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朝鮮時代 茶 産地 硏究 : 文獻을 中心으로

        이현숙 誠信女子大學校 情報産業大學院 2001 국내석사

        RANK : 250655

        우리 나라 茶의 역사는, "선덕 여왕 때부터 茶가 있었다." 는 『三國史記』의 기록에 의하여 7세기 이전부터라고 할 수 있다. 그러나 근래에 들어서 "가야시대에 茶를 祭物로 했다." 는 기록을 들어 1세기 이전부터라는 설도 제기되고 있다. 이렇게 시작된 우리 茶의 역사는 통일신라를 거쳐 고려시대에 접어들면서 더욱 발전하여 일반 서민들의 생활 속에서도 飮茶風을 찾아 볼 수 있게 대중화되었다. 그러던 飮茶風이 조선시대에 접어들면서 쇠퇴의 면모를 보이더니, 1598年 국왕인 宣祖가 중국 장수인 揚鎬에게, "우리 나라의 풍속은 원래 茶를 마시지 않습니다." 라는 말을 할 정도로, 우리의 飮茶風이 사라졌음을 공언하기에 이르렀다. 이러한 茶 風俗의 쇠퇴는 그 후 18세기에 접어들면서 다산 정약용과 초의 선사 등 몇몇 사람을 통하여 잠시 餘茶風을 엿 볼 수 있다가 다시금 찾아보기가 힘들어졌다. 이러한 실태는 계속되어 일제 강점기의 일본인들은 茶 관련 연구의 글을 통하여, 조선시대 茶의 쇠퇴론을 주장하고 있다. 그리고 이러한 조선시대 茶 風俗의 쇠퇴 원인에 대해선 지나친 貢茶의 폐해와 조선시대 抑佛政策과 壬辰·丙子亂 둥에 의한 것임을 들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선 조선시대 문헌에 나타난 茶의 산지를 조사하여 茶 생산의 변화과정을 살펴보았으며, 茶의 생산에도 불구하고 茶 風俗이 쇠퇴한 원인에 대 하여 살펴보았다. 조선시대 飮茶風에 관한 연구는 貢茶의 폐해나 抑佛政策 등에 관하여 약간의 언급이 있으나, 좀더 구체적인 자료를 찾아서 실질적인 이유가 될수 있는가를 살펴보았다. 아울러 여기에 『朝鮮王朝實錄』에 나타난 자연재해를 분석하여 小氷期(1480年경부터 1750年경) 현상으로 보고 있는 李泰鎭의 자료에 근거하여, 자연재해 중 특히, 凍害로 인한 차나무의 피해도 있었을 것이라는 점에 생각이 미치게 되었다. 그리하여 이 小氷期의 자연재해로 인한 질병과 전란으로 이어진 조선시대 중기(1500年-1700年)의 인구 감소가 모든 농작물의 생산에 커다란 영향을 미쳤음을 알게 되었다. 조선시대는 농경이 주된 산업이었음에 자연환경이 미치는 영향은 지금보다 더욱 켰음을 미루어 짐작할 수 있다. 이러한 농작물 생산의 감소는 다시 서민들의 생활을 위협하여 생존 그 자체도 어렵게 하였다. 모든 먹거리가 귀한 이 시기에 차 또한 그 생산이 격감하였음을 볼 수 있었다. 따라서 이 시기에 차라는 것은 약용 이외로는 생각할 수도 없었을 것이다. 여기에 단순한 마실 거리로서의 餘茶를 즐기는 마음 즉, 여가 문화를 누린다는 것은 더욱 생각하기 어려운 일이다. 지금까지 알려진 조선시대 飮茶風 쇠퇴의 여러 원인에 이 小氷期의 자연재해와 疾病 그리고 인구 감소와 이로 인한 全般的인 농작물의 감소를 茶 生産의 격감 원인으로 유추해 보았으며, 이 茶 生産의 격감이 결국 조선시대에 飮茶風을 성행시킬 수 없는 쇠퇴 원인이 되었음을 고찰해 보았다. 우리의 재래종 차나무는 이러한 자연환경에 적응하면서 특히 耐寒性에 강한 것으로 나타난다. 지금도 凍害로 인한 차나무의 피해는 문제가 되고 있다. 耐寒性이 강한 재래종을 육성하여 凍害를 줄이고 재배지역을 넓힌다면 생산량을 높여 茶의 산업화를 피할 수 있다. 그리하면 오늘날 새롭게 일고 있는 飮茶風을 더욱 확산시킬 수 있는 기반이 형성될 것으로 思慮된다. Tea history of our country is before 7th century because Sam Kuk Sa Gi(the three Kingdom history record) that the one was exist at the queen of Sun Duk, Shilla. By the beginning tea history background, it was developed and populated the tea culture during unified Shilla and Koryu dynasty. But the tea culture was decreased at the Chosun dynasty, the King of Sun to talked to the Chinese general Yang Ho "my country tea culture is not popular to my people." This situation was continued at the Japan occupied period. Japanese described, "Chosun didn't have tea culture." The decrease of tea culture of Chosun, the reason was abuse of tea gift to the China, suppress policy of Buddhism and YimlinYoeRan (Japan invasion 1592-1599). This article purpose is investigation of tea production area at the Chosun dynasty record, revealing changing of tea production, culture was decrease. The Chosun dynasty tea culture research concerned abuse of tea gift and suppress of buddhism policy, investigated real cause with data. And Chosun dynasty is agricultural society, the influence of natural environment was bigger than current days. Therefore, this article analysed natural disaster at the Chosun Wang Jo Sil Rok (Chosun dynasty official record), based on Lee, Tae Jin record'ss Sobing period(1480-1750), investigated frozen injury. This Sobing period's natural disaster was connected with disease and war at the middle of Chosun dynasty (1500-1700), decrease of population was influenced overall the crops production. This decrease of crops production caused difficulty of survival to the common persons. Every food was decreased, the tea production was did, too. Therefore, the tea used medicine at that time. Therefore enjoying drinking culture was difficult. The decrease of tea culture in the Chosun dynasty, the cause decrease of crops production with natural disaster, disease, decrease of population at the Sobing period. Our country tea production area is only southern area, it caused minimum survival temperature for the tea rearing condition. Present time, injury of frozen occurred damage of tea plant. Therefore, it need rearing to the native endurance tea plant, maintain constant production, enlarge tea area. Therefore, it will be more tea production , develop to the tea culture, expand to the tea drinking population. So by the drinking tea, it can acquire virtue of tea to the more population, this is meaning of my research.

      • 現代家庭에서 茶生活을 통한 子女敎育

        강성희 誠信女子大學校 情報産業大學院 2002 국내석사

        RANK : 250655

        現在 社會는 産業社會에서 情報化 사회로 빠르게 變化 · 發展되고 있다. 이러한 變化의 速度는 살아가는 方法 그 자체에 영향을 미치어 인간 내면의 平正을 잃게 되었다. 따라서 급격한 社會的 · 家族的 變化에 대응해 가기가 더욱 힘들어졌다. 家族形態를 보면 부부를 중심으로 하는 단일세대 형태가 一般化되었으며, 여성의 사회진출 및 父母役割 상실로 인한 가정교육기능 약화되었다. 사회적으로는 共同體 意識의 상실이라는 構造的 變化를 체험하면서 逸脫行爲와 非行이 사회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이러한 문제는 가장 기초적인 가정에서의 역할에 문제성을 부과하게 되었다. 사회가 불안해질수록 가정은 더욱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게되었으며 부모의 올바른 子女敎育을 필요로 한다. 따라서 가정교육의 目的이 무엇인지, 무엇을 가르쳐야 될 것인지 直視하기에 이르렀다. 우리의 傳統 家庭敎育은 한 인간을 사람답게 양육하기 위하여 懷姙의 순간부터 胎敎에 힘쓰고 인간으로서 갖추어야 할 기본적 素養을 孝의 정신에 기초하여 삶의 체험을 통해 실천하게 하는 생활 중심의 교육이었다. 자녀들의 바른 人格의 기틀을 마련하는데 그 重要性을 인식하였던 것이다. 子女敎育은 부모에 의해서 이루어지며 자녀의 성장과정에서 그 敎育的 영향이 크다. 따라서 가정에서의 자녀교육은 자녀의 心性과 氣質, 흥미와 동기를 존중하고 때에 맞추어 가르치며, 부모가 模範을 보이면서 아동이 직접 體驗하게 하여 일상생활 속에서 知行合一을 이루는 人格敎育, 倫理敎育이 이루어져야 한다. 사람이 그 本性을 회복하여 人道에 이르름과 茶事의 과정에서 茶의 性을 그대로 드러내어 한 잔의 맛있는 茶로써 茶道를 이루기 위해서는 모두 誠을 다해야 한다. 이는 茶道와 人道를 나누지 않고 誠으로써 道의 달성에 이를 수 있다고 본다. 따라서 茶事의 과정은 道를 기르는 敎가 될 수 있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茶生活을 통한 茶자리에서 자녀를 교육하면, 첫째, 茶를 우려내기 위한 과정에서, 茶를 우리는 순서와 동작을 적용함에 우리의 보편예절인 九容에 맞추어 기본적 마음가짐을 밖으로 드러냄으로써, 실생활에서 習得된 품성을 涵養할 수 있으며, 둘째, 茶事의 과정에서 誠意를 다하여 가장 좋은 茶를 얻음은 사물의 이치를 터득하고 반복 · 習得된 과정이 오랫동안 지속되면 자연스럽게 정신적 內面의 세계가 이룩되어져 자기 수련의 도구로 사용될 수 있으며, 셋째, 가족과 함께 마시는 茶자리를 통해 가족구성원간에 情意를 敦篤히 하고 결속력을 높여 가족구성원의 화목을 도모할 수 있다. 이상으로 茶자리가 家庭의 和睦을 공고히 하면서 나아가 자신을 닦고 인격을 함양하는 매개체가 될 수 있음을 본 연구에서 밝히고자 한다. 茶生活은 마음이 가는 사람에게 차를 대접하고 싶다는 마음을 갖게 하는 있는 동기를 일으킬 수 있다. 이러한 飮茶 생활이 특수한 취미가 아니라 자연스런 필요에 의한 茶生活이 되도록 지도되었으면 한다. 그래서 많은 가정에서 자녀와의 茶生活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져 飮茶에 대한 보편적 풍속을 이루게 된다면 차 문화 발달에 좋은 초석이 될 것으로 思慮된다. Now, society is changing and developing from industrial society to information-oriented society rapidly. As the speed of this change had influence on the method to live, itself, human beings came to lose the peace of their inside. Thus, it came to be difficult to cope with sudden social and familial change. To see family forms, single generation form centering around couples was generalized. And, by the weakening of function of home education due to the society advancement of women and the loss of parent role, the opportunity of dialogue among family members was deficient, and emotional relation sense and concentration power weakened. Experiencing the structural change to be the overflow of mass culture, the excessive educational enthusiasm, and the loss of community consciousness causes all sorts of emotion obstacle, and deviation act and misdeed are coming to fore as social problems. As for these problems, problem nature may be given to the most basic role at home. So, as society becomes uneasy, home gets to occupy more important position, and the right education of children by parents get to be necessary. Thus, we should face what the goal of home education is and what should be taught squarely. That is, we will have to foster the judgement for the rightness and wrong of action and teach the moral education for humanity restoration carefully, by fostering the new sense of value to be based on society change and the ethical judgement. Our traditional home education was the education centering around life which makes efforts for prenatal culture from the moment of pregnancy and which enables one human being to practise the basic knowledge to have to have as human beings through the experience of life on the basis of the spirit of filial duty so as to bring up one human being. Tis is emphasizing the importance for preparing the key point of right personality. It can be seen that the education of children is made by parents and the educational influence is great in the course of growth of children. Thus, as for the education of children at home, persnality ecuction and ethical education which achieves the inseparability of knowledge and practice in daily life should be made by teaching through respecting the mind, nature, interest and motive of children, teaching through suiting to time, setting an example as parents, and enabling children to experience directly. Tea life is made by premising the practice, and it is possible by repeated habit through daily affairs at home. We may cultivate the character acquired in real life, through revealing basic mental attitude to outside, by fitting to nine which is our universal etiquette, in applying the order and motion to draw tea, in breeding seed for obtaining good tea and manufacturing tea and in the course for drawing completed tea. It is deemed that the world of mental inside is naturally, if this acquired continues for long. It is very important to prepare the field of dialogue for promoting the emotion and will among family and promoting union power as the scheme to be able to restore the function of modern home. It can be seen that tea sea may be the mementum to be able to promote the harmony of home, train oneself, and cultivate personality. This tea life becomes the experience to get to have the motive to be able to cause the mind to want to serve the person to be attracted out of the people around them with tea. Thus, we, should guide, so that the life to drink tea may be the tea life to be based on their own need which is not special hobby. From above viewpoint, this researcher thinks that exercising the tea life with children at home continuously will be good cornerstone for the development of tea culture by forming the universal customs for drinking tea.

      • 朝鮮後期 祭儀의 時間·空間的 意味에 대한 考察

        강현숙 誠信女子大學校 情報産業大學院 2002 국내석사

        RANK : 250639

        본 硏究는 朝鮮時代 後期 祭儀에 있어서의 時間·空間的인 面을 禮書와 先行硏究를 통하여 考察하고자 하였다. 儀禮書로는 朝鮮後期에 간행된 『四禮集儀』, 『廣禮覽』, 『增補四禮便覽』 등을 中心으로 살펴보았다. 古禮의 祭儀는 그 대상이 天地·日月·星辰을 비롯한 大自然이거나 祭天壇, 神壇등 神聖한 場所에서 共同體單位로 행하여졌다. 朝鮮時代에는 家禮의 小禮化로 祭儀의 대상은 제주로부터 四代祖까지의 祖上이며 각 家庭에서 家廟를 中心으로 행하게 됨으로써 가정에서는 祠堂이나 正寢, 墓祭는 묘에서 지내는 경우가 많았다. 家家禮라는 말이 있듯이 家門에 따라 혹은 시대의 변천에 따라 祭禮의 모습과 내용은 다르다. 그리고 어느 경우이건 祭禮는 인간으로서 최선을 다해야 하는 道理로써, 그 場所와 時間은 신성해야하며 극진한 精誠과 정결함으로써 恭敬을 다하고 있다. 갑오경장 이후 祭禮의 對象이 4代 奉祀를 하였으며, 가족제도 또한 3代가 한집에서 생활하였다. 이 祭禮 행위를 통하여 120년이 넘는 시간을 先·後代가 함께 時間·空間을 초월하여 生活한 것이 된다. 그 속에서 성장하는 사람들은 연장자로부터 어른을 공경하는 일을 비롯하여 四時의 변화에 따라 계획성 있게 준비하고 分限껏 생활하는 미덕 또한 이러한 생활 속에서 자연스럽게 배울 수 있었다. 그러나 오늘날의 祭禮文化는 많은 變化 속에 존재하고 있다. 우선 祭禮중 忌祭 時間의 변화를 살펴보면, 하루의 시작인 子時에 지내던 祭禮를 돌아가시기 전날 日沒후에 지냄으로써 돌아가신 날 지내야하는 忌祭일이 잘못 이행되는 일도 있고, 父母, 祖父母, 曾祖父母, 高祖父母 등 四代의 忌祭를 하루에 모아서 지내기도 한다. 또한 祭禮를 지내는 場所도 직계 長子孫의 집의 正寢에서부터, 호텔 콘도 등등 다양한 양상을 띄고 있다. 이렇듯 祭禮文化는 外形的으로 많은 변화가 있었지만 그 중에서 변화하지 않은 것이 있다. 그것은 祭禮를 행할 때에 男女의위치, 祭需를 陳設 함에 있어서 데 ·갱의 위치, 祖上을 향한 정성 된 마음가짐 등이 그것이다. 禮書에서는, 비록 여행중이라도 忌日이 되면 그 禮를 다하여야 한다고 기록하고 있다. 忌日을 지켜 제례를 지내고 효를 실천하는 祭儀문화는 오늘날 우리들이 소중히 지키고 가꾸어 나가야 할 훌륭한 傳統文化이다. 급변하는 현대사회 속에서 우리의 傳統과 아름다운 風習이 계속 이어지고 지켜져 文化民族으로서의 자긍심을 갖도록 힘썼으면 한다. This researcher tried to study the meaning that the time and pace of religious ceremonies have in present society also, by studying the sides of time and space in the religious ceremony at the latter period of Chosun through etiquette books and preceding study and studying the meaning of religious ceremony time and religious ceremony place. As for etiquette books, this researcher examined centering around [4 etiquette collection], [wide etiquette manual], and [enlarged 4 etiquette manual] etc. which were published at the latter period of Chosun. As for the religious ceremony of old manners, the subjects were Nature including heaven and earth and heavenly bodies, or it was exercised with community unit at the sacred places such as religious altar and godly altar etc. There were many cases that religious ceremony was held at home shrine or tomb or bed as places, according as it was exercised countering around home shrine at each home by making home ceremony into small ceremony at Chosun. As there is the word, home ceremony, the form and contents of religious ceremony are different in accordance with period or area. However, in any cases, religious ceremony was the duty of life to have to do best as human beings. Thus, the place and time should be sacred, and respect should be paid deeply with careful sincerity and cleanliness. But, our religious ceremony culture exists in many changes. first, to examine the change of religious ceremony time, religious ceremony made at midnight which was the start of one day was made at 9 o'clock at night before deathday, and the memorial service held on the anniversary of the death of a person of 4 generation portion was made in a day. In addition, the places that religious ceremony was made came to show diverse aspects such as the main room of lineal eldest son, house and hotel etc. At Chosun, the subject of religious ceremony was the offering sacrifice to ancestors over 4 generations in case of memorial service held on the anniversary of the death of a person. And, previous generation and next generation came to live together by transcending time and space for the hours over 120 years through religous ceremony, as 3 generations lived at one home, in family system also. We learned the virtue to prepare deliberately in accordance with the change of 4 seasons and live usefully including the affairs to respect from seniors to adults in life naturally. Today, there have been many changes externally in religious ceremony culture, but there is something which didn't change out of them. They are the position that men and women stand in holding religious ceremony, the position of boiled rice offered to a deceased spirit and soup(boiled rice and soup), and the sincere mental attitude toward ancestors etc. Etiquette books are saying that every courtesy should be shown on deathday even during travel. Religious ceremony culture to hold religious ceremony and practise filial duty by keeping deathday like this is the great traditional culture that we should cherish and cultivate today. We will have to make efforts for implanting the pride as culture race without losing the tradition and beautiful customs in rapidly modern society.

      • 傳統手製茶 法製方法에 依한 製茶 條件檢討

        정영 誠信女子大學校 情報産業大學院 2003 국내석사

        RANK : 250639

        본 논문은 우리 녹차에 대한 문헌을 통해, 과거의 제다법을 고찰해 보고, 오늘날의 녹차제다에 대한 관점을 통해 녹차 제다의 여러 상황들을 살펴보고, 채엽 시기가 색, 향, 미에 미치는 영향들을 살펴보았으며, 경험에 의한 실질적인 녹차를 제다 해 보고, 색, 향, 미에 대한 기준 점을 찾아보았으며, 제다조건의 여러 상황과 성엽상태와 불의 여러 변수에 의해 녹차가 갖는 본래의 향(眞香, 淸香, 蘭香, 順香)을 상실하지 않을 방법들을 정리해 보았으며, 바르지 않은 제다로 인해 드러나는 잘못된 향(含香 浮香, 漏香, 問香)이 어떠한 조건에 드러나는가 살펴 보았다. 또한 녹차의 여러 성분과 한의학에서의 녹차의 약용 법을 살펴보았으며, 채엽시기와 성엽상태에 따른 불의 온도 등을 살펴보았다. 다만 多量의 차를 수제로 만든다는 것은 어려운 일이었으며 많은 노동력을 필요로 하다는 것과 숙달된 경험에 의해서 제다를 한다고 해도, 해마다의 기후에 따른 성엽의 변수와 불의 변화에 따른 製茶時의 여러 변수를 기록한다는 것은 매우 어려운 일이며, 제다자 또한 성엽의 변화에 따른 불 온도의 조절과 덖어주는 손놀림 등이 달라질 수밖에 없으므로 (A + B = AB)다 라는 어떤 틀에 의한 공식이 성립되지 않았으며, 매년의 성엽상태에 따른 불 조절과 시간, 시기 등이 다를 수밖에 없으므로 제다는 과거에는 구결에 있다고 하였으나 그것은 많은 경험과 체험을 쌓아 그 위에 또한 경험을 토대로한 자기 자신만의 비결을 얻을 수 있을 때만이 알 수 있으므로, 말로는 설명하기 어렵다. 그러므로 차를 알고자 하는 사람이면 법제의 경험을 통해 그 경험의 축적에 의한 감별력을 통해 차를 우릴 수 있는 감각을 자연스럽게 터득하게 되므로 제다의 중요성을 연구하고자 하였다. In this thesis, this researcher considered past tea-making method through the literature about our green tea, examined various situations of green tea-making through the viewpoint about green teamaking of today, examined the influences that the period to gather tea has on fragrance and taste, tried to manufacture substantial green tea which is based on experience, and made efforts so as to find the datum point for color, fragrance, and beauty. This researcher tried to arrange the methods which will not lose original fragrances(real fragrance, clear fragrance, orchid fragrance, and pure fragrance) that green tea has by various situations of teamaking condition, the state that leaves are formed, and various variables of fire and examined in which conditions wrong fragrances to be revealed by the tea-making which is not applied(including fragrance, floating fragrance, leaking fragrance, and asking fragrance)are revealed. In addition, this researcher examined various ingredients of green tea and examined the medicinal use method of green tea in classical Chinese medicine, and examined the temperature of fire which is based on the period that leaves are gathered and the state that leaves are formed etc. But, it was difficult to make much quantity of tea with hands, it needs much manpower. And, it is very difficult to record the variable of forming leaves which is based on climate in every year and various variables at the time of tea-making which is based on the change of fire, though tea-manufacture is made by mastered experience. And, the control of fire temperature and the movement of hands etc. which are based on the change of forming leaves cannot help varying. So, the formula to be based on any frame, A+B=AB was not formed. And, the fire control, time and period etc. which are based on the state that leaves are formed in every year cannot help being different. Thus, as predecessors said, we cannot help saying that tea-manufacture. Them, how can we know the secret. Then, one can know it, only in case of obtaining one's own secret which is based on the experience through numerous experiences. So, it is inexplicable. Therefore, one who tries to know tea gets to master the sense to be able to draw tea naturally on the basis of discrimination power to be based on the accumulation of the experience through the experience of tea-manufacture. Thus, this researcher tried to study the importance of tea-manufacture.

      • 한국 전통 다식의 감미 결착제로서 올리고당 이용에 관한 연구 : 송화다식을 중심으로

        문정숙 誠信女子大學校 情報産業大學院 2002 국내석사

        RANK : 250639

        본 論文은 茶文化의 盛衰에 應하여 變化·發展되어온 傳統茶食의 理論的 背景을 정립하고 아울러 21세기의 食生活 패턴에 적합한 茶食을 개발하여 傳統文化의 계승 발전에 이바지함을 目的으로 하였다. 고려에서 조선까지의 차문화사와 다식에 관한 문헌을 고찰함으로써 우리나라 다식의 기원과 11-17세기의 다식의 발달 과정, 17세기 이후에 고유의 다식이 단차형 다식으로 거듭나게된 유래 및 독특한 전통 다식 문화를 이루게 된 과정을 살펴보았다. 우리나라 다식은 飮茶 풍속과 함께 발달된 과정류에서 起源된 것으로 다식을 만들기 시작한 上限시기는 통일 신라 시대로 추정된다. 高麗時代에는 茶文化가 격조를 이루면서 확대된 시기로 국가적인 행사에서 茶食은 茶와 마찬가지로 귀중하게 여겨졌으며 곡물가루에 꿀과 청주를 넣어 반죽한 것을 일정한 크기로 상당히 크게 빚어 기왓장이나 가마솥에서 구워낸 쌀이나 眞末茶食이 주종을 이루었다. 朝鮮이 朱子 家禮를 받아 들여 준행됨에 따라 조선 전기에는 茶禮라는 이름대로 祭祀에 茶를 올렸으나 임진왜란 이후 茶文化는 급속도로 쇠퇴하고 祭祀에 茶를 올리지 못하는 경우가 많아졌다. 조선시대의 제사는 朝野貴賤을 막론하고 엄격하게 지켜야 할 儀式이었던 만큼 祭祀에 茶를 구할 수 없게 된 後孫들이 茶食을 團茶形으로 만들어 祭物로 쓰기 시작하면서부터 茶食의 歷史는 새로운 단계로 들어서게 된다. 茶食의 재료와 제조법은 변화되어 곡물 외에 花粉, 種實, 菜根, 堅果類 등 완전히 건조된 주재료에 꿀을 넣고 반죽하여 茶食板에 박아내었다. 茶食에 새겨진 紋樣에 길한 意味가 부여되고 陰陽의 五行과 相生에 적합한 色의 사용이 制度化·慣例化됨에 따라 五色茶食은 高排床 차림의 꽃으로서 藝術的·精神的 차원으로 昇華되어 格調 높은 茶食 文化의 傳統을 이루게 되었다. 우리 민족이 거쳐온 茶文化의 歷程과 함께 오랜 세월을 거쳐 오늘날까지 이어져 내려온 傳統茶食은 그 意味와 調理法의 원리적 본질을 인식하고 계승하여 現代化 되어야 할 가치가 있는 文化遺産이다. 따라서 본 연구자는 茶食에 첨가되는 糖의 개선 일환으로 꿀 대신에 健康 補助 添加物로 각광을 받고 있는 올리고당을 첨가한 松花茶食을 제조하여 저장하면서 物理的 特性과 貯藏性 및 官能的 特性을 검토함으로써 茶食에 올리고당의 使用 可能性을 알아본 결과 송화다식의 품질 특성 개선 및 嗜好度가 높은 茶食 제조의 可能性을 확인할 수 있었다. This study reviewed literatures on traditional Dasik and tea culture, and discussed how Dasik has been evolved with changes in the tea culture throughout Korean history, especially in 17^(th) century, until present time. Although there are some arguments on the origin of Dasik, the first historical record documenting Dasik was written by Euicheon (1055-1101), Taegak Kuksa (the highest ranking Buddhist monk) of Koryo Dynasty, which describes the offering of Dasik made to ancestral spirit in Yongdusa, a Buddhist temple in Korea, by Woosang, another Buddhist monk. Dasik, indeed, is a traditional and unique Korean food with more than 900 years of history. The present study also investigated possible use of oligosaccharides in Dasik making, as a low caloric and healthy replacement of honey(HON), isomalto-oligosaccharide(IOS) and fructo-oligosaccharide(FOS)were subjected to a series of tests where they were substituted for a half or all of honey supplemented in pine pollen Dasik. The treatments were, 100%HON(S1), 100%IOS(S2), 100%FOS(S3), 50%IOS+50%HON(S4), 50%FOS+50%HON(S5), Syrup100% (S6). Sensory and physical characteristics of the Dasik supplemented with various amounts of the oligosaccharides and honey were compared using various methods.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 : 1. Among the oligosaccharides and honey, contents of moisture, ash, viscosity and PH were highest in IOS(23%), HON(0.13%) and FOS(2.8 poise and 3.99) respectively. 2. Water activity of the Dasik supplemented with honey and the oligosacc harides was slightly decreased until three days after storage and started to increase since then, with S2 exhibiting the highest value. The water activities of the Dasik samples ranged between 0.49-0.67 indicating no serious susceptibility to microbial growth. 3. The range of PH in all Dasik samles was between 3.90 and 4.07, and tended to decrease with storage time, with S1 and S6 being among the lowest and the highest respectively. 4. Hunter L(brightness) and b(yellowness) values of the samples stored at both a room temperature and below 4℃ tended to decrease with storage days, whereas Hunter a (redness) valus for samples stored at below 4℃ tended to increase. The changes of color were generally smaller in the samples stored at below 4℃ compared with thoes stored at a room temperature. 5. Total plate number of bacteria in all samples during whole storage days ranged between 1.0×10^(1)and 2.2×10^(3) CFU/g with those of S4 and S5 samples at 6days of storage being significantly lower compared with the others. 6. The hardness and adhessiveness of all samples generally increased with their storage days although the rate of the increase was slightly lower in the samples stored at below 4℃ with those of S4 and S5 being the lowest. 7. In the appearance of sensory test, S5 samles at 3 days of storage scored significantly higher in comparison with the others. Elasticity score of all the samples was increased as storage days elapsed for S6. 8. Throughout the storage periods, S5 samples scored best in adhesiveness as well as feeling after swallow and overall preference. 9. In conclusion, functional ingredients such as oligosaccharides can be used as binding sweetner korean traditional foods like Dasik. Further research is needed to investigate feasibility of using oligosaccharides in other Korean traditional foods.

      • 「閨閤叢書」 의 生活文化的 考察 : 農産物 利用을 中心으로

        김미희 誠信女子大學校 情報産業大學院 2002 국내석사

        RANK : 250639

        최근 전통지식 또는 전통토착지식 관련연구가 1992년 브라질 리우에서 체결된 생물다양성협약(Convention on biological diversity) 제 8조(J)항의 전통지식·기술 보호 및 활용에 대한 이행을 목적으로 그 중요성이 재인식되고 국제적인 많은 관심을 끌게되었다. 이러한 시의적(時宜的) 연구 흐름에 따라 본 연구는 조선후기 생활과학서인 「규합총서」(1809)에 수록되어 있는 농산물의 분석과 생활과학적 측면에서의 이용을 파악함으로써 전통지식의 이해와 활용에 연구의의가 있다. 본 논문에서는 농산물(農産物)을 농업에 의하여 생산된 산물로 정의하였는데, 농업은 땅을 이용하여 유용한 식물을 재배하거나 동물을 먹이는 유기적 생산업이다. 농산물은 그 용도에 따라 식용작물, 특용작물, 원예작물, 화훼작물, 축산물로 분류할 수 있다. 연구문제에 따른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연구문제 1인 "규합총서에 수록된 농산물은 어떠한 것이 있는가?"를 살펴본 결과 수록되어 있는 농산물은 총 147종류로 식용작물 18종류(12.2%)·특용작물 34종류(23.1%)·원예작물 48종류(32.7%)·화훼작물 29종류(19.8%)·축산물 18종류(12.2%)이다. 「규합총서」의 각 편별로 나타난 농산물의 수는 청낭결이 111종으로 가장 많고 주사의 91종, 산가락 90종, 봉임측 44종 순이다. 연구문제 2인 "규합총서의 농산물 이용은 의·식·주생활과 건강관리측면에서 어떠한 양상인가?"를 살펴본 결과 의·식·주생활·건강관리에 이용된 농산물은 104종류로 원예작물 38종류(36.6%)·특용작물 25종류(24.0%)·화훼작물 15종류(14.4%)·식용작물 13종류(12.5%)·축산물 13종류(12.5%)이다. 각 생활영역별로 농산물 이용을 고찰해보면 의생활에 관련된 농산물 25종류는 직물·염색·다듬질·세의 등 4개 이용분야에 사용되었고, 식생활에 관련된 농산물 80종류는 약주·장·밥·죽·식해·엿/조청·떡/과즐·고기·김치·채소·기름·차 12개 이용분야에서 139가지의 음식을 완성하였으며, 주생활에 관련된 농산물 30종류는 문방·그릇관리·격물·건축·벽충 5개 분야에 이용되었다. 또한 건강관리영역에 있어서는 51종류의 농산물이 음식독·외상·구급 3개 이용분야에 사용되었다. 이렇듯 광범위하게 나타난 「규합총서」에서 농산물의 이용은 자연과 더불어 생활했던 삶의 양식을 토대로 농산물이라는 자원의 소중함을 인식하고 오랜 세월의 경험으로 축적된 지식과 기술이 조화를 이루어 창출해내는 결과였다. 오늘날에도 인간의 필수적인 의·식·주 및 건강생활의 토대는 자연자원의 산물인 농산물에 있으므로 이의 생산과 이용에 관련된 전통지식·기술에 대한 연구를 지속시킴으로써 전통생활문화의 가치인식과 발전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조선후기에 저술된「규합총서」는 실용성과 실천성을 내포한 생생한 생활사 연구자료로 그 진가를 발휘한다. 본 연구는 농산물이용의 측면으로 한계를 지어 그 내용을 고찰하였지만 이외에도 야생의 동·식물, 수산물 등 다양한 자원이 산재해 있으므로 전통지식·기술과 자원들을 발굴하고 정리함으로써 그 가치를 재조명하는 후속연구가 이어지기를 기대한다. A research related to traditional knowledge or traditional indigenous knowledge is attracted our attention lately for performing traditional knowledge, protection and application of technology in the 8th article of Conversion on biological diversity contracted at Liu. Brazil in 1992. According to stream of this research, we aim to analyse how to use produce contained in 「Kyuhap-Chongseo」(1809), home science book in a late Joseon Dynasty, at side of food, clothes, shelter and health management to provide basic data on use-extension of Korean produce. This paper define produce is product of agriculture. It is classified as food crops, industrial crops, horticultural crops, floricultural crops, animal products. 「Kyuhap-Chongseo」contain total 147 species produce and it is 104 species related to food, clothes, shelter and health management(horticultural crops 36.6%, industrial crops 24.0%, floricultural crops 14.4%, food crops 12.5%, animal products 12.5%). The produce related to clothing is used weaving, dyeing, laundering, and starching textiles. 80 species of agricultural products were used as ingredients in about 139 dishes. As for shelter, the agricultural products(30species) were used for making stationaries, managing vessels and illumination, and building structures. For health management, 51 species agriculture production was used as a antidote to food poisoning or emergency medicine for an external wound. The use of produce of 「Kyuhap - Chongseo」is the result of harmony of knowledge and technology concluded long experience. The base of food, clothes, shelter and health management is in produce which is product of natural resource, so the study on traditional knowledge & technique of using that will be continued to understand the traditional living culture.

      • 高麗時代 禪茶詩 硏究

        이일희 誠信女子大學校 情報産業大學院 2001 국내석사

        RANK : 250639

        본 논고는 高麗時代 禪僧들의 茶詩에 깃들어 있는 禪思想을 禪僧들의 語錄과 文集, 기타 文獻을 중심으로 고찰하였다. 우리나라는 삼국시대로부터 고려를 거쳐 조선에 이르는 동안 茶生活의 맥을 이어오다가 조선의 임진왜란 이후 그 맥이 끊겨있었다. 그러나 사원의 僧侶들을 중심으로 茶生活이 오늘로 이어지고 있음을 볼 수 있다. 이러한 시대적 흐름 속 에서 高麗禪僧들이 쓴 茶詩의 茶禪一如 사상은 우리나라 茶文化의 맥을 이으며 우리국민정신에 미친 영향이 매우 켰음을 알 수 있다. 禪僧들의 茶詩를 정의함에 있어서는 佛敎詩와 禪詩에 대한 정의와 함께 학자, 스님의 茶詩에 대한 말도 참고해 보았는데 禪僧들이 茶禪一如의 境地에서 妙境을 터득하여 쓴 詩는 禪茶詩라고 부를 수 있다. 禪僧들은 參禪時에 차를 마시며 차의 각성작용에 의해 잠을 쫓고 선명한 정신으로 자기의 성찰을 통해 해탈의 묘를 터득하려고 하였다. 이 때 茶는 精神的 價値를 推究하는데 필수적 요소로 작용하였다. 우리나라의 行茶모습이 화려한 한복을 입고 복잡한 다구배열과 까다로운 형식에 얽매이는 것은 차가 가지고 있는 상징성 즉 차의 정신을 모르고 하는 일이라고 생각한다. 옛부터 茶와 禮節, 藝術, 道는 日常生活과 儀式속에 함께 있었다고 보며 차에 대한 올바른 정신으로 때와 장소에 따라 자연스럽고 소박하게 行茶하면 된다고 본다. 이제는 茶學에 관한 올바른 位相定立과 아울러 다른 나라를 본뜨지 않은 素朴하고 自然스러운 우리 것을 土着化 시켜야 한다. 우리 것을 아끼며 이러한 정신은 꾸준하고도 적극적인 차생활로 일깨워야 한다고 생각한다. 禪僧이 차를 마시며 참선중에 느끼는 玄妙한 境地는 茶와 禪이 一如하고, 이 때에 쓴 茶詩는 禪의 경지이므로 詩와 禪이 一如하다. 그러므로 茶와 禪과 詩가 一如함을 요약했다. 이러한 경지는 禪僧들이 上求菩提 下化衆生하여 佛國淨土를 이루려는 佛敎의 根本思想과 일치한다고 본다. 고려시대 禪僧들의 禪思想이 찬란한 불교문화의 밑받침이 되었듯이 생활 속의 禪으로 이끌어 가는 茶文化는 21세기의 文化를 이끌어 갈 원동력이 될 수 있다고 본다. 21세기는 文化의 世紀라고 한다. 이 文化의 世紀에 茶文化로 세상을 부흥시키는 것이 우리의 중대한 과제라고 思料된다. The thesis in an examination of Zen - thought in tea poems by the Zen masters in Koryo dynasty. Throughout its long hosory, Korea maintained a brilliant tradition of tea-life; though it came to an abrupt and with the Japanese invasion in(1592 - 1599). Fortunately, the tradition has suruived in the Buddlist temples through the generations of monks, who have played the important role of the guardians of the tradition with their influential tea life, thoughts, and poems. The term "tea - Zen - poems" in this thesis derives from the fact that there is a very close relationship between tea, Zen, and poems ; the monks drink tea before they practice meditation(Zen) as it clears their mind, driving away sleepiness, and their pofound thought after the meditation was, guite often, exprssed in the form of poems. The tea-ways(practice of tea) in Korea has been, unlike some other countries, guite natural and practiced in very humble way without any gorgeous dressed and rich tea wares. The simple tea-ways represent the Buddhist way of life and thought, providing, at least part of, the foundation for the very enlightenment which every buddlist monk seeks and tries to attain. We must establish the modern and scientific study of tea, restoring reviving the glorious tradition of the tea - ways of Koryo dynasty, and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culture of the world in the future, the culture that should be peaceful, natural, and free of pollution like tea.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