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초등학교내 교사간 인간관계와 비공식조직과의 관계

        강성훈 인천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31

        As the unfriendly interpersonal relationship of teachers has an adverse impact on the effectiveness of school education, principals should coordinate informal internal organizations to improve their human relations to ensure the successful achievement of objects that their schools pursu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involvement of elementary teachers in informal intraschool organizations, their interpersonal relationship, the function of the organizations,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function of the organizations and the human relations of teachers in a bid to bolster the efficiency of school administration. Four research questions were posed in this study: 1. What differences do the background variables of elementary teachers, including gender, position, age and career, make to their perception of teacher involvement in informal intraschool organizations? 2. What differences do the background variables of elementary teachers, including gender, position, age and career, make to their perception of the function of informal intraschool organizations? 3. What differences do the background variables of elementary teachers, including gender, position, age and career, make to their perception of teacher interpersonal relationship? 4. What i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outlook of elementary teachers on informal intraschool organizations and their interpersonal relationship? The subjects in this study were 400 teachers who were selected from a population of teachers who worked in elementary school in the city of Incheon. The population numbered 7,856 teachers from 202 elementary schools in that urban community except for Ganghwa. 20 schools were selected by random sampling from four offices of education with five each, and then a survey was conducted. The answer sheets from 350 respondents were collected, and 204 answer sheets were analyzed. The questionnaire used in this study covered involvement in informal organizations, the function of informal organizations and teacher interpersonal relationship with eight, 12 and 14 items respectively. A frequency analysis was made to find out the state of the teachers' participation in informal organizations, and t-test was utilized to grasp the function of informal organizations and teacher interpersonal relationship by gender and position. And ANOVA was employed to figure out the relationship of age and career to the function of informal organizations and the interpersonal relationship of the teachers. When there appeared any significant disparities by age and career, Scheffe's test was implemented to make a post-hoc analysis. Correlation coefficients were calculated to look for connections between the function of informal organizations and the interpersonal relationship of the teachers, and the level of significance was set at a=.05. The 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as for the state of the participation of the elementary teachers in informal intraschool organizations, the teachers who were younger and whose career was shorter joined in academic workshops to acquire information on job performance, whereas their counterparts who were older and whose career was longer just had a talk in the same-grade meeting to maintain a good interpersonal relationship. So the latter was dissatisfied with informal organizations. Second, concerning the perceived function of informal intraschool organizations, the organizations were considered to exert the largest influence on teachers, followed by mutual teacher relationship and school management. It indicated that informal organizations didn't affect their mutual relations and school administration a lot.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according to age. The younger teachers who were at the age of 30 and down took a better view of the function of informal organizations than the older teachers who were at the age of 41 and up. Third, regarding teacher interpersonal relationship, the elementary teachers deemed mutual interpersonal relationship to be relatively amicable, and gender and position made significant differences to their outlook on that. It implied that every teacher including females should be allowed to share their opinions without any restrictions in the same- grade meeting or when they meet their past colleagues. And head teachers should put their energy into boosting their relations with lay teachers. Fourth, as to correlation between the function of informal organizations and teacher interpersonal relationship, there was a significantly positive (+) correlation between the two in every regard. Given the findings of the study, there are some suggestions: First, older and experienced teachers should provide younger and inexperienced teachers with information needed for successful job performance and try to enable them to pursue their personal development and growth. Second, principals should be involved in informal organizations as well to improve school performance. Third, amicable human relations require efforts to mingle with not only colleagues and younger teachers but older teachers in their 40s and up. Fourth, head teachers and experienced teachers should be capable of offering a helping hand to their colleagues through informal organization such as a supply of required information. Fifth, future research efforts should examine the link between the interpersonal relationship of elementary teachers and informal organizations from diverse angles. Sixth, this study has some limitations. Just a secondhand investigation was made by employing questionnaire method, and the findings of the study were based on the views of teachers only. In the future, more direct methods should be applied such as participant observation or interview, and more extensive research should be implemented across the nation to produce more generalizable results. 학교 내 교사들 상호간의 부적절한 인간관계는 학교교육의 효과성에 부정적인 영향을 준다. 그러므로 학교장은 교사들의 만들어내는 비공식조직의 유형이나 목표, 실태 등을 파악하여 교사 상호간의 인간관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도록 조정하여 학교조직이 지향하는 목표에 도달하도록 하여야 한다. 본 연구는 초등학교 내 비공식조직의 참여현황, 비공식조직의 기능에 대한 지각정도, 학교 내 교사간 인간관계, 학교 내 비공식조직의 기능에 대한 지각과 교내 교사간 인간관계와의 관계를 분석함으로써, 교내 교사간의 인간관계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교내 비공식조직의 기능 활용을 통해 학교행정의 효율화에 기초적인 자료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가 설정되었다. 첫째, 초등학교 교사들의 교내 비공식조직 참여현황에 대한 지각은 배경변인별(성별, 직위별, 연령별, 경력별)로 어떠한 차이가 있는가? 둘째, 초등학교 교사들의 교내 비공식조직의 기능에 대한 지각은 배경변인별로(성별, 직위별, 연령별, 경력별)로 어떠한 차이가 있는가? 셋째, 초등학교 교사들의 교내 교사간의 인간관계에 대한 지각은 배경변인별(성별, 직위별, 연령별, 경력별)로 어떠한 차이가 있는가? 넷째, 초등학교 교사들의 교내 비공식조직의 기능에 대한 지각과 교내 교사간의 인간관계는 어떠한 관계가 있는가? 이 연구의 조사대상으로는 인천광역시 소재 초등학교 근무하고 있는 초등학교 교사들을 모집단으로 하였다. 초등학교 총 202개교 7,856명(강화 제외) 중에서 교육청별로 무선표집하여 20개교를 선정한 후 선정된 학교 교사들의 협조를 얻어 설문지 400부를 배부하여 조사를 실시하였다. 회수된 설문지는 350부였으며 이중 실제 분석에 활용된 질문지는 204부였다. 질문지는 비공식조직에의 참여(8문항), 비공식조직의 기능(12문항)과 교사 간 인간관계(14문항)로 구성하였다. 초등학교 교사의 비공식조직 참가현황을 알아보기 위해 빈도분석을 사용하였고, 비공식조직의 기능과 학교 내 교사 간 인간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성별·직위별은 t-test를, 연령별?경력별은 일원변량분석(One-way ANOVA)을 실시하였다.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경우에는 보다 구체적으로 집단 간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사후검증(Scheffe´ test)를 실시하였다. 초등학교 내 비공식조직의 기능과 교사간의 인간관계의 상관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상관계수를 산출하였다. 통계적 차이의 검증 유의 수준은 α=.05로 하였다. 이상의 과정을 통하여 얻은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가. 초등학교 교사들의 교내 비공식조직 참여현황에 대한 지각은 배경변인별로 어떤 차이가 있는가? 첫째, 초등학교 교사들의 교내 비공식조직에 대한 참여현황을 분석한 결과 전체적으로 동학년 모임(81.6%), 전근무교 모임(37.7%), 취미활동 모임(27.9%), 교과연구회 모임(27.5%) 순으로 참여하였고, 비공식조직의 필요성에 대해서는 69.3%의 교사가 필요하다고 하였다. 배경변인별로 살펴보면 성별에서 남교사(28.8%)가, 직위별에서 일반교사(24.1%)가, 연령별에서 31~40세 이하 교사, 경력별에서는 16년 이상이 매우 필요하다고 하였다. 둘째, 비공식조직에의 참여동기로는 ‘원만한 인간관계’(89.3%), ‘교직에 필요한 정보수집’(48.4%)를 위해 비공식조직에 참여한다고 하였고, 비공식조직에서 이야기되는 문제는 학생지도·학급경영(70.9%), 단순한 환담(46.7%), 교과지도·교수학습(43.9%) 순이었다. 셋째, 가장 적극적으로 참여하는 비공식조직, 참여도, 만족도에 대해 교사들은 동학년 모임(42.6%), 전근무교 모임(22.5%) 순으로, 연 5회 이상 참여한다에 69.7% 응답하여 대부분의 교사들이 비공식조직에 자주 참여한다고 하였고, 만족한다’(62.7%), 매우 만족한다(29.5%) 순으로 반응을 보였다. 넷째, 가장 적극적으로 참여하는 비공식조직의 모임 1회마다 할애하는 시간은 3~4시간 미만(31.6%), 2~3시간 미만(30.7%) 순으로 분석되어 비공식조직에 참여하는 시간이 긴 편이었다. 나. 초등학교 교사들의 교내 비공식조직의 기능에 대한 지각은 배경변인별로 어떠한 차이가 있는가? 초등학교 교사들의 교내 비공식조직의 기능에 대한 지각의 전체 평균은 3.55로 비교적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항목으로는 ‘교사에게 미치는 영향’, ‘교사 상호간에 미치는 영향’, ‘학교경영에 미치는 영향’ 순으로 나타났다. 배경변인별로 살펴보면 첫째, 성별에서는 남교사(M=3.58)가 여교사(M=3.53)보다 높게 나타나, 검증결과 p<.05 수준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다. 이를 각 항목별로 차이분석을 실시한 결과 학교의 비공식조직이 학교경영(학교장의 긍정적 인사, 공평무사한 교무분장, 학교목표달성 방해, 파벌조성)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냈다. 둘째, 직위별에서는 부장교사(M=3.58)가 일반교사(M=3.54)보다 높게 나타나, 검증결과 p<.05 수준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다. 이를 각 항목별로 차이분석을 실시한 결과 비공식조직이 학교경영(공평한 교무분장, 교내장학 도움, 학교목표 달성 방해)에 미치는 영향에서 유의

      • 불일치 실험수업이 초등학생의 과학본성에 미치는 영향 및 증거평가과정에서 나타나는 특징

        강성훈 서울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의 목적은 교사의 의도적인 불일치 실험수업이 학생들의 과학본성과 증거평가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 것이다. 연구를 위하여 6학년 과학교육 과정을 분석하여 총 4차시의 “불일치 실험 수업”을 설계하였고, 서울소재 초등학교 6학년 학생 23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불일치 실험 수업이 학생들의 과학본성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기 위해서 나지연(2004)이 개발한 검사지를 활용하였다. 그리고 증거평가 과정에서 나타나는 특징을 알아보기 위하여 3개 집단을 선정하였다. 연구 결과, 학생들은 대부분 과학본성에 대해 전통적인 관점을 가지고 있었다. 하지만 불일치 실험수업이 학생들의 과학본성에 대한 관점을 전통적 관점에서 현대적 관점으로 유의미하게 변화시켰다. 특히 과학본성의 8개 영역 중 과학적 방법, 과학적 추론, 이론의 가정의 3개 영역에서 유의미한 변화를 확인할 수 있었다. 학생들의 증거평가 유형은 일관성이 없었다. 하지만 초기에는 거부와 보류가 많았지만, 시간이 지날수록 자신의 예상과 일치하지 않는 실험결과도 받아들이는 무조건적 수용과 조건적 수용이 증가하였다. 증거평가를 위한 집단토의 시 학생들은 “혼란”, “왜곡”, “갈등”, “회피”, “설명제시”, “재실험요구”, “결과의 수용”의 행동들을 보였으며, 이 중에서 원인을 과학적 지식을 활용하여 설명하려는 "설명제시”가 시간이 지날수록 많아졌다. 위의 결과들을 통해 불일치 실험수업이 학생들의 과학본성을 효과적으로 바꾸어줄 수 있는 방법 중에 하나임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증거평가 과정에서 학생들이 보여주는 행동 중 긍정적인 행동들은 강화하고 부정적인 행동들은 교정해주기 위해 교사의 적절한 개입이 필요하다고 할 수 있다.

      • 정수처리 막여과 공정에서의 막 완결성 시험을 위한 막 손상 검지 감도 최적화 연구

        강성훈 공주대학교 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631

        Membrane water purification system as an alternative to conventional water purification has been popular and will satisfy people's demand of high water quality. But integrity test of membrane system, to improve safety of water quality, is not practiced enough. In Korea, membrane water purification system is on commercialization step, but lots of engineering technology are depending on that obtained from foreign country. Therefore to establish and settle membrane technology as a reliable water purification process in drinking water industry, integrity test research should be performed systematically. According to USA SWTR(Surface Water Treatment Rule), virus and pathogens removal was enacted, in 1996, after revision of SDWA(Safe Drinking Water Act) standard of drinking water quality has been continuously strengthen. And conventional water treatment process has to be applied with membrane filtration or ozone oxidation, etc., in order to meet the additional log removal of the LT2ESWTR when high concentration of Cryptosporidium detected in raw water. Membrane technology are finding increasing application in water purification system to provide a physical barrier to pathogens such as an bacteria, Cryptosporidium, and virus. However fiber breaks including defects in seals, pottings, associated valves and piping may lead to passage of pathogens and their entry to permeate. Thus, it is significant that the integrity test is designed and optimized to identify a minor change of particles in membrane filtrate during operation. This experiment included an evaluation of procedure and method on an integrity testing of microfiltation membrane(MF) in order to produce drinking water safe from microorganism. MF test module was used to evaluate PDR (pressure decay ratio) and LRV(log removal value) according to the defected fiber numbers and shapes. Thus, PDT procedure could supply the reliability of membrane system through the regular monitor and diagnosis of PDR or fiber breaks.

      • Bioimaging research using nanoparticle-loaded macrophage for targeted delivery

        강성훈 한림대학교 2021 국내박사

        RANK : 247631

        Background Cell-based delivery systems are a strategy for therapeutic and diagnostic applications. These systems have potential advantages, including increased bioavailability, improved pharmacokinetics, and reduced toxicity. Particularly, macrophages can be excellent mediators in the delivery of therapeutic nanoparticles across the endothelial barrier and releasing drugs to specifically targeted disease sites through activation, adhesion, and migration processes. However, toxicology and targeted delivery evaluation are necessary for application in the clinical field in order to determine their safety in the body environment. This also includes data on membrane microstructure and biochemical changes of nanoparticle-loaded macrophages. In this study, we assessed the toxicity of nanoparticle-loaded macrophages in a normal animal model. Additionally, the target delivery efficacy was analyzed in three disease types, namely, lung inflammation, asthma, and the lung cancer xenograft model. The optical change according to the interaction between the nanoparticles and macrophages was evaluated using 3D holotomography image analysis. Understanding the interaction between the nanoparticles and macrophages is essential for the evaluation of nanotoxicity and development of nanomedicines. Methods The toxicity assessment of nanoparticle-loaded macrophages in the normal animal model was evaluated by hematological and histological studies for biocompatibility. The gold nanoshell was prepared with the macrophage as a delivery vehicle and protective barrier. Subsequently, the inflammatory effects of macrophages and their effectiveness for asthma-targeted delivery were analyzed using intracellular holotomography and ex vivo fluorescence imaging techniques. The homing efficacy of the gold nanoparticles-loaded macrophages was studied in an established mouse model through lipopolysaccharide (LPS)-induced inflammation. Moreover, the target delivery efficiency of the gold nanoparticle-loaded macrophages was evaluated in the intracellular level using an Ovalbumin (OVA)-induced asthma mouse model. Fluorescence images and in vitro ICP-MS were used to evaluate the transduction efficiency of AuNPs-equipped macrophages. To study the cancer-targeted delivery efficacy of macrophage-based delivery strategies, we prepared graphene quantum dots (GQDs) by the L-glutamic acid pyrolysis method, which provides biocompatibility, stability, and fluorescence efficacy. We evaluated the cell imaging and fluorescence bioimaging using hybrid GQD-loaded macrophages in lung cancer xenograft mouse models. Here, we used 3D holotomography analysis to observe the morphological, ultrastructural, and lipid droplet changes through optical diffraction tomography (ODT) and refractive index (RI) maps. Additionally, using RI-based quantitative analysis and observable changes in the 3D correlated imaging, we identified the macrophage and nanoparticle interactions. Results First, our in vivo toxicology results show no acute toxicity, and suggest that the gold nanoshell-loaded macrophage is a promising candidate that can provide biocompatibility for drug delivery strategies. Results from the intracellular biodistribution and ex vivo fluorescence imaging in each of the inflammation and asthma mouse models have shown that macrophages are a promising modality for inflammatory-targeted delivery strategies. In vivo fluorescence bioimaging and ex vivo fluorescence imaging of major organs in lung cancer xenograft models indicate that macrophages induce not only inflammation-targeted migration but also cancer-targeted migration. When nanoparticles were absorbed into a macrophage, increases in the lipid droplet number and cell volume were observed. The volume and mass of the lipid droplets were slightly increased by the absorption of nanoparticles. However, the number of lipid droplets increased conspicuously compared to other factors. Conclusion In conclusion, our toxicological studies propose that macrophage-based delivery systems could be a promising strategy to overcome the safety limitation of fabricated nanomaterials. Additionally, our ex vivo and in vivo studies of nanoparticle-loaded macrophages in various animal models, including LPS-inflammation, OVA-asthma, and lung cancer xenografts, demonstrate the unique target-delivery efficiency of macrophages. Consequently, therapeutic nanoparticle-loaded macrophages could be prospective candidates for targeting inflammation-associated disease sites. Holotomographic analysis is a powerful tool for detecting 3D structural and cellular morphology imaging at high resolution. Particularly, the detection of the observable differences in nanoparticle-loaded macrophages could be of major interest as a significant endpoint assay for evaluating nanomedical applications and immunotherapeutic strategies. This study is expected to enable a novel framework for nanoscale visualization of macrophages during nanoparticle stimulation and their potential in drug delivery applications. 연구 배경 세포 기반의 약물 전달 시스템은 여러가지 질병을 치료하고 진단하기 위한 여러 전략 중의 하나이다. 이 시스템은 여러 약물들의 생체 내 흡수, 분포, 대사 등의 이용률을 증가시키는 한편, 기존 약물들의 독성은 감소시킬 수 있어 높은 실현 가능성을 가지고 있다. 특히, 대식세포는 활성화된 이후 내피 장벽을 가로질러서 표적화 된 질병 부위로 이동 및 부착하여 치료 약물을 전달할 수 있는 특성을 가지고 있어 나노 입자를 이용한 치료제 개발 연구에 활용되고 있다. 하지만 나노 입자를 봉입한 대식세포를 주입함에 있어서 면역 반응 및 급성독성의 유발과 같은 안정성에 대한 시험이 반드시 필요하다. 이렇듯 나노 입자를 봉입한 대식세포는 다양한 질병을 표적으로 사용되었지만 아직까지 나노 입자와 대식세포의 상호작용에 따른 세포막의 미세구조 및 생화학적 변화에 대한 정보는 거의 없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우선 나노 입자를 봉입한 대식세포의 생체 내 독성을 시험하여 대식세포를 이용한 약물 전달 시스템의 안전성을 시험해보고자 하며, 또한 폐 염증, 천식, 폐암의 3가지 모델을 통하여 나노 입자를 담지 한 대식세포의 표적 전달 능력을 검증하고자 한다. 또한 나노 입자와 대식세포의 상호작용에 따른 변화를 조사하는 것으로 나노 의학분야에 있어 독성 및 면역작용을 이해하여 면역세포 및 나노 의약품 개발에 필수적인 요소로서 활용될 수 있고자 한다. 실험 방법 첫째로 나노 입자를 봉입한 대식세포 생체내 주입시의 독성 반응을 평가하여 생체 적합성을 실험하였다. 금 나노 쉘을 봉입한 대식세포를 주사한 이후 혈액 및 조직에서의 반응을 확인하였다. 다음으로 염증 및 천식에 대한 표적 전달 능력을 평가하였다. 3D 홀로토모그래피 현미경 (Holotomography microscope) 및 형광 이미징을 통해 in vitro 환경에서 검증하였고, LPS(lipopolysaccharide)로 감작된 염증모델을 통해 대식세포의 표적 전달 효능을 확인하였다. 또한 OVA(Ovalbumin)를 주입하여 유도한 천식 동물 모델을 사용하여 천식의 정도에 따른 전달 효과를 시험하였다. 다음으로는 그래핀 양자점을 담지 한 대식세포를 이용하여 폐암을 이종이식한 마우스 모델에서 대식세포의 종양 표적 능력을 확인하였다. 최종적으로 3D 홀로토모그래피 분석을 활용하여 각각의 조건에서 대식세포 형태, 미세 구조 및 지질방울의 변화 등을 관찰하였다. 이는 optical diffraction tomography (ODT) 및 refractive index (RI) map을 통해 분석한 결과로서 이미지를 통한 분석 뿐만이 아니라 정량분석을 시행하였다. 이러한 분석들을 통하여 대식세포와 나노 입자의 상호작용 및 전달 효능을 검사하였다. 결과 첫째로 시행된 대식세포의 독성평가의 결과는 나노 입자를 봉입한 대식세포를 주입하였을 때 혈액학적, 조직학적으로 유의미한 독성을 나타내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염증성 동물 모델(LPS 유도 모델 및 OVA 천식 모델)에서 나노 입자를 봉입한 대식세포는 성공적으로 염증이 발생된 폐조직으로 이동하는 것을 보여주었으며, 또한 폐암세포를 이종이식한 동물 모델에서도 나노 입자를 담지 한 대식세포는 종양 조직으로 이동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리고 3D 홀로토모그래피를 통한 분석 결과에서 대식세포는 나노 입자를 봉입하였을 때 세포의 부피와 무게가 증가하는 양상을 보였다. 또한 지질 방울의 수도 증가하는 현상을 보였지만, 그 부피와 질량은 미비한 증가만을 보였다. 결론 결론적으로 본 연구에서는 독성학적 연구를 통하여 대식세포를 기반으로 한 전달 시스템이 현재 나노 물질의 안전성에 대한 한계를 극복할 수 있음을 보여주었다. 또한 염증 모델과 천식모델 그리고 종양 모델을 통하여 나노 입자를 봉입한 대식세포가 각각의 질병에서 효과적으로 나노 물질을 표적 위치에 전달함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대식세포가 치료용 나노 물질을 전달하는 전략으로서 유용함을 시사한다. 세포 이미지 및 세포내 병리학적 분석에 있어서 3D 호로토모그래피는 고해상도의 3D 세포 구조 및 형태학적 정보를 제공하였다. 이러한 방법으로 획득된 대식세포에 나노 입자를 담지하기 전과 후의 시각적 그리고 정량적 차이는 면역세포와 나노 입자 기반의 약물 전달 시스템 개발에 전략적인 지표를 제공해 줄 수 있다. 결과적으로 본 연구는 나노 입자와 대식세포의 상호작용을 시각적으로 빠르고 직관적으로 파악할 수 있는 체계를 갖추는데 활용될 것이라 기대된다.

      • 전동식 주유 펌프용 임펠러의 설계 및 최적화에 관한 연구

        강성훈 한양대학교 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electric oiling pump is a kind of mixed-flow pump. The mixed-flow pump uses a centrifugal force generated by rotating one or several impellers in a closed casing to increase the pressure of the working fluid, The flow of fluid from the impeller is converted into pressure energy from the impeller and the fluid flows continuously through the pump action. In addition, the multistage pump has the properties of a centrifugal pump and an axial pump, Compared to an axial flow pump, it has a higher head value. In this study, a design optimization to improve hydraulic efficiency of the electric fuel pump was implemented. Design of experiments was used as a design optimization method. The performance of the optimized design was evaluated using a commercial computational fluid analysis code. The 2k factorial design method was used to determine the degree to which each design variable influenced pump performance and to select the design variable with the effect according to the result. Using the Response Surface Method(RSM), the optimized model has been created to achieve higher hydraulic efficiency than the base model. The internal pressure and flow field were analyzed by comparing the basic and optimized models to see how the performance improved. The optimized model shows less vortex generation and more natural pressure distribution.

      • 남자 중학생의 플라이오메트릭 트레이닝이 성장호르몬과 등속성 근력에 미치는 영향

        강성훈 동아대학교 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평균15세 남자 중학생을 대상으로 10주간, 주3회, 1일 60분 동안 플라이오메트릭(Plyometric) 수직방향 4종목과 수평 방향 3종목의 트레이닝을 실시하여 이들의 신체조성, 호흡순환기능, 성장호르몬(GH), 인슐린양성장인자-I, 등속성 운동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신장은 평균2.14cm로 유의하게 증가(p<0.01)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체지방량은 평균1.68%로 유의하게(p<0.05)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근육량도 평균0.53kg이 유의하게(p<0.05)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환기역치(VT)는 평균60ml/min이 증가하였으며, VO_(2)max(ml/kg/min)도 평균5.27(ml/kg/min)이 증가하여 유의하게(p<0.05) 나타났다. 성장호르몬은 평균1.9ng/ml가 증가하였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없었으며, 인슐린양성장인자-I의 경우는 평균285.19ng/ml가 증가하여 유의한(p<0.001) 차이가 나타났다. 왼쪽 무릎관절 단축성 폄근의 60°/sec는 체중당 최대발현각도가 평균39.69%가 증가하였으며, 총운동량은 평균18.43(J)이 증가하였고, 체중당 총운동량은 평균47.52%가 증가하여 유의하게(p<0.05, p<0.05, p<0.05)나타났다. 180°/sec는 체중당 최대발현각도가 평균11.64°가 증가하였으며, 총운동량은 평균8(J)이 증가하였고, 체중당 총운동량은 평균22.47%가 증가하여 통계적으로 유의하게(각각 p<0.05, p<0.01) 나타났다. 오른쪽 무릎 관절 단축성 폄근의 60°/sec는 최대발현각도가 평균17.29Nm가 증가하여 유의한(p<0.05) 차이가 나타났으며, 체중당 최대발현각도는 평균44.22%로 증가하여 유의한(p<0.01) 차이가 나타났다. 총운동량은 평균28.72(J)가 증가하였으며, 체중당 총운동량은 평균69.34%로 증가하여 각각 유의한(각각 p<0.01, p<0.01) 차이가 나타났다. 오른쪽 무릎 관절 단축성 폄근의 180°/sec는 최대발현각도가 평균7.14(Nm)가 증가하였으며, 체중당 최대발현각도는 평균21.69가 증가하여 각각 유의한(각각 p<0.05, p<0.01) 차이가 나타났다. 총운동량과 체중당 총운동량은 평균13.72(J)가 증가하였으며, 평균36.19%가 증가하여 각각 유의한(각각 p<0.01, p<0.01) 차이가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결과 고강도 운동인 플라이오메트릭 트레이닝을 통해 청소년들은 성장호르몬의 증가와 인슐린양성장인자-I(IGF-Ⅰ)의 촉진으로 지방량을 증가시키므로써 체지방량이 증가되며, 성장기 청소년들의 신장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고, 근육의 신장반사를 통해 하지근의 발달을 가져와 굽힘근보다 폄근이 향상된다는 결론을 얻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male middle school students changes of GH, IGF-Ⅰ, Height, Isokineic, Body composition after 10weeks Plyometric training per week 3, per day 1hour.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 1. Height was significantly(p<.01) increased 2.14cm, significantly(p<.05) increased %Fat 1.77%, Muscle mass 0.53kg, Water 0.8 after 10weeks plyometric training. 2. VT 60(ml/min), VEmax 8.51(l/min), VCO_(2)max 259.48(ml/min), VO_(2)max 5.27(kg/ml/min) was increased significantly(p<.05) after 10weeks plyometric training. 3. GH was not significantly, IGF-Ⅰ was sigicificantly(p<.001) increased 258.09(ng/ml) after 10weeks plyometric training. 4. Leg concentric extension(left) was increased in PT, PT%BW, TW, AP significantly(p<.05) and leg concentric extension(right) was increased in PT, PT%BW, TW, AP significantly after 10weeks plyometric trainig. In conclusion, 10weeks plyometic training was increased body composion, cardiorespiratory function, Isokinetic, IGF-Ⅰ and increased of height. So thinking in secondary student plyometic training was increased GH, IGF-Ⅰ that increase body fat and %Fat. Also Isokinetic was effect rather flexor than extens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