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과학에 대한 근본생태주의적 비판의 한계

        윤일,문태영,남상호 대전대학교 기초과학연구소 2009 自然科學 Vol.20 No.-

        환경문제가 전지구적으로 심각한 문제로 인정되면서 다양한 학문적 해결방안이 폭넓게 논의되어왔다. 근본생태주의는 인간중심적인 과학기술의 적용을 환경문제의 본질적인 원인으로 지목하였다 그래서 인간중심적인 관점을 버리고 통합적 세계관을 환경문제의 해결도구로 제시하였다. 근대 과학기술이 발달하는 과정에 기독교가 영향을 미친 것은 사실이나 과학의 기본적인 속성은 고대 그리스 자연철학에서 비룻되었고, 과학혁명기와 산업혁명기를 통해 과학이 성장하면서 인간 스스로도 탈인간화 시키고 연구의 대상으로 삼아 인간중심적 경향보다 권력지향적 특징이 강했다. 그리고 생태사의 발달에서 볼 때 인간의 문명 전반에 걸쳐 환경문제가 왔으며 과학기술은 인간 생존을 위해 자연을 사용한 것이며, 이에 대한 포괄적 인식의 부족으로 인한 근본생태주의의 과학에 대한 분석에는 오류가 있었고, 탈인간중심적 세계관을 현실에 적용하는 과정에서 한계가 있음이 들어났다.

      • 자기효능감에 관련된 대학생의 흡연, 식습관, 영양지식, 비만도 : 대전 지역 대학생을 중심으로

        오선영,왕수경 대전대학교 기초과학연구소 2012 自然科學 Vol.23 No.-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differences in food habit, nutritional knowledge, obesity index, self-efficacy, smoking according to gender, the effects of food habit, nutritional knowledge, BMI, smoking on self-efficacy among university student. This survey was carried out questionnaires in 174 male and 148 female university students in Daejeon area. Data were analyzed by the method of frequency, percentage, Cronbach'α, factor analysis, t-test, χ2-test, regression analysis using SPSSWIN program.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1) There were partially differences in food habit, nutritional knowledge, obesity index, self-efficacy, smoking according to gender. Mean value of food habit and health in male(M=2.95) were higher than that of female(M=2.70) and mean value of nutritional knowledge in female(M=6.39) was higher than that of male(M=5.95), mean value of smoking in female(M=1.57) was higher than that of male(M=1.91). 2) Food habit, nutritional knowledges and smoking had partially predicted to self regulation efficacy and preference for difficulty in performing subject according to gender. In male students, regular food habit(β=.19, p<.05) and nutritional knowledge(β=.18, p<.05) show significant difference in self regulation efficacy, smoking(β=-.15, p<.05), food habit and health(β=.24, p<.01) and BMI(β=.17, p<.05) show significant difference in preference for difficulty in performing subject. In female students, food habit and health(β=.26, p<.01) and nutritional knowledge(β=.20, p<.05) show significant difference in self regulation efficacy, smoking(β=.15, p<.05) and nutritional knowledge(β=-.17, p<.05) show significant difference in preference for difficulty in performing subject.

      • 대학생들의 댄스스포츠에 대한 인식 조사 연구

        원주연,김윤태 대전대학교 기초과학연구소 2001 自然科學 Vol.12 No.1

        이 연구는 대학생들이 댄스스포츠에 대해 어떤 인식을 가지고 있는지와 참여의 정도를 설문조사 함으로서 대학 내의 댄스스포츠에 대한 재인식과 생활체육으로서의 댄스스포츠의 그 위치를 확립할 수 있는 기초자료로 활용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대전시 및 충남에 소재하는 4년제 6개 대학교 2331명을 대상으로 설문지를 배부하여 조사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댄스스포츠에 대한 개념 인식 첫째, 댄스스포츠의 개념은 남 · 여학생 모두 잘 인식하고 있으며, 학년간에는 3학년이 가장 높게 인식하고 있었다. 둘째, 사교댄스, 볼륨댄스 및 댄스스포츠와 관계는 구분할 수 없다가 더 높게 인식하고 있으며, 학년간에는 1학년이 가장 높게 인식하고 있었다. 셋째, 댄스스포츠와 체육과의 관계는 서로 같다가 가장 높게 인식하고 있으며, 학년간에는 2학년이 가장 높게 인식하고 있었다. 2. 댄스스포츠의 관심과 경험에 대한 현황 첫째, 댄스스포츠를 접해본 경험은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더 높았고, 학년간에는 3학년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둘째, 댄스스포츠를 알게된 것은 영상매체가 가장 높았고, 학년간에는 1학년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셋째, 댄스스포츠를 추어본 경험은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더 높았고, 학년간에는 3학년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넷째, 댄스스포츠를 추어본 장소는 학교수업에서가 가장 높았고, 학년간에는 3학년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다섯째, 경기용 댄스스포츠의 인식은 모른다가 더 높았고, 학년간에는 4학년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3. 댄스스포츠에 대한 가치 인식 첫째, 댄스스포츠의 운동학적 가치는 약간 있다가 가장 높았고, 학년간에는 4학년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둘째, 댄스스포츠의 정치 ? 사회적 가치는 약간 있다가 가장 높았고, 학년간에는 3학년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셋째, 댄스스포츠의 오락적 가치는 약간 있다가 가장 높았고, 학년간에는 4학년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넷째, 댄스스포츠의 교육적 가치는 약간 있다가 가장 높았고, 학년간에는 3학년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다섯째, 댄스스포츠의 예술적 가치는 약간 있다가 가장 높았고, 학년간에는 3학년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여섯째, 댄스스포츠를 전문적으로의 인식은 평범하게 생각한다가 가장 높았고, 학년간에는 4학년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4. 댄스스포츠의 발전 방향에 대한 인식 현황 첫째, 생활체육으로서의 댄스스포츠는 매우 적합하다가 가장 높았고, 학년간에는 3학년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둘째, 댄스스포츠의 사회·문화적 가치는 약간 기여한다가 가장 높았고, 학년간에는 3학년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셋째, 댄스스포츠의 필요성은 약간 필요하다가 가장 높았고, 학년간에는 3학년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넷째, 댄스스포츠의 교육적 효과는 매우 많다가 가장 높았고, 학년간에는 4학년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다섯째, 댄스스포츠의 발전 가능성은 올바른 방향으로 활발해졌다 더 높았고, 학년간에는 4학년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여섯째, 댄스스포츠를 배우고 싶은 장소는 학교교양강좌에서가 가장 높았고, 학년간에는 3학년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ovide basic materials available to establish the recognition of dance sport on campus and the status of dance sport as sport for all. For this purpose, this study used th questionnaire research so as to investigate how college students were conscious of dance sport and the level of their participation in dance sport. In conducting the questionnaire research,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to 2331 college students attending six 4-year universities located in Daejeon and South Chungcheong Province. Based on the study results, the following conclusion was drawn: 1. Consciousness of the Concept of Dance Sport First, both male and female college students were well conscious of the concept of dance sport. And juniors were most highly conscious of it in terms of academic year. Second, college students were more highly conscious of the indistinguishabl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dance, ballroom dance and dance sport. And freshmen were most highly conscious of the distinctive relationship between such types of dance. Third, college students were most highly conscious that dance sport was identical with physical education in terms of their relationship. And sophomores were most highly conscious of their relationship. 2. The Present Situation of Interests and Experiences in Dance Sport First, female college students had more experiences in dance sport than male college students, and juniors had the most experiences in dance sport. Second, college students came to know dance sport through the picture media, and freshmen got information on dance sport through the picture media most. Third, female college students had more experiences in performing dance sport than male college students. And junior had the most experiences in it. Fourth, college students performed dance sport at the place for school hours as the place for performing dance sport. And juniors performed dance sport at the place for school hours most. Fifth, college students were more unconscious of competitive dance sport than conscious of it. And seniors showed the highest level of unconsciousness of competitive dance sport. 3. The Value of Dance Sport First, college students were most highly conscious that dance sport had its value :as spo- isAence. Seniors showed the highest level of consciousness on it. Second, college students were most highly conscious that dance sport had its politico-social value. Juniors showed the highest level of consciousness on it. Third, college students were most highly conscious that dance sport had its recreational value. Seniors showed the highest level of consciousness on it. Fourth, college students were most highly conscious that dance sport had its educational value. Juniors showed the highest level of consciousness on it. Fifth, college students were most highly conscious that dance sport had its artistic value. Juniors showed the highest level of consciousness on it. Sixth, college students were most highly conscious that dance sport was ordinary in terns of professional job. Seniors showed the highest level of consciousness on it. 4. The Present Situation of the Developmental Direction of Dance Sport First, college students were most highly conscious that dance sport was very appropriate as sport for all. And juniors showed the highest level of consciousness on it. Second, college students were most highly conscious that dance sport made some contribution to its socio-cultural value. And juniors showed the highest level of consciousness on it. Third, college students were most highly conscious that dance sport was slightly needed. And juniors showed the highest level of consciousness on it. Fourth, college students were most highly conscious that dance sport had the very educational effect.. And seniors showed the highest level of consciousness on it. Fifth, college students were most highly conscious that the development of dance sport would go in a right direction.. And seniors showed the highest level of consciousness on it. Sixth, college students were most highly conscious that the place for learning dance sport would be the place for liberal arts. And juniors showed the highest level of consciousness on it.

      • 배드민턴 운동프로그램이 정신지체아의 기초체력과 적응행동에 미치는 효과

        김창림,이창규,박봉섭 대전대학교 기초과학연구소 2006 自然科學 Vol.17 No.-

        본 연구는 정신지체 중학부 1 학년 정신지체아동 6 명을 대상으로 정신지체아동들의 특성과 수준에 맞게 구안된 배드민턴 운동프로그램을 23주간 적용하여 기초체력(근력, 순발력,유연성, 평형성)과 적응행동(사회적 적응행동, 실제적 적응행동)의 변화를 알아본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첫째, 배드민턴 운동프로그램은 기초체력 변인 중 순발력 과 유연성에서유의한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배드민턴 운동프로그램은 적응행동(사회적 적응행동, 실제적 적응행동)에 유의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회적 적응행동 변인에서는 사회성일반(34.28% ), 놀이활동(29.29%), 대인관계(34.88%),책임감 (26.61%), 규칙과 법(37.83%)에서 유의한 변화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실제적 적응행동 변인에서는 화장실이용(27.18%), 먹기(30.37%), 옷입기, 식사준비(35.95%), 집안정리(29.29%) 모두에서 유의한 변화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대전대학교 학생들의 전통 떡에 대한 인식 및 섭취실태

        구난숙 대전대학교 기초과학연구소 2006 自然科學 Vol.17 No.-

        대전대학교 학생을 대상으로 우리나라 전통 떡에 대한 인지도와 기호도를 조사하였다 120 명의 대 학생들이 직접 설문지에 기록하도록 하여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기재가 불충분한 것을 제외하고 109 명으로부터 수집한 자료를 본 연구에 사용하였다. 대학생들은식생활에서 영양섭취와 즐거움추구를 중요시 하며 , 식품을 선택할 때 맛을 가장 고려하는것으로 나타났다. 전체 응답자의 90%이상이 먹어 본 경험이 있는 전통 떡은 송편 , 인절미, 가래떡, 백설기, 무지개떡, 팥시루떡, 꿀떡, 약식으로 조사되었다 가장 좋아하는 떡은꿀떡, 가장 싫어하는 떡은 팥시루떡으로 응답하였다. 아침식사용으로 먹고 싶은 떡으로는 백설기를, 외국인에게 후식으로 권하고 싶은 떡으로는 꿀떡을 가장 많이 추천하였다.

      • 대전대학교 대학생들의 학교식당 이용 실태 및 만족도 분석

        임영희,김미원,김정은 대전대학교 기초과학연구소 2007 自然科學 Vol.18 No.-

        대전대학교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학교식당 이용 실태 및 만족도를 분석하였다. 기재가 불충분한 설문지를 제외하고 총 433부를 자료 분석에 이용하였다. 식사 습관은 비교적 불규칙적이었으며, 아침 결식률이 가장 높았고, 그 이유는 등교시간에 쫓겨서가 가장 높았다. 평소에 음식을 먹을 때 중점을 두는 것은 맛있는 음식이었다. 학교 구내식당의 이용 여부는 전체적으로 ‘5-6일에 1회’ 61.0%로 가장 높았고, 그 다음으로는‘2-3일에 1회’ 12.5% 순으로 나타났으며 각 구내식당별 이용 이유를 알아보면 3호관 식당과 6호관식당 기숙사 식당을 이용하는 가장 큰 이유는 위치가 가까워서로 나타났고, 혜화문화관 식당을 이용하는 가장 큰 이유는 분위기와 시설 때문인 것으로 나타났다. 학교 급식 시 음식을 남기는 이유는 맛이 없어서(50.6%)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이용하는 식당에 따른 만족도는 음식, 위생, 서비스, 환경은 기숙사 식당의 만족도가 높았고, 영양 면에서는 혜화문화관 식당의 만족도가 높았다. 단과대별에 따른 급식만족은 음식에 관한 문항 중에서는 ‘메뉴의 다양성’에서만 유의적인 차이가 있어(p<0.01), 보건스포츠과학대 (3.00±0.81 )가 가장 높았다 한의과대학과 응용산업대학, 보건스포츠과학대학은 그룹 간에 차이가 있었다. 서비스에 관한 운항 중에서는 ‘가격이 적당한가’에 대해 유의적인 차이를 보였고, 보건스포츠과학대 (3.41±0.84)가 가장 높았다.

      • 게임놀이의 교육적 가치에 대한 뇌과학적 해석

        양연숙 대전대학교 기초과학연구소 2007 自然科學 Vol.18 No.-

        본 연구는 뇌과학적 이해에 기초하여 게임놀이의 개념과 교육적 의의를 고찰하였다. 게임놀이는 소뇌와 대뇌피질을 활성화하여 사고력을 증진시키고, 전뇌를 활성화할 뿐만 아니라 다양한 감각경힘을 통하여 뇌가 입체적인 정보처리에 익숙하게 한다. 또한 정서적 측면에 작용하여내적동기를 유발하고, 스트레스를 감소시켜 아동교육 현장의 교수학습 방법으로 활용될 교육적가치를 지니고 있다.

      • 비만도에 관련된 대학생의 식이효능감, 식습관 및 자기효능감

        오선영,왕수경 대전대학교 기초과학연구소 2010 自然科學 Vol.21 No.-

        본 연구에서는 대학생의 식이효능감, 식습관 및 자기효능감이 대학생의 비만도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조사한 자료는 대전대학교의 남녀 대학생 247 명을 대상자로 하였으며 , SPSS program 을 사용하여 평균, 표준편차, 백분율, t-test, 상관관계, 회귀분석 등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조사 대상자의 65.3%가 정상체중, 22.1%가 과체중 또는 비만이였으며 12.7% 가 저체중이였으며 비만한 남학생 수가 비만한 여학생 수보다 많았다 . 대학생의 식이효능감, 식습관, 자기효능감과 대학생의 비만도는 성별에 따라 차이를 보여 남학생이 여학생보다 식이효능감, 식습관, 자기효능감이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으며 , 조사 대상자의 식이효능감, 식습관과 자기효능감이 대학생의 비만도에 미치는 상대적영향력은 규칙적인 식습관이 유의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was to explore the differences in dietary self-efficacy , food habit, self-efficacy, obesity index according to gender, and the effects of dietary self-efficacy , food habit, self-efficacy on obesity index among university student. Subjects of this study consisted of 247university student who had been life in Daejeon city. The pilot study was used to examine the applicability of survey instrument, Data were analyzed by the method of frequency , percentage. Cronbach 's a, factor analysis , t-test , regression analysis using SPSSWIN program .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1) there were partially differences in dietary self-efficacy , food habit. self-efficacy , obesity index according to gender 2) for university student. Food Habit had predicted to obesity index.

      • 여대생들의 체형 만족도에 따른 체형인식 및 식생활조사연구

        최지연,왕수경 대전대학교 기초과학연구소 2010 自然科學 Vol.21 No.-

        대전대학교 여학생 총 135 명을 대상으로 체형 만족도에 따른 체형인식, 체질량지수와 식습관에 대한 실태를 조사한 결과 조사대상자의 63.7%가 자신의 체형에 불만족하였으며36.3% 가 보통 또는 만족하였다 대상자의 평균 연령은 21.9 세였다. 신장은 불만족군이 낮은 경향을 보였으며 체중, 허리 둘레, 엉덩이 둘레 , 체질량지수, 기초대사량은 자신의 체형에 대한 불만족군이 만족군보다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p<O.001 , BMR:p<0.01) 자신의 체형인식을 옳게 한 대상자는 72.6% 이고, 잘못 인식하고 있는 대상자는 27 .4% 이었다. 체질량지수에 의한 저체중인 조사대상자는 자신의 체중이 정상체중으로 인식하는 비율이 높았고, 체질량지수에 의한 정상체중인 조사대상자들 중 일부는 과체중 · 비만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불만족 군이 덜 활동적인 경향을 보였으며, 두 군 모두 학업 성적에 가장 스트레스를 받고 있었다 두 군 모두 아침 결식 비율이 높았고 규칙적으로 식사를 하지 않는 학생이 많았으며, 우유 및 유제품의 섭취빈도가 낮았다 이상과 같이 대상자들은 자신의 체형에 대한 만족감이 낮고 체형인식이 잘못됨으로써 올바른 식습관을 간과하여 건강이 악화될 수 있으므로 자신의 체형에 대한 올바른 인식과 건강한 식습관이 형성될 수있도록 영양교육이 필요하다고 본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total number of 135 women in Daejeon University. to understand students' perception of their body image. dietary habits and Body Mass Index(BMI) depending on their self-satisfaction . 63.7% of subjects were dissatisfied with their body image and 36.3%answered average and satisfied . The average age of the subjects was 21.9 year-old . Height of the people in dissatisfied group tend to be smaller than that of satisfied . Weight. Waist Circumference and Hip Circumference . BMI. and BMR in dissatisfied group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of satisfied . 72 .6% of the subjects had proper self-recognition of their body but 27.4% didn't. Most of the low- weight subjects according to BMI considered themselves normal-weight as normal-weight subjects according to BMI thought of themselves as over-weight or obese . The dissatisfied group tended to be less active and both groups had stress about academical studies. Also both groups commonly shared absence of breakfast. timely meals. and intake of dairy products. As discussed above. subjects have low satisfaction towards their body image. false recognition of their body. which leads to overlook of proper dietary habits and consequently. ill health . Thus nutritional education that teaches proper perception of body image and healthy dietary habits is necessary.

      • 대학생들의 다이어트 식습관 실태 조사

        김연정,문진아,왕수경 대전대학교 기초과학연구소 2010 自然科學 Vol.21 No.-

        대전대학교 교양과목으로 개설된 ‘식생활과 다이어트’ 교과목을 수강하는 남녀 학생 151 명을 대상으로 다이어트 경힘과 함께 그들의 식습관을 알아온 결과는 다음과 같다 조사대상자는 남학생 81 명과 여학생 70명으로 총 151 명이었다. 남학생들의‘식생활과 다이어트’ 수강동기는 식생활 전반에 대해 공부하고 싶다는 응답이 여학생들은 특히 다이어트에 관심이 있어서 라고 응답한 학생이 가장 높아 유의적 차이를 보였다 여학생 중 51 .4%, 남학생 중54.3%는 다이어트에 대한 경험이 있었으며, 다이어트 해 본 시기는 남학생은 대학교 때 여학생은 고등학교 때가 가장 높게 나타나 유의적 차이를 보였다. 다이어트 정보는 남학생과 여학생 모두 인터넷과 경험 있는 친구 나 선배를 통해서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남녀 학생의 평균 운동 시간은 유의적 차이를 보여 남학생은 주 1 - 3시간 운동하는 학생이 가장 많았고 여학생들의 주 1 시간미만 운동하는 학생이 많았다. 식생활 태도에 대한 조사에서 아침 식사를 하지 않는 학생이 남녀 각각 19.6%. 18.6%로 나타났다. 남학생이 여학생보다 과식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간식을 먹는 횟수는 여학생이 많았다. 조사대상자 자신의 식생활의 개선점으로 남녀 학생이 각각 56 .4%와 47.0%가 불규칙한 식사로 답하였다. 이상의 결과로 남녀 학생들이 다이어트에 대한 관심도가 높았고 식습관에 문제가 있어 “식생활과 다이어트”과목을 수강함으로써 식습관과 다이어트 과목을 통한 영양교육이 효과가 있을 것으로 본다. In th is study, 151 students(male were 81 and female were 70enrolled in ‘' Food and Diet course were asked about their diet experiences and food habits . In the question asking the reasons for taking this‘' Food and Diet'class , most male subjects answered they enrolled 'to learn about overall knowledge’, whereas female students answered ' special interest in diet’' led to taking th is class. 67 .1 %of women and 64.2% of men said they put effort to maintain weight. Also , 51 .4%of female and 54.3% of male have experience of diet. The period of diet was most frequent in University for men (33 .3%) and in high school for women (47.1 %). Diet information was gathered from internet of from friends with previous experiences for both genders . It showed students gain little through reading nutrition related books , percentage was low for men and women (3 .7%. 1.4%, respectively). For diet methods. 40% of the subjects in total said they do diet through exercise. Female subjects showed that they've tried many different methods such as yoga and diet therapy . 53 .1 % of male and55.7% of female answered the diet was effective and lost weight. In the questionnaire about the dietary life and habits. percentage of the subjects who do not eat breakfast was 19.6% for men and 18.6% for women. The frequency of excessive eating and taking snacks was higher in men and it showed statistically meaningful result. From above results , we can conclude that the interest in diet was high in both gender and they both have problems regarding eating habits. 80 by taking ‘' Food and Diet’' class , it is predicted that this course will have educational effect on students 'eating habits and their die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