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최근 고고학적 성과로 본 익산토성의 성격

        이문형 전북사학회 2023 전북사학 Vol.- No.68

        익산토성은 오금산 줄기의 정상부(해발 125m)에 축조된 포곡식 산성이다. 익산토성은 일명 ‘오금산성(五金山城)’ 또는 ‘보덕성(報德城)’으로도 불린다. 익산토성은 지금까지의 발굴조사 성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①익산토성은 석축성이다. ②기존 알려진 남문지는 새롭게 확인된 서문지(폐쇄)로 볼 때 통일신라시대에 개축된 것이다. ③익산토성은 북성벽(외성벽) 하부에서 확인된 주공열과 기존에 조사된 남문지 서측 판축토루 등을 종합해 볼 때 토성일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④익산토성의 남동모서리(Ⅲ-2구역)에서 기존 성벽과 다른 축조 방법과 석재 등으로 보아 백제시대 익산토성의 평면 형태는 지금과 다른 모습일 가능성이 있다. 익산토성에서는 출토된 유물 대부분이 백제시대 유물이 차지하고 있다. 특히, 익산토성의 성격을 파악할 수 있는 유물로 「北舍」銘 토기편과 「首府」銘 인장와를 대표적으로 들 수 있다. 지금까지 「북사」명 토기편과 「수부」명 인장와는 부여와 익산 지역에 한정되어 왕실 관련 유적에서만 출토되고 있다. 익산토성은 금마 지역의 이원적 방어체계 내에서 왕궁과 미륵사의 중간 연결선상에 위치하고 있는 것으로 보아 익산 왕궁의 피난성으로 해석된다. Iksan Earthen Fortress is a mountain fortress of Pogok type (包谷式) built at the top of Ogeumsan Mountain range (125m above sea level). It is also called ‘Ogeumsan Mountain Fortress (五金山城)’ or ‘Bodeokseong Fortress (報德城)’. The excavation results of Iksan Earthen Fortress so far may be summed up as follows: ①Iksan Mountain Fortress is a stone-built castle. ②The south gate (南門址) which was already discovered seems to have been reconstructed during the Unified Silla Period, judging from the newly confirmed site of west gate (西門址) (closed). ③Considering the row of pillar holes found in the lower part of the northern wall (outer wall) of Iksan Earthen Fortress and the existing investigation of the stamped earthwork mound on the west side of the south gate, the possibility that it must be an earthen fortress cannot be ruled out. ④Judging from the construction method and stone materials used in the southeastern corner (section III-2) of the Iksan Earthen Fortress which are different from existing walls, it is possible that the planar shape of Iksan Earthen Fortress during the Baekje period was different from the present one. Most of the artifacts excavated from Iksan Earthen Fortress are from the Baekje period. In particular, the pottery with inscription of ‘Buksa(北舍)’ and roof tiles with stamped letters ‘Subu(首府)’ are the representative relics that display very well the character of Iksan Earthen Fortress. So far, such relics have been excavated only in the royal family-related ruins, limited to Buyeo and Iksan. Considering that Iksan Earthen Fortress is located on the midway link between the royal palace and Mireuksa Temple within the dualistic defense system of the Geumma area, it is interpreted as a refugee castle of the Iksan royal palace.

      • KCI등재

        시뮬레이션을 이용한 능동형 RFID 시스템의 소비 전력 예측

        이문형,이현교,임경희,이강원,Lee, Moon-Hyoung,Lee, Hyun-Kyo,Lim, Kyoung-Hee,Lee, Kang-Won 한국정보통신학회 2016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Vol.20 No.8

        2.4 GHz 능동형 RFID가 보다 활성화되기 위해 개선되어야 할 요인 중 하나는 배터리 수명 문제다. 그러나 현재 까지 소비 전력 예측을 위한 정확한 모델이 존재하지 않는다. 본 연구에서는 태그의 전력 소비를 정확하게 예측 할 수 있는 시뮬레이션 모델을 개발하였다. 충돌 제어와 query 명령어 사용 방법에 따라 6개의 시뮬레이션 모델을 제안 하였다. 예측 정확도를 높이기 위하여 태그의 작동 모드를 몇 개로 분류하고 그에 따른 전력 소비와 작동 시간을 조사하였다. 태그 수집과 응답 확인 과정을 간소화 하는 Query command 명령 방법과 최근에 제안된 충돌 제어 알고리즘을 본 시뮬레이션 모델에 사용하였다. 소비 전력 이외에도 시스템 효율과 다중 태그의 인식 시간, 그리고 인식률과 같은 성능 지표를 구하여 기존의 ISO/IEC 18000-7 시스템과 비교하였다. For the 2.4 GHz active RFID to be successful in the market, one of the requirements is the increased battery life. However, currently we do not have any accurate power consumption estimation method. In this study we develop a simulation model, which can be used to estimate power consumption of tag accurately. Six different simulation models are proposed depending on collision algorithm and query command method. To improve estimation accuracy, we classify tag operating modes as the wake-up receive, UHF receive, sleep timer, tag response, and sleep modes. Power consumption and operating time are identified according to the tag operating mode. Query command for simplifying collection and ack command procedure and newly developed collision control algorithm are used in the simulation. Other performance measures such as throughput, recognition time for multi-tags, tag recognition rate including power consumption are compared with those from the current standard ISO/IEC 18000-7.

      • KCI등재

        淸州 松節洞 多重溝狀遺構 性格의 試論

        李文炯 중앙문화재연구원 2008 중앙고고연구 Vol.0 No.4

        청주 송절동과 봉명동지역 일대는 無心川邊으로 충적평야와 낮은 구릉성 산지가 형성되어 있어 선사시대에서 역사시대의 많은 유적이 분포하고 있는 지역이다. 특히 원삼국~백제시대에 이르는 대규모 매장유적이 보고된 지역으로 봉명동유적(Ⅳ지구)의 대규모 토광묘는 원삼국시대의 표식적인 유적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이 분묘를 조성한 집단과 직접적으로 연관되는 생활유적은 확인되지 않았으며, 일부 한정된 지역에서 구상유구가 확인된 바 있다. 그러나 최근 연접한 송절동지역 일대에서 기존 봉명동유적(Ⅳ지구)에서 보고된 다중구상유구와 연결되는 것으로 추정되는 구상유구가 조사되었다. 보고된 유적을 중심으로 다중구상유구의 범위를 추정해보면 명심산에서 분기한 북쪽 능선을 따라 봉명동-송절동지역까지 연결된 하나의 단일 유구로 판단된다. 송절동 다중구상유구는 능선의 방향을 따라 ‘―’자상의 선상 배치로 3중으로 축조되었으며, 방어적인 기능을 담당했던 것으로 추정된다. 축조시기는 중복된 유구를 토대로 청동기시대 이후에 축조되어 원삼국~백제시대 이전 혹은 거의 동시기에 폐기된 것으로 보이며, 내부에서 소토 등이 공통적으로 확인되는 것으로 보아 의도적인 폐기로 판단된다. 이러한 다중구상유구의 폐기는 송절동 일대의 주거집단 간의 통합에 따른 방어 기능의 상실을 의미하는 것이며, 나아가 통합에 따른 생활공간의 확대를 의미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결국 송절동일대 지역은 백제의 본격적인 세력확장과 더불어 기존 지역 주거 집단의 통합과정을 보여주는 자료로 판단된다. A number of archaeological sites dated to prehistoric and historic periods have been reported in the Songjeol-dong and Bongmyeong-dong in Cheongju where alluvial plains and low hills are developedalong the Musim River Valley. In particular, many burials dated to Proto-Three Kingdoms and Baekje periods have been unearthed at Bongmyeong site (District IV), and large pit burials at this site have been regarded as typical ones of the Proto Three Kingdoms Period. Up to now, however, residential sites directly related to the population to construct these burials are not been discovered except a few ditches. Recently, a ditch was found at Songjeol-dong near the Bongmyeong-dong site, and there is quite a possibility that the ditch at Songjeol-dong can be connected to a multi-connected ditch previously found at the Bongmyeong-dong site. According to inference for the range of the multi-connected ditch based on available data, the ditch can be a single feature connected from Bongmyeong-dong to Songjeol-dong along a northern ridge branched from Mt. Myeongsim. According to writer’s interpretation, the multi-connected ditch might be trebly constructed in linear pattern along the direction of the ridge as a defense facility. Based on overlapped features with this ditch, this ditch is considered to be constructed not earlier than Bronze Age and destroyed at one time period between Proto Three Kingdomsand Baekje periods gradually or simultaneously. Fired clay found inside the ditch may imply intentional abandonment. The intentional abandonment of the ditch may also suggest that unificationof residential groups around Songjeol-dong made the function of defense unnecessary and that the unification asked to extend residential space. In conclusion, the ditch around Songjeol-dong may be archaeological data to suggest political expansion of the Baekjealong with unification process of preexisting groups in the region.

      • 파생상품시장의 투자심리와 주식수익률 예측에 관한 연구

        이문형,윤선중 한국재무학회 2017 한국재무학회 학술대회 Vol.2017 No.05

        본고는 개인투자자들이 활발하게 거래하는 KOSPI200 파생상품시장(선물 및 옵션) 의 긍정적 거래량과 부정적 거래량 정보를 이용해 투자자 심리를 측정하고, 이러한 정 보가 KOSPI 지수의 월간 수익률을 예측할 수 있는지 검증한다. 또한 추정된 파생시장 심리지수가 공포지수로 불리는 변동성지수 및 한국은행이 발표하는 소비자 심리지수 와 가지는 관련성을 VAR 분석을 이용해 확인한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이 요약된다. 첫째, 선물시장의 심리지수와 옵션시장의 심리 지수는 모두 1개월에서 높은 예측력을 보여주었다. 계수의 부호는 부의 값으로 투자자 심리에 의한 수익률의 과도반응현상을 강하게 지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1개월 이상의 전망기간에서 투자심리지수는 유의성을 잃는 것으로 나타나 투자심리지수의 일반 특성과 일치함을 확인하였다. 둘째, VAR분석 결과, 공포지수로 불리는 변동성지 수(VKOSPI) 및 소비자심리지수는 파생거래 심리지수와 독립적 정보를 보유하고 있었 으며, 파생시장 심리지수에 비해 투자심리 측정에 열등한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 로, 금융위기 전후의 분석에서는 금융위기 전에는 선물시장 투자심리가 주식수익률의 예측력이 컸으나, 금융위기 이후에는 옵션시장 투자심리 만이 예측력을 보유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고창 봉덕리1호분 출토 금동신발의 제작방법과 문양-4호석실 출토품을 중심으로-

        이문형,유수화 원광대학교 마한백제문화연구소 2015 馬韓, 百濟文化 Vol.25 No.-

        Methods and Patterns Used in Making Gilt-bronze Shoes Excavated from the Tomb No. 1 in Bongdeok-ri, Gochang - With a focus on the articles unearthed from the stone chamber No. 4 - Munhyeong Lee·Suhwa Yoo Mahan-Baekje Cultural Research Institute Wonkwang University The present study deals with the outcomes of the first examination of the gilt-bronze shoes which were excavated from the stone chamber No. 4 of the tomb No. 1 in Bongdeok-ri, Gochang and were finally treated for conservation lately. The tomb No. 1 in Bongdeok-ri, Gochang is a large-sized mounded burial with encircling ditch measuring approximately 70 m from east to west, 52 m from south to north and 8 m in height. Inside the tomb were found a total of 7 burial fittings including 5 stone chambers and 2 earthenware coffins. The gilt-bronze shoes discovered at the feet of the stone chamber No. 4 turned out to be the best preserved with the most gorgeous patterns among all those of the Baekje Kingdom that have ever been excavated. The gilt-bronze shoes excavated from the stone chamber No. 4 differ mostly from other ones that have been excavated so far in that they were made of 4 gilt-bronze sheets in total after the sheets in both sides and bottom were bonded together and another one was added to the upper rim (or strip) of them. Besides, their patterns are also very realistic and three-dimensional since patterns of twin birds, phoenix, dragon, birds with human face, etc. within the reflected hexagons are applied in both sides and patterns of devil mask, dragon, history, etc. are marked in the bottom of them by means of stamping technique. With overall techniques used in making gilt-bronze shoes and division and arrangement of their patterns considered, it may be concluded that the shoes are very similar and duly comparable to those unearthed from the Singnichong tombs in Gyeongju. 본고는 최근에 보존처리가 완료된 고창 봉덕리1호분 4호석실에서 출토된 금동신발의 1차적인 관찰 결과이다. 고창 봉덕리1호분은 최대 길이 동-서 약 70m, 남-북 약 52m, 높이 약 8m에 이르는 주구를 가진 대형 분구묘로 내부에서 석실5기, 옹관2기 등 모두 7기의 매장시설이 확인되었다. 처녀분인 4호석실의 피장자의 발치에서 출토된 금동신발은 현재까지 출토된 백제 금동신발 가운데 보존상태가 양호하며 그 문양에 있어서도 가장 화려한 것으로 평가받고 있다. 4호석실의 금동신발은 기존 출토된 백제 금동신발과 달리 양측판과 바닥판을 결합하여 결구한 이후에 추가적으로 1매(목깃)의 금동판을 추가적으로 상연에 부착하여 총 4매로 제작되어진 점이 가장 큰 차이점이다. 또한 문양에 있어서도 투조된 육각형문 내부에 쌍조․봉황․용․인면조신 등을 양측판에, 바닥판에는 귀면․용․역사 등을 조금기법을 이용하여 아주 사실적이면서도 입체감 있게 표현하였다. 금동신발의 전체적인 제작기법과 문양대의 구획, 문양의 배치 등에 있어 경주 식리총에서 출토된 금동신발과 매우 유사하여 상호 비교할 수 있는 자료로 평가된다.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