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스토리텔링을 통한 중요무형문화재 활용 방안 : - 중요무형문화재 제39호 처용무를 중심으로 -

        최경애 상명대학교 문화기술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8831

        문화재는 한민족의 역사와 사상적인 흐름을 보여주는 대표적인 매개체로 현대사회 속에서도 고유한 정체성과 가치를 지니고 있다. 과거의 문화재는 ‘원형 그대로’ 훼손되지 않은 범위에서 보존하는 것을 중점으로 보았다. 그러나 2010년 이후 문화재 정책의 방향은 ‘원형보존’ 만이 아닌 다양한 ‘활용방안’ 을 통한 보존과 계승에 중점을 두고 있다. 새로운 예술장르를 창조하는 시대적 흐름에 따라 다양한 방법으로 ‘원형의 창의적 계승’ 을 통해 문화재를 활용하고 있다. 중요무형문화재 공연은 뮤지컬과 연극처럼 대중화 된 콘텐츠가 아니기 때문에 대중들이 쉽게 접하거나 다가가기 어렵다. 또한 무용공연은 기획자의 사상과 감정을 몸이라는 매개체를 통해 전달하므로 일반 대중들이 이해하기에는 어려운 부분들이 많다. 공연예술 분야 중 매년 무용분야가 가장 낮은 관객 비율을 차지하는 것도 이와 같은 이유에서 관객들과 원활한 소통을 이루지 못하기 때문이다. 그러나 현재 무용공연은 관람객을 확보하고자 해설이 있는 공연, 무용극, 스토리텔링 공연 등 다양한 콘텐츠 개발을 통한 변화를 시도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스토리텔링과 같은 무용 콘텐츠 개발을 통해 중요무형문화재를 활용하여 활성화 하는 방안을 모색하고자 한다. 본 논문에서는 공연예술에서 스토리텔링의 개념, 중요무형문화재의 개념과 문화재 활용정책 및 사업을 분석하고 중요무형문화재 제39호인 <처용무>를 활용한 공연사례를 통해 무용공연작품의 활성화 방안을 모색 하고자 한다. 중요무형문화재를 활용한 무용공연작품인 <무원>, <처용굿>, <아바타처용>의 사례를 보면 ‘원형보존’ 을 바탕으로 대중들이 이해하기 쉽도록 내용을 재구성 하여 전개하였다. 또한 현대적 시대에 맞게 재해석하여 새로운 형식의 춤으로 대중들에게 다가가고자 하였다. 본 연구자는 스토리텔링을 통해 중요무형문화재 제39호 <처용무>를 활용한 ‘처용哀歌’ 를 기획․제작하였다. 중요무형문화재의 콘텐츠 활용을 통해 다양한 관객의 요구를 수용하고 문화적인 변용을 이끌어 내고자 하였다. 다소 어렵고 무겁게 느껴지는 무용공연을 스토리텔링을 통해 대중들이 쉽게 이해하고 다가 갈수 있도록 공감대를 형성하고 상호소통 할 수 있는 작품을 제작하고자 하였다. 중요무형문화재를 활용하여 순수예술공연의 활성화를 목적으로 제작된 이 공연은 관객들에게 난해하게 느껴지는 무용공연도 충분히 대중화될 수 있다는 가능성을 알아보는 계기가 되었다. 이와 같은 연구와 공연기획을 통해 공연예술 중 하나의 장르로만 인식되고 있는 무용이 여러 방면으로 활용되는 것에서 그치는 것이 아니라 활성화 및 대중화가 이루어 질 수 있도록 노력해야 할 것이다. 주요어: 중요무형문화재, 처용무, 스토리텔링, 문화재활용, 창의계승 Cultural properties are primary media showing the history and thought-stream of a nation. They have unique identity and value even in modern history. There was an emphasis on conservation of original form without damage in the past cultural property. But since 2010, there has been an emphasis on policy directions which preserve and undertake not only original form but also various activating plans of important intangible cultural properties. Performance of important intangible cultural properties is difficult to be approached by mass people because it is not popularized contents like popular musical and drama. Besides, as dance performance transmits thought and feeling of the planner through medium of body of a dancer. There is a problem that mass people can not understand dance performance easily. The dance area of performance arts is responsible for the least percentage of audience in that it does not communicate with audience. But the contemporary dance performance seeks to change through development of various contents such as storytelling, performance with narrative, a dance drama, in order to secure audience.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eek an activating plan using important intangible cultural assets through developing dance contents like storytelling. First, the concepts of storytelling and important intangible cultural assets, application policy business of cultural properties are analyzed in this study. This study is to search an activating plan of dance performance work through a performance example using the cheoyoug dance music, important intangible cultural asset, NO.39. Second, The Cheoyong sad music was planned and produced through storytelling using the Cheoyong dance music, important intangible cultural asset. NO.39. Besides, this study is to draw the cultural change by accepting the various needs of audience through using contents of important intangible cultural properties. This study was intended to produce the work where mass people could understand and approach tough and difficult dance performance through storytelling easily. This performance which was produced to activate the performance of pure art using important intangible cultural asset contribute to the possibility that this tough dance performance can be popularized enough. Finally, through this study and performance planning, dance that is recognized as one of performance arts can be used in various areas. This study suggests that there must be the effort that activation and popularity of dance will be made in the future. keyword: important intangible cultural property, the Cheoyong dance music, storytelling, activating cultural asset, creative succession.

      • 도심 중심가 문화재활용형 야간이벤트의 만족도 차이 연구 : 순천야행·서울 정동야행(夜行) 중심으로

        남길현 배재대학교 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8831

        본 연구는 문화재의 활용가치에 대한 인식변화가 달라지고 있는 시점에서 1997년 문화재보호법 개정으로 ‘문화재 활용’이라는 개념이 도입되고 문화재 활용을 적극적으로 추진하고 있는 정부의 정책적 변화가 이뤄지고 있다. 특히 문화재 활용은 단순히 보존보다는 활용을 통해 문화재의 가치를 상승시키는 방향으로 이뤄지고 있다는 점에서 문화재 활용 사업에 참여한 방문객의 특성을 파악해야 할 시점이 되었다는 문제를 제기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은 문화재의 가치를 재조명하며 주로 낮에 관람하던 문화재를 밤에도 즐길 수 있는 색다른 문화상품으로 조명 받고 있는 문화재 야행(夜行) 프로그램의 방문객 프로그램의 특성에 따라 프로그램의 만족도 차이 분석을 실시하여 향후 문화재활용형 야간이벤트의 발전방안을 모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연구의 목표에 접근하기 위해서 다음과 같은 목적을 설정하여 진행하고자 한다. 첫째, 야행프로그램의 방문객 특성을 파악할 것이다. 둘째, 야행프로그램을 찾는 방문객들의 특성에 따라 만족도에 차이가 있는지를 분석할 것이다. 문헌연구에서는 문화재 활용에 대한 이해와 유형 분석, 문화재 야행프로그램, 관광이벤트와 평가체계에 대한 선행연구를 실시하며, 실증연구에서는 2016년 문화재 야행프로그램인 순천야행과 서울 정동야행을 대상으로 실증연구를 실시한다. 설문조사 자료를 토대로 연구모형과 가설을 적용하여 검증하는데 조사 대상의 기술통계분석을 실시하고, 요인분석(factor analysis)을 실시한다. 그리고 방문객 특성에 따른 만족도 간 비교분석을 위하여 독립표본 T-검정, 일원배치분산분석(ANOVA)을 실시하였다. 첫 번째, 개최지역에 따라 만족도의 차이가 있을 것이라는 가설의 경우 거주지로 설정한 3개의 하위요소 중 2개가 채택되고 1개가 기각됨으로써 가설은 채택되었다. 두 번째 방문자의 문화재 프로그램 관람횟수에 따라 만족도의 차이가 있을 것이라는 가설의 경우 관람횟수로 설정한 3개의 하위요소 중 2개가 채택되고 1개가 기각됨으로써 가설은 채택되었다. 세 번째 방문자의 동반형태에 따라 만족도의 차이가 있을 것이라는 가설의 경우 방문객 동반 형태로 설정한 3개의 하위요소 중 2개가 채택되고 1개가 기각됨으로써 부분적으로 가설이 채택되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문화재활용 야간 이벤트의 방문객 특성에 따라 만족도 차이가 발생한다는 연구목표를 이루었으며, 이러한 연구결과를 통해 도시 중심부에서 개최되는 문화재활용 야간이벤트의 발전방안 수립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할 수 있다. 아울러 향후 문화재활용형 야간 이벤트에 대한 활발한 연구가 이뤄져 문화재 활용사업의 효과에 대한 전반적인 연구가 이뤄지는데 기여할 것으로 사료된다.

      • 문화재활용축제의 효과에 대한 지역 공무원의 인식에 관한 연구 : 고령대가야, 백제문화제, 안성바우덕이 축제를 중심으로

        김형우 배재대학교 국제통상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8831

        Cultural heritage is the sublime legacy possessing our predecessors' breath, and it attains historically and artistically high values. The values of such cultural heritage increase along with the flow of time, and the interest of its preservation and application is growing. Recently, Cultural Heritage Administration of Korea adopted a guideline for cultural heritage utilization to observe possible opportunities to expand uses of cultural heritage through various methods based on its preservation. Cultural heritage utilizing does not simply mean using cultural heritage but taking advantages of its value, function and ability that the heritage has in sustainable manner. In addition, the concept of cultural heritage preservation contributes to developing outstanding traditional culture through intensified preservation and new cultural values. In this regard, festival for utilizing Korea's cultural heritage has been emerged as the possible application. Cultural heritage festival responds to the popular desire to experience culture and to the extended time of leisure life, and it is a beneficial utilization method which combines educational valueand advantage of the event. It is possible to be divided into the tangible and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utilizing festival, but current festivals come into both aspects. Furthermore, these festivals are used as a tool to promote the regional inherent cultural heritage to findthe identity of the region, but studies and empirical analysis for the effects of festivals are not enough. This study, therefore, aims to examine if regional cultural heritage utilizing festival can develop inherent cultural assets of the region and has social-economic effect well as positive influence on the image of the region. Moreover, it will also discuss countermeasures against problems on the development of cultural heritage utilizing festival as well as possible plans to increase efficiency. This study, therefore, introduces the concept of cultural heritage utilizing festival systematically by definingconcepts of event and cultural heritage as well as the effect and the pattern of them. Also, with the theoretical view, characteristics of festival are introduced along with positive-negative aspects from local examples. Also, survey from the government officials whose region had similar precedents is done to analyze the effects and influence over the region and the recognition changes after holding the festivals. Finally, results of empirical investigation are analyzed and some suggestions are proposed to present the future direction of cultural heritage utilizing festival. This study concluded that cultural heritage utilizing festival has positive influence on the region, and it also affects to change the recognition of government officials. However,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among the regions. Except those represented in element analysis such as cultural heritage recognition increasing effect, cultural heritage development effect and tourism industry development effect, there is no particular effect that is distinctly shown among the regions. As the results of empirical analysis, cultural heritage utilizing festival has positive influence on the region as a way to preserve the region's own cultural heritage and also it promotes effective preservation of cultural heritage. This study is meaningful as it established a concept of cultural assets application festival, brought the changes of government officials' recognition toward the cultural heritage and derived the positive effects of festivals on economy and tourism industry development through empirical investigation. 문화재는 선인들의 숨결이 밴 숭고한 유산으로, 역사적으로나 예술적으로 높은 가치를 내포하고 있다. 이러한 문화재는 시대의 흐름에 따라 가치가 크게 상승하고 있으며, 보존 및 활용에 대한 관심도 높아가고 있다. 최근 문화재청에서는 문화재활용에 관한 지침을 통해 문화재 보존이라는 밑바탕에서 문화재활용을 위한 다양한 활용방식 및 건전한 문화재 활용을 확산시킬 수 있는 기회를 마련했다. 문화재활용은 문화재를 단순히 이용하는 것이 아니라 그것이 지닌 가치나 기능 또는 능력을 잘 살려 지속가능하게 이용하는 행위이다. 또한 문화재의 보존이라는 개념은 보존을 강화하고 새로운 문화가치를 생산, 다양한 가치개발을 통해 우수하고 고유한 민족문화를 새롭게 발전시키는데 기여한다. 이에 따른 지속가능한 활용으로서 문화재활용축제가 대두하게 되었다. 문화재활용축제는 대중의 문화향유에 대한 욕구 및 여가시간 증가에 따른 수요에 부응하는 것이며, 문화재의 교육적 효과와 이벤트의 장점을 결합시킨 상생의 문화재 활용방법이다. 이는 유형문화재 활용축제와 무형문화재 활용축제로 분류할 수 있으나 현재의 축제는 유무형의 문화재가 복합적으로 활용되어 추진되는 경우가 많다. 또한 문화재활용축제는 지역이 가진 고유의 문화재를 널리 홍보하고 나아가 지역의 정체성을 확립하는 도구로서 사용되고 있으나, 우리의 경우 그에 따른 효과 및 실증적인 분석은 아직 부족한 실정이다. 이에 따라 본 연구는 지역의 문화재활용축제 개최가 지역고유의 문화유산을 발전시키고 나아가 지역의 사회적-경제적 효과 및 지역의 이미지 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지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또한 문화재활용축제의 발전을 위해 도출된 문제점에 대한 방안을 제시하고 이를 통해 보다 효과적인 이벤트로 성장 할 수 있는 방안도 함께 제시하였다. 이에 본 연구는 이벤트와 문화재의 개념, 효과, 유형 등의 개념정립을 통하여 문화재활용축제에 대한 개념을 조작적으로 정의하였다. 그리고 이론적 고찰을 토대로 문화재활용축제에 대한 지역의 사례를 통하여 축제가 가지고 있는 특징 및 긍정적-부정적 영향 등에 대하여 조사했다. 또한 이 같은 사례를 가지고 있는 해당지역의 공무원을 대상으로 문화재활용축제 개최 후 지역 문화재 및 효과에 대한 인식 변화와 지역에 미친 영향에 대하여 설문조사를 통해 실증 분석을 실시하였다. 마지막으로 실증조사를 통해 나온 결과를 종합적으로 분석하고 이에 따른 시사점을 도출해 문화재활용축제가 향후 나아가야 할 방향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문화재활용축제가 지역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해당공무원의 인식의 변화에도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파악됐다. 그러나 지역별로는 큰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이는 요인분석을 통해 나타난 문화재인식 상승효과, 문화재개발효과, 경제적효과 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관광산업발전효과를 제외한 타 효과에서는 지역별로 별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문화재활용축제는 지역 고유의 문화재를 보다 가치 있게 보존하기 위한 활용의 방법으로서 지역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효율적으로 문화재를 보존 하는 데에도 좋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실증분석결과 나타났다. 본 연구는 문화재활용축제에 대한 개념을 정립하고 문화재활용축제가 해당지역 공무원들이 문화재에 대한 인식변화를 가져왔으며, 경제적 효과, 관광산업발전효과 등에 긍정적으로 작용했다는 점을 실증조사를 통해 도출했다는 점 또한 의의가 있다고 하겠다.

      • 향교의 역사문화적공간 특성에 기반한 문화유산 활용 방안 : 향교·서원 문화재 활용사업을 중심으로

        김희재 상명대학교 문화기술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8831

        Since 2008, the Cultural assets Administration has started local cultural assets utilization project and public subscription as well to provide various standards and direction in utilization of the cultural assets. Under the influence of local cultural assets utilization project which has run over 10 years continuously, the cultural assets which used to be considered something to be preserved has been utilized and come into the life. Thus, it set up environment to enjoy cultural assets. Hyanggyo is the government-run school with its clear intention of establishment and role and has long history. It’s used as place for preservation society and Confucian scholars and features local characteristics. Such place has been changed through the cultural assets utilization project. Local cultural assets utilization project has extended to the quantitative growth-centered policy and been utilized as historic resource depending on Hyanggyo’s function and its roles. With external environment changes and shifting concept from the cultural assets to cultural heritage over time, the local cultural assets utilization project has relieved common idea that cultural assets are obstacles in the local community. In addition, the contents of Hyanggyo utilizations project has been developed and it turned into place where the public visited. In this way, this study discovered how to utilize Hyanggyo based on its historic and cultural space characteristics. The concept of the historic and cultural space has its own specificity, the historicity which is not easily recognized in real life. Also, it has space concept as it’s established with historic and cultural resources. In this study, the literature search and case analysis came up with three elements: Space (Hardware)·Contents (Software)·Manpower (Humanware). Hyanggyo has its restricted space depending on the intention of establishment and historic function, but needs to create future value and be changed with influx of modernization. For the same reason, it’s required to combine three elements as stated above and set up the integrated business administration system to strengthen competitive power for Hyanggyo. To sum up, the cultural assets utilization project should be carried out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s of historic and cultural space. Moreover, it’s necessary to combine three elements as stated above and reflect them to the cultural assets utilization project. Therefore, Hyanggyo should foster its power as the historic and cultural space and go through the branding process in the long term to go forward into future assets from the past. 2008년부터 문화재청에서는 지역문화재 활용사업을 시작하였으며, 사업 공모를 통해 문화재 활용방안에 대하여 여러 기준과 방향성을 제시하였다. 10년 이상의 기간동안 지속적으로 운영되고 있는 지역문화재 활용사업의 영향으로 보존의 대상이라고 생각하였던 문화재가 활용되고 생활 속으로 접근하게 되었다. 이를 통해 문화재를 향유 할 수 있는 환경이 구축되었다. 향교는 설립의도와 명확한 역할을 가지고 있는 관립학교로 오랜 역사를 가지고 있다. 그 공간은 보존회와 유림 중심의 활동 공간으로 활용되었고, 지역적 특성을 내포하고 있다. 이러한 특징을 가지고 있는 공간이 문화재 활용사업을 통해 변화하기 시작하였다. 지역문화재 활용사업은 양적 성장 중심의 정책으로 확대되었으며, 향교의 기능과 역할에 따라 역사자원으로 활용되었다. 시간이 흐르면서 문화재의 개념에서 문화유산의 개념으로 변화되는 대외적인 환경변화와 지역문화재 활용사업을 통해 문화재가 지역의 장애물이라는 사회적 통념을 완화하였다. 또한, 향교 활용사업 콘텐츠가 개발되고 대중이 찾는 공간으로 변화되고 있다. 이를 통해 향교의 역사문화적공간 특성을 기반으로 활용방안을 도출하였다. 역사문화적공간의 개념은 실생활에서 체감하기보다 역사성이라는 특수함을 지니고 있으며, 역사문화자원을 중심으로 형성된 공간(space)이라는 개념을 가지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문헌조사와 사례분석을 통해 공간(Hardware)·콘텐츠(Software)·인적자원(Humanware) 세 가지 요소를 도출하였다. 향교 공간은 설립의도와 역사적 기능에 따라 제한적이지만 현대적 흐름에 따라 적합한 미래 가치를 만들고 변화될 필요가 있다. 이와 같은 이유로 도출된 세가지 요소를 융합하여 통합적 경영체계 구축을 통해 향교 고유의 경쟁력을 만들어나가야 한다. 즉, 문화재 활용사업이 역사문화공간의 특성을 기반으로 활용될 필요가 있다. 나아가 세가지 도출된 구성요소를 융합하여 문화재 활용사업에 반영되어야 한다. 이를 통해 역사문화공간으로서 자생력을 얻고 장기적으로 브랜드화의 과정으로 발전하여 과거의 역사에서 미래의 유산으로 나아가야 한다.

      • 문화유산 관광동기에 따른 시장세분화와 문화재활용 만족도비교연구 : 중국 대명궁과 병마용을 중심으로

        곽홍하 배재대학교 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8796

        문화유산을 관광하는 관광객들이 증대되고 있으므로 새로운 관광시장 추세로서의 문화관광연구에 관심사가 높아지고 있다. 문화유산 관광객의 특성은 일반 관광객과 달리 교육수준과 소득수준이 높고 체류시간도 길고, 지출 소비도 높아 경제적 가치가 있는 관광객이므로 역사⋅문화유산과 관련된 장소를 방문하는 관광객을 말한다(문화재청, 2007). 본 연구에서 대명궁과 병마용 문화유산 관람객들의 특성은 수입 수준이 높게 나타났고, 교육 수준도 높게 나타났으며, 체류기간도 길게 나타났음을 보여주고 있다. 문화유산관광에서 역사문화지역은 다른 지역에 비하여 유산한 경관과 활동 및 경험을 일관되게 유지하고 있는 지역으로서, 지역주민에게는 소속감과 주체의식을 유발시키며 외래 관광객에게는 지역의 독특한 매력으로 인식되어진다(이영경,1998). 관광자원으로서의 역사문화지역의 가치는 이미 대두되고 있는 문화관광에서 입증되고 있는데, 문화관광은 전통적인 사회가치로의 복귀를 통하여 자신의 주체와 존재에 대한 탐구를 목적으로 한다(Richards,1996). 본 연구는 중국 문화유산관광지 대명궁과 병마용을 방문한 중국관광객들을 대상으로 관광동기를 분석하였고 동기에 따른 시장세분화를 연구하였다. 그리고 대명궁과 병마용의 문화재활용 만족도 차이를 조사하였다. 관광동기 요인분석에 대한 측정변수로 사용된 14개의 문항에 대하여 요인분석 검증과 '체험성, 문화매료성, 여가신기성, 사교성' 등 총 4개 요인을 추출하였다. 그 도출된 4개의 방문동기요인은 군집분석을 실시하여 결국 2개의 군집(문화체험동기집단, 여가사교동기집단)을 지정하였다. 분석결과에 따라 문화유산관광객은 관광지에 대한 문화체험성을 더 선호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문화유산관광지 문화체험성에 대해 투입한 노력이 필요하다. 대명궁과 병마용의 문화재활용 만족도 차이를 검정하기 위하여 22개의 측정항목에 대해 T-test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를 통해 문화재의 보존, 복원상태, 사실성, 유형문화유산 가치, 문화재에 관련 체험프로그램, 해설서비스, 안내문, 휴게시설, 기념품의 상징성, 입장료, 주변 식당과 숙박시설은 문화재활용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요인이 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문화유산관광지의 관리자들이 문화재를 잘 보존하고 편의시설과 직원들의 전문성을 높이고, 방문객들이 문화재를 더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해설에 더욱 중점을 두어 방문경험에서 교육적인 효과를 얻었다고 느낄 수 있도록 만들 때 문화재활용의 만족도를 더욱 높일 것이다. As the number of tourists visiting cultural heritage is increasing, these people who are interested in cultural tourism research as a new tourism market trend is increasing. Unlike general tourists, cultural heritage tourists are those visiting places related to history and cultural heritage as they are tourists with high educational level and income level, long stay time, high expenditure consumption and economic value. In this study, characteristics of cultural Heritage visitors showed high income level, high educational level, and long stay time in Daming Palace and Terra Cotta Warriors. In cultural heritage tourism, the historical and cultural area consistently maintains the heritage scenery, activities and experiences. It gives a sense of belonging and subjective consciousness to local residents and it is perceived as a unique charm of the region for outside tourists. The value of historical and cultural areas as tourism resources has been certified in cultural tourism which is already emerging. Cultural tourism aims at exploring its subject and existence through the return of traditional social valu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tourism motivation of Chinese tourists visiting Daming Palace and Terra Cotta Warriors and to study market segmentation according to the motivation. As well as to research the difference of satisfaction toward cultural heritage utilization between Daming Palace and Terra Cotta Warriors.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e analysis, it was found that cultural heritage tourists preferred cultural experience of tourist site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put effort into cultural experience of cultural heritage sightseeing spots. What's more, it was showed that the preservation and recovery state of cultural heritage, the reality, the value of tangible cultural heritage, the experience programs related to cultural heritage, interpretation service, travel guides, rest facilities, symbolism of souvenirs, admission tickets, nearby restaurants and accommodation facilities could be influence factors of satisfaction toward cultural heritage utilization. The Managers of cultural heritage sightseeing spots are expected to preserve the cultural heritage well and to enhance the facilities and staff professionalism, to make visitors more easily understand cultural heritage, to put more emphasis on interpretation service, to make visitors feel that they got educational effect from visit experience, which will increase the satisfaction of cultural heritages.

      • 한국 철도문화유산의 가치 제고를 위한 제도 개선 및 활용방안

        윤설희 고려대학교 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8732

        With the increasing awareness on preservation of modern cultural heritage today, discussion of preservation and utilization of modern cultural heritage has more been segmented. It has been more than 10 years since 2001 when the preservation of modern cultural heritage was started systematically and the registered cultural heritage system was implemented. Therefore, it is now necessary to investigate the results of preservation and utilization of modern cultural heritage up to date and confirm whether preservation and utilization of heritage has been conducted properly by detailed area.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explore the current preservation system and utilization of the railway cultural heritage among other modern cultural heritage, review the current limitations, develop improvement measures, and enhance the cultural values. Railway has created various cultural values by building a close relationship with the flow of the Korean modern and contemporary history. Railway symbolizes the modern product of civilization that has changed people’s daily life through technological development, and has affected the formation of regional characteristics. From the historical viewpoint, the railway reflects the exploitation and intention of the continental invasion by the Japanese imperialism, the circumstances of the Korean War, and economic development after the liberation. By studying various cultural values of the railway, the railway cultural heritage of Korea was investigated and the significance of its preservation was revealed. The significance of the preservation of the railway cultural heritage becomes the theoretical ground for developing the preservation and utilization system for railway cultural heritage. The preservation and utilization of the railway cultural heritage was started from preservation through museums, and it was led to the implementation of registered cultural heritage system and expanded awareness of utilization of local governments. The scope of preservation of the railway cultural heritage was expanded gradually from focus on real estate heritage including stations and water towers to personal property heritage, and from focus on heritage symbolizing technological development to heritage symbolizing changes on life style through railway. Moreover, local governments have tried to utilize obsoleted railway cultural heritage in various forms to regenerate the local communities. Despite the development of the preservation and utilization system for railway cultural heritage, however, different problems have been revealed. Therefore, the following limitations of the preservation and utilization of the railway cultural heritage were drawn: First, the current preservation system for the railway cultural heritage was not enough to create the environment to continuously discover the railway cultural heritage and manage the currently preserved railway cultural heritage. Second, Railroad Museum that has a wide range of the railway cultural heritage has failed to play a fundamental role as a museum, making it difficult to deliver the values of railway cultural heritage. Third, although multiple local railway cultural heritages are being utilized in various forms, they have failed to reflect regional characteristics, being temporarily utilized without consistency. Based on such limitations, improvement measures were developed: creating heritage preservation environment by re-investigating railway cultural heritage, strengthening legal effectiveness, and enhancing the roles of related organizations and the civil society. To improve the insufficient role of the museum, improving the fundamental operational structure and strengthening the role of the museum to deliver the cultural values of the railway cultural heritage were suggested. Lastly, to utilize local railway cultural heritages, revealing the regional characteristics through story-telling and providing new values of the railway cultural heritage based on the current regional characteristics for sustainable preservation were suggested. Furthermore, discovering the values of the railway cultural heritage as global heritage was suggested. This research revealed that it was necessary to emphasize the cultural values of the heritage to continuously preserve and utilize the railway cultural heritage that has been highlighted in terms of reutilization of the heritage for regional regeneration. As railway is an essential transport means in the modern life, investigating the values of the railway cultural heritage and preserving it can enhance the understanding of the Korean modern and contemporary history.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create the environment where the heritage can be delivered to the future by continuously reviewing the effectiveness of the preservation and utilization system for the railway cultural heritage. 오늘날 근대문화유산 보존 인식이 제고되면서 근대문화유산 보존과 활용에 대한 논의가 세분화되고 있다. 2001년 등록문화재 제도의 시행 이후 제도적으로 근대문화유산의 보존이 이루어지기 시작한지 10년 이상의 시간이 흘렀다. 이에 현재시점에서는 근대문화유산의 보존 및 활용의 성과를 검토하여 세부 영역별로 유산의 보존 및 활용이 제대로 이루어지고 있는지 확인이 필요하다. 이 연구는 근대문화유산 중 철도문화유산을 연구대상으로 삼아 보존 제도 및 활용 현황을 파악하여 현재의 한계점을 검토하고, 이에 대한 개선 방안을 고찰하여 문화적 가치를 제고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철도는 한국 근현대사의 흐름과 밀접한 연관을 맺으며 다양한 문화적 가치를 형성하였다. 철도는 기술의 발달을 통해 사람의 일상을 바꾼 근대문물을 상징하며, 지역의 장소성 형성에 영향을 미치기도 하였다. 또한 역사적 의미에서 철도는 일제의 수탈과 대륙 침략 의도, 해방 이후 한국 전쟁의 상황과 경제 성장을 반영하고 있다. 이처럼 철도가 가지고 있는 다양한 문화적 가치의 검토를 통해 한국의 철도문화유산을 규정하고 보존의의를 확인할 수 있었다. 철도문화유산이 갖는 보존의의는 철도문화유산 보존 및 활용 제도 전개의 이론적 근거가 된다. 철도문화유산의 보존 및 활용은 박물관을 통한 보존에서 시작해 등록문화재 제도의 시행과 지방자치단체의 활용 인식 확대로 이어졌다. 철도문화유산의 보존 범위는 역과 급수탑 등 부동산 유산 위주에서 점차 동산의 유산으로, 기술의 발달을 상징하는 유산 중심에서 철도로 인한 생활변화를 상징하는 유산을 포함하며 확대되었다. 또한 지방자치단체는 용도가 다한 철도문화유산을 다양한 형태로 활용하여 지역재생의 수단으로 삼고자 하였다. 하지만 철도문화유산 보존 및 활용이 이루어졌음에도 불구하고 실제로 여러 문제점을 확인할 수 있었다. 첫째, 현재 시행되는 철도문화유산 보존제도가 지속적인 철도문화유산 발굴 환경 조성과 철도문화유산의 관리에서 미흡함이 나타나고 있다. 둘째, 방대한 철도문화유산을 소장하고 있는 철도박물관이 기본적인 역할을 수행하지 못해 철도문화유산의 가치 전달에 어려움이 있다. 셋째, 지역에 소재하고 있는 다수의 철도문화유산이 다양한 형태로 활용되고 있지만, 지역성을 반영하지 못하고 있으며 지속성이 부족한 일시적 활용에 그치고 있다는 점이다. 이러한 한계점을 바탕으로 이에 대한 개선방안을 고찰하였다. 제도적 한계에 대한 개선방안으로는 철도문화유산 재조사를 통한 유산의 보존 환경 조성, 법적 실효성 강화, 유관기관과 민간의 역할 강화를 제시하였다. 박물관의 역할 부족에 대한 개선방안으로는 운영 구조에 대한 본질적인 개선과 철도문화유산의 문화적 가치 전달을 위한 박물관 역할 강화 방안을 모색하였다. 마지막으로 지역의 철도문화유산 활용방안으로는 스토리텔링을 통해 지역성을 드러내는 방안과 현재의 지역성을 바탕으로 철도문화유산의 새로운 가치를 부여하여 지속가능한 보존 방안을 모색하고자하였다. 나아가 세계유산으로서 철도문화유산의 가치 발굴을 제안하였다. 이 연구에서는 그동안 지역 재생을 위한 유산의 재활용 측면에서 주목받았던 철도문화유산의 보존 의의를 제고함으로써, 철도문화유산의 지속적인 보존 및 활용을 위해서는 유산의 가치 부각이 필요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철도는 근현대사의 흐름에 따라 사람들의 삶과 밀접한 연관을 가지고 발전해왔으므로 철도문화유산의 가치를 규명하고 이를 보존하는 것은 한국 근현대사의 이해에 기여할 수 있다. 따라서 철도문화유산의 보존 및 활용 제도의 실효성을 지속적으로 검토하여 유산이 미래에 전달될 수 있는 환경 조성이 필요하다.

      • 지역 인문문화자원으로서 서원의 활용에 관한 연구 - 광주 월봉서원을 중심으로 -

        백옥연 전남대학교 2022 국내석사

        RANK : 248718

        본 연구는 광주 월봉서원에서 민관 협업으로 진행하였던 문화재 활용 사업을 토대로 하여 ‘지역 인문문화자원으로서 서원의 활용’ 방안을 모색한 것이다. 호남지역의 대표적 유학자인 고봉 기대승의 학문과 덕행을 추모하기 위해서 세워진 월봉서원의 활용가치를 조명하고 이를 바탕으로 호남 및 전국의 서원과 향교의 활용 방안에 관한 실용적이면서도 학술적인 논의점을 제기하고자 하였다. 조선시대 유교 문화의 거점이자 교육과 제향의 중심축이었던 향교와 서원은 현재 전국에 향교 234개소, 서원 약 700여 개소가 산재해 있다. 역사적으로 흥선대원군의 서원철폐령의 영향으로 대부분 훼철되었던 서원은 일제 강점기 이후 문중의 지원하에 부분적으로 재건되었고, 지금은 정부와 지방자치단체 등의 지원으로 복원, 복설 과정을 거쳐 문화재로서 새롭게 자리매김하고 있다. 하지만 향교와 서원의 본질적 기능인 교육과 제향의 기능은 갈수록 쇠퇴하여 박제화된 유적 형태로 남아있다. 다행스럽게도 최근에는 정부와 지방자치단체를 중심으로 향교와 서원의 활성화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고 활용가치가 재조명되고 있다. 이러한 시대적 요구와 흐름 속에 주목받고 있는 것이 호남에 자리한 월봉서원이다. 월봉서원은 문화재청의 향교 · 서원문화재 활용사업으로 2014년부터 2016까지 3년 연속 우수사업에 선정되어 ‘명예의 전당’ 상을 수상한 바 있다. 그리고 2020년에는 문화체육관광부로부터 ‘지역문화 대표브랜드 대상’을 받았다. 이처럼 광주 월봉서원은 현재 ‘서원 활성화’의 대표주자로 인정받고 있다. 본 연구는 이와 같은 월봉서원의 성과를 지역 인문문화자원으로서 서원의 6차산업화라는 테마로 분석하고 발전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 것이다. 월봉서원의 6차산업화 단계는 다음과 같이 구성된다. 1차산업 단계는 기대승의 사상과 생애, 저서 등의 원천자원을 바탕으로 한다. 이것을 기반으로 기대승의 배향공간인 서원과 묘소, 교육관 및 철학자의 길 조성 등 2차산업화가 추진된다. 이것을 활용하여 각종 프로그램, 체험활동, 문화행사 등과 연계하여 브랜드화, 상품화, 관광 자원화 과정으로 진행되는 것이 3차산업화 단계이다. 이 일련의 전체적인 과정이 곧 서원의 6차산업화 과정이다. 비록 월봉서원의 관계자들이 선도적으로 지역 인문문화자원으로서 월봉서원의 6차산업화를 진행하면서 일정한 성과를 올리고 있지만, 아직도 해결해야 할 문제는 산적해 있다. 특히 서원의 전통적 기능을 살리면서 현대적으로 활용 가능한 공간으로 재구성하는 문제와 서원의 자립구조 구축을 위한 인프라 확충 및 인적 자원의 확보는 무엇보다 시급하게 해결해야 할 과제이다. Based on the experience gained during the project planning and implementation conducted in collaboration with Wolbong Seowon, this study sought to develop a plan to "utilize seowon as a local humanities and cultural resource" for a Honam studies research course. Accordingly, this study aims to shed light on the significance of using Wolbong Seowon, which was established to commemorate the scholarly achievement and virtue of Gobong Dae-seung Ki, a representative Confucian scholar in the Honam region, and to offer suggestions for the use of seowons and hyanggyo throughout the country. Currently, there are 234 hyanggyo and 700 seowon across the country, both of which served as centers for Confucian education and ancestral rituals during the Joseon Dynasty. The seowon that were historically destroyed by Heungseon Daewongun's abolition of Confucian academies have since been restored and reconstructed with the support of the central and local governments as cultural properties. The functions of education and ancestral rites, which are the essential functions of both hyanggyo and seowon, have gradually declined and currently exist only as a fixed record of history. Fortunately, both the central and local governments are making efforts to revitalize hyanggyo and seowon, and the value of their use is being reexamined. In light of such historical demand and trend, Wolbong Seowon located in Honam region has drawn much attention. Wolbong Seowon is recognized as a leading example of seowon revitalization. In fact, for three consecutive years from 2014 to 2016, this Confucian Academy won the Hall of Fame award for being selected as an excellent project for the Hyanggyo/seowon Cultural Heritage Utilization Project of the Cultural Heritage Administration. Moreover, in 2020, it received the "Local Culture Representative Brand Grand Prize" from the Ministry of Culture, Sports and Tourism. This study analyzes such achievements of Wolbong Seowon as a humanities and cultural resource under the theme of 6th industrialization and suggests the direction for further development. Wolbong Seowon initiated the first industrial stage with the original resources such as Dae-seung Ki's philosophies, life, and writings. On this basis, the secondary industrial stage was promoted with emphasis on creating Confucian academies, mausoleums, educational centers, and philosophers, which serve as Dae-seung Ki's orientating spaces. As a humanities and cultural resource, Wolbong Seowon first implemented the first industrial stage with the original resources such as Dae-seung Ki's philosophies, life, and writings. Furthermore, by developing various programs, experiential activities, and cultural events into brand building, commercialization, and tourism resources, the project with Seowon continues to implement the third industrialization, keeping itself steadily in the process of revitalizing the sixth industrialization. Wolbong Seowon is thus leading the 6th industrialization of Seowon and achieving certain results, but for the sustainable development of Seowon, it is imperative that the site is reborn as a place that can be utilized in the modern context while retaining its traditional function. In particular, solutions must be found to expand infrastructure and secure human resources to establish an independent structure within Seowon.

      • 文化財活用을 통한 國際布敎 방안

        백원기 東國大學校 文化藝術大學院 2003 국내석사

        RANK : 248703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trace the theme of the usage of cultural assets and the efficient ways to propagate Korean Buddhism, focusing particularl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Buddhist cultural assets and international propagation. The best keyword to read the change of 21st century is by far 'Information and Culture.' Consequently, culture and art can be the very driving force to lead the new paradigm in this rapidly changing information society. The focal point is to establish the identity of Korean culture, how to advertise it at home and abroad through the usage of it, and then to create a harmonized or integrated culture to lead the globe. Cultural assets are not only the cultural heritage of Korea but also the common heritage of mankind. In this vein, we can let the world know about our unique and brilliant culture which is in harmony with the universality of world culture by carrying out the '2002 Korea-Japan World Cup' successfully. Through the successful World Cup Event, we can identify that the right understanding of cultural assets and its usage can be an important factor to improve the competitive power of our peculiar culture. Today, hwadu(koan, or the issue) of Korean Buddhist Orders is how to globalize Korean Buddhism which is best represented by integrated Buddhism, unifying the Son(Zen) and Doctorial sects. Hereby I'd like to stress that the globalization of Korean traditional culture has a close relationship with the right understanding of Buddhist cultural assets based on wisdom and compassion. Actually, I tried to apply a variety of experiences as a member of IDIA(International Dharma Instructors' Association) to this discourse: the publication of various English texts, dharma talks, lotus lantern festivals, and Temple Stay for foreigners. Chapter 1 presents the purpose and scope of this study. Chapter 2 attempts to show a definition of cultural assets and to emphasize understanding Buddhist cultural assets in terms of a compassionate mind. Chapter 3 proposes some efficient ways to disseminate Korean Buddhism through the usage of cultural assets, particularly the usage of Buddhist cultural assets. They are (1) the development of the internationalization of Korean Buddhism and its present situation, (2) the influence of the '2002 Korea-Japan World Cup' and the 'Temple Stay' program on the overseas propagation of Korean Buddhism. They helped to create a better understanding of both Buddhism and eastern thought, (3) to enhance the lotus lantern festivals into the global cultural festivals, (4) to publish guide books to introduce Korean Buddhism to the world and to make up a 'dream team' for the globalization of Korean Buddhism in combination with foreign monks and IDIA members' mutual effort, (5) to stress propagation to illegal foreign workers, soldiers, ambassadors and their families who reside in Korea. Chapter 4 stresses the concreteness of traditional culture space and the delivery of the meaning: (1) to develop and perform the 'Temple Stay' program continually, centered on special districts and temples, (2) to experience the Buddhist culture of various district : Kangwha and its vicinity, Bulguksa Temple, Sokguram Gorotto and its vicinity, Sudoksa Temple and its vicinity, Jikjisa Temple & Haeinsa Temple and its vicinity, and finally Andong & Busoksa Temple and its neighborhood. (3) Buddhist temple should be a culture center for the community, (4) to establish 'International Propagation and Culture College' for fostering good dharma instructors and cultural heritage interpreters who can articulate Korea's unique and excellent culture, (5) to discover and research overseas cultual assets with the country concerned co-operatively, and then to exhibit them or to introduce domestic valuable Buddhist artifacts in famous overseas galleries. Chapter 5 asserts that we should understand the essence of other cultures in the world and accept them, and then apply it to the dynamic creation of the culture in harmony with our culture from the new perspective.

      • 한국 전통회화와 박물관 문화상품 : 조선시대 채색화를 활용한 박물관 문화상품에 대한 의미 분석

        김태권 동국대학교 2018 국내석사

        RANK : 248685

        Arts should be eternal. It is hoped that cultural products will be able to serve as a new genre of our art culture, a continuous expression, a design symbolizing our nation, and a symbol representing our spirits instead of simply as a souvenir. However, the current situation has forced us to play down and deteriorate the inherent value of museum relics while aiming to pursue profits and interests only and forgetting the eternity of art. I find exaggeration, distortion, and beautification inevitable. Diverse understandings and thoughts have driven the history of arts. Such positive exaggerations, distortions, and beautification are necessary parts for the creation of new arts. This article will discuss the correlations between museum shops and cultural products, and changes in value of cultural assets following the development of cultural products out of museum cultural assets. This study intends to examine the process of changes in value of three most frequently utilized Korean traditional paintings among museum cultural products. This study has looked into the cultural products that have already been developed and found out that <Grass and Insect Painting drawn in Shin Saimdang’s style>, <HyeWon-JeonSinCheop> and <Portrait of a Beauty> by Shin Yun-bok and folk paintings were the most frequently utilized to create cultural products. In this respect, the study aims to identify the process of changes in meanings and implications of these arts when they are turned into cultural products based on the academic and artistic values of these works of arts. These three types of paintings can be classified and described as follows: they are the colored paintings during the Joseon Dynasty period, painting of women, paintings by women, featuring the consistency of artists and subjects in that they reflect active participation of women, and finally are the paintings that reflect the contemporary, ideological and social phenomena so that they are able to consistently maintain the assessment of their values as well as the thread of connections in the process of changes in their values when they are developed into cultural products and conditions in history of arts. <Grass and Insect Painting drawn in Shin Saimdang’s style> was an art created against the historical background of the mid-Joseon Dynasty period and the ideological background of Neo-Confucianism from the perspective of a woman at the time with its significance and implications related to ideological and the traditional style of contemporary artists rather than being popular, seeking to create values for the spirit of life in the expression of the paintings. The study has identified difficulties in developing the Grass and Insect Painting into its corresponding cultural product and intends to sheds lights on the potential of development into female arts that express the inner value based on the effort to express the harmony between yin and yang through animals and insects while projecting a shadow of female stereotypes into plants and to identify the change in value when it is developed into cultural product. On the basis of <HyeWon-JeonSinCheop> and <Portrait of a Beauty> by Shin Yun-bok, which are assessed to be valuable as the ‘aesthetics of eroticism with excellent description of women’, the study identifies the value of contemporary arts back then, which described a variety of situations under the social circumstances and with the advent of practical science, keep track of a lot of discussions on the spirit of life in the expression of the paintings and analyze their contents. It also examines and analyzes the trends of change in value of a variety of cultural products for <HyeWon-JeonSinCheop> and <Portrait of a Beauty> to deepen our understanding on the artists, works of art, and the values of the philosophical research of the times through comparative analysis so that we are able to come up with optimal ways of utilizing our valuable cultural assets. It has long been known that the folk paintings that started as a form of folk art by ‘Yanagi Muneyoshi’ appeared in late Joseon Dynasty but a lot of recent researches into literature and relics at the time prove that the paintings are genuine common people’s paintings that originated from the petroglyphs. However, since it has only been recent years since we started discuss the academic and artistic values, it is assumed to have appeared much later according to the chronological classifications but it is confirmed that those paintings have long decorated our surroundings in a familiar manner for a very long time while associated with the folk faith. Although the paintings painted by those commissioned by royal families are differentiated from the paintings by general folks, the theme of "palace paintings" suggests that folk paintings were welcomed in the palace as well. This article explores the value of the products developed as cultural products by presenting a possibility as a new direction of Korean arts and exploring and analyzing the value as cultural assets while having the value of expressionism within the context of various definitions and values. The museum is faced with a new transition. I would like to argue that it is in the middle of becoming a new form of museum that extends its presence and encompasses cultural production, cultural administration, and cultural management as well along with the functions of tourism and leisure added to the existing functions of preservation, research, and education. The museum, which is being transformed to have a role of culture and arts management based on what are stated above, will broaden its scope and presence into culture management through preservation, culture production through research, and fostering human resources through education in addition to maintaining its existing inherent roles. The establishment of value associated with convenience as a starting point will lay the foundation for the birth of a new museum. I would like to define museum cultural products as works of art that incorporates ethnic philosophy in them. I expect that this study will serve as a basis for the development of Korean arts in history as well as appropriate utilization of cultural assets.

      • 서원 공간의 특징과 활용 프로그램 운영 방안 : 광주광역시 소재 서원을 중심으로

        오승주 전남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32447

        Beginning with Sengseng Cultural Heritage in 2008, the Cultural Heritage Administration has been conducting the projects to utilize local cultural heritages such as Hyanggyo and Seowon in 2014, Cultural Heritage Nighttrip in 2016, traditional Sansa temples in 2017, and Gotaek and Jonggajib in 2020. Among them, Hyanggyo and Seowon Cultural Heritage Utilization Project is a program in order to rediscover the value of 'Hyanggyo' and 'Seowon' as an educational institution in the Joseon Dynasty, to inherit the humanistic spirit, and use them in a modern way. The value of Seowon has increased since registered as a UNESCO World Heritage Site, and various cultural heritage utilization projects are underway in Gwangju, but there is little achievement in related researches. Thus, in order to promote a more meaningful project to utilize local cultural heritages at this time when the proportion of 'utilization' of cultural heritages is growing, it is required to discuss various ways to utilize them based on understanding local cultural heritages. Before looking for a specific utilization plan, the study first reviewed the utilization factors found in the overall history and spatiality of Seowon. First, it is educationality through its space arrangement. The purpose of establishing the early Seowon is to play an educational role. Seowon's education was mainly to understand and practice Confucian ideology, and that was formed through the spatial arrangement. A memorial service space is arranged behind the lecture space, so that Confucian ideology is to be practiced in daily life, not only the theoretical contents of Confucianism are studied through books. Second, it is to publicize through public opinion sharing. Seowon played a leading role in the operation of the Hyangchon society by collecting public opinion from the Hyangchon society through Tongmun. Finally, it is the landscape helpful for the psychological education. Seowon was located in a place with beautiful natural scenery far from Eupchi, to achieve the basic belief of Neo-Confucianism,so called the Unity of Heaven and Human. The current status and characteristics of Seowon located in Gwangju are as follows: There are seven Seowon’s including Wolbong Seowon, Woonam Seowon, Yuae Seowon, Dooam Seowon, Mooyang Seowon, Imgye Seowon, and Byeokjin Seowon. Seowon located in Gwangju is not small in number compared to other cities, and the deviation of enshrined figures is large, and mainly found in Buk-gu and Gwangsan-gu. The 37 Sawoo’s in Gwangju were briefly reviewed. Next, the study reviewed complementatary points of the Seowon utilization programs beinng proceeded in Gwangju by analyzing the survey to the program planners and facilitators: First, a modern interpretation of Seowon should be proceeded. Seowon has been perceived as old and outdated, but, it has the value as a Confucian social education space in the desolate modern. While, one-sided Confucian ideological education and uniform programs should be avoided. Second, there need to develop the programs for various age groups. Most of the programs currently in progress are experiential programs for children and adolescents. It is essential to broaden the groups of enjoyment in order to expand the use of cultural heritages. Third, there needs a step-by-step and interconnected program. Getting out of a one-time experience program, it should induce the participants to revisit. The cultural heritage utilization projects should be performed based on a deep understanding of the cultural heritage, but currently, there is a limitation of being a one-year project. In order to improve the quality of the Cultural Heritage Utilization Project, conditions for a long-term planning should be prepared. In addition, it is important to secure stable human resources and to keep excavation by the next generation. Based on the discussion above said, the study suggested a program operation plan using spatiality. First, the discovery of an enshrined figure-centered program. The enshrined person is an important factor that shows the differentiation of Seowon. However, not all Seowon has a notable enshrined person. In order to overcome that, what is proposed is to develop a linked program with several Seowon's. A good example is the spirit of the Righteous Army in Honam area. Ko Gyeong-myeong of Pochoongsa Temple, Kim Se-geun of Haksansa Temple, Kim Deok-ryeong of Choongjangsa Temple, and Song Je-min of Woonam Seowon had something in common that they led righteous army activities during the Imjin War. The patriotism-themed program is directly related to local history education, which means the high effect of attracting participants and easy to utilize. In addition, the program can be operated stably because it is accompanied by the related family participation. In particular, it has the advantage of being able to conduct various programs under one theme, not just a one-time experience. Second, a customized educational program for each life cycle based on edification. Among them, Byeokjin Seowon can be said proper because it is not only equipped with two educational spaces, but also has a good accessibility as it is located in the city center. For the young, cultural heritage experts training program can be developed. Such a program can not only increase the youth's understanding of the region and the pride of the local cultural heritage, but also foster new professional human resources. For the middle-aged, various experience programs can be open to stabilize the mind and body while looking at the scenery of Seowon. Finally, a program for health promotion or generational integration can be conducted for the elderly. Third, a cultural exchange program based on landscape and publicity. Choongjangsa Temple, Woonam Seowon, and Choongminsa Temple are located at the foot of Mt. Mudeungsan, the pride of Gwangju. The three Seowon’s provide full enjoyment of the scenery of Mt. Mudeungsan. In particular, Woonam Seowon and Choongminsa Temple are nearby each other, which means they have the advantage of expanding the place. When the exchanges of local cultural contents based on local communities takes place, the possibility of creating new cultural contents as well as expanding existing local cultural contents will increase. It can also be said to be a modern interpretation of the publicity that Seowon has. For the stable and continuous program operation, diverse policy efforts are required: First, it is necessary to cultivate professionals and strengthen their capability, as human resources for the program operation. Second, the nature of the cultural heritage utilization project requires understanding of the value of cultural heritage and a sense of responsibility for the preservation. Thus, budget conditions for a long-term plan, not a short-term should be prepared. Lastly, all the utilization programs should be conducted through the governance of the central government-local government- performing organization-residents based on cooperation. The study was conducted centering on previous studies and surveys. Thus, more empirical studies should be further conducted in the future. Through the study, it is expected that the current utilization ways of the historical site, family and heritage focused on the localities of Seowon will be expanded to "utilization through spatiality" so that many people can understand cultural heritages and enjoy them more in daily lives. 문화재청은 2008년 생생문화재를 시작으로 2014년 향교‧서원 문화재 활용, 2016년 문화재야행, 2017년 전통산사 활용, 2020년 고택·종갓집 활용 등의 지역문화재 활용사업을 진행하고 있다. 그중 향교·서원 문화재 활용사업은 조선시대 교육기관이었던 ‘향교’와 ‘서원’의 가치를 재발견하고, 인문정신을 계승하여 이를 현대적으로 활용하기 위한 프로그램이다. 서원이 유네스코 세계유산으로 등재된 이후 그 활용 가치는 더욱 높아졌고, 광주광역시에서도 다양한 문화재 활용 사업이 진행 중이지만, 관련된 연구성과는 많지 않은 편이다. 그러나 문화재에서 ‘활용’이라는 비중이 늘어가고 있는 상황에서 보다 의미 있는 지역문화재 활용 사업을 추진하기 위해서는 지역의 문화유산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한 활용 방안이 논의될 필요가 있다. 구체적인 활용방안을 찾아보기에 앞서 먼저 전반적인 서원의 역사성과 공간성에서 찾을 수 있는 활용 요소를 파악해보았다. 첫째, 공간 구분을 통한 교육성이다. 초기 서원의 설립 목적은 교육적 역할에 있다. 서원의 교육은 유교이념의 이해와 실행이 주였으며, 이는 공간적 배치를 통해 형성되었다. 강학공간 뒤 제향공간을 배치해, 책을 통해 유교의 이론적 내용만 공부하는 것이 아니라, 생활 속에서 유교이념을 수행하게 한다. 둘째, 여론 공유를 통한 공론성이다. 서원은 통문을 통해 향촌 사회의 여론을 수렴하는 등 향촌 사회의 운영에 주도적인 역할을 수행했다. 마지막으로 심성 도야를 위한 경관성이다. 서원은 읍치에서 멀리 떨어져 자연경관이 수려한 곳에 위치하였다. 이는 성리학의 기본 신념인 천인합일을 달성하기 위해서였다. 광주광역시 소재 서원의 현황과 특징은 다음과 같다. 현재 월봉서원, 운암서원, 유애서원, 두암서원, 무양서원, 임계서원, 벽진서원 총 7개의 서원이 있다. 광주광역시 소재 서원은 다른 광역시와 비교하여 그 수가 적지 않고, 배향 인물의 편차가 크며, 주로 북구와 광산구에 있는 특징을 찾을 수 있다. 광주광역시 소재 37개의 사우는 간단히 살펴보았다. 다음으로 광주광역시에서 진행 중인 서원 활용 프로그램에 대한 분석과 프로그램 기획·진행자 대상 설문조사를 통해 현재 진행 중인 프로그램의 보완점을 살펴보았다. 첫째, 서원의 현대적 해석이 진행되어야 한다. 서원은 낡고 오래된 것으로 인식되지만, 삭막해지는 현대에 유교적 사회교육 공간으로서 가치가 있다. 그러나 일방적인 유교이념 교육 및 획일화된 프로그램은 지양해야 한다. 둘째, 다양한 연령층을 위한 프로그램을 발굴해야 한다. 현재 진행 중인 대부분의 프로그램은 아동과 청소년을 대상으로 하는 체험프로그램이 주를 이룬다. 문화재 활용 영역이 확장되기 위해서는 향유 대상 범위가 넓어지는 것은 필수적이다. 셋째, 단계적이고 연계성이 있는 프로그램을 구성해야 한다. 단발적인 체험프로그램에서 벗어나 참여자의 재방문을 유발하는 요소가 필요하다. 이러한 문화재 활용사업은 문화재에 대한 깊은 이해를 바탕으로 진행되어야 하지만, 현재 1년 단위 사업이라는 큰 한계점을 갖고 있다. 문화재 활용사업의 질적 향상을 위해서는 장기적인 계획을 세울 여건이 조성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인력자원의 안정적인 확보와 후속 세대의 발굴이 중요하다. 이상의 논의를 바탕으로 공간성을 활용한 프로그램 운영방안을 제안하였다. 첫째, 배향 인물 중심 프로그램 발굴이다. 배향 인물은 서원의 차별성을 나타내는 중요한 요소이다. 그러나 모든 서원이 경쟁력 있는 배향 인물이 있는 것은 아니다. 이를 극복하기 위해 여러 개의 서원이 묶인 연계 프로그램을 개발할 것을 제안하였으며, ‘호남지역 의병정신’을 그 예시로 들었다. 포충사의 고경명, 학산사의 김세근, 충장사의 김덕령, 운암서원의 송제민은 임진왜란 당시 의병 활동을 주도하였다는 공통점이 있다. 호국을 주제로 한 프로그램은 향토사 교육과 직접 연관되기 때문에 참여자 유입 효과가 높아 활용하기에 용이하다. 또한 문중의 참여가 동반되기에 안정적으로 프로그램을 운영할 수 있다. 특히 단순한 일회성 체험이 아닌 하나의 주제로 여러 가지 프로그램을 진행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둘째, 교화성을 바탕으로 한 생애주기별 맞춤형 교육 프로그램이다. 그 가운데 벽진서원은 2개의 교육 공간을 갖추고 있을 뿐만 아니라 도심에 위치해 접근성이 좋기 때문에 교육 프로그램이 적절하다고 할 수 있다. 청년층을 위해서는 문화유산 전문가 양성과정을 진행할 수 있다. 이러한 프로그램은 청년의 지역 이해도와 지역 문화유산의 자긍심을 높일 뿐만 아니라, 새로운 전문 인력을 양성할 수 있다. 중년층을 위해서는 서원의 풍경을 바라보며 심신을 안정시키는 다양한 체험프로그램을 진행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노년층을 대상으로는 건강 증진 프로그램이나 세대 통합을 이룰 수 있는 프로그램을 진행할 수 있다. 셋째, 경관성과 공론성을 바탕으로 한 문화교류 프로그램이다. 충장사, 운암서원, 충민사는 광주의 자랑인 무등산 자락에 자리를 잡고 있다. 세 서원은 무등산의 경치를 온전히 즐길 수 있으며, 특히 운암서원과 충민사는 가까이에 있어 장소 확장의 장점을 갖고 있다. 이곳에서 지역커뮤니티를 기반으로 한 지역문화콘텐츠의 교류가 이뤄진다면 기존의 지역문화콘텐츠 확장뿐만 아니라 새로운 문화콘텐츠 창출의 가능성이 커진다. 이는 서원이 가진 공론성의 현대적 해석이라고도 할 수 있다. 안정적이고 지속적인 프로그램 운영을 위해서는 여러 가지 정책적 노력이 필요하다. 먼저 인적 측면에서 프로그램 운영을 위한 전문인력의 양성과 역량 강화가 필요하다. 둘째, 문화재의 가치를 이해하고 보존이라는 책임 의식을 갖고 진행하는 문화재 활용사업의 특성상 단기간이 아닌 장기적인 계획을 수립할 수 있는 예산적 여건이 조성되어야 한다. 마지막으로 모든 활용은 협력을 바탕으로 중앙정부-지자체-수행단체-주민의 거버넌스를 통해 진행되어야 한다. 본 연구는 기존 선행연구와 설문조사를 중심으로 이루어졌으므로 향후 보다 실증적 연구가 추가로 진행되어야 한다. 다만 본 연구를 통해 현재 서원의 지역성을 살린 유적, 가문, 문화재 등에 집중된 활용방식이 ‘공간성을 살린 활용’으로 확장되어 많은 사람들이 문화재에 대해 이해하고 일상생활에서 보다 즐길 수 있기를 기대해 본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