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軍 組織의 意識構造 변화와 적합한 리더쉽에 관한 연구 : 陸軍을 중심으로

        권기환 단국대학교 1996 국내석사

        RANK : 247647

        At the threhold of the 21st centery, Korean society have experienced the time of unexperyienced changes in the past. The voices have been cried more loudly for demandes with personal desires, freedom and realization of personality in the companies, the society and the military. The subject of constitution is a human in every organization, and the organizations are controled human themselves, and it is divided command class and uncommand class. On here, the command class designate leader, and uncommand class desiginate subordinate group. Therefore leader have to displary leadership which lead the organization effectively. Military organization have particular aspect which is different with general social organization such as condition and characteristics. And under the circumstance, it must go forward to achieve daties and purposes as well as business accomplishment, so the duties of the leaders who control many troops are extremely important. Especially, as propensity to their senses by incoming of new generation military personnel, they have to maximize fighting strength and spirit through improvement of leadership which matches the changes. This mean to advance job accomplishment and attainment of goals while the leaders displary effectivery their leadership. On this paper, we will realize the meaning to will be the basre data which presends more realistis and desirable direction of the leadership to the change of new generation military personnel's way of thinking and leadership tendency of the leaders. For this, I classified the leadership skill based on the character of new generation, the analysis of propensity to thire sense, the leadership skill as shown by all scholars, the general rule of army command and analyze reacting actual condition intended for 271 soldiers in active service by random sampling how these leadership skills were accomplished The leadership based on propensity to thire sense will be adapted in any different situation to displary creativity according to any case by case situations. At the result of research, subordnates appraised the leaders accomplished finely their leadership skill in the whole aspect, but the accomplishment of leadership badly as sevsral problem partly. By the way, these mean the application of leadership as circumstance, the understanding of new generation military personnels through thire new vision and attitude to cope creatively more need. The military have lost thire face under the slogan. Military Culture Liquidation from someday and the occupation named proffessional military have had nothing attractive. It is even refered to one of 3D occupation. We will grasp that how did new generation military personnels think about military in the state they already had experienced indiretly by the massmedia. Nowadays, the military are making much effort to improve command ability of officers, that is quite desirable plenomenon. However, the most important things are to realize character improvement of the leaders who are leading the organization, and them the gain the respect from the followers, and have to make effort to share the sweets and bitters of life. Also they should make effort the fighting strength as enfore efficient moral education continuously for establishment of members sense of value.

      • 고형상비 미세패턴에 관한 연구

        권기환 忠南大學校 大學院 2010 국내석사

        RANK : 247631

        A현재 다양한 나노/마이크로 크기의 패턴들이 LED의 도광판, 광학필름, 미세 유체 소자 등 다양한 분야에서 응용되고 있다. 이러한 미세패턴들의 형상은 최근 유효표면적의 증가, 고감도, 고효율성, 고생산성이라는 장점을 가지며 고형상비화 되어지는 경향을 보이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패턴의 미세화 및 고형상비화로 인해 성형공정 중 패턴의 미성형, 패턴의 파손이나 변형과 같은 문제점들이 발생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고형상비 미세패턴에서 발생하는 문제점들을 확인하고 성형공정에서의 주요변수의 값을 보정하면서 성형특성을 분석하였다. 먼저 UV성형공정에 대한 부분을 확인하고 FILM과 RESIN, MASTER 3가지 요소에 대한 특성을 분석하였다. 그리고 그와 관련된 주요인자(curing time, roll speed(pressure time), UV intensity, releasing type)에 대한 성형 실험을 진행하였다. 그것을 토대로 100*100크기의 평판성형의 공정조건의 guide line을 잡았다. 또한 연속성형에 대한 성형공정을 실험하고 여기서 발생하는 문제(bubble, different thickness)들을 분석하였다. 마지막으로 UV성형에서 크게 작용하는 이형공정 측면에서는, 실제적인 이형력을 측정하기 위한 장비를 고안하고 그것을 통해 기본 실험을 진행하였다.

      • EFDC와 WASP7.3을 利用한 貯水池의 成層현상과 水理ㆍ水質模擬에 관한 硏究

        권기환 忠南大學校 大學院 2010 국내석사

        RANK : 247631

        Two state of the art water quality models have been used in combination; EFDC, the 3D hydro dynamics model and WASP7.3, 3D water quality model for the simulation of hydrodynamcs and water quality of a reservoir. Yongdam Reservoir in the Geum River basin in Korea was selected as a study area. In this study, water level, 3-D thermal stratification, sediment transport were simulated by EFDC, a 3-D hydrodynamic model and water quality of typical variables were simulated by using WASP. The EFDC model generated *.hyd file to provide hydro dynamic information available to WASP and WASP interface can link the *hyd file for Eutrophication or Turbidity simulations. It was found that more number of grid of the reservoir can provide better simulation results for annual water levels and volume changes of the reservoir. However, more grids also result in longer calculation time. Among many different grid developments tested, it was determined that 372 horizontal cells with 10 vertical layers case was selected as the optimum grid system for the tested reservoir. After successful simulation of water level and stratification, sediment transport simulation was performed using the EFDC. The EFDC can simulate cohesive and noncohesive sediments simultaneously. However, due to insufficient sediment distribution of the tested reservoir, trial and error method was applied to determine optimum particle sizes. It was determined noncohesive sediment diameter of more than 63㎛ and cohesive sediment diameter of less than 62㎛ were optimum input sediment conditions. Water quality simulations were performed to predict typical water quality variables including BOD, Nitrogen compounds, Phospohrus compounds and Chl-a. This simulation results can be used to predict turbidity as a function of SS, DOC and Chl-a. In most of cases, suspended sediment concentrations can be used to predict turbidity of reservoirs. However, light particles and color development and excessive growth of algae could affect turbidity more than SS concentrations especially when SS concentrations are low. In conclusion, it was found that EFDC and WASP can be used successfully to predict hydrodynamics, sediment transport, water quality dynamics and turbidity predictions. This study also suggests that more extensive data be needed to provide more accurate predictions of the water quality parameters.

      • 표면 미세 형상 측정시 촉침에 의한 형상 오차 해석

        권기환 漢陽大學校 大學院 1998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논문에서는 접촉식 표면 미세 형상 측정기에 의한 데이터의 획득시 촉침의 선단 반경과 표면의 기하학적 관계로부터 발생되는 형상 오차를 해석하였다. 이를 위하여, 표면을 정현파로 촉침의 형상을 원으로 가정하여 촉침에 의한 오차발생기구를 해석하고, 촉침의 선단반경과 표면 형상 파라미터의 함수로 측정 왜곡량을 표현 하였다. 프로파일의 측정시 촉침의 기계적인 필터효과(Mechanical filtering effect)로 인한 고주파수 영역에서의 진폭감소 및 왜곡을 평가하는 방법으로 스펙트럼 분석이 이용되었다. 또한, 촉침의 의한 측정시 스펙트럼 변화량을 예측하고 수치적 방법에 의한 측정 실험에서 얻어진 프로파일의 스펙트럼과 비교함으로써 모델의 유효성을 검증하였다. 누적 파워 스펙트럼을 이용하여 데이터 분석시 유용한 측정 데이터의 신뢰성 확보를 위한 촉침 반경의 선정법이 제안 되었다.

      • 시가와 다른 양도에 대한 세법상의 효과

        권기환 慶北大學校 大學院 2004 국내석사

        RANK : 247631

        In a market economy system, the pricing depends on traders'(buyer and seller) own will. There is no problem if the price is made by balance of the demand and the supply. But the traders who have intended purposes, for example tax avoidances, could make bad effect on the market system. Therefore the authority has a lot of methods to regulate intended trading. This study show the regulations on the transfers of which price is not made by market price under the korean tax system. For the effective regulations, we should make emphasis on the principle of equal taxation. The principle that the condition and subject of taxation should be stipulated definitely harmonized with the principle of equal taxation.

      • 신장 이식 후 초기에 투여한 골다공증 치료제의 효과

        권기환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5 국내석사

        RANK : 247631

        골결핍증과 골다공증과 같은 골질환은 신장 이식 후 환자의 신체적 제약을 가하는 중요한 합병증의 하나이다. 그러나 이러한 골질환의 치료시기와 방법에 관하여서는 통일된 지침이 없는 형편이다. 따라서 연구자는 이식 후 발생하는 골밀도 감소에 대한 초기 치료효과를 검증하기 위하여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방법: 신 이식 전 골밀도 검사를 시행한 125명의 신장이식 환자를 대상으로 이식 후 1년 경과시점에 골밀도 검사를 시행하여 골다공증 치료제 종류에 따라 이식 후 1년간의 골밀도의 변화상을 분석하였다. 골다공증 예방제제로는 경구용 칼슘을 기본처방으로 하여 비타민 D제제 (alfacalcidiol:One alpha?) 0.5 mcgday 혹은 alendronate (Fosamax?) 70 mgweek를 투여하였으며, 이러한 치료군을 골다공증 치료제를 투여하지 않은 대조군과 비교하였다. 골밀도 결과는 제 2,3 요추부와 대퇴골두에서 dual energy X-ray absorptionmetry로 측정한 골밀도의 T-score와 백분율을 대표값으로 사용하였다. 결과: 연구대상군의 이식후 1년간의 골밀도의 감소량은 요추부가 -0.501(-5.8%) 대퇴부가 –0.26(-3.6%)로 이식 후 1년간 현격한 골밀도의 감소가 있었다. 이식 전 골밀도가 정상치(T-score>-1)인 환자들의 1년 후 요추부의 T-score(percentage) 변화량은 -0.602(-6.6%) 로 이는 이식 전 골밀도의 T-score가 -1이하인 환자에서의 1년간 골밀도의 변화량인 -0.652(-4.8%)와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나(p-value=0.075) 대퇴부의 T-score(percentage) 변화량은 -0.41(-5.8%)로 이는 이식 전 골밀도의 T-score가 -1이하인 환자에서의 1년간 골밀도의 변화량인 -0.099(-0.9%)와 비교하여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value=0.001). 이식 전 요추나 대퇴부의 골밀도가 -1이하인 군의 요추부 골밀도의 변화량을 살펴보면, 대조군(n=35), 비타민 D제제 투여군(n=17) 그리고 alendronate 투여군(n=19)의 T-score(percentage) 변화량은 각각 -0.687(-8.2%), -0.331(-3.7%), -0.100(-1.1%)로 치료군에서 유의하게 골밀도 저하가 둔화되었다(p-value=0.045). 반면에 대퇴부의 T-score(percentage)의 변화량은 대조군, 비타민 D제제 투여군 및 alendronate 투여군이 -0.194, 0.072 및 -0.079로 각 군간의 유의한 차이는 없었으나(p-value=0.234) 비타민 D제제 투여군이나 alendronate 투여군에서 대조군에 비하여 골밀도가 감소 폭이 적어지는 경향을 확인할 수 있었다. 결론: 이식 이후 초기부터 칼슘 제제를 포함한 비타민 D제제나 alendronate를 투여하는 것이 골밀도 감소를 예방하는데 도움이 된다고 생각된다. Introduction: The decrease in bone mineral density (BDM) such as osteopenia or osteoporosis is a major complication after a kidney transplant, which mainly occurred in first 6 months after a kidney transplant. However, the treatment and prevention strategy for a decreased BDM is unclear. Method: The pre-transplant baseline and post-transplant 1 year BDM were collected in 125 renal transplant recipients. The post-transplant changes in the BDM were compared by the baseline status of the BDM and the type of osteoporosis treatment with a vitamin D agent (Alfacalcidiol) (n=18) or alendronate (n=21). The osteoporosis treatment began within 30 days after the transplant with 0.5 mcgday vitamin D or 70 mgweek alendronate, and was maintained until 1 year after the transplant. Results: Regardless of the baseline BDM status, the control, vitamin D and alendronate group showed a significant decrease in the BDM during the post-transplant 1 year. The mean change in the spine BDM of the control, vitamin D and alendronate group was -7.1±7.5%, -3.3±7.4% and -2.6±6.5% respectively. In addition, the femur BDM also changed -5.1±7.7%, 1.1±5.3% and -1.5±8.2% respectively. The decreased percentages of the treatment group were significantly lower than that of the control (P=0.014 in spine, P=0.003 in femur). In analyzing the restricted reduced baseline BDM (T-score of spine or femur £ -1) group, the treatment group (-3.7±6.5% in vitamin D and -1.1±6.4% in alendronate group) showed a significant lower decrease in the spine BDM than the control (-8.2±6.2%)(P-value=0.036). The femur BDM also showed a lower decrease in the BDM in the treatment group, but this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P-value=0.234).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vitamin D and alendronate group. Conclusion: An early post-transplant treatment of vitamin D or alendronate for one year significantly reduced the post-transplant decrease in the spine and femur BDM.

      • 방재안전분야 전문성 강화 방안 연구

        권기환 광운대학교 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7631

        최근 우리나라를 충격에 몰아넣은 세월호 침몰사고(2014년) 등의 재난안전사고가 급격히 증가하고 있다. 그러나 방재안전인력의 전문지식 부족으로 긴급상황 대처에 대한 문제점이 지속적으로 노출되고 있다. 이에 국내에서는 방재안전인력의 역량강화 방안에 대한 대응전략 수립을 위해 노력하고 있다. 국내의 방재안전인력의 전문성은 시스템상의 불합리성으로 인하여 저해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조직 내에서 관련 업무를 담당할 인력의 육성과 관리에 대해서는 상대적으로 관심이 부족하다. 특히, 중앙 및 지방부처의 방재안전관리 인력의 경우 방재안전관리에 대한 인식부족으로 업무의 우선순위가 낮고, 순환보직으로 인한 전문성 결여가 가장 큰 문제로 지적되고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방재안전관리 관련 교육훈련 또한 매우 미약하여 담당 공무원의 전문역량을 제고할 수 있는 기회가 미흡하다. 뿐만 아니라 성과지표의 개발의 문제, 성과에 대한 보상의 미흡 문제 등 방재안전관리의 성과관리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아 담당 공무원이 스스로의 역량을 제고하고자 하는 기본적인 동기부여가 미흡하다. 따라서 이 논문에서는 국내의 방재안전인력의 전문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구체적 방안을 탐색하는 연구를 진행하였다. 문헌조사 및 설문조사 등을 실시하여 안전관리 전문 인력으로서 담당 공무원의 전문성 정도를 확인하고, 이를 강화하기 위한 제도적 방안으로서 방재안전분야 공무원의 채용과 배치, 성과평가 등의 내용과 실제 운영의 현황과 문제점을 분석하여 구체적으로 방재안전분야 전문가로 양성하기 위한 대안을 제시하였다. 방재안전인력의 전문성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정부의 방재안전인력의 고용시스템을 순환보직과 같은 전통적 시스템을 탈피한 보직 직렬제를 활용하여 전문성을 향상시키고, 위험성이 많은 보직의 특성을 고려한 수당이나 가점 등 성과에 대한 적절한 평가와 보상을 진행하여 공무원들이 전문성 제고를 위한 스스로의 노력에 동기부여가 되도록 하는 것이 필요하다. Nowadays, in korea how to enhance the capability of disaster or safety managers (DSMs) in the government because in the recent Sewol ferry accident the DSMs were short of expertise to manage emergency situation. In fact the Korean government has many problems in expertise-related systems such as employment system, training or education system, and performance management system for DSMs. These problematic systems have affected DSMs’ expertise negatively and consequently they have become incapable. This paper reviewed these problems synthetically and proposed some policy implications. It utilized several methodologies including literature analysis of expertise, civil servant expertise, and DSM expertise, content analysis of newsletters about DSM expertise just after the Sewol ferry accident, in-depth interview and survey for DSMs, and Delphi method for concerning experts. Through these methods it collected diverse kinds of quantitative or qualitative data, tried to analyze causes of incapability of DSM and suggested several policy implications. Especially it focused on three dimensions of employment system, education or training system, and performance management system. This paper proposed the next suggestions: the government should change existing employment system for DSMs. It could engage some factors of position classification system such as expert positions, career-path, and open career systems which the U.S. government has operated and lessen factors of traditional rank systems like job rotation. Additionally, it should employ private experts in the field of disaster or safety management and activate personnel exchange programs between DSMs who work in different steps of CEM (Comprehensive Emergency Management). Also, it should create an original performance management system for DSMs. It should devise a specific performance system including evaluation and compensation systems exclusively for disaster and safety managers.

      • 백서 심근손상 모델에서 동종 세포이식 및 유전자 병합치료

        권기환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3 국내박사

        RANK : 247631

        허혈성 심장 질환으로 인한 심근의 괴사는 관상동맥 재관류 요법이나 관상동맥 우회로술로는 손상 받은 조직의 손상 정도를 경감할 수 있으나, 심근세포를 재생할 수는 없다. 따라서 심근세포로 분화하는 줄기 세포(stem cell)를 이식하여 심근세포를 재생하려는 많은 시도가 이루어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골수 간엽 줄기세포(bone marrow-derived mesenchymal stem cells; MSCs)를 냉동 손상 받은 심근에 이식하여 이식된 세포의 생존여부를 관찰하고, 성장인자인 섬유아세포 성장인자(fibroblast growth factor-2: FGF-2)를 발현하는 유전자를 삽입한 경우에 이식된 세포의 생존능력과 분화정도에 차이가 있는지 관찰하고자 하였다. 백서의 골수세포를 획득하기 위하여, 백서의 대퇴골과 경골로부터 골수를 채취하고, Percoll gradient 방법으로 단핵구(mononuclear cell)를 분리 배양하면서 plate에 부착하지 않은 조혈모세포는 배제하고, 부착된 세포만 배양하여 골수 간엽 줄기 세포를 얻었으며, FGF-2 유전자를 삽입하고 이식 직전 DAPI처리를 통해 이식할 세포들을 표시하였다. 냉동손상은 액체 질소로 냉각된 cryo-probe을 노출시킨 심장의 좌심실 전벽에 충분한 시간동안 접촉시켜 괴사를 유도하였다. 냉동손상을 입은 부위의 주변부에 골수 간엽 줄기 세포를 이식하였으며, 이식한지 4주 뒤에 심장을 적출하여 이식한 세포의 생존 여부와 특성을 조사하였다. 연구 결과, DAPI-표지된 이식세포들이 이식부위에 생존하고 있음이 관찰되었고, 동일한 microscopic field에서 DAPI와 troponin T가 양성으로 염색되었으며, 심근세포에 특이적인 voltage-gated Ca^(2+) channel (Cav2.1)이 양성으로 염색되었다. 배양중인 골수 간엽 줄기 세포에서 atrial natriuretic peptide(ANP)와 brain natriuretic peptide(BNP) 유전자가 모두 발현되었고, DAPI-표지된 이식된 세포에서 myosin heavy chain과 α-skeletal actin 유전자의 발현 및 심근세포 특이적 전사 인자인 Nkx2.5와 GATA4 유전자의 발현이 관찰되어 이식된 세포가 분화된 심근 세포의 표현형을 보인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FGF-2 유전자를 삽입한 경우 배양액으로 분비되는 FGF-2의 양이 대조군에 비해 증가함을 확인하였으며, troponin T와 voltage-gated Ca^(2+) channel의 발현이 대조군에 비해 증가되었고, 이식된 골수 간엽 줄기 세포의 생존율도 대조군에 비해 증가되었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에서 냉동 손상된 심근의 변연부에 골수 간엽 줄기세포를 이식할 경우 이식된 줄기 세포가 생존하며, 심근세포로 분화될 수 있는 가능성을 제시하였고, FGF-2 유전자 삽입은 이식된 세포의 생존율과 심근세포로의 분화를 향상시켰다. Loss of cardiomyocytes in the myocardial infarction leads to regional contractile dysfunction, and necrotized cardiomyocytes in infarcted ventricular tissues are progressively replaced by fibroblasts to form scar tissue. To restore dead myocardium, we have isolated bone marrow mesenchymal stem cells(MSCs) in vitro and the FGF-2 gene were transfected into the isolated cells to enhance cell survival and differentiation after implantation. In in vitro culture, the isolated stem cells formed the colonies with fibroblast-like morphology after 2-week cultivation. They expressed atrial natriuretic peptide, brain natriuretic peptide, isoforms of contractile protein genes, such as myosin heavy chain, and α-actin, and cardiomyocyte-specific transcription factors, Nkx 2.5/Csx and GATA4. For the promotion of survival of implanted MSCs, FGF-2 gene was transfected into the MSCs by LIPOFECTAMIN PLUSTM reagent. The level of secreted FGF-2 into the culture medium was increased in the MSCs containing FGF-2 gene compared with the control MSCs containing lacZ(150±18pg/ml VS. 21±5pg/ml). In in vivo studies, 4 weeks after implantation of the MSCs on the cryo-injured host myocardium, viable cells labeled with 4',6-diamidino-2-phenylindole was identified in host myocardium. The survival rate of MSCs containing FGF-2 gene was increa- sed at the ratio of 60%, compared with the control MSCs containing lacZ and the expression levels of troponin T and voltage-gated Ca^(2+) channel were increased in the MSCs containing FGF-2 gene compared with the control. Our studies indicated that locally delivered MSCs containing FGF-2 gene can reconstitute dead myocardium effectively.

      • 협동학습 모형을 적용한 국악 교수-학습 방법 연구 : (초등학교 3학년을 대상으로)

        권기환 대구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7631

        집단 구성원 간의 긍정적인 상호 의존성, 구성원 각각의 개별적인 책무성, 구성원들의 대면적인 상호 작용, 협동적 기술의 발달 그리고 집단 전체의 발전을 위한 시간 등의 협동 학습의 특징은 성공적인 국악 수업에서는 이미 존재하여 왔다. 따라서 국악 교육에 협동학습 모형을 적용하는 것은 협동을 하는 학생들 간의 상호 작용이 학습자간 사고력을 확장시킴으로 개별학습이나 경쟁학습보다 학습자의 학업 성취면에 있어서 더욱 긍정적인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인지심리학과 구성주의 학습관을 기반으로, 학습자의 국악적 잠재능력의 개발 및 발달과 국악 학습 목표의 성취도 향상 및 협동적 사회기술 습득을 위하여 아동들에게 쉽게 활용 가능한 국악 수업 협동학습 모형을 구안하고, 그에 따른 학습지도안을 연구하여 앞으로의 국악 학습의 방향을 새롭게 모색하고자 하는데 있다. 본 연구의 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협동학습 적용에 있어 교사는 적절한 학습구조를 설계해야 한다. 수업 전에 교사는 수업에 사용할 수 있는 학습지나 학습 도구를 제작하여 협동학습을 위한 준비를 철저히 하여야 하며, 수업 중에는 학생들의 활동에 적극적으로 개입하고, 끊임없이 학생의 활동을 관찰하고 기록해 두며, 협동학습이 잘 진행될 수 있도록 조언을 해 주어야한다. 또한 학생들을 격려하여 수업에 적극적으로 참여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수업 후에는 교사는 결과를 검토하고 평가를 통해 다음 활동을 발전시킬 수 있는 피드백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정리하고 체계화시키는 과정을 가져야 한다. 둘째, 협동학습모형을 적용한 구체적 교수-학습안을 적용했을 때 학습자들이 흥미와 관심을 가지고 적극적으로 수업에 참여하여 자신이 가지고 있는 국악적 잠재능력이 표면화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학습 목표의 성취도면에서도 일제 수업이나 개별화 수업보다 더 효과가 크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셋째, 협동학습모형의 적용으로 자신뿐만 아니라 다른 구성원 모두의 성취에 관심을 갖고, 구성원 간의 긍정적 상호 의존성을 바탕으로 모둠 내 이질적인 또래와의 협동적 상호작용이 활발히 이루어져, 학습자의 사고력, 창의력, 국악 능력의 신장을 가져올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다양한 협동학습 수업 전략에 대한 연계성 있는 협동학습 수업안의 개발이 이루어져 학습자들이 국악의 잠재능력을 개발 및 발전시키고, 국악에 흥미와 관심을 갖고 국악을 생활화하는 계기가 되었으면 한다. The traits of collaborative learning including positive mutual interdependence among the members, individual responsibility, interaction among members, development of collaborative technology and time fordevelopment of whole group have existed in successful Korean music classes. Applying collaborative learning model to Korean music class can create more positive results in terms of achievement compared to individual learning or competitive learning, as the interaction among the collaborating students expands their thinking power.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create collaborative learning model for Korean Music, which can be easily applied to the classes, for development of students' potential capabilities, enhanced achievement of Korean music learning and acquirement of collaborative interpersonal skills, based on cognitive psychology and constructivists' viewpoint. It is also to search for the desirable way of Korean music teaching through additional research about curriculum. The result of this research is as follows; First, teachers are required to establish appropriate teaching structures for application of collaborative learning model as they are fully prepared for collaborative learning through making handouts and necessary instruments for the class. They are also required to actively intervene in students' activities, constantly take care of students, record students' activities and give advices for successful collaborative learning. In addition, teachers need to courage studentsfor active participation of students. They are needed to have a process to arrange and systemize the program after the class for feedbacks, which contributes to analysis of the result, assessment and suggestions for next activity. Second, application of concrete teaching and learning model, which was based on collaborative learning model, made students be more interested in Korean music and participate in the class actively, as well as exhibiting their potential of Korean Music. It is also proved to be more effective in terms of achievement compared to class education or individual education. Third, application of concrete teaching and learning model contributed to enhancement of thinking power, creativityand Korean Music skills thanks to active cooperative interaction among the members. The model made students not also interested in individual achievementbut one of the others as well, and created collaborative interaction among the members based on positive interdependence. Last, it expects more curriculum developments for collaborative learning concerning various teaching strategy to be realized so that the students can find and develop their potential Korean music capabilities. It will also become a chance for the students to become more interested Korean music and enjoy it in daily liv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