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공연예술축제 프로그램 유형과 속성에 관한 연구: 국립극장 <여우락 페스티벌> 사례를 중심으로

        차경연 홍익대학교 공연예술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50703

        In performing arts festivals, programs are the measure to assess the attributes and directivity of the festival and also a domain that determines the factors of success. Festivals can be planned with different kinds of programs such as introducing works by many different artists or by creating and presenting new works of art. However, a majority of the performing arts festivals in the country chose to go by the method of selecting works or artists verified for the quality of works or amusement and aligning them in a row, so it was assessed that the programs are unified and standardized. In this situation, the researcher focused on < Yeowoorak Festival>, a festival that was started by the National Theater of Korea since 2010, and how the festival consists of various festival programs and is known for its high competitiveness, recording 96% of average seat share ratio over the past 10 years. ‘Yeowoorak’ is the abbreviation for ‘here, is where our music is at.’ and the festival was planned to provide a chance for our generation to listen to our music centered on Korean traditional music. This study intended to focus on the case of <Yeowoorak> and identify how the festival program organization method affects the formation of competitiveness for the performing arts festival. For this, reference materials and preceding research were analyzed and derived the types of programs following by the organization method of the works and the key attributes that reveal the competitiveness. The program types of the performing arts festival were classified into ‘invitational type,’ ‘developmental type,’ and ‘production type,’ and the key attributes were classified into ‘artistry,’ ‘festivity,’ and ‘identity.’ Subsequently, the program types and key attributes derived through a theoretical consideration were applied to the case of <Yeowoorak> and the correlation was analyzed. Before conducting the analysis, the researcher supposed that the key attributes of the festival will be reinforced and appear in the ‘production type’ out of the three program types. The researcher revealed that it is because preceding researches about <Yeowoorak> mutually stated that the distinctive competitiveness of <Yeowoorak> is the production of works through collaboration, and this applies to the ‘production type’ as deduced earlier. To prove the hypothesis, 92 charged indoor performances of <Yeowoorak Festival> throughout 2010 to 2019 were classified based on the program types and the works categorized by types were analyzed from the aspects of the three key attributes. <Yeowoorak> first began as an ‘invitational type’ festival in the early stage by selecting and introducing existing works for the arrangement of the program. However, the festival gradually evolved into ‘developmental type’ where an attempt was made for partial transformation based on the existing works and aimed for ‘production type’ with a new arrangement in the festival like the integration between genres or collaboration among artists Based on the aspect of the key attributes of <Yeowoorak> based on the program types over the last 10 years, the three program types contributed differently to the festival performances. The details of the research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invitational type’ introduced artists recognized for their skills or works proven to carry amusement and secured the initial program level of <Yeowoorak> and contributed to building audience reliability and festival awareness. Second, ‘developmental type’ reinforced festivity with variable and atypical properties from the aspect of partly attempting some new changes based on the previously completed works. Third, ‘production type’ consists of works that are made by initiating new artistic experiments and attempts in the festival and actively contained the artistic directivity or vision of the festival. The collaboration between different genres and artists emphasized the festivity of the programs such as diversity·unexpectedness, and the new works that closely considered the directivity of the art director from the planning stage shaped sparse values and contributed to the formation of the festival identity. Especially, out of the key festival attributes, the identity was most noticeable in the ‘production type’ performances. Even in the aspect of charged seat share ratio, the ‘production type’ performance displayed prominent performance out of the three types of programs. It is analyzed that this result reflects on the curiosity and expectation about the premiere performances that are only available in <Yeowoorak> as well as the desire to discover new creative works. In addition, the works that are made into ‘production type’ programs led to various forms of influence even after the festival, and <Yeowoorak> was established as a center of creation and production that leads artists and also as a platform. Based on the analytical findings, it was identified that when festival directly produce the programs, it is effective for revealing the artistic directivity and identity of the festival and also securing notable values and competitiveness. This study is meaningful because it suggests a single viewpoint that identifies the competitiveness of performing arts festivals through the three key attributes like artistry, festivity, and identity. Considering the domestic situation where a majority of performing arts festivals organize programs by selecting and introducing performances and artists verified for the quality of works and amusement, it is anticipated that examining the program organization method and the outcomes will suggest an implication about the intrinsic meaning and functions of the performing arts festivals. In particular, the ‘production type’ program was identified to cause the greatest influence on the formation of the key attributes, and it not only shapes the intrinsic identity of the festivals but also function as a strategy for festivals to be the active production agent in the performing arts market in the aspect of market expansion by developing new groups or works. 공연예술축제에서 프로그램은 축제의 성격과 방향성을 가늠하는 척도이자, 성패를 좌우하는 요소다. 축제는 다양한 예술가의 작품을 소개하거나 새로운 작품을 만들어 선보이는 등 여러 가지 방법으로 프로그램을 구성할 수 있다. 하지만 국내 대다수의 공연예술축제는 작품성⸱흥행성 등이 검증된 작품이나 예술가를 선정해 나열하는 방식을 취해 프로그램이 획일화⸱정형화 됐다는 평가를 받아왔다. 이런 상황에서 연구자는 2010년부터 시작한 국립극장 <여우락(樂) 페스티벌>(이하 <여우락>)이 다양한 방식으로 축제 프로그램을 구성하며 지난 10년간 평균 객석 점유율 96%를 기록할 정도로 경쟁력을 갖췄다는 점에 주목했다. ‘여우락(樂)’은 ‘여기, 우리 음악(樂)이 있다’의 줄임말로, 한국 전통음악을 중심으로 이 시대의 우리 음악을 들려주고자 기획된 축제다. 본 연구는 <여우락> 사례를 중심으로 축제 프로그램 구성 방식이 공연예술축제의 경쟁력 형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확인하고자 했다. 이를 위해 문헌 자료와 선행연구를 분석, 작품 구성 방식에 따른 프로그램 유형과 축제 경쟁력을 드러내는 핵심 속성을 도출했다. 공연예술축제의 프로그램 유형은 ‘초청형’ ‘발전형’ ‘제작형’으로, 핵심 속성은 ‘예술성’ ‘축제성’ ‘정체성’으로 분류했다. 이후 이론적 고찰을 통해 도출한 프로그램 유형과 핵심 속성을 <여우락> 사례에 적용해 이들 간 상관관계를 분석했다. 분석에 앞서 연구자는 세 가지 프로그램 유형 중 ‘제작형’에서 축제 핵심 속성이 강화되어 나타날 것이라고 가정했다. 그 이유는 <여우락>을 다룬 선행연구에서 공통으로 <여우락>의 차별화된 경쟁력이 협업을 통한 작품 제작이라고 밝혔는데, 이는 앞서 도출한 ‘제작형’에 해당하기 때문이다. 가설을 검증하기 위해 2010년부터 2019년까지 <여우락> 실내 유료 공연 92편을 프로그램 유형에 따라 나누고, 유형별로 분류한 작품들을 세 가지 핵심 속성 측면에서 분석했다. <여우락>은 축제 초기 기존의 작품을 선별해 소개하는 ‘초청형’으로 프로그램을 구성했다. 하지만 점차 기존 작품을 바탕으로 일부 변형을 시도한 ‘발전형’과 장르 간 결합이나 예술가 간 협업 등으로 축제에서 새롭게 구성한 ‘제작형’ 프로그램을 지향하는 모습을 보였다. 지난 10년간 <여우락> 프로그램 유형에 따른 핵심 속성 양상을 살펴봤을 때, 세 가지 프로그램 유형은 각각 축제 성과에 각기 다른 기여를 나타냈다. 세부적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초청형’은 실력을 인정받은 예술가들이나 흥행성이 검증된 작품을 소개하는 형태로 <여우락> 초기 프로그램 수준을 확보해 관객의 신뢰와 축제 인지도를 쌓는데 기여했다. 둘째, ‘발전형’은 기존에 완성된 작품을 토대로 일부 새로운 변화를 시도했다는 측면에서 가변적이고 비정형화된 특징으로 축제성을 강화했다. 셋째, ‘제작형’은 축제에서 새로운 예술적 실험과 시도를 주도해 만든 작품으로, 축제의 예술적 방향성이나 비전을 보다 적극적으로 담아냈다. 서로 다른 장르나 예술가 간의 협업은 프로그램에 다양성·의외성 등 축제성을 강화했고 기획 단계에서부터 예술감독의 방향성을 충실하게 반영한 신작은 희소한 가치를 만들며 축제 정체성 형성에 기여했다. 특히, 축제 핵심 속성 중 정체성은 ‘제작형’ 공연에서 가장 두드러지게 나타나는 모습을 보였다. 유료 객석 점유율 측면에서도 세 가지 프로그램 유형 중 ‘제작형’ 공연이 월등히 우월한 성과를 보였다. 이는 <여우락>에서만 볼 수 있는 초연 무대에 대한 궁금증과 기대, 새로운 창작물을 발견하는 것에 관한 욕구가 반영된 결과로 해석된다. 또한, ‘제작형’ 프로그램을 계기로 이루어진 작업은 축제 이후에도 다양한 형태로 발전되어 <여우락>은 예술가들을 견인하는 창작과 생산의 중심이자, 하나의 플랫폼으로서 영향력을 발휘하고 있다. 이러한 분석을 종합해 봤을 때, 연구자는 축제가 프로그램을 직접 제작하는 것이 축제의 예술적 방향성과 정체성을 드러내고 차별화된 가치와 경쟁력을 확보하는 데 유효하다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는 예술성⸱축제성⸱정체성이라는 세 가지 핵심 속성을 통해 공연예술축제의 경쟁력을 확인하는 하나의 관점을 제시했다는 점에서 의미를 지닌다. 국내 대다수의 공연예술축제가 작품성⸱흥행성 등이 검증된 공연과 예술가를 선정해 소개하는 방식으로 프로그램을 꾸리는 상황을 고려할 때, 다양한 프로그램 구성 방식과 이에 따른 성과를 살펴봄으로써 공연예술축제 본연의 의미와 기능에 대해 시사점을 제시할 것으로 기대한다. 특히, 축제의 핵심 속성 형성에 주도적인 역할을 했다고 밝혀진 ‘제작형’ 프로그램은 축제의 고유한 정체성을 만들 뿐 아니라, 새로운 그룹 혹은 작품 개발을 통한 시장 확장이라는 측면에서 축제가 공연예술시장의 능동적인 생산 주체로서 기능하는 전략이 될 것이다.

      • 국내외 무대예술전문인 양성 현황 비교연구

        김정태 홍익대학교 공연예술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50703

        According to the actual condition survey of performing arts, the size of the domestic performance market continues to increase, and the number of performing arts groups and sales are steadily increasing quantitatively. The sales of the performance groups account for 62.2% of the total sales of the domestic performance market, and play a major role in the growth of the performance industry. The increase in the domestic performance market has created an active market since the influx of overseas license performances. In the meantime, domestic performances are competing with each other to show bigger, more complex and colorful performing arts on stage. Modern performing arts are fused with the development of technology due to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And Colorful and magnificent attractions are trends. With the new stage technology and the fusion art of the drama, it is possible to show new and various attractions on the stage to the audience. For this purpose, collaboration between various creative staffs and theatrical arts Technicians are needed. Performing arts is labor-intensive for it is a comprehensive art in which various parts of human resources are combined and completed organically. Also, the quality of performance is determined according to the professional manpower. Audiences are highly interested in new attractions on stage, and in line with that, creative staffs puts more creative imaginations to the stage. Based on this, theatrical arts technicians make various attempts and use various technologies to perform the imaginations of the creative staff on stage. It is important to know how effectively the artistic expression of the creative staff is performed according to the competence of the stage art professional. As the size of the performance market grew, the demand of stage art professionals increased and job are being subdivided. As such, there are many related major education institutions, and many experts are trained every year through apprenticeship training in the field, but there are still problems in the performing arts field with lack of professionals. Performing art is changing rapidly and stage technology, equipment and system are developing. However educational institutions that are responsible for training theatrical arts Technicians are not flexibly reflecting to the rapidly changing practice. Most educational institutions are still composed of curriculums concentrated on creative groups such as actors, directors, and designers. However, stage technology is a process of secondary classes and lacks in-depth learning. In additon the role of educators is important in the training process of apprenticeship training methods, but there is no system program to train or verify educators in Korea. Since educational program and training environments have not been standardized, each theatrical arts Technicians are being trained in different standards. Also, the certification for theatrical arts technicians, which is the only stage technology certification in Korea, has show its effectiveness for only being a requirement for the employment of directors who operate and manage theaters. Currently, the theatrical arts Technicians are being trained in different ways with no such standard in a structure. Where new stage technology expertise or technical data are difficult to be modified, supplemented or accumulated. Therefore, the researcher believes that the process of training theatrical arts Technicians is necessary for domestic performing arts to develop the quality, and research is needed to improve the training process of domestic theatrical arts Technicians. In order to draw up the current structural problems, we investigated the curriculum, educational progress and qualification examination system of domestic stage arts specialists. In addition, the study examined the differentiation and structural system of overseas performing arts with relatively older history than domestic ones and drew improvement plans through comparative research. And through In-depth interviews between theatrical arts Technicians and major professors in each field, I have devised the current status of domestic training courses and improvements. 공연예술실태조사에 따르면 국내 공연시장 규모는 2000년대부터 증가하며 공연단체 수와 매출은 양적 증가 추세를 보이고 있다. 공연단체의 매출은 국내 공연시장 총매출의 62.2%를 차지하며 공연산업 성장의 주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2000년대부터 해외 라이선스 공연이 유입되면서 활발한 시장이 조성되었고, 공연시장의 규모는 증가했다. 이후 국내 공연들은 서로 경쟁적으로 무대 위에서 더욱 크고 복잡하며 화려한 공연예술을 선보이고 있다. 현대 공연예술은 4차 산업혁명에 따른 기술의 발달로 융∙복합적이며, 화려하고 웅장한 볼거리가 추세다. 매년 달라지는 무대기술과 극의 융합예술로 인해 무대 위에서 새롭고 다양한 볼거리 구현이 가능해졌고, 이를 위해선 여러 창작 스태프와 무대예술전문인들의 협업이 필요하다. 공연예술은 여러 분야의 인력들이 상호 유기적으로 결합하여 완성되는 종합예술로써, 노동집약적이고 전문인력의 구성에 따라 공연의 질적 수준이 달라진다. 공연을 찾는 관객들은 갈수록 무대 위 새로운 볼거리에 흥미를 갖고, 그에 맞춰 창작 스태프는 새로운 무대예술을 선보이기 위해 보다 창의적인 상상력을 무대에 펼친다. 이를 바탕으로 무대예술전문인은 창작 스태프의 상상력을 다양한 시도와 기술력으로 무대에 실현한다. 창작 스태프의 예술적 표현이 무대예술전문인의 역량에 따라, 얼마나 효과적으로 실현되는지가 공연에 질적 완성도의 척도가 된다. 공연예술의 규모가 커지면서 무대예술전문인의 수요는 증가하고, 직무는 세분화되어 가고 있다. 그만큼 무대예술전문인 관련 교육기관도 많아졌고, 현장에선 도제훈련을 통해 매년 많은 전문인을 양성하고 있다. 하지만 공연예술 현장에는 여전히 무대예술전문인 부족 현상이 문제이다. 공연예술은 빠른 속도로 변화하며 무대기술과 장비 및 시스템이 발전하고 있지만, 무대예술전문인 양성을 맡은 교육기관에서는 빠르게 변화하는 실무를 유연하게 반영하지 못하고 있다. 아직 대다수의 교육기관은 배우나 연출, 디자인과 같은 창작진에 편중된 교육과정으로 이루어져 있고 무대기술 분야는 보조 수업 정도의 과정으로 심화학습이 부족하다. 그리고 도제훈련방식의 양성과정은 교육자의 역할이 중요한데, 국내에는 교육자를 양성하거나 검증하는 제도 프로그램이 마련되어 있지 않다. 이처럼 표준화된 교육훈련 환경이 조성되어 있지 않아 저마다 다른 기준으로 무대예술전문인을 양성 중이다. 국내 유일한 무대예술전문인 자격제도는 현재 극장을 운영하고 관리하는 감독의 취업만을 위한 요건이 되어 단편적인 실효성만을 보이고 있다. 국내 각 교육기관의 무대예술전문인 양성과정은 새로운 무대기술 전문지식이나 기술 데이터가 수정, 보완되거나 축적되기 힘든 구조 속에서 기준 없이 각기 다른 방향으로 흘러가고 있다. 국내 공연예술이 양질의 발전을 하기 위해선 표준화된 역량의 무대예술전문인과 이를 위한 표준화된 양성과정이 필요하다. 그래서 본 연구자는 국내 무대예술전문인 양성과정의 개선방안을 도출하기 위한 연구를 했다. 국내 무대예술전문인 양성과정에서 문제의 원인을 도출하기 위해 국내 무대예술전문인 성장과정과 양성기관의 교육 및 훈련과정, 자격검정제도를 조사했다. 그리고 국내보다 비교적 오래된 공연역사를 가진 해외의 무대예술전문인 양성과정을 조사해 비교연구를 통해 개선 방안을 도출했다. 각 분야의 실무자와 교수와의 심층인터뷰를 통해 국내 양성과정 현황과 개선되어야 할 점을 강구했다.

      • 인공지능 기반 공연예술에 관한 사례연구 : 메타 퍼포먼스 <슈뢰딩거의도마뱀꼬리>를 중심으로

        김희은 홍익대학교 공연예술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50703

        Through the technology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we are overcoming the pandemic by applying methods suitable for non-face-to-face environments caused by COVID-19. In the field of performing arts, with embracing the latest technology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there is also a change in the ways of communication with the audience. While the scope of creative expression is spontaneously expanding by using the latest technology in the field of performing arts, however, research on the possibility of performing arts with artificial intelligence is inadequate. Therefore, this thesis focuses on a case of performing art in which artificial intelligence is applied. It is to study whether artificial intelligence is an appropriate device for a new type of performing arts that combines technology and art. In addition, this study aims to consider the potential and expected effects of artificial intelligence in the performing arts. In this thesis, the meta performance <Schrödinger's Lizard Tail> was selected as the subject of the study. The entire production process and results were analyzed from the planning stage of the performance to the evaluation stage after the performance. Theoretical background relating to the definition and classification of artificial intelligence was established through document study. Through case studies of culture and arts with artificial intelligence, the range of applications of artificial intelligence was comprehended. In the text, the role of artificial intelligence in performance was examined through the analysis of the meta performance <Schrödinger's Lizard Tail>. In the meta performance <Schrödinger's Lizard Tail>, artificial intelligence did not just play the role of technology but also appeared as a character in the play that symbolized 'technology'. The technology used on the stage surpassed the role of a supplementary device for background information of the performance. This artificial intelligence technology was used as a character that delivered messages by the creators. As a result of interviews and surveys for the evaluation of the performance, it was confirmed that it was difficult to recognize the elements of artificial intelligence in the performance and the reason why artificial intelligence was used was not identified. However, respondents viewed the convergence of artificial intelligence and performance as a new attempt and positively predicted the possibility of its development. The positive aspects of artificial intelligence-based performing arts according to the above study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audience's interest in the collaboration between humans and artificial intelligence is increasing. Second, it has sufficient value as a medium that can overcome the limitations of the stage. Third, there are various ranges to apply artificial intelligence in comprehensive art such as scripts, music, videos, etc. If artificial intelligence-based performances are produced in the future, the following points should be considered while strengthening the above positive aspects. First, clear reasons and goals must be set for the use of artificial intelligence in performance. Second, the role of artificial intelligence must be specifically expressed in the performance. Third, there is a need for popularity to lower the entry barrier of the convergence performance itself. It is meaningful that a study on a new type of performing art that combines theater and dance with artificial intelligence has been conducted. I hope that our effort to adopt artificial intelligence to build an alternative form of performing art contributes to the establishment of various contents. 4차 산업혁명의 기술력을 통해 우리는 코로나19로 인한 비대면 환경에 적합한 방안들을 적용하며 팬데믹을 극복해나가고 있다. 공연예술 분야 또한 4차 산업혁명의 최첨단 기술이 도입되면서 관객과의 소통 방법에 변화가 나타나고 있다. 가장 아날로그적이고 보수적인 장르라 볼 수도 있는 공연예술 분야에서도 최신 기술을 활용하여 창작 표현의 범위를 자연스럽게 확장해 나가고 있지만, 4차 산업혁명의 핵심 기술인 인공지능이 적용된 공연예술의 가능성에 관한 연구는 미비한 상태이다. 따라서 본 논문은 인공지능이 적용된 공연예술에 관한 사례를 집중적으로 연구하여 인공지능이 기술과 예술을 융합한 새로운 유형의 공연예술에 적합한 장치인지 확인하고 공연예술 내 인공지능의 활용성 및 기대효과를 전망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논문에서는 인공지능 기반 메타 퍼포먼스 <슈뢰딩거의도마뱀꼬리>를 연구의 대상으로 선정하고 공연의 기획 단계에서부터 공연 후 평가 단계까지 전체 제작 과정 및 결과물을 분석하였다. 문헌 연구를 통해 인공지능의 정의 및 주요 분류에 관한 이론적 배경을 수립하였고 인공지능이 적용된 문화예술 사례 조사를 통해 예술에 적용된 인공지능의 활용 범위를 파악하였다. 본문에서는 메타 퍼포먼스 <슈뢰딩거의도마뱀꼬리>의 분석을 통해 공연 내 인공지능의 역할을 확인하였다. 메타 퍼포먼스 <슈뢰딩거의도마뱀꼬리>에서 인공지능은 단순히 기술의 역할만 한 것이 아니라 ‘기술’을 상징하는 극 중 하나의 캐릭터로 등장하였다. 무대에 사용된 기술이 공연의 배경 설명을 위한 보조 장치의 역할을 뛰어넘어 창작자의 메시지를 전달하는 극 중 구성 요소로 그 활용의 가능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공연의 평가를 위한 심층 인터뷰 및 설문 조사 결과, 공연 내 인공지능의 요소를 인지하기 어려웠으며 인공지능이 사용된 이유를 명확히 파악하지 못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하지만 인공지능과 공연의 융합이라는 지점에 대하여 참신한 시도로 바라보며 그 발전 가능성에 대해 긍정적으로 전망함을 확인하였다. 위 연구 결과에 따른 인공지능 기반 공연예술의 긍정적 측면은 다음과 같다. 첫째, 인간과 인공지능의 협업에 대한 관객들의 흥미가 높은 편이며, 전문가들은 그 발전 가능성에 대해 긍정적으로 전망하고 있다. 둘째, 무대의 제약을 뛰어넘을 수 있는 매체로 충분한 가치가 있다. 셋째, 종합예술인 공연예술의 대본, 음악, 영상 등 인공지능을 활용할 수 있는 범위가 다양하다. 추후 인공지능 기반 공연 콘텐츠가 제작된다면 위의 긍정적 측면을 강화함과 함께 다음의 사항들을 고려해야 할 것이다. 첫째, 공연 내 인공지능 기술의 사용에 대한 명확한 이유와 뚜렷한 목표 설정이 필요하다. 둘째, 공연 내 인공지능의 역할과 사용에 대한 확실한 표현이 필요하다. 셋째, 융⦁복합 공연 자체의 진입 장벽을 낮출 대중성이 필요하다. 본 연구 결과를 종합해보면, 인공지능을 기반으로 하여 연극과 무용이 접목된 공연예술에 관한 국내 최초의 사례연구로, 연극과 무용의 아날로그적 감성과 인공지능의 첨단기술이 만난 새로운 유형의 공연예술에 관한 연구가 이루어졌다는 점에 의의가 있다. 본 연구가 인공지능 기술과 융합된 참신한 공연예술 콘텐츠 개발에 이바지할 수 있길 바란다.

      • 공연예술에서 음향을 통한 임장감 확장에 관한 연구 : 뮤지컬 '영웅'을 중심으로

        최성만 홍익대학교 공연예술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50703

        현대 사회는 기술의 발전과 삶의 질의 향상으로 공연예술에 대한 관심과 욕구가 날로 높아져 가고 있다. 이런 기대와 욕구를 충족시키기 위해 공연예술에서도 다양한 기술을 도입하고 있다. 이에 발맞추어 음향 분야에서도 단순한 소리의 전달을 넘어서 창작의 표현 방법으로 그 영역을 넓혀가고 있다. 이와 같은 발전은 궁극적으로 공연예술에서 관객으로 하여금 생생한 임장감을 느끼게 하여 관객에게 감동을 전하기 위함이다. 본 연구에서는 공연예술에서 음향을 통한 임장감 확장에 관한 연구를 진행하였으며 국내의 창작 뮤지컬인 <영웅>을 중심으로 고찰하였다. 먼저 음향의 발전과 임장감의 개념을 정의하고 뮤지컬 <영웅>에서 음향 디자인 과정에 따라 관객에게 전달된 청각적 만족도와 임장감 인지를 설문을 통해 연구하였다. 분석 결과로, 뮤지컬은 종합예술로써 건축음향의 공간 조건과 전기음향 기술의 조화를 통해 다양한 분야와 협업으로 만들어지며 관객에게 전달된다. 이러한 결과는 관객의 경험에 의한 만족도와 임장감 인지에 영향을 미친다. 이로써 수요자의 기대에 충족하고 더 실제적인 임장감을 전달하기 위하여 음향의 기술적 노력과 환경 조성의 필요성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자는 이 연구를 통해 국내의 공연예술에서 음향 분야의 다각적인 발전 가능성을 도모하여 관객의 기대와 욕구를 충족시키고 시대의 흐름에 맞는 새롭고 실험적인 공연예술로 발전해갈 것을 기대해 본다. High technology upgraded human life and it accelerated the interest and desire on Performing Arts in modern society. To satisfy this needs, variety of technologies are introduced in Performing Arts area. For example the sound system expands its field form just delivering simple sound to a way of expressing new creative works. This kind of development delivers the impression of vivid ‘sense of being there’ to the audience ultimately. This study deeply illuminates to express ‘sense of being there’ through sound in Performing Arts with the experience in musical ‘Hero’. At first, it defines the concept of ‘development of sound’ and ‘sense of being there’ by the progress of sound design in musical ‘Hero’. The analysis shows that musical is a synthetic art. It is made of cooperation between the architectural space condition and the harmonization of technologies which delivers to the audience. And it affects to the satisfaction of the audience as well as the recognition of ‘sense of being there’. Therefore, this study focuses on the necessity of technical efforts and creation of effective sound environment to satisfy the audience that can deliver more realistic ‘sense of being there’. It is expected that the seeking of versatile developmental possibilities in Performing Arts sound system would satisfy the expectation and desire of the audiences. Moreover all these efforts would bring new and experimental progress in Performing Arts field.

      • 전통공연예술 관객개발을 위한 영상콘텐츠 활용방안 연구 : 국립국악원을 중심으로

        김자은 홍익대학교 공연예술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50703

        디지털 기술과의 융합과 미디어의 발전에 따라 공연예술시장이 변화하고 있다. 문화예술과 콘텐츠산업이 융합되면서 새로운 형태로 나타난 공연예술영상콘텐츠는 공연예술이 가지고 있던 한계점들을 보완함과 동시에 고급예술에 대한 경계를 낮추며 많은 사람들이 향유할 수 있는 새로운 콘텐츠로서의 역할을 하고 있다. 특히 시공간적 제약 없이 다양한 정보들을 자유롭게 선택할 수 있는 영상콘텐츠의 이점은 관객들이 공연예술을 더 쉽게 즐길 수 있도록 돕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영상콘텐츠로의 재생산이 공연예술의 관객개발로 이어지는 것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서 장르적 특성을 공연예술 중 전통공연예술로 한정하고, 전통예술 공연시장에서 영상콘텐츠의 활용이 어떻게 관객을 개발하고 확장시킬 수 있는지에 대한 결과를 도출하고자 본 연구를 진행하였다. 이에 공연영상콘텐츠시장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이를 통한 새로운 관객 확대를 모색하기 위해 공연영상콘텐츠에 대한 문헌조사 및 사례분석으로 연구의 바탕을 마련하였다. 연구 대상으로는 국악의 전통 및 보급을 위한 대표적 기관인 국립국악원을 선정하였으며, 연구 방법으로는 국립국악원 관객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결과를 도출하였다. 설문조사는 2016년 11월 9일부터 11월 19일까지 진행하였으며 국립국악원 <수요춤전>, <목요풍류>, <금요공감>, <국악극 현의노래> 관람객을 대상으로 실시되었다. 분석방법으로는 빈도분석 및 기술통계분석과 χ2검정을 사용하였으며 모든 분석에는 SPSS Statistics 패키지 23.0을 활용하였다. 본 논문의 연구결과를 통해 전통예술시장의 관객개발을 위한 공연영상콘텐츠 활용방안을 제안하였다. 새로운 환경 변화에 맞춘 공연영상콘텐츠의 적극적 활용은 전통예술의 교육과 진흥의 역할을 담당하고 문화적 소외 계층을 줄여 국내외 관객층의 저변확대를 이끌어 낼 것이다. Due to the convergence of digital technology and the development of multi-media, the performing arts market is changing. As cultural art and the content industry converge, performing arts video content, which appears in a new form, is complementing limitations which performing arts has. And at the same time, lowers the boundary for high art, playing a role as new content, which allows many people to participate. In particular, the advantage of video content that people can freely select without time and space constraints is helping audiences to enjoy performing arts more easily. This study tried to verify the reproduction of these video contents carrying over into audience development of performing arts. To do this, I progressed this study by restricting genre features to traditional performing arts and tried to derive results about how the utilization of video content can develop and expand audiences the traditional performing arts market. To recognize the importance of the performing video content market and to seek new audience expansion, I prepared the basis of this study through literature investigation and case analysis about performing video content. I selected the National Gugak Center as the subject of the study, which is the representative agency for the heritage and propagation of Korean traditional music. I derived the result by conducting a survey targeting audiences at the National Gugak Center. I carried out the survey from November 9 to November 19, 2016 and targets of the survey were audiences who watched <Wednesday Dance Festival>, <Thursday Taste for Arts>, <Friday Sympathy>, <Korean Traditional Musical Play String’s Song>. For the analysis method, I used χ2-test for the program and also used SPSS Statistics package 23.0. Through the research result of this thesis, I suggested an application plan of performing video content for audience development of the traditional arts market. Active utilization of this plan of performing video content, adjusted to new environment changes, will lead to base expansion of domestic and foreign audiences by a changes education and promotion of traditional arts thus reducing alienated cultural groups.

      • 서울예술단 창작가무극 레퍼토리 구축 양상 연구

        권소담 홍익대학교 공연예술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50703

        As licensed musicals became more popularized in the 2000s, the Korean musical industry developed its market. The change suggested a new direction for national and public traditional art organizations, which began to pursue the modernization and contemporaneity of the tradition. The government's agenda was to create a repertory that meets both its mission and popularity as a public organization. Founded in 1987, the Seoul Performing Arts Company (SPAC) also followed the trend. SPAC has attempted various styles of performances such as musicals, total art, total drama, music theatre, dance performance, non-verbal performance, and gamuak under its agenda of establishing a "Korean" style of performance. Nevertheless, SPAC failed to develop a repertory that accomplishes its mission until the 1990s. To adapt to the changing market and prove its value, SPAC needed to develop qualifying repertories and pursued its mission in the 2000s. Moreover, since 2012, Seoul Arts Company could finally produce a gamugeuk series, presenting a unique genre of music theatre in Korea. However, the previous discourse on SPAC has focused on particular works and genres, not providing profound analyses on the recent changes of SPAC. This thesis studies how the gamugeuk series (since 2012) has been changed the performance style of SPAC, using two methods: 1) qualitative changes (materials, subjects, styles, genres) and 2) quantitative changes based on objective data (seat occupancy rate, performance status). Leaning towards popularity, SPAC improved the quality of the repertories, still pursuing experimental dance theatre as well as popularity-oriented works. This direction led to the successful establishment of a good repertory. The repertory is the core of art organizations in that a good repertory proves the artistry of an organization and enhances its credibility. It further allows investments in new works by the increased income of admission fees, financial independence, and cost reduction through revivals. This is a way to enable the practice of artistic publicness. It can be said SPAC's gamugeuk repertory has achieved the mission: development of a "Korean" style of performance. Popular performances allow more audiences to visit the SPAC's performances, and experimental performances also enable artistic publicness. It is a consistent direction that goes with the original function of the repertory.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defines the changes in SPAC's performances as a repertory phenomenon from a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perspective since the 2010s. The change in SPAC proves that if a good repertory is established, it will increase the organization's self-sustainability and attract loyal audiences. It suggests new possibilities for domestic performances in the Korean musical market, often represented by licensed musicals and celebrity marketing. Based on the research, I hope that the SPAC will continue to develop creative gamugeuk and make them repertories. I also hope that SPAC's case can further help other art organizations to produce creative domestic plays. 2000년대 들어 라이선스 뮤지컬의 유통이 활발해지고 뮤지컬 전용 극장이 지어지면서, 한국 뮤지컬 시장은 산업화 초기를 맞이하였다. 라이선스 뮤지컬의 흥행과 동시에 창작 뮤지컬의 개발도 본격화되면서 시장의 규모가 점차 확대되었다. 또한 국립극장 소속 예술단체 중 서양 예술 기반 단체들이 재단법인으로 전환, 이관되자 국립극장은 전통 예술 기반 공연의 창작을 중심으로 변화하게 되었다. 공연계 외부에서는 한류 열풍이 일어나 한국의 대중문화콘텐츠의 수출이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었다. 이에 전통 예술 장르 기반의 국공립예술단체들은 시장의 변화에 대응하여 새로운 방향을 모색하게 되었다. 국공립단체로서 수행해야 하는 미션과 대중성을 모두 충족하는 레퍼토리를 만들기 위해 이들은 전통의 재현과 전승이 아닌, 현대화와 동시대성을 추구하기 시작했다. 1987년 창단된 서울예술단도 이러한 상황에 놓여있었다. 그동안 전통예술 장르를 기반으로 ‘한국적 공연 양식 개발’을 위해 뮤지컬, 총체예술, 총체극, 음악극, 댄스컬, 넌버벌 퍼포먼스, 가무악 등 다양한 공연 양식의 개발과 도입을 반복하며 정체성을 모색해왔다. 하지만 1990년대까지 미션에 부합하는 특정 공연 양식을 개발하지 못해 자생력을 기르기 위한 레퍼토리 개발의 필요성이 대두되었다. 이에 서울예술단은 2000년대 들어 급변하는 시장 상황과 위협받는 존재 가치를 극복하기 위해 조금씩 변화하는 모습을 보였다. 그리고 2012년부터는 ‘창작가무극’ 제작으로 방향을 완전히 선회하여 이전과 달라진 공연을 선보이고 있다. 그동안 서울예술단에 대한 연구는 특정 작품이나 장르 위주로 이루어져, 최근의 변화에 대해 구체적으로 파악할 수 있는 연구는 찾기 어려웠다. 따라서 이 논문에서는 2012년 이후 제작된 ‘창작가무극’이 이전의 공연과 어떤 차이가 있는지 문헌 연구를 통한 질적 변화(소재·주제·양식·장르)와 객관적 데이터를 바탕으로 한 양적 변화(객석점유율, 재공연 현황)로 나누어 분석하였다. 그 결과 서울예술단 공연의 제작 지향성이 대중성 중심으로 선회하면서 눈에 띄는 양적 성장을 했음을 파악할 수 있었다. 동시에 실험적 창작가무극의 개발도 병행하며 예술적 공공성도 추구하고 있었다. 이는 단순히 양적 성장에 그치지 않고 우수 작품의 재공연을 통한 레퍼토리 구축으로 이어지고 있다. 레퍼토리는 예술단체의 핵심이라고 할 수 있다. 우수한 레퍼토리는 단체의 예술적 성취를 증명하며, 단체의 브랜드와 신뢰도를 제고하는 데 중심 역할을 하기 때문이다. 또한 새로운 관객을 확보하여 수익성을 개선하면서 재정 자립도를 높이고, 재공연을 통한 비용 절감으로 신작에 대한 투자가 가능하여 예술적 공공성의 실천을 가능하게 한다. 따라서 서울예술단의 창작가무극의 레퍼토리 구축 현상은 서울예술단이 추구하는 ‘한국적 공연 양식 개발’이라는 미션 수행이 올바른 방향으로 진행되고 있음을 보여준다고 할 수 있다, 대중성 지향 공연으로 관객들의 문화 향유 기회를 확대하고, 예술성에 중점을 둔 실험적 창작가무극의 개발로 예술적 공공성도 실천하고 있어 레퍼토리 이론에 부합하는 모습을 보이고 있기 때문이다. 본 연구는 2010년대 서울예술단 공연 제작에 나타난 변화를 ‘레퍼토리화’ 현상으로 정의하고 그 양상을 다각도에서 규명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서울예술단의 레퍼토리 구축 양상은 창작극의 지속적 개발이 레퍼토리 구축으로 이어지는 선순환 구조가 단체의 자생력을 높이고 충성 관객을 유입한다는 것을 증명한 사례이다. 이는 라이선스 뮤지컬과 스타 마케팅으로 대변되는 한국 뮤지컬 시장에서 창작 작품의 새로운 가능성을 시사한다. 이에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서울예술단이 우수한 창작가무극을 지속해서 레퍼토리로 축적하기를 기대하며, 다른 예술 단체의 창작극 제작에도 알맞은 길라잡이가 되기를 바란다.

      • 디지털 전환에 따른 국내 온라인 공연 현황에 관한 연구

        배수연 홍익대학교 공연예술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50687

        이 논문은 코로나19 이후 국내 대중음악과 뮤지컬 장르의 온라인 공연산업 제작 현황, 관객 현황, 플랫폼을 분석하여 온라인 공연의 문제점을 도출하였다. 이러한 문제점을 기반하여 온라인 공연의 개선사항을 제안하고 향후 온라인 공연이 오프라인 공연의 대체재가 아닌 지속 가능한 독립재로 안착할 수 있는 연구 목적을 가진다. 본격적인 논의에 앞서 공연예술의 개념 및 특성과 4차 산업혁명 이후 기술의 발전으로 인한 공연예술의 디지털 전환 양상을 제작방식, 공급 및 소비방식 변화의 측면에서 분석했다. 또한, 디지털 전환의 일부인 온라인 공연의 개념 및 의의와 유형을 분류하고 그 특성을 도출했다. 이러한 내용을 바탕으로 다음과 같은 3가지 결론을 제시하였다. 첫째, 온라인 공연산업의 흐름, 국내 온라인 공연 관람 현황을 조사 및 분석하고 제작비와 전문 제작 인력, 현장감의 문제에 대한 개선방안 제시 둘째, 국내 사용되고 있는 플랫폼 조사를 통해 유형 및 특징을 분석하고 플랫폼 유통에 따른 수수료와 접근성 문제에 대한 개선방안 제시 셋째, 공연예술 산업에서의 가치사슬 확장과 정부의 정책 지원, 법 제도 개선, 지속 가능성과 발전 방향의 측면에서 온라인 공연의 활성화 방안 제시 이 연구를 통해 디지털 전환으로 인한 공연예술 산업의 흐름을 파악하고, 온라인 공연의 활성화를 위한 제작 및 유통 그리고 정책 지원의 개선 방향에 관한 기초연구의 토대가 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다만 대부분 공연예술 산업 종사자 측면에서의 분석이라는 점에서 한계가 존재한다. 이에 따라 온라인 공연의 활성화를 위해서는 소비자의 관람 동기나 지속 관람 여부 그리고 온라인상에서의 법 윤리에 관한 연구 과제가 남아있음을 밝힌다. This paper analyzes current production state, and audience status of the online performance industry in the domestic pop music and musical genre after COVID-19 and derives the problems of online performances. It aims to propose improvements develop online performances into a sustainable and independent genre in the future, not a substitute for offline performances. Prior to the full-scale discussion, the concept and characteristics of performing arts and the digital transformation of performing arts as a result of the development of technology after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were analyzed in terms of changes in production methods, supply- consumption methods. In addition, the concept, significance, and type of online performance, which is part of digital transformation, were classified and its characteristics were derived. Based on these contents, the flow of the online performance industry, the current status of domestic online performances and audience were investigated and analyzed, and measures to improve production costs problems, professional production manpower, and realism were presented. The types of characteristics of platforms used in Korean were analyzed and ways to improve fee and accessibility problems with flatform distribution were suggested. Finally, the prospects for revitalizing online performances in terms of expanding the value chain in the performing arts industry, government policy support, improving the legal system, and sustainability and development direction were presented. It is expected that this study help understand the flow of the performing arts industry and serve as the foundation for basic research on the production, distribution, and policy support to revitalize online performances. However, this study has limitations in that it is mostly an analysis in terms of workers in the performing arts industry. Accordingly, in order to revitalize online performances, researches on consumers' motivation for viewing, whether consumers continue to watch, and online legal ethics are needed.

      • 국내 벨리댄스 공연의 대중화 방안에 관한 연구

        김수산나 홍익대학교 공연예술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50687

        벨리댄스는 국내에 도입되어 피트니스로 수용되어 생활체육 형태로 발전한 이후 오락적인 형태와 예술적인 형태의 공연으로 함께 발전하였다. 이 과정에서 국내 벨리댄스 전문 기관 및 단체가 조직되었고 각 기관의 규모 및 특성에 따라 상이한 형태로 벨리댄스에 관한 교육과 공연 프로그램을 다양하게 소개하고 있다. 본 연구는 벨리댄스가 피트니스적인 운동효과에 국한된 무용이 아닌 대중성을 갖춘 공연예술로서 발전 가능성에 관해 분석한다. 벨리댄스의 기본 이론 및 공연사를 고찰하고 국내의 수용현황 연구를 통해 벨리댄스가 공연물로서 대중화될 수 있는 요소를 찾고 문제점을 지적하여 해결방안을 제안한다. 그 방법으로 현재 국내의 다양한 벨리댄스 기관이 사용하는 상이한 벨리댄스의 기본 개념 및 전문용어들을 국제적으로 통용되는 용어를 기준으로 통합하고 정리하여 보편적으로 이론을 사용할 수 있도록 하였다. 통합된 이론 정리는 국내 뿐 아니라 국제적인 전문 벨리댄스 지도자들과 일반 참여자들 간의 의사소통의 혼선을 최소화하여 보다 일관성 있는 벨리댄스 이론을 공유할 수 있다. 그리고 벨리댄스의 국제적인 페스티발 및 단체, 개인 예술가들의 활동을 연구하여 국내 기관들이 어떻게 해외의 사례들을 차용하여 지역화 시켜서 수용하였는지 그 과정을 추적했다. 또한 국내 각 기관 단체장과 현재 활동 중인 벨리댄스 전문 무용가들을 면담한 자료와, 지금까지 연구되었던 논문 자료 등을 바탕으로 국내 단체들의 공연별 특징과 수용현황을 연구하였다. 이 같은 연구를 통해 본 논문은 벨리댄스가 국내에서 대중성을 갖춘 공연문화로 자리 잡기 위해서는 체계화된 이론 및 개념 정리를 바탕으로 보다 국제적이고 보편화된 교육을 통해 전문인을 양성하는 것이며, 공연 전문 기획자와의 협업을 통해 예술적인 형태의 공연문화를 정립시키는 것이 우선시되어야 한다는 사실을 발견하였다. Belly dance was introduced in South Korea as a fitness program and gradually developed into a form of sports. Afterward, it was developed into an entertainment and art form. while belly dance professional belly dance organizations and associations were formed. various training and performance programs have been established under characteristics of each organization. This study analyzed the possibility of developing belly dance as a performing art with popular appeal, not just a dance with fitness and exercise effects. It examined the basic theories and performance history of belly dance. Moreover, this study evaluated the acceptance status in South Korea. Based on these findings, this study sought the element that could popularize belly dance as a performing art and proposed solutions to these issues. As a first step, this study integrated and organized the basic concepts and terminologies, which were used by various belly dance organizations differently, based on internationally accepted terminologies. It would integrate different terms for similar posture concepts into unifying terms. In doing so, it would make for arrangement of universal theories and terminologies in belly dance. The integrated belly dance theories would minimize the miscommunications among domestic belly dance instructors, international belly dance instructors, and general participants. Therefore, it would be possible to share consistent belly dance theories. This study also traced how in South Korea adapted, localized, and received international festivals and associations cases by evaluating the activities of international belly dance festivals, activities of organizations, and performances of individual artists. It examined the characteristics and acceptance status of performances of South Korean organizations by analyzing the interviews of the heads of various belly dance organizations and currently active belly dance experts.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at it would be necessary to foster professionals through internationally recognized and universal training based on systemized and organized theories and concepts to establish belly dance as a popular performing art in South Korea.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ed that it will be urgent to found an artistic performing culture through collaboration with professional event organizers.

      • 시즌 패키지 상품의 관객 구매행동에 관한 연구 : LG아트센터 CoMPAS를 중심으로

        이승일 홍익대학교 공연예술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50687

        모든 공연장들은 관객들을 위해 수준 높은 프로그램과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노력하는 만큼 새로운 관객 개발에도 심혈을 기울이고 있다. 관객개발과 관련하여 다양한 논의와 관심이 높아지면서 시즌제(또는 서브스크립션 시스템 Subscription System)와 다양한 예술교육 프로그램의 도입과 이에 관한 연구가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국내에서는 2000년에 LG아트센터, 2012년에 국립극장이 시즌제를 도입하면서 시즌제에 관한 논의가 본격화되고 있다. LG아트센터는 ‘CoMPAS’라는 명칭으로 기획공연 시즌을 운영하고 있으며, 국립극장은 ‘국립레퍼토리시즌’이라는 명칭으로 시즌 방식의 프로그래밍을 선보이고 있다. 이 외에도 세종문화회관, 서울시립교향악단 등이 시즌제 방식을 시행하고 있다. 따라서 이들 공연장과 예술 단체에서는 각자가 설정한 시즌 안에서 시즌 프로그램을 기준으로 세분화된 패키지 상품을 디자인하여 판매한다. 전체 공연을 구매해야 하는 시즌 티켓보다 세분화된 패키지 티켓은 시즌 안에서 선택하는 기간이 짧고, 관객이 직접 원하는 작품만을 선택하거나, 장르· 작품의 특성에 따라 묶여있어 다양한 선택을 가능하게 하였다. 이렇게 시즌제가 본격 도입되고, 다양한 종류의 패키지 상품이 소개되면서 각 시즌 패키지 상품에 대한 관객의 반응과 구매 태도 등에 대한 관심이 늘어나고 이에 대한 연구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예술을 처음 접하는 관객이 가장 먼저 찾는 예술 형태로 시즌 공연, 예술축제, 예술교육 프로그램 중에 시즌 공연이라는 박진영(2016) 연구결과가 있다. 또한 지속적으로 공연 관람 결심을 하는데 가장 큰 영향을 미친 것 역시 시즌 공연으로 나타났다. 그만큼 시즌제가 관객의 공연 선호에 미치는 영향이 크다고 할 때 시즌을 전제로 이루어지는 패키지 티켓과 이를 활용한 마케팅은 지속적으로 관객의 요구에 맞게 변화하고 발전하여야 할 것이다. 본 연구자는 시즌제를 운영하는 공연장은 여러 연령대의 관객들에게 맞춤형 패키지 상품을 개발하고 다양한 혜택을 제공하여 공연장으로의 접근을 늘려야 한다고 보았다. 연령에 맞는 맞춤형 서비스를 통해 공연장을 향한 관객의 충성도만이 아닌 관객을 향한 공연장의 충성도를 보여줌으로써 공연장, 공연이 경쟁력을 갖출수 있을 것이다. 이에 본 연구는 국내에서 패키지 상품을 운영하고 있는 LG아트센터의 패키지 상품 현황을 분석하고, 관객들의 패키지 상품에 대한 긍정적 의견과 부정적 의견을 설문하였다. 연령별 연간 관람 빈도 3회 이상 관객들의 현황 및 태도 조사를 통해 연령별 패키지 상품 구매를 촉진하는데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원인을 파악하고 대안을 마련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연구결과 패키지 티켓 구매자는 LG아트센터에서 회원들에게 제공하는 메일, 우편 등을 통해 LG아트센터 정보를 얻고 있었으며, 패키지 티켓 비구매자의 경우 온라인, SNS를 통해 LG아트센터 정보를 얻고 있었다. 특히 패키지 티켓 구매 연령분포에서 제일 적은 수치를 보였던 20대 관객이 온라인, SNS를 통해 정보를 얻고 있었다. 또한 패키지 구매자는 좌석 우선 지정과 할인 혜택 중 할인 혜택을 더 중요하게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패키지 티켓을 구매하지 않는 20대, 30대 관람객 역시 30% 내지 50% 정도의 할인율이 주어진다면 패키지 티켓을 구매할 의사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패키지를 구매하지 않고 LG아트센터 공연을 년 3회 이상 개별 티켓으로 구매하는 관객들은 미리 공연 일정을 잡는 것이 부담된다는 이유에서 패키지 티켓을 구매를 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들 중 다수가 패키지 티켓 구매 후 구매한 각 공연 오픈 3개월 전에 공연 일정 및 좌석을 지정하는 옵션이 주어진다면 패키지 티켓 구매로 바꿀 의향이 있다고 응답하였다. 패키지 티켓 구매자는 공연장 입장에서 최고의 충성 관객이며, 패키지 티켓 관객이 확보되었을 때 더 안정적인 운영이 가능하다. 이에 변화해가는 관객의 요구를 맞추기 위해 꾸준한 연구와 설문조사 등을 통해 그 방안에 대한 후속 연구가 더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All the theaters are as devoted to the development of audiences as they are to the planning and production of good programs. The ar eas in which the gr eates t interest and study in theater management and audience development has been made in recent years may be the s eason (or Subscription System) and various ar ts education programs in theaters. In Kor ea, LG Arts Center introduced the season program in 2000 and the National Theatr e of Korea in 2012. LG Arts Center has been running the planned performance season named “CoMPAS” since 2000 and the National Theater of Korea the s eason named “National Repertory Season” in 2012. In addition to them, Sejong Center and Seoul Philharmonic Orchestra have the s eason program. Thes e theatres operate by introducing segmented package tickets. While the season tickets require purchasing the entire per formances, the segmented package tickets offer shorter season period tickets by subdividing the season, allow the audience to pick 5, 7 or 10 performances only what they want to attend, or program the packages by tying specific perfor mances by the genre and the characteristic of the perfor mances, which enable the organizers to offer various choices. With the introduction of the season tickets and package tickets as marketing tools, the related researches were sounded out in Korea, but have not carried out since then. A domestic study showed that participation in the theatre was the highest in order of the seasons, festivals and arts educations. Also, the season was found to have influenced the most the decision to watch the performances continuously. As such the marketing with season package tickets need to keep changing to address audience concerns. The researcher noted the theatres that run the season need to develop the customized package tickets for audience of different ages and need to provide various benefits, so as to increase th e number of people coming to theatres. With customized services tailored to the age, the theatre will be competitive through not only the loyalty of the audience to the concert hall but also the loyalty of the concer t hall to the audience. This study analyzed the status of package products of LG Arts Center, which operates the package products. And the positive and negative comments about the package products w ere surveyed. Finally, through the survey on current status and behaviors of audience who attended per formances at least three times per season, the study aimed to identify the causes that could affect the purchase package by age and to come up with an alternative plan. The study found that the package ticket buyers got information about LG Arts Center through e-mails and mails provided to LG Arts Center members. meanwhile, non-package ticket buyers from online and SNS. Especially, survey respondents in their 20s, who showed the lowest number in buying the package tickets, got informed about LG Arts Center through online and SNS. In addition, the package ticket buyers replied that getting discount is more preferable than seat prioritization. Non-package ticket buyers in their 20s and 30s repli ed they ar e willing to commit to package tickets if discount rate is 30 to 50 percent. Finally, non-package ticket buyers who attended the performances more than three times cited the burden of scheduling a perfor mance in advance as the first reason for not buying the package. Many of them would be willing to purchase the package tickets if it is permitted to schedule the performance and seats at three months before each performance after purchasing the package tickets. Package ticket buyers, they ar e the best loyal audience to the theatres, and the theater can operate more reliably when a package ticket audience is secured. Through constant research and surveys, it s eems that mor e follow-up research is need ed to meet changing audience needs.

      • 중정극장(中庭劇場)의 무대 공간 활용 비교 연구 : 자유소극장, 도프만 극장, 더 피트 사례를 바탕으로

        임채호 홍익대학교 공연예술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50687

        Relative to the unit of area, there is a high density of theatres in Korea, concentrated in and around the capital area. A majority of these theatres is furnished with an end stage, with the audience on a single side of the performance area, as is evidenced in the case of the 23 new theatres in Daehak-ro founded post 2010 housing an end stage or a proscenium stage. Research into the diversity of theatre styles in Korea found that theatre styles alternate to the end stage or proscenium stage constituted only a small number. In the process, Jayu Theatre housed in Seoul Art Center became the focus of this study, in recognition of the theatre’s a highly mobile performance area that can be used as a traditional single sided end stage, three-sided thrust stage, arena stage (theatre in the round), long traverse stage and promenade stage. Although Jayu is a courtyard theatre with high versatility most performances utilized the space as an end stage, implying the end stage is a stylistic preference for theatre performances rather than that of the performance space provider. In light of this, this researcher hypothesized the overwhelming popularity of end stages is a result of user predilection. The expansion of data acquisition of Jayu Theatre’s spatial usage to include performance photographs, stage plans/sketches, seating arrangements and other visual information followed by analysis confirmed the user penchant for end stages. To understand whether this was an isolated trend limited to Korea, further research into international courtyard theatres in the West and East – Dorfman Theatre housed in the Royal National Theatre in United Kingdom and The Pit housed in the New National Theatre in Japan respectively – was conducted for a comparative study. Data for each of the theatres was collected in identical fashion to Jayu Theatre. In case of Jayu Theatre, 117 out of 122 performances (95.9%) used the space as an end stage, while 61 of 85 performances (71.76%) at The Pit and 224 of 404 performances (55%) at Dorfman used the space as an end stage. Objective comparative case analysis of the three theatres confirmed the hypothesis that performance space users prompted the biased preference for end stages in Korea. An investigation into the cause for Korea’s evident preference for end stages found three possible contributing causes. The first is attributed to how plays as a form of performance art were introduced to Korea. In contrast to Meiji Japan’s traditional plays, melodrama (sinpageuk) developed in Korea. Early1900’s influx of western plays marks the modernization of plays, resulting in contemporary plays performed on end stages without further evolution or transformation since. Given that most stages founded during this time were prosceniums, no notable attempts of diverse use of performance area were made. The second is the lack of diversity in delivery with plays and musicals as mainstream theatre performances. Both genres focus on acoustic experience through the actors’ songs or lines rather than spatial and visual experience, showing little variance from the initial introduction of modern theatre in the early 1900’s. Naturally, the preservation and prevalence of song and line centric performance style over a century limited the development of alternative performance and delivery styles. The third and final reason points to limitations of higher education in performance arts at the university level. As of 2019, around 80 four year universities offer performance arts studies with the highest number of students graduating with a degree in acting. Although a handful of schools offer programs concentrating on technical theatre, the numbers are insignificant. Because most teaching staff at these performance arts programs specialize in acting, classes center around producing actors. In other words, most performance arts majors at universities focus on the effective presentation of actors, fortifying the existing face-to-face style in the utilization of performance area. The fact that most theatres housed in universities are end stages farther proves this trend. 우리나라는 면적 대비 많은 공연장을 보유하고 있는데 특히 수도권에 집중적으로 밀집되어 있다. 주목할 점은 공연장 대부분이 객석과 무대가 한 면만 접한 끝무대(end stage)로 편향된 것인데, 실제로 대학로에서만 2010년 이후 개관한 극장 약 23곳이 끝무대, 프로시니엄(proscenium) 형식이다. 끝무대가 주류인 추세에 반하는 극장을 조사했지만 소수에 불과함을 확인했으며 이 과정에서 객석과 무대가 접하는 면을 다양하게 변형하여 횡단무대(long traverse), 돌출무대(trust stage), 원형무대(arena), 산책무대(promenade)가 가능한 예술의전당 자유소극장에 주목했다. 자유소극장은 중정극장(中庭劇場, courtyard theatre)으로 공간변형이라는 특징을 가지고 있음에도 무대에 오른 대부분 공연이 끝무대 형태임을 확인했다. 따라서 본 연구자는 극장 공급자가 끝무대 극장을 제공하는 것이 아니라 극장 사용자의 선호도에 의해 끝무대 편향성이 만들어졌다는 가설을 세웠다. 가설을 증명하기 위해 자유소극장 공간 활용 사례 수집범위를 넓히고 공연사진, 도면, 스케치, 좌석배치도와 같은 시각적 자료를 분석하여 더 명확하게 끝무대로 편향된 흐름을 확인했다. 더 나아가 이런 흐름이 우리나라에 국한된 추세인지 확인하고자 자유소극장과 유사한 해외의 서양, 동양 중정극장을 비교대상으로 선정했다. 서양의 사례는 영국 국립극장(Royal National Theatre)의 도프만 극장(Dorfman Theatre), 동양의 사례는 일본 신국립극장(New National Theatre, Tokyo)의 더 피트(The Pit)를 선정했고 자유소극장과 유사한 방법으로 자료를 수집했다. 그 결과 자유소극장의 경우 수집한 122편 중 끝무대 공연 117편(95.9%), 더 피트 85편 중 끝무대 공연 61편(71.76%), 도프만 극장 404편 중 끝무대 공연이 224편(55%)임을 확인했다. 객관적인 비교과정을 통해 극장 사용자에 의한 끝무대 편향성 발생을 증명했다. 더 나아가 국내 편향성 원인에 대해 고찰하고 원인을 분석하여 몇 가지 가설을 세웠는데 다음과 같다. 첫 번째는 연극이라는 공연예술이 우리나라에 유입된 경위에 따른 것이다. 메이지 이후 일본에선 전통극과 신파극이 대립하는 와중에 서양 연극을 받아들여 근대극운동이 일어났다. 이것이 우리나라로 유입되어 연극이 정착하게 되는데, 이 과정에서 끝무대로 정형화된 형태를 별다른 발전과정 없이 받아들였고 당시 공연장 대부분은 프로시니엄 극장이었으므로 실험적인 공간 활용시도는 미미할 수밖에 없었을 것이다. 두 번째는 연극, 뮤지컬이 주류를 이뤄 극을 전달하는 방식이 다양하지 못함에 따른 것이다. 연극과 뮤지컬은 공감각, 시각적 체험중심 공연 보다 대사와 노래로 이야기를 전달하는 청각 중심 공연인데, 이런 형태는 1900년대 초반 국내로 유입된 초창기 연극과 크게 달라 보이지 않는다. 즉, 대사와 노래 중심의 초기 연극 형태가 큰 변화 없이 현재까지 주류를 이루고 극을 표현, 전달하는 방식은 편향되어 실험적 시도가 미미할 수밖에 없다. 세 번째는 공연예술을 가르치는 대학 교육과정의 한계를 꼽을 수 있다. 2019년 기준 4년제 대학 중 공연예술을 가르치는 학교는 약 80곳이 있는데 이들이 배출하는 졸업생의 가장 큰 비율은 연기 전공이다. 일부 학교에서는 스태프를 위한 전문기술 과정이 존재하지만, 그 비율은 미미하며 학과 교수진 대부분이 연기자 또는 연출가 출신이므로 배우양성을 목적으로 한 교육과 배우 중심 공연에 초점이 맞추어져 있다고 볼 수 있다. 즉, 연기 위주 교육은 연기를 가장 잘 보여주기 위한 공연을 지향하게 되고, 이를 위해 관객과 배우가 마주 보는 끝무대 형태로 귀결되는 것은 자연스러워 보인다. 게다가 대부분 학교 소속 극장이 끝무대 형태라는 것 또한, 이런 흐름의 방증으로 볼 수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