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자습용 문법 학습 교재 모형 개발 연구

        김명회 선문대학교 교육대학원 2006 국내석사

        RANK : 249679

        이 연구의 목적은 외국어로서 한국어 교재 개발의 다양한 측면을 고려하고 그 중에서도 학습자의 주도적 한국어 문법 학습과 관련된 자습서 개발의 필요성을 제안하는 데 있다. 이 연구는 기존 문법·교재 연구의 성과물을 바탕으로 최근 언어 교수 이론의 상황 안에서 비교적 그 역할이 줄어든 문법 교육의 유용론 관점에서 출발하였다. 이 연구는 외국어 교육 이론과 문법 교육의 관계를 살펴본 뒤문법 교육이 필요함을 강조하고 교재의 설계와 개발에 관한 이론적인 정리를 통해 기존 교수-학습 교재의 문법 모형과 연습 유형 분석의 기준을 마련하고자 하였다. 이 연구에서 선택한 분석교재의 선정은 국내에서 단행본 교재로 출판된 문법 학습서를 우선으로 선정하였고 정규 교육 기관의 초급 교재와 그에 포함된 학습장까지 포함하였다 단 정규 교육 기관의 . 교재는 언어 기능통합의 성격이 강하기 때문에 교재 내용 중 문법 교수-학습과 관련된 부분의 모형을 비교적 독립적으로 구분하여 분석하였다. 문법 제시 · 학습 모형과 연습 유형 분석 항목은 기존의 교재분석 연구 자료를 참고하여 교재의 크기, 용도, 이론과 구성 원리,문법 규칙의 제시 · 설명,연습 유형, 미디어 자료의 첨부 항목으로 설정하였다. 마지막으로 교재 분석에 따라 자습용 한국어기본 문법 교재 개발의 방향을 설정하였다. 이를 위해 이 연구의 분석 자료를 통해 자습용 한국어 기본 문법 교재의 구성 방향을수립한 뒤 기존 문법·교재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자습용 한국어 기본 문법 교재 모형 개발을 위해 고려해야 할 사항을 종합적으로 제시하였고 미흡하나마 교재 모형의 틀을 제시해 보았다. 이 연구를 통해 얻은 결론은 기존의 연구 성과와 결과물을 토대로 학습자의 학습 취향이나 성격을 고려한다거나 여러 관점에서 제작될 수 있는 한국어 교육에 필요한 교재 개발 연구가 좀 더 다양하게 이루어져야 한다는 점이다. 또한 이러한 다양한 연구가 결실을 맺어 그 결과물이 한국어 교육 현장에서 적극적으로 선택되고 활용되어 학습자에게 더 많은 교재 선택의 폭과 학습의 기회를 주었으면 하는 바람이다.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consider the various aspects of developing teaching materials for Korean as a foreign language and especially, to suggest the necessity of textbook development, which is related to a learner-oriented grammar education in Korean. Ahead of this, the study conducted a research from the practical perspective of grammar education, which its role had been decreased because of the speaking-oriented teaching, based on the result on the existing grammar textbooks. The study examine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rinciples of foreign language education and the grammar teaching. Then the need of grammar education is emphasized and suggests a grammar model of the existing materials for teaching-leaning. Also, it provides an analysis standard of practice type through theoretical explanation on the plan and development of the teaching materials. The selection of the teaching materials for analysis in the study considered grammar study books that were primarily published as a separate volume in Korea, and materials of elementary level from the legal education agencies along with their workbooks were involved. But, the teaching materials from the legal education agencies had the integrated function in language, thus, the models that were related with grammar teaching-learning were distinguished and analyzed separately in the contents. The introducing models and teaching models of grammar and the analysis of practice type were set based on references from the existing study on teaching materials analysis and itemized into the size, purpose, principles and structure, introduction and explanation of grammar rules, practice types, and appendix of media sources. Finally according to the analysis of teaching materials, the direction of developing a self-teaching material for the basic Korean grammar was discussed. In order for this, the considerations to develop a self-teaching material for the basic Korean grammar model were suggested based on the result of the study on the existing grammar teaching materials after the direction of thebasic Korean grammar book for self-teaching was established through the analyzed data from the study. Also, a frame of model for teaching material was introduced even though it was not sufficient. Through the result that was obtained through this study, there should be more considerations on the taste of a learner’s learning tendency and be more study and development on the necessary teaching materials to instruct Korean that reflects dynamic point of views. Also, I hope to get results from such dynamic studies to apply the results in the real educational setting, thus, give more opportunities of selecting study materials and studying to learners.

      • 대학에서의 교육개발연구과제의 효율적인 운영방안

        배현주 선문대학교 교육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9679

        국가의 경쟁력과 직결되는 교육의 질적 향상을 위해 교육 부문의 투자는 교육의 전 부분에 지속적이고 장기적인 관점에서 이루어져야 한다. 그러나 현재의 교육 투자는 투자의 성과를 비교적 예측하기 쉬운 강의 환경 개선, e-러닝 부분과 특정 주제에만 중점적으로 이루어지고 있고 교육개발연구 등 다른 부분에 대한 투자는 줄어들고 있다. 이와 같은 감소추세의 원인은 교육개발연구의 성과가 뛰어나지 않거나 혹은 그 연구결과에 대한 평가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아 성과에 대하여 정확한 판단을 내릴 수 없기 때문이다. 교육개발연구의 연구계획서 심사와 연구결과의 평가를 위하여, 선문대학교 대학교육개발센터의 교육개발연구과제 지원 프로그램을 중심으로, 상명대학교 대학교육개발센터 교수연구모임 지원 프로그램과 한국연구재단의 대학교육과정개발연구(제3유형 교수학습법개선연구) 지원 프로그램을 비교분석하여, 교육개발연구에 대한 효율적 운영방안을 모색하였다. 연구방법은 2007∼2009학년도 교육개발연구과제 지원 프로그램의 운영현황과 전반적인 구조―지원 규모, 지원 대상 선정 방법, 중간평가, 결과평가 등―를 분석하고, 교육개발연구과제 지원 프로그램, 교수연구모임 지원 프로그램과 대학교육과정개발연구 지원 프로그램의 신청절차, 선정방법, 중간평가, 결과평가 방법 등을 비교분석하였다. 2007∼2009학년도 교육개발연구과제 운영은, 총 18개 과제를 지원하였고, 경쟁률은 1.3:1, 공모기간은 평균 40.3일, 연구비 규모는 평균 750만원이었다. 교육개발연구과제 결과를 분석하면, ‘교수․학습 방법 개발’ 연구 분야에 총 18개 중 16개 과제가 편중되어 있고, 중간보고서․결과보고서 제출 기한은 비교적 지켜지고 있었다. 연구결과물은 20쪽 내외의 보고서 형식이 주를 이룬다. 교육개발연구과제 지원 프로그램은 신청절차, 선정방법, 중간평가, 결과평가 등에서 전반적으로 교수연구모임 지원 프로그램과 유사하였으나 보다 공식적이고 체계적으로 운영되고 있었으며, 대학교육과정개발연구 지원 프로그램을 근간으로 선문대학교의 규모와 대학교육개발센터의 상황에 맞게 간소화하여 운영되고 있었는데 선정방법과 결과평가 도구가 완전하지 않아 프로그램의 효율성과 공정성을 확보하기 어려웠다. 교육개발연구과제 지원 프로그램의 공정성과 체계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한국연구재단의 대학교육과정개발연구 지원 프로그램의 연구계획서 심사기준을 참고하여 연구계획서 심사기준을 제시하였고, 일반적인 학술지의 논문 게재 심사기준을 기본으로 하여 결과보고서의 평가기준을 제안하였다.

      • 한국어 교육에서의 접속어 교수 방안 연구 : 초급단계 학습자를 대상으로

        최은란 선문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9663

        교착어인 한국어는 다양한 형태의 연결어미가 발달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연결어미는 한국어를 외국어로 배우는 학습자들에게 있어서는 매우 생소한 문장 접속 형태로 의미를 몰라서 발생하는 오류뿐만 아니라 선행 문장의 용언과 직접적으로 겹함할 때 나타나는 불규칙 용언들로 인해 다양한 통사적 오류를 보이는 문법 항목이다. 따라서 연결어미의 학습에 있어 접속부사를 보다 적극적으로 활용하고자 한다. 즉 학습자들의 모국어 체계와도 유사하며 어휘 차원으로 접근할 수 있는 접속부사를 통해 먼저 접속문의 의미를 학습하게 하고 더불어 유사한 의미 기능을 가진 접속부사들의 통사적, 화용적 정보 등을 비교하여 학습자가 문장의 접속어를 선택할 때 나타나는 오류를 줄이는 방안을 마련하고자 한다. 또한 접속부사를 통해 먼저 의미를 학습한 후에 학습자들의 언어체계와 다른 연결어미를 학습함으로써 연결어미의 의미에 대한 이해를 돕고 선행 문장의 용언과 결합할 때 나타나는 여러 가지의 통사적 제약 및 다양한 불규칙 형태를 연습하는 단계적인 학습이 이루어지도록 해야 한다는 논의를 제기하는 것에 본 연구의 목적이 있다. 1장에서는 한국어 접속어 교육에 있어서 접속부가에 대한 연구의 목적 및 필요성을 밝히고 이 연구의 내용과 방법을 제시하였으며 국어 교육 및 한국어 교육과 관련하여 접속부사와 연결 어미에 관한 선행연구 자료들을 살펴보았다. 2장에서는 본 연구의 방향과 범위를 설정하기 위해 접속부사 및 연결어미데 대한 국어학 및 한국어 교육에 대한 종래의 연구에서 이루어진 [그러-]형 접속부사의 의미와 통사적, 화용적인 논의를 종합하여 정리하였다. 3장에서는 한국어 교육에서 연결어미와 관련하여 [그러-]형 접속부사를 중심으로 한국어 교육기관 초급 교재 및 한국어 사전 등에서 어떻게 다루어지고 있는지를 살펴보고 접속어에 대한 설문 평가를 통하여 같은 의미를 나타내는 접속어를 비교 분석하였다. 4장에서는 앞 장에서 정리한 접속부사의 의미 및 통사적, 화용적 정보와 설문 평가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접속어를 가르치는 수업 방안을 제시하였다. 5장어서는 앞의 연구를 통해 얻은 결과를 요약하면서 연구의 한계를 밝히고 초급대상 한국어 접속어 교육에 관한 제언을 하면서 마무리하였다. Korean as an agglutinative language is highly devolped conjunctive endings in the various form, but the conjunctive endings often influnce to the students who learn Korean as a second language, not only to make mistakes from difficulties to undersatand their exact meaaning-since it is a very unacquaintded conjunctive foam to link sentences, but also is a grmmar category to make them various syntactic errors because of the irrugular declinable words that are showed up when they link directly with the declinable words of the earlier sentence. Therefore, I try to make the best use of conjunctive adverb in study of conjunctive endings. That is, I suggest the way that decline the mistakes when the students choose conjunctive for sentences by studying the meaning of the compound sentence through the conjunctive adverbs which is similar with their native language and can approach in the lexical way, and comparing the syntactic and pragmatic information of conjunctive adverbs that is similar meaning and function. This study is aimed at suggesting guideline for studying by degrees-1. study the meaning through the conjunctive adverb, 2. understand the meaning of the conjunctive endings by learning the language system of the stuedents and another conjunctive endings, 3. practice various syntatic limitation which shows up when it connects with a declinable word of earlier sentence and diverse irregular foams. Chapter1 treat the exising study about the conjunctive adverbs and conjunctive endings in relative of the vernacular and korean language education and show up the necessity and purpose of study about conjunctive adverbs in the education of korean language conjunctive and suggest the contents and way of this reserch. Chapter 2 treat that the meaning of [그러-] type conjunctive adverbs and syntactical and pragmatcal discussion that is treated the exsiting studying about the venacular and korean language education about conjunctive adverbs and conjunctive endings to classify the way and the scope Chapter 3. treat that in the relative of conjunctive endings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reseach how to treat [그러-] type conjunctive adverbs in the text books for the beginners in korean school and korean dictionary and analize and contrast the conjunctive which has same meaning with it through the surbey about the conjunctive Chapter 4 suggest the way of education to teach conjunctive on the base of result of the survey and the meaning of conjunctive adverbs and syntactic and pragmatic information which refered earlier chapter. Chapter 5 condence the result of the reserches and confess the limitation of the studying and suggest about the education of the korean language conjunctive for the beginners.

      • 학문 목적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학습기술 교육 방안 연구

        김상영 선문대학교 교육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9663

        본 연구는 학문 목적 한국어 학습자들에게 기능 통합적 교육이 필요하다는 전제 하에 그것을 실현하는 방법으로 학습기술 활용 방안을 알아보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2장에서는 학문 목적 한국어 교육과 학습기술에 대한 선행 연구를 살펴보았다. 학문 목적 한국어 교육에 관한 선행 연구는 교육 과정 설계에 대한 연구와 기능별 영역에 대한 연구로 유형을 나누어 정리하였다. 이와 같이 선행 연구를 살펴보면 학문 목적 한국어 학습자들의 실제적인 요구에 부합하는 기능 통합적 교육에 대한 논의는 미비하였음을 알 수 있었다. 학습기술 이론에 관한 선행 연구는 교육학적 관점에서의 학습기술과 제2 언어교육에서의 학습기술로 나누어 지금까지 이루어진 학습기술의 정의와 유형에 대해 살펴보았다. 3장에서는 본고에서 논하고자 하는 학문 목적 한국어 교육에서의 학습기술에 대해서 논의하였다. 학문 목적 한국어 교육에서의 학습기술은 대학 수학을 목적으로 하는 학습자들이 한국어로 학문을 수행하기 위해서 알고 익혀야 하는 보편적이면서 복합적인 언어 기능들이라고 정의하였다. 이러한 정의를 바탕으로 학습기술을 크게 듣고 쓰기 기술, 듣고 말하기 기술, 읽고 쓰기 기술, 읽고 말하기 기술, 쓰고 말하기 기술로 나누고 각각의 세부 학습기술을 구성하였다. 그리고 세부 학습기술들에 대해 논의한 후 난이도에 따라 가능한 학습 활동과 교육 내용을 제시하였다. 난이도의 결정을 위해서 학문 목적 학습자들을 대상으로 세부 학습기술의 난이도를 어떻게 생각하는지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4장에서는 이러한 학습기술의 구성을 바탕으로 15주 기준의 교수요목을 설계하였다. 교수요목 설계를 위한 전 단계로 현재 국내 대학에서 학문 목적의 한국어 학습자들을 위해 어떤 과목들을 개설하고 있는지를 조사하였다. 서울, 경기, 충청, 경상, 전라 등 5개 권역의 학교를 선정하여 개설되어 있는 과목과 학점을 정리한 결과 학문 목적 한국어 교육을 위한 학습기술의 도입이 필요함을 알 수 있었다. 3장에서 밝힌 다섯 유형의 학습기술 중 쓰고 읽기를 제외한 네 유형의 학습기술로 한 학기의 수업을 개설한다는 가정 하에 전체적인 학습 목표와 매 차시별 학습 내용을 선정하여 교수요목을 구성하였다. 마지막 5장에서는 본 연구의 결과를 간략히 요약하고 본 연구의 의의를 밝혔다. 본 연구의 의의는 다음과 같이 정리할 수 있다. 첫째, 한국어 교육에 적합한 학습기술을 정의하였다. 둘째, 학습기술을 이해 기능과 표현 기능의 통합적 방법으로 가르치기 위한 체계를 세웠다. 셋째, 통합 기능이라는 큰 틀 아래에 세부 기술과 사용 상황을 기준으로 학습기술을 정리하였다. 넷째, 학습기술의 교육만으로 한 학기의 수업이 가능한 교수요목을 설계해 보았다. 이 연구의 결과가 대학 수학을 목적으로 하는 한국어 학습자들이 큰 어려움 없이 학문을 수행하는 데에 실질적인 도움을 줄 수 있기를 바라며, 추후 다른 연구들에서 본 연구를 통해 밝힌 세부 학습기술들에 대한 교수법과 교수․학습 내용이 구체적으로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This study is designed to explore the ways in which Korean learns for academic purposes can enhance their study skills. Section 2 examines the previous studies regarding the use of Korean for academic purposes and study skills. The previous studies on Korean for academic purposes are classified into two parts: 1) studies on the planning of curriculum 2) studies on language function. The examination of previous studies revealed that the discussions on the language function integrated education which meet the practical requirements of learners of Korean for academic purposes were insufficient. This study classifies previous studies on study skills into pedagogical perspectives and Second Language Education and then looks into the definition and patterns of study skills. Section 3 analyses study skills in using Korean for academic purposes. Study skills in using Korean for academic purposes are defined as the universal and complex language functions needed for Korean learners to be able to study at the university level. Based on this definition, this paper categorizes study skills into 'listening and writing’, ‘listening and speaking’, ‘reading and writing’, and ‘reading and speaking' skills and organized detailed skills for each category. It then suggests study activities and educational content for each detailed skill based on the level of difficulty. To decide the different levels of difficulty of the detailed skills, this study surveys learners studying Korean for academic purposes who are currently studying at a university in Korea. Section 4 presents a design for a 15-week teaching syllabus based on these study skills. Before designing the teaching syllabus, this study investigates different courses currently open at universities for Korean learners for academic purposes in Korea. It selects 5 universities from Seoul, Gyeonggi, Chungcheong, Gyeongsang, and Jeolla regions and investigates the courses and credits and realizes the need for the introduction of Study skills in using Korean for academic purposes. It designs a syllabus with teaching objectives and content for each lesson with the presumption that the course will be teaching five different study skills other than the ‘writing and speaking’ skill. Section 5 significance of this study sums up of the result and clarifies the of the study.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can be seen as follows: - First, this study defines study skills which are suitable for learning Korean. - Second, this study systemizes ways to teach study skills by integrating receptive and productive skills (functions) - Third, this study organizes study skills based on detailed skills and context of use within the outline of integrative functions. - Fourth, this study designs a teaching syllabus on teaching study skills. This study aims to give practical help to learners of Korean for academic purposes to study in academic contexts. Further studies on teaching methods and teaching and learning contents of study skills are needed.

      • 한국어교육에서의 효율적인 피동 교수 방안 : 한·일 대조 분석을 중심으로

        이효숙 선문대학교 교육대학원 2004 국내석사

        RANK : 249663

        본 논문은 외국어로서의 한국어교육에 있어서 일본인 학습자가 가장 어려워하는 문법 가운데 하나가 피동이라는 점을 근거로 해서 한·일 피동 표현의 대조 분석을 중심으로, 일본인 학습자에게 한국어 피동 표현을 어떻게 제시하고 교육하는 것이 효율적인 교수 방안인지에 대한 연구를 목적으로 하고 있다. 한국어와 일본어는 많은 부분에 있어서 비슷하지만 피동 표현에 있어서는 서로 대응이 되지 않는 차이점이 많다. 본고에서는 우선 한·일 두 언어의 피동 표현을 형태론적인 면과 어휘론적인 면으로 나누어 대조 분석을 하였다. 그 결과 동사의 미연형에「-(ら)れる」의 형태만 첨가되면 피동 표현이 성립되는 일본어에 비해, 한국어에는 '-이/히/리/기-', '-아/어지다', 서술성 명사 +'-되-/받-/당하-' 등 다양한 피동 표현이 이루어지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한국어의 피동 표현에서는 피동접미사에 의한 피동법보다 모든 동사, 형용사와 결합하여 피동 표현을 나타낼 수 있는 '-아/어지다'에 의한 피동법이 훨씬 더 생산적임을 알 수 있었다. 일본어에는 타동사의 피동도, 자동사의 피동도 존재하지만 한국어에는 타동사의 피동만 존재한다. 특히, 일본어 자동사의 '피해의 피동' 표현은 한국어 번역에 있어서 자연스럽지 못한 면이 많기 때문에 번역할 때에는 능동적으로 표현한다. 이것이 한·일 양국어의 형태상 가장 큰 차이점이라 할 수 있다. 또한 두 언어에는 각각 술어의 양태 변화와 더불어 격의 이동, 조사의 변화가 발생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한국어 교수·학습 활용 방안 연구에서는 일본어 피동 표현이 한국어 피동 표현으로 대응되기 어려운 표현의 한계성을 제시해보고 규칙성에 대해서도 살펴보았다. 또한 두 형태가 비슷해서 자주 혼동을 일으키는 피동과 사동의 관계를 살펴보고 형태·의미론적으로 나누어 그 특징에 대해 제시하였다. 한편, 국내 한국어 교육기관의 교재를 간략히 살펴본 결과 피동 표현은 문법사항으로 많이 다루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오류 분석 자료를 학습자의 말하기가 아닌 쓰기 활동에서 찾고자 했다. 이를 위하여 선문대학교 일본인 중급학습자(20명)와 대학원 석사과정 중인 학생을 대상으로 오류를 분석해 본 결과, 모어의 영향보다는 학습자가 외국어 학습 과정에서 목표어의 내적 요인 때문에 발생하는 언어 내적인 오류와 언어 간 전이, 목표어 자체의 복잡성, 교육 현장에서의 불충분한 지도 등이 오류의 대표적인 원인임을 알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실제 교실 수업에서 필요로 하는 교수 활용 방안에 대한 연구를 5단계로 나누어 제시해 보았다. This article is focused on showing the efficient instruction method to teach Japanese learners to understand Korean passive expression which Japanese learners consider as one of the more difficult grammars in acquisition of Korean. Comparative analysis between Korean and Japanese in passive expression reveals this efficient instruction. Although there are many similarities between Korean and Japanese, they are apparently different in passive expression. Comparative analysis between Korean and Japanese in passive expression is divided into two aspects: morphologic and semantic aspects. Korean has various passive expressions such as '-이/히/리/기-', '-아/어지다', predicative noun + '-되-/받-/당하-' and so on, while Japanese has simple passive structure that is composed by adding「-(ら)れる」 to '미연형' of verb. Moreover, in the case of Korean, the conversion into passive form by combination of '-아/어지다' with verb and adjective is more productive than combining with passive suffix. Passive forms of both intransitive verb and transitive verb are possible in Japanese, but passive form of intransitive verb is not permitted in Korean. Especially, intransitive verb's passive form for expressing 'damage' in Japanese is translated into active expression of Korean because of unnatural direct translation. This is the most outstanding morphologic difference between Korean and Japanese. And mode variation of the predicate accompanies case and postposition variation. Research of instruction and learning method indicates asymmetric structure of passive expression between Korean and Japanese, and its regularity. In addition, this research presents the relationship between passive and causative expressions and their characteristics in the aspects of morphology and semantics. Textbooks of domestic Korean language education institutions treat passive expression in the viewpoint of grammar. However, this research derives learner's error data for analysis, not from learner's speaking but from writing. Analysis from Japanese intermediate and graduate students shows that error in passive expression is caused not by the effects of native language but by the internal error and complicacy of learning language, transition between different languages and insufficient instruction in education process. Lastly, this research presents practical instruction method in actual class in five stages.

      • 한국어 파생 사동사 교수 방안 연구 : 교재 분석을 중심으로

        김명권 선문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9663

        본 연구는 현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교육 분야의 문법 교수 방안 중 학습자들이 학습에서 가장 어려워하는 문법 중의 하나인 사동 교수 방안을 제시하는 것을 주목적으로 한다. 세부적으로는 기존의 국어 및 한국어 교육 분야의 여구를 바탕으로 한 국내 11개 기관에서 발행된 교재를 분석하여 그 교수 방안을 효과적으로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사동은 실제 한국어 생활에서 많이 사용하고 있는 문법이지만, 그 문법의 습득이 다른 문법보다 복잡하고 어려움에도 불구하고 여타의 문법과 동일하게 한 단원에서 불과 몇 페이지를 할애하여 다루어지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또한 한국어 학습자들은 어떤 동사들이 사동이 가능한지에 대해 잘 학습되어 있지 않아, 그에 대한 규칙 적용이 불가능하여 단순히 어휘로 제시되고 있다. 이 어휘는 문법 항목에 포함되어 있음에도 결국은 어휘로 인식하여 암기하고 있는 실정이다. 본고에서는 먼저 사동문 구성요소인 '사동자', '피식동자' 그리고 '사동자의 두가지 행위'를 분석하여 이들이 사동문에서 어떠한 역할을 하는지에 대해 집어보았다. 또한 동사의 자질을 분석하여 어떤 동사가 사동사로 쓰일 수 있는지에 대해 타동사, 자동사, 형용사 별로 분석하고 그 예시를 제시하였다. 또한, 현재 까지 연구된 사동의 규칙화 현상을 제시하고 그 규칙이 한국어 교육에서 어떻게 적용될 수 있는지를 파악하였다. 그러나 연구된 규칙은 어휘가 올바르지 않게 사용된 어휘도 있었으며 그 규칙이 복잡하여 규칙으로 만들기에는 어렵다는 단점을 발견할 수 있었다. 한편, 국내 11개 기관의 교재를 분석하여 현 한국어 교재에서 제시하고 있는 한국어 사동 상황 및 문법 사항을 알아보고, 각 교재에 나타난 사동 어휘를 빈도수로 다시 정렬하고 총 26개 어휘를 다시 서정하여 학습자가 쉬운 어휘별로 사동을 학습할 수 있도록 목록을 제시하였다. 마지막으로 교재에 수록된 사동 교육 방법을 분서가였다. 여기에 부족한 부분이나 의견 차이가 있다고 생각되는 부분은 재구성하였다. 또한 그동안 교재에 없었던 방법들을 새롭게 수록하였다. 게다가 제시된 방법들을 단순히 나열만 시키지 않고, 실제 수업에서 사용할 수 있도록 사동 교수 방안을 다섯 단계로 나누어 제시하였다. This article is a purpose for suggesting the method for teaching causative verbs learners think that causative verbs are one of the most difficult rules in Korean language through analysis of 9 teaching materials in Korea which is based on the study of a Korean language education as a foreign language field and Korean language field. Causative verbs are often used when learners speak or write Korean language however, despite of acquirement of this rule is more complicate and hard, this rule is just deals with using only few pages like the others' rules in Korean language textbooks. Moreover, this hasn't been become clear to Korean language learners in the concrete which verbs are able to change causative verbs, and this is not possible to apply a rule. So this s just suggested kinds of vocabularies although this includes list of grammar. At first, this article defines meaning of causative verb again, and analyzes causer, causee, causer's two actions as components of causative sentence so that the article knows these factors' role in the causative sentence. In addition, this analyzed verbal features and presented some examples of what verbs can be used as a causative verb which separated verbs to transitive verbs, intransitive verbs, and adjectives. This suggests rules of causative verbs many investigator has researched until present, and grasps how this rule can apply in the field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But It was able to find a weak point that some vocabularies in this rule is not correct and the rule is complicate so it is difficult to make a rule in this article. Meanwhile, this analyzed 11 teaching materials in Korea so that it is known the rule of causative verbs that Korean textbooks indicate at present. And this re-sorted the order of frequency and picked up list of 26 causative verbs so that learners study causative verbs with using easy vocabularies. Finally, this analyzed the teaching method of causative verbs in the textbooks, and carried all teaching method of causative verbs until present. Moreover some part of insufficient contents and difference of opinions reconstructed the method. In addition, another method it is not known before suggested anew. This is not only resorted method but the method teachers can use the teaching method of causative verbs efficiently which is divined 5 levels.

      • 태구구인 한국어 학습자의 쓰기 오류에 관한 연구 : 초급을 중심으로

        정재주 선문대학교 교육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9663

        태국에서의 한국어 교육은 1986년의 국립 쏭클라 대학교에서 시작되어 현재까지 21년이 되었지만 태국인을 대상으로 한 연구는 그다지 많지 않다. 또한 한국어를 가르치고 있는 17개 대학교 중에서 전공으로 개설한 대학교는 7곳이고 나머지는 부전공, 선택 과목으로 강의하고 있다. 2006년 9월 태국에서 시행된 한국어 능력시험을 통해 국립 마하싸라캄 대학교 한국어 전공 2학년 학생들의 쓰기 능력을 가늠해 볼 수 있었다. 전체적으로 예상보다 훨씬 쓰기 능력이 떨어지는 경향을 알 수 있었는데 그 원인에 대한 제대로 된 분석 없이는 쓰기 능력 향상을 꾀할 수 없을 것이라 생각되었다. 태국인 한국어 학습자는 일반적인 외국어 쓰기의 어려움에다가 어미와 조사 등이 발달한 한국어의 특징 때문에 더 어렵게 느꼈으며 한국어 표준 맞춤법에 따른 정확한 표기와 입말과 글말의 차이에서 오는 표기의 혼동에서도 오류를 일으키기도 하였다. 이 연구에서는 태국인 초급 한국어 학습자의 쓰기 자료에서 나타난 원인별 오류 유형을 분석한 후, 학습자들의 쓰기 오류를 최소화할 수 있는 쓰기 교육 개선 방향을 제시하였다. 1장에서는 연구 목적과 연구 방법 등을 살펴보았다. 연구 대상은 태국 내 한국어 전공이 있는 3개 대학교의 초급 한국어 학습자 73명이며, 자료는 총146개로서 한국어 쓰기 수업에서 수집되었으며 2006년 11월부터 2007년 3월사이의 것이다. 2장은 이론적 배경에 해당하는 부분으로서 오류 판정과 오류의 원인과 유형, 교정하는 방법을 살펴보았다. 3장에서는 2장의 이론적 배경을 바탕으로 오류의 원인에 따라 태국인 초급 한국어 학습자의 쓰기 자료를 분석·기술하였다. 의미를 전혀 알 수 없는 오류 19개르 제외한 수는 총 1,271개이다. 목표어 학습 능력 부족으로 인한 오류는 총 926개이며 전체 72.9%, 모국어 간섭에 의한 오류는 총 345개이며 전체 27.1%를 차지하였다. 모국어인 태국어의 간섭에 의한 오류로는 태국식어휘와 표현과 조사 생략, 조사 '에, 에서'의 혼용, 태국식 시제 표현, 어순, 태국식 철자 오류('ㄱ,ㅅ,ㅈ'의 오류, 받침 'ㄴ,ㄹ'의 혼동, 'ㅂ,ㅍ'의 구별 오류)가 있으며, 목표어 학습 능력 부족으로 인한 오류로는 어휘 및 표현 오류(한자어에 의한 오류, 학습상 인지 오류, 불규칙 동사 오류), 조사 첨가, 시제, 존대, 시제, 어말 어미, 철자 오류(입말과 글말의 차이, ㅊ→ㅈ화 된 오류)등으로 나타났다. 4장에서는 태국에서의 한국어 교육 방법의 문제점을 살펴보고, 3장에서 분석한 오류를 바탕으로 태국인 초급 한자어 학습자의 쓰기 교육 개선 방향을 제시하였다. 태국에서의 한국어 교육 방법의 문제점을 살펴보면, 말하기위주의 외국어 교수법의 문제와 태국어로 된 쓰기 교재가 없다는 점과 교사들의 지식 함양, 대학별 교육 목표 및 교과 과정의 문제와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한국어 활용의 폭넓은 기회가 부족한 점을 들 수 있다. 이 오류 분석 연구를 통해 오류를 미연에 방지 및 최소화할 수 있는 쓰기교육 방안을 단계별로 제시해 보면, 첫째 구체적인 문법 지식을 제시, 둘째 비교·대조를 활용하여 교수-학습 방법을 실행, 셋째 반복적인 연습을 통해 익히는 것이다. 5장에서는 이상의 논의와 그 결과들을 종합적으로 정리하였다.

      • 외국어로서의 한국어교육에서 문화교육모형

        배지윤 선문대학교 교육대학원 2005 국내석사

        RANK : 249663

        외국어로서의 한국어교육에서 문화교육은 학습자의 의사소통 능력을 향상시키고 나아가 학습자들의 지적 호기심을 자극하며 학습 동기를 강화시켜 학습 효과를 높이는 데 있다. 또한 학습자의 모국과 다른 문화에서 오는 충격을 극복하여 한국문화를 이해하고 한국 생활에 적응할 수 있도록 도움을 주는 데 있다고 하겠다. 그러나 지금까지 한국어교육 현장에서 이루어지는 문화교육은 그저 단순한 설명방식의 문화 소개와 비디오 시청, 현장 답사가 전부였다. 이 연구에서는 한국어교육에서 문화교육 현실을 직시하고 한국어교육 전반에 걸쳐 문화교육을 체계적으로 진행 할 수 있는 틀을 형성하고 실제 한국어수업에서 진행 할 수 있는 문화교육모형을 제시한다. 1장에서는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을 제시하고 선행연구 검토를 통해 보다 발전적인 논문이 되도록 하였으며, 연구의 방법 및 범위를 규정하였다. 2장에서는 한국어교육과 문화교육의 상관관계를 한국어교육의 정의와 내용을 알아봄으로써 한국어교육이 무엇인지를 이해하고 문화교육의 의미를 문화의 개념, 문화와 언어, 문화교육, 세 부분으로 나누어 알아본바 언어와 문화는 불가분의 관계에 있으며 한국어를 교육함에 있어 문화교육을 실시해야하는 근거로 제시하였다. 또한 현재 한국어교육에서 문화교육 현황과 문제점을 각 기관의 교재 분석을 통해 알아보고, 학습자들의 요구 반영을 위해 설문조사를 했다. 이를 통해 한국어교육의 문화교육 현황을 자세히 알아볼 수 있었으며, 학습자들은 실제 한국문화 체험과 한국인과의 직접적인 만남을 원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3장에서는 실제 한국어교육에서 문화교육 방법 제시로 한국어교육에서 표준적인 문화교육의 목표를 제시하고 그 범주를 규정하여 한국어교육의 교과과정과 교재구성 및 교육내용을 국가차원에서 정하여 각 기관 및 각 나라에 교육 기준을 세워줘야 한다고 논하며 마지막으로 학습자 활동으로 체험학습을 통한 수업을 제안하여 여러 가지 활동의 예를 제시하였다. 4장에서는 지금까지의 연구 결론에 근거하여 문화교육을 통한 실제 한국어교육 수업 모형을 제시하였는데 첫째는 교재를 활용한 교실 내 한국어 문화수업 방법으로 수업모형과 함께 선문대 중급 교재의 한국인의 결혼에 대한 내용을 통한 수업의 예를 제시하였으며, 둘째로는 현장체험 활동 중심의 한국어 문화 수업방법으로 수업모형 제시와 실제 현장체험 활동으로 김치박물관과 농업기술센터 방문이라는 현장체험 학습 수업의 예를 제시하였다. 이 수업모형은 각 단계별 학습 효과를 높일 수 있으며 학습자들이 한국문화를 쉽게 이해하며, 체험 할 수 있다. 또한 모형의 변화, 활용 가능성이 커 어느 수업이든지 다양하게 적용할 수 있다. 위와 같은 연구는 문화교육 방법을 문화교육의 목표와 교과과정 수립을 통해 한국어교육에서 문화교육의 체계적인 교육과 함께 실제 수업에 있어서의 수업모형을 제시하여 학습자 중심의 수업모형을 제시 하였다는데 그 의의를 둘 수 있다. The cultural education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as a foreign language is to improve learners' communication abilities, stimulate the intelligent curiosity of learners, consolidate their learning motives and enhance learning effects. Its aim is also to help overcome culture shock, understand Korean culture and adapt to the Korean life. The cultural education that has been conducted in the front lines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has been entirely about cultural introduction in the mode of simple explanation and watching relevant videos and field investigation. In this paper, a framework by which cultural education reality is faced up and in which cultural education can be systematically conducted in the Korean language education overall is created, and also a cultural education model which can be conducted in the real Korean language class is presente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ise the means to improve the communication ability in the Korean language through systematic cultural education by facing up to the reality of cultural education in the Korean language education and by sorting out the need for cultural education and its content. In Chapter 1, the need and purpose of this study is presented and an effort is exerted to make this paper to be more of a developmental paper through prior study review.Also, the study method and scope are provided. In Chapter 2, what the Korean language education is about has been understood through identification of the definition and content of the Korean language education in terms of the correlation between it and cultural education. Also, the meaning of cultural education is categorized as the concept of culture, culture and language and cultural education and these three categories are identified. As a result, the language and the culture have an inseparable relation, and this is presented asthe basis on which cultural education should be carried out in the Korean language education. The status of cultural education and related problems are examined through the analyses of teaching materials of various institutions, and a questionnaire survey was performed to reflect the needs of the learners. As a result, the cultural education situation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is identified in detail, and it is found that the learners desire to experience Korean culture and meet Koreans directly. In Chapter 3, the standard objectives of cultural education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are presented as a presentation of the method for such education, and their scope is provided.Here, it is argued that the curricula, the composition of teaching materials and the educational content on the governmental level should be set and the educational standards should be established for each institution and each country. In the end, the examples of various activities are presented by proposing hands-on experience as the learners' activity. In Chapter 4, a real Korean education class model is presented through cultural education, based on the study results so far. First, as a cultural class method in a classroom utilizing teaching materials, an example of a class about Korean wedding in the intermediate teaching material of Sun Moon University has been presented. Secondly, as a Korean culture class method focused on hands on experience activities, a class model is presented.Also, an example of hands on experience class, in other words, visiting a Kimchi Museum and an Agricultural Technology Center, is presented, as real hands on experience activities. Through this class model, learning effects in each stage can be enhanced, and learners can easily understand and experience the Korean culture.This can also be diversely applied to any type of class, in view of a huge possibility in model changes and utilization. A significance of this study lies in the fact that a learner-oriented class model has been shown by presenting a class model in a real class, along with systematic education of cultural education in the Korean language education, through the establishment of cultural education objectives and curriculum in terms of a cultural education method.

      • 제7차 교육과정 중학교 국어교과서에 수록된 구비문학에 대한 분석적 고찰

        김창수 선문대학교 교육대학원 2005 국내석사

        RANK : 249647

        본 연구는 제7차 교육과정 중학교 국어 교과서에 실린 구비문학(口碑文學)작품을 분석하고 구비문학 교육의 의의와 필요성을 깨닫고 바람직한 구비문학 교육을 모색하기 위한 것이다. 구비문학은 기록문학이 출현하기 훨씬 전에 신화가 먼저 등장하고, 그 뒤를 이어 민담과 전설이 등장하여 이야기문학의 폭을 넓혀 왔다.구비문학은 소설뿐만 아니라 악장을 비롯한 시가의 형성·발전에 많은 영향을 끼쳤고, 구비문학 장르 중 늦은 시기에 출현한 판소리의 형성·발전에도 많은 영향을 미쳤다.또한 구비문학의 내용은 한국인의 전통적 사고를 잘 드러내는 것들이다.구비문학 속에는 우리 민족의 절대 다수를 차지하는 민중들의 의식이 잘 드러나 있는 것이다. 이러한 특성을 지닌 구비문학 작품들이 제7차 교육과정 중학교 국어 교과서에 어떻게 다루어지는지 살펴볼 필요성이 있다. 제Ⅰ장에서는 본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을 밝히고 기존의 연구사를 검토한 후 연구의 범위와 방법을 제시하였다. 제Ⅱ장에서는 구비문학교육의 목표를 밝히고 구비문학 교육의 내용과 방법에 대하여 알아보았다. 제Ⅲ장에서는 제7차 중학교 국어과 교육과정의 목표와 성격을 알아보고 특히 제6차 중학교 국어과 교육과정과 비교하여 구비문학 교육이 어떻게 바뀌었는지에 대해 알아보았다. 제6차 중학교 국어과 교육과정에서의 구비문학 작품은 민요 한 편이 수록되어 있으나 제7차 중학교 국어과 교육과정에서의 구비문학 작품은 신화, 전설, 민담, 무가, 판소리, 민요 등 총 15편이 수록되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제Ⅳ장에서는 제7차 중학교 국어과 교육과정에 실린 구비문학 작품인 동명왕 신화를 비롯하여 전설, 민담, 무가, 판소리, 민요에 대해 각각의 작품을 분석하였다. 제Ⅴ장에서는 본 연구로 얻어진 결론을 요약하고 구비문학 교육의 개선과 차후의 연구에 대하여 제언을 하였다. 앞으로 구비문학의 교육적 연구가 더욱 활발히 진행되고 또한 다양한 구비문학 작품들이 교과서에 수록되고 바람직한 방향으로 구비문학 작품들이 학습되기를 기대해 본다. This study aims to analyze oral literature works listed in middle school language arts textbook of the 7th national education curriculum, understand the meaning and necessity of oral literature, and examine the rightful oral literature education. Myths developed long before documentary literature appeared.Then folk tales and legends followed, expanding the width of oral literature.Oral literature greatly influenced the formation and development of novels and even poetry such as Akjangs.It has also affected formation and development of Pansori, a genre which appeared in the late period of oral literature.The contents show the Korean traditional way of thinking, and the consciousness of our nation lies within. Therefore, we need to examine how the oral literature works with these characteristics are being dealt with in the language arts textbook of the 7th national education curriculum. The necessity and aims of this research is clarified, history of the existing research is reviewed, and the range and methods of the study are presented in chapter Ⅰ. In chapter Ⅱ, the aims of oral literature education are stated, along with the contents and methods. In chapter Ⅲ, we investigated the purpose and character of middle school language arts education courses of the 7th national education curriculum. Especially, it was compared with courses of the 6th curriculum to examine the difference. Only one piece of a folk song was listed for oral literature in the 6th curriculum, but there were 16 in the 7th curriculum, including myths, legends, folk tales, Muga, Pansori, folk songs, etc. In chapter Ⅳ, each legend, folk story, Muga, Pansori, folk song including the Myth of King DongMyeong which is listed in the 7th national education curriculum of middle school was analyzed. In chapter Ⅴ, conclusions were summarized and proposes about improvements and future studies on oral literature were made. We hope oral literature could be rightfully learned by active studies and various works listed in textbooks.

      • 외국인 근로자 대상 생활한국어교재 개발 방안 연구 : VKSL 목적을 중심으로

        이혜원 선문대학교 교육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9647

        Abstract Research Proposal for the Development of a Practical Korean Language Textbook for Foreign Workers - with a focus on VKSL - Sun Moon University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Department of Teaching Korean as a Foreign Language Hye-won Lee Thesis Director: Ju-yeol Choi It has been 10 years since the employment license system has taken effect which accepts foreign workers into the country. The degree of dependence on the foreign worker in the Korean manufacturing industry, farming industry and construction industry is gradually increasing. Yet, instead of seeing these workers through the perspective of being a part of Korean industrial society and fellow co-workers, there is an unchanged social perspective that sees them as outsiders that are here because of international agreement. Now is the time to create a soft-landing in Korea and to create future admirers of Korea by redefining perspectives on foreign workers that stay for a period of 4 years and 10 months in Korea, not to mention the ever growing numbers of re-entry foreign workers. From their first step in starting their lives in Korea practical Korean language education is a necessary part of reducing the culture gap they experience and in broadening their understanding. Chapter 1 of this manuscript suggests the necessity of practical Korean education for the stabilization of foreign workers’ lives in Korea and for such workers to receive training to ensure they have fond memories of Korea after returning to their respective home countries by assessing foreign workers current social station in order to develop a practical Korean education textbook. And this chapter examines the serial study that has taken place until now through the analysis of theses about foreign workers. Chapter 2 presents the concepts and conditions of a practical Korean education textbook through the development process of a general Korean textbook and analyzed textbooks intended for foreign workers under the conditions of a practical Korean education textbook. Dealing with the 2 types of textbooks that can be purchased on the market along with textbooks that are issued from institutions the differences were made clear that exist between Korean language used in academia with that of industrial workplaces. Also, content is introduced, by function, of the King Sejong Institute and the National Institute for International Education which could both form the criteria for practical Korean education and the reasons for doing so are given. Chapter 3 analyzed preliminary research on foreign workers and through that the results of a survey filled out by foreign workers for an outline program of instruction of a practical Korean education textbook. In particular, the preliminary study was conducted using survey items that were selected to understand the perspectives of foreign workers as not students but as people trying to get by using the language. Chapter 4 selected content on survival Korean education textbooks to overcome the sense of difference between Korean and foreign workers and for a more settled existence in Korea and consists of an outline program of instruction and units. To promote learning, it includes content that has everything related to the arrival, departure, and post-departure of a foreign worker to Korea and also includes content on subsequent re-entry and introductions of nearby places. In Korea, where the prejudice of foreigners and 3D jobs still remain, foreign workers live with the hopes of the Korean Dream without understanding Korean culture which causes ongoing misunderstandings and social troubles for foreigners and Koreans alike. Language education is the most important element necessary for foreign workers to express their demands and resolve various problems that might surface. The importance of survival Korean education that can stabilize the foundation of living is always relevant, and due to Korean education, social foundations of support can increase after which I hope that various fields and social classes can be brought into one group of Korean education. 국문 초록 외국인 근로자 대상 생활한국어교재 개발 방안 연구 - VKSL 목적을 중심으로 - 선문대학교 교육대학원 외국어로서의 한국어교육 전공 이혜원 지도교수: 최주열 외국인 근로자를 받아들이는 고용허가제가 시행된 지 올해로 10년이 되었다. 현장에서 필요한 외국인 근로자에 대한 한국의 제조업과 농축산업 및 건설업 등의 의존도도 점점 높아지고 있다. 그러나 아직도 이들을 한국 산업사회의 한 축이며 동반자로 보는 시각보다는 그저 국가 간 협약에 의한 이방인으로만 보는 사회적 시각은 변하지 않았다. 4년 10개월이라는 기간을 한국에서 보내고, 재입국률도 점차 늘어나고 있는 외국인 근로자에 대한 시각을 재정립하고 한국에서의 연착륙과 미래의 친한파로 만들기 위한 움직임이 필요한 때이다. 그 첫걸음은 그들이 한국 생활을 시작하면서 겪게 될 문화의 차이를 줄이고 이해의 폭을 넓혀주는 것이며 그러기 위해서 생활한국어 교육이 필요하다. 본고에서는 외국인 근로자를 대상으로 하는 생활한국어 교재 개발을 연구하기 위하여 1장에서는 외국인 근로자의 현 사회적 위치를 통해 그들의 한국생활 안정화와 귀국 후의 친한파 양성을 위한 생활한국어의 필요성을 제안하였다. 그리고 외국인 근로자를 대상으로 하는 논문들의 분석을 통해 현재까지 이루어지고 있는 일련의 연구들을 짚어보았다. 2장에서는 일반한국어 교재의 개발과정을 통해 생활한국어 교재의 개념과 조건을 제시하고 생활한국어 교재의 조건으로 바라본 외국인 근로자 대상 교재를 분석하였다. 시중에서 구입할 수 있는 교재 2종과 기관에서 발행한 교재를 함께 다루어 교육계와 산업현장에서 다루는 한국어의 차이를 알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생활한국어로서의 기준이 될 수 있는 세종학당과 국립국제교류원의 기능별 내용을 소개하고 그 이유를 밝혔다. 3장에서는 생활한국어 교재의 교수요목을 위한 외국인 근로자 사전조사와 그를 통해 작성된 설문조사의 결과를 분석하였다. 특히 외국인 근로자를 학습자가 아닌 생활인으로서의 입장을 알기 위하여 사전 조사를 하여 설문조사 항목을 선정하였다. 4장에서는 한국인과 외국인 근로자 간의 이질감 극복 및 한국 생활 정착을 위한 생활 한국어 교재의 내용을 선정하여 교수요목과 교재의 단원을 구성하였다. 외국인 근로자의 한국 입국부터, 출국, 출국 이후까지 모두 다루어 추후의 재입국이나 주변인 소개 등까지 학습이 되도록 구성하였다. 외국인과 3D 업종에 대한 편견이 남아있는 한국에서 한국문화에 대한 이해없이 코리안 드림만으로 살아가는 것은 그들에게도 그리고 한국인에게도 끊임없는 오해와 사회적 갈등을 야기할 뿐이다. 외국인 근로자들이 자신들의 요구를 표현하며 다양한 문제들을 해소하기 위한 가장 필요한 것은 바로 언어교육이다. 생활의 기반을 안정화시켜줄 생활한국어 교육의 중요성이 지속적으로 이어지고 그로 인한 사회적 지지기반이 늘어나 다양한 분야와 계층을 아우르는 한국어 교육의 한 집단으로 자리 잡기 바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