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보육교사의 심리적 안녕감과 유아의 친사회적 행동의 관계 : 교사-유아 상호작용 매개효과

        김현숙 숙명여자대학교 원격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1839

        본 연구의 목적은 보육교사의 심리적 안녕감과 교사-유아 상호작용, 유아의 친사회적 행동 간의 관련성을 알아보고, 보육교사의 심리적 안녕감이 교사-유아 상호작용을 통해 유아의 친사회적 행동에 미치는 영향력을 파악하는데 있다. 이를 위한 구체적인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연구문제 1. 보육교사의 심리적 안녕감, 교사-유아 상호작용이 유아의 친사회적 행동에 미치는 경로는 어떠한가? 연구문제 2. 보육교사의 심리적 안녕감과 유아의 친사회적 행동 간에 교사-유아 상호작용의 매개효과는 어떠한가? 본 연구의 대상은 충청북도와 세종특별자치시 지역의 어린이집에 재원 중인 만 3, 4, 5세 유아 712명과 유아의 담임교사 178명을 대상으로 하여 총 178부를 최종 분석 자료로 사용하였다. 설문의 신뢰도는 Cronbach’s α 계수로 산출하였다. 본 연구에서 사용되는 자료들은 IBM SPSS 18.0 프로그램과 AMOS 18.0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대상의 일반적 특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빈도분석, 기술통계분석을 실시하였고, 보육교사의 심리적 안녕감, 교사-유아 상호작용, 유아의 친사회적 행동 간의 관계를 알아보고자 상관관계분석을 실시하였다. 마지막으로 보육교사의 심리적 안녕감, 교사-유아 상호작용, 유아의 친사회적 행동 간의 경로를 알아보기 위하여 AMOS 18.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구조모형 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보육교사의 심리적 안녕감, 교사-유아 상호작용과 유아의 친사회적 행동의 상관관계를 살펴본 결과, 보육교사의 심리적 안녕감이 높아질수록 교사-유아 상호작용이 증가하고, 교사-유아 상호작용이 높아질수록 유아의 친사회적 행동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보육교사의 심리적 안녕감과 유아의 친사회적 행동 간에 교사-유아 상호작용의 매개효과를 살펴본 결과, 보육교사의 심리적 안녕감이 교사-유아 상호작용을 매개로 하여 유아의 친사회적 행동에 간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보육교사의 심리적 안녕감과 교사-유아 상호작용 간의 관련성을 확인하였다는 점과 보육교사의 심리적 안녕감이 교사-유아 상호작용을 통해 유아의 친사회적 행동에 미치는 경로에 대해 구조방정식 모형을 통하여 확인하였다는 점에서 그 의의를 찾을 수 있을 것이다. 이를 통해 보육교사가 교사의 심리적 안녕감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스스로 심리적 안녕감을 느낌으로써 유아와 적극적인 상호작용을 증가시켜 궁극적으로 유아의 친사회적 행동에 긍정적인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라 기대한다.

      • 농촌관광산업의 경제적 파급효과

        김현숙 공주대학교 대학원 2017 국내박사

        RANK : 1839

        The rise in per capita income along with an increasing demand for tourism as a result of the expansion of the five-day workweek has brought about a growing interest in rural tourism. Rural tourism is going to continue to increase of the number of visitors for rural tourism and its growth as an industry with a high potential for job creation and added value effect as its importance gradually increases. The government is engaging in much support and investment with the purpose of vitalizing agriculture and rural communities as well as policies aimed at developing rural tourism. Thus, the quantitative analysis of the direct economic effect of rural tourism on agriculture and rural communities is meaningful research at a time when the supply of rural tourism is increasing. The study aims to analysis the economic impacts with input-out model including drawing up the satellite account for the rural tourism industry. In general, it is possible to calculate the direct and indirect effect of each industrial sector by analyzing the correlation between upstream and downstream industries by using an inter-industry relations table aimed at understanding the economic effect of a particular industry. The input-output table drawn up by the Bank of Korea does not establish the tourism industry as an independent industry. Hence, a method of drawing up and analyzing an attached account referred to as a satellite account is used to understand the ripple effect for rural tourism. The present study collected and analyzed data on rural tourism activities from the ‘2014 fact-finding survey on rural tourism’ and the 2013 ‘creative experience activities’ of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Because the input-output structures between regular tourism and rural tourism differ, their methods of drawing up satellite accounts must also differ. Therefore, the present study attempts to classify rural tourism as a single industry by adding the satellite account of the rural tourism industry field which has not been dealt with in existing studies. First, the study presented a rural tourism industry satellite account in order to analyze the economic ripple effect of the rural tourism industry. Second, the study analyzed the size of the rural tourism industry field and its ripple effect on the national economy by applying the amount spent on rural tourism as actual data, figures of which are based on the 2014 fact-finding survey on rural tourism and the 2013 ‘creative experience activities’ of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The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The input coefficient refers to the division of total input which consists of intermediate input including the raw materials and fuel purchased by each industrial sector for use in the production of goods or services. Consequently, the production of a unit of rural tourism requires 0.3183 units of intermediate input for restaurants and bars, 0.3036 units for road shipment services, 0.1512 units for lodging services, 0.0286 units for fruits and vegetables, 0.0201 units for miscellaneous livestock, and 0.0201 units for grains and food crops. This shows that the ripple effect as a result of the intermediate input necessary to produce a unit of rural tourism is the greatest for restaurants and bars followed by road shipment services; lodging services; agriculture, forestry and fishery products; and wholesale and retail services, which are inter-industries to rural tourism. A production inducement coefficient, which indicates the size of production inducement spread directly or indirectly in industrial sectors related to rural tourism when the final demand for it increases by a unit, is, for the national economy overall, 3.2895 units after directly or indirectly inducing production including 0.9968 units for rural tourism, 0.3325 units for restaurants and bars, 0.3183 units for road shipment services, 0.1520 units for lodging services, and 0.1290 units for oil products when the final demand for rural tourism increases by a unit, in order to meet this demand. Impact factor has the same meaning as backward linkage effect, and industries with a high impact factor are in the order of cold rolled steel at 1.5955 units, hot rolled steel at 1.5030 units, pig iron and crude steel at 1.4567 units, metal casting at 1.3996 units, and synthetic resins and rubber at 1.3785 units. When an industry has an impact factor greater than 1, it means that its final demand for goods has a greater impact on the overall economy than other industries, while, on the contrary, industries with an impact factor lesser than 1 have a relatively smaller impact on the overall economy in terms of their final demand for goods. The backward linkage industries of rural tourism include industry sectors like lodgings, food, and transportation. The sensitivity of dispersion index refers to how the final demand for products of all industrial sectors affects a particular industry when it goes up by a unit. The industry with the highest sensitivity of dispersion index is crude oil and natural gas(6.8401 units) followed by oil products(6.7609 units), wholesale and retail services(6.1746 units), and pig iron and crude steel(5.3446 units). Industries with a high backward linkage effect were cold rolled steel(1.5955 units), hot rolled steel(1.5030 units), pig iron and crude steel(1.4567 units), and metal casting(1.3996 units). The linkage effect of the rural tourism industry is insignificant because its final demand is input as a complete product. The implications of the research results can be presented as follows in terms of policy, practice, and academics. First, the purpose of analyzing the economic effect of tourism in terms of policy is to supplement the negative aspects from tourism development including social, cultural, and environmental effects, also to secure the legitimacy of tourism development, and finally to allow policy-decision makers to make reasonable judgements on the tourism development industry. Second, in terms of practice, the input coefficient of restaurants and bars was the highest followed by road shipment services, lodging services, fruits and vegetables, miscellaneous livestock, grain and food crops, dairy and beef cattle, feed, miscellaneous crops, and wholesale and retail services. This refers to intermediate input including raw material and fuel purchases for use in the production of goods or services in each industrial sector. In this respect, the ripple effect is the highest for restaurants and also high for road shipment services, lodging services, and fruits and vegetables, which allows the study to find out what part of the rural tourism industry is the greatest inter-industry in terms of practice, allowing active use in terms of practice. The production inducement coefficient, just like the input coefficient, is the highest for restaurants and bars followed by road shipment services, and lodging services, which demonstrates the direct or indirect ripple effect of the rural tourism industry on each industrial sector, allowing rural tourism industry workers to use it when establishing rural tourism industry plans. The limitation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although the study would have been able to calculate the employment inducement coefficient based on the collected data and the 2013 employment table, it could not be drawn up for 162 sectors because the statistics table regarding employed persons, which is an attached table published by the Bank of Korea, only includes 82 sectors. Furthermore, although rural tourism, in addition to training, is thought of as an intermediate input in the form of incentivized tourism for employees at regular enterprises, this could not be used in the study due to the difficulty of relevant data collection. Second, the scope of rural tourism is extremely diverse depending on the researcher. The present study limited this scope by focusing on profits generated for farms as a result of rural tourism. However, this concept does not escape confusion with agricultural tourism. The secondary data used in the study is closer to the concept of rural tourism than agricultural tourism, so conceptualization involved rural tourism, which suffers the limitation of failing to include the scope of agricultural tourism. Lastly, in the current conditions, the present researcher used only elementary school student data due to the limits of accessible data. There were realistic limitations in collecting data due to the lack of cases of rural experiences for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However, the present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analyzes the economic ripple effect of the rural tourism industry by adding the satellite account of the rural tourism industry field through the use of positive data from the education field which was input into actual rural tourism.

      • 통합교육 경험이 일반유아의 장애인식 및 친사회적 행동에 미치는 영향

        김현숙 전남대학교 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1839

        본 연구는 통합교육 경험이 일반유아의 장애인식 및 친사회적 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위해 다음과 같이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1. 통합교육 경험이 일반유아의 장애인식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2. 통합교육 경험이 일반유아의 친사회적 행동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본 연구의 대상은 만 5세 유아 82명으로, G시에 소재한 통합교육을 실시하고 있는 유치원 만5세반 유아 41명을 실험집단으로 통합교육을 실시하지 않는 유치원 만5세반 유아 41명을 통제집단으로 배정하였다. 2011년 3월 17일부터 4월 25일까지 6주 동안 실험집단은 유치원의 하루일과 중 담임교사에 의한 비구조화된 중재를 실시하였고, 통제집단은 담임교사에 의한 일상적인 교육프로그램을 실시하였다. 연구도구로는 유아의 장애인식을 측정하기 위해 조정화(2010)가 사용한 장애또래에 대한 유아의 인식 조사지를 사용하였고, 유아의 친사회적 행동을 측정하기 위해 Mcginis와 Goldstein(1990)의 기술상황 척도를 이원영, 박찬옥, 노영희(1993)가 번안 · 수정한 유아의 친사회적 행동 검사도구를 사용하였다. 연구문제를 검증하기 위해 수집된 자료는 SPSS 12.0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통합교육 경험이 있는 실험집단과 통합교육 경험이 없는 통제집단의 사전 및 사후검사 결과의 평균과 표준편차를 산출하고 사후검사 결과에 대한 독립표본 t검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통합교육 경험이 일반유아의 장애인식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집단별 장애에 대한 인식의 점수는 통합교육을 경험한 실험집단이 통합교육을 경험 하지 않은 통제집단 보다 유의미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장애인식 하위요인 중 ‘장애또래와의 상호작용’과 ‘장애또래의 능력’의 점수는 통합교육을 경험한 실험집단이 통합교육을 경험하지 않은 통제집단보다 유의미하게 높았으나 ‘장애에 대한 두려움’의 점수는 집단 간 유의미한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둘째, 통합교육 경험이 일반유아의 친사회적 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집단별 친사회적 행동에 대한 점수는 통합교육을 경험한 실험집단이 통합교육을 경험 하지 않은 통제집단 보다 유의미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친사회적 행동의 하위요인 중 ‘정서조절능력’과 ‘유치원적응능력’의 점수는 통합교육을 경험한 실험집단이 통합교육을 경험하지 않은 통제집단보다 유의미하게 높았으나, ‘대인관계형성능력’의 점수는 집단 간 유의미한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결론적으로 통합교육 경험은 일반유아의 장애인식 및 친사회적 행동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러므로 양질의 통합교육 제공을 위한 방법론적 고찰과 함께 구체적인 교수전략 지원방법이 제시되어 진다면 유아들의 장애인식 및 친사회적 행동이 긍정적으로 개선될 수 있을 것이다.

      • 김치 및 절임류의 HACCP 적용을 위한 일반모델 개발에 관한 연구

        김현숙 한양대학교 2002 국내박사

        RANK : 1839

        식품의 안전성 확보를 위한 기술적인 방법들이 개발되어 현재 많이 이용되고 있다. 그 대표적인 것이 위해요소중점관리기준-HACCP(Hazard Analysis Critical Control Point)이다. 이 HACCP방법은 국제적인 Codex 기구에서 식품위해 인자로부터 식품을 보호하고 식중독으로 인한 건강상의 여러 부작용을 방어할 수 있는 가장 강력한 수단으로 인정받고 있다. 그러나 우리나라의 김치 및 절임류 식품 제조업체에서의 HACCP시스템 구축은 문서의 작성 뿐만아니라 위해분석, 중요관리점(CCP)의 설정 및 HACCP 계획 개발 등에 많은 시간과 전문적 지식이 요구되므로 매우 어려운 실정이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HACCP 시스템을 보다 손쉽게 도입 및 활용 할 수 있도록 2001년 4월부터 2002년 12월까지 김치 및 절임류 식품업체에서 적용할 수 있는 HACCP 일반모델을 개발하고자 하였다. 우리나라의 김치 및 절임류 식품 제조업체의 현황 및 위생관리실태, HACCP에 대한 인식도 등을 파악하기 위하여 총 250개 제조업체에 대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한 결과 13개 업체에서만 응답을 하였으며, 이들의 대부분의 업체에서 HACCP 도입의사를 가지고 있었으나 자체 능력으로 수행하기에는 어려움을 느끼고 있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배추김치 및 단무지의 제조공정에서 일어날 수 있는 위해요소를 분석한 결과 제조공정 및 제품 등에서 병원성 미생물은 검출되지 않았지만 기계․기구류 등 주변환경에서의 오염은 매우 높은 수준인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농약, 타르색소 등의 화학적 위해와 돌이나 금속편 등의 물리적 위해는 검출되지 않았다. 전반적으로 종사자나 기계․기구류 등의 주변환경에서의 미생물 오염은 매우 높은 수준인 것으로 분석되었다. 배추김치 및 단무지에 대한 제품설명서 및 제품공정도를 작성한 후 제조공정별 위해분석결과를 바탕으로 중요관리점(CCP)을 결정한 결과 배추김치 에서는 배추이외의 재료의 정선(CCP1-B(Biologiacal hazard)), 배추 정선(CCP2-B), 기타 농산물 세척(CCP3-CP(Chemical & Physical hazard), 배추 세척(CCP4-CP) 및 예비발효(CCP5-B) 등의 제조공정을 CCP로 설정하였고, 단무지의 경우는 조미액 조제(CCP1-C), 세척(CCP2-CP), 충진 및 포장((CCP3-B), 살균(CCP4-B) 및 냉각(CCP5-B) 등의 제조공정을 CCP로 설정하였다. 위해분석 및 CCP결정을 토대로 하여 CCP에 대한 관리기준 및 모니터링 방법의 설정, 개선조치 확립, 기록 및 점검방법 등 HACCP의 기본적인 7원칙에 따라 일반적인 김치류 및 절임류 식품제조 업체에서 적용할 수 있는 HACCP 일반모델을 개발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조공정별 위해분석 및 CCP결정을 근거로 개발한「HACCP 일반모델」은 HACCP 시스템 도입 시 각 업체의 현황에 맞도록 수정 및 보완하여 손쉽게 사용할 수 있도록 고안되어 실제적인 활용이 가능할 것이며 HACCP 평가지침은 HACCP 평가활동의 지침으로 활용할 수 있으며 HACCP 관련 교육․훈련의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 '가족관계의 등록 등에 관한 법률'의 문제점

        김현숙 연세대학교 정경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1839

        호주제도의 ‘헌법불합치’판결을 시작으로 관련된 민법이 개정되었고 그 결과물로 새로운 신분등록제도인 ‘가족관계의 등록 등에 관한 법률’이 2008년 1월 1일 시행되었다. 본 법률은 기존의 호적법에 존재하던 추상적인 개념의 ‘호주’와 ‘본적’을 탈피한 개인중심의 신분등록제도를 표방하였다. 가족관계등록법은 호적법의 전부증명양식의 단일한 증명서식을 유지했던 점을 탈피하여 개인을 그 기준인으로 하여 각각의 목적별로 가족관계증명서, 기본증명서, 혼인관계증명서, 입양관계증명서, 친양자입양관계증명서의 5가지 증명양식으로 세분화하여 개인정보 보호를 위한 장치를 마련하였다. 양성평등의 목적을 위하여 본 법률은 기존의 부성주의에 의한 성·본 불변의 법칙을 탈피하여 개인의 성과 본을 법원의 허가를 통하여 변경할 수 있는 제도를 마련하였고, 부부가 혼인신고시 자녀의 성을 모의 성으로 따르고자 합의한 경우는 자녀가 모의 성을 따를 수 있도록 부성주의를 완화시켰다. 또한 입양의 경우 입양아동의 복리를 위하여 양부나 양모의 성·본을 따르고 친생자와 동등한 법적 지위를 보장하는 친양자제도를 도입하였다. 본 법률은 국민의 복리를 증진시키기 위한 변화뿐만 아니라 행정의 효율성과 합리성을 위한 제도도 마련되었다. 신분등록사무는 그 성격이 국가사무이나 지방자치단체사무로 분류되어 지방자치단체의 막대한 예산의 적자를 야기했는데 본 법률은 신분등록사무를 국가사무화하고 지방자치단체에 위임하는 형식을 채택하여 재정의 안정도와 업무의 효율성을 동시에 확보하였다. 사망신고와 이혼신고절차의 문제점을 국민의 편의를 증진시키는 방향으로 개선하였으며 국적변동사항을 국민이 직접 신고하는 국민신고제도에서 법무부가 가족관계등록법의 위임사무를 담당하는 지방자치단체로 통보하는 관장기관통보제로 전환하여 국민의 국적에 관한사항을 정확하게 기재함과 동시의 국민의 편의를 증진시키고자 노력하였다. 마지막으로 가족관계등록법은 호적법에서 경시한 개인정보의 남용자 등에 대한 처벌을 강화시켰는데 이는 개인정보의 중요성이 강조되는 현대사회에서 큰 의미로 해석된다. 하지만 위와 같이 커다란 변화를 갖고 시행된 가족관계등록법은 민법의 한계로 인한 문제점들이 제정 당시부터 제기되었다. 첫째로, 본 법률은 개인을 중심으로 한 신분등록제도임에도 불구하고 ‘가족’이라는 용어를 사용하여 개인의 정체성을 가족으로 묶어 두는 결과를 낳았다. 둘째로, 본적이 폐지된 상태에서 추상적이고 불필요한 등록기준지를 사용하여 ‘가’ 개념이 폐지된 본적을 유지하는 결과를 낳았다. 셋째로, 본 개념을 그대로 유지하고 성·본 변경이 결국은 계부나 양부의 성을 따르도록 하여 또 다른 부성주의를 낳는 결과를 초래했고 모의 성을 따를 때 혼인신고시 신고해야 하는 비현실적인 규정을 두어 현실에서 모의 성으로 따르는 제도를 어렵게 만들었다. 넷째로, 자녀의 출생신고시 혼인외의 자를 기재하던 종전 호적법의 제도를 그대로 유지하여 혼인외의 자에 대한 복리에 역행하는 결과를 초래했다. 각 증명서들 또한 많은 문제점을 가지고 있는데, 첫째로, 가족관계증명서는 민법에서 정의한 가족의 범위 규정으로 인해 실제의 가족을 가족으로 인정하지 않는 문제점 등을 표출했다. 둘째로 기본증명서는 기본적인 개인 신분증명 이외의 친권변동이나 성명, 성·본 변경 등의 민감한 개인정보를 과도하게 노출시키는 문제점을 드러냈다. 셋째로, 혼인관계증명서는 과거의 혼인·이혼 경력이 모두 기재되어 현재 혼인상태를 증명하는 과정에서 지나친 개인정보를 노출시켜야만 하며, 종전 호적법상에서 제적 및 전적자의 이혼관련 기록이 누락되어 혼인관계의 객관적 공시성을 상실하였다. 넷째로, 입양관계증명서와 친양자입양관계증명서 또한 친생부모와 양부모의 기재로 인하여 자녀에게 4명의 부모가 존재하는 결과를 만들었고 주민등록체제와의 연동으로 민감한 사항이 주민등록초본에 노출되고 있다. 본 법률은 개인정보 보호의 관점에서 그 취약성이 극대화되는데 정보통제의 위치에 있는 국가는 그 국가의 정보 통제력을 강화하기 위하여 과도한 개인정보를 각 증명서에 기재하였고 사회는 이를 반영하듯 무분별하게 불필요한 증명서까지 요구하고 있다. 이상에서 지적한 문제점들에 대한 개선방안 중 가장 우선시되어야 하는 것은 민법 및 가족관계등록법 개정을 통하여 ‘가족’이라는 용어의 모순을 해결하고 등록기준지의 삭제 혹은 객관적 기준을 설정하여 추상적인 본적의 개념이 승계되는 것을 막아야하며 부자동성의 원칙을 폐지하고 친양자입양관계증명서는 삭제되야 한다는 점이다. 또한 변동기록부를 활용하여 불완전한 개인정보보호 시스템을 보완하고 변동기록부의 활용이불가능할 경우 가족관계등록법 시행규칙을 통한 미비점을 보완하는 방법을 강구해야 한다. 주민등록체제는 그 목적이 신분등록제와는 명백히 다르므로 본 법률과의 연동성을 폐지하여야 하며, 각 증명서식의 발급권자는 본인을 제외한 타인의 발급을 금하고 국가기관에 의한 열람도 명확하게 법으로 규제해야 한다. 끝으로 국가인권위원회에서 언급한 무적자에 대한 처리지침 확립을 통하여 법률에서 소외된 계층들의 복지를 위하여 국가가 힘써야 할 것이다 After the judgement of irreconcilableness about the system of the head of the family named Hojujedo in Korean term by the constitutional court, the Civil law was revised. As the result of the amendment, the new identification registration system named the 'Law on the registration of family relation' was put in operation on the 1st days of Jan, 2008. This law declared to get out of abstract concept such as the head of the family named Hoju and the permanent domicile of origin named Bonjeok and to focus on each individual. Previous system had only one certificate which included every personal information but this new system is based on a private person and devided into 5 certificates, which are Family Certificate, Fundamental Certificate, Marriage Certificate, Adoption Certificate and Full Adoption Certificate for securing the personal information. For abolishing the sexual discrimination, this law has the system of changing the family name and origin by the permission from the court and deciding the family name with mother's if parents agree when they declare their marriages. It means that it has mitigated the paternity oriented system. Also, in case of the adoption, for the well-being of the adopted children the Full Adoption system was introduced to follow a foster father or a foster mother's family name and origin. The adopted children would get the same legal status with own children. The changes are not only for promotion of people's welfare but also for effectiveness and rationality of administration. The affair of identification registration is the affair of central government but it was that of the local government. So it caused a lot of deficit on budget of local governments. But this law made the affair of identification registration be the national affair and mandated it to the local government so that it pursued the financial stability of local government and the effectiveness on the affair. It amended the process on a notice of death and divorce to encourage the people's convenience and the change of nationality would be informed to local governments that are in charge of registration by the Ministry of Justice. Lastly, this law intensified punishment about abusive exercise of the private information. It is very meaningful in modern society which personal data is very crucial. Even though this law has lots of progressive changes compared with previous one, there were lots of prospective problems presented in the very beginning because of the limitation of the Civil law. First, this law is the identification registration system which each individual is focused on but the term 'family' is used. It means the individuals identification is locked in the concept of family. Second, despite of abolishment permanent domicile of origin named Bonjeok, it has same kind of abstract address as standard of registration. This law may be estimated to maintain the abolished concept. Third, it keeps the concept of family origin named Bon and the system of changing the family name is so oriented to follow a stepfather's or a foster father's, causing the result of another paternity focused system. The clause about following mother's family name enforces it should be when marriage is declared. If the fact that how many people would consider about the family name of child when they marry is considered, this is too unrealistic. Fourth, in the process of a notice of birth, it is compulsory to state whether a child is extramarital or not. This is very meaningless and against the welfare of a child. Each certificate also includes lots of problems. First, Family Certificate has the problem that families which are legal ones by the Civil law are not approved as the lawful families. Second, Fundamental Certificate has too much private information such as the assignment of parental rights and change of name and family origin. Third, Marriage Certificate shows the problem that it states all history of marriage and divorce. So, when people need to prove present marriage status, they are forced to announce their marital history. This certificate can't be very objective because people could change their permanent domicile of origin named Bojeok in previous system. When they did that, the record of divorce was omitted. So Marriage Certificate that says one is single and never married can't be the official announcement for that issue. Fourth, Adoption Certificate and Full Adoption Certificate has records about foster parents and own parents, which means the person has four parents. And it show the very personal data on a Certificate of resident registration because these two system has interacted each other. In terms of security on private information, this law has the weakest point. The government that is in the position where much information could be controlled easily made each certificate have too much information to strengthen governmental control, and society responses that by requiring to report unnecessary certificate To make this law better for the people's right, first of all, the Civil law and this identification registration law should be revised. The term 'family' should be removed or defined objectively and abstract standards address should be abolished or have objective criterion to stop overusing the demolished concept. Also, the abolishment of rule of family name and Full Adoption Certificate is required. To secure the private information, fluctuating certificate system that shows only the required information on issue is very one of the best ways for that. In case of impossibility of introducing fluctuating system, it should be supported by amending and legislate enforcement regulations on this law. As the purpose of Resident registration law is totally different from that of identification registration law, the interaction between these two laws must be stopped. People who can get issued the Certificates should be limited to the person in question and even the inspection by the governmental authorities should be defined clearly by law. Lastly, the person without any registration should get some legal support as The National Human Right Commission suggested

      • 노인복지회관 노인교육 프로그램의 운영실태와 개선방안 : 인천광역시를 중심으로

        김현숙 인천대학교 행정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1839

        노인복지회관이 지역사회 노인복지 증진을 위해서 다양한 프로그램을 제공하고 있지만 건강증진, 사회교육, 취미교실, 문화여가, 교양강좌 등 노인교육과 관련된 프로그램들은 오락과 흥미위주의 취미여가 프로그램에 치중하여 운영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노민복지회관 노인교육 프로그램의 효과적인 운영을 바탕으로 지역사회 노인들의 건강하고 활력있는 노후생활을 지원하고 복지증진에 기여하도록 하기 위해 노인복지회관 노인교육 프로그램의 운영실태를 분석하고 이를 바탕으로 개선방안을 제시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이에 시설 및 개요, 교육목표, 교육내용, 교육방법, 교육담당자 및 운영방식에 대한 실태조사를 통해 문제점을 도출하였으며, 시설의 확충과 프로그램 운영의 활성화, 교육목표의 방향성 확립, 교육내용의 내실화 및 프로그램 개발, 다양한 교육방법의 개발 및 활용, 교육담당자와 운영방식의 전문화 및 체계화, 연계강화 등을 개선방안으로 제시하였다. 구체적인 방안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노인복지회관 고유의 영역으로서 노인교육 프로그램의 체계적인 개선방안을 확보하기 위해서 위탁법인에 대한 자율 운영권을 최대한 보장하고 다양한 강좌에 맞추어 시설을 구비하여야 하며, 전문강사 부족, 교육기자재 부족, 교통수단 부재, 노인교재 마련, 이용편의시설 부족 등을 개선해야 할 것이다. 또한 프로그램에 대한 홍보를 강화하고 국시비 지급을 통해 재정문제를 개선해야 하며, 프로그램 참여의 형평성 문제를 개선하여 다양한 계층의 노인학습자들이 참여할 수 있도록 프로그램을 개발, 보급해야 할 것이다. 둘째, 노인교육 프로그램의 교육목표가 개인생활, 인간관계, 경제생활, 국민생활 목표를 모두 포함하도록 개선하며, 평생교육과 여가활동을 적절히 포괄하는 내용이 되도록 설정하여야 할 것이다. 셋째, 노인복지회관 노인교육 프로그램은 취미와 건강관련 프로그램의 양적인 증가뿐 아니라 질적인 향상을 도모해야 하며, 평생 교육 영역으로서 시민교육, 인문사회, 교육일반, 학위과정 등에 관한 다양한 영역의 프로그램을 확대, 실시하여야 할 것이다. 또한 노인들이 선호하는 건강, 복지 및 오락과 관련한 프로그램을 중시하면서 노인들이 주체가 되어 능동적 · 적극적으로 참여할 수 있는 프로그램을 촉진해야 하며, 건강상태별, 학력별, 성별, 연령별, 생활수준별로 기준에 적합한 서비스를 제공해야 할 것이다. 넷째, 적절한 시간배정과 소수집단을 구성하여 강의, 레크레이션, 특별활동이 조화된 프로그램을 운영하며, 강의식 방법에 전적으로 의존하기보다 현장학습이나 실습이 장려되어야 할 것이다. 교육방법에 있어 강압적, 타율적으로 할 것이 아니라 발표, 토론, 제작, 연극, 편학 등 흥미에 입각하여 자발성에 기초해야 하며, 학문적 지식보다는 생활과 밀접한 관계가 있도록 설정하여야 할 것이다. 다섯째, 노인교육 분야의 전문성을 확보하기 위한 전문인력 및 인적자원이 제공되어야 하며, 기관차원의 체계적인 인력배치 및 관련기관과의 파트너십이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노인교육 프로그램과 관련한 운영규정, 관리 및 운영지침 등이 마련되어야 하며, 학습자의 교육요구를 적절히 선택, 활용하고 노인들의 자기평가를 통한 노인교육 평가제를 도입하여야 할 것이다. 또한 노인복지회관간의 공조의 노력을 통한 체계적이고 일괄적인 파트너십과 연결수준이 필요하며, 노인교육기관 및 관련기관과의 협조관계도 유지해야 할 것이다. 새로운 사회현상이 대두되면서 노인교육으로서 평생교육의 필요성이 부각되고 있다. 노인교육은 여가선용이나 복지증진을 위한다는 소극적 의미를 갖는 복지차원보다는 국민의 평생교육을 위한다는 적극적 의미를 담고 있는 평생교육 차원에서 실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노인복지회판은 평생교육 체제에 기초한 노인교육 프로그램 운영을 통해 학습효과 최대화, 잠재욕구 발견, 욕구의 과학적인 조사, 기초교육 해결, 취미생활 지원, 근로능력 향상, 창업지원, 노인자원봉사자 양성 등을 이루게 될 것이며, 이를 통해 노인들의 사회참여를 유도함으로써 노인복지 향상에 기여하게 될 것이다. The Senior Welfare Center provides various programs to extend social welfare services for the senior citizens. Although the education programs for the elderly are related to the promotion of health, lifelong education, hobby, leisure and general culture courses, most of them are focused on the dilettante life oriented programs of recreation and temporary interes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search on the actual condition of operation in Senior Welfare Center's education programs and to propose the scheme to improve the programs, so that the education programs in Senior Welfare Center can be run effectively, help the elder live healthily and energetically in their old age and contribute to the improvement of public welfare. This study raisesseveral issues through the investigation into the educational facilities, the educational philosophy and objective. the curriculum, the teaching method, the educators, and the operation system, and proposes the expansion of educational facilities, the activation of program operation, the establishment of educational philosophy and objective, the substantiality and development of curriculum, the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teaching method, the specialization and systematization of educator, and the administration system and the buildup of connection with other welfare centers. It is desirable that the education programs in the Senior Welfare Center should be provided from the viewpoint of the lifelong education as well as from the viewpoint of the good use of spare time and improvement of welfare. Serving the education programs for the elderly as a part of lifelong education system, the Senior Welfare Center will lead the senior citizens to participate in the society and render great services to the progress in the social welfare system for the elderly by means of the maximization of learning effect, discovery of potential needs, the scientific research of needs, the settlement of basic education needs, the support of recreation activities, the improvement of working capacities, the support of business foundation, the training of senior volunteer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