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영어권 초급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과제 활용 방안 연구

        공득희 경희사이버대학교 문화창조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9647

        Korean language education in the United States is a language course that has recently experienced a surge in demand at universities. However, although the Korean language requires more time than other languages to reach the Advanced Level, it is treated similarly to other language courses and is offered as an elective course at universities. Also, unlike the Korean language classes that are taught in Korea, the courses available in the United States give their learners very little opportunity to practice and ignite their skills. Thus, a very effective teaching method is required in order to maximize the communication between the learners during the limited amount of class time, and utilizing tasks is an effective way of encouraging meaningful interaction between learners.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suggest effective ways to utilize tasks in order to improve the communication skills of the Korean learners within the English-speaking communities. For that purpose, this study draws essential factors from a need analysis and a textbook analysis completed by elementary learners in the English-speaking communities. The need analysis survey was conducted upon students that were taking the Korean Language as a foreign language at five universities in the United States, Texas, and the investigation focused on gathering information about the types of Korean task topics, task activities, and task interactions. The need analysis revealed that the main topics that learners desired for their classes were primarily “greetings”, then “work and career”, and then “news and current affairs”, but according to the textbook analysis, there was only a minimal number of elementary level textbooks that dealt with such topics. Research shows that the topic of “work and career” was dealt only by Textbook S and that “news and current affairs” was dealt only by Textbook A. Furthermore, in an investigation to check whether the beginning level topics suggested by the “Internationally Recognized Model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were well integrated into the textbooks in the English-speaking regions, it was revealed that approximately 61% (Textbook A) to 73% (Textbook I) of the textbooks dealt with topics of the beginning level. The type of task activity that was most preferred by the learners was “playing games”, but the “playing games” task only amounted to 8.8% in the textbooks, and other task activities such as “role playing”, “talking with pictures” and “solving complex problems” also appeared very infrequently. Furthermore, some textbooks showed no correlation between the tasks and the learning topics although tasks should conform to their corresponding learning topics. Korean teacher should be cautious about the discrepancy between the topics and tasks because it may be difficult for the task to activate the knowledge that was gained in the suggestion and practice stages, and may even drive away the interest of the learners. The type of interactive learning that learners preferred the most was the small-group activities with 3-6 people, but an analysis about the tasks in the textbook showed that the most suggested tasks were in pairs, individuals, small-groups, and entire classes, it that order. Therefore, the followings with tasks utilization are suggested, based upon the need analysis that was performed upon elementary learners in U.S. universities and also upon the Korean textbook analysis that was drawn from textbooks available in English-speaking regions. First, teachers should utilize the tasks in the application stage of the classes since the Korean courses in U.S. universities have short class periods that may make it difficult to run entirely task-oriented classes. Second, it should reflect the characteristics of the learners and the topics that the learners at the U.S. universities desire. Third, it should either present a diversified array of tasks or suggest the task types that the learners prefer so that the learners may take interest and actively complete the tasks. Fourth, it should reflect the interaction task types that the learners demand. Fifth, the procedures of the task activities need to be specific and feasible. The suggested task utilization methods are based upon the characteristics, textbooks, and demands of the elementary learners at U.S. universities. Thus, the application of these methods will sufficiently contribute to the Korean language courses in U.S. universities, and enhance them to be classes with practical and effective communication. However, this research has its limits since it was focused on elementary learners and because there was limited participation in the need analysis surveys. It is proposed that subsequent studies should have the universality to incorporate all beginner, intermediate and advanced levels, and that the need analysis be done on a larger pool of participants. Additionally, it is urged that tasks that are diverse, systematic and suitable for the learners’ characteristics be developed, including textbooks for English-speaking learners, and that a study be commenced to confirm whether the textbooks efficiently induce the improvement of the learner’s communication skills. 미국에서의 한국어 교육은 최근 대학에서 그 수요가 급격히 증가하고 있는 외국어 교육이다. 그러나 한국어는 다른 언어에 비해 고급 수준(Advanced level)까지 소요되는 시간이 길지만 다른 외국어 수업과 비슷하게 취급되어 대학교의 교양강좌로 제공되고 있으며 한국에서 이루어지는 한국어 수업과는 달리 미국에서의 한국어 교육은 학습자들이 한국어를 사용하여 발화하는 기회가 매우 적다. 따라서 부족한 수업시간 내에 학습자 간에 의사소통이 극대화되기 위해서는 매우 효과적인 교수법이 필요한데, 과제(Tasks)를 활용하는 것이 학습자 간에 서로 유의미한 상호작용을 유도하고 의사소통하게 하는 효과적인 방법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영어권 한국어 학습자들의 의사소통 능력을 향상하기 위해 과제를 효과적으로 활용하는 방안을 제시하는 것이다. 그러기 위해, 초급 영어권 학습자들을 대상으로 한 요구 조사(Need analysis)와 교재 분석 결과를 근거하였다. 학습자 요구 조사는 미국 텍사스주에 있는 대학교에서 한국어 수업을 외국어로 수강하는 대학생을 대상으로 실시하였고, 내용은 한국어 과제의 주제 유형과 과제의 활동 유형, 그리고 과제의 상호작용 유형을 중심으로 조사하였다. 교재 분석 결과에 의하면, 요구 분석에서 학습자들이 수업시간에 배우기 원하는 과제의 주제 유형으로 ‘인사’ 다음으로 ‘일과 직업’ 그리고 ‘뉴스 및 시사 문제’였는데 이 부분을 다루고 있는 초급 교재는 매우 적었다. ‘일과 직업’은 S교재에서만 다루고 있었고, ‘뉴스 및 시사문제’는 A교재에서만 다루고 있는 실정이었다. 더욱이 ‘국제 통용 한국어 교육 표준 모형’에서 제시한 1급 수준의 학습 주제들이 영어권 교재 속에 잘 내포하고 있는지 분석한 바에 의하면 교재의 약 61%(A교재)에서 73%(I교재) 정도가 1급 수준의 주제를 다루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과제의 활동 유형에 있어서 학습자들이 제일 선호하는 유형은 ‘게임하기’였으나 교재들에 나타난 ‘게임하기’과제는 8.8%에 불과했고, ‘역할극하기’, ‘그림을 활용한 말하기’, ‘복잡 문제 해결하기’ 등의 과제 유형의 빈도도 매우 낮았다. 뿐만 아니라 과제들은 해당 학습 주제와도 맞아야 하는데, 몇 교재의 과제는 학습 주제와 상관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주제와 과제의 불일치는 제시 및 연습 단계에 습득된 지식 내용이 과제를 통해 활성화되기 어려울 수 있으며, 학습자들의 흥미를 떨어뜨릴 수 있으므로 한국어 교사는 주의해야 한다. 상호작용 유형에서 학습자들이 제일 선호하는 활동은 3~6명의 소그룹 활동이었으나 교재들 속에 제시된 과제를 분석한 결과에 의하면 짝 활동의 빈도가 제일 높았고, 개별 활동, 소그룹 활동, 교실전체 활동 순으로 빈도를 보였다. 따라서 미국 대학교 초급 학습자들을 대상으로 실시한 요구조사와 영어권 학습자를 위한 한국어 교재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과제를 활용한 수업 방안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미국의 대학교 한국어 교육은 수업 시간의 부족으로 인해 수업 전체를 과제 중심으로 이끌어가기는 어려움이 있으므로, 과제를 수업 단계에 있어서 활용 단계에서 구성하고 실행하도록 한다. 둘째, 미국의 대학교 학습자들의 특성과 학습자들이 요구하는 과제의 주제 유형을 반영한다. 셋째, 학습자들이 흥미를 갖고 적극적으로 과제를 수행하도록 다양한 과제 유형을 제시하거나 그들이 요구하는 과제 유형을 반영한다. 넷째, 학습자들이 요구하는 과제의 상호작용 유형을 반영한다. 다섯째, 과제의 활동들은 수행 절차가 구체적이고 실현 가능해야 한다. 지금까지 제시한 과제의 활용 방안은 미국 대학교 초급 학습자들의 특성 및 요구 분석과 교재분석에 근거하였으므로 미국 대학교의 한국어 수업이 실제적이고 효과적인 의사 소통의 수업이 되도록 충분히 기여할 것이다. 그러나 본 연구는 초급 학습자들을 중심으로 다루었다는 점과 요구도 조사에서 참여자의 수가 적은 것이 어느 정도 한계점을 가질 수 있으므로, 후속 연구에서는 초, 중, 고급의 모든 단계를 다룰 수 있는 보편성을 갖는 연구가 이루어질 것과 더 많은 참여자들을 대상으로 요구 분석이 이루어져야 할 것을 제언하는 바이다. 그리고 학습자의 특성에 맞고 다양하고 체계적인 과제를 포함한 영어권 학습자를 위한 교재가 개발되어야 할 것과 그 교재가 과연 학습자들에게 의사소통의 향상을 유도하는지 그 효과에 대한 연구도 이루어져야 할 것을 제언한다.

      • 북미 대학 한국학 전공을 위한 한국어 교육과정 개발 방안 : 캐나다 앨버타대학 동아시아학과 사례를 중심으로

        강주연 경희사이버대학교 2016 국내석사

        RANK : 249647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Korean for academic purpose curriculum for majoring in Korean studies with the background of North American colleges. To develop the Korean language curriculum, the study analysed the Korean language curriculum of the department of East Asian Studies at North American Universities, Korean language teaching and learning status of the Department of East Asian Studies at University of Alberta, and the Korean-language learning students’ needs. The result of the analyses showed that the Koran for academic purpose curriculum is based on the format of KGP, KGAP, KSAP and KSP education in general. However, KAP education was not so strong to link the basic level of Korean language learning to the academic purpose of Korean studies. Because of this weakness, most of the courses relating to Korean studies are run through the medium of English, and also KSAP courses focus on readings related to the study topics, which leads the curriculum to be constructed to emphasize and improve the vocabulary and reading skills. The Department of East Asian Studies of University of Alberta aims to develop the areas of linguistics, culture, and literature as Korean studies concentration. Overall students are motivated by and interested in Korean popular culture through mass media, and prefer to learn more about the areas of Korean society and culture, and translation. The students perceive that Korean language competency, and especially KAP, is essential in pursuing Korean studies as a concentration area for their major or minor. Based on the analyses, the study developed KAP curriculum for majoring Korean studies through critically embracing the curriculum of North American colleges and reflecting the departmental educational goals and students’ needs of the Department of East Asian Studies. The curriculum proposes KAP goals and objectives, course designs, teaching and learning approaches and assessment. It includes 4 domains of KGP, KGAP, KSAP and KSP in the KAP program and is developed to connect each domain as well as to reflect the characteristics of each and to maintain connectivity to the Korean studies.

      • 서정적 자아의 시간의식 : 학위 창작품(시)을 중심으로

        정선남 경희사이버대학교 문화창조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9631

        Abstract The Time Consciousness of Lyrical Ego Jeung, Seun-Nam Major of Creative Arts and Media Graduate School of Culture Creation, Kyung Hee Cyber University This manuscript has an purpose on research time consciousness appeared on 42 poetry including "Old Memory 1", a poem writer's creation for degree. Sensitivity appeared in lyrical poetry is common in dailiness. Time in poetic imagination requires close relationship, present factors could be found in time and space through memory reproduction. The present factors in time and space have relationship with the state of staying in nowness, that is non-temporality. Lyricism holds powers to open order of daily life and prospect of harmony. Therefore, the time consciousness of lyrical poetry can fulfill sense of duty of poetic vision and enjoy the quality of life with mind about human's mind and duty, and social order and discernment on space creation and structure. One's personal experience in common and social frame would be ranged over mainly rather to approach time as literary thing. Also lyrical ego and time consciousness would be discussed in which experience in reason and life have relation with the topic of time. Time consciousness means the space where poetic meaning is created rather than a common or essential time. Poetic present is considered in the moment we aim for object or accept continuously through emotion in poetry. As one experience accept certain object and is valid as poetic subject, the form of time and space could be a form of experience. The timely expression can show the world of abstract intuition not direct one and reveal inferential consciousness. Human grow in physically and emotionally as time goes by. History develops over the flow. Therefore human can not be separate from the time. Time shows aspects that it can not be divided by personal consciousness cognizing time. The time consciousness is the main theme in the research of lyrical ego. In the lyrical poetry, time consciousness is essentials and emphasized. The time consciousness can not be drop out in lyrical poetry. The time we experienced is shown in present time in all memories so the time could be lyrical time. A poet personalizes the world and divide the world where one can not identify with world, it can be connected with the problem of one's character. Furthermore, the world around person is not a fixed one but keep changing one. Our meeting is various and complicated. Therefore we can not help but continuously think and worry introspection. I would like to study the change of time through the variation of experience. This can be connected with research of ego and rediscovery. The time consciousness human can know appears differently from space and emotional status. That is, it is recognized and interpreted diversly in people's situation and condition. Thus, the time consciousness can be the method one's sense of time and one's attitude toward it. Eventually how human recognize time is the problem of self-consciousness. The writer tried to understand the meaning of life and background of time consciousness by realizing the matter of time rightly in time management. In addition, I anticipate to have an insight in poetic imagination and self-consciousness by understanding time. Key word : Temporality, lyricism , identity, memory, ego, nontime, eternity, unconscious <국문초록> 서정적 자아의 시간의식 정 선 남 미디어문예창작 전공 경희사이버대학교 문화창조대학원 본고는 필자의 학위 창작품인 시「오래된 기억1」외 42편에 나타난 시간의식을 탐구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서정시에서 드러나는 감수성은 일상성 가운데 보편화된 것이다. 시적 상상력에 있어 시간은 유기적이며 기억의 재현을 통한 시간과 공간에서는 현재적 요소를 발견할 수 있다. 시간과 공간에서의 현재적 요소는 과거가 현재성에 머물러 있음의 상태 즉 무시간성과도 관련이 있다. 서정성은 일상적 삶 속의 정돈과 조화의 지평을 열어주는 힘을 보유하고 있다. 그렇기 때문에, 서정시의 시간의식은 시적 비전의 사명감을 완수하고 인간의 심성과 도리, 사회 질서에 대한 정신자세와 우주의 생성과 구조에 대한 통찰로써 삶의 질을 누릴 수 있게 된다. 시간을 문학적인 것으로 접근하기보다는 일반적이고 사회적인 틀 속에도 개인의 경험적인 부분을 주 핵심적으로 다루고자 한다. 또한 서정적 자아와 시간의식은 사유와 삶속에서의 경험들이 시간이라는 주제와 맺고 있는 관계 안에서 논의한다. 여기서 시간의식은 통속적이거나 본질적인 시간이 아니라 시적의미가 생성되는 장으로서의 시간이다. 시 속에서 대상을 지향하는 순간이나 감정을 통해 지속적으로 받아들이는 때를 시적 현재로 보고 있다. 하나의 경험이 어떤 사물을 수용하면서 시적 대상으로 성립된다면, 시간과 공간이라는 형식은 바로 경험의 형식이 되는 것이다. 이 때 시간적 표현은 직접적 직관이 아니라 추상적 직관의 세계를 보여주며 추론적 의식을 드러낼 수 있다. 인간은 시간의 흐름에 따라 육체적, 정신적으로 성장한다. 역사 또한 그 흐름 위에서 발전하는 것이다. 그러므로 인간은 시간으로부터 결코 독립적이지 못하다. 시간은 시간을 인식하는 개인의 의식과 분리할 수 없는 관계적인 양상을 띤다. 서정적 자아의 탐구에서 무엇보다 시간의식에 관심을 두었다. 이 시간의식이 본질이 되고 또한 강조되고 있는 곳이 서정시이다. 서정시에서 시간의식은 빠질 수 없는 부분이다. 우리가 경험한 시간은 모두 기억 속에서 현재 시점으로 드러나기 때문에 그 시간들은 대부분 서정적인 시간이라 할 수 있다. 시인이 세계를 인간화하고 세계와 일체감을 이룰 수 없는 세계를 구분한다는 것은 한 개인의 개성 전체에 관한 문제로 연결된다. 뿐만 아니라 개인을 에워싸고 있는 세계는 고정된 것이 아니라 시시각각 변하며 다양하다. 우리들의 만남은 다양하고 복잡하다. 따라서 필연적으로 지속적인 자아성찰의 문제를 생각하고 고민할 수밖에 없다. 경험의 다양성을 통해 시간의 변화를 고찰해 보고자 한다. 이것은 자아의 탐구와 재발견으로 연결될 것이다. 인간이 느끼는 시간 의식은 장소와 심리적 상태에 따라서 다르게 나타난다. 즉 개인이 처한 상황과 조건에 따라 달리 인식되고 해석되는 것이다. 따라서 시간 의식은 개인이 시간을 의식하는 방법과 그에 대한 태도를 말한다고 할 수 있다. 결국 인간이 시간을 어떻게 인식하느냐는 자아의식의 문제이다. 필자는 시의 운용에 있어서 시간의 문제를 올바르게 파악함으로써 삶의 의미와 시간의식의 배경을 이해하려했다. 또한 시간에 대한 이해를 통해 시적 상상력과 자아의식에 대한 문제를 통찰 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주제어 : 시간성, 서정성, 동일성, 기억, 자아, 무시간, 영원성, 무의식

      • 금융 분야 비즈니스 한국어 교육과정 개발 연구 : 베트남의 대학 교육과정을 중심으로

        김현옥 경희사이버대학교 문화창조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9631

        Korean language education in Vietnam began with the economic exchange of the two countries and has focused on practical, ready-to-use learning. Due to this trend, a high proportion of Korean language courses in Vietnamese universities concentrates on language skill education such as speaking, listening, reading, and writing.On the contrary, vocational Korean language education lacks in both quantity and quality. However, the number of students learning Korean for employment is increasing, and the need for vocational Korean language education is greater than ever. Since the early years of economic exchange, Korean companies entering Vietnam have also transformed into large and diverse industries. As a result, Korean language learners with vocational purposes require a more diversified and specialized education. It is difficult to respond to these changes in the social environment with general business Korean education. Business language education requires a curriculum specified to certain tasks. Based on this need, this study aimed to develop a business Korean language curriculum for the financial sector, where Korean companies are actively entering the local market and also have high demands for employee recruitment. The study investigated the overall current state of business Korean language education in Vietnamese universities and analyzed the business Korean textbooks used in these institutions. The results were reflected in the curriculum design of this study. To understand learner needs, students at the Department of Korean Language Studies in Vietnamese universities and Vietnamese employees working for Korean financial companies were selected as a learner group. A survey was conducted on the requirements for the curriculum composition and the recognition of the importance of specific education content. Due to the nature of the business sector, it was necessary to incorporate the requisites of corporate managers. A needs survey on employee recruitment and competency as well as the importance of education content was conducted on Korean managers in Korean financial companies. Survey results showed that the Vietnamese employee and Korean manager group perceived customer service and financial tasks as the most important education content. Students majoring in Korean language studies chose employment preparation as the most important education content. The study showed the main interests of each group. Furthermore, all three groups had strong needs to learn about Korean corporate culture. Based on the results of these needs surveys, this study designed the following curriculum for business Korean language education. Firstly, the curriculum will target students who are intermediate or above, and based on a four-year Vietnamese university, courses will begin in the third year and proceed over two semesters. Compiling the results from textbook analyses and needs surveys, courses were designed to enable students to learn through practical activities focused on speaking and writing. This study presented a business Korean language curriculum for a specific industry, Korean financial companies in Vietnam. It is meaningful that the study researched and designed a curriculum that reflects the needs of 1) Vietnamese employees working in the field of finance, 2) Korean language students who are subject to business Korean language education, and 3) Korean managers of Korean financial companies, three parties concerned in the finance sector, a specific field in business. 베트남에서 한국어 교육은 양국의 경제 교류에서 비롯되어 실용적이며 즉시 활용할 수 있는 언어 학습에 초점이 맞추어져 왔다. 이러한 흐름의 영향으로 베트남 대학의 한국어학과 교과목 구성은 말하기, 듣기, 읽기, 쓰기와 같은 언어 기능 교육의 비중이 높으며 직업 목적 한국어 교육은 양적, 질적으로 부족한 편이다. 이에 반하여 취업을 목적으로 하는 한국어 학습자의 수는 점점 늘어나 직업 목적 한국어 교육의 필요성은 그 어느 때보다 커지고 있는 상황이다. 한편, 베트남에 진출하는 한국 기업의 형태도 초기와 달리 대규모의 다양한 업종으로 변모하고 있다. 이에 직업 목적 한국어 학습자들이 요구하는 교육 내용의 범위도 다양해짐과 동시에 전문화되고 있는 양상이다. 따라서 범용적인 일반 비즈니스 한국어 교육으로는 이러한 사회 환경 변화에 대응하기 어려우며 비즈니스 언어 교육에 한해서는 특정 업무를 한정한 교육과정이 필요하다고 본다. 본 연구는 이러한 필요성에 근거하여 현지 한국 기업의 진출이 활발하고 직원 채용의 수요 또한 높은 금융 분야를 대상으로 비즈니스 한국어 교육과정을 개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베트남 대학의 비즈니스 한국어 교육의 전체적인 현황을 조사하였으며 베트남 대학에서 사용되고 있는 비즈니스 한국어 교재를 분석하여 본 연구의 교육과정 설계에 반영하였다. 또한 학습자들의 요구를 알아보기 위해 베트남 대학 한국어학과 재학생과 한국 금융 기업에 근무하는 베트남 직원을 학습자 집단으로 선정, 교육과정 구성에 필요한 요구 사항과 세부 교육 내용 중요도에 대한 설문조사를 진행하였다. 비즈니스 영역의 특성상 기업 관리자의 요구도 반영되어야 한다고 판단하여 한국 금융 기업의 한국인 관리자들에게 직원 채용 및 업무 역량과 교육 내용 중요도에 대해서 요구 조사를 실시하였다. 요구 조사 결과, 베트남 직원과 한국인 관리자 집단은 세부 교육 내용 중요도 조사에서 고객 상담과 금융 업무 항목을 가장 중요하게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학과 재학생은 취업 준비를 가장 중요한 교육 내용으로 택해 각 집단의 주요 관심 분야를 알 수 있었다. 또한 세 집단 모두 한국 기업 문화 교육에 대해 필요성을 강하게 인식하고 있었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요구 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다음과 같이 비즈니스 한국어 교육과정을 설계하였다. 우선 중급 이상의 학습자를 대상으로 하며 시기는 4년제 베트남 대학을 기준으로 3학년에 시작하고 기간은 두 학기로 진행한다. 교육 내용은 교재 분석, 요구 조사 결과를 종합하여 말하기와 쓰기에 중점을 둔 실제적인 과제 활동을 통해 학습하도록 하였다. 본 연구는 베트남 내 한국 금융 기업이라는 특정 업종을 위한 비즈니스 한국어 교육과정을 제시했으며, 실제 금융업 현장에서 업무를 수행하는 베트남 직원과 비즈니스 한국어 교육의 학습 대상자인 한국어학과 재학생, 그리고 한국 금융 기업 한국인 관리자, 즉 금융 분야라는 특정 분야에서 이해관계가 있는 세 집단의 요구를 조사하고 이를 반영하여 교육과정을 설계하였다는 데 그 의의가 있다.

      • 중국 대학의 한국어 전공자를 위한 생활문화 교육 항목 선정 연구

        김혜영 경희사이버대학 문화창조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9631

        This study aims to select the items of living culture education that reflect the characteristics and demands of Korean majors in Chinese universities and set an example in establishing living culture education items, by recognizing the importance of cultural education and focusing on the living culture aspects of Korean culture. It also seeks to propose methods of education that allow Korean majors in Chinese universities to learn Korean living culture practiced in Korea. Departments of the Korean language at four-year universities in China offer not only linguistics courses, but also courses on cultural functions and performance at work. Most third and fourth year university students studying the Korean language are indeed fluent in the language itself; however, many have relatively inadequate understanding of Korean culture despite the availability of these courses. This calls for more dedicated education on Korean culture. The lack of awareness and understanding of Korean living culture results in poor interpretation or translation of subtitles and dubbing for Korean dramas and movies. All these require more appropriate education on Korean living culture. The goal of this study is to select appropriate items of living culture education for Korean language majors in Chinese universities who are not directly exposed to Korean culture. With the goal in mind, this study examined the contents of living culture education that must be taught to Korean majors in Chinese universities. The cultural education items of the International Standard Curriculum for the Korean Language were used as a reference, which is regarded as one of the most widely used method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in both Korea and around the world. Furthermore, this study reviewed Korean culture textbooks that are actively used in school, analyzed contents related to living culture education and organized contents on cultural education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Subsequently, a survey was conducted on Korean majors and professors in Chinese universities to understand what they want in Korean living culture education, analyzing the difference in responses between Korean language learners and professors. Lastly, this study selected primary items of living culture education for Korean majors in Chinese universities by examining the current status of the standard curriculum and Korean culture textbooks, analyzing and reflecting the results of the survey on demands for items of living culture education from Korean language learners and professors. Five Korean language professors from Chinese universities were asked to evaluate, re-review and adjust selected items of living culture education to verify if they are applicable to education in Chinese universities. After the verification process, final items of living culture education were selected and methods for their utilization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were proposed. This study is relevant in that it identified what Korean language majors in Chinese universities want in Korean living culture education. The study can also be used as basic materials in research on cultural education for Korean majors in Chinese universities in the future.

      • 학문 목적 한국어 쓰기 교육을 위한 웹사이트 모형 연구

        강신영 경희사이버대학교 문화창조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9631

        본 연구는 외국인 유학생의 학문 목적 한국어 쓰기 능력의 향상을 위하여 온라인 환경에 적합한 교수ㆍ학습 모형을 구성하여 제언해 보고자 한다. 웹사이트는 한국어 학습자들이 쓰기를 하는 데 필요한 지식과 쓰기 전략을 연습하고 상호작용할 수 있는 환경을 안정적으로 지원하기에 적합하다. 이에 미국과 영국의 학문 목적 영어 쓰기 교육 웹사이트의 사례들을 검토하여 한국어 쓰기 교육 웹사이트를 위한 모형을 제시하였다. 학술적 글쓰기를 잘하려면 무엇보다 논리적이고 비판적인 사고 능력을 갖추어야 하므로 학습자의 인지 심리 요인을 고려하여 활동을 중심으로 쓰기 과정을 설계하였다. This paper puts forward a synthesized cognitive model for implementation of a website intended for Korean language learners in academic writing contexts. The structure of academic writing was first deconstructed and integrated with cognitive psychological findings from studies in language education in the context of practical considerations in teaching Korean academic writing both offline and online learning environments. With this, an evaluation checklist was created with which to assess English academic writing websites for ESL/EFL learners in the following measures: external system integration, framework and design, usability, learning objectives, contextualized resources, language knowledge, language learning strategies, and feedback methods. Using these criteria, five websites were assessed for the purpose of creating a model suitable for an instructional website for Korean academic writing. These results alone were found to be insufficient for the creation of a new website, so each aspect of the investigated websites were thoroughly re-examined. The design philosophy and framework behind each website's layout, resources, and structure was identified, analyzed, and associated with the concepts of academic writing and critical thinking, so as to more comprehensively understand the effect of decisions made during the instructional design process. From the analysis of these models and their interaction with website design, a new model was composed by incorporating a layered approach to motivate and encourage Korean language writing development for academic purposes.

      • 항공승무원과 전공자를 위한 직업 목적 한국어 교육과정 설계 방안 연구 : 중국 대학을 중심으로

        김은주 경희사이버대학교 문화창조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9631

        Korean Curriculum Development for Occupational Purposes for Flight Attendant Department -Based on Universities in China Kim, Eun-joo Department of Global Korean Studies Graduate School of Culture Creation Kyung Hee Cyber University The aim of this research is to investigate and construct an alternative Korean Curriculum for Occupational Purposes for students in China. Nowadays, there is an increasing trend in majoring Flight Attendant in aeronautics, and there has been a similar trend in demanding individuals who have learned business Korean. In this study, a learner-focused curriculum design is presented as an attempt to investigate and meet the needs of the target group for Flight Attendant Department in China. This research presents a survey of the various needs enrolled students and alumni Flight Attendant in aeronautics. After analyzing the results of the survey, this research presents a curriculum for Korean for Occupational Purposes that is designed to meet the requirements that were presented by the analysis. The research will be presented in the following manner. In the first chapter, the needs and purposes of the study are addressed. The different possible methods, as well as a review of previous studies that are relevant in constructing Korean Curriculum for Occupational Purposes for Flight Attendant are explained and reviewed. In the second chapter, using the definition of Korean Development for Occupational Purposes as a background, the characteristics of Korean education and design principles of the curriculum of Korean education for Occupational Purposes and training will be discussed. In the third chapter, the current state of Korean education for Occupational Purposes for Flight Attendant Department in China will be analyzed. In the fourth chapter, data surveyed from students in Flight Attendant Department and those who have graduated is analyzed with respect to the needs for a curriculum in Korean for Occupational Purposes. In the fifth chapter, keeping in mind the result analysed and presented in chapter 4, a Korean Curriculum for Occupational Purposes is presented; including its goals and objectives, syllabus and lesson plans as well as the implementation model that is required to meet the needs of all parties. Finally, in the sixth chapter, a summary of the results of the research is presented, along with an analysis of the potential limitations of the study. Through this research, both enrolled students and alumni Flight Attendant department in aeronautics were able to ascertain their awareness of the need for Korean Curriculum for Occupational Purposes design and implementation.

      • 협동학습을 활용한 한국어 교육 방안 연구 : 중국의 관광통역 안내사 양성을 중심으로

        윤수연 경희사이버대학교,문화창조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9631

        본 연구는 중국 전문대학의 한국어 관광통역 안내사 양성을 위한 관광통역 한국어 교육현황을 파악하고 관련 교재를 분석하여 이를 바탕으로 협동학습을 활용한 학습자 중심의 관광통역 한국어 교육 방안을 제시하는 데 목적이 있다. 한중 수교 이후 양국 간의 교류가 증가하는 가운데 관광은 양국 간 우호적인 교류의 중요한 수단이 되었다. 그러나 아직까지는 한국어 관광통역 안내사의 수나 수준이 한국인 관광 시장을 만족하지 못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중국의 관광 산업에 있어서 한국인 관광 시장의 지속적인 발전을 위해서는 자질을 갖춘 한국어 관광통역 인재를 양성하는 일 또한 매우 중요하다. 관광통역 한국어 교육은 학습자의 의사소통 능력을 배양하고 신장시키기 위한 언어 교육과 업무에 필요한 전문지식 교육이 함께 균형을 이루어야 한다. 그러나 그간 중국에서 이루어진 관광통역 한국어 교육은 교육내용 측면에서는 의사소통 능력 향상보다 전문지식 습득에 더 치중되어 있고 교수 방법 측면에서는 교사 중심의 전통적 교수가 이루어져 관광통역 한국어 교육의 궁극적인 목표를 달성하는데 부족함이 있었다. 의사소통 능력 향상을 위해서는 학습자들이 실제 상황에서 목표 언어를 가지고 의사소통을 충분히 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이를 위해서 학습자 중심의 학습 활동을 통해 여러 사람과 유의미한 상호작용을 하도록 수업을 설계해야 하는데 이러한 의미에서 소집단 구성원 간의 긍정적 상호작용을 최대화하여 인지적 발달을 도모하는 것이 특징인 협동학습은 언어 학습에서 매우 유용하다고 할 수 있다. 또 협동학습은 구성원들과 협동하며 과업을 해결해 나가는 과정에서 학습자들로 하여금 많은 사회적 상호작용을 경험하게 한다. 이러한 사회적 상호작용의 경험은 관광통역 안내사로서의 직무 이해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관광통역 한국어 교육에서 의사소통 능력과 직무 관련 지식 습득의 두 가지 측면이 균형적으로 발전되어야 한다는 것을 전제로 하여 학습자 중심의 교수-학습 방안을 설계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여러 사람들과 유의미한 사회적 상호작용을 경험할 수 있는 협동학습을 활용하여 한국어 의사소통 능력 향상은 물론 직무 관련 지식도 효과적으로 교육할 수 있는 구체적인 교수-학습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연구 절차로 진행되었다. 먼저 1장에서는 연구 목적에 대해 밝히고 관광통역 한국어와 관련된 선행 연구를 검토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본 연구의 연구 방향과 연구 대상 및 연구 방법을 제시하였다. 2장에서는 이론적 배경으로 관광통역 한국어 교육과 협동학습 이론에 대해 살펴보았다. 한국어 교육에서 관광통역 한국어의 개념과 교육내용을 살펴보았다. 관광통역 한국어는 관광통역 업무를 수행하는 데 필요한 한국어이며, 학습 대상과 학습 목적에 따라 전공자를 대상으로 한 양성 목적, 교육 수료 후 현장 투입을 위한 훈련 목적, 끝으로 현직에 종사하고 있는 관광통역 안내사들의 재교육을 목적으로 하는 교육으로 세분하였다. 다음으로 관광통역 안내사의 역할과 관광통역 한국어의 특성을 고려하여 교육내용을 제시하였다. 관광통역 한국어 교육에 협동학습을 활용하기 위하여 먼저 협동학습의 개념과 수업 구성 요소를 파악하여 협동학습 수업 설계에 필요한 기본적인 원리에 대해 논의하였다. 3장에서는 중국 전문대학의 관광통역 한국어 교육 현황을 살펴보았다. 이를 통해 현재 중국의 관광통역 한국어 교육이 한국어 전공자뿐만 아니라 관광 관련 전공에도 개설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한국어 교육 전공자를 대상으로 하는 교육에서도 다양한 취업 진로를 목표를 여러 분야의 직업 목적 한국어 교육이 병행되고 있어 중국의 관광통역 한국어 교육이 질적으로는 아직 많은 개선이 필요함을 알 수 있었다. 다음으로 현지 관광통역 한국어 교재 분석을 실시하였다. 주제 및 상황, 문법 및 표현, 학습 활동 등을 분석하여 중국의 교수-학습 상황을 간접적으로나마 살펴볼 수 있었다. 4장에서는 2장과 3장의 논의를 바탕으로 협동학습을 활용한 관광통역 한국어 교육의 수업 원리와 수업 절차 및 수업 구성에 대해 살펴보았다. 이를 토대로 관광통역 한국어 교육에 활용할 수 있는 협동학습 모형을 선정하고 그 중 시뮬레이션 모형, SDM 모형, Co-op Co-op 모형을 활용하여 5장에서 구체적인 교육 방안을 설계하고 교수-학습 지도안을 제시하였다. <ABSTRACT> A Study on Plans for Cooperative Learning Based Korean Education -With a focus on the education of Tourism interpretation guide in China- Yoon, Soo Yeon Department of Global Korean Studies Graduate School of Culture Creation Kyung Hee Cyber University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examine the current state of Korean education for tourism interpretation to bring up Korean tourism interpretation guides at community colleges in China, analyze the related teaching materials, and propose plans for cooperative learning-based, learner-centric Korean education for tourism interpretation. Since the establishment of diplomatic relations between South Korea and China, exchanges between the two nations have been on the rise. Tourism has become one of the most important means of friendly exchanges between them. It is, however, the reality that Korean tourism interpretation guides have not satisfied the Korean tourism market in terms of number and level. It is essential that Korean tourism interpretation guides, who are dealing with Korean people in many of their works, should have the ability of communicating vocally and receive education on job-related expertise to increase the quality of job performance. The old practice of Korean education for tourism interpretation in China, however, has exhibited shortcomings to achieve the ultimate goals of Korean education for tourism interpretation since it has focused more on the acquisition of expertise than the improvement of communication skills in terms of educational content and provided traditional teacher-centric lessons in terms of teaching methods. Based on the premise that two aspects of communication skills and job-related knowledge should develop in balance in Korean education for tourism interpretation, the present study set out to design a learner-centric teaching and learning plan. It also aimed to propose specific teaching and learning plans to promote the communication skills in Korean and teach job-related knowledge effectively by making use of cooperative learning to allow for significant social interactions with various individuals. The study was conducted in the following procedures: Chapter 1 set the objectives, reviewed previous studies on Korean for tourism interpretation, and covered the research directions, subjects, and methods based on the results. Chapter 2 examined Korean education for tourism interpretation and cooperative learning theories for a theoretical background and also the concept and educational content of Korean for tourism interpretation in Korean education. Korean for tourism interpretation is needed to perform the duties of tourism interpretation and further divided into the goal of bringing up Korean tourism interpreters according to the objects and purposes of study, the goal of training to dispatch graduates to the field after the completion of education, and the goal of reeducation for incumbent tourism interpretation guides. The chapter also presented educational content by considering the roles of tourism interpretation guides and the characteristics of Korean for tourism interpretation, as well as discussed the fundamental principles needed to design a cooperative learning-based lesson by examining the concept of cooperative learning and the components of a lesson to utilize cooperative learning in Korean education for tourism interpretation. Chapter 3 examined the current state of Korean education for tourism interpretation at community colleges in China and found that Korean education for tourism interpretation was currently provided for Korean majors and tourism-related majors. Korean education for Korean education majors covered Korean education targeting various occupations to promote employments and careers, which indicates that Korean education for tourism interpretation in China still needs a lot of improvement in terms of quality. The chapter also analyzed teaching materials for Korean for tourism interpretation in terms of topic and situation, grammar and expression, and learning activity, thus examining the teaching and learning situations of China even indirectly. Based on the discussions of Chapters 2 and 3, Chapter 4 examined the lesson principles, procedures, and composition of Korean education for tourism interpretation making use of cooperative learning and selected a cooperative learning model applicable to Korean education for tourism interpretation based on the results. By using the simulation model, SDM model, and Co-op Co-op model, Chapter 5 designed a specific educational plan and proposed a teaching and learning instructional plan. The study implemented cooperative learning-based, learner-centric lessons in Korean education for tourism interpretation in China, which had been teacher-centric, and proposed specific educational plans and teaching and learning instructional plans. The study will hopefully contribute to follow-up study on Korean education for tourism interpretation and be followed by new ongoing researches on Korean education for tourism interpretation.

      • 비원어민 한국어 교원 양성을 위한 교육실습 교육과정 연구 : 파라과이 사례를 중심으로

        성유저 경희사이버대학교 2020 국내석사

        RANK : 249631

        This study attempts to provide new model on the curriculum of ‘Teaching Practicum’ for non-native Korean language student teachers so that foreign universities can adequately educate non-native Korean language teachers. It also provides suggestions to implement this new model in the field. The object of study was the National Institute of Higher Education in Paraguay, where the Korean Language Education Department was established in 2013. Based on the findings of the study, needs assessments were conducted on learners, local teachers and an educational institution. The study focused on the contents of the model curriculum, how it was implemented in local institutions, how student teachers were evaluated and the role of mentors in the process. Based on the results of the case study and the needs assessments, a new model of the curriculum was presented. The relationship of course material to practical classes was more closely connected, and it focused on improving the training of Korean teachers. The new model consisted of a total of five semesters, taking into account the fact that there diverse Korean language learners in Paraguay. The time allocated to administrative practice, class observation and educational research was reduced and methods to help build rapport between teachers and students were included. In addition, methodology for teaching both language and culture was given a higher priority. With the implementation of these new practices, many aspects of the local Korean language learning environment need to be taken into account. The age range of learners should be fully considered, that is, whether the students are adults or children, because teaching methods vary. In addition, it is necessary to have a minimum educational standard for mentor teachers, including teacher training courses to keep them up to date on current best practices. Appropriate evaluation realized by different parties is essential. These parties include professors of teaching practicum, mentor teachers, professors of other aspects of the Korean language, and fellow student teachers. Evaluation criteria must be more focused on specific aspects of the Korean language, such as Korean pronunciation and grammar. Considering the diversity of circumstances at universities abroad, there is a limit to this study; research done in Paraguay cannot be considered a universal standard. However, it can provide a solid basis for future studies and implementations in other countries. 본 연구는 해외 대학에서도 양질의 비원어민 교원을 양성할 수 있도록 비원어민 교원을 위한 한국어 교육실습 교육과정 모형을 제시하고, 비원어민 교원 양성을 위한 실습을 시행할 때 그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도록 고려해야 할 점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2013년 한국어교육학과가 설치된 파라과이 국립교원대학교의 사례를 살펴보고, 이 사례를 통해 도출된 시사점을 바탕으로 실습생, 현지 학교 지도 교사, 비원어민 교원, 운영 기관인 대학의 교육실습 담당 부서장과 한국어교육학과 학과장 등 교육실습에 참여하는 모든 구성원을 대상으로 요구 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는 교육실습 교육과정의 구성과 내용, 현지 실습 기관과 지도 교사, 평가를 중심으로 진행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이 정리할 수 있다. 첫째, 사례 조사와 요구 조사 결과를 토대로 교육실습 교육과정 모형을 제시하였다. 교육실습 구성에 있어 파라과이 국립교원대학교의 이론 강의와 현장 실습이 동시에 진행하는 구성은 실습 전 충분히 준비할 수 있는 시간과 실습 후 함께 경험을 공유하고 성찰할 수 있어 비원어민 실습생들에게 매우 도움이 된다. 따라서 이 구성을 유지하되 교육과정의 구성에서 이론 강의와 현지 학교 실습이 유기적으로 연결되도록 하였다. 이 모형은 총 5학기로 구성하였으며, 파라과이의 수업 현장이 초등학생부터 성인까지 다양한 학습자를 대상으로 하고 있다는 점을 고려하였다. 교육실습의 내용은 기존의 행정 실습, 참관 및 탐방 시간을 줄이고 학생 생활 지도 영역을 포함하여 교원의 전문성에 제시된 다섯 영역을 모두 포함하도록 하였다. 특히 한국어 교원으로서의 역량 증진에 초점을 두어 연령별 한국어 교수법에 많은 시간을 배분하였는데 언어뿐 아니라 문화 교수법도 포함할 수 있도록 하였다. 둘째, 실습 기관과 지도 교사를 선정할 때 현지 사정을 충분히 고려해야 한다. 해외에서 실습 기관을 선정할 때 가장 중요한 점은 그 지역의 한국어 교육 환경을 고려해야 한다는 것이다. 학생들이 졸업 후 교원이 되어 근무할 때 어떤 학습자를 대상으로 수업을 하게 될지에 따라 실습 기관은 달라져야 한다. 교육실습 담당 교수의 경우 최소한 한국어 교수 경험이 있는 사람을 택하도록 하고, 지도 교사를 대상으로 한 교육 프로그램을 운영하여 이들이 실습 전 교육실습에 대해 충분히 안내를 받을 수 있도록 해야 한다. 나아가 이 교육 프로그램이 한국어 교원들이 새로운 교수법을 연구하고 토론하는 장이 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다. 셋째, 교육실습 평가는 파라과이 국립교원대학교처럼 담당 교수, 지도 교사, 동료 실습생, 한국어교육학과의 타 과목 교수들 등 다양한 평가자가 구체적인 피드백을 주는 방식이 학생들의 성장에 도움이 될 수 있다. 여러 평가자의 피드백을 받으며 실습생이 수업을 다양한 관점에서 고민해 볼 수 있고 이는 실습생이 더 나은 수업을 준비할 수 있는 토대가 되기 때문이다. 평가 기준의 경우, 비원어민의 교육실습을 평가할 때에는 교육 능력과 더불어 한국어의 발음이나 문법 등 정확성을 함께 평가할 수 있는 기준을 포함하여 실습생들이 자신의 부족한 점을 정확히 알고 이를 연습할 수 있도록 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평가 기준에 대해서는 한국어 교육에 초점을 맞춘 평가 기준을 마련하기 위한 연구가 필요하다. 아직 국내에서도 한국어 교육 실습 평가를 위한 명확한 지침을 두고 있지 않아 비원어민의 실습을 어떻게 평가해야 할지 조금 더 구체적인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