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 탈식민주의 관점에서 본 빌 T. 존스 춤의 저항과 해방 정신 : 서사춤극<톰아저씨의 오두막에서의 마지막 만찬/약속된 땅>을 중심으로

        김경남 경기대학교 대학원 2005 국내박사

        RANK : 247631

        본고에서는 미국 사회에서 수세기 동안 이어져 내려온 흑인의 인종적 이데올로기로 인하여 하위문화이자 고정된 정체성으로 각인된 흑인춤문화와, 타자로 규정되었던 흑인과 흑인춤의 정체성을 탈식민주의적 담론의 범주 안에서 주지하였다. 더불어 빌 T. 존스의 문화적 정체성과 새롭게 제시된 서사적 춤추기에 대해 살펴보았다. 이와 함께 빌 T. 존스가 민족의 역사적 서사로 평가받는 해리엇 비처 스토우의 1852년 작품 『톰아저씨의 오두막』을 춤으로 '되받아 쓰는(write-back)' 과정에서, 식민담론을 해체하고 '수정(re-vision)'했던 〈톰아저씨의 오두막에서의 마지막 만찬/약속된 땅〉을 분석하였다. 탈식민주의에 대한 관심의 환기는 세계사의 주변부로 밀려난 나라들을 다시금 역사의 중심으로 데려오려는 지적 움직임과 함께 시작되면서 학문과 사회의 모든 분야에 혁명적인 인식 변화를 몰고 왔다. 더욱이 탈중심주의는 특권적 위치를 누려왔던 중심부의 절대성에 회의를 제기하고, 주변 소수자들의 억압적 상황에 주목하게 하였다. 더불어 제국주의와 냉전시대의 종말과 함께 그늘에 있던 약소국과 전(前) 식민국가들의 영향력이 상대적으로 높아지면서 식민 자국의 위엄과 정체성을 회복시키기에 이르렀다. 이러한 시대적 변화 속에서 백인들의 관점에서 정형화되고 정체성을 부여받은 흑인들의 춤은 노예해방 이후, 새롭게 등장한 신식민주의 속에서 해석되었으며 경계와 편견은 되풀이되었다. 미국 흑인 현대춤에 전이된 식민주의 담론은 크게 세 가지로 나타나는데, 첫째, 백인연예단의 짐 크로우 춤을 통해 흑인춤의 정형을 만들어 타자화했으며, 둘째, 흑인에 대한 신체적, 지적 고정관념을 춤계에 도입시켜 백인에 의한 흑인문화유산의 전유와 흑인의 기회부족을 초래했다. 세 번째로는 검은피부가 자아내는 식민적 이미지를 조장하여 무대에서의 표현체계에 부적당함을 주장한 것이다. 식민주의 담론에 대항하는 미국 흑인현대무용가들의 활동은 타자문화와의 관계짓기에 대해 긍정적이고, 적극적이며 충분한 '수정(되받아 쓰는 과정)'의 과정을 인식하고 있다. 그러므로, 억압받고 식민화되었던 그 어떤 예술가보다도 저항담론을 실천하고 해방담론으로 이끌어 간 선구자들이다. 이들은 이른바 탈식민주의 관점을 통해 저항의식을 표출하는 실천운동으로 나아갔으며, 미국 흑인현대무용가들의 정체성을 염두에 둔 서사적 춤양식에 주목하기 시작했다. 흑인현대무용가들은 유럽의 예술적 전통 내에서 흑인무용가들의 지성과 능력을 증명해내고, 흑인 스스로 진지한 창조적 예술가로 성장하기 위해 활동했으며, 세계속에 아프리카계 미국인의 풍부한 문화유산과 흑인선조에 대한 긍지를 보여주어 흑인의 주체성을 심어주었다. 또한, 백인연예단 시대부터 흑인에게 부과되었던 짐 크로우의 정형에서 탈피하여 다양한 역할과 이미지를 부여하였고, 흑인에게 배타적이었던 춤계에서 무용학교와 무용단을 설립함으로써 무대에 설 수 있는 많은 기회를 제공했다. 더불어 흑인뿐만 아니라 백인에게도 유용한 보편적인 춤어휘를 창출하여 '문화적 다양성'을 제공하며, 저항춤을 통해 정치적 집합체를 발전시키고 유지시켜오면서 정치적, 사회적, 경제적 식민담론에 도전하였고, 흑인문화를 인공적으로 나타냄으로써 단결된 힘을 제시하였다. 이와 함께, 춤을 통해 '자아와 타자'가 아닌 '우리'의 시선으로 지배와 생존의 역사를 바라보게 하였으며, 그 가치인식을 우해 미족 역사를 아우르는 서사시(epic)적 춤의 양식을 차용하였다. 미국 흑인 현대춤의 역사 속에서 빌 T. 존스는 포스트포더니즘을 이론적 바탕에 두고 작품에 천착하는 무용가로 평가받는데, 그러면서도 흑인의 신분으로서 그의 조상이 겪었으며, 몸에서 몸으로, 피에서 피로 전달되어온 억압의 역사를 외면하지 않는다. 그의 서사춤극 〈톰아저씨의 오두막에서의 마지막 만찬/약속된 땅〉(1990년)은 흑인에게 규정된 식민담론을 재현·해체하며 '되돌아보는 행동'으로서의 '수정(re-vision)'과정을 거친 작품으로 평가받는데, 본 연구에서는 작품에 드러난 '재현된 식민담론', '춤이미지', '등장인물의 상징', '탈식민적 정체성'을 대상으로 분석하였다. 흑인 전유로서의 식민담론의 재현은 '오두막 세트에서의 민스트럴 구성과 짐 크로우 춤', '채찍으로 매 맞는 흑인노예', '고착된 여성성의 부재 및 불가시성이 내재화된 흑인', '지배주체에 대한 분노의 감정을 폭로한 나체들의 춤' 등으로 축약된다. 춤이미지는 타자로 고착된 스스로의 모습을 인정하고 그 실체를 드러내어 식민담론에 대한 정화와 환기를 요구하는 방법으로 이용되었는데, 크게 네 가지로 나뉘다. 첫째, 각 역할의 성향을 드러내는 특징적 동작(마임)의 재반복을 통해 우스꽝스럽고 행복해하는 복종적 흑인성을 드러냈으며 둘째, 당당하게 매를 맞는 흑인들의 끊임없는 행렬은 저항의 의지를 되새김하는 역할을 수행했다. 셋째, 흑인 여성 노예의 강인함과 여성성에 대한 자조, 정체성의 전복 시도, 신에게로의 귀의를 통해서 자기 정체성의 혼란을 인식했음을 표현했다. 넷째, 지배주체에 대한 분노와 배신, 저주 등의 감정을 지닌 52명의 다양한 인종들은 모두 옷을 벗은 채, 일정한 박자와 공간 안에서 뛰고 돌고, 일사불란하게 오고 가면서 환희, 절망, 신뢰 등의 보편적 인간 감정의 카테고리를 만들어냈다. 등장인물의 상징은 '타자성을 간파하고 인정하여 그 실체를 드러낸 피식민주체', '신의 구원을 갈망하며 당당하게 매 맞는 혹인', '흑인여성노예로서의 정체성을 전복하려는 흑인', '분노에서 화합과 해방의 정신으로 나아가는 전 인류'로 대표된다. 탈식민적 정체성은 식민담론의 흑인 전유로 드러난 기초 전략, 억압과 저항의 이항대립체제에서 통합의 단계로 나아가는 해방 전략으로 구분할 수 있다. 기초적인 저항 전략으로는 아일랜드 풍의 짐 크로우 춤 버전을 등장시킴으로써 역사적으로 각인된 흑인과 흑인춤의 정형을 되돌아보는 가치인식의 기회를 제공하였다는 점이다. 해방 전략으로는 매를 맞기 위해 계속되는 흑인노예들의 행렬은 만들어냄으로써 폭력과 억압의 문제가 더 이상 흑인만의 범위가 아닌 현재를 살아가는 모두의 문제임을 인식케 하고, 화합과 통합을 위하여 전지구화해야 한다는 탈식민적 정체성을 담고 있다는 것이다. 또한, 다섯 명으로 해체된 엘리자들은 혹인 여성노예에게 정형화된 이미지를 대변하는가 하면, 동성애자의 정체성의 혼란도 포괄하고 있다. 이러한 시도는 피식민자이면서 소수인종이었던 흑인들의 정체성 문제가 또 다른 소수자들을 위한 정체성의 논의로 확장된 것이다. 마지막으로 막에 등장한 형상화된 52명의 나체들의 춤은 춤의 경계를 넘어 신격화된 몸을 마주보는 경외감으로 드러난다. 나체들은 '서로'가 되고 '모두'가 되는 과정을 그림으로써, 앞에서 해체시켰던 모든 지배와 생존의 역사를 아우르는 해방과 유희의 정신을 표방하였다. 더불어 춤을 본 관객들에게 타자화되는 것은 인간보편성에 어긋남을 일깨운다. 빌 T. 존스의 춤은 흑인 노예의 역사와 흑인현대춤의 역사 속에서 시작된 자신의 인종적 지역성으로부터 동성애자를 포함한 소수자들과 전인류의 보편적 문제에 이르기까지 탈식민적 상상력을 동원하여 예술적·해방적으로 승화시켰다는 점에서 기존 계승자들의 저항적 관점보다 한층 깊이를 더한다고 볼 수 있다. 존스는 탈식민적 상상력을 바탕으로 풍부한 상징성과 은유 등 흑인 특유의 민족 문화를 통해서 미학적 완성도를 성취했으며, 불가시성의 메타포를 통한 탈식민적 비전을 제시하고 있다. 또한, 상흔으로 가득한 흑인들의 과거를 주체적으로 다시 기억해 내고 다시 상상하는 독특한 문학적 기법을 시도함으로써 강탈당했던 흑인문화의 재구성을 위한 '문화적 영토그리기'를 행하고, 흑인에게 더 이상 인종차별이 가해지지 않는 새로운 '탈식민 문화'를 만들어 나가고자 하였다. 더 나아가 흑인문화에 뒤따랐던 식민주의 담론을 해체하고, 자신의 춤을 탈식민주의 담론화 과정에 둠으로써, 미국 사회의 내적 식민 상황에 저항하려는 흑인 및 소수자들의 새로운 문화적 대응과 새롭고 주체적인 담론 형성의 기회를 앞당길 수 있었다. 존스의 탈식민적 담론은 흑인과 흑인춤의 역사가 그에게 주었던 저항담론을 발판으로 하여, 전지구화된 사회가 요구하는 모든 인간의 화해와 통합의 역사를 포괄하고 있고, 이른바 그것은 해방 정신으로 드러난다. 그 과정은 흑인의 분명한 자기 모습을 찾기 위해서 흑인의 억압과 투쟁의 역사를 다시 쓰는 작업이며, 흑인의 진정한 구원과 직결되는 되받아 쓰기 전략인 것이다. 이는 지배담론을 공격하고 더 나아가 아우르는 재탐색의 전략이다. 지배담론의 음모와 허구성을 드러내 폭로하고, 주변자의 경험과 문화의 새로운 가능성을 조명하는 반언술을 체시하는데 이 과정에서 해체적 결정론의 실재주의와 정체성의 미로에 관한 인식 협상이 일어난다. 존스는 소수자의 소외에 주목하면서 '서로'가 되고, '모두'가 되는 과정을 그림으로써, 해체되었던 모든 지배와 생존의 역사를 껴안고 해방과 유희로 향하는 정신적 요소를 가시적으로 발현하였다. This thesis is aimed to examine the identity of black people and their dances within the scope of post-colonist discussions. In the American society, black people have been considered as others or a stereotyped identity due to their ethnic ideologies handed down for several centuries and black people dances as a lower culture. Moreover, the present author investigates into the cultural identity and newly suggested epic dancing of Bill T. Jones. Furthermore, the present author analyzes 〈The Last Supper at Uncle Tom's Cabin/The Promised Land〉 in which Bill T. Jones dismantles and revises colonist discussions while rewriting into dances Uncle Tom's Cabin which was written in 1852 by Harriet Beecher Stowe and is regarded as a historic narration of the black race. Awakening people's attention to past-colonialism began with such intellectual movements as would bring the nations, which were driven to the peripheral points of the world history, back to the center of the history and it has made reformational changes in recognizing all the spheres of the learning and the society. Furthermore, post-centralism doubted the absoluteness of the core group which had enjoyed privileged positions and paid attention to the oppressed conditions of the minority groups living in the outskirts. As the imperialism and the cold war era came to an end, lesser nations and colonized countries, which had stood behind in obscurity, had relatively increasing power and restored their own dignity and identity. In such a vortex, black people dances emerged in the 20th century. The dances were regarded as a deviation to resist the hegemony of dominant cultures and as a factor bringing changes to the society and cultures. Black people have been much oppressed and suffered as slaves since the foundation of America, and the racially discriminating policies have been continuously executed by white-supremacists even after the emancipation of slaves. In this situation, the movements of black people found a vent in black people dances, which do not only entertain the spectators but also incite the solidarity spirit of black people who resist racial discrimination. However, the dances of black people, whose identity was stereotyped by white people, is interpreted in terms of neo-colonialism which freshly emerged after the emancipation of slaves and the guard and prejudices against black people have been continuously practiced. The following is a brief description of the colonist discussions which have been transmitted to the modern dances of black people in America. First, white people entertainment groups used Jim Crow dances to create the stereotypes of black people dances and made them a part of other cultures. Second, physically and intellectually stereotyped concepts of black people were introduced into dances, and it brought on white people's monopolization of black people's cultural heritage and on black people's lack of opportunities. Third, the colonial image of the black skin was highlighted in order to advertise the inappropriateness of black people to perform on the stage. The black modern dancers protesting colonialist discussions in the U.S. are active and positive in establishing relations with other cultures and fully recognizing the process of 'revision.' For this reason, they are the pioneers who will practice resistance discussions and lead them to emancipation discussions better than any other colonized artists. It calls for an investigation into black modern dancers' resistance spirit and their materialization of the spirit in their dances from the viewpoint of the post-colonialism and for an examination of the cultural identity and patterns of epic dances of Bill T. Jones before analyzing various works. Below is the summary of the movements of the black people. First, black people dancers proved their intelligence and abilities in the artistic traditions in Europe and made serious efforts to grow into creative artists. Second, black people showed the affluent cultural heritage of African Americans and the pride in their ancestors and made known their subjectivity to the world. Third, black people outgrew Jim Crow's stereotypes, which had been applied to the people from the time of white people entertainment groups, and assigned various roles and images to themselves. Fourth, black people established dance schools and dance troupes in their society which was not friendly to them in order to provide themselves with more opportunities to perform on the stage. Fifth, black people created universal dance terms applicable and useful to not only themselves but also white people in order to create a 'cultural diversity.' Sixth, black people used resistance dances to develop and maintain their political assemblies while challenged political, social, and economic colonist discussions and intentionally presenting their cultures, in order to demonstrate their power of unity. Seventh, black people used dances to allow people to watch the history dominance and survival from the viewpoint of not 'ego and others' but 'us' and adopted such forms of epic dances as put together the history of nations in order for people to recognize the values of such history. In the history of American black people's modern dances, Bill T. Jones is considered as a dancer who exerts herself to perform based on the theories of post-modernism while not disregarding the history of oppressed black people which her racial ancestors experienced. Her representative dances to portray such history include 〈The Last Supper at Uncle Tom's Cabin/The Promised Land〉 (1990), which reproduces and dismantles Uncle Tom's Cabin (1852), an epic story written by Harriet Beecher Stowe and revises it as a means to 'retrospect on behaviors.' This work is composed of the first act The Cabin, the second act Eliza on the Ice, the third act Last Supper, and the fourth act The Promised Land. In relation to this work, the present author analyzed 'reproduced colonist discussions,' 'dance image,' "symbols of characters,' and 'post-colonial identity.' First, the reproduced colonist discussions attested in "Uncle Tom's Cabin" and exclusively conducted by black people include 'the composition of minstrels playing at the cabin and Jim Crow dances,' 'black people slaves being whipped,' 'lack of fixed femineity and the black people whose invisibility is immanent,' and 'dances of the naked bodies disclosing their anger against the ruling class.' Second, the image of dances is used to recognize the situation of black people who are stereotyped as others, disclose their real entity, and request ways for purifying and changing colonist discussions. The roles of the image are largely classified into four as below. ① The repetition of characteristic movements (mimes) showing the propensity of each role is used to disclose the personality of submissive black people who look funny and happy. ② The endless procession of black people being openly whipped reminds us of black people's determination to resist. ③ Confusion of the identity of black female slaves is expressed through the self-scorn of their femineity, an attempt to overthrow their identity, and their conversion to God. ④ Such emotions as anger, betrayal, and curse against the ruling people are described by 52 dancers from various races who are all naked and leaping, turning and moving to a certain rhythm in a certain space in perfect order so as to set up a category of universal human feelings such as delight, disappointment, and trust. Third, characters are represented by 'the colonized ego which perceives and recognizes otherness and discloses its substance,' 'black people who are openly whipped while yearning for the salvation of God,' 'black people who attempt to overturn their identity as black female slaves,' and 'the entire mankind who are getting over their anger and advancing to the spirit of harmony and emancipation.' Fourth, the identity of post-colonialism can be divided into a basic strategy, which known to be an exclusive possession of black people conducting colonist discussions, and the emancipation strategy which helps black people grow out of a system of the dichotomous confrontation of oppression and resistance into the step of unity. ① The Irish-styled Jim Crow dance version does not only provide an opportunity to recognize the values of black people and their historically stereotyped dances but also provides basis for post-colonial resistance strategies to make known the inappropriateness of the stereotyped dances. ② The successive procession of black slaves being striped makes us acknowledge the post-colonial message that violence and oppression are not just the problems of black people but of all those who are living the present age and that reconciliation and unification should be permeated to all the parts of the globe. ③ Elizas, who are divided into five, represent the image of stereotyped black female slaves and comprise the identity of homosexualists as well. It means that the identity of black people who are a colonized minority group has been expanded to that of other minority groups. ④ The dances of 52 naked bodies reflect the awe of encountering deified bodies which are moving beyond the boundaries of simple dances. The naked bodies, which depict the process of people's incorporating into 'each other' and 'all,' visibly reveal the identity of Jones himself who embraces all the history of dominance and oppression dismantled in the above and moves forwards to emancipation and amusements. The naked dancers also convince the spectators of the fact that becoming others is against the universality of human beings. Bill T. Jones dismantles black people and black people dances and even the colonialist discussions following black people cultures and puts his own dances in the process of post-colonial discussions, so that he may offer the opportunities to cope freshly with black people and the minority groups who would resist the colonial circumstances within the American society and to form new and independent discussions. Jones dances are valued since they are not limited to the race and region of black people but convert the universal problems of human beings into artistic issues, contain post-colonial imagination and improve the existent successors' resistant viewpoints. Moreover, they break down the dichotomous confrontation of white people with black people and the ruling class with the ruled class and pursue after their identity from a 'more holistic viewpoint,' so as to excellently accomplish the universality which all people can profoundly sympathize with.

      • 컨벤션서비스의 만족요인에 관한 연구 : 관여도와 참가동기를 중심으로

        김경남 인천대학교 대학원 2007 국내박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컨벤션서비스의 세 요소인 핵심서비스, 물리적 환경 및 인적서비스가 참가자의 관여도와 참가동기에 따라 각기 만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서울 및 부산의 전시회 참가자 748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조사를 통해 검증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컨벤션서비스는 핵심서비스, 인적 서비스, 물리적 환경의 순으로 참가자의 만족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관여도는 물리적 환경과 인적 서비스가 만족에 미치는 영향에는 조절효과가 나타났으나 핵심서비스가 만족에 미치는 영향에는 조절효과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고관여 참가자는 핵심서비스, 물리적 환경, 인적서비스의 순으로 만족에 미치는 영향력이 컸으며, 저관여 참가자는 핵심서비스가 만족에 미치는 영향력이 가장 큰 반면, 인적서비스의 영향력이 물리적 환경보다 더 크게 나타났다. 셋째, 참가동기는 핵심서비스와 인적서비스가 만족에 미치는 영향에는 조절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물리적 환경이 만족에 미치는 영향에는 조절효과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지식추구형 참가자는 핵심서비스, 물리적 환경, 인적서비스의 순으로 만족에 미치는 영향력이 컸으며, 지식&오락형 참가자는 핵심서비스가 만족에 미치는 영향력이 가장 큰 반면, 인적 서비스가 물리적 환경보다 더 영향력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의 학문적 및 실용적 의미와 함께 시사점이 논의되었고 연구의 한계, 향후 연구방향도 제시되었다. This research was conducted to study the following two points with regard to the effect of convention services on satisfaction. One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such convention service factors as core services, physical environments and personal services on participant satisfaction and the other was to make clear the moderating effect of involvement and participation motivation on this relationship between convention services and satisfaction. Data were collected from 748 participants of two exhibition shows held in Seoul and Busan. Results are as follows; The effect of each convention service factor on participant satisfaction was the biggest with the core services, next with the personal services and the least with the physical environments. Involvement had a moderating role in the effect of physical environments and personal services on satisfaction, but no moderating role in the effect of core services on satisfaction. In case of high involvement, the effect size of core services, physical environments and personal services on participant satisfaction was big in this order. However, in case of low involvement the effect size of core services, personal services and physical environments on participant satisfaction was big in this order. Participation motivation had a moderating role in the effect of core services and personal services on satisfaction, but no moderating role in the effect of physical environments on satisfaction. In case of knowledge-oriented group, the effect size of core services, physical environments and personal services on participant satisfaction was big in this order. However, in case of both knowledge & entertainment-oriented group, the effect size of core services, personal services and physical environments on participant satisfaction was big in this order. Finally, the academical and practical meaning of this study was discussed along with research limitations and future research.

      • CRISPR-Cpf1 매개 다중 유전자편집을 위한 새로운 단일 아데노부속바이러스 벡터에 관한 연구

        김경남 울산대학교 의과대학 2021 국내석사

        RANK : 247631

        CRISPR (Clustered Regularly Interspaced Short Palindromic Repeats) /Cas (CRISPR associated protein) system은 CRISPR RNA (crRNA)가 상보적인 염기서열을 인식하여 절단해야 할 염기서열로 안내하게 되면 Cas9이 그 특정 부위에 결합하여 염기서열을 자르는 유전자 가위 역할을 하는 박테리아 면역체계로부터 유래되었다. 이를 이용하여 원하는 염기서열에 맞춰 crRNA를 제작하게 되면 원하는 유전자 부위만을 편집할 수 있게 되어 유전자 편집에 널리 이용되고 있다. 본 연구는 Cas 단백질 중 하나인 AsCpf1 (Acidaminococcus sp. CRISPR from Prevotella and Francisella 1)을 이용하여 유전자 편집이 가능한 벡터 system 개발을 위한 연구를 진행하였다. Cpf1이 가지는 pre-crRNA processing 활성으로 인해 여러 개의 crRNA가 하나로 연결되어 발현될지라도 각각의 crRNA로 쪼개어 여러 개의 crRNA를 만들어 낼 수 있는 특성을 이용하여 단일 벡터를 이용한 다중 유전자 편집 system을 구축 하였다(1),(2). 또한 이를 높은 안정성으로 in vivo 실험에 많이 사용되고 있지만 탑재 가능한 유전자 크기가 작아 한가지 벡터만으로CRISPR-Cas system 발현이 어려운 Adeno-associated virus (AAV)에 적용시켜 AAV를 이용한 다중 유전자 교정 system을 구축하였다(3). 본 연구를 통해 제작된 AAV 벡터는 양방향성 promoter인 H1 promoter의 사용으로 transgene 삽입 공간을 확보하고 CRISPR-Cpf1 system 발현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다중 유전자가위 발현을 구현할 수 있게 되었다. 개발된 CRISPR-Cpf1 system 발현 단일 AAV 벡터는 in vitro/in vivo 실험 진행 과정에서 AAV 제작과 관련하여 시간적, 경제적 비용을 감소시킬 수 있게 될 것이며, 단일 유전자는 물론 다중 유전자 교정이 가능하게 됨으로써 기술적으로 더 간단한 유전자 편집을 수행하는데 기여할 수 있게 될 것이다.

      • 커뮤니티 아트를 활용한 도시재생의 주민참여 방안 연구 : 서울 성북구 평생학습관 도예체험 사례분석을 중심으로

        김경남 광운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7631

        도시가 개발되는 과정에서 인구와 자원이 빠져나가면서 생긴 불균형의 난관을 극복해야하는 상황이 되면 도시 공동체를 재정비하고 도시 내 거주민들의 문제점을 해결할 필요가 있다. 기존의 도시재생은 결과에 우선시하는 물리적 재생을 중시했으나 현재는 문화적 성장을 중요하게 생각한다. 도시의 경제적, 사회적, 문화적으로 성장회복하기 위해서 공공의 역할과 지원을 강화해서 지역공동체를 회복하고 지역주민들의 삶의 질을 개선하려고 한다. 도시발전에 있어서 사회적 관계와 지역의 문화에 대한 관심이 증대하면서 사람과 커뮤니티에 관심이 많아지고 있다. 커뮤니티 아트는 예술뿐만 아니라 커뮤니티 비즈니스로도 가능하기에 도시재생에서 충분한 역할을 한다. 커뮤니티 아트는 기능보다 활동에 중점을 두며 보다 많은 대중의 예술 참여를 통해서 커뮤니티의 공통 관심을 반영하는 예술이다. 또한 지역, 단체 또는 공감대를 형성하는 공동체의 개별 커뮤니티가 고유한 가치를 결속시켜서 발전하기 위한 활동이다. 서울 성북구는 10여 년째 관·학 협력 사업으로 평생학습관 '도예체험교실'을 운영하여 생활 도자기 제작 실습을 통해 주민들의 예술적 감수성을 키우고 지역주민의 삶의 질 향상에 이바지하고 있으며, 특히 '주민참여형' 방식으로 잘 진행되고 있다. 성북구 평생학습관 '도예체험교실'의 활동사항과 주민들의 설문조사를 통해서 표면적으로 보이는 것과 다른 결과를 확인하였다. 성북구에서 10년 이상 거주하시는 주민들이 장기간 프로그램에 참여하고 만족도가 높다. 기회가 된다면 도예를 계속하고 싶어 하고, 동아리활동이나 사회적 경제조직에 참여의사도 높은 편이다. 주민들은 도예체험교실이 지역이미지와도 잘 어울린다고 생각하며, 체험교실이 계속 잘 운영되길 바라며, 구청과 학교의 장기적인 관심과 협조를 바라는 마음을 알게 되었다. 지역주민이 자유롭게 이용할 수 있는 수준 높은 공공공간은 지역주민의 삶의 질과 직접적으로 연결될 뿐만 아니라, 장기적으로 그 지역에 대한 긍정적인 이 미지를 형성하여 새로운 지역공동체 형성에도 기여합니다. 지역 공공공간의 혜택을 일반 주민이 폭넓게 공유할 수 있도록 공공성을 극대화시킬 수 있는 새로운 접근이 필요하며 또한 지역사회에 필요한 주민생활공간을 주민 스스로 발굴하고, 행정, 전문가 등과 협력적으로 추진할 수 있는 기반이 필요하다. 성북구는 뉴타운과 재개발 등으로 아파트와 노후주택이 혼재하고, 지리적으로 얽히고 좁고 복잡한 곳이다. 이런 곳에서 지역공동체를 이루며, 지역 활성화를 통해 얻게 된 공동의 경험과 지식을 기반으로 주민들의 삶의 환경을 개선해나가면, 가치 있고 의미 있는 문화적 도시재생의 공간이 되어줄 수 있다고 생각한다. In the process of developing a city, if a difficult situation of an imbalance between the population and esources has to be overcome, the urban community should be reorganized and the problems of the city's residents need to be resolved. Conventional urban regeneration places importance on physical regeneration, which gives priority to the result; however, nowadays, cultural growth is considered important. For economic, social, and cultural growth, and recovery of a city, it is vital to restore the local community and improve the quality of life of the local residents by strengthening the roles and support of the public. As interest in social relationships and local culture is increasing with respect to urban development, so is interest in people and community. Community art plays a substantial role in urban regeneration, because it can be used as not only art but also as community business. Community art places more importance on activity than function and reflects the common interest of a community through wider participation in arts. Furthermore, it is an activity that develops an individual community of a local area or organization in consensus by binding its intrinsic value. Seongbuk-gu, Seoul, has been operating a "Pottery Experience Class" at the Lifelong Learning Center for ten years as a government-academic cooperation project, thereby increasing the artistic sensitivity of community members and contributing to the improvement of the quality of life of local residents through pottery-making experiences. In particular, it has been properly provided in a "resident participatory" method. The activities of the "Pottery Experience Class" at the Seongbuk-gu Lifelong Education Center and a survey of residents showed different results than those visible on the surface. The residents who have lived in Seongbuk-gu for more than ten years have been long-term participants of the program, and their satisfaction level is high. They would like to continue pottery class, if possible, and they have a high intention to participate in a club activity or in a social economic organization. In the opinion of the residents, the Pottery Experience Class befits the image of a local community. Moreover, they hope that the class will continue to be operated and they expect long-term interest and cooperation from the Gu (District) Office and the school. The high standard of the public space, which local residents can use freely, is directly connected to their quality of life. Furthermore, by forming a positive image for the community, it will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a new local community in the long run. For common residents to share the benefits of the public space widely, a new approach is required to maximize the public interest. In addition, a foundation is needed to enable the residents to discover the community space required for the local community on their own and to implement the community space in cooperation with the local administration and experts. In Seongbuk-gu, a mixture of apartments and deteriorated houses exists due to new town development and redevelopment, and it is a geographically tangled, narrow, and complex place. Here, if a local community is formed and the living environment of residents is improved based on the common experience and knowledge acquired through local vitalization, it is expected that a valuable and meaningful cultural urban regeneration space will be obtained.

      • 혈액투석실 간호사의 전문직 자아개념과 노인에 대한 공감력이 노인간호 실천에 미치는 영향

        김경남 부산가톨릭대학교 일반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혈액투석실 간호사의 전문직 자아개념, 노인에 대한 공감력 및 노인간호 실천의 정도를 확인하고, 노인간호 실천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연구대상자는 B, U 광역시, K, Y 시도에 소재한 병·의원 21개 기관에 근무하는 혈액투석실 간호사 중 6개월 이상 근무경력이 있고, 65세 이상 노인 환자 간호를 경험한 간호사 대상으로 145명을 선정하였다. 자료수집 기간은 2020년 10월 16일부터 2020년 11월 10일까지이며, 자료수집 방법은 자가 보고식 설문조사이다. 수집된 자료는 SPSS WIN 26.0 이용하여 빈도, 백분율, 평균, 표준편차, independent t-test, one-way ANOVA, Scheffé test,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및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으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전문직 자아개념, 노인에 대한 공감력 및 노인간호 실천의 정도에서 전문직 자아개념은 2.79점(4점 만점)이었으며, 전문직 자아개념의 하위영역 중 의사소통은 2.87점으로 가장 높았고, 전문직 실무 2.83점, 만족감 2.66점 순이었다. 노인에 대한 공감력은 3.69점(5점 만점)이었고, 노인간호 실천은 3.28점(4점 만점)이었다. 2. 일반적 특성에 따른 전문직 자아개념은 연령(F=3.57, p=.016)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고, 노인에 대한 공감력은 결혼(F=-3.29, p<.001), 직업 선택 동기(F=2.98, p=.034)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 노인간호 실천은 연령(F=2.80, p=.042), 결혼(F=-2.31, p=.023), 직업 선택 동기(F=2.86, p=.039)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3. 전문직 자아개념, 노인에 대한 공감력 및 노인간호 실천의 상관관계에서 전문직 자아개념과 노인간호 실천은 유의한 순상관관계(r=.52, p<.001)가 있었고, 전문직 자아개념의 하위변수인 전문직 실무(r=.54, p<.001), 만족감(r=.39, p<.001), 의사소통(r=.45, p<.001)에서도 모두 유의한 순상관관계가 있었다. 노인에 대한 공감력과 노인간호 실천은 유의한 순상관관계가 있었다(r=.70, p<.001). 4. 노인간호 실천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노인에 대한 공감력(β=.58, p<.001)이 가장 크고, 전문직 자아개념 (β=.18, p<.05) 순으로 나타났으며, 이들의 설명력은 49.5%(F=29.27, p<.001)였다. 이상의 연구 결과 혈액투석실 간호사의 전문직 자아개념과 노인에 대한 공감력이 노인간호 실천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 결과를 토대로 혈액투석실 간호사의 노인간호 실천향상을 위한 전문직 자아개념 정립과 노인에 대한 공감력을 높일 수 있는 프로그램 개발과 정책이 요구된다. 주제어: 혈액투석, 간호사, 자아개념, 공감, 노인간호 This study is a descriptive survey study conducted to examine the professional self-concept, empathy for the elderly, and degree of geriatric nursing practice among the nurses in hemodialysis units and to identify the factors affecting geriatric nursing practice. The research subjects were 145 nurses working in hemodialysis units in 21 medical institutions located in B and U metropolitan cities and K and Y city and province who have at least six months of experience and have practiced geriatric nursing.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October 16 to November 10, 2020, through a self-reporting questionnaire.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according to frequency, percentage, mean, standard deviation, independent t-test, and one-way ANOVA using SPSS WIN 26.0; the Scheffé test,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and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performed for post-hoc analyse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1. Among professional self-concept, empathy for the elderly, and degree of geriatric nursing practice, professional self-concept scored 2.79 points (out of 4 points), while communication scored highest with 2.87 points, followed by professional practice with 2.83 points and job satisfaction with 2.66 points, among the subcategories of professional self-concept. Empathy for the elderly scored 3.69 points (out of 5 points), while geriatric nursing practice scored 3.28 points (out of 4 points). 2. With respect to the general characteristic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age was recorded in the category professional self-concept(F=3.57, p=.016); a significant difference in marital status was recorded in the category empathy for the elderly(F=-3.29, p<.001); and significant differences in age(F=2.80, p=.042), marital status(F=-2.31, p=.023), and career choice motivation(F=2.86, p=.039) were recorded for the categories career choice motivation(F=2.98, p=034) and geriatric nursing practice. 3. In terms of the correlations between professional self-concept, empathy for the elderly, and geriatric nursing practice, professional self-concept and geriatric nursing practice showed a significant correlation(r=.52, p<.001); the subcategories of professional self-concept, professional practice(r=.54, p<.001), job satisfaction(r=.39, p<.001), and communication(r=.45, p<.001) all showed a significant correlation. Empathy for the elderly and geriatric nursing practice also showed a significant correlation(r=.70, p<.001). 4. The factor with the greatest effect on geriatric nursing practice was empathy for the elderly(β=.58, p<.001), followed by professional self-concept (β=.18, p<.05), which had the explanatory power of 49.5%(F=29.27, p<.001). The research results showed that professional self-concept and empathy for the elderly were the factors that significanty influencing geriatric nursing practice among the nurses in hemodialysis units. based on the result of this research, to heighten the degree of geriatric nursing practice among nurses working in hemodialysis units, professional self-concept must be established, while programs and policies that can improve nurses’ empathy for the elderly need to be developed and implement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