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紹修書院 설립 시기 榮州地域 學脈과 文學에 대한 硏究

        김장환 경북대학교 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8703

        A study on the school and Literature of Yeongju region during the establishment of SosuSeowon* Janghwan Kim Department of Classical Chinese Graduate School, Kyungpook Naional University Daegu, Korea (Supervised by Professor Yeongho Park ) <Abstract> This study analyzes the school(學脈) and literature of Yeongju, focusing on the pattern of association and poetry among the major characters who were active in Yeongju during the establishment of SosuSeowon(紹修書院) in the middle of Joseon Dynasty. The time range of the study is 20 years from 1543 when SosuSeowon was established until 1563 when Park Seung-im served as a Punggi governor and stabilized its operation and then retired. During this time, Joo Se-boong founded SosuSeowon, and with the efforts of Yi Hwang, it became the first national recognition Seowon. After that, it was also a time when Seowon struggled to settle down stably. During this time, there was a fierce debate between Joo Se-boong and Hwang Joon-ryang in the place of Yi Hwang, over the educational contents of Seowon and how to operate it, which is considered to be the most important period in the history of SosuSeowon. The spatial range of the study is the person who was born and active within the present administrative district of Yeongju City. Therefore, four people, including Ahn Gong-sin, Hwang Hyo-gong, Hwang Joon-ryang and Park Seung-im, who were born in Yeongju and actively participated in the establishment and stabilization of the Seowon during this time, are studied. Their schools and achievements are summarized as follows. Ahn Gong-sin, a descendant of HoeHeon(晦軒), actively participated in the establishment of SosuSeowon. It can be said that he intimately associated with and was involved in the same school with Joo Se-boog, who greatly praised HoeHeon. The descendants of HoeHeon in Yeongju, centering on Joo Se-boong and Ahn Gong-sin who led the establishment of SosuSeowon, took HoeHeon for granted as the founder of Oriental Moral Philosophy(道學) who succeeded Zhu Xi and made efforts to succeed the school. As a descendant of Hwang Ji-heon, Hwang Hyo-gong formed a unique academic system by contributing to the authorship of 「Yeokbeomdo(易範圖)」 and the engraving of 『Iphakdoseol(入學圖說)』 Yeongcheon edition(榮川本) written by Kwon Keun, etc., succeeding the ancestral integrity spirit. He also actively participated in the establishment and operation of SosuSeowon. In particular, he interchanged academic affects through academic exchanges with Yi Hwang. Hwang Joon-ryang, a disciple of Yi Hwang, had a heated debate with Joo Se-boong over the requirements for admission to Seowon and the compilation of Seowonji, (書院誌) speaking for Yi Hwang‘s opinion in the process of compiling 『Jukgyeji(竹溪誌)』. After SosuSeowon, he made active efforts in establishing other Seowons and fulfilled exemplarily the duty of the local governor called ‘Hakkyoheung’ (the duty of establishing many schools for education;學校興). Especially, he took the lead in spreading Yi Hwang‘s study. Park Seung-im also taught Yi Hwang's study as a disciple of Yi Hwang. Going through various government positions, as he had many opportunities to stay in his hometown, he wrote many books while devoting himself to study and writing and cultivated many of his own disciples. Before the four major schools of Toegye(退溪) were formed, he had formed Sogo School, serving as a bridge to the transition of the four schools of Toegye. The following is a summary of the succession patterns of their younger students schools. First of all, Ahn Gong-sin's Huhak (後學) future reference) seems to have been passed down to his six sons. The peculiarity found here in the family of Sunheung Ahn(順興安氏) is that no one is enrolled in 「Toegye Records of Disciples」 despite the transmission of study. However, as many of Sunheung Ahn's works remain in the poetry and prose in 『SosuSeowonji(紹修書院誌)』, being handed down from generation to generation, it can be guessed that the spirit of HoeHeon has been passed through as family studies. Second, there is no record of Hwang Hyo-gong having taken his disciples although his academic accomplishments are excellent. It is unfortunate that there may be a 「Records of Disciples(文人錄)」 in the collection of literary works lost by the fire, and it would remain in the collection of literary works of the people who were associated with, but cannot be found. Hwang Hyo-gong has made close academic exchanges with Yi Hwang and his brother while alive. Even after his death, it is also confirmed that his descendants were influenced by Yi Hwang and absorbed in Toegye School. Third, Hwang Joon-ryang, a disciple of Toegye, failed to protect his hometown while in office, and disciples left in record cannot be found because he died young. He wanted to prepare Geumyangjeongsa (錦陽精舍) and devote himself to studies in his life. If he had trained his disciples, living a long life, today‘s Toegye School is believed to have changed greatly. Fourth, Park Seung-im resigned over YangJae Station Writing on the Wall Incident (良才驛壁書事件) and started to raise his disciples from the time when he stayed in his village, so that there are 52 people enrolled in Records of Disciples. The number of disciples who wrote in 「Eungseoksa Changsurok(凝石寺唱酬錄)」 which he shared with his disciples at Eungseoksa Temple in Yeongju reached 26. When looking literary works left in 「Eungseoksa Changsurok」, their content implies the social and academic significance of declaring the establishment of "Sogo School." It will be evaluated that Park Seung-im formed the largest school in the group of Toegye disciples of his time and contributed to the transmission of Yi Hwang‘s School tradition to the next generation. As a result of this study, the following facts are found. First, it was possible to identify the roles of government officials and writers in Yeongju who tried to establish and develop Seowon at the time of the establishment of SosuSeowon, which had an important influence on the culture of Seowon in Korea. Second, it was possible to analyze the association and relationship of writers who represented the intellectual community of the whole country not just of Yeongju. Third, although they worked together to establish SosuSeowon, it was able to find subtle differences among them according to the school and teacher-pupil relationship in terms of the philosophy of Sowon education and how to operate it. As a result, it was possible to obtain the effect of identifying it. Fourth, through this, it was possible to analyze and characterize the school of Yeongju at that time. Overall, Yeongju at the time of the establishment of SosuSeowon in the middle of Joseon Dynasty was the first place to receive educational reform, namely the establishment of the first Seowon in Korea, and the emergence of Sarim(士林) in the center of Moral Philosophy(道學). In addition, it was the site of history that played a central role in opening the era of revival of Korean studies. The study in this period was developed rapidly in Yeongnam province under the name of Toegye Study together with Chosun Zhu Xi Study, where Yeongju was the first place to sprout and bear fruit. 紹修書院 설립 시기 榮州지역 學脈과 文學에 대한 硏究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조선 중기 소수서원 설립시기에 영주지역에서 활동을 한 주요 인물들 간의 교유양상과 시문을 중심으로 영주지역의 학맥과 문학을 분석하였다. 연구의 시간적 범위는 소수서원이 설립된 1543년부터 嘯皐 朴承任이 풍기군수로 재임하며 서원의 운영을 안정시키고 퇴임한 1563년까지 20년간으로 하였다. 이 시기에 주세붕이 소수서원을 설립하였고 이황의 노력으로 사액서원이 되었다. 그 후 서원이 우여곡절을 겪으며 안정적 정착을 위해 노력하던 시기이기도 하였다. 이 시기는 서원의 교육내용과 운영방법을 둘러싸고 주세붕과 이황을 대리한 황준량 간에 치열한 논쟁이 있던 시기이기도 하며 소수서원 역사에서 가장 중요한 시기로 평가된다. 연구의 공간적 범위는 현재의 영주시 행정구역 이내에서 태어나고 활동한 인물로 한다. 따라서 이 시기에 영주에서 태어나 활동하며 서원의 설립과 안정에 적극적으로 참여한 안공신, 황효공, 황준량과 박승임 등 4인을 연구대상으로 한다. 이들의 학맥과 업적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안공신은 회헌의 후손으로서 소수서원 설립에 적극 동참하였다. 회헌을 극진히 숭모한 주세붕과 깊이 교유하며 학맥을 같이 하였다고 볼 수 있다. 소수서원 설립을 주도한 주세붕과 안공신을 중심으로 한 영주지역 회헌 후손들이 회헌을 주자를 이은 동방도학의 비조로서 당연시하고 회헌의 학통을 계승하려는 노력을 하였다. 황효공은 黃知軒의 후손으로서 선조의 절의정신을 이으며「易範圖」저술과 권근의 『입학도설』 영천본 판각에 기여하는 등 독보적인 학문체계를 형성하였다. 소수서원 설립과 운영에도 적극 참여하였다. 특히 이황과의 학문교류를 통해 서로 학문적 영향을 주고받았다. 황준량은 이황의 제자로서『죽계지』의 편찬 과정에서 이황의 지론을 대변하며 서원의 입원자격요건과 서원지 편차를 두고 주세붕과 격론을 벌였다. 소수서원 이후에 다른 서원 설립에도 적극적인 노력을 하였으며 ‘學校興’이라는 지방관의 소임을 모범적으로 수행하였다. 특히 이황의 학문을 적극 전파하는데 앞장을 섰다. 박승임 역시 이황의 제자로서 이황의 학문을 전수하였다. 여러 관직을 오가는 동안 고향에 머무는 기회가 많아서 학문과 저술에 몰두하며 남긴 저술이 많고 본인의 제자를 많이 양성하였다. 퇴계의 4대학파가 형성되기 이전에 소고학파를 형성하여 이황과 4대 퇴계학파의 과도기 징검다리 역할을 하였다. 이들의 사후 후학들의 학맥 계승 양상을 정리해 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安公臣의 後學은 아들 6형제에게 계승된 것으로 보인다. 이곳 순흥안씨 가문에서 발견되는 특이성은 학문을 전승해 왔음에도 불구하고 「퇴계문인록」에 등록된 인물이 한 사람도 없다는 것이다. 그러나 『소수서원지』에 수록된 시문에는 순흥 안씨의 작품이 대대로 상당수가 남아있어 회헌의 정신을 가학으로 전승하여 왔음을 짐작할 수 있다. 둘째, 黃孝恭은 본인의 학문적인 업적은 탁월함에도 불구하고 제자를 양성한 기록은 발견할 수 없다. 화재로 소실된 문집에 「문인록」이 있을 수 있고 교유를 한 사람들의 문집에도 남아 있을 터인데 발견할 수 없어 안타깝다. 황효공은 생존해 있을 때부터 이황 형제와 학문적 교류를 긴밀하게 하였던 인물이다. 사후에도 자손들이 이황으로부터 영향을 받아 퇴계학파로 흡수된 점이 확인된다. 셋째, 황준량은 퇴계의 제자이면서 관직을 맡으면서 고향을 지키지 못하였고 또 젊어서 별세하여서 기록에 남은 제자들을 찾을 수가 없다. 생전에 錦陽精舍를 준비하고 학문에 몰두하기를 원하였는데 만약 천수를 누리며 제자를 양성하였다면 오늘 날 퇴계학파의 모습도 크게 달라져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넷째, 朴承任은 양재역벽서사건으로 사직하고 향리에 머물 때부터 제자를 키우기 시작하여서 문인록에는 52명이 등록되어 있다. 영주 凝石寺에서 제자들과 나눈 「응석사 창수록」에 글을 남긴 문하생들만도 26명에 달한다. 이 「응석사창수록」에 남은 시문들을 볼 때 그 내용은 ‘소고문파’의 성립을 천명하는 사회적·학문적의미를 함축하고 있었다. 박승임은 당대에 퇴계 제자그룹에서 가장 큰 학맥을 형성하고 이황의 학풍을 다음 세대에 전해준 공로는 평가할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의 결과 다음과 같은 사실을 확인할 수 있었다.. 첫째, 우리나라의 서원문화에 중요한 영향을 미친 소수서원의 설립시기에 서원의 설립과 발전을 위해 노력한 관리들과 영주 지역 문인들의 역할을 파악할 수 있었다. 둘째, 당시 영주지역 뿐만 아니라 우리나라 지성계를 대표하였던 문인들의 교유 및 학맥관계를 분석할 수 있었다. 셋째, 소수서원의 설립을 위해 함께 노력하면서도 서원 교육철학과 운영방법에서 학맥과 사승관계에 따라 미묘한 차이를 발견할 수 있었던바 이를 규명하는 효과를 거둘 수 있었다. 넷째, 이를 통하여 당시의 영주지역 학맥을 분석하고 특징을 도출할 수 있었다. 종합적으로 보면 조선중기 소수서원 설립시기의 영주는 우리나라 최초의 서원설립이라는 교육개혁과 도학중심 사림의 본격등장이라는 변혁의 물결을 가장 먼저 맞아들인 곳이었다. 아울러 우리나라 학문의 중흥기를 여는데 중심적인 역할을 한 역사의 현장이었다. 이 시기에 학문은 조선주자학과 함께 퇴계학이라는 이름으로 영남지방에서 비약적으로 발전하게 되었는데 영주는 바로 처음 그 싹이 트고 열매를 맺던 곳이었다.

      • 문화유산의 지속가능한 관광자원화 방안 연구 : 소수서원과 월봉서원 비교 관점에서

        전준산 배재대학교 관광축제호텔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8703

        Policies related to Confucian Academy have so far focused on conservation and restoration projects. Without considering the original functions of the Confucian Academy or its modern utilizations, the building was left unattended due to poor management. In recent years, there has been an increase in the number of Confucian Academies which utilize the Confucian schools by region and conducts education and experience in new ways based on the idea of nationwide ​​service for the people. The Cultural Heritage Administration has started the Live Cultural Heritage utilization project since 2008, and has been running traditional culture, cultural experiences of scholars and Confucian education programs using Confucian Academies and Schools through the project to Create a living, breathing Confucian Academy and School since 2013. Through this, historical value and meaning of cultural assets are created, and experience, tourism, culture, and tourism industries are induced. This study found that 9 items were found to b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Sosu-seowon Confucian Academy and Wolbong-seowon Confucian Academy after evaluating 17 questionnaires about tourism resource development in terms of creation of tourism resource development and facility status, special program operation status, events and tourist acceptance posture in order to activate modern utilization of cultural heritage through questionnaires centered on Sosu-seowon Confucian Academy and Wolbong-seowon Confucian Academy. 'Confucian Academy has the adequate capacity of the parking lot and convenient facilities in case of many tourists’ visits while preserving its original shape’, 'Tourists can visit Confucian Academy by using public transportation (buses, etc.) conveniently’, These two items were higher in Sosu-seowon Confucian Academy than in Wolbong-seowon Confucian Academy in the difference between. 'I am satisfied with the experience, educational events and festivals run by Confucian Academy', ‘Classical scholar experience program featuring histories and stories related to Scholars(persons) whom Confucian Academy produces is being run and it is interesting and novel,’ ‘Confucian Academy is operating tourism experience programs for the tourists using food ingredients cultivated in the village near Confucian Academy,’ ‘Confucian Academy operates children programs to make not only personality but also Confucian culture familiar,’ ‘Confucian Academy operates programs for the foreigners,’ ‘Confucian Academy has the information signboard which is a harmonious combination of Confucian Academy’s nature and modern design,’ ‘Confucian Academy builds and operates home pages to promote general facilities, programs, and historical data.’ These seven items were higher in Wolbong-seowon Confucian Academy than in Sosu-seowon Confucian Academy in the difference between. The results of the factor analysis for analyzing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evaluation items of the two Confucian Academies' sustainable tourism resources are classified into 3 factors: 6 items of capacity, 4 items of uniqueness and event capability, 3 items of target program. Besides, the data collected through field survey of two Confucian Academies showed that Sosu-seowon Confucian Academy was superior in some items of capacity and uniqueness, and Wolbong-seowon Confucian Academy was generally superior in terms of capacity, event capability, and program operation by target. Based on this, it was proposed to create of 'Korea theme park' as a sustainable tourism resource development plan for two Confucian Academies, to establish the Wolbong-seowon “Confucian Academy Stay " facility, to develop and operate the specialized programs with the latest IT technology, to strengthen cultural tourism and promotion in connection with the surrounding area of Confucian Academy, to operate the master and doctoral courses, to strengthen exchanges with China, to establish private-public cooperation system and to establish a comprehensive plan for the middle and long term. Finally, Confucian Academy is supporting the improvement and maintenance of facilities in order to make tourist culture resources of Confucian traditional culture in accordance with the Tourism Promotion Development Fund Act. In addition, the local council ordinance of the two Confucian Academies is being operated on the basis of simple facility management, so Confucian Academy, a spirit of cultural and educational heritage, must function for modern society and become an institutional basis for the regional cultural development and tourism resource. Keywords : Sosu-seowon Confucian Academy, Wolbong-seowon Confucian Academy, Cultural Heritage, Tourism Resources, Cultural Heritage Utilization 서원과 관련된 정책들은 현재까지 보존과 복원사업에 초점을 맞추어왔다. 서원의 본래 기능이나 현대적 활용을 감안하지 못한 채 건물만 복원한 경우에는 관리 부실로 인해 폐가처럼 방치되기 쉬웠다. 최근에는 ‘대국민 서비스’라는 생각을 바탕으로 지역별로 서원을 활용하며, 새로운 방식으로 교육과 체험을 실시하는 서원이 증가하고 있다. 문화재청은 2008년부터 생생 문화재 활용 사업을 시작했으며, 2013년부터 ‘살아 숨 쉬는 서원·향교 만들기 사업’으로 향교·서원을 활용한 전통문화 및 선비문화 체험, 유교교육 프로그램 등을 운영해왔다. 이를 통해 문화재의 역사적 가치와 의미를 창출하고, 체험·관광·문화·관광산업을 유도하고 있다. 본 연구는 소수서원과 월봉서원을 중심으로 한 설문조사를 통해 문화유산인 서원의 현대적 활용을 활성화하기 위한 관광자원화 환경조성 및 시설 현황, 특화된 프로그램 운영 현황, 이벤트, 관광객 수용 태세 등의 측면에서 관광자원화 현황 총 17개 설문 항목을 평가한 결과, 9개 항목에서 소수서원과 월봉서원 간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서원은 원형을 최대한 보존하면서도 관광객이 많이 방문하는 경우 주차장, 편의시설 등 수용능력이 적당하다’ ‘서원은 관광객이 편리하게 대중교통(버스 등)을 이용하여 방문할 수 있다’ 등 2개 항목은 두 서원 간 차이에서 월봉서원보다 소수서원에서 더 높게 나타났다. ‘서원이 운영하는 체험·교육형 이벤트·축제에 만족한다’ ‘서원이 배향하고 있는 선비(인물)와 관련된 역사, 이야기 등을 담은 선비체험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으며, 재미있고 참신하다’ ‘서원은 관광객을 대상으로 서원 주변 마을에서 재배하는 음식 재료를 활용한 관광 체험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다’ ‘서원은 어린이 대상 프로그램을 운영하여 인성뿐 아니라 유교 문화를 친숙하게 만든다’ ‘서원은 외국인 대상으로 한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다’ ‘서원은 안내 간판이 서원 성격과 현대 디자인이 서로 조화롭게 설치되어 있다’ ‘서원은 전반적인 시설 및 프로그램, 역사적 현황 자료 등 홍보를 위한 홈페이지를 구축·운영하고 있다’ 등 7개 항목은 두 서원 간 차이에서 소수서원보다 월봉서원에서 더 높게 나타났다. 두 서원의 지속가능한 관광자원화 방안의 평가항목에 대한 신뢰성 및 타당성을 분석하기 위한 요인분석 결과는 6개 항목의 수용 태세, 4개 항목의 고유성 및 이벤트 역량, 3개 항목의 대상별 프로그램 운영 등 세 가지 요인으로 분류되었다. 그리고 두 서원의 현장 방문조사를 통해 수집한 자료를 통해 소수서원은 수용태세, 고유성 요인의 일부 항목에서 우위를 보였고, 월봉서원은 수용태세, 이벤트 역량, 대상별 프로그램 운영 요인 등에서 전체적으로 우위를 보였다. 이를 바탕으로 두 서원의 지속가능한 관광자원화 방안으로 소수서원 ‘한국테마파크’ 조성 및 월봉서원 ‘서원스테이’ 시설 구축, 최신 IT 기술 접목한 교육·체험하는 특화된 프로그램 개발·운영, 서원 주변과 연계한 문화관광 및 홍보 강화, 서원 관련 석·박사 과정 운영 및 중국과의 교류 강화, 민관 협력체계 구축, 서원의 중·장기 종합계획 수립을 제안했다. 끝으로, 서원은 관광진흥개발기금법에 따라 유교전통문화를 관광자원화하기 위해 시설 개·보수를 지원하고 있으나, 지속가능한 서원의 관광자원화를 위해서는 정부가 지원하는 법의 제정이 필요하다. 또한 두 서원의 지자체 조례는 단순 시설·관리 차원에서 운영하고 있어, 정신문화유산이자 교육문화유산인 서원이 현대사회에 맞게 기능하고 지역문화발전과 관광자원화하기 위한 제도적 기반이 마련되어야 한다. 주요어: 소수서원(Sosuseowon Confucian Academy), 월봉서원(Wolbongseowon Confucian Academy), 문화유산(Cultural Heritage), 관광자원(Tourism Resources), 문화재 활용(Cultural Heritage utilization)

      • 소수서원과 소수박물관을 활용한 체험학습프로그램 개발

        김정선 경인교육대학교 2015 국내석사

        RANK : 248703

        교육의 본질은 ‘인간다운 인간 육성’에 있으며, 이를 위해 학교교육은 학생과 교사, 학부모와 교사, 학생과 학부모, 학생과 학생이 서로 인격적인 접촉을 통해, 미래의 주인공인 우리학생들이 긍정적인 자아 개념을 형성해 가도록 도와주어야 할 것이다. 그러나 고등학교 졸업자 중 대학 입학 비율이 70.9%(2014년 기준)로 우리나라의 높은 교육열에도 불구하고 입시 위주의 교육으로 인해 심리적 불안과 갈등이 심화되어 인간성이 상실되어 가고 있는 실정이다. 이것의 결과로 긍정적 자아개념이 형성되지 못하여 학교와 가정, 사회에서 제대로 적응하지 못하는 상황이다. 이러한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해 학생들이 자신의 감정이나 욕구를 조절하고, 공동체적인 삶을 살아갈 수 있도록 올바른 생활태도를 형성할 수 있는 교육이 필요하다. 본 연구자는 과거의 서원교육을 현재의 교육과 접목하여 최초의 사액서원으로 우리나라의 대표 서원이라는 위상을 가진 소수서원과 소수박물관을 활용한 체험학습프로그램을 제안하였다. 본 체험학습프로그램의 목적은 조선시대 최초의 사액서원인 소수서원과 소수박물관체험학습을 통해 학생에게 스스로 공부하는 까닭을 찾게 하고, 우리의 전통 속에 우리가 배워야할 훌륭한 점이 많다는 것을 인식하여 우리 전통에 대한 자긍심을 갖도록 하는데 있다. 교사들에게는 교육현장에서 ‘서원은 어렵다.’는 선입관으로 교육 자료로 활용하기 꺼려했던 서원을 쉽게 학교현장에서 활용할 수 있도록 체험학습 프로그램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첫째, 최초의 사액서원으로서의 의미가 큰 소수서원 연구를 통해 조선시대 서원의 의미와 역할이 무엇인지 알아보았다. 둘째, 유교전문박물관으로서의 위상과 성격을 갖고 있는 소수박물관의 소장 유물을 분석하고 그 특징을 살펴보았다. 셋째, 소수서원과 소수박물관의 연구와 분석한 내용을 토대로 하여 현대의 우리 학생들에게 적용할 수 있는 교육내용을 선정하고, 소수서원·소수박물관과 연계할 수 있는 체험학습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제시하였다. ‘입신양명(立身揚名)의 출세를 멀리하고 선현(先賢)을 본받아 자신을 도덕적으로 완성시키고자 했던 법성현(法聖賢)’ 교육 목표를 둔 조선시대 서원은 현재 교육의 자료로 활용할 만한 충분한 가치가 있다. 유교전문박물관인 소수박물관의 유교와 서원에 대한 다양한 자료는 학생들로 하여금 조선시대 서원에서 무엇을 어떻게 배웠는지를 알게 해주며, 조선시대 선비문화를 보고 배우고 느끼는 기회가 될 것이다. 또한, 우리의 전통문화를 현대에 접목시키는 소중한 자료로 활용될 것이다. 본 연구는 그동안 고루하고 버려야 할 옛 것으로 생각되어진 서원을 ‘공부한다.’는 것은 좋은 대학으로 진학하기 위한 수단이 아니라 나를 성찰하고 위대한 성현(聖賢)을 본받아 바른 인간으로 자라기 위한 교육의 중요한 자료로 활용 될 수 있다는 점, 어렵게만 생각되어진 서원을 서원 원생들의 공부방법, 교육내용, 서원이 자리 잡은 곳, 서원과 유교전문박물관 현장체험학습 등의 다양한 방법으로 학습하게 하여 서원을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였다는 점, 소수서원과 소수박물관을 초등학습에 효과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프로그램을 제시함으로써 초등 교사들이 소수서원과 소수박물관 활용한 체험학습을 계획할 때 도움을 받을 수 있다는 점에서 시사점을 찾을 수 있다. 앞으로 서원과 소수박물관을 활용한 프로그램 개발이 다양하게 연구되고 적용되길 기대한다.

      • 朝鮮時代 紹修書院 講學 硏究

        김자운 韓國學中央硏究院 韓國學大學院 2014 국내박사

        RANK : 248702

        本研究以朝鲜时代的绍修书院为对象,意在探索绍修书院的讲学理念,实况及变化面 貌,探究16至19世纪各时期讲学的特征和意义,并说明其教育学的意义。众所周知,朝鲜 最初的书院是朝鲜中期由周世鹏以‘南宋朱子白鹿洞书院的掌故’为依据而创建的白云洞书 院。但是确立于宋代的中国书院制度,其在北宋与南宋两时期性质各有所不同。地方官学 发展以前,北宋的书院担当着官学替补的功能,与科举制度密切相关。庆历年间,在历经了三次大规模的兴学运动之后,官学急剧发展,而北宋书院或废止,或被纳入官学体系之 中,逐渐走上了衰退之路。 处于停滞状态的宋代书院再次走上复兴之路是由于南宋的朱熹。朱子在任期间,批判了 当时官学教学仅局限于科举考试范围的现状,而与吕祖谦,张栻等一起主导了白鹿洞书 院,岳麓书院,石鼓书院等书院的复兴运动。此时朱子以张载和二程所提倡的‘正学’作为书 院教育理想,赋予了南宋书院以‘新的私学精神’。以朱子为中心的这场南宋书院复兴运动,诞生了所谓‘探求张载伊洛之学问的书院’,即‘理学书院’。他们探求理学的目的就在于对 ‘道’的领悟及实践。此时书院的教育目标也不再是‘文章学或备考科举’,而是变为‘通过对理 学的探究而到达对道德领悟及实践’。因此,与囿于科举之学的北宋书院不同,因朱子而诞生的理学书院,成为了自由讲论理学和道学的学术及教育基地。更重要的是,理学书院的 出现和其学术氛围对之后学派的形成和学术发展起到了莫大的影响。而其中心即在于书院 之‘讲学’。因朱子而诞生的南宋理学书院突破了科举的束缚,以‘道学和义理之学’为目标, 使‘自由的学说传播’及‘以师说的继承为中心的学派的形成’成为可能,这些便是通过各书院文人们的‘讲学’来实现的。这在性质上与以文章学和科举为目的北宋书院完全不同。 根据南宋朱子所创建的书院的模型,朝鲜的书院开始讲论道学,并通过讲学来继承、传 播师说,由此逐渐成为各学派形成的大本营,此种状况始于17世纪以后。在此之前,岭南 地区自退溪死后的16世纪末开始,已有退溪门人开始在陶山·易东·庐江·伊山等书院中祭享 退溪,并通过讲学以继承先师的学说。退溪门人死后,亦由其后门人建立书院,供奉先师 牌位,进行讲学活动,由此,17世纪左右,岭南地区的退溪学开始分化为以金诚一,柳成 龙,郑逑等为首的各系。17世纪之后,随着紫云·绍贤·遯岩·华阳洞·考岩等书院的建立,以 书院为中心,形成了自栗谷李珥始,由金长生,宋时烈继承延续的畿湖学派的性理说和礼 说的分化和发展,而18世纪石室书院的讲学,则为当时湖洛论争中首尔地区洛论的思想根 基确立奠定了基础。 然而朝鲜最初的书院白云洞书院的讲学,到17世纪为止仍与‘讲论道学,传承师说’的书 院形象相去甚远。这是受白云洞书院的创建者周世鹏的书院观的影响所致。虽说周世鹏模 仿南宋朱子白鹿洞书院之制度建立白云洞书院,但事实上他对书院的认识仍然是基于北宋 时期的书院认识,而不是南宋。周世鹏的这种书院是依据北宋的模型,将书院看作‘科业准 备层次上的官学辅助机构’,这对于创立初期白云洞书院讲学的性质和方式都产生了质的影 响,而且这种影响一直持续到了17世纪初期。那么,既然他依据的是北宋的模式,为何又 要从朱子白鹿洞书院的掌故中寻找白云洞书院的创立根据呢?他所模仿的‘朱子白鹿洞书院 的掌故’具体是指什么,他未曾遵循的朱子的标准又是什么呢?本文Ⅱ章当中对这个问题给 予了回答,并由此探讨了周世鹏建立白云洞书院时所构想的教育的性质,以及他的书院 观。他的书院观不仅与其对宋代书院制度的理解方式,更与其对朱子学的理解方式,及他 的趋向性都有密切的关联。同时,Ⅱ章还考察了周世鹏的书院观对16世纪绍修书院的讲学 所产生的实际影响,以及当时的讲学的具体形成状况,揭示了16世纪绍修书院讲学的性质 和意义,成果和限制。 南宋朱熹确立的书院观被朝鲜社会所理解是始于周世鹏之后的退溪。正如同朱子之复兴 南宋书院,退溪赴任丰基郡守,通过向朝廷申请白云洞书院赐额,成功地奠定书院获得国 家承认和支援的制度基础。同时,对于官学受科举和利禄之风浸染,仅将学问看作是通过 科举和获取利禄的手段的诸多弊端进行了指责,他强调书院立意只在‘讲明道学’,书院讲究 学问的方法在于古人的为己之学。他继承朱子的书院观,为将其植根于朝鲜社会而付出了 诸多努力,然而欲冲破科举束缚,确立旨在实践真正的为己之学的道学书院却相当不易。他在任丰基郡守期间,每闲暇时即往白云洞书院讲论‘道学’,力图刷新偏重科业的书院学 风,使诸生领悟道学真谛,但到17世纪前期为止,绍修书院的讲学重心依然是科学,而非道学。 对此种讲学方式的批判始于17世纪前半期左右。17世纪,绍修书院的运营者对于当时绍 修书院偏重科举的讲学方式表现出深深的担忧和批判,为将绍修书院改变成为书院原本意 义上的讲明道学的讲学空间而倾注了巨大的努力。其中之一便是围绕着创立初期周世鹏所 定的以科举入格者为中心的入院资格而展开的‘罢格论争’。自17世纪初开始的这场论争当 中,站在‘罢格论’的立场上的退溪门人指出应改正以科举入格者为中心的入院规定,主张罢 格,阐明了儒学教育的本质和书院存在的意义所在。历经一番曲折,到18世纪初,这场论 争终以罢格收尾,正是以此论争为决定性契机,17世纪前半期为止以‘科业为主’而运营的 绍修书院讲学,到了18世纪之后,其性质变为‘以道学为中心’。Ⅲ章考察了17世纪上半期 为止,科业为主的绍修书院讲学的运营实况,并研究了退溪门人掀起的对科业为中心的讲 学方式的批判,以及罢格论证中主张罢格者的主张。由此来展示由朱子和退溪所阐明的‘讲 明道学之处’的书院讲学理念,于17世纪以后在绍修书院的确立过程。 18世纪,由于书院的暴增,‘书院本是为儒生讲学而设,但今书院无讲学之实,仅以祭享为是,冒占土地良丁,招致社会弊端’等批判日益深化,朝廷实施了书院的叠设禁止、不许 赐额、毁损等各种控制政策。因而,地方官们苦于构建恢复乡村的教育职能的方案,各个 书院亦在能力范围之内,开设讲学,为维持书院教育职能而竭尽所能。绍修书院作为最初 的赐额书院自然不属于朝廷的直接控制对象,但书院设立的增加对18世纪绍修书院经济基 础的弱化产生了直接的影响。经济基础的弱化随即导致了讲学运营方式的直接变化,作为 讲学运营上的应变之策,18世纪开始出现了像‘三冬居斋’、‘轮番居斋’等前所未有的方式。 除了书院的暴增之外,影响18世纪绍修书院讲学的重要事件就是始于17世纪的‘罢格论 争’。1719年此论争最终以罢格的确定收场,同时绍修书院讲学性质由17世纪以来以‘科业’ 为中心明确地变为‘道学’为主。这也使得讲学形态由17世纪为止以科业为目的的‘居接’变为 18世纪的体现道学目的的‘居斋’形态。居斋标榜的目的是‘道学的探求和实践’,试图通过‘个 别读书·敬读·通读’等教育课程来实现此目的。而且,18世纪初开始标榜为居斋目的的‘道 学’在进入18世纪下半期后,进一步具体化为对‘心学理论和实践’的探究。即,在17世纪, 朱子和退溪所阐明的‘讲明道学之处’的书院讲学理念虽得到了共享和扩散,但其未曾反映到 实际讲学之中,因此如果说17世纪是这样一个过渡期的话,那么18世纪就可以说是书院具 体的讲学形态和方式产生变化,书院讲学理念的固定化时期。Ⅳ章通过对居斋的教育课程 和运行状况、敬读及通读教材的分析,说明了经过17世纪的过渡期后,18世纪作为‘讲明道 学之处’的书院,其讲学理念的确定,及心学的探求和实践的道学具体化的过程。并对18世 纪后半期居斋的心学特征,以及以科业为内容的白日场及旬制活跃的背景进行了探讨。 18世纪,讲学财政枯竭,地方官的全面支持亦不复存在,绍修书院将四时居接变为三冬 居斋,并采用轮番居斋的方式来减缩居斋人数和时间,依据院任的关心和能力,虽不稳定 但仍勉强维持讲学。进入18世纪中期,绍修书院设置运营养士厅,以确保讲学财政基础的 稳定。但养士厅也是历经反复的中断和复设,最终废止于18世纪后期。而在19世纪,绍修 书院的财政困难加剧,甚至到了连‘三冬居斋’也难以开设的地步。因此绍修书院将院长居住 地的地区限制范围扩大到道内,任命前职·现职官吏为院长,同时还采用了顺兴府使兼任院 长的兼院长制度,借助地方官的支援以维持讲学。 19世纪讲学的另一个变化是,每年根据季节将科业与道学并行,并作为惯例固定下来。这一点反映了19世纪的书院学生‘大多数是科举应试的儒生’的这一现实状况。即是说,在 19世纪,考虑到将要应试科举的大多数书院儒生的情况,书院每年按照季节同时开设以科 业和道学为目的教育课程,对儒生们的科举应试采取较为现实和积极地应对政策。 另外,19世纪绍修书院最大的变化是开始显现出最初的学派性特征,而之前一直到18世 纪为止,绍修书院都未曾出现过分明的学脉和学派性趋向。19世纪,大山李象靖和定斋柳 致明的门人们,也即是湖学的核心人物,担任洞主并主导着书院的讲学。在讲学内容方 面,主要包括心学指南书『朱子书节要』,阐释圣学和心学要谛的退溪『圣学十图』,李 象靖和柳致明极为重视的强调实践性工夫论的朱子「玉山讲义」、『延平答问』,以及贯 通未发和已发,动静的通体工夫,阐述李象靖所注重的戒慎恐惧之意义的『中庸』等等, 19世纪的绍修书院通过这样的讲学继承着湖学注重心学与日常实践学术特征。绍修书院直 至19世纪才显现出学脉和学派性趋向,这一点有别于16、17世纪其他书院为继承、传播特 定先师,特定学派的学说而建,并以特定学脉为中心开展讲学活动的状况,是体现绍修书 院讲学的变化和特征之所在。 Ⅴ章考察了19世纪陷于财政困境中的绍修书院,授院长之职于前职·在职官员或采用兼院 长制度以维持讲学的状况,并通过其教育课程的变化和1827年中庸讲会的讲论内容,分析 了19世纪讲学中湖学学风的继承过程。1828年文会之后,书院以李泰淳,李秉运,李家 淳,姜枟,柳鼎文等湖学核心人物为中心,组织了一次历时9天的少白山游览活动,本章对 这次游览的过程和意义也进行了探讨。这次的游览,不仅是一个游息的过程,也是以‘道的 发现和体认’为目标的书院教育课程中的一环。在游览的最后4天,以李秉运,李家淳,姜 枟,柳鼎文为首的学者们还在山寺中讲读、校检了大山门人黄龙汉的文集,这对19世纪绍 修书院大山学脉的传承也起到了一定作用。另外,主要出身于安东和礼安,原本以高山书 堂和虎溪书院为活动舞台的湖学核心人物们,他们是在怎样的背景和契机下在19世纪登场 绍修书院的呢?本章的最后一节主要探讨了这一问题。 最后,Ⅵ章对朝鲜时代绍修书院讲学的教育学意义进行了分析。首先,在当时,对于‘书 院这个地方究竟应进行什么样的学习’这样有关书院本质的问题尚未明确,可以说,作为朝鲜最初的书院,绍修书院所必经的讲学变化的过程,也就是朝鲜书院本质得以确立的过程。18世纪以来,绍修书院的教育课程倡导道学和心学,它既是以敬工夫论来体现的对身 心的严格检束,也是囊括‘藏修,游息,诗书礼乐’在内的教育课程。另外,这种教育课程其 终极目标在于,建立‘身与心’,‘世界与我’之间的一种正确的联系,从而使知识与德性不相 背离,并使之融入于日常生活中的每一瞬间。也就是说,绍修书院讲学所追求的‘知识与德 性相结合的工夫论’最终是通过这样的‘联系’来实现的,而所有的教育都是以‘知识与德性的 结合’或‘知识与人性的统合’为前提的。如今韩国公教育的根本问题,不是偏重应试教育, 只注重知识教育而忽视人性教育的问题,而是在于不能成功地以知识与人性相关联的方式来实施,即是说,在于知识与学习者不能形成‘真正的联系’的问题。从这一点来看,朝鲜时代谋求‘通过联系的建立来实现知识与德性的结合’的绍修书院讲学传统,对现代公教育启示 颇多。 이 연구는 朝鮮時代 紹修書院을 대상으로, 소수서원 講學의 이념과 실제 및 그 변화 양상을 추적하여, 16세기부터 19세기까지 각 시기별 강학의 특징과 의미를 구명하고, 그 교육학적 의미를 해석하고자 하는 데 목적이 있다. 주지하다시피, 조선 최초의 서원은 조선 중기 주세붕에 의해 건립되었다. 그는 백운동서원을 창건하면서 그 설립 근거를 ‘남송대 朱子의 白鹿洞書院 故事’에 두고 있었다. 그런데 송대에 확립된 중국의 서원제도는 북송과 남송이 각각 그 성격을 달리 하였다. 지방 官學이 발전되기 이전, 북송의 서원은 관학을 대체하거나 보충하는 기능을 담당하면서 과거제도와 밀접한 관계를 유지하고 있었다. 慶曆 연간 이후 세 차례에 걸친 대대적인 흥학 운동을 통해 관학이 급격히 발전하게 되자, 북송의 서원은 폐기되거나 관학 체계 속으로 편입되어가며 점차 쇠락의 길을 걷게 된다. 이렇게 침체되었던 송대 서원이 다시 부흥하게 된 건 남송의 주자에 의해서였다. 주자는 관료로 있을 때, 당시 科擧 준비를 위한 학문 전수에만 초점이 맞추어져 있던 관학의 세태를 비판하면서 여조겸, 장식 등과 함께 백록동서원, 악록서원, 석고서원등 서원 부흥운동을 주도하였다. 이때 주자는 張載와 二程이 표방했던 ‘正學’을 서원 교육의 이상으로 제시하며 남송서원에 ‘새로운 私學 정신’을 부여하였다. 주자를 중심으로 한 남송의 서원부흥운동은 ‘張載와 伊洛의 학문을 탐구하는 서원’, 곧 ‘理學書院’을 탄생시켰다. 그리고 그들이 理學을 탐구하는 목적은 바로 ‘道’를 깨달아 실천하는데 있었다. 이제 서원의 교육 목표는 더 이상 ‘문장학이나 과거 대비’가 아니라, ‘理學 의 탐구를 통해 道를 깨닫고 실천하는 것’으로 변화되었다. 그리하여 주자에 의해 탄생한 理學書院은 科擧之學에 얽매였던 북송서원과 달리, 理學과 道學을 자유롭게 강론하는 학문과 교육의 장소로 탈바꿈되었다. 여기서 중요한 것은, 理學書院의 등장과 학문풍토가 이후 학파의 형성과 학문 발전에 지대한 영향을 끼쳤다는 점이다. 그리고 그 중심에 바로 서원 ‘講學’이 있었다. 주자에 의해 탄생한 남송의 理學書院은 科擧의 구속을 벗어나 ‘道學과 義理之學’을 목표로 ‘자유로운 학설의 전파’ 및 ‘師說의 계승을 통한 학파의 형성’을 가능하게 하였고, 이는 곧 각 서원에서 문인들의 ‘講學’을 통해 실현되었다. 이는 문장학과 과거 대비를 목표로 했던 북송의 서원과는 그 성격이 전혀 다른 것이었다. 남송대 주자가 확립한 서원 모델을 따라, 조선에서 道學을 강론하며 강학을 통해 師說을 계승, 전파함으로써 서원이 다양한 학파 형성의 본거지가 되기 시작한 것은 17세기 이후였다. 이에 앞서 이미 영남에서는 퇴계 사후인 16세기 말부터 그 문인들이 陶山․易東․廬江․伊山書院 등에서 퇴계를 제향하며 강학을 통해 스승의 학설을 계승 하고 있었다. 퇴계 문인들의 사후에는 다시 그 문인들이 서원을 건립하여 스승의 위패를 모시고 강학함으로써, 17세기 무렵 영남지역의 퇴계학은 김성일․유성룡․정구 등의 계열로 분화되기 시작하였다. 17세기 이후에는 紫雲․紹賢․遯巖․華陽洞․考巖書院 등이 건립되면서 이들 서원을 중심으로 栗谷 李珥로부터 金長生, 宋時烈로 이어지는 畿湖 學派의 性理說과 禮說이 분화, 발전하였고, 18세기 石室書院의 강학은 당시 호락논쟁 에서 서울 지역 洛論의 사상적 기반을 확립하는 터전이 되었다. 그러나 조선 최초의 서원인 백운동서원의 강학은 17세기까지도 ‘道學을 강론하거나 師說을 계승’하는 서원의 모습과는 거리가 있었다. 이는 백운동서원을 창건한 주세붕의 서원관의 영향에서 비롯된 것이었다. 남송대 주자의 백록동서원 제도를 모방하여 백운동서원을 설립한다고 했던 주세붕의 서원에 대한 인식은, 사실상 남송보다는 북송 서원에 대한 이해에 기반하고 있었다. 북송의 모델을 따라 서원을 ‘科業을 준비시키는 관학의 보조기구’처럼 인식했던 주세붕의 서원관은, 설립 초기 백운동서원 강학의 성격과 방식을 규정하는 데 실질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었고, 그 영향은 17세기 초반 무렵까지도 지속되었다. 그렇다면, 한편 북송의 모델을 따르면서, 그는 왜 백운동서원의 설립 근거를 주자의 백록동서원 고사에서 찾고자 하였을까? 그가 모방했다고 한 ‘주자의 백록동서원 고사’란 구체적으로 어떤 것이며, 또 그가 따르지 못한 주자의 행적은 과연 무엇인가? Ⅱ장에서는 먼저 이 질문에 답함으로써, 백운동서원을 세우면서 주세붕이 구상했던 교육의 성격, 그의 서원관을 검토하고자 하였다. 그의 서원관은 송대 서원제도에 대한 이해 방식 뿐 아니라, 주자학에 대한 이해 방식 및 그 지향성과도 밀접한 관련을 맺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아울러 Ⅱ장에서는 그의 서원관이 16세기 소수서원 강학 실제에 어떤 영향을 끼쳤으며, 당시 강학은 구체적으로 어떻게 이루어졌는지를 살펴보고, 16세기 소수서원 강학의 성격과 의미, 그 성과와 한계를 짚어보고자 하였다. 남송대 주자가 확립했던 서원관이 조선 사회에서 이해되기 시작한 것은 주세붕을 지나 퇴계에 이르러서였다. 그는 주자가 남송서원을 부흥할 때 했던 것처럼, 풍기군수로 부임하여 조정에 백운동서원의 사액을 청함으로써 서원이 국가의 승인과 지원을 획득할 수 있는 제도적 기반을 마련하는 데 성공하였다. 동시에 科擧와 祿利의 풍습에 물들어 학문을 오직 과거에 합격하고 녹봉을 취하는 수단으로만 여기는 官學의 폐해를 지적하고, 서원을 설립한 뜻은 오직 ‘道學을 講明’하는 데 있으며, 서원에서 학문 하는 방법은 옛 사람의 爲己之學에 두어야 함을 강조하였다. 그는 주자의 서원관을 계승하여 이를 조선사회에 정착시키기 위해 많은 노력을 기울였으나, 科擧의 구속에서 벗어나 참다운 爲己之學을 실천하는 道學 서원의 정착은 쉽게 이루어지지 않았다. 그는 풍기군수 재임 시에도 틈날 때마다 백운동서원을 찾아 ‘道學’을 강론하며, 당시 科業에 치우치고 있던 백운동서원의 학풍을 쇄신하고, 제생들에게 道學이 무엇인지를 깨우쳐주기 위해 많은 노력을 기울였으나, 17세기 초반까지도 소수서원의 강학은 여전히 道學이 아닌 科學에 치우치고 있었다. 이 같은 강학 방식에 비판의 목소리가 제기되기 시작한 것은 17세기 초반 무렵이었다. 17세기 소수서원의 운영자들은 과거공부에 치중되어 있던 당시 소수서원의 강학 방식에 심각한 우려와 비판을 드러내면서, 소수서원을 道學을 강명하는 서원 본래의 강학 공간으로 탈바꿈하기 위해 다양한 노력을 경주하였다. 그 노력 중 하나가 바로, 설립 초기 주세붕이 정한 과거 입격자 중심의 입원 자격을 두고 벌어진 ‘罷格 논쟁’이었다. 17세기 초부터 전개되기 시작한 이 논쟁에서 퇴계 문인들은, 과거 입격자 중심의 입원 규정은 개정되어야 한다는 ‘罷格論’의 입장에서 罷格을 주장하며, 유학교육의 본질과 서원의 존재 의의가 어디에 있는지를 설파하였다. 우여곡절 끝에 18세기 초에 이르러 罷格으로 종결된 이 논쟁은, 17세기 초반까지 ‘科業 위주’로 운영되던 소수서원 강학의 성격이 18세기에 이르러 ‘道學 중심’으로 변모하는 결정적인 계기가 되었다. Ⅲ장에서는 17세기 초반까지 科業 위주로 이루어진 소수서원 강학의 운영 실제를 살펴보고, 퇴계 문인을 중심으로 제기된 科業 위주의 강학방식에 대한 비판과, 罷格 논쟁에서 파격을 주장한 이들의 논리가 관철되는 과정을 통해, 주자와 퇴계가 천명했던 ‘道學을 講明하는 곳’으로서의 서원 강학 이념이 17세기에 이르러 소수서원에 확립되어가는 과정을 밝히고자 하였다. 18세기에는 서원의 폭증으로, ‘서원은 본래 선비들의 강학을 위해 설립한 것인데 강학의 實은 없고 제향만 일삼으며, 토지와 양정을 모점하여 사회적 폐단을 초래한다’ 는 비판이 심화되자, 조정에서는 疊設 금지․사액 불허․훼철 등 서원에 대한 각종 통제 정책을 시행하고, 지방관들은 향촌의 교육 기능을 되살리기 위한 방안 마련에 고심하였으며, 각 서원은 형편이 허락하는 대로 강학을 개설함으로써 서원의 교육 기능을 지속하기 위해 나름의 노력을 기울이고 있었다. 소수서원은 물론 최초의 사액서원으 로서 조정의 직접적인 통제 대상에서는 벗어나 있었으나, 서원 건립의 증가는 18세기 소수서원의 경제 기반 약화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쳤다. 경제적 기반의 약화는 곧 강학 운영 방식에도 직접적인 변화를 초래하여, 18세기에는 ‘三冬居齋’나 ‘輪番居齋’ 등이전에 없던 강학 운영상의 변통책이 나타나기 시작하였다. 서원의 폭증 외에, 18세기 소수서원 강학에 영향을 끼친 중요한 사건은 바로 17세 기부터 시작된 ‘罷格 논쟁’이었다. 1719년 이 논쟁이 罷格으로 확정됨과 동시에 17세기까지 ‘科業’ 중심으로 이루어지던 소수서원 강학은 ‘道學’ 위주로 그 성격이 확연히 변화되었다. 이는 17세기까지의 강학이 科業을 목표로 한 ‘居接’의 형태로 이루어진 것과 달리, 道學을 목표로 한 ‘居齋’라는 18세기 강학 형태의 변화로 나타났다. 居齋 에서는 ‘道學의 탐구와 실천’을 목적으로 표방하며, ‘개별독서․敬讀․通讀’의 교육과정을 통해 이를 실현하고자 하였다. 또한 18세기 초부터 거재의 목적으로 표방하기 시작했던 ‘道學’은 18세기 후반에 이르러 ‘心學의 이론과 실천’에 대한 탐구로 한 단계 구체화되고 있었다. 즉, 17세기는 주자와 퇴계가 천명했던 ‘道學을 講明하는 곳’으로서의 서원 강학 이념이 공유, 확산되기는 하였으나 그것이 강학의 실제에까지는 반영되지 못한 과도기였다면, 18세기는 구체적인 강학의 형태와 방식까지 변화된, 서원 강학 이념의 정착기라고 할 수 있다. Ⅳ장에서는 17세기 과도기를 거쳐 18세기에 ‘道學을 講明하는 곳’으로서의 서원 강학 이념이 정착되고, 나아가 心學의 탐구와 실천으로 道 學이 구체화되는 과정을, 居齋의 교육과정과 운영 실제, 敬讀 및 通讀 교재에 대한 분석 등을 통해 밝히고자 하였다. 또한 18세기 후반 거재의 心學的 특징과 아울러 科業 을 내용으로 하는 백일장과 순제가 활성화된 배경은 무엇이었는지도 검토하였다. 18세기에는 寶穀의 재정도 고갈되고 지방관의 전폭적인 지원도 사라지자, 四時居接 을 三冬居齋로 바꾸고, 輪番居齋 방식을 활용함으로써 거재 인원과 기간을 단축하며, 원임의 관심과 역량에 따라 불안정하게나마 강학을 운영해오던 소수서원은, 18세기 중반에 이르러 養士廳을 설치, 운영함으로써 강학의 재정 기반을 안정적으로 확보하고자 하였다. 그러나 양사청 역시 중단과 복설을 거듭한 끝에 18세기 후반 폐지되기에 이르자, 19세기에는 ‘三冬居齋’ 조차 개설하기 어려울 정도로 소수서원의 재정난은 심화되었다. 이에 서원에서는 원장의 거주지를 道內로 확대함으로써 전현직 관리를 원장에 임명하고, 동시에 순흥부사에게 소수서원 원장을 겸임시키는 원장부사 제도를 활용함으로써 지방관의 지원에 힘입어 강학을 지속하고자 하였다. 19세기 강학의 또 다른 변화는 해마다 계절에 따른 科業과 道學의 병행이 관례로 정착되고 있었다는 점이다. 이는 19세기 서원의 유생들이 ‘대다수 과거에 응시할 유생들’이라는 현실을 반영한 것이었다. 즉, 19세기에는 과거에 응시할 대다수 서원 유생들의 사정을 고려하여, 해마다 계절별로 科業과 道學을 위한 교육과정을 동시에 개설함으로써, 유생들의 과거 응시에 보다 현실적이고 적극적으로 대처하고 있었다. 한편, 19세기 소수서원의 가장 큰 변화는, 18세기까지 뚜렷한 학맥이나 학파적 성향을 띄지 않았던 소수서원에 학파적 특징이 처음으로 나타나기 시작한다는 점이다. 19세기에는 大山 李象靖과 定齋 柳致明의 문인들, 이른바 湖學의 핵심 인물들이 洞主를 맡아 서원 강학을 주도하고 있었다. 강학의 내용에 있어서도 心學의 실제적 지침서인 『朱子書節要』, 聖學과 心學의 요체를 다룬 퇴계의 『聖學十圖』, 실천적 공부론을 강조한 것으로 이상정과 유치명이 매우 중시했던 주자의 「玉山講義」와 『延平 答問』, 未發과 已發, 動靜을 관통하는 通體 공부로서 이상정이 강조했던 戒愼恐懼의 의미를 다룬 『中庸』 등을 강론하며, 19세기 소수서원은 강학을 통해 心學과 일상의 실천을 강조한 湖學의 학문적 특징을 계승하고 있었다. 소수서원에 학맥이나 학파적 성향이 19세기에 이르러 비로소 나타나기 시작했다는 사실은, 16, 17세기부터 특정 스승이나 학파의 학설을 계승, 전파하기 위해 서원을 설립하고 특정 학맥을 중심으로 강학을 전개해가던 여타 서원의 모습과는 차별화되는 소수서원 강학의 변화상과 특징을 잘 드러내는 지점이다. Ⅴ장에서는 19세기의 재정난에도 불구하고 전현직 관리를 원장에 임명하거나 兼院 長 제도를 활용함으로써 강학을 지속하고자 했던 소수서원의 모습을 살펴보고, 교육 과정의 변화와 1827년 중용 강회의 강론 내용을 통해 19세기 강학에서 湖學의 학풍이 계승되는 과정을 분석하였다. 또한 1828년 文會 후 李泰淳, 李秉運, 李家淳, 姜橒, 柳鼎文 등 湖學의 핵심 인물을 중심으로, 9일에 걸쳐 이루어진 소백산 유람의 과정과 의미를 검토하였다. 이때의 소백산 유람은 遊息의 과정이자 동시에 서원 강학의 목표였던 ‘道를 발견하고 체인’하기 위한 교육과정의 일환이었다. 동시에 유람의 마지막 4일간 희방사에서 이병운, 이가순, 강운, 유정문 등을 중심으로, 대산의 문인이었던 黃 龍漢의 문집을 강독, 교감하고 있는 것을 통해 19세기 소수서원이 대산 학맥의 계승에 일정한 역할을 하고 있는 모습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Ⅴ장의 마지막 절에서는 주로 안동과 예안 출신으로 高山書堂과 虎溪書院을 무대로 활동하던 湖學의 핵심 인물들이 19세기 소수서원에 등장하게 된 배경과 계기는 무엇이었는지도 함께 검토하였다. Ⅵ장에서는 마지막으로 조선시대 소수서원 강학의 교육학적 의미를 검토하였다. ‘서원은 과연 어떤 공부를 하는 곳이어야 하는가’에 대한 정체성이 미처 확립되지 못했던 당시, 조선 최초의 서원으로서 소수서원이 겪어야 했던 강학의 변화 과정은 곧 조선 서원의 정체성이 확립되어 가는 과정을 동시에 보여주고 있다. 또한 18세기 이래 道學과 心學을 표방했던 소수서원의 교육과정은 敬의 공부론을 통한 몸과 마음의 엄격한 검속뿐 아니라, ‘藏修와 遊息, 詩書禮樂’을 동시에 아우르는 교육과정이었다. 또한 이와 같은 교육과정은 결국 ‘몸과 마음’, ‘세계와 내’가 올바른 관계를 맺음으로써, 지식과 덕성이 괴리되지 않고, 매일의 삶 속에서 매순간 존재가 소외되지 않도록 하는 데 그 궁극적인 목적이 있었다. 즉, 소수서원 강학이 추구했던 ‘지식과 덕성의 결합을 위한 공부론’은 결국 ‘관계’를 통해 실현되는 것이었다. 모든 교육은 ‘지식과 덕성의 결합’ 혹은 ‘지식과 인성의 통합’을 전제로 한다. 현재 한국 공교육의 근본적인 문제는, 입시교육에 치우친 나머지 지식교육만 하고 인성교육을 등한시 하는 데 있는 것이 아니라, 지식과 인성이 서로 관련을 맺지 못한다는 것, 즉, 지식이 학습자와 ‘진정한 관계’를 맺지 못한다는 데 있다. 이런 점에서, ‘관계를 통해 지식과 덕성의 결합’ 을 꾀했던 조선시대 소수서원의 강학 전통은 현대 공교육에도 시사하는 바가 크다.

      • 朝鮮時代 孔子圖像 硏究

        신민규 명지대학교 대학원 일반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8668

        본 논문은 조선시대에 제작되거나 유입된 공자의 시각적 이미지 가운데, 제례와 첨배의 용도로 제의시설에 봉안되었던 공자도상(孔子圖像)에 대한 연구다. 공자도상이 제작되거나 유입되는 일차적 목적은 제의시설에 봉안하여 의례를 행하기 위한 것이었다. 유교의 종교성에 대한 문제를 차치하더라도 역대로 문묘(文廟)나 영당(影堂)에서 제의의 대상이자 도구로 사용되어 일정한 종교적 기능을 수행했고, 특정시대와 지역, 집단의 사상과 이익추구에 따라 성상(聖像)으로 존숭되거나 우상(偶像)으로 파괴되기도 했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조선시대에 제작되거나 유입된 공자도상의 도상분석과 더불어, 제례와 숭배의 대상으로 사용되었던 공자도상이 종교적, 사회적 측면에서 어떠한 방식으로 조선시대 시각문화의 한 부분을 형성했는지 조명해 보았다. 우선 사상과 문화사적 변동에 따라, 성상 또는 우상으로 변모하는 공자도상에 대한 인식의 변화를 살펴보고, 이로써 이미지를 통한 공자숭배문화를 연대기적으로 고찰하였다. 그리고 조선시대에 세워진 주요 공자영당과 그 곳에 봉안된 공자도상을 당시의 역사적 상황과 봉안처의 성격에 따라 정치·종교·사회적 관점에서 다각도로 고찰해보았다. 8세기부터 고려 말까지는 제의공간에서 공자의 형상이 성상으로 존숭되었지만, 조선시대에 접어들면서부터 공자의 형상은 제의공간에서 점차 사라지게 된다. 성리학적 이념을 내세운 조선에서는 제의공간에 설상(設像)하는 것을 이단(異端)의 폐습으로 여겼고, 또한 신주(神主)를 사용해야 한다는 성리학적 제의관으로 인해 공자의 형상을 우상으로 간주했기 때문이다. 그리고 1530년 명(明)에서 문묘의 공자상 훼철을 조칙으로 삼은 ‘가정개제(嘉靖改制)’가 단행됨에 따라, 조선에서도 1574년 개성문묘의 공자소상이 훼철되는 것을 마지막으로 모든 문묘에서 공자상이 사라지게 된다. 필자는 이와 같이 공자의 형상을 금기시하는 역사적 흐름가운데서도, 한편으로는 공자도상을 봉안한 서원이 설립되었다는 점에 주목하였다. 16세기 서원설립운동이 전개되면서 1555년 강릉에서는 공자를 향사하는 구산서원(丘山書院)이 설립된다. 강릉지역에서는 향사할만한 지역의 선유(先儒)가 없었기 때문에 서원설립의 요건을 갖추지 못하였고, 이에 중국으로부터 들여온 공자도상을 명분으로 공자를 향사하는 서원을 세운 것이다. 그러나 상(像)에 대한 제사를 금기하는 성리학적 제의관에 저촉되고, 향교의 문묘와 공자의 제사가 겹친다는 문제가 발생하여 서원설립이 난관에 봉착하게 된다. 이에 서원설립주체들은 이러한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해 상에 대한 예식을 조두(俎豆)에서 분향(焚香)으로 바꾸어 공자도상을 봉안하는 정당성을 확보한 것으로 보인다. 구산서원의 공자도상 봉안을 기점으로 이미지를 통한 공자의 숭배는 여러 지역으로 확대되었다. 특히 강릉과 비슷한 인문·지리적 환경을 가진 관북(關北)지역에서는 구산서원의 사례를 적극적으로 본받아 공자도상을 서원설립의 도구로 이용하였으며, 더불어 봉안한 공자도상을 ‘문향(文鄕)’의 표상으로 전설화시켰다는 것을 나능호(羅能浩)가 그린 <행단도(杏壇圖)>의 제기(題記)를 통해 분석하였다. 그리고 이 <행단도>가 풍류(風流)와 호학(好學)의 유가적 즐거움을 시각화했다는 것을 도상학적으로 고찰하여, 그 주제와 상징이 서원이라는 강학공간이 지향하는 바와 합목적적인 관계를 맺고 있음을 살펴보았다. 소수서원(紹修書院)에는 문묘를 시각적으로 번안하고 공자를 제왕의 모습으로 표현한 <대성지성문선왕전좌도(大成至聖文宣王殿座圖)>가 소장되어 있는데, 본 논문에서는 그림의 내력이 소수서원의 상징성과 권위를 드러내기 위해 윤색되었다는 점에 주목하였다. 이 그림은 예로부터 안향이 원나라에서 주자학을 들여올 때 가지고 온 것으로 전승되어, 그가 주자성리학을 동방에 전파했다는 사실을 환기시키는 일종의 역사적 기념물로서 추숭되었다. 그러나 그림의 형식적 분석결과, 이 그림이 안향과는 아무런 관계가 없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소수서원은 주자학을 최초로 전래한 안향을 주향으로 삼은 곳이며, 조선 최초의 사액 서원이라는 점에서 매우 상징적인 공간이었기 때문에, <대성지성문선왕전좌도>를 안향과 관련지어 동방 유학의 시작과 창달을 상징하는 가시적 징표로 윤색한 것으로 보인다. 노성궐리사(魯城闕里祠)와 화성궐리사(華城闕里祠)는 공자도상을 봉안한 가장 대표적인 영당으로 두 곳 모두 정조(正祖)와 관련이 깊다. 이에 두 궐리사에 봉안되었던 공자도상에 대해 고찰하고 ‘정조의 눈’을 통해 당시의 공자도상에 대한 인식과 이용에 대해 살펴보았다. 노성궐리사에 봉안된 대부분의 공자도상은 정조의 명으로 다른 지역에서 이안(移安)된 것이다. 당시 전국 곳곳에서 공자도상 및 여러 성현의 도상을 빌미로 영당을 남설(濫設)하였는데, 정조는 조정의 허락 없이 사당을 짓는 것은 사체(事體)에 부적합하다고 여겨 그곳의 공자도상들을 노성궐리사로 옮긴 것이다. 그리고 정조는 공자도상이 근원적으로 공자의 실제모습을 담을 수 없다는 부정적 관점을 취하고 있었기 때문에, 이러한 관점은 공자도상 이안의 주요 동인을 작용되었던 것으로 추측된다. 그러나 정조는 공자도상에 대한 부정적인 인식을 갖고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화성에 궐리사를 세워 내각(內閣)에 있던 공자영정을 봉안하고, 조선의 공자후손으로 하여금 제사를 지내게 한다. 그 이유는 정조가 화성 육성을 자신의 정치적 입지를 다지는 과업으로 삼았기 때문에, 화성에 궐리사를 세워 유교문화의 중심지로 만들어 성소(聖所)의 이미지를 부여하고자 했던 것으로 파악된다. 즉 정조의 공자도상에 대한 인식과 이용은 정치적 상황과 목적에 따라 달랐던 것으로 볼 수 있다. 현재 노성궐리사에는 다수의 공자도상이 현전하여 18세기 무렵에 유행하였던 공자상이 어떤 것이 있었는지 가늠해 볼 수 있지만, 화성궐리사에는 설립당시에 봉안했던 그림은 전하지 않는 것으로 생각된다. 기록에 따르면 ��동국궐리지(東國闕里誌)��에 실린 공자도상이 설립당시에 봉안된 도상을 옮긴 것이라고 전하지만, 이 그림들은 ��성적도(聖蹟圖)��에 실린 공자의 형상을 차용한 것이며, 당시에 봉안된 공자도상과는 아무런 관계가 없는 것으로 추정된다. 조선 말기에는 일본의 침탈과 서구열강의 침입, 이단으로 간주되던 천주교의 전파로 인해, 공자도상이 춘추대의(春秋大義)와 존화양이(尊華攘夷)의 상징적인 표상으로 이용되었다. 정읍의 영양사(瀛陽祠)는 이러한 시대적 분위기에서 건립된 공자영당으로, 이곳에 봉안된 공자도상은 항일의병장과 우국지사들의 초상을 다수 그린 채용신(蔡龍臣)이 제작한 것으로 전한다. 이전의 공자도상들은 화보(畵譜)나 중국의 공자도상을 그대로 옮기는데 충실했지만, 이 그림에서는 기존 도상의 영향 없이 채용신 고유의 화풍이 여실히 반영되어있다. 전통적인 좌우칠분면(左右七分面)의 인물표현방식에서 탈피하여, 채용신 자신이 즐겨 사용하던 정면관 형식으로 공자를 표현하였고, 서구식음영법이 가미되어 있다. 그리고 범본을 두지 않았기 때문에 채용신 자신이 오랜 기간 체화한 얼굴표현 방식이 적극적으로 반영되어, 공자의 얼굴이 조선적으로 변모하였다. 사산사(泗山祠) 또한 공자를 존화양이의 표상으로서 향사하기 위해 영양사의 공자도상을 이모하여 봉안했다. 그리고 이후 네 차례나 다른 영당의 공자도상을 이안하거나 이모해 온다. ��동국궐리지��에 실린 도상과 일치하면서 동시에 중국 곡부의 진본으로 여겨지던 도상을 이모해왔고, 노성궐리사에 봉안되었던 공자도상을 이모해 왔다. 그리고 공묘(孔廟) 대성전(大成殿)에 봉안된 공자 조각상의 사진을 범본으로 삼아, 채용신에게 영정을 제작하게 하였다. 그 이유는 권위적 도상을 봉안하여 영당의 권위를 높이고, 그 존립기반을 확고하게 만들기 위한 목적이었던 것으로 생각된다. 공자의 도상은 언제나 그 진위에 대한 시비가 들끓었고, 이는 영당의 존립과 직결되는 문제였다. 그러므로 당시에 공자의 진상(眞像)으로 인정되었던 도상이나 궐리사와 같은 권위 있는 영당에 봉안된 공자도상을 봉안한 것은, 도상의 진위문제를 미연에 방지하는 동시에 영당존립의 정당성을 대변할 수 있었을 것이다. 즉 사산사에서 이루어진 공자도상의 이모는 ‘권위의 복제’이며 영당존립을 위한 정치적 행위로 볼 수 있다. This paper aims to examine the Confucius icons孔子圖像 enshrined at facilities for ritual and cult among the Confucius images produced at or introduced to the Joseon Dynasty. A primary objective of production or inflow of the Confucius images was to enshrine them at ritual facilities and perform a ceremony. Regardless of an issue of the Confucian religiosity, they were used as an object or a tool for rituals at a Confucius shrine文廟 or Youngdang影堂, carrying out certain religious function, and respected as an icon聖像 or destructed as an idol偶像 according to a particular age and region, idea and pursuit of interest of a group. Hence, this paper analyzes the Confucius images produced at or introduced to the Joseon Dynasty for ritual and cult and examines how they formed part of the visual culture of the Joseon period in religious and social aspects. Firstly, it examined a change of recognition on the Confucius images to an icon or an idol along with transition of the history of idea and culture and the Confucius cult culture chronologically through images. Also, it conducted a multi-angle analysis on main Confucius Youngdang established in the Joseon Dynasty and Confucius images enshrined there according to those days' historic situation and character of an enshrined place in religious and social perspective. At ritual spaces from the 8th century to the end of the Goryeo Dynasty, Confucius image was respected as an icon but from the beginning of the Joseon Dynasty it came to disappear gradually at a ritual space. Since, in the Joseon Dynasty advocative of the Confucian ideology, enshrinement of images at a ritual place was regarded as heretical evil customs and Confucius image was assumed as an idol because of the Confucian ritual perspective that the tablet神主 should be used. Besides, along with the enforcement of the reforms of sacrificial rites during emperor Jiajing's reign in the Ming嘉靖改制 having a Royal edict of the Confucius image destruction in the Confucius shrine in 1530, and in 1574 of the Joseon Dynasty, it was finally demolished at Gaesung Confucius shrine and disappeared in every Confucius shrine. This paper paid attention to a point that Seowon書院 was established for enshrining the Confucius images even in a historical flow tabooing them. With the development of the 16th century's campaign for founding Seowon, Gusan Seowon丘山書院 was erected to reverence the Confucius at Gangneung in 1555. There was no regional former Confucians to worship at Gangneung so it failed in satisfying requisites for establishing Seowon. Hence Seowon for the Confucius was formed in the name of the Confucius images from China. However, it conflicted with a Confucian ritual view to taboo an ancestral rite for an image and there was a problem overlapping the Confucius shrine of Hyanggyo with a rite for the Confucius so foundation of Seowon was faced with a serious situation. Therefore, to solve such a problem, it seems that persons in charge of establishment of Seowon changed a ceremony for an image from Seok-chae釋采 to offering incense焚香, ensuring the legitimacy for enshrining the Confucius images. Cult of the Confucius through images was expanded to many regions along with enshrinement of the Confucius images at Gusan Seowon. In particular, this study analyzes a point that case of Gusan Seowon was actively modeled and the Confucius images were used as a tool for establishing Seowon at Gwanbuk having a similar humanistic environment to that of Gangneung and also the Confucius images enshrined were made a legend as a representation of the 'home of academies' through texts on a painting <Xintantu杏壇圖> by Na Neungho羅能浩. Besides, it shows that such <Xintantu> visualized Confucian pleasure of enjoying arts and loving study iconographically, and its theme and symbol are fitting for the aim of a studying place Seowon, showing an appropriate relation for its aim with the enshrined painting. Sosu Seowon紹修書院 has <Dacheng zhisheng wenxuanwangdian zuotu大成至聖文宣王殿座圖> that reinterpreted and expressed visually Confucius shrine and represented the confucius as an image of an emperor, and this paper gives special attention to a point that its history was embellished to show symbolism and authority of Sosu Seowon. This painting had been said to be brought by An Hyang安珦 along with the doctrines of Chu-tzu from the Yuan and worshiped as a kind of historic monument recalling a fact that he transmitted the neo-Confucianism of Chu tzu to the Eastern. However, formal analysis on this painting shows that it has no relation to An Hyang. Since, Sosu Seowon was a very symbolic space in that it was the first nationally authorized Seowon in the Joseon Dynasty that enshrined An Hyang spreading the doctrine of Chu tzu firstly, it seems <Dacheng zhisheng wenxuanwangdian zuotu> was embroidered as a visual mark symbolizing the beginning and development of Joseon Confucianism with connection to An Hyang. Noseong Gweulrisa魯城闕里祠 and Hwaseong Gweulrisa華城闕里祠, most representative Youngdang that enshrined the Confucius images, have a deep connection to King Jeongjo正祖. Hence, it examined Confucius images enshrined at two Gweulrisa, and about recognition on and use of those days' Confucius images through a 'view' of King Jeongjo. Most Confucius images enshrined at Noseong Gweulrisa were moved out of other regions under the order of King Jeongjo. In those days, Youngdang was over- excessively erected everywhere by reason of the Confucius images and many saints', and King Jeongjo regarded it was unreasonable to build a shrine without permission of the Court so moved Confucius images to Noseong Gweulrisa. Besides, it seems that negative perspective of King Jeongjo that Confucius images could not express those of His real functioned as a main drive for their transfer. However, despite such negative perception on the Confucius images, King Jeongjo built Gweulrisa at Hwaseong and enshrined the Confucius portrait that existed at a court library內閣, making Confucius descendants perform a rite. The reason why is that King Jeongjo set as a task building Hwaseong to establish his political position so intended to give it an image of a sanctum through building Gweulrisa and making Hwaseong as a center of the Confucian culture. In other words, it may be regarded that King jeongjo's recognition on and use of the Confucius images varied as a political situation and objective. At present, a number of the Confucius images exist at Noseong Gweulrisa so it is possible to guess about those popularized in the 18th century but there seem to be no painting enshrined at the time of foundation at Hwaseong Gweulrisa. Related records show that Confucius images in Dongguk Gweulriji東國闕里誌 are those transferred from enshrined images at the time of establishment. However, it is assumed that these paintings were borrowed from Confucius images included in Shengjitu聖蹟圖, having no relation to the Confucius images enshrined at that time. In the end of the Joseon Dynasty, the Confucius images were used as a symbolic representation of the confucian thought of righteousness and Respecting China & Defeating savage owing to plunder by Japan, invasion by the Western Powers and spread of Catholic regarded as heresy. Jeongeup Yeongyangsa瀛陽祠 is the Confucius Youngdang built from such a periodic atmosphere and it is told that Confucius images enshrined here were produced by Chae Yongsin蔡龍臣 who painted many portraits of heads of righteous armies and patriots against japan. Prior paintings centered mainly on copy of art books or Chinese Confucius images but this painting reflects a unique style of Chae Yongsin without influence by the existing images. Escaping from a traditional expression of a person, Chae Yongsin expressed the Confucius with a front view he used frequently, adding the western shading. Besides, there was no exemplar so expressive method for face embodied by Chae Yongsin himself for a long time was reflected actively and face of the Confucius changed to that of Joseon. Sasansa泗山祠 also copied and enshrined the Confucius image of Yeongyangsa to reverence the Confucius as a representation of Respecting China & Defeating savage. Furthermore, it brought the Confucius images by moving or copying from other Youngdang as many as 4 times. It copied an image corresponding to that of Dongguk Gweulriji and regarded as the original of Qufu, China in addition to the Confucius image enshrined at Noseong Gweulrisa. Besides, along with an exemplar of a photo of the Confucius statue enshrined at the main hall大成殿 of the Qufu confucius temple孔廟, a portrait of the deceased was to be produced by Chae Yongsin. Maybe it aimed to raise the authority of Youngdang and ensure its foundation for preservation by enshrining the authoritative image. Authenticity of the Confucius images was a bone of contention all the time and it was an issue that connected directly to preservation of Youngdang. Hence, an image acknowledged as the true image眞像 of Confucius or enshrined at the authoritative Youngdang like Gweulrisa in those days was enshrined so it could rip an authenticity problem in the bud and at the same time represent legitimacy of Youngdang to be existed. In other words, copying of the Confucius images occurred at Sasansa may be regarded as 'duplication of authority' and a political action for preservation of Youngdang.

      • 榮州地域 古文獻의 刊行과 傳存

        이재구 경북대학교 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8620

        This study attempts at the bibliographical analysis of the Old Literatures in Young-ju region. Through this study, the following findings were derived : In this study, the local old literatures which are transmitted in Young ju are analyzed by the old records and the bibliographical analysis. Through this study, the following findings were derived : 1. It has various subjects and 34 items are still remained which is related to the scholars in Young-ju region. 2. The old books consist of 3,934 titles(種) 8,931 volumes(冊), and classify as follows : ① classified by printing(版種別) : movable-type printed books(金屬活字本) 26 titles(0.7%) 170 volumes(1.9%), wooden-block printed books(木活字本) 253 titles(6.4%) 625 volumes(7.0%), wooden-plate printed books(木板本) 1,321 titles(33.6%) 4,093 volumes(45.8%), stone-seal printed books(石印本) 1,348 titles(34.2%) 2,524 volumes(28.3%), new-type printed books(新式活字本) 223 titles(5.6%) 533 volumes(5.9%), manuscripts(筆寫本) 635 titles(16.1%) 833 volumes(9.3%), etc. printed books(其他 印本) 128 titles(3.2%) 163 volumes(3.2%) ② classified by subject(主題別) : Confucian Classics Division(經部) 423 titles(10.8%) 1,093 volumes(12.2%), Historiography Division(史部) 1,027 titles(26.1%) 2,159 volumes(24.2%), Masters and Philosophers Division(子部) 289 titles(7.3%) 856 volumes(9.6%), Anthologies and Collected Works Division(集部) 2,195 titles(55.8%) 4,823 volumes(54.0%) 3. There are a lot of the Confucianism literatures, at a rate of over 15%, the whole old literatures. 4. At that time, the publication of the Buddhist literatures seemed to be popular. 5. Over 60% of old documents are a collection of works about the clans or scholars in Young-ju region. 6. The old documents consist of 13,106 pages and classify as follows : ① Official documents(公文書) 935 pages(7.6%) ② Individual documents(私文書) 9,081 pages(68.7%) ③ etc. documents 3,090 pages(23.6%) Challenging assignments awaiting solutions with this study are as follows : 1. A lot of private literatures need to be open to the public and much deeper study is needed. 2. It is essential to secure more materials and information of the local old literatures and more accurate research is needed. 3. The study on deciphering, bibliographical introduction of the old documents is needed for investigation of the literati in this region. 4. It is essential to analyze and make a catalog of all the documents for the systematizing them in this region. 5. The important documents that are scattered in other place should be gathered and examined synthetically to establish this region as the main part of old publication.

      • 紹修書院 景濂亭詩 硏究

        권오정 경상대학교 교육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8607

        Different from previous researches focused on Sosoo-Seowon building itself and its historical meaning,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search about Gyeong-ryeom-jeong poem that was written in Sosoo-Seowon. The pavilion of Gyeong-ryeom-jeong was made for the poets to write poem or take a rest. Gyeong-ryeom-jeong was the first Seowon(Lecture Hall) built in Korea and it was fuctioned as a place for poets to write poem and take a rest until 19th centuries. This study covered about Gyeong-ryeom-jeong‘s function as a place for taking rest and Gyeong-ryeom-jeong poem's changed writer beauty awareness. First, Ju Se-Bung built pavilion matching the nature, naming it Gyeong-ryeom-jeong. This is not just for enjoying nature but for relating 性理學的's point of view showing Juja's Muijungsa(武夷精舍) and Muigugok(武夷九曲). In short, the pavilion is built for not just enjoying Gyeong-ryeom-jeong but for disciplining oneself. Second, Gyeong-ryeom-jeong provided poets with places of writing poetry between 16th and 19th centuries. By providing place for writing poetry, Gyeong-ryeom-jeong became a center of local poet groups. Third, a willingness to acquire Chunri(天理) expressed as Yeonbieoyak(鳶飛魚躍) is revealed through natural phenomenons. Acquiring the Chunri(天理), abandoning Inyok(人慾), and looking nature with contemplation in Gyeong-ryeom-jeong poem, it was expressed as aesthetic world. Fourth, Gwangpungjewol(光風霽月) is the topic of Gyeong-ryeom-jeong poem. This is not only talking about Sansuaeho(山水愛好) but also acquiring the Chunri(天理), abandoning Inyok(人慾), and longing for ideal personality. Fifth, Since Imjin War(壬辰倭亂), the writers who have suffered a crisis of national consciousness of the city is a self-esteem and keep the suspension have to go after a writer has to look at consciousness. In addition, through Gyeong-ryeom-jeong poem, this study is a good data to look at the reality awareness of intellectuals in those days. Also, most of the Gyeong-ryeom-jeong poem writers resided in near Sosoo-Seowon. They are good source of information about local writers and literary circle. I hope that Gyeong-ryeom-jeong poem and other writers should be researched and discussed again in the futur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