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배경' 중심 소설 교육 방안 연구 : 소설 내적·외적 요소들과의 작용관계를 통한 포괄적 역할과 기능을 중심으로

        권태현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7599

        본 연구는 소설의 구성 요소인 ‘배경’을 통해 문학 작품의 감상과 교육에 대한 방법론의 확대 가능성을 모색하고 이를 통해 지금의 문학교육의 문제를 확인, 해소할 방안을 찾는데 목표가 있다. 지금의 문학 감상의 원리는 내용과 형식을 별개의 것으로 이해하고, 이 같은 이분법적 사고로부터 벗어날 효과적인 방법을 찾지 못하고 있다. 또한 교육은 ‘학습자 중심’이라는 목표에 대해, 대척관계로 인식한 내용과 형식의 하나를 외면하는 것으로, 이를 실현하려 하고 있다. 이 같은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선택한 것이 ‘배경’이다. 근대 이후 인지된 중요성에도 불구하고 ‘배경’은 통상 단독으로 혹은 주체로서 연구되는 일이 드물다. 이는 소설 내 ․ 외부의 다른 요소들이 상대적으로 작품 감상에 더욱 명확한 역할을 드러내기 때문이다. 하지만 이들의 역할과 기능이 드러나게 하는 것은 그 기저에서 기능하는 ‘배경’으로 인한 것이다. 토대가 되는 ‘배경’이 달라진다면 다른 요소들의 역할과 기능 역시 달라질 것이기 때문이다. 즉 ‘배경’은 소설 내적 구성요소의 하나로 소설 내부와 외부의 다양한 요소들과의 상호작용을 통해 특정한 역할과 기능을 수행한다. 소설 내부에서 ‘배경’은 소설 속 인물을 ‘문제적 인물’로 상정하고 어떤 상태로의 이행을 추동하는 역할을 하였으며 작품 속 서사의 순서를 자연적 시간으로 재구성하는데 표지가 되었다. 또한 작품의 주제, 메시지를 전달하는데 문학을 매개할 필요를 알게 하였다. 그리고 작품 외부에서 작가의 문학적 사유를 엿볼 수 있게 하였으며, 독자에게 신뢰할 만한 이야기가 되도록 하였다. 이 뿐만 아니라 작가와 독자를 매개함으로써 이들을 동시대의 자장 안으로 자리하게 하였다. 이같이 ‘배경’을 관계지향적 요소로서 그 기능과 역할을 풀이 해 보는 것은 소설의 형식적 요소들을 통해 작품의 내용과 담론을 이해하도록 하는 방법론의 하나가 된다. 그리고 이는 일정한 범주를 구성하는 것으로, 개념적 지식 체재를 형성하기 위한 토대가 된다. 중등 교육 내 문학교육은 학문 영역에서의 다양한 연구를 학습 도구로의 전환 없이 답습하는 경향을 보여 왔다. ‘배경’에 관한 이론 역시 학습자를 고려한 개념적 체재로 마련되어 있지 않다. ‘배경’을 통한 소설 학습의 개념적 체재가 마련된다면, 이는 중등 교육의 방법적 체계를 확대하는 것이 되고 또한 새로운 작품 감상 원리를 제시하는 것이 된다. 또한 중등교육이 그 궁극에 학생들의 사회진출을 돕는다는 입장을 견지할 때, ‘배경’을 통한 문학교육은 학생들의 교양 도야에 한 영역으로 자리할 수 있다. 소설 속 ‘배경’은 실제 세계의 모습을 구체적 장면을 통해 재현한다. 재현된 세계는 학생들이 직접 경험하기 어려운 사회의 모습에 대한 이해를 이끌어 낼 수 있다. 이로 인해 다양한 문화, 사회, 역사, 윤리 등에 대한 학습이 문학교육을 통해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배경’을 통한 문학 교육에 관한 연구는 현재의 문학교육이 처한 문제를 해소하고 문학 교육의 위상 제고에 기여할 것이다. This study aims to find the possibility of expanding the methodology for appreciation and education of literary works through the 'Setting', which is a component of novels, and to identify and solve the current problems of literature education through this. The current principle of literary appreciation is understood as separate content and form, and no effective way to escape from such dichotomous thinking is found. In addition, education attempts to realize this by ignoring one of the contents and forms recognized as a counter relationship for the goal of 'learner-centered'. The 'Setting' was chosen to solve such a problem. Despite the importance recognized after modern times, 'Setting' is rarely studied alone or as a main agent. This is because other elements within and outside the novel reveal a relatively clearer role in appreciating the work. However, what reveals their roles and functions is due to the 'Setting' that functions on the basis. This is because if the 'Setting', which is the foundation, changes, the roles and functions of other elements will also change. In other words, 'Setting' is one of the internal components of the novel, and performs specific roles and functions through interactions with various elements inside and outside the novel. Inside the novel, 'Setting' played a role in presuming the character in the novel as a 'problematic character' and driving the transition to a certain state, and was a sign to reconstruct the order of narratives in the work into natural time. It also made me aware of the need to mediate literature in conveying the subject and message of the work. It also made it possible to see the author's literary thoughts outside the work, and make it a reliable story for the reader. And by mediating between authors and readers, they were placed in a contemporary a field. In this way, solving the function and role of 'Setting' as a relationship-oriented element becomes one of the methods of understanding the content and discourse of the work through the formal elements of the novel. And this constitutes a certain category, which is the basis for forming a conceptual knowledge system. Literature education in secondary education has shown a tendency to follow various studies in the academic field without conversion to learning tools. The theory of 'Setting' is also not prepared as a conceptual system that considers learners. If a conceptual framework for novel learning through 'Setting' is established, it will expand the methodological system of secondary education and also present a new principle of appreciation of works. In addition, when maintaining the position that secondary education ultimately helps students advance into society, literature education through 'Setting' can be an area in forming students' culture. The 'Setting' in the novel reproduces the real world through specific scenes. The reproduced world can lead to an understanding of the appearance of a society that is difficult for students to experience in person. As a result, learning about various cultures, societies, history, and ethics can be conducted through literature education. Therefore, research on literature education through 'Setting' will solve the problems facing current literature education and contribute to enhancing the status of literature education.

      • 미메시스의 재해석을 통한 소설의 정동적 비평 가능성 연구

        이성아 연세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7599

        When paying attention to the possibility of intrinsic expansion of literature, modern novels in Korea and criticism of them have a problematic characteristic of seeing literature as a reflection of society and systems.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amine the method of criticism that makes a novel an active thought. The discussion, which was the main reference point in establishing the methodology of this paper, is a study to understand the nature of the poetry image through affect. The view that the image is not a reflection of reality, but a space where affective fluctuations occur makes the poetic text an active thought. Therefore, this paper attempted to transform the research methodology of 'Poetry-Image-Affect' into 'Novel-Mimesis-Affect'. The introduction of the concept of Mimesis instead of images is an attempt to reach the purpose of this paper more thoroughly. Literary criticism that focuses on affect is likely to make the error of failing to grasp the inner motility of literature by interpreting the content of the text as a reflection of affect. Therefore, to pay attention to this, this paper emphasizes the power generated in the process of constructing the narrative through the concept of Mimesis. The reason why the concept of image was not used is that this paper wanted to have a discussion that was not limited to ideological novels. In addition, unlike poems characterized by self-referentiality, novels are considered to have the logic of the real world. So a new concept is required to be wary of the logic of reflection. Chapter 2 of this paper reviews the concept of affect and analyzes its politics in order to establish the reason for reading literature by paying attention to affect. The concept of affect originates from the idea of Spinoza, which saw that it was the body, not the awareness, that open the world. Deleuze borrows it, placing an important meaning on the process of body transformation itself. This view deviates from teleological thinking that presupposes transcendental essence by affirming the movement that occurs between the bodies as the capacity of existence. Therefore the perspective that emphasizes the reality inherent in affect about art does not make the work a representation of something, but rather makes it construct meaning by exercising itself. This is the politics of affect, which expands the possibility of existence through attention to the creation process, and this becomes the meaning of reading literature with the lens of affect. Chapter 3 analyzes the concept of Mimesis to understand the relationship between affect and Mimesis. Aristotle, who emphasized the active productivity of Mimesis, shows that it is not a reproduction of a given reality, but a task of creating a fiction. Since then, in the context of postmodernism, Mimesis has been newly noted as a overcome of modern human-centered thinking. In this context, Mimesis is defined as the concept of reaching things which is before awareness by approaching the object through perception. From this, this paper saw that affective fluctuation is involved in the process of Mimesis. Furthermore, when paying attention to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wo concepts, it was found that Mimesis' physicality could be expanded to creativity. Regarding the effect of Mimesis, Benjamin and Ricoeur's discussion shows that the self grows by accepting otherness and reflecting on its potentia through the process of Mimesis. This leads to the politics that retains numerous possibilities before realization and fully realizes the possibility of existence by paying attention to physical encounters. Reading literature through affect is to actively sense this motility before the process of signifying. And in this context, Mimesis functions as a place where the intrinsic power of creation is ejected from the narrative composition process itself, making the novel a real thought. Furthermore, the perspective of paying attention to Mimesis' active capacity in the composition of the narrative finds the essence of the novel in the desire of the statement, thereby proving the power of the novel to reach reality. Based on the review that Mimesis is a space where affective fluctuation occurs in novels, Chapter 4 attempts to read the novel as an internal reality through the analysis of Kim Seung-ok's works. When paying attention to the unconscious composition process of the narrative, 「생명연습」 reveals that the subjective boundaries between characters and the distinction of time are confused. This is a representation through things which is before awareness, and thus the inner side of the speaker who neglect value judgment is embodied in the narrative composition itself. In the analysis of 「다산성」, this paper tried to overcome the typical understanding of seeing affective fluctuation as a stop of meaning. The three passages that make up this novel are presented disconnected, and thus giving off the atmosphere of the loss of vitality instead of producing verbal explanation. In this way, the perspective that pays attention to the motility of representation makes the novel not about something, but about itself, so that the reader can enrich the novel's capabilities by creating new questions instead of finding the answer in the novel. 문학의 내재적 확장 가능성에 주목해볼 때, 한국의 현대 소설과 이에 대한 비평은 문학을 사회와 제도의 재현으로 보는 문제적 특징을 지닌다고 생각된다. 이에 본 논문은 소설을 하나의 능동적 사유이게 하는 비평의 방법을 고찰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고의 방법론 수립에 있어 주된 참조점이 된 논의는 정동을 통해 시 이미지의 본질을 이해하는 연구이다. 이미지를 실재에 대한 반영이 아닌, 정동적 동요가 일어나는 공간으로 보는 관점은 시문학 텍스트를 하나의 능동적 사유가 되게 한다. 이에 본고에서는 ‘시-이미지-정동’의 연구방법론을 ‘소설-미메시스-정동’으로 변주하고자 하였다. 이때 이미지를 대신하여 미메시스의 개념을 도입한 것은 본고의 목적에 보다 철저히 도달하기 위한 시도이다. 정동에 주목한 문학 비평은 텍스트의 내용을 정동 개념에 대한 반영으로 해석함으로써 문학의 내적 운동성을 파악하지 못하는 오류를 범하기 쉽다. 따라서 이에 주의하고자 본고에서는 미메시스의 개념을 통해 서사의 구성 과정에서 발생하는 힘을 강조해 본다. 이때 이미지의 개념을 원용하지 않은 것은 관념적 소설에 한정된 논의가 되지 않고자 했기 때문이다. 또한 소설은 자기지시성을 특징으로 하는 시와는 달리 현실세계의 논리를 갖추는 것으로 간주되기 때문에 반영의 논리를 경계하기 위한 새로운 개념이 요구된다. 본고의 2장에서는 정동에 주목하여 문학을 읽는 것의 까닭을 정립하기 위해 정동의 개념을 검토하고 그 정치성을 분석한다. 정동 개념은 세계를 개시하는 것이 인식이 아닌 신체라고 보았던 스피노자의 사유에서 기원하는 것으로, 들뢰즈는 신체의 변용 과정 자체에 중요한 의미를 두며 그것을 차용한다. 이러한 관점은 신체들 사이에서 발생하는 운동을 존재의 역량으로 긍정함으로써 초월적 본질을 전제하는 목적론적 사유로부터 벗어난다. 따라서 예술에 있어 정동에 내재된 실재성을 강조하는 관점은 작품을 무언가에 대한 표상이 아닌, 그 자체로 운동하면서 의미를 구성하는 것이 되게 한다. 이것이 생성 과정에의 주목을 통해 존재의 가능성을 확장시키는 정동의 정치성으로, 이는 정동의 렌즈로 문학을 읽는 것의 의미가 된다. 3장에서는 정동과 미메시스의 관련성을 파악하기 위해 미메시스의 개념을 분석한다. 미메시스의 능동적 생산성을 강조한 아리스토텔레스의 논의는 그것이 주어진 현실을 복제하는 것이 아닌, 가상을 창조하는 작업임을 보여준다. 이후 포스트모더니즘의 맥락에서 미메시스는 근대의 인간중심적 사고에 대한 극복으로서 새롭게 주목된다. 이때 미메시스란 지각을 통해 대상에 다가감으로써 인식 이전에 놓인 것들에 도달하는 사유가 된다. 본고는 이로부터 미메시스의 과정 중에 정동적 동요가 수반된다고 보았으며, 나아가 두 개념의 관련성에 주목할 때 미메시스의 신체성이 창조성으로 확장될 수 있다고 파악하였다. 미메시스의 효과와 관련하여, 벤야민과 리쾨르의 논의는 미메시스의 과정을 통해 자아가 타자성을 수용하고 잠재태를 반성하며 성장하는 것을 보여준다. 이는 신체적 마주침들에 주목함으로써 현실화되기 이전의 수많은 가능성들을 확보하고 이로부터 존재의 가능성을 전적으로 구현하는 정치성이 된다. 정동을 통해 문학을 읽는 것은 의미화의 과정 이전에 이러한 운동성을 적극적으로 감각하기 위함이며, 미메시스는 서사의 구성 과정 자체로부터 생성의 내적 힘이 분출되는 장소로 기능함으로써 소설을 하나의 실재적 사유가 되게 한다. 나아가 서사의 구성에 있어 미메시스의 능동적 역량에 주목하는 관점은 소설의 본질을 진술 자체의 욕망에서 발견하며 이를 통해 현실에 가닿는 소설의 힘을 증명한다. 미메시스가 소설에 있어 정동적 동요가 발생하는 공간이라는 검토를 바탕으로 하여, 4장에서는 김승옥의 작품 분석을 통해 소설을 하나의 내적 실재로 읽기를 시도한다. 서사의 무의식적 구성 과정에 주목해 볼 때 「생명연습」에서는 인물 간의 주체적 경계와 시간의 구분이 혼란되는 것이 드러난다. 이는 인식 이전의 것들을 통한 재현으로, 이로써 가치판단을 유보시키는 화자의 내면이 서사의 구성 자체에서 형상화된다. 「다산성」의 분석에서는 정동적 동요를 의미의 중지로 보는 전형적 이해를 극복하고자 하였다. 이 소설을 이루는 세 개의 절들은 단절된 채 제시됨으로써 생명력의 상실을 말로 설명하는 대신 그 분위기를 풍겨낸다. 이처럼 재현의 운동성에 주목하는 관점은 소설을 무엇에 대한 것이 아닌, 그 자체로 무엇인 것이 되게 하며 이로써 독자는 소설에서 정답을 찾는 대신 새로운 질문을 만들어가는 것으로 소설의 역량을 풍부하게 할 수 있다.

      • 생태적 감수성 함양을 위한 문학교육 방안 연구 : 문태준의 시를 중심으로

        김소민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7599

        According to Paul J. Crutzen, we are now living in the ‘Anthropocene’ era. This is a combined word of ‘Anthropos’, a Greek word meaning ‘human’, and ‘cene’ meaning ‘era’. This means the ‘geological era that will be formed by the humans’, suggesting that humanity is now in a period in which it is to endeavor to make the planet Earth sustainable, with a sense of responsibility for the environmental crisis that is unfolding now. Climate change that originated from reckless development and exploitation, decreasing biological diversity, and depletion of resources and energy are only a part of the environmental issues we face. Today, efforts at the global level, instead of regional or national levels, are needed, and it is urgent. Based on this trend, the Korean language curriculum specifically included items on the ecosystem in the achievement criteria for <Literature>, which is one of the selective subjects for high school students. However, with some revisions, such an element shrunk to virtual invisibility in the current curriculum. Nevertheless, it is necessary to focus on ecological and sustainability education through literature in order to obtain the wisdom to overcome the environmental crisis and build a desirable, ecological society. Literature education can be the best venue of education to build ecological sensitivity, which means an interdependent relationship with nature along with understanding and empathy with nature since it allows the student to respect nature as it is through a process of emotional empathy and realize the equality and fundamental rights of different lives. In addition, ecology and sustainability education utilizing pieces of literary works will allow the various types of communication between humans and nature so that an educational implication, which is not obtainable from the perspectives of ecology as a natural science or social science, can be achieved. For this reason, the researcher highlighted the fact that the ecological and sustainability education through literature can lead to a wholesome and organized education for a better future. With this in mind, the researcher selected the poems of Moon Tae Joon as the educational material and suggested specific teaching and learning strategies. This study includes a review of the current status of ecological poetry in the textbooks for high school <Literature> based on the revised curriculum of 2015 in an attempt to provide a basis in which such education can be provided in an effective manner. It also analyzes the ecological sensitivity as shown in the poems of Moon Tae Joon to highlight their educational values in an attempt to realize the education of ecological sensitivity utilizing pieces of literary works. 파울 크루첸(Paul J. Crutzen)에 따르면 오늘날의 우리는 ‘인류세(Anthropocene)’를 살아가고 있다. 그리스어의 ‘인간’이라는 의미를 지닌 ‘Anthropos’와 ‘시대’를 의미하는 ‘Cene’이 결합하여 만들어진 해당 용어는 ‘인류로 인해 빚어진 지질 시대’를 가리키는 것으로, 이는 현재 인류가 환경 위기에 책임감을 갖고 지속 가능한 지구를 만들기 위해 노력해야 할 시기에 직면해 있음을 나타낸다. 무분별한 개발과 착취에서 비롯된 기후 변화, 생물 종의 다양성 감소, 자원 및 에너지 고갈 등의 다양한 환경 문제는 더 이상 특정 지역이나 국가만이 아닌 전 지구적 노력이 시급한 상황에 놓여 있다. 이러한 흐름에 따라 국어과 교육과정은 고등학교 선택과목 <문학>의 성취기준에 생태 관련 내용을 명시적으로 반영한 바 있으나, 개정을 거치며 그 의미가 점차 축소되어 현행 교육과정에서는 찾아보기 어렵게 되었다. 그러나 환경 위기를 극복할 지혜를 얻고 바람직한 생태 사회를 형성하기 위해서는 문학을 통한 생태 및 지속가능성 교육에 다시금 주목할 필요가 있다. 문학교육은 정서적 교감의 과정을 통해 자연 그 자체를 존중하고 생명의 동등성 및 존엄성을 깨달을 수 있도록 한다는 점에서, 자연에 대한 이해와 공감 그리고 자연과의 상호의존적 관계에 대한 성찰을 의미하는 생태적 감수성을 함양하기에 가장 적합한 교육의 장이라 할 수 있다. 또한 문학 작품을 활용한 생태 및 지속가능성 교육은 인간과 자연 사이에 이루어지는 다양한 소통의 양상을 경험할 수 있도록 함에 따라, 자연과학 또는 사회과학에서의 생태학적 관점으로는 확보할 수 없는 교육적 의의를 획득한다. 따라서 본 연구는 문학교육을 통한 생태적 감수성의 함양이 보다 나은 미래를 위한 전면적이고 총체적인 교육으로 이어질 수 있다는 사실에 주목하여, 교육의 제재로 문태준의 시를 선정하고 구체적인 교수·학습 방안을 제안한다. 2015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고등학교 <문학> 교과서의 생태시 수록 현황을 검토하여 교육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바탕을 마련하고, 문태준 시의 생태적 상상력을 분석하여 그것의 교육적 가치를 밝힘으로써 문학 작품을 활용한 생태적 감수성 교육의 실현을 도모하고자 한다.

      • 김수영 시의 몸과 사랑 : '생활피로'를 중심으로

        윤종환 연세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7599

        본 논문의 목적은 김수영의 시 텍스트에 드러난 ‘생활피로’를 중심으로 피로한 몸과 사랑의 의미를 밝히는 것이다. 김수영은 생체험인 4·19와 혁명에 대한 시인의 사유로 학계의 많은 주목을 받아 그의 시 역시 혁명적 맹아(萌芽)를 품거나 혁명에의 참여를 드러낸 것으로 여겨졌다. 그러나 1950-60년대 김수영 시를 관통하는 주요 키워드는 ‘피로’였으며, 시 전반에는 피로에 대한 시적 언어와 이미지가 다양하게 드러나 있다. 김수영 시에서 시적 주체의 피로는 근대를 벗어나지 않고 끝까지 그곳을 살아내는 ‘세계 내 존재’가 불가피하게 감각하는 ‘생활피로’였다. 이는 시에서“나는 왜 이다지도 피로에 집착하는가(「싸리꽃 핀 벌판」)”질문할 정도로 인식과 실존의 양차원에서 중요한 문제로 남아 있었다. 김수영 초기시의 시적 주체에게 생활세계는 피로하고 아픈 몸이 살아내는 공간이자 고통의 이유가 밝혀지지 않은 채 피로를 반복 경험하는 곳이다. 피로에 대한 그의 강박은 세계 내 존재인 자신을 포함한 타자(들), 피로를 명령하며 피로한 몸들에 재구성되는 사회 간의 관계를 끊임없이 응시하는 무의식적 지향에서 비롯되었다. 그 과정에서 피로한 몸의 주체성과 타자성이 국가-몸이라는 이중 구조 내에서 인식되기 시작한다. 이는 자아와 사회와의 관계, 개인과 국가의 관계 속에서 피로가 중층적으로 경험되는 과정이다. 그 국면은 1) 고유 체계를 가진 국가-몸 주체성, 2) 자신의 국가가 문명 정도가 다른 다른 국가-몸들에 의해 타자화되는 상황에서 겪는 국가-몸 타자성, 3) 개별자이자 국가-몸 요소로서 근대 국가 형성에 필요한 노동자로 살아가는 국민-몸 주체성, 4) 세계 내 타자와의 관계에서 거울상으로 존재하는 국민-몸 타자성, 총 네 가지로 구분된다. 네 가지 도식적 구분은 경계가 명확하지 않으며 상호접속하는 과정에서 전개된다. 한편, 이러한 국면접합 관계에서 국가는 상상적 총체로서의 몸이기 때문에 구체적이고 실질적인 피로의 감각으로부터 열외된다. 결국 피로한 삶의 책임은 오롯이 개별자들의 몫이 되며, 개인들이 그 책임을 수행하게 된다. 그리하여 김수영의 시적 주체는 피로에 몇 가지 방식으로 대응하며 몸의 변용을 꾀한다. 그 방법은 상상적 자기 경량화, 서두르지 않기, 도구적 이성의 근대 세계 비판하기, 시선 중지, 피로한 근대세계에 연루된 자기 풍자, 웃음의 복권, 성애에의 욕망 추구하기의 양상 등으로 전개된다. 주체는 자신의 피로를 메타적으로 인식하기 시작하며 피로를 대상화하려고 하는 듯했으나, 1960년 4·19라는 역사적 사건을 전후로 혁명에 몰입한 나머지 그 과정을 뒤로 하게 된다. 혁명에의 관심이 쏟아진 시기에 시적 주체에게 피로한 몸은 마치 타자의 몸인 듯이 인식되어 혁명에 감응하지 않고 적극적 참여를 주저하게 만드는 장애물로 비춰진다. 이에 혁명의 대열에 즉각 참여하지 않는 타자들을 연민과 동정의 대상으로까지 묘사하고, 분노의 정동을 표출하거나 그들 앞에 자신의 도덕적 우월감·지적 자의식을 드러내보인다. 그러나 시간이 지나면서 이에 대한 반성적 자각이 「거미잡이」를 기점으로 드러난다. 현실의 모순과 혁명의 한계에 연루된 자신의 문제를 반성하면서 몸의 피로가 재감각되는 때 찰나적인 사랑의 출몰을 발견한다. 이때의 사랑은 피로에 대한 명확한 각성 단계로 넘어가지 못한 무의식의 영역에서 불수의적으로 나타난 사랑이다. 불완전한 방식일지라도 잠깐 사랑을 마주침으로써 기존에 형성한 자아상(自我像), 사랑의 고정성과 이별하는 자기 배반을 실현할 수 있게 된다. 이별의 자리에서 공백을 경험하는 주체는 불안의 정동에 연루되지만, 그것이 곧 새로운 사랑의 실천 영역이 되리라는 희망으로 자기 배반의 변증법을 지속한다. 피로한 주체는 스스로 변화를 지속하는 데 불가피하게 발생하는 피로와 그 몸을 수긍하기 시작한다. 이 시기에 피로는 자기 언어 표상을 감추고, 무의식의 차원에서 노동-돈이라는 기표 관계로 우회되어 주체의 강박증을 재출현시킨다. 시적 주체는 생활피로의 원인이자 결과로의 노동에 참여하며 그러한 개인에 주어진 작은 희망을 간직하지만, 이전과는 달리 이에 대한 집착을 의식의 차원으로 본격 끌어올린다. 노동에의 강박을 계속하는 주체는 끝내 죽음의 질서 극단에서 경험되는 공백, 그것을 다시 채워가는 세계에의 삶을 사랑하는 방식으로 사랑이 재탄생할 수 있는 공백-침묵의 언어를 체화한다. 그리하여 생활피로를 겪는 가운데 몸과 사랑을 일치시켜 고유한 방식으로 새로이 삶을 욕망할 가능성을 본다. 가능성은 무한화서(無限花序)처럼 세계를 온몸으로 밀고 성장해가는 작은 꽃, 개체의 힘으로 묘사된다. 그 힘은 ‘피로-씨’이미지로 이행되는데, 씨와 살 안에 잠재된 무수한 가능성과 힘이 성장하며 변용되듯이 사랑 또한 변주곡처럼 그 자체의 힘으로 변화한다는 인식이 펼쳐진다. 씨 안에 잠재된 새 삶의 욕망이 발아하기 위해 제 몸의 피부를 찢어야 하는 죽음을 경험하듯, 생활피로의 극단에서 경험하는 자아의 죽음을 통해 세계를 재구성할 수 있는 새로운 자아가 탄생을 거듭하게 된다. 피로의 궁극점이 피로 이전으로의 회복과 치유가 아닌 피로한 몸의 신생이라는 점에서 김수영에게 생활피로는 세계에 연루된 자신이 변화할 수 있는 필수 조건으로 전유된다. 나아가 시인은‘도시의 피로에서 사랑을 배울 것’이라며 그 사랑의 실천이 지속될 수 있게 후대(後代)에까지 믿음을 전달한다. 자질구레하고 작은 도시의 생활피로로부터 개인과 세계가 재탄생할 수 있음을 시의 언어로 실천하는 것이다. This study aims at disclosing the meanings of fatigued body and love revealed in Kim Soo-Young’s poems focusing on the concept of 'fatigue of life'. As Kim became famous among scholars with his thoughts based on his experiences about the April 19th Revolution in 1960 which toppled the Korean government, and such a democratic revolution itself, his poems were regarded as containing buds of revolution and revealing his will to participate in it. However, the key word penetrating his poems in the 1950s to 1960s was 'fatigue', and it was contained in his poems in those days by various poetic expressions and images. In his poems, fatigue of the poetic subjects was 'fatigue of life' they who did not escape from the modern world and decided to survive as 'beings-in-the-world' inevitably sensed. Fatigue continued to be an important question to Kim as much as the poetic subject of his poem, The Field of Bush Clover Flowers, asks to himslef, "Why am I obsessed with fatigue this much?" To poetic subjects of Kim's early poems, the living world was the place where they who were tired and sick survived and repeatedly experienced fatigue without knowing why they were so fatigued. Kim's obsession with fatigue came from his unconscious orientation where he would incessantly stare at themselves and others who were beings-in-the-world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m and the society which ordered fatigue and would be re-organized with fatigued bodies. In the process, the subjectivity and otherness in the fatigued body begins to be recognized within the dual structure called state-body. It is the process where one experiences fatigue in over-determinated layers in the relations between self and society, and between individual and state. The situation is divided into four dimensions in total: 1) the state-body subjectivity which has its unique system; 2) the state-body otherness one experiences in the situation where one becomes an other by state-bodies in different civilizations; 3) the state-body subjectivity in which one lives as an independent individual and, also, as an element of state-bodies and a laborer needed in formation of state; 4) the state-body otherness existing as the mirror image in the relationship with others in the world. The boundaries of the above schematic divisions are not very clear, and they work by mutual interactions. Meanwhile, in the articulated conjunctures of the above schematic divisions, state is exempted from the sense of concrete and practical fatigue because it is the body as the imaginary whole. As a result, the responsibility of fatigued life is on each individual, and the individual should take the responsibility. Therefore, the poetic subjects of Kim respond to fatigue in several methods, and attempt to transform the body. The methods are as follows: making his imaginary bodies lighter, doing things slowly, criticizing the modern world characterized by instrumental reason, cessation of gazing, satire of oneself involved in fatigued modern world, reinstatement of laugh, and pursuit of desire for sexuality. Poetic subjects in Kim's poems seemed to begin to be meta-conscious of fatigue and objectify it. But, occurrence of the April 19th Student Revolution in Korea in 1960 led them to be engrossed in the revolution, and they seemed to postpone such a process. At the time when people are engulfed in the zeal of revolution, fatigued bodies are perceived as the other's bodies to the poetic subjects, and looks like obstacles which makes them unable to respond to the revolution and hesitant to participate actively in it. Thus, the poetic subjects of Kim's poems see others who do not participate actively in the revolution as the objects of pity and sympathy, and express anger at them, or reveal sense of moral superiority and intellectual self-consciousness toward them. However, as time passes, the poetic subjects of Kim's poems reveal reflective recognition on cognition of the revolution and people in there beginning with Kim's poem, Capturing Spiders. Reflecting on the problems of themselves facing the contradictions of the reality and limits of revolution, the poetic subjects sense the body fatigue again, and discover temporary love. The love at this time is the one which appears involuntarily in the realm of unconsciousness when one has not entered into the stage of clear recognition of fatigue. Even if it is a imperfect encounter, temporary love one faces enables the person to realize self-betrayal by departing from one's established self-image and fixture of love. While the subject that experiences the void in the place of the departing is involved in the affect of anxiety, he maintains the dialectic of self-betrayal hoping that it will soon become the practice area of the new love. The fatigued subject begins to accept the fatigue and its body that inevitably occur in the efforts of maintaining the changes by himself. The fatigue in this period conceals the self-linguistic representation, and is transferred to the signifier relationship called labor-money in the realm of unconsciousness, and makes the obsession of the subject re-emerge. The poetic subject raises the obsession about this to the realm of consciousness, which is unlike the previous situation, and retains small hope given to such an individual while participating in labor as both cause and result of fatigue of life. The subject that continues to be obsessed with labor embodies the language between the void and silence in which love can be reborn in a way of loving all lives in both the void that is experienced at the extreme end of the order of death and the world that fills it again. Therefore, while undergoing the fatigue of life, one can see the possibility of having a desire of a new life in a unique way by uniting the body and love. The possibility is depicted as a small flower that grows by pushing the world with its entire body like infinite inflorescence (無限花序), and also as the power of the entity. The power is changed to the image of ‘fatigue-seed,’ and the conception unfolds that, as the infinite possibilities and powers existing in the hard seed and flesh, grow and transform, love also changes with its own power like variations. In order for the desire for new life contained in the seed to germinate, it should accompany the death of tearing the exterior―flesh―of its body. Likewise, through the death of self one experiences at the extreme end of fatigue of life, one can repeatedly create new selves which can reorganize the world. In the sense that the ultimate point of fatigue is not recovery and cure toward the previous condition before fatigue occurs, but the regenesis of fatigued body, to Kim Soo-Young, fatigue of life is changed into a necessary condition in which he who is involved in the world can be changed. Furthermore, the poet conveys his belief in fatigue to the future generations so that the practice of such a love will last, saying that "You will learn the love from fatigue of this city." He tries to demonstrate and practice with poetic languages that, from petty and small fatigues of urban life, individuals and the world change at every moment―the regenesis.

      • 1970~1980년대 본격신동심문학과 현실어린이문학의 비평 담론과 작품 연구

        신동재 연세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박사

        RANK : 247599

        The terms proposed in this thesis—bongyeokshindongshim children’s literature and hyunshileorini children's literature—suggest that literary history unfolds in “rupture and covering.” The prevailing discourse on children's literature in Korea emphasizes the view that literary history moves as though in a straight line characterized by consistent succession. By contrast, the current study draws on the view of literary history advocated by Kim Hyun, which reinterprets Gaston Bachelard, in that the development of literary history is not a straight line of succession and preservation, but one of "rupture and covering." This study proposes that Korean children’s literature in the 1970s and 1980s constitutes an “inductive transcendence” from the children’s literature from the colonial period to the 1960s, and conversely it “covers” the era. Moreover, children’s literature from the 1990s to the present also constitutes an inductive transcendence and rupture from children’s literature in the 1970s and 1980s, but at the same time, it is intended to be understood as a “new system” that infers and interprets children’s literature of that period. The terms used in this thesis—“bongyeokshindongshim children’s literature” and “hyunshileorini children’s literature”—do not represent the enduring flow and succession implied by the dichotomy of purity and participation. Developed in the 1970s and 1980s, these subgenres historically represent the rupture and covering up in the 1990s and 2000s, as a new socio-political era came into fruition. Current children’s literature is disconnected from children’s literature in the 1970s and 1980s, but it also draws from that period. The main focus of this thesis is to lay the foundation for understanding children’s literature. This thesis analyzes six writers as “reading base” for the chosen historical period to examine the flow of “bongyeokshindongshim” and “hyunshileorini.” “Base” here is used not in the sense of a rigid focal point that limits and traps the direction of the study, but as a starting point from which the analysis can radiate outward, that is, toward what surrounds the “base.” Of the six writers, Kim Yo-seop, Lee Jae-cheol, and Jeong Chae-bong are representatives of “bongyeokshindongshim,” and Lee Won-soo, Lee Oh-deok, and Kwon Jung-saeng, of “hyunshileorini.” This study claims that the works of these six writers are representative of the predominant structures of the subgenres, as well as the prevailing literary debates of the era. Kim Yo-seop and Lee Won-soo are the pioneers of the two trends in the 1970s and 1980s. Jeong Chae-bong and Kwon Jung-saeng represent the two trends of the “ideological” type of children’s story, and are placed in the early and late chapters of the thesis, respectively. This thesis considers Lee Jae-cheol and Lee Oh-deok to be the central figures in the critical debates that raged in the 1970s and 1980s. The most important and perceptive works of criticism concerning children’s literature in the 1970s and 1980s center on these two writers. As such, they are given the most extensive discussion in this thesis, and are placed in the middle chapters. Discussions related to the remaining four writers focus on how they relate to the discourses advocated by Lee Jae-cheol and Lee Oh-deok. This thesis assumes that the four core concepts that run through Korean children’s literature in the 1970s-1980s are fantasy, reality, “dongshim” (childhood innocence), and children. The study examines the two trends by contrasting their respective directions. While the four concepts are found in both types of children’s literature, fantasy and "dongshim” constitute the key discourses of “bongyeokshindongshim,” while reality and children, those of “hyunshileorini.” 본 논문에서 제안한 ‘본격신동심문학’, ‘현실어린이문학’ 용어에는 문학사가 ‘단절과 감싸기’ 된다는 인식이 담겨 있다. 기존의 아동문학 논의에서는 소위 순수파, 참여파의 흐름이 마치 일관되게 ‘계승’된다는 관점이 부각된 측면이 있었다. 본 연구는 문학사 전개는 일직선적 계승, 보전이 아닌 다기(多岐)한 ‘단절과 감싸기’이며 ‘굴절’이라는, 김현이 『한국 문학의 위상』 6장에서 바슐라르 논의를 재해석하며 주창한 문학사관을 원용한다. 본 연구는 1970~1980년대 아동문학이 식민지 시기에서 1960년대 이르는 아동문학으로부터 ‘귀납적’으로 ‘초월’되었으며 역으로 ‘연역적’으로 그 시대를 ‘감싸고’ 있다고 판단한다. 또한 1990년대 이후부터 현재에 이르는 아동문학 역시 1970~1980년대 아동문학으로부터 귀납적으로 초월, 단절됐으나 동시에 1970~1980년대의 아동문학을 추론, 연역할 수 있는, 그리하여 그것을 감싸는 ‘새 체계’로 이해하고자 한다. 이 논문에서 전제하는 ‘본격신동심문학’과 ‘현실어린이문학’은 순수, 참여라는 기존 이분법이 뜻하는 영속적 흐름, 계승의 실체가 아니다. 1970~1980년대 양립된 흐름으로 존재했으나 1990년대, 2000년대 정치, 사회적으로 새 국면에 접어들면서 단절, 감싸기 된 역사적 존재다. 이 논문의 초점 중 하나는 1970~1980년대 비평, 작품을 검토해 현재 아동문학을 이해하는 시각을 얻는 것이다. 이 논문은 ‘본격신동심문학’, ‘현실어린이문학’의 흐름을 살피기 위해 여섯 작가를 해당 시기를 읽는 ‘거점’으로 삼는다. 여기서 말하는 ‘거점’이란 그곳에 갇히기 위한 것이 아닌 주변의 다양한 것을 장악, 파악하기 위해 요청되는 것이다. 여섯 거점은 본격신동심문학의 김요섭, 이재철, 정채봉, 현실어린이문학의 이원수, 이오덕, 권정생이다. 본 논문은 여섯 작가를 1970~1980년대 한국 아동문학의 양립 구도 속 중요 쟁점을 가장 잘 보여줄 수 있는 대표 작가들로 판단했다. 김요섭, 이원수는 1970~1980년대 두 흐름의 출발이며, 정채봉, 권정생은 두 흐름 ‘동화의 이념형’을 대표하는 작가로서 논문 각 장 초반과 후반에 위치한다. 이재철과 이오덕은 본 논문에서 1970~1980년대 양립 구도에서 가장 중핵적인 역할을 담당한 것으로 간주되는 인물들로서 각 장의 가운데에 위치할 뿐 아니라 가장 많은 분량을 할애하여 논의한다. 그 이유는 1970~1980년대 아동문학에서 이루어진 중요한 문학적 논전들의 가장 예민하고 핵심적 작업들이 두 사람의 평론과 연구에서 이루어졌기 때문이다. 나머지 네 명의 작가들에서 펼쳐지는 논의도 이재철, 이오덕이 주창한 담론들과 어떠한 관련을 지니고 있는지에 중점을 두며 진행될 것이다. 본 논문은 1970~1980년대 한국 아동문학을 관통하는 핵심 개념 네 가지를 판타지, 리얼리티, 동심, 어린이로 가정한다. 네 가지 개념은 양립 구도에 다 걸쳐 있었지만, 상대적으로 판타지와 동심 담론은 본격신동심문학에서, 리얼리티, 어린이 담론은 현실어린이문학에서 핵심 담론으로서 전유돼 온 측면이 있었다. 본 논문은 네 가지 개념을 중심으로 1970~1980년대 한국 아동문학의 억압 현실과 해방 이상의 길항 양상을 보여준다.

      • 1980년대 문학장의 재편 과정 연구 : 생활세계와 읽기 확대 양상을 중심으로

        김보경 연세대학교 대학원 2024 국내박사

        RANK : 247599

        The literary activities of young literary figures developed in a new format called a mook were one of the important elements that characterized the creation of a literary field in the 1980s along with the worker group's participation in literary activities. This study analyzed the close relations between literature and the life world as a characteristic of the literary field in the 1980s by reviewing two activities outside the formal sector including mook literature for its edition content and night schools for their reading and writing. The mook literature of the 1980s that led to an 'era of magazines' and the 'golden age of mooks' did not restrict magazine content only to literature but claimed to advocate a literary magazine combining different fields comprehensively. In the course of pursuing their own directionality, they provided comprehensive reading and vitalized literary agenda-setting. The magazines that showed close connections between the field of social science and literature and art movements expanded the scope of reading through communication between literature and other fields. Unlike this divergent direction, the magazines that sought a comprehensive encounter between different literary worlds mediated an encounter among various literary worlds and conducted an inquiry into the literary forms of the 1980s while enabling diverse literary discussions. Moreover, workers, who had continued their writing mainly focused on workers' memoirs and life writings through night school activities until the 1970s, personally participated in the literary circles in the 1980s, marking the full-blown beginning of workers' literature. Their works created across various genres secured a broad reader class. When their activities were put together, they represented the expansion of reading in and outside literature. Chapter 2 examined the directionality of literary mooks in edited content and criticism in two main flows. One is a 'synthesis in a convergent-divergent direction' to focus their discussions on the literary forms they pursued and expand the application of the literary ideas to other fields in society. The other is a 'synthesis in a comprehensive and inclusive transcendency direction' to mediate an encounter between different literary worlds and promote the revolution of reality and literature at the same time. 'Convergent' and 'comprehensive' in the former position refer to the literary form that magazines seek after, and 'divergent' and 'inclusive transcendency' the relationship between literature and society set by them. Focusing on the fact that workers have more experiences of reading new meanings in their lives and the life world around them than books, Chapter 3 expands reading to include the textualization and understanding of the world as well as written texts. Since finding a new meaning starts with raising a question with the old one, the chapter focused on the content of education at night schools for workers in the 1980s that had workers develop a sense of contradictions and a criticism of society. In those days, night schools for workers supported workers to participate in communication with the world via reading and writing, establishing themselves as a universal activity of workers. By making use of the lists of critical vocabulary and concepts that they learned at night school, workers read the overall aspects of the life world and reflected them in their writing. The content of their reading spanned from their individual lives through life as a worker to the society at large. For them, reading and writing were activities connected in one as reading was on the premise of writing and vice versa. Chapter 4 investigated the nature and significance of the literary field in the 1980s as the process and outcome of the domain of literature expanding throughout the life world via mooks and night schools, both of which developed in the small group form. The fact that the subjects who participate in literary activities are small groups enables rational communication in addition to the activation of communication in that it collectivizes individual acts. In that mook and night school activities happened occasionally and suddenly outside the formal sector, they secured a foothold to resist the system as a stronghold outside the system and made an axis of the literary field in the 1980s until the normalization of the system. Mooks and night schools thus achieved the democratization of literature through the expansion of the participating subjects and the mediatization of the genres, democratization through literature by redistributing things that were sensual via literature, and democratization for literature to work on the establishment of a social foundation to achieve them. They are not 'people', 'individuals', 'citizens', or 'the general public'. They are 'counterpublics' who form strained relations with the dominant public who account for a majority in numbers and create discussions in an alternative tendency. The 'counterpublics' create a place called a quasi-public sphere between public spaces and the subjects when the public no longer needs to have the ability to express their opinions in language due to the colonization of the life world and the non-public nature of a public sphere. 부정기간행물(MOOK)이라는 새로운 형태로 발전한 젊은 문학인들의 문학 활동과 노동자 집단의 문학 활동 참여는 1980년대 문학장의 형성을 특징짓는 중요한 요소이다. 본고는 1980년대 제도권 바깥에서의 활동인 무크 문학의 편집 내용과 야학에서의 읽기와 쓰기를 검토하여 문학과 생활세계의 밀접한 관계를 1980년대 문학장의 특징으로 분석한 논문이다. ‘잡지의 시대’, ‘무크지 전성시대’를 이끈 1980년대 무크 문학은 잡지의 내용을 문학에만 한정하지 않고 다른 분야를 종합적으로 엮는 문학종합잡지를 표방하고 있었다. 그리고 저마다의 방향성을 추구하는 과정에서 종합적인 읽기를 제공하고 문학적 의제 설정을 활성화했다. 이중에서 사회과학 분야 및 문화예술 운동과의 긴밀한 연계를 보인 잡지들은 문학과 다른 분야와의 소통을 통해 읽기의 범위를 확장했다. 이러한 확산적 방향과는 달리, 서로 다른 문학 세계들 사이의 포괄적인 만남을 추구한 잡지들은 문학 세계들 사이의 교류를 매개하면서 1980년대 문학형을 탐색하는 동시에 다양한 문학적 논의들을 가능하게 했다. 더욱이 1970년대까지 주로 야학 활동을 통해 노동수기와 생활글 위주의 글쓰기를 이어오던 노동자들이 1980년대에는 문단에 직접 참여함으로써 노동자문학의 본격적인 시작을 알렸고, 노동자들이 창작한 다양한 장르의 글들은 폭넓은 독자층을 확보하게 되었다. 이들의 활동을 종합하면 이는 문학 안팎으로의 읽기의 확대이다. 2장에서는 무크 문학의 편집 내용과 비평의 방향성을 크게 두 흐름으로 나누어서 살펴본다. 하나는 자신들이 추구하는 문학형에 논의를 집중시키고 사회의 다른 분야로 그 문학적 이념을 확대 적용해 나가는 ‘수렴­확산적 방향의 종합’이다. 󰡔실천문학󰡕, 󰡔민중교육󰡕, 󰡔5월시󰡕, 󰡔일터의 소리󰡕, 󰡔공동체문화󰡕, 󰡔르뽀시대󰡕, 󰡔현장󰡕, 󰡔우리들󰡕, 󰡔함성󰡕, 󰡔햇살󰡕 등이 여기에 속한다. 다른 하나는 여러 문학 세계들 사이의 만남을 매개하면서 현실과 문학의 변혁을 동시에 도모하는 ‘포괄­포월(包越)적 방향의 종합’이다. 󰡔우리 세대(시대)의 문학󰡕, 󰡔민의󰡕, 󰡔시와 경제󰡕, 󰡔언어의 세계󰡕, 󰡔지평󰡕, 󰡔문학의 시대󰡕가 여기에 속한다. 앞에 위치한 ‘수렴’과 ‘포괄’은 잡지가 추구하는 문학형을, 뒤의 ‘확산’과 ‘포월’은 잡지가 설정하는 문학과 사회의 관계를 가리킨다. 3장에서는 노동자들이 책에서보다 자신을 둘러싼 삶과 생활세계에서 새로운 의미를 읽어내는 경험을 더 많이 한다는 사실에 주목하여, 읽기를 문자텍스트뿐만 아니라 세계를 텍스트화해서 이해하는 것까지 포괄하는 개념으로 확장한다. 그리고 새로운 의미 발견은 기존의 의미를 문제시하는 것에서부터 비롯되므로, 노동자들로 하여금 모순에 대한 감각과 사회비판의식을 갖게 했던 1980년대 노동야학의 교육 내용에 주목한다. 당시에 노동야학은 노동자들이 읽기와 쓰기를 매개로 세상과의 소통에 참여할 수 있도록 지원했고, 야학은 노동자의 보편적인 활동으로 자리 잡았다. 노동야학의 교육 내용과 프로그램을 파악하기 위해 노동야학의 교재로 활용된 책들인 󰡔노동의 철학󰡕, 󰡔어떻게 생각할 것인가󰡕, 󰡔사람됨의 철학 Ⅰ󰡕, 󰡔노동자 교육을 어떻게 할 것인가󰡕를 비롯하여 노동자 잡지에 실린 관련 내용들을 두루 참조한다. 노동자들은 야학에서 배운 비판적 어휘목록과 개념들을 활용해 생활세계 전반을 읽어내고 이를 글쓰기에 담아냈다. 이들의 읽기 내용은 개인적인 삶에서부터 노동자로서의 생활, 그리고 사회 전반에 걸쳐져 있다. 이들에게 읽기는 쓰기를 전제로, 쓰기는 읽기를 전제로 행해지는 하나로 연결된 활동이다. 4장에서는 무크와 야학을 매개로 문학의 영역이 생활세계 전반으로 확대되어간 과정 및 결과로서 1980년대 문학장의 성격과 의의를 규명한다. 무크와 야학은 모두 소집단 형태로 전개되었다. 문학 활동에 참여하는 주체가 소집단이라는 것은 개인적 행위를 집단화시킨다는 점에서 의사소통의 활성화와 더불어 합리적인 의사소통을 가능하게 한다. 또한, 무크와 야학 활동은 제도권 바깥에서 비정기적이고 기습적으로 이루어진다는 점에서 이들은 체제외적 진지로서 체제에 대항하는 거점을 확보하고 제도가 정상화될 때까지 1980년대 문학장의 한 축을 담당한다. 그리하여 무크와 야학은 참여주체의 확대와 장르의 매체화를 통해 문학의 민주화를, 문학을 매개로 감각을 재분배함으로써 문학을 통한 민주화를, 그리고 이것들의 성취를 위해 사회적 토대 확립에 힘쓰는 문학을 위한 민주화를 이뤄낸다. 이들은 ‘민중’도, ‘개인’도, ‘시민’도, ‘대중일반’도 아니다. 이들은 수적으로 다수를 차지하는 지배적인 대중과 긴장관계를 형성하고, 대안적 성향의 논의를 생성하는 ‘반(反/半)대중(counterpublics)’이다. ‘반대중’은 ‘생활세계의 식민화’와 공론장의 비공공화로 대중들이 의견을 언어로 표현할 능력을 갖출 필요가 없게 되었을 때 공적 공간과 주체들 사이에 준(準)공론장이라는 장소를 만든다.

      • 문학 이미지의 고유성과 보편성 연구- 김춘수와 김수영의 시를 예시하여 -

        박시영 연세대학교 일반대학원 2024 국내석사

        RANK : 247599

        본 논문의 목적은 김춘수와 김수영의 텍스트 예시를 통해 문학 이미지의 고유성과 보편성의 의미를 고찰해보는 것이다. 어떠한 존재가 존재의 특수성을 가진 고유성을 지님과 동시에 어디에든 고루 존재할 수 있는 보편성을 지닐 경우 그 존재는 실존에 관한 당위성을 증명하는 동시에 존재의 필연성에 관한 역량 또한 증명 할 수 있다. 이는 문학 이미지가 가진 다층적 시제-공간-운동적 확장 가능성에 비추어 고유성과 보편성에 관해 살펴봄으로써 문학에서 문학 이미지의 존재가 미적 가치의 재연적 도구의 범주를 넘어 문학이 다다르고자 하는 목표 자체로서 자리할 수 있음에 관한 논의를 개진하고자 하였다. 본고의 방법론에서 사용된 기존 이미지에 관한 논의는 이미지에 관한 오해로부터 비롯된 오독을 검토함과 동시에 이미지가 가진 특질에 주목하여 문학 이미지의 의미를 다시금 정의하고, 이것이 문학에서 어떻게 현현되는가를 사유할 수 있게 하였다. 이미지를 단순한 미메시스에 의한 상(狀)이 아닌 다층적 시제-공간-운동성을 현현하는 하나의 주체로 상정하는 기존의 몇몇 관점들로부터 시작된 본고의 논의를 통해 문학 존재의 당위성을 증명하는 한편 문학이 어떤 방식으로 능동적 실존이 가능하며 인간이 존재하는 한 어째서 필연적으로 존재할 수밖에 없는지에 관한 성찰을 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문학 이미지에 내재된 ‘불확정성’과 ‘애매성’ 그리고 '지칭 불가능성'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이 '불확정성'은 문학이 가진 한계이자 가능성이기도 하다. 문학적 이미지는 그것들의 고유한 특성으로 인해 대상에 대한 명확한 설명과 언급을 할 수 없다. 그러나 이러한 특성은 언제 어디서나 그것들을 무엇으로든 지칭할 수 있게 한다. 이를 통해 문학 이미지를 문학의 목적이 아닌 문학의 목표로 바라봄으로써 문학 이미지가 만들어 내는 역량으로 나아가고자 했다. 문학 이미지는 상(狀) 즉 이미지와 텍스트를 그 재료로 삼는다. 그러나 문학 이미지는 어디까지나 문학으로 자리하는 텍스트이기 때문에 이미지의 특성을 지님에도 텍스트로 발현된다. 이미지의 개념이 어떤 식으로 일상과 문학에 정립되어 있는가를 분석하기 위하여 기존에 있던 이미지에 관한 이론들을 차용하였다. 이들의 관점을 통해 이미지가 가진 역량과 본질에 집중하여 문학 이미지가 목적이 아닌 목표로 존재할 수 있음에 관한 논증을 위해 문학 이미지는 단순한 표상이 아닌 운동 자체로서의 지금 여기의 현현임을 강조하였다. 이러한 여정을 통해 문학 이미지의 역량은 불확정성과 애매성에 대한 논의를 통해 검토되었다. 물리학에서 하나의 값을 확정적으로 측정하는 것이 불가능하듯, 문학 이미지는 하나의 이름으로 확정지을 수 없다. 무언가의 위치를 측정하는 순간에도 물리적 값은 변화하기에 이를 무어라 확정하여 지칭하는 것이 불가능하기에 문학 이미지는 동시에 다의적 특성을 지닌다. 지칭 불가능한 존재인 문학 이미지는 어떤 시간과 공간과 운동성을 지니냐에 따라 다르게 지칭되기도, 다르게 읽히기도 하는 이미지이므로 무엇이라 완전히 확정하여 이름 붙일수도, 설명할 수도 없는 존재인 것이다. 이를 문학이 가진 한계가 아닌 가능성으로 본 까닭은 문학 이미지가 가진 고유성과 보편성에 의한 사고 때문이다. 이 과정을 살피고자 본고에서는 문학 이미지의 체제와 사유를 통해 문학 이미지의 가능성을 논하고자 하였다. 문학 이미지는 자신만의 정체성을 지니는 고유한 체제 즉 고유성을 가지고 있는데, 이는 기존의 주체를 표상한 대상이면서도 다시금 주체로 자리하는 하나의 생산성을 상정한다. 또 하나의 존재를 탄생시켰기에 이는 생산적이며, 문학적 담론이 지속 될 수 있음을 보여주는 하나의 실례이기도 하다. 동시에 문학 이미지는 모든 사람들이 고개를 끄덕일만한 공동의 사유를 하는 보편성을 지닌 존재로서 그 양태는 각자의 시제안에서 재현되는가 하면 현현되기도 한다. 문학이 가진 보편성은 어쩔 수 없이 남겨진 공백이 아닌 무언가를 위해 남겨둔 여백처럼 공감의 정서를 불러일으키는 공간이기에 문학 이미지가 가진 보편성에 관한 연구는 문학이 어떤 방식으로 운동하여 현실의 시공간에 어떻게 실재하는가에 관한 일종의 성찰이기도 하다. 오래전에 죽었으나, 여전히 지금-여기에 존재하는 김춘수와 김수영의 시 텍스트가 그러하듯 문학 이미지가 가진 힘은 고유성과 보편성 안에서 시작된다. 고유하기에 독립적 존재로 자리하며, 보편적이기에 어디에든 가 닿을 수 있다. 이토록 능동적이면서도 잠재적 가능성을 지닌 문학 이미지는 고유하기에 내재적 본질에서부터 다른 것으로 변화할 수 있으며 보편적이기에 모든 것을 은유하고 표상할 수 있다. 이는 문학의 가치를 보다 더 직접적으로 증명할 수 있게 한다. This thesis explores the meaning of uniqueness and universality in literary images, using texts by Kim Chun-soo and Kim Soo-young as examples. If an entity has a unique and universal presence, it can justify its existence and demonstrate its inevitability. By examining the uniqueness and universality of literary images in light of the multi-layered tenses, spatial dimensions, and motor extensibility, the intention was to discuss how the existence of literary images in literature can be seen as the ultimate goal, surpassing the limitations of reproducible tools of aesthetic values. Methodologically, examining existing images led to a redefinition of the meaning of literary images. Attention was directed toward image characteristics, addressing misreadings stemming from misunderstanding and contemplating their manifestation of multi-layered tense-space-mobility rather than mere mimesis(狀), aimed to establish the legitimacy of literary existence. It reflected on how literature ca actively exist and why it inevitably persists as long as humans do. Instead of relying on literary theory for validation, objectivity was pursued through perspectives from physics and philosophy theory, such as the ‘principle of uncertainty’ and ‘equivocalness’, often juxtaposed with literature. The study centers on the "uncertainty" and "equivocalness" inherent in literary images and the 'indeterminacy' of existing literary images. This 'indeterminacy' is both a constraint and an opportunity within literature. Literary images elude definitive descriptions and references to objects due to their inherent characteristics. Yet, this quality allows them to be referred to as anything, anytime, anywhere. During this exploration, attention was directed towards the potential created by viewing literary images not as ends but as academic objectives. While literary images utilize images and texts as their materials, they are expressed as texts even when imbued with image characteristics since they have transformed into literature. Existing theories on images were borrowed to analyze how the concept of images is established in everyday life and literature. Emphasizing the competence and essence of images through this perspective, the study highlighted that literary images exist as a dynamic process rather than a fixed purpose. Throughout this journey, the capacity of literary images was examined through discussions on uncertainty and equivocalness. Similar to the impossibility of definitively measuring a value in physics, a literary image cannot be singularly determined by a single name. Just as the position of an object in physics changes its physical value, making it impossible to characterize it definitively, literary images possess multiple characteristics simultaneously. As indescribable entities, literary images are referred to and interpreted differently depending on factors like time, space, and mobility. Consequently, they cannot be entirely named or explained. This inherent variability is seen as a possibility rather than a limitation in literature, rooted in the thinking based on the uniqueness and universality of literary images. To explore this process, this paper discusses the potential of a literary image through the system and the thinking associated with it. Literary images operate within a unique system, possessing an identity that assumes productivity, representing the existing subject and, in turn, becoming the subject again. This productivity lies in creating another being, exemplifying how literary discourse can perpetuate. Simultaneously, the literary image is a being with a universality that embodies shared thoughts accessible to everyone, its aspects reproduced and manifested in various proposals. The universality of literature is not a space inevitably left behind but a dynamic force. Yet, a space that elicits empathetic emotions, akin to a blank canvas exploring the universality of literary images, serves as a reflection on how literature dynamically moves and exists in real-time and space. The potency of a literary image originates from its blend of uniqueness and universality, as seen in the poetry texts of long-deceased figures like Kim Chun-soo and Kim Sooyoung, which still resonates today. It attains an independent existence by being unique and universal, accessible from any point. These highly active and potent literary images, capable of transforming their intrinsic nature, can metaphorically represent myriad concepts due to their universality. This ability to transcend boundaries allows for a more direct demonstration of the value inherent in literature.

      • 박완서 소설의 트라우마 서사 연구- 외상 주체로서의 작중 인물들과 애도 양상을 중심으로 -

        이유정 연세대학교 일반대학원 2024 국내석사

        RANK : 247599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amine the characteristics and meaning of trauma narratives in Park Wan-seo's novels, focusing on the real and affective dimensions of trauma. The trauma embodied in Park Wan-seo's literature goes beyond the representation of social and historical trauma or the rewriting of autobiographical trauma experiences. Trauma narrative, as defined in this paper, refers to a narrative in which the gap in the symbolic order suppressed in the unconsciousness of the characters in the story, the trauma as a real, is located behind the narrative, and the characters' reactions to it are revealed as the meaning of the work. The thesis points out that Park Wan-seo's novel reveals the existence of trauma that resists symbolization and the real and affective dimensions of its impact through exhaustive language and description, the aspect of the characters as subjects of trauma and the otherness of wounds that repeatedly return in the unconscious. Park Wan-seo's literature places the impossibility of representing traumatic real and the resulting pain of the subject at the center of the narrative, and describes the lives of characters who experience fatal affect and reflexive behavior due to the compulsion to repeat. Through this, the meaning of Park Wan-seo's literature, which this paper will discus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Her novel clearly emphasizes that the pain caused by trauma and repetition results from irreversible death and loss, and destroys the life of the traumatized subject. However, it has the aspect of seeking paradoxical hope behind traumatic destruction by densely depicting the awareness of the fundamental pain that arise from the place of destruction. The time after the wound that continues in the inevitable relationship with the traumatic real beyond the dichotomous boundaries of melancholy and mourning is also the source of the possibility of the ‘continuation’ of mourning, not the delay or termination of mourning. What Park Wan-seo's literature reveals, more than anything else, through its detailed description of the time after the wound, is the legitimacy of the characters in the story as subjects of the trauma to reconstruct their own narratives. As long as narrativization of the traumatic experience is constantly requested through the compulsion to repeat, mourning is not something that is consciously completed, rejected, or understood as impossible, but rather an ongoing process of the traumatized subject taking on the ‘space of non-existence’ by living the time after the wound. It can be seen as effort itself. The void of non-existence referred to in this paper refers to the place of wounds left by trauma that the subject cannot assimilate. The paradoxical subjectivity of the traumatized subject that emerges from the place of wound, non-existence, is related to the narrativization, narrative memory, performance of a story as a method of mourning revealed in Park Wan-seo's works. The real and affective position of the wound that appears as a void can be said to be the origin of the trauma subject, and narration means identification with the void rather than denying it or filling it with a new fantasy. In the absence of the Other, narration that interacts with unconscious real rather than language is realized through the space of imagination and interpretation in her novels. This is why the ethics of mourning in Park Wan-seo's literature leads to identification with wounds and the concept of jouissance. The continuation of mourning is a key element in Park Wan-seo's literature that explores the possibility of overcoming trauma. In this context, there is great room to say that mourning is not impossible as long as the trauma subject's time continues. Park Wan-seo's novel asks the characters to establish a relationship with the otherness of their wounds. In other words, it shows a literary attempt to reconstruct life and secure the continuation of mourning through the narration of the experience of wounds that interacts with unconscious real while depicting the destructiveness of trauma, unrepresentable pain, and the severity of mourning. Referring to Dominick LaCapra, even though we can never overcome the fatal affect and reflexive action caused by the wound, the narrativization effort itself to articulate and re-articulate affect and representation can be defined as the aspect of mourning shown in Park Wan-seo's literature. This paper examines the stories of the characters intersect with the real, an absent entity that continues to return in the unconscious. It is discussed that Park Wan-seo's novel traces the psychological pain and paradoxical hope of humans living in the world, the time after wound. 이 논문은 트라우마의 실재적·정동적 차원에 주목하여 박완서 소설에 나타난 트라우마 서사의 특징과 그 의미를 살피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박완서 문학이 구현하는 트라우마는 사회적·역사적 트라우마의 재현이나 자전적 트라우마 체험의 다시 쓰기를 초과한다는 점에서다. 본고가 정의하는 트라우마 서사란 작중 인물들의 무의식에 억압된 상징질서의 틈, 실재로서의 트라우마가 서사의 배면에 자리하며 그에 대한 형상화 및 인물들의 반응 양상이 작품의 의미로서 드러나는 서사를 말한다. 논문에서는 박완서 소설이 상징화에 저항하는 트라우마의 존재와 그 영향이 지닌 실재적·정동적 차원을 핍진한 언어와 묘사로서 드러낸다는 점, 작중 인물들의 외상 주체로서의 측면과 무의식에서 반복적으로 회귀하는 상처의 타자성을 구현한다는 점을 분석한다. 박완서 문학은 트라우마적 실재의 재현 불가능성과 그로 인한 주체의 고통을 서사의 중심에 놓으며, 트라우마의 반복 강박에 따른 치명적 정동과 반사적 행동화를 겪는 작중 인물들의 삶을 묘사한다. 이를 통해 본고가 논할 박완서 문학의 의미는 다음과 같이 요약될 수 있다. 그의 소설은 트라우마와 반복에 따른 고통이 돌이킬 수 없는 죽음 및 상실에서 기인하며 외상 주체의 삶을 파괴한다는 점을 분명히 강조한다. 하지만 파괴의 자리에서 비롯되는 근원적 고통에 대한 인식을 밀도 있게 그려냄으로써 트라우마적 파괴 이면의 역설적 희망을 모색하는 측면을 가진다. 멜랑콜리와 애도라는 이분화된 경계 너머 트라우마적 실재와의 불가피한 관계 속에서 지속되는 상처 이후의 시간은 애도의 지연이나 종결이 아닌 애도의 ‘지속’이라는 가능성의 원천이기도 하다. 박완서 문학이 무엇보다 상처 이후의 시간을 핍진하게 묘사하는 가운데 드러내는 것은 외상 주체로서의 작중 인물들이 자기 서사를 재구성할 당위다. 박완서 소설은 트라우마 경험의 서사화가 반복 강박을 매개로 끊임없이 요청되는 한, 애도는 의식적으로 완수되거나 거부되거나 불가능하다고 파악되는 무엇이라기보다 상처 이후의 시간을 살아냄으로써 ‘비존재의 공백’을 떠맡는 외상 주체의 지속된 노력 자체라는 점을 형상화한다. 본고에서 말하는 비존재의 공백이란, 주체가 동화할 수 없는 트라우마가 남긴 상처의 자리를 일컫는다. 상처-비존재의 자리에서 출현하는 외상 주체의 역설적인 주체성은 박완서 작품에서 드러나는 애도 방식으로서의 서사화-서사적 기억-이야기 수행과 연관된다. 공백으로 현상하는 상처의 실재적·정동적 자리는 외상 주체를 구성하는 근원점이라 할 수 있고, 서사화는 이를 부정하거나 새로운 환상으로 메우는 것이 아닌 공백과의 동일시를 의미한다. 대타자의 결여에서 언어가 아닌 무의식적 실재와 상호작용하는 서사화는 그의 소설에 나타난 상상과 해석의 여백으로 실현된다. 박완서 문학 속 애도의 윤리가 상처와의 동일시 및 주이상스라는 개념으로 이어지는 이유다. 애도의 지속은 박완서 문학이 트라우마 극복 가능성을 타진하는 핵심 요소다. 그의 소설에서는 외상 주체의 시간이 지속되는 한 애도는 불가능하지 않다고 말할 여지가 크다. 박완서 소설은 작중 인물들로 하여금 상처의 타자성과 관계 맺을 당위를 요청한다. 즉, 트라우마의 파괴성과 재현 불가능한 고통, 애도의 지난함을 그려내면서도 무의식적 실재와 상호작용하는 상처 경험의 서사화를 통해 삶을 재구축하고 애도의 지속을 확보하는 문학적 시도를 보여주는 것이다. 도미니크 라카프라를 참고하면, 상처로 인한 치명적 정동과 반사적 행동화를 결코 넘어설 수 없을지라도 정동과 재현을 분절·재분절하려는 서사화 노력 자체를 박완서 문학이 보여주는 애도 양상으로 정의할 수 있다. 이 논문은 박완서 소설의 트라우마 서사가 주체의 의식적 앎으로는 포섭되지 않는 실재, 무의식에서 계속 회귀하는 부재 속의 존재인 물(das Ding·物)과 교차하는 작중 인물들의 이야기를 통해 상처 이후의 시간을 살아가는 인간의 심리적 고통과 역설적 희망을 추적한다는 점을 논한다.

      • 한국 현대시론의 재형성 연구 : 해방기부터 1960년대까지의 시론을 중심으로

        김호성 연세대학교 대학원 2024 국내박사

        RANK : 247599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various potential ways that individuals were impacted through the lived experiences (Erlebnis), experiences (Erfahrung), and lifeworlds (Lebenswelt) in their community by reexamining Korean modern poetics from the liberation period to the 1960s. And this paper examines the process of integrating these aspects into 1960s civil society and re-establishing subjects of Korean nationality and citizenship through two subtractive processes. Modern Korean poetics of this period are not simply limited to a literary context, due to the turbulent historical situation, e.g., liberation, the Korean War, and 4·19, 5·16. However, they can be said to be a form of “precipitated content” that reflects the aesthetic politics and ethics pursued by the poetic subjects of the time. Therefore, analyzing the poetics of this period reveals the potential attitudes of individuals who were suppressed during this time regarding the process of establishing the subject of Korean national identity. To achieve this objective, this paper categorizes the period of liberation as defined by lived experiences, the 1950s (post-war) as characterized by the predominance of experiences, and the 1960s as a paradoxical lifeworld where lived experiences and experiences were combined. Initially, during the liberation period, the subject of nationalism escaped oppression of Japanese Empire and acquired the sovereignty of Korean citizens. It then began to actively incorporate other aspects represented by Western Civilization in order to be included and accepted into the modern order. Therefore, lived experiences are deeply related to the independent actions of their subjects that occur when they try to overcome the reality of underdeveloped Korea and establish a new life. In the poetics of the period after liberation, there is a concern about how to appropriate the new lived experiences of “citizens” in the context of nationalism. During this time, both Im Hwa and Cho Ji-hoon attempted to give voice to democracy through the subject of national identity, but their approaches differed somewhat. Im Hwa dreamed of a national community based on the mediation and collaboration of the people, and Cho Ji-hoon insisted on the community to share the community of national life based on the unrestricted lived experiences of foreign culture. Kim Ki-rim embodies the subject of nationalism through “Arrangement of Modernity,” through which modernity is transformed not into ideas but into the individual lived experiences of Koreans, as it moves forward toward a unified national existence. Following this, in the 1950s, the determined and adventurous lived experiences that were defined by the liberation period were hindered by the Korean War. In this disconnection, lived experiences underwent a subtractive process of revision, supplementation, and rejection due to the imperative to restore the devastated reality as quickly as possible, transforming into "post-war experiences" that encompassed the liberation period, life in the 1950s, and the entirety of the approaching 1960s. In other words, the lived experience, which is always directed toward an object (the “other”), was interrupted and a place of reflection emerged in response to the new direction of the lived experience. Park In-hwan reconstructs the dichotomous characteristics of this time, e.g., “left and right,” “life and death,” and “advancement and backwardness,” through the concept of “The Middle Area.” He brings together previously unknown individuals who have not been granted an identity within the middle of these extremes and forms an emotional solidarity with them. In Jeon Bong-geon’s poetics, poetry is a trick, and enjoying it involves accepting and transforming the sadness of ruins. It is a playful act of constantly rewriting reality, imagining countless possibilities that can change the ruins of the inner world, rather than tangible reality. Entering the 1960s, the experience of the 1950s (or post-war) is again separated into experience and lived experience as it undergoes the second subtractive process through two pivotal events in Korean modern history: 4·19 and 5·16. This paper defines 4·19 as a flow related to the lived experience of re-establishing the inner workings of independent citizens as subjects and reaching democracy. Additionally, 5·16 is defined as a flow related to the experiences of disappointment and anxiety that reflect not yet escaping a life of material poverty, even after the lived experience of the revolution. This second subtractive process allows Koreans to inherently achieve a lifeworld in which the two aspects of experience and lived experience are paradoxically combined, as both the liberation period and the post-war context have been incorporated into individual life. Kim Soo-young continuously attempts to accept the inconsistency between lifeworld and body caused by censorship. His snobbish attitude throughout the process plays an important role in how his poetics function as a paradox. However, Kim Choon-soo demonstrated the desire to be actively liberated from his lifeworld. He attempts to create a poetic space in which one can neutralize the violence of history while never being able to escape it. Additionally, he explores the history of individual non-historical subjects, which contrasts the individual historical subjects who serve society, as established by the histories of 4·19, 5·16, etc. As a result, the poetics of these seven poets have disrupted the monolithic flow of history to unveil the repressed individual within it. In doing so, they have shifted the progression of individual lives from self-determination to freedom. While these works are not world-changing in and of themselves, they clearly emphasize how alienated spaces and phases were neglected by Korean civil society at the time. They have transformed the violence and hypocrisy of ruling powers throughout history into dynamic writings, revealing details of the lives of individuals who had been previously pushed to the periphery. 본 연구는 해방기부터 1960년대까지의 한국 현대시론을 재검토함으로써 당시의 공동체 속에 다양하게 체험 및 경험, 그리고 생활화되었던 잠재적 개인의 존재 방식과 그 양태들을 규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그리고 이러한 가능태들이 두 번의 감산 과정을 통해서 1960년대 시민사회로 통합되고 한국적 시민 주체로 재정립되는 과정을 살펴보고자 한다. 이 시기의 한국시론은 해방, 전쟁, 4·19, 5·16 등 격동하는 역사적 상황으로 인해 단순히 문예론적 맥락에 국한되어 있는 것이 아니라 당대의 시적 주체가 추구한 미학적 정치성과 윤리성을 담은 ‘침전된 내용의 형식’이라 할 수 있다. 따라서 이 시기의 시론을 분석한다는 것은 당대의 한국의 시민 주체 형성 과정에 있어서 억압되어 있는 잠재적 개인들의 태도를 밝히는 것과 다름 아니다. 이를 위해 본고는 해방기를 체험이 우세했던 체험적 생활의 시기, 1950년대(전후)를 경험이 우세했던 경험적 생활의 시기, 1960년대를 체험과 경험이 역설적으로 결합한 역설적 생활의 시기로 규정하였다. 먼저 해방기에는 처음으로 외부의 간섭에서 벗어난 주체가 시민이라는 주권을 획득하고 근대적 질서에 편입되기 위해 서구로 대표되는 타자들을 적극적으로 체험한다. 따라서 체험은 후진적 한국의 현실을 극복하고 신생을 마주하고자 했을 때 나타나는 주체들의 즉자적 반응과 관련이 깊다. 이 시기 시론에는 해방 이후 ‘시민’이라는 신생의 체험을 어떻게 한국의 실정에 적합한 민족 주체로 전유할 것인가라는 고민이 담겨 있다. 먼저 임화와 조지훈은 모두 새로운 민족 주체를 구성하여 민주주의에 가닿고자 했지만, 그 양상은 다르다. 임화는 인민의 매개성과 결합성을 바탕으로 하는 민족의 공동체를 꿈꿨고, 조지훈은 이문화(異文化)의 자유로운 체험을 기반으로 한 민족의 공동생활권을 주장하였다. 김기림은 ‘근대의 결산’이라는 작업을 통해 민족 주체를 구체화하는데, 이 작업은 근대를 관념이 아닌 조선인 개개인의 체험의 산물로 변형시키고 민족 전체의 총체적인 생활로 향하게 만든다. 다음으로 1950년대에는 해방기로부터 이어져 온 의지적이고 모험적인 체험들이 전쟁으로 인해 좌절된다. 이러한 단절 속에서 체험들은 폐허가 된 현실을 하루빨리 복구해야 한다는 당위로 인해 수정, 보완, 폐기의 감산 과정을 겪으면서 해방기와 1950년대의 삶, 그리고 도래할 1960년대 전체를 포괄하는 ‘전후 경험’으로 탈바꿈된다. 다시 말해, 언제나 어떤 대상(타자)에게로 뻗어나가던 체험이 중단되고 그동안 체험의 지향성을 되돌아보는 반성의 자리가 마련되는 것이다. 박인환은 ‘중간의 면적’이라는 개념을 통해 좌 · 우, 삶과 죽음, 선진과 후진 등 당대의 이분법적 현실을 재구성한다. 그는 중간의 위치에 서서 양극단 사이에서 어떠한 정체성도 부여받지 못한 무명의 개인들을 불러 모으고 그들과 정서적 연대를 이룬다. 전봉건의 시론에서 시는 속임수이며 그 속임수를 즐기는 것은 폐허의 슬픔을 받아들이고 변주하는 것과 관련된다. 즉 그것은 실제 현실이 아닌 내면의 세계에서 폐허를 변화시킬 수 있는 무수한 가능성을 상상하는 일, 다시 말해 현실을 끊임없이 고쳐 쓰는 유희적 행위이다. 1960년대에 들어서면서 1950년대(또는 전후)의 경험은 4·19와 5·16이라는 한국 현대사의 중대한 두 사건을 바탕으로 두 번째 감산 과정을 겪으면서 다시 체험과 경험으로 분리된다. 이에 본고는 4·19를 자주적 시민 주체의 내면을 재정립하고 민주주의에 가닿고자 하는 체험과 관련된 흐름으로, 5·16을 혁명의 체험 이후에도 여전히 삶의 물질적 빈곤에서 벗어나지 못하였다는 실망과 불안이 그 체험을 중단시키면서 나타난 경험과 관련된 흐름으로 규정하였다. 이 두 번째 감산 과정으로 한국인들은 체험과 경험의 두 양태가 역설적으로 결합된 생활 양식을 내재하게 되는데, 이는 해방기와 전후적 맥락이 모두 개인의 생활 속으로 편입되었기 때문이다. 김수영은 당시 검열로 인한 생활과 육체의 불일치를 끝없이 받아들이려고 노력한다. 그 과정에서 나타나는 속물적 태도는 그의 시론이 역설로서 기능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반면에 김춘수의 경우는 생활에서 적극적으로 해방되고자 한다. 그는 역사의 폭력성으로 점철된 생활에서 끝끝내 탈피하지 못하면서도 그 생활을 무화시킬 수 있는 시적 공간을 창조하려고 한다. 4·19, 5·16 등의 역사로 인해 당대의 시민사회에 요청되었던 역사와 사회에 복무하는 개인 주체와 대비되는 비역사적 개인 주체들의 역사를 써 내려가려고 한다. 지금까지 살펴본 일곱 시인의 시론은 역사의 획일적 흐름에 균열을 일으키고 그 속에 억압되어 있었던 개인을 발견한다. 그리고 이를 통해 개인들의 삶을 자주에서 자유의 영역으로 이행시킨다. 이러한 작업이 그 자체로 세계를 변혁하는 것은 아니지만, 통치권력이나 역사의 폭력성과 위선을 쓰기라는 능동적 행위로 변주하여 주변부로 밀려난 개인들의 생활을 새롭게 드러낸다는 점에서 당대 한국 시민사회가 미처 주목하지 못했던 소외된 시공간을 표면 위로 끌어올린다고 할 수 있다.

      • 평생교육에서의 독서 프로그램 교수자 교안 연구 : 현대시 수업을 중심으로

        정수아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2024 국내석사

        RANK : 247599

        본 연구는 평생교육기관에서 이루어지는 다양한 교육 프로그램 중 독서 프로그램에 있어서의 교수자 전문성 개선이 절실하다는 수강생들의 요구를 바탕으로 현실적인 대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평생교육은 인간의 길어진 수명과 빠르게 변화하는 사회에서 필수적인 국가적 사업이 되었다. 이러한 가운데 평생교육에서의 독서 프로그램은 성인의 지속적 계발에 있어 매우 중요한 교육임에도 불구하고, 해당 국문학이나 국어교육학을 전공한 전공자를 초빙해 오기에는 국가에서 지원되는 예산이 충분치 않으며, 성인들이 학령기의 학생들에 비해 교육비 지출이 상대적으로 적다는 한계점이 존재했다. 이런 상황에서 독서 프로그램 교수자의 전문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교수자 교안을 충실히 하는 것이 현실적 대안이 될 수 있을 것이라 생각하였고, 모든 글의 분야를 다 다룰 수 없는 점을 함께 고려하여 우선적으로 현대시를 중심으로 독서 프로그램을 교수함에 있어 참고할 수 있는 교수자 교안의 방향성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우선 평생교육기관에서 독서 프로그램 운영이 어떻게 이루어지고 있는지, 운영의 목적, 장소, 비용, 횟수, 기간 등 현실태와 문제 인식을 선행 논문을 통해 확인하였다. 이후, 평생교육기관 독서 프로그램 교수자 교안을 확인하고자 하였으나 뚜렷이 표준으로 삼을 만한 교수자 교안이 없어, 공교육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고등학교 문학 현대시 부분의 교수자 교안을 기준으로 교육과정과 방법을 살펴보고 이를 기준으로 삼되, 평생교육 독서 프로그램에서의 교육 목적과 청소년기의 학령기 학생들의 교육 목적이 상이함에 따라 나타나는 고등학교 문학 현대시 부분의 교수자 교안의 부족한 부분을 개선하여 평생교육 독서 프로그램의 목적에 부합하도록 교수자 교안을 마련하였다. 이를 통하여 평생교육 독서 프로그램에서 교수자 전문성 부족에 대한 수강생들의 갈급이 어느 정도 해소되어 조금이라도 더 깊이 있는 교육을 받아 우리가 살고 있는 공동체가 더 나은 내일을 맞이하는 데에 조금이라도 도움이 되기를 바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