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사회과 교사의 다문화 교실 경험에 대한 연구

        민주 숙명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1887

        Our country has already entered a multicultural society and people from diverse cultural backgrounds have established themselves as part of our society. Education authorities and schools keenly realized the need of multicultural education in response to these social changes and are taking much interest in and effort for the need of multicultural education. In particular, social studies which aims at educating democratic citizens to lead democratic society are being asked to cultivate multicultural citizenship.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nd out what difficulties students face in multicultural classrooms through frontline social studies teacher experiences and to effectively apply various teaching strategies to foster democratic citizenship in social studies classes. To this end, various papers and prior studies related to the thesis s were reviewed. Questionnaire items suitable for the subject of study were composed and a written interviews was conducted with 7 social studies teachers in the middle schools where are located in Incheon. The results of the interview are as follows. First, teachers did not have much personal information about multicultural students. Teachers did not treat multicultural students differently from general students but it was found that the interest in multicultural students was relatively low if they were not in charge. Second, students had difficulty in understanding concepts and terms of social studies. In the case of multicultural students, some were inexperienced in Korean language but most of them had everyday Korean skills. Nevertheless most of them were difficult to understand concepts and terms of social studies. In addition, it was found that not only multicultural students but also general students have difficulty in understanding social studies terminology. These results suggest that it is necessary to consider ways to increase the understanding of explanations for social studies textbooks. Third, in the case of general students, they have high multicultural acceptance and do not have much prejudice and discrimination against multicultural students. It is because there are no difficulties in using Korean language as many multicultural students were born and grew up in Korea and they have some Korean emotion. However there may be a feeling of rejection from difference of personal disposition which is an attitude that can occur among general students and can not be regarded as discrimination against multicultural students. And there is no problem in building peer relationships due to cultural differences between multicultural students and general students. Fourth, social studies teachers found that there are not many effective teaching strategies for cultivating democratic citizenship in multicultural classrooms. They are trying to prepare various social participation activities for students in social studies classes and to support learning of students through cooperative learning and group activities, but due to the educational situation focused on entrance exams, they were conducting teacher-centered classes. This study confirmed inconsistencies in student-specific instruction strategies in multicultural classrooms and suggest four instruction strategies to solve them. First, it is necessary to reconstruct the curriculum that includes multicultural elements by a professional educational community. Second, teachers should continually study teaching-method to execute in a multicultural classroom. Third, social studies classes should be embodied in students with student-centered education rather than knowledge-driven education. Fourth, educational authorities and shools will need to provide practival support for social studies teachers to cultivate their knowledge and competence in multiculturalism However, this study has limitation to make a generalization because it analyzed only interviews with social studies teachers in a specific area called Incheon City. However, as a result of this study, I think that it is meaningful to have sought a variety of teaching strategies in order to cultivate democratic citizenship in multicultural classrooms in the future. 우리나라는 이미 다문화 사회로 진입하였고 다양한 문화적 배경을 지닌 사람들이 우리 사회 구성원의 일부로 자리를 잡고 있다. 교육당국과 일선 학교에서는 이러한 사회 변화에 따른 다문화 교육의 필요성을 절감하여 많은 관심과 노력을 보이고 있다. 특히, 민주 사회를 이끌어 갈 민주시민 양성을 목표로 하는 사회과 교과는 다문화 시민성을 함양할 것을 요청받고 있다. 이 연구는 일선의 사회과 교사 경험을 통해 다문화 교실에서 학생들이 겪고 있는 어려움은 무엇이 있으며 사회과 수업에서 민주 시민성 함양을 위한 다양한 수업 전략이 효과적으로 적용되고 있는 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논문주제와 관련한 다양한 논문과 선행연구를 검토하였으며, 연구주제에 적합한 설문 문항을 구성하고 인천시에 소재한 중학교 사회과 교사 7명을 대상으로 설문 면접을 진행하였다.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사들은 다문화 학생에 대한 개인적인 정보를 많이 갖고 있지 않았다. 교사들은 다문화 학생을 일반 학생과 다르게 대하지는 않고 있었으며, 담임이 아닐 경우 다문화 학생에 대한 관심도는 상대적으로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학생들은 사회과 개념과 용어를 이해하는데 어려워했다. 다문화 학생의 경우, 일부 한국어가 미숙한 학생도 있었지만 대부분 일상적인 한국어 능력을 갖추고 있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사회과 개념과 용어를 이해하기 어려워했다. 또한, 다문화 학생뿐만 아니라 일반 학생도 사회과 용어를 이해하는 데 어려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사회과 교재에 대한 설명의 이해도를 높일 방안을 고민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 셋째, 일반 학생의 경우 다문화에 대한 수용도는 높으며 다문화 학생에 대한 편견이나 차별은 약한 것으로 나타났다. 다수의 다문화 학생들은 우리나라에서 출생하고 성장했기 때문에 한국어 사용에 대한 어려움은 없으며 한국적 정서를 일부 갖고 있기 때문이다. 단, 개인적 성향의 차이에서 오는 거부감은 있을 수 있으나 이것은 일반 학생들 간에도 발생할 수 있는 태도로 다문화 학생에 대한 차별로 볼 수 없으며 또한, 다문화 학생과 일반 학생 간에 문화적 차이로 인한 또래관계 형성에 문제가 없었다. 넷째, 사회과 교사들은 다문화 교실에서 민주 시민성 함양을 위한 효과적인 수업 전략이 많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교사는 사회과 수업에서 다양한 사회참여활동을 마련하고 협동학습과 모둠활동으로 학생들의 학습을 지원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지만, 입시 위주의 교육 상황으로 인해 교수중심적인 수업을 진행하고 있었다. 이 연구를 통해 다문화 교실에서 사회과 교사는 다문화 민주 시민성 함양을 위한 수업 전략이 많지 않은 것을 확인하고 이를 해결할 수 있는 4 가지 수업 전략을 제안하고자 한다. 첫째, 전문적 교육 공동체를 통해 다문화적 요소를 포함하는 교육과정을 재구성해야 한다. 둘째, 교사들은 다문화 교실에서 실행할 수 있는 학생 지도 방법을 지속적으로 연구해야 한다. 셋째, 사회과 수업이 지식 전달 중심 교육에서 벗어나 학생 중심의 교육으로 학생들에게 체화되어야 한다. 넷째, 교육당국과 학교는 사회과 교사들이 다문화에 대한 지식과 역량을 함양할 수 있도록 실제적인 지원을 해야 할 것이다. 다만 이 연구가 인천시라는 특정지역의 사회과 교사만을 대상으로 면접한 내용으로 분석하였기 때문에 일반화하는데 한계가 있다. 그러나 이 연구의 결과로 향후에 다문화 교실에서 민주 시민성 함양할 수 있도록 다양한 방법의 수업 전략을 모색하였다는 것에 의미가 있다고 본다.

      • 노인의 정보화기기 활용 수준과 건강행태와의 관계

        구민주 忠南大學校 大學院 2023 국내석사

        RANK : 1855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whether or not the elderly over 65 years of age use the digital information device, types of the usage, and the level of usage of the digital information device and to find out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level of the digital device and health behaviors. Feature phones were used more by women, the late elderly, and the lower the education level and the lower the income level. In the case of smartphones, tablet PCs, and computers, it was found that men, the early elderly, the higher education level, and the higher income level used it more. In the case of feature phones, non-users smoke, drink above once a month, and exercise more than users. It was found that smartphones, tablet PCs, and computers users smoke, drink above once a month, and exercise more than non-users. In the point of the type of digital device usage, the percentage of elderly people who could receive messages was the highest, followed by sending messages, taking pictures or videos, searching and inquiring information, watching videos, listening to music, social network services, games, financial transactions, application search and installation, and e-commerce. In the group that can use application search and installation, financial transactions, and e-commerce, which are types of convenience of life, smoking, drinking more than once a month, and exercising were at a significantly high rate. It was found that the level of digital information device usage was significantly higher for men, the early elderly, the higher the education level, and the higher the income level. The smoking group, the drinking group more than once a month, and the exercising group showed significantly higher average scores in using digital information device. In the case of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level of digital information device usage and health behavior, the higher the level of digital device usage, the higher the risk of smoking, drinking more than once a month, and exercising.

      • 작도문제의 기본에 관한 연구

        구민주 부산대학교 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1855

        작도에 관한 학습에 있어 ‘수학이 무엇인지’, ‘어떻게 수학이 발달되어 왔는지’를 정확하게 아는 것이 수학 학습을 위한 선행요건임에 틀림없다. 따라서 이 논문의 목적은 작도가 자연스러운 사고 속에서 수학적 개념을 좀 더 쉽게 접할 수 있다는 것과, 학습을 구성하는 과정에 중점을 두고 학생들이 본질적인 것에 초점을 두고 다음과 같은 것을 강조하고자 한다. 첫째, 교과서에 나오는 작도들은 추상적인 성질을 가지고 있는 도형의 본질적 구조에 대해 재발견하는 과정을 거치는 것이 중요함에도 불구하고 형식화된 연역적 방법을 학습하는데 그치고 있다. 따라서 학생들이 교과서에서 배운 기본작도 과정을 방법적 측면뿐만 아니라 과정적 측면에서 접근할 수 있도록 작도의 분석과정과 증명과정을 포함시켜 재구성한다. 둘째, 교과서에 제시되지 않은 작도를 통해 작도의 분석과정과 증명과정이 강조된 문제해결 방법을 구성한다. 이를 위해서 간단한 도형의 작도(선분, 삼각형, 사각형, 평행사변형, 사다리꼴)를 다양한 방법을 통해 도형의 본질을 파악하고, 당연한 것으로 알고 있던 작도문제에 관해서 근거를 생각해 보게 함으로써 기하학적 탐구력과 사고력을 향상시키고자 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instruction of teaching and learning which focuses on the process of constructing analysis and demon -stration in order that students can have the opportunity to investigate the essential attribute of a figure. First, the basic constructing process based on the textbook is recomposed including the process of constructing analysis and demonstration so as to approach construction in the procedural aspect as well as methodical aspect. Second, an intrinsic attribute of a figure is understood by doing various constructing ways of basic figures such as a regular triangle, a regular square, and a parallelogram a trapezoid. Besides, we let students improve inquiry ability and thinking power. Lastly, It also contains a multiplicity of ways to use construction of figures.

      • 할로싸이오펜 유도체의 기하학적 구조와 특성에 대한 이론적 연구

        구민주 경상대학교 교육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1855

        Bithiophene, terthiophene, and their derivatives were optimized at the HF and MP2/6-311+G** levels using Gaussian 09 program. Optimized structure, geometric parameters, atomic charges, relative energies, tendency of HOMO and LUMO energies with increasing halosubstituent, and relative stability of isomers were investigated. Equilibrium structures of the halosubstituted bithiophene derivatives were optimized to anti- and syn-isomers. Anti-form was more stable. The stable structures of the halosubstituted terthiophene derivatives were optimized to (anti-,anti-), (syn-,anti-), and (syn-,syn-)isomer. (anti-,anti-)form was more stable than the others. With increasing halosubstituted group, dihedral angles of between two rings in the stable thiophene derivatives were approximately optimized to perpendicular. With increasing substituents, the HOMO energies of thiophene derivatives become to lower. HOMO-LUMO gaps of thiophene derivatives substituted with one to three halogen atoms were decreased, while the energies of thiophene derivatives substituted with four to six halogens were increased. The tendency of HOMO-LUMO gaps is similar to those of the UV-vis and PL spectra.

      • 폐경기 여성의 대사증후군과 체력요인의 관련성

        구민주 한국체육대학교 2011 국내석사

        RANK : 1855

        이 연구는 폐경기 여성을 대상으로 대사증후군과 체력과의 관련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실시되었다. 연구대상자는 서울 소재 N센터에서 건강검진을 받은 45세 이상 폐경여성으로, 대사증후군 위험요인이 없는 정상군(n=74), 위험요인을 1개 가진 군(n=68), 위험요인을 2개 가진 군(n=44), 3개 이상의 위험요인을 가진 대사증후군(n=30)으로 분류하였다. 모든 집단은 신체조성으로 신장, 체중, BMI(Body Mass Index), Body fat%를 측정하였다. 체력은 심폐지구력, 근력, 근지구력, 유연성을 측정하였다. 대사증후군을 판정하기위해 혈액분석(HDL-C, Triglyceride, Fasting Glucose) 및 혈압을 측정하였다. 이 연구에서 얻어진 모든 자료는 SPSS/PC Window 18.0 통계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기술 통계치(Mean, SD)를 산출하였다. 대사증후군 위험요인 정도에 따른 집단 간 체력요인의 차이를 검증하기 위해 일원변량분석(One-way ANOVA)을 적용하였고, 집단 간 차이가 있는 경우 사후검증은 Bonferroni를 실시하였다. 또한 체력요인이 대사증후군 위험요인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다중선형회귀분석을 실시하였으며, 통계적 유의 수준은 α=.05로 설정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대사증후군의 위험정도와 체력 요인에는 집단 간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사증후군의 위험정도에 따른 심폐지구력은 대사증 후군 위험요인이 없는 군이 대사증후군 진단군보다 높게 나타났다 (p<.05). 2. 체력 요인 중 심폐지구력 요소인 VO2max (p=.005)만이 대사증후군의 위험정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대사증후군 위험정도에 따른 집단 간 VO2max는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체력요인 중 VO2max만 대사증후 군 위험요인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 고등학교 과학 학습경험이 일반화학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구민주 경상국립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박사

        RANK : 1855

        본 연구는 경남 소재의 G대학교 사범대학 화학교육과 1~4학년 재학생 51명을 대상으로, 고등학교 화학 과목에 대한 교수-학습 경험이 일반화학 학업성취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해 인식 조사한 후, 그 요인들을 분석하였다. 분석된 교수-학습 요인들이 일반화학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및 효과를 연구하는 것이 본 연구의 목적이다. 고등학교 화학 과목 (화학Ⅰ, 화학Ⅱ)과 일반화학과의 내용 연계성에 대한 인식 정도, 화학 과목에 대한 흥미도, 고등학교 화학 과목 이수가 일반화학 내용이해에 도움을 주는 정도, 일반화학을 이해하는 데 어려움 정도, 대학입학전형 (수시, 정시)에서 화학Ⅰ등급, 등과 일반화학 학업성취도 사이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또한 비대면 교수-학습에서의 행동통제, 인지적 학습, 상호작용, 학습만족도, 등의 요인과 일반화학 학업성취도 사이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인식조사에서 학생들이 답변한 문항의 이유를 기술하도록 함으로써 학생들이 선택한 이유를 확인하였다. SPSS 27.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고등학교 화학 과목에 대한 교수-학습 경험 요인들과 일반화학 학업성취도와 사이의 Pearson 상관 계수를 구하고, 그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요인에 따라 학생들의 인식정도 차이가 나타나는 원인을 알아보기 위해 답변한 문항의 이유를 분석하였다. 또한, 개별 요인에 대한 학생들의 인식정도와 일반화학 학업성취도와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하여, 인식정도와 일반화학 학업성취도 사이의 일치성을 분석하였다. 1. 고등학교 화학 과목에 대한 학습경험이 일반화학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고등학교 화학 과목 (화학Ⅰ, 화학Ⅱ)과 일반화학 사이의 내용 연계성에 대한 인식 정도(.488), 화학 과목에 대한 흥미도(.712), 고등학교 화학 과목 이수가 일반화학 내용이해에 도움이 되는 정도(.039), 등은 일반화학 학업성취 평균 등급과 정적 상관관계로 나타났다. 90.2%의 학생들이 고등학교 화학 과목과 일반화학 사이의 내용 연계성이 높다고 인식하고 있으며, 이들의 내용 연계성에 대한 인식 정도와 일반화학 학업성취 평균 등급 사이의 밀접한 연관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학생들의 인식 정도에 대한 응답과 일반화학 학업성취 평균 등급 사이에 일관성을 나타내고 있다. 화학 과목에 대한 흥미는 교과 내용에 대한 재미, 성적이 높게 나와서, 일상생활과의 연계성, 전공 및 진로와의 연계성, 등의 이유로 흥미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71.2%). 반면, 내용이해의 어려움, 문제 풀이 및 암기, 등과 같은 입시 위주의 수업으로 흥미도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12.6%). 고등학교 화학 과목 내용에 대한 흥미 정도와 그들의 학업성취 평균 등급 사이에 일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82.8%의 학생들이 고등학교 화학 과목 이수가 일반화학 내용이해에 대한 도움 정도가 높다고 인식하고 있었으며, 고등학교 화학 과목 이수와 일반화학 학업성취 평균 등급 사이에 일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화학Ⅱ를 이수한 84.4%의 학생들이 화학Ⅱ가 일반화학 내용이해에 큰 도움이 된다고 응답하였다. 37.9%의 학생들이 일반화학 내용을 이해하는 데 ‘어려움이 크다’고 응답하였으며, ‘기초지식 부족’, ‘문제풀이 부족’ 등과 같은 이유로 화학Ⅰ만 이수한 학생(23.0%)들이 화학Ⅱ를 이수한 학생(14.9%)보다 더 크게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 수시전형 화학Ⅰ 등급(-.723) 및 정시전형 화학Ⅰ 등급(-.679)은 일반화학 학업성취 평균 등급과 부적 상관관계로 나타났다. 수시 및 정시 등급은 1등급이 가장 상위 등급이고 9등급이 가장 하위 등급이므로, 대학입학전형의 화학Ⅰ등급이 높을수록 일반화학 학업성취 평균 등급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수시모집 전형에서 화학Ⅰ (50.1%) 및 화학Ⅱ (46.2%) 등급이 높으면 일반화학 A. B 등급이 높은 비율로 나타났으며, 화학Ⅰ 및 화학Ⅱ 등급이 낮으면 일반화학 C, D 등급의 비율이 높게 나타났다. 정시모집 전형으로 입학한 학생은 수시모집으로 입학한 학생과 비교하여, 일반화학 학업성취에서 A, B 등급이 더 높은 비율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고등학교의 화학 과목의 교수-학습경험이 일반화학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였다. 내용 연계성에 대한 인식 정도, 화학 과목에 대한 흥미도, 일반화학 내용이해 도움 정도, 등의 요인들에 대해 설문조사 후, 일반화학 학업성취도와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이들을 분석한 결과, 정적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내용의 연계성에 대한 인식 조사에서 연계성이 ‘매우 크다’와 ‘크다’라고 응답한 학생들의 비율이 90.2%로 높게 나타났다. 흥미도에 대한 인식 조사에서 ‘매우 높다’, ‘높다’라고 응답한 학생들의 비율이 71.2%로 높게 나타났다. 내용이해에 대한 도움 정도에서 화학Ⅰ 내용이 일반화학 학습에서 기초지식으로 활용되기 때문에 ‘매우 크다’와 ‘크다’라는 응답이 49.4%로 높게 나타났다. 대학입학전형에 의한 일반화학 학업성취도 분석에서 화학Ⅰ 및 화학Ⅱ 내신 등급이 높은 학생들이 일반화학의 학업성취 평균 등급도 높게 나타났다. 따라서, 연계성, 흥미도, 도움 정도, 대학입학전형, 등의 화학 과목 교수-학습 경험 요인들이 일반화학 학업성취도가 크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2. 비대면 교수-학습에서 일반화학 학업성취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비대면 교수-학습에서 행동통제(.576), 인지적 학습(.522), 상호작용(학습자-학습자, 교수자-학습자, 학습자-콘텐츠, 학습자-시스템, .508), 학습만족도(.742), 등의 요인과 일반화학 학업성취 평균 등급 사이에 유의미한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비대면 교수-학습에서 행동통제의 세부요소 중 과제 집착에서 ‘매우 그렇다’라는 긍정적인 응답 (27.5%)이 상대적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학습 과제를 충실히 수행하면 일반화학 학업성취 평균 등급이 높게 나타났다. 비대면 강의에서 학습자료, 과제물, 보고서, 등을 통하여 학업성취도를 평가하기 때문에, 학생들이 학습과제를 중요하게 인식하고 있었다. 인지적 학습의 모든 세부요소에서 긍정적인 응답이 높게 나타났다. ‘지식이해’ 요소에 대한 응답이 ‘교수자의 학습내용 전달’ 수준에 머무르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새로운 지식에 대한 창출 가능성이 높은 ‘지식 확장 (21.6%)’, ‘지식 응용 (25.5%)’, ‘지식 창출 (27.5%)’ ,등에서 ‘매우 그렇다’는 긍정적인 응답이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인지적 학습 세부요소 중 ‘지식 정교화’에 대한 학생들의 인식 정도와 학업성취 평균 등급 사이에 비교적 잘 일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상호작용과 일반화학 학업성취 평균 등급 사이의 상관관계는 교수자-학습자 상호작용이 .638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학습자-학습자 상호작용(.518), 학습자-콘텐츠 상호작용(.441),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교수자-학습자 상호작용의 세부요소 중 ‘내용이해 확인’에 대한 긍정적인 응답 (80.4%)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수업활동 관련’, ‘내용이해 확인’, ‘피드백 제공’에 대한 인식이 긍정적일수록 일반화학 학업성취 평균 등급이 높게 나타났다. 이들 요소들과 일반화학 학업성취 평균 등급 사이에 높은 일치성이 나타난 반면, 학습자들의 눈치 보기, 교수자 중심의 수업을 선호하는 소극적 특성을 내포하는 ‘수업 내용 관련’ 요소와 일반화학 학업성취 평균 등급과의 일치성은 낮게 나타났다. 비대면 강의의 학습만족도 세부요소에서 ‘매우 아니다’라는 부정적 응답이 11.0% 이상으로 높게 나타났다. 특히, 비대면 강의가 학생들을 만족시키지 못하므로 ‘타인에게 권유’에서 부정적 응답(19.6%)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반면, 학습만족도 세부요소 인식조사 결과와 일반화학 학업성취 평균 등급 사이에 일치도가 높게 나타났다. 대면 및 비대면 강의에 따른 일반화학 학업성취 평균 등급 비교에서, 대면 강의에 의한 일반화학 평균 등급은 A, B로 나타났으며, 이는 비대면 강의 결과보다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특히, C, D 등급은 나타나지 않았다. 비대면 교수-학습에서의 행동통제, 인지적 학습, 상호작용, 학습만족도, 등의 요인들에 대해 설문조사한 후, 일반화학 학업성취도 사이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이들을 분석한 결과, 정적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행동통제 세부요소인 과제 집착에서 ‘매우 그렇다’라는 긍정적인 응답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학습 과제를 충실히 수행하면 일반화학 학업성취 평균 등급이 높게 나타났다. 인지적 학습의 모든 세부요소에서 긍정적인 응답이 높게 나타났으며, 비대면 수업에서 인지적 학습이 ‘교수자의 학습내용 전달’ 수준에 머무르는 것으로 나타났다. 상호작용과 일반화학 학업성취도 사이의 상관관계에서 교수자-학습자 상호작용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또 그 세부요소인 ‘내용이해 확인’에 대한 긍정적인 응답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본 연구는 고등학교 과학 학습경험이 일반화학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연구하였다. 대면 강의에서 내용 연계성, 흥미도, 도움 정도, 대학입학전형, 등의 화학 과목 교수-학습 경험에 대한 요인들이 일반화학 학업성취도에 크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비대면 강의에서 ‘학습 만족도’ 및 ‘학업성취도’에 대해 인식 조사를 하였다. 비대면 교수-학습에서 조사한 결과, 강의만족도에 대한 학생들의 긍정적인 응답이 23.5%로 낮게 나타났다. 이는 비대면 강의가 학습자들을 만족시키지 못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대면 및 비대면 강의에 따른 일반화학 학업성취 평균 등급 비교에서, 대면 강의에 의한 일반화학 학업성취도가 A, B등급으로 나타났으며, 비대면 강의 결과보다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대면 강의는 학습자들의 학습 내용을 이해를 위한 즉각적인 피드백이 가능한 반면, 비대면 강의는 피드백이 어려울 뿐만 아니라 교수자의 강의가 일방적으로 진행되므로 학습만족도 및 학업성취도가 낮은 것으로 판단된다.

      • 등가회로 및 feedline 분석을 통한 진행파형 전계 흡수 광변조기의 마이크로파 특성 연구

        구민주 中央大學校 一般大學院 2003 국내석사

        RANK : 1855

        최근 MWP system은 아날로그 광통신, 케이블 TV, 광통신 백본(Backbones)을 가지는 무선 통신 시스템, 그리고 전기신호의 광대역 데이터 처리 등의 넓은 응용분야에 적용가능하기에 수요자들에게서 많은 관심을 받고 있다. 이러한 통신 시스템에서 고출력, 초고속의 광변조기는 중요한 소자로서 인식되고 있다. 초고속의 소자를 만들기 위해 새로운 형태들의 광소자가 연구 중에 있으며 Hybrid-coplanar 의 구조가 각광 받고 있다. 릿지 형태의 CPW 진행파형 전송로는 진행파형 전계 흡수 광변조기는 초고속 광소자의 구조로 널리 사용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마이크로파 feedline을 포함하고, 광도파관과 마이크로파 feedline간의 임피던스 부정합을 고려하여 전계 흡수 광변조기(traveling-wave electro-absorption modulator, TW-EAM)의 마이크로파 특성을 분석하였다. Co-planar waveguide (CPW)와 microstrip의 하이브리드 구조를 가지는 광도파관 부분은 등가회로를 통해 모델링 하였으며, CPW 구조의 마이크로파 feedline은 모멘텀 방식을 통해 분석하였다. 등가회로의 인덕턴스 (L)와 커패시턴스 (C)는 3차원 FDTD를 이용하여 구하였다. 구한 인덕턴스와 커패시턴스는 regression line method(RLM)을 통해 수식화하여 소자의 구조 변화에 따른 C와 L값을 간편하게 구할 수 있도록 하였다. 이와 같은 분석을 통해 TW-EAM의 특성을 보다 정확하게 분석 할 수 있음을 제시한다.

      • 서울 숲 콘서트홀 디자인 연구

        구민주 건국대학교 건축전문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1855

        현대 사회에서 나라의 문화경쟁력은 그 나라의 중요한 경쟁적 요소이다. 우리나라의 문화수준도 예전과 다르게 눈부시게 발전하였으며, 세계 어느 무대에서도 손색없을 뛰어난 문화예술인들을 배출하고 있다. 시민들의 문화의식 또한 상당한 수준으로 향상되었다. 국민들의 문화 체험 활동의 규모가 나날이 증대함에 따라 그에 따른 사회적 요구도 그 영역을 확대해 나가고 있다. 오늘날의 현 상황에서 공연예술이 상영되는 문화시설 즉, 공연문화시설은 고대부터 현대에 이르기까지 국가의 통치를 위한 기관 및 교육기관, 의사소통 공간 등으로 단지 공연을 위한 시설 이외에도 다양한 역할을 하며 지금까지 긴 역사를 인간의 문명과 함께해 왔다. 본 연구에서는 도시 내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는 공연문화시설에 관한 이론조사를 바탕으로 서울시 성동구 성수동에 위치한 서울 숲 내에 콘서트홀을 계획하고자 한다. 성수동은 과거 서울의 외곽지역 이었으나, 강남과 강북을 잇는 성수대교와 맞닿아 있으며, 한강변을 따라 형성된 지역으로, 공연문화시설의 입지조건으로서 적합한 지역이다. 여타 폐쇄적이고 다소 보수적인 대규모 공연시설과는 다른, 숲 속 음악당을 설계함으로써 도심 내 오아시스와 같은 공간 내에서 다양한 계층의 사람들이 문화를 즐기고, 서울시내 지역 간 문화적 격차를 해소하는데 도모하고자 한다. 이처럼 국내 문화공연 시설의 새로운 중심이 될 수 있는 콘서트홀을 계획하고자 한다.

      • 단일품목 베이커리전문점 이미지가 고객만족과 구매행동에 미치는 영향

        구민주 威德大學校 2018 국내석사

        RANK : 1855

        본 연구의 목적은 단일품목 베이커리전문점 이미지가 고객들의 만족과 구매행동에 미치는 영향관계를 조사 하였다. 가설 검증을 위해 영남지역의 단일품목 베이커리전문점을 이용해본 경험이 있는 고객들을 대상으로 2017년 9월 18일부터 2017년 10월 2일까지 무작위 표본추출을 통해 408부(90.7%)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측정개념들 간의 관련성을 검증하였다. 가설검증에 앞서 측정개념에 대하여 타당성 및 신뢰성 분석 결과 단일품목 베이커리전문점이미지는 제품품질, 시각/분위기, 제품정보 등 3개 요인으로 나타났으며 고객만족과, 구매행동은 단일차원으로 도출되었으며 이를 토대로 가설 검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제품품질(β=.346, p=.000), 시각/분위기(β=.212, p=.000)가 고객만족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며 그 다음으로 제품정보(β=.134, p=.003)의 순으로 고객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제품품질(β=.289, p=.000)이 구매행동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며 그 다음 제품정보(β=.141, p=.004), 시각/분위기(β=.137, p=.009)의 순으로 구매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고객만족은 구매행동에 유의한 정(+)의 영향관계(β=.572, p=.000)로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바탕으로 다음과 같이 이에 대한 적절한 경영방향전략의 수립이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첫째, 전문점 제품의 개성과 맛, 제품의 질적으로 우수함을 보강해야 할 것이다. 또한 다른 곳보다 전문성이 높다고 생각하기에 차별적인 메뉴, 질 좋은 식재료와 특징을 살려 전문적인 메뉴개발로 소비자들의 긍정적인 반응도를 이끌어 가야 할 것이다. 둘째, 고객들이 제품에 대한 정보를 직원에게 가장 많이 제공받으므로, 제품의 정보를 표기하고, 정보전달과 직원 교육에 관심을 가지고 투자해야 할 것이다. 또한 광고나 선전 등을 효율적으로 해야 할 것이다. 셋째, 단일품목 베이커리전문점 이용 고객이 전문점의 제품과 분위기와 서비스, 가격에 만족을 하는 것은 고객의 구매 후 행동에도 좋은 영향을 미치므로, 친근감 있고 신뢰할 수 있는 제품과 서비스를 제공해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Single-Item Bakery factor of Bakery Shop Image by the assorted the Customer Satisfaction of consumption among consumer's behavior characteristic. Thepopulation of the empirical research obtained 408 parts of empirical research sample by distributing a questionnaire consisting of 18 Sep 2017 to 2 Oct 2017, at the for customers visiting the Single Item bakery shop in Young Nam. Province, The Measurement tools developed by modifying the existing literature survey tool, The data was analyzed using SPSS 18.0, the statistic program, for the frequency, crosstabs, factor, reliability, analysis of variance, multiple regression, simple regression analysis. As a result of the validity and reliability analysis of the measurement concept, the was three factors Product quality, visual/atmosphere, and product information. Consumer Satisfaction and purchase behavior were derived as a single dimension, and the results are as follows.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product quality (β = .346, p = .000), visual/ atmosphere (β = .212, p = .000) had the greatest effect on customer satisfaction, p = .003) in the order of customer satisfaction. Second, product quality (β = .289, p = .000) has the greatest effect on purchase behavior, followed by product information (β = .141, p = .004), (β = .137, p= .009) in the order of purchase behavior. Third, customer satisfaction showed a positive (+) influence on purchase behavior (β = .572, p = .000).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it should reinforce the specialty, taste and quality of specialty products. I also think that it is more professional than other places. It is necessary to lead the positive response of consumers by developing differentiated menus, quality foodstuffs and features and developing professional menus. Second, because customers receive the most information about their products You will have to pay attention to product information, information and staff training. In addition, advertising and propaganda should be efficient. Third, customers who use a single-item bakery specialty store are satisfied with the products, atmosphere, service, and price of specialty shops. It will also have a good influence on the customer's post-purchase behavior, so we need to provide friendly and reliable products and services.

      • 다문화 가정 자녀를 위한 한국어 교육 프로그램 실태분석 및 활성화 방안 연구

        구민주 韓國外國語大學校 敎育大學院 2013 국내석사

        RANK : 1855

        Because South Korea is rapidly shifting into a multicultural and multiracial society, multicultural families and their children have significantly increased every year. The government has been focusing on Korean language education mainly to women who have come to Korea for international marriage. This education has been a very important issue to society. As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go to school, they are faced with difficulties in their school lives, such as not easily adjusting to the environment and not being able to get a good grade. Because the Korean language can be a direct influence to the children’s school lives, the government has realized the desperate need for assistance to these children. However, even though there have been many proposals to improve their assistance, majority of these proposals have not given shape to their plans. Diversified enterprises have been carried out to support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based on the 2006 multicultural families-supporting policy by a private organization and the Ministry of Education. However, there is a lack of professionalism in the field teachers, a lack of a systematic structure for Korean education, and a lack of learning customized by age, regional group, and level. This research has designed to seek a desirable and reasonable Korean educational program for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attending lower grade elementary school. By analyzing the school lives and educational level of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this research emphasizes children’s Korean education based on ‘Speaking and Writing’ and ‘Pronunciation and Spelling.’ Also, it argues that education programs should be planned for the children to learn language and culture through a reading education program; to understand Korea and their mother country; and to develop self-identity and broaden their mind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