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SCOPUSKCI등재

        tRNA 염기배열 순서를 이용한 진화적 관계

        이동훈,김영준,강현삼,이병재 한국유전학회 1986 Genes & Genomics Vol.8 No.2

        The nucleotide sequences of tRNAs were compared and the homologies between a pair of sequences were calculated. The homology is high between phylogenically related organisms, but low between eukaryote and prokaryote. The organelle's tRNA sequence shows very lower homology with chromosomal tRNA sequence. The homology and evolotionary distance was obtained by the method of Kimura (1980) with the sequences of chromosomal tRNAs which have the same anticodon (GUC) to compare orthologous genes. The phylogenic tree was constructed by unweighted pairgroup method using arithmatic average (UPGMA). The time of divergence of prokaryote and eukaryote was estimated to be 6.4×10^(10) years ago and the branching order in this phylogenic tree was in good agreement with that obtained by primary protein structures and 5S rRNA sequences.

      • KCI등재

        재조일본인 사회의 ‘발전사’ 간행과 일본의 향토 연구

        이동훈 동국대학교 일본학연구소 2020 일본학 Vol.50 No.-

        This article examines local history books published by Japanese settlers in colonial Korea. Japanese published various types of books on Korean peninsula during Meiji and Taisho era. Mainly the books are published to inform circumstances in Korea and guide to how to emigrate to Korea. Among these books, this article focuses on local history books published by Japanese settlers in colonial Korea. Japanese settlers published local history books to commemorate their emigration and cultivation in Korea. In some books, encountering with korean people and crosscultural contact are important issues. And the other books, pioneer spirit is essential key to understand their publication. 이 논문에서는 재조일본인이 간행한 조선지지 중에서 발전사를 하나의 새로운 자료군으로 정리하고 기술에 나타난 ‘식민자의식’과 그 근저에 있는 의식구조에 대해 살펴보았다. 발전사는 거류민 사회의 형성사를 주요 내용으로 하는 간행물이다. 발전사 간행 사업은 개항 기념, ‘한국병합’, 거류민단의 해산을 계기로 이루어진 경우가 많았다. 개항 시기부터 거류민 사회의 역사를 역사로 남기려는 의식에 더하여 식민지 통치 권력에 대한 반관(反官) 의식이 간행을 뒷받침하고 있었다. 발전사 내용을 통해서는 일본인들의 ‘개척’ 정신을 기념하고 기리는 의미가 발전사 간행을 뒷받침한 점을 알 수 있다또한 재조일본인 사회의 발전사 간행은 일본의 향토사 연구 동향과 동시대성을 가지고 있었다. 발전사 간행을 계기로 지역의 연혁에 대한 관심이 커지면서 조선의 지역사에 대한 연구 조사가 이루어졌다. 일본인 집단거주지의 형성 성격에 따라 발전사 서술 내용에도 특징적인 내용을 찾을 수 있다 개항장에서 성장한 식민지도시에서는 개항이 중요한 기점이었으며 개항을 기념하는 사업의 일환으로 발전사가 간행되었다. 잡거지 식민지도시의 발전사에서는 조선인과의 조우 및 이문화 접촉을 다룬 기술이 두드러졌으며 신시가지 형태로 성장한 식민지도시의 경우에는 일본인들이 한반도로 이주하여 해당 지역을 건설했다는 ‘개척’ 의식을 엿볼 수 있다.

      • KCI등재

        메기(Silurus asotus) 및 엽채류의 성장과 생산을 위한 Hybrid BFT 아쿠아포닉스(HBFT-AP), 반순환 양식(Semi-RAS) 및 수경재배 (Hydroponics)의 비교 연구

        이동훈,김진영,임성률,김달영,김광배,김주민,김정대 한국수산과학회 2019 한국수산과학회지 Vol.52 No.5

        This study compared the productivity of fish and vegetables grown using the hybrid biofloc technology-aquaponics (HBFT-AP), a semi-recirculating aquaculture system (SRAS), and hydroponics (HP). For the study of fish productivity (HBFT-AP vs. SRAS), fish were provided feed containing 3.0% monobasic potassium phosphate (MKP) for 18 weeks. After the 18-week feeding trial, the average weight of the sampled population (n=100)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P>0.05), while hematocrit (PCV, %), hemoglobin (Hb, g/dL), and plasma K (mEq/L)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P<0.05) between the two groups (HBFT-AP: 47.83%, 15.48 g/dL, and 1.39 mEq/L; SRAS 34.83%, 11.81 g/dL, and 2.48 mEq/L). Leaf vegetable productivity (HBFT-AP vs. HP) was compared in three experiments (EXP 1- 3), and slower growth was observed in both groups in EXP 2, in which pH was maintained at 5.0 or less throughout the experiment. During the 18-week feeding trial, total ammonia nitrogen (TAN), NO3-N, and PO4-P levels increased with time in the HBFT-AP system, while the concentration of NO 2-N remained below 0.1 mg/L throughout the study.

      • KCI등재

        재조일본인 건립 신사(神社)에 관한 기초적 연구-‘한국병합’ 전후 변화 양상을 중심으로-

        이동훈 한일관계사학회 2018 한일관계사연구 Vol.62 No.-

        This study examines shinto shrines built by Japanese settlers in Korean peninsula from the opening port era to 1910s. Focusing on how shinto shrines transformed after the annexation of Korea, this study also analyzes influence on Korean society. To clarify the actual situation, two cases are examined. During the opening port era, a shinto shrine in settlement was a place to pray private wishes. As settler’s population increases, shrines dedicated to Amaterasu increased gradually. Amaterasu became a symbolic presence among Japanese settlers from diverse region. During the early period, private wishes and nationalistic intentions coexisted in shrine. After the annexation of Korea, national shinto regime spread widely in colonial Korea. Rules to regulate shinto shrine and buddhist temple established in 1915. In this process, the Japanese Government-General of Korea put emphasis on financial conditions to maintain dignity of shrines. As a result, Korean were forced to join up as worshipper(Ujiko) and contribute to the operating costs. To examine the actual construction process, this article analyzes two cases of Incheon and Suwon. These cases present two types of shrine which are reorganized shrine and newly constructed shrine after the establishment of the rules. Through case studies, the transplantation of national shinto regime to colonial Chosen is confirmed. In this period, roles of shinto shrines changed. Shrine is not only a place of belief and relaxation but also a symbol of settler’s unification. And shinto shrines were expected to play a role in edification and assimilation of ‘uncivilized’ koreans. Therefore, shinto shrines built by Japanese settlers gradually transformed to fulfill the roles. 이 논문은 일본인 거류민들에 의해 건립된 신사가 ‘한국병합’ 전후 변모하는 과정을 조선인 사회를 포함한 지역 사회와의 연관성 속에서 고찰한 것이다. 분석을 위해 거류지 형태별로 창건 형태를 유형화하고 두 가지 사례를 들어 살펴보았다. 개항 초기 거류지에는 소규모의 사당이 설치되었는데 대부분 해양 안전과 사업 번창을 기원하는 거류민들의 사적 기원의 장소였다. 그 후 거류민 인구가 증가하면서 다양한 출신자로 구성된 거류민 사회를 아우르는 상징적 존재로 황조신(皇祖神) 아마테라스 오미카미를 모시는 신사가 각지에 건립되었다. 이들 신사는 대개 이세신궁을 요배한다는 의미에서 대신궁으로 이름지어졌다. 개항기부터 ‘한국병합’ 시기까지 거류민 신사는 사(私)적인 신앙과 공(公)적인 국민의식이 공존하는 공간이었다. ‘한국병합’을 거치면서 아마테라스를 모시는 신사를 중심으로 하는 ‘국가신도’ 체제가 식민지 조선에 이식되었다. 여기에 1915년에 ‘신사사원규칙’이 제정되면서 신사(神社)와 작은 사당(神祠)을 관리・감독하는 제도적 장치가 만들어졌다. 총독부는 인가 과정에서 신사의 존엄 유지를 강조했고 이를 위해 재정 확보를 중요시했다. 이 영향으로 신사의 유지・경영를 위해 조선인을 우지코(氏子)로 포섭하고 갹출금을 부담시키는 방식이 취해지기도 했다. ‘신사사원규칙’ 후 창건한 거류민 신사는 두 가지 유형으로 분류된다. 개항장 및 개시장에 건립된 기존의 거류민 신사가 개편되는 유형과 신사가 새롭게 창건되는 유형이 바로 그것이다. 전자인 인천신사 사례를 통해서는 국가적 기능이 강하게 요구되면서 기존의 세속적 기원의 사당이 말사와 섭사로 정리 개편되는 과정이 확인되었다. 후자인 수원신사 사례를 통해서는 국유지를 무상으로 사용하는 형태로 이루어진 신사 창건 과정과 신사비 징수를 둘러싼 민족 간 갈등이 확인되었다. 거류민 창건 신사의 변모 과정을 살펴보면서 눈길을 끄는 것은 신사에 부여된 기능의 변화다. 이전 거류민 신사가 지닌 사적인 신앙과 위안의 장소라는 기능에 더하여 거류민 사회의 통합이라는 기능이 설정되는 모습을 확인할 수 있다. 여기에 ‘한국병합’을 거치면서 조선인 사회를 교화하는 시설로 신사를 규정하는 관점이 더해졌다. 거류민 창건 신사는 본국의 ‘국가신도’ 체제에 순응하면서 이와 동시에 이민족에 대한 포섭과 ‘동화(同化)’의 공간이란 기대에 부응하는 형태로 변모해갔던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