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 사회가치 측면에서의 다문화가족지원정책분석 : 챔버스의 정책분석모형을 중심으로

        장희영 평택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50687

        본 연구는 사회가치 측면에서 다문화가족지원정책을 분석한 연구이다. 정책을 분석하기란 쉬운 것은 아니다. 특히 공통된 이념이나 가치 측면에서 연구된 선행연구는 그리 많지 않다. 따라서 본 연구는 정책내용에 숨겨진 사회 가치에 대한 지향성에 대해 살펴보고자 챔버스CD. E. Chambers) 의 분석틀을 적용시켜 다문화가족지원의 근거가 되는 다문화가족지원법을 중심으로 다문화가족지원정책을 사회가치 측면에서 가장 대표적인 개인주의와 집합주의의 경쟁적 가치 지향성에 대해 분석함을 목적으로 하였다. 일반적으로 사회복지정책과 이념은 밀접한 관계에 있다고 할 수 있는데,어떤사회 가치에 의해 주도되느냐에 따라 사회정책의 성격도 달라질 수밖에 없고,이러한 사회복지정책은 공통된 가치 속에서 결정되고 집행된다. 이라한 측면에서 정책의 숨겨진 가치를 받견하고 분석하는 작엽이 요구되고 사회가치 지향성에 대해 분석이 필요하다. 본 연구의 수행결과는 다음과 같은 특성을 보이고 있다. 첫째,급여 자격 측면에서,다문화가족지원정책은 ‘비용의 효과성’과 ‘사회적 효과성’ 중 ‘비용의 효과성’을 지향성을 갖는다고 볼 수 있다. 둘째,급여형태라는 측면에서 다문화가족지원정책은 현금급여 형태라기보다는 프로그램,사회복지서비스,방문교육,교육지원,전문적 서비스와 같은 서비스를 직접 제공하는 ‘현물급여’와 같은 형태이기 때문에 급여 대상자의 선택의 자율권을 제한하고 있다는 측면에서 ‘선택의 자유’보다는 ‘사회적 통제’를 지향한다고 볼 수 있다. 셋째, 전달체계라는 측면에서 다문화가족지원정책은 중앙정부의 전달체계를 중심으로 서비스가 전달됨으로써 ‘다양성’ 보다는 ‘효율성’ 지향한다고 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재정이라는 측면에서 다문화가족지원정책은 국가수입,즉 조세를 통해 재원이 마련됨으로 ‘지방자치’ 보다는 ‘중앙정부’의 지향성을 지닌다고 볼 수 였다. 결론적으로,사회가지 측면에서 다문화가족지원정책의 특성은 급여자격에 있어서는 개인주의적 사회가치 지향성을,나머지 급여형태,전달체계,재정의 정책의 요소뜰은 모두 집합주의적 사회가치 지향성을 갖는다고 할 수 였다. 이러한 특성을 지닌 다문화가족지원정책은 급여형태,전달체계,재정에 있어 정책의 효과성과 실효성을 위해 민간전달처l 계를 통한 다양한 프로그램의 개발과 보급,중앙집권적인 재정에서 벗어나 다문화가족지원정책만을 위한 재원마련의 방법이 모색되어야 할 것이다.

      • 단기집단미술치료가 결혼이주여성의 문화적응스트레스와 사회적 지지에 미치는 효과

        김미경 평택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50671

        본 연구는 결혼이주여성을 대상으로 단기집단미술치료를 실시하여 결혼이주여성의 문화적응스트레스와 사회적 지지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A시 다문화가족지원센터 한글초급반에 수강중인 결혼이주여성 12명을 선정하여 실험집단 6명, 통제집단 6명으로 하였다. 연구기간과 장소는 2009년 10월 27일 부터 11월 26일 까지 주 2회 90분, 총 10회기로 다문화가족지원센터 한글교실에서 실시하였다. 측정도구로는 이승종(1995)이 한국어로 번안한 문화적응스트레스 척도와 박지원(1985)이 개발한 사회적 지지척도를 사용하였고, 자기보고식 질문지를 보완하는 도구로 투사검사인 빗속 사람그림 검사를 실시하였다. 이 검사는 손무경(2002)이 번안한 것을 본 연구에 맞게 수정 보완하여 사용하였으며, 두 변수 값의 평균 차를 검정하기 위하여 대응비교분석(paired- samples t-test)을 통하여 검사 간 사전ㆍ사후 차이를 알아보았다. 유의 수준은 P<.05로 하였다. 본 연구 결과 첫째, 단기집단미술치료가 결혼이주여성의 문화적응스트레스 감소에 효과적이었다. 둘째, 단기집단미술치료가 결혼이주여성의 사회적 지지 향상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acculturative stress and social support of married migrant women throughout short-term group art therapy. The subjects were twelve married migrant women who were taking a course of basic Korean at multicultural family support center in Y.W.C.A., Ansan city. The group therapy was conducted twice a week, and each session was for 90 minutes. Totally 10 sessions was made from Oct. 27 to Nov. 26 in 2009. The subjects of each group, which is divided as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 consisted of 6 participants. Acculturative Stress Index translated by Lee(1995), Social Support Index translated by Park(1985), and PITR translated by Sohn(2002) were used as measurement tools for experiments. As a supplemental tool for self-reporting questionnaire, a little modified and complemented PITR test was performed for the test. Paired samples t-test was performed for the experiment(p<.05).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Short-term art therapy showed the effect of decreasing acculturative stress. 2. Short-term art therapy facilitated to promote social support.

      • 평택시 청소년수련시설 이용실태 및 활성화 방안 연구

        신미자 평택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50671

        본 연구는 평택시 청소년수련시설 현황과 이용실태를 파악하고 청소년들의 요구도를 분석함으로써 평택시 청소년수련시설의 이용 극대화와 합리적 운영에 기여하기 위한 활성화 방안을 모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평택시 청소년수련시설의 운영현황 을 조사 분석하였고,청소년수련시설을 이용하는 청소년을 대상으로 면담을 실시하여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청소년들은 수련시설이 자신의 관섬분야나 진로에 대한 산지식을 얻고 체험하는 곳으로서 지역에 대한 관심과 사회성 및 대인관계 면에서 도움을 주는 긍정적인 의미를 부여하였다. 둘째,청소년들은 수련시설 장비나 공간이 노후화되고 청소년의 문화에 맞지 않아 이용에 불편함을 느끼고 있었다. 셋째,청소년들은 평택시 청소년수련시설의 활성을 위해서 프로그램의 다양화와 청소년 요구에 맞는 시설의 보강,공간 확장 및 양적 확충,변화하는 청소년문화에 맞는 지속적인 프로그램 업데이트,홍보강화 등을 제안하였다. 이와 같은 결과를 토대로 본 연구에서는 평택시 청소년수련시설 의 활성화 방안을 다음과 같이 제언하였다. 첫째,평택시 청소년들의 통합적인 청소년활동을 지원하기 위한 청소년활동지원통합시스템이 구축되어야 한다. 둘째,청소년지도 인력자원의 과학적 관리 시스템의 개발과 운영을 통해 수요자 요구에 맞는 인적 자원 서비스를 실행하고,인적 자원관리의 합리화를 위한 대책을 마련하여 사회적 요구가 늘어나고 있는 청소년 전문 인력을 확충해야 한다. 셋째,청소년활동종합정보서비스 제공을 위한 포털 사이트 운영 및 활성화를 통하여 청소년활동에 대한 지역사회 인식 개선과 홍보활동을 통해 신뢰를 구축하여야 한다. 넷째,국제화도시라는 평택시의 지역적 특성을 반영한 특성화된 청소년시설을 건립하고 글로벌 인재양성을 위해 필요한 다양한 프로그램과 사업이 개발되어야 한다.

      • 집단미술치료가 군인자녀의 정서성과 사회성에 미치는 영향

        김한나 평택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50671

        본 연구는 집단미술치료가 군인자녀의 정서성과 사회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실시한 연구이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집단미술치료가 군인 자녀의 정서성에 어떠한 영향이 있는가? 둘째,집단미술치료가 군인 자녀의 사회성에 어떠한 영향이 있는가? 위의 연구목적을 검증하기 위하여 육 해,공군의 3군이 밀집해 있는 충남 K시의 Y초등학교 5~6학년 군인 자녀를 대상으로 정서성과 사회성 향상을 필요로 하는 희망자 아동 12명을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에 각각 6명씩 배치하였다. 실험집단과 통제집단 간에 정서성 발달 측면으로서 정서지능 척도와 사회성 적도를 이용하여 비모수 동일성 검증을 실시하였다. 또한 12회기의 집단미술프로그램을 실시한 실험집단과 실시하지 않는 통제집단의 정서지능과 사회성 전체 및 각 하위영역별로 사후검사를 실시하였다. 그리고 집단미술치료의 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실험,통제집단의 사전-사후점수를 이용하여 비모수 대응분석을 실시하였으며,이를 위해 SPSS Window 13.0 program을 이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 실시를 통해 군인자녀의 정서지능은 사전-사후 분석과 치료 중 관찰 결과, 전체 정서지능의 개선에 유의미한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하위영역별로는 일부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 실시를 통해 군인자녀의 사회성은 사전-사후 분석과 치료 중 관찰 결과, 전체 사회성의 개선에 유의미한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하위영역별로도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집단미술치료는 군인자녀의 정서성 발달 측면으로 볼 수 있는 정서지능과 사회성 향상에 긍정적인 효과를 보이는 것을 시사하며, 결론적으로 본 연구사례는 향후 다양한 계층의 군인자녀를 대상으로 하는 더 효과적인 집단미술치료 및 개선된 프로그램 개발에 유용한 기초자료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 협동작업 중심의 집단미술치료가 지역아동센터 이용아동의 사회성에 미치는 영향

        최미애 평택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50671

        본 연구는 협동작업 중심의 집단미술치료가 지역아동센터 이용아동의 사회성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고자 실시한 연구이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협동작업 중심의 집단미술치료가 지역아동센터 이용아동의 사회성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 둘째, 협동작업 중심의 집단미술치료가 지역아동센터 이용아동의 학교생활화(KSD)의 각 하위영역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 위의 연구를 검증하기 위하여 군산시에 위치한 지역아동센터 20곳 중 5곳을 군집표집하여 5곳의 지역아동센터를 이용하는 초등학교 4, 5, 6학년 남자아동 16명을 선정하여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을 각각 8명씩 구성하였다. 프로그램은 주 2회 총 12회기 실시하였으며, 치료의 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프로그램 실시 일주일 전후로 사회성 검사와 학교생활화를 실시하였다. 또한 치료의 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SPSS Window 19.0 program을 이용하여 대응비교분석(paired t-test)으로 사전-사후 효과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협동작업 중심의 집단미술치료가 , 지역아동센터 이용아동의 사회성 향상에 영향을 미치는 지를 알아본 결과 사회성 하위영역 전체의 평균이 모두 향상되어 유의미한 효과를 나타냈다. 둘째, 협동작업 중심의 집단미술치료가 지역아동센터 이용아동 학교생활화(KSD)의 각 하위영역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본 결과 상호작용수준, 협력수준, 얼굴표정의 하위영역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냈다. 본 연구결과 협동작업 중심의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은 지역아동센터 이용아동의 사회성 향상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협동작업 중심의 프로그램이 효과성을 검증하였으므로 집단미술치료의 한 방법으로 효과적이며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 미술치료가 선택적 함묵증 아동의 문제행동과 사회성기능에 미치는 효과

        장성숙 평택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50671

        선택적 함묵증 아동에게 있어서 위축과 우울/불안은 빈번하게 일어나는 문제행동이며 그 문제 행동과 함께 사회성 기능이 낮아지는 결과를 나타낸다. 이를 위해 선택적 함묵증을 가진 아동에게 활동중심의 미술치료를 중재하여 그 효과를 보고자 본 연구를 실시하였다. 본연구의 대상아동은 DSM-Ⅳ기준의 선택적 함묵증 진단을 소아정신과에서 받은 초등학교 1학년과 2학년의 남녀 아동2명이며, 아동청소년 행동평가척도(K-CBCL)검사에서 임상범위 안에 있고 사회성 기능검사(SSRS)에서 임상범위에 있는 아동을 선정, 활동 중심적 미술치료를 실시하였다. 실시기간은 2007년 9월에서 10월까지 주2회씩 15회기로 실시하였다. 미술치료 프로그램은 3단계로 구성하였으며, 초기단계에는 친밀감을 형성하고 긴장을 이완시킬 수 있는 프로그램을, 중기에는 욕구를 분출시키고 정서를 안정시키며 문제행동을 소거할 수 있는 프로그램으로, 후기에는 표현력을 향상시키고 사회성기능을 향상 시킬 수 있는 프로그램을 계획하여 부드럽고 편안한 매체에서 활동에 부담이 없는 마른매체로 진행하며 실시하였다. 이에 본 연구에서 밝혀진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활동 중심적 미술치료가 선택적 함묵증 아동의 문제행동 변화에 긍정적 효과를 준다. 이는 아동청소년 행동평가척도(K-CBCL)의 사전, 사후 비교결과 대상자 A아동은 위축7점 우울/불안 17점, B아동은 위축8점 우울/불안14점의 감소점수를 나타낸 결과로 볼 수 있다. 둘째 활동 중심적 미술치료가 선택적 함묵 아동의 사회성 기능에 긍정적 영향을 준다. 이는 SSRS의 하위영역 협력, 자기주장, 책임감, 자아통제 점수의 사전 사후의 변화를 비교한 결과, A아동의 경우 협력1점, 자기주장4점, 책임감1점, 자아통제2점의 증가점수를 나타냈고, B아동의 경우 협력6점, 자기주장2점, 책임감3점, 자아통제8점의 증가점수결과로 볼 수 있다. 셋째 선택적 함묵증 아동의 문제행동 중 위축, 우울/불안 의 감소는 사회성기능을 향상시킨다. 본 연구 대상아동 모두 문제행동 중 위축, 우울/불안의 감소점수와 사회성기능의 점수가 향상된 결과는 이를 입증한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미술치료가 선택적 함묵증 아동의 문제행동과 사회성기능에 효과적이다 라는 결과로 볼 수 있으며, 앞으로 선택적 함묵증 아동에게 미술치료의 적용이 더욱 효과적으로 기여할 수 있는 가능성을 보여주었다. Withdrawal, depression, and anxiety are not unusual symptoms for children with selective mutism who often show such problem behavior, in that they somehow end up with lower social skills. This study, thus, is to check if and how activity-centered art therapy can help children with selective mutism and its effects. Study subjects are one boy and one girl in the first and second grades of an elementary school, who are diagnosed by pediatric mental hospital as having selective mutism according to DSM-IV and diagnosed also as having problem behavior according to K-CBCL and SSRS. The children were given an activity-centered art therapy consisting of a total of 15 sessions, twice a week, during September and October of 2007. There were three stages in the therapy program, in that the first stage focused on establishing intimacy to release tension; the second on exploding desire, stabilizing emotion, and eliminating problem behavior; the third on improving the skills for expression and sociability with dry media rather than soft ones in order to provide them more freedom or room for various activities. The results from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activity-centered art therapy gives positive influence on problem behavior of the children with selective mutism. According to K-CBCL, the child A has less scores at posttest than pretest with withdrawal 17 points and depression/anxiety 17 points, while the child B has withdrawal 8 points and depression/anxiety 14 points lessened. Second, activity-centered art therapy has positive effect on social functions of children with selctive mutism. As to sub-categories of SSRS, increased are the posttest scores from the pretest ones as much as, for the child A, cooperation 1 point, self-assertion 4 points, responsibility 1 point, and self-control 2 points, contrasted to the child B with cooperation 6 points, self-assertion 2 points, responsibility 3 points, and self-control 8 points. Third, reducing the symptoms of withdrawal and depression/anxiety of the children with selective mutism would improve the children's sociability functions. This is proved with evidence that all of the children involved in this study having received the therapy ended up with a lower score for withdrawal and depression/anxiety but a higher score for social functions. To conclude, art therapy is positively effective for problem behavior and sociability of the children with selective mutism and shows a possibility that art therapy can contribute to effective treatment for children with selective mutism.

      • 대학생의 자아정체감에 따른 나무그림 반응특성

        서복희 평택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50655

        본 연구는 대학생의 자아정체감에 따른 나무그림의 형식적,내용적 반응특성은 어떠한지 알아보고 대학생의 자아정체감에 관한 심리검사의 보완도구로써 나무그림의 유용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자아정체 감이 높은 대학생 집단과 자아정체감이 낮은 대학생 집단은 나무그림의 형식적 분석에서 어떠한 차이가 나타나는가? 둘째,자아정체감이 높은 대학생 집단과 자아정체감이 낮은 대학생 집단은 나무그림의 내용적 분석에서 어떠한 차이가 나타나는가? 연구대상은 평택시 소재의 P 대학교,안양시 소재의 A 대학교,안성시 소재의 C 대학교에 재학 중 인 남 녀 대학생 506명을 대상으로 자아정체감 검사와 나무그림검사를 실시하였다. 각 검사 살시 후,이틀 중 자아정체감 점수에 따라 상위 10% 에 해당하는 56명과 하위 10% 에 해당하는 50명을 선별하여 본 연구 자료로 사용하였으며,나무그림의 형식적 분석과 내용적 분석에 대하여 결과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삼펴보기 위해서 자아정체감이 높은 집단과 낮은 집단인 두 집단으로 분류하여 나무그럼에 대한 각 항목에 대해 두 집단간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하여 x 2 검증을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의 결과처리는 SPSS WIN 12.0 통계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자료 분석을 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을 바탕으로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나무그림 검사의 형식적 분석에서 위치와 필압/선의 성질 항목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즉 자아정체 감이 높은 집단은 용지의 중앙에 그려진 경우가 많으며 자아정체감이 낮은 집단은 용지의 하단과 용지의 좌측에 그려진 경우가 많고 짧은 선으로 그려진 경우가 많았다. 둘째,나무그림검사의 내용적 분석에서 가지와 기타의 일부 항목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즉 자아정체감이 낮은 집단은 자아정체감이 높은 집단에 비하여 가지의 생략과 열매의 생략이 많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자아정체감이 높은 대학생 집단과 자아정체감이 낮은 대학생 집단 간의 나무그림반응특성 차이를 알아본 결과,나무그림검사는 대학생틀의 심리적인 상태와 내면의 감정을 용이하게 표현할 수 있는 것으로 불 수 있다. 더불어서 본 연구는 자아정체감에 대한 심리검사의 보완도구로써 나무그림검사의 적용 가능성을 시사하며 대학생의 자아상 특징을 이해하는 데 도움을 주어 대학교의 상담 현장이나 임상장면에서 적절한 상담전략을 세우는데 기초 자료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 한다.

      • 대학생의 자아정체감에 따른 S-HTP 반응특성 비교연구

        강정아 평택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50655

        본 연구는 대학생을 자아정체감에 따라 자아정체감이 높은 집단과 낮은 집단으로 나누어 S-HTP를 통해 두 집단간에 나타난 반응특성을 비교 연구하여 S-HTP가 대학생의 자아정체감을 측정하는 보조적 도구로써 활용 가능한지를 알아보는데 목적을 두고 있따. 연구대상은 서울, 경기도, 충청도에 소재한 4년제 대학교에 재학 중인 남,여 대학생 498명으로 자아정체감 검사와 S-HTP를 실시하였다. 각 검사 실시 후, 자아정체감 점수에 따라 상위 10%에 해당하는 50명은 자아정체감이 높은 집단, 하위 10%에 해당하는 50명은 낮은 집단으로 구분하여 본 연구의 자료로 사용하였으며, S-HTP의 정확한 분석을 위해 三上(1999)의 분석기준에 근거를 두고 재구성하여 분석하였다. 수집된 자료의 결과처리는 SPSS 12-0 Window 통계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자료를 분석하였고, S-HTP에 대한 각 항목에 대한 두 집단간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x²검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을 바탕으로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자아정체감이 높은 대학생 집단과 자아정체감이 낮은 대학생 집단의 S-HTP 전체적 평가에 따른 반응특성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다. 즉, 통합성, 그림의 크기, 원근감, 부가물, 상호관계 항목에서 두 집단간의 유의미한 차이를 보여주었다. 둘째, 자아정체감이 높은 대학생 집단과 자아정체감이 낮은 대학생 집단의 S-HTP 집 평가에 따른 반응특성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다. 즉, 집의 형태, 안정감, 부속물, 문, 손잡이 항목에서 두 집단간의 유의미한 차이를 보여주었다. 셋째, 자아정체감이 높은 대학생 집단과 자아정체감이 낮은 대학생 집단의 S-HTP 나무 평가에 따른 반응특성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다. 즉, 자연스러움, 자기, 뿌리, 줄기, 열매 항목에서 두 집단간의 유의미한 차이를 보여주었다. 넷째, 자아정체감이 높은 대학생 집단과 자아정체감이 낮은 대학생 집단의 S-HTP 사람 평가에 따른 반응특성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다. 즉, 성별, 움직임, 얼굴 표정, 간략화, 사람의 방향, 구체화 항목에서 두 집단간의 유의미한 차이를 보여주었다. 따라서 본 연구의 결과는 자아정체감이 높은 대학생 집단과 자아정체감이 낮은 대학생 집단간의 S-HTP 반응특성 비교 연구를 통해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여주었기에 대학생의 심리적인 상태와 내면을 반영하므로 S-HTP가 자아정체감을 측정하는 보조적 도구로써의 활용 기능성을 시사하며 대학생의 학교생활에 상담의 기초자료로 제공되어 긍정적인 자아정체감 형성에 도움을 주는데 의의를 두고 있다.

      • 집단미술치료가 새터민 아동의 우울에 미치는 효과

        이신숙 평택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50655

        본 연구의 목적은 집단미술치료가 새터민 아동들의 북한에서 겪은 기근과 탈북과정의 심리적 어려움으로 인한 우울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고, 새터민 아동의 긍정적인 발달과 적응을 위한 사회복지 실천의 전문적인 프로그램의 하나로써 제시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연구 목적을 위해서 새터민 아동 중에서 아동용 우울 척도(CDI)에서 15점 이상을 받은 아동 3명을 선정하여 집단미술치료를 12회기동안 실시하였다. 집단미술치료의 효과를 확인하기 위한 자료 분석은 아동용 우울 척도(CDI)와 진단적 그림 이야기검사(DAS)를 사전과 사후에 실시하였고, 회기별로 우울 행동을 관찰 기록하여 우울을 질적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집단미술치료가 새터민 아동의 우울에 미치는 긍정적인 효과는 지지되었으며, 본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집단미술치료는 집단원들의 아동용 우울 척도(CDI)의 사전․사후 점수 변화에 긍정적인 변화를 가지고 왔으며, 아동용 우울 척도(CDI)의 각 하위 영역에 대하여 분석한 결과 하위 영역의 전 영역의 점수가 감소하였다. 둘째, 집단미술치료는 그림 이야기 검사(DAS)의 사전․사후 변화에도 긍정적인 질적인 변화가 있었다. 사전 그림 이야기 검사(DAS)의 ‘죽고, 칼로 위협하는 그림에서, 사후 그림 이야기검사에서는 ‘행복을 찾은 병아리, 사이좋게 지내는 사람, 행복한 결혼식을 기다리는 장면’ 등으로 변화하였다. 셋째, 집단미술치료는 새터민 아동의 우울행동의 회기별 변화과정에도 긍정적인 변화를 가져왔다. 대상 아동들은 초기에 무표정하고 쉬고 싶다, 자고 싶다며 침대를 만드는 등 우울 증상을 보였으나 프로그램을 진행하는 동안 자신의 감정을 솔직히 드러내고 활동에 적극적으로 참여하는 등 변화된 모습을 나타내었다. 결과적으로 본 연구는 북한에서 겪은 기근과 탈북과정의 심리적 외상으로 인한 새터민 아동의 우울을 감소시키는데 효과적이었다. 본 연구가 새터민 아동들의 가정과 학교, 지역사회의 적응을 위한 프로그램의 하나로 활용되었으면 하는 바램과 함께, 앞으로 새터민 아동의 심리사회적 적응을 지원하기 위한 다양한 미술치료 프로그램들이 개발되기를 기대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group art therapy on depressions the new settlers' children have received from their own experience of famine in North Korea and difficulties during their escape from North Korea. The result of the study aims at suggesting a professional social welfare program for helping the new settlers' children adapt to a new environment easily and develop positively. Study subjects are three children of the new settlers, who scored over 15 points on Children's Depression Inventory(CDI), to receive a total of 12 sessions of art therapy. Research instruments to check the effectiveness of group art therapy were CDI and diagnostic Draw-a-Story(DAS), each of which was adopted for both pretest and posttest, and a record of observing their depressed behavior in each session for qualitative analysis. The results show positive effects of the group art therapy program for the new settler's children and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CDI shows that group art therapy has achieved positive changes on the children's depression level noticed by comparison between pretest and posttest, and that all sub-categorical areas exhibited reduced scores. Second, DAS indicates that there have been qualitative changes between pretest and posttest. For instance, a change from 'a drawing of death and threatening with a knife' to 'a chic overcoming the troubles, friendly people, and a scene with a happy wedding' occurred. Third, even for changes in each session, group art therapy has managed to induce a positive influence on the children's depressive behavior. The subjects were originally tired and wanted a rest or a sleep to draw beds which typically show some symptoms of depression, but have become frank, as more group art therapy sessions progressed, to express their true feelings and participate actively in the session. Consequently, a group art therapy program has an effect on reducing depressions of the new settlers' children, caused from their experience of famine in North Korea and the troubles they've been through during the escape from North Korea. It is expected to use this program of group art therapy in order to help the new settlers' children conveniently adapt to the new society and schools. For such a further purpose, various programs of art therapy should be sponsored to ease or accommodate the children's psycho-social adapt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