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지방자치단체의 유연근무제 시행 효과에 관한 실증적 연구 : 춘천시청 중심으로

        황순옥 연세대학교 정경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7631

        이 연구의 목적은 조직의 생산성 향상과 공무원의 사기앙양을 위해 2010년부터 공공부문에 적용 시행하고 있는 유연근무제(Flex-working)에 관하여 지방자치단체 중심의 유연근무 활용실태를 알아보고 분석 결과를 통하여 유연근무제 시행 효과와 공무원 개인 및 조직에 나타나는 성과를 밝히는 데 있다. 최근 저출산?고령화 사회의 가속화 현상과 여성공무원의 급속한 증가는 일과 가정 양립을 위해 균형 있는 삶을 지원하도록 하는 정부정책의 시행과제가 매우 중요시되고 있다. 그동안 한국의 공직문화는 목표달성을 위한 자원의 집중투자와 과도한 시간을 업무에 투입하는 패러다임으로 발전하였다. 성과관리 중심의 업무수행과 개인의 역량계발 등은 조직발전에 연계하여 앞으로도 똑똑하게 일하고(smart working) 가족 친화적인 조직문화와 가족생활에 기여하는 방향으로 전개될 것이다. 이러한 관점에서 유연근무는 개인과 조직 환경에 맞는 근무형태를 선택하도록 하여 시간의 집중관리와 업무효율의 극대화를 위한 방안으로 제도의 활성화를 도모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유연근무의 시행 효과가 개인은 물론 조직에 미치는 영향이 어떻게 나타나는지를 분석하기 위해 연구모형과 설문조사를 설계하였다. 유연근무의 인식도, 기대효과, 만족도, 예상하는 문제점, 조직변화의 요인, 문제 제기를 위한 개방형 질문으로 설문지를 구성하였다. 설문은 춘천시 공무원 680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분석에 유효한 설문지 407개가 회수되어 본 연구의 목적달성을 위한 분석 자료가 마련되었다. 분석은 SPSS ver. 18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평균값 분석, 집단 간 차이분석, 회귀분석 등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유연근무 인지도는 대체로 잘 알고 있는 것으로 파악되었으며 유연근무제 시행 효과가 가장 높게 나타난 것은 가족생활에 기여할 것이라는 개인 만족도로 조직 발전의 기여보다는 개인의 삶의 질 향상에 밀접한 영향을 주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가족 중심적 사회구조가 반영되어 나타나는 결과라고 볼 수 있다. 조직이나 직무에 관한 만족도나 효능감이 남성에게서 높게 나타난 것은 아직 공무원 조직에 남성의 비율이 높고 남성중심의 조직구조가 갖는 특성에 기인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하지만 여성공무원의 급증과 자기계발을 통한 역량 강화는 조직의 기여도와 일과 가정생활의 양립이 가능하도록 하는 데 있어 성별 차이가 상당히 좁혀져 양성화 현상이 나타나고 있다. 행정서비스 향상의 극대화를 위하여 대민업무의 종합행정을 실천하고 있는 지방자치단체의 유연근무는 활용비율이 저조하고 기대효과보다 실효성이 미약한 상태로 체감하고 있으며 유연근무 활성화를 촉진하기 위한 과정으로 초기 단계 수준인 것으로 나타났다. 조직의 관점에서는 업무효율 증대를 목표로 하고 있으나 개인의 관점에서는 가족생활의 기여와 자기계발을 목표로 유연근무제를 활용하고 있다. 설문결과를 토대로 다양한 분석을 통하여 유연근무제 시행 효과와 개인성과 및 업무성과와의 인과관계를 보다 명확하게 도출할 수 있었다. 즉 유연근무 시행 효과는 심리적인 기대만을 가지고 참여하는 것보다 제도를 적극 활용하여 실질적으로 얼마나 충실하게 이행하였는가에 따라 업무성과가 높게 나타나고 이러한 업무성과는 개인 만족도에도 큰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유연근무의 활성화를 저해하는 행정업무의 공백과 직원 간의 피해 우려 등과 같은 심리적 부작용 해소 방안으로 이용자의 참여 동기와 가치를 인정해주는 배려, 가족 친화적인 팀워크가 가장 필요할 것이며 이는 경직된 조직을 유연한 조직으로 만드는 데 무엇보다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 된다. 유연 근무형태의 활용범위 확대와 자율성 부여, 적극적인 집행기관의 재정지원과 기관장의 시행의지는 개인 맞춤형 근무형태를 자유롭게 선택하도록 보장해 주는 것이며 유연근무의 실질적 활용가치를 높여 주는 결과로 나타날 수 있다. 유연한 근무방식은 공무원 조직에 많은 변화를 가져올 것이며 효율적인 시간 배분의 집중업무는 조직 및 직무의 효능감과 개인의 만족도를 높여 시민과 더불어 행복해 질 수 있도록 지역사회발전에 공헌할 것으로 보인다. 지방자치단체에서의 유연근무제도는 개인의 특성과 직무의 성격, 지역주민의 정서 등을 고려하여 유연근무제도를 발전시킬 필요가 있다. 또한, 유연한 조직문화와 지역사회의 발전을 형성하는 중요한 요인 발굴을 위하여 제도 활용현황의 심층적 분석을 통한 지속적인 연구는 향후 정부가 새로운 환경에 적응하고 조직의 성과를 높이는데 기여할 것이다.

      • '이야기 글' 독서 감상 지도에 관한 연구

        黃順玉 부산교육대학교 2000 국내석사

        RANK : 247631

        文學이란 인간의 삶을 理解하고, 진실을 추구하기 위한 인간 노력의 發顯으로, 아동들은 문학 작품을 통하여 인생을 배우고 지혜를 획득하여 생활의방법을 깨우치게 된다. 이 연구에서는 '이야기 글'의 독서 감상 교육을 보다 효율적으로 하기 위하여 이야기 글 의 특성과 읽기 요소를 살펴보고, '이야기 글' 독서 감상 교수 학습의 원리를 기초로 하여 초등학교 교과서 '이야기 글' 교재의 분석 및 적용 방안을 알아본 후, '이야기 글' 독서 감상 교육의 실제적 지도 방안을 모색하는데 그 목적을 두었다. 1. Ⅱ장에서는 '이야기 글'의 개념과 특성을 동화와 아동소설로 나누어 문헌을 참고하여 살펴봄으로써 본 연구의 이론적 토대를 구축하였다. 아동문학 속의 동화는 우화, 전래동화, 창작동화, 외국동화를 포함한 敍事樣式의 글로 동심을 바탕으로 한 미분적 상상의 세계 또는 팬터지와 리얼리티를 조화시킨 세계를 시적 산문으로 꾸며 쓴 이야기라고 할 수 있다. 또한 동화는 미래지향적 내용과 勸善懲惡을 보편적으로 수용하여 眞·善·美의 가치를 內在化하고 아동의 사고력과 창의력을 伸張시키며 社會化를 촉진시키는 특성을 지닌다. 아동소설은 복잡한 현실 세계를 이해할 수 있고, 敍事構造를 수용할 수 있을 만큼의 사고력이 伸張된 4학년 이상 정도의 아동을 이야기 대상으로 삼으며, 내용면에는 현실적 아동 생활을 소재로 하고 있다. 아동소설은 리얼리즘을 바탕으로 하기 때문에 주인공의 행동이나 성격의 표현은 객관적이고 寫實的이며 필연적인 인과관계를 드러내고 있다. 따라서 '이야기 글'은 독서감상력과 독서 태도를 기르기에 가장 알맞은 읽기 교재이다. 2. Ⅲ장에서는 '이야기 글 '독서 감상 교수 학습의 원리와 방법을 알아보기 위해 읽기의 본질과 '이야기 글' 독서 감상 지도 원리, 독서의 과정 및 독서의 원리를 문헌을 통해 살펴본 후 '이야기 글 '독서 감상 수업 계획을 세워보았다. 읽기 교육은 '읽기 준비-해독-이해하기-독립적 읽기'의 단계를 포괄하는 것으로, 아동의 발달 단계에 알맞은 과정을 적용하여 궁극적으로는 통합적 지도를 시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독서는 독자가 의미를 재구성하는 과정이다. 읽기 교육의 마지막 목표는 글을 읽고 이해하는 방법에 대한 초인지를 갖는 것이다. '이야기 글' 독서 감상 지도 원리는 인지적 요소와 정의적 요소가 어우러져 아동들에게 스며들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지식, 이해, 적용에 기초하여 감수, 반응, 가치화, 조직화의 단계를 거치도록 지도해야 한다. 이런 관점에서 아동 심리와 발달 단계에 맞는 독서의 과정 및 독서의 원리, 국어과 교육과정 학년별 내용체계의 '읽기'와 '문학' 영역을 살펴보았고, 독서 감상 활동에 융통성 있게 활용할 수 있는 문학교육의 여러 활동들을 알아보았다. '이야기 글' 감상 수업은 비고츠키(Vygotsky)의 근접발달 영역 내에서 이루어져야한다. 따라서 노명환이 제시한 '읽기'의 과정을 근거로 '독서력' 향상을 위한 읽기 학습지도 과정을 구안하고 문학의 반응 양식인 감수, 반응, 가치화, 내면화를 꾀하는 동화 감상 수업 모형을 구안해 보았다. 3. Ⅳ장에서는 교과서 수록 동화 작품 199편을 대상으로 갈래별, 영역별, 제시 유형별, 소재 유형별, 주제별, 독서 감상 내용 요소별로 수록 실태를 분석하였다. 이 같은 작업을 통하여 학년별 및 단원별로 '이야기 글' 독서 감상 지도를 할 때 일관성과 체계성을 유지하게 하여 각각의 '이야기 글' 에 적합한 수업 모형을 적용할 수 있도록 하였다. 4. Ⅴ장에서는 Ⅳ에서 분석한 갈래별, 영역별, 제시 유형별, 소재 유형별, 주제별, 독서 감상 내용 요소별로 수록 실태 분석에 따른 적용 방안을 나름대로 제시하였으며, 이야기 글 독서 감상 교육의 실제 지도 방법을 줄거리 중심의 독서 감상 교육, 구성 파악중심의 독서 감상 교육, 성격 파악 중심의 독서 감상 교육 등을 지도적 입장에서 프로그램화하였다. 이는 종래의 독서감상 지도의 획일화 및 단순화를 극복하여 다양한 학습 모형을 제시할 수 있도록 한데 그 의의가 있다. 요컨데 '이야기 글'의 독서 감상 능력을 기르기 위한 구체적 방법은 다음과 같다. 첫째, 학년의 독서 능력 발달 단계, 독서 심리, 독서 흥미의 발달 단계를 충분히 고려해야 한다. 둘째, 교육 과정에 명시된 독서 관련 학습 내용을 파악하고 바른 독서 습관과 태도를 기르도록 해야 한다. 셋째, 학년별 독서 지도의 목표에 따라 읽기 요소를 분석하여 학습 활동에 적용해야 한다. 이를 위하여 읽기 와 문학 영역의 내용 체계 및 '읽기'와 '문학' 영역의 지도 내용에 근거한 읽기 학습 지도 과정을 구안한다. 넷째, 교수-학습 지도 시에는 학생과 상호 작용하면서 학습 효과를 높이기 위해 '근접발달 영역'에 포착하여 지도해야 하고 인지적 요소에 기초한 정의적 요소 즉 감수, 반응, 가치화, 내면화의 단계를 거치도록 지도해야 한다. 또 학생의 읽기 능력을 변화시켜 독서력을 기르기 위해서는 초인지 능력 기능을 길러 주어야 하고, 학생이 독자적으로 해결할 수 없는 문제를 교사의 협조하에 모음원들과 함께 해결할 수 있도록 해야하고, 교사는 아동들이 그러한 경험을 다양하게 하도록 독서 감상을 할 수 있는 학습의 장을 제공해야 한다. 앞으로 이야기 글 독서 감상력 향상을 위해 학생의 초인지 능력 기능을 길러 주기 위한 구체적인 방안이 계속 연구되어야 할 것이다. Literature is a man's effort to understand life and pursue truth. Children learn life, acquire wisdom and realize ways of living from literatu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look for ways of instructing the reading and appreciation of 'narrative story' by investigating characteristics and reading elements of 'narrative story' to make the instruction of reading and appreciating 'such story' more effective and analyzing the text of 'narrative story'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and its applications principles of teaching and learning the reading and appreciation. 1. In Chapter II, the concept and characteristics of 'narrative story' were investigated with reference to literature after such story had been classified into fairy tale and children's novel, building up a theoretical basis for this study. Fairy tales include fables and traditional, creative and foreign fairy tales. With narrative forms, they are poetic prose writings about a differentiated imaginary world or a world of harmony between fantasy and reality. They also internalize the values of truth, goodness and beauty by generally accepting future-orientation and virtue promotion and vice reproval as contents, raise children's thinking and creative power and promote children's socialization. Children's novels are applied to children of 4th grade or above whose thinking power has been raised enough to understand a complicated real world and accept a narrative structure, and use children's real life as their material. Since they are based on realism, children's novels express character's behaviors or personality objectively and realistically under the inevitable relation of cause and effect. Thus 'narrative story' is the text of reading as best suitable for improving appreciating power and reading attitudes. 2. In Chapter III, the essence of reading, the principle of instructing the reading and appreciation of 'narrative story' and the process and principle of reading were investigated to determine principles of teaching and learning the reading and appreciation of 'narrative story', and then a plan of classes for the story appreciation was established. Reading education includes stages of reading preparation, interpretation, comprehension and independent reading. Those stages should be applied according to children's developmental level and ultimately provided synthetically. Reading is a process that a reader reconstruct meanings. The final purpose of reading education is to make readers have a super-recognition about how to read and understand. In principle, the reading and appreciation of 'narrative story' should be instructed in ways that it allows children to go through stages of reception, response, valuation and organization in order to penetrate recognitive and definitive elements together into those children. In this sense, the process and principle of reading as suitable for psychological and developmental levels of children and aspects of reading and literature as contained in the curriculum of Korean language course for each grade were examined. Classes for 'narrative story' appreciation should be within 'the proximity development area' suggested by Vygotsky. Thus based on 'the process of reading' provided by Myung Hwan Roh, the procedure of reading instruction was designed to improve the power of reading and a class model of fairy tale appreciation was done so to promote reception, response, valuation and internalization as forms of reaction to literature. 3. In Chapter IV, 199 pieces of fairy tales contained in the text were analyzed according to their classification, area, type, material, subject and appreciative element. The analysis maintained the consistency and system of instructing the reading and appreciation of 'narrative story' for each grade which are required to apply a suitable class model to the story. 4. In Chapter V, ways of the instruction were offered in the researcher's own way according to findings of the analysis in Chapter IV. A realistic way of the instruction was programmed focusing on education of reading and appreciation which emphasizes plot, construction understanding and quality understanding, respectively. This is very significant in that the unification and simplification of the existing instruction were overcome to make it possible to provide various learning models. In summary, ways of increasing the ability to read and appreciate 'narrative story' are as follows. First, the developmental level of reading ability for each grade, reading psychology and the development level of interest in reading should considered enough. Second, content s in relation to reading contained in the curriculum should be found out to help raise the habit and attitude of reading. Third, reading elements are analyzed according to each grade's purpose of reading instruction and then applied to learning activities. For the analysis, the procedure of reading instruction is designed based on existing contents and instructions of 'reading' and 'literature'. And fourth, teaching and learning the reading and appreciation of 'narrative story' should be implemented within 'the proximity development area' to raise learning effect s through interactions with students. The implementation should be also made to allow students to go through stages of reception, response, valuation and internalization as definitive element s based on recognitive ones. Changing students' reading ability to increase their reading power requires raising their super-recognition ability. Problems which cannot be solved by student s for themselves should be dealt together with peer members under teachers' support. Teachers should provide various opportunities for students to experience reading and appreciation. In future, further studies are needed to develop effective ways of raising students' super-recognition ability and improving their power of reading and appreciation of 'narrative story'.

      • 연령단계별 강간통념과 인지왜곡이 청소년들의 성비행에 미치는 영향

        황순옥 경기대학교 일반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논문의 주요 목적은 청소년들을 대상으로 학년(연령)별 강간통념과 인지왜곡이 청소년들의 성비행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기 위한 것이다. 청소년의 인지왜곡, 자아존중감, 일반비행, 강간통념의 일반적 경향에 대해 살펴보고 청소년의 학년(연령)과 인지왜곡, 자아존중감이 강간통념에 미치는 영향력을 확인하기 위해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또한 연구설계된 청소년의 학년(연령)이 인지왜곡, 강간통념과 자아존중감을 거쳐 최종 종속변인인 성비행에 미치는 영향력 검증을 위해 구조방정식 경로모형 분석을 실시하였다. 이를 위해 안양시 소재 초등학교 5․6학년, 중학교 1․2․3학년, 고등학교 1․2학년생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최종적으로 299부의 자료를 분석하였다. 강간통념을 측정하기 위해 Burt(1980)가 개발한 척도를 토대로 이석재(1999)가 개발한 강간통념 척도를 사용하였다. 인지왜곡을 측정하기 위해서 전복기(1989)가 사용한 인지왜곡 척도를 사용하였으며, 자아존중감을 측정하기 위해 Rosenberg(1965)가 개발한 자아존중감 척도를 이훈진과 원호택(1995)이 번안한 한국판 척도를 사용하였다. 일반비행 측정은 곽금주 등(1993)의 연구에서 사용한 척도를 수정하여 유재훈(2000)이 사용한 비행 척도를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18.0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분석의 목적에 따라 t-test, 일원분산분석, 상관분석,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최종 종속 변인인 성비행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기 위해 구조방정식 경로모형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로 청소년의 성별에 따른 강간통념의 변화는 유의미한 영향을 보이지 않았으나, 학년(연령)에 따른 인지왜곡, 일반비행, 강간통념의 차이 분석에는 정적인 유의미한 영향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중학교 1학년에서 2학년으로 올라가는 단계부터 인지왜곡, 강간통념 점수가 증가하는 것으로 분석되었고, 중학교 2학년부터 점차 인지왜곡과 강간통념의 수준이 사회적 통념으로 변화하는 지점으로 분석결과 나타났다. 인지왜곡 하위 요인 중 다른 사람을 비난하기, 축소화 잘못명명하기는 강간통념의 변인인 여성의 행동에 대한 오해와 성폭행 피해의 책임귀인으로 이어지는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둘째로 청소년의 학년(연령)이 인지왜곡, 강간통념과 자아존중감을 거쳐 최종 종속 변인인 성비행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구조방정식 경로모형을 분석한 결과, 인지왜곡과 강간통념은 성비행에 유의한 영향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그러나 자아존중감은 성비행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중심으로 논의와 후속 연구에 대한 제안점 등을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effects of rape myths and cognitive distortion on juvenile sex offenses by age and/or grade. To this end, teenager’s views regarding cognitive distortion, self-esteem, delinquent behavior, and rape myths were explored. Then, the influence of respondents’ age, cognitive distortion, and self-esteem on rape myths was examined through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effects of the age/grade variable on the dependent variable sex offense mediating cognitive distortion, rape myths, and self-esteem were examined through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using path analysis. Surveys were distributed to 5th and 6th graders, to middle school students and to students in the first two years of high schools located in the city of Anyang. For the analysis, 299 responses were used. The Rape Myth Acceptance Scale developed by Lee Seokjae (1999), based on the RMA scale by Burt (1980), was used in order to measure the subjects’ rape myth acceptance. The Cognitive Distortion Scales that Jun Bokgi (1989) used were employed to assess cognitive distortion. Self-esteem was measured by the Rosenberg self-esteem scale developed by Rosenberg (1965) which was translated into Korean by Lee Hoonjin and Won Hotaek (1995). Delinquent behavior was measured by scales that Yoo Jaehoon (2000) used, which is his modification of the scales that Kwak et al. (1993) used in their study. The data compiled was analyzed using SPSS 18.0 through t-tests, one-way ANOVA, correlation analysis,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nd path analysis. There were several significant results that follow. First, rape myths did not have a significant difference by gender, though cognitive distortion, delinquent behavior, and rape myths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by age/grade. In particular, it was shown that the scores on cognitive distortion and rape myths began to increase from the 1st grade of middle school. The scores from the 2nd grade of middle school on reached the level of adults on cognitive distortion and rape myths. Blaming others, minimization, and mislabeling for cognitive distortion were correlated with misinterpreted women’s behavior and attributions of responsibility for rape myths. With regard to delinquent behavior, in appropriate attire and hairstyle were significantly related to rape myths. Second, the model fit was satisfactory overall in the path analysis. Age and/or grade had an impact on sex offenses and mediated cognitive distortion, rape myths, and self-esteem. In particular, cognitive distortion and rape myths had significant effects on sex offenses. However, as in the results of th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self-esteem did not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sex offenses. Discussions were made based on the results of the analysis. Proposals for further study were also suggested.

      • 글루텐 없는 쌀식빵의 개발 및 특성

        황순옥 전남대학교 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631

        쌀 소비를 확대하고 건강에 이로운 쌀가공제품을 개발하기 위하여 밀가루나 글루텐을 첨가하지 않고 쌀가루를 이용한 글루텐 없는 쌀식빵을 제조하고 품질 특성을 조사하였다. 쌀가루는 호평벼를 백미로 도정한 쌀로 수침하고 건조한 다음 분쇄하여 제조하였다. 쌀가루의 최적 입자크기를 결정하기 위해 3종류의 표준체(80 mesh, 120 mesh, 160 mesh)를 통과한 쌀가루로 빵을 제조하여 비교하였을 때 120 mesh를 통과한 쌀가루가 최적임을 확인하였다. 쌀식빵의 기본재료와 배합비는 반죽 특성과 쌀식빵의 관능평가를 통하여 결정하였는데 쌀식빵을 만들 때 배합비는 쌀가루(100), 소금(1.7), 설탕(6), 이스트(3), 탈지분유(4), 올리브유(5), 물(103)의 비율이 적합하였다. 쌀식빵의 제조과정은 각 단계별로 제조조건을 검토하여 반죽과 제품의 품질 특성을 평가하여 결정하였다. 쌀식빵의 구조와 텍스쳐가 밀가루로 만든 식빵과 유사하도록 품질을 개선하기 위해 단백질 가교결합 효소인 트랜스글루타미나제(TG), 가교결합하여 구조 형성에 참여할 유장단백질(WP), 기공의 균질성과 텍스쳐를 개선할 알긴산유도체(AL), 탄성과 촉촉함을 줄 하이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오스(HPMC)를 첨가물질로 선정하였으며 각 첨가물질의 양은 쌀가루 대비 각각 0.02, 1.7, 0.3과 0.07%이었다. 첨가물질은 TG, WP, AL, HPMC 순으로 쌀식빵의 기본배합에 부가적으로 첨가하면서 쌀식빵 반죽과 쌀식빵의 품질 특성을 비교하였고 제조 과정을 확립하였다. 쌀식빵의 기본배합 재료를 3배 계량하여 쌀가루, 소금, 설탕, 탈지분유, 첨가물질을 먼저 혼합하였고 물(290 g)을 넣어 저속 20초, 고속 30초로 혼합하여 1시간 휴지시킨 다음 남은 물에 분산한 이스트와 올리브유를 넣어 혼합하였다. 이 반죽을 30℃ 40% RH에서 25분간 1차 발효하고 식빵팬에 640 g씩 팬닝하여 같은 조건에서 10분간 2차 발효시킨 다음 윗불 210℃, 아랫불 170℃로 50분간 구워 쌀식빵을 완성하였다. 쌀식빵 반죽의 점도는 첨가물질에 따라 달랐으며 TG와 AL을 첨가하면 점도가 증가하였고 색도는 첨가물질에 따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첨가물질이 쌀가루 호화에 대한 영향으로 첨가물질을 더해갈수록 초기 호화온도는 높아졌으며 total setback viscosity는 증가하였다. 쌀식빵을 제조하였을 때 비체적은 TG와 WP를 첨가한 식빵(RB3), TG, WP와 AL을 첨가한 식빵(RB4)이 기본배합비로 만든 식빵(RB1)이나 TG만 넣은 식빵(RB2)보다 훨씬 개선되었다. 식빵의 내부구조로 기공의 균일성과 엉김성을 보았는데 TG, WP를 넣은 RB3의 부피는 개선되었지만 내부 조직이 균일하지 못하였다. TG, WP에 AL을 첨가한 식빵(RB4)은 부피가 가장 개선되었으며 내부구조도 좋아 기공이 균일하고 엉김성이 거의 없었다. 그러나 촉촉함이나 탄성이 낮았는데 RB4에 HPMC를 첨가한 식빵(RB5)은 부피가 감소하였으나 내부구조와 텍스쳐가 가장 좋은 결과를 보였다. 첨가물질의 종류가 많아질수록 탄성, 응집성, 검성, 씹힘성과 리질리언스가 증가하였고 부착성은 감소하였다. 차이조사는 표면의 매끄러움과 껍질의 색, 부피, 기공의 균일성, 이취, 경도, 부착성, 탄성, 씹힘성과 부드러움, 기호도 조사는 외관, 향, 맛, 텍스쳐 및 전체적인 선호도에서 유의적이었다(p<0.05). 글루텐을 첨가하지 않은 쌀가루 100%의 쌀식빵을 제조할 때 쌀가루, 물, 이스트, 설탕, 소금, 탈지분유, 올리브유, TG, WP, AL과 HPMC가 중요한 재료임을 알 수 있었다. 쌀가루와 밀가루는 고유특성이 다르므로 기본배합비로 식빵을 제조하였을 때 유사한 품질을 갖기 어렵지만 TG, WP, AL, HPMC와 같은 효소, 단백질, 검물질을 쌀가루에 대해 1.89% 첨가하였을 때 품질이 개선되어 글루텐 없는 쌀식빵의 개발이 가능하였다.

      • 부모양육태도, 대인간 의사소통, 정서적 지지가 청소년의 비자살적 자해에 미치는 영향

        황순옥 동양대학교 2022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청소년이 지각하는 부모양육태도, 대인간 의사소통, 정서적 지지가 비자살적 자해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 각 변인들이 어떤 상관을 갖고 차이가 발생하는지 알아보고 비자살적 자해 경험 유· 무에 따른 차이가 발생하는지에 대하여 확인 하며, 비자살적 자해 행동예방의 중요한 보호요인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한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구체적인 연구 문제를 다음과 같이 설정하였다. 첫째, 초기 청소년의 비자살적 자해 실태 현황은 어떠한가? 둘째, 비자살적 자해 경험이 없는 청소년과 비자살적 경험이 있는 청소년 간의 부모양육태도, 대인간 의사소통, 정서적 지지가 유의한 차이가 있는가? 셋째, 청소년의 부모양육태도, 대인간 의사소통, 정서적 지지가 비자살적 자해와 어떠한 관련이 있는가? 넷째, 청소년의 부모양육태도, 대인간 의사소통, 정서적 지지가 비자살적 자해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이다. 본 연구는 경북지역의 Y시 소재의 중학교 1∼3학년 남학생, 여학생을 대상으로 2022년 9월 14일부터 2022년 9월 28일까지 2주간 자기보고 응답방식 설문을 실시하여 총401명의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 중 315부를 최종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PC 21.0통계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빈도분석, 기술통계분석, 신뢰도측정, 상관분석, 단순회귀분석, 다중회귀분석과 독립표본 t-검정(test)을 실시하였다. 분석된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전체 315명 중 비자살적 자해 경험이 없다 230명(73%), 비자살적 자해 경험이 있다 85명(27%)으로 나타났다. 비자살적 자해 경험이 있는 응답자 중 자해 행동시 죽고자 하는 의도가 있다고 응답한 학생이 10명(12%), 죽고자 하는 의도가 없다 75명(88%)이며, 이들의 평균 연령은 만13세, 만14세이다. 둘째, 청소년의 부모양육태도, 대인간 의사소통, 정서적 지지는 비자살적 자해와 상관관계가 있으며 각 변인들과 하위요인에 모두 유의미하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비자살적 자해 경험 유·무에 따른 차이에서도 모두 유의미하게 나타났다. 본 연구는 아버지의 긍정적인 부모양육태도가 보호요인으로써 중요한 요인이며 대인관계의 의사소통 측면에서 주변 타인들과 능동적인 대처, 또래의 조언에 대한 적극적경청, 솔직한 감정표현과 자기노출이 원만한 대인간 의사소통이 비자살적 자해 행동 예방의 중요한 보호요인이 될 수 있다는 것을 확인하며 부모와 또래의 안정적인 정서적지지가 비자살적 자해 행동을 예방할 수 있는 결과를 확인했다는 점이다. 불쾌정서에 대한 회피적, 비언어화 하는 비자살적 자해 행동에 대하여 자기 감정표현을 언어화하는 하위 의사소통의 적절한 감정처리와 자아개념형성이 보호요인으로 확인하였다. 이는 비자살적 자해를 예방하기 위한 긍정적 보호요인을 확인한 것에 의의가 있다. This study attempted to examine the effects of adolescents' perceived parenting attitudes, interpersonal communication, and emotional support on non-suicide self-harm, to find out how each variable correlates and differs according to the presence or absence of non-suicide experience. In order to achieve this research purpose, specific research questions were set as follows. First, what is the status of involuntary self-harm among adolescents? Second, how are adolescents' parenting attitudes, interpersonal communication, and emotional support related to involuntary self-harm? Third, how do adolescents' parental parenting attitudes, interpersonal communication, and emotional support affect involuntary self-harm? Fourth, is there a significant difference in parental parenting attitudes, interpersonal communication, and emotional support between students with non-suicide experience and students without non-suicide experience? This study collected a total of 401 data by conducting a two-week self-report response survey for male and female students in the 1st to 3rd grades of middle school in Y city from September 14, 2022 to September 28, 2022. 315 copies of the collected data were selected as the final research subject. The collected data were subjected to frequency analysis, descriptive statistical analysis, reliability measurement, correlation analysis, simple regression analysis,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nd independent sample t-test using SPSS/PC 21.0. The summary of the analyzed research results is as follows. First, out of 315 people, 230 (73%) had no experience of involuntary self-harm and 85 (27%) had non-suicide self-harm Among the respondents who had experience of involuntary self-harm, 10 (12%) said they intended to die when acting on their own, and 75 (88%) said they had no intention of dying, and their average age was 13 and 14 years old Second, adolescents' parental parenting attitude, interpersonal communication, and emotional support were found to be correlated with non-suicide self-harm, and had a significant effect on both variables and sub-factors. Third, all differences according to the presence or absence of involuntary self-harm were significant. In this study, the father's positive parenting attitude is an important factor as a protective factor. In terms of interpersonal communication, active response to peer advice, active listening to peer advice, honest expression of emotions and self-exposure confirm that smooth interpersonal communication can be an important protective factor in preventing involuntary self-harm behavior. The stable emotional support of parents and peers has confirmed results that can prevent involuntary self-harm behavior. Adequate emotional processing and self-concept formation of sub-communication that verbalizes self-emotional expression were identified as protective factors for non-verbal and non-verbal self-harm behaviors against unpleasant emotions. This is meaningful in confirming positive protective factors to prevent non-suicide self-harm.

      • 미술치료가 방임아동의 불안과 우울에 미치는 효과 연구 : 단일사례 중심으로

        황순옥 한일장신대학교 심리치료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7631

        미술치료가 방임아동의 불안과 우울에 미치는 효과연구 -단일사례 중심으로- 황 순 옥 지도교수 신 혜 순 본 연구는 부모로부터 방임된 초등학교 2학년 아동을 위해 미술치료를 실시하여 우울과 불안에 대한 효과를 파악하는 것이다. 연구 대상자는 지역아동센터의 소개로 만났으며, M심리상담소에서 2014년 9월 말부터 2015년 9월 초까지 미술치료를 실시하였다. 연구기간은 2014년 9월부터 11월까지 주 2회, 2015년 12월부터 9월까지 주1회, 회기별 시간은 60분, 총 12개월 동안 51회 진행하였고, 사전·사후 만남과 추가로 사후 2회기를 한 단일 미술치료 사례 연구이다. 이에 대한 본 연구의 문제는 방임아동을 위한 미술치료가 정서적 불안과 우울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 였다. 방임된 아동은 성장과정 및 사회적 어려움과 고통이 수반될 수 있고, 심리·정서·사회적 문제들로 전 생애에 부정적인 영향이 따르게 된다. 따라서 본 연구는 자유화를 중심으로 진행된 미술치료가 방임된 아동에게 나타나는 우울과 불안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방법으로는 집-나무-사람(H-T-P), 동물 가족화 사전·사후 검사를 실시하였고, 자유화 미술치료를 51회기 실시하였다. 아동의 정확한 심리를 측정하기 위해서 전라북도 내 Y종합병원에서 웩슬러 아동용지능검사4판(K-WISC-IV), 한국아동인성검사(KPI-C), 한국 아동·청소년 행동평가(K-CBCL)검사를 사전·사후에 걸쳐 실시하였다. 본 연구는 사례분석의 객관성 확보를 위해서 연구자와 임상심리사, 미술치료 전문가와 지도교수의 검증을 받아 분석하였다. 본 연구는 방임 아동이 그린 자유화를 통해서 내면의 억압된 감정과 해결되지 못한 욕구를 표현하게 하였다. 표현된 그림의 내용을 통해 상징적 의미를 분석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먼저 객관적 검사결과를 살펴보면, 웩슬러 지능검사(K-WISC-IV)에서는 전체지능 IQ에서 88엣 94로 향상된 수치를 보였다. 한국아동인성검사(KPI-C)에서도 불안(ANX)척도가 53점에서 34점으로 불안(ANX)척도가 감소하는 효과를 보였다. 또한 우울(DEP)척도에서도 사전에는 76점으로 높게 나타났으나 사후검사에서는 40점으로 우울(DEP)척도가 감소의 효과를 보였다. 아동청소년 행동평가척도(K-CBCL)에서도 내재화 척도가 T점수 92, 외현화 척도 T점수가 81점으로 임상범위이고, 문제행동 증후군 불안/우울 T점수가 80, 위축/우울 T점수가 78로 임상범위에 해당되었지만 사후 검사 결과에서는 문제행동 총점이 T점수 61로 감소되었다. 또한 내재화 척도 T점수 59, 외현화 척도 T점수가 59로 정상범위로 감소하는 변화가 나타났으며, 문제행동 증후군은 불안/우울 T점수 57, 위축/우울 T점수 59로 문제행동증후군은 없음으로 불안과 우울이 감소되는 결과를 보였다. 주관적 검사 집-나무-사람(H-T-P) 연구의 결과에서는 사전에는 집은 무거운 돌이 지붕을 짓누르는 위태롭고 불안한 그림을 보였다. 나무는 칼로 온몸을 공격당하는 모습이었다. 사람은 먹을 것을 찾아 헤매는 괴물과 같은 모습으로 표현하였다. 그러나 사후검사에서 집 그림은 안정된 모습으로 표현하였고, 나무그림은 많은 사람들이 쉴 수 있는 튼튼한 나무라고 하였고, 학교생활에 안정을 느끼고 밝은 모습으로 감정을 표현하고 있는 모습으로 표현하였다. 동물 가족화 검사에서도 사전검사에서는 죽은 화산에서 권위적인 아빠의 모습과 미숙한 엄마, 위태로운 자신의 모습으로 그렸지만, 사후 그림에서는 푸른 초원에서 동물가족이 배불리 밥을 먹고 말(아빠)를 따라 가족나들이를 다녀오는 평화로운 가족의 모습을 표현하였다. 본 사례연구 자유화에서는 세 가지로 변화를 확인할 수 있었다. 첫째, 그림에 나타난 색체, 형태, 선, 그림내용 변화이다. 초기 자유화에서는 혼란스런 선과 공상 및 상상, 부정적인 모성상을 상징하는 그림이 많았지만, 마지막 51회기에서는 현실에서 자신의 부족함을 인지하고 공부하는 모습을 그림으로써 아동이 자신의 현실적인 역할에 충실하려는 통합된 모습을 볼 수 있었다. 둘째, 아동의 부모님의 양육태도의 변화를 볼 수 있었다. 미술치료 이전 부모는 아동이 1년 8개월 동안 학교폭력경험으로 가정에서 자살소동을 벌이며 고통을 호소했지만 부모는 아동에 대한 관심을 기울이지 않았다. 어릴 때부터 심한 아토피피부염을 앓고 있었지만 의료적인 치료를 제공하지 않고 있었다. 그러나 미술치료 이후 그림을 통해 표현된 아동의 위기적 상황을 인식하기 시작하면서 양육방법개선의 계기를 마련하게 되었다. 부는 아토피피부염 치료에 적극성을 보였고, 학교방문으로 아동이 더 이상 학교폭력에 노출하지 않도록 하였으며 아동의 어머니도 아동의 외모점검이나, 식생활을 개선, 부진한 아동의 학습교육에도 관심을 갖게 되었다. 셋째, 아동의 심리적 행동적인 변화이다. 상담초기에 아동은 경직되고, 무표정한 얼굴로 손에는 무엇인가 만지작거리고 눈치를 살피는 불안하고 무기력한 모습을 보였다. 또한 학교에서 친구들이 괴롭힐 때에도 무방비상태로 고통을 당하는 무기력함을 보였다. 본 연구에서는 방임아동의

      • 내장형 XML 데이터베이스 기반의 휴대용 야생 동식물 정보 관리 시스템 =

        황순옥 慶尙大學校 情報科學大學院 2005 국내석사

        RANK : 247631

        According to some domestic rules retaining to pre-environmental review and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system, the check-up on if there is endangered wild fauna and flora has been the major process in judging the possibility of the land development project. The mobile and real-time terminal system that can make sure whether endangered wild fauna and flora is or not on the spot is highly requested in the areas which development is expected, so Wild Fauna and Flora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WF2IMS) was developed in this thesis. To manage the image data of endangered wild fauna and flora efficienly, WF2IMS support various text-based searching and content-based image information searching using meta data based on MPEG-7 described in the XML document form. Another feature of this system is the handheld capability using embedded XML database. As the immediate and real-time confirmation of the habitation, pictures and ecological characteristics of wild fauna and flora is possible in various field operations, WF2IMS will be greatly helpful in making domestic land development project efficient progress and conserving endangered wild fauna and flora.

      • 초·중·고등학교 국어와 도덕 교과서에 나타난 장애관련 내용분석

        황순옥 우석대학교 교육대학원 2005 국내석사

        RANK : 247631

        This study has been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status of disability - related contents in regular curriculum for the successful integration of disabled children in regular schools and to consider a desirable direction for the 8^(th) curriculum to proceed. For the purpose, I compared and analyzed the contents presented for those who are physically or mentally challenged in the Korean and moral textbooks that have been the national common basic curriculum in 6^(th) and 7^(th) curriculum across grade levels. For Korean subject, I analyzed the total amount of disability -related contents, text types, disability - related learning styles, and the types of disability and facilities, and for moral subject, the total contents related to disabilities, disability - related learning styles, and the types of disability and facilities. These items were then quantitatively analyzed according to grade levels, the 6^(th) and 7^(th) curriculum textbooks were compared, and the changes in the amount of contents were examined according to school levels of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amount of disability - related content in Korean textbooks has been steadily increased. However, when it is viewed more specifically, the amount was rather decreased in 7^(th) curriculum than 6^(th) in elementary school, remarkably increased in 7^(th) curriculum of middle school, and not represented at all in 7^(th) curriculum of high school, which was a larger reduction than 6^(th) curriculum. Second, of the text types, literary texts accounted for a larger percentage of disability - related contents than any other text types of Korean subject in both 6^(th) and 7^(th) curriculum. Of these, in elementary school, literary and non-literary textbooks showed similar amount of the contents in 6^(th) curriculum, but in 7^(th), literary texts had more disability - related contents. In case of middle school, in both 6^(th) and 7^(th) curriculum, literary texts had more disability - related contents, while it was shown only in literary texts in 6^(th) curriculum of high school. Third, in disability - related learning styles of Korean subject, the 7^(th) curriculum contained far more various learning styles and more specific learning activities. Although, in the 6^(th) curriculum, disability - related subjects were presented to simply attain the learning objective of Korean, in the 7^(th) curriculum, it was represented to help cultivate students’ personalities with understanding of the handicapped through the disability - related learning activities. Fourth, with regard to the types of disability and facilities in Korean subject, a wider variety of the contents were represented in the 7^(th) curriculum than the 6^(th). The types of disability were shown similar but the number was increased in elementary school. In case of middle school, the types of disability were multiplied and the number was also remarkably increased, but no disability facility was addressed. In high school, only a physically disabled type was addressed in the 6^(th) curriculum. Fifth, the amount of disability - related contents in moral subject was increased in the 7^(th) curriculum than the 6^(th) over the all school levels. Sixth, with regard to disability - related learning styles of moral subject, the 7^(th) curriculum had far more various learning styles than the 6^(th) with a variety of learning methods and activities. Besides, the number of learning activities was also increased Seventh, in the types of disability and facilities in moral subject, more various disability - related contents were addressed in the 7^(th) curriculum than the 6^(th). Illustrations or pictures to express disability types were also expanded and the number was increased. With the results, I would like to make several suggestions. First, with regard to the increase of disability - related contents in quantity and quality in the 7^(th) curriculum than the 6^(th), a study is required to study how well it is applied to education area. Second, to put into practice the plans for volunteering activities at disability facilities in the 7^(th) curriculum, it is required to develop volunteering programs incorporated with creative discretional activities and provide students with tangible opportunities to practice the program. Third, to represent balanced disability - related contents in Korean and moral textbooks in 8^(th) curriculum, it is necessary to deal with mental disability and emotional disability at the same time, and more amount of disability - related contents is required to be addressed in the high school curriculum. Fourth, to investigate how well our school textbooks contribute to the recognition of the disabled, a study is required to compare disability - related contents among textbooks of ours with those of developed countries with high awareness of physically or mentally challenged people.

      • 한국직장보육시설과 외국직장보육시설의 지원체제에 대한 비교분석

        황순옥 배재대학교 2008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provide the base data to activate workplace nursery in Korea through studies of the administrative, financial support system of Korean workplace nurseries and foreign workplace nurseries. To achieve the purpose, the following study questions were set up. Question 1: What are the administrative support systems of Korean workplace nurseries and foreign workplace nurseries? Question 2: What are the financial support systems of Korean workplace nurseries and foreign workplace nurseries? Question 3: What are differences between the administrative and financial support systems of Korean workplace nurseries and foreign workplace nurseries? As a result of the study, the administrative support systems of workplace nursery operation by countries are as follows. Firstly, Korea applied the obligation to place workplace nursery not only to private corporations but also the nation’s and local autonomous entities in consideration of the obligation regulation of the nation’s and local autonomous entities according to legislation purpose of the Infant Nurture Act. The Ministry of Labor prepared the guidelines to place workplace nursery, by which the number of regular employees is counted by overall corporation size but unit entity to judge whether an entity is applicable of the obligation to place workplace nursery. In regards with nursery place, an entity was defined as ‘the place where a business is carried out and human and physical facility exits’. (The Ministry of Labor, 2005) Thanks to the Infant Nurture Act (revision 2006), the number of the obliged entities to have placed workplace nursery increased from 213 to 807 (the Ministry of Gender Equality and Family, 2006). Secondly, in the U.S.A., workplace nursery business has recognized as public children’s welfare business since 1962 when the Social Security Act has amended. As the married women’s needs for nursing service rose by the increase of working women since late 1970’s, it was gradually activated again, which has been run flexible corresponding to the demand of the times. This led to the rapid increase from 105 workplace nurseries in 1978, 406 in 1982 and 2~3,000 in 1986. As, entering 1980’s, interest in workplace nursery grew to promote corporations to participate in nursing, the government has been a leading agent and promoter by holding various events to publicize the needs for employer-supporting nursing service and by having scholars design and distribute multiple types of employer-supporting nursing services. As a result, it was the U.S.A. that activated workplace nursery by designing various methods of participation in the private sector, in addition to workplace nursery with public extensive support in which every employer mandatorily participated in public nursing for unspecified individuals. Thirdly, in the U.K., the institute for personality development that Pestalozzi’s pupil, Owen established in 1861 for the employees at his cotton mill became the outset of the workplace nursery. The Maternity and Children’s Welfare Act of 1981 enabled public support for workplace nursery, by which it began to rapidly increase and in the following year 174 workplace nurseries opened. By 1981 it ruled to make infant school that can accommodate 90% of all 4 year old infants but expansion of education welfare sector has stayed still and set back due to the stagger of the U.K. economy. Although it does not have any legally binding regulations for the operation of workplace nursery, the Ministry of Health suggests the operational guidelines of nursing business administration and the welfare bureau of concerned state has the guiding & supervisory right for the operation of workplace nursery business. Fourthly, in France both local nursing and workplace nursing get government support but 80% were assigned to local nursery by their residence and the rest 20% were assigned to workplace nursery. Most of such workplace nurseries belong to hospital so shifting nurses or staff or patient’s children do cares. Also, independent private nurseries run by an individual or private company are rare and instead most of nurseries are run by local community. The individual nursing is nothing more than home nursing, for which a number of parents form a small nursing cooperation union, rent a place and hire nursing teacher. it is remarkable that, even in this case, it gets public support from the government. Fifthly, even if many countries promote corporation to extend work place nursery, the administration support system to have an employer mandatorily raise nursing fund as like Sweden is very exceptional. A number of countries, mostly local autonomous entities, are indirectly inducing corporate participation by various programs in order to have corporations extend public nursing. However, as the legal and administrative system to mandate such participation has been in place for a long time, participation rate in workplace nursing is higher of any countries and nation’s agreement and consensus are formed despite of high tax rate of the employees. Sixthly, Japan cannot accommodate all rapidly growing demands for nursing. In the large cities, the number of children on the nursery’s waiting list is growing so unlicensed nurseries increases, from which social issues are arising. In addition, since the nation’s distrust for the government’s nursing policy is strong and the binding power of law is weak, it was shown there were neither many companies who adopt the nursing family work suspension program nor many employees who make use of it because of worrying job loss or any disadvantage after work suspension. According to the survey of the Japan government in 1996, actually 60% of all employees adopt the family work suspension program, 44.5% of female workers and only 0.16% of male workers were shown to use the family work suspension program. (the Ministry of Labor, 1998) Seventhly, in Australia inte 본 연구는 한국 직장보육시설과 외국 직장보육시설의 행정적 · 재정적 지원체제에 대한 고찰을 통해 우리나라 직장보육시설 활성화 방안에 대한 기초자료의 제공을 그 목적으로 한다. 위와 같은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선정하였다. 연구문제 1 : 한국 직장보육시설과 외국 직장보육시설의 행정적 지원체제는 어떠한가· 연구문제 2 : 한국 직장보육시설과 외국 직장보육시설의 재정적 지원체제는 어떠한가? 연구문제 3 : 한국 직장보육시설과 외국 직장보육시설의 행정적, 재정적 지원체제의 차이는 어떠한가? 본 연구의 결과 각 국가 별 직장보육사업의 행정적 지원체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한국은 영유아보육법령의 입법취지에 따라 국가나 지방자치단체의 책무 규정 등을 감안하여 직장보육시설의 설치 의무를 민간 기업뿐만 아니라 국가 및 지방자치단체에도 적용시켰다. 그리고 노동부에서는 영유아보육법을 근거로 직장보육시설 설치에 관한 세부사항을 지침으로 마련하여, 상시 근로자의 수 산정에 있어서 전체 기업규모가 아닌 단위사업장을 기준으로 직장보육시설 설치 의무사업장에 대한 해당여부를 판단한다. 설치장소에 관련하여서는 사업장의 개념을 ‘사업이 행해지고 인적?물적 시설이 존재하는 장소’로 규정하였다(노동부, 2005). 이와 같이 2006년 개정된 영유아보육법에 의하여 직장보육시설을 설치한 의무사업장의 수가 213개소에서 807개소(여성가족부, 2006)로 증가시키는 계기를 만들어주었다. 둘째, 미국의 경우 1962년 사회보장법이 개정된 후 직장보육사업은 국가의 공적 아동복지사업으로 인정되었고 1970년대 후반부터는 취업여성의 증가에 따른 기혼여성의 보육서비스 요구가 증가하게 되자, 다시 이를 점진적으로 활성화시키는 등 시대적 요구에 따라 탄력적으로 운영되어 왔다. 이것은 1978년에 105개에 불과하던 직장보육시설이 1982년에는 406개, 1986년에는 2-3천개로 연차적으로 급증하는 계기가 되었다. 1980년대에 들어서 직장보육에 대한 관심이 증대하여 보육에 기업의 참여를 독려하면서 고용주 지원 보육서비스의 필요성을 홍보하는 각종 이벤트를 개최하고 다수의 학자들을 동원해 여러 가지 유형의 고용주 지원 서비스 유형을 개발 보급하는 등 정부가 중개자와 촉진자의 역할을 주도하였다. 그 결과 모든 사업주들이 의무적으로 불특정 다수를 대상으로 한 공공보육에 참여했던 공공보육 확충 지원형의 직장보육시설과 이와는 달리 민간부문의 다양한 참여방식 등을 개발하여 직장보육시설을 활성화한 것도 단연 미국이다. 셋째, 영국에서는 1861년 페스탈로찌의 제자였던 오웬이 그의 방적공장 근로자 자녀를 위해 설립한 성격형성 학원이 직장보육시설의 시초가 되었다. 그러다가 1981년 모성 및 아동복지 법안을 통해 직장보육시설에 대한 공공지원이 가능해져 점차로 급증하기 시작하였고 그 이듬해에는 174개의 직장보육시설을 개원하기에 이르렀다. 1981년까지 모든 4세 아동의 90%가 다닐 수 있는 유아학교를 설치하도록 하였으나, 그 후 영국경제가 흔들리게 되면서 교육 복지 분야의 확장이 다소 정체되면서 퇴보하기도 하였다. 직장보육시설의 운영에 대한 법적 구속력이 있는 관계법규는 없으나 보건사회성에서 보육사업의 행정적 운영지침을 제시하고 있으며, 해당 주 복지국이 직장보육사업 운영에 대한 지도 감독 권한을 가지고 있다. 넷째, 프랑스의 경우에는 지역보육이나 직장보육 모두 정부의 지원을 받으나 80%정도가 거주지에 따라 지역보육시설에 배정을 받고 나머지 20% 정도가 직장보육시설에 다니고 있다. 여기에서의 직장보육시설은 주로 병원에 소속되어 있어 교대 근무하는 간호사나 병원 직원 및 환자의 자녀를 중심으로 보육이 이루어지고 있다. 또한 개인 사 기업이 독자적으로 운영하는 사기업 보육시설은 거의 없고 대부분의 보육시설은 지역 중심으로 움직인다. 그리고 개인적 육아는 부모 몇 명이 소규모 육아협동조합을 만들어 장소를 임대하고 보육교사를 고용하는 가정 육아 정도이며 이러한 경우도 정부로부터의 공공지원을 받을 수 있다는 점에서 특징을 갖는다. 다섯째, 많은 나라들이 기업으로 하여금 직장보육시설의 확충에 기여하도록 고무하고 있지만, 스웨덴의 경우처럼 사업주가 의무적으로 보육기금을 조성하도록 하는 행정 지원체제방안은 매우 예외적인 경우에 해당된다. 다수의 국가들은 특히 지방자치단체가 중심이 되어 기업으로 하여금 공공보육을 확충하도록 하고자 다양한 프로그램을 통해 간접적으로 기업의 참여를 유도하고는 있다. 그러나 이러한 참여를 의무적으로 수행하도록 하는 법·행정 체제가 오랜 세월 정착되어 직장보육에 대한 참여율이 다른 어느 국가보다도 높고 영유아보육에 대한 근로자들의 높은 조세부담율에도 불구하고 이에 대한 국민적 합의와 높은 공감대가 형성되어 있다. 여섯째, 일본에서는 급증하고 있는 보육에 대한 수요를 모두 충족시키지 못해서 대도시의 경우 보육시설을 이용하려는 대기 아동수가 점차 늘어나 이러한 수요를 충족시키고자 비인가 보육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