrastructure. However, contents copyright is being threatened by illegal distribution, hacking and copying of contents.In this paper, a security method is presented which can effectively protect streaming contents from illegal users based on VOD(Video On Demand) and Live streaming environment. Microsoft WMS(Windows Media Server) was used for design and realization of security method and the method was evaluated through hacking simulation. The simulation proved that the suggested security method prevent network traffic increase due to member ID leakage through preventing URL hacking and recording for streaming contents. And simulation confirmed that applying security function doesn’t cause any problem in operating contents server, as the time required for security authentication is very short.The suggested security method will guarantee streaming contents supply in copyright-protected environment and stable transmission service from service provider to users.

      • 재생디자인적 관점을 적용한 한옥의 재구축 디자인 방법에 관한 연구

        박상현 건국대학교 건축전문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647

        최근 정부의 지원과 전통문화의 재조명을 통한 현대적 가치의 재발견이 다양한 분야에서 전개되어지면서 한옥 또한 주된 관심의 대상으로 주목받고 있다. 이러한 한옥을 바라보는 다양한 관점들 중 기존의 문화재 보존이라는 소극적인 접근이 아닌 한옥이라는 건축공간이 현대사회에 적합한 형태와 기능을 담아낼 수 있도록 하는 새로운 공간디자인적 접근의 필요성이 높아지고 있다. 이러한 시대적 패러다임을 반영한 한옥의 새로운 공간디자인 방법론 중 본 연구에서는 ‘재생디자인’이라는 관점에서 접근함을 그 목적으로 한다. 21세기에 들어오면서 유럽과 일본 등을 중심으로 활발한 논의와 실행이 이루어지고 있는 재생디자인은 사용하지 않는 건물이나 효율성이 떨어지는 건물에 새로운 이용목적과 방법을 적용하여 건물의 계속적인 활용(adaptive use)을 가능하게 하는 하드웨어적인 부분에서의 디자인 수법이라고 할 수 있다. 그러한 의미로 역사적, 건축적, 공간적으로 매우 중요한 건축 활동이라고 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재생디자인의 방법적 특성에 입각하여 크게 재생의 유형을 맥락적 재생과 이미지적 재생으로 분류하고 기존의 근대 건축물들의 재생 사례의 방법적 분석을 통해 각각의 사례에서 사용되어진 공간적, 구조적, 재료적, 의장적인 세부수법들을 도출하여 구체적인 재생디자인의 수법들을 분석하였다. 여기서 얻어진 디자인 수법들을 기반으로 최근에 이루어진 한옥들의 재생 사례를 대상으로 한옥이 갖는 건축적, 공간적 특성들이 어떠한 수법을 통해 재구축 되어 지고 있는지를 고찰하였다. 이상의 분석과 고찰의 결과 한옥의 재구축에 있어서는 근소하지만 이미지적 재생디자인 수법의 비중이 전반적으로 높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한옥의 재구축을 진행함에 있어서 여전히 외관과 같은 조형적 요소의 이미지를 중시하여 재구축되어지고 있음을 알 수 있었으며 한편으로 내부공간의 질적인 변화에 대한 접근도 일부 보이기 시작함을 알 수 있었다. 향후 외관적 이미지뿐 만아니라 한옥의 내부공간의 질적인 변화에 있어서도 보다 심도 있는 접근이 이루어져 외부와 내부의 통합적인 계획이 이루어질 필요가 있으며 그러한 방법론적 접근이 보다 효율적인 한옥의 재생과 활용을 촉진시켜 나아가는데 적절하리라 판단된다. 이러한 재생디자인적 접근은 한옥이 현대라는 시점에 있어서 새로운 건축적, 공간적 가치를 발휘하기 위한 초석이 될 수 있으리라고 생각된다. In recent, as rediscovery of the modern value is developed through the support by the government and the reinterpretation of the traditional culture, a Korean-style house also becomes an object of interest. Among these various viewpoints to see the Korean-style house, the necessity of a new spatial design approach to contain the types and functions of the architectural space of the Korean-style house appropriate to the modern society is raised which is not a passive approach to preserve the existing cultural assets. Out of the methods of the new spatial design of the Korean-style house which reflect the paradigm of the times, this study has the purpose to make an approach from the viewpoint of 'recycle design'. As the 21st century started, the recycle design whose active discussion and performance is made largely by Europe and Japan can be called a design method in the hardware part which enables continuous adaptive use of a building by applying a new use purpose and method to a building which doesn't use the recycle design or has low efficiency. In that meaning, it can be considered to be a very important architectural activity historically, architecturally and spatially. Based on the methodological characteristics of the recycle design, this study largely divides the types of recycle into coherent recycle and imagery recycle and deducts detailed methods of space, construction and material and wardrobe used for each case to analyze the methods of concrete recycle design through the methodological analysis of recycle cases of the existing modern buildings. For the objects of recycle cases of the Korean-style houses made recently based on the design methods acquired here, it was examined how the architectural and spatial characteristics of the Korean-style houses can be reconstructed through what kind of methods. As a result of the above analysis and examination, the importance of the imaginary recycle design method is a little higher in part of the reconstruction of the Korean-style house. In the progress of reconstruction of the Korean-style house through this result, it was found that reconstruction is made still focusing the image of formative factors such as appearance and on the other hand, the approach to the qualitative changes of the interior space started being seen. It is necessary that in the future, an inside and outside integrated method will be created through more deep approach in not only image but also the qualitative changes of the inside space of the Korean-house style and it is judged that the methodological approach is appropriate to promote the recycle and utilization of more efficient Korean-style house. The approach of the recycle design is considered to be a cornerstone to show a new architectural and spatial value in the viewpoint of the Korean-style house's existence in modern times.

      • 성년후견제도와 사회복지제도의 연계방안에 관한 연구

        박상현 목포대학교 2016 국내석사

        RANK : 247631

        과거 우리 민법은 금치산·한정치산제도를 통하여 정신적 제약이 있다는 이유로 이들을 보호하기보다는 거래의 안전을 이유로 행위능력을 제한하였다. ‘금치산’, ‘한정치산’과 같은 부정적 용어의 사용과 과도한 행위능력제한은 피후견인을 사회적 낙오자로 공인하여 본인과 가족들의 명예를 해치고 피후견인을 사회에서 완전히 고립시키는 결과를 야기하였다. 이러한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새로운 법제도의 필요성이 꾸준히 제기되었고, 2011년 2월 18일 성년후견제도의 도입을 위한 민법개정안이 국회를 통과하였고, 2013년 7월 1일 성년후견제도가 시행되었다. 자기결정권의 존중과 잔존능력의 활용, 정상화의 원칙이 주요이념인 이 제도는 요보호자의 정신능력 정도에 따라 성년후견, 한정후견, 특정후견으로 구분하여 행위능력의 제한을 차별화하는 한편 법원의 판단에 따라 그 내용을 탄력적으로 운영할 수 있도록 정하고 있다. 특히 미래의 판단능력이 감퇴할 것을 대비하여 후견의 내용 및 방법을 미리 정해둘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전적인 조치로서의 의미가 있다. 또한 중요한 점은 기존의 재산관리에만 치중하였던 후견인 제도가 신상후견이라는 의사결정에 관한 지원을 도입하였다. 성년후견제도는 본인의 의사와 잔존능력을 최대한 존중하고, 치료와 요양 등 복지영역까지 확대되었다. 이렇듯 고령화사회, 복지국가에 부합하는 새로운 성년후견제도의 도입은 장애인, 고령자 등의 사회적 약자에 대한 권리보호에 상당한 기여를 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따라서 성년후견제도는 민법상의 제도적 변화이지만 사회복지 기능을 중심으로 하는 매우 중요한 제도임을 알 수 있다. 그러나 민법은 기본적인 제도의 틀만 제시하고 있을 뿐 이에 대한 구체적인 실천을 위한 지원방안을 마련하고 있지 못하는 실정이다. 특히 취약계층 및 복지사각지대에 있는 사람들에 대한 지원은 매우 부족한 실정이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성년후견제도의 시행에 관한 사회복지적 측면의 연구로서 장애인거주시설 및 노인요양원 종사자들을 대상으로 성년후견제도를 어떻게 인식하고 있는지에 대한 설문조사를 하여 성년후견제도의 인식과 실태를 파악하고, 성년후견서비스의 시행방안에 관한 사회복지적 측면의 연구로서 사회복지의 기능과 연계점, 관련 사회복지법을 통해 개정을 검토하고 지원방안을 제시하였다. 먼저, 사회복지적 성년후견제도의 지원방안으로는 의사능력이 취약한 자의 자기결정권을 보장해주는데 있다. 방법으로는 피후견인의 의사표현을 이해할 수 있는 구체적인 의사결정능력의 판단체계가 필요하다. 그러나 정신적 장애를 가진 사람의 의사를 파악하는 것은 장애의 정도에 따라 상당한 어려움이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따라서 피후견인이 의사표시를 할 수 있는 도구나 의사소통의 전문인력을 양성할 필요가 있다. 또한 의사결정의 대행으로써 치료시설의 입소·퇴소의 동의 문제와 의료적 침습의 동의, 주거에 관한 결정의 동의가 문제가 되는데, 신상보호제도의 도입에 있어 사회복지사 중심의 신상보호 서비스를 실시하고 신상보호의 내용 및 범위의 규정방식, 신상보호의 내용 및 예외규정사항 등을 명시하도록 하며, 신상보호의 주요 내용으로서 일상생활 유지에 관한 사항으로 주택시설, 복지요양서비스의 이용, 복지시설의 생활, 의료에 관한 사항, 교육, 노동, 여가활동 등을 성년후견인의 직무범위에 포함시키는 방안이 필요하다. 다음으로 성년후견제도와 사회복지제도의 연계방안에 관한 제도적인 노력이 필요하다. 첫째, 국가차원에서의 연계방안으로는 각 사회복지정책을 추진하는 부처간의 정책연계를 통한 업무의 표준화 및 효율성을 증대시키는 사회보장정보시스템을 운영할 필요가 있다. 이는 이중지원의 방지 및 구제가 필요한 사람이 발생한 경우 신속하게 각 부처가 정보를 연계하여 처리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하는 것이다. 그리고 공적지원제도를 도입하여 저소득층 및 취약계층의 후견비용부담을 완화시키는 역할을 하게하고 현재는 법원에서 후견에 관한 사항을 담당하고 있지만, 이는 심판에 관한 사항만을 담당하게 하고 후견업무에 관한 국가전담기구를 설치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그리고 후견업무 중에 발생할 수 있는 범죄행위에 대하여 책임보험제의 도입이나 신탁제도, 이중감독체제를 도입하여 사전에 예방하는 방안이 필요하다. 둘째, 지방자치단체에서의 연계방안으로 “성년후견제도의 지원에 관한 조례를 제정하는 것이다. 지역사회복지에서 성년후견제도가 원활하게 작동하기 위해서는 지방자치단체가 주도적으로 복지수준을 향상시켜야 하는데, 이는 근거법령의 제정이 뒷받침되어야 할 것이다. 셋째, 지역사회복지의 연계방안으로 각 복지단체는 각각의 네트워크를 구축하여 적절한 업무분담과 역할수행을 통해 각자에게 주어진 역할을 충실히 할 필요가 있다. 또한 민간기관의 사회복지사, 특수교사, 기타 직종에 종사하는 직원들의 성년후견제도에 대한 기본적인 이해와 함께 유기적인 협력과 협업이 필요하다. 또한 성년후견지원센터를 설립하여 후견인의 양성 및 교육, 후견인의 사무상담 및 정보제공, 그리고 실비지급행정업무를 담당하게 하여야 한다. 이상의 내용에 대한 결론으로서 성년후견제도의 개정·보완이 필요하다는 점을 강조하고 제도이용자에 대한 이용권보장과 본인의 욕구 내지 권리에 따라 충분한 서비스를 적절하게 제공받을 수 있도록 하는 제도적 지원방안의 마련이 시급하다는 점이다. 성년후견제도가 자기결정권 존중 및 잔존능력의 활용이라는 면에서 높이 평가받을 만 하다. 그러나 제도 도입 시부터 문제가 되었던 내용들을 해결하지 않고 법을 제정하는데 치중하는 나머지 제도가 유명무실해지는 사례들이 나타나고 있고, 결과적으로 제도인식에 부정적인 결과를 초래하게 될 수 있다. 그렇기 때문에 국가 및 지방자치단체, 민간기관들의 연계를 통한 실천이 중요하다. 성년후견제도는 정신적 제약을 가진 노인과 장애인뿐만 아니라 이 제도를 향후 이용할 수 있는 우리 모두의 복리를 위한 제도임을 명심하고, 성년후견제도의 문제점과 향후 과제에 대해 끊임없이 개선하고 보완하여 이 제도가 우리사회에 성공적으로 정착되고 널리 활용될 수 있도록 노력하여야 한다. Korean civil law limits legal capacity of wards using incompetency and quasi-incompetence system on the basis of their mental incompetency, rather than protecting them. Using negative words such as ‘incompetency’ or ‘quasi-incompetence’ and excessively limiting on legal capacity have resulted in defamation of wards and their families and complete isolation of wards from the society by officially recognizing them as social outcasts. The necessity to address such problems had been consistently brought up, and, on 2/18/2011, a civil law amendment for the introduction of adult guardianship system was passed and the system was gone into effect as of 7/1/2013. Principal ideas of this system are respect for autonomy, utilization of remaining capacity, and principle of normalization; it classifies limitations of actions as adult guardianship, limited guardianship, and specific guardianship depending on the mental capacity of person requiring protection while leaving room for flexibility for court judgment. Especially, it has a function of prior action as it allows to set the contents of methods of guardianship in advance, in preparation of deteriorating judgment. Another important point is that while the previous guardianship was only focused on property management, the new version adopted personal support, a support of decision making, as well. Adult guardianship respects the autonomy and remaining capacity as much as possible and has been extended to the realm of welfare such as therapy and treatment. Introduction of this new system which suits for an aging society and a welfare state is expected to contribute immensely to protecting the rights of socially disadvantaged people including the handicapped and seniors. Thus, while majority guardianship is a systematic change in civil law, it can also be seen as a very important system whose core function is that of social welfare. However, civil law merely suggests the basic frame of the system, failing to come up with a way to set up a specific action plan. Especially, the support for socially disadvantaged class and people in the blind spot is critically lacking. To address this problem, this paper will recognize the awareness and reality of majority guardianship system through surveys given to employees at the disabled residential facilities and elderly nursing homes, examine its connection to the function of social welfare to the practice of majority guardianship and, lastly, suggest a support plan. The first support plan for social welfare majority guardianship is to guarantee the autonomy of those with limited mental capacity. To do so, there must be a judgment system of decision-making ability of ward with which a guardian can understand the expression of the will of the ward. However, it must be very challenging to understand the intention of the person with limited mental capacity depending on the severity of the disability. Therefore, there is the need to come up with instruments to facilitate the communication or to train communication professionals. Also, to address the problem of guardian’s action as a proxy when it comes to entering and leaving of medical facilities, agreeing on medical treatment, and agreeing on the decision of dwelling, there must be a measure to provide protection services with requirement to clarify its rules of content, extent and exceptional regulation subject and to include the use of social welfare service, livelihood in welfare facility, medical service, education, labor, and leisure activity as a part of the protection service. Also, there must be an institutional effort to connect majority guardianship system to social welfare system. First of all, at governmental level, the government should run a social security information system which can standardize the tasks and magnify the effectiveness through the cooperation of different departments related to social welfare system. Secondly suggestion is to set the ordinance on the majority guardianship with cooperation with local governments. For this system to actually work at a local level, local governments must play a leading role in raising the quality of welfare system, yet this can happen when relevant statutory provisions back them up. Thirdly, as a means of cooperating with local social welfare, each welfare group should set its own network and faithfully fulfill its duties through proper allocation of tasks and role performance. In addition, social worker, special instructor and other related employees working for civilian department should have basic understanding of majority guardianship system and eager to cooperate organically. Also, majority guardianship center should be established so that it can deal with tasks such as training, providing consultation, allocation of actual expenses to guardians. In conclusion, a need for revision and complementary measures for majority guardianship system is emphasized and a systematic plan to support all parties using the system in terms of assuring the rights to use it and to get enough service is urgent. The system itself is worth having a high praise, for it makes use of respect of autonomy and remaining capacity. However, because the problems raised since the introduction of the system have not addressed yet and it was more focused on its mere enactment, as a result, we see cases that makes the system appear to be merely nominal, hence negative effect on the awareness of the system. Therefore, the practice through the cooperation among government, local governments, and civilian departments are very important. We should keep in mind that majority guardianship system is an institution not only for senior citizens and the disabled with limited mental capacity, but also for all of us who might get to profit from it in the future, and thus make constant efforts to improve the system so that it can be established and widely used throughout the society.

      • BASIN/HSPF와 RCP 시나리오를 이용한 기온변화에 따른 하천 유량 산정 예측방법에 관한 연구

        박상현 공주대학교 일반대학원 2021 국내박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기온 변화에 따른 하천의 미래유량을 산정하는 방법에 관한 연구로써 회귀식을 이용하여 기온 변화가 실측유량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회귀식을 직접 도출하는 방법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그러나 현재 하천 유량의 실측되는 횟수는 환경부 국가측정망에서 월 4회 측정되고 있고, 기온은 매일 매 시간 측정되고 있어, 실측 유량 자료가 부족하였다. 그로 인하여 BASIN 및 HSPF 프로그램으로 2017년 유역 모델을 구축하고, 산정된 유량을 검·보정 하였다. 그리고 모델을 이용하여 예측된 유량과 실측된 유량과의 회귀식을 도출하였으며, 예측된 유량과 실측된 기온에 대한 회귀식을 도출하였다. 또한 기온의 변화에 따른 회귀식 적용 가능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 과거 자료 즉, 2017년과 2050년, 2070년과의 기온 차이와 유사한 2015년과 2016년에 적용하여 확인하였다. 마지막으로 기 구축된 예측유량-실측유량, 예측유량-실측기온의 회귀식에 RCP 시나리오를 반영하여 2050년 및 2070년의 유량을 예측하였다. 주요 연구 결과들은 다음과 같다. 1. BASIN 프로그램으로 유역 모델을 구축하였으며, HSPF 프로그램과의 연동을 통해 2017년 연구대상지역의 유량을 모의하였다. 실측치와 예측치의 값이 최대한 유사하여질 때까지 시행착오 법을 이용하여 모델유량예측의 보정 작업을 실시하였다. 항목별 허용범위와 신뢰구간을 Donigan(2000)의 방법에 의하여 평가 한 결과는 RCH29 유역의 값은 0.725로 Good, RCH23은 0.750로 Good, RCH22 유역은 0.487로 Poor, RCH21 유역은 0.672로 Fair로 나타났다. 2. 유량산정 예측 방법을 제시하기 위하여 2개의 회귀식을 도출 하였다. 우선RCHRES29(금본I), RCHRES23(금본H), RCHRES22(금본G), RCHRES21(갑천A)에 해당하는 금강본류 기준으로 실측유량과 예측유량을 통하여 회귀식을 도출하여 을 확인하였다. 을 확인한 결과 RCH29는 0.732, RCH23는0.757, RCH22는0.500, RCH21는 0.680로 나타났으며, 각 RCH별 값 유의확률은 0.000으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3. 모의된 결과를 바탕으로 각 RCH 기준으로 예측유량과 실측기온을 통하여 회귀식을 도출하여 을 확인하였다. RCH29는 0.802, RCH23은 0.829, RCH22은 0.828, RCH21은 0.834 이었다. 각 RCH별 값 유의확률은 0.000으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4. 도출된 회귀식의 적용 가능여부를 확인하기 위하여 적용성 평가를 실시하였다. 과거자료 적용성 가능여부를 확인하기 위하여 과거 기온자료를 조사하였다. 조사 결과 2015년 및 2016년의 기온이 2017년 보다 높게 기록된 것을 알 수 있었고, 2015년, 2016년과 앞으로 30년과 50년 뒤인 2050년과 2070년의 기후변화시나리오에 의해 예측된 기온과의 차이비교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차이가 나지 않는 것으로 확인되어, 2015년과 2016년에 적용 가능하다고 판단하였다. 5. 과거자료인 2015년 및 2016년 실측기온에 예측유량-실측기온의 회귀식을 통하여 2015년 및 2016년 유량을 예측하고, 실측유량-예측유량 회귀식을 이용하여 2015년 및 2016년의 실측유량을 산정하여 회귀식의 타당성을 검증하였다. 그러나 적정성 여부 판단 시 실제 실측유량의 개수가 회귀식을 통한 실측유량보다 적었기 때문에 @RISK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몬테카를로 모의실험(normal 확률분포형태 적용)을 통하여 을 확인하였다. 2015년 RCH29의 은 0.826, RCH23은 0.796, RCH22는 0.809, RCH21의 0.765이었다. 2016년 RCH29의 은 0.799, RCH23은 0.785, RCH22는 0.785, RCH21은 0.787이었다. 각 RCH별 값 유의확률은 0.000으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과거연도 2015년 2016년에 적용성 평가 결과 실측유량-예측유량, 예측유량-실측기온의 회귀식이 미래유량을 산정하기에 적절한 것으로 판단하였다. 6. 2050년과 2070년 기후변화 시나리오 RCP 4.5 및 8.5의 기온을 2017년 관측된 자료와 통계적인 유사성을 가지도록 보정하고, 기 도출된 예측유량-실측기온의 회귀식에 반영하여 미래(2050년과 2070년) 예측유량을 산정하였다. 그리고 기 도출된 실측유량-예측유량의 회귀식에 미래의 예측유량을 반영하여 실측 유량을 예측하였다. 편이보정에 따른 HadGEM3-RA의 RCP 4.5와 8.5 시나리오에 대한 연별 변화를 정리한 결과 RCP 8.5 2070s 시나리오에서 평균기온은 최대 기준기간 (Baseline) 대비 다음 3.0°F, 3.4°F 증가하였다. 최대값과 최소값에서는 편차를 보이기는 하나 전반적으로 CO2농도가 높은 RCP 8.5 시나리오에서 기온이 더 큰 변화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7. RCP4.5와 8.5 시나리오에 대한 각 RCH별, 연도별 미래유량 변화를 평균, 최대, 최소로 비교 하였다. RCP 4.5 보다는 RCP 8.5의 평균유량이 더 많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2070년보다는 2050년의 평균 유량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최대 및 최소의 유량 또한 RCP 4.5 보다는 RCP 8.5의 평균유량이 더 많고 2070년보다는 2050년의 평균 유량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As a research on a method of estimating the future flow rate of the river according to a change in temperatur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suggest a method of directly eliciting a regression equation regarding the influence of a temperature change upon the surveyed flow by using a regression equation. However, the frequency of being measured the river Flow now is being gauged 4 times a month by the National Measuring Network for the Ministry of Environment. The temperature is measured every hour every day. Thus, the surveyed flow data were deficient. That led to having implemented the watershed model for 2017 with BASIN and HSPF program and to having tested and amended the calculated flow rate. And the regression equation was drawn between the predicted Flow and the measured flow by using the model. The regression equation on the estimated Flow and the surveyed temperature was deduced. Also, to confirm whether the regression equation is applicable or not according to a change in temperature, there was verification through applying it to the past materials, namely, to the year in 2015 and the year in 2016 similar to a temperature difference among years of 2017, 2050, 2070. Finally, the flow rate for the year in 2050 and for the year in 2070 was predicted by reflecting the RCP scenario in the regression equation between the prediction flux and the surveyed flow and between the prediction flux and the measured temperature that were already implemented. The major findings are as follows. 1. A watershed model was constructed with the BASIN program. Through a linkage with the HSPF program, the river flow rate in the research subject area for 2017 was simulated. The model flow forecast was corrected by using the trial and error method until the measured value and the predicted value come to be maximally similar. As a result of evaluating the permissible range and the confidence interval by item based on Donigan(2000)’s method, value was indicated to be Good with 0.725 in RCH29 basin, to be Good with 0.750 in RCH23, to be Poor with 0.487 in RCH22 basin, and to be Fair with 0.672 in RCH21 basin. 2. To present a method of predicting the flow rate, two regression equations were elicited. First of all, was identified by drawing the regression equation through the surveyed flow and the prediction flux based on the main stream of Geum river, which corresponds to RCHRES29(Geumbon[錦江本流] I), RCHRES23(Geumbon H), RCHRES22(Geumbon G), RCHRES21(Gapcheon A). In consequence of checking , it appeared to be 0.732 in RCH29, 0.757 in RCH23, 0.500 in RCH22, and 0.680 in RCH21. The significance probability of value by each RCH stood at 0.000, thereby having been seen to be significant. 3. was affirmed by eliciting a regression equation through the prediction flux and the measured temperature based on each RCH according to the simulated outcome. It was indicated to be 0.802 in RCH29, 0.829 in RCH23, 0.828 in RCH22, and 0.834 in RCH21. The significance probability of value by each RCH amounted to 0.000, thereby having been shown to be significant. 4. To check whether the deduced regression equation is applicable or not, the applicability evaluation was executed. To verify whether the past materials can be applied or not, the past temperature data were surveyed. As a result of the survey, it could be known that the temperatures in 2015 and 2016 were recorded more highly than 2017. The comparison of a difference was carried out between the years in 2015 & 2016 and the predicted temperature by the climate change scenario for 2050 and 2070 after 30 years and 50 years hereafter. Consequently, it was confirmed to have no difference, thereby having judged to be applicable to 2015 and 2016. 5. The flow rate for 2015 and 2016 was predicted through the regression equation between the prediction flux and the measured temperature in addition to the surveyed temperatures in 2015 and 2016 as the past materials. The validify of a regression equation was inspected by calculating the surveyed flow in 2015 and 2016 with the use of the regression equation between the measured flow and the prediction flux. However, given deciding on the appearance of appropriateness, the number of the actual measured flows was fewer than the measured flow through the regression equation. Thus, was confirmed through the Monte Carlo Simulation(applying the normal probability distribution form) using @RISK program. In 2015, appeared to be 0.826 in RCH29, 0.796 in RCH23, 0.809 in RCH22, and 0.765 in RCH21. In 2016, was seen to be 0.799 in RCH29, 0.785 in RCH23, 0.785 in RCH22, and 0.787 in RCH21. The significance probability of value by each RCH came to 0.000, thereby having appeared to be significant. Accordingly, in consequence of evaluating applicability to 2015 and 2016 as the past years, the regression equation between the surveyed flow and the prediction flux and between the prediction flux and the measured temperature was determined to be appropriate for reckoning the future flow. 6. The temperatures of RCP 4.5 and 8.5 as the climate change scenario for 2050 and 2070 were corrected in order to have statistical similarity to the observed data for 2017. The future prediction flux(year in 2050 and year in 2070) was estimated by reflecting the regression equation between the prediction flux and the measured temperature that were already drawn. And the surveyed flow was forecasted by reflecting the future prediction flux in the regression equation between the surveyed flow and the prediction flux that were already deduced. As a result of arranging the annual changes in the RCP 4.5 and 8.5 scenario of HadGEM3-RA according to the bias correction, the average temperature was up by 3.0°F, 3.4°F compared to the maximum reference period(Baseline) in the RCP 8.5 2070s scenario. Deviation was seen in the maximum value and the minimum value. But in the RCP 8.5 scenario with high CO2 concentration on the whole, the temperature was indicated a bigger change. 7. A future flow change by RCH in each and by year as for the RCP 4.5 and 8.5 scenario was compared by using the average, the maximum, and the minimum. Rather than RCP 4.5, the average flow of RCP 8.5 appeared to be larger. Compared to the year in 2070, the average flow in 2050 was shown to be larger. Even in terms of the maximum and minimum flows, the average flux of RCP 8.5 was larger than RCP 4.5. Rather than the year in 2070, the average flow in 2050 was indicated to be larger.

      • 적응형 루프 필터 기반의 루프 대역폭 제어가능한 주파수 합성기

        박상현 강원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논문은 Clock이나 Local Oscillator로 사용하는 다양한 어플리케이션에 필수 적인 PLL(Phase Locked Loop) 중 적응형 대역폭을 갖는 주파수 합성기를 제안한 다. 기존 PLL에서 사용되는 수동 루프 필터의 경우 대역폭 조정 시에 위상 마진의 저하 및 위상 잡음 피킹 현상이 발생 할 수 있다. 또한 VCO (Voltage Contolled Oscillator)의 이득의 변화에 따라서 Bandwidth가 변동되는 문제가 있다. 이를 해결 하기 위해 본 논문은 대역폭 조정 시 위상 마진의 저하 없이 안정되게 조정한다. 뿐 만아니라 Kvco의 변동에 무관하게 고정된 대역폭을 갖게 한다. 이는 원하는 대역폭 을 설정하여 불필요한 잡음을 적절하게 제거 할 수 있으며, 이에 맞춰 일정한 대역 폭을 낼 수 있다. 제안하는 Adaptive Loop Filter를 갖는 Adaptive Frequency Synthesizer는 65nm 공정에서 설계되었고, 설계 면적은 1.25mm2 이다. This paper proposes a frequency synthesizer with an adaptive bandwidth among PLLs (Phase Locked Loop), which is essential for various applications used as clocks or local oscillators. In the case of a passive loop filter used in an existing PLL, phase margin deterioration and phase noise peaking may occur during bandwidth adjustment. In addition,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bandwidth fluctuates according to the change of the gain of the VCO (Voltage Controlled Oscillator). To solve this problem, this paper adjusts the bandwidth stably without deteriorating the phase margin. In addition, it has a fixed bandwidth regardless of Kvco fluctuations. This can properly remove unnecessary noise by setting a desired bandwidth, and accordingly, a certain bandwidth can be produced. The proposed Adaptive Frequency Synthesizer with Adaptive Loop Filter is designed in 65nm process and has a design area of 1.25mm2.

      • 여행업의 on-line과 off-line의 통합마케팅에 관한 연구

        박상현 경기대학교 관광전문대학원 2001 국내석사

        RANK : 247631

        최근 우리나라 여행업 구조형성에 있어서 특징적으로 나타나고 있는 현상중 하나는 여행업의 과속적인 양적 성장이다. 그러나 여행업의 양적 성장은 이에 따른 질적 성장이 이루어지지 않으므로서, 여행업체간의 무의미한 경쟁과 많은 문제점을 야기시키고 있다. 이러한 여행사들간의 경쟁과 가격파괴의 현실 속에서 새로운 정보기술의 발달과 인터넷의 대중화는 여행업계에 급격한 시장변화를 예고하고 있고 새로운 시장변화에 대응하는 마케팅전략을 요구하고 있다. 이러한 시장변화를 나열하면 첫째, 여행객 모집의 어려움과 이로 인한 광고비용의 부담이다. 둘째, 고객취향의 다양성으로 여행업계의 능동적인 고객대응 자세가 요구됨과 동시에 개별고객에게 맞는 타겟 마케팅을 필요로 한다. 셋째, 온라인과 통신매체를 이용하는 고객수의 증가에 따른 적절한 마케팅이 요구되며 유동적인 고객대상으로 하는 실시간 홍보수단의 필요가 절실하다. 넷째, 신상품과 이벤트 등 일시적이고 단발적인 상품에 대한 적절한 홍보수단과 TV나 신문광고의 비용과다로 인한 한계성을 대체할 마케팅 촉진수단이 필요하다. 본 연구는 여행업의 마케팅이 급변하는 여행시장 변화 속에서 여행업이 갖고 있는 특성상 온라인 만으로의 마케팅 활동이나 오프라인 만으로의 마케팅 활동은 여행업 영업활성화 방안에 여러 가지 문제가 있음을 인식하고 기존의 오프라인 영업촉진 기능을 정비하여 온라인과 오프라인의 영업활성화방안을 통합하고자 하는 통합마케팅이라는 새로운 마케팅의 접근을 시도하여 여행업의 경쟁력 향상과 영업촉진방안의 일관성 있는 계획을 수립하기 위한 시사점을 제시하는데 있다. 이러한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여행사의 판매촉진 방안과 인터넷 판매촉진 방안의 이론적 고찰을 하였으며 실증적 연구방법으로 설문지법을 병행하였다. 실증분석 결과 기존의 연구를 바탕으로 해서 채택된 설문문항이 오프라인 영업촉진 방안 요인에서 “판매촉진”, “인적판매”, “광고활동”, “기업홍보”의 4개의 요인을 추출하였고, 온라인 영업촉진방안 요인으로 “온라인 홍보”, “고객관리”, “온라인 비용절감”, “온라인 판매촉진”, “온라인 운영”의 5가지 요인으로 추출되었다. 추출된 요인을 토대로 여행사 영업촉진방안을 중요하게 여기는 정도와 통합마케팅 필요성에 대해 비교, 분석한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오프라인 영업활성화 방안을 중요하다고 인지하고 있지만 이를 판매촉진 업무나 마케팅에 활용하는 것은 현재의 여행사 구조상 아직은 미흡하다고 할 수 있다. 오프라인 영업활성화 방안의 4가지 요인 중 “인적판매”의 경우는 전반적으로 연령이 높을수록, 재직기간이 길수록 중요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중, 소규모의 여행사가 대다수인 한국 여행시장 특성상 “인적판매”가 주요한 촉진요인으로 자리잡고 있음을 보여준다. “광고활동”과 “기업홍보”는 모든 부문에서 중요하게 인지하고 있으나, “판매촉진”은 역할을 제대로 수행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여행사 온라인 영업활성화 방안의 중요도에 대해서는 대부분 높은 수치를 나타냈다. 여행사 종사원마다 온라인 영업촉진 방안이 모두 중요하다고 인지하고 있으나, 재직기간과 직급에 있어서는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온라인 홍보”, “온라인 비용”, “온라인 운영”에 대해서는 젊은 집단에서 중요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나 사이버시장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는 것을 알 수 있다. “온라인 고객관리”, “온라인 판매촉진”은 재직기간이 길거나 직급이 높을수록 높은 중요도를 보여 기존고객의 관리와 잠재고객 확보에 대해서 온라인영업을 대비하고 있는 것으로 볼 수 있다. 마케팅부서와 온라인 전담 부서가 있는 집단이 온라인 영업촉진 전 부문에서 높은 중요도를 보이고 있어 광고비용의 부담이나 홍보수단의 부재를 온라인으로 대체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사이버여행사의 등장, 일반여행사의 사이버시장 진출 등으로 나타나고 있다. 셋째, 통합마케팅의 중요도에 대해서는 전 집단의 80%이상이 매우 중요하게 동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통합마케팅의 중요정도와 실행은 본 연구의 주된 연구결과로서 그 만큼 온라인과 오프라인의 통합마케팅이 여행업에 있어 중요하게 인식되고 있으며, 이는 향후 여행사마케팅의 경쟁력을 제고시키고 정보화시대에 부합하는 타겟마케팅으로 판매촉진효과의 극대화를 이룰 것으로 보인다. 고객의 요구가 다양화되고 있는 여행시장에서 능동적 고객서비스 자세가 요구됨과 동시에, 유동적인 고객대상으로 실시간 홍보수단의 필요가 절실하며 통합마케팅은 오프라인 영업촉진방안과 온라인 영업촉진방안의 한계성을 극복할 것이라는 측면에서 중요한 의의를 가진다 할 것이다. 이와 같이 본 연구 조사결과 여행사의 영업촉진 활동이 오프라인에서만, 아니면 온라인으로만 이루어지는 것이 아니라 온라인과 오프라인에서 동시적으로 수행되는 마케팅 활동이 보다 효율적인 성과를 나타낼 수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 통합 마케팅 커뮤니케이션(Integrated Marketing Communication)이란 여러가지 다앙한 커뮤니케이션 수단인 광고, 판매촉진, 인적판매, 홍보 등을 매끄럽게 묶어 명확성, 일관성 및 커뮤니케이션 효과를 내기 위한 마케팅 활동이다. 따라서 통합마케팅을 도입하는 여행사는 고객에게 도달될 수 있는 커뮤니케이션 수단을 온라인과 오프라인 상에서 총체적으로 고려하여 처음부터 일관된 계획을 수립하여야 할 것이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는 여행업에서 온라인과 오프라인의 판매촉진 통합마케팅 전략이 여행사 마케팅 효과를 극대화 할 것이라는 결과를 제시하고 있지만 현재 많은 여행사에서는 오프라인 판매촉진 수단을 마케팅 원리에 입각하여 적절하게 사용하지 못하고 있으며, 홈페이지나 온라인 판매촉진 수단 또한 단순한 홍보용이나 기업이미지 정도로만 활용하고 있어서 통합마케팅으로의 전환이 미비한 실정이다. 그러나 향후 다양화되어 가는 고객취향과 정보시비스 제공이라는 여행시장의 변화에 대처하기 위해서는 통합마케팅의 중요성과 실용성이 증대할 것으로 보인다. It si changing gradually because of the supply of personal computer and the development of information. Communication and it is shown as cyber space through internet by the development of information communication. The numer of tourist id increasing, and it is reserched that the majority of them make a reservation directly through on On-line travel Service on their own, not through travel agencies. Internet is absolutely needed in the tourism business, many travel agencies offer the information and service about tourism to tourist by establishing their home pages. but teavel marketing is croud of internet of On-Line and Marketing promotion Mix of the Coustmor to Travel Relationship. So this study sets travel Marketig as an object for analysis to understand the importance of internet for efficient Intagrated marketing Communication of On-Line & Off-line each travel agencies. Therefore, in this study, some Literature and data on some travel agency were inspected and reviewed. The point at issue from the the finding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It appeared that Off-line promotion method fators were 'sales promotion', 'sales by Human', 'advertisment actvity', 'enterprise P.R' and On-line Business promotion method fators were 'On-line P.R', 'Customer management', 'On-line reduce expense', 'On-line sales promotion', 'On-line operation'. The major result of this study is that the importance of integrated marketing communication has a great effect on the importance of On-line & Off-line IMC marketing and internet is srcognized as a very important by travel agencies. That means internet will be general marketing method in travel agencies and Integrated Marketing Communication will be their marketing competitiveness in the near future. As you can see, personal in tourism agencies think highly of On-line operation ability, But it is not performed well in terms of importance. that means integrated marketing communication is thought to be very important but it is not performed properly in travel agencies. But if it is shows in overall aspects, important and performances have significant selations each other. This study shows IMC is significantly related to travel agencies, but many tourism companies utilize internet as a advetisement method and corporate image and it is not use very well in term of facility or corporate circumstances.

      • 사파이어 기판의 CMP 연마 특성과 표면 품위에 관한 연구

        박상현 금오공과대학교 2020 국내박사

        RANK : 247631

        LED 산업이 확장됨에 따라 LED 소자 제조에 필요한 사파이어 기판의 활용성은 더욱 부각되었다. 하지만 LED 산업 초기에 안정적인 가격 상태를 유지하던 사파이어 기판이 2012년 이후 급격한 가격하락 추이를 보이면서 사파이어 기판 제조 공정 안정화를 통한 수율 향상과 공정 단가 절감이 매우 요구 되는 상황이다. 본 논문에서는 사파이어 기판을 제작함에 있어 핵심 기술인 CMP 공정의 가공 안정성을 도모하고 수율 향상 및 비용 절감을 위한 기술적 바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기계적 요인, 소모품 조건, 공정 시간에 따라 나타나는 재료제거 특성, 표면 특성, 형상 특성 등을 실험적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1. DMP 가공 후 다이아몬드 슬러리 입자 크기 수준의 결함층이 발생하고 CMP 공정을 통한 잔류응력 제거를 위해서는 최소 DMP 슬러리 이상의 재료제거량이 필요한 것을 확인하였다. 2. CMP 가공은 사파이어 기판의 형상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고 Lapping 공정 완료 후 기판의 형상을 따라가는 것을 확인하였다. 3. CMP 공정 기계적 요인에 따라 표면거칠기는 소폭 변화가 있으나 충분한 가공량이 뒷받침 될 때 표면거칠기 변화 폭이 극미하여 큰 영향은 없는 것으로 확인하였다. 4. 슬러리 비율이 일정 수준이하로 감소하면 윤활 성능 부족, 화학 작용 감소, 마찰 증가 등의 문제로 인해 재료제거율 감소, 두께 편차 발생, 스크래치 등 문제가 발생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5. CMP 공정의 가공 시간이 길어지면 재료제거율은 감소하고, Pad의 눈막힘 현상, 슬러리의 고착화 등의 문제로 표면 스크래치 발생에 취약한 것을 확인하였다. 6. 일정 수준의 CMP 가공은 균일한 두께 편차 확보에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지만 너무 오래 지속되는 CMP 가공은 오히려 두께 편차 감소에 악영향으로 작용됨을 확인하였다. As the LED industry has been expanded, much attention has been paid to the applicability of sapphire substrates, which are required to manufacture light-emitting diode (LED) elements. However, the price of sapphire substrates, which was stably maintained in the early days of LED industry, has been plummeted suddenly since 2012. Thus, it is now urgently required to improve a production yield and reduce a process unit price through the stability of manufacturing process of sapphire substrates. This study aimed to promote the processing stability of chemical mechanical polishing (CMP) process, which was a core technology in producing sapphire substrates, and provide a technical foundation to improve the production yield and reduce the cost. To do this, this study experimentally analyzed mechanical factors, consumables conditions, material removal characteristics displayed according to a process time, surface characteristics, and shape characteristics, and obtained the following conclusions. 1. This study verified that after processing the diamond-mechanical polishing (DMP), a defective layer of diamond slurry particle size occurred, and an amount of material removal of more than the minimum DMP slurry was needed for the removal of the residual stress through the CMP process. 2. This study verified that the CMP processing did not directly affect the sapphire substrate shape, and followed the substrate shape after completing the lapping process. 3. This study verified that the surface roughness was slightly changed according to the mechanical factors of the CMP process, but no significant effect was found because the change in the surface roughness was minimal when a sufficient amount of processing was supported. 4. The study verified that there were problems such as the reduction in material removal rate, occurrence of thickness deviation, and scratches due to the lack of lubrication performance, reduction in chemical reaction, and increase in friction etc. when the slurry rate was reduced below a certain level. 5. This study verified that if the processing time of CMP process was longer, the material reduction rate was reduced, and the vulnerability to surface scratch occurred due to the problems such as pad pore glazing and slurry fixation. 6. This study verified that a certain level of CMP processing played an important role in ensuring uniform thickness deviation, but excessively long and steady CMP processing had a negative impact on the reduction in thickness deviation.

      • Cordycepin 고함유 동충하초의 간독성 모델 흰쥐에 대한 개선효과

        박상현 동아대학교 대학원 2013 국내박사

        RANK : 247631

        Cordycepin 고함유 동충하초의 간독성 모델 흰쥐에 대한 개선효과 Improvement Effect of Cordycepin-Enriched Cordyceps militaris JLM0636 on Liver Damage Model in the Rat 생명공학과 박 상 현 지 도 교 수 조 영 수 최근 경제 성장에 따른 식생활 패턴의 변화, 환경오염 및 사회적 스트레스로 인한 음주의 빈도가 증가함에 따라 지방간, 간경화, 간암, 고지혈증, 고혈압, 당뇨병, 심장병, 동맥경화증 등의 만성적 질환과 밀접한 관련성이 제기되면서 여러 가지 사회적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간 질환은 우리나라 중장년층에서 빈번하게 발병되는 질환으로 사회적 문제로 대두되면서 이를 개선 내지는 치유하려는 연구가 천연물을 대상으로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1, 2, 3]. 하지만 장기간의 간질환 치료제에 대한 연구에 비해 의약품이나 건강기능식품에 보급되어 적용되고 있는 치료제나 간기능 개선 소재의 종류는 간질환의 빈도수와 심각성을 고려했을 때 비교적 적어 그 성과면에서 아쉬운 점이 많다. 동충하초 유래 Cordycepin은 생활습관병에 대한 다양한 생리활성이 보고된바 있다. Cordycepin(3'-deoxyadenosine)은 번데기 동충하초에 함유된 주요 생리활성 물질로서, 아데노신 리보오스 잔기의 3번째 탄소에 산소가 결핍된 구조로 다양한 암세포에서 세포사멸 유도에 관한 활성 및 종양세포의 m-RNA 합성저해에 기인한다고 알려져 있다. 이처럼 동충하초는 다양한 효능이 있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어서 만성 성인병이나 난치병의 예방 및 치료제로서의 개발가치가 높은 것으로 기대된다. 동충하초 중 눈꽃 동충하초(Paecilomyces japonica)는 국내에서 고유하게 개발된 품종으로 눈꽃 동충하초라 부르고 나방류의 곤충과 애벌레, 번데기 등을 기주로 하여 기생하며 항암효과, 면역력 증강효과, 항피로 효과, 항스트레스 효과, 항노화 효과, 미백효과 등이 보고되고 있다[4]. 또한 번데기 동충하초(Cordyceps militaris)는 번데기 동충하초라 부르며 나비목의 번데기에 기생하는 자실체와 번데기의 복합체로 P. japonica 와 마찬가지로 면역증강활성, 항암활성, 항바이러스효과 및 항염증 효과 등 다양한 생리활성이 보고됨에 강장 식품 혹은 강장제로 폭넓게 사용되고 있다[5]. 본 실험에서는 눈꽃 동충하초와 번데기 동충하초 그리고 육종에 의해 Cordycepin 함량을 높인 Cordycepin 고함유 번데기 동충하초(Cordyceps militaris JLM0636)의 항산화 활성 및 이화학적 특성 그리고 orotic acid , 알코올, 사염화탄소에 의해 유발된 흰쥐 간 손상에 대한 개선 효과를 규명하여 간 질환 개선 효과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고자 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간기능 개선효과, 항산화 효과, 지질 대사 개선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진 눈꽃 동충하초(Paecilomyces japonica)와 번데기 동충하초(Cordyceps militaris) 그리고 육종에 의해 동충하초의 주요 생리활성 물질인 Cordycepin 함량을 높인 Cordycepin 고함유 번데기 동충하초(Cordyceps militaris JLM0636)가 가지는 항산화 기능 및 이화학적 특성과 동물 임상 실험을 통해 orotic acid 및 알코올 그리고 사염화탄소에 의해 유발된 흰쥐 간손상에 대한 개선효과를 규명하여 간 질환 개선 치료제의 가치를 평가하고자 하였다. 눈꽃 동충하초와 번데기 동충하초 그리고 Cordycepin 고함유 번데기 동충하초의 항산화 기능 및 이화학적 특성을 살펴본 결과 눈꽃 동충하초 및 번데기 동충하초 그리고 Cordycepin 고함유 번데기 동충하초의 수율은 에탄올 및 메탄올 추출물 보다 수용성 추출물에서 42.53%로 현저히 높은 수율을 보였으며 각 시료의 폴리페놀 및 플라보노이드 함유량도 열수 추출액에서 높게 나타났고 그 중 눈꽃 동충하초에서 가장 높은 함유량을 보였다. DPPH free radical에 의한 전자공여 활성 검토 결과 전체적으로 수용성 추출물에서 높은 활성을 보였다. 하지만 0.01%의 낮은 농도에서는 Cordycepin 고함유 번데기 동충하초의 활성이 가장 높아 낮은 농도에서도 효율적인 항산화활성을 나타냄을 알 수 있었다. Cu와 Fe를 이용한 환원력 측정에서는 양성대조군으로 사용한 BHT와 ascorbic acid 보다는 높지 않았지만 전체적으로 환원력이 있는 것을 확인하였다. 간장 microsome을 이용한 지질과산화 억제능을 검토한 결과 수용성 추출물 및 메탄올 추출물보다 에탄올 추출물에서 높은 지질과산화억제능이 농도 의존적으로 나타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그 중 Cordycepin 고함유 번데기 동충하초에서 86%의 억제능을 보여 88%의 억제능을 보이는 양성대조군인 BHT와 큰 차이가 나지 않는 것을 확인하였다. 눈꽃 동충하초는 각 용매별 추출물 모두 혈전용해능이 없었으나 번데기 동충하초 및 Cordycepin 고함유 번데기 동충하초는 모든 용매별 추출물에서 혈전용해능이 나타났고 그 중 Cordycepin 고함유 번데기 동충하초에서 가장 높은 혈전용해능을 나타내었다. 그리고 HPLC를 이용한 Cordycepin 정량 분석 결과 눈꽃 동충하초에서는 Cordycepin이 확인되지 않았으나 번데기 동충하초에서는 1.01±0.37 mg/g, Cordycepin 고함유 번데기 동충하초에서는 번데기 동충하초 보다 약 7배 높은 7.42±0.10 mg/g이 확인되어 육종에 의해 Cordycepin 함량이 높아지는 사실을 알 수 있었다 Orotic acid, 알코올 및 사염화탄소 3가지 간 손상 유발원을 이용한 흰쥐에서 각 동충하초 시료가 간 손상 개선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였다. 정상군에 비해 각 유발원을 단독 처리한 군에서 전체적으로 체중 증가량이 낮아 흰쥐의 성장에 영향을 미침을 알 수 있었으며 체중 변화와 장기 무게 사이의 상관관계는 확인할 수 없었다. 알코올에 의한 간손상 모델에서는 혈중 지질 농도가 정상군과 유의적인 수준으로 낮아지는 결과를 확인할 수 있었으나 orotic acid 및 사염화탄소에 의한 간손상 모델에서는 유의적인 결과를 확인할 수 없었다. 간장 중성 지질 농도는 눈꽃 동충하초 및 번데기 동충하초 그리고 Cordycepin 고함유 번데기 동충하초에서 모두 개선되는 결과를 얻을 수 있었고 그 중 Cordycepin 고함유 번데기 동충하초에서 정상군과 비슷한 결과를 확인하였다. Orotic acid, 알코올, 사염화탄소에 의한 간손상 정도를 파악하기 위해 간손상 지표인 ALT, AST, ALP, LDH 등의 혈중 활성을 확인해 본 결과 전체적으로 동충하초 급여군에서 모든 간손상 지표가 낮아 손상을 적게 받은 양상을 보였으며 특히 AST 및 ALT 손상 지표에서는 정상군과의 유의적인 수준으로 개선된 결과를 보였고 그 중 Cordycepin 고함유 동충하초에서 가장 개선된 효과를 보였다. 세포에 연쇄적인 산화적 스트레스를 야기하는 지질의 과산화로 생성되는 최종 산물인 malondyaldehyde의 생성량을 통해 간장의 과산화정도를 측정해 본 결과 정상군에 비해 control 군에서는 높은 생성량이 확인되어 지질의 과산화가 두드러지게 진행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하지만 동충하초 급여군의 malondyaldehyde 생성량 확인 결과 orotic acid 및 알코올 그리고 사염화탄소로 유발한 모든 흰쥐 모델에서 유의적인 수준으로 감소되어 지질의 과산화가 많이 억제되었음을 알 수 있었고 그 중 Cordycepin 고함유 번데기 동충하초 급여군에서 가장 낮은 malondyaldehyde 생성량을 보였다. 알코올로 간손상을 유도한 흰쥐 모델에서는 혈중 alcohol 농도 및 acetaldehyde 농도 그리고 간장의 alcohol dehydrogenase(ADH) 및 acetaldehyde dehydrogenase(ALDH) 활성을 검토한 결과 알코올을 급여하지 않은 정상군에 비해 control 군에서 높은 alcohol 농도와 acetaldehyde 농도를 보였으며 alcohol 및 acetaldehyde 분해 효소인 ADH와 ALDH 활성 또한 control 군에서 낮은 활성을 보였다. 반면 동충하초 급여군에서는 혈중 alcohol 농도와 acetaldehyde 농도가 매우 낮아져 효율적인 알코올 대사를 확인하였으며 이러한 결과는 ADH 및 ALDH 분해효소의 활성과 명확한 상관관계를 보였다. 특히 분해 효소의 활성은 Cordycepin 고함유 번데기 동충하초에서 가장 높은 활성을 보여 Cordycepin이 알코올 대사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간 조직 중의 glutathione 농도는 orotic acid 및 알코올, 사염화탄소 유발 간손상 흰쥐 모델에서 동충하초 급여군은 모두 유의적으로 glutathione 농도가 증가되는 결과를 나타내었으며 마찬가지로 Cordycepin 고함유 번데기 동충하초 급여군에서 정상군보다 높은 수준의 glutathione 농도를 확인하였다. 세 가지의 유발원에 의한 각 간손상 모델을 이용한 동물실험에서 해부 직후 외관상의 조직형태학적 소견은 정상군의 간은 선명한 선홍색을 띄었으나 control군은 황색의 점이 넓게 분포되어 전체적으로 선홍색이 희미해져 회색빛을 띄고 간이 비대해져 전형적인 지방간의 임상학적 소견을 보였다. 눈꽃 동충하초는 control군에 비해 회색 빛이 조금 옅어지긴 했으나 정상군과는 많이 다른 형태를 보였으며 번데기 동충하초와 Cordycepin 고함유 번데기 동충하초는 정상군에 가까운 소견을 보였으며 특히 Cordycepin 고함유 번데기 동충하초는 정상군과 매우 유사한 형태를 보여 외관상의 형태학적 관찰 결과 Cordycepin 고함유 동충하초가 정상군과 가장 유사한 조직형태학적 결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hematoxylin을 이용한 간세포 세포질 염색 후 광학현미경을 통해 간조직의 소엽 구조를 검토한 결과 Cordycepin 고함유 번데기 동충하초를 급여한 군의 사진이 정상군과 가장 가까운 소견으로 검고 둥근 핵이 선명하고 일정한 간극을 유지하여 잘 짜여진 간 소엽 구조를 유지하고 있었다. 이상의 항산화 및 이화학적 특성을 바탕으로 orotic acid 및 알코올 그리고 사염화탄소를 이용해 간 손상을 유도한 흰쥐의 간 손상 개선 효과를 검토한 결과 눈꽃 동충하초 보다는 번데기 동충하초에 의한 개선 효과가 컸으며 번데기 동충하초 보다는 Cordycepin 고함유 번데기 동충하초 급여군에서 정상군과 가장 가까운 분석 결과를 보여 Cordycepin이 미치는 간기능 개선 효과가 뛰어남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간질환의 심각성 및 빈도수에 비해 간질환 치료제가 많이 개발되지 않은 점을 보았을 때 간질환 치료제로서의 Cordycepin이 가지는 가치가 매우 크며 그리고 뛰어난 간 기능 개선 결과를 보았을 때 간 질환 치료개선 식품재료로서의 개발 가능성이 높은 소재로 판단된다. 주요어 : Cordyceps militaris, Paecilomyces japonica, 동충하초, Cordycepin, 지방간, 간독성, orotic acid, alcohol, CCl4, ADH, ALDH. glutathione, silymari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