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목적 : 쌍태아의 출생시 체중을 바탕으로 쌍태아의 태아발육곡선을 그려, 단태아의 발육곡선과 비교하여 그 차이점을 알아보고, 자궁내 태아 발육 부전 및 과체중아의 기준을 마련하여 쌍태아의 주산기 관리의 자료로 사용하기 위함이다. 연구 재료 및 방법 : 1990년 1월부터 2006년 12월까지 전남대학교병원 산부인과에서 분만한 산모에서 태어난 쌍태아 819쌍, 1,638명의 신생아를 대상으로 각 임신 주수에 따른 평균 출생체중, 10백분위 체중, 50백분위 체중, 90백분위 체중을 얻었고 또한 이 결과를 단태아의 발육곡선과 비교하였다. 더불어 태아 성별, 출산력, 융모막의 형태, 보조 생식술 사용 여부에 따라서 각 임신주수에서의 출생체중 또는 성장 불일치 정도를 구하였다. 결과 : 임신 21주에서 40주까지 10, 50, 90 백분위 체중을 가지고 쌍태아 태아 발육 곡선을 작성하였다. 쌍태아의 체중은 임신 33주까지는 단태아와 유사한 성장을 보였으나 그 이후부터는 출생체중의 차이가 더욱 증가하였고 임신 37주 이후부터는 쌍태아의 50백분위 체중이 단태아의 10백분위에 수렴하는 양상을 보였다. 쌍태아에 있어서 경산부가 초산부보다, 이중 융모막이 단일 융모막보다 평균 태아 체중이 더 무거운 것으로 조사되었다. 성별이나 보조 생식술 사용 여부에 따른 태아 체중의 차이는 없었다. 결론 : 쌍태아의 발육 곡선은 단태아와 다른 양상을 보이므로, 쌍태임신시의 임상적 관리는 쌍태임신 고유의 발육곡선에 근거하여야 한다. Objective: To establish intrauterine growth curve for the birth weight of twin on the basis of gestational weeks Material and methods: The medical records of twin pregnancy delivered at the Chonnam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between January 1990 and December 2006 were reviewed. Eight hundred and ninteen twin pairs (1,638 infants) were enrolled our study population. The newborns were grouped according to the gestational age and the mean, 10th, 50th, and 90th percentile of birth weight for each gestational weeks were calculated. Intrauterine growth curve of twin was compared with that of singletons. Results: The birth weight of twin pregnancy fell below that of singleton pregnancy after 33 weeks of gestation. The mean birth weight in multiparity was heavier than in primiparity. The mean birth weight in dichorionic twin was heavier than in monochorionic twin. Conclusion: Twin specific birthweight curve on the basis of gestational age was presented. The growth pattern of twin infants was different from that of singleton infants and this can be used in the management of twin pregnancy.
항공사의 복리후생제도가 직업만족과 지속근무의도에 미치는 영향 : -결혼여부 조절효과 중심으로-
박서연 세종대학교 관광대학원 2018 국내석사
본 논문은 항공사의 복리후생제도가 직업만족과 지속근무의도에 미치는 영향과 복리후생제도와 직업만족, 복리후생제도와 지속근무의도 간의 영향관계에서 결혼여부의 조절효과를 실증하기 위한 연구이다. 선행연구의 일반기업의 복리후생제도를 토대로 항공사 복리후생제도에 적용하여 검증하고, 항공사의 복리후생제도가 직업만족과 지속근무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결혼여부에 따른 직업만족과 지속근무의도를 분석하는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연구목적의 달성을 위해 2017년 8월 1일부터 8월 31일까지 K항공사 남·여 승무원 조사 대상으로 하였다. 표집방법은 편의추출법을 이용하였으며, 최종분석에는 301부의 자료가 사용되었다. 복리후생제도 실행정도의 측정은 자기기입법을 통한 설문조사로 측정하였으며, 조사 자료에 대한 분석은 SPSS Window 18.0 통계패키지를 이용하였다. 빈도분석 및 기술 통계를 사용하여 표본과 변수들의 특성을 파악하였고, 복리후생제도에 대한 요인추출을 위해 탐색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였고, 요인들의 측정 변수에 대한 신뢰성을 검증하기 위해 신뢰도 분석을 하였다. 또한, 복리후생제도와 지속근무의도간의 영향관계에서 결혼여부의 조절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으며, 복리후생제도와 직업만족간의 영향관계에서 결혼여부의 조절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위계적 회귀분석을 재실시하였다. 또한 직업만족의 매개효과 검증을 위해 매개효과 분석을 실시하였다. 그리하여 본 연구의 구체적인 결론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복리후생제도와 지속근무의도간의 영향관계에서 복리후생제도의 하위 요인 중 문화지원, 경제지원, 통근지원 세 개의 요인만이 지속근무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속근무의도에 미치는 영향력의 강도는 경제지원이 가장 크고 문화지원 통근지원 여행지원 건강관리지원 순으로 나타났다. 둘째, 복리후생제도와 직업만족간의 영향관계에 대해 분석한 결과 복리후생제도는 직업만족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하였다. 셋째, 직업만족과 지속근무의도간의 영향관계에서 직업만족은 지속근무의도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복리후생제도와 지속근무의도간의 영향관계에서 결혼여부의 조절효과를 분석한 결과 결혼여부는 조절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미혼집단의 건강관리지원에서 조절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복리후생제도와 직업만족간의 영향관계에서 결혼여부의 조절효과를 분석한 결과 결혼여부는 조절효과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섯째, 복리후생제도와 지속근무의도간의 영향관계에서 직업만족의 매개효과를 분석한 결과, 문화지원과 통근지원은 완전매개, 경제지원은 부분매개효과인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일반기업의 복리후생제도에 집중되어 있던 복리후생제도의 이론을 항공사의 복리후생제도에 적용했다는 점과 항공사의 복리후생제도가 직업만족과 지속근무의도에 영향을 미치고, 복리후생제도와 지속근무의도와의 영향관계에서 결혼여부가 조절효과를 주지만, 미혼집단에게 건강관리지원만이 조절효과를 가진다는 것을 검증했다는 점에서 의의를 가진다. 향후 연구에서는 타 항공사와 저비용항공사를 포함하여 항공사별 복리후생제도의 연구를 확대하여 일반화 시킬 수 있게 노력이 필요하며 숙련된 인력의 손실을 막고 경영성과를 올리기 위해서 좀 더 융통성 있는 휴가 부여와 여행지원제도의 확립이 필요할 것이라 사료된다.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demonstrate the influence of employee benefits packages of airlines on job satisfaction and long-term position, and to prove the moderation effect of marital status in a correlation between employee benefits packages and job satisfaction or employee benefits packages and long-term position. This study aims to verify the influence of employee benefits packages on job satisfaction and long term position based upon previous studies on general companies' employee benefits package, and to analyze the effect of marital status on job satisfaction and long-term position, For the purpose of this thesis, a survey was conducted on K airline female and male cabin crew. In addition, a convenience sampling method and 301 pieces of data in the final analysis were used. In order to measure how well employee benefits packages are provided, the survey was conducted by self-report method and SPSS 18.0 Statistics for Windows were used for data analysis. This study characterizes samples and variables by descriptive and frequency analyses, and conducts a reliability analysis to verify the reliability on measuring variables by factor as well as an exploratory factor analysis to discover factors on employee benefits packages. Furthermore, this paper implements a hierarchical analysis in order to find the moderation effect of marital status in the correlation between employee benefits packages and long-term position, and conducts the hierarchical analysis again to find the moderation effect of marital status in the correlation between employee benefits packages and job satisfaction. On top of that, this thesis carried out a mediating effect analysis to verify the mediation effect of job satisfaction. Accordingly, the conclusion of this study is as follows. First of all, the study indicates that only three factors; support for cultural activities, financial support, and employer-provided shuttle service as sub-factors of employee benefits packages have beneficial influences on long-term position. In addition, it shows that the financial support is the biggest influence on long-term position and it is followed by support for cultural activities and employer-provided shuttle service, travel benefits and health care service. Second, as a result of the analysis of the correlation between employee benefits packages and job satisfaction, employee benefits packages have positive influences on job satisfaction. Third, job satisfaction has beneficial impacts on long-term position in the correlation between job satisfaction and long-term position. Fourth, as a result of the analysis of marital status's moderation effect in the correlation between employee benefits packages and long-term position, marital status has the moderation effect and health care service for single crew has the moderation effect. Fifth, the study shows that marital status does not have the moderation effect as a result of the analysis of marital status's moderation effect in the correlation between employee benefits packages and job satisfaction. Sixth, as a result of the analysis of job satisfaction's meditating effect in the correlation between employee benefits packages and long-term position, support for cultural activities and employer-provided shuttle service are shown as full mediation while financial support is seen as partial mediation. This study has a significant meaning in applying the theory of employee benefits packages to airlines' benefits plan and analyzing the influence of employee benefits packages on job satisfaction and long-term position. In addition, it verifies the fact that marital status has the moderation effect in a correlation between employee benefits packages and long-term position but only health care service for single crew has the moderation effect. A future study needs to expand research on employee benefits packages by airline including other and low-cost airlines to generalize the employee benefits packages. Moreover, it is considered to establish more flexible leave system and travel benefits to improve business performance and minimize skilled manpower losses.
본 연구에서는 표본의 크기가 커짐에 따라 근사적으로 동일(asymptotically equivalent)한 캘리브레이션 추정량(calibration estimator)들의 소표본(small sample) 성질을 비교 분석하였다. 고려된 추정량은 회귀추정량, 레이킹 비 추정량, 그리고 두 추정량 각각에 상한과 하한을 둔 방안이며 다양한 가정 하에서 모의실험을 수행하여 각 추정방안들을 비교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표본의 크기가 상대적으로 적은 부모집단 추정이나 순환표본조사를 이용한 각 주기 별 통계를 작성하기 위하여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돌연변이 IDH1을 보유한 암세포의 이동성과 면역 회피 조절 기전에 관한 연구
암의 대사 신호와 관련된 유전자의 변이와 다양한 대사체들이 암 발생에 직접적으로 기여할 수 있다는 것이 밝혀지면서, 암세포의 대사 경로 조절을 통한 항암제 개발이 주목받고 있다. Isocitrate dehydrogenase 1 (IDH1)은 세포의 에너지 생산 과정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는 효소로, 돌연변이가 발생하면 종양 형성 능력이 증가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변이된 IDH1은 D-2-hydroxyglutarate (D-2HG)와 같은 종양 대사산물을 생성하여 후성유전학적 변형(epigenetic modification)을 유발하고, 이를 통해 암세포의 분화와 성장을 촉진한다고 알려져 있다. 본 연구에서는 섬유육종(fibrosarcoma) 세포에서 IDH1의 arginine 132번 잔기가 cysteine으로 치환된 돌연변이형(IDH1 R132C)을 보유한 HT-1080 세포를 이용하여 IDH1이 암세포의 이동성과 사멸 저항성에 미치는 기능을 조사하고자 하였다. Nuclear factor-erythroid 2-related factor 2 (Nrf2)는 전사인자로서 세포 에너지 대사를 조절하여 세포 보호 기능을 수행하며, 종양미세환경에서 활성산소에 의해 발현이 증가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HT-1080 세포는 다른 세포들과 비교하여 높은 수준의 활성산소종(reactive oxygen species, ROS)을 생성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Nrf2의 발현과 핵 내 이동이 증가한 상태로 관찰되었다. HT-1080 세포에서 IDH1 특이적인 siRNA를 사용하여 IDH1 발현을 억제하였을 때, Nrf2의 핵 내 이동이 현저히 감소함을 확인하였으며, 하위 조절 유전자인 NAD(P)H quinone oxidoreductase 1 (NQO1)과 glutamate-cysteine ligase catalytic subunit (GCLC)와 같은 항산화 효소들의 발현이 억제됨을 관찰할 수 있었다. 또한, 암세포 표면에 존재하여 암세포가 면역 시스템의 공격을 회피하도록 하는 역할을 하는 programmed-death-ligand 1 (PD-L1)의 발현도 IDH1 저해 조건에서 억제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IDH1 R132H와 R132C에 대한 특이적인 저해제로 알려진 AGI-5198과 IDH305를 사용하여 암세포 악성화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농도 의존적으로 HT-1080 세포의 이동 능력과 콜로니 형성 능력이 감소하는 것이 확인되었다. 이에 더하여 암세포 이동의 지표인 간엽성(mesenchymal) 유전자 vimentin의 발현이 AGI-5198과 IDH305 처리에 의해 억제되었으며 동시에 면역회피 유전자인 PD-L1의 발현도 감소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와 같은 결과를 종합하여 볼 때, 돌연변이 IDH1을 보유하고 있는 섬유육종세포에서 IDH1의 활성을 억제함으로써 Nrf2의 발현, 항산화 단백질 및 PD-L1의 발현을 저해하여 암세포의 이동과 면역 회피를 억제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이를 타겟으로 한 대사항암제 개발의 가능성을 제시하는 바이다. Isocitrate dehydrogenase (IDH1) is a component of the citric acid cycle and a key metabolic enzyme. After citrate, which is condensation of the two-carbon molecules and oxaloacetic acid, is dehydrated through the citric acid cycle to isocitrate, IDH1 transfers the hydrogen from isocitrate to NADP+ to produce a-ketoglutarate. Mutant IDH1 promote oxidative decarboxylation of a-ketoglutarate with NADPH to generate D-2-hydroxyglutarate (D-2HG) which is known as induce epigenetic modifications that drive the differentiation and growth of cancer cells. Mutant IDH1 is found in a variety of cancer cells, one of which, HT1080, is a fibrosarcoma with the IDH1R132C mutation, in which arginine at position 132 of IDH1 is replaced by cysteine. Nuclear factor erythroid 2-related factor 2 (Nrf2) is a crucial transcription factor in the cellular antioxidant response and is known to play a role in the survival and metastasis of cancer cells. This study use siRNA to knockdown the expression of IDH1 in HT1080 cells, the expression of Nrf2 and the antioxidant proteins NQO1 and GCLC, which are regulated by Nrf2, decreased. It was found a decrease in PD-L1, a protein that allows cancer cells to evade attack by the immune system. Previously known inhibitors of mutant IDH1 include AGI5198 and IDH305. AGI5198 inhibits tumour growth by interfering with the production of D-2HG in a dose-dependent manner, while IDH305 is a allosteric IDH1 inhibitor interfering D-2HG production and cell proliferation. Treatment of AGI5198 and IDH305 for HT1080 cells also confirmed the reduction of PD-L1 and additionally reduced Vimentin, a crucial protein for cell migration. Treatment of AGI5198 and IDH305 resulted in a decrease in cell migration and a decrease in the colony-forming ability. Taken together, the inhibition of IDH1 activity in HT1080 cells with mutant IDH1 can prevent cancer cell proliferation, migration and immune evasion by inhibiting the expression of Nrf2 and the expression of antioxidant proteins and PD-L1. Overall, the inhibition of IDH1 in fibrosarcoma HT1080 cells harboring mutant IDH1 R132C can prevent growth, proliferation, survival, and immune evasion of cancer cells. Therefore, We suggest the possibility of developing metabolic anticancer drugs targeting mutant IDH1.
비주얼 리터러시 평가 도구 개발과 영어 교과서 분석 : 중학교 1학년 영어 교과서를 중심으로
박서연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2020 국내석사
현대 사회의 새로운 리터러시 유형으로 자리 잡은 다중 문식성 (Multimodal Literacy)은 언어, 이미지, 소리, 몸짓, 움직임 등 의미를 만들 수 있는 모든 매체들을 ‘읽고 쓸 수 있는’ 능력이다. 그 중에서도, 그림, 사진, 그래프, 기호 등의 모든 시각적인 요소를 매체로 하는 비주얼 리터러시(Visual Literacy)에 대한 연구가 주요하게 이루어져 왔다. 비주얼 리터러시는 의사소통을 위해 비주얼이 의미하는 바를 이해하고, 분석하며, 비판적으로 생각하고, 평가하며, 효과적인 비주얼을 생산하여 사용할 수 있는 포괄적인 능력을 의미하는데, 이는 단순히 실용적인 의사소통을 위한 것을 넘어 사회와 문화 전반에 영향을 미치고, 특히 교육적인 측면에서 효과적인 공헌을 할 수 있다. 비주얼 리터러시와 영어 교육에 관하여 진행된 연구들은, 적절한 비주얼을 활용한 영어 교수학습이 학습자들의 영어 학습과 비주얼 리터러시 증진에 도움이 된다고 하였다. 하지만, 지금까지 국내외 영어 교과서와 비주얼 리터러시를 다룬 연구들은 대부분 교과서 내 사용된 시각 자료의 단편적 역할이나 기능에 대한 것으로, 교과서 내 비주얼 요소들이 형식, 내용, 효과 측면에서 어떻게 구성되고, 어느 정도로 도움이 될 수 있는지 등의 종합적인 연구는 미비한 편이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국내외 비주얼 리터러시와 교과서 시각 자료 관련 선행 연구들을 바탕으로, 영어 교과서를 분석할 수 있는 평가 기준을 최초로 개발하였고, 이를 사용하여 중학교 1학년 영어 교과서를 평가하였다. 본 연구자는 이를 크게 네 항목-비주얼의 형식적 측면, 텍스트 내용과의 연관성, 학습 활동과의 연관성, 비주얼의 기능과 효과-으로 분류하였고, 각각의 항목을 7문항으로 구성하여, 총 28문항을 평가 기준으로 하였다. 분석 결과에 따르면 평가 대상이었던 교과서들 대부분 어느 정도 이 기준에 부합한 것으로 볼 수 있었는데, 대체로 비주얼의 형식적인 측면에서는 높은 평가를, 비주얼의 기능과 효과 측면에서는 낮은 평가를 얻는 경향을 보였다. 이는 현재 국내 학교 현장에서 사용되는 영어 교과서가 비주얼 리터러시와 관련하여, 형식적으로는 잘 구성되어 있으나 비주얼의 역할과 기능 측면에서의 효과는 잘 활용되지 못하고 있다는 점을 보여준다. 향후, 학습자들의 영어 학습과 비주얼 리터러시 증진이 보다 효과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교재의 개발에 본 연구 결과가 기여하는 바가 있기를 기대한다.
진학계 고교에서 진로별 교육과정 구현을 위한 학교장의 리더십 연구 : 장애요인과 그 극복을 위한 교육과정 리더십을 중심으로
진학계 고등학교는 학생들이 자신의 흥미, 적성, 능력에 기반해 적합한 진로를 찾고 이를 위한 대학진학을 준비할 수 있도록 안내해야 한다. 진로탐색과정을 고등학교 교육과정으로 구현하는 일은 이러한 고등학교의 역할을 최대한 수행해낼 수 있도록 하며 학생들에게도 과소학습 혹은 불필요한 내용의 과잉학습을 방지할 수 있게 한다. 무엇보다 학생들에게 학교와 수업에 대한 믿음과 만족을 갖게 한다. 그러나 몇몇 높은 교육과정 문해력과 리더십을 가진 학교장이 진로탐색과정을 구현하고 있는 것과는 달리, 일반적인 진학계 고교는 문·이과의 틀 안에서 행정상 편의나 수능대비목적을 위한 교과목들을 획일적으로 제시하거나 학생에게 제한된 선택권만을 부여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진학계 고등학교에서 진로탐색과정을 구현하는 과정에서 학교장에 겪은 장애 요인을 살펴보고 이를 극복한 학교장의 교육과정 리더십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 진로탐색과정을 구현하는 고등학교 4곳을 선정해 2015년 8월부터 사전조사 및 학교장들과의 사전담화를 나누는 것을 시작으로 11월까지 현장탐방, 학교장 및 교직원과의 면담, 자료조사 등을 진행하였다. 연구 참여자와의 면담 외에 주변 인물로 학교교직원과의 면담을 진행하여 연구 참여자와의 면담 내용에 관한 사실여부 확인 작업을 진행하기도 하였고, 각종 문서자료참조, member-checking 등을 사용해 triangulation을 실시하였다. 면담은 선행연구들을 참고해 면담가이드라인을 준비하여 면담을 진행하면서도 상황에 따라 유연하게 추가 질문이 이루어지는 반구조화된 면담을 진행하였다. 면담내용은 1단계 전사와 메모작업, 2단계 코딩작업, 3단계 주제생성이라는 분석의 단계를 거쳐 정리하였다. 또한 밝혀진 장애 요인과 교육과정 리더십 사이의 연관관계와 진로탐색과정을 둘러싼 전체적인 상호작용을 도식화하여 나타내었다. 본 연구를 통해 드러난 학교장이 진로탐색과정을 구현하는 과정에서 겪은 장애 요인은 다음과 같다. 고등학교가 교육과정에 발휘할 수 있는 자율권을 제한하는 시·도교육청의 규제, 학생에게 선택권이 주어지는 교육과정에 익숙지 않는 교사들의 반감, 교과목개설의 증가로 인한 내신부담, 대입결과에 대한 두려움, 교사들과 학부모 설득의 어려움, 예산과 교원부족문제 등이 고등학교 학교장이 진로탐색과정을 구현하는 데 장애 요인으로 작용하였다. 이러한 장애 요인들에 대해 학교장은 학생을 자신의 미래를 설계하고 이에 필요한 선택을 할 수 있는 존재로 바라보며 학생선택형, 수업이 중심이 되는 교육과정을 설계하고 진로지도 담당 교원들을 배치해 학생들의 이러한 선택을 안내하도록 하였다. 또한, 지역교육청을 비롯해 대학입학관계자, 학부모, 교원 등 다양한 교육주체들을 상대로 진로탐색과정의 강점과 특징을 홍보하고 학생들의 교육경험의 질을 높이기 위해 노력하였다. 특히, 진로탐색과정 운영의 핵심이라 할 수 있는 교원들의 지지를 높이기 위해, 지속적인 협력과 소통을 통해 설득하면서 새로운 교원을 영입하고, 학생들을 위한 수업에 집중할 수 있도록 동기부여를 하였다.
박서연 고려대학교 의용과학대학원 2022 국내석사
목적: S-상 심실중격과 심장과 관련된 기저질환, 심장초음파 지표와의 연관성을 알아보고 단순히 노화의 형태로 간과될 수 있는 S-상 심실중격의 중요성을 알아보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병원을 내원한 만 19세 이상 성인남녀 830명을 대상으로 후향적 연구를 진행하였다. 심장 벽 두께에 영향을 주는 질환자, 영상의 질이 떨어지는 수검자를 제외한 257명을 대상으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S-상 심실중격은 기저부와 중위부 중격의 두께 차이가 2mm이상이면서 그 비가 1.5이하인 경우로 정의하였다. S-상 심실중격인 환자군과 정상군으로 나누어 심장초음파로 측정된 지표, 기저질환과의 통계적 유의성을 알아보았다. 결과: 전체 대상자 257명 중 S-상 심실중격이 있는 환자는 126명 (49%), 정상인 환자는 131명 (51%)이었다. 126명 중 남성이 70명 (55.6%), 여성이 56명 (44.4%)으로 남성에게서 호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연령의 증가와 함께 기저부 심실중격의 두께도 증가하였다. 심장초음파 지표와의 상관관계로는 좌심장의 부피와 질량이 정상군보다 크게 나타났으며 이완기 기능이 감소됨을 관찰하였다. 기저질환과의 연관성으로는 고혈압과 당뇨병과는 유의한 연관성을 보였으나, 만성 콩팥병증과 고지혈증과의 연관성은 없었다. 결론: 한국의 고령화 속도는 OECD 국가 중 가장 빠르다. 고령화 인구가 증가함에 따라 병원에 입원하는 노인 환자의 비율이 증가하고 있다. S-상 심실중격은 심장초음파검사에서 관찰되는 심장의 일반적인 형태학적 특징이며, 특히 고령자에서 관찰된다. 성별에 따른 유병률은 연구마다 차이가 있으나 연령이 증가함에 따라 심실중격의 두께가 증가하는 것으로 많은 연구에서 입증되었다. 또한 본 연구를 통해 S-상 심실중격을 가진 환자군의 좌심장의 부피와 질량이 크고, 이완기 기능이 저하되었으며, 고혈압, 당뇨병과의 높은 상관관계를 보였다. 따라서 S-상 심실중격은 심장초음파에서 간과되어서는 안 되는 중요한 지표이며, 향후 더 많은 연구를 통해 조기 고혈압의 중요한 지표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Purpose :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igmoid septum and underlying heart disease and echocardiographic indicators, and to suggest the importance of the Sigmoid septum, which can be simply overlooked as a form of aging. Subjects and Methods : A retrospective study was conducted on 830 adult males and females 19 years of age or older who visited the hospital. The study was conducted on 257 patients, excluding those with diseases affecting the thickness of ventricular septum was defined as a case when the thickness difference between the basal and middle septum was more than 2mm and the ratio was less than 1.5.The statistical significance of the index measured by echocardiography and the underlying disease was investigated by dividing the patients into Sigmoid septum group and the normal group. Results : Of the total 257 subjects, 126 (49%) had Sigmoid septum and 131 (51%) were normal patients. Among the 126 patients, 70 (55.6%) were male and 56 (44.4%) were female, indicating that males were the most common. Moreover, the thickness of the basal ventricular septum increased with increase of age. As for the correlation with echocardiographic parameters, the volume and mass of the left heart were larger than those of the normal group, and a decrease in diastolic function was observed. When it comes to the association with the underlying disease, there was a significant association with hypertension and diabetes mellitus, but there was no significant association with chronic kidney disease and hyperlipidemia. Conclusion: Korea's aging rate is the fastest among OECD countries. As the elderly population increases, the proportion of elderly patients in hospitals is also increasing. Sigmoid septum is a common cardiac morphological characteristic observed on echocardiography, especially in the elderly. The frequency of prevalence according to gender differed from study to study, but it has been proven that the thickness of the ventricular septum increases with age in many studies. In addition, through this study, the left heart volume and mass of the patient group with Sigmoid septum were large, diastolic function was decreased, and high correlation with hypertension and diabetes was shown. Therefore, the Sigmoid septum is an important indicator that should not be overlooked during echocardiography, and it is expected that it can be used as an important indicator of early hypertension through more studies in the future.
The purpose oh this study is to generate a entity theory that defines what motivated non-profit organization donors to start making donations, what experiences they had in the process, and how they grew up as major donors. Furthermore, based on the theory, this study intends to establish a strategy for developing and managing major donors for non-profit organizations to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specific measures to enhance the stability and continuous development of the organization's financial resources. Sample was drawn from major donors who give more than $100 thousand and give more constantly. Afterwards, six participants with researchers and Lapo were selected for in-depth interviews. The collected data was analyzed based on the Grounded Theory, and the following results were derived from the start of non-profit organization donors' donation activities and the process of growing into major donors. After conducting open coding, 61 concepts, 26 subcategories, and 11 categories were drawn. According to the results of categorical analysis by the paradigm in axial coding, the causal conditions of the donor's high donation process were ‘learning through education and observation', ‘realization of faith and values', and ‘heart for others'. The contextual conditions were ‘to face the cause of donation' and ‘to stabilize the financial situation'. The central phenomenon was ‘planning and practicing donation', and the mediation conditions are ‘experiencing feedback on donation', ‘evaluating competency to donation organizations', and ‘experiencing benefits as donors'. The action/interaction strategy was ‘to spread sharing’, and the result was ‘to plan better donations’. Based on the results of the study, non-profit organization major donors showed the following characteristics. First, the non-profit organization's major donors begin to donate while observing and experiencing sharing from family and society during their growth period, and have their own donation philosophy and beliefs. Second, the non-profit organization's major donors are very active in exploring donor organization before deciding on donations. Third, in order for donors to grow into major donors, it is important to have an experience of starting a donation once. Fourth, in the process of becoming major donors, positive feedback on donations and positive evaluation of the competence of donor organizations play an important role. Finally, major donors of non-profit organizations hope that their donations will contribute to social change and the settlement of donation culture as well as positive changes in clients. Based on the results of these studies, the strategies for promoting major donors by non-profit organizations are as follows: First, non-profit organizations should establish a more active approach-enhancing strategy for developing potential major donors. Second, securing the credibility of donor organizations is essential for non-profit organization donors to grow into m donors. Therefore, it is most important for non-profit organizations to gain the trust of donors by transparent fund management, responsible business performance and professional service provision. Third, it needs to improve the staff capacity of non-profit organizations. Staff training strategies should be formulated to train employees with practical skills and expertise in dealing with major donors. Fourth, non-profit organizations should present special donation programs for major donors.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can be used as a basis for promoting major donation of non-profit organizations by attempting to gain an in-depth understanding of the process in which donors of non-profit organizations grow into major donors. Subsequent studies will be richer and more sophisticated research to be carried out if they have as many participants as possible and carry out the study over a long period of time. 본 연구는 비영리조직 기부자가 기부를 시작하게 된 동기가 무엇이고, 그 과정에서 어떤 경험들을 했으며, 어떤 과정을 통해 고액기부자로 성장하게 되었는지에 대한 이론을 도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나아가 도출된 이론을 바탕으로 비영리조직의 고액기부자 개발 및 관리 전략을 수립하여 조직의 재원 안정성과 지속적인 발전가능성을 높이는 구체적인 방안을 마련하는데 기여하고자 함이다. 본 연구에서는 비영리기관의 고액기부클럽에 등재되어 있는 고액 후원자의 리스트에서 1억원 이상을 기부한 기부자를 1차 선정하고, 연구자와 라포가 형성되어 있는 참여자 6명을 2차 선정하여 심층 면접을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근거 이론을 바탕으로 분석되었으며, 분석 결과 비영리조직 기부자의 기부활동 시작과 고액기부자로 성장하는 과정에서 61개의 개념들이 나타났으며, 26개의 하위범주와 11개의 상위범주가 도출되었다. 패러다임에 의한 범주 분석을 통한 비영리기관 기부자의 고액기부과정의 인과적 조건은 ‘교육과 관찰을 통해 배움’, ‘신념과 가치의 실현’, ‘타인을 위한 마음’ 이었고, 맥락적 조건은 ‘기부 명분을 접함’, ‘재정상황의 안정’, 이었다. 중심현상은 ‘기부를 계획하고 실천함’이었고, 중재적 조건은 ‘기부에 대한 피드백을 경험’, ‘기부단체에 대한 역량 평가’, ‘기부자로서의 혜택을 경험’으로 나타났다. 작용/상호작용 전략은 ‘나눔을 확산시킴’이었으며, 그 결과는 ‘더 나은 기부를 계획함’으로 나타났다.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도출된 비영리조직 고액기부자들은 다음과 같은 특징을 나타내었다. 첫째, 비영리조직 고액기부자들은 성장기에 가족과 사회로부터 나눔을 관찰하고 경험하면서 기부를 시작하게 되며, 자신만의 기부철학과 신념을 가지고 있다. 둘째, 비영리조직 고액기부자들은 기부를 결정하기에 앞서 매우 적극적으로 기부처를 탐색하는 것으로 보고되었다. 셋째, 기부자가 고액기부자로 성장하기 위해서는 일단 기부를 시작하는 경험을 하는 것이 중요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넷째, 고액기부자가 되는 과정에서 기부에 대한 긍정적인 피드백과 기부단체의 역량에 대한 긍정적 평가가 중요하게 작용한다. 마지막으로 비영리조직의 고액기부자들은 자신들의 기부가 수혜자의 긍정적 변화는 물론 사회적 변화와 기부문화 정착에 기여할 수 있기를 바란다. 이러한 연구 결과에 따른 비영리조직의 고액기부 활성화를 위한 전략은 다음과 같다. 첫째, 비영리조직은 잠재적 고액기부자 개발을 위한 보다 적극적인 접근성 강화 전략을 수립해야 한다. 둘째, 비영리조직 기부자가 고액기부자로 성장하기 위해서는 기부단체의 신뢰성 확보가 필수적이다. 따라서 비영리조직은 투명한 기금 운용, 책임 있는 사업 수행, 전문성 있는 서비스 제공으로 기부자의 신뢰를 얻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 셋째, 비영리조직의 직원 역량 향상이 필요하며, 고액기부자를 대하는 실무적 능력과 전문성을 갖춘 직원을 양성하기 위한 교육 전략을 수립해야 한다. 넷째, 비영리조직은 고액기부자들에 대한 차별적인 기부 프로그램을 제시해야 한다. 본 연구는 비영리조직의 기부자가 고액기부자로 성장하는 과정에 대한 심층적인 이해를 시도함으로써 비영리조직의 고액기부 활성화를 위한 근거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후속 연구에서는 가능한 많은 수의 대규모 참여자를 확보하여 오랜 기간 연구를 수행한다면 보다 풍부하고 정교한 연구가 수행될 수 있을 것이다.
사회복지담당 공무원의 동기유형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 MZ세대와 기성세대 간 비교
박서연 제주대학교 보건복지대학원 2025 국내석사
사회복지서비스가 다양하게 증가하고 대상자가 보편화 되면서 사회복지 업무를 담당하는 공무원은 전문적이면서 종합적이고 높은 수준의 질적 서비스를 제공하게 되었다. 이런 환경 속에서 공직사회에서는 MZ세대와 기성세대 간 갈등이 심화되고 있는 상황이다. 본 연구는 세대별 동기유형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여 궁극적으로 조직의 성과, 업무의 효율성 및 사회복지 서비스 제공의 바람직한 변화를 이끌어낼 수 있는 방안 마련을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연구를 위해 2024년 1월 3일부터 약 1개월간 제주특별자치도 내에 사회복지업무를 담당하는 공무원 348명을 대상으로 설문지 직접 배포 및 우편을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불성실한 응답 5부를 제외하고 343부를 연구에 활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IBM SPSS Statistics 23.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신뢰도분석, 빈도분석, 기술통계, 독립표본 t검정(t-test), 일원배치 분산분석(ANOVA), 상관관계분석, 다중회귀분석 등을 실시하였다. 분석에 따른 본 연구의 주요 결과에 대한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사회복지담당 공무원 전체의 경우 내재적 동기의 하위요인 중 성취감, 외재적 동기의 하위요인 중 승진, 보수 및 보상, 후생복지가 직무만족에 유의미한 정(+)적 영향을 미쳤다. 둘째, MZ세대 사회복지담당 공무원은 외재적 동기 하위요인 중 승진, 보수 및 보상, 후생복지가 직무만족에 유의미한 정(+)적 영향을 미쳤다. 즉, MZ세대 사회복지담당 공무원은 기성세대와는 다르게 승진, 보수 및 보상, 후생복지가 직무만족을 증가시키는 요인으로 나타났다. 셋째, 기성세대 사회복지담당 공무원은 내재적 동기 하위요인 중 도전, 외재적 동기 하위요인 중 업무자율성이 직무만족에 유의미한 정(+)적 영향을 미쳤다. 즉, 기성세대 사회복지담당 공무원은 MZ세대와는 다르게 도전과 업무자율성이 직무만족을 증가시키는 요인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MZ세대와 기성세대 사회복지담당 공무원 모두에게 내재적 동기 하위요인 중 성취감이 직무만족에 유의미한 정(+)적 영향을 미쳤다. 즉, MZ세대와 기성세대 사회복지담당 공무원의 공통점은 성취감이 직무만족에 영향을 미친다는 점이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기반으로 하여 MZ세대와 기성세대 사회복지담당 공무원의 직무만족을 향상시키는 공통 요인과 다른 요인이 있음을 검증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세대별 맞춤형 직무만족 향상 방안 및 세대 간 갈등 해소 대응 마련의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연구의 의의가 있다. 주제어 : 사회복지담당 공무원, MZ세대, 기성세대, 동기유형, 직무만족 As social welfare services have increased in various ways and targets have become more common, public officials in charge of social welfare work have provided professional, comprehensive, and high-quality services. In this environment, conflict between the MZ generation and the older generation is intensifying in the public offic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effect of generational motivation types on job satisfaction and provide basic data for preparing a plan that can ultimately lead to desirable changes in organizational performance, work efficiency, and social welfare service provision. For this study, data were collected through direct distribution of questionnaires and mail to 348 public officials in charge of social welfare work in Jeju Special Self-Governing Province for about a month from January 3, 2024, and 343 copies were used for the study, excluding 5 copies of unfaithful responses. Frequency analysis,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ANOVA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conducted using the IBM SPSS Statistics 23.0 program. The main research results according to the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 in the case of all social welfare officials, among the sub-factors of intrinsic motivation, achievement among the sub-factors of intrinsic motivation, promotion, remuneration and compensation, and welfare among the sub-factors of external motivation had a significant positive (+) effect on job satisfaction. Second, for MZ generation social welfare officials, promotion, remuneration and compensation, and welfare among the sub-factors of external motivation had a significant positive (+) effect on job satisfaction. In other words, for MZ generation social welfare officials, promotion, remuneration and compensation, and welfare were found to be factors that increase job satisfaction, unlike older generations. Third, for the social welfare officials of the older generation, challenge among the intrinsic motivation sub-factors and work autonomy among the external motivation sub-factors had a significant positive (+) effect on job satisfaction. In other words, unlike the MZ generation, challenges and work autonomy were found to be factors that increase job satisfaction for the older generation of social welfare officials. Lastly, among the intrinsic motivation sub-factors of both the MZ generation and the older generation of social welfare officials, a sense of accomplishment had a significant positive (+) effect on job satisfaction. In other words, what the MZ generation and the older generation of social welfare officials have in common is that a sense of accomplishment affects job satisfaction. Based on the above research results, it was verified that there are common factors and other factors that improve job satisfaction of MZ generation and older generation social welfare officials. Through these results, the study is meaningful in providing basic data for preparing customized job satisfaction improvement measures for each generation and response to conflict resolution between generations. Keywords : Social Welfare Officials, MZ Generation, Older Generation, Motivation Types, Job Satisfaction
자아탄력성과 사회지원이 학업성취압력으로 인한 부적응의 완화에 미치는 효과 탐색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ation of moderating effect on the relation of between academic achievement pressure and maladjustment. The subjects for this study were 379 students (221 boys and 158 girls) in the fifth and sixth grades of elementary school. I asked them to complete questionnaire about academic achievement pressure, academic stress, maladjustment, ego-resilience and social support. The result of this study was as followings: First, the ego-resilience moderated the relation between academic achievement pressure and maladjustment. Second, the social support moderated the relation between academic achievement pressure and maladjustment.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and suggestions for future were discuss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