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비만도에 따른 직업유형별 체력, 식습관에 관한 연구

        김정연 동덕여자대학교 대학원 2005 국내석사

        RANK : 1839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ovide basic data on physical strength and diet habit according to different obesity levels of occupation status. The basic data were derived from evaluating physical traits, health, and nutrition of workers at above working locations. The subjects were classified into two groups. Those with obesity level under 24 were classified as Low BMI and those with over 24 were classified as High BMI. Each BMI group was divided into worker jobs and office worker jobs. The number of subjects for workers and office workers at Low and High BMI groups are as follows: 4,580 male Low BMI workers, 1,305 male Low BMI office workers, 122 female Low BMI workers, and 336 female Low BMI office workers. 3,660 male High BMI workers, 1412 male High BMI office workers, 53 female High BMI workers, and 41 female High BMI office workers. In the case of age, people of twenties in the manufacturing industry occupy 20.3% of low obesity, those of thirties 47.9%, which is about the half of the total, forties 24.3%, and fifties 7.5%. Office workers of twenties compose of 28.6% of low obesity, those of thirties 42.1%, forties 25.7%, and fifties 3.6%. It shows workers of twenties have higher obesity than office workers do by 8.3%. Blue-collar workers of high obesity have similarity with those of low obesity. Office workers of twenties compose of 11.6% of high obesity, those of thirties 47.4%, forties 34.6%, and fifties 6.4%. It shows workers of forties have higher obesity than office workers do by 6.3%. In the case of body fat, workers show 17.6% in low obesity, while men of office work show 19.7% that is higher than that of workers men by 2.1%(p<0.01). In general, women in office job show low degree of obesity, while those in manufacturing job show high obesity. In the level of physical fitness, workers in low obesity show good condition in about 62.9% that is lower by about 6.5% than office-working men of 69.4%. workers in high obesity show good condition in about 65.8% that is lower by about 4.5% than office-working men of 70.3%. In the two measurement of obesity, men in office work show significantly higher physical fitness than workers men each by 6.5 % and 4.5 % (p<0.01). In the case of smoking, 45.0% of workers men in low obesity corresponds that they never smoke, which is higher by 8.9% than 53.9% of office-working men. 49.9 % of workers in low obesity corresponds that they never smoke, which is higher by 6.0% than 55.9% of office-working men. In the two measurement of obesity, men in office work show significantly higher physical strength than blue-collar men each by 58.9 % and 6.0 % (p<0.01). 84.6% of workers in low obesity answers that they have meal three times a day, which is higher by 6.7% than 77.9% of office-working men. 83.5 % of workers in high obesity answers that they have meal three times a day, which is higher by 3.5% than 80.0% of office-working men. In the two measurement of obesity, workers significantly meal three times a day more than office-working men do each by 6.7% and 3.5% (p<0.01). In the regularity of meal time, 53.3% of blue-collar men in low obesity answers that they havemeal sometimes regularly, 39.9% of office-working men said so that is lower than the blue-collar men by 27 %. In high obesity, 52.3% of blue-collar men, higher than white-collar men by 9.5%, and 42.8% of office-working men say they have meal sometimes regularly. In sum, office-working men in low obesity and blue-collar men in high obesity do not keep regular mealtime very well (p<0.01). On the question about frequency of breakfast time, 48.3% of blue-collar men in low obesity answers that they have breakfast more than five times per week. That is higher by 1.0% than 49.3% of office-working men. In the case of frequency of salty food, 60.9% of blue-collar men in low obesity answers that they once week, which is higher by 1.5% than 59.4% of office-working men. In the two measurement of obesity, blue-collar men significantly take salty food more than office-working men do each by 5.6% and 5.2% (p<0.01). After examining the characteristic, physical traits, basic physical fitness, health and nutrition of subjects, we found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job types in Low BMI group and High BMI group. In order to prevent obesity effectively, systematic and comprehensive approach, such as diet control and exercise programs in working place, is needed rather than separate approach. 본 연구는 한국산업안전공단 산하 서울, 부산, 인천, 광주, 창원에 위치한 건강증진센터 체력 측정실에서 사업장 근로자 총 11,509명을 대상으로 설문지는 본인이 직접 기록하게 하였다. 측정에 있어서 측정방법 및 측정도구에 따라 측정결과에 차이가 있을 수 있으므로 측정도구는 5개 지역 모두 자체 제작한 동일 모델의 체력 측정장비를 이용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은 사업장 근로자의 비만도에 따른 직업 유형별 체력, 식습관에 관한 기초 자료를 제공함으로써, 올바른 식습관 형성은 근로자의 질병 예방을 통한 건강을 증진시키는데 있다. 본 연구 조사 대상자들은 비만도 24미만을 기준으로 낮은 비만도(Low BMI)로 하고, 비만도 24이상을 기준으로 높은 비만도(High BMI)로 나누고 이들 각각에 비만도에 따른 직업유형을 생산직(Worker: W)은 생산, 운수, 장비 종사자 및 단순 노무자 또는 기능 관련 근로자, 장치 및 기계조작원, 단순 노무직 근로자로 하였고, 사무직(Office worker: OW)은 행정 및 관리직 종사자로 하였다. 비만도 측정, 체력 평가, 건강 습관, 영양 습관을 조사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연구 조사 대상자의 일반적인 특성에서 각각의 비만도에 따른 직업군별 차이를 살펴보면 낮은 비만도는 생산직 남자 4,580명, 사무직 남자 1,305명, 생산직 여자 122명, 사무직 여자 336명으로 나타나고, 높은 비만도는 생산직 남자 3,660명, 사무직 남자 1,412명, 생산직 여자 53명, 사무직 여자 41명으로 나타났다. 연령에서, 낮은 비만도는 생산직 20대가 20.3 %, 30대는 47.9 %, 40대는 24.3 %, 50대는 7.5 %로 30대가 절반을 차지하였다. 사무직 20대는 28.6 %, 30대는 42.1 %, 40대는 25.7 %, 50대는 3.6 %로 사무직이 생산직에 비해 20대의 비율이 8.3 %정도 높았다. 높은 비만도의 생산직은 낮은 비만도의 생산직과 유사하였으며, 높은 비만도의 사무직은 20대가 11.6 %, 30대는 47.4 %, 40대는 34.6 %, 50대는 6.4 %로 사무직이 생산직에 비해 40대가 6.3 %정도 높았다. 체지방율에서, 남성은 낮은 비만도에서 생산직 17.6 %이며, 사무직은 19.7 %로 사무직이 생산직에 비해 2.1 %정도 높았으며, 높은 비만도에서는 생산직 22.1 %이며, 사무직 24.5 %로 사무직이 생산직에 비?

      • 박일훈의 18현 가야금 작품에 표현된 전통적 요소 분석 : <요맹기>·<금빙>·<가락놀음>을 중심으로

        金貞姸 淑明女子大學校 傳統文化藝術大學院 2004 국내석사

        RANK : 1839

        This study intends to analyze the ‘Park, il-hun 18-stringed Gayageum’itself and the Korean traditional elements that are expressed in Park's musical works -<Yomaenggi>·<Geumbing>·<Garak-Noreum>- for 18-stringed Gayageum. Because there are some conventional misunderstanding about his 18-stringed Gayageum, it deal with his instrument and relations between his instrument and his works. The musical scholars and existing studies also strongly reference the Korean traditional elements of Park's works, but it was obscure because it was not analyse in detail. So, this study focuses on how related with his works for 18-stringed Gayageum. The result is as follows. Park's 18-stringed Gayageum is made in 1986 which is extended high tone by adding 6 sting to classical music Gayageum and maintains classical music Gayageum's original shape and tone color by using own silk thread which is material of Dolgoe·Yang - Idu·Budeul·string. Specialfeature is enlarged resonance and lessened unnecessary movement by small and square contact face between Anjok and instrument. By making higher Anjok s height in lower tone to make sound well and useful left hands movement. The Anjok s height of 18th string is 7㎝and lower tensioned 1st string is 8.5㎝. As the result of analysis about <Yomaenggi>·<Geumbing>·<Garak-Noreum> by beat, rhythm, Shigimsae, scale, mode, and form is, Major feature in beat and rhythm is ‘rhythm according to breath’which is when playing the performance of Hanbatang, these pieces revealed relatively long breath ahead of next movement. The other feature is a ‘phenomenon of free rhythm’without any beat which is performed arbitrary by player. <Garak-Noreum> which is expressed feature of beat and rhythm strongly focus on tune, and rhythms of Ganggu are appear in Gayageums melody. Although it is a creative musical work for 18-stringed Gayageum, not to use both hands as much as possible for expression of Shigimsae. In <Yomaenggi> and <Geumbing>, there is a Daseureum part to express momentary deep string play called ‘Nonghyeon’. All three works often used or markedly expressed traditional instrument skills such as Nonghyeon, snapping syncopation, Chuseong, Toeseong, Jeonseong and Yeo-eum. There is a classical musics Shigimsae skill which is two rhythm melody played in second rhythm by Nonghyeon skill in <Geumbing>. In <Garak-Noreum>, there is a lighter Jeonseong than classical music, that shows expansion for traditional skill. In aspect of scale and mode, three works made up with scale of southern regions(Namdo) Gyemyeon scale and Gyeonggi folk song. Although there are something different scale in <Yomaenggi> and <Garak-Noreum>, but the common features of these works are southern regions(Namdo) Gyemyeon scale s melody is appear partially or entirely. All three works are made up with the ‘according to tempo’for the form. Only <Yomaenggi> become gradually faster which is not clear form like a <Geumbing> or <Garak-Noreum>, it started with the Daseureum and become gradually faster. This form is a ‘form according to tempo’. Above mentioned, <Yomaenggi>·<Geumbing>·<Garak-Noreum> contained such a remarkable expression of various characteristics inherent Korean traditional elements for preservation tradition. For this reason, Park's works evaluated that contains traditional elements so much. His effort to maintain traditional elements appeared at this point like adherence to five tone scale of classical music, melody and shape of instrument. Therefore, Parks 18-stringed Gayageum which contains vegetable property tone color is a proper instrument for playing Parks creative works that include traditional elements. 본 연구는‘ 박일훈 18현 가야금’과 18현 가야금 작품 <요맹기>· <금빙>· <가락놀음>을 중심으로 한국음악의 전통적 요소를 분석한 논문이다. 기존 학계 및 연주계에서는 18현 가야금에 대하여 인식이 잘못되어 있어서‘박일훈 18현 가야금’에 대해서 알아보고 그의 18현 가야금 작품과 어떻게 연계되었는지에 대해서도 살펴보았다. 아울러 박일훈 작품에 대해 기존 연구 및 평론가들의 논평에서는 한국 전통음악의 요소와 특징을 강하게 표현하고 있는 것으로 언급되고 있으나 이러한 평가들은 박일훈 작품에 표현된 전통 음악적 특징에 관한 구체적인 분석연구를 토대로 한 것이 아니어서 모호하다. 이에 본고에서는 <요맹기>· <금빙>· <가락놀음>을 중심으로 한국음악의 전통적 요소가 박일훈의 창작품에 구체적으로 어떻게 표현되고 있는지 살펴 1 9 8 6년 만들어진‘ 박일훈 18현 가야금’은 정악가야금 배열 위에 6현을 추가하여 고음부분을 확장시켰고 돌괘· 양 이두· 부들· 현의 재료인 명주실을 그대로 사용하여 전통가야금인 정악가야금의 모형과 음색을 그대로 유지하고 있다. 큰 특징으로는 안족이 기존과는 달리 악기와 닿는 면이 적고 그 면이 사각형으로 되어 있어 공명이 커지고 불필요한 움직임이 적어졌다. 안족의 키는 제1현이 8.5㎝인데 비해 제18현 안족의 키는 7㎝로 차이를 두어 장력이 약한 저음 부분의 안족을 높여 소리가 잘 나고 왼손의 움직임이 편리하도록 만든 악기임을 알 수 있었다. <요맹기>· <금빙>· <가락놀음>에 표현된 전통적 요소를 여러 학자들이 언급한 장단 및 박자· 시김새· 음계 및 선법·형식 중심으로 알아본 결과, 장단 및 박자에서 나타나는 특징으로는 악곡마다 한바탕을 연주할 때 다음 곡으로 넘어가기 전 긴 호흡을 하고 들어가는‘ 호흡에 따른 박자’와 정해진 박자가 아닌 연주자 임의대로 진행해 나가는 무장단의‘ 자유리듬’이 보인다. <가락놀음>에서는 장단 및 박자의 전통적인 특징이 가장 뚜렷하게 나타나는데 민속악 장단의 장구 가락이 가야금 선율의 리듬으로 나타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시김새를 표현하기 위하여 18현 개량가야금을 위한 창작곡임에도 불구하고 양손사용을 가급적 자제하였고 <요맹기>와 <금빙>은 진한 농현을 표현하기 위한‘ 다스름’부분이 있으며 3곡 모두 농현, 꺾는 기법, 추성, 퇴성, 전성, 여음으로 소리 내는 기법이 주로 사용되었다. 특징적인 것은 <금빙>에서의 정악에 나타나는 시김새로 한 박인 음은 처음부터 농현하고 두 박인 음은 두 번째 박에 농현하는 기법과 <가락놀음>에서의 전통기법의 확대로 보이는 전통음악에서 사용하던 전성보다 가벼운 전성이 보인다. 음계 및 선법에서는 3곡 모두 남도민요 음계와 경기민요 음계의 선율로 구성되었다. <요맹기>와 <가락놀음>에서는 그 밖에도 음들의 출현도 보이지만 이 작품들은 공통적으로 남도계면조의 선율이 악장 전체나 부분적으로 나타나서 남도민요 느낌이든다. 형식에서는 세 작품 모두‘ 빠르기에 따른 형식’으로 구성되어 있다. 다만, <요맹기>는 악장 내에서 점차 빠르게 진행되는 형식으로 <금빙>이나 <가락놀음>과 같이 뚜렷한 형식으로 되어 있지는 않지만 전체적으로 볼 때 다스름으로 시작하여 점차 빠르게 진행하여 급격하게 몰아주는 형식으로‘ 빠르기에 따른 형식’에 해당한다. 이상에서 살핀 것처럼 <요맹기>· <금빙>· <가락놀음>에서는 한국음악의 전통적 요소가 다양한 형태로 많이 활용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이유로 박일훈의 창작곡은 전통성이 강하게 느껴진다고 평가받고 있는 것으로 생각된다. 아울러 그의 작품에서 말하는 전통성은‘ 박일훈 18현 가야금’에서도 전통 가야금의 5음 음계 고수 및 음색과 모형의 형태로 나타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전통적 요소가 많이 나타나는 박일훈의 18현 가야금 창작곡은 전통성을 유지하고 있는‘ 박일훈 18현 가야금’으로 연주했을 때 제 맛을 낼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 J.P. Sweelinck의 세속선율 변주곡 "Mein junges Leben hat ein End"의 연구

        김정연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1839

        17세기, 르네상스와 바로크의 연결점이 되는 시대에 활동했던 얀 피테르스준 스벨링크 (Jan Pieterszoon Sweelinck, 1562-1621)는 네덜란드 오르간 음악에 있어 빼놓을 수 없는 위대한 작곡가였다. 동시에 그는 훌륭한 교육자로서 유럽 각국의 젊은 음악가들을 양성하였고, 특히 다수의 북독일 제자들을 키워냈다. 스벨링크가 오르가니스트로 봉직했던 암스테르담의 아우데 교회는 종교개혁과 함께 1580년 경 로마 카톨릭 교회에서 칼뱅파 교회로 개혁되었다. 칼뱅파는 예배 중 악기의 사용을 금지하였기 때문에 예배 시 오르간의 역할은 크지 않았다. 그러나 시 당국은 오르간을 나라의 재산으로 여기고, 정책적으로 지지하였기 때문에 스벨링크의 창작 활동은 자유로울 수 있었다. 17세기의 네덜란드는 정치, 종교적으로 격변기였던 동시에 북유럽 무역의 중심지였기에 유럽의 음악가들이 모여들었고, 스벨링크는 그들의 음악에 많은 영향을 받게 되었다. 따라서 스벨링크가 작곡한 환타지아, 에코 환타지아, 토카타, 변주곡에는 영국, 스페인, 이태리 등의 여러 음악적 기법들과 독일의 선율이 잘 혼합되어 나타났다. 특히 변주곡 장르에서는 영국의 음형기법과 스페인의 작곡 구조가 뚜렷이 발견된다. 스벨링크의 세속선율 변주곡「내 젊은 날은 가고 (Mein junges Leben hat ein End)」는 이러한 시대적 특징이 잘 반영되어진 작품으로, 독일의 민요를 멜로디로 하여 작곡된 6개의 변주곡이다. 이 곡에는 스벨링크가 네덜란드인으로서 가지고 있던 정교한 다성 음악 전통에 영국의 버지널리스트 기법, 스페인의 디퍼런시아 기법, 이태리의 토카타 기법을 결합시켜 만든, 스벨링크만의 복합적 작곡 방식이 잘 나타나 있다. 이 곡의 주제선율은 칸투스 플라누스 혹은 칸투스 콜로라투스로 대개 소프라노에서 제시되며, 곡 전체를 통해 모방기법, 병행, 스트레토, 동형진행, 에코기법 및 영국의 음형기법을 두루 사용하였다. 또한, 스벨링크는 그만의 뛰어난 대위법적 테크닉으로 간결한 단선율을 위대한 예술 작품으로 재탄생시켰다. 이와 같이 스벨링크는 새로운 음악의 창시자라기보다는, 영국 버지널리스트를 중심으로 유럽 각 나라의 전통적 기법을 통합하여 그만의 독특한 형식을 만들어냈다. 또한, 그는 그러한 음악을 그의 북독일 제자들을 통해 전파시켜 다음에 이어질 바로크 시대의 음악에 기반이 되는 중요한 가교(架橋) 역할을 하였다.17세기, 르네상스와 바로크의 연결점이 되는 시대에 활동했던 얀 피테르스준 스벨링크 (Jan Pieterszoon Sweelinck, 1562-1621)는 네덜란드 오르간 음악에 있어 빼놓을 수 없는 위대한 작곡가였다. 동시에 그는 훌륭한 교육자로서 유럽 각국의 젊은 음악가들을 양성하였고, 특히 다수의 북독일 제자들을 키워냈다. 스벨링크가 오르가니스트로 봉직했던 암스테르담의 아우데 교회는 종교개혁과 함께 1580년 경 로마 카톨릭 교회에서 칼뱅파 교회로 개혁되었다. 칼뱅파는 예배 중 악기의 사용을 금지하였기 때문에 예배 시 오르간의 역할은 크지 않았다. 그러나 시 당국은 오르간을 나라의 재산으로 여기고, 정책적으로 지지하였기 때문에 스벨링크의 창작 활동은 자유로울 수 있었다. 17세기의 네덜란드는 정치, 종교적으로 격변기였던 동시에 북유럽 무역의 중심지였기에 유럽의 음악가들이 모여들었고, 스벨링크는 그들의 음악에 많은 영향을 받게 되었다. 따라서 스벨링크가 작곡한 환타지아, 에코 환타지아, 토카타, 변주곡에는 영국, 스페인, 이태리 등의 여러 음악적 기법들과 독일의 선율이 잘 혼합되어 나타났다. 특히 변주곡 장르에서는 영국의 음형기법과 스페인의 작곡 구조가 뚜렷이 발견된다. 스벨링크의 세속선율 변주곡「내 젊은 날은 가고 (Mein junges Leben hat ein End)」는 이러한 시대적 특징이 잘 반영되어진 작품으로, 독일의 민요를 멜로디로 하여 작곡된 6개의 변주곡이다. 이 곡에는 스벨링크가 네덜란드인으로서 가지고 있던 정교한 다성 음악 전통에 영국의 버지널리스트 기법, 스페인의 디퍼런시아 기법, 이태리의 토카타 기법을 결합시켜 만든, 스벨링크만의 복합적 작곡 방식이 잘 나타나 있다. 이 곡의 주제선율은 칸투스 플라누스 혹은 칸투스 콜로라투스로 대개 소프라노에서 제시되며, 곡 전체를 통해 모방기법, 병행, 스트레토, 동형진행, 에코기법 및 영국의 음형기법을 두루 사용하였다. 또한, 스벨링크는 그만의 뛰어난 대위법적 테크닉으로 간결한 단선율을 위대한 예술 작품으로 재탄생시켰다. 이와 같이 스벨링크는 새로운 음악의 창시자라기보다는, 영국 버지널리스트를 중심으로 유럽 각 나라의 전통적 기법을 통합하여 그만의 독특한 형식을 만들어냈다. 또한, 그는 그러한 음악을 그의 북독일 제자들을 통해 전파시켜 다음에 이어질 바로크 시대의 음악에 기반이 되는 중요한 가교(架橋) 역할을 하였다. Jan Pieterszoon Sweelinck (1562-1621), a magnificent Dutch composer and organist, was a crucial figure in Dutch organ music of the late 16th and the early 17th centuries which served as a bridge between the Renaissance era and the Baroque period. A master pedagogue, he also educated many young musicians from all over Europe and particularly from northern Germany. The Amsterdam Oude Kerk (Old Church), where Sweelinck once worked as an organist, was originally a member of the Roman Catholic Church but later converted to Calvinism circa 1580 as with the Protestant Reformation. Since the Protestant denomination banned the use of instruments during worship, the role of organ was not pivotal at that time. The municipal authorities, however, considered the instrument at the church one of the national properties and supported it with proper policies, allowing the musician to freely pursue his creative endeavors. The 17th century Netherlands was an epicenter of not only political and religious turmoils but also trade and commerce of northern Europe. Naturally, the country attracted musicians from all over the continent and they influenced Sweelinck to a significant degree. His compositions of fantasia, echo fantasia, toccata and variation show a virtuoso mix of various musical techniques of Britain, Spain, Italy and other countries as well as German melodics. Particularly in his variations, there are clear indications of the influence of English figural techniques and Spanish compositional structures. "Mein junges Leben hat ein End" of the Variations on Secular Tunes is an excellent example of characteristics of the period in question, consisting of six variations utilizing a German folk song as a central melodic theme. The piece masterfully shows the composer's unique eclectic style, a combination of his Dutch heritage of exquisite polyphony and the English virginalist technique, the Spanish differencia as well as the Italian toccata. The melodic theme of the composition appears in cantus planus or cantus coloratus for mostly soprano, showcasing, throughout the piece, a wide range of techniques such as juxtaposition, stretto, sequence and echo as well as the English figural technique. Not only that, Sweelinck transformed the simple monophony into a masterpiece with his own genius contrapuntal techniques. As reviewed above, Jan Pieterszoon Sweelinck invented his own idiosyncratic forms by combining traditional musical techniques of European countries with emphasis on the English virginalist school, rather than creating a completely new style of music. More importantly, the Dutch organist passed his musical tradition to his students from northern Germany who later expanded and developed it to the next level. As a composer, organist and educator, Sweelinck served as the pivotal link to the matrix of music of the Baroque era.

      • 택배화물 유동의 지리적 특성과 택배물류시설의 네트워크에 관한 연구

        김정연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2 국내석사

        RANK : 1839

        오늘날 여가선용, 여성의 사회진출 증대 등 생활패턴이 변화하고, 통신판매, TV홈쇼핑, 인터넷 쇼핑몰을 통한 전자상거래가 활성화되면서 보다 편리하고, 신속한 수송서비스인 택배업이 성장하게 되었다. 본 연구는 전국 시군별 택배화물의 지역적 분포와 택배화물 유동의 공간 구조를 살피고, 시간적 제약과 물량 균형을 고려하여 구축한 대형택배업체 물류시설의 네트워크를 비교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이 연구를 수행하기 위해 162개 시군별 택배화물의 발생량과 도착량, 사례기업의 택배화물 O/D 자료를 구축하였고, D-value와 C-value를 분석에 활용하였다. 택배화물 유동의 방향성과 물류시설의 네트워크를 지도화하기 위해 ArcGIS의 네트워크 모듈을 커스터마이징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전국 시군별로 택배화물 분포를 살펴보면 서울 및 6개 광역 도시의 총유동량이 높게 나타나고 있으며 수도권 및 영남권의 물량이 많다. 택배화물의 발생 및 도착량은 수도권 지역에 집중적으로 나타나며, 발생량이 도착량보다 많다. 이것은 수도권 지역 내에서의 물량 이동이 활발하며 수도권 지역에서의 화물 유출량이 유입량보다 많기 때문이다. 서울, 부산 및 경기도 지역은 D-value와 C-value가 양(+)의 값을 보여 화물의 공급지 역할을 한다. 둘째, 사례기업의 연구에서 시도별로는 서울이 총유동량이 가장 많으며, D-value와 C-value가 양(+)의 값으로 서울이 화물유동의 공급지 즉, 정보원(information genesis)의 역할을 한다. 지역별 1차 탁월 링크를 살펴보면, 모든 지역이 서울을 지향지로 삼고 있으며, 2차 탁월링크 지역의 경우엔 부산, 광주, 대구, 대전, 인천, 울산의 6개 광역시가 화물 유동의 공급지로 나타난다. 사례기업의 서울시 25개 구 및 시군별 유동 자료에서 총유동량은 6대 광역시와 서울의 강남구, 서초구 지역 및 경기도 지역이 상위 15위를 차지하지만 수도권 지역만이 D-value와 C-value가 양(+)의 값으로 나타난다. 수도권 지역은 택배화물 유동이 활발하며, 화물의 공급지이자 정보원의 역할을 하기 때문이다. 이러한 물량의 집중은 수도권에 물류시설이 집중적으로 분포한다는 사실과 관련이 있다. 셋째, 택배업 물류시설의 네트워크는 Hub and Spoke 시스템, Point to Point 시스템 및 절충형 시스템의 3가지 형태로 나타난다. Hub and Spoke 시스템을 이용하면 네트워크에 필요한 링크의 수가 줄어들고, 지역별 화물량이 균형을 이룰 수 있으며, 물량이 적은 경우에 Hub에 물량을 집중시켜 대량으로 운송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가까운 지역 간에도 반드시 Hub를 거쳐야 하므로 배송 지연의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Point to Point 시스템은 물량이 많은 경우에 터미널간 직행이 이루어져 시간이 절약된다는 장점이 있으나, 결절간에 불필요한 링크가 발생한다는 단점이 있다. 절충형 시스템은 이 두 시스템의 장점을 살려, 잔여물량이 발생하거나 물량이 적은 경우엔 Hub에 집합시켜 지역별로 분류하며, 신속한 배달이 필요하거나 물량이 많은 경우엔 터미널간 직송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넷째, 우리나라의 대형택배업체 3개 사는 각각 다른 네트워크 방식을 채택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업 초기에는 Hub and Spoke의 방식을 취하며 물량 증가에 따라 Point to Point 시스템을 도입하여 절충형 시스템을 이루게 된다. 터미널과 같은 물류시설의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것은 복잡한 일이며, 각 업체의 특성에 따라 시간적 제약 및 물량의 균형을 고려하여 조직해야 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spatial distribution pattern and spatial structure of the freight flows of Small Package Delivery Service, and to compare the terminal network systems from the case study of the three parcels service companies. For this study, based on the freight quantity data at the national scale in 2000 and 2001, O/D matrix of freight flows was made for case study. D-value and C-value was used to find the demand or supply centers of freight flows. Network module on ArcGIS was customized to express directions of freight flows and terminal network systems on maps. The major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 First, The examination of geographical patterns of freight flows reveals that a high proportion of total freight flows is concentrated on Seoul and other urban centers such as Busan, Taegu, Daejeon, Kwangju, Incheon and Ulsan. Especially, there is large freight flows within Capital Region and outflow quantity is larger than inflow quantity in Capital Region. In addition, D-value and C-value are positive in Seoul, Busan and Kyonggido. This result shows that these regions play a role as supply centers of freight flows. Second, in the case of small package service company 'H', Seoul is the major supply center of freight flows at the national scale. First order links shows Seoul is the dominant city of freight flows in Korea. In terms of Second order links, Busan, Kwangju, Daegu, Daejoen, Incheon and Ulsan are the supply centers of freight flows. In detail, study of freight quantity data of 25 Gus and 162 cities shows Kangnam-gu and Seocho-gu within Seoul and Kyonggido are ranked high in total freight flows and have positive D-value and C-value. These results shows that Capital Region functions as supply area or information genesis. In addition, these are related to distribution of facilities such as Terminal in Capital Region. Third, There are three types of terminal network system : Hub and Spoke network, Point to Point network, and Mixed network which has merits of Hub and Spoke and Point to Point. Hub and Spoke network can reduce the management cost of terminal and take advantage of bundling of flows. But it has problems of delivery delay due to traffic jam. In Point to Point network, flow travels directly from the origin to destination with no intermediate stops. This type results in the lowest travel time. But, it also results in a large number of links, many of which are underutilized. Mixed type which has merits of the two systems is cost-efficient. Finally, case study on three largest parcel service companies shows that they have different terminal network system. Generally these companies use Hub and Spoke network at the start. But as the freight flows increase, Hub and Spoke network allows Point to Point network to interact directly with each other. Therefore Mixed network system is recommended. Terminal network system should be organized by considering the time constraints and balance of local freight quantity.

      • 도움 추구 태도와 귀인 양식 간 관계

        김정연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5 국내석사

        RANK : 1839

        이 연구는 문제 원인에 대한 책임 귀인과 문제 해결에 대한 책임 귀인을 구별한 Brickman model을 상담에 적용하여 귀인 양식과 전문적 도움 추구에 대한 태도 간 관계를 알아보기 위한 것이다. 연구 가설은 다음과 같다. (1) 문제 원인에 대해 내부 귀인을 하는 사람들이 외부 귀인 하는 사람들에 비해 더 긍정적인 도움 추구 태도를 보일 것이다. (2) 문제 해결책임을 내부 귀인 하는 사람들이 외부 귀인 하는 사람들에 비해 더 긍정적인 도움 추구 태도를 보일 것이다. (3) 문제 원인과 해결에 대한 책임 모두를 내부 귀인 하는 사람들이 다른 사람들에 비해 가장 긍정적인 도움 추구 태도를 보일 것이다. 연구 참여자 서울, 경기 지역 대학생 총 236 명 (남=80, 여=156) 에게, ‘문제 원인과 해결에 대한 귀인 설문지’와 ‘전문적 도움 추구 태도 척도’를 실시하여 변량분석으로 비교 검증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문제 원인에 대해 내부 귀인을 하는 사람들과 외부 귀인 하는 사람들 사이에 도움 추구 태도에 차이가 없었다. 둘째, 문제 해결 책임을 내부 귀인 하는 사람들이 외부 귀인 하는 사람들에 비해 더 긍정적인 도움 추구 태도를 보였다. 셋째, 문제 발생 원인과 해결 책임 모두를 내적 귀인 하는 사람들이 다른 사람들에 비해 가장 높은 도움 추구 태도를 보이지 않았다. 이 연구 결과를 종합해 보면, 문제 발생 원인에 대한 귀인 양식보다는 문제 해결 책임 귀인 양식이 전문적 도움 추구 태도 차이를 더 의미 있게 구분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The primary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relation between attributional style and attitudes toward seeking professional help, applying Brickman's model, which makes distinction between attribution for the cause of problems and for the responsibility for problem solving, to counseling. There were three hypotheses: (1) People who internalize the cause of their problems would show more positive attitudes toward seeking professional help than those who externalize the cause of problems. (2) People who internalize the responsibility for problem solving would show more positive attitudes toward seeking professional help than those who externalize the responsibility. (3) People who internalize both the cause of their problems and the responsibility for problem solving would show the most positive attitudes toward seeking professional help than the others. The participants were 236 college students (male=80, female=156) in Seoul and Kyung-gi province. The Attitudes toward Seeking Professional Help scale and questionnaire assessing causal and responsibility attributional style in 20 hypothetical situations were used to measure the attitude toward seeking professional help and attributional style, respectively. The results of ANOVA are as follows. (1) The people who internalized the cause of their problems did not show more positive attitude toward seeking professional help than those who externalized the cause. (2) The people who internalized the responsibility for problem solving did show more positive attitude toward seeking professional help than those who externalized the responsibility. (3) The people who internalized both the cause of their problems and the responsibility for problem solving did not show the most positive attitudes toward seeking professional help than the others. The results show that responsibility attributional style is a more significant factor than causal attributional style to distinguish the attitudes toward seeking professional help.

      • 1인 가구 소비자의 식기 구매동기에 관한 연구

        김정연 경기대학교 관광전문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1839

        인간이 살아가기 위해 없어서는 안 될 요소인 의․식․주의 영역 중 ‘식’의 영역을 해소하기 위해서는 도구로써 동반되어지는 식기를 빼놓을 수 없다. 식기는 음식을 담아 식탁에 올려놓고 먹는 그릇을 총칭하는 단어로 음식에 ‘멋’과 ‘맛’을 더해 시각적․감성적 만족을 불러일으키는 요소가 되기도 한다. 더불어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는 1인 가구는 현대사회에서 인구학적 트렌드로 자리를 잡고 있으며, 이에 따라 1인 가구를 겨냥한 소비시장이 확대되고 있다. 지속적으로 1인 가구가 증가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1인 가구 소비자를 대상으로 하는 식기에 관한 연구는 미비한 실정이다. 식기에 관련한 선행연구로는 1인 가구의 식기선택조건을 파악하기 위하여 교육 수준, 연령 등의 인구통계학적 변인을 고려하였지만, 이러한 단순 인구통계학적 속성은 사람들이 왜 그런 생각을 하는지에 대해 알려주지 못한다. 또한 문헌연구와 디자인개발이나 형태에 관련한 연구들이 대부분이었으며 소비자들의 다양한 주관적 특성을 알아보는 연구는 찾아보기 어렵다. 따라서 본 연구는 식기구매에 대한 1인 가구 소비자들의 가치관이나 인식, 태도 등은 무엇인지와 식기를 구매할 때 구매행동을 유발시키는 동기는 무엇인지에 대한 주관적 특성을 연구하였다. 본 연구 결과 1인 가구 소비자의 식기 구매동기는 4가지 유형으로 도출되었다. 제 1유형은 ‘스마트 소비자형’으로 자신이 생각하는 합리적 기준점에서 감성을 따르는 감성적 소비와 꼼꼼히 따져 본 후 구매를 행하는 이성적 소비를 동시에 겸비하며 소비를 행한다. 제 2유형은 ‘소비 거부자형’으로 식기를 단지 식사를 하기 위한 도구로만 생각하며 기능적인 측면을 중요시 생각하여 더 이상 쓸데없는 소비를 거부한다. 제 3유형은 ‘과시적 소비자형’으로 식기를 통해 본인의 부유함을 과시하고 싶어 하며, 사회적 위치를 확인받음으로써 주변 사람들의 부러움의 대상이 되기를 원한다. 제 4유형은 ‘가치소비 지향형’으로 식기가 자신에게 행복과 만족도를 줄 수 있는 가치 높은 상품이라고 여겨 식기를 구매함으로써 자기만족감을 느껴 식기에 과감히 투자를 한다. 본 연구는 1인 가구 소비자들의 주관적인 성향에 따라 구매동기 유형이 어떻게 나타나며 유형별로 나타나는 그들의 특성과 차이점이 어떠한지를 알아보고, 유형별 특성에 적합한 마케팅 전략을 제안하였다. 마지막으로 이번 연구를 통해 소비자의 주관적 인식을 알아보고 결론을 도출하였다는 점에 의의를 두지만 이것을 식기를 구매하는 모든 1인 가구 소비자들의 생각이라고 일반화를 하기에는 어려움이 존재한다. 본 연구를 바탕으로 추후 연구에서는 식기를 실제로 많이 사용하는 기혼여성을 대상으로 연구가 진행되길 기대한다. To fulfill the ‘food’ element of the three necessities of life – food, clothing and shelter, we must consider the accompanying tool of tableware. Tableware is a generic term for bowls and dishes that contain food and are placed on the table when eating, and it can be a factor that arouses visual and emotional satisfaction by adding ‘flavor’ and ‘style’ to food. In addition, the single-person household is a consistently increasing demographic trend in modern society, and the consumer market targeting this single-person household is expanding. Although the single-person household has been increasing consistently, there has been limited research on tableware for single-person households. Existing research on tableware has considered demographic variables, such as age and level of education, to identify the selection criteria for tableware in single-person households, but such simple demographic properties do not reveal the reason why people have such thoughts. Also, because most studies were related to design development, shape or literature reviews, it is difficult to find research on the different subjective characteristics of consumers. Therefore, this study investigated the subjective characteristics of the value, perception and attitude of single-person household consumers toward tableware purchase, and the motivation that induces purchase behavior when purchasing tableware. The results of this study derived 4 types of motivation for single-person household consumer that purchases tableware. The first type is the ‘smart consumer type’ that combines both emotional consumption that follows one’s affections at a reasonable reference point, and rational consumption that makes purchases after careful considerations. The second type is the ‘consumption objector type’ that only perceives tableware as tools to eat and considers the functional aspects as important, refusing to make unnecessary consumption. The third type is ‘conspicuous consumer type’ that wants to make a display of one’s wealth through tableware, and desires to become an object of envy by having their social status confirmed. The fourth type is the ‘value-conscious consumer’ that perceives tableware as a valuable product that can give happiness and satisfaction to oneself, and makes bold investments in tableware because they feel self-satisfaction in purchasing tableware. This study examines different purchase motivation types according to the subjective tendency of single-person household consumers, the characteristics and differences of each type, and suggests suitable strategies for characteristics of each type. Lastly, although this study is meaningful in examining the subjective perception of consumers and drawing a conclusion, it is difficult to generalize this as the thoughts of all single-person household consumers. Further research is expected to be carried out on married women who use tableware more frequently.

      • 관계(Between)를 주제로 한 인터랙티브 아트 표현연구

        김정연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5 국내석사

        RANK : 1839

        21세기에 들어 한국의 미술사는 ‘미디어아트’란 용어를 접하면서 새로이 조명되기 시작하였다. 다시 말해 미술이 교육으로 위대한 예술가를 키워내는 것이 아니라 과학기술 발전에 의해 조성 가능한 미디어환경을 생활 속에서 예술과 접목시키려는 움직임을 보이고 있는 것이다. 미디어 아트는 백남준의 비디오 아트를 시작으로 친숙한 미디어를 활용하여 예술을 사람들로 하여금 좀 더 대중적으로 접하도록 시도하였다. 그러나 추상미술과 같이 난해한 작품들이 대부분이며 최근까지도 미디어아트는 관객으로부터 어려운 예술 작품이란 이미지로 인식하며 그 이미지를 변화시키지 못하고 있다. 최근 1여 년 동안 여러 미디어아트 전시를 진행하면서 살펴 본 관객의 반응을 통해서도 확인되었다. 관객은 미디어아트에 관해 학습해야 작품을 이해할 수 있다는 부담감을 지니고 있었다. 한 점의 추상화를 보듯 혹은 회화를 보듯 이에 대한 지식을 필요로 하였고 관객이 학습에 실패하면 작품을 무심코 지나치는 경우도 있었다. 또한 관객은 작품을 해석해야만 한다는 압박감도 지니고 있었다. 마치 한 문장에서 어휘를 분석하고 그 의미를 파악하는 학자와 같이 작품에서 표현되어지는 요소들의 의미를 분석하려고 무난히 노력을 기울였다. 하지만 모든 미디어아트에 대해 관객의 반응이 부정적인 것만은 아니었다. 상호작용 예술로써 경험을 통해 작품을 이해하도록 유도한 인터랙티브 아트는 관객의 흥미를 유발시키기도 하였다. 인터랙티브 아트는 관객이 참여함으로써 작가와 의사소통을 하고 관객과의 지속적인 피드백에 의해 작품의 순화를 이끌 어 낼 수 있는 특성을 지녔다. 관객의 참여는 미디어아트를 소통의 예술로 승화시키는 장치이며 보다 쉽게 생활 속에 스며들 예술의 핵심방법이다. 이런 인터랙티브 아트는 예술로써 시각적 조형미를 추구하며 시각적 유희도 경험하도록 한다. 본 연구는 산업혁명 이후 현대사회의 특성에 따라 인간관계를 조명하여 그 유형을 시각화 해보고 관객과의 상호작용을 통해 작품의 의미를 보다 쉽게 경험하고자 하는 인터랙티브 아트 표현방법에 의의가 있다. 현대사회의 인간관계는 다양한 요소들에 의해 형성된다. 사회적 환경 혹은 문화적 환경에 의해서도 학연, 지연 등의 관계를 이루게 되며 가족, 직장 등의 조직적 관계를 형성하기도 한다. 이는 인간이 사회적 동물이기에 혼자 살아갈 수 없는 존재로 관계를 통해 성장하게 되며 생활을 하게 된다. 특히 인간이 사용하는 언어는 이런 인간관계 형성에 있어 가장 큰 영향력을 발휘하게 된다. 이에 대한 논의는 심리학자 린다(Linda)에 의해서 제시되었으며 그 인간관계의 유형을 세 가지로 설명하였다. 비자기표현형, 공격형, 자기표현형이 그것이다. 본 연구는 이 유형별에 의해 시각화된 작품을 제작하려고 하며 보다 쉽게 이해할 수 있는 단순화된 인터랙티브 아트의 환경을 조성해 보고자 한다. 또한 소통의 장치 인터랙션을 통해 작품의 의도를 관객이 경험해 보도록 유도하고자 한다. Entering upon the 21st century, the history of Korean art is being illuminated again by a new trend called ‘media art.’ In other words, art does not raise great artists through education but it is trying to join its hands with media environment in people’s life that can be created through the development of science and technology. Media art, which began with Baek Nam-jun’s video art, has been looking for ways for people to get closer to art through utilizing familiar media. However, most of media art works are hardly understandable abstract ones and, as a result, media art has been regarded as incomprehensible and the image has been unchanged up to recently. Such a tendency has also been confirmed through viewers’ responses observed in various exhibitions of media art for the last one year. Viewers had the burden that they had to learn media art in order to understand media art works. As if they saw an abstract work or a painting, they felt the need of knowledge about media art and those who failed to learn occasionally passed by unconsciously. Furthermore, viewers were driven to interpret media art works. As if a scholar tried to analyze words in a sentence and comprehend their meanings, they exerted efforts to analyze the meanings of elements expressed in media art. However, not all of viewers’ responses to media art were negative. Interactive art, which induced viewers to understand the works through experience, stimulated their interest. In interactive art, viewers communicate with the artist through participating in the work and the work is refined through continuous feedback from the viewers. Viewers’ participation is a means for media art to be sublimated into communication art and a key method for art to permeate people’s life. In this way, interactive art pursues visual formative beauty as an art and, at the same time, gives experience of visual entertainment. This study illuminated human relation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 of contemporary society since the Industrial Revolution and visualized its types, and developed methods of interactive art expression for easier understanding of the meanings of art works through interaction with the viewers. In contemporary society, human relations are formed by various elements. School relations, regional relations, etc. are created by social environment or cultural environment, and organizational relations are formed at home and in workplace. Because human beings are social animals, they cannot live isolated but grow and live through relations. In particular, language used by people plays the most significant effect on the formation of human relations. Discussion on this theme was presented by psychologist Linda who explained human relations in three types - non-self-expressive type, aggressive type, self-expressive type. The present study attempted to create works that visualized these types and to crate environment for more easily understandable simplified interactive art. In addition, we tried to induce the viewers to experience the intention of works through interaction with communication devices.

      • Anton Webern의 Op.24에 대한 분석 : 제Ⅰ악장을 중심으로

        김정연 淑明女子大學校 1991 국내석사

        RANK : 1839

        "Concerto" op.24 of Anton Webern have the highly organized series, which has four different trichords. These series are composed of Original, Inversion, Retrograde, and Retrograde-Inversion of trichords, and made of both a minor second and a major third. It determines the structual form, Interval figure, Rhythm, Articulation, and Dynamics. The Concerto op.24, using Piano and instruments group and having a traditional "Concerto" style, is constituted by both cooperation and contrast. In this Concerto, Introduction, Transition, and Coda use the same series. But Piano A, B, and A' part use the different series each other. Therefore, Piano and instruments group have each characteristic. And they also show this style in using of Interval figure, Rhythm, and Dynamics. As a result, I found that the work of Webern which is succinct and simple, consists of the organized structure, and his technique which keeps its balance using the unity, shows more advanced principle of " New Serialism" than one before this Concerto op.24. Also, I found that his idea contributes to composer of the "Pointilism" since A. Weber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