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단일 영상 분광 타원계측기 기반 다층 박막 분석 기술 연구

        김진섭 조선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7647

        Recently, precise film structures have become essential for integrated circuit (IC) and flat panel display (FPD) products because of their multi-functional purposes and compactness. In these products, thin films are deposited on a silicon or glass substrate with various materials and thicknesses for conductivity, insulation and packaging. For the successful operation and performance, film structure should be manufactured as designed. In addition, the measurement or inspection of the geometrical dimensions and material properties of film layers becomes an important issue in order to confirm their functional uniformity. Ellipsometry has been very important for the characterization of thin film structures as a non-destructive metrological tool. Comparing the measured quantities such as ellipsometric angles of ψ and Δ with their counterparts of theoretical model, ellipsometry can determine the thin film thicknesses with high sensitivity and even a spectroscopic ellipsometry (SE) provides the reliability and robustness of the measurement results with sufficient spectral data of ψ(λ) and Δ(λ). However, most of SE only measure film thicknesses at a single point of the interest and adopt polarization adjustment of the light by using rotation of polarizing optic elements or electrical phase modulation, which leads to time consumption. Imaging ellipsometry has capability of obtaining 3D or line profile of film thicknesses, but it still needs rotating mechanisms for the polarization changes. In this study, I propose two types of spectroscopic ellipsometers, a spatially phase-retarded spectroscopic ellipsometer and a polarization pixelated spectroscopic ellipsometer that can measure the multi-layered film thicknesses with a single image. The spatially phase-retarded spectroscopic ellipsometer can collect all information, necessary to characterize film structures, with a single image acquisition. Instead of using temporal phase retardation devices, a spatial phase retardation plate is used and an imaging spectrometer can obtain the intensity variations by polarization states and wavelengths. As an optical source, a broadband light is used and the light with a small beam size is linearly polarized by a linear polarizer. Then, the light is incident to a film specimen and reflected off with the polarization changes caused by the ratio of p-pol and s-pol waves. The reflected light passes through a beam expander and the large size of the light goes through spatial phase retardations by a spatial phase retardation plate (SPR), designed to provide the periodic phase retardation along a horizontal axis. The spatially phase retarded light passes through an analyzer and detected in an imaging spectrometer. Then, the imaging spectrometer only images one of the horizontal lines of SPR at the center and spectrally resolve this line. The horizontal axis of the image indicates the polarization changes caused by the periodic phase retardations while the vertical axis means the spectral axis. As the result, the intensity variations by various polarization states and wavelengths can be obtained at once in a single acquisition of the image. In the polarization pixelated spectroscopic ellipsometer, the ellipsometric parameters can be acquired by adopting a polarization-pixelated CMOS camera and an imaging spectrometer without any mechanical or electrical moving parts and their spectral and spatial profile are obtained with a single image. As a light source, a spatially coherent broadband light is used and the light beam size is enlarged by beam expander to fully illuminate the measurement line of a film specimen (S). The light beam goes through a 45° rotated polarizer and is incident to S with the semi-Brewster angle of S. The reflected beam from S passes through a 45° rotated quarter-wave plate and is incident to an imaging spectrometer through an imaging lens. Then, the spectral density is distributed along the vertical axis of the captured image while each spectral density set corresponding to the point on the measurement line is horizontally located at the image of a polarization pixelated CMOS camera (PCMOS). In PCMOS, an individual pixel of the image sensor has its own polarizer, oriented by 0°, 45°, 90°, and 135° while a (2⨯2 pixels) unit cell block is repeatedly arranged in whole imaging area. In this case, these four kinds of polarizers of the unit cell in PCMOS can act as a role of rotating an analyzer with a step of 45° under the assumption that the light obtained in the unit cell is from the same point on the measurement line and its wavelength is the same. Then, the whole image obtained by PCMOS can be split as four images according to polarizing angles and the ellipsometric information can be obtained by these polarization changes. Subsequently, the proposed system is equivalent to a number of rotating-analyzer type SE, and it can obtain the ellipsometric spectral data for the line at once with a single image only. In order to verify the spatially phase-retarded spectroscopic ellipsometer and the polarization pixelated spectroscopic ellipsometer, single and multi layered film structures were used as specimens, and it was confirmed that multi-layered film thicknesses could be successfully obtained at a point and a line, respectively, with each single image.

      • a-IGZO TFT에서 illumination stability mechanism 및 memory로의 적용 연구

        김진섭 忠南大學校 大學院 2015 국내석사

        RANK : 247631

        In this paper,The amorphous indium-gallium zinc oxide thin film transistors (a-IGZO TFTs) with different oxygen flow rate and different Post Deposition Annealing (PDA) temperature was fabricated to clarify the effect of oxygen interstitial and vacancy on the VTH degradation under the illumination. Additionally, the amorphous indium-gallium zinc oxide thin film transistors (a-IGZO TFTs) with nanoparticle (NP) embedded in IGZO channel layer was studied for the memory applications.

      • 또래와의 특수체육활동 프로그램이 뇌병변장애아동의 사회성 발달에 미치는 영향

        김진섭 청주대학교 사회복지 · 행정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631

        이 연구의 목적은 또래와의 특수체육활동 프로그램을 통해 뇌병변장애아동의 운동 능력향상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며 1:1 개별교육과 또래와의 2인 1조 교육이 사회성 발달에 미치는 영향, 특정 체육활동 프로그램의 실시로 사회성 발달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충청북도 청주시에 거주하고 있는 뇌병변 장애아동 2명을 대상으로 주 2회기씩 매 회기는 50분으로 구성하여 총 16주간 실험을 실시하였다. 이 연구는 단일대상 연구 방법 중 ABAB 설계를 활용하여 4주간의 기초선 단계(A1)를 거쳐 4주간의 개입 단계(B1)를 가진 후 다시 4주간의 제2기초선 단계(A2)를 지나 다시 4주간의 제2개입 단계(B2)를 거쳐 체육활동의 결과를 보고자 했다. 특수체육활동 프로그램이 사회성 발달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기 위하여 중재가 이루어지지 않은 기초선 단계(A1) 실시 직전과 각 단계가 끝나는 시점마다 사회적 능력을 측정하기 위해 사회성숙도 검사를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또한 특수체육활동 종목과 그에 따른 사회성 발달사항과 운동향상 항목을 매 회기마다 관찰일지에 기록하고 대상아동의 부모와 상담한 것을 분석하였다. 이상의 연구방법과 절차를 통하여 장애아동이 체육활동을 통하여 사회성 발달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해 연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프로그램을 실시하기 전, 각 단계를 마쳤을 때마다 대상아동 1, 2 모두 사회성숙도 검사 결과 사회지수(SQ)에서의 증가가 나타났다. 둘째, 개별적으로 프로그램을 실시할 때보다 2인 1조로 프로그램을 실시할 때 운동 능력뿐만 아니라 사회성 발달에서도 향상이 나타났다. 셋째, 2인 1조의 특수체육활동 프로그램을 통해 새로운 교육이나 의존적으로 해오던 일상생활에서 변화가 나타나 스스로 문제해결을 위한 시도를 하는 모습이 관찰되었다. 또래와의 특수체육활동 프로그램은 신체적인 운동능력 향상과 더불어 사회성과 같은 심리적인 측면에서의 발달에도 매우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또래와의 특수체육활동 프로그램은 뇌병변장애아동의 사회성 발달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보여 진다.

      • 교육공무직원의 공공봉사동기가 조직몰입과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김진섭 한국교원대학교 교육정책전문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의 목적은 학생, 교사, 학부모 등 교육수요자를 대상으로 일선 교육현장에서 교육행정서비스를 수행하고 있는 서울특별시교육청 소속 교육공무직원의 조직몰입과 직무만족에 영향을 주는 변수로서 공공봉사동기의 역할과 수준을 확인하고, 구성원의 조직몰입과 직무만족에 개인-조직적합성과 개인-직무적합성이 매개 역할을 수행하는지를 검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서울특별시교육청 소속 교육공무직원의 공공봉사동기와 조직몰입 및 직무만족과 적합성의 수준은 어떠한가? 둘째, 공공봉사동기는 구성원의 조직몰입과 직무만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가? 셋째, 구성원의 공공봉사동기는 개인-조직적합성과 개인-직무적합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가? 넷째, 개인-조직적합성과 개인-직무적합성이 조직몰입과 직무만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가? 다섯째, 공공봉사동기가 조직몰입과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 개인-조직, 개인-직무적합성이 매개하는가? 본 연구는 서울특별시교육청 소속 일선 유·초·중·고등학교에 근무하고 있는 교무행정지원사, 교육실무사(교무), 유치원에듀케어강사, 돌봄전담사, 전문상담사, 지역사회교육전문가, 영양사, 조리사, 조리원, 총 9개 직종 교육공무직원 1,100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연구문제 검증을 위해 SPSS 25.0 통계프로그램을 사용하였으며, 기술통계 분석, 평균차이 분석, 상관분석, 다중회귀 분석을 사용하였으며, 매개효과의 분석을 위해서는 Baron & Kenny(1986)의 3단계 회귀분석을 시행하였다. 이에 따른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서울특별시교육청 교육공무직원의 공공봉사동기는 5점 만점에 다소 높은 수준을 나타냈다. 하위차원 중에서는 공공가치몰입의 평균값이 가장 높았고, 동정심, 공공봉사호감도, 자기희생 순이었다. 종속변수인 직무만족의 평균값은 조직몰입에 비해 월등하게 낮은데, 서울특별시교육청 지방공무원의 직무만족과 비교했을 때 1 이상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매개변수의 경우개인-직무적합성의 평균값이 개인-조직적합성에 비해 월등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집단 간 차이를 분석한 결과 기혼이, 자원봉사 경험이, 연령이 많을수록 공공봉사동기에 긍정적인 영향을 나타냈으며, 헌혈경험은 집단 간 차이가 거의 없었다. 둘째, 공공봉사동기의 하위 요인 중에서 공공봉사호감도, 공공가치몰입, 자기희생은 조직몰입에 유의미한 정(+)의 영향을 미쳤고, 동정심은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공공봉사동기의 하위 요인 중에서 자기희생은 직무만족에 유의미한 정(+)의 영향을 미쳤고, 동정심은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조직몰입과 직무만족에 공공봉사동기의 하위차원 중에서 자기희생이 가장 큰 영향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공공봉사동기와 적합성의 영향력에서는 자기희생이 개인-조직적합성에 가장 큰 정(+)의 영향을 미쳤고, 동정심은 부(-)의 영향을 미쳤다. 공공봉사호감도는 개인-직무적합성에 가장 큰 정(+)의 영향을 미쳤다. 넷째, 매개변수인 개인-조직적합성과 개인-직무적합성은 구성원의 조직몰입에 긍정적인 영향을 나타냈다. 특히, 개인-조직적합성은 개인-직무적합성에 비하여 조직몰입에 큰 영향력을 보였다. 그러나 직무만족에 대해서는 개인-조직적합성은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 반면, 개인-직무적합성은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공공봉사동기와 구성원의 조직몰입과 직무만족과의 관계에서 개인-조직적합성은 모두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개인-직무적합성은 조직몰입은 매개하나 직무만족은 매개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위의 결과를 종합해보면 교육공무직원의 공공봉사동기가 조직몰입과 직무만족 그리고 개인-조직적합성과 개인-직무적합성과의 관계에서 모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은 아님을 알 수 있다. 이는 공공봉사동기가 직무태도와 적합성에 긍정적으로 작동하기 위해서는 우호적 조직문화와 성과에 대한 적절한 평가, 내·외재적 보상, 자신의 의사를 반영한 직무배치 및 전보 등 일정한 조건이 충족되어야 하며 그렇지 못할 경우 공공봉사동기가 교육공무직원들에게 항상 긍정적인 조건으로 작용하지 않을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교육행정서비스의 양과 질에 지대한 영향을 미치는 서울특별시교육청 소속 교육공무직원의 공공봉사동기와 조직몰입 및 직무만족과 개인-조직적합성 및 개인-직무적합성을 높이기 위한 방안을 제시하였으며, 본 연구를 토대로 후속연구의 필요성을 언급하였다.

      • 현장 교사 재교육을 위한 교수 블로그 개발에 관한 연구 : 청주교육대학을 중심으로

        김진섭 충주대학교 산업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7631

        A study on how to develop self-regulated learning strategies and to promote intrinsic motivation towards learning is becoming required due to the rapid development of the information society and lifelong learning. As an effective solution to such demand blogs are beginning to attract much attention. Blogs are believed to improve learning outcomes by promoting motivation for learning and increasing interaction between students. As a result, the importance of them in education is increasing as an effective cognitive tool. Many teachers have been adopting blogs in an attempt to promote students' learning. They have demonstrated the feasibility of implementing a cooperative e-Learning environment using blogs and are believed to have achieved their purposes. Using blogs in an e-Learning environment causes learners to participate with enthusiasm in learning and in the assessment process unlike the traditional classroom learning environment. Students in the e-Learning environment seem to have participated in learning process with more responsibilities due to the result of being able to make self-directed decisions regarding the learning time, learning space and learning period involved in such classes. Thus, in the e-Learning environment, self-regulated learning strategies learners use and how to get students interested in learning will become more important compared with the traditional learning environment. Unfortunately it is true that research in the e-Learning field has not met these demands. Moreover, blogs can be used to write students' thoughts, feelings, and perceptions in connection with particular circumstances and contexts, so practitioners in education see blogs as an imperative cognitive tool which can be used in enhancing students' motivation towards learning, the interaction between students and learning effectiveness. In this study, the effectiveness and usability of blogs for in-service teachers with reference to training and lifelong education have been verified. 정보 사회의 발달과 일반화에 따라 평생 학습이 중요시 되면서 e-Learning 학습 환경에서 자기 조절 학습 전략의 확립과 내재적 동기를 촉진할 수 있는 방법론에 대한 연구가 중요시 되고 있다. 이에 대한 효과적인 해결책으로 주목받고 있는 것이 블로그(BLOG)이다. 블로그는 학습자의 학습 동기 및 상호작용을 촉진시키고, 학습의 효과성을 증진시킬 수 있는 학습 도구로써 그 중요성이 점점 더 증가하고 있다. 이에 교육현장에서 블로그를 사용하는 방법론과 시도가 많이 나타나고 있으며 실제 많은 성과를 거두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러한 블로그를 이용하는 e-Learning 학습 환경에서는 전통적 교실 수업과는 달리 학습자가 학습 시간, 학습 공간, 학습 기간 등 수업에 관련된 많은 요소들을 자기 주도적으로 선택하고 결정하므로 많은 책임감을 가지고 적극적으로 학습에 임할 수 있다. 이렇듯 e-Learning 학습 환경에서는 학습자가 자기 조절 학습 전략을 얼마나 잘 활용하는지에 대한 여부와 학습에 대해 얼마나 흥미를 가지고 임하느냐에 대한 문제가 기존의 전통적인 학습 환경에서 보다 더 크게 부각되어야 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제까지의 e-Learning 연구들은 이러한 요구에 부응하지 못한 것이 사실이다. 반면에 블로그를 이용하는 방법은 특정 상황에 대한 자신만의 생각, 느낌, 인식, 시점 등을 상황별, 시간별 혹은 기간별로 작성할 수 있는 기능이 있어 블로그가 학습자의 학습 동기 및 상호작용성 그리고 학습의 효과성을 증진시킬 수 있는 도구로써 인식됨에 따라 교육 현장에 블로그를 사용하려는 시도들이 많이 나타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교육대학을 졸업하고 현장에서 직접 학생들을 교육하고 있는 교사들의 재교육과 평생교육을 위한 블로그를 구축하여 그 효과성과 유용성에 대해 검증하고자 한다.

      • 과산화수소 민감성 전구약물을 이용한 신생 혈관 형성 촉진 유도 및 항 염증 효과

        김진섭 전북대학교 일반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7631

        하지 허혈성 질환은 동맥경화성 하지동맥 협착 및 폐색증과 같은 원인해 의해 유발된다고 알려져 있다. 이러한 하지 허혈성 질환은 국소 부위에 저산소증을 유발하며[1], 이에 대한 자가 치유의 과정에서 과산화수소가 발현되게 된다[2]. 발현된 과산화수소는 허혈의 치유를 위하여 염증발생과 신생혈관 형성의 중재자적인 입장을 취한다[3]. 그러나 여러 이유로 과 발현된 과산화수소는 체내 독성을 가지기 때문에, 본래의 목적과는 다르게 주변 조직을 괴사시키거나 혹은 신생 혈관 형성 저해의 결과를 가져오기도 한다[4, 5].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고자 과발현된 과산화수소의 소거 및 항산화 약물 방출 기능을 갖는 항염증, 신생혈관 형성 촉진 전구약물을 설계하였다. 이 전구약물은 과산화수소에 의해 분해되며, 뒤이어 신생 혈관 형성 촉진을 한다고 알려져 있는 4-하이드록시 벤질알코올 (HBA)을 방출한다. 특히, 위 약물의 작용 기전을 이해하기 위하여 두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첫 번째로 과산화수소 농도 조절에 의한 생리 활성 기능과 두 번째로 HBA의 항염증 및 신생혈관 형성 촉진 기능이 그것이다[1]. 두 가능성 중 어떤 경로가 신생 혈관 형성 촉진 과정에 결정적 역할을 하는지 확인하기 위하여, 세포 실험 및 동물 모델에서 약물을 투여하였으며, 다양한 지표에서 특이적인 항 염증 효과와 신생 혈관 형성 촉진 효과를 확인하였다. 또한, 과산화수소 소거와 HBA 방출에 의한 효과가 중첩되어, 단일 치료 효과와 비교하여 월등한 항염증 및 신생 혈관 형성 촉진 작용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말초 동맥 질환 (PAD)과 같은 저산소증 환경을 가진 병변 부위에 효과적인 혈관 형성 촉진 능력을 기대해 볼 수 있을 것이다[2, 5].

      • 장기미집행 도시계획시설 해소방안 : 양주시를 대상으로

        김진섭 대진대학교 2016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examine the overall overviews and problems of long-delayed urban planning facilities, identify plans and enforcement methods to solve them, and establish solutions for long-delayed urban planning facilities with a focus on Yangju City. As there are long-del ayed urban planning facilities waiting for their execution, they have become a huge obstacle to the exercise of private property rights by individuals and increased their mistrust in the government's administration. In 1999, the Constitutional Court found the provisions of Article 6 of Urban Planning Act unconstitutional, thus ensuring the protection and exercise of private property rights and leading to the supplementation of long-delayed urban planning facilities system. Local governments have made efforts to raise their execution rates, but the results have been so poor that the citizens cannot recognize them. The present study thus set out to investigate the current state and reasons of long-delayed urban planning facilities and propose their solution with the case of Yangju City. The findings point to the following reasons for their long delay in execution: 1. Like other cities across the nation, Yangju also had excessive plans for urban facilities and experienced a lot of difficulties with their execution. The central government(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 and metropolitan government(Gyeonggi Province) have the rights of reviewing and approving an urban management plan fit for the local features submitted by local governments(cities, guns, and gus). Applying the criteria of central or metropolitan government that exceed their own financial capabilities, local governments end up making excessive urban plans whose execution may long be delayed. 2. Long-delayed urban planning facilities are scattered around the suburbs and densely built-up residential areas. Their expenditures get to exceed the planning budgets due to the rising compensation expenses according to the official land prices, which increase annually, and the increasing business expenses according to the rising prices, thus getting delayed in execution. 3. There are problems with other acts and urban planning facilities. That is, urban plans get to conflict each other when observing 53 acts of seven kinds. A river maintenance plan, for instance, is made every ten years, whereas an urban management plan is made every five years, which means river plans may contrast urban management plans. (In case of Yangju, there was no conflict between them as they applied the basic river plan when making an urban management plan.) 4. Individuals' property rights for their private land can be infringed upon, and local government may suffer from increasing financial burdens. When execution does not follow a plan, individual pieces of land included in the plan are left as long-delayed unexecuted facilities, which impose a lot of restrictions on the exercise of property rights. With the responsibility to resolve them, local governments fail to reflect the rising compensation expenses according to the annually increasing official land prices and the rising construction costs according to the increasing prices in the plan budget, thus suffering from bigger financial burdens. The study proposed the following plans to solve the causes of long-delayed urban planning facilities and increase their execution rates: 1. They need to set a priority of facility investment among the entire long-delayed urban planning facilities. It is important to figure out the project costs needed by long-delayed urban planning facilities and secure the required annual budgets. It is also needed to prepare for the loss of effect by setting an investment priority through a service order. 2. They need to prepare provisions of evidence to resolve the issue of unexecuted facilities in details as discussed above when making changes to the urban management plans every five years. By actively reflecting them as criteria, they should categorize the plans into the retention, dissolution, and partial dissolution group and prevent no execution of urban planning facilities from the planning stage. 3. The central or metropolitan government should take active part in urban management plans made by local governments. That is, local governments make urban management plans based on the guidelines set by the central or metropolitan government, which means that the central or metropolitan government offers some clues about long-delayed urban planning facilities and should search for active supportive plans. 4. Construction costs can be secured after purchasing the required lots to prevent the urban plans from losing their effect. The lots included in a park plan can be partially changed in their designated use to increase the property value of land owners and induce them to donate the remaining area to the park. 본 연구는 장기미집행 도시계획시설 해소방안(양주시를 중심으로)에 대하여 전반적인 개요와 문제점과 이를 해소하고자 하는 계획 및 추진 방법을 도출하여 이를 바탕으로 장기미집행 도시계획시설의 해소방안에 대하여 정립하고자 하는 목적을 가지고 있다. 미집행 도시계획시설이 장기간 집행되지 않음으로 인해 개인의 사유재산권 행사의 커다란 장애를 남김으로, 행정에 대한 불신이 증가하는 문제가 제기되어 왔다. 특히 1999년도 헌법재판소의 도시계획법 제6조 규정의 위헌 판결로 사유 재산권 보호와 권리를 찾아주었다. 따라서 장기미집행 도시계획시설의 제도가 보안되었으며 집행율을 높이기 위한 노력을 지방 자치단체별로 추진되어 왔으나 그 결과는 아주 미미하여 시민이 체감 할 수 있는 정도는 아니다. 따라서 본 연구에 목적은 양주시의 사례를 중심으로 장기미집행 도시계획시설에 대하여 현황조사 및 미집행 사유를 조사하고 해소방안을 제시하는 것이다. 그 조사결과 미집행 사유는 아래와 같다. 1. 과도하게 수립된 도시계획시설은 전국과 비교하여 양주시도 유사하게 수립되어 계획대비 집행에 많은 어려움을 겪고 있다. 국가(국토교통부) 또는 광역자치단체(경기도)는지방자치단체(시 ․ 군 ․ 구)에서 지역 특성에 맞는 도시관리계획을 수립하면 이를 검토 ‧ 승인하는 권한을 갖고 있다. 그러므로 지방자치단체에서는 재정능력보다 과한 중앙 또는 광역자치단체의 수립 기준을 준용하여 도시계획을 수립하게 되어 장기미집행 도시계획이 수립 될 수밖에 없다. 2. 장기미집행 도시계획시설은 도시 외곽부와 주택 밀집지역에 산재해 있으나 매년 증가하는 공시지가로 인하여 보상비가 증가하고 물가 상승에 따른 소요사업비의 증가로 인하여 계획된 예산보다 과도한 지출로 집행이 늦어지고 있다. 3. 타 법률과 도시계획 시설의 문제점을 들 수 있다. 즉 도시계획을 수립함에 있어 타 법률 7종 53개 법률을 준용함에 있어 계획이 상충되는 경우를 들 수 있다. 예를 들면 하천의 경우 하천정비 계획은 10년에 한번 정비되고 있으나 도시관리계획은 5년마다 이루지고 있어 하천계획과 도시관리계획 수립시 두 계획이 상충 될 수 있다. (양주시는 확인결과 하천기본계획을 준용하여 도시관리계획을 수립하므로 상충되는 경우는 발생하지 않았다.) 4. 사유지에 대한 재산권 침해 및 지방정부에 재정부담 증가를 들 수 있다. 계획수립 후 집행이 이루어지지 않아 계획에 포함된 개별 사유지는 장기간 미집행 시설로 남아 재산권 행사에 많은 제약을 주고 있다. 그러나 이를 해소해야 할 지방 자치단체에서는 매년 공시지가의 상승으로 인한 보상비의 증가와 물가 상승율에 의한 공사비의 증가로 이를 반영한 예산 편성이 이루어지지 않고 있어 지방 자치단체에 재정 부담이 되고 있다. 따라서 장기미집행 도시계획시설의 발생 원인을 해소하고 집행율을 높이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방안이 요구된다. 1. 우선 장기미집행 도시계획 시설에 대한 전체 현황에 대하여 우선 시설투자에 대한 순위를 결정하여 한다. 장기미집행 도시계획시설에 소요되는 소요사업비를 파악하고 매년 소요 예산을 확보하여야 한다. 아울러 용역발주를 통하여 우선 투자순위를 확정하여 실효에 대비하여 한다. 2. 5년마다 시행하는 도시관리계획 변경에 있어서 위에서 제시한 바와 같이 세세하게 미집행 시설을 해소할 수 있는 근거조항을 만들고 이를 기준으로 적극 반영하여 존치, 해제, 부분해제로 나누어 반영하고 계획수립부터 미집행 도시계획 시설을 해소하여야 한다. 3. 광역자치단체 또는 국가의 적극적인 참여이다. 즉 자치단체에서 수립한 도시관리계획은 기 시달한 중앙정부 또는 광역자치단체의 지침에 의거 수립된 계획으로 장기미집행 도시계획시설에 대한 단초를 제공하였으므로 적극적인 지원방안이 강구되어야 한다. 4. 우선 도시계획의 실효를 방지하는 차원에서 부지 매입 후 공사비를 확보하는 방안을 강구할 수 있으며 또한 공원에 편입된 부지중 일정부분에 대하여 지목변경을 통해 토지주의 재산 가치를 높여주고 잔여면적은 공원 부지로 기부채납 받는 방식의 제도도입을 들 수 있다.

      • 카를로 스카르파의 전시공간 디자인 특성에 관한 연구

        김진섭 건국대학교 예술디자인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7631

        국문초록 카를로 스카르파의 전시공간 디자인 특성에 관한 연구 이탈리아의 지역주의 건축가로 알려진 카를로 스카르파(Carlo Scarpa)는 건축가로서의 명성보다는 자신의 디자인적 표현의 완성도를 높이는데 집중한 건축가이다. 이탈리아의 디자이너는 건축, 가구, 조형 등으로 세분화된 것이 아닌, 종합적으로 모든 분야를 넘나드는 토탈 디자이너이다. 스카르파 또한 그의 모든 작품에 있어 외부와 내부, 조형, 조경 등 모든 곳에 그의 손길이 닿아 있으며, 그것들의 조화는 하나의 예술작품으로 인식된다. 카를로 스카르파는 활동시기보다는 사후에 더욱 인정을 받고 있다. 당시 세계전쟁 이후 재건을 위한 빠른 공정과 규모에 대한 요구는 그에게 부합되지 않아 오랜 침체기를 보내었다. 이후 유리공예에 대한 심취와 여러 분야 작가들의 전시공간계획을 진행하며 자신만의 디자인 철학을 완성하게 되었다. 또한 프랭크 로이드 라이트(Frank Lloyd Wright)를 알고 감명 받아 미국을 여행하게 되고, 일본 문화에 대한 관심은 두 번의 여행으로 이어졌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카를로 스카르파가 가지는 디자인 철학을 바탕으로 실내디자인적 측면에서 전시공간의 디자인 특성을 도출하고 종합하여 그의 디자인 방법론을 알아보는 것이다. 연구의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 번째, 베네치아의 도시적 맥락의 이해를 통한 중력에 반하는 부유성이 표현되었다. 주로 계단에서 확인된다. 두 번째, 장인적 기술과 정확한 물성의 이해를 바탕으로 설비와 계단, 기둥, 개구부 등을 이용한 오브제성이 표현되었다. 또한 그가 영향 받은 다양한 작가들의 언어가 엿보인다. 세 번째, 벽과 바닥, 천장의 패턴을 통해 공간에 리듬감을 부여하며 전시공간이 방향성과 인지성을 가지게 하였다. 네 번째, 빛을 효율적으로 받아들이기 위해 모서리창과 천창을 사용하였으며, 유입된 자연광은 방향성과 시간성을 가진다. 다섯 번째, 정확한 물성의 이해를 바탕으로 한 차이를 강조하기 위한 디테일의 분리와 분절이 나타난다. 이질적 재료들 또는 분리를 통한 보이드(Void)를 이용하여 하나의 면 또는 하나의 오브제로 보이게 하였다. 여섯 번째, 매스의 강조를 위한 금속 프레임은 일종의 재료적 경계로 작용된다. 이러한 연구의 결과로 공간을 이루는 모든 것에 정성을 기울인 장인 정신과 그로부터 나타나는 디테일과 마감이 실내디자인을 하는 사람들과 하고자 하는 사람들에게 좋은 귀감이 되기를 기대한다. ABSTRACT Study on Design Characteristics of Carlo Scarpa's Exhibition Spaces Kim, Jin Seob Department of Interior Design Graduate School of Art and Design, Konkuk University Carlo Scarpa known as an Italian regionalist architect focused on enhancing the integrity of his design expression, rather than his reputation as an architect. The Italian designers are not are divided into those engaging in architecture, furniture and sculpture, but are the total designers who can comprehensively deal with all fields. All of Scafpa’s works, including interior, exterior, sculptures and landscapes are also touched by his hands, and the combination of them is recognized as an art work. Carlo Scarpa has been more highly valued after death, than during the time of activity. He spent a long downturn, as demands for fast process and large scale, for the reconstruction after World War did not match with his tendency. Then, he completed his own design philosophy, as he was devoted in glassblowing and made plans for exhibition spaces of authors from many fields. In addition, he traveled to U.S.A, after he was aware of and impressed by Frank Lloyd Wright, and his interest in the Japanese culture led to two trips to Japan. The purpose of this study, therefore, is to examine his design methodology, by drawing and comprehensively considering the design characteristics of exhibition spaces in terms of interior design, based on his design philosophy. The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floating acting against gravitation was expressed through understanding of the urban context of Venezia, and is often verified on steps. Second, object characteristics were expressed by using equipment, steps, pillars and openings, based on artisan skills and exact understanding of properties of matter. In addition, the languages of various authors who influenced him are glanced at. Third, exhibition spaces were made to have orientation and cognitiveness, by applying rhythmic sense to the spaces through patterns of walls, bottoms and ceiling. Fourth, corner windows and cloth windows were used to effectively receive light, and introduced natural light has orientation and temporality. Fifth, separation and segmentation of details for stressing difference occurs based on exact understanding of properties of matter. One plane or one object were shown by using heterogeneous materials or Void through separation. Sixth, metal frames for stressing a scalpel acts as a kind of material boundaries. The craftsmanship of masters who devoted themselves in all things constituting spaces and details and finishing, derived from it are expected to be desirable models for people engaging in interior design and candidat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