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문학’ 교과서 수록 여성시에 나타난 여성상 연구

        구희정 숙명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4 국내석사

        RANK : 247631

        This research could have the meaning in case of the importance and contribution to the kid to grow up through the class of literature and also have the purpose to prove the need to contain a various context to the coming textbook. Through the 7th national education reformation, this research put an stress on to analyze problems and related issues and highlight the education about the poem written by poetess in case of socialization and identification for both gender. Also, in this report, the main part of research and analysis is the 8 poems out of 12 poems which is contained in current textbook of Korean literature. It is not only the detailed interpretation and simple analysis of the poems but general sentiment and implied message. There is two big categories for the feature of women in the text book for Korean literature currently, One is the introspective feature of women, this kind of feature is shown from the work of Noh Chun Myung, Chun Yang Hee, Kim Nam Jo, Heo Yung Ja , Lee Hae In and almost of the poem that is contained in the textbook represent this kind of feature. The other is the feature which represent that women in the poem is not any longer introspective. The poem written by Kang Eun Kyo and Kim Hye Soon, overcome the preceding viewpoint that says the poem written by poetess is small, narrow and passive. It means these poetess poems are totally different those of the other average poetess. So, these poems could enlighten the existing prejudice over the conception that the poem written by poetess is too passive and reflective. But, unfortunately, the poems which can show the preceding feature is only 2 pieces out of 12 poems in the current text book for Korean literature. Like it says, the current textbook for Korean literature shows that the most part of the poem is an introspective one. So, for this purpose, the teacher should make an effort to change and correct the direction of the education about the poem written by poetess. The education should help formulate the right identity and the enlargement of an outlook on the world with the teaching those poems. For this reason the teacher should sublate the preceding method of teaching-such as cramming method- and help to study and analyze the poem by student themselves with the various and different point of view. Through the process, we can analyze and explain the poem newly and differently than ever before. And also, the teacher should make an effort to keep the student from having the prejudice which is shown from the given poems through the textbook. Also, thorough this research, I present the appropriate poem which can overcome the existing problems which is shown through the textbook. In this research, the work done by Kang Eun Kyo and Mo Yoon Sook are presented as the prototype of the independent self-consciousness, and the work done by Moon Jung Hee and Kim Seung Hee are presented as the prototype as of the realistic participation to the society. In conclusion, preceding mentions and works are prompted from the awareness that the appropriate poem-related education is crucial and important for the growing child and it also needs more well-organized and systematical effort done through the educational system and right teaching skill. It is all about the right education of the general and various education of the feature of the women. 이 논문은 7차 교육과정 고등학교 『문학』 교과서 수록 현대시 중 여성시에 드러난 여성상을 통하여 그 문제점을 분석하고, 여성시 교육이 남녀 학습자 모두에게 주체성 및 사회화 함양에 도움이 될 수 있도록 교과서에 다양한 내용을 여성시를 수록해야 함을 논증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 논문에서는 『문학』 교과서 수록 여성시 총 열두 편 중 여덟 편의 시를 연구 대상으로 하였다. 그리고 각각의 시에 대한 세부적인 해석이 아닌 전반적인 정서와 내재된 메시지에 초점을 두었다. 현재 『문학』 교과서에 수록된 여성시에 나타난 여성상은 크게 두 가지로 분류할 수 있다. 첫째, 내성적인 여성상으로, 노천명, 천양희, 김남조, 허영자, 이해인의 작품이 이에 해당되며, 교과서 수록 여성시의 대부분이 내면 지향적인 여성상을 드러내고 있다는 결론을 이끌어낼 수 있다. 둘째, 탈 개인적 여성상으로, 강은교와 김혜순의 작품이 이에 해당된다. 이 작품들은 내성적인 여성상을 드러내는 다른 여성시들과 달리 개인의 내면을 벗어나 넓은 관점에서 세상을 바라보는 여성상을 드러낸다. 따라서 이 시들은 여성시가 내성적이고 소극적이라는 기존의 편견을 깰 수 있는 작품들이라 할 수 있다. 그러나 교과서 수록 여성시 총 열두 편 중 이러한 탈 개인적 여성상을 드러내는 작품은 단 두 편에 불과하다. 이와 같이 『문학』 교과서 수록 여성시의 대부분이 내면 지향적인 여성상으로 치중되어 있다. 교사는 그런 문제점을 인식하고 문학 교육의 여러 목표 중 가치관 형성과 세계관 확대라는 목표를 지향하는 방향으로 여성시를 교육할 수 있도록 노력해야 한다. 이를 위해 교사는 기존의 해석을 학습자에게 주입시키는 교육 방식을 탈피하여 학습자가 다양한 관점에서 시를 이해할 수 있도록 보조해주는 역할을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과정을 통해 여성시의 기존 해석 범위를 벗어나 보다 폭 넓고 새로운 방향에서의 해석이 가능할 것이며, 학습자가 여성시와 여성시에 나타난 여성상에 대한 편견을 갖지 않도록 유도해야 한다. 그리고 현재 『문학』 교과서 수록 여성시의 문제점을 보완할 수 있는 여성시로서 주체적 여성상을 드러내는 작품들을 제안하였다. 주체적 자아 의식을 드러내는 작품들로 강은교와 모윤숙의 시를 제시하고, 현실 참여적 태도를 드러내는 작품들로 문정희와 김승희의 시를 제시하였다. 이상의 논의는 가치관과 정체성 형성의 중요한 시기에 있는 청소년 학습자들에게 바람직한 여성관을 확립해주어야 한다는 인식에서 출발하여, 보다 다양하고 포괄적인 여성상의 교육을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는 결론을 도출해낼 수 있다.

      • 젖소 농가 착유실 발생 폐수의 생물학적 처리공정에 대한 운전효율 연구

        구희정 한밭대학교 산업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7631

        최근 환경문제에 대한 사회적 관심이 고조되고 있는 가운데 2012년 11월에 개정된 [가축분뇨의 관리 및 이용에 관한 법률 시행규칙]에 의거 가축분뇨 정화시설의 방류수질기준이 강화되었고, 기존의 낙농가에 대해서도 2019년부터 강화된 기준이 적용될 예정으로 대책 강구가 조속히 필요하게 되었다. 그러나 젖소 농가의 경우 공공하수처리시설과 같은 대단위 공정의 처리 시설을 갖추기에는 그 발생량이 적고 건설비 및 유지관리비와 관련한 경제적 부담이 상당한 관계로 가축분뇨처리업자가 설치한 액비화 시설에 위탁하여 처리하거나 여건이 되는 지역은 공공처리시설에 유입하여 처리하였다. 그러나 이렇게 위탁하여 처리하는 경우 위탁처리비 및 운반비 등이 소요됨에 따라 젖소 농가의 경제적 부담은 더욱 심각하게 되었다. 이에 따라 젖소 농가에서는 착유실에서 발생하는 세정 폐수의 처리를 위하여 자체적으로 정화시설을 설치하여 법에서 정하는 정화시설의 방류수 기준 이하로 처리하여 방류하는 방법을 선호하고 있는 실정이다. 기존 젖소 농가에서 필요한 정화시설의 경우는 그 시설만을 전문적으로 제작하여 판매하던 업체들이 다수 있었다. 그러나 법적으로 방류기준이 지속적으로 강화됨과 동시에 가축분뇨공공처리시설이 다수 설치되어 개별 정화시설의 수요가 점차적으로 감소함에 따라 전국적으로 젖소 농가에서 필요로 하는 정화시설을 제조하는 업체를 찾아보기가 어렵게 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젖소 농가의 경제적 부담은 줄이면서 관련법에서 요구하는 정화시설의 방류수 기준을 만족할 수 있는 방법으로 생물학적 처리공정에 대한 운전효율을 연구하여 젖소 농가 착유실 폐수의 정화 처리에 적용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 도심의 수직형 초·중·고등학교 계획

        구희정 경희대학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31

        근대 산업의 발달은 인구의 도시집중을 가져왔고 도심 내 한정된 토지 안에서 인구의 밀집화는 지가상승으로 이어져 동일 면적 내에서 최대의 경제적 효과를 얻기 위해 고층화라는 건축적 방법이 모색되었다. 이러한 사회적 분위기 속에서 학교시설을 제외한 거의 모든 시설들이 고층화됨에 따라 도심 속 저층학교들은 일조권문제와 학교부지 내 오픈스페이스의 부재 등의 많은 문제점들을 안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학교에 고층개념을 도입하여 기존의 저층학교들이 안고 있는 한계를 극복하고 하고자 한다. 고층건축은 공중의 오픈스페이스 확보와 도심기능 활성화, 랜드마크의 장점을 가지고 있다. 그러나 이와 동시에 고층건물이 야기시키는 사회적, 건축적 문제들 또한 꾸준히 발생하였다. 사회적으로 고층건물은 주거시설 위주로 개발되면서 투기수단으로 전락하고 이는 각 주호 사이의 사회적 소통의 부재를 생산해냈다. 이는 그 프로그램의 특성상 공공의 가치보다는 경제논리를 우선시 하고 있기 때문이다. 건축적으로는 층간 단절이 주요 문제점으로 지적되어 왔다. 학교시설은 대표적인 공공건축물로서 그 프로그램의 특성으로 말미암아 이전의 고층건물 내에서 적극적으로 발현되기 어려웠던 고층건물이 갖는 긍정적 가치들이 더욱 적극적으로 발현될 수 있을 것이다. 건축적으로는 학교건축의 계획에 있어 연속성이라는 건축적 개념을 도입하여 수직형 학교건축 내에서 적극적인 수직적 소통을 만들어 내고자 한다. 연속성은 공간적인 자유로움을 획득하고 수직성 속에서 수평성을 획득하기 위해 중요한 건축개념으로서 그동안 역사적으로 많은 사례를 통해 꾸준히 표현되어 왔던 건축적 개념이다. 이것은 특히 학교의 동선공간에서 적극적으로 표현될 수 있다. 고층형 학교는 저층형 학교의 대표적 문제인 일조문제를 해결할 수 있고 좁은 면적에서 수직화를 통해 조성된 수직적으로 연속된 오픈스페이스로 인해 저층형 학교에서 부족한 야외 운동시설을 확충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학교건축의 고층화를 통해 얻은 장점들은 학교의 복합화를 통해 더욱 적극적으로 발현될 수 있다. 학교를 수직적으로 복합화 함으로써 다양한 프로그램들이 학교시설과 어우러져 건축적으로 다양한 공간을 만들 수 있을 뿐 아니라 학교시설이 지역사회의 랜드마크성을 갖는 중심시설로서 기능할 수 있게 한다. 여의도 지역은 개발계획으로 인한 업무기관의 이전과 재건축 붐으로 인해 향후 지역 내 주거 수와 상주인구가 늘어날 전망이지만 학교나 도서관 등의 교육시설 및 대형 상업시설이나 문화시설 등의 생활편의 시설 등이 여전히 매우 부족한 곳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향후 개발에 따른 여의도 지역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고층건물의 연속성에 관한 연구를 바탕으로 생활편의 시설 및 커뮤니티 시설과 복합화된 새로운 유형의 학교시설을 제안하여 여의도 지역 내 새로운 중심시설을 계획하고자 한다. 이와 같이 본 연구는 현대 도시의 새로운 유형의 학교 건축으로서 고층형 학교를 제안하기 위해 학교건축과 현대도시의 특징, 고층건물을 이해하고 고층건물에서 연속성을 획득하기 위한 방법에 대해 다룬다. 이는 고층형 학교계획을 통해 학생들의 교육환경과 커뮤니티 시설로서의 학교를 통해 주민들의 삶의 질을 높이기 위함이다. The development of modern industry brought the concentration of population in urban area and population density in limited land led to a rise of land prices. In the same area of land, of high-rise building was sought as a architectural way to get the maximum economic effect. In this social atmosphere, all facilities except school facilities were manhattanized and low-rise schools in urban area have many problems like a right to enjoy sunshine, a lack of open space and so on. This research introduces the concept of high-rise school to overcome the limitations existing low-rise schools faced. A roof garden, urban revitalization and landmark are the advantages of High-rise buildings. At the same time, however, caused high-rise buildings, social, architectural issues were also raised steadily. High-rise building become a means of speculative business and it produced a lack of social communication between each unit. The priority is economic logic rather than the value of public because of the nature of the program. Disconnected floors were pointed out as the major architectural problems. As a typical public buildings, school, because of the characteristics of the program, can show positive values that high-rise buildings are difficult to develop more actively in previous high-rise building. By continuity of building in architecture, vertical communication within the vertical school building is trying to create. The continuity is architecturally important concept to acquire freedom of space and the horizontality in verticality. The concept have been steadily expressed in many of the historical architectures. This is particularly active in the space of path in school facility. High-rise school helped to troubleshoot the problem, the right to enjoy sunshine, caused by low-rise school, to expand outdoor sports facility through designing vertically contiguous open space in a narrow area. Benefits from high-rise school can be more active through the complex school. The vertical, by the various programs, mixed school facilities will create various spaces and will be able function as main facility for local residents as well as landmarks of the community. In Yeouido area, due to development and reconstruction, and the population of the region is plan to increase, but the number of residential schools and education facilities, and large commercial facilities such as libraries and cultural facilities and amenities are very low. In this research,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Yeouido by the development of the future area, the purpose is the plan of school facility combined with life and complex facilities and community facilities, based on the research about the continuity of high-rise building. Thus, this study researches school architecture, feature of the modern city and high-rise buildings for proposing High-rise school as a new type of school and understand how to obtain continuity in the a high-rise building. The research is for improving environments of students education and quality of life through new high-rise school design.

      • 내러티브에 기초한 성인후기 기독교 죽음교육

        구희정 장로회신학대학교 일반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7631

        국문초록 및 주제어 본 논문은 아무런 준비 없이 죽음을 맞이하는 사람들을 고민하던 중에 특히 시간적으로 죽음에 좀 더 가까이 있는 성인후기 대상을 위한 죽음교육의 필요성을 인식함으로 시작하게 되었다. 죽음에 대한 고민과 죽음을 위한 교육은 이루어지고 있지만 기독교적인 죽음교육은 활발하게 이루어지지 않고 있는 실정이다. 죽음에 대한 인식과 교육에 있어서 그 바탕이 기독교적인 것과 그렇지 않은 것은 큰 차이가 있다. 기독교적으로 죽음을 이해하고 기독교적으로 죽음교육을 해야 함이 본 논문의 가장 큰 목적이다. 각자가 다양한 삶을 살아오지만 죽음 앞에서 살아온 인생을 다시 성찰하며 남은 인생을 잘 살면서 마무리하는 것이 필요하다는 판단으로 연구하였다. 따라서 제Ⅱ부에서 기독교 죽음교육의 대상인 성인후기의 노인에 대한 발달적 이해를 에릭슨과 레빈슨의 발달이론으로 전통적인 이해를 고찰하였고, 지금의 시대에 노인을 바라보는 시각은 과거 전통적인 것과 같은 것으로 보고 이론을 정리하여 교육하기에는 무리가 있으므로 새로운 발달이해로서 신체적, 인지적, 사회 정서적으로 나누어 정리하였고 또 신앙발달이해로 살펴보았다. 그리고 제Ⅲ부에서는 죽음과 죽음교육에 대해서 학제적인 이해로서 일반적인 죽음의 이해와 성경적, 신학적 이해를 알아보았고, 죽음교육의 역사와 의미 그리고 국내외 현황에 대해 살펴보았다. 제Ⅳ부에서는 기독교 죽음교육을 위한 내러티브에 대한 학제적 접근으로 철학적, 심리학적, 인식론적, 신학적으로 나누었으며, 기독교교육적 접근으로 토마스 그룸의 이론을 고찰하였다. 제Ⅴ부에서는 앞선 이론들을 바탕으로 하여 죽음교육의 원리를 도출하였고 내용과 함의를 제시하였으며, 제Ⅵ부에서는 내러티브에 기초한 성인후기 기독교 죽음교육 “Na’s story 모델”을 제안하며 교육목적, 교육목표, 교육내용, 교육현장과 교사-학습자, 교육방법을 제시함으로써 마무리하였다. 이상으로 본 논문의 내러티브에 기초한 성인후기 기독교 죽음교육 Na’s story 모델은 예고 없이 죽음을 맞이해야 하는 노인들에게 죽음에 대한 두려움을 극복하고 기독교적 가치관으로 죽음을 준비하며 하나님 나라의 백성으로 사는 삶을 끝까지 살도록 돕는 교육효과를 기대하며 완성하였다. 주제어: 성인후기, 노인, 죽음, 죽음교육, 기독교 죽음교육, 내러티브, 스토리텔링

      • 그림책을 활용한 유아 탄력성 증진 프로그램의 구성과 적용 효과

        구희정 중앙대학교 대학원 2010 국내박사

        RANK : 24763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nstruct a program for the improvement of young children's resilience using picture books and to examine its effects. Toward achieving the goal of this research, the following study questions were raised: First, how should the resilience improving program for using picture books with young children be constructed? Second, what are the application effects of the resilience improving program using picture books with young children? The design and construction of this program consisted of four phases and was processed step by step : (1) determining the necessity of program development, (2) devising a tentative plan, (3) consultation of experts, and (4) construction. In the first phase, the need for developing a program was confirmed through social needs analysis and a review of the professional literature. In the second phase, the purpose and goal, content elements, teaching-learning method, and evaluation method of the program were selected on the basis of the literature review. In the third phase, validity of tentative plan contents and relevance of field application were reviewed. Finally, in the forth phase, the substance of program was formed through the creation concrete activities and development of teaching materials. Through theses phases, the resilience improving program using picture books with young children was constructed. The purpose of this program was to help young children overcome stressful situation and achieve growth. Its contents were composed of the following three fields: 'attachment,' 'initiative,' and 'self-control,' all of which are widely considered to be resilience components for young child. Furthermore, these three fields included a total 14 sub-content elements. The teaching- learning for this program was processed in two ways: the young children's program using picture books as its main medium, and mother education with a group counseling format. The program employed a variety of teaching strategies such as a discussion, problem-solving, self expression, lecture, workshops, and visual and auditory materials. Through formative evaluation of each individual session and overall evaluation performed before and after its applying, this program was thoroughly assessed. In order to observe and measure the effects of the resilience improving program using picture books with young children, the program was administered for 12 weeks from December, 2008 to February, 2009.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37 4-year-old children (18 in experimental group, 19 in comparative group) and their mothers, who were selected from three child care centers located in Nowon-Gu, Seoul. The program was carried out with the experimental group children twice a week (60 minutes each; total 24 times) and their mothers once a week(90 minutes each; total 12 times). The comparative group was not exposed to the program in any degree. To examine the effects of the program, a resilience assessment for young children as well as mother's parenting stress test were executed for the experimental and comparative groups, and the mother-child interactive behavior rating test was carried out only with the experimental group in the same way before and after the application of the program. Collected data was statistically analyzed by covariance analysis(ANCOVA) for both the resilience assessment and mother's parenting stress test, and by paired samples t-test for the mother-child interactive behavior rating test with SPSS 15.0 for Windows. The effects of the program obtained from this procedure are summarized as follows : First, it was shown that the resilience improving program using picture books with young children was effective at improving young children's resilience. According to the results, the experimental and comparative groups exhibit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ir total scores of resilience (F=16.16, p<.001). The same was true for all other fields, including 'attachment'(F=12.00, p<.01), 'initiative'(F=4.58, p<.05), and 'self- control'(F=6.56, p<.05). Second, it was shown that the resilience improving program using picture books with young children had a dramatic effect upon relieving mother's parenting stress experienced by mothers. According to the test results, there were significant statistical differences between the experimental and comparative groups in all domains : the total parenting stress(F=16.65, p<.001), the parent domain(F=9.77, p<.001), and the child domain(F=24.37, p<.001). Based on the examination of results in sub-elements of the parent domain, this study found that the experimental and compatative groups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mothers' 'depression'(F=5.52, p<.05), 'social isolation'(F=5.49, p<.05), and 'parental health'(F=5.31, p<.05). However, the experimental group earned a lower score than the comparative group in 'restriction of role' and 'relationship with spouse'; these were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Meanwhile, group differences by sub-elements of the child domain were all statistically significant results(reinforces parent: F=4.26, p<.05, adaptability: F=12.40, p<.01, hyperactivity/distractibility: F=4.80, p<.05, demandingness: F=13.61, p<.01). Third, it was shown that the application of the resilience improving program using picture books with young children brought about a positive change in interactive behavior between the mothers and their young children in the experimental group. According to the result of comparing the pretest and posttest of mothers' interactive behavior, it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responsive behavior'(t=7.04, p<.001) and 'efficient behavior' (t=6.50, p<.001). But 'directive behavior' was exception. In addition, based on the comparison of the pretest and posttest of children's interactive behavior, this study found that there exist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both 'active behavior'(t=8.45, p<.001) and 'social behavior'(t=7.94, p<.001) factors. 본 연구의 목적은 그림책을 활용한 유아 탄력성 증진 프로그램을 구성한 후, 이를 적용하여 그 효과를 알아보는 것이다. 이와 같은 연구 목적을 위해 본 연구에서 설정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그림책을 활용한 유아 탄력성 증진 프로그램을 어떻게 구성할 것인가? 둘째, 그림책을 활용한 유아 탄력성 증진 프로그램의 적용 효과는 어떠한가? 프로그램의 구성은 프로그램 개발의 필요성 진단, 시안개발, 전문가 협의, 구성의 4 단계의 순으로 진행되었다. 프로그램 개발의 필요성 진단 단계에서는 사회적 요구분석과 문헌고찰을 통하여 프로그램 구성의 필요성을 확인하였다. 시안개발 단계에서는 문헌고찰 결과를 토대로 프로그램의 목적과 목표, 내용요소, 교수-학습 방법 및 평가 방법을 선정하였다. 전문가 협의 단계에서는 시안 내용의 타당성 및 현장적용의 적합성을 검토하였다. 마지막으로 프로그램 구성 단계에서는 구체적인 활동을 구안하고 교수자료를 개발함으로써 최종 프로그램을 구성하였다. 이와 같은 과정을 통해 유아가 삶의 과정에서 직면하게 되는 스트레스 상황을 극복하고 긍정적 방향으로 성장ㆍ발달하기 위해 필요한 탄력성을 증진시키는데 목적을 둔 그림책을 활용한 유아 탄력성 증진 프로그램을 구성하였다. 프로그램의 내용으로는 유아 탄력성 구성요소인 ‘애착’, ‘주도성’, ‘자기통제’의 3개 영역에 총 14개 하위 내용요소를 포함하였다. 교수-학습 방법으로는 그림책을 주 매체로 사용하는 유아 프로그램과 집단 상담 형식의 어머니 교육을 병행하면서, 토의, 문제해결, 자기표현, 강의 워크샵, 시청각자료 활용 등의 다양한 교수전략을 활용하였다. 또한 매 회기 마다 이루어지는 형성평가와 프로그램 적용 전과 후에 이루어지는 총괄평가를 통하여 본 프로그램에 대한 평가를 하였다. 그림책을 활용한 유아 탄력성 증진 프로그램의 적용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2008년 12월~2009년 2월까지 총12주에 걸쳐 본 프로그램을 적용하였다. 연구대상은 서울시 노원구에 소재한 어린이집 3 곳에서 선정된 37명(실험집단 18명, 비교집단 19명)의 유아와 그 어머니들이었다. 실험집단의 유아들에게는 주 2회 60분씩 총 24회, 어머니들에게는 주1회 약 90분씩 총 12회의 그림책을 활용한 유아 탄력성 증진 프로그램을 적용하였고, 비교집단에게는 아무런 처치도 하지 않았다. 그림책을 활용한 유아 탄력성 증진 프로그램의 적용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사전ㆍ사후 동일한 방법으로 검사가 이루어졌다. 유아탄력성 검사와 어머니 양육스트레스 검사를 실시하고 수집된 자료들은 SPSS 15.0 Window용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통계처리 하였으며, 사전 검사를 공변인으로 한 공변량분석(ANCOVA)을 적용하였다. 또한 실험집단 어머니-유아 간 상호작용 행동의 변화는 동영상 촬영 후 평정한 사전ㆍ사후 점수를 대응 표본 t 검증을 통해 분석하였다. 위와 같은 과정을 통해 얻은 프로그램의 적용효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그림책을 활용한 유아 탄력성 증진 프로그램은 유아의 탄력성을 높이는데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유아 탄력성 검사 결과, 탄력성 점수 전체와 애착, 주도성, 자기통제 모든 영역에서 실험집단과 비교집단 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탄력성 전체: F=16.16, p<.001, 애착: F=12.00, p<.01, 주도성: F=4.58, p<.05, 자기통제: F=6.56, p<.05). 둘째, 그림책을 활용한 유아 탄력성 증진 프로그램은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 완화에 매우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어머니 양육스트레스 검사 결과 양육스트레스 전체와 하위영역인 부모영역 및 유아영역 모두에서 실험집단과 비교집단 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양육스트레스 전체: F=16.65, p<.001, 부모영역: F=9.77, p<.001, 유아영역: F=24.37, p<.001). 부모영역의 하위요인별 집단 간 차이를 살펴보면, 어머니의 우울감(F=5.52, p<.05), 사회적 고립감(F=5.49, p<.05), 건강(F=5.31, p<.05)에서 실험집단과 비교집단 간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그러나 역할제한이나 배우자와의 관계에서는 실험집단 점수가 비교집단보다 낮게 나오긴 했으나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는 없었다. 한편, 유아영역의 하위요인별 집단 간 차이는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결과를 보였다(부모강화요인: F=4.26, p<.05, 적응성: F=12.40, p<.01, 과잉행동/주의산만도: F=4.80, p<.05, 요구성: F=13.61, p<.01). 셋째, 그림책을 활용한 유아 탄력성 증진 프로그램의 적용은 실험집단 어머니와 유아의 상호작용 행동의 긍정적 변화에 영향을 준 것으로 나타났다. 어머니 상호작용 행동의 사전ㆍ사후 점수를 비교한 결과, 지시적 행동을 제외한 반응적 행동(t=7.04, p<.001)과 효율적 행동(t=6.50, p<.001)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또한 유아 상호작용 행동의 사전ㆍ사후 점수를 비교한 결과, 활동적 행동(t=8.45, p<.001)과 사회적 행동(t=7.94, p<.001) 요인 모두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日本語의 接頭語「お(ご)」에 관한 硏究

        구희정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7631

        화자나 청자의 속성에 따라서 언어 형식이 현저하게 달라지는 일본어에서는 언어의 변화를 산출하는 요소로서 연령ㆍ학력ㆍ직업ㆍ지역 등과 나란히 성별차가 사회언어학이나 언어생활의 실태조사에서 종종 다루어져왔다. 본 논문에서는 위상의 차이 중에서도 성별차에 의해 나타나는 접두어 「お(ご)」의 쓰임을 구체적인 용례를 중심으로 조사한 후, 어떻게 사용되어지고 있는지 그 사용실태에 대해서 조사하는데 그 목적을 두었다. 이 세상에 어느 민족에게나 그 민족만이 가지고 있는 독특한 문화와 사고방식, 생활양식 등이 있다. 이러한 그 민족만의 색깔을 나타내는 독특한 문화들은 그 민족이 사용하고 있는 언어를 통해서 표출되어진다. 일본은 예전부터 남존여비의 사상이 존재했으며 이러한 문화가 언어를 통해 표출되어 나온다는 것은 당연한 사실이다. 남존여비의 사상은 여성에게 더욱 여성스러움을 강조하게 되었으며, 여성 또한 자신의 지위나 품위를 높이기 위한 심리적인 요인 등으로 남녀의 언어차가 발생하게 되었다. 이러한 일본어의 성별에 따른 언어의 차이는 경어체계에서 더욱 두드러지게 나타난다. 경어 접두어 「お(ご)」의 성별에 따른 쓰임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한 구체적인 분석 자료로는 같은 상황을 여성작가는 여자 주인공의 시점에서, 남성 작가는 남자 주인공 시점에서 써내려간 소설 『冷&#38745;と情熱のあいだ』두 권과 『&#24651;のあとにくるもの』두 권, 총 네 권의 소설을 연구 자료로 삼았다. 존경어에서 나타난 「お(ご)」의 사용실태를 보면, 화자의 성별에 관계없이 남성보다 여성이 사용량이 훨씬 많았다. 청자와의 관계에 따른 비율적인 면에서 따져보면, 가족관계, 연령의 상하관계 속에서는 화자가 여성인 경우가 남성인 경우보다 다소 높은 비율을 차지하고 있다. 이것은 여성이 평소 남성보다 가족이나 일상적으로 쉽게 만날 수 있는 인물들과 더 많이 접하면서 가족이나, 연령의 상하관계 속에서 존경어에 대한 의식을 더 많이 가지게 되었다고 보여 진다. 이와 반대로 연인관계와 집단 내의 상하관계에서는 화자가 남성인 경우가 더 높은 비율을 나타내었다. 이는 여성에게 말할 때는 좀 더 경어로 말하려는 의식과 사회생활을 많이 하면서 집단 속에서 많은 시간을 갖는다는 환경적인 요인이 이러한 결과를 나오게 하였다고 보여 진다. 겸양어의 「お(ご)」는 그 용례가 많지 않았으나, 그 사용 비율을 살펴보면, 화자가 여성인 경우에는 집단 내의 상하관계와 연인관계가 비슷한 비율로 가장 많이 나타났으나, 화자가 남성인 경우는 연인관계의 비율이 62.5%로 절반 이상을 차지하고 있다. 이러한 점은 존경어와 마찬가지로 여성을 대할 때는 한 단계 높은 경어를 써야한다는 의식에서 나온 결과라고 보여 진다. 미화어에서 주목할 점은 화자가 여성이면서 상대가 연인관계에 있을 때의 비율이 거의 절반 가까운 높은 비율을 나타냈다는 점이다. 이러한 점은 미화어가 존경이나 겸양의 의식을 나타내는 것이 아니라, 자신의 언어사용을 보다 품위 있게 꾸며 사용함으로서 자신을 좀 더 품위 있게 보이기 위한 것이라는 특성상, 남성보다는 여성이 더 많이 사용하는 경향이 있으며, 또 말하는 대상이 자신의 연인이 되었을 때는 더욱 품위있고 여성스럽게 보이고자 하는 심리적인 요인이 더 많은 미화어의 「お(ご)」를 사용하게 된다고 보여진다. 또 여성은 미화적으로 사용한 미화어의 「お(ご)」와 관용적으로 굳어진 미화어의 「お(ご)」의 사용 빈도수나 비율이 크게 차이가 나지 않았다. 하지만, 화자가 남성인 경우에는 사용 빈도수도 여성에 비해 적은 수치를 나타냈으며, 미화적으로 사용한 미화어의 「お(ご)」의 비율이 매우 적은 수치를 나타내었다. 이는 의식적으로 자신의 품위를 높이기 위한 언어수단으로서 「お(ご)」를 붙이는 경향이 남성보다 여성이 훨씬 높다는 점을 말해준다. 단지 어떤 소설이나 드라마의 대본으로 「お(ご)」의 성별차에 따른 쓰임의 차이를 연구해온 선행논문들과는 달리 본 논문에서는 같은 상황을 남성작가와 여성작가가 어떻게 경어 접두어 「お(ご)」를 사용하였는가를 조사함으로써 보다 객관적인 성별차에 따른 「お(ご)」의 쓰임의 차이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졌다는데 그 의의를 두겠다. 話し手や聞き手の速成にしたがって言語形式が著しく&#22793;わる日本語では言語の&#22793;化を算出する要素として年&#40802;&#12539;&#23398;&#27508;&#12539;職業&#12539;地域などと&#20006;んで性別差が社&#20250;言語&#23398;や言語生活の&#23455;態調査で&#30740;究されてきた。 本&#30740;究では位相差の中でも性別差によって現われる接頭語「お(ご)」の使い方を具&#20307;的な用例を中心に調査する後、どんなに使われられているのかその使用&#23455;態に&#23550;して調査するのに目的を置いた。 世の中にはどの民族にもその民族だけの&#29420;特の文化や考え方、生活&#27096;式などを持っている。その民族が持っている色を現わす&#29420;特な文化はその民族が使っている言語を通じて表出されられる。 日本は昔から男尊女卑の思想が存在し、その文化が言語を通じて表出されて出るということは&#24403;たり前のことだ。男尊女卑の思想は女性にはもっと女らしさを&#24375;調するようになったし、女性も自分の地位や品位を高めるための心理的な要因で男女の言語の使いの差が&#30330;生するようになった。 このような日本語の性別による言語の使いの差は敬語&#20307;系でもっと著しく現われる。 敬語接頭語「お(ご)」の性別による使いの差を調べるための具&#20307;的な分析資料では同じ&#29366;況を女性作家は女主人公の時点で、男性作家は男主人公時点で書いた小&#35500;『冷&#38745;と情熱のあいだ』二冊と『愛のあとにくるもの』二冊の小&#35500;を採&#25246;した。 尊敬語の「お(ご)」の使用&#23455;態を見ると、話し手の性別にかかわらず男性より女性が使用量がもっと多かった。 聞き手との&#38306;係による割合を見ると、家族&#38306;係、年&#40802;の上下&#38306;係の中では話し手が女性の場合が男性の場合より高い割合を占めている。これは女性が普段男性より家族や日常的に&#20250;う人物ともっとたくさん接したため、家族や、年&#40802;の上下&#38306;係の中で敬語に&#23550;する意識をもっと持つようになったからだと考えられる。 &#24651;人&#38306;係と集&#22243;&#20869;の上下&#38306;係では話し手が男性の場合が高い割合を現わした。これは女性に&#23550;して話す時は一段階高い敬語で話そうという意識と社&#20250;生活をしながら集&#22243;の中で多くの時間を過ごすという環境的な要因がこのような結果を出るようになったと考えられる。 謙&#35698;語の「お(ご)」は用例が少なかったが、その使用の割合を見ると、話し手が男性の場合、聞き手が&#24651;人&#38306;係の時の割合が62.5%で半分以上を占めている。これは尊敬語と同じく女性に&#23550;する時は一段階高い敬語を使わなければならないという意識から出た結果だと思われる。 美化語で注目する点は話し手が女性ながら相手が&#24651;人&#38306;係の時の割合が半分ぐらいの高い割合を現わしたということだ。これは美化語は尊敬や謙&#35698;の意識を現わすのではなく、自分をもっと品位ありげに見えるためのことだという特性を持ってるため、男性よりは女性がもっとたくさん使う傾向があり、また話す&#23550;象が自分の&#24651;人になった時はもっと上品で女らしく見えようとする心理的な要因でもっと多い美化語の「お(ご)」を使うようになると見える。 また、話してが女性の場合は美化的に使う美化語の「お(ご)」と慣用的に固まった美化語の「お(ご)」の使用頻度&#25968;や割合があまり差がなかった。しかし、話し手が男性の場合には使用頻度&#25968;も女性に比べて低い&#25968;値を現わしたし、美化的に使う美化語の「お(ご)」の割合が非常に低い&#25968;値を現わした。これは意識的に自分の品位を高めるための言語手段として「お(ご)」を付ける傾向が男性より女性がずっと高いということである。 ただ、ある小&#35500;やドラマのセリフを資料として「お(ご)」の性別差による使いの差を&#30740;究した先行論文とは違って、本&#30740;究では同じ&#29366;況を男性作家と女性作家がどんなに敬語接頭語「お(ご)」を使っているのかを調査することでより客&#35251;的な性別差による「お(ご)」の使いの差に&#38306;する&#30740;究が成り立てたということで本&#30740;究の意義があると思われる。

      • 知識傳達裝置로서의 博物館 展示空間 構造의 特性에 關리한 硏究

        구희정 漢陽大學校 大學院 2000 국내석사

        RANK : 247631

        최근의 박물관들은 사회적 개념의 변화와 더불어 전시 공간 이외의 다양한 공공 서비스 영역이 도입되고 있으며 이러한 시도에 따른 다양한 교육적 프로그램의 개발, 정보 전달 체계 등이 시도되고 있다. 그러나 박물관의 근본적 목적을 고려해 볼 때 전시 공간에서의 관람객과의 정보, 사회적 교류는 기타 서비스 공간에 대한 고려 이전에 우선되어야 한다. 즉, 박물관에서는 전시물들의 공간적 배열과 구성을 통해 지식을 형상화하고 구체화를 통해 교육이 이루어지며, 관람객은 전시 공간을 움직여 나아가면서 전시물을 관람하게 되고 동시에 이러한 공간적 교류를 통해 지식을 습득하게 된다. 따라서 박물관에서 이루어지는 지식 전달에 있어서 공간 구조가 차지하는 역할은 더욱 중요하다고 할 수 있겠다. 본 연구는 박물관 전시 공간의 공간 구조가 지식 전달 장치로서의 역할을 수행함을 보여주기 위해 번스타인(Basil Bernstein)의 교육 행태학(Pedagogic morphology)을 기본 개념으로 도입하였다. 그러한 개념을 객관적으로 정량화하기 위해 분석 방법으로는 공간통사론(Space Syntax)의 개념을 이용하여 분석의 방법을 제안하였다. 또한 이러한 분석 방법을 검증하기 위해 실제 관람객의 행태 특성을 비교 분석하였다. 이상의 연구의 결론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이론 분석에서 가시영역도(Convex Isovist)를 이용하여 전시분류가시도(Classification)의 분석의 틀을, 공간조직연결도(Justified Graph)를 이용하여 동선통제도(frame)를 제안하였다. 둘째, 박물관들은 담고 있는 지식 전달 내용에 따라 각기 다른 전시분류가시도와 동선통제도를 갖고 있으며, 이는 박물관 계획 시 그 목적에 적합한 공간을 구성하는 데 있어서 하나의 설계 지침이 될 수 있음을 제안하였다. 셋째, 위의 이론 분석을 검증하기 위해 관람객 행태 분석을 한 결과 매우 밀접한 관계성을 도출할 수 있었으며, 전시 공간 구조에 따라 양자간의 관계가 위계적이고 수동적인 관계가 되거나, 반대로 관람객의 권리와 선택의 폭이 넓어지고 스스로 선택적 지식 습득을 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는 것이다. 그 만큼 전시 공간이 전시물만 갖다 놓는 보물 창고의 개념으로서의 공간이 아니라는 것이다. 즉, 박물관의 전시 공간이 장소라는 차원을 넘어서 지식 전달이 이루어지는 공간적 장치로서 이해되어야 하며 이러한 사실은 전시 공간 구성 계획 시 가장 우선적으로 고려되어야 한다는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