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유아 성교육프로그램 개발연구

        배애성 동덕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9663

        본 연구는 유아교육기관에서 유아를 대상으로 유아교사가 실시할 수 있는 성교육 프로그램 개발연구로 유아 성교육프로그램에 적절한 주제와 주제별 교육 과정에 대한 문헌 고찰과 제 7차 유치원 교육과정의 내용을 바탕으로 성교육 일일계획안을 구성하고 그 일부를 검증 하였다. 성교육 일일계획안은 ‘기본생활습관 및 청결교육’, ‘신체에 관한 지식’, ‘임신과 태아의 성장’, ‘출생’, ‘사람의 성장’, ‘양성평등’, ‘유괴 및 성폭력 예방교육’ 등 7가지 주제와 ‘깨끗한 몸이 좋아요’, ‘올바른 화장실 사용법’, ‘남자와 여자’, ‘남녀의 생식기’, ‘임신(수정과 착상)’, ‘태아의 성장’, ‘나는 어떻게 태어났을까?,’ ‘우리는 계속자라요’, ‘남자·여자의 직업’, ‘함께 하는 집안 일’, ‘남자·여자는 서로 평등해요’, ‘좋은 접촉과 나쁜 접촉’, ‘이럴 때는 이렇게 해요’, ‘내 몸은 내가 지켜요’, ‘싫어요! 안돼요! 하지마세요!’, ‘내 몸의 주인은 나’등의 세부 주제가 포함되었다. 일일계획안의 적용에 필요한 교재·교구를 제작하여 유아교육전문가 6인에게 성교육 일일계획안의 내용타당도를 검증 받아 완성된 성교육 프로그램의 일부를 경기도에 소재한 E어린이집의 종일반 유아 12명(만5세)을 대상으로 5회에 걸친 예비연구로 검증하였다. 유아대상 성교육을 위한 성교육 프로그램 일일계획안의 구성과 교수매체, 그리고 예비연구과정과 결과를 요약하였고 후속연구를 통해 보완될 제안점을 포함하였다. The goal of this study was to develope a sex-education program that teachers can use with children in preschool settings. Based on the results from relevant research and the 7th Kindergarten Education Curriculum, a daily sex education plan was developed. The daily plan contains 7 main topics including: ‘basic habits and attitudes’, ‘personal hygiene’, ‘knowledge about my body’, ‘pregnancy and pre-natal growth’, ‘the birth’, ‘human growth and development’, ‘sexual equality’, and ‘child abduction and sexual abuse prevention’. Each topic is subdivided into smaller topics like ‘I like clean body’, ‘men and women’, or ‘how was I born?, ‘I can protect myself,’ and ‘No!, No!, No!’ The content validity of the daily sex education plan was conducted using 6 child-education experts regarding the appropriateness of the content and the teaching materials used. Using twelve 5-year-olds at E-nursery school in Kyunggi Do, the daily plan was implemented as part of the pilot study. Results from the pilot study and suggestions for future development and implementation of preschool sex education program are included.

      • 공무원의 인적자원개발이 자기개발 동기, 인적자원관리 추진강도, 프로티언 경력태도를 매개로 공직가치 내재화에 미치는 영향

        윤혜신 동덕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23 국내박사

        RANK : 249647

        본 연구의 목적은 공무원의 높은 공직가치 인식 형성과 혁신적 행동 촉진을 위해 공무원의 인적자원개발 전략이 효율적으로 설계되었는지에 대한 실증 분석을 통해 향후 발전 방안을 모색하는 데 있다. 공무원 인적자원개발의 궁극적인 목표이자 지향점은 공무원들의 공직가치 내재화 즉, 공직가치 인식에 기반 한 혁신 행동의 발현이기 때문이다. 본 연구에서는 심리적 관점에서 자기개발 동기, 조직적 관점에서의 인적자원관리 추진강도, 개인적 관점에서 프로티언 경력태도 등 3개 변인을 매개로 인적자원개발과 공직가치 내재화 간의 구조적 인과관계를 규명함으로써 공무원의 인적자원개발 전략 재설계의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나아가 중앙부처 및 지방자치단체 소속 교육훈련기관들의 공직가치 교육체계수립과 교육과정 개편 방향에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한다. 자료 수집을 위해 2022년 6월 1일부터 6월 31일까지 약 1개월에 걸쳐 국가공무원인재개발원 2022년도 5급 승진자과정에 참여했던 교육생 약492명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총 324부를 최종 분석에 사용하였다. 각 변인별 측정 하위요인은 다음과 같다. 인적자원개발은 교육훈련(4문항), 경력개발(3문항), 조직개발(2문항)을 하위요인으로 총 9문항으로 구성되었다. 자기개발 동기는 자율적 동기(13문항), 타율적 동기(9문항)를 하위변인으로 총 22문항으로 구성되었다. 인적자원관리 추진강도는 명확성(3문항), 일관성(3문항), 합의성(4문항)을 하위요인으로 총 10문항으로 구성되었다. 프로티언 경력태도는 자기주도성(5문항), 가치지향성(6문항)을 하위변인으로 총 11문항으로 구성되었다. 공직가치 내재화는 공직가치 인식(5문항), 혁신행동(7문항)을 하위변인으로 총 12문항으로 구성되었다. 자료의 분석은 SPSS 26.0과 SPSS PROCESS macro 4.0을 활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개인 배경변인에 따른 공무원 인식 정도를 살펴보았다. 먼저 성별에 따라 공무원의 인적자원개발과 인적자원관리 추진강도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났으며, 남성이 여성보다 더 높게 나타났다. 연령에 따른 차이에 있어 독립변인, 매개변인, 종속변인들 간의 관계에 있어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입직 경로에 따라 민간경력채용으로 입직한 공무원들이 프로티언 경력태도와 공직가치 내재화, 그리고 하위변인인 조직개발, 명확성, 자기주도성, 공직가치 인식에서 공개채용으로 입직한 공무원들보다 더 높게 나타났다. 둘째, 세 변인 간의 관계에서 공무원의 인적자원개발은 자기개발 동기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자기개발 동기는 공직가치 내재화에 정적인 영향을, 공무원의 인적자원개발은 공직가치 내재화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공무원의 인적자원개발은 인적자원관리 추진강도에 정적 영향을 미치고, 인적자원관리 추진강도는 공직가치 내재화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으나, 공무원의 인적자원개발은 공직가치 내재화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공무원의 인적자원개발은 프로티언 경력태도에 정적영향을 미치고, 프로티언 경력태도는 공직가치 내재화에 정적인 영향을, 공무원의 인적자원개발은 공직가치 내재화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독립변인인 공무원의 인적자원개발과 매개변인 3개가 동시에 투입되어 공직가치 내재화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공무원의 인적자원개발과 공직가치 내재화의 관계에서 인적자원관리 추진강도와 프로티언 경력태도 간의 관계에서 완전매개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독립변인과 매개변인, 종속변인의 병렬다중매개효과의 통계적 유의성을 검증하기 위해 부트스트래핑(bootstrapping)을 실시한 결과, 공무원의 인적자원개발이 공직가치 내재화에 미치는 영향의 경로에서 직접효과는 유의하지 않았다. 또한 매개변인 3개가 투입되었을 때 자기개발 동기는 매개효과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제외한 인적자원관리 추진강도와 프로티언 경력태도의 경우, 간접효과가 유의하였음을 알 수 있다. 본 연구결과에 대한 결론과 제언은 다음과 같다. 첫째, 공무원의 인적자원개발은 공직가치 내재화에 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단순 관계 연구 차원을 확장하였다. 그 결과 인적자원관리 추진강도 및 프로티언 경력태도를 매개로 공직가치 내재화가 실현 가능하다는 연구 결과가 도출되었다. 이는 향후 공무원의 인적자원개발 방향 설정에 긍정적인 의미를 부여할 수 있을 것이다. 둘째, 공무원의 인적자원개발은 자기개발을 위한 심리적 관점에서의 동기 부여 기제도 중요하지만 인적자원관리를 위한 조직차원에서의 강력한 의지와 자기혁신을 위한 변화 모색을 주도하는 개인차원의 경력태도를 촉진하고 유인할 때 공직가치를 내재화할 수 있다. 이 결과는 공무원의 인적자원개발 실행 전략에 유용한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셋째, 공무원의 인적자원개발과 공직가치 내재화의 관계에서 공무원의 인적자원개발의 하위요인 중 조직개발은 공직가치 내재화에 유의미하기에 민간기업의 인적자원개발 전략과는 차별적인 접근이 필요하다. 공직가치 교육은 조직문화, 리더십 분야로 확장해 나가야 함을 시사하고 있다. 향후 교육훈련과정에서 공직자의 가치관, 인식, 태도를 고려하여 동기형성 과정을 심층적으로 분석하여 구조화 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future development plans through empirical analysis on whether public officials' human resource development strategies are efficiently designed to form high public service value awareness and promote innovative actions. This is because the ultimate goal and goal of human resource development for public officials is the internalization of public service value, that is, the expression of innovative behavior based on the recognition of public service value. This study aims to suggest the direction of redesigning public officials' human resource development strategies by investigating the structural causal relationship between human resource development and internalization of official value through three variables: self-development motivation, organizational human resource management intensity, and protean career attitude. Furthermore, it is intended to provide implications for the direction of establishing the public service value education system and reorganizing the curriculum of education and training institutions belonging to central ministries and local governments. To collect data, an online survey was conducted on about 492 trainees who participated in the Level 5 promotion process of the National Institute of Public Officials Human Resources Development in 2022 for about a month from June 1 to June 31, 2022, and a total of 324 copies were used for the final analysis. The sub-factors of measurement for each variable are as follows. Human resource development consisted of a total of 9 questions as sub-factors of education and training (4 questions), career development (3 questions), and organizational development (2 questions). Self-development motivation consisted of a total of 22 questions with autonomous motivation (13 questions) and batting average motivation (9 questions) as sub-variables. The intensity of human resource management promotion consisted of a total of 10 questions with clarity (3 questions), consistency (3 questions), and consensus (4 questions). The protean career attitude consisted of a total of 11 questions as sub-variables of self-directedness (5 questions) and value orientation (6 questions). Internalization of public service value consisted of a total of 12 questions, with sub-variables such as recognition of public service value (5 questions) and innovative behavior (7 questions). SPSS 26.0 and SPSS PROCESS macro 4.0 were used for data analysi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degree of public official awareness according to individual background variables was examined. First, according to gender, the intensity of human resource development and human resource management promotion of public officials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and men were higher than women. In terms of age differences,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independent variables, mediators, and dependent variables. Depending on the path of employment, civil servants employed by private career recruitment were higher than those employed by open recruitment in terms of protean career attitude, internalization of public service value, and sub-variables such as organizational development, clarity, self-direction, and recognition of public service value. Secon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hree variables, it was found that public officials' human resource development had a positive effect on self-development motivation, self-development motivation had a positive effect on internalization of public official value, and public officials' human resource development had a positive effect on internalization of public official value. The human resource development of public officials has a positive effect on the intensity of human resource management, and the intensity of human resource management has a positive effect on the internalization of public official value, but the human resource development of public officials h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It was found that the human resource development of public officials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internalization of public service value, and that the internalization of public service value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internalization of public service value. Third, we examined the impact of the development of human resources of public officials, which are independent variables, and the internalization of public office value by putting three parameters at the same time. It was found to have a complete mediating effec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intensity of human resource management promotion and the protean career attitud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human resource development and internalization of public service value. Specifically, as a result of bootstrapping to verify the statistical significance of the parallel multiple mediating effect of independent variables, mediators, and dependent variables, the direct effect of public officials' human resource development on internalization of public office value was not significant. In addition, when three parameters were input, the motivation for self-development was found to have no mediating effect. Excluding this, it can be seen that the indirect effect was significant in the case of the intensity of human resource management promotion and the protean career attitude. The conclusions and suggestions for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simple relationship research dimension was expanded that the human resource development of public officials will have a positive effect on the internalization of public office value. As a result, research results were derived that internalization of public office value can be realized through the intensity of human resource management promotion and the protean career attitude. This could have a positive meaning in setting the direction of human resource development for public officials in the future. Second, human resource development of public officials is important from a psychological perspective, but it can internalize public service value when promoting and attracting individual-level career attitudes that lead to strong will for human resource management and seeking change for self-innovation. This result can be used as useful data for public officials' strategy for implementing human resource development. Thir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human resource development and internalization of public service value, organizational development among the sub-factors of human resource development of public officials is significant in internalizing public service value, so a different approach from the human resource development strategy of private companies is needed. This suggests that public service value education should be expanded to the fields of organizational culture and leadership. In the future, it will be necessary to analyze and structure the motivation formation process in depth in consideration of the values, perceptions, and attitudes of public officials in the education and training process.

      • 초등학교 영어학습을 위한 스토리텔링의 학습방안에 관한 연구

        신현아 동덕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1 국내석사

        RANK : 249647

        본 연구는 우리나라에서 1997년 영어 조기교육이 도입된 지 수년이 지난 현재 초등학교 학생들이 영어를 사용하여 원활한 의사소통을 하고 바람직한 세계화의 주역으로 육성하기 위한 영어 지도방안의 하나로 스토리텔링(storytelling)을 활용하는 방안을 모색하는 것이었다. 연구의 기본 틀은 자연적 접근법(Natural Approach)을 사용하였다. 자연적 접근법은 모국어 습득과정이론에 기초하여 어머니가 아이에게 지속적으로 이야기를 들려주면 그 아이는 어느 순간 발화를 하게 되는 원리이다. 이와 같은 자연적 접근법의 하나라고 할 수 있는 스토리텔링(storytelling)은 동화를 사용하여 영어를 익힘으로써 초등학교에서 아이들이 영어에 대한 친근감을 갖게 되고 영어에 대한 두려움을 극복할 수 있으며, 자신감과 흥미를 부여하여 재미있는 과목이라는 동기를 가질 수 있도록 해준다. 또한 국어, 수학, 사회, 문학 등 타 교과과목의 학습에도 상당한 도움이 됨을 알았다. 스토리텔링(storytelling)을 영어 수업에 활용하기 위해서 내용적인 면과 방법적인 면을 다음과 같이 고려하였다. 첫째, 내용적인 측면에서 스토리텔링(storytelling)은 아동 문학을 비롯한 다양한 영역에서 그 소재를 얻을 수 있는 아동의 흥미와 언어수준 등을 고려하여 스토리를 선정하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 둘째, 방법적인 측면에서는 교사의 스토리텔링(storytelling) 방법을 중요하게 생각하여 발음과 몸짓 등을 원어민과 같이 사용할 수 있도록 준비하는 노력을 강조하였다. 그리고 아동의 참여를 극대화시키기 위해 스토리텔링(storytelling) 중에 등장인물의 역할을 학생들이 맡도록 하는 역할극과 각종 게임을 병행하여 영어학습효과를 제고하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도출된 문제점은 스토리텔링(storytelling)을 활용하는 데에는 교사의 영어 구사 능력, 이야기를 효과적으로 들려줄 수 있는 방법상의 문제, 교수요목 설계와 자료 제작의 어려움, 아이들의 낮은 언어 수준, 지도할 어휘와 문장 길이 제한 등이 도출되었다. 따라서 스토리텔링(storytelling)을 활용한 수업의 성패는 교사가 얼마나 체계적으로 수업준비를 하고 원어민에 가까운 영어를 구사하느냐에 달려 있음에도 불구하고 다소 미흡한 상태에서 실험수업을 진행한 점이다. 따라서 교사가 충분한 사전 준비만 가능하다면 저학년의 경우 비록 영어가 아닌 타과목 수업목표달성에도 효과적이라고 생각된다. 현행 초등학교 영어 교과서에서 문학이 비중있게 다루어지지 않고 있는 현실을 감안할 때, 아동 문학 작품을 많이 활용하는 스토리텔링(storytelling) 영어 수업은 영어의 학습과 더불어 문학 교육도 병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초등학교 영어교육에서 스토리텔링(storytelling)을 활용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제언한다. 첫째, 현행 영어 수업에서 스토리텔링(storytelling) 수업은 주로 특별활동을 통해서 이루어지고 있는 데 향후는 정규 수업시간에 좀더 많은 시간을 할애할 수 있도록 교과과정을 조정할 필요가 있다. 둘째, 기존의 영어 이야기책의 상당수는 현행 교육 과정에서 제시한 어휘의 수준을 벗어나 있으므로, 현행 교육과정의 기본 어휘수를 상향조정하여 스토리텔링(storytelling) 수업이 동화교육과 영어교육이 동시에 이루어 질 수 있도록 제도적 변화가 요구된다. 셋째, 정규 영어 수업이나 특별 활동 영어시간에 적용하고자 하는 교사들을 위해 재구성 없이 직접 수업에 활용할 수 있는 스토리텔링(storytelling) 교재가 개발되어야 한다. 본 고에서 제시한 주요 스토리 북은 좋은 예가 될 것이다. 넷째, 초등학교 영어 수업은 가능하면 영어로 진행되도록 제도적으로 뒷받침하여야 한다. 어릴 때부터 영어에 많이 노출될수록 교육적 효과는 크게되며 영어에 대한 생각이 독해중심에서 의사소통중심으로 바뀌어지도록 하여야 할 필요가 있기 때문이다. 다섯째, 스토리텔링(storytelling)을 효과적으로 하기 위한 소품 및 그에 따른 녹음 테이프나 비디오 테이프 등 다양한 자료 제작에 관한 연구가 계속되어야 한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가 기초가 되어 앞으로 제작되는 초등학생을 위한 영어 교재에 스토리텔링(storytelling)이 많이 소개되기를 바라며, 이 분야에 대한 보다 깊이 있는 연구가 계속되기를 바란다.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study method of using storytelling which has positive effectiveness in teaching mother's storytelling, It can be used effectively to the elementary school in English class. This thesis was practiced under Natural Approach Method in learning foreign Language. For carrying out this study, First, I investigated some related teaching learning theory and studied about storytelling through literature survey. Second, I suggested the techniques of storytelling that can be used elementary school in English class, and sought the available activity for learning English such as game, role play, writing etc.. Third, I showed a teaching procedure on the basis of gathered materials, and the effectiveness of learning method with the application of the devised teaching procedure and showed its results.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Storytelling class is, a few times, setup at special activity time in school, but that class must be a regular curriculum in todays. Because english storytelling learning method is certificated as a very efficient teaching and learning method in the many of past survey. Second, Because many of existent English storybooks are beyond level of vocabulary for the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current training courses, Our educational system's change is required of change in the English learning and teaching method on class, so that English storytelling study can be a alternative policy of English class in current training courses. Third, Useful storytelling teaching material such as storybooks, name card, game card, big and small book, pictures has to be developed by educational expert. Forth, Primary school English class must to be practised in English class if it is possible in systematically. It is should be continued that Manufacturing of various teaching data such as properties and recording tape or videotape for storytelling in effective. In spite of this positive effectiveness, teaching effectiveness, teaching english gives some burden to the teacher. In order to overcome these difficulties, storytelling in elementary school English class should be developed and further studies on this field is expected.

      • 통합적 국악교육 프로그램이 유아의 국악 이해도에 미치는 영향

        하재은 同德女子大學校 敎育大學院 2003 국내석사

        RANK : 249647

        본 연구는 통합적 국악교육 프로그램이 유아들의 국악에 대한 이해 및 표현, 친밀도에 미치는 영향이 있는지를 검증해 보는데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에 따라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1) 통합적 국악교육 프로그램은 유아들의 국악에 대한 이해도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 1)-1 통합적 국악교육 프로그램이 국악기에 대한 이해 능력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 1)-2 통합적 국악교육 프로그램이 국악 장단의 이해와 적용 능력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 2) 통합적 국악교육 프로그램이 국악의 표현 활동 및 창작 능력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 3) 통합적 국악교육 프로그램이 유아들의 국악에 대한 참여도와 친밀도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 본 연구는 현재 국악전문교사에게 기능적 측면의 국악수업을 받고 있는 Y 유치원 만 5세 유아 56명을 대상으로 2003년 3월 25일부터 7월 16일까지 예비검사, 사전검사, 본실험, 사후검사의 순서로 총 16주에 걸쳐 실시되었다. 예비 검사를 통해 질문의 유형 및 내용을 수정한 사전검사는 총 8문항으로 테스트 후 f-test하여 가장 등질화 된 두 집단(실험집단 28명, 통제집단 28명)을 선정하였다. 16회에 걸쳐 실험집단에 통합적 유아국악교육 프로그램을 실시한 후, 두 집단의 국악에 대한 이해도 및 친밀도를 측정하기 위해 총 44문항의 사후 검사를 1:1 면접으로 실시하였다. 사후 검사의 국악의 인지도는 개념의 특성을 고려하여 2단계 혹은 3단계로 나누어 이를 0-2점까지 점수화 하였다. 또 친밀도 검사는 유아들의 반응과 참여의 정도를 구분하여 11개 항목을 5단계로 나누어 0-4까지 점수화 하였고, 검사의 신뢰성을 높이기 위해 일주일 간격으로 4회에 걸쳐 실시하였다. 이상과 같은 절차에서 얻어진 결과는 SPSS 10.0 version 프로그램으로 전산 처리하여 t-test로 검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통합적 국악교육이 유아의 국악 인지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본 결과, 실험집단과 통제집단 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으나, 교사와의 상호작용을 통해 실험집단의 유아들이 국악에 대한 이해도가 상승하고 다양한 표현을 구사함을 알 수 있었다. 또 각 집단의 사전, 사후 검사를 비교해 보았을 때 전체적인 평균점수가 향상 되었고, 연구 진행 중 관찰 기록의 변화 추이를 살펴본 바 실험 집단에서 더 높은 변화가 나타나고 있다. 둘째, 통합적 국악교육이 유아의 국악에 대한 친밀도 및 참여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본 결과, 통합적 국악교육 프로그램은 유아의 국악에 대한 친밀도 및 참여도를 큰 폭으로 향상시킨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통합적 국악교육이 유아의 국악 친밀도 향상에 매우 효과적인 교수학습방법 임을 증명한다. This research is aimed to verify the effects of integrated method for the Korean traditional music education program on the Young children's learning process. For this matter, it was selected to consider the followings. First, what kinds of effects does the approach have on Young children's understanding of the Korean traditional music? 1. What kinds of effects does the approach have on Young children's recognition and differentiation skills for the Korean traditional musical instruments. 2. What kinds of effects does the approach have on Young children's understanding and expression skills for the Korean traditional beat? 3. What kinds of effects does the approach have on Young children's expressive behaviors and creativity for the Korean traditional music? Secondly, what kinds of effects does the approach have on the Young children's participation and acceptance level for the Korean traditional music? The research carried out on 5 years old, 56 Young children's who are getting the conventional ways of the Korean traditional music in Y preschool. It was performed from 2003 March 25th to July 16 for 16 weeks. There were 4 stages (preparation, preliminary, main, and post stage) in this research. The preliminary stage involved the selection of test group and control group (28 persons each). The groups' comogeneity was proven with the T test containing 8 questions. 1:1 interviews consist of 44 questions to measure the difference on the recognition and acceptance level for the Korean traditional music was conducted, after administering the education program 16 times on the test group. Considering the ambiguity of the measuring process, the scale was scored with 0,1,2 points. In case of measuring the acceptance level, the infants were scored with 0,1,2,3,4 points according to responsiveness and participation. The test containing 11 questions was administered weekly for 4 weeks to ensure the validity. The results were verified by T test after the data was process via SPSS 10.0 version. The results follows as the below. First, in the area of the effects of the integrated approach for Korean traditional music on Young children's recognition shows statistically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test group and the control group. However, the approach had the positive influence on Young children's in improved overall scores and increased interaction with teachers. Secondly, in the area of the effects of the integrated approach of Korean traditional music on Young children's acceptance and participation shows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test group and the control group. Thus, it is proved that the integrated approach for the Korean traditional music significantly is effective educational method by increasing the learners' acceptance and participation.

      • 체조활동을 포함한 통합적 동작교육활동이 유아의 기본운동능력과 신체표현능력에 미치는 효과

        라선영 동덕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9647

        본 연구의 목적은 체조활동을 포함한 통합적 동작활동이 유아의 기본 운 능력과 신체 표현 능력에 효과가 있는지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러한 목적을 토대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이 설정하였다. 1. 체조활동을 포함한 통합적 동작교육활동이 유아의 기본운동능력에 효과가 있는가? 2. 체조활동을 포함한 통합적 동작교육활동이 유아의 신체표현능력에 효과가 있는가? 본 연구의 대상은 경기도 용인시에 위치한 G어린이집 만4세 만5세 유아 50명으로 체조활동을 포함한 통합적 동작활동에 참여하는 실험집단 25(남 13,여12)명과 비교집단25(남 13,여 12)명으로 구성되었다. 본 실험은 8월 4일부터 9월 29일까지 8주 동안 매주 2회씩 총 15회 걸쳐 15개의 활동으로 실시 하였으며 실험집단에는 체조활동을 포함한 통합적 동작교육활동을 비교집단에는 선행연구에서 이루어진 통합적 동작활동을 실시하였다. 실시 시간은 매회 30-35분 정도 소요되었다. 기본운동능력 검사도구는 김은심(1994)이 사용한 것을 이용하였다. 김은심(1994)은 Hoffman, Young과 Klesus(1981)가「Meaningful Movement For C hildren에 제시한 Self-Assessment List와 Denver Developmental Scree ning Test를 토대로 김혜옥(1985)이 구성한 문항 내용과 Flinchum(1975)의 Motor Ability Test의 문항을 기초로 재구성하여 기본운동능력검사를 제작하였다. 창의적 신체표현능력 발달 검사 도구는 Laban(1975) 에 의해 제안된 동작개념의 기본 요소를 기초로 하여 배현숙(1990)이 작성한 검사 도구를 토대로 김은심(1994)이 수정한 것을 사용하였다. 연구문제를 검증하기 위해 SPSS 12.0을 사용하여 공변량 분석(ANCOVA)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체조활동을 포함한 통합적 동작교육활동은 유아의 기본동작능력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다. 즉 체조활동을 포함한 통합적 동작활동을 경험한 실험집단은 비교집단과 비교하여 기본동작의 하위요인( 말뛰기, 미끄러지기, 스키핑)에서 유의하게 높은 점수를 보였다. 둘째, 체조활동을 포함한 통합적 동작교육활동이 유아의 신체표현능력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다. 체조활동을 포함한 통합적 동작활동을 경험한 실험집단이 비교집단과 비교하여 신체표현능력의 하위요인(동작의 방향성, 동작의 시간성, 동작의 흐름)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The goal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the effect of integrated movement education activity contain gymnastic activity on young children's fundamental & creative physical expression ability Given the goals of this study, the following questions were set up to study. 1. Do integrated movement education activity contain gymnastic activity on young children's fundamental ability ? 2. Do integrated movement education activity contain gymnastic activity on young children's creative physical expression ability ? 2-1. Do integrated movement education activity contain gymnastic activity on young children's motional diversities ? 2-2. Do integrated movement education activity contain gymnastic activity on young children's motional directions? 2-3. Do integrated movement education activity contain gymnastic activity on young children's motional timing ? 2-4. Do integrated movement education activity contain gymnastic activity on young children's motional flow change? 2-5. Do integrated movement education activity contain gymnastic activity on young children's motional expression abilities ?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4-and 5-year-old 50 children in G child care center located in Yong-in, Kyun-gi do. The study subjects were composed of an experimental group with 25 infants. 13 boys and 12 girls, who participated in integrative motional activities including gymnastic exercise and a comparative group with 25 infants, 13 boys and 12 girls. The experiment in this study was performed with 15 programs for 8 weeks from August 4th to September 29th and twice a week 15 times in total. The experimental group was subjected to integrative activities including gymnastic exercise, while the comparative group was subjected to integrative motional activities, which were conducted in previous studies. The activities lasted for 30-35 minutes each time. The tool used to test basic motional ability development was the questions built up by Hye-ok Kim(1985) based on Hoffman and Young Klesus (1981)'s「Meaningful Movement For Children」, Self-Assessment List and Denver Developmental Screening Test; and the one reorganized by Eun-sim Kim(1994) on the basis of Flinchum(1975)'s Motor Ability Test questions. The tool used to test creative physical expression ability development was the one modified by Eun-sim Kim(1994) based on Hyun-suk Bai's (1990) test tool, which was made on the basis of the basic elements of motion concepts proposed by Laban(1975). To verify the study questions, SPSS 12.0 was used for ANCOVA(analysis of covariance).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integrated movement education activity contain gymnastic activity on young children's did positively fundamental ability. The experimental group that underwent integrated movement education activity contain gymnastic activity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terms of sub-factors of fundamental ability motions such as galloping, sliding and skipping compared with the comparative group. Second, integrated movement education activity contain gymnastic activity on young children's did creative physical expression ability The experimental group that underwent integrated movement education activity contain gymnastic activity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from the comparative group in terms of the sub-factors of physical expression ability such as motional direction, motional timing and motional flow.

      • 어머니의 코칭역량이 초등학생 자녀의 자기주도 학습역량에 미치는 영향

        김태린 동덕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9647

        대량의 정보가 유통되는 21세기 현대사회와 다가오는 4차 산업시대에서 개인은 자신의 역할을 끊임없이 재정립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서 스스로 가치 있는 정보를 선택하고 가공하며 공유하는 주체자로서의 노력이 요구된다. 이러한 노력은 학습의 진행에 대한 모든 과정을 스스로 결정하고 학습할 수 있는 역량, 즉 자기주도 학습역량에 의해 좌우된다. 이러한 시대적, 교육적 당위성을 바탕으로 학습자의 자기주도 학습태도 및 효과와 관련된 다양한 관점과 담론이 진행되고 있다. 특히, 자기주도 학습에 영향을 미치는 환경과 요인이 무엇인지가 교육공동체의 지속적인 관심이다. 선행연구에 따르면, 자기주도 학습태도를 정착시키고 이로 인한 학습 효과를 극대화하는 데 가장 중요한 시기는 초등학교 고학년 시기이다. 그리고 아이들의 자기주도 학습을 완성시키는 가장 훌륭한 파트너는 부모의 양육태도이다. 어머니는 어둠을 뚫고 나온 인간이 빛과 함께 가장 처음 만나는 타인으로서 그 이미지가 개인의 삶 전체에 지속적인 영향을 미친다. 성숙한 어머니야말로 인생의 멘토이며 코치이다. 어머니의 역할은 다양하지만 자기주도 학습자의 양성에 국한해 보면 자녀들이 스스로 문제를 발굴하고 타당한 질문을 이어가며, 이에 대한 답을 찾을 수 있는 태도와 능력을 함양하도록 리드하는 것으로 함축할 수 있다. 이러한 어머니의 역할은 코칭 리더십으로 설명이 가능한 부분이다. 본 연구에서는 어머니의 코칭역량이 초등학생 자녀의 자기주도 학습역량을 얼마나 향상시킬 수 있는지, 어떤 영향을 줄 수 있는지를 연구하였다. 이를 위해 인천 지역에 거주하는 초등학생 6학년 자녀와 그 어머니 각각 500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였다. 사전에 연구 대상에게 연구 참여에 동의를 얻어 2017년 11월6일∼12월30일까지 진행되었다. 이 기간 동안 연구자는 초등학생 6학년 자녀와 그 어머니 각각 500부의 설문지를 배부하였으며, 그 중 476부의 설문지를 회수하였다. 회수된 설문지를 사전 검토하여 누락된 응답이 많거나 불성실하게 응답하였다고 판단된 47부를 제외하고, 총 429부의 설문지를 통계처리 하였으며, 통계를 기준으로 한 주요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어머니의 배경변인인 연령, 코칭교육, 부모교육, 학력 등은 어머니의 코칭역량 차이가 있다. 어머니의 배경변인 중 학력과 연령이 높을수록 코칭역량이 높게 나타났으며, 코칭교육과 부모교육의 유무를 통해서도 코칭역량의 차이를 보이고 있다. 이는 부모의 다양한 경험과 코칭교육이 통해서 코칭역량을 신장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다. 둘째, 자녀의 배경변인의 따른 자기주도 학습은 메타인지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셋째, 어머니의 코칭역량은 자녀의 자기주도 학습역량에 영향을 미쳤다. 어머니의 코칭역량이 높다는 것은 그만큼 자녀와의 관계(상호작용)에 있어 서로에게 친밀감을 줄 수 있다는 의미를 포함하고 있다. 또한, 서로의 신뢰를 바탕으로 자녀의 잠재능력을 최대한 이끌어내어 자기주도 학습능력을 신장시킬 수 있는 것이다. 넷째, 어머니의 코칭역량의 하위변인과 자녀의 자기주도 학습역량의 하위변인은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다. 자기주도 학습능력이 필요한 자녀를 둔 어머니를 상대로 한 코칭역량 강화학습의 방향을 설정하고, 적합한 코칭학습 모델의 정착에 큰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본다. 이와 같이 본 연구에서는 코칭에 대한 효과성의 검증을 통해 부모를 대상으로 한 코칭프로그램의 개발과 함께 부모코칭 분야가 전문적인 분야로 성장 할 수 있을 것이라 기대된다. 또한, 어머니의 코칭역량 및 자녀의 자기주도 학습역량을 효과적으로 높일 수 있도록 실제로 소규모 그룹을 구성하여 수준별, 주제별로 다양한 활동을 할 수 있는 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13세 학생들과 그 어머니를 대상으로 진행하였기에 좀 더 다양한 연령에 대한 연구를 통하여 객관적인 검증이 요구된다. In a modern society of 21th century in which a great deal of information is actively exchanged, and the upcoming fourth industry, each individual needs to ceaselessly redefine their own role. For doing this, efforts to be a main agent who can choose, modify, and share valuable information by himself are required. These endeavors are controlled by competency that is allowed to decide the whole process of learning, and to learn something by oneself, that is self-directed learning competency. Various perspectives and discussions related to learners' self-directed attitude toward learning and its effectiveness were being proceeded based on the need of the times and education. In particular, what environment and factors affect self-directed learning is a lasting interest of a education community. Previous studies indicate that the most important time to establish attitude toward self-directed learning, and maximize learning effectiveness is high grades of primary school. On top of that, parents' nurturing attitude most significantly helps children to complete self-directed learning. The image about as a stranger whom a human coming out from the darkness first meets with light continuously impacts an individual's entire life. Mature mother is the very person that can be a mentor and coach of someone's life. There are a wide range of mother's roles. However, when focusing on only fostering learners who do self-directed learning, it implies that mother's role is to lead young learners to develop attitude and competency to find a problem by themselves, keep questioning on a problem, and seek answers to the problem. This mother's role can be explained as coaching leadership. This study aims to explore what effects of mother's coaching competency on primary school children's self-directed learning competency and to what extent mother's coaching competency improve primary school children's self-directed learning competency. For doing this study, 500 students in the 6th grade of primary school living in Incheon and their mothers responded to the questionnaire. Prior to conducting the study, consent on the study from respondents was obtained and the survey was performed from November 6 to December 30 in 2017. 500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to 500 students and their mothers. 476 of them were collected and incomplete 47 questionnaires were excluded. A total of 429 questionnaires were analyzed. Primary findings are as follow. First, mother's age, education background, coaching education, and parents' education that are mother's background variables could influence mother's coaching competency. In particular, mother's age and education background positively influenced mother's coaching competency. In addition, the experience of coaching education and the execution of parents' education were closely correlated with mother's coaching competency. It implies that coaching competency can be improved through parents' various experiences and coaching education. Second, self-directed learning depending on children's background variables had significant difference in meta-cognition. Third, mother's coaching competency influenced their children's competency in self-directed learning. Mother's high coaching competency signified that mother could make deeper intimacy with their children in the interaction between mothers and their children. Also, based on credibility between parents and children, potential can be drawn, which consequently enables children's self-directed learning competency to heighten. Fourth, sub-factors of mother's coaching competency and sub-factors of children's self-directed learning significantly competency influenced children's self-directed learning competency. It implies that these findings will considerably affect the direction of reinforcing coaching competency of mothers with primary school children who need self-directed learning competency, and the establishment of an appropriate model of coaching for learning. As such, it is expected that through verifying the effectiveness of coaching in this study, not only the coaching programs for parents will develop but parents' coaching will professionally grow. Furthermore, programs which enable children in a micro group to do various activities depending on a level of children's learning competency and a topic are necessary. These programs will help mother's coaching competency and children's self-directed learning competency to effectively increase. Since this study examined only 13-year-old children and their mothers, there is a limitation of gaining more objective results. Therefore, in further studies, mother's coaching competency and children's self-directed learning competency by investigating more various aged children and their mothers need to be objectively verified. levels and themes should be organized and work on how mothers’ coaching capability and children’s self-directed learning can be efficiently improved.

      • 담임교사 중심의 영어교육과 영어전담교사 중심의 영어교육에 대한 유치원 교사의 인식연구

        안연애 동덕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9647

        This study aims to know teacher's understanding for teaching English by homeroom teacher and instructor in preschool So I surveyed homeroom teachers of private preschool which is teaching English by homeroom teachers or by instructors-native speakers or English teachers who majored in English at the university. For this study, 206 teachers answered the questions and the subjects for this study as followed. The first, How do they teach English?, The second, How do teachers think about teaching English in preschool?, The third, What are the merits and demerits about teaching English by instructors- native speakers or English teachers who majored in English at the university? The fourth, What are the merits and demerits about teaching English by homeroom teachers? The results of 'How do they teach English?' are followed. Most preschools teach English 4~5 times a week and 20~30 minutes per a class. And the portion of English class by homeroom teachers is 65.9% and by homeroom teachers with instructors is 34.1%. The types of instructors for English class : Koreans who majored in English (including related majors) are 53.2% and Koreans who majored in English and Early Childhood Education are 17.7%. The methods for teaching English are singing, chanting, fingerplay, reading books and playing a game. The homeroom teachers who have the responsibility for teaching English tend to attend 'Teaching English Course' for improving their own English teaching skill. The results of 'How do teachers think about teaching English in preschool?' are: 1. Compare to teaching English by instructors, teachers who have the responsibility for teaching English to their own class think that children are more interested in English by homeroom teachers. 2. Compare to teaching English by instructors, teachers who have the responsibility for teaching English to their own class think that the English curriculum can be more organic composition with preschool curriculum. 3. The 68.4% of teachers thinks that teaching English in preschool is essential because English is necessary to communicate with foreigners. 4. Both teacher groups think that the purpose of teaching English in preschool is 'Being familiar with English'. 5. Teachers who have the responsibility for teaching English to their own class think the suitable age for studying English is 3 year old but 4 year old-( teaching English by instructors). 6. Both teacher groups think the most suitable backgrounds of teaching English in preschool are teachers who majored in English with Early Childhood Education. 7. The essential requirements of English teacher in preschool is 'has interesting and various English teaching methodologies based on child's development'. Both teacher groups think the merit of teaching English by native speakers is children can be familiar with foreigner, but the negative aspect is native speakers lack of concerning child's development. And the Korean instructors who majored in English (including related majors) can make children understand English well, but they lack of concerning child's development either. The teacher who majored in English with Early Childhood Education can be suitable for backgrounds of English teacher in preschool, but it is very rare. This shows the big difference between the reality and the expectation about suitable English teacher in preschool. The merit of teaching English by homeroom teachers is that children can be provided customized English curriculum based on their own development, but the negative aspect is that homeroom teachers lack of English skill. To provide qualified English service by homeroom teachers in preschool, most teachers mentioned that they need to various 'Teaching English Courses' for homeroom teachers and they have to make efforts to improve their own English skill and have the responsibility for teaching English to their own class. 본 논문에서는 유치원에서 이루어지는 영어교육으로 담임교사 중심의 영어교육과 전담교사 중심의 영어교육에 대해 현장의 유아교사들이 어떠한 생각을 가지고 있는지 그 의견을 알아보고자 한다. 따라서 현재 영어교육을 실시하고 있는 사립 유치원 중에서 담임교사 중심으로 영어를 가르치고 있는 유치원과 전담교사(원어민, 영어교재 판매회사에서 파견된 영어교사, 영어연수 및 조기영어교육을 전공한 영어교사를 포함)중심으로 영어를 가르치고 있는 유치원의 담임교사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이러한 목적을 위한 연구 문제는 첫째, 유치원 영어교육의 실시 현황은 어떠한가, 둘째, 유치원 영어교육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은 어떠한가, 셋째, 유치원 영어교육에서 전담교사 중심 영어교육의 장점과 단점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은 어떠한가, 넷째, 유치원 영어교육에서 담임교사 중심 영어교육의 장점과 단점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은 어떠한가이다. 연구 대상은 담임교사 206명이었고, 연구의 자료 분석은 SPSS 12.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각 문항에 따라 빈도수와 백분율을 구하고 교사들의 인식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서 Chi-Square를 실시하였다. 유치원 영어교육의 실시 현황에 대한 내용은, 주당 교육 횟수, 1회당 교육시간, 영어교사의 유형, 교수법, 담임교사의 영어교육 연수경험을 포함한다. 연구결과를 보면, 영어교육의 횟수로 주당 4~5회 실시한다는 의견이 가장 많았고, 시간은 20~30분미만이 가장 많았다. 영어교육을 실시하는 담당교사의 유형으로 담임교사 중심으로 영어교육을 하는 기관에서는 65.9%가 전적으로 담임교사가 영어를 담당한다고 하였고, 34.1%의 기관은 담임교사중심으로 운영하면서 전담교사를 투입하는 형태를 사용하고 있었다. 전담교사 중심으로 영어교육을 하는 기관에서는 ‘영어 관련 전공 한국인’이 53.2%로 가장 많았으며 ‘유아교육과 영어 관련 전공 한국인 교사’는 17.7%였다. 영어교육을 위해 주로 사용하는 교수법으로는 노래, 챈트, 손유희 방식과 교재, 교구를 가지고 게임이나 놀이방법을 가장 많이 활용하였으며, 영어교육과 관련된 연수 경험에서는 담임교사 중심으로 영어교육을 하고 있는 기관의 교사들이 연수 경험이 많음을 나타냈다. 이것은 담임교사들이 영어를 담당하기 위해 다양한 연수를 통하여 교육을 받고 유아들 대상으로 교육을 실시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영어교육에 대한 교사의 인식에 대한 내용은 현재 맡고 있는 반의 영어교육에 대한 교사의 인식, 영어교육의 필요성, 목적, 영어교육을 시작하기에 적합한 연령, 유치원 영어교육에 적합한 교사, 영어교사의 자질을 포함한다. 연구결과를 보면, 담임교사 중심으로 영어교육이 이루어지는 유치원의 교사들이 전담교사 중심으로 영어교육이 이루어지는 유치원의 교사들보다 유아들이 영어교육에 더 흥미 있어 한다고 생각하였으며, 유치원 교육과정과의 통합성에 대해서도 담임교사 중심으로 영어교육이 이루어지는 유치원의 교사들이 영어교육이 유치원 교육과정과 더 통합적으로 이루어진다고 생각하였다. 발달의 정도 및 흥미에의 적합성에 대해서는 두 집단 모두 적합하다고 응답하여 인식의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또한 연구대상 교사 중 68.4%가 유아기에 영어교육이 필요하다고 생각하였으며 필요 이유로는 ‘앞으로 다가올 사회에서 영어 사용이 증가할 것이기 때문’이라는 응답이 가장 많았다. 영어교육의 목적으로 두 집단 모두 ‘영어에 흥미를 가지고 친숙해 지기’라고 하였고 영어교육 시작연령으로는 담임교사 중심으로 영어교육이 이루어지는 유치원의 교사들은 만3세가, 전담 교사 중심으로 영어교육이 이루어지는 유치원의 교사들은 만 4세가 적당하다고 보았다. 또한 두 집단 모두 유치원 영어교사로 ‘유아교육과 영어 관련 전공 교사’가 가장 적합하다고 하였다. 영어교사에게 필요한 자질로는 ‘유아의 발달 특성을 고려한 재미있고 다양한 교수방법의 활용 능력’이라는 응답이 가장 많았고 다음 순으로 ‘수업운용과 교실 영어를 비롯한 영어 구사력’이라고 대답하였다. 유치원의 영어전담 교사 유형에 따라 원어민 영어교사의 경우 두 집단 모두 유아들이 외국인에 대해 친밀감을 높일 수 있다는 장점이 있으나 유아 발달 특성에 대한 이해가 부족하다고 하였고 영어 관련 전공 한국인 교사는 한국어와 외국어를 적절히 사용하여 수업의 이해가 높긴 하나 유아 발달 특성에 대한 이해가 부족하다고 하였다. 유아교육과 영어 관련 전공 한국인 교사는 유아의 흥미와 수준을 고려한 수업기술을 가졌다는 장점이 있으나 그러한 교사가 드물다는 단점이 있다고 하였다. 이 결과는 유아 영어를 가르치는 가장 적합한 교사로, 유아교육과 영어교육을 전공한 교사라고 응답했던 결과와 비교하여 볼 때 교사들의 기대 수준이 현실과 다름을 알 수 있었다. 담임교사 중심 영어교육에 대해서는 두 집단 모두 개별 유아의 발달 정도 및 흥미에 대한 파악이 가능하고 유치원 교육과정과의 연계가 잘 이루어진다는 장점이 있다고 한 반면, 영어구사력 부족 등 영어전문성이 떨어진다는 단점이 있다고 응답하였다. 담임교사 중심의 영어교육에 대한 장점, 단점과 더불어 보완해야 할 점으로 영어수업과 관련된 교사연수와 영어교육에 대한 교사의 열의가 있어야 한다고 보았다. 담임교사가 영어교육을 할 수 있도록 돕는 교사연수의 참여 의향에 대해 담임교사 중심으로 영어교육을 하고 있는 교사 68.3%, 영어전담교사 중심으로 영어교육을 하는 유치원의 교사 45.9%가 긍정적으로 대답하였다.

      • 初等學校 英語敎育에 對한 初等敎員들의 認識 調査硏究

        강계원 동덕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2 국내석사

        RANK : 249647

        본 연구의 목적은 제7차 교육과정이 실시되고 있는 초등학교 영어교육에 대해서 '현재 초등교사들이 어떻게 생각하고 있나'를 알아보고, 보다 바람직한 정착 방안을 교사의 입장에서 모색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목적을 실현하기 위해 설정한 연구내용과 방법은 다음과 같다. 첫째, 문헌연구를 통하여 초등학교 영어교육의 이론적 배경을 탐색한다. 둘째, 설문지 조사를 통하여 초등학교 영어 교육의 실태를 영어교육의 필요성, 교육의 여건과 필요조건, 교육과정, 교육방법과 지도내용, 교사의 변인, 영어전담교사, 영어연수, 영어교육의 효과 면으로 나누어 조사한다. 셋째, 조사결과를 분석하여 더욱 바람직한 영어교육의 정착방안을 모색한다. 본 연구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게 되었다. 첫째, 현재 농촌지역 초등교사도 정규교과로서의 초등영어를 긍정적으로 받아들이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둘째, 학습 교재와 시설개선은 별문제가 없으나 영어연수 방법 개선은 절실히 필요함을 느끼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셋째, 초등 영어 교육과정이 잘 짜여 있음을 알 수 있고 높은 만족 도를 보이고 있다. 7차 영어 교육과정과 목표가 적절하게 설정되어 있으며 교제에도 충실히 반영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넷째, 모든 교사들이 놀이중심 학습을 선호하고 있으며, 쉽고 재미있게을 실시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교실에 영어 학습을 할 수 있는 활동자료가 부족한 것으로 답하고 있어 계속적인 자료 개발과 인터넷 활용(tnara . net) 등의 다양한 물량 공급이 요구된다. 다섯째, 듣기지도는 교사의 역할이 중요함을 나타내고 있으며 주로 멀티미디어와 시청각 기자재를 적극적으로 이용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말하기 지도는 언어능력을 개발하기 위해서 상황에 따라 문장 전체의 의미를 제시하는 것과 단어를 제시하는 경우에도 중요하다. 이는 언어의 본질과 기능이 의미전달을 목적으로 하고 있기 때문에 의미 전달이 배제된 학습활동은 무의미하다는 것을 뒷받침 해준다. 읽기 지도는 간단한 단어와 배운 문장을 읽을 정도까지만 지도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이것은 초등학생들에게 부과되는 영어 학습의 양적 제한성에서 오는 것과 교육과정 편성에서 말하기, 듣기 후 읽기, 쓰기로의 적용순서가 옳다는 것을 입증해 주고 있다. 어휘지도는 그림과 실물을 통한 지도, 예문과 직접 뜻을 설명하면서 지도하는 것이 초보적 단계의 초등학생의 영어 지도 과정에서 더 효과적인 것으로 인식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평가는 학습 참여 도를 통한 평가가 더 많은 것으로 나타나 학생들의 심리적 부담을 최소화하는 평가가 이루어지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어린 학생들에게 적극적인 평가보다는 참여의욕, 태도, 의사소통능력 등의 관찰, 과업수행 방법으로 서술식 평가를 함으로 참여 자체가 지니는 학습효과를 고려해야한다는 초등영어 교육의 제한성을 보여주고 있다. 여섯째, 영어를 지도할 때 어려운 점은 자유로운 회화 구사력이 부족한 것으로 나타나 교사 스스로 자기연수를 통해 회화력을 신장시킬 수 있는 노력이 요구된다. 영어를 처음배우는 초등학교 수준의 학생들에게도 보다 소그룹의 지도가 타당하다는 점을 보여 주고 있으나 학급규모의 축소와 강의 시설은 농촌에 서는 문제가 되지 않음을 알 수 있다. 일곱째, 초등 영어 전담교사는 꼭 필요하지만 중등교사의 선발을 원치 않는것은 초등교원의 지위의 상실은 받아들일 수 없다는 교사지위 확보에 대한 것과 초등영어 지도라 하더라도 초등학생들에 대한 이해와 초등교육에 대한가 선행되어야 한다는 의견을 생각할 수 있다. 여덟째, 영어연수는 초등학교 교사들에게는 외국어 교수법이라는 특수한 교육방법의 습득이 절실하다는 점을 반영하고 있는 것으로 연수과정을 통하여 장기적인 안목에서 언어 교수법의 이론적인 무장도 충분히 제공하는 것이 타당함을 알 수 있다. 단 시간 내에 극복되는 일은 아니더라도 실제적으로 교수능력이 훌륭한 원 어민 강사를 구하여 영어 구사능력의 향상과 더불어 교수방법 의현장성을 높이는 것이 이중의 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방법이다. 영어 연수는 교수법과 회화력 신장에 중점을 두고 실시해야 한다. 아홉째, 초등영어 교육이 의사소통 능력 신장에 효과가 있음을 인식하고 있으며, 영어에 대한 홍미와 자신감을 갖게 한다고 느끼고 있다. 이상의 재고를 통하여 정규교과로서의 영어교육에 농촌 교사들의 능력을 충분히 발휘하여 학생들을 가르칠 수 있도록 다양한 교사연수를 통한 교사들의 의사소통능력을 높이고 어휘력을 향상시켜 의사소통의 학습으로 학생들의 특성을 고려한 영어 교육이 이루어질 때 초등학교 영어교육은 더욱 발전할 것이라고 본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view what teachers think of the 7th curriculum reform in Korean elementary schools and to investigate reasonable solutions for improving the reform from the teacher's point of View. In order to accomplish the purpose, literature review of theoretical backgrounds for English education in elementary schools will be done in the first chapter. The second chapter will deal with the results and analyses of the survey regarding elementary English education, which was conducted in 11 elementary schools in rural areas of Kyunggi-do.The last chapter will explore reasonable suggestions and solutions for better English education in elementary schools. The finding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eachers in rural area schools accept elementary English education as a regular subject more affirmatively than teachers in urban area schools. Second, while teachers have no serious problems concerning facilities and teaching materials, they feel the desperate need for getting more advanced teaching methods. Third, teachers show relatively high satisfaction for the 7th curriculum reform. They think its study goals and contents are well established and well organized as expressed in the textbooks. Fourth, all teachers prefer teaching materials based on activities and games. They prefer easier and more enjoyable classes. Still, they answered that they would need more multimedia related teaching materials to be fully utilized in the classrooms. Fifth, as far as a listening skill is concerned, the role of a teacher is considered very important. Teachers are eager to try new teaching materials and methods. Listening is being taught beyond phrases and sentences levels, while reading is maintained at the level of understanding simple words and sentences. It tells us that time is limited for English classes and also that they go from listening to reading and writing as advised in the 7th curriculum reform. Teachers put more emphasis on performance in evaluating students than on test score. While it minimizes mental stress that students might get from the evaluation, it shows the limit of English education in elementary schools that performance should tell everything in classes. Sixth, the most serious problem that teachers have is that they don't feel confident of their speaking fluency. Teachers need to improve their fluency by participating in training sessions and by practicing English more. Seventh, they want more teachers who are specialized in English, but they don't want high school teachers to be hired by elementary schools, as suggested by the government. They want more job security and they also think that understanding elementary students is required in advance of having English teaching skills. Eighth, they need more practical and more well organized training programs to improve their fluency as well as to get more theoretical backgrounds of language teaching. It cannot be done in the near future, but it should be done for both teachers and students. Ninth and last, they are aware of the effects of English education in improving the communication skills as well as confidency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conclusion, the first thing we should do to improve English education in elementary schools, particularly in rural areas, is to organize good training programs for teachers in which they can improve their fluency as well as confidency. By participating in these programs more actively and more often, teachers can teach English to students more effectively and more efficiently.

      • 그림책에 대한 토의활동이 유아의 언어표현력에 미치는 효과

        송미숙 동덕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9631

        본 연구는 그림책에 대한 토의활동이 유아의 언어표현력 증진에 효과가 있는가를 검증해 보는데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에 따라 다음과 같은 연구 문제를 설정하였다. 1. 그림책에 대한 토의 활동은 유아의 단어 수 증가에 효과가 있는가? 2. 그림책에 대한 토의 활동은 유아의 문장 수 증가에 효과가 있는가? 3. 그림책에 대한 토의 활동은 유아의 그림 속 상황을 이해하여 이야기하는내용 일치도 증가에 효과가 있는가? 본 연구의 대상은 경기도 안산시에 소재한 C유치원과 H유치원에 재원중인 만4세 유아 60명이다. 두 유치원의 만 4세반 4개 학급에서 생년월일이 비슷한 유아들 중 남녀 성비를 고르게 하여 한 학급에서 각 15명씩 표집하였으며, 각 유치원에서 표집된 한 반의 유아는 실험집단에, 다른 한 반의 유아는 비교집단에 무선배치하였다. 실험집단의 유아들은 교사가 읽어주는 그림책의 이야기를 듣고 교사와 함께 토의활동을 하였다. 교사가 사용한 토의를 위한 질문은 창조, 상상, 예측과 가설, 계획, 의사결정과 판단에 관련된 질문이었다. 비교집단의 유아들은 교사가 읽어주는 그림책의 이야기를 들은 후 그림책에 관한 내용을 기억하여 교사가 묻는 질문에 답하는 활동을 하였다. 연구는 2008년 5월 13일부터 7월 17일까지 10주 동안 진행되었으며, 예비실험, 사전검사, 6주간 주 2회 총12회의 실험처치, 사후검사의 순으로 이루어졌다. 연구에 사용된 그림책은 창작동화 12권이었으며, 언어표현력의 검사도구로는 4-6세 유아의 수준에 맞게 제작된 장영애(1981)의 언어검사도구 중 언어표현력 부분만을 사용하였다. 자료 처리는 부호화 과정을 거쳐 SPSS WIN 12.0 프로그램으로 전산처리 후 t-test와 공변량 분석(Ancova)으로 처리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교사가 읽어주는 그림책의 이야기를 듣고 교사와 함께 토의활동을 실시한 실험집단의 유아들은 교사가 읽어주는 그림책의 이야기를 들은 후 교사가 묻는 그림책에 관한 내용을 기억하여 답하는 활동을 한 비교집단의 유아들보다 언어표현력이 향상되었다. 언어표현력의 단어 수, 문장 수, 내용 일치도를 살펴보면 단어 수에 대하여는 통계적으로 실험집단과 비교집단의 유의한 차이를 볼 수 없었으나, 문장수와 내용 일치도에 대하여는 토의활동을 실시한 실험집단의 유아들이 그림책 내용을 묻는 질문에 답하는 활동을 실시한 비교집단의 유아들에 비하여 유의하게 높았다. 이러한 결과는 유아교육현장에서 유아들에게 그림책을 읽어줄 때 그림책 내용에 대한 다시 물어보기 방식의 사후활동보다는 자신의 생각이나 경험을 바탕으로 유아 스스로 자유롭게 이야기할 수 있는 토의활동의 기회를 제공하는 것이 유아의 언어표현력을 향상시킬 수 있음을 시사하고 있다. This study is to verify the effect of discussion about story books on young children's language expression improvement. The following study issues were set for the objective. 1. Does the discussion about story books have an effect on increase of children's words? 2. Does the discussion about story books have an effect on increase of children's sentences? 3. Does the discussion about story books have an effect on increase of correspondence between the storybook's and children's telling contents after understanding storybook's situation? This study focused on 60 young children, who are four years old and attend 'C' and 'H' kindergarten in Ansan city of Gyeonggi province. 15 children from 4 classes of both kindergarten were sampled respectively, who were born around the same time and whose ratio of gender were balanced. One class sampled from each kindergarten was assigned randomly to an experimental group and the other group was to a comparative group. Young children in the experimental group listened to storybooks their teacher read and then, had discussion activities with the teacher. The teacher used questions about creativity, imagination, prediction, hypothesis, plan, decision making and judgement. Young children in the comparative group listened to storybooks their teacher read and then, had activities to answer teacher's questions after remembering contents related to the storybooks. This study was carried out from May 13, 2008 to July 17, 2008 for 10 weeks, and it was arranged in order : preliminary experiment, pre-test, and total 12 experiments(2 times per week for 6 weeks). The storybooks used for this study were 12 creative children's books, and the used test tool for language expression ability was the language expression ability part of Jang, Yeong-ae's language test tools(1981) for young children aged 4 to 6. The data process was done by encoding, computerizing by SPSS WIN 12.0 Program, t-test and analysis of covariance(ANCOVA). The result of this study is as follows: The language expression ability of the children in the experiment group who listened to storybooks and then discussed with their teacher was more improved than the children in the comparative group who listened to storybooks and answered the teacher's questions after remembering the contents. Looking into the number of words, the number of sentences and matching with the contents regarding the language expression ability, both groups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 statistically, but in term of the number of sentences and matching with the contents, the children in the experimental group were better significantly than the children in the comparative group. This result shows that when to read storybooks to young children at pre-school education sites, providing an opportunity of discussion to let children express their own thoughts and experiences freely can improve children's language expression ability more than listen and answer activities.

      • 자유선택활동시간 책보기 영역에서 관찰된 4세 유아들의 '혼자 책보기'

        백경주 동덕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9631

        This study focused on how four years old children read storybooks given the 'solo-reading' conditions within free choice activity time session. According to the focused purposes, the research questions are confirmed as follows: Research Question 1. How do the children participate in reading during free choice activity time session? 1-1. What kind of behavior has been shown and how long has it taken? 1-2. What is the reading types of children under the given conditions? Research Question 2. How the solo-reading activity is observed during free choice activity time session? 2-1. What types of solo-reading activity are taken place in terms of frequency? 2-2. What characteristics of solo-reading activity are found according to the types? The research has been conducted at the 'A child care center' in Seoul among 22 four years old children and 1 teacher. From 27th June till 28th July, 2008, the researcher had performed 34 times of unattended observations, 3 times of teacher's interviews and 13 times of children's conversations. The research data has been collected by using of brief sketch, video taping, photographing and document gathering of the class and the institution. The obtained data became the source of complete history note in this particular research. Finally, data translation, typological and conformational analysis, which originated by complete note, carried out. Those 22 children in the class are observed for about 1 hour between 8:50 and 9:50 during free choice activity time whether they 'visit', 'read' or 'leave' with/without other colleagues. Among a total of 227 times of visit, 'visit, read and leave alone' is the most common case. 'Visit alone, read together and leave alone' is the second common case in this particular observation. When 60 minutes of free choice activity time is classified into 3 different phases (first, second and third phases), children visit Reading and Language Area most frequently in the second and third phases. In terms of time slot, it is usually second phase in between 9:10 and 9:30. Among a daily average subject of 22 children, only a quarter of them (5.6 children) visit Reading and Language Area. A daily average of visit is 8 ~ 9 times (7.52 times on average : 1 or 2 children visit the area repeatedly), but about 1 time out of whole visit is non-reading case. On each visit of Reading and Language Area, children spend 5 minutes 32 seconds on average, for 4 minutes 48 seconds children purely concentrate on reading. In this visitation, children often select fairy tale storybook, which is designed 2/3 books of those kinds as pop-up structured book. There are some relevances in between comprehension level and storybook reading, yet it is not totally dependant upon one to the other. However, it is verified that regular visitation of Reading and Language Area helps to increase the relevances. The next research question is about how the solo-reading activity is observed during free choice activity time session. When the type of storybook reading is classified by frequency, there are 5 different groups of reading type given 'solo-reading' conditions among 21 cases. A sum of 37.7% of cases are proved as 'picture looking' type, which forms the largest group of children. Next, 9 ∼12 % of cases - the second largest group of children - have been identified as 'picture and text reading' type. 'Conversation with friends' type and 'picture touching' type accounts for 6 ∼ 9% of storybook reading, which marks the third place. Only 3 ∼ 6% cases are assorted as 'inattention reading', 'partial reading and pausing', 'complete reading and restarting', 'monolog' and 'picture reading only and picture reading with text reading' type. It certainly proves that reading is not always favorable task for children. Lastly, those cases which marked 0 ∼ 3% portion of total observations are about 'paying attention to pop-up books', 'reading particular part of books', 'story making', 'reading-pausing-reading', 'reverse reading', 'singing', 'oral narration reading', 'beginning pages reading', 'talking to teacher'. 'skipping' and 'comparison reading'. There are seven different types of 'solo-reading' under the given conditions. First, 'picture looking' type consists of 'picture looking only' and 'picture touching'. 'Picture looking' type is method of only looking the pictures rather than reading the text. 'Picture touching' is shown when children touch meaningful part of the storybook. Second, there are three different types of 'text reading' - 'picture looking and text reading/title reading', 'picture looking, text reading and picture looking', and 'oral narration reading'. Third, 'dialogue' type is defined as 'dialogue with colleagues' and 'dialogue with teacher'. Fourth, 'partial reading with particular reason' is explained as 'partial reading only' and 'long partial reading'. Fifth, 'repeating' type is made up of 'reading from the beginning', 'reverse reading' and 'beginning pages reading'. Sixth, 'losing the interests of reading' is known as follows : 'inattention reading', 'pausing', 'reading-pausing-reading' and 'skipping'. Seventh, 'a few other types that support reading intension to make it more joyful activity' are about 'monolog', 'paying attention to pop-up books', 'story making', 'singing' and 'comparison reading'. According to the research findings, children's 'solo-reading' has never been quite, calm or passive. It has been attempted various different methods in order to increase their own interests of storybook reading, thus reading activity becomes even more joyful and meaningful for the children themselves. It is expected that this particular research supports other researches about children's reading behavior and contributes educational system of reading activities, which shows many different types and meanings. It is also hoped that the findings of this study would be a good instructional guidance for teachers in childcare institutions. 본 연구는 자유선택활동시간 중 책보기 영역에서 관찰된 유아들의 '혼자 책보기'의 형태와 유아들이 자주 사용하는 책보기 유형의 구체적인 측면을 살펴보려는 목적을 가지고 있다. 이와 같은 연구 목적에 따라 설정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연구문제 1. 자유선택활동시간 중 유아들은 책보기 영역에 어떻게 참여하는가? 1-1. 유아들이 책보기 영역에 참여하는 양태 및 시간은 어떠한가? 1-2. 책보기 영역에서 유아들의 책보기 양태는 어떠한가? 연구문제 2. 자유선택활동시간 중 책보기 영역에서 유아들의 '혼자 책보기'는 어떻게 나타나는가? 2-1. '혼자 책보기'의 형태별 빈도는 어떠한가? 2-2. '혼자 책보기'의 유형별 특성은 어떻게 나타나는가? 본 연구의 대상은 서울에 위치한 A어린이집의 4세반 유아 22명과 교사 1명이며, 연구기간은 2008년 6월 2일부터 7월 28일까지로 이 기간 동안 총 34회의 비참여관찰과 3회의 교사면담, 13회의 아동면담이 실시되였다. 자료수집은 현장 약기노트, A어린이집과 해당학급의 문서자료 수집, 비디오 촬영, 사진 촬영을 통해 이루어졌다. 연구자가 기록한 현장 약기 노트와 책보기 영역을 녹화한 비디오 테이프, 사진 등의 내용을 바탕으로 전사가 이루어졌으며, 전사된 내용을 중심으로 형태분석 및 유형화 그리고 각 특성에 대한 설명과 해석이 이루어졌다. 8시 50분부터 9시 50분까지 진행되는 자유선택활동시간 동안 책보기 영역을 찾는 유아들의 '방문', '책보기', '떠나기'양태를 살펴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유아들이 책보기 영역에 방문한 총 227회 중에 '혼자 방문하여 혼자 책 보고 혼자 떠나기' 양태가 가장 많았으며, '혼자 방문하여 다른 또래와 함께 책 보고 혼자 떠나기' 양태가 다음으로 많이 나타나고 있었다. 자유선택활동시간 60분을 초 ? 중 ? 후반으로 나누고, 유아들의 책보기 영역 방문 시간을 살펴보았을 때 중반에 해당하는 9:10 ~ 9:30 사이에 유아들의 방문이 가장 활발하였으며, 후반에도 비교적 활발한 방문이 이루어지고 있었다. 1일 평균 연구대상 22명 중 25%(5.6명)만이 책보기 영역을 방문하였다. 1일 평균 방문횟수는 8~9회로서 5.6명 중 1~2명의 유아가 반복하여 방문하고 있었다. 8~9회 방문 중 7.52회 정도는 유아가 책을 보는 경우였고, 반면 약 1회 정도는 책을 보지 않는 경우였다. 유아들이 책보기 영역을 방문하여 머무르는 시간은 1회당 평균 5분 32초였으며, 이 중에서 4분 48초 동안은 집중하여 책을 보는 것으로 나타났다. 책보기 영역에서 유아들이 자주 선택하는 장르는 전래동화였는데, 전래동화책의 2/3가 팝업북으로 되어 있었다. 유아의 문해력 수준과 책보기와는 어느 정도 관계가 있지만 전적으로 일치하지는 않았으며, 그 밖에 규칙적인 등원 시간이 유아들의 책보기와 어느 정도 관계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다음의 연구문제는 "자유선택활동시간 중 책보기 영역에서 일어나는 '혼자 책보기'는 어떻게 나타나는가?"이다. 우선 '혼자 책보기'의 유형별 빈도를 살펴본 결과 자유선택활동시간 책보기 영역 '혼자 보기' 상황에서 나타나는 책보기 형태는 총 21가지로 나타났으며, 빈도수로 나누어 볼 때 5가지 군으로 나눌 수 있었다. 가장 자주 나타난 형태는 '그림만 보기'(37.73%) 형태였으며, 두 번째 9 ∼12 %를 차지한 형태는 '그림 보며 내용 읽기'로 나타났다. '또래와 대화하기'와 '그림 만지기'(6~9%)가 세 번째, '건성으로 보기', '특정 부분만 보기', '책보기를 중단하기', '끝까지 보고 처음부터 다시 보기', '혼잣말', '그림 보며 내용 읽다가 그림만 보기'는 네 번째(3~6%)로 나타나 유아들의 책보기가 항상 순조롭게 끝마치는 것이 아니라는 것도 알 수 있다. 기타 '팝업북 구조 살펴보기', '특정부분 오래보기', '이야기 꾸미기', '책보기를 중단했다가 다시 보기', '뒤에서부터 다시 보기', '노래 부르기', '구연하듯 읽기', '앞부분 다시 보기', '교사와 대화하기', '건너뛰기', '비교하여 보기'로 등급 3% 미만이었다. 책보기 영역에서 나타난 유아들의 '혼자 책보기' 형태는 크게 일곱 가지의 유형으로 나뉘어졌는데, 첫째, '그림보기' 유형은 그림책을 구성하고 있는 그림과 글씨 중 그림만 보며 책보기를 진행하는 '그림만 보기'와 책에서 유아 자신에게 의미 있는 부분을 손으로 짚거나 만지는 '그림 만지기' 를 포함한다. 둘째, '글씨 읽기' 유형에는 '그림 보며 내용 읽기 / 제목읽기'와 '그림 보며 내용 읽다가 그림만 보기', '구연하듯 읽기' 가 속한다. 셋째, '대화하기' 유형으로 '또래와 대화하기'와 '교사와 대화하기'가 있다. 넷째, '특정 부분에 의미 두고 보기' 유형에는 '특정 부분만 보기', 와 '특정부분 오래보기'가 속한다. 다섯째, '반복하여 보기' 유형은 '끝까지 보고 처음부터 다시보기', '뒤에서부터 다시보기', '앞부분 다시보기'를 포함한다. 여섯째, '책 보기의 흥미를 잃음' 유형에는 '건성으로 보기', '책보기를 중단하기', '책보기를 중단했다가 다시 보기', '건너뛰기'의 경우가 있었으며, 일곱째 기타 책보기 유형으로 '혼잣말', '팝업북 구조 살펴보기', '이야기 꾸미기', '노래 부르기', '비교하여 보기'가 있었다. 연구결과, 유아의 '혼자 책 보기' 활동이 결코 조용하고 수동적이지만은 않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유아들은 책 보기 활동의 흥미를 키우기 위해 다양한 방법을 끊임없이 시도하였으며, 이러한 시도는 유아의 혼자 책 보기 활동을 보다 즐겁고 의미 있는 책 보기 활동이 되도록 이끌었다. 이에 본 연구는 유아들의 책 보기 활동이 특히 혼자 책보기가 수많은 양상과 의미를 담고 있음을 보여주는 자료로서, 또한 유아들로 하여금 보다 진지하고 의미 있는 책보기를 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자료로서, 유치원이나 어린이집 등, 유아교육 현장에 근무하는 유아교사들에게 그 역할을 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