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칠광도(七狂圖)에 나타난 경관분석에 관한 연구

        김정식 전북대학교 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7647

        Among the historic sites of the Joseon dynasty, there are few historical materials that depict the buildings around the sites and geographical features. Most topographical maps handed down like Donggweol-do(東闕圖) or Gyounggigamyoung-do(京畿監營圖) are just depict the palace or government office. Chilkwong-do(七狂圖) studied on this thesis is different with those maps in that it describes the traditional villages and agricultural districts very graphicall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vestiges of our ancestors' life style and the intrinsic features of the traditional culture and understand the factors of the landscape that Korean landscape had in the era based on the study. The peculiarity of the landscape painting and cultural assets depicted on this historical record were studied. And the subject was classified into several landscape factors to be compared with the present features of them. The result of the study is summarized as following. 1. Chilkwong-do(七狂圖) is the painting that the seven men called Chilkwong(七狂) painted the features their living in easy after their submitted memorial about the disposed queen Yinmok(仁穆) was ignored in 1613. 2. We inferred the age of Chilkwong-do(七狂圖) is middle-18th century from the analyzing many factors such as a trend of construction, a style of painting, phenomena of the era, and so on. 3. We analyzed the peculiarity of the landscape painting : the social background of the painting, the style, composition, and the staffage. 4. We studied the scale and the location of the cultural assets that described on Chilkwong-do(七狂圖), comparing with present features through the documentary records and examining the present condition. 5. We compared present topography with this historical topography that showed the structure of the village and the natural environment before the characteristic form of the land was changed through several landscape factors.

      • 초등 5학년 사회과 교육에서 역사학습 만화의 유용성 연구 : 2007년 개정 사회과 교과서와 『만화 한국사 바로보기』의 비교 분석

        김정식 인제대학교 2012 국내석사

        RANK : 247647

        국 문 초 록 초등5학년 사회과 교육에서 역사학습 만화의 유용성 연구 인제대학교 교육대학원 역사교육전공 김정식 이 연구의 목적은 역사학습 만화가 초등학생들에게 역사 학습에 대한 흥미를 일이키고, 교수-학습 자료로서 유용성이 있는지에 대해 알아보는 데 있다. 이를 위해서 먼저 학습만화의 실태와 특성에 대해서 살펴보았고 역사 학습만화가 학습 상황에서 활용될 수 있는지, 교수-학습 자료로 적합한지 교과서를 중심으로 비교 분석해 보았다. 초등학생의 발달 단계상 역사학습은 어렵게 느껴질 수밖에 없다. 직접 만지고 눈으로 확인할 수 없는 역사학습의 특성상 다양한 시각적 자료가 필수적이지만, 현재 관련 자료는 충분하다고 할 수 없다. 그러한 점을 보완하기에 역사 학습 만화는 좋은 보충 자료가 될 수 있다. 먼저 학생들의 설문조사를 통하여 학습만화에 대한 인식과 흥미도를 조사한 결과, 많은 학생들이 학습만화를 즐겨 보고 있었다. 학습 만화를 통하여 학습에 도움을 받은 적이 있다는 학생이 많았고, 학습 만화로 공부에 도움을 받고 싶은 과목은 역사로 나타났다. 이러한 설문조사를 토대로 현재 화제가 되고 있는 역사학습 만화 『만화 한국사 바로보기』와 2007년 개정 사회과 교과서를 비교 분석하여, 역사학습 만화가 교수-학습 자료로서 적합한가에 대해 평가하였다. 그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게 되었다. 첫째, 『만화 한국사 바로보기』와 2007년 개정 사회과 교과서의 내용상의 체계는 서로 거의 흡사하였다. 정치사와 문화사가 구분되어 있는 교과서와는 달리,『만화 한국사 바로보기』는 정치사와 문화사, 생활사가 적절히 섞여 있어서 당시 사람들의 생활을 정치사와 함께 이해하기에 유리했다. 둘째, 교과서의 서술은 책의 분량이 한정 되어 있어 자세하고 쉬운 설명을 하기 어려운데, 『만화 한국사 바로보기』의 경우 방대한 분량으로 상세한 설명과 인물묘사를 통하여 학습자가 역사적 사실을 인식하는데 도움을 주고 있다. 셋째, 유물, 유적 관련 사진의 경우, 『만화 한국사 바로보기』는 교과서보다 많이 수록하여, 학습자의 궁금증을 해결하는 데 도움을 주고 있다. 교과서와 비교해본 결과, 역사 학습만화가 학습자들에게 역사에 대한 흥미를 유발하고, 교과서에서 부족한 설명을 보충할 수 있으며, 역사 학습에 대한 동기유발 자료로서 좋은 역할을 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역사 학습만화는 학생들의 흥미와 사고를 자극하고, 학습에 자율적이고 적극적으로 참여하도록 유도하는 교수-학습 자료로 충분히 기능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시중의 역사 학습만화가 교수-학습 자료로서 적합한 지 선별하기 위해서는 교사가 적극 동참하여 지도해야 한다. 또한 역사 학습만화를 펴내는 출판사나 만화가도 뚜렷한 역사의식을 갖고, 전문가의 감수를 거쳐 학습자에게 도움이 될 수 있는 역사 학습만화를 펴내야 할 것이다. Abstract A research on the usability of history education comic books in sociology education for fifth grade students in elementary school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Inje University History Education Major Jung-shik Kim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find out whether the history education comic books induce interest of learning about history in elementary school students and they have usability as teaching-learning materials. For the research, I looked into the current status and characteristics of educational comic books first, and then compared and analyzed textbooks if history education comic books can be used for learning and proper for teaching-learning. History education must be difficult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terms of their development stage. Since the students can't touch or see the history by themselves, diverse visual materials are essential but there are not enough relevant materials at present. In order to supplement this, comic books on history can be good supplementary materials. As the result of survey on students about recognition and interest rate for educational comic books, many students are enjoying reading educational comic books. Many students responded that they have been helped by educational comic books for learning and they said history subject is that they want to get help through educational comic books. Based on these survey results, I compared and analyzed 'The correct perspective on Korean History: Comic book' which is a popular history education comic book at present and 2007 revised sociology textbook and then evaluated if history education comic books are proper as teaching-education materials. The followings are the results from the analysis. First, 'The correct perspective on Korean history: A comic book' and 2007 revised sociology textbook have similar contents system. Unlike the textbook that divided politics and the history of culture, 'The correct perspective on Korean history: A comic book' mixed the history of politics, culture, and everyday life so that it allows easy understanding on the history of politics as well as everyday life of normal people. Secondly, the textbook has limited space of narrative that it can't have detailed and easy explanation but the 'The correct perspective on Korean history: A comic book' has detailed explanations and descriptions on characters in large space which is helpful for learners to recognize about historic facts. Thirdly, 'The correct perspective on Korean history: A comic book' has more pictures on remains and historic sites that are helpful for learners to resolve curiosity. As the results on comparison with the textbook, history education comic books induce interest on history for learners, may supplement insufficient explanation for textbook, and can take a good role as motivational material for history education. History education comic books can function well as teaching-learning materials that stimulate interest and thinking of students and induce them to participate in the learning autonomously and actively. In order to select proper history education comic books in market for teaching-learning material, teachers should actively participate in the instruction. Moreover, publishers and comic book authors should have clear sense of history and publish history education comic books that are helpful for learners through editing by experts.

      • 방사선 차단을 위한 친환경 중량콘크리트에 관한 연구

        김정식 서울산업대학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31

        철강산업은 다량의 원료와 다량의 에너지를 소비하는 대표적인 업종으로 제선, 제강, 압연 등의 복잡한 일련의 생산 공정을 거치면서 철강생산과 더불어 부산물인 철강슬래그를 다량 발생시킨다. 그러나 이 철강슬래그 중 고로슬래그는 재활용이 이루어지고 있는 반면 제강슬래그는 유리석회()를 0.1%에서 20%까지 다양하게 함유하고 있어 슬래그 내부로 침투되는 물과 반응하여 수산화칼슘()의 생성과 더불어 체적 팽창을 일으켜 구조물의 붕괴를 초래하므로 최근에는 전기로의 제강 공정 중 산화 및 환원 정련으로 분리시켜 배출되는 기술이 상용화 되고 있어서, 전기로슬래그의 산화슬래그 재활용 가능성이 매우 높아지고 있어, 본 연구는 제강슬래그 중 전기로슬래그의 정련공정에서 분리 방출되는 전기로산화슬래그를 콘크리트용 골재로의 활용성을 위한 기초자료의 제공과 아울러 중량콘크리트의 방사선 차폐성능 효과파악을 통한 친환경 중량콘크리트에 대한 기초 자료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론을 요약하면, 전기로산화슬래그 골재에 대한 천연골재 대체에 따른 콘크리트의 품질특성과 차폐특성을 검토한 결과 높은 밀도와 낮은 흡수율에 의해 적정한 골재 사용방법에 따라서 콘크리트의 작업성 개선 및 강도 증진, 탄성계수 증진, 중량콘크리트의 방사선차폐성능 등의 품질 개선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어 전기로의 제강 공정 중 산화 및 환원정련으로 분리 시행하여 전기로산화슬래그만을 분급할 경우 전기로산화슬래그의 유효자원화가 가능성이 매우 높은 것으로 사료된다.

      • 아라미드 섬유와 철근으로 보강된 철근 콘크리트 벽체의 구조성능에 관한 연구

        김정식 漢陽大學校 大學院 2003 국내석사

        RANK : 247631

        국내의 경우, 대표적인 주거용 건물로서 순수 벽체만으로 시공된 아파트 건물들의 노후도가 심하거나, 기타 요인들에 의해 피해가 발생하여 구조성능회복 또는 성능증진의 필요성이 높아지고 있다. 이들 벽체에 발생한 피해가 경미한 경우에는 균열면에 대한 보수정도로 건물의 성능을 확보할 수 있지만, 피해정도가 심각하여 콘크리트 뿐만 아니라 철근 등의 주요 요소가 비선형 변형을 경험할 경우, 피해가 발생한 부위에 대한 보강이 필요하게 된다. 손상을 입은 휨벽체의 보강 방법을 평가하기 위해서 실험이 수행되었다. 4개의 벽체가 거의 파괴에 이르렀고 철근은 항복을 하였다. 따라서 1d 구간내의 콘크리트를 새로운 콘크리트와 섬유쉬트에 의해서 각각 대체되었다. 보강벽체에서 아라미드 섬유의 효과를 평가하기 위해서, 아라미드 섬유는 실험체의 수평 수직 방향으로 부착되었다. 수평 하중은 일정하게 축력이 유지된 상태에서 실험체 상부에서 가력되었다. 실험결과는 강섬유 콘크리트에 의한 보강은 손상전 벽체 강도의 100%까지는 회복되지는 않지만, 아라미드 섬유에 의해서 벽체 강도는 충분히 보강이 된다는 것을 보여준다. 그러나 쉬트 단부에서 정착 문제에 의한 구조 성능의 감소는 고려할 필요가 있다. 전단벽의 변형성능을 평가하기 위해서 트러스 모델이 제시되었다. 전단벽의 변형은 전단과 휨 변형의 중첩된 형태로 표현된다. 변환각 트러스 모델 개념과 기존의 단면 해석 프로그램인 Xtract를 사용하여 전단과 휨 변위를 계산하였다. 본 논문은 총 6장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제 1장은 서론, 제 2장은 기존연구 및 보강방법 고찰 제 3장은 보강성능 실험, 제 4장은 보강성능평가, 제 5장은 트러스모델 해석, 제 6장은 결론으로 나뉘어 기술하였으며 각 장에 기술된 내용을 간단히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제 1장에서는 연구의 배경 및 목적, 연구내용 및 범위등을 명시하였다. 제 2장에서는 기존 연구의 고찰 및 보강 계획을 정리하였다. 제 3장에서는 실험 및 계측 방법 그리고 실험을 통해서 얻어진 실험결과를 정리하였다. 제 4장에서는 포락선, 최대강도 및 항복강성, 연성비 그리고 에너지 소산능력 평가에 의해서 보강 효과를 평가하였다. 제 5장에서는 트러스 모델에 의한 해석결과와 실험결과를 비교하였으며, 타이모델을 제시하였다. 제 6장에서는 이상과 같은 실험 및 분석 연구를 통해 얻은 결론을 기술하였다.

      • 아파트주방의 형태특성에 관한 연구

        김정식 청주대학교 산업경영대학원 2006 국내석사

        RANK : 247631

        In Korea, the high-rise apartment was very successful in that it provides the great convenience in quantity and quality. Also, it actually became the most general housing form in Korea because of its functional and economic efficiency. The lifestyle in Korea has been much changed with time as the nuclear family and the couple working together for a living prevail against the traditional and extended family. According to this moderner's needs for some simpler and easier pattern of life, the modern housing has changed to the stand-up character especially in the systematized kitchen. The cookroom is particularly important for residents in the respect of providing them the reasonable and efficient space, and it is regarded as the public place where they can spent time at leisure and rest. Therefore this research has the purpose to originate a more convenient kitchen room through surveying and analyzing the form of the character in the cookery for apartment. The bounds of this thesis is presented as a tentative plan after exploring the fields of construction work in Mapo-gu(World Median, Wooseong, Samsung, Hyendae, Taeyoung, e-Pyeonhansesang, LG Jai) and Yongsan-gu(Daelim, Dongyang, Samsung liberville, Sindonga, GS cheongamjai) of Seoul where are very activated to build apartments lately.

      • Comprehensive Quality Function Deployment를 위한 Software tool개발

        김정식 明知大學校 大學院 1997 국내석사

        RANK : 247631

        As new methods to be able to reflect on the various customer requirements Quality Function Deployment(QFD) is presented. When we use the QFD for the product development and design by the various customer requirements, this thesis suggests the problem of QFD analysis and the method that can analyze it totally in case of including more than one evaluation lists within planning matrix. Especially, comprehensive QFD included cost factor and was analyzed in terms of law cost. Also, I developed a software tool using Visual Basic of Microsoft Excel to be able to use actually.

      • 주택재개발 조합원분양가격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김정식 건국대학교 2013 국내석사

        RANK : 247631

        주택재개발은 주로 도심부 또는 오래된 주거지역 중에서 건물이 노후하거나 토지이용상태가 불량하여 본래의 기능을 충분히 발휘할 수 없게 된 지역에서 도시환경을 개선하고 아울러 지역 활동에 활력을 불어 넣고자 하는 도시개발 사업을 의미하는데, 기존까지는 주택재개발 종후아파트의 조합원 분양가는 일반분양가에 비해 낮은 수준에서 결정되면서 재개발사업의 프리미엄으로 작용하고 있었으나, 2007년 말 이후 시행된 분양가 상한제 등 각종 규제, 재개발사업에 대한 막연한 기대감에 따른 지분가격에 대한 거래가격 상승, 세계적인 금융위기이후 지속적인 부동산 경기침체 등으로 인하여 (-)프리미엄이 발생하거나, 분양포기 및 현금청산 신청 등이 증가하고 있는 상황에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재개발종후아파트의조합원분양가격결정요인을결정하고, 재개발사업의 종후자산 평가에 대한 요인별 중요도를 파악함으로써, 조합 및 조합원들에게는 조합원분양가의 구성내역 및 그 중요도를 알 수 있게 해주고, 해당 정비업체에는 재개발사업의 비례율에 영향을 미치는 실질적인 요인과 그 중요도를 확인시켜줌으로써 적정한 비례율 또는 사업성 검토 등에 기여하고자 하는 데 연구의 목적을 두고자 한다. 본 연구를 통해 도출된 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주택재개발 종후아파트 조합원분양가격 결정요인의 측면에서 내부 및 외부의 간접적 요인을 제외한, 조합원분양가격의 기준을 결정하는 직접적 요인에 대하여 16가지로 제시하였다. 둘째, 평가계층간 쌍대비교를 통한 가중치 산정 결과 사례의 단지별 특성에 따라 다소 차이가 있었는데, 3개 사례들 중 2개 단지에서 대지비항목이 가장 중요하였으며, 1개 단지에서 건축비항목이 가장중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대지비 항목에 대한 사례단지들의 설문결과를 종합할 때, 종전자산평가액, 손실보상 및 이주비, 대지조성비 및 기타공사비, 지장물정비비, 조사측량비순으로 나타났다. 넷째, 건축비 항목에 대한 종합결과는 건축시설공사비, 설계감리비, 건축공사 부가세, 정비기반시설 공사비, 부대시설 공사비 순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공통비 항목에 대한 설문결과를 종합할 때, 대여금이자 및 금융비용, 기타 예비비, 제반수수료 및 용역비, 조합운영비, 제반부담금, 제세금의 순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사례 단지들에 대한 AHP기법을 통해 설문조사한 결과와 실제 비용분석을 통한 비교분석 결과, 설문결과나 실증분석 결과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하는 상위 2개 요소인 종전자산 평가액(대지비)과 건축시설 공사비(건축비) 항목은 동일한 순위와 유사한 비중의 중요도 및 비율을 차지하고 있었으며, 다소 차이는 있었지만 상위항목간 순위를 유지하는 범위내에서 대체로 하위 일부 요인들에서 차이를 나타내고 있어 종합적으로는 유사한 결과를 나타내었다. 다만, 재개발단지의 사업성이 일반적인 수준을 넘어서는 경우에 있어서는 일반적으로 볼 수 있는 대지비나 건축비 항목이 아닌, 비중이 낮은 공통비 항목에서 다소 높은 비중과 순위를 나타내고 있었다. 이는 통상적인 수준 이상의 사업성을 조합원들의 몫으로 배분하기위한 방편으로 보인다. 이상의 설문조사와 실증분석의 결과의 검토결과에서 알 수 있듯이 종전자산 평가액은 재개발 조합원분양가격에서 높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음에도 비례율을 감안할 때, 조합원들간의 종전자산에 대한 객관적이고 공정한 가치를 산정하기 위한 의미와 최종 분양대상을 확정하기 위한 것이라 할 것이다. 따라서 주택재개발사업의 추진과정에서 재개발사업의 사업성(또는 비례율, 비용측면을 기준으로)은 다음으로 높은 비중과 중요도를 갖고 있는 건축시설 공사비인데, 시공사와의 공사비계약에서 제반 공사비의 적정성을 반드시 고려해야할 것이며, 불필요한 내용의 설계변경 절차를 최소화해할 것이다. 또한 조합에서는 조합원, 시공사, 대출기관 등과의 협의를 통하여 금융비용의 조절과 정확한 분석과 예측을 통한 합리적인 예비비의 설정, 협력업체와의 조화 등이 중요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다만, 본 연구의 주제와 관련하여 AHP분석기법으로 행한 선행연구가 미흡하여 논문자료를 수합하고 분석하는데 어려움이 많았으며, 조사대상 전문가 집단의 편중으로 향후 연구에서는 연구의 보편성을 높이기 위하여 조사대상 범위의 확대가 이루어져야할 것이다. 또한 설문조사결과 사례 단지들에 대한 세부적인 사항까지 이해시키기에는 한계가 있어, 설문결과와 실증분석결과에 있어 전체적인 방향성을 제시하는 데에는 문제되지 않는 정도였으나, 순위의 차이와 중요도 결과 값 간에 오차가 다소 나타났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