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국내 대학의 웹사이트 디자인에 관한 연구

        이석훈 嶺南大學校 造形大學院 2002 국내석사

        RANK : 249631

        Recently, as competition among educational institutes is getting fierce a lot of universities in Korea have initiated information technology strategies to differentiate themselves. Web sites have played an important role as a communication media by offering users easy, fast, and cheap accessibility to the contents each universities want to deliver. Today, the web sites of the universities are required to reflect sensitive graphic design beyond their fundamental function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a direction for designing effective, creative and memorable Web Sites for universities by analyzing Web Sites design of domestic universities and universities in U.S. In conclusion, I suggest the web sites of universities be designed as follows; First, the web site design should be differentiated based on the thorough research and structured analysis on the image and characteristics of pertinent universities. Second, the web site should be composed by meaningful factors which the users are familiar with. The contents of the sites should be organized in a structured and consistent way in order to help the users use the sites in a user-friendly way. Third, the layout and interface the web site should be designed in a user-friendly way for easier and faster information search for the users. Forth, the designer should have thorough knowledge of program and related theories such as cognitive psychology, perceptual psychology, human engineering, functionality assessment etc. With the appropriate image expression and structured utilization of the program based on the required knowledge and experience above, the designer can develop efficient interface and space on the site. Fifth, the web site design should be evolved from plane two-dimensional design to three-dimensional design. This will help the site attract more users by applying dynamic method such as virtual reality rather than by applying simple and static method. Sixth, the designer should use optimal number of colors to help users find the information easily. The number of the colors should be minimized not because it is intended to compete against other sites but because it is to be used to support users find the information they want. Generally the heavy visitor of the web site of a university is the students enrolled at the programs. However, the designer should keep in mind that there are a lot of people who are not the student of the institution and web designer should develop the site in a user-friendly way. Thus, the designer should be involved in the entire process of planning, designing, classification and integration as well as the process of layout, illustration, icon design. The web site design should be differentiated based on the thorough research and structured analysis on the image and characteristics of pertinent universities and the designer should be involved in the entire process of planning, designing, classification and integration for the optimized web site design.

      • 국내 사이버대학 모바일 서비스의 UI 디자인 연구

        조미정 영남대학교 조형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9631

        최근 무선 인터넷과 다양한 이동통신기기의 발달은 누구나, 언제, 어디서나 인터넷에 접속하여 원하는 정보에 손쉽게 접근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해주고 있다. 이로 인해 유선 인터넷을 주 기반으로 하던 e-러닝 환경이 무선 인터넷을 기반으로 하는 모바일 학습으로 확대되어 국내 사이버대학들도 스마트폰을 기반으로 하는 모바일 캠퍼스 구축을 위해 노력하고 있다. 그러나 기대와는 달리 국내 사이버대학에서는 무선네트워크 환경을 기반으로 높아진 상호작용성을 최적화한 학습 환경을 제공하여 학습의 효과를 높이려는 시도보다는 기존 사이버대학들이 제공하던 동영상 강의를 그대로 스마트폰에서 구현하거나 학습관리 관점에서 접근하고 있다. 따라서 스마트폰이 가지는 교육적 잠재력이 충분히 발휘될 수 있는 학습 환경을 학습자에게 제공하기 위해, 스마트폰의 작은 화면에 적합한 인터페이스를 설계, 개발하여 학습의 효과를 높이려는 시도가 필요하게 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모바일 환경을 기반으로 하여 변화하고 있는 국내 사이버대학 모바일 서비스에 대해 살펴보고, 스마트폰을 사용하여 사이버대학 내 정보를 이용하는 데 디자인 측면에 중점을 둔 UI(User Interface) 개선 방안을 연구함으로써 국내 사이버대학의 모바일 서비스의 발전 가능성과 활성화 방안에 대해 가이드라인을 제안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모바일 서비스를 제공하는 국내 사이버대학 중 분류별로 상위5위 안의 대학 7개(경희, 한양, 서울디지털, 서울, 한양, 영진, 영남)의 메인페이지 인터페이스에 대해 UI 구성요소인 콘텐츠 정보구조, 네비게이션(Navigation), 레이아웃(Layout), 레이블(label), 아이콘(Icon), 타이포그래피(Typography), 컬러(Color)를 분석하여 문제점과 차이점을 알아보았다. 사례 분석을 통해 나온 결과를 종합하면 모바일 웹 서비스가 활발히 이용되고 있으나 강의실, 지원서작성, 학사정보 등의 로그인이 필요한 서비스의 경우는 모바일 앱, 즉 어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해야 사용이 가능하다는 한계점이 나왔고 몇몇 사이버대학교의 경우는 가장 기본적이고 일방적인 콘텐츠의 구성을 갖고 있어 상대적으로 심플한 레이아웃을 지니는 등의 서비스 수준의 차이가 있었다. 또한 사용자의 참여를 이끌만한 기제가 부족하여 사용자 이용률이 부족할 것으로 판단되어졌다. 이러한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제안한 가이드라인은 다음과 같다. 첫째, 콘텐츠의 선택 빈도에 따라 사용횟수가 높은 콘텐츠를 우석적으로 배치하고, 부가적인 서비스의 노출을 선택적으로 배치할 것을 제안한다. 둘째, 네비게이션은 가장 간단하고 짧은 경로로 만들며 메인화면으로 바로가는 경로를 항상 제시할 것을 제안한다. 셋째, 레이아웃, 메뉴의 화면구성, 레이블에 있어서 각 대학별로 통일성과 일관성이 강조되며 간편한 구성일 것을 제안한다. 넷째, 아이콘은 단순화되고 알아보기 쉬운 이미지를 사용하고, 의미를 담고 있는 모든 형태의 이미지와 함께 텍스트를 적절히 혼합해서 사용할 것을 제안한다. 다섯째, 타이포그래피는 가독성이 높은 서체를 사용할 것을 제안한다. 여섯째, 웹 컬러를 기준으로 하고 Point Color는 주로 아이덴티티의 컬러를 사용하여 대학 이미지를 나타내어 타 대학과의 차별성을 갖되 강한 컬러의 사용보다는 아이콘 및 텍스트의 주목성을 살리기 위한 컬러를 사용할 것을 제안한다. 본 논문의 분석 결과를 통해 기존의 사이버대학 모바일 서비스의 사용상의 문제점을 규명하였고 더 발전된 모바일 서비스의 방향을 제시하여 향후 사이버대학 모바일 서비스의 제작 가이드라인 표준안을 제안한다. 이는 개선된 UI는 사용자에게 모바일 서비스의 유용성, 편리성을 만족시켜 줄 것이다. 본 연구를 기점으로 향후 사이버대학 모바일 서비스의 UI에 대한 개발 가이드라인 연구가 활성화할 것으로 예상되며, 현재 모바일 시장규모의 발전 추세에 따라 더욱 연구가 활발해질 것으로 기대한다.

      • 대구광역시 봉산문화거리의 활성화 방안

        문예진 영남대학교 조형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9631

        대구광역시 봉산문화거리의 활성화 방안 문예진 영남대학교 조형대학원 예술행정학과 예술행정학 전공 지도교수 민 주 식 국문요약 문화가 한 도시의 자랑이 되고 주요산업이 되는 이때, 도시에 대한 문화적 접근은 도시민의 삶의 질을 향상시키는 계기를 마련한다. 문화환경이 지역가치를 결정하는 새로운 흐름 및 패턴을 형성하고 있다는 것이다. 문화가 한 도시를 진흥시킬 수 있는 막대한 가능성을 지닌 이러한 시점에 ‘문화예술중심도시’를 이룩하려는 대구의 목표를 수행하려면 유일한 문화거리인 봉산문화의 거리를 빼놓을 수 없다. 1991년에 지정된 봉산문화의 거리는 이미 문화거리로써의 기능이 떨어져 일반적인 거리로 전략함에 따라 시민들의 문화적 욕구를 충족시킬 공간이 사라지고 있는 실정이다. 봉산문화거리는 현재까지 체계화된 발전방안의 부재로 쇠퇴해 가고 있으므로 거리의 모든 구성요소를 통합적으로 디자인하여 ‘문화소통’의 장을 만들고, ‘삶과 지역문화가 공존하는 거리’가 되도록 변화하여야 한다. 이러한 맥락에서 본 연구는 문화의 거리를 운영하는데 지역주민들의 참여를 확대하여 봉산문화거리가 문화적 가치를 더욱 확고히 하고, 시민들의 친숙한 여가 공간으로 활용될 수 있는 새로운 시각을 제시한다. 봉산문화의 거리는 문화관련 업소만 50여개 넘게 입점해 있지만 행정적, 제도적, 운용의 측면 등 여러 가지 문제점을 가지고 있으며 다른 거리와 확연히 구분되는 문화거리의 문화적 차별성을 지니지 못하고 있어 개선이 시급한 실정이다. 이러한 봉산문화거리의 문제점으로 인해 시민의 참여를 이끌어 내지 못하고 있어 전반적인 변화과정을 거쳐야 할 시점이며 그 활성화 방안을 도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중구청과 대구시의 긴밀한 협력으로 역할을 분담하여 문화거리를 운영해야하며 대구의 유일한 문화거리임을 분명히 인식하여 문화시설을 육성하기 위한 조례의 제정이 필요하다. 이와 함께 문화거리의 특성을 살릴 수 있는 경관의 보수 및 시설물의 개선이 시급하다. 둘째, 봉산문화거리에 있는 골목에 특성을 부여하여 시민들이 찾고 싶은 공간으로 다시 태어나야 한다. ‘봉산문화거리 지원 센터’를 만들어 방문객들과의 교류를 촉진하고, 가로변에 부족한 문화공간과 휴게공간 등을 확충하여 문화거리의 면모를 갖추어야 한다. 셋째, 시민의 참여를 이끌어 내서 봉산문화거리를 운영하는데 필요한 많은 대안을 얻고, 문화거리가 시민들이 주체성을 가지고 운영할 수 있는 공간이 되도록 해야 하며 봉산문화거리를 관광상품화 할 수 있는 여러 가지 구체적 방안들을 채택해야 한다. 이와 같은 방안들을 수용하여 봉산문화거리를 적극적으로 개선하였을 때 좀 더 나은 문화거리로서의 면모를 갖추고, 대구 유일의 문화거리인 봉산문화거리가 제 역할을 수행할 수 있으리라 기대해본다.

      • 수요자 지원 사업으로서의 '사랑티켓' : 그 현황분석과 개선방안에 관한 고찰

        박희영 영남대학교 조형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9631

        수요자 지원 사업으로서의 ‘사랑티켓’ - 그 현황분석과 개선방안에 관한 고찰 - 박희영 영남대학교 조형대학원 예술행정학과 예술행정학 전공 지도교수 민 주 식 국문요약 사랑티켓이란 문화사랑티켓의 줄임말로 보다 많은 사람들이 문화예술을 접할 수 있도록 연극, 무용, 음악, 뮤지컬 등 공연예술 관람료와 전시관람료 일부를 복권기금과 지방정부 예산으로 지원하는 제도이다. 티켓가격의 일부를 보조해 줌으로써 많은 관객을 공연장으로 유도하여 사람들의 문화향수에 기여함과 더불어 공연단체에도 일정 정도의 수입을 확보할 수 있게 해주는 이중적 구조를 지니고 있다. 사랑티켓은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문화예술 수요자 지원 사업으로 관객들로 하여금 지금까지 수동적으로 문화소외지역으로 찾아온 공연을 감상하던 입장에서 벗어나 적극적으로 자신이 원하는 공연을 찾아다니며 감상할 수 있도록 유도한다는 점에서 매우 큰 의미를 지닌다. 사랑티켓은 1991년 “연극영화의 해” 사업의 일환으로 ‘관객의 붐을 조성하고 결과적으로 참가극단에 대한 지원이 되도록 한다’는 취지에서 시작되었으며 2001년부터 지역사랑티켓이 본격화 되면서 지역의 확대, 사업방법의 개선, 지원대상의 변화 등 다양한 형태로 변화, 발전되었다. 사랑티켓에 대한 사회적 기대는 1990년대 초반까지 관객개발을 통한 공연예술지원으로 1990년대 중후반부터 2000년대 초반까지는 관객의 문화향수 직접 지원을 통한 문화향수 증진으로, 그리고 최근엔 복권기금의 속성을 이유로 문화소외계층에 대한 선별적 문화복지 지원정책으로 그 목적을 달리하고 있다. 이처럼 사랑티켓은 그동안 많은 시행착오를 거치면서 제도의 목적변화와 함께 많은 문제점들이 노정되었고 보완작업들도 있었지만 아직도 많은 개선과제들이 남아있다. 본 연구에서는 사랑티켓이 문화향수 지원을 통한 국민의 문화복지 증진에 기여하는 점을 강조하여 현재 소외계층에 한정하는 지원대상을 전국민으로 확대할 것을 주문하였다. 그 이유는 우리나라 대다수 국민들이 지역적 문화소외감을 느끼고 있으며 아직까지 문화예술을 향유함에 있어서 능동적이지 못하기 때문이다. 그리고 사랑티켓 제도의 장기적인 발전을 위해 복권기금에서 고정적인 사랑티켓 지원금의 확보와 함께 지방비의 비율을 높여 재원을 안정시키는 것이 중요하며, 기초예술(순수예술) 중심의 작품 선정을 통해 관객들에게 오락성만이 아닌 예술적 가치를 전달해야 한다는 점, 대중들의 사랑티켓에 대한 접근성을 높이기 위해 다각적이고 적극적인 홍보와 함께 문화예술교육의 필요성을 강조하였다. 문화복지적 차원에서 대표적인 수요자 지원사업인 사랑티켓은 공연예술 활성화와 시민들의 문화향수에 기여하는 바가 매우 큰 제도이니 만큼 정부의 정책적 지원과 함께 예술단체와 사랑티켓 주관처의 협력으로 지속 발전할 수 있도록 노력해야 한다. M.A. Thesis ‘Love Ticket’ as a user's application business -Consideration on it's present status and the improvement plan- Hee-Young Park Department of Arts Administration Graduate School of Art and Design Yeung-nam University (Directed by Professor, Joo-Sik Min) -ABSTRACT- ‘Love ticket’ as shortened words of culture love ticket is a kind of the system that pays the part of the admission fee of the performance arts and the exhibitions such as a play, a dance, a music and a musical with the local government budget so that the more people can enjoy the cultural art. As ticket price is aided, many audience can be induced to come to performance places which can not contribute to their cultural nostalgia but also help ensure a certain extent of performing groups' profit in two ways. It's meaningful not that audience passively appreciate the performance which approaches their estranged places as a part of support to users of cultural arts but that they induced to visit and enjoy actively performances which they want. Love ticket was started as a part of Play and Movie's Year business to promote audience boom and to help participating theatrical company and as love ticket is in a full stage in 2001 it is diversified with area extension, service method improvement and changes in aided targets. Love ticket improved and has improved as performance art aid with audience's development in 1990's, as cultural nostalgia boost with direct audience's nostalgia aids from 1990's to 2000's and as assorted cultural welfare assistance policies for the underprivileged in recent times. Thus love ticket through lots of tries and errors has improved with changes in polices and purposes but has yet to make itself better. Emphasizing love ticket's contribution to cultural welfare fosterage through its aid to the cultural nostalgia, this studies ask for extensions of aided targets from the underprivileged to people all around the country. The reason is that most of people in Korea feel alienated regionally and isn't active in enjoying cultural arts. It isn't only important that we ensure the love ticket aid fund regularly from the lottery fund but also that we stabilize financial resources as increasing local budget ratio and that we do public relations exercise in a progressive multilateral ways and educate cultural arts to increase masses' accessibility to love ticket. Love ticket, the representative service that aids users in terms of cultural welfare has the vast contribution to performance art activation and cultural nostalgia and so the government, the art society and the love ticket administering institute ought to keep on trying their utmost for its growth.

      • 테이크아웃 커피 브랜드 아이덴티티의 디자인분석

        이지윤 영남대학교 조형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9615

        브랜드 아이덴티티(brand identity, 이하 BI)는 소비자가 제품을 구입했을 때 색상 연상 작용으로 인하여 감정의 변화를 유도 할뿐만 아니라 커피의 맛과 브랜드 이미지에 대한 경험에 색이 잠재되어 있어 소비자 심리에 큰 영향을 미친다. 이선아, 『한국 차 문화공간의 감성적 색채 전략에 관한 연구』, 홍익대학교 대학원 석사논문, 2003, p.19 그러므로 BI가 가지고 있는 고유의 형태와 색상은 아주 밀접하다. 테이크아웃 커피 전문점 또한 위의 내용과 연관성이 있다. 커피는 소비자에게 다가서는 과정에서 시기에 따라 특정한 문화를 창출해 왔다. 인스턴트커피, 커피믹스, 원두커피, 테이크아웃 커피 등 소비자들이 고급화된 커피에 대한 선호도가 높아지면서 테이크아웃 커피 전문점은 새로운 문화공간으로 자리 잡았다. 테이크아웃 커피전문점은 사람을 만나고 관계를 맺는 대화의 장을 형성하였고 복합문화 공간으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거리를 다니면서 커피 잔을 손에 들고 다니는 것이 하나의 트렌드가 되었고 유행에 민감한 20~30대의 소비자들은 그것을 하나의 자기 자신을 표현하는 것이라 생각을 한다. 커피가 대중화 되고 다양한 커피브랜드가 등장하면서 브랜드마다의 개성을 표현하는데 있어 치열한 경쟁을 보이고 있다. 출처:http://www.allchang2.co.kr 그로 인해 BI의 중요성과 상징성은 새삼스럽게 주목을 받고 있다. 한 가지 예를 들자면 세계최대의 매장을 가지고 있는 커피전문점 브랜드인 스타벅스의 경우는 1971년 창업에서 현제까지의 BI가 4번의 리뉴얼을 거쳤다. 40년의 역사를 거치면서 BI도 트렌드가 있다는 것을 하나의 예로 보여주는 것이다. 치열한 경쟁 속에 국내외 6개 브랜드사의 BI는 어떠한 개성과 자기만의 표현법이 있는지, 그에 따른 상관관계를 비교 분석하여 브랜드 디자인의 방향성과 지향점을 제시 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테이크아웃 커피 전문점이 급속도로 늘어나고 커피 맛의 상향평준화가 이뤄지면서 소비자들의 감성을 잡기 위해서 브랜드 이미지 마케팅 전략이 필요해졌다. 본 논문에서는 테이크아웃 커피 전문점의 브랜드 아이덴티티를 중심으로 시각적 비교 분석 및 그 활용법과 커피 전문점의 비주얼적인 요소를 연구한다. 이러한 연구를 위해 국내외 6개의 브랜드를 선정하였다. 연구·분석 결과를 요약하자면 외국 브랜드사의 경우 원형의 로고 및 심벌을 선호하였고 국내 브랜드사의 경우는 원형의 로고 및 심벌을 사용하는 경우도 있지만 로고 및 심벌의 경우 비교적 자유로운 형태를 가지고 있었다. 주요 컬러로는 화이트(white), 블랙(black), 그린(green), 브라운(brown) 컬러 계열을 주로 사용하였고 주색을 중심으로 매장인테리어, 패키지 디자인, 사인 디자인, 웹 사이트 디자인 등을 통일성 있게 제작 및 디자인 되었고 그에 따르는 브랜드 아이덴티티가 가지는 이미지 또한 다르게 나타났다. 본 연구는 국내외에서 인지도가 높은 테이크아웃 커피전문점의 브랜드 아이덴티티를 중심으로 연구하였고 BI가 가지고 있는 이미지로 인하여 커피전문점의 전체적인 이미지가 좌우 되는 중요한 요소이며 더 나아가 소비자의 심리와 컬러를 통한 마케팅 적용으로 기업의 매출 증대를 이끌어 나가는데 도움이 될 것으로 생각된다. Abstract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is in the search of a concrete plan for developing and comparatively analyzing take-out coffee shop brand identity. The visual element of existing brand identity was analyzed to examine the brand development intention. Take-out coffee shop has been creating a certain culture during the process of approaching consumers. Take-out coffee shop has become new cultural space at the increase in consumers' preference for high-quality coffee such as instant coffee, coffee mix, fresh ground coffee, take-out coffee, etc. Take-out coffee shop has formed a place of conversation in which people meet and develop relationship, and it is becoming a space of complex culture. Carrying a cup of coffee on the street has become a trend, and consumers in their 20s to 30s that are sensitive to trend consider it as a way to express themselves. Coffee brands are competing fiercely in expressing their own individualities as coffee became popular and various coffee brands have been introduced. Accordingly, the importance and symbolism of BI are newly receiving attention. For example, the world's best coffee shop brand Starbucks has undergone BI renewal four times since its establishment in 1971. It shows as an example that there is a trend also in BI through its 40 years of history. The purpose was to present a direction and an orientation-point of brand design by comparatively analyzing the correlation among four domestic and international brands that are fiercely competing in their own individualities and expression methods.

      • 부산 비엔날레(Busan biennale)의 현황과 발전방안

        양선희 영남대학교 조형대학원 2002 국내석사

        RANK : 249615

        There are about more than 120 festivals as the similar type of Biennale over the world. In 2002,the Busan Biennale will be held. Biennale is such an effective way with collecting a lot of modern worhs in the field of fine arts every other year that the current stream and trend of modern art can be recognized over the world resulting in globalization and internationalization. since this festival is regular exhibition, it`s rathe an event that not onlt can every person recognize the importance of new works in modern arts, but the public can participate in. Since the Busan Biennale in 1981, Busan has had Sea Art Festival, the Garden Sculpture Exhibition of Buasn City, and Busan International Contemporary Art Festival, which has been held twice, as international events. And they gave a high possibility and a foundation to Busan to beable to become internationalized in fine arts. In this article, it is stuted the background of Busan Biennale, the character of all the festivals in Busan and the present conditions with hoping that Busan Biennale could take the first class of fine arts as well as other parts of art in the world after the name was changed. Also, focused on the Busan International Contemporary Art Festival, it is considered as to the pactical problems with doing the event and perspectives of Busan Biennale. However, it is hard to mention the way to develop it and problems with it before Busan Biennale is held with new name. The only thing to do is as to the direction to develop the event concerning the practical problems from others to have people in the world be interested in Busan Biennale. Busan has now a great chance to develop fine arts into the high level of festival as well as to get people more interested in art through more prepared and organized Biennale. In addition, Busan should try hard to show something to make Busan Biennale excellent with being focused on the programs and the quality of worhs regardless of the size and budget far it.

      • 유통업계의 DID활용방안 연구 : 대구백화점을 중심으로

        박재현 영남대학교 조형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9615

        현대 생활에서 광고는 마치 공기와도 같이 우리들의 생활 속에 깊이 파고들어 새로운 생활양식과 라이프스타일을 창조하기에 이르게 되었다. 하지만 다양하고 자극적인 매체들이 가득한 현대 사회에 더 이상 포스터나 LED전광판을 활용한 매체로는 현대인들의 눈길을 끌기 힘들다. 이런 상황에서 DID광고는 보다 동적이고 각종 웹서비스를 할 수 있는 매력과 더불어 더 발전한다면 요즘 대두되고 있는 스마트TV나 스마트폰과 같이 인터렉티브한 양방향성을 추구할 수 있는 독특한 광고매체로 발전이 가능하다. 이벤트나 공지사항을 한 번에 여러 대에 게시할 수 있으며, 빠른 시간에 효과를 낼 수 있다. 그리고 매장의 분위기에 맞추어 주변 환경을 원하는 방향으로 개선시킬 수 있으며, 소비자들의 정보습득동선을 크게 개선시켜 더 쾌적한 소비문화를 이끌 수 있다. 초기의 설치 및 시공비용이 많이 투입되기는 하지만 장기적인 관점으로 바라봤을 때 불필요한 광고비 지출과 인력투입비용을 줄일 수 있어 회사의 광고집행비의 효율적 관리가 가능하게 되었다. 또한, 매장의 선진적인 이미지 연출에도 많은 도움이 되어, 광고 그 이상의 시너지 효과를 누릴 수 있다. 그리고 시트나 현수막, 각종 인쇄 유인물은 사용 후 폐기 시 재활용의 문제가 여의치 않아 발생했던 환경오염에 대한 우려도 DID광고를 활용함으로써 친환경적인 기업이미지까지 구축할 수 있는 발판이 된다. 실제로 기업의 윤리의식을 잘 나타내는 것이 바로 환경문제인데, 기업입장에서는 필요악처럼 발생하는 광고폐기물들로 많은 고민을 안고 있다. DID는 이러한 광고폐기물을 원천적으로 방지하기 때문에 친환경적인 이미지와 충분히 부합된다. 이러하듯 획기적인 매체인 DID광고를 백화점을 비롯한 여타의 유통업체들이 잘 활용을 한다면 효율적이고 효과적인 광고매체로 활용할 수 있다. 앞으로도 DID광고는 수많은 발전을 거듭할 것으로 예상되며, 그 정점은 인터렉티브 DID광고가 될 것이라 예상할 수 있다. 단순히 보고 듣는 것에 그치지 않는 양방향성을 이루고, 정보 그 이상의 컨텐츠를 제공할 수 있어야 한다. 아이폰이 성공한 이유도 하드웨어적인 혁신이 아닌 소프트웨어적인 혁신이 자리잡고 있었기에 가능했듯이 DID광고 역시 소비자들이 능동적으로 정보를 습득할 수 있도록 양방향성을 가진 컨텐츠 개발을 통해 발전을 이루어야 할 것이다. 예를 들자면 블루투스와 같은 무선정보교환 환경을 DID광고에 접목하여 모바일기기를 소지한 소비자가 DID광고에 접근하면 그 사용자 특성에 맞는 맞춤식 정보를 제공하고 소비자가 직접 DID광고를 조작하여 원하는 정보를 캐치할 수 있도록 유도해야 한다. 단편적인 예를 설명한 것이지만 현재에 나와 있는 다양한 기술들과 접목한다면 소비자의 위치를 기반으로 한 다양하고 효율적인 광고매체로 자리 잡을 것임이 틀림없다. 앞으로도 많은 연구가 뒤따라야 하겠지만 DID광고의 미래를 사용자 중심의 컨텐츠가 주를 이룬 ‘인터렉티브 DID’로 발전할 것이다. The study suggests an alternative to typical indoor Sign advertisement in a different way. It is called DID(Digital Information Display) which is realized movable Sign Ad. DID ad. is based on Wireless LAN, The main server could control many of DID terminals at the same time. It could play various media such as Flash, Video, Text, also available to play any file at anytime anyplace you want. It is highly expected to be replaced banner, placard, all the typical Sign ad. or used together with Sign ad. for useful application. The cost of initial installation is high, but it could save advertising cost in a long-term view. In addition, it makes a space neat and stylized, furthermore it is also eco-friendly cause no need printed materials. DID ad. will progress more and more, the zenith of progress will be Interactive DID. It should provide the contents specialized in interactivity more than just information sees and hears. It is important that DID should grow through development of interactive contents which can get a information actively. Like the reason of I-Phone success is the innovation of soft-ware, not hard-ware. Fof example, DID would graft onto wireless communication environment like Bluetooth. If a customer carring mobile devices access DID, it would provide customized information, and make him operate DID to get the information he want. This is just one of the examples, but it is obvious that DID should be the efficient advertisement media based on customer’s location if it is working with current various technologies. More studies needed, however, DID ad’s future would be dominated by Interactive DID with User-centric conten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