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버추얼 아이돌 특성이 버추얼 아이돌 공연 수용자 태도에 미치는 영향

        황서이,기찬 한국디지털콘텐츠학회 2023 한국디지털콘텐츠학회논문지 Vol.24 No.10

        This study analyzes the impact of the Virtual Idol feature on the viewers’ reactions/attitudes. To this end, we examine therelationship between variables that contain Virtual Idol characteristics, the viewer’s flow, performance satisfaction, and intentionof reviewing. The mediating effects of the viewer’s flow and performance satisfaction are verified based on the identifiedrelationship. For the empirical research, a survey was conducted after participants were encouraged to watch the staging of a domestic Virtual Idol, and valid questionnaires from 470 survey participants were utilized for analysis. This research can contribute to rendering pragmatic insights for the entertainment industry, typically in regard to producing Virtual Idol and germaneperformances. Further, this study would be a useful resource for advertising and designing marketing strategies for Virtual Idolperformances.

      • KCI등재

        토픽모델링과 의미연결망 분석을 통한 예술경영 연구동향 분석

        황서이,황동열 한국예술경영학회 2018 예술경영연구 Vol.0 No.47

        The goal of the present study id to identify the research trend in the field of arts management in Korea. To this end, we collected titles and key words of papers published in major journals such as the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arts management during 2001 and 2017. After that, we applied the well-received topic modeling technique, Latent Dirichlet Allocation(LDA) and Semantic Network Analysis(SNA) to the collected data sets. The research finding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1) As a result of the topic modeling analysis, 8 major research topics(‘culture and art education’, ‘media’, ‘visual arts’, ‘culture and art policy’, ‘performing arts’, ‘cultural marketing’, ‘audience survey’ and ‘cultural industry’) were derived. 2) The regression results indicated that only ‘performing arts’ was hot topic. 3) The results of the semantic network analysis show that ‘culture’, ‘art’, ‘museum’, ‘performance’, ‘audience’, ‘policy’, ‘music’, ‘management’, ‘strategy’, ‘arts’, ‘industry’, ‘content’, ‘exhibition’, ‘city’, ‘education’, and ‘museum’ played a major role in forming the context and context of the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arts management. 본 연구는 예술경영분야에 대한 연구동향을 파악하고자 LDA(Latent Dirichlet Allocation)기반의 토픽모델링과 의미연결망 분석(Semantic Network Analysis)기 법을 적용하여 연구하였다. 국내 예술경영분야의 대표적인 ‘예술경영연구’에 수록된 2001년부터 2017년까지 총 286편의 논문명과 주제어를 분석대상으로, 학술적 연구 토픽의 추세와 토픽 간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분석에는 오픈 소프트웨어인 R프로그 램과 표준 통계 소프트웨어 SPSS를 활용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토픽모델링 분석결과, 8개의 주요 연구토픽이 도출 되었고, ‘문화예술교육’, ‘미디어’, ‘시각예술’, ‘문화예술정책’, ‘공연예술’, ‘문화마케 팅’, ‘관객조사 및 개발’, ‘문화산업’ 순으로 비중 있게 다루어졌다. 둘째, 추이 분석 결과, ‘공연예술’ 영역의 연구토픽만이 상승세를 보였다. 셋째, 의미연결망 분석결 과, ‘문화’, ‘예술’, ‘박물관’, ‘공연’, ‘관람객’, ‘관객’, ‘정책’, ‘음악’, ‘경영’, ‘전략’, ‘마케 팅’, ‘산업’, ‘콘텐츠’, ‘전시’, ‘도시’, ‘교육’, ‘미술관’ 등은 예술경영 연구의 의미구조와 맥락을 형성하는데 매우 주요한 역할을 하였다. 특히, 예술경영분야에서 ‘마케팅’, ‘산업’, ‘콘텐츠’, ‘전시’, ‘교육’, ‘도시’ 등과 관련한 연구가 주로 이루어지고 있었으며, ‘관객’, ‘관람객’은 매개역할을 하여 ‘구매의도’, ‘만족도’, ‘참여동기’, ‘서비스품질’ 등 으로 이어지는 연구들에 관심이 높아지고 있었다

      • KCI등재

        토픽모델링과 의미연결망분석을 활용한 한국 예술경영 연구의 동향 변화- 1988년부터 2017년까지 국내 학술논문 분석을 중심으로 -

        황서이,박양우 한국예술경영학회 2019 예술경영연구 Vol.0 No.50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use Deep Learning based Topic Modeling and Semantic Network Analysis to examine research trend of arts management-related papers in korea. For this purpose, research subjects such as ‘The Journal of Cultural Policy’, ‘The Journal of Cultural Economics’, ‘The Journal of Culture Industry’, ‘The Journal of Arts Management’, and ‘The Journal of Human Content’, which are the registered journal of the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 directly or indirectly related to arts management field. From 1988 to 2017, a total of 2,110 domestic journals' signature, abstract, and keyword were analyzed. We tried Big Data analysis such as Topic Modeling and Semantic Network Analysis to examine changes in trends in arts management. The analysis program used open software R and standard statistical software SPSS. Based on the results of the analysis, the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e study and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were discussed. And the potential for development of convergent research such as Arts & Artificial Intelligence and Arts & Big Data. 본 연구는 국내 예술경분야 학술논문의 연구동향을 파악하고 향후 연구방향을 모색하기 위해 토픽모델링과 의미연결망분석을 적용하여 연구하였다. 연구범위는 예술경분야와 직·간접적으로 연관된 한국연구재단의 등재학술지인 ‘문화정책논총’, ‘문화경제연구’, ‘예술경연구’, ‘문화산업연구’, ‘인문콘텐츠’에 수록된 총 2,110편이 고, 학술논문의 서명, 초록, 주제어를 분석상으로 삼았다. 시간적 범위는 1988년 부터 2017년까지로 설정하고, 연구토픽과 토픽의 추세, 토픽 간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분석 프로그램은 오픈 소프트웨어인 R과 표준 통계 소프트웨어 SPSS를 활용 하였다. 분석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최상위 빈도수를 기록한 주요단어는 ‘한 국’, ‘문화’, ‘콘텐츠’, ‘문화콘텐츠’, ‘산업’ 이었다. ‘정책’, ‘지역’, ‘예술’, ‘전략’ 의 주요 단어가 그 뒤를 따르고 있었고, ‘미디어’, ‘경제’, ‘관람객’, ‘마케팅’ 등도 상위에 포진 되어 있었다. 이는 예술경분야에서 상위 주요단어들에 한 논의가 활발하게 시 도되고 있다고 볼 수 있다. 둘째, 예술경분야에서는 총 11개의 연구토픽이 도출 되었으며, ‘문화예술일반’, ‘문화기술’, ‘문화예술정책’, ‘지역문화’, ‘문화콘텐츠산업’, ‘문화교류’, ‘문화예술마케팅’, ‘문화예술교육’, ‘(시각예술)예술경’, ‘(공연예술)예술 경’, ‘문화경제: 컬처노믹스’ 순으로 나타났다. 셋째, 제4차 산업혁명을 맞은 시의 흐름에 맞춰 융합교육, 미디어, 기술, 콘텐츠 등과 접하게 관련 있는 ‘문화예술 교육’과 ‘문화교류’에 한 연구들이 두각을 드러내고 있었다. 넷째, 의미연결망분석 에 따르면, 예술경분야는 문화예술을 중심으로 다양하고 복잡하게 타 역들과의 연구가 시도되고 있었으며, 관객조사와 관객개발에 관련한 역이 상적으로 많이 논의된 것으로 나타났다.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연구의 의의 그리고 한계점 및 향후 연구에 한 제언을 논의하고, 문화예술과 인공지능, 문화예술과 빅데이터라는 융합연구에 한 발전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인공지능 수용의도에서 정부신뢰의 역할

        황서이,남영자 한국디지털정책학회 2020 디지털융복합연구 Vol.18 No.8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iscuss implications for government policy aimed at increasing public’s intention to accept AI. Knowledge regarding AI and feelings regarding AI were found to influence acceptance to intention towards AI.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was then conducted to explore the moderation effect of confidence in government on knowledge and feelings regarding AI. Results showed that as advanced knowledge regarding AI has a positive influence on acceptance intention towards AI and negative feelings regarding AI has a negative influence on acceptance intention towards AI. Feelings regarding AI had the highest impact on acceptance intention towards AI, followed by confidence in government and knowledge regarding AI. Results also revealed that a high level of confidence in government regulations was associated with greater acceptance intention towards AI and a low level of confidence in government regulations acceptance intention towards AI was more influenced by feelings regarding AI than by knowledge regarding AI. Furthermore, religion had a significant influence on acceptance intention towards AI, which provides one insightful direction for future research. 본 연구는 인공지능 수용의도를 증가시킬 수 있는 정책적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인공지능에 대한 지식수준과 감정적 요인이 인공지능 수용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였고, 이에 대한 영향을 정부신뢰가 조절하는지 검증하고자 위계적 회귀분석을 활용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인공지능에 대한 지식수준이 높을수록 수용의도가 증가하였고, 인공지능에 대한 감정이 부정적으로 형성될수록 인공지능의 수용의도가 감소하였다. 그리고 수용의도에 미치는 영향은 인공지능에 대한 감정, 정부신뢰, 지식 순으로 나타났다. 둘째, 규제에 대한 정부신뢰가 높을수록 수용의도가 증가하였으며, 규제에 대한 정부신뢰가 낮은 집단일수록 인공지능에 대한 감정이 수용의도에 미치는 영향이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인구통계학적 요인 중 종교가 인공지능 수용의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후속연구에 대한 필요성을 제안하였다. 이 연구는 전반적인 인공지능에 대한 지식과 감정, 그리고 규제에 대한 정부신뢰라는 변인을 통해 인공지능에 대한 인식과 판단을 실증 분석하여 인공지능 연구를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의의가 있다.

      • KCI등재

        인공지능에 대한 지식, 감정, 수용의도 관계에서 위험인식의 매개 및 조절효과 분석

        황서이,남영자 한국콘텐츠학회 2020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20 No.8

        The objective of this empirical study is to examine the mediating and moderating effects of perceived risk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knowledge, feelings and acceptance intention towards AI. Subjects in their teens to forties were surveyed and the final sample comprised 1,969 subjects. Data were analyzed using Mediation using Multiple Regression and Moderated Multiple Regression. Results showed that people’s knowledge and feelings towards AI affected their acceptance intention of AI. Results also showed that the perceived risks of AI partially mediated and moder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feelings and acceptance intention towards AI and moderated but not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knowledge and acceptance intention towards AI. Overall, these results suggest that people’s perceived risks of AI are associated more strongly with their feelings towards AI than their knowledge towards AI. Implications and directions for future research were discussed in relation to increasing general population’s acceptance intention towards AI. 본 연구는 인공지능에 대한 지식과 감정적 요인 그리고 수용의도 간의 관계에서 위험인식이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그 과정을 살펴보고자 매개 및 조절효과를 실증 분석하였고, 인공지능의 수용성을 높일 수 있는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이를 위해 10대부터 40대까지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1,969명의 유효 표본을 확보하였고, 분석방법으로는 매개회귀분석과 조절회귀분석을 활용하였다. 분석결과에 따르면, 첫째, 인공지능에 대한 지식과 감정은 인공지능 수용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보였다. 둘째, 인공지능에 대한 감정과 수용의도의 관계에서 위험인식은 부분매개효과 및 조절효과를 확인하였다. 셋째, 인공지능에 대한 지식과 수용의도의 관계에서 위험인식은 조절효과만 유의하게 나타났다. 종합적으로, 인공지능에 대한 감정이 부정적으로 형성될수록 개인이 느끼는 위험인식이 높아지게 되고, 높아진 위험인식은 인공지능의 수용의도를 낮출 수 있는 과정을 반영하고 있었다. 또한 인공지능에 대한 감정변수의 영향력이 지식변수보다 더욱 강한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확인하였고, 인공지능에 대한 위험인식이 낮은 집단일수록 인공지능에 대한 지식과 감정에 대한 영향력이 더욱 뚜렷하게 나타났다.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연구의 시사점과 향후 연구를 위한 제언을 논의하였고, 인공지능의 성공적인 사회적 안착을 위해 보다 다양하고 확장적인 연구들을 기대한다.

      • KCI등재

        인공지능 알고리즘 기반의 뉴스배열 양상 연구

        황서이(SeoI Hwang),박정배(Jeong-Bae Park) 한국문화융합학회 2021 문화와 융합 Vol.43 No.5

        This study aims to determine whether the artificial intelligence (AI) algorithm used by Naver and Daum Kakao (the most visited online portals in Korea) plays an unbiased role and further suggests ways forward by identifying aspects of news editing with the use of AI for PC and mobile devices. To this end, and to determine what society news is consumed most, data were collected between 7 a.m. and 7 p.m. (the main news search interval of the day). The data were then used to analyze trends in the most popular media and media companies. Research findings show that the presence of conservative media companies was high in terms of society news accessed via Naver and Daum Kakao; progressive media companies were found to play a less significant role. In addition, Daum Kakao had a higher proportion of news from the three major news agencies. Through open and transparent social consensus, it is necessary for online portal news aggregators to secure policies regarding to the transparency of the principles of their AI algorithms, commit to high-quality news reporting, and value neutrality.

      • KCI등재

        국내 언론에 나타난 ‘스마트시티’ 이슈의 의미연결망분석

        황서이(SeoI Hwang),심지원(Jiwon Shim) 한국디지털콘텐츠학회 2020 한국디지털콘텐츠학회논문지 Vol.21 No.5

        This research conducted a semantic network analysis of smart city and the meaning construction process in the aspect of newspaper’s agenda setting. For this purpose, a total of 25,147 newspaper articles which reported smart city issues were analyzed by applying linguistic analysis and semantic network analysis. The research used R program to analysis major daily newspapers’ news coverages. As a result, the Korean press has constantly emphasized the importance of smart city and developed a variety of related issues. As of 2018, discussions on smart city has been revitalized. Despite the fact that in 2018 smart city attempted to shift from a technology-oriented paradigm to a human-centered city, smart city was mainly discussed from a technical perspective. In the future, it will be necessary to continuously analyze human characteristics and demands for smart city and to have practical communication strategies.

      • KCI등재

        빅데이터 분석기법을 활용한 국내 옥외광고 분야 연구의 경향 분석: 2004년부터 2020년까지 『OOH광고학연구』를 중심으로

        황서이(Hwang, SeoI),이명천(Lee, Myoung Chun) 한국OOH광고학회 2020 OOH광고학연구 Vol.17 No.4

        이 연구는 빅데이터 분석기법인 의미연결망분석을 활용하여 국내 옥외광고 분야 학술연구의 시기별 경향을 파악하고 향후 연구방향을 살펴보았다. 연구범위는 옥외광고 분야 대표적인 학술지인 ‘한국OOH광고학회’의 『OOH광고학연구』에 게재된 총 246편의 학술논문이며, 논문명, 초록, 주제어를 분석대상으로 삼았다. 시기적 범위는 『OOH광고학연구』가 창간된 2004년 제1권 제1호부터 2020년 제17권 제3호로 설정하였고, 총 4개의 시기로 구분하여 분석하였다. 분석 프로그램은 오픈 소프트웨어인 R을 활용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2000년대 중후반 국내 옥외광고 분야 연구는 광고와 디자인 영역의 논의가 중요하게 다루어졌다. 옥외광고에 대한 논의가 본격적으로 시작된 2000년대 후반에는 미디어와 소비자 관련 연구가 등장한 반면, 디자인 영역은 점차 약세를 보였다. 2010년대 초중반에는 옥외광고에 대한 개념, 옥외광고법과 제도, 미디어 기술 도입에 주목하였고, 특히, 디지털 사이니지 등에 대한 논의가 강조되었다. 2010년대 후반에는 옥외광고에 대한 논의가 실무적 차원에서 구체화 되었다. 이 시기에는 미디어, 디지털 사이니지 관련 연구는 플랫폼의 다양화 논의로 발전하였고, 해외 옥외광고, 소비자 관련 논의는 세분화되어 중요하게 다루어졌다. This study investigate the research trends of ‘Journal of OOH Advertising Research’ by Big Data analytics. For this purpose, a total of 246 academic articles which published Out-of-home advertising issues were analyzed by applying linguistic analysis and semantic network analysis. This study was analyzed from 2004 to 2020, divided into four periods. The results are as follows. Research in the field of Out-of-home advertising in Korea mainly focused on discussions on advertising and design in early period. In growing period, iscussions on Out-of-home advertising began in earnest. And while media-related and consumer-related research have appeared, research in the design field has gradually declined. In transitional period, discussions on the concept of Out-of-home advertising, the Out-of-home advertising rules and Regulations, and the introduction of media technology gradually became stronger. In particular, discussions on digital signage were emphasized. During the leap period, research on media and digital signage developed into discussions on diversification of platforms.

      • KCI등재

        ‘한류’경향에 관한 국내 언론 기사 빅데이터 분석 연구

        황서이(Seo-I Hwang),박정배(Jeong-Bae Park)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 2020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Vol.14 No.5

        본 연구는 국내 언론에 나타난 ‘한류’관련 이슈의 경향을 파악하기 위해 의제설정이론을 적용하였고, 빅데이터 분석기법인 토픽모델링과 의미연결망분석을 활용하여 언론 기사를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2000년부터 2019년까지의 ‘한류’ 관련 이슈에 대해 다룬 54개 언론 미디어 보도기사 197,992건의 제목, 부제, 본문, 키워드를 수집하여 핵심 토픽과 토픽 간의 관계를 파악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국내 언론에 나타난 ‘한류’는 한류 관련 지역, 문화, 경제 등과 관련된 단어들이 주요하게 나타났다. 둘째, 한류 관련 이슈는 총 9개의 토픽이 도출되었으며, ‘방송한류’, ‘한류 수출’, ‘국내외정세’, ‘한류 교육’, ‘뷰티 · 패션 한류’, ‘음악 · 공연 한류’, ‘관광한류’, ‘미디어(플랫폼)’, ‘권역 및 지역’순으로 나타났다. 셋째, 한류는 주로 문화적 차원과 경제적 차원에서 의미화되었고, ‘문화한류’, ‘경제한류’, ‘교육’, ‘환경’, ‘지리’와 같이 5개의 특성으로 클러스터링 되었다. This study conducted a topic modeling and semantic network analysis of ‘korean wave’ and its meaning in Korean society from 2000 to 2019 by applying an agenda setting theory. For this purpose, a total of 197,992 newspaper articles which reported ‘korean wave’ issues were analyzed by applying topic modeling and semantic network analysis. As a result, first, the word ‘korean wave’ mainly appeared in korean-related regions in the korean press. culture and economy. second, a total of 9 topics related to korean wave issues appeared. This was followed by ‘broadcast’, ‘export’, ‘domestic and foreign affairs’, ‘education’, ‘beauty and fashion’, ‘music and performance’, ‘tourism’, ‘media(platform)’, and ‘region’. Lastly, korean wave was mainly discussed at the cultural and economic ares. In addition, it was clustered into five characteristics: ‘cultural hallyu’, ‘business hallyu’, ‘education’, ‘environment’, and ‘geography’.

      • KCI등재

        텍스트 마이닝을 활용한 광고 모델로서의 ‘가상 인플루언서’ 인식변화 분석 : 언론미디어와 소셜미디어를 중심으로

        황서이(Hwang, SeoI),이명천(Lee, Myoung Chun) 한국광고홍보학회 2021 한국광고홍보학보 Vol.23 No.4

        이 연구는 빅데이터 분석 플랫폼인 썸트렌드를 활용해 언급량 분석, 연관어 분석, 감성분석을 시도하여 언론미디어와 소셜미디어에 나타난 가상 인플루언서와 관련한 이슈의 미디어별, 시기별 사회적 인식을 파악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 광고 모델로서의 가상 인플루언서 인식변화를 분석하고, 가상 인플루언서 활용에 대한 마케팅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한다. 시기적 범위는 2021년 1월 1일부터 2021년 8월 15일까지이며, 시기 구분은 가상 인플루언서 로지가 출현한 광고가 처음 출범한 2021년 7월 1일을 그 기준으로 삼았다. 분석결과, 로지의 등장 전에는 가상 인플루언서 관련 기사, 피드, 콘텐츠 정보들이 IT 및 기술, 제품 관점으로 표현되었고, 긍정적인 이미지로 나타났다. 로지의 등장 후, 가상 인플루언서 관련 이슈에 관심이 급증하였고, 관련 기사, 피드, 콘텐츠 정보들이 광고 모델 관점으로 변화하였다. 광고 모델 측면에서 가상 인플루언서에 관한 사회적 인식은 ‘가짜’라는 부정적 이미지가 증가하였다. 이러한 결과로 가상 인플루언서 관련 피드나 콘텐츠 정보 등에서 긍정적인 경향이 감소하고, 중립적인 경향이 다소 높아졌다. This study aims to explore the change in value as an advertising model by attempting text mining related to ‘Virtual Influencers’ as seen in the press and social media.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Sometrend developed by Vaiv Company (formerly known as Daum Soft), a Big Data analysis platform with the largest social media data at home, and real-time social media data were analyzed through mentions, relevant keywords, and emotion analysis. The analysis was conducted based on the synonyms of ‘Virtual influencer’ and ‘Virtual Human’ on Sometrend, and the time range dated from January 1, 2021, when CES 2021, from which the concept of virtual influencer emerged, was first gaining traction, to August 15, 2021, when the virtual influencer ‘Rozy’ was first launched as an advertising message on July 1. From the results of the analysis, it is important to note that there were many changes before and after the appearance of the virtual influencer Rozy. Most importantly, there was a spike in the number of mentions of social virtual influencers in the press and social media in July, aligned with the timing of Rozy’s initial public debut. Prior to the appearance of Rozy, virtual influencers had been mentioned in the press and social media in the context of highlighting info tech and related products. However, after Rozy’s first appearance, virtual influencers were increasingly mentioned in the context of brand and advertising models. Lastly, virtual influencers who appeared in the press and social media generally had a positive image. After Rozy’s appearance, however, the positive image of virtual influencers in the press began to wane, and there was a slight increase in their negative or neutral imag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