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Detecting currency manipulation : an application of state-space model with markov switching

        김수현 Graduate School, Yonsei University 2018 국내박사

        RANK : 247647

        2016년 2월 미국은 무역증진법안을 제정하여, 공정한 국제경쟁의 필요성을 강조하고, 주요 무역대상국들의 불공정한 외환정책과 지속적 환율의 비대칭성에 대한 우려를 표하였다. 동 법안은 주요 무역대상국이 미국을 상대로 대규모 무역수지 및 경상수지 흑자를 지속하는 경우 혹은 외환시장에의 일방적인 개입을 하는 것으로 의심되는 경우, 해당국의 외환정책을 심도있게 관찰해야한다고 규정하고 있다. 본고에서는 환율조작국으로 미국이 환율조작국 혹은 관찰대상으로 분류하는 정량적 기준 외에, 환율의 시계열 특성으로 외환시장 개입여부를 탐지할 수 있는 모형을 소개한다. 본 모형은, Milton Friedman이 잠재 GDP를 달성하지 못함에 따라 경기변동이 발생한다는 논지의 plucking 모형을 바탕으로, Kim and Nelson (1999a)이 구성한 모형을 환율에 확대 적용한 것이다. Kim and Nelson (1999a)은 정상상태와 비대칭적 충격이 발생하는 불황상태가 마코프 스위칭(Markov switching)에 의해 시시각각 변화하며, 미국의 실질 GDP가 - 잠재GDP로 해석할 수 있는 – 시변하는(time varying) 추세를 상한으로 불황기에 하방 충격이 발생함에 따라 경기가 변동함을 잘 보여주고 있다. 대부분 선진국 및 개발도상국에서 변동환율 혹은 최소한 관리변동환율제를 채택하고 있다는 점을 감안하면, 환율의 움직임 역시 실질GDP와 같이 비대칭적 움직임이 발생하는지 여부를 의심해 볼 수 있다. 자국 통화가치 급락시, 중앙은행은 대외신인도 하락, 대외부채 관리 및 외환시장 안정, 인플레이션 관리 등 목적을 위해 외환시장에 얼마든지 개입 할 여지가 있다. 한편 최근의 스위스 중앙은행(SNB)의 경우와 같이 국제무역시장에서 자국의 경쟁력 저하를 막기 위해 자국 통화 가치의 급격한 상승을 억제하려는 목적으로 개입할 수도 있다. 박기영(2011)은 중앙은행의 외환시장 개입에 대한 이러한 특징을 감안하여, Kim and Nelson (1999a) 모형을 원화 미달러화 대비 환율(KRW/USD)에 적용하였다. 박기영(2011)은 원/달러 환율에는 시변하는 추세가 지지선 역할을 하고 있으며, 환율은 추세 상방으로만 간헐적이고 일시적인 이탈을 보인다는 점을 발견하고, 이를 중앙은행의 개입 증거가 될 수 있다고 해석한다. 본고에서는 박기영(2011) 모형을 확대 적용하여, 통화당국의 외환시장 개입을 탐지하는데 보조적 역할을 할 수 있는 모형을 제시한다. 본 모형은 어떤 환율의 주간 혹은 월간 자료만을 이용하여 환율의 대칭적 움직임 혹은 저지선 혹은 지지선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점검한다. 본고에서 사용한 환율자료의 기간은 2011.1월~2017.3월이며, 중국의 경우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일시적인 미달러화 고정환율제에서 관리변동환율제로 복귀 이후인 2009.6월~2017.3월을 대상으로 한다. 해당기긴 동안 중국, 한국, 스위스, 대만의 환율은 지지선 역할을 하는 추세가 존재하며, 추세로부터 간헐 혹은 지속적인 비대칭적 상방이탈이 관측되어 외환당국의 개입이 존재함을 의심할 수 있다. 반면 일본은 위와같은 비대칭적 움직임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관측되지 않았다. 기간을 더 세분화할 경우, 추가적인 가정없이 CHF/EUR 환율만으로도 스위스 중앙은행이 표방한 최저환율정책 기간인 2011.9월~2015.1월을 정확히 추적해 내고 있어, 본 모형의 효율성은 더욱 입증되었다. 또한 표본기간 동안 비교적 대칭적인 움직임을 보인 것으로 추정된 일본의 경우에도, 2012.11월 공표된 아베노믹스의 영향으로 엔화가 약세로 전환된 구간동안은 시변하는 지지선이 존재함을 발견하였다. 이는 엔화의 약세를 용인하는 취지의 아베노믹스 시행이, 결과적으로 외환시장에 직간접적 개입으로 작용하였음으로 추측할 수 있다. 본 모형은 VAR과 같은 구조적 시계열 모형과 달리 외환시장 개입여부를 추정할 때 나타날 수 있는 맹점을 회피할 수 있다는 데에도 장점이 있다. 예를 들어 환율이 절상되는 시기에는, 외환당국의 개입으로 자국통화 절상의 속도를 늦출 수는 있으나 추세를 변경할 정도의 개입이 이루어지지 못할 경우, 구조적 모형은 개입과 환율절상의 관계를 유의미한 양(+)의 관계가 있다고 추정할 것이다. 외환시장 개입은 환율의 움직임에 기인한 것이며 환율의 이러한 움직임이 지속되는한 개입도 지속적으로 이루어진다고 볼 수 있으므로, 모형으로 추정된 계수의 의미를 유의미하게 해석하는 것은 매우 어렵다. 또한 외환당국의 개입목적이 환율 변동성 완환, 인플레이션 억제 등으로 다양하므로, 외환시장 개입은 대부분의 거시경제변수와 위와 유사한 내생성을 지니고 있다. 한편 외환당국의 개입여부가 비공개적일방법 또한 파생상품을 사용함으로써 개입흔적이 잘 남지 않는다는 것도 구조적 모형을 활용한 개입여부 추정을 어렵게 만드는 요인이다. Larsen and Sørensen(2007)은 이에 대해 개입을 명시적으로 고려하는 모형은 설정에 따라 결과가 다르게 나타날 수 있으며, 활용도 역시 크게 떨어진다고 지적하였다. 본 모형은 어떠한 이론적인 가정도 하지 않은채 환율의 시계열적 특징만으로 개입여부를 진단한다. 추정이 상대적으로 쉽고 추정된 계수 하나를 통해 개입여부를 진단하는 용이성이 또한 본 모형의 장점이다. In lure of benefits from currency manipulation, monetary authorities are tempted to implement foreign exchange policy, however in tacit ways. For decades, it is known to be hard to attain footprints of currency intervention by authorities, unless there is the eminent commitments of defending their own currencies from misalignment. Following an idea of Milton Friedman's ``plucking model,'' we propose a state-space model with Markov switching as an auxiliary tool for detecting currency manipulation. Without imposing any a priori restrictions, our model tests if fluctuations of a country's exchange rate are symmetric or if there exists a time-varying support level or resistance level of exchange rate. Using weekly and monthly data of countries on the ``monitoring list'' of U.S. Treasury as of April 2017, we find that exchange rates of China, South Korea, Switzerland, and Taiwan rarely fall below their time-varying trends, but are plucked upward from time to time by transitory shocks, suggesting a possibility that the foreign exchange authorities of these countries may have been intervening more actively against appreciation shocks. Meanwhile, Japan's exchange rate fluctuates rather symmetrically. Our sub-sample analysis reveals that our model accurately captures the period of Switzerland's minimum exchange rate with probability of one and Japan's exchange rate rarely falls below its trend after implementing Abenomics. We discuss the difficulties of detecting FX (foreign exchange) intervention along with the relative strength of our approach.

      • 중국인 학습자의 한국어 음운 규칙 습득 양상 연구

        장설교 서울시립대학교 일반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7615

        本文是以學習韓國語的中國學生為對象,考察他們的韓國語音韻規則習得過程的研究。中國學生雖然已經對韓國語音韻規則有了一定的學習,但是他們在韓國語音韻規則的習得過程中依舊存在很多的困難。本文以初、中、高級中國學生為對象,觀察他們對韓國語音韻規則的運用,從而分析中國學生在韓國語音韻規則習得之前出現的中間語言以及出現其發音現象的原因。 第一章中提出了本文的研究目的和必要性,以及先行研究和研究方法。 第二章中介紹了錄音對象和實驗步驟,以及要考察的韓國語音韻規則和錄音資料。本文要分析的音韻規則包括障礙音的鼻音化、齒槽鼻音化<1>、流音化、硬音化、口蓋音化、子音群单纯化、用言语干末/ㅎ/脱落、/ㅎ/缩约、/ㄴ/添加、连音規則,共10個音韻规则。以在韩国首尔市某大学韩国语学堂学习的初、中、高级學生各7名,共21名中国學生为对象进行录音,录音分兩茬进行。用对话、读长文章、读短文章、根据提出的主题自然对话四种形式进行第一茬录音,通过分析第一茬录音选出最适合本文的录音形式,即对话形式, 用對話形式的錄音材料进行第二茬录音。 第三章整理和分析了實驗結果。借住以韓國語為母語的韓國人的幫助整理了實驗結果,根據實驗結果分析中國學生對韓國語音韻規則的習得狀況,指出在習得過程中出現的中間語言,並且對出現這些發音現象的原因進行分析。首先,通過實驗結果表明初、中、高級學生都未習得的音韻規則有障礙音的鼻音化、流音化、硬音化(障礙音后硬音化除外)、齒槽鼻音化<1>、/ㄴ/添加共5個;初、中、高級學生都已習得的音韻規則只有用言语干末/ㅎ/脱落;其中高級學生已習得而初、中級學生未習得的音韻規則有口蓋音化、子音群单纯化、/ㅎ/缩约;連音規則只有中級學生已習得而初級學生還處於未習得的狀態。第二,中國學生在韓國語音韻規則習得前一般會出現“按照文字標記發音、不讀收音、錯誤使用音韻規則”的發音現象。第三,中國學生在韓國語音韻規則未習得時出現的發音現象一是因為受中國語的影響,二是因為韓國語發音本身比較難或者對韓國語音韻規則不熟悉造成的。而且根據結果顯示大部份學生即使學習過了韓國語音韻規則, 在運用的時候也會出現很多問題。 第四章綜合整理了本文上述內容,提出了中國學生在韓國語音韻規則習得過程中出現的共同特徵并對其進行總結,提出本文的結論。 對外國學生在韓國語音韻規則習得過程的現象進行研究需要長時間的觀察,但是本文只是對相同環境下學習的中國學生進行了調查沒能進行長時間的觀察,這是本文的局限性。這也將成為以後集中研究的課題。 This research is about the aspect of Chinese students acquiring knowledge of phonological rules of Korean language when studying Korean language. Despite studying the phonological rules of Korean language, the Chinese students are having difficulty acquiring knowledge the phonological rules of Korean language. This dissertation aims to disclose the cause of the aspects of the inter-language and pronunciation before the Chinese students who are in beginning, intermediate, and advanced levels acquire knowledge of the phonological rules of Korean language. The first chapter presents the objectives and necessity of the research, preceding researches and the method of research. The second chapter presents the subject of experiment and the procedures, the phonological rules as the subject of analysis and experimental materials. In this research the 10 phonological rules were selected to be the subjects of analysis such as obstruent nasalization, alveolar Nasalization<1>, lateralization, labial spreading, palatalization, simplification of compound consonant, elimination of /ㅎ/, abbreviation of /ㅎ/ and addition of /ㅎ/ within a predicate stem and prolonged sound rules. A recording experiment was processed divided into two times on 21 Chinese students, 7 each from beginning, intermediate, and advanced levels of the Korean language school. The first experiment was processed with the 4 types such as conversation, reading of a long writing and short writing and free speech on given subjects, and the most appropriate experiment type for the research, the conversation type, was selected as the material for the second experiment which was determined through the first experiment. The third chapter is about the result and analysis of the experiment. The experiment result was analyzed with a support from a narrator who speaks Korean as his mother tongue, according to the experiment result observation was made to see if the Chinese students have acquired the knowledge of the phonological rules of Korean language and which inter-language they processed through, and the cause of the aspect of pronunciations was analyzed. According to the experiment result, the rules that are not being learnt by the students from beginning, intermediate, and advanced levels are determined to be the 5 types such as obstruent nasalization, lateralization, labial spreading excluding the back labial spreading, alveolar Nasalization<1> and the addition of /ㄴ/, and the rule learnt by all the students from the beginning, intermediate, and advanced levels was the elimination of /ㅎ/ only within the predicate stem. It is also analyzed that In the case of palatalization, simplification of compound consonant and elimination of /ㅎ/, they were learnt by the students of advanced level but not by the students of beginning, intermediate level. Secondly the cause of the aspects which occur before the Chinese students acquire the knowledge of the phonological rules of Korean language was analyzed that, it is due to their mother tongue Chinese language and also because the pronunciations of Korean language is difficult as well as the phonological rules of Korean language not being recognised at all. It is also revealed that there were number of cases where most of the students did not apply the phonological rules of Korean language despite being aware of it. The forth chapter summarizes the contents discussed above and presents the result after analysing the similar characteristics that were seen from most of the Chinese students before they acquire the knowledge of phonological rules of Korean language. Observing the aspects of foreign students acquiring the knowledge of phonological rules of Korean language has to be conducted through a long period however, in this research there was a limitation of conducting a long term observation because the students were in a similar environment. In the future it will be our assignment to focus and find more about this sector. 본 연구는 한국어를 배우는 중국인 학습자들의 한국어 음운 규칙 습득 양상에 대한 연구이다. 한국어 음운 규칙을 학습하였음에도 불구하고 중국인 학습자들이 한국어 음운 규칙에 대한 습득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본 논문은 중국인 초·중·고급 학습자를 대상으로 음운 규칙의 적용 양상을 관찰하고 학습자들이 한국어 음운 규칙이 습득되기 전에 거친 중간언어와 그 발음에서 나타나는 양상들의 원인을 밝히고자 하였다. 제1장에서는 본 연구의 연구 목적 및 필요성, 선행 연구, 연구 방법을 제시하였다. 제2장에서는 한국어 음운 규칙의 습득 양상을 살피는 실험 대상 및 절차, 분석 대상 음운 규칙 및 실험 자료를 제시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장애음의 비음화, 치조비음화<1>, 유음화, 경음화, 구개음화, 자음군단순화, 용언 어간말의 /ㅎ/탈락, /ㅎ/축약, /ㄴ/첨가, 연음 규칙 10개의 음운 규칙을 분석 대상 음운 규칙으로 삼았다. 그리고 서울 소재 모 대학교 한국어학당 초·중·고급반 각각 7명, 총 21명의 중국인 학습자들을 대상으로 녹음 실험은 두 차례로 나눠서 진행하였다. 대화하기, 장문 읽기, 단문 읽기, 주어진 주제로 자연 발화하기 네 가지 유형으로 1차 실험을 진행하였으며, 1차 실험을 통해 본 연구에 가장 맞는 실험 유형, 즉 대화하기 유형을 2차 실험 자료로 선정하였다. 제3장에서는 실험 결과 및 분석이다. 한국어를 모국어로 하는 화자의 청취 도움을 받아 실험 결과를 정리하였으며, 실험 결과에 따라 중국인 학습자들이 한국어 음운 규칙에 대해 습득되는지 그리고 한국어 음운 규칙의 습득 과정에 있어 어떤 중간언어를 거쳤는지에 대해 살펴보고 그 발음 양상들이 나타나는 원인에 대해 분석하였다. 우선, 실험 결과에 따라, 초·중·고급 학습자들 모두 습득되지 않는 규칙은 장애음의 비음화, 유음화, 장애음 뒤 경음화를 제외하는 경음화, 치조비음화<1>, /ㄴ/첨가 다섯 가지가 있다고 밝히고 초·중·고급 학습자들 모두 습득한 규칙은 용언 어간말의 /ㅎ/탈락 규칙 하나만 있다는 것을 밝혔다. 그리고 구개음화, 자음군단순화와 /ㅎ/축약의 경우 고급 학습자들만 습득되어 있지만 초급·중급 학습자들은 습득되지 않았으며, 연음 규칙은 중급 학습자만 습득되어 있지만 초급 학습자들은 습득되지 않는 것으로 분석하였다. 둘째, 중국인 학습자들이 한국어 음운 규칙의 습득되기 전에 대부분 크게 ‘표기대로 발음하기, 받침 탈락시켜 발음하기, 잘못된 음운 규칙을 적용하기’의 잘못된 발음 과정을 거쳐서 고급으로 갈수록 점차 습득되어 가고 있다는 것을 밝혔다. 셋째, 중국인 학습자들이 한국어 음운 규칙이 습득되기 전에 나타나는 양상들의 원인은 모국어인 중국어의 영향을 받기 때문이기도 하며, 한국어 발음 자체가 어렵거나 한국어 음운 규칙에 대해 전혀 인식하지 못하기 때문이기도 한다는 것으로 분석하였다. 그리고 대부분 학습자들이 한국어 음운 규칙을 인식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음운 규칙을 적용하지 않은 경우가 많다는 것을 밝혔다. 제4장에서는 이상에서 논의된 내용을 요약하고 중국인 학습자들이 한국어 음운 규칙이 습득되기 전에 거친 과정에서 그들에게 모두 나타나는 비슷한 특징을 정리해 보고 결론을 제시하였다. 외국인 학습자들의 한국어 음운 규칙 습득 양상을 살피는 데 있어 학습자들의 학습 양상을 장기간 지켜봐야 하지만, 본 연구에서는 비슷한 환경에서 공부하는 학습자들을 대상으로 실험을 하였으므로 학습자들의 학습 양상을 시간을 두고 지켜보지 못하는 한계가 있었다. 앞으로 이 부분에 대해 더 집중적으로 밝히는 것이 과제가 될 것이다.

      • 중국 오방언권 학습자의 한국어 발음 오류에 대한 연구 : 음절을 중심으로

        하설민 서울시립대학교 일반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7615

        본 논문은 오방언권 학습자가 한국어를 배울 때 나타나는 발음 오류에 대한 연구이다. 외국어를 학습할 때 발음을 함에 있어서 모국어의 영향을 많이 받을 수 있다. 중국 땅이 넓고 민족도 많기 때문에 사람들이 사용하는 제1언어는 표준어가 아니고 방언이다. 그래서 중국인이 한국어를 배울 때 방언의 영향을 많이 받을 수 있다. 또 지금까지 방언권 화자를 위한 한국어 발음 연구는 대부분 음소의 대조를 중심으로 진행하였다. 중국어권 화자의 한국어 오류의 발생 원인은 단순히 음소 차이에서 나오는 것이 아니라, 음절의 차이로 인한 간섭도 많다. 그래서 본고는 오방언권 화자의 한국어 오류 발음 교육에 초점을 맞추어 오방언과 표준어, 그리고 한국어의 음절 구조, 음소체계, 음소 결합 제약 등을 대조하여 실제 오방언권 화자와 표준어권 화자의 발음 오류 차이를 밝히고 그것을 바탕으로 두 방언권 화자를 위한 교육 방안을 제시했다. 제1장에서는 본 연구의 연구목적, 선행연구, 그리고 연구방법을 제시하였다. 제2장에서는 한국어와 중국 오방언 그리고 표준어의 음절 구조 체계, 음절 구성 성분, 음소결합 체계를 대조했다. 대조를 통해서 오방언권 화자와 표준어권 화자가 초성, 중성, 종성을 발음할 때 발생할 수 있는 오류와 초, 중, 종성이 결합할 때 발생할 수 있는 오류를 각각 예측했다. 제3장에서는 실험 대상, 실험 자료, 실험 절차를 제시했다. 본 연구는 한국어 능력시험 중급과 고급을 취득한 오방언권 학습자 8명과 표준어권 화자 8명을 실험 대상으로 녹음 실험을 두 차례로 나눠서 진행하였다. 1차 실험은 오방언권 화자를 대상으로 진행하고 2차 실험은 표준어권 화자를 대상으로 진행했다. 제4장에서는 실험 결과를 정리하고 오방언권 화자와 표준어권 화자가 한국어를 발음할 때 나타나는 오류와 원인을 분석했다. 두 방언권의 발음 오류는 크게 다섯 가지가 있다는 것을 밝혔다. 첫째, 오방언권 화자와 표준어권 화자가 모두 평음과 경음을 구별하지 못하고 평음을 경음으로 발음한다는 것을 밝혔다. 둘째, 오방언권 화자와 표준어권 화자가 모두 단모음 /어, 오/ 발음의 오류가 많이 나타나지만 오류 유형과 원인이 다르다는 것을 밝혔다. 셋째, 오방언권 화자의 이중모음 발음 오류가 표준어권 화자보다 많고 오류 원인과 유형 또한 다르다는 것을 밝혔다. 넷째, 오방언권 화자와 표준어권 화자가 종성 /ㄴ, ㅇ/ 발음 오류가 많고 오류 원인이 각자 다르다는 것을 밝혔다. 다섯째, 오방언과 유사한 한국어 발음을 서로 결합할 때 오방언의 성운결합의 영향을 받기 때문에 오류가 많이 나타나고 표준어도 마찬가지였다는 것을 밝혔다. 제5장에서는 오류 결과를 바탕으로 오방언권 화자와 표준어권 화자를 위한 교육 방안을 제시했다. 오방언권 화자와 표준어권 화자가 많이 나타내는 오류에 대하여 각각 발음설명을 하고 정확한 발음을 할 수 있도록 입술 모양 그림도 제시하였다. 본 연구는 오방언권 화자가 한국어를 발음함에 있어서 오방언과 한국어의 음절 차이로 인해 나타나는 오류를 살펴보았으며 이는 오방언권 화자를 위한 한국어 발음 교육에 도움이 될 것이다. 하지만 한국어 억양, 음운 변동, 그리고 음절과 음절의 결합 등 영역에 대해서는 다루지 못한 한계점이 있다. 앞으로 방언권 화자를 위한 다양한 영역에서의 한국어 발음 연구들이 더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 수열액화를 이용한 하수슬러지의 지질회수 효율 증대 및 잔류물의 연료특성

        오두영 건국대학교 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7615

        생활의 질적 향상은 생활하수의 증가를 가져왔고 그에 따라 하수처리 시설 및 하수 슬러지 발생량도 증가하였다. 증가한 하수 슬러지는 에너지 자원화의 원료로서 재평가 받고 있으며, 다양한 방법이 연구 되고 있다. 그 중 한 방법은 하수 슬러지를 바이오 디젤의 원료로서 활용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하수 슬러지 내의 지질성분을 이용하여 바이오디젤을 생산하는 기술은 연구 과정에 있으며 많은 연구를 필요로 한다. 또한 하수 슬러지를 이용한 바이오 디젤 생산에서 수율을 높이기 위해서는 하수 슬러지 내의 지질 회수 효율을 높일 필요성이 있다고 판단된다. 하수 슬러지는 종류별 및 처리시설 별로 각각의 특성이 다르지만 평균 함수율 80%(탈수케익 기준)의 고함수율을 갖고 있으며 평균 10~15%의 지질성분을 함유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하수슬러지를 이용한 지질추출 회수율은 1차 슬러지의 경우 7.56~14.01%, 2차 슬러지의 경우 5.35~11.55% 등으로 포함된 지질성분에 비해 낮은 회수율을 보이고 있다. 이에 따라 하수 슬러지의 지질 회수효율 향상을 위한 전처리가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또한 1차 슬러지와 달리 2차 슬러지와 소화슬러지의 지질성분은 주로 미생물막의 세포벽에 포함된 성분으로 이를 분해 후 회수하기 위한 전처리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적정한 전처리 방법이 필요하며 하수 슬러지와 같은 수분 함량이 높은 시료의 경우 수분함량에 제약이 적은 전처리 방법이 적절하며 그 방법으로 수열액화(Hydrothermal Liquefaction, HTL) 처리가 최적이라고 판단된다. HTL 전처리에 앞서 적정 반응 온도를 찾기 위한 실험을 진행하여 적정온도를 200 ℃로 설정하였고, 200 ℃ 기준으로 하수 슬러지의 종류별 HTL 전처리 후 지질 회수효율을 평가하였다. 실험 결과 2차 슬러지와 소화 슬러지에서 HTL 반응에 의해 지질 회수효율이 225 %, 235 % 증가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추출 한 지질을 통해 바이오 디젤을 회수하여 성상을 분석하였고, 분석 결과 FAMEs (Fatty Acid Methyl Ester)의 혼합물 중 C16과 C18의 FAMEs 성분이 주를 이루고 이는 팜유를 통해 회수한 바이오 디젤 성상과 유사함을 확인 할 수 있었다. 또한 FAMEs 의 함량이 25.5 %로 기타 문헌들에서 보고 된 함량과 유사하거나 더 높은 결과값을 보임을 확인 하였다. 또한 하수 슬러지의 지질 성분을 회수하여 바이오 디젤을 생산하면 슬러지의 잔류물이 남게 되고 그 양이 고형물 기준 약 80 %임을 확인 할 수 있었다. 따라서 잔류물의 처리·처분을 위한 특성분석을 진행하였으며 그중 연료화 특성에 초점을 맞춰 고형연료로서의 평가를 시행해 보았다. 잔류물의 공업분석 및 원소분석, 발열량, FT-IR 측정 결과 고형연료로서의 활용하기엔 미비한 특성을 보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렇기 때문에 잔류물의 고형연료화를 위해서는 보다 많은 연구가 필요 하다고 판단 할 수 있었다. As quality of life was improved, people produced more domestic sewage, and in turn, more sludge from wastewater treatment plants. Currently, the increased sewage sludge is being reconsidered as a source of energy and studied in various ways. One of such is to utilize sewage sludge as a fuel to produce biodiesel. The technology to produce biodiesel by extracting lipids from sewage sludge is currently being in the laboratory stage and more research is needed. And the efficiency of lipid recovery should be improved so that biodiesel produced from sewage sludge will have higher yield. While sewage sludge has difference features depending on its types and treatment plants, its water content is an average of 80% compared to a dehydration agent and known to have 10 to 15% of lipid components on average. The lipid recovery rates for the first and second steps in a sludge treatment process are at 7.56 to 14.01% and 5.35 to 11.55%, respectively, relatively lower than its lipid content.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facilitate pretreatment to improve the efficiency of lipid recovery from sewage sludge. Since the lipids of digested sludge and sludge in the second step, unlike those in the first step, contain the elements often found in the cell walls of microbial film, pretreatment is needed to recover the lipids after decomposition. That is why proper pretreatment is needed. Like sewage sludge, if sludge has high water content, the pretreatment measures, which do not limit the content of water, will be proper. That is why Hydrothermal Liquefaction (HTL) is determined to be the most appropriate method. Before proceeding with HTL, we conducted an experiment to find a proper temperature level for reaction and set it at 200︒C. After HTL, we checked the lipid recovery efficiency of various types of sludge at 200︒C. The result showed that HTL pretreatment raised the recovery efficiency of digested sludge and sludge in the second step by 225% and 235%, respectively. We recovered biodiesel from extracted lipids and analyzed its features, and the results indicated that among the mixtures of FAMEs (Fatty Acid Methyl Ester), most consists of FAMEs of C16 and C18, of which the features were similar to that of biodiesel recovered from palm oil. We also found out that the percentage of FAMEs was 25.5%, similar to or higher than the figure from other studies. In addition, biodiesel created from the recovered lipids in sewage sludge left its residues, which account for 80% of the average solid matter. Therefore, we continued to analyze the features before treatment and disposal of the residues, and evaluated them to find out whether they can be used as a solid fuel by focusing on their feature as a fuel. After completing proximate and ultimate analysis as well as measuring heating values and FT-IR of the residues, we found out that the residues were insufficient to be used as a solid fuel. Therefore, we concluded that further research should be conducted to produce a solid fuel from sewage sludge. sludge.

      • 성격유형에 따른 효율적인 음악교육의 방향 연구 : MBTI의 이론과 실습을 중심으로

        안미희 가톨릭관동대학교 2018 국내석사

        RANK : 247599

        학생과 교사의 관계는 음악을 만드는 과정처럼 즐거워야 한다. 그러나 때로는 배움과 연습의 긴 과정만큼이나 고통이 따를 때도 있다. 학생과 교사와의 관계는 어떻게 음악에 접근할지 배우는 과정에도 영향을 미치게 된다. 그리고 교사들에게는 학생들과의 관계를 통하여 그들의 미래를 결정 짖기도 한다. 학생과 교사와의 관계가 실제로 이와 같이 중요하다면, 갈등이나 오해 또는 이해도의 격차를 줄이려는 시도가 필요하다. 이 모든 것은 이해하는 것에서부터 시작되어야 할 첫 번째 단계일 것이다. 변화라는 것은 마술처럼 즉각적으로 일어나지 않으며 기나긴 노력의 시간 끝에 찾아오게 된다. 사람들과의 관계에서 무엇인가 잘못되었다 판단될 때 한 사람의 잘못이 아님을 이해하려는 성숙한 태도가 필요하다. 항상 열린 마음을 유지하면서 꾸준히 노력되어져야 할 것이다. 이 엄청난 노력을 통해서만이 이해할 수 있을 것이며 평화가 찾아올 것이다. 본 논문에서는 음악교육에서 교사와 학생간의 관계를 전문적으로 고려하는 사람들을 대상으로 도움이 되고자 MBTI라는 성격심리유형검사 도구를 통하여 사람들의 기질적 특징과 교사입장에서 그러한 기질을 가진 학생들을 위한 교육방법에 대하여 알아보았다. 이러한 연구주제를 중심으로 교육방법에 대한 결과를 요약해 보면 다음과 같다. ISTJ – 분명하고 구체적으로 일관되게 설명하며 규칙을 정해주고 해야 할 것이 무엇인지 정확하게 알려주어야 한다. ISFJ – 명확하고 구체적이며 실용적인 제안을 하되, 자신이 하는 과제를 잘 하도록 도와주며 잘 한 것은 칭찬으로 격려해야 한다. INFJ – 자신이 추구하는 것을 수행할 수 있도록 자유를 주며, 전체적인 흐 름을 파악할 수 있도록 음악 외적인 것과 연관 지어 설명하여 흥미 를 끌어야 한다. INTJ – 독창적이고 창의적인 것에 관심을 가지므로 논리적으로 설명하며 새로운 곡에 도전하고 분석하도록 한다. ISTP – 추상적인 아이디어를 제시하는 것 보다는 짧고 분명하게 세부적이 고 논리적인 지침을 주어야 한다. ISFP – 스스로 관심 있어 하는 분야에 특별히 더 노력하는 경향이 있으므 로 자신이 흥미로워 하는 곡으로 배울 수 있도록 한다. INFP – 구체적인 세부사항을 설명하기 보다는 음악과 연관 지을 수 있는 이야기나 역사를 설명함으로 전체적인 흐름을 파악 할 수 있도록 한다. INTP – 음악을 분석하거나 수학적인 측면으로 접근하는데 능하므로 스스 로 몰입할 수 있도록 하며 설명할 때는 빈틈없이 논리적으로 해야 한다. ESTP – 스스로 하려는 것에 대한 열정과 능력에 대해 칭찬하되, 실질적인 세부사항을 지침 하여 목적을 가질 수 있게 도와야 한다. ESFP – 재미있게 배울 수 있는 방법을 찾아주고 적절하게 자극해주며 포 괄적으로 제시하기 보다는 세분화된 접근방식으로 문제를 해결하도 록 한다. ENFP – 상상력을 자극할 만한 묘사로 자극을 주며 열정과 아이디어에 칭 찬하며 격려하되, 현실적인 부분이 약하므로 현실적인 방법을 함께 찾아가며 도와야 한다. ENTP – 특정방법을 강요하지 말고 관심을 가질 수 있도록 지적욕구를 자 극하고 충족시켜 주어야 한다. ESTJ – 실질적인 요점을 구체적으로 설명해야하며, 완성을 위한 학습구상 을 하여 시행하도록 도와야 한다. ESFJ – 제안하기 전에 항상 칭찬하며 학생이 노력하는 것을 인정하며 자 신의 잠재력을 발휘할 수 있도록 구체적이고 상세하게 재안해야 한 다. ENFJ – 자신이 가진 아이디어나 생각을 공유하도록 하고 인도적인 연관성 을 지어 학생들에게 동기부여가 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ENTJ – 스스로 분석할 수 있고 성취감을 느낄 수 있을 만한 과제를 주어 자극을 주며 지침 할 때는 논리적으로 분명하게 해야 한다. 이와 같이 각 기질적 특징에 따라 그 특징에 맞는 다양한 교육방법이 요구된다. 학생들을 효과적으로 교육하기 위해서는 그 학생에 대해서 잘 알아야 한다. 그러므로 성격을 이해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모든 학생들을 16가지 성격으로 다 서명할 수 없지만 이러한 틀을 기준으로 학생들을 이해하는 데는 많은 도움을 줄 것이다. 또한 성격을 완벽하게 아는 것이 중요한 것이 아니라 각 학생들의 모습을 있는 그대로 인정하면서 각 유형에서 덜 발달된 부분들을 개발 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것이 중요하다. 이 연구를 시작으로 음악 교육의 방법 또는 방향에 대하여 다양한 시도로 꾸준히 연구되어져야 할 것이다. 그래서 지도하는 교사에게 여러 기질의 학생들을 이해함으로 더 나은 교육환경을 제공할 수 있기를 바라며 음악을 배우는 학생들에게는 높은 성취도와 음악교육의 질이 더욱이 향상되기를 기대한다.

      • 한국 현대기독교음악(C.C.M) 장르의 대중화를 위한 음악의 접근성 확대 방안 연구

        이새론 단국대학교 문화예술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7599

        미국 가스펠음악으로부터 발전한 CCM은 한국전쟁이후 미군이 주둔하게 되면서 미국 선교사들에 의해 국내에 전파 되었다. CCM은 현대의 음악스타일로 표현된다는 점에서 대중음악과 장르의 유사성을 가진다. 하지만 가사에 기독교 정신과 복음의 메시지를 담아내는 음악이라는 점에서 대중음악과의 차이를 나타낸다고 할 수 있다. 1970년 급격한 산업화․도시화가 진행되면서 한국 교회는 세계적으로 찾아볼 수 없을 정도의 빠른 성장을 이루었다. 한국 교회의 부흥과 함께 CCM도 1980~90년대에 걸쳐 그 전성기를 이루어 갔다. 그러나 2000년대로 접어들면서 갑작스런 외환위기와 MP3다운로드, 음원스트리밍 서비스 제공으로 음악 시장이 바뀌면서 CCM계에도 위기가 찾아왔다. 또 대중음악계에서 H.O.T,핑클, S.E.S, 서태지, 솔리드와 같은 대형 팬덤을 형성한 가수들의 활동이 활발해지면서 CCM계를 향한 대중의 관심은 점점 사라져 갔다. 한국 CCM계는 이러한 변화들에 발 빠르게 대처하지 못하고 결국 관심의 저하가 소비의 저하로 이어지면서 기독교인들만이 찾는 음악으로 그 영향력이 국한 되었다. 본 논문에서는 먼저 CCM의 기본적인 이론과 한국 CCM의 시대별 발전과정을 살펴본다. 또 CCM을 대중화한다는 것의 의미와 음악적 접근방법에 대해 알아보고 대중화 된 CCM의 사례를 통한 흥행요인 분석과 CCM 음악의 주요 기능들에 대해 살펴본다. 마지막으로 현재 한국 CCM 시장현황을 바탕으로 장르의 대중화를 위한 음악의 접근성 확대 방안은 무엇인지 크게 두 가지로 구분하여 해결책을 제시한다. 오늘날 대중문화와 미디어가 발달함에 따라 현대인들은 정서적인 풍요로움을 누리게 되었다. 그로인해 많은 사람들은 종교와 점점 멀어져 갔고 그들에게 복음을 전하거나 교회로 전도하는 일은 이전보다 훨씬 어려워졌다. 그럼에도 세상으로 선한 영향력을 확대하고 복음의 메시지를 전달하기 위한 수단으로 CCM을 선택하게 된 이유는 CCM은 어떤 특정한 사회나 문화에 특정한 의미를 전달할 수 있는 좋은 의사소통적 매개체가 되기 때문이다. CCM전문가 폴 베이커(Paul Baker) 역시 “CCM은 젊은 세대의 귀를 열리게 할 수 있는 좋은 음악이다. 왜냐하면 CCM은 그들의 언어이기 때문이다.”라고 말하고 있다. 이 논문은 CCM이 가지는 음악의 가치를 바탕으로 장르의 대중화를 이루기 위한 음악의 접근성 확대 방안을 제시함으로써 앞으로의 한국에서의 CCM음악이 보다 활성화 되어질 수 있도록 도움을 주고자 한다. Derived from the American gospel music, Contemporary Christian Music, or CCM for short, was initially introduced and spread to Korea by American missionaries after the Korea War as the U.S. Troops took presence in the Peninsula. CCM is similar to pop music as it harnesses the style of modern music. The contrast is made by its lyrics as they carry the spirit an message of Christianity and Gospel. The Korea church has experienced an unprecedented growth that no other church around the world has experienced during the drastic industrialization and urbanization in the 1970s. And along with the revival of Korea churches, CCM has also reached its peak during the 80s and 90s. But entering into the 2000s, with the sudden foreign exchange crisis and the coming of downloadable MP3 files and music streaming services have forever changed the music market, creating a crisis for CCM industry as well. Also, as K-pop artists with giant fandoms such as H.O.T, Fin.K.L, S.E.S, Seo Tai-ji, and Solid became more active, the public interest in CCM has inevitably declined. The CCM industry in Korea failed to respond quickly to such change, which resulted in falling interest, which again led to the decrease in consumption. Ultimately CCM has becoming a type of music that only Christians would consume, limited in its reach. This thesis will first and foremost review the basic theory of CCM and the historical development process of CCM in Korea. It will also examine the meaning of popularizing CCM, take a look at the musical approach it would take, analyze the so-called ‘success factors’ of a popularized CCM via a case study, and examine the main function of CCM. And lastly based on the current CCM market in Korea, a solution on how to expand a music’s accessibility to popularize a genre will be provided, classified into two categories. People nowadays can enjoy emotional abundance thanks to the development of pop culture and media. But at the same time, people have become more distant to a religious lifestyle, which in turn made it more difficult to share the Gospel or invite people to church. Nevertheless, CCM has been chosen as a medium to exert good influence to the world and spread the Gospel, because the genre is an incredible tool to convey a certain meaning to a certain society or culture. Paul Baker, a CCM expert says CCM is an excellent type of music that the younger generation will listen to because CCM appeals to them in their language. This thesis will propose a measure to expand the music’s accessibility to popularize a genre on the basis of the musical value CCM holds, in order to possibly vitalize CCM in Korea.

      • 보사노바 음악이 세계 음악 시장에 수용되는 과정의 연구 : <Jazz Samba>, <Getz / Gilberto> 앨범을 중심으로

        김주상 단국대학교 문화예술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7599

        이 논문은 보사노바 음악 탄생의 배경이 되는 브라질의 1950년대 문화 주도층의 성향과 전통적인 음악 특징을 살펴보는 동시에, 미국의 쿨재즈를 만나 세계 음악 시장에 수용되는 과정을 연구 대상으로 한다. 그리고 보사노바 음악에서 가장 중요한 인물인 조앙 질베르뚜(João Gilberto)와 안토니우 카를루스 조빙(Antonio calros jobim), 그리고 조빙의 성공의 신호탄인 비니시우스 지 모라이스(Vinicius De Moraes)를 통해 음악적 작업 결과와 함께 보사노바의 탄생 과정을 살펴보았다. 또한, 펠릭스 그랜트(Felix Grant), 찰리버드(Charlie Byrd), 스탄 갯츠(Stan Getz)와의 만남이 브라질 음악이 미국 음악 시장에 소개 되며 전파되는 중요한 연결 고리임을 밝혀 냈다. 새로운 음악이 장르로 인정을 받으려면 여러 조건이 필요하다. 시대사적인 배경과 개연성이 필요하며 음악적, 학술 가치가 있어야 한다. 또한, 사회 관심사의 조건에 충족해야 하므로 대중과 상업적으로 성공해야 하고 여러 음악가에 의해 다시 조명되고 재창조되며 그 가치를 인정받아야 한다. 따라서 이 논문은 보사노바가 음악 장르로서의 가치를 연구하고 미국 음악 시장에 보사노바 앨범이 소개된 1962년 <Jazz Samba> 앨범과 1963년 발표된 <Getz / Gilberto> 앨범을 통해 구체적 성공사례를 살펴보았다. 또한, <Jazz Samba> , <Getz / Gilberto> 두 앨범이 발매된 1962년 이후 다른 연주가, 가수에 의해 발매된 보사노바 음악 앨범이 세계 음악 시장에 어떤 영향을 미쳤는지를 1963년부터 1970년까지 보사노바 앨범 발매와 음악차트 분석 위주로 조사하였다. 유행은 시간의 영속성과는 거리가 있는 일정 기간 동안의 문화, 행동양식의 공유이다. 보사노바 또한 1958년~1963년 약 5년간 브라질에서 유행한 음악으로 인식될 수 있었으나 재즈와 만나며 변모했고 재즈 삼바라는 이름으로 세계 음악 시장의 교두보인 미국에 소개되면서 상업적, 음악적 가치를 인정받게 되었다. ‘새로운 양식'이라는 의미에 맞게 보사노바는 전통 삼바의 리듬이 주는 변칙 음악적인 것을 추구하면서 보다 절제되며 정제된 리듬과 멜로디, 그리고 시적인 가사를 표현했다. 본 연구는 보사노바는 미국의 대중음악을 모방하여 출발하지 않고 브라질 민속 음악의 독창적인 정체성을 유지하며 미국 음악 시장을 시작으로 세계 음악시장에서의 성공사례를 통해 보사노바가 ‘유행'이 아닌 영속성을 가진 음악 장르임을 밝힐 수 있었다. This thesis attempts to examine the tendency of the major group of cultural consumption in 1950s in Brazil where bossa nova music was born and the characteristics of traditional music and to explore the process of accepting in the world music market after meeting cool jazz in America. Moreover, the process of the birth of bossa nova was observed along with the results of musical work through the most important figures such as João Gilberto and Antonio Calros Jobim and Vinicius De Moraes regarded as the beginning of success signal. In addition, meeting with Felix Grant, Charlie Byrd, and Stan Getz is surely considered as an important connection that Brazil music was introduced in American music market. In order to recognize a new music as a genre, lots of conditions are required. Historical background and probability are needed and the musical and artistic values should be included. In addition, a new music should be successful commercially to satisfy the social interests and it should be revived and recreated by various musicians. Therefore, this thesis examined the value of bossa nova as a music genre and observed a practical successful cases through the albums including <Jazz Samba> that introduced bossa nova to American music market in 1962 and <Getz / Gilberto> released in 1963. Moreover, after 1962 when two albums <Jazz Samba> and <Getz / Gilberto> were released, the influence of bossa nova albums released by other music performers and singers on the global music market was observed, focusing on the release of the albums and music chart analysis from 1963 to 1970. Trend is the sharing of culture and behavior patterns during the certain period of time, not for permanent time. While bossa nova can be considered as a music popular in Brazil for approximately 5 years from 1958 to 1963, it changed after meeting jazz and its commercial and musical values became recognized after it was introduced in America, a bridgehead of the global music market. Bossa nova expressed refined rhythm, melody, and poetic lyrics along with the meaning of 'new style', pursuing irregular musical elements based on a traditional samba rhythm. This thesis made a conclusion that bossa nova is a music genre that is not 'trend' but permanence through the successful exemplary case of bossa nova that maintained the distinctive identity of Brazil traditional music, not imitating American popular music and gained a sucess in the American music market and expended its success to the global music market.

      • 한국어 마찰음 'ㅅ' 'ㅆ' 발음 연구 : 북경어권과 광동어권 중국인 학습자를 중심으로

        이혜 서울시립대학교 일반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7599

        본 연구는 중국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는 북경어권과 한국어 발음과 유사점이 많은 광동어권의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들의 한국어 발음을 연구하고자 한다. 한국어 발음에서도 마찰음을 연구하여 실험할 텐데 그 까닭은 중국 학습자들이 한국어 학습 시 많은 오류가 발생하는 발음 중 하나이며 음절이 비교적 대립하기 용이하다. 옛 시대 중국어는 현재의 보통화와는 많은 차이점이 있다. 하지만 광동지역은 남부지방이라 교류가 활발하지 않아 아직도 중원 한어의 운미가 남아있다. 모든 중국 방언 중에 광동어는 중국 중원 한어의 가장 비슷하게 유지하고 있다고 볼 수 있다. 또한 한국 한자음은 중국 중원 한어 시기의 발음을 기초로 하고 있다. 그리고 한국 한자음은 중국 중원 한어의 특징을 비교적 잘 보존하고 있다고 볼 수 있다고 하였다. 이는 한국어와 광동어가 음운적으로 유사한 점이 많다는 근본적인 원인이라고 볼 수 있다. 이와 같은 근거를 통해 두가지의 실험을 하였다. 첫 번째 실험은 청취 실험이다. 북경어권과 광동어권의 한국어 학습자에게 한국인의 마찰음을 들려준 후 마찰음을 판별할 수 있는지를 실험하였다. 두 번째 실험은 산출 실험이다. 북경어권과 광동어권의 한국어 학습자는 한국어 마찰음 단어와 문장을 녹취한다. 녹취한 것을 한국인에게 들려준 후 한국인의 마찰음 발음과 비교 하여 유사성과 차이점을 판단하여 점수를 매긴다. 북경어권과 광동어권 두 방언의 영향으로 중국인 학습자가 한국어 마찰음 발음을 판별할 수 있는지 한국어 마찰음 발음을 할 때 어떠한 발음을 하는지 두 방언의 한국어 마찰음에 대해 유사성과 차이점을 실험하는 것이 주목적이다. 실험 결과 북경어권과 광동어권 마찰음의 표기법이나 음성음운은 같지만 서로 다른 방언으로 처음 접한 외국어인 한국어를 인식하는데 다른 양상을 보인다. 실험을 토대로 한국어와 유사한 광동어와 중국의 표준어인 보통화를 비교하여 한국어 마찰음 교육에 대해 교육 방안을 연구한다. 교육 방안의 첫 번째. 제시 단계는 교육자가 학습자에게 학습 목표를 명확하게 인식시키는 단계이며 학습 내용을 정확하게 소개하는 단계이다. 두 번째. 설명 단계는 교육자가 앞의 제시 단계에서 제시한 학습 내용을 학습자에게 구체적으로 정확하게 이해시키는 단계이다. 세 번째. 반복 단계는 교육자가 학습자에게 제시하고 설명한 내용을 학습자가 자기의 것으로 소화시키기 위한 모방과 반복의 단계이고 습관 형성의 단계이다. 네 번째. 응용 단계는 교육자가 학습자로 하여금 앞의 단계에서 학습한 내용을 다양한 상황에 적용시켜 보게 함으로써 학습 내용을 완전히 학습자의 소유로 만들어 자유롭게 활용할 수 있게 하는 전이의 단계이며 전환의 단계이다. 실험을 통한 선행연구들의 결과 또한 광동어 음운이 한국어와 유사하다고 밝힌바 있다. 광동어권 학습자의 학습 방식을 인용하여 한국어 발음과 유사한 마찰음 단어들을 선정하여 발음의 차이점과 유사점을 인식하도록 한다면 북경어권이나 다른 방언, 다른 외국인에게도 효과를 볼 수 있다고 본다.

      • 소비와 총자산의 관계가 예상 수익률에 미치는 영향 : 한국의 사례

        전근영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599

        거시경제의 움직임을 통해 주식 수익률을 예측하는 대표적인 모형인 Lettau and Ludvigson의 모형이 우리나라의 주식시장 수익률을 예측할 수 있는지를 검정한다. 예산제약식에서 유도된 Lettau and Ludvigson 모형의 함의는 미래의 자산수익률이 높아지거나 소비증가율이 작아질 것이라고 예상하면 현재기의 소비가 증가하여 소비-총자산 비율이 증가한다는 것이다.1980년 1분기부터 2007년 4분기까지 우리나라의 소비(비내구재 및 서비스), 자산(금융자산), 임금의 시계열 자료는 1개의 공적분(cointegration) 관계를 갖고 있다. 이러한 관계를 이용하여 동태적 최소자승법(dynamic least squares)를 통해 공적분 잔항을 도출한다.소비-총자산 비율과 거시변수와의 단기관계에서 소비-총자산 비율은 금융자산증가율과 소비증가율에 대해 통계적으로 유의한 양의 계수가 도출된다. 따라서 소비-총자산 비율이 금융자산의 일부인 주식 수익률을 예측할 수 있는 대리변수로 사용된다.그러나 소비-총자산 비율은 주식 수익률을 예측하는 통계적 유의성을 갖지 못한다. 그 이유로 자료의 불확실성, 모형의 불완전성 등을 들 수 있으며, 이 모형이 적합한 영미권 국가들과 비교하여 GDP 대비 주식시장시가총액의 비율이 낮은 등 주식이 가계자산에서 차지하는 비율이 작음도 그 원인이 될 수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