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김은혜 작품론집 신체의 의미분석과 상징성연구 : 2015~2016 'Body'시리즈 중심으로

        김은혜 홍익대학교 미술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7679

        오늘날 미술에서의 신체는 정신의 하위가 아니라 주체적인 서사가 있는 성별의 관념이 교차하는 극복의 현장이다. 포스트모더니즘에 들어 신체를 다루는 작업이 급증하면서 신체는 더 이상 영혼을 담는 아름다운 그릇도, 균형 잡힌 표현 체도 아니다. 이제 신체는 매우 중요한 예술적 쟁점이 되었다. 본 연구는 연구자 작업에 대한 내용을 분석하고 작품론을 논술하며 확장된 개념을 가늠해 보기 위한 연구로서 2015년부터 2016까지 신체를 중심으로 다양하게 진행해온 본인 작업을 분석하고 작업론을 확립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신체에 대한 기존의 기능적, 심미적 관점을 무너뜨리고 일반적인 인식을 넘어서 신체와 성에 대한 신체 그대로를 바라보게 하는 목적을 두고 ‘Body'시리즈를 작업했다. 신체는 이미 완성된 것이 아니라 완성해 나가야 할 하나의 풍경으로 바라본다. 연구자의 작가 노트를 가져와 말하자면 <어릴 적, 갑작스러운 신체의 변화는 수치심을 자극하는 숨겨야만 할 불필요한 부분에 불과했다. 시각적으로 성인의 몸이 완성된 지금까지도 따라다니는 불편한 문제들은 성의 정체성에 대해 늘 생각하게 한다. 작업하며 바라보는 나의 신체는 모든 것이 기록되어있는 가장 솔직한 오브제로 다가왔고 성 차이를 인식하게 되면서 내 신체에 자유를 주고자 작업을 시작하게 되었다.> 이처럼 신체(대상)를 묘사하는데 그치는 것이 작업의 목적이 아니다. 신체는 불안정 이고 미완성적인 특징 때문에 형태와 모습, 의미를 변화시키며 끊임없이 새롭게 작업할 수 있었으며. 이를 통해 신체는 언어적인 것과 시각적인 것이 만나고 엇갈리는 교차로의 근본적인 구실로써 작용함을 알 수 있었다. 작업 속 신체의 이미지 변용은 타인과 나 그리고 시간과 공간의 연관 속에서 상반된 것들의 모순들을 와해시키는 역할을 하고 있다. 연구자의 신체 작업으로부터 시작해 비슷한 작업 성향을 엿볼 수 있는 선행 작가들로 키키스미스(Kiki Smith), 로버트고버(Robert Gober) 신디셔먼(Cindy Sherman) 의 작업에 대해 정리하고 연구 작품과의 연관성과 차별점을 논구하였다. The body of art today is not the rank lower than mind, but the site to overcome the cross-concept of sex with independent description. As post-modernism shows such rapidly-increased works handling body, body is neither a beautiful container holding a spirit, nor a balanced expression any more. Now, body has become a very essential artistic issue. As a research to analyze the work contents by the researcher, to discuss the work theory, and to examine the extended concept,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researcher's works performed diversely focusing on body from 2015 to 2016 and then to establish the work theory. The series of 'Body' were performed for the purpose of viewing body as it is after breaking down the existing functional/aesthetic viewpoint of body and then exceeding the general perspective. Body is viewed as a landscape that should be completed, instead of something that has been completed already. According to the researcher's artist's note, <When I was young, the sudden physical change was no more than something unnecessary that should be hidden because of humiliation. Such uncomfortable issues following till today with the body of adult visually always make me think about gender identity. My body viewing through work was used as the most frank object recording everything, and recognizing the gender difference, I started the work to give freedom to my body.> Like this, the description of body(object) is not the purpose of work. Owing to its unstable and incomplete characteristics, the shape, look, and meaning of body could be continuously changed, which basically works as an intersection where linguistic things meet/mingle with visual things. The transformation of body image in works collapses conflicting contradictions in the relations between others and me, and time and space. Summarizing the works by Kiki Smith, Robert Gober, and Cindy Sherman as preceding artists showing similar tendency starting from body works like the researcher, the relations and differences with the research works were discussed.

      • 다양한 기원 유래 돼지 신경줄기세포의 분화 및 특성분석

        김은혜 충북대학교 2017 국내박사

        RANK : 247647

        Neural progenitor cells (NPCs) derived from pluripotent stem cells (PSCs) are promising candidates for autologous neural cell therapy. However, prior to transplantation, preclinical study of safety and efficacy are needed in large animal models such as pigs which have similar neural anatomy and physiology. The porcine brain is gyrencephalic with similar gray and white matter composition and size more comparable to the human rather than the rodent brain; however, a few reports have characterized NPCs derived from this model due to the lack of improved in vitro system to study porcine neural development. Compared with the in vivo environment, porcine in vitro embryo-culture systems are suboptimal, as they induce oxidative stress via the accumulation of reactive oxygen species (ROS). High ROS levels during early embryonic development cause negative effects, such as apoptosis. The aim of the present study was to investigate pre/postnatal neural development in the pigs from embryos to neurogenesis. Carboxyethylgermanium sesquioxide (Ge-132) is an organogermanium compound known to exert biological activities, such as antioxidant and anticancer effects. The first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 of Ge-132 (0, 100, 200, and 400 μg/mL) on the in vitro maturation (IVM) or in vitro culture (IVC) of porcine oocytes and embryos. The oocytes matured with 200 μg/mL of Ge-132 during IVM showed significantly increased intracellular glutathione (GSH) levels and decreased intracellular ROS levels compared with the control group (P < 0.05). Also, they displayed significantly higher cleavage rates (78.7% vs. 67.5%), and higher blastocyst formation rates and greater total cell numbers after parthenogenetic activation (PA) (59.5% and 67.8 vs. 38.2% and 55.3, respectively) with exhibited greater total cell numbers after in vitro fertilization (IVF) (71.5 vs. 101.3) than the control group. Also, the Ge-132–treated oocytes showed significantly higher messenger RNA (mRNA) expression levels of the oxidative related gene Nrf-2 and lower mRNA expression levels of the proapoptotic gene Bax than the control group (P < 0.05). Next study examined the effects of Ge-132 during IVC on embryonic development in porcine IVF embryos. All of the Ge-132 treatment groups displayed greater total cell numbers after IVC (98.1, 98.3, and 103.4, respectively) compared with the control group (73.9). The 200 μg/mL Ge-132 treated embryos exhibited significantly increased intracellular GSH levels compared with the control group, whereas the ROS generation levels tended to decrease as Ge-132 concentrations increased (P<0.05). The mRNA expression levels of the KEAP1 gene and proapoptotic genes BAX and CAS3 were lower in the Ge-132-treated blastocysts compared with the control group (P<0.05). The percentages of apoptotic and necrotic cells in the Ge-132 treated embryos were significantly lower than the untreated embryos (9.1% vs 17.1% and 0% vs 2.7%, respectively) based on Annexin V / PI staining. Furthermore, more KEAP1 protein was found to be localized in cytoplasm of the 200 μg/mL Ge-132 treated blastocysts, whereas KEAP1 protein was predominantly nuclei in the control blastocysts. The putative porcine PSC lines were derived from 100- and 200-µg/mL Ge-132 treated blastocysts and showed a similar derivation process with primed PSCs, such as previously reported porcine PSC lines. The objective of second study was to understand the influence of endogenous and exogenous factors during neural commitment of porcine PSCs into NPCs. The porcine PSCs seeded at different densities (low: 40,000- and high: 80,000 cells per cm2) to neural induction medium containing the dual SMAD inhibitors (dSMADi), SB431541 (TGF-binhibitor) and LDN193189 (BMP4 inhibitor) to promote neural induction. The mRNA expression of pluripotency marker (POU5F1) which was clearly detected in porcine PSCs was found to significantly decrease in the PSC-derived NPCs of control group and dSMADi group. The NPCs derived from high density group treated dSMADi showed representative NPC markers such as PLAG1 and neural stem cell markers such as NESTIN and VIMENTIN at 10 days after differentiation. Especially high density group showed higher mRNA expression of both Sox1 and p75 compared to control and low density group. The high density group of porcine PSCs derived NPCs (PSC-NPCs) were positive for markers of early neural tube such as PAX6. The mRNA expression of posterior (HOXB4) was found to significantly increase in the retinoic acid treated group after patterning of porcine PSC-NPCs. Also, porcine PSC-NPCs propagated in vitro and generated neurospheres that capable of further differentiation showing distinctive morphology and phenotype in neurons (TUJ1+) and glial cells (GFAP+). The final study isolated GFAP-positive porcine neural stem cells (NSCs) from the brain explant of a transgenic piglet, with expression of CreERT2 under the control of the GFAP promoter (pGFAP-CreERT2). The cultured cells isolated from the neocortex and subventricular zone (SVZ) exhibited a radial morphology. Data from genomic DNA analysis in these cells confirmed the integration of each transgene (CreERT2 and eGFP). This isolated pGFAP-CreERT2-NSCs were cultured in NSC medium containing EGF and bFGF showing self-renewal neurosphere with normal 36+XY karyotype. Also, immunofluorescence analysis confirmed homogenous cytoplasmic and nuclear expression of the representative NSC markers Nestin and Sox2, respectively. After 1 week treatment of γ-secretase inhibitor (DAPT) which blocks Notch1 pathway activity, cells showed a morphological change from a fusiform to a stellated phenotype and decreased Sox2, GFAP, Notch1 and Hes5—a key target gene and effector of the Notch pathway—expression, suggesting the necessity of Notch1 signaling in maintenance of pGFAP-CreERT2 NSC identity. In addition, serum-treated cells exhibited strong GFAP protein expression and increased stellation, indicative of reactive astrogliosis. Interestingly, the clear expression of TUJ1 was observed in some of the differentiated cells, which displayed a more mature morphology with neuronal projections, in the serum-treated group. Collectively, the present results suggest that treatment with Ge-132 during IVM improves the developmental potential of PA and IVF porcine embryos by increasing the intracellular GSH levels, thereby decreasing the intracellular ROS levels and reducing oxidative stress–induced apoptosis. Also, the developmental competence of embryos cultured under Ge-132 treatment may be associated with Keap1 signaling cascades involved in oxidative stress and apoptosis during porcine pre- implantation embryo development. In addition, the results highlight the ability to define an efficient method for production of porcine PSC-derived neural precursors that mimic human neural system. Furthermore, the porcine CreERT2 NSCs characterized in this study would be a useful tool to study neurogenesis of the porcine adult central nervous system and furthers our understanding of its potential clinical application in the future.

      • 항상화제 Astaxanthin 생산 균주 Haematococcus pluvialis의 배양을 위한 광생물반응기 시스템의 개발

        김은혜 성균관대학교 일반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647

        With superior antioxidant properties, astaxanthin as food supplement provides important health benefits for people. A unicellular green microalga, Haematococcus pluvialis, has been focused as a very promising natural source of astaxanthin because of its highest level of astaxanthin accumulations. In this study, to sustain high cell density for astaxanthin production, we developed a new type of 3L-photobioreactor using compounds of cast polypropylene and polyethylene terephtalate (CPP) and low density polyethylene (LDPE), instead of traditional glass type. The new photobioreactor system was constructed to simplify scale up like plug (parallel) flow reactor. Moreover, it reduced the cost of bioreactor set-up for astaxanthin production. High Haematococcus pluvialis cell density was normally obtained by the optimized cultivation of Haematococcus pluvialis with the 2-stage system in which two types of media (NIES-C and NIES-N) without carbon and nitrate source were used. However, in large-scale culture, the 2-step process was hard to be controlled. In this study, therefore, single-step culture with NIES-N stock solution was proposed instead of 2-step system. When carbon source was provided by 2% excess mixed CO2 gas, the cell biomass in our CPP bag type increased up to 2.2 g/L. We expect that the use of new CPP photobioreactor has a great potential to uptake more amount of CO2 and produce higher levels of valuable carotenoid.

      • 담다;닮다

        김은혜 서울장신대학교 2019 국내석사

        RANK : 247647

        성경은 꽤 많이 음악에 대해 언급하고 있다. 찬송이란 단어는 214번, 노래라는 단어는 187번, 비파라는 단어는 28번, 수금이라는 단어는 50번, 악기 이름인 소고는 14번 등등 성경 전체를 통해 800번 넘게 언급되었다. 이 사실로 미루어보아 분명한 것은 음악이 예배와 그리스도인의 삶 안에서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는 사실이다. 설교자가 매주 말씀을 준비하듯 예배 인도자는 예배음악을 준비한다. 말씀을 묵상, 통찰하여 적용할 수 있는 예배 곡을 선곡한다. 예배 인도자의 역할은 선곡하는 일에 그치지 않는다. 예배 팀원들을 훈련하고 양육하는 일, 회중, 곧 예배자들을 위해 기도하는 일, 하나님의 마음이 있는 나라와 세계의 소식들에 귀를 기울이고 중보하는 일, 밴드팀과 예배음악에 대해 소통하는 일, 보컬팀을 훈련하는 일, 교역자들과 소통하며 예배를 준비하는 일 등 다양한 역할을 감당한다. 그중 필자는 처음에 언급했던 예배 곡을 선곡하는 일에 대해 고민하며 이 앨범을 제작하게 되었다. 선곡을 하다 보면 ‘이런 내용을 담은 가사의 찬양은 없을까?’, ‘이 곡을 새롭게 편곡한 음원은 없을까?’에 대한 아쉬움을 갖게 된다. 그런 의미에서 매해 새로운 예배 곡들이 발표되는 것은 긍정적이다. 그뿐만 아니라 계속적으로 다양한 메시지를 가사에 담은 예배 곡, 예배 현장에 적용할 수 있는 예배 곡들이 발표되어야 한다는 입장에서 필자는 앨범을 제작하게 되었다.

      • 관계증진을 위한 음악치료에서 장애아의 비장애 동생의 경험에 대한 사례연구

        김은혜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의 목적은 장애아동의 비 장애 동생이 형과의 관계증진을 위한 음악치료에 참여하면서 어떠한 경험을 하는지에 대하여 심층적으로 살펴보는 것이다. 연구자는 질적 단일사례 연구방법을 통해 참여자의 경험에 대한 심층적인 이해와 발견을 도모하였다. 연구 참여자는 만 5세 남아(이하 아동)와 아스퍼거 장애를 가진 그의 형 만 7세 남아(이하 형)였다. 아동이 형과의 관계증진을 위한 음악치료에 형과 함께 참여하면서 무엇을 경험 하는 지와 형과의 관계적 맥락 안에서 어떠한 변화가 있을지에 대해 알아보고, 음악치료 안에서 일어나는 현상과 사건 안에서 아동의 경험의 본질을 알고자, 수집된 자료는 Giorgi의 현상학적 연구 분석 방법 절차에 따라 분석되었다. 수집된 자료의 분석 결과를 통해 아동이 장애 형과 함께 참여하는 음악치료에서의 경험의 본질은 다음의 6가지로 도출되었다: (1) 형에 대한 부정적 감정, (2) 형과의 의사소통의 부재, (3) 형에 대한 양가감정, (4) 형과의 관계 증진, (5) 형에 대한 긍정적 감정, (6) 형과의 긍정적인 의사소통의 경험이다. 아동은 장애아 형과 함께 참여하는 음악치료의 전반부에서는 형에 대한 질투, 형을 향한 분노, 형을 향한 불만, 형에 대한 무시, 형과의 의사소통 부재로 인한 좌절과 분노를 경험하였다. 이러한 경험은 형에 대한 부정적 감정과 형과의 갈등과 형과의 의사소통의 부재라는 경험을 초래하였다. 하지만 음악치료 회기가 후반부로 갈수록 아동은 형에 대한 관심과 의식의 증가, 형에 대한 수용과 인정, 형을 향한 애정, 그리고 형과의 의사소통을 경험하며 점차적으로 형과의 긍정적 관계 형성을 하게 되었다. 결과적으로 아동은 형과의 관계 증진, 형에 대한 긍정적 감정, 그리고 형과의 긍정적인 의사소통을 경험하게 되었다. 이러한 결과를 통하여 장애아의 비 장애 동생이 형과의 관계증진을 위한 음악치료에 참여하는 동안 형에 대한 부정적 감정이 긍정적 감정과 관계의 증진으로 변화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형과 함께 하는 음악과 놀이 그리고 상호작용의 경험을 통해 형과의 효과적인 의사소통의 부재를 경험하던 아동이 형과 긍정적인 의사소통과 대화를 통한 타협을 할 수 있게 되었다. 본 연구는 국내 음악치료 연구 분야에서 거의 다루어지지 않았던 음악치료를 통한 장애아와 비 장애 동생의 형제관계 증진에 대한 연구이다. 본 연구는 장애아 형과의 관계 속에서 어려움을 겪는 비 장애 동생의 감정 및 형에 대한 태도의 변화를 상세하게 기술한 사례연구라는 점과, 장애아동의 비 장애 형제자매에 관한 연구 및 프로그램을 위한 기초자료의 역할을 한다는 점에서 연구의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case study was to look into a child's experience of participating in music therapy activities with his brother who has special needs. The participants were a five-year-old boy (hereinafter referred to as “child”) and his seven-year-old brother with Asperger's Syndrome (hereinafter referred to as “brother”). Phenomenological research analysis method was used for this research, with the purpose to know the essence of the experience that the child and his brother with special needs experienced together in music therapy with his brother who has Asperger's Syndrome.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the steps of the phenomenological analysis method which Giorgi offered. The result derived 6 essence of experience, which are, 1) negative affects towards brother, 2) problem in the communication with brother, 3) ambivalent affects towards brother, 4) improvement in the relationship with brother, 5) positive affects towards the brother, and 6) experience of positive communication with brother. At the first half of the therapy program, the child experiences jealousy, anger, discontent, ignorance toward the brother and the absence of communication with brother. This experience brought negative affects towards brother and conflict and absence of communication with brother. However, as the music therapy sessions went on, at the last half of the therapy program, the child showed interest and consciousness of his brother, acceptance and recognition towards brother, positive affects toward brother, and positive communication with brother. In the end, the child and his brother experienced positive relationship in all of the latter part of music therapy sessions. As a result, the child experienced improvements in the relationship with brother, positive affects towards brother, and positive communication with brother. In conclusion, music therapy brought forward the positive affects of the child towards his brother and through music, play, and interaction, the child and his brother could take chance to communicate effectively and positively. By this result, it is concluded that a child and his brother with special needs can establish and improve positive relationship by participating in music activities. Also, the present study has special meaning and significance that it was focused on the brotherhood of a child and his brother with special needs. This kind of topic is not well documented in music therapy, so the present study may be useful as the ground research that may be used for the appropriate intervention and program for children with siblings with special needs.

      • 영유아의 정서성 기질이 스마트폰 과의존에 미치는 영향 : 어머니의 놀이참여도의 매개효과

        김은혜 경희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영유아의 정서성 기질이 스마트폰 과의존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 어머니의 놀이참여도의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손 안의 컴퓨터’라 불리는 스마트폰은 편리성, 이동성, 휴대 간편성 등의 장점을 가진다. 그로인해 우리는 시간과 공간의 제약 없이 언제 어디서든 인터넷을 사용할 수 있게 되었다. 10년이 채 되지 않은 역사에 비해 스마트폰은 빠르게 보급되어 대중화를 이루었고 사용 연령층 또한 성인에서 청소년 그리고 영유아로 점차 하향화되는 추세이다. 스마트폰은 교육 및 학습에 이용된다는 긍정적인 측면도 있으나 영유아 시기에 스마트폰을 과다사용 할 경우 사회·정서, 인지 능력에 대한 부작용을 우려하지 않을 수 없다. 최근 영유아의 스마트폰 과의존에 관련한 연구를 살펴보면 부모 변인이나 영유아의 개인 외적 변인을 다룬 연구가 대부분이다. 기질은 영유아의 주요 개인 내적 변인으로 영유아의 기질이 스마트폰 과의존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살펴볼 필요가 있다. 특히 영유아의 기질 중 환경에 대한 부정적 성향이 강하게 발현되는 정서성 기질은 영유아의 자기 조절력, 문제행동에 정적으로 밀접한 관련이 있다는 선행연구를 토대로 영유아의 정서성 기질이 스마트폰 과의존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해 검증하고자 한다. 한편, 선행연구에서는 영유아의 스마트폰 과의존을 감소 및 예방하는 방안으로 놀이의 활성화를 주장하였다. 실제로 부모의 인식에서도 자녀의 스마트폰 사용을 줄이기 위해 신체적 활동과 놀이로 시간을 보내는 노력을 하는 것으로 보고되었다. 이 같은 결과로 영유아의 스마트폰 과의존을 줄이는데 놀이가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예측해 볼 수 있다. 하지만 현재까지의 연구에서는 어머니의 양육행동이나 중재태도 등에 관련한 연구만 활발하게 진행되었을 뿐 어머니의 놀이참여 수준이 영유아의 스마트폰 과의존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는 없는 실정이다. 이에 어머니의 놀이참여 수준이 영유아의 스마트폰 과의존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해 살펴볼 필요가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영유아의 정서성 기질이 스마트폰 과의존에 미치는 영향에서 어머니의 놀이참여도가 매개역할을 하는지 확인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연구문제는 첫째, ‘영유아의 정서성 기질과 스마트폰 과의존, 어머니의 놀이참여도의 전반적 경향과 영유아와 어머니의 스마트폰 이용실태는 어떠한가?’, 둘째, ‘영유아와 어머니의 인구사회학적 변인과 영유아의 정서성 기질, 어머니의 놀이참여도, 영유아의 스마트폰 과의존 간의 관계는 어떠한가?’, 셋째, ‘영유아와 어머니의 인구사회학적 변인과 영유아의 정서성 기질, 어머니의 놀이참여도가 영유아의 스마트폰 과의존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넷째, ‘영유아의 정서성 기질이 스마트폰 과의존에 미치는 영향에서 어머니의 놀이참여도의 매개효과는 어떠한가?’로 설정하였다. 이를 위하여 2~4세 영유아와 그들의 어머니를 대상으로 어머니가 지각한 영유아의 정서성 기질과 스마트폰 과의존, 어머니의 놀이참여도를 알아보았다. 먼저 영유아의 정서성 기질을 측정하기 위하여 Buss와 Plomin이 개발한 EAS (Emotionality, Activity, Sociability) 도구를 수정 · 보완한 박혜원의 도구를 사용하였고, 영유아의 스마트폰 과의존을 알아보기 위하여 김현수와 이미연의 스마트폰 과다사용 척도 문항 중 영아에 적합하지 않은 문항을 제거한 뒤 사용하였다. 마지막으로 어머니의 놀이참여도를 측정하기 위하여 이숙재의 놀이참여도를 참고하여 윤상인이 제작한 척도를 사용하였다. 본 연구에서 수집된 자료는 SPSS Statistics 23.0 버전 프로그램을 사용하였다. 연구 대상자의 인구사회학적 배경을 파악하기 위해 빈도, 백분율을 구하고 각 측정도구의 내적 일치도를 알아보기 위하여 신뢰도 분석을 실시하였다. 다음으로 영유아의 정서성 기질과 스마트폰 과의존, 어머니의 놀이참여도의 전반적 경향과 영유아와 어머니의 스마트폰 이용실태를 파악하기 위하여 빈도, 백분율을 산출하였다. 측정 변인이 영유아의 스마트폰 과의존에 미치는 상대적 영향력을 알아보기 위하여 Pearson의 상관관계분석 및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마지막으로 영유아의 정서성 기질이 스마트폰 과의존에 미치는 영향에서 어머니의 놀이참여도의 매개효과를 살펴보기 위해 Baron과 Kenny가 제안한 3단계 조건을 회귀분석을 통해 매개효과 검증절차를 수행하고, 유의성 검증을 위하여 Sobel Test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영유아와 어머니의 스마트폰 이용실태를 살펴보면, 영유아의 스마트폰 이용 시작 시기는 13-24개월이 가장 높은 빈도를 보였으며, 스마트폰 이용횟수는 일주일에 1-2회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영유아의 스마트폰 이용시간을 살펴보면 주중에는 11-30분 이하로 이용하고 주말에는 10분 이하로 이용하여 주말보다 주중에 더 많이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영유아의 스마트폰 이용용도는 영상 보기가 가장 높은 빈도를 차지하였다. 한편, 어머니의 주중/주말 스마트폰 이용시간은 4시간 이상으로 나타나 해가 갈수록 사용시간은 점차 길어지는 것으로 유추할 수 있다. 둘째, 영유아와 어머니의 인구사회학적 변인과 영유아의 정서성 기질, 어머니의 놀이참여도, 영유아의 스마트폰 과의존 간의 상관관계를 알아보았다. 그 결과 영유아의 인구사회학적 변인 중 연령과 스마트폰 이용시간은 영유아의 스마트폰 과의존과 정적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또한, 영유아의 정서성 기질은 스마트폰 과의존에 정적 상관이 있었으며, 어머니의 놀이참여도는 부적 상관을 나타냈다. 셋째, 영유아의 정서성 기질과 어머니의 놀이참여도는 각각 영유아의 스마트폰 과의존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정서성 기질은 스마트폰 과의존에 정적으로, 어머니의 놀이참여도는 부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넷째, 영유아의 정서성 기질이 스마트폰 과의존에 미치는 영향에서 어머니의 놀이참여도는 부분 매개의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영유아의 정서성 기질은 스마트폰 과의존에 직접 효과가 있는 동시에 어머니의 놀이참여도를 통한 간접 효과도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본 연구는 영유아의 스마트폰 과의존에 있어 영유아의 정서성 기질과 어머니의 놀이참여도의 중요성을 이해하는 계기를 제공하였으며, 영유아의 정서성 기질이 스마트폰 과의존에 미치는 영향에서 어머니의 놀이참여도의 역할을 조명하는 기회를 제공한데 그 의의가 있다. 본 연구를 통해 드러난 어머니의 놀이참여도의 매개 역할은 영유아의 스마트폰 과의존을 예방하고 개입하는데 유용한 방법으로 작용할 수 있다고 판단되며, 영유아가 정서성 기질의 성향이 강하더라도 어머니가 영유아의 기질적 측면을 이해하고 놀이 상호작용에서 적극적으로 참여해줄 때 스마트폰 과의존은 크게 완화되고 감소하는 것을 볼 수 있다. 즉 영유아의 스마트폰 과의존을 예방 및 치료의 목적으로 모자간의 놀이는 중요한 여건이 될 수 있으며, 일상의 가정에서 부모가 자녀와의 놀이에 적극적으로 참여할 수 있도록 부모교육과 놀이 프로그램이 개발되고 보급될 필요가 있다. Smartphone has become popular with the benefits of convenience, mobility and portability. As the penetration rate of smartphone in the home increases, many infants are spending time with smartphone. Although there is a positive aspect that smartphone is used for education and learning, excessive use of smartphone during infancy can not help but worry about side effects on social, emotional and cognitive abilities. It is necessary to examine the effects of infants temperament on smartphone dependence as an internal mutation that is strongly expressed in the early part of their lives. Most of the studies deals with maternal and external factors in infants. In particular, the emotional temperament of infants shows negative attitudes toward the environment, and it is closely related to self-regulation and problem behavior. Based on the prior studies, the emotional temperament of infants affects their dependence on smartphone. On the other hand, prior studies have suggested the activation of play as a way to reduce and prevent dependence on smartphone. In fact, it is reported that parents also try to spend their time in physical activity and play to reduce their infant's smartphone time. As a result, it can be predicted that play will be an important role in reducing dependence on infant's smartphon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infant’s emotional temperament on dependence of smartphone and verify the mediation effect of mother’s play participation. Data were collected from two hundred seventy-four mothers with their infant between the ages two and four. To achieve the research objectives, the study set up research problems as follows. First, 'What is the general tendency of infant emotional temperament, smartphone dependence, mothers' participation in play? Second, what is the relationship between infant emotional temperament, mother’s play participation and dependence of their smart-phone? Third, what is the impact of emotional temperament and play participation on smartphone dependence? Fourth, what is the mediating effect of play participation in the impact of emotional temperament on smartphone dependence?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sed by SPSS 23.0 program.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The emotional temperament of infants had a positive correlation with their dependence on smartphone. The emotional temperament of infants showed a negative correlation with mother's play participation. And mother’s play participation showed the partial mediating effec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infant’s emotional temperament and dependence of smartphone. This study provided an opportunity to understand the importance of infant emotional temperament and mother's play participation in the reliance of infant’s smartphone dependence. Mothers 'participation in play serves as a useful way to prevent and intervene in infants' dependence on smartphone.

      • 제6차 유치원 교육과정에 의한 놀이중심 음악개념 지도방법 연구

        김은혜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4 국내석사

        RANK : 247631

        이 연구는 제6차 유치원 교육과정에 제시된 교육내용을 기준으로 유아를 위한 놀이중심 음악개념 지도방법을 제시하여 유아음악교사들이 실제 교육현장에서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 연구에서는 창의성과 놀이에 관한 문헌 연구와 실습을 통해 놀이중심 음악개념 지도방법을 연구하였다. 이론적 배경에서는 창의성에 관하여 일반적 창의성, 음악적 창의성, 유아기의 창의성으로 나누어 살펴보았으며, 창의성 신장의 도구이자 음악학습의 효과적인 도구가 되는 놀이의 개념, 음악교육의 중심활동으로서의 놀이, 놀이와 창의성의 관련성을 살펴보았다. 그리고 현재 시행되고 있는 제6차 유치원 교육과정의 특징과 내용을 분석하여 교육내용의 기준을 추출하고, 이와 같은 이론적 배경을 바탕으로 놀이중심 음악개념지도의 내용을 선정·조직하였다. 제6차 유치원 교육과정의 표현생활 영역은 탐색·표현·감상의 세 가지 하위 영역으로 구분되며, 이 연구의 실제 지도방법 연구에서는 이 세 가지 영역에 포함되는 각각의 교육내용에 놀이를 적용하여 창의적 놀이 활동을 제시하였다. 단, 제6차 유치원 교육과정의 표현생활이 예체능영역으로서 음악, 미술, 체육 등의 교과를 통합적으로 인식하여 구체적인 내용을 제시하고 있기 때문에, 이 중 음악교과와 직접적인 관련이 있는 내용인 소리 탐색하기, 여러 가지 소리 만들기, 노래 부르기, 리듬악기 다루기, 통합적으로 표현하기, 극놀이로 표현하기, 음악 감상하기, 예술적 표현 존중하기, 전통 예술에 친숙해지기의 9가지 활동만을 포함시켰다. 이러한 활동들이 포함된 놀이중심 지도방법을 통해 리듬, 가락, 음색, 형식, 조직, 표현적 질 등의 음악적 개념들이 학습될 수 있도록 하였다. 이 연구가 현장 음악 교사들이 놀이를 통한 음악개념지도를 하는데 있어서 지도안 작성의 기초를 제공하고, 다양한 지도방법에 대한 후속 연구에 도움이 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teaching methods of play-centered musical concepts according to the 6th revised curriculum for kindergarten, and to encourage kindergarten music teachers to apply the methods in their teaching field. This study explores play-centered teaching method by reviewing documental researches and applications about creativity and play. For theoretical study, creativity is examined by its four categories: general creativity, musical creativity and younger children's creativity. The concept and definition of play is also examined for support, regarding play as an effective tool to increase creativity, and a central activity for music education. Then, the standard for the musical teaching is determined and organized according to the 6th revised curriculum for kindergarten. The 6th revised curriculum's expressive life field is classified into categories of exploration, expression, and appreciation. The research for an actual teaching method for this curriculum applies particular playing activities to each of the categories. Since the 6th revised curriculum's expressive life field understands music, art, and physical education as an integrated subject and proposes specific guidelines, 9 activities that are directly related to musical education are only included in this study: exploring the sounds, creating various sounds, singing, playing of rhythmic instruments, expressing in an integrated way, expressing as a performance, appreciating music, respecting artistic expression, and being familiar with traditional art. These activities are included in the play-centered teaching methods and the musical concepts such as rhythm, melody, timbre, form, texture and expressive quality were promoted to be learned. In conclusion, it is expected that this study might provide for some useful information for kindergarten teachers to set a standard in teaching musical concepts through playing, and help further studies about various teaching methods.

      • 개방형 수학문제 해결과정에서 나타나는 수학 영재교육 대상학생과 일반 학생의 반응 및 행동 특성 분석

        김은혜 서울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개방형 문항에 대한 수학 영재교육 대상학생과 일반 학생의 문제 해결 반응과 그 해결 과정에서 이들이 보이는 행동 특성을 비교해 보았다. 또한 일반 수업에서의 영재수업 형태의 창의성 수업 가능성을 모색해 보고자 하였다. 이러한 연구 목적을 위해 다음과 같은 연구 문제를 설정하였다. 가. 수학 영재교육 대상학생과 일반 학생의 개방형 문제 해결 과정에서 나타나는 반응의 특성은 어떠한가? 1) 수학 영재교육 대상학생과 일반 학생의 유형별 그룹별 진술횟수와 정답률은 어떻게 다른가? 2) 수학 영재교육 대상학생과 일반 학생들의 문제해결 전략은 어떻게 다른가? 3) 수학 영재교육 대상학생과 일반 학생의 창의성은 어떻게 다른가? 나. 개방형 문제 해결을 하는 과정에서 수학 영재교육 대상학생과 일반 학생의 행동 특성은 어떻게 다른가? 연구를 위해 서울교육대학교 과학영재교육원에서 1년 이상 학습한 수학 영재교육 대상학생(55명)과 영재 교육을 받은 경험이 있는 학생이 한 명도 없는 6학년 3학급(100명)을 표집하여 개방형 문제 5문제를 50분에 걸쳐 지필평가를 실시하였으며 부족한 부분은 면담을 통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얻은 결론을 요약하면 먼저, 개방형 문제 해결 과정에서 나타나는 반응의 특성에 대한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수학 영재교육 대상학생은 창의성을 기르기 위한 개방형 문제 학습에 분석하고 분류하는 문제를 이용하는 것이 가장 적합하다. 수학 영재교육 대상학생의 경우 분류하는 문제에 대한 응답률과 성취도가 가장 높았다. 이는 분류하는 문제가 수학 영재교육 대상학생의 능력과 흥미를 고려하여 가장 적합한 것임을 말한다. 둘째, 수학 영재교육 대상학생에게 개방형 문제는 발생적 학습에 도움이 된다. 수학 영재 학생들은 개방형 문제에 대하여 창의적이고 다양한 방법을 찾으려고 노력하는 경향이 있었다. 이러한 활동을 통하여 수학 영재교육 대상학생들은 이전의 수학자들이 발견한 수학적 지식들을 재발견하게 되고 더 나아가 새로운 수학적 발견에 이르게 된다. 셋째, 수학 영재교육 대상학생에게는 조작하고 조합하는 능력을 길러 주어야 한다. 수학 영재교육 대상학생은 여러 유형의 개방형 문제를 해결하는 과정에서 조작을 이용하는 경향이 있었으나 고차원적 조작력은 부족하였다. 그러므로 현재의 낮은 단계의 조작적 능력을 길러 고차적인 창조적 단계까지 끌어올려 주어야 한다. 넷째, 수학 영재교육 대상학생의 수업 제재로 개방적인 범주의 주제를 사용할 수 있다. 수학 영재교육 대상학생들은 개방형 문제해결 과정에서 개방적으로 사고하는 모습을 보였다. 이는 다양한 주제를 학습하면서도 수학적인 요소를 사고할 수 있는 가능성을 나타낸다. 다섯째, 개방형 문제를 제시할 때 문제를 해결하는 데에 학생의 선행학습 정도가 영향을 미치는지를 고려해야 한다. 수학 영재교육 대상학생들의 창의성은 그들이 이용하는 수학적 지식에 따라 많이 달라졌다. 여섯째, 창의성 점수를 고려할 때, 일반 수업에서도 수학 영재교육과정으로서의 개방형 문제를 이용한 창의성 수업이 가능하다. 일부 일반 학생들의 창의성 점수는 상위권 수학 영재교육 대상학생들의 창의성과 비슷하게 나타나 일반 교육과정에서 수학 영재 교육과정의 도입 필요성과 적용 가능성을 시사했다. 다음으로 개방형 문제를 해결하는 과정에서 나타나는 수학 영재대상 학생과 일반 학생의 행동 특성 분석 결과 나타난 결론이다. 첫째, 수학 영재교육 대상학생의 교육과정은 반드시 일반 학생의 수학 교육과정과 다르게 운영되어야 한다. 수학 영재교육 대상학생의 행동특성은 일반 학생과 매우 다르므로 수학 영재교육 대상학생의 수준과 능력을 파악하여 그들에게 알맞은 교육과정을 운영해야 한다. 둘째, 수학 영재교육과정에서 개방형 학습 시 다양한 유형의 과제를 골고루 제시해야 한다. 수학 영재교육 대상학생에게 나타나는 행동특성은 과제의 특성에 따라 매우 다른 양상으로 나타나기 때문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responses and the behavioral characteristics between mathematically promising students and normal students in solving open-ended problems. From these findings, I hope to promote a base for integrating creative-thinking education into the general curriculum. The research contents for these purposes were as follows: A . What are the responses between mathematically promising students and normal students in an open-ended problem solving process? 1) How different are the number of answers and the rate of correct answers between the different problem types as well as between the mathematically promising students and normal students? 2) How different are the problem solving strategies between mathematically promising students and normal students? 3) How different is the creativity between mathematically promising students and normal students? B. What are the differences in behavioral characteristics between mathematically promising students and normal students in an open-ended mathematical problem solving process? For this study, 55 mathematically promising students were selected from the Science Education Institute for the Gifted, at Seoul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as well as 100 normal students from three 6th grade classes of a regular elementary school. The students were given 50 minutes to complete a written test consisting of five open-ended problems. A post-test interview was also conducted and added to the results of the written test. The conclusions of this study were summarized as follows: In analyzing the students responses in solving open-ended mathematical problems, a number of findings were achieved. First, analysis and grouping problems are the most suitable in an open-ended problem study to stimulate the creativity of mathematically promising students. The number of problems answered and the rate of correct answers was the highest for the grouping problems. This implies that grouping problems are the most suitable for their level and interests. Second, open-ended problems are helpful for mathematically promising students' generative learning. The mathematically promising students had a tendency to find a variety of creative methods when solving open-ended problems. Consequently, they may be able to discover mathematical theories in ways similar to many former mathematicians, so that they may reach new mathematical levels. Third, mathematically promising students need to improve their ability to make-up new conditions and change the conditions to solve the problems. They would occasionally demonstrate flexible methods, bet only to a small extent. Therefore, we must help raise their ability from a low to a high creative level. Fourth, various topics and subjects can be integrated into the classes for mathematically promising students. Since they are usually able to think openly when solving open-ended problems, this means that they should also be able to find the mathematical elements in studying various topics. Fifth, the quality of students' former education and its effect on their ability to solve open-ended problems must be taken into consideration. The mathematically promising students' level of creativity varied greatly depending on their previous mathematical knowledge. Finally, a creative thinking class can be introduce to the general class. A number of normal students had creativity score similar to those of the mathematically promising students, suggesting that the introduction of a more challenging mathematics curriculum similar to that of the mathematically promising students into the general curriculum may be needed and possible.. Next, several conclusions were also made from analyzing the behavioral characteristics between mathematically promising students and normal students in solving open-ended mathematical problems. First, the curriculum for mathematically promising students need to be different from that of the normal students. Since their behavioral characteristics were very different from the normal students, a curriculum appropriate for the students' level and ability is required. Secondly, we must also present more variety in the types of topics when studying open-ended problems. The behavioral characteristics of the mathematically promising students were very different depending on the task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